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에서 제일 큰 절, 삼성동 봉은사 ' ▲ 봉은사 영산전, 북극보전 숲길 ▲ 봉은사 선불당 ▲ 판전 현판 봄과 여름의 팽팽한 경계선인 5월의 첫 무렵, 친한 후배와 강남구 봉은사(奉恩寺)를 찾 았다. 강남구(江南區) 노른자위 땅에 넓게 자리한 봉은사는 20번 넘게 인연을 지은 곳으로 소 장하고 있는 지정 문화유산이 무려 20여 점이 넘는다. 그래서 그들을 모두 사진에 담고 싶은 아주 소박한 욕심에 간만에 그곳의 문을 두드렸다. ..

~~~ 서울 도심의 꿀단지, 서촌(웃대) 나들이 ~~~ ▲ 무궁화동산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 ▲ 필운동 홍건익가옥 ▲ 선희궁터 사우 보름달이 동그란 자태를 보이며 천하의 밤을 비추던 한가위(추석) 연휴에 나의 즐겨찾기의 일원인 서촌(西村, 웃대)을 찾았다.서촌은 북촌(北村)과 부암동(付岩洞), 성북동(城北洞), 호암산(虎巖山), 북한산(삼각산)등에 고루고루 분산된 나의 마음을적지 않게 흔들어 놓은 곳으로 무수히 발걸음을 했음에도 돌아서면 또 가고 싶다.이번 ..

' 울산 태화강 나들이 '(태화루, 태화강 십리대숲, 태화강 국가정원) ▲ 울산의 젖줄, 태화강 (태화루 주변) ▲ 태화강 십리대숲 ▲ 태화강 국가정원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가 열리던 1월의 첫 무렵, 남동임해지역의 중심 공업도시인 울산 (蔚山)을 찾았다. 전날 부산 해운대(海雲臺)에서 1박을 머물다가 요즘 크게 뜨고 있는 태화강 십리대숲이 무척이나 궁금하여 다음날 아침 울산 땅으로 출동했는데, 그 십리대숲을 중심으로 태화 강 국가정원이 ..

' 호암산 봄맞이 나들이 '(약수사, 서울둘레길12코스, 호암산 정상) ▲ 호암산 ▲ 약수사 대웅전 ▲ 서울둘레길12코스 봄이 한참 익어가던 4월의 끝 무렵, 내 즐겨찾기 뫼의 일원인 호암산(虎巖山, 393m)을 찾았다.호암산은 무려 200번 이상 인연을 지으면서 그의 품을 정말 구석구석 누볐다. 마치 큰 나무를 쉼 없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개미처럼 말이다. 하지만 북쪽 자락에 있는 약수사는 오랫동안 미답처(未踏處)로 버려두고 있었..

' 서귀포 엉또폭포, 고근산 (제주올레길7-1코스) ' ▲ 말라버린 엉또폭포 ▲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 고근산 차디찬 겨울 제국이 조금씩 빈틈을 보이던 2월의 한복판에 따사로운 남쪽 땅, 제주도(濟州島)를찾았다.이번 제주도 나들이는 당일치기로 아주 짧고 굵게 진행을 했는데, 제주도는 당일로 가기에는 너무 아쉬운 곳이라 보통 2~3일 이상은 잡고 갔었다. 하지만 비행기의장점을 살려아침 일찍 넘어가 저녁에 돌아오는 방식으로 당일치기가 가능하다. 하여 종종평일을 틈타 여러 번 당일치기로 그곳을 오갔다. (그만큼 ..

' 해남 달마산 미황사, 도솔암 ' ▲ 미황사와 달마산 ▲ 달마산 도솔암 ▲ 달마산 도솔봉 능선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한복판에 후배들과 1박 2일 일정으로 전남(全南) 서남해 지역을찾았다.아침 일찍 번잡한 서울을 벗어나 함평(咸平), 무안(務安), 목포(木浦)의 여러 명소를 둘러보고 지역 별미(別味)도 배터지게 섭취한 다음 목포의 번화가인 하당에서 하룻밤을머물렀다.그리고 다음 날 아침, 해남(海南)으로 넘어가 오랜만에 대흥사(大興寺)를 둘러보았..

' 남한산성 봄맞이 나들이 ' ▲ 남한산성 ▲ 수어장대 ▲ 남한산성 남문(지화문) 차디찬 겨울이 저물고 봄이 조금씩 기지개를 켜던 3월의 끝 무렵, 그 이름도 유명한 남한산성을 찾았다.점심 쯤 도봉동(道峰洞) 집을 나서 지하철로 거의 1시간 반을 이동, 갈아타기도 무려 3번씩이나 하여 남한산성에서 가까운 산성역에서 비로소 어두컴컴한 땅굴에서 벗어났다.산성역(8호선)은 남한산성을 품은 청량산의 서남쪽 끝자락 100m 고지에 자리해 있어 깊이가 제법 된다. 그러다 보니 역을 빠져나오는데도 한참이 걸린다. 밖으로 나와서 광주시내버스9번(사..

~~~ 망우산, 망우역사문화공원, 시루봉보루 늦가을 나들이~~~ ▲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 망우산 관룡탑 ▲ 시루봉보루 늦가을이 절정에 이르던 11월 한복판의 어느 볕 좋은 날, 아차산 식구의 일원인 망우산(忘憂山, 282m)을 찾았다.이번 망우산 나들이는 망우리고개 서쪽에 자리한 망우저류조공원에서 시작했는데, 그 공원에서무덤이 즐비한 숲길을 4~5분 오르면 망우리고개(망우로)에서 올라온 길(망우로91길)과 ..

~~~~~ 양양 휴휴암 ~~~~~▲ 휴휴암 너럭바위와 동해바다 봄이 막바지에 이르던 5월의 첫 무렵, 푸르른 동해바다를 보러 강원도양양(襄陽) 땅을 찾았다.한동안 동해바다를 만나지 않았더만 그새 동해바다 앓이가 심해져 절도 같이 둘러볼수 있는 적당한 곳을 물색하다가 예전에 인연을 지었던 양양 휴휴암이 생각났다. 휴휴암은나보다나이가 한참 어린 절로 해안 경치가 아주 일품이다. 하여 휴휴암과 그곳에서 가까운죽도(죽도봉)를 둘러보고자 오랜만에 관동(關東)지방으로 출동했다.청량리역에서 강릉(江陵)으로 가는 고속열차(KTX-이음)을 타고 1시간 40여 분을 내달려강릉역에서 두 발을 내렸다. 조그만했던 강릉역은 평창동계올림픽과 고속열차 개통으로 덩치가 한껏 커졌는데, 역사밖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