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대표 성지, 정동~덕수궁돌담길 나들이 <정동 회화나무, 이화여고 심슨기념관, 구 러시아공사관, 정동교회, 배재학당 동관>
도봉산 고양이 2024. 11. 17. 00:30
'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1번지,
정동 나들이 '
▲ 덕수궁 돌담길 (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앞길)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 그 도심 한복판에
정동(貞洞)이란 고즈넉한 동 |
♠ 정동 회화나무, 심슨기념관(이화박물관), 유관순 우물 |
|
늦가을이 익어가던
11월의 첫 무렵, 오랫만에 정동을 찾았다. 이번에는 정동4거리(5호선 서대 |
|
|
|
|
|
![]() |
![]() |
▲ 이화여고 뜨락에 세워진
'한국여성 |
▲ 이화학당을 세운 스크랜톤 여사의 |
|
|
|
|
이화학당하면 유관순(柳寬順) 누님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1916년 이화학당 보통과에 입학했 |
|
![]() |
◀
유관순우물과 은행나무 |
|
|
|
|
|
|
이화학당 부근에는 이 땅 최초의 서구식 호텔인 손탁호텔(Sontag Hotel)이
있었다. 이 호텔은 |
♠
구 러시아공사관터, 정동교회 |
|
|
|
|
|
우리가 보잘것없는 이 하얀 탑에 주목을 해야 되는 이유는 바로 1896년에 일어났던 아관파천 |
|
|
|
▲ 옆(서쪽)에서 바라본 전망탑 |
▲ 러시아공사관터 북쪽 부분 |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 얹혀사는 동안 어전회의는 무도실에서 했으며, 대신들은 공사관 대회 |
|
|
|
|
|
|
|
이화학당 교문에서 덕수궁 방면으로 3분 정도 가면 고색이 창연한 붉은 피부의 교회가 마중을 |
|
|
|
▲ 남쪽에서 바라본 정동교회 |
▲ 정동교회의 뒷모습 |
1900년 대한제국 정부는 정동교회를 경운궁에 집어넣고자 매입대금 34,000원 가운데 계약금
1 |
|
|
|
정동교회는 다갈색 벽돌로 지어진 것으로 곳곳에 아치형 창문을 두어 고딕 양식의 단순화된 |
♠ 배재학당 동관(培材學堂 東館) - 서울 지방기념물 16호 |
정동교회에서 서소문 쪽으로 넘어가면
고개 정상부(서울시립미술관 서쪽)에 붉은 피부로 이루 |
|
동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교실로 주로 이용되었다. 정면 현관과 양 측면 출입구의 |
|
배재학당 향나무는 약
580년 숙성된 나무로 앞서 정동 회화나무보다 10년 정도 늙었다. <1972 |
|
|
|
배재학당 동관과
러시아대사관 사이에는 배재공원이 달달하게 자리해 있다. 이곳은 옛 배재학 |
|
정동교회 앞 분수대 교차로에서 박석이 입혀진 숲길을 오르면 그 길의 끝에 옛 대법원(大法院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10월 2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권 사진,답사기 > 서울 도심(북촌, 서촌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도심에 숨겨진 달달한 숲길, 인왕산둘레길 <택견수련터, 감투바위, 수성동계곡, 이빨바위, 청운공원, 백운동천, 백운동계곡> (1) | 2025.03.28 |
---|---|
북악산과 인왕산 그늘에 깃든 서울 도심의 꿀명소, 서촌 나들이 <통의동백송터, 궁정동 무궁화동산, 경복고교, 선희궁터, 필운동 홍건익가옥> (0) | 2025.02.05 |
서울 도심 근대문화유산의 성지, 정동 나들이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경운궁 양이재, 덕수궁돌담길, 영성문고개> (0) | 2024.10.17 |
한양도성 4소문 중 유일하게 옛 모습을 간직한 늙은 성문, 창의문(자하문) <청계천 발원지 표석> (0) | 2024.10.13 |
인왕산 중턱에 깃든 천하 최초의 한옥 공공도서관, 청운문학도서관 (청운공원) (0) | 202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