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동해바다 해변에 자리한 관음성지 사찰, 양양 휴휴암 <휴휴암 너럭바위, 발가락바위, 발바닥바위, 인구해변>
도봉산 고양이 2024. 11. 29. 04:38
~~~~~
양양 휴휴암 ~~~~~
▲ 휴휴암 너럭바위와 동해바다
봄이 막바지에 이르던 5월의 첫 무렵, 푸르른 동해바다를 보러 강원도
양양(襄陽) 땅을 |
|
♠ 동해바닷가에 자리한 관음성지 현대사찰, 양양 휴휴암(休休庵) |
|
휴휴암 입구에서 야트막한 고개를 넘으면 주차장과 휴휴암의 정문인 불이문이 나온다. 불이문 |
|
|
|
묘적전 옆구리에는 맞배지붕을 지닌 굴법당이 있다. 정식 이름은 '화천수불보살세계(畵千手佛 |
|
|
|
![]() |
![]() |
▲ 그림 속을 거닐다. 벽화로 가득한 굴법당 내부 통로 |
|
굴법당 통로 벽과
천정에는 부처와 온갖 보살상(특히 관세음보살이 많음), 천왕(天王)들이 고 |
|
|
|
부처가 열반에 들면서
그의 몸에서 84,000과에 이르는 엄청난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 이 땅에 |
|
|
|
붉은 받침대에 깨알처럼 놓여진 것들이 바로 부처의 진신사리라고 한다. 예전에는 부처의 사 |
|
|
|
휴휴암의 법당(法堂)인 묘적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집이다. 1997년에 지어진 것 |
|
|
|
![]() |
![]() |
▲ 똥배 포대화상과 귀여운 동자상들 |
▲ 물을 뿜어내는 거북 석조(샘터) |
![]() |
◀ 비룡관음전(飛龍觀音殿) |
![]() |
◀ 해수관세음보살(海水觀世音菩薩) |
|
|
경내 동쪽 해안 벼랑에 자리를 닦은 지혜관세음보살상은 2006년에 홍법이 세웠다. 그가 신묘 |
|
![]() |
◀ 붉은 눈의 두꺼비와 거북상 |
![]() |
◀ 연꽃 석조와 인어상 |
|
|
지혜관세음보살상 앞에는 범종 등의 사물(四物)이 깃든 범종루가 자리해 있다. 정면 3칸, 측 |
|
|
♠ 휴휴암 너럭바위 연화법당 |
휴휴암 밑 앞바다에
너른 덩치를 지닌 너럭바위가 펼쳐져 있다. 바위가 넓게 펼쳐져 있어 너 |
|
휴휴암에 왔다면
다라니굴법당, 지혜관세음보살상도 좋지만 바닷가에 펼쳐진 너럭바위(연화법 |
|
이렇게 휴휴암을 1시간
가량 말끔히 둘러보고 바깥으로 나와 북쪽에 위치한 인구해변으로 이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4년 11월 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4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강원도 사진,답사기 > 강원 동해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산맥 산주름에 숨겨진 고즈넉한 산사, 삼척 영은사 <영은사 대웅보전, 팔상전> (2) | 2025.04.08 |
---|---|
강릉 동해바다 나들이 <등명낙가사, 등명약수, 등명사지5층석탑, 정동진역, 정동진해변> (0) | 2024.08.16 |
해돋이가 일품인 동해바다 제일의 경승지, 동해 추암 (촛대바위, 추암해수욕장, 북평5일장) (0) | 2014.08.04 |
※ 동해바다를 가슴에 품은 작은 절 ~ 동해 감추사(甘湫寺), 감추해변 (0) | 2007.02.23 |
산과 바다, 초원을 만나다 2 ~~ 강릉 경포대해수욕장, 등명낙가사, 묵호항 (0) | 2006.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