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71)
    • 여행, 답사 정보 (5)
    • 역사 정보 (3)
    • 교통, 지리 정보 (3)
    • 나의 추천도서 (7)
    • 본인 제작 여행 답사기 모음집 (1)
    • 서울권 사진,답사기 (346)
      • 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84)
      • 부암동,백사골 (30)
      • 성북동 (25)
      • 북한산(서울 구역) (41)
    • 경기도 사진,답사기 (77)
    • 인천권 사진,답사기 (34)
      • 강화도 (27)
    • 강원도 사진,답사기 (46)
      • 강원 동해바다 (7)
    • 충북권 사진,답사기 (26)
      • 단양 (0)
    • 충남권 사진,답사기 (29)
    • 세종시 사진,답사기 (1)
    • 대전권 사진,답사기 (9)
    • 전북권 사진,답사기 (28)
      • 전주,완주 (7)
    • 전남권 사진,답사기 (35)
    • 광주권 사진,답사기 (6)
    • 경북권 사진,답사기 (47)
      • 서라벌 경주 (16)
    • 대구권 사진,답사기 (13)
    • 부산권 사진,답사기 (47)
      • 부산 해안 지역 (18)
    • 경남권 사진,답사기 (45)
      • 경남 남해바다 (3)
    • 울산권 사진,답사기 (8)
    • 제주도 사진,답사기 (17)
    • 산동반도 사진,답사기 (1)
    • 좋은글,문학,예술 (5)
    • 아름다운 자연 (2)
    • 재밌는 것들 (4)
    • 노래, 음악 (14)
    • 드라마 다시보기 (8)
    • 임시보관함 (0)
  • 방명록

추천숲길 (166)
수락산 서울 구역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절, 상계동 용굴암 <용굴암 나한전, 용굴암골>

1. 수락산 용굴암 (용굴암 금동미륵불상)수락산 노원골능선(상계1동 노원골에서 도솔봉, 수락산 주능선으로 이어지는 능선길) 남쪽 370~380m 고지에 용굴암이란 작은 암자가 숨겨져 있다.각박한 산자락에 궁벽하게 자리한 용굴암은 수락산에서 내원암(남양주 청학리) 다음으로 높은 곳에 자리한 절이자 수락산 서울 구역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절이다. 이곳은 1878년에 지어졌다고 전하는데, 그때는 승려들이 자연산 석굴에 석가여래상을 봉안하여 수행했던 석굴 암자였다. 용굴암이란 이름은 나한전이 들어앉은 석굴에서 비롯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여주로 급히 줄행랑을 치면서 이곳에 잠시 몸을 숨겼다고 하는데, 그 인연으로 나중에 불사를 지원해 비로소 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하여 절에서는 매년 음..

서울권 사진,답사기 2024. 9. 8. 03:00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마실길, 영산군이전묘역, 숙용심씨묘표 봄나들이 <경천군 송금비, 여기소터, 마실길 느티나무>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마실길 ' ▲&nbsp;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nbsp; 마실길 돌탑 ▲&nbsp; 숙용심씨묘표   봄이 한참 익어가던 4월의 끝 무렵, 천하 도보길의 ..

서울권 사진,답사기/북한산(서울 구역) 2024. 9. 7. 01:00
동래읍성 서장대, 서장대 주변~북문 성곽길 (동래사적공원)

1. 동래읍성 서장대 (동래사적공원)동래읍성 북문에서 서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서장대가 있다. 팔작지붕을 지닌 2층 건물로 근래 복원된 것인데, 1층은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면 되며, 안에서 수다, 약간의 휴식 정도는 취해도 됨, 단 음식을 먹거나 길게 머무는 행위는 삼가할 것) 2. 서장대 서쪽 성곽길 (동래읍성)서장대 서쪽 성곽은 근래 복원되어 여장과 성돌 상당수가 엄청난 하얀 피부를 자랑한다. 이 땅의 읍성 가운데 단연 큰 규모를 자랑했으며, 속령인 대마도와 왜열도까지 통제, 단속했던 위엄 돋는 동래부의 중심지였지만 고약한 왜정 시절 읍성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고 마안산과 망월산(충렬사 뒷산) 산지에 있는 성곽만 겨우 남았다. 허나 산지(마안산, 망월산) 성곽이라고..

부산권 사진,답사기 2024. 8. 26. 02:00
동래사적공원 소나무숲길, 동래읍성 북문, 북장대 (북장대에서 바라본 천하)

1. 동래사적공원 소나무 숲길늘씬한 소나무들이 무성하게 숲을 이루며 아낌없이 솔내음을 베푼다. 이곳은 동래읍성 북문 서북쪽으로 숲 사이로 숲길이 상큼하고 펼쳐져 있다.  2. 솔내음이 가득한 소나무 숲길 (동래사적공원)   3. 소나무 숲길의 동쪽 끝 (동래읍성 북문 밖)   4. 옹성을 지닌 동래읍성 북문 (서쪽 방향)   5. 깃발이 마중을 하는 동래읍성 북문 동쪽 성곽길 (북장대 방향) 6. 동래읍성 북문~북장대 구간 성곽북문~북장대 구간 성곽은 중간에 뚝 끊어져 있다. 성곽은 여기서부터 자연에 묻힌 모습으로 한없이 낮아지며, 이곳까지는 아직 복원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7. 북장대로 인도하는 가파른 계단길  8. 동래읍성 북장대옛 동래고을(동래부)의 중심지였던 동래읍성에는 북장대와 서장대, 동..

부산권 사진,답사기 2024. 8. 25. 09:00
동래사적공원 영보단비, 복천박물관 주변에서 바라본 복천동고분군

1.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복천동고분군 방향)  2.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 방향) 3. 영보단비비리비리한 조선의 끝자락인 1909년, 왜국의 농간으로 조선 조정은 전국의 호적대장을 모두 거두어들이려고 했다. 조선은 초기에도 전국 명가에 전하고 있던 무수한 역사서를 강제로 압수하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호적대장 압수에 대해 주민들은 조상의 이름이 적힌 호적대장이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것을 크게 우려했다.하여 동래 지역 13개면 주민들은 마안산 자락인 이곳(복천박물관 동남쪽)에 호적대장을 모아 불태우고 그 자리에 단을 쌓아 영모단이라 했다. 1915년 영보단비를 세웠으며, 지역 사람들은 매년 음력 4월 23일 이곳..

부산권 사진,답사기 2024. 8. 22. 10:30
진주 제일의 고찰, 월아산 청곡사를 찾아서 <신기소류지, 늙은 석장승, 청곡사 일주문>

1. 청곡사 밑에 펼쳐진 신기소류지진주 지역의 대표 고찰로 추앙을 받는 청곡사는 월아산(482m) 남쪽 자락에 둥지를 틀고 있다. 속세에서 이곳을 찾으려면 진주시내버스 260번(한국국제대~진양호차고지), 261번(속사~진양호차고지)을 타고 신기, 청곡사입구에서 내려서 20분 정도 걸어가면 되는데, 버스는 둘 다 합쳐서 30회 남짓 운행해 접근성도 그런데로 괜찮다.청곡사입구에서 청곡사로 인도하는 길(월아산로1440번길)을 따라 12~13분 정도 올라가면 신기소류지란 작은 호수가 마중을 한다. 그는 월아산 물을 먹고 자란 소류지로 그림 같은 풍경으로 청곡사를 찾아온 중생들의 마음에 돌을 던진다. 2. 월아산을 배경으로 삼은 청곡사 주차장일반 차량은 여기서 바퀴를 접으면 된다. 이곳에서 청곡사까지는 도보 5~..

경남권 사진,답사기 2024. 8. 19. 03:11
북한산(삼각산)과 백련산을 이어주는 산골고개 생태연결로(생태다리) <산골고개 동쪽 산길>

1. 산골고개에 닦여진 산골고개생태연결로(생태다리)통일로가 지나는 산골고개는 홍은동과 녹번동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고개 서쪽은 백련산, 동쪽은 북한산(삼각산)이다. 은평구 지역과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서부 지역(장흥면)에서 서울 도심을 빠르게 이어주는 고갯길이라 차량 통행이 오지게 빈번한데, 1972년 고갯길 확장으로 고개가 크게 깎였다.이후 은평구에서 통일로로 분단된 산골마을과 양쪽 산줄기를 잇는 생태다리 건설을 추진하여 2015년 4월에 완성을 보았으니 그 생태다리가 바로 산골고개 생태연결로이다. 그의 혜성 같은 등장으로 백련산에서 북한산(삼각산), 탕춘대능선까지 도보 접근이 한결 쉬워졌으며, 산골고개 동쪽 산자락에 북한산자락길 등 여러 산길이 새로 닦이거나 손질되었다. (3호선 녹번역 2번 출구에..

서울권 사진,답사기/북한산(서울 구역) 2024. 8. 15. 19:42
홍은동 북한산자락길 ② 북한산자락길전망대 동쪽 구간, 북한산둘레길7구간 옛성길

1. 북한산자락길 (북한산자락길전망대 동쪽 구간)북한산자락길은 북한산(삼각산) 서남쪽 끝자락에 닦여진 도보길이다. 홍은풍림1차아파트, 실락어린이공원에서 옥천암 서쪽까지 이어지는 4.5km의 도보길로 북한산둘레길과는 전혀 다른 길인데, 이 도보길의 특징이라면 거의 전 구간이 거닐기 좋은 나무데크길. 그리고 홍은1동 내에서만 빙빙 돈다는 것이다. 2. 북한산자락길에서 만난 기묘하게 생긴 바위 큰 바위에 마치 거인의 손자국이 찍혀있는 것 같다.  3. 옥천암, 탕춘대능선으로 이어지는 북한산자락길  4. 북한산자락길에서 만난 바위 암릉바위 자락에 닦여진 길을 오르면 북한산둘레길 옛성길과 만난다. 북한산둘레길 옛성길과 북한산자락길은 여기서 100여m 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며, 서로 만나지는 않는다.  5. 홍은풍..

서울권 사진,답사기/북한산(서울 구역) 2024. 8. 15. 02:07
북한산둘레길7구간 옛성길에서 만난 탕춘대성 암문 (탕춘대능선)

1. 북한산 탕춘대성 (탕춘대성 암문 주변)북한산(삼각산) 탕춘대능선에 씌워진 탕춘대성은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이으려고 했던 산성이다. 조선 숙종 시절에 한양도성의 방어력 증대와 유사시 북한산성 행궁이 있는 북한산성으로 신속히 피신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되었는데, 북한산성을 쌓고 바로 탕춘대성을 닦으려고 했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해 1718~1719년에 축성되었다.탕춘대성이란 이름은 연산군이 세검정 부근에 세웠던 탕춘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양의 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성'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정확히는 한양 북쪽에 있음) 탕춘대성은 인왕산 동북쪽 한양도성에서 시작되어 북쪽으로 내려가다가 홍제천을 건너 북한산으로 진입, 탕춘대능선을 따라 향로봉 남쪽까지 이어져 있으며, 길이는 약 5.1km이다. 원래는 ..

서울권 사진,답사기/북한산(서울 구역) 2024. 8. 13. 13:30
홍은동 북한산자락길 ③ 탕춘대능선 서쪽 구간, 이윤석용사 위령비, 옥천암

1. 북한산자락길 탕춘대능선 서쪽 구간북한산자락길은 북한산(삼각산) 서남쪽 끝자락에 닦여진 4.5km의 도보길이다. 홍은1동을 북쪽으로 크게 감싸 흐르는 산길로 거의 전 구간이 나무데크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가 완만하여 가볍게 거닐기에 아주 좋다. 중간에 북한산자락길전망대 등의 명소가 있으며, 북한산둘레길(북한산둘레길7구간 옛성길)과는 만나지 않으나 자락길 북쪽 구간에서 가깝게 지나간다.  2. 솔내음이 가득 깃든 북한산자락길 (탕춘대능선 서쪽 구간) 3. 북한산자락길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바로 앞에 홍은1동 지역을 비롯하여 홍제동과 안산, 백련산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4. 쭉쭉 뻗은 북한산자락길 (탕춘대능선 서쪽 구간)   5. 북한산삼부르네상스아파트 옆을 지나는 북한산자락길   6...

서울권 사진,답사기/북한산(서울 구역) 2024. 8. 13. 02:00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추천섬
  • 경북추천명소
  • 봄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추천산사
  • 서울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폭포
  • 추천축제
  • 추천사찰
  • 강원도추천명소
  • 부산추천명소
  • 추천바다
  • 추천공원
  • 대웅전
  • 추천둘레길
  • 전남추천명소
  • 한양도성
  • 추천산
  • 충북추천명소
  • 추천계곡
  • 겨울추천명소
  • 추천맛집
  • 북악산
  • 수도권추천명소
  • 인왕산
  • 추천숲길
  • 가을추천명소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