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부산의 소금강을 거닐다. 금정산 금강공원 '
▲ 금강공원 소나무숲
새해를 코앞에 둔 12월 끝 무렵의 어느 덜 추운 날, 우리나라의 2번째 대도시이자 천하 |
♠ 동래온천의 빛바랜 일기장과 온천 용왕신의 공간 |
|
|
온정개건비와 옛 욕조는
용각 뜨락에 북쪽을 바라보며 자리해 있다. 용각은 온천수를 관리한 |
|
용각을 둘러보고 잠시 넣어두었던 금강공원으로 길을 향했다. 온천장을 벗어나 '금강공원로' |
♠ 부산의 작은 소금강(小金剛), 금강공원(金剛公園) |
|
|
송촌(松村)
지석영(1855~1935)은 서울 출신으로 부산과도 진한 인연을 가지고 있다. 20대 초 |
|
독진대아문은 동래부 동헌의 바깥 대문으로 왜정 때 이곳으로 강제 이전되었다. 2014년 12월 |
|
예전 금강공원에 왔을 때는 딱 독진대아문 자리까지만 가고 길을 돌렸다. 그 이상은 딱히 볼 |
|
금강공원 둘레길을 이 정도 거닐고 임진동래의총을 보고자 동쪽으로 내려갔다. 부산민속예술 |
♠ 금강공원의 문화유산들 (임진동래의총, 금정사) |
|
외삼문은 오른쪽 문만
반 정도 열려 있었다. 태극마크가 요동치는 가운데
문과 왼쪽 문은 제 |
|
![]() |
![]() |
▲ 외삼문 안쪽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비석들 (모두 20기임) |
|
![]() |
![]() |
▲ 임진동래의총으로 인도하는 길 ▲ |
|
임진동래의총은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한 동래 사람들이 안 |
|
|
|
임진동래의총과 충혼각은 동래읍성이 있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왜정에 의해 제자리를 떠났 |
|
|
|
임진동래의총을 둘러보고
바로 남쪽에 자리한 금정사로 넘어갔다. 비록 담장 하나를 사이에 |
|
|
|
![]() |
![]() |
▲ 보제루 부근에 자리한 5층석탑 |
▲ 대웅전 옆구리에 있는 칠성각(七星閣) |
|
|
금정사의 유일한
문화유산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멀리 전북 완주군(完州郡)에서 넘어온 것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11월 2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부산권 사진,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래사적공원 동래읍성 북문과 내주축성비 (마안산) (0) | 2024.08.27 |
---|---|
동래읍성 서장대, 서장대 주변~북문 성곽길 (동래사적공원) (0) | 2024.08.26 |
동래사적공원 소나무숲길, 동래읍성 북문, 북장대 (북장대에서 바라본 천하) (0) | 2024.08.25 |
마안산 지붕에 자리한 동래읍성 북장대와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 (동래사적공원) (0) | 2024.08.25 |
동래사적공원 영보단비, 복천박물관 주변에서 바라본 복천동고분군 (0) | 2024.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