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성의 북서문에 해당되는 자하문(紫霞門)을 지나서면 여기가 서울일까? 의구심이 들 정도 로 기가 막힌 수려한 경치가 눈앞에 펼쳐진다.자하문 너머 동네인 부암동(付岩洞), 홍지동 지 역은 북악산과 인왕산, 북한산 자락에 안긴분지(盆地)로 지금은 비록 도시화가 어느 정도 되었 지만 그래도 산림 등의 녹지 비율이 서울에선 매우 높은 편이며, 백사골 등의 깨끗한 계곡이 살 아 숨쉰다.
예로부터 서울 부근 경승지로 이름이 높았던 이들 지역은 양반사대부와 조선 왕족들의별서(別 墅, 별장) 및 피서지로 인기가 높았다. 세종의 3자(子)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의 별장,무계정사 (武溪精舍)―지금은 '武溪洞'이라 쓰인 각자만 남아 있다―가 인왕산 자락에 있었고,흥선대원 군의별장인 석파정(石坡亭), 휴식과 유흥의 장소로 만들어진 세검정(洗劍亭), 연산군(燕山君) 이 사냥과 여가의 장소로 만들었다는 탕춘대(蕩春臺, 지금의 홍지문), 그리고이곳 백석동천까 지 옛 사람들의 별장, 풍류 유적이 풍부하게 남아있다.
백석동천은 북악산 북서쪽의 백사골(백사실) 계곡 그늘진 곳에 묻혀있다.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 한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별장이 있었다고 하여 백사골, 백사실이라 불리며 백사골과 별 서유적 일대를 통틀어 백석동천이라 부른다. 그 이름은 하얀 돌이 많고 경치가 아름다워 붙여진 것이다. <동천(洞天)은 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붙이는 명예로운 이름이다>
이곳은 19세기 초반(1830년경)에 지어진 600평 규모의 양반 별서이다. 누가 만들고 별서의 이 름이 무엇인지는 전해오는 것이 없다. 이곳에는 별서 주인이 머물던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으며, 정자와 동그란 연못이 있었다. 안채는 4량(樑)집이고, 사랑채는 'ㄱ' 모양의 5량집으로 누마루 가 높았다. 안채는 1917년에 집 한쪽이 기울어져 대대적인 보수를 했으며, 1970년경까지 남아있 었으나 사랑채와 함께 무너져 지금은 주춧돌만 남아있다. 집 앞에 있는 연못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있는데, 6.25때 정자가 파괴되고 연못의 기능도 상실되고 말았다. 현재는 사랑채터와 정자 터, 연못, 담장의 일부 흔적, 바위글씨 2개만이 남아 백석동천의 옛 정취를 아련히 전해줄 따름 이다. 이 정도의 별장을 짓고 소유할 정도라면 상당한 재력을 지닌 양반이 분명하다.
백사골과 관련된 옛 기록으로 18세기에 활약했던 월암 이광여(月巖 李匡呂, 1720~1783)의 이참 봉집(李參奉集)이 있다. 그 책에는 '세검정과 탕춘대 계류 고간(高澗) 세폭(細瀑) 위에 동천이 조성되어 있고, 그곳에 허씨의 모정(茅亭)이 있었으며, 모정의 이름은 간정료(看鼎寮)였다'는 내용이 있어 지금의 별서 이전부터 별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나를 몹시나 흥분시키고 감동의 도가니로 내던진 백석동천은 2005년까지만 해도 아는 이가 거의 없는 그야말로 숨겨진 명소였다. 지방문화재로도 지정되지 못한 신세로 부암동 사람들만 몰래 아는 그야말로 그들만의 전용 피서지였다. 허나 아무리 숨어 있어도 휼륭한 재주나 좋은 명소는 주머니 속에 들어있는 송곳처럼 언젠가는 세상에드러내기 마련이다. 2005년에 이르러 문화재청 에서 이곳이 조선시대 별서의 구성 요소를 두루 갖추고주변 자연환경과 잘 조화를 이룬 우리나 라 전통의 휼륭한 정원임을 인정하면서부터 조금씩 세상에그 존재를 드러내었다.
2005년 3월에는 비지정문화재의 서러움에서 벗어나 바로 사적 462호로 특진되었으며, 2008년 1 월에 명승 36호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 2008년까지 제대로 된 안내문이나 변변한 이정표조차도 없었으며, 겨우 2009년에 문화재 안내문과 이정표(하림각 맞은편)를 설치했다. 게 다가 주춧돌에 흉물같은 낙서가 눈에 띄며, 이곳에 놀러 온 이들이 버린 쓰레기들이 심심치 않 게 눈에 띄면서 이곳의 건강도 적지않게 위협을 받고 있다. 문제는 행정기관의 관리소홀과 직무 유기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서울 도심 속에 박힌 보석이자 무릉도원 같은 이곳은 여름과 가을에 오면 딱 제격이다. 특히 피 서지로 그만이다. 숲이 제법 무성하여 강렬한 햇빛도 고개를 숙일 정도로 시원하며 나무가 베풀 어준신선한 공기를 디저트로 삼으며 백사골의 깨끗한 계곡물과 졸졸졸 음악소리를 감상하면서 독서를 하거나낮잠을 청해보는 것도 괜찮다. 거기에 지금은 주춧돌만 남아버린 별서유적을둘 러보며 자연의 일부가 되어 신선처럼 살고자 했던 그들(주로 지배층들)이 이곳에서 무엇을 하면 서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았을까? 상상해보며 그들을 배우고 그들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도 의미 가 있을 것이다. 다만 2006년 이후 속인들의 발길이 조금씩 늘면서 이곳의 청정함에 다소 해가 되지 않을지 걱정이다. 개인적인 바램이지만 이곳은 대중적인 명소보다는 소수의 사람만이 찾는 그런 비밀의 명소로 남았으면 좋겠다.
※ 북악산 백석동천 찾아가기 (2009년 12월 기준) * 백석동천으로 들어가는 산길은 하림각, 세검정초교(현통사), 자하문 등 모두 3개가 있으며 주 로 하림각과 세검정 코스를 많이 이용한다. 자하문은 이들보다 많이 걸어가야 되는데 북악산 등반을 겯드리는 경우 이용하면 편리하다. 백사골을 알리는 안내문이나이정표가 변변치 못해 초행이거나 길눈에 자신이 없는 사람은 동네 사람들에게 문의하거나 이정표가 있는 하림각 코 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각 코스별 접근 방법 (자하문 제외) 1.하림각 코스 - 하림각 건너편에 신도수퍼가 있는데 그쪽에 44번 백석동길 골목이 있다.(백 석동천을 알리는 이정표가 있음) 그 길은 경사가 다소 가파른데, 10분 정도를 낑낑대고 오르 면 그 길의 끝에 백사골로 들어가는 산길이 나온다. ▶ 교통편 :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서 0212, 1020, 1711, 7016, 7018, 7022번 시내버스를 타고 하림각 하차 2.세검정초교 코스 : 세검정초교 정류장 → '44번 홍지천길'로 쭈욱 올라간다 → 혜문사 입구 →현통사 → 백사골(백석동천) ▶ 교통편 ①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서 0212, 1020, 1711, 7022번 시내버스를 타고 세검정초교 하차 ② 2호선 신촌역(1,3번 출구)에서 110번, 153번 버스를 타고 세검정초교 하차 ③ 3호선 녹번역(4번 출구)에서 7730번 버스를 타고 세검정초교 하차 * 승용차로 백사골까지 접근도 힘들고 주차 장소도 마땅치 않다. 대중교통 이용이 최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