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응봉산 밑 한강변 산책로(강변북로 밑도리)에서 바라본 한강과 성수대교 이곳은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는 곳으로 예로부터 두뭇개, 입석포라 불렸다. 이렇게 보니 한강이 꽤 크게 다가오는데, 성수대교 왼쪽(북쪽)은 성수동과 서울숲, 오른쪽(남쪽)은 압구정동, 청담동 지역이다. 2. 응봉산 밑 강변북로 그늘에서 바라본 한강과 동호대교 3. 한강공원 금호나들목 주변여기서 한강을 버리고 금호나들목을 통해 응봉산으로 접근했다. 나들목 너머로 보이는 회색빛 아파트는 서울숲1/2차푸르지오아파트이다. 4. 한강공원 금호나들목 주변 (오른쪽에 보이는 고가도로는 강변북로) 5. 무쇠막 금호스포츠센터 남쪽에는 무쇠막 표석과 안내문이 있다. 무쇠막은 금호동의 옛 이름으로 이곳에는 조선 때 주철을 녹여 무쇠솥과 농기구 등..

1. 개나리의 노란 향연 속으로 (응봉산 서쪽 능선)응봉산(95m)은 서울 장안에 대표적인 개나리 명소이다. 산 전체가 개나리동산으로 천하에서 이곳만큼 개나리로 95% 이상 도배된 곳은 거의 없다. 2. 응봉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응봉산 서쪽 능선길 3. 개나리의 격한 환대를 받으며 (응봉산 서쪽 능선길) 4. 개나리 속을 지나는 응봉산 서쪽 능선길응봉산 개나리동산에는 진달래와 벚꽃, 목련도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허나 그들은 개나리를 보조하는 역할에 불과하며, 개체수도 그리 많지 않다. 5. 응봉산 정상 서쪽 직전 6. 응봉산 정상 서쪽 밑에서 바라본 응봉산 서쪽 능선과 한강한강에 다리를 담군 동호대교와 한남대교를 비롯해 강남구와 서초구, 동작구, 우면산, 관악산, 멀리 호암산까지 흔쾌히 시..

~~~ 함양 화림동계곡 (농월정, 동호정) ~~~ ▲ 함양 농월정 겨울 제국(帝國)의 차디찬 한복판인 1월의 끝 무렵, 일행들과 사흘 일정으로따뜻한 남쪽으로 피신을 떠났다.겨울 제국의 핍박을 피해 이틀 동안 충남, 전북, 전남 동부, 경남 서부의 여러 지역을 둘러보고 사흗날 오전에 아쉬운 마음을 애써 삼키며 나의 제자리로 길을 재촉했다. 허나 그냥 가기에는 99% 허전하여 마지막 메뉴를 물색하다가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한 화림동계곡식구들이 격하게 당겨 그들을 잡으러 잠시 함양(咸陽) 속으로 들어갔다.(본글은 화림동계곡의 농월정과 동호정만 다루며, 나머지는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음) ♠ ..

' 서천 한산면 겨울 나들이 ' ▲ 건지산에서 바라본 천하 (한산, 부여 양화 지역) 천하 만물에게 온갖 희망고문을 주었던 새해가 묵은 해로 전락되면서 새로운 해가 다시금 꿈틀거린다. 이제 그 명줄이 얼마 남지 않은 묵은해의 마지막 답사지를 물색했는데, 올해 는 충남 지역 방문이 뜸했고, 충남의 서남쪽 끝을 잡고 있는 서천군(舒川郡) 지역은 아직 까지 변변한 인연 조차 없어서 그곳을 이번 메뉴로 정했다. 서천군에는 많은 명소가 있으나 그중 옛 볼거리가 많은 ..

1.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남쪽 방향)개나리의 노란 물결 너머로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강남구, 대모산, 그리고 차량들로 늘 버벅거리는 용비교와 두모교, 강변북로가 두 망막에 들어온다. 응봉산은 개나리 명소로도 무지하게 유명하지만 도심과 한강 조망, 야경 조망 명소로도 크게 두각을 보이고 있다. 2.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한강과 중랑천, 두모교, 강변북로, 동호대교, 한남대교, 옥수동, 금호동, 강남구, 서초구, 우면산, 관악산, 동작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3. 응봉산 서쪽 능선길 (서쪽 방향) 4. 응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성수동, 강남구 지역 5. 응봉산 정상, 응봉산정응봉산 정상(해발 95m)에 있는 응봉산정은 8각형 2층 ..

1. 응봉산 정상 동쪽 밑에서 바라본 경의중앙선과 중랑천, 서울숲개나리 물결 밑으로 경의중앙선 철로가 지나간다. 여기서 경의중앙선과 중랑천까지는 해발 고도가 80m 이상차이가 나는데, 마침 경의중앙선 전철(문산~용산~덕소~용문,지평)이 굉음을 울리며 산 밑을 지나간다. 저 철로는 경의중앙선 전철 외에 경춘선 ITX청춘열차, 강릉선 고속열차(강릉, 동해행), 중앙선 고속열차(안동행), 온갖 화물열차들이 이용해 선로용량이 그리 녹녹치가 못하다.열차 지연의 대명사이자 시간 왜곡의 대명사로 악명이 드높은 경의중앙선 전철을 증차시키지 못하는 이유도 바로 그런 것 때문이다. 2. 개나리로 가득한 응봉산 남쪽 벼랑벼랑 너머로 중랑천과 한강, 강남구, 서초구, 옥수동, 금호동, 그리고 차량들로 자주 버벅거리는 강변북로..

1. 봉래산을 오르다 (복천사에서 올라가는 산길)봉래산은 영도(영도구)의 대표 지붕으로 키는 396m이다. 영도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큰 뫼로 봉황이 날아들 정도로 잘생긴 뫼라 해서 봉래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중원대륙 전설에 나오는 삼신산의 하나로 불로초가 유명하다는 봉래산을 이곳이라 내세우는 의견도 있다. 그 봉래산은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는데, 신선이 살며,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곳 영도 봉래산은 바다 가운데에 전혀 있지도 않으며 불로초, 불사약도 전혀 없다. 하여 봉황이 찾아오는 뫼 봉래산과 불로초로 유명한 봉래산이 한자만 다를 뿐, 이름이 같으니 슬쩍 불로초 봉래산으로 이름을 바꾼듯 싶다. 봉래산 정상을 조봉(할아버지 봉우리), 그 다음 봉우리를 자봉(아들 봉우리), 그..

' 금천구의 대표 지붕, 호암산 나들이 '(호암늘솔길, 호암산 잣나무산림욕장, 탑골3층석탑) ▲ 호암산 호암늘솔길 ▲ 호암산 잣나무산림욕장 ▲ 시흥동 탑골3층석탑 호암산(虎巖山)은 금천구(衿川區)의 대표 지붕으로 키는 393m이다. 산세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해서 호암산이란 근사한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풍수지리적으로 활활타오르는 모습의 관악산(冠岳山)과 더불어 서울을 위협하는 뫼로 오랫동안 인식되었다. 하여조선 조정에서는 그들의 기운..

1.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영도 동부 지역(청학동, 동삼동)과 부산북항(부산항), 한국해양대와 조도, 바다 너머로 남구 지역과 감만부두, 신선대, 이기대, 오륙도 등이 두 망막에 가득 들어온다. 2.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영도 동부 지역(청학동, 동삼동)과 부산북항, 신선대, 감만부두, 오륙도, 한국해양대와 조도 등 3.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북쪽 방향)영도 청학동과 봉래동 지역, 부산항(부산북항), 부산항대교, 동구, 부산진구, 남구, 감만부두, 수영구 지역 등 4. 봉래산 정상부에 닦여진 나무데크길봉래산 정상에서 봉래산불로초공원으로 지그재그 이어지는 나무데크 길이다. 뱀처럼 구불구불의 극치를 보이지만 경사가 완만해 오르기는 쉽다. 5...

1. 봉래산 자봉~손봉 능선길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봉래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조봉(396m), 그 다음이 자봉(387m)이다. 자봉~손봉 능선길은 동/서가 확트여 있어 일품 조망을 자랑하는데, 동쪽으로 청학동과 동삼동 지역, 한국해양대, 조도, 부산북항, 신선대, 오륙도, 남구 지역이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2. 봉래산 자봉~손봉 능선길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부산남항 남쪽 바다와 서구, 사하구, 암남공원, 다대포, 낙동강 하류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봉래산 손봉손봉(손자 봉우리)은 봉래산의 3번째 봉우리로 키는 361m이다. 정상부에 바위가 많고 특히 돌로 넓게 닦여진 부분이 있어 오래된 제단이나 성곽 유적 같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안겨준다. 4. 나무 그늘에 있는 손봉 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