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72) N
    • 여행, 답사 정보 (5)
    • 역사 정보 (3)
    • 교통, 지리 정보 (3)
    • 나의 추천도서 (7)
    • 본인 제작 여행 답사기 모음집 (1)
    • 서울권 사진,답사기 (346)
      • 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84)
      • 부암동,백사골 (30)
      • 성북동 (25)
      • 북한산(서울 구역) (41)
    • 경기도 사진,답사기 (77)
    • 인천권 사진,답사기 (34)
      • 강화도 (27)
    • 강원도 사진,답사기 (46)
      • 강원 동해바다 (7)
    • 충북권 사진,답사기 (26)
      • 단양 (0)
    • 충남권 사진,답사기 (29)
    • 세종시 사진,답사기 (1)
    • 대전권 사진,답사기 (9)
    • 전북권 사진,답사기 (28)
      • 전주,완주 (7)
    • 전남권 사진,답사기 (35)
    • 광주권 사진,답사기 (6)
    • 경북권 사진,답사기 (47)
      • 서라벌 경주 (16)
    • 대구권 사진,답사기 (14) N
    • 부산권 사진,답사기 (47)
      • 부산 해안 지역 (18)
    • 경남권 사진,답사기 (45)
      • 경남 남해바다 (3)
    • 울산권 사진,답사기 (8)
    • 제주도 사진,답사기 (17)
    • 산동반도 사진,답사기 (1)
    • 좋은글,문학,예술 (5)
    • 아름다운 자연 (2)
    • 재밌는 것들 (4)
    • 노래, 음악 (14)
    • 드라마 다시보기 (8)
    • 임시보관함 (0)
  • 방명록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84)
서울 도심에 숨겨진 달달한 숲길, 인왕산둘레길 <택견수련터, 감투바위, 수성동계곡, 이빨바위, 청운공원, 백운동천, 백운동계곡>

' 인왕산둘레길늦가을 나들이 ' ▲  늦가을에 잠긴 인왕산둘레길 ▲  가온다리 ▲  백운동천 바위글씨   늦가을이 하늘 아래 세상을 아름답게 물들이던 11월 첫 무렵, 서울 도심의 상큼한 숲길 로 추앙을 받는 인왕산둘레길을 찾았다. 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仁王山) 허리에 닦여진 8.4km의 둘레길로 인왕산은 물론 인왕산 둘레길까지 내 즐겨찾기 명소로 흔쾌히 등록되어 있다. 하여 매년 20번 넘게 그들을 찾 아가 나의 마음을 끊임없이 비춘다. 이..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5. 3. 28. 01:51
북악산과 인왕산 그늘에 깃든 서울 도심의 꿀명소, 서촌 나들이 <통의동백송터, 궁정동 무궁화동산, 경복고교, 선희궁터, 필운동 홍건익가옥>

~~~ 서울 도심의 꿀단지, 서촌(웃대) 나들이 ~~~ ▲  무궁화동산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 ▲  필운동 홍건익가옥 ▲  선희궁터 사우   보름달이 동그란 자태를 보이며 천하의 밤을 비추던 한가위(추석) 연휴에 나의 즐겨찾기의 일원인 서촌(西村, 웃대)을 찾았다.서촌은 북촌(北村)과 부암동(付岩洞), 성북동(城北洞), 호암산(虎巖山), 북한산(삼각산)등에 고루고루 분산된 나의 마음을적지 않게 흔들어 놓은 곳으로 무수히 발걸음을 했음에도 돌아서면 또 가고 싶다.이번 ..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5. 2. 5. 01:22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대표 성지, 정동~덕수궁돌담길 나들이 <정동 회화나무, 이화여고 심슨기념관, 구 러시아공사관, 정동교회, 배재학당 동관>

'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1번지,정동 나들이 ' ▲&nbsp; 덕수궁 돌담길 (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앞길)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 그 도심 한복판에 정동(貞洞)이란 고즈넉한 동 네가 뉘어져 있다. 정동은 서울 도심의 주요 명소이자 서울 근대문화유산의 대표 성지(聖地)로 덕수궁 돌담 길과 정동길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데, 꽤 번잡한 서울 도심의 한복판이지만 나무를 머 금은 공간이 많아서 오히려 아늑함이 느껴질 정도이다. 게다가 조선부터 현대까지 600년 이상의 장대한 시간이 녹아든 현장으로 역사, 문화의 향기도 정말 그윽..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1. 17. 00:30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성지, 정동 나들이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경운궁 양이재, 덕수궁돌담길, 영성문고개>

' 서울 근대문화유산의 1번지, 정동 나들이 ' ▲&nbsp; 성공회서울성당 ▲&nbsp; 구세군중앙회관 ▲&nbsp; 덕수궁 돌담길 (영성문고개)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 그 도심 한복판에 근대문화유산의 성지(聖地) 로 격하게 추앙을 받는 정동(貞洞)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현재 성북구 정릉동(貞陵洞) 골짜기에 있는 정릉(貞陵,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7. 00:34
한양도성 4소문 중 유일하게 옛 모습을 간직한 늙은 성문, 창의문(자하문) <청계천 발원지 표석>

1. 창의문(자하문)의 안쪽 모습북악산(백악산)과 인왕산 사이 자하문고개에 자리한 창의문(자하문)은 한양도성 4소문의 일원이다. 여기서 4소문이란 동소문(혜화문), 남소문(광희문), 서소문(소의문), 창의문으로 다른 3소문과 달리 창의문은 북소문이라 불린 적이 거의 없다. 창의문은 1396년 한양도성을 닦으면서 조성된 것으로 문의 이름인 창의는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는 뜻이다. 또한 별칭인 자하문은 성밖 부암동 계곡에서 비롯되었다.1413년 풍수학자 최양선이 '창의문과 숙정문은 경복궁의 양팔과 같아서 길을 내어 지맥을 상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건의하여 1416년 문을 닫아걸었다. 다만 1422년 군인들의 통로로 사용되었고, 1617년 창덕궁을 보수할 때 이 문을 통해 석재를 운반했다. 또한 문 바..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3. 02:30
인왕산 중턱에 깃든 천하 최초의 한옥 공공도서관, 청운문학도서관 (청운공원)

1. 청운공원에서 만난 붉은 단풍서촌(웃대)의 북쪽 끝이자 인왕산 중턱에 넓게 자리한 청운공원은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공원이다.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란 새로운 꿀단지를 북쪽에 달고 있는 이곳은 인왕산 동쪽 자락으로 청운동 주택가와도 약간 거리를 둔 자연 지대이다. 인왕산길이 공원의 북쪽과 서쪽을 지나며, 공원을 가로지르는 골목길(자하문로35길)은 윤동주문학관에서 공원을 지나 청운동 주택가를 거쳐 자하문로로 내려간다. 청운공원은 인왕산 품에 조성된 평범한 시민공원으로 산자락에 조성된 것 외에는 딱히 볼거리는 없었다. 그러다가 2007년 인왕산 돌을 모아 일종의 돌아파트를 지었고, 2009년 이후 공원 북쪽에 윤동주시인의 언덕과 윤동주문학관이 닦였으며, 2014년에 이 땅 최초의 한옥 공공도서관..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2. 23:30
인왕산둘레길 청운공원~이빨바위~가온다리 구간

1. 인왕산둘레길 청운공원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상큼한 숲길이다. 원래는 인왕산자락길2코스였으나 인왕산둘레길이 모두 개통되면서 인왕산둘레길로 간판을 바꾸었으며, 인왕산길 옆 도보길인 인왕산자락길1코스가인왕산자락길이란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다.이번 인왕산둘레길 나들이는 청운공원에서 시작하여 수성동계곡을 거쳐 택견수련터까지 이동했다. (소요시간은 1시간 정도) 2. 늦가을 향연이 한참인 청운공원단풍나무와 온갖 나무들이 처절하게 아름다움을 불사르며 늦가을의 향연을 펼친다. 늦가을 풍경은 봄풍경만큼이나 참기가 힘들다. 3. 붉게 타오른 단풍나무들올해의 마지막 앞에서 처절한 아름다움을 보이는 단풍나무들. 저들의 향연도 정말 잠깐이다. 며칠 뒤에 와보니 단풍잎은 거진 떨어졌고, 누렇게 ..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2. 02:27
인왕산둘레길 가온다리~은행나무숲길 구간

1. 인왕산둘레길 가온다리이빨바위에서 남쪽으로 몇 굽이 가면 서울에 거의 유일한 흔들다리인 가온다리가 모습을 비춘다. 깊은 협곡 위에 걸쳐진 다리로 한 걸음 옮길 때마다 다리가 조금씩 흔들리는데, 다리 밑에 흐르는 계곡은 서촌(웃대)의 이름난 명소였던 청풍계로 여겨진다. 2. 호랑이 형상이 설치된 가온다리 북쪽 쉼터천하에서 가장 무서운 호랑이로 위엄이 쩔었던 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 호랑이, 그들은 전설처럼 모두 사라지고 그들의 아주 먼 친척뻘인 고양이가 가끔씩 주변에 어슬렁거린다. 3. 가온다리 북쪽 부분다리 길이는 50m 내외로 짧지만 걸을 때마다 조금씩 흔들린다. 원래 길이 없던 곳이나 인왕산자락길2코스(현재 인왕산둘레길)를 닦으면서 각박한 벼랑에 나무데크길과 다리를 놓았고 조금 평평한 곳은 산자락..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1. 13:00
인왕산둘레길 옥인동 생물서식공간~해맞이동산~수성동계곡 직전 구간

1. 옥인동 생물서식공간 북쪽 체육공원 (인왕산둘레길)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를 1바퀴 도는 8.4km의 긴 도보길이다. 이번에 거닌 구간은 청운공원~택견수련터 구간으로 인왕산길(인왕산자락길)과 서촌(웃대) 주택가 사이를 지나간다. 2. 늦가을 감성을 크게 돋구는 옥인동 생물서식공간 북쪽 체육공원땅바닥에는 귀를 접고 누운 낙엽과 은행잎들로 가득해 차디찬 겨울이 코앞에 이르렀음을 실감나게 한다.  3. 서쪽에서 바라본 옥인동 생물서식공간 북쪽 체육공원  4. 늦가을 속을 굽이굽이 흘러가는 인왕산자락길 (옥인동 생물서식공간 북쪽 구간) 5. 작은 연못으로 살아가고 있는 옥인동 생물서식공간이곳은 원래 약수터였다. 그때는 사진에 보이는 거북 모양의 돌이 인왕산이 빚은 물을 열심히 내뿜고 있었다. (여기서 물을..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11. 08:00
인왕산 수성동계곡 (인왕산둘레길, 수성동계곡 사모정)

1. 수성동계곡 상류 (석굴암에서 내려온 계곡)인왕산 해맞이동산에서 인왕산둘레길을 따라 남쪽으로 10분 정도 가면 수성동계곡 상류에 이른다. 여기서 길은 2갈래로 갈라지는데, 윗쪽 계단길을 오르면 인왕산길과 석굴암으로 이어지며, 아랫쪽 길은 수성동계곡 중심부이다. 인왕산둘레길은 여기서 아랫쪽 길로 가다가 남쪽으로 빠져 인왕산길 방향으로 흘러간다. 2. 수성동계곡 상류 (석굴암에서 내려온 계곡)수성동계곡은 인왕산이 베푼 계곡 중 가장 명성이 높은 곳으로 청계천 발원지의 일원이다. 인공 조미료가 다소 들어간 계곡 중심부와 달리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비록 계곡은 작지만 청정한 물이 돌과 바위를 거치면서 계곡 중심부로 흘러간다. 이곳에서는 서울시 보호종인 가재, 개구리, 버들치 가족이 살고 있으..

서울권 사진,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2024. 10. 9. 17:30
이전 1 2 3 4 ··· 9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강원도추천명소
  • 추천맛집
  • 추천산
  • 추천둘레길
  • 추천폭포
  • 봄추천명소
  • 대웅전
  • 추천축제
  • 추천계곡
  • 추천섬
  • 추천공원
  • 전남추천명소
  • 부산추천명소
  • 경북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사찰
  • 추천산사
  • 추천바다
  • 서울추천명소
  • 가을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한양도성
  • 수도권추천명소
  • 북악산
  • 충북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겨울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 추천숲길
  • 인왕산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