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한반도의 정중앙 강원도 양구(楊口)에서 누린
선사시대로의 여행 ~ 양구 선사박물관 '
▲ 미소를 머금은 가오작리 선돌
|
♠ 선사시대로의 여행 (1) ~ 선사박물관 내부 둘러보기 ![]() ▲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다는 돌덩어리들 |
수만 년 전, 이 땅에 살았던 거의 미개(未開) 수준에 가까웠던 구석기 사람들, 그들은 신석기 |
![]() ▲ 방산면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물들 구석기시대 유물은 정말 전문고고학자가 아닌 이상 식별하기가 어렵다. 단순히 자연산 돌로 보이는 저것들이 구석기 사람들의 생활도구였으니 말이다. |
![]() ▲ 구석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 |
구석기 사람들은 가족 중심의 씨족공동체(氏族共同體)를 형성하며 살았다고 하는데 그들은 주로 |
![]() ▲ 구석기 사람들의 사냥 모습 8명이 멧돼지를 에워싸고 돌을 던지거나 돌도끼를 휘두르고 있다. 산짐승의 저항이 완강했는지 1명이 그의 공격으로 쓰러졌다. |
![]() ▲ 돌을 쪼개고 있는 구석기 사람들 오른쪽에 반궤좌(跪坐)를 한 사람은 돌 위에 조그만 돌을 얹어 붙들고 있고 왼쪽에 서 있는 사람은 뗸석기와 격지를 이용하여 돌을 쪼개고 있다. |
![]() ▲ 신석기(新石器) 사람들의 생활 모습 |
한반도와 요동에 살던 구석기 사람들은 빙하기로 거의 다 사라지고 빙하기를 이겨낸 일부 사람 |
![]() ▲ 빗살무늬토기 - 즐문토기(櫛文土器) |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학창시절 때 지겹도록 들어봤을 것이다. 이 토기 |
![]() ▲ 청동검을 만들던 거푸집 |
한반도와 요동에 살던 신석기 사람들은 청동기(靑銅器)로 무장한 새로운 종족(種族)들의 공격을 |
![]() ▲ 제5전시관에 있는 고대리 2호 고인돌 이 고인돌은 뚜껑돌이 2개로 쪼개진 채로 발견된 탁자식 고인돌로 발견 이후 선사박물관 전시실로 옮겨 그 당시 모습 그대로 재현해놓았다. |
|
![]() ▲ 고인돌 만드는 과정 (2) 암벽에서 떼어내 다듬은 뚜껑돌을 마을 사람 20여 명이 낑낑대며 끌고 있다. 돌 아래에 길다란 나무막대를 깔아 끌고 가기 용이하게 하였다. 왼손으로 동쪽을 가르키며 공사를 독려하는 사람은 새로운 지배자나 그에게 위임을 받은 지배층급의 공사감독관이다. |
![]() ▲ 고인돌 만드는 과정 (3) |
고인돌을 세울 곳에 돌로 기둥을 세우고, 그 높이만큼 흙을 쌓는다. 그 다음에 뚜껑돌을 가지고 |
![]() ▲ 김해토기(金海土器) |
김해토기는 말그대로 경남 김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철기시대(鐵器時代) 토기로 변한연맹(弁韓聯 |
♠ 선사시대로의 여행 (2) ~ 고인돌과 선돌 콜렉션 |
박물관의 북쪽 뜰은 고인돌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고대리와 공수리를 비롯한 양구 전역에서 공원 서쪽에는 복원된 신석기시대 움집이 길게 늘어서 있으며, 고인돌 운반과 석기제작, 수렵체 |
|
|
|
|
|
|
양구에서 고인돌이 제일 많이 발견된 곳은 바로 파로호의 상류인 고대리와 공수리 지역으로 지 |
|
우리나라에 있는 고인돌은 크게 2가지로 뚜껑돌과 기둥이 있는 이른바 탁자식 고인돌과 뚜껑돌 |
|
|
|
고인돌을 만들 때 바닥에 나무를 깔고 돌에 줄을 묶어 여러 사람들이 등에 들쳐메 줄을 끄는 형 |
|
일명 해안펀치볼이라 불리는 해안면 지역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움집을 복원한 것이다. 신석기 |
|
|
박물관 앞뜰에는 미소가 아름다운 선돌 1기가 서 있다. 박물관 안내자료나 홈페이지에 메인으로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0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단 블로그는 한달까지이며, 원본은 2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작게 처리된 사진은 마우스로 꾹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을 읽으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댓글 하나씩 꼭 달아주세요.
Copyright (C) 2010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강원도 사진,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의댐 (0) | 2010.02.06 |
---|---|
화천 토고미마을 (산천어축제장) (0) | 2010.02.05 |
정선 아우라지 (0) | 2009.10.19 |
정선 아라리촌 (0) | 2009.10.19 |
영월 낙화암, 동강 (금강정, 민충사) (0) | 200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