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봉능선 밑에 포근히 깃든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승가사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도봉산 고양이 2023. 8. 13. 15:18
' 북한산 승가사 5월 나들이 '
|
|
![]() |
![]() |
▲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
▲ 승가사 경내 |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 한복판의 어느 평화로운 날, 북한산(삼각산) 승가사를 |
|
♠ 승가사 입문 |
|
승가사 갈림길에서 승가사로 인도하는 길은 2개인데, 그중 왼쪽(북쪽) 계단길을 오르면
승가 |
|
|
|
일주문을 지나면 경내까지 숨 가쁜 경사길의 연속이다. 중간인 호국보탑까지는 경사의 패기를 |
|
![]() |
![]() |
▲ 청운교 표석 |
▲ 삼각산 승가사 사적비(事蹟碑) |
|
|
끝없이 펼쳐진 계단에 기가 질린 중생은 그 계단의 끝에 장대하게 자리한 호국보탑 앞에 다시 |
|
![]() |
![]() |
▲ 온갖 조각들로 정신이 없는 |
▲ 호국보탑 감실에 봉안된 |
|
|
|
|
|
|
![]() |
![]() |
▲ 승가사 승가굴(약사전) |
▲ 파괴된 비석의 아랫도리(비좌) |
19세기 이후에는
명성황후와 엄귀비의 후원을 받아 절을 중수했으며, 1941년에 도공(道空)이 |
|
|
♠ 승가사 둘러보기 (대웅전 주변, 성월선사 승탑과 탑비) |
|
동정각의 아랫도리를 들어서면 경내의 핵심인 대웅전 구역이다. 대웅전 뜨락을 중심으로 서쪽 |
|
|
|
대웅전 내부는 황금색으로 개금(改金)된 목각탱(木刻幀)들로 두 눈이 부실 지경이다. 불단에 |
|
![]() |
◀ 대웅전 계단 우측에 누운 석조(石槽) |
|
|
|
|
|
|
영산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981년에 중창되었다. 석가3존상을 비롯하여 |
|
|
|
영산전 좌측 높은 벼랑 위에 산신의 거처인 산신각이 있다. 달랑 1칸 밖에 안되는
조촐한 건 |
|
|
|
영산전 동쪽은 통제구역으로 중생들의 발길을 막고 있는데, 그곳에 성월선사의 탑이 있어 살 |
|
![]() |
![]() |
▲ 명부전(冥府殿) |
▲ 명부전 지장탱 |
대웅전 우측 옆구리로 들어서면 약사전과 마애불로 인도하는 길이 나온다. 그 길을 1단계 오 |
|
|
|
명부전에서 1단계 더 올라서면 승가굴(약사전)이 나온다. 약사전 앞에는 늙은 석탑의 흔적이 |
|
|
|
향로각 앞에는 비석을 받치던 비좌가 초췌하게 누워있다. 고색의 때로 가득한 이 비좌는 화강 |
♠ 승가사의 오랜 보물들 (승가굴,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
약사전은 큰 바위 밑도리에 있는 자연산 석굴이다. 승가사를 세웠다는 수태가 바위를 뚫어
굴 |
|
약사전에는 승가대사상이 홀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약사여래(藥師如來)의 역할과 직무를 대 |
|
|
|
승가굴을 지나면 향로각(香爐閣)이란 돌로 다진 동그란 건물이 있다. 그 직전에 바위가 누워 |
|
향로각을 지나면 장대하게 펼쳐진 계단이 나타나 중생들을 다시금 주눅을 들게 하는데, 그 계 |
|
승가사 북쪽에 자리한 구기동 마애여래좌상(이하 마애불)은 경내와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
|
|
|
가슴을 비롯한 상반신은 아주 묵직한 모습으로 거대한 마애불의 위엄을 더욱 드높인다. 허리 |
|
마애불을 끝으로 간만에 찾은 승가사 관람은 마무리가 되었다. 해질녘까지는 시간이 넉넉하게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7월
3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권 사진,답사기 > 북한산(서울 구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둘레길7구간 옛성길에서 만난 탕춘대성 암문 (탕춘대능선) (0) | 2024.08.13 |
---|---|
홍은동 북한산자락길 ③ 탕춘대능선 서쪽 구간, 이윤석용사 위령비, 옥천암 (0) | 2024.08.13 |
아름다운 숲길을 지닌 고즈넉한 산사, 정릉동 북한산 경국사 (경국사의 석가탄신일 풍경, 경국사 공양밥) (0) | 2022.06.02 |
늦가을 산사 나들이 ~ 우이동 윗쪽에 자리한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도선사 (붙임바위, 우이동계곡) (0) | 2021.12.27 |
북한산(삼각산) 형제봉능선, 일선사, 영취사, 정릉계곡 나들이 (형제봉, 보현봉, 청수천약수) (2)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