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00년 역사를 지닌 대전에 대표적인 시골 전통마을, 무수동 무수천하마을 (안동권씨유회당종가, 광영정, 유회당 기궁재, 삼근정사)
도봉산 고양이 2022. 11. 23. 00:53
' 대전 무수동 봄맞이 나들이 '
▲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산수유나무와 사당
봄이 겨울 제국(帝國)을 몰아내고 오랜 겨울에 지친 천하만물을 따스히 어루만지던 3월 |
|
♠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宗家)' 주변 |
|
장승의 환영을 받으며 무수동으로 인도하는 운남로로 들어섰다. 무수동은 이 땅에 아주 흔한 |
|
|
|
무수동입구(침산2교)에서 운남로를 따라 8분 정도 들어가면 커다란 은행나무와 함께 광영정, |
|
![]() |
![]() |
▲ 유회당 종가 사랑채 |
▲ 유회당 종가 안채 |
|
|
사람이 떠난 종가 일대는 적막함이 가득하다. 석축 위에는 푸른 싹이 자라나 봄을 격하게 환 |
|
![]() |
![]() |
▲ 바로 앞에서 바라본 산수유나무 |
▲ 굳게 닫힌 사당<가묘, 家廟> |
|
|
종가 앞쪽에는 돌로 테두리를 다진 네모난 연못, 배회담이 고즈넉하게 누워있다. 마을 위쪽에 |
|
|
|
연못 남쪽에는 초가 지붕을 지닌 소박한 모습의 광영정이 연못을 바라보며 한참 매뭇새를 다 |
|
![]() |
![]() |
▲ 광영정 북쪽에 걸린 '인풍루' 현판 |
▲ 광영정 남쪽에 걸린 '광영정' 현판 |
![]() |
![]() |
▲ 동쪽에서 바라본 연못(배회담) |
▲ 광영정 정면 - 마루의 높이가 다소 높다. |
|
♠ 무수동 유회당, 기궁재 주변 |
|
유회당 종가에서 무수동 안쪽으로 2분 정도 들어가면 무수동 버스정류장과 무수동 다목적회관 |
|
![]() |
![]() |
▲ 솟을3문으로 이루어진 유회당의 정문 |
▲ 활수담(活水潭)과 돌다리 |
충효문을 들어서니 그
흔한 뜨락 대신 연못이 바로 펼쳐져 있었다. 즉 충효문과 유회당 사이 |
|
|
|
활수담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이곳의 중심 건물인 유회당이 나온다. 높게 잘 다져진 석축 위 |
|
![]() |
![]() |
▲ '활수담' 3자가 적힌 표석 |
▲ 유회당 현판의 위엄 |
![]() |
![]() |
▲ 유회당의 옆모습 |
▲ 유회당의 뒷모습 |
|
|
유회당까지 돌다리의
신세를 지기 싫다면 연못 옆구리로 돌아가는 길도 있다. 그 길로 가면 |
|
|
|
유회당과 아랫 판각
뒷쪽에는 제사를 지내는 기궁재가 있다.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유회당 |
|
![]() |
![]() |
▲ 기궁재의 솟을대문인 상지문(尙志門) |
▲ 돌담 밖에서 까치발로 바라본 기궁재 |
![]() |
![]() |
▲ 후손들이 머물고 있는 기궁재 |
▲ 장판각과 삼근정사를 가리고 있는 |
|
|
유회당 뒤쪽에는 잔디가
곱게 입혀진 언덕이 있다. 그 언덕에 소박하게 닦여진 돌계단이 있고 |
|
|
|
유회당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삼근정사란 조그만 'ㄱ'자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
|
![]() |
![]() |
▲ 삼근정사 내부 |
▲ 밑에서 바라본 삼근정사와 돌담 |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2년 11월 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대전권 사진,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보문산에 둘러진 상큼한 숲길, 보문산행복숲길(보문산둘레길) (0) | 2024.09.10 |
---|---|
대전 계족산 용화사, 비래골, 비래사 나들이 <읍내동 느티나무, 용화사석불입상, 동춘당생애길, 옥류각> (0) | 2024.07.20 |
대전의 첩첩한 남쪽 지붕을 거닐다. 만인산~만인산자연휴양림 (태조대왕태실, 대전둘레산길, 대전천발원지) (0) | 2021.12.18 |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메타세콰이어 숲길을 간직한 아름다운 휴양림, 대전 장태산자연휴양림 (형제산, 형제바위) (0) | 2018.07.29 |
황토길과 맨발축제의 영원한 성지, 대전 계족산 (장동산림욕장, 계족산황토길, 계족산맨발축제, 계족산성) (0) | 2016.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