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71)
    • 여행, 답사 정보 (5)
    • 역사 정보 (3)
    • 교통, 지리 정보 (3)
    • 나의 추천도서 (7)
    • 본인 제작 여행 답사기 모음집 (1)
    • 서울권 사진,답사기 (346)
      • 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84)
      • 부암동,백사골 (30)
      • 성북동 (25)
      • 북한산(서울 구역) (41)
    • 경기도 사진,답사기 (77)
    • 인천권 사진,답사기 (34)
      • 강화도 (27)
    • 강원도 사진,답사기 (46)
      • 강원 동해바다 (7)
    • 충북권 사진,답사기 (26)
      • 단양 (0)
    • 충남권 사진,답사기 (29)
    • 세종시 사진,답사기 (1)
    • 대전권 사진,답사기 (9)
    • 전북권 사진,답사기 (28)
      • 전주,완주 (7)
    • 전남권 사진,답사기 (35)
    • 광주권 사진,답사기 (6)
    • 경북권 사진,답사기 (47)
      • 서라벌 경주 (16)
    • 대구권 사진,답사기 (13)
    • 부산권 사진,답사기 (47)
      • 부산 해안 지역 (18)
    • 경남권 사진,답사기 (45)
      • 경남 남해바다 (3)
    • 울산권 사진,답사기 (8)
    • 제주도 사진,답사기 (17)
    • 산동반도 사진,답사기 (1)
    • 좋은글,문학,예술 (5)
    • 아름다운 자연 (2)
    • 재밌는 것들 (4)
    • 노래, 음악 (14)
    • 드라마 다시보기 (8)
    • 임시보관함 (0)
  • 방명록

서울추천명소 (253)
북악산1번출입문 코스와 북악산2번출입문 코스, 청운대 코스 <구 경계초소, 청운대안내소>

1. 북악산1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구간 숲길 (북악산1번출입문 코스)북악산1번출입문은 북악산(백악산) 주능선 및 중심부로 인도하는 관문의 하나이다. 부암동 백석동길에서 북악산길(북악스카이웨이) 밑도리를 지나면 견고하게 생긴 철책 모습의 북악산1번출입문이 마중을 하는데, 그 문을 들어서 500m 오르면 청운대안내소(북악산3번출입문)가 마중을 한다. 여기서 청운대안내소를 통해 북악산 주능선(한양도성)으로 들어서면 된다. 북악산1번출입문 코스와 2번출입문 코스(220m)는 청운대안내소에서 모두 만나며 1번과 2번출입문 코스 자체로는 북악산 주능선으로 올라갈 수 없다. 이들 출입문과 청운대안내소는 부분 개방된 상태로 여름에는 7~19시(17시까지 입장), 봄과 가을에는 7~18시(16시까지 입장), 겨울에는 9..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8. 02:00
동대문구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뫼이자 도심의 상큼한 뒷동산, 배봉산 나들이 <휘경원터, 배봉산보루, 배봉산둘레길, 배봉산근린공원>

' 서울 도심의 상큼한 뒷동산, 동대문구 배봉산 ' ▲&nbsp; 배봉산 정상(배봉산보루) ▲&nbsp; 배봉산둘레길 ▲&nbsp; 배봉산 북쪽 능선길   배봉산(拜峰..

서울권 사진,답사기 2024. 9. 16. 10:00
북악산 한양도성 청운대쉼터~청운대 구간 (한양도성 성곽길, 성곽 바깥길)

1. 북악산 한양도성 (청운대 서쪽 구간 바깥길)북악산길에 있는 청운대안내소에서 10분 정도 각박한 오르막길을 오르면 북악산(백악산) 한양도성이 흐르는 북악산 주능선에 이른다. 여기서 성곽 안쪽으로 들어가면 북악산 한양도성길로 성곽 바깥에서 청운대까지 성곽 바깥길이 마치 휴전선이나 국경선 같은 예민한 모습으로 펼쳐져 있다. 2. 북악산 한양도성 (청운대 서쪽 구간 바깥길, 청운대쉼터와 곡장 방향)서울 도심의 오랜 갑주인 한양도성은 조선 태조 시절인 1396년에 닦여졌다. 도성의 길이는 18.6km, 성곽 높이 5~8m로 성곽 축조의 달인이었던 고구려(고구리)의 성곽만은 못하다.세종 때 현재 모습으로 크게 업그레이드 되었고, 이후 숙종, 순조 시절에 보수를 거쳤는데, 왜정 때 도시 개발을 이유로 서대문(돈..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4. 12:00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 북악산(백악산) 정상부 백악마루

1. 성곽 여장에 새겨진 글씨들 (각자성석)한양도성 성곽 여장에 '가경구년 갑자 십월 일 패장 오재민 감관 이동한 편수 용성휘'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렇게 글씨를 머금은 성돌을 어려운 말로 '각자성석'이라고 하는데, 1804년 10월 오재민이 공사를 진행했고, 공사 감독은 이동한이 했으며, 전문 석수 용성휘가 참여해 성벽을 수리했다는 내용이다.서울 도심의 오랜 갑주인 한양도성에는 이런 각자성석이 280개 이상 전하고 있어 성곽 중수 관련 정보(성곽 축성 구간 구분, 축성을 담당한 지역과 관리, 석수 등)를 소상히 알려주고 있다.  2. 북악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한양도성길 (백악마루 입구 동쪽 구간) 3. 백악마루 입구 한양도성에서 바라본 천하 (서북쪽 방향)인왕산 북쪽 산주름과 북한산(삼각산)의 서남쪽..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4. 02:00
북악산 한양도성 1.21사태소나무~촛대바위~숙정문 구간

1. 북악산 1.21사태 소나무북악산(백악산) 주능선 한양도성길의 백악마루입구~청운대 구간에 1.21사태 소나무란 간판을 지닌 소나무가 있다.이 소나무는 1968년 1월 21일에 발생했던 그 악명 높은 1.21사태와 관련된 나무로 북한 124군부대 소속의 31명 무장공비 패거리가 자하문고개를 넘어 청와대 직전인 청운동까지 기들어왔다. 그곳에서 우리 군과 경찰의 공격을 받아 인왕산과 북악산으로 도망쳤는데, 그것들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이곳에서 격전이 벌어졌고, 그때 이 소나무에 15발의 총탄 흔적이 무심히 남게 되었다. 그 연유로 1.21사태 소나무란 우울한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면에 있는 북한군묘지에 묻혀있음>북악산에는 이곳 외에도 북악하늘길 김신조루트에 그 시절 총탄 흔적이 서린 호경암 바위가 있어 이..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2. 09:00
북악산 주능선에 깃든 한양도성의 북문, 숙정문 (한양도성 숙정문~말바위안내소 구간)

1. 북악산 한양도성 숙정문숙정문은 한양도성의 북문으로 남대문(숭례문), 동대문(흥인지문), 서대문(돈의문)과 함께 도성 4대문의 일원이다. 하여 북문, 북대문이라 불리기도 했으나 가파른 산능선에 자리해 있고 규모가 작아서 도성의 대문이라기 보다 산성의 조촐한 성문 분위기가 진하다. 성문 이름인 숙정(肅靖)은 엄숙히 다스린다는 뜻으로 원래 이름은 가운데 1자만 다른 숙청문(肅淸門)이었다. 1396년 지금보다 약간 서쪽에 지어졌는데, 1413년 풍수학자인 최양선이 태종에게 창의문과 숙정문은 경복궁의 양팔과 같아 길을 내어 지맥을 상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건의하여 이들 문을 닫아 걸고 소나무를 잔뜩심어 통행을 금지시켰다.게다가 숙정문을 품은 북악산 주능선은 도성 내부가 훤히 바라보이는 예민한 위치라 서울을 지..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2. 03:55
북촌 중앙고등학교, 창덕궁 신선원전 구역, 창덕궁 후원 뒷길 겨울 나들이 <중앙고등학교 본관, 노백린집터, 창덕궁 후원돌담길, 옥류정>

' 북촌 중앙고등학교, 창덕궁 후원 뒷길 겨울 나들이 ' ▲&nbsp; 창덕궁 신선원전, 의효전 구역 ▲&nbsp; 중앙고등학교 (본관 주변) ▲&nbsp; 창덕궁 후원 돌담   겨울의 차디찬 한복판인 1월의 끝 무렵, 북촌(北村)에 자리한 중앙고등학교와 창덕궁 후원 뒷길을 찾았다. 북촌과 창덕궁 후원 뒷길은 내 즐겨찾기 명소로 매년 여러 번씩 발걸음을 하고 있다. 이미 지겹도록 복습을 한 곳이지만 자꾸만 손과 발이 가니 그들에게 단단히 중독된모양이다. 마침 며칠 전 겨울 제국(帝國)이 서울에 눈폭탄을 투하했는데 그들의 설경(..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11. 02:00
상계동 수락산을 찾아서, 노원골계곡~귀임봉능선 산길

1. 수락산 노원골(수락계곡) 입구 수락산은 해발 637m의 준수한 뫼로 서울 동북쪽 끝에 자리잡고 있다. 그의 그늘인 상계1동에 살던 시절 그의 품을 구석구석 누비고 살았는데, 바로 옆 동네인 도봉산 그늘(도봉동)로 넘어간 이후에는 많이 뜸해졌다. 그래도 1년에 2~3번 정도는 찾는 편으로 그의 품이 몸살 나게 그리워 간만에 수락산을 찾았다.이번 수락산 나들이는 상계1동 노원골에서 시작했는데, 여기서 수락산보루와 귀임봉, 용굴암을 거쳐 당고개역(4호선)으로 내려갔다. 마음 같아서는 수락산 정상도 오랜만에 찍고 싶었지만 오후 2시에 출발한 터라 그럴 여유는 없었다. (도봉동 집에서 노원골 수락계곡까지 도보로 접근) 2. 늦가을 끝 무렵에 잠긴 노원골(수락계곡)노원골(수락계곡)은 북쪽 산너머의 벽운동계곡(..

서울권 사진,답사기 2024. 9. 10. 02:00
북악산(백악산) 말바위안내소~말바위 밑 계곡~삼청공원(말바위등산로입구) 숲길

1. 말바위안내소~삼청공원 숲길북악산(백악산) 주능선 한양도성의 동쪽 관문인 말바위안내소를 지나 말바위 방향(동쪽)으로 조금 가면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서 성곽길을 따라 직진하면 말바위와 삼청공원, 성북동으로 이어지고, 오른쪽(남쪽) 숲길은 삼청공원으로 빠지는데, 이들 길은 말바위 남쪽 산자락에서 다시 만나 삼청공원으로 이어진다.남쪽 숲길이 말바위 경유 성곽길보다 삼청공원으로 약간 빨리 가는 길이나 크게 차이는 안나며, 수목으로 울창한 북악산 동남쪽 자락을 가로지르는 길로 숲내음이 꽤 진하다. 2. 각박한 경사를 내려가는 숲길말바위안내소~삼청공원 숲길은 원래 없던 길이다. 그러다가 삼청공원~말바위, 한양도성을 잇는 탐방로가 닦이면서 새로 개발되었는데, 시작 부분에서 쑥 내려가다가 작은 계곡을 지나서 쑥 ..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9. 9. 19:00
고구려가 수락산에 찍어놓은 작은 점, 상계동 수락산보루

1. 수락산보루 (보루 북쪽 부분)수락산의 서남쪽 끝자락 봉우리에 수락산보루가 깃들여져 있다. 이곳은 귀임봉 서남쪽이자 노원골(수락계곡) 남쪽 봉우리로 출토 유물과 축성 방법 등을 통해 고구려가 닦은 보루로 보고 있다. 고구려(고구리)가 5세기에 해양대국 백제를 한강 남쪽으로 밀어내고 한강 이북 아차산 산줄기에 보루를 주렁주렁 달았는데, 그때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는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 홍련봉, 시루봉 등 아차산 산줄기에 보루를 많이 달았으며, 그 북쪽으로 봉화산, 수락산, 사패산, 천보산, 불곡산 등에도 보루를 달았다. 중랑구의 북쪽 지붕인 봉화산은 옛날에 아차산의 일원으로 있었는데,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 홍련봉, 시루봉 보루들은 아차산일대 보루군이란 이름으로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

서울권 사진,답사기 2024. 9. 9. 09:00
이전 1 2 3 4 5 6 7 8 ··· 26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경북추천명소
  • 충북추천명소
  • 겨울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인왕산
  • 추천공원
  • 봄추천명소
  • 추천맛집
  • 추천바다
  • 수도권추천명소
  • 강원도추천명소
  • 부산추천명소
  • 추천둘레길
  • 추천사찰
  • 추천섬
  • 추천계곡
  • 가을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추천숲길
  • 여름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서울추천명소
  • 추천축제
  • 제주도추천명소
  • 대웅전
  • 북악산
  • 추천폭포
  • 한양도성
  • 추천산
  • 추천산사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