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울산의 해금강(海金剛) ~ 일산해수욕장 / 대왕암공원 ♠
울산 일산해수욕장

대왕암 앞바다
▲ 동해바다가 빚어놓은 대작품 ~ 일산해수욕장과 대왕암 바닷가


천하를 호령하던 여름의 제국이 슬슬 그 기가 꺾이기 시작하던 8월의 끝 무렵, 마산(馬山)에
사는 친한 여인네와 울산 대왕암 해변을 찾았다. 아침이슬이 꽃망울을 피우던 이른 아침, 일
찌감치 집을 나서 동서울터미널에서 울산으로 가는 직행버스에 나를 실어 보낸다.

마산 여인네와는 11시 정도에 울산시외터미널에서 보기로 했는데, 울산까진 4시간 20분이 걸
려 딱 11시에 떨어졌다. 하지만 그는 늦잠으로 늦게 출발하는 통에 12시 반이 넘어서야 울산
에 모습을 드러냈다. 늦게 왔으니 점심을 쏘라며 살짝 잔소리 한번 해주고(이렇게 점심은 해
결했음) 터미널 부근 롯데백화점에서 울산시내버스 401번(율리↔방어진,꽃바위)을 타고 40여
분을 달려 일산해수욕장에 발을 내린다.

우선은 무척이나 시장한 배를 위로하고자 부근 주막에서 닭갈비로 허기진 배를 달래본다. 배
가 어느 정도 들어차면서 포만감의 행복이 바다의 파도처럼 밀려온다. 이때다 싶어 졸음이란
녀석이 배깔고 한숨 주무시라며 나를 희롱한다. 푸르른 동해바다를 보러 머나먼 이곳까지 온
만큼 그의 희롱을 단호히 뿌리치며, 바다에 놀러 온 어린아이마냥 신나게 해수욕장으로 달려
간다.

이번에 찾은 일산해수욕장(日山海水浴場)은 방어진 북쪽 일산동에 있다.울산 지역에서 유일
하게 시내에 자리한 해수욕장으로 도심과도 가깝다.대왕암공원과 현대중공업 사이로 움푹 들
어간 일산만(日山灣)에 자리한 이곳은 백사장의 길이가 약 1km, 폭 80m,면적은 0.32㎢로 모
래질이 양호하고 백사장 가운데로 냇물이 흘러 담수욕에 제격이다. 수심이 낮고 경사가 별로
없어 가족 나들이 장소로 그만이며 해금강(海金剛)으로 일컬어지는 대왕암공원이 동남쪽으로
바로 붙어있어 같이 둘러볼 수 있다.
예전에는 앞바다에 신라(新羅) 왕이 궁녀와 뱃놀이를 즐겼다고 전하는 바위섬이 떠 있었다고
하는데, 방어진 일대 개발로 무참히 폭파되어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초승달처럼 구부러진 아름다운 곡선의 일산해변은 피서철이 끝난 터라 사람은 별로 없다. 푸
르른 바다와 백사장은 바다를 찾은 이들을 동심(童心)의 세계로 인도하며, 낭만파 작가로 만
든다. 좀 일찍 왔더라면 바다와 스킨쉽을 즐기는 이들로 넝실넝실 파도를 이룰텐데 여름제국
의 끝을 잡는 시기라 아이들 서너 명만이 바다와 어울려 놀고 있을 따름이다. 그래도 바다에
왔는데 바닷물은 원없이 만져봐야 후회가 없겠지? 잔잔한 파도로 해변을 살짝 어루만지며 모
래를 더욱 윤기나게 해주는 바다, 그에게 다가가 살며시 손을 내민다. 푸른 물감을 풀어놓은
듯 푸른내음이 가득한 바다는 여전히 시원한 기운을 품고 있었다. 기분 같아선 온 몸으로 그
와 하나가 되고 싶지만 여벌의 옷이 없기 때문에 그냥 손으로 만족하련다.

아무리 천재화가가 그린다고 해도 결코 나오기 힘든 바다의 푸른 색깔~~ 사람이 만든 색깔이
어찌 대자연이 만든 천연의 물감만 하리오.? 일산만에는 요트 몇 척이 남쪽으로 길을 떠나려
는 여름의 발목을 붙잡는다.


▲ 드넓게 펼쳐진 일산해수욕장
파도소리만이 백사장의 정적을 살포시 깨뜨린다. ▼



▲ 썰물로 백사장의 면적이 잠시 배로 넓어졌다.

▲ 바다 건너로 보이는 푸른 언덕이 대왕암공원이다.

▲ 늦여름의 아쉬움을 달래며 열심히 항해중인 요트(yacht)들

▲ 나를 향해 다가오는 바다 파도
바다를 바라보며 서 있는 내가 그리 달갑지 않은지, 나를 치기 위해 중공군의
인해전술처럼 새하얗게 밀려 온다.

▲ 바로 앞까지 파도는 밀려왔으나..

▲ 결국 나를 치지 못하고 멀리 줄행랑을 치는 파도..

▲ 심통이 났는지, 다시 나를 향해 세차게 밀려오는 파도

▲ 바다 파도의 뽀송뽀송한 물거품 ~
거품을 보니 갑자기 시원한 맥주 한잔이 간절해진다.


※ 일산해수욕장 찾아가기 (2009년 8월 기준)

* 울산시외,고속터미널을 나와 왼쪽으로 가면 롯데백화점4거리가 있다. 4거리에서 공업탑(왼쪽)
쪽으로 가면 롯데백화점(시외,고속터미널입구) 정류장이 나오는데 거기서 401번, 좌석1114번,
좌석1401번 버스를 타고 일산해수욕장 하차.
* 울산역에서 127,401,1114,1401번 버스 이용, 단 127번은 너무 돌아간다.
* 일산해수욕장 경유 노선 - 102,103,104,106,108,111,112,122,123,127,133,401,1114,1401번
자세한 시내버스 노선정보는
☞ 울산광역시청 울산교통관리센터 참조
* 승용차 이용시

① 울산고속도로 → 신복로터리 → 태화강 강변도로 → 명촌대교 → 미포 → 방어진(염포로) →
일산해수욕장
② 부산 → 울산방면 31번국도 / 부산울산고속도로 → 선암동 → 울산역 → 명촌대교 → 미포
→ 방어진(염포로) → 일산해수욕장

★ 일산해수욕장 관람정보
* 해수욕장 인근으로 2천 대의 주차공간이 있다.
* 소재지 -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일산해수욕장 동남쪽에는 해송(海松)이 무성한 해안언덕이 길게 누워져 있다. 바로 해금강이
라 일컬어지는 대왕암공원이다. 이곳은 바다에 돌출된 조그만 반도(半島)로 조선시대에는 나
라에서 관리하는 목장(牧場)이 있었다. 왜정(倭政)은 이곳을 군사기지로 삼고 소나무를 잔뜩
심었으며, 1962년 울기공원(蔚崎公園)이라 불리다가 2004년 대왕암공원으로 변경되었다.공원
의 면적은 93만㎡에 이른다.

공원의 동쪽 끝으머리에는 공원 이름의 유래가 된 대왕암이란 커다란 바위섬이 두둥실 떠 있
고, 섬이 바라보이는 언덕에는 100년 먹은 울기등대가 바닷길을 밝혀준다. 등대가 있다고 해
서 등대산이란 이름도 지니고 있는데, 일산만이 내려다 보이는 북쪽과 동대해에 닿은 동쪽은
가파른 해안절애를 이루고 있어 바다로 다가서기가 쉽지 않다. 대신 남쪽은 단조로운 지형으
로 내려가기가 다소 쉽다.

바닷가를 따라 해안 산책로가 길게 이어져 있으며 남쪽 해변에는 해산물을 즉석으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 행상이 즐비하다. 공원을 가득 메우며 장관을 이루는 백여 년 묵은 해송은 바다
의 거친 바람을 먹으면서 늘씬한 소나무로 어엿하게 성장했으며, 그들이 배푼 그늘은 시원함
과 아늑함을 선사한다.

대왕암은 신라 문무왕(文武王)과 관련된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서려있다. 681년 문무왕이 파
란만장한 인생을 마감하며 바다에 묻히자, 얼마 뒤 그의 왕비
<전설에는 왕비의 이름이 나와
있지 않으나 아마도 자의왕후(慈儀王后)일 듯>
도 세상을 떠났다. 왕비는 남편을 따라 나라를
지키는 용(龍)이 되겠다며 이곳 바위섬에 묻히기를 소망하여 바위섬 아래에 장사를 지냈다고
하며 그런 연유로 대왕암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물론 전설은 어디까지나 거짓일
것이다. 대왕암은 용추암, 댕바위 등으로도 불린다.

일산해수욕장에서 대왕암을 끼고 천천히 돌면 2시간 정도 걸린다.허나 동해의 해금강인 이곳
을 대충 보고 나오기에는 무척이나 아깝다. 국가지정문화재의 하나인 명승(名勝)으로 삼아도
손색이 없는 대왕암은 푸른 물감을 흐트러놓은 듯, 창창한 동대해와 넝실넝실 해조음을 연주
하는 파도, 시원스런 바닷바람, 자연과 바다가 오랜 세월 빚어놓은 멋스러운 기암괴석들, 거
기에 해송이 베푸는 솔내음까지 이곳을 찾은 이들의 오감과 두 다리를 단단히 잡아두기 때문
이다.

울산은 지도상으로 동해 남단 돌출지역에 자리해 있는데,대왕암공원은 그 돌출된 부분에 끝
에 해당된다.


▲ 일산해변과 대왕암공원을 끈끈하게 이어주는 계단길

▲ 대왕암공원 북쪽 해변에서 바라본 일산해변과 방어진 시내

▲ 소나무 사이로 모습을 비친 동해바다의 속살

▲ 빽빽하게 우거진 해송 ~ 그들 사이로 뚤린 산책로

▲ 일산만에 떠 있는 3개의 바위섬 ~ 선녀바위 ▼
선녀바위라 불리는 것을 보면 선녀와 관련된 재미난 전설이 하나 있을 것 같다.
혹여 하늘나라 선녀님들이 공기놀이를 하다 실수로 떨어뜨린 공기는 아닐까?
선녀바위 너머로 선진국을 향한 집념의 연기가 하늘을 메우는 현대중공업이 보인다.




▲ 탄금바위 일대 (2장)
바다와 바위와의 끊임없는 속삭임만이 귓가에 진하게 전해온다.


▲ 오색영롱한 구름도 가던 길을 멈추고 바다 위에 머물며 대왕암의
풍광을 즐긴다.

▲ 바닷가 기암괴석들

▲ 이렇게 보니 지구가 정말 둥글긴 둥근 모양이다.

▲ 월척을 꿈꾸며 바닷가로 내려간 강태공 (잘 찾아보기 바람)

▲ 멀리서 바라보이는 선녀바위와 현대중공업

▲ 바위를 희롱하며 하얀 물보라를 자아내는 바다

▲ 할미바위 부근에 한 그루의 낙락장송(落落長松)
거센 바닷바람의 괴롭힘에도 굴하지 않고 한결같은 모습으로 그 자리를 지키는
낙락장송은 불사이군(不事二君 =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을 외친 충신들의 마음이다.

▲ 등대산 동쪽 깊숙한 곳에 자리한 용굴(용추)

안쪽으로 움푹 패인 공간으로 바닷물이 넝실넝실 들어와 잠시 쉬었다 가는 곳이다. 삼면이 깎아
지른 듯한 낭떠러지로 저 아래에는 용이 살았다고 전하는 용굴이 숨어있다. 용이 살던 곳이라
그런 것일까? 접근하기가 무지 까다롭다.

전설에 따르면 동굴에는 청룡(靑龍)이 살았다고 한다. 그는 주변을 오가는 배들을 괴롭혔다고
하는데, 이를 안 동해 용왕님이 큰 돌로 굴을 틀어막아 용을 가두었다고 전한다.


▲ 용굴 앞까지 밀고 들어온 바닷물
동해 용왕이 청룡의 경거망동을 감시하러 보낸 것은 아닐까?

▲ 등대산의 동쪽 끝자락에 이르자 드디어 대왕암이 그 위용을 드러내 보인다.

▲ 대왕암과 한반도 사이로는 푸른 색의 철교가 끈끈히 이어져 있다.
대왕암은 동해바다에 떠 있는 커다란 바위섬으로 그 이름에 걸맞게 웅장한 모습을 지녔다.
혹 떠내려갈지 모르는 대왕암을 붙들기 위해 푸른 색의 다리를 아슬아슬하게 이어 놓았다.
다리를 건너 1분 정도 오르면 대왕암 꼭대기에 이른다.


▲ 대왕암 주변을 호위하는 신하바위들
그 왕의 그 신하라고 했던가 하나같이 걸작들을 자랑한다.
동해바다가 오랜 세월 빚어놓은 대작품 앞에 우리가 할 일은
그저 감탄사 연발과 사진 찍기 밖에는 없었다.

▲ 푸른 거품을 일렁이며 바위와 한몸이 되는 동해바다

▲ 대왕암에서 바라본 방어진 앞바다
무역선과 화물선, 어선 등의 배들이 손에 잡힐 듯 보인다.
신라시대부터 당항성(黨項城)에 버금가던 무역도시 울산은
처용가(處容歌)의 주인공인 처용(處容)이 들어온 곳이기도 하다.

▲ 대왕암을 육지에 붙들어 맨 철교
송림 너머로 울산 앞바다의 눈, 울기등대가 솟아 있다.

▲ 대왕암을 바라보는 대왕정(大王亭)


▲ 대왕암 입구에 자리한 고래상과 경골(鯨骨)조각

고래는 울산의 상징이다. 지금은 많이 쇠퇴하긴 했지만 198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고래잡이
의 중심지로 울산 장생포(長生浦)가 그 본거지이다.
고래잡이를 유식한 말로 포경(捕鯨)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포경은 1891년 러시아의 왕자 니
콜라이 2세가 왜국(倭國)을 방문하기 위해 동해를 지나다가장생포 앞바다에서 엄청난 고래떼를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그는 귀국하자마자 바로 태평양어업주식회사를 차리고 조선정부로부터 포
경특허권(捕鯨特許權)을 받아 울산 근해에서 고래잡이를 벌이니 이것이 동양 최초의 포경이었다.

1899년부터 포경선 2척으로 매년 120마리를 잡아들였는데 이에 왜국도 질세라 일본원양어업회사
를 차려 포경에 나섰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러시아의 포경특허권을 가로채어 고래잡
이를 독점하게 되는데 그 근거지가 바로 장생포였다.

해방 이후, 외국 포경선에서 일하던 2백여 명의 어부들이 조선포경주식회사를 차리고 왜국에서
낡은 목조선 50톤짜리 2척을 사서 포경을 시작하니 이것이 우리나라 포경업의 시작이었다.
그 첫해에 무려 66마리를 잡아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 뒤 포경업의 호황으로 대동, 동양
등의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1955년에는 194마리를 잡아 올려 포경사상 신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계속되는 고래잡이로 동해바다의 고래 수가 점점 줄어들었고, 할 수 없이 남극이나 북극
까지 원정을 가서 고래잡이를 하기에 이른다. 세계적으로도 고래의 씨가 말라가면서 고래를 보
호하고자 고래잡이를 자제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금도 포경이 이루어지긴 하나 예전만은 못한
실정이다.

울산 앞바다는 고래의 일종인 귀신고래(쇠고래)의 회유지로 극경회유해면(克鯨回遊海面, 여기서
극경은 귀신고래)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126호로 지정되었다. (지정만 했지 이렇다 할 연구
나 보호조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음)


울산시는 고래테마도시를 선언하고 무려 3천억의 돈을 들여 우리나라 유일의 고래박물관이 있는
장생포에 고래문화마을과 고래조각공원, 고래분수광장을 조성하고 대왕암공원에는 고래생태체험
장과 고래교육장, 정자동에는 돌고래쇼장 등을 만들 계획이다.


▲ 대왕암 입구

◀ 하얀 맵시가 일품인 울기등대(蔚崎燈臺)
대왕암이 보이는 등대산 동쪽 자락에 솟아난 등
대로 1905년 2월 나무로 된 등간(燈竿)으로 세워
져방어진항을 유도하는 항로표지로 쓰였다.

1906년 3월 지금의 자리로 이전되어 콘크리트 구
조물로 세워졌으며 1987년까지 81년 동안 방어진
앞바다를 밝혀주었다.

처음에는 높이가 6.1m였으나 1972년 11월 팔각형
콘크리트조로 3m를 증축했다. 허나 송림(松林)이
너무 자라 등대불이 보이지 않게 되자 1987년에
50m 정도 떨어진 곳에 높이 24m의 새 등대(왼쪽
사진)를 지으면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 현역에서 물러난 옛 울기등대(문화재청 사진)
-
등록문화재 106호 / 해양수산부 등대문화유산
9호


▲ 대왕암공원 남쪽해변
해안절애가 주류를 이루는 북쪽과 동쪽과 달리 지형이 완만하여 바다로 내려가기 쉽다.
해변에 보이는 파라솔은 즉석에서 해산물을 사먹을 수 있는 길거리행상들이다.
바다에는 울산에서 볼일을 마치고 각자의 도시 혹은 나라로 향하는 배들로 가득하다.

▲ 대왕암공원 앞바다

▲ 대왕암 주차장에서 울기등대까지 이어진 약 600m의 산책로


이렇게 하여 약 2시간 여에 걸친 대왕암 나들이는 마무리 되었다. 공원 남쪽 경남학생수련원 부
근에 몽돌해변이 펼쳐져 있고, 그 남쪽으로 울기공원이 따로 자리해 있어 같이 둘러볼려고 했지
만 여인네의 만류로 다음으로 미뤘다. 간만에 즐긴 바닷가 나들이, 해금강에 버금가는 절경을
자랑하는 대왕암공원, 자연이 빚어놓은 대작품에 찬사를 끝으로 본 글은 여기서 마무리를 짓는
다.


※ 대왕암공원, 울기등대 찾아가기 (2009년 8월 기준)
* 대중교통은 앞에 일산해수욕장 참조, 시내버스로 일산해수욕장이나 울기등대입구에서 내려서
가볍게 25분 정도 걸으면 울기등대가 나온다. 대왕암은 여기서 5분 정도 더 들어간다.
* 현대백화점 동부점이나 동부경찰서에서 울기등대행 마을버스가 1시간 20분 간격으로 1일 9회
다닌다. 허나 운행횟수가 적으므로 일산해수욕장이나 울기등대입구에서 가볍게 걸어가기를 권
한다.
* 현대백화점 출발시간 - 9:05, 10:25, 11:45, 13:05, 14:25, 15:45, 17:05, 18:25, 19:45
* 승용차 이용시
① 울산고속도로 → 신복로터리 → 태화강 강변도로 → 명촌대교 → 미포 → 방어진(염포로) →
일산해수욕장입구 → 울기등대입구 → 대왕암 주차장
② 부산 → 울산방면 31번국도 → 선암동 → 울산역 → 명촌대교 → 미포 → 방어진(염포로) →
일산해수욕장 → 울기등대입구 → 대왕암 주차장

★ 대왕암공원, 울기등대 관람정보
* 입장료는 없음
* 소재지 -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0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는 한달까지이며, 원본
(☞보기)
은 2달까지임>
* 본 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동호회)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작게 처리된 사진은 마우스로 꾹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을 읽으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댓글 하나씩 꼭 달아주세요.

*공개일 - 2009년8월5일부터


Copyright (C) 2009 by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