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미1리의 동쪽을 이루고 있는 장지산의 서쪽 자락에는 용미리 석불입상을 든든한 후광(後光) 으로 삼은 조그만 산사(山寺), 용암사가 포근히 들어앉아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으로 남양주 봉선사(奉先寺)의 말사(末寺)이다. 창건 시기는 확실치는 않 으나 경내 북쪽에 용미리 석불이 있고, 석불 조성과 관련된 절의 창건 설화―절 이름은 전해오 지 않음―가 전해오고 있어 석불이 만들어진11세기로 여겨진다. 하지만 창건 이후 이렇다 할 사적(事績)을 남기지 못했으며, 1936년 파주 지역 유지들이 돈을 모아 지금의 절을 세우고 승려 혜성(慧城)이 그 불사를 담당하여 절 이름을 용암사라 하였다. * 절과 석불에 얽힌 설화는 용미리 석불 부분 참조 (☞ 창건 설화 보러가기)
|
▲ 용암사 범종각(梵鍾閣)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은은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의 보금자리로 1984년에 지어졌다. | ▲ 용암사 요사(寮舍) 1982년에 세워진 건물로 용암사 승려, 신도 들의 생활, 교육 공간이다. |
당우(堂宇)로는 법당인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범종각, 요사, 삼성각, 미륵전 등 4~5동의 건물이 있으며 지금의 절은 1970년대 이후에 새롭게 지은 것이라 고색(古色)의 분위기는 전혀 찾을 수 없다. 절의 규모가 작고 아담하여 아늑하기 그지없으며 불전들도 절의 규모 마냥 적당한 크기를 지니 고 있어 두 눈에 넣고 살피기에 별 무리가 없다.
|
경내에 들어서면 정면으로 대웅보전이 자리해 있고 그 앞에 하얀 피부의 맨들맨들한 5층석탑이 심어져 있다. 그 주변으로 요사, 범종각이 자리해 있고, 석불로 가는 길목에 삼성각(三聖閣)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978년에 지어졌다. 석가여래 3존불을 중심 으로 뒤에 석가여래후불탱화가 있으며 주변으로 지장탱화, 감로탱화 등의 불화(佛畵)가 대웅보 전 내부를 휘양찬란하게 치장해 준다.
절의 가람배치는 하나의 금당(=법당, 대웅보전)과 하나의 탑 형식으로 금당과 탑이 용미리 석 불을 닮아서 그런지 한결같이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하긴 절이 들어앉은 지형을 보니 남향으 로법당을 세우기는 상당히 어려워 보인다.
|
용암사 승려의 생활공간인 요사 뒤쪽으로 소박한 모습의 아담한 동자불상(=동자상, 사진 우측 석상)과 날렵한 몸매의 7층석탑(사진 좌측 탑)이 자리해있다. 그 사이로는 조그만 불상이 마 치 석탑과 동자상의 새끼마냥 앉아있어 단란한 가족처럼 보인다. 이들은 원래 용미리 석불과 한 몸으로 지내던 것들로 1990년대 이전 석불 사진을 보면 동자불 상은 석불의 오른쪽(석불이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 어깨 위쪽에 솟아 있고, 7층석탑은 그 오른 쪽아래에 있었는데,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의 시주로 달아놓은 것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1987년 석불에서 떼어내 지금의 자리로 옮겨놓았는데, 그 이유는 미관상 그리 어울리 지도 않고 국가 문화유산이자 용암사의 소중한 밥줄인 석불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기 위한 것으 로여겨진다.하긴 동자상 때문에 2체불이 아닌 3체불(體佛)로 오인을 받는 경우가 많긴 했다. 7층석탑은 군살이 없는 날씬한 모습으로 백제 칠지도(七支刀)를 연상케 만드며 동자상은 어린 동자를 보듯 표정이 포근하다. 그래도 50년 이상 묵은 것들이라 몸통에는 반백년 세월의 때가 가득하다. 용미리 석불과 한 몸에 있던 시절을 그리워 하듯 서쪽을 바라보는 그들 우측으로 공양용으로 쓰이는 샘터가 있으나 굳게 입을 봉해 있으며, 석탑 좌측으로 종이 등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조 그만 소각장이 있다.
절에서 북쪽으로 난 계단을 따라 가볍게 1분 가량 오르면 우리를 이곳으로 오게 한주인공, 한 바위에 머리 둘, 몸통 둘이 달린 거대한 불상 용미리 석불을 만나게 된다.
※ 용미리 석불입상(용암사) 찾아가기 <2008년 10월 기준> * 서울역, 광화문, 구파발에서 서울시내버스 703번이 용암사 아래까지 다닌다. * 703번 버스와 환승이 가능한 전철역 - 광화문역(5호선 6번출구), 시청역(1,2호선 8번출구), 서울역(1,4호선 3번출구), 서대문(5호선 6번출구), 독립문(3호선 2번 출구), 녹번역(3호선 1 번출구), 불광역(3,6호선 1번출구), 연신내(3,6호선 3번출구), 구파발(3호선 2번출구) * 승용차 ① 서울시내 → 구파발3거리에서 파주방면 → 대자동에서 의정부방면 39번국도 → 고양동에서 벽제묘지, 광탄방면 좌회전 → 벽제3거리에서 광탄방면 좌회전 → 용미리 → 용암사 ② 수도권외곽고속도로 → 통일로나들목을 나와 파주방면 → 대자동에서 의정부방면 39번국도 → 고양동에서 벽제묘지, 광탄방면 좌회전 → 벽제3거리에서 광탄방면 좌회전 → 용암사
★ 용미리 석불입상(용암사) 관람정보 * 용암사 아래에 조그만 주차장이 있음 * 주변에 가게나 먹을 곳은 없음 * 주변 명소(반경 3km이내) - 윤관장군묘, 심지원선생묘, 공순영릉(파주삼릉), 공릉저수지 *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 11 (용암사 ☎ 031-942-02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