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71)
    • 여행, 답사 정보 (5)
    • 역사 정보 (3)
    • 교통, 지리 정보 (3)
    • 나의 추천도서 (7)
    • 본인 제작 여행 답사기 모음집 (1)
    • 서울권 사진,답사기 (346)
      • 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84)
      • 부암동,백사골 (30)
      • 성북동 (25)
      • 북한산(서울 구역) (41)
    • 경기도 사진,답사기 (77)
    • 인천권 사진,답사기 (34)
      • 강화도 (27)
    • 강원도 사진,답사기 (46)
      • 강원 동해바다 (7)
    • 충북권 사진,답사기 (26)
      • 단양 (0)
    • 충남권 사진,답사기 (29)
    • 세종시 사진,답사기 (1)
    • 대전권 사진,답사기 (9)
    • 전북권 사진,답사기 (28)
      • 전주,완주 (7)
    • 전남권 사진,답사기 (35)
    • 광주권 사진,답사기 (6)
    • 경북권 사진,답사기 (47)
      • 서라벌 경주 (16)
    • 대구권 사진,답사기 (13)
    • 부산권 사진,답사기 (47)
      • 부산 해안 지역 (18)
    • 경남권 사진,답사기 (45)
      • 경남 남해바다 (3)
    • 울산권 사진,답사기 (8)
    • 제주도 사진,답사기 (17)
    • 산동반도 사진,답사기 (1)
    • 좋은글,문학,예술 (5)
    • 아름다운 자연 (2)
    • 재밌는 것들 (4)
    • 노래, 음악 (14)
    • 드라마 다시보기 (8)
    • 임시보관함 (0)
  • 방명록

추천산사 (170)
진주 월아산 청곡사 ② 할매산신각, 경내 뒷쪽 꽃무릇길, 3층석탑, 칠성각, 나한전. 업경전

1. 청곡사 샘터(수각)월아산이 베푼 옥계수가 쉼 없이 쏟아져 나와 절과 중생들의 목마름을 늘 해소해준다. 2. 청곡사 할매산신각청곡사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할매산신각이 자리잡고 있다. 그냥 산신각도 아닌 특이하게도 할매산신각을 칭하고 있는데, 이름 그대로 할매산신이 이곳의 주인장으로 절 창건 당시 주지승의 현몽으로 그를 봉안하게 되었다고 전한다.그런 연유로 청곡사가 있는 진주 땅에는 왕비와 고관대작의 부인, 딸이 많이 태어났다고 하며, 할매산신상 뒤로 산신 부부의 탱화가 걸려있는데, 천하에서 산신 부부를 봉안한 유일한 절로 산신기도처로도 명성이 자자하다. 3. 할매산신각의 주인장, 할매산신상과 그 뒤쪽에 나란히 자리한 산신 부부의 탱화 (왼쪽이 할머니 산신, 오른쪽이 할아버지 산신)  4. 할매..

경남권 사진,답사기 2024. 8. 18. 10:30
진주 월아산 청곡사 ③ 나한전, 업경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인왕상, 대웅전

1. 석축 위에 자리한 청곡사 나한전 (업경전에서 바라본 모습)나한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석가여래와 그의 열성제자인 16나한의 공간이다. 조선 중기 승려로 많은 이적을 남긴 진묵이 이곳 석가여래상을 조성했으며, 이곳에 불을 밝히고 기도를 하면 한가지 소원이 꼭 이루어진다고 하여 기도 수요가 많다. 2. 업경전에서 바라본 칠성각 (오른쪽 건물이 나한전)칠성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조그만 맞배지붕 집으로 가운데는 칠성의 공간인 칠성각, 동쪽은 독성(나반존자)의 공간인 독성각, 그리고 서쪽은 도선국사와 진감 혜소국사, 상총국사, 일타선사 진영이 들어있는 진영각으로 쓰인다. 즉 한 지붕 세 가족 형태의 건물이다. 3. 업경전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삼존상업경전은 명부전, 지장전의 역할을..

경남권 사진,답사기 2024. 8. 18. 01:30
제주도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절, 한라산 존자암을 찾아서 (영실매표소 주차장, 존자암 숲길, 존자암 일주문)

1. 한라산 영실매표소 주차장 (존자암입구)제주도의 대표 지붕이자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이 땅에서 가장 높은 뫼인 한라산, 그 높고 높은 한라산 서쪽 자락에 볼래오름(불래오름, 1,375m)이란 오름이 있고, 그 남쪽 자락 1,130~1,140m 고지에 나를 이곳으로 부른 존자암이란 조그만 산중암자가 숨겨져 있다.존자암의 '존자'는 16나한이나 나반존자(독성)를 일겉는데, 이곳이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한라산 산신도 모르는 실정이나 적어도 고려 때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존자암은 제주도에 가면 꼭 가보고 싶던 곳으로 오랜 세월 목말라했다가 어느 해 12월 끝 무렵에 비로소 인연을 지었다. 한라산에 개방된 코스(성판악, 관음사, 영실, 돈내코 등)들은 탐방 제한이 있으나 유독 존자암 코스는 비록 코스는 무지..

제주도 사진,답사기 2024. 7. 27. 09:00
한라산 영실 자락에 외롭게 깃든 고즈넉한 산사, 한라산 존자암 (옛 존자암터)

1. 한라산 존자암 종무소종무소는 정면 7칸, 측면 1칸의 길쭉한 맞배지붕 집이다. 종무소 뒤로 법당인 대웅전(대웅보전)이 있고, 그 뒤로 국성재가 있으며, 경내에서 가장 구석이자 하늘과 가까운 곳에 이곳의 보물로 현무암 피부를 지닌 늙은 세존사리탑이 있다. 2. 종무소 옆에 수습된 건물터 주춧돌존자암터에서는 5개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그 폐허 위에 종무소, 대웅전, 국성재를 세워 17세기 이후에 사라진 존자암을 다시 일으켜 세웠으며, 대웅전과 종무소 옆으로 옛 건물의 주춧돌이 수습되어 있다. 3. 존자암 대웅전(대웅보전)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이곳의 법당이다.  4. 잔디가 입혀진 대웅전 서쪽 공터   5. 한라산 존자암을 뒤로 하며 (종무소 앞 현무암 계단) 6. 한라산 존자암과 ..

제주도 사진,답사기 2024. 7. 27. 02:00
지리산 산주름 속에 푹 묻혀있는 고즈넉한 산사, 지리산 칠불사 (영지, 대웅전, 칠불사 아자방, 대웅전, 문수전)

1. 칠불사 영지칠불사 경내 밑에 자리한 영지는 동그란 연못이다. 그림자 연못을 뜻하는 영지는 칠불사 초창기 설화에도 흔쾌히 등장할 정도로 오래된 존재인데, 다음과 같은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깃들여져 있다.가야연맹의 맹주였던 가락국(금관가야)의 초대 군주 수로왕(김수로왕)에게는 10명의 아들이 있었다. 그중 7명이 불도에 뜻을 밝히고 칠불사에 들어와 수도를 했는데, 그들이 무지하게 보고 싶던 수로왕 내외는 이곳을 찾아왔다. 그러자 그들을 수행 지도하던 장유화상(수로왕의 처남이자 허왕후의 오라버니라고 함)이 그들은 출가한 몸이라 만날 수 없다고 제지를 하면서 굳이 보고 싶다면 절 밑에 연못을 파라고 건의했다.하여 연못을 팠더니 연못 수면에 수행 정진 중인 아들 7명이 비췄다고 한다. 그 현상에 큰 환희감에..

경남권 사진,답사기 2024. 7. 26. 10:00
청주 백족산 백족사 ② 백족사 석조여래좌상, 백족산 정상부

1. 백족사 석조여래좌상백족사 대웅전에 중심 불상으로 들어있는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때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예전에는 석불 전면에 백회가 떡칠 수준으로 칠해져 있어서 원래 모습을 파악하기 힘들었는데, 21세기 이후 백회를 벗겨내고 불단 일부를 손질하면서 석불의 원래 모습 및 불단에 가려졌던 연화대좌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석불은 어느 세월이 댕강했는지 절단되어 있던 것을 시멘트로 붙였으며, 접합 부분에 시멘트를 두껍게 덧칠하면서 많이 부어올랐고 눈과 입도 근래에 갈아내고 보수하면서 다소 변형되었다. 게다가 양쪽 귀도 매우 짧아지는 등, 강제 성형을 꽤 당했다.머리는 곱슬머리의 나발로 정수리에는 육계가 솟아있고, 상호는 전체적으로 원만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시멘트로 보수하면..

충북권 사진,답사기 2024. 7. 24. 10:00
청주 백족산 백족사 ① 납골탑공원, 대웅전, 석조미륵불입상, 백족사3층석탑

1. 백족산 백족사로 인도하는 숲길하얀 발을 뜻하는 백족사는 청주 가덕면 백족산 남쪽 자락에 깃든 고찰이다. 속세에서 그곳을 찾으려면 청주 시내에서 청주 211, 213, 215번 시내버스를 타고 병암3리에서 하차하여 걸어가야 되는데,211번은 충북도청, 상당공원, 청주대학교에서 이용하면 되며, 석교동(육거리 동남쪽) 이남부터는213, 215번도 이용 가능하다. (211번은 20분 내외 간격이나 나머지 노선은 배차간격이 무지하게 김) 병암3리 정류장에서 서북쪽으로 이어지는 '은행상야로'로 들어서 조금 들어가면 충북교통연수원 직전에 백족사로 인도하는 1차선 크기의 숲길이 모습을 비추는데, 그 길을 25분 정도 올라가야 된다.차량도 마음 놓고 바퀴를 굴릴 수 있게끔 포장길로 이루어져 있는데, 경사는 대체로 ..

충북권 사진,답사기 2024. 7. 24. 01:00
대전 계족산 용화사, 비래골, 비래사 나들이 <읍내동 느티나무, 용화사석불입상, 동춘당생애길, 옥류각>

~~~~~&nbsp; 대전 계족산 나들이 (용화사, 비래사)&nbsp;~~~~~ ▲&nbsp; 계족산 용화사 석불입상 ▲&nbsp; 비래사 옥류각 ▲&nbsp; 용화사 숲길   ♠&nbsp; 계족산 용화사(鷄足山 龍華寺) ▲&nbsp; 읍내동 느티나무 - 대전 보호수 6-5-1호 봄이 한참 무르익던 4월의 끝 무렵, 대전(大田) 땅을 찾았다. 경남 동부에..

대전권 사진,답사기 2024. 7. 20. 01:00
도심에서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정릉동 북한산 봉국사 (봉국사의 부처님오신날 풍경, 북한산동네숲)

' 부처님오신날 도심 사찰 나들이, 정릉동 북한산 봉국사 ' ▲&nbsp; 봉국사 경내  올해도 변함없이 즐거운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4월 초파일)이 다가왔다.설레는 마음을 진정시키며 멀리 갈 것도 없이 내가 살고 있는 서울 땅에서 적당한 절 투어 메뉴를 물색했으나 어렸을 때부터 서울 구석구석을 박박 긁으며 다닌 탓에 미답(未踏) 상태의 고찰(古刹, 100년 이상 묵은 절)은 이제 씨가 말랐다.어느새 많이 좁아진 서울을 벗어나 수도권으로 나갈 생각도 했으나 그날만큼은 멀리 가기가 귀찮다. 하여 인연을 지은 서울 장안의 절 중에서 적당한 곳을 찾다가 정릉동(貞陵洞)봉국사가 크게 당겨서 간만에 그곳을 복습하기로 했다. 봉국사는 4~5번 정도 인연이 있던곳으로 ..

서울권 사진,답사기 2024. 6. 2. 15:24
북한산성 내에 깃든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노적사~태고사 <태고사 원증국사탑, 원증국사탑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경기도 사진,답사기 2023. 10. 8. 00:45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추천폭포
  • 제주도추천명소
  • 추천바다
  • 가을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한양도성
  • 추천맛집
  • 충북추천명소
  • 추천축제
  • 추천둘레길
  • 추천산사
  • 추천피서지
  • 수도권추천명소
  • 추천공원
  • 강원도추천명소
  • 봄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추천계곡
  • 대웅전
  • 겨울추천명소
  • 부산추천명소
  • 추천숲길
  • 추천섬
  • 서울도심추천명소
  • 인왕산
  • 북악산
  • 전남추천명소
  • 추천산
  • 추천사찰
  • 경북추천명소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