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구] 성산가야의 옛 도읍 ~ 경북 성주 (성산관, 성밖숲, 성산동 고분군)


' 경북 성주, 대구 역사기행 (2006년 3월 25일)'
'상편 ― 성산가야(星山伽倻)의 옛 도읍, 경북 성주(上)'

* 원본을 보고자 할 경우(따로 익스플로어 창으로 보고자 할 경우)여기를 클릭바랍니다.
* 사진을 올린 웹 사이트의 점검 및 기타 사유로 인해 간혹가다 사진이 안뜨거나 늦게 뜰 수 있습니다.


강추위를 앞세우며 천하를 꽁꽁 지배하던 겨울의 제국(帝國), 영원할 것 같던 그 제국도 이제 봄의 반격을
받아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한다. 해방군(봄)의 한반도 상륙으로 제국의 노예(?)로 살아왔던 자연의 만물들은
서서히 해방을 외치며 해방군(봄)을 반기고, 일찍 해방이 된 한반도 남부 지방은 벌써 자연 만물들이 기지개를
켜며 해방의 기쁨을 누린다.
그러나 중부지방은 아직까지는 제국의 위세가 강하여 해방군의 반격이 그리 시원스럽지는 못한 것 같다.
또한 제국의 재건을 꿈꾸는 겨울의 잔여 세력들이 이른바 꽃샘추위로 도처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바다 건너에선
누런 오랑캐의 무리들(황사)이 사해전술(沙海戰術)로 새까맣게 몰려와, 그들의 제국 건설을 꿈꾸나. 거의 3일
이상을 버티지 못하고 와해되어 버리니, 이른바 황사(黃沙)의 3일 천하..

그러나 대자연의 법칙을 누가 어길 수 있으리.. 3월 중순 이후 겨울의 제국은 봄의 해방군에 의해 거의 평정이
되어버리고.. 중부지방도 서서히 겨울로부터 해방이 되었다.

3월의 마지막 토요일인 3월 25일, 이 날은 모처럼 아무런 약속도 일정도 잡혀져 있지 않았다. 1월 중순 이후
주말과 일요일마다 계속 약속과 일이 생겨서, 멀리 나갈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이번에 이렇게 오랜 만에 장거리
답사를 떠나게 되었던 것..

이번 나들이에서는 작년 후반부터 열심히 구상만 하고 있었던 '왜관 ~ 성주 ~ 대구'코스를 이용했는데 특히
성주 땅은 아직까지도 나의 발길이 전혀 미치지 못한 미답지(未踏地)의 하나로. 두근거리는 마음을 진정시키며
그 곳의 문을 두드렸다.

3월 25일 아침 6시, 찬란한 여명(黎明)이 짙게 드리워 있던 어둠을 하나씩 하나씩 걷어낸다.
강남고속터미널에서 7시 20분에 구미로 가는 일반고속버스를 타고 근 3시간을 달려 구미(龜尾)에 도착.

구미터미널에 이르러 바로 왜관으로 내려가는 구미시내버스 11번(구미역 ~ 왜관읍)을 타고, 다시 40분을 달려,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길다는 낙동강(洛東江)을 건너니 바로 옆으로 우중충한 모습의 '왜관 인도교(人道橋)'가
나를 바라본다. 6.25전쟁 시절, 낙동강을 건너 대구로 진격하려던 북한군과 그들을 막으려는 한국군 사이에
처절했던 혈전이 벌어진 그 역사의 현장.. 그 전쟁의 참상을 말없이 보아왔던 그 다리.. 지금은 복원되어
전형적인 인도교로 쓰이고 있는데, 다음에 다시 이 곳을 찾는다면 저 다리를 꼭 건너 보고 싶다.

왜관읍내에 있는 왜관북부정류장에서 성주로 들어가는 칠곡좌석버스 250번을 타고 다시 낙동강을 건너 미지의
고을, 성주 땅으로 들어선다.
성주 고을의 중심지인 성주읍내에 이르니 시간은 어느덧 11시 40분, 버스에서 내리자 마자, 바로 성주군청
뒤쪽에 있는 성산관(星山館)을 찾았다.


♠ 성주읍내 둘러보기 ~ 성주 성산관(星山館) / 쌍충사적비(雙忠事蹟碑)

성주군청 뒤쪽정확히는 군청의 서쪽에는 성주가 낳은 독립지사,'심산 김창숙(心山 金昌淑)' 선생
을 기리는'심산기념관'이 있다. 그 기념관 뒤쪽으로 멋드러진 기와집 하나가 담장에빙 둘러쌓여 있는
데 그 집이 바로 옛 성주 고을의 행정, 치안, 사법을 담당했던 옛 성주관아의 부속건물인 성산관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657년(효종 8년) 성주목사(星州牧使) 최계훈(崔繼勳)이 세웠다.
그 이후 여러 차례의 보수로 원형을 많이 잃었던것을 1981년에 복원하였다.

안으로 들어서는 삼문(三門)은 철옹성 마냥 굳게잠겨져 있어안으로 들어갈 순 없다. 그래서 월담을 생
각했으나, 홍길동처럼 가뿐히 담장을 뛰어넘을 재간이 없어, 그냥 담장 밖에서 그를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해야했지..

옛날의 추억을 애써 간직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내려 앉은 옛 성주관아, 성산관, 어딘지 모르게 쓸쓸
해 보이는 그의 모습...
성주 관아중 유일하게 생존해 있는 것으로, 경북 지방유형문화재 143호로 지정되었다.


* 성주 성산관 찾아가기
~ 성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 10분, 성주군청 뒤쪽. ~


▲ 쌍충사적비(雙忠事蹟碑) ~~ 경북 지방유형문화재 61호

이렇게 담장 너머로 성산관을 둘러보고, 다시 서쪽으로 발걸음을 재촉한지 3분 만에, '쌍충사적비'라 불리는
조그마한 비각(碑閣)을 만났다.
이 비석은 임진왜란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제말(諸沫) 장군과 그의 조카인 제홍록(諸弘祿)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조선 정부에서 1792년(정조 16년)에 세운 것으로, 당시 이조판서(吏曹判書) 서유린(徐有隣)이 비문(碑文)을
짓고, 이병모(李秉模)가 글씨를 썼으며, 성주목사 조윤형(曹允亨)이 전서(篆書)를 썼다.

이 비석은 원래 성주초등학교에 있었으나, 운동장을 넓히면서 1940년 경, 지금의 자리로 이전된 것이며, 그들의
사적비는 이곳 외에도 경남 진주성(晉州城)에도 하나 더 세워져 있다.

쌍충비의 주인공인 제말(1543 ~ 1592)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홀연히 의병(義兵)을 일으켜 웅천(熊川, 진해),
김해(金海), 의령(宜寧) 등지에서 왜군과 싸워 승리를 거두었다.
조선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높이 치하하며 그에게 성주목사(牧使)를 제수했는데, 부임한지 채 얼마 되지 않아서
왜군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제말은 수백 명의 군사와 함께 열심히 싸웠으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결국 장렬히 전사하였다.

그로부터 약 200년이 지난, 정조 연간(年間)에 이르러 조선 정부는 그에게 병조판서(兵曹判書) 추증(追增)하고
'충장(忠壯)'이란 시호가 내렸으며, 1812(순조 12년)에 충의(忠毅)로 시호가 변경되었다.
제말 장군은 신장(身長)이 무려 8척(1척은 약 33cm)이나 되었다고 하는데, 덩치에 비해 매우 날렵하여 비장군
(飛將軍)이라 불렸으며, 왜군도 그의 모습을 보기가 무섭게 혼비백산 줄행랑을 쳤다고 한다.

제홍록(1558 ~ 1597)은 숙부(叔父) 제말을 따라 의병활동을 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웠는데, 1597년 왜군에게
포위된 진주성을 도우러 가다가 그만 중간에서 왜군의 공격을 받아 전사하였으며, 그 역시 정조 연간에 이르러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는 효심이 지극하여 임진왜란 때 항상 모친(母親)을 모시고 다녔는데, 왜군과 싸울 때는 모친을 산중에 숨겨
두고 싸웠다고 전한다.

▲ 비각에 걸려있는 현판(懸板)
조선 정부에서 제말, 제홍록 숙질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이 곳에 쌍충비를세우면서
내린 현판들..
윗 현판의 내용은 '贈兵曹判書行 星州牧使 忠壯諸公贈兵曹 ? 判宣武 諸義士叔姪 雙忠
事蹟碑銘 乾隆 六十年 ~'

아래 현판에는 제말, 제홍록 숙질의 생애와 활약상이 빼곡히 적혀 있다.

* 쌍충사적비 찾아가기
~ 성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 15분, 성주군청에서 도보 5분 ~


♠ 재앙을 막기 위해 조성된 오래된 동네 숲 - 성주 경산리 성밖숲 ~
천연기념물 403호

쌍충사적비를 둘러보고 서쪽으로 5분 정도 걸으면 '성밖숲' 표석이 세워진 4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강변
도로로 들어서면 노거수(老巨樹)로 가득한 커다란 공원을 만날 수 있는데, 이 곳이 바로 '성주 성밖숲'이다.

이 곳은 성주 읍성(邑城) 서문 밖에 조성된 오래된 숲
으로성 바깥에 있다고 하여 편하게 '성밖숲'이라 부
른다.
이 수림(樹林)은 16세기에 조성된 마을 숲으로. 그 당
시 서문 밖에 살던 어린이들이특별한 이유도 없이
죽어나가는 일이 발생하자, 마을 사람들은 지관(地管)
에게 그 대책을 문의하였다.
지관은
'마을 주변에있는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요. 이들이 서로 마주못보
게 그 중간에숲을 조성하면 재앙은 능히 막을 수있
을 것이오'
그런 연유로 조성된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밤나무를 가득 심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마을 분위기가 많이 우울해지자, 밤나무를 모두 뽑아
내고, 그 자리에 왕버들나무를 심었다.

현재 숲에는 300 ~ 500년 먹은 왕버들 59그루가 무럭
무럭 자라고 있으며 숲을 중심으로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 숲은 풍수지리(風水地理)에 입각하여 마을에 문제
가 있는 부분, 즉 허(虛)한 부분을 채워주는 이른바
비보풍수(裨補風水)에따라 조성된 전통적인 마을 숲
으로, 그 가치가 높이 인정되어 뒤늦게나마 천연기념
천연기념물 403호로 지정되었다.

* 성주 성밖숲 찾아가기
~ 성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 20분, 성주군청에서
도보 10분 ~


봄 가뭄의 심각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이천
(伊川)의 모습

◀ 봄을 꿈꾸는 왕버들
녹음(綠陰)이 우거질 때 찾아 왔더라면 왕버들의 아름
다운 모습을 볼 수 있을텐데 어쩌다가이런 시기에
찾아왔을까..?
나뭇 가지만 앙상하게 드러내며 하늘을 원망하는 그들
의 모습에 나도 모르게 우울해 지는것 같다.

▶ 왕버들 사이로 조성된 산책로
왕버들을 둘러보면서 잠깐 벤치에 앉아 따사로운 봄의
햇살을 즐겨본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공원 내를 이리저리 뛰어 놀고,
동네 노공(老公)들이 게이트볼이나 조깅 등을즐기는
모습만 간간이 보일 뿐, 대체로 분위기는 조용..

▶ 드넓은 공원 운동장, 점점 멀어져만 가는
성밖숲 왕버들 군락..~
녹음(綠陰)으로 가득한 여름에 다시 찾아와 왕버들
밑에 자리를 깔고 한 숨 청하고 싶다..


약 1시간에 걸친 성밖숲 산책을 즐기고, 이천(伊川)을 따라 읍내로 들어선다.
이번에 내가 찾아갈 곳은 읍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성산동 고분군, 다행히 읍내에서 그 곳이 거의 손에
잡히지 않을 듯 멀리감치 바라보인다.

그래서 고분군까지 들어가는 시간, 나오는 시간, 둘러보는 시간을 감안하여, 읍내로 들어가 점심을 두둑히
먹고 읍내에서 남쪽으로 2km 떨어진 '성산동 고분군'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 전형적인 시골길 분위기 ~
성산동 고분군 가는 길
길 양쪽으로 하얀 비닐하우스로 가득
하다. 성주 고을의 특산품인 참외와
수박이 여름을 꿈꾸며 무럭무럭 자라
나고 있는 곳.

◀ 멀리 바라보이는 성산동 고분군

▶ 성산동 고분군으로 들어서는
조그마한 농로


♠ 옛 성산가야(星山伽倻)의 영화로움을 고스란히 간직한 ~
성주 성산동 고분군 - 사적 86호

성주읍내에서 남쪽으로 4리 정도 떨어진 성산(星山)의 북, 서쪽 산
자락에는1500년 전에 사라진 성산가야의 옛 무덤들이 봄의 햇살을
즐기며 옹기종기모여 있다.
평지에 조성된 신라의 옛 무덤과는 달리 가야의 옛 무덤들은 대체로
산자락혹은 구릉
―고령 지산동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 함안
말산리고분군,김해 대성동 고분군, 부산 복천동 고분군..―
자리를
선호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속시원한 해답은
없는 것 같다.

이 고분군은 성산가야 지배층들의 무덤으로 1980년대까지 약 50여기
가 있었으나, 계속된 발굴조사와 훼손된 무덤의 복원으로지금은 70
~ 129기가 산자락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들 무덤의 주인공들이 지배했던 성산가야는 가야연맹(伽倻聯盟)의
하나로 벽진가야(碧珍伽倻)로 부르기도 한다. 원래 성산가야의 성산
(星山)이란 이름은 가야시대부터 통용된 이름이 아닌, 신라 경덕왕
(景德王) 연간(年間)에 고령(高靈)에 있던 일리군(一利郡)을 '성산'
으로 개칭하면서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그 이전에는 성산
이란 지명은 없었고, 더군다나 성산가야란 나라 이름 역시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후삼국시대에 이르러 성주 지역을 다스렸던 이총언(李忿言)의
벽진이씨 세력이 신라에 대항하려는 명분으로 이 곳에 있던 옛 나라
에 '성산 가야'라는 이름을 붙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가(史家)들이 밝혀낸 성산가야의 역사를 보면, 이 지역에
는 벽진국(碧珍國)이라는 나라가 있었다고 하며 처음에는 가야 연맹
의 하나로 활약했으나, 나중에 신라에 붙게 되었으며 6세기이후
신라에 완전히 흡수되었다고 한다.

무덤의 구조는 '앞트기식 돌방무덤 <횡구식 석실묘(橫口式石室墓)>'
와 '구덩이식 돌방무덤<수혈식석실분(竪穴式石室墓)>'이 주류를 이루
고 있는데, 1호분에서는 은제관 장식과 환두대도(環頭大刀), 여러
토기들이 발견되었고 2호분에서는 창, 도끼, 칼들이 나왔다.

58호분에서는 금제귀고리와 은제팔찌, 금동제 말장식이 나왔으며
각 무덤에서 발견된 고배(高杯)와 1호분에서 발견된 관장식은 경주
지역에서 발견된 것과 많이 비슷하다. 또한 58호분 유물은 전형적인
신라 유물들로 이들유물을 통해 성산가야는 남쪽에 있던 가야연맹의

맹주 대가야(大伽倻)보다는 멀리 떨어진 신라와 더 친밀한 관계,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성주 성산동 고분군 찾아가기
~ 성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 25분, 읍내에서 고분까지는 이정표가 잘 설치되어 있고, 읍내 남쪽에서
고분군이 멀리 바라보이므로, 찾아가는데 별로 어려운 점은 없다.

* 입장료 없음, 관람시간 제한 없음.
* 편의시설은 화장실 달랑 하나.. 주차는 화장실 주변 공터에 하면 된다.


▲ 성산동 고분군의 위치 (성주군청 홈페이지 참조)


◀ 여자의 가슴처럼 곡선의 부드러운 아름다움을
지닌 성산동 53호분

◀ 야트막하게 누워있는 성산동 55호분

◀ 지배층의 커다란 무덤과 백성의 쥐꼬리만한
무덤과의 어색한 조화 ~
거의 쌍분(雙墳)으로 이루어진 성산동 57호분,
그리고 거대한 무덤 사이로 속칭 꼽사리 낀 서민
들의 조그마한 무덤들.

비록 오래 전에 사라진 성산가야 지배층의 사후
(死後) 공간에 후대 서민들의 무덤들이 건방지게
들어앉은 모습이 옥의 티처럼 영 마음에 들지않
는다. 사적 보호를 위해서라도 저 무덤은 반드시
이장(移葬)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 성산동 고분군에서 바라본 성주읍

▲ 옛 무덤들의 물결 ~ 성산동 62, 63, 64호분

▶ 성산동 64호분
여기가 고분군의 제일 위쪽 끝인 줄 알았는데, 산
위쪽으로 20여 기의 무덤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
다.
여기까지 왔는데 그냥 무시하고 내려갈 수도 없는
노릇이라.. 주인을 잘못(?) 만난 두 다리를 억지
로 이끌고 그들에게로 다가간다.

▲ 성산동 67, 68, 69호분으로 가는 오솔길
늦가을 분위기로 가득한 오솔길.. 작년 늦가을에 떨어진 낙엽들이 아직도
세상에 대한 미련들이 남아있는지, 쉽사리 눈을 못 감고 있다.

~~ 아쉽지만 상편은 여기서 끝. ~~

* 답사, 촬영 일시 - 2006년 3월 25일
* 상편 작성 시작일 - 2006년 4월 11일
* 상편 작성 완료일 - 2005년 4월 17일
* 상편 숙성/방치 기간 - 2006년 4월 21일 ~ 7월 7일
* 공개일 - 2006년 7월 8일부터

Copyright (C) 2006 by Park Y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