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 중남미문화원 봄나들이 '

▲ 목련의 향기가 진동하는 중남미문화원 산책로
봄이 한참 전성기를 일구던 4월 하순 주말에 후배 여인네들과 고양시에 있는 중남미문화원을 찾았다. 불광동에서 서울시내버스 703번(파주,향양리↔서울역)을 타고 구파발. 삼송동, 대자 동을 지나 가축수송에 험난한 고난을 감내하며 고양동(고양시장)에 두 발을 내린다.
고양동(高陽洞)은 지금은 비록 고양시(高陽市)의 외곽 동네로 고양 지역의 동북방 끝쪽에 자 리해 있지만 구한말까지만 해도 엄연한 고양 고을의 중심지였다. 고양의 이름도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허나 원당(元堂)과 일산에 중심지 기능을 넘겨주고 벽제읍(碧蹄邑)의 중 심지로 떨어졌다가 지금은 고양시 덕양구(德陽區)의 일부가 되었다.
고양시장에서 벽제관터를 지나 주택가로 나날이 변하고 있는 고양동 안쪽으로 들어가면 고양 고을의 교육을 담당하던 고양향교(高陽鄕校)가 나온다. 그 동쪽에 우리나라 유일의 중남미문 화시설인 중남미문화원이 둥지를 틀었다. |
♠ 지구 정반대편에 자리한 중남미의 문화와 예술, 민속, 역사가 담긴 중남미문화원(中南美文化院)
 ▲ 중남미문화원 미술관 |
중남미문화원은 우리나라 유일의 중남미 테마 문화공간이자 개인박물관이다. 이곳은 30여 년간 중남미에서 외교관을 지낸 이복형 전(前) 대사와 그의 부인 홍갑표(중남미문화원 이사장)가 중 남미 곳곳에서 수집한 중남미의 문화유산과 미술품, 공예품, 민속자료를 간직한 문화공간이다. 이곳은 1992년 문화원으로 문을 열었으며, 1994년 박물관을 지어 중남미 문화유산을 천하에 선 보였다. 그리고 1997년에 미술관을, 2001년에는 조각공원을 만들어 지금에 이른다.
박물관에는 오랜 세월 중남미를 풍미했던 마야(Maya)문명과 아즈텍(Aztecan)문명, 잉카(Incan) 문명의 찬란했던 고대(古代) 문화유산이 전시되어 있어 전설처럼 강제로 사라진 그들의 숨결을 조금이나마 누릴 수 있다. 이들 유물 가운데 돈 꽤나 얹혀주고 구입한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16세기 이후 중남미에 침투해 신식 무기와 온갖 간계(奸計)로 그곳의 여러 나라와 문명 (文明)을 죄다 아작내고 순박하게 살아가던 원주민들을 학살해 중남미를 강제로 접수한 유럽인 들의 식민시절 문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유산과 미술품이 있다.
미술관에는 근/현대 중남미 작가들의 그림과 조각품이 있어 중남미 문화의 정취를 제대로 누릴 수 있다. 아름답게 꾸며진 조각공원에는 중남미 12개 나라의 조각가들의 작품들이 공원을 멋드 러지게 수식한다. 조각공원에서 북쪽으로 난 야트막한 고개를 넘으면 의자와 탁자가 놓인 넓다 란 휴식공간이 있으며, 박물관 북쪽에는 중남미 음악이 잔잔히 분위기를 띄우는 까페(따꼬하우 스)가 있는데, 그곳에선 중남미 음식인 따꼬(Tacos 멕시코 전통 대중음식), 빠에야(Paeya, 스페 인에서 전래된 중남미 음식)를 비롯하여 차와 마실 거리를 판매한다.
문화원 뜨락과 조각공원에는 목련과 철쭉 등의 꽃과 나무가 가득하여 마치 수목원에 들어선 기 분이며, 기품이 서린 조각품과 벤치가 곳곳에 뿌리를 내려 동화 속의 풍경을 자아낸다. 봄에는 목련과 철쭉이 시기를 약간씩 달리하며 순서대로 문화원을 수식하는데, 목련이 단연 백미(白眉) 이다. 순백의 목련이 곱게 허공을 메우는 4월 말에는 조촐하게 목련축제가 열리며, 낙엽이 잔잔 히 대지를 덮는 늦가을 풍경도 상당히 아름답다.
우리에게 미국과 캐나다가 있는 북미(北美)는 매우 친숙하지만 멕시코와 파라과이, 브라질, 칠 레 등이 있는 중남미는 아직까지는 낯설다. 낯선 그곳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우리 나라의 유일한 공간으로 그 가치는 상당하다. 문화원 곳곳을 사진에 열심히 담았지만 중남미 문 화에 대한 이해와 정보가 턱없이 낮아 설명을 가급적 줄이고 사진 중심으로 마음 편하게 전개하 고자 한다. 마음과 지식이 풍요로운 문화상류층이 되고자 오래 전부터 많은 문화공간을 다니고 있지만 내공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곳을 둘러본 시간은 2시간 정도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1시간 정도에 관람을 마무리 짓는다. 허 나 2시간을 봐도 뭔지 모르는데 1시간을 본다고 제대로 눈과 머리에 들어와 박힐까? 완전한 이 해까지는 무리지만 시간을 넉넉히 할애하여 구경하는 것이 진정한 관람이 아닐까 싶다. 입장료 가 다소 얄미운 수준으로 무려 5,500원이나 받아먹지만 대신 볼거리가 풍부하고 아기자기하게 꾸며놓아 가족, 친구, 연인 단위 봄/가을 나들이장소로 손색이 없다. |
 ▲ 중남미문화원 박물관
|
※ 중남미문화원 찾아가기 (2012년 5월 기준) * 구파발역(3호선/1번 출구와 2번 출구 사이)에서 330, 333번 시내버스 / 구파발 중앙차로 정류 장(구파발역 3번 출구에서 도보 5분)에서 703번 시내버스를 타고 고양시장 하차 * 연신내역(3,6호선/3,4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330, 703번 시내버스 이용 * 서울역(1,4호선/9-1번 출구), 광화문역(5호선/6번 출구), 서대문역(5호선/6번출구)에서 703번 시내버스 이용 * 삼송역(3호선/8번 출구)에서 330, 333, 703번 이용 * 김포공항이나 송정역(5호선/1번 출구)에서 85, 85-1번 시내버스를 타고 고양시장 하차 * 의정부터미널이나 인천터미널에서 3700번 직행버스를 타고 고양동(고양시장) 하차 * 고양시장에서 길 건너편 훼밀리마트 골목으로 도보 10분 (중간에 벽제관터 있음) * 승용차로 가는 경우 (문화원 앞에 조그만 주차장 있음) ① 서울 → 구파발 → 대자3거리 지나서 필리핀참전비에서 우회전 → 고양유스호스텔 → 중남미 문화원 ② 서울 → 구파발 → 대자3거리에서 의정부 방면(39번 국도) 우회전 → 고양1교에서 좌회전 → 고양현대아파트 → 화성그린빌아파트에서 좌회전 → 중남미문화원
★ 중남미문화원 관람정보 (2012년 5월 기준) * 입장료 : 성인 5,500원 / 군인,학생 4,500원 / 12세 이하 3,500원 (20인 이상 단체 20% 할인) * 관람시간 : 10시 ~ 18시 <겨울(11월~3월)에는 17시까지, 폐장시간 1시간 전까지 입장> * 쉬는 날 없음 * 매년 4월 말에 문화원 목련축제가 열린다. 2주 동안 토/일요일에만 열리며, 축제라고 해서 볼 거리 많고 요란한 그런 축제가 아닌 꽃을 보고 즐기는 그냥 조용한 축제이다. * 따꼬하우스에서는 중남미 음식인 따꼬와 빠에야를 먹을 수 있다. 따꼬(Taco)는 토요일과 휴일 (11~17시)에만 판매하며, Alambre(소고기, 채소)는 8,000원, Quesadilla(치즈)는 7,000원이다. 빠에야(Paeya)는 풀코스 요리로 월요일부터 토요일 점심시간(12시~14시 30분)에 먹을 수 있다. 필히 하루 전까지 예약을 해야 되며 예약은 중남미문화원 홈페이지나 전화로 하면 된다. 가격 은 성인 28,000원(5~10세 20,000원)이다. (입장료 별도)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302-1 (☎ 031-962-7171) *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 춤을 추는 아리따운 중남미 여인상 마치 실제로 움직이는 듯한 역동적인 모습이다.
|
♠ 명,청을 오가던 사신들의 숙소, 벽제관(碧蹄館)터 - 사적 144호

 |
고양시장에서 중남미문화원으로 가다보면 중간에 벽제관터란 건물 유적이 있다. 문화원을 찾는 사람 대부분은 문화원에 눈이 어두워 눈 뜬 봉사마냥 지나치기 일쑤지만 소중한 문화유적인 만 큼 잠깐 걸음을 멈추고 살펴보는 여유를 누려보자. 벽제관터는 눈에 보이는 건물터 2개가 전부 라 안내문을 읽는 시간을 포함해도 5분 정도면 충분하다. 벽제관터 북쪽에는 조그만 공원이 둥지를 트고 있으며, 건물터 주변은 문화재 보호 철책이 둘러 져 있으나 키가 작아서 어린이도 넘어갈 수 있다. 우리가 갔던 그때는 마침 어린이들이 철책 안 에서 축구를 하고 있었다. 엄연한 문화재 보호법 위반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건물터 주춧돌의 건 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할 정도는 아니니 그정도는 귀엽게 봐줄 만 하겠다.
주춧돌과 기단만 아련히 남아있는 벽제관은 조선과 명/청나라를 오가는 사신들과 관서지방으로 출장가는 관리의 역관(驛館)으로 1476년(성종 7년) 11월에 지어졌다. 지금은 서울에서 관서(關 西, 평안도) 지방으로 갈 때는 1번 국도를 따라 '서울 → 삼송동 → 벽제 → 봉일천 → 월롱 → 문산 → 개성 → ~~ ' 코스로 간다. 허나 조선시대에는 '서울 → 삼송동 → 고양동 → 혜음령( 惠陰嶺) → 광탄 → 파주읍 → 문산 → ~~' 루트로 갔다. 그러다보니 고양동은 서울과 관서, 대 륙을 잇는 요충지가 되었으며, 자연히 고양 고을의 중심지가 된 것이다.
명,청 사신들은 벽제관에서 하루를 지내고 다음날 예를 갖추어 서울로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다. 서울까지는 하루에 다 가지 못하고 보통 홍제원(洪濟院, 지금의 홍제동)이나 모화관(慕華館, 지 금의 독립문)에서 하루를 더 머물고, 다음 날 왕세자와 문무관리들의 환영을 받으며 남대문(南 大門)을 거쳐 서울에 들어가 조선 군주를 알현(謁見)하였다. 벽제관의 품격은 모화관에 버금 갈 정도였으며, 명,청으로 가는 조선 사신과 관서로 출장가는 관원도 벽제관에서 쉬었다. 서울에서 관서로 가는 첫 역관이기도 하다. |
 ▲ 벽제관 왕년의 모습
 ▲ 주춧돌만 앙상하게 드러낸 객관문터 - 정말 세월무상이로다~~
|
벽제역 부근에 있던 벽제관이 지금의 자리에 안착을 한 것은 1625년(인조 2년)이다. 고양 고을 의 관아를 고양향교 부근으로 옮길 때 새로 만든 것으로 그 이후 보수 기록은 확실치가 않다.
이후 별탈없이 지내오던 벽제관은 1930년경 일부가 철거되었으며, 6.25전쟁 때 객관문을 제외 한 모든 건물이 화마(火魔)의 먹이가 되어 한 줌의 재가 되고 말았다. 그나마 간신히 고개를 들 고 있던 객관문도 1960년경 장대한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폭삭 무너져 지금은 건물터와 주춧돌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근래에 벽제관터 주변을 정비하고 공원을 꾸몄으며, 푸른 잔디를 곱게 깔아 허전함을 조금이나마 달래준다.
참고로 임진왜란이 한참이던 1593년 1월 벽제관 북쪽 혜음령(벽제3거리에서 광탄으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나라군과 왜군이 치열하게 격전을 벌인 적이 있다. 민폐 덩어리 명나라군은 왜군에게 형편없이 깨지고 거의 전멸에 이르다가 행주대첩(幸州大捷)의 영웅 권율( 權慄)의 구원으로 간신히 전멸을 면했다.
※ 벽제관터 찾아가기 (2012년 5월 기준) * 교통편은 앞의 중남미문화원 참조 * 고양시장에서 길 건너편 훼밀리마트 골목으로 도보 3분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55-1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0일까지만 수정, 보완 등이 이루어집니다.
<블로그는 1달까지, 원본은 2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 (12pt 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메일,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글을 읽으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댓글 하나씩 꼭 달아주세요.
*공개일 - 2012년 5월 8일부터
Copyright (C) 201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