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약수'에 해당되는 글 9건

  1. 2020.01.11 모악산 눈꽃 나들이 [선녀폭포, 대원사, 수왕사, 전북도립미술관]
  2. 2019.07.16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봉화 오전약수와 약수탕, 석천계곡, 석천정사 여름 나들이 (휴천동 지석 및 입석)
  3. 2018.11.03 옛 무덤일까? 탑일까? 깊은 산골에 숨겨진 신비의 돌무더기, 산청 구형왕릉~왕산 늦가을 나들이 (왕산사지, 유의태약수터)
  4. 2018.02.26 첩첩한 산골에 숨겨진 신비의 탄산약수를 찾아서, 춘천 사명산 추곡약수 (천전리 지석묘, 춘천의 먹거리들)
  5. 2017.07.24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더울 때는 땅 속이 최고!!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 광명시 광명동굴 (가학산)
  6. 2017.07.18 백두대간 한복판에 뉘어진 신비의 탄산약수, 홍천 삼봉약수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7. 2017.06.29 호국신의 극락왕생을 책임지는 도심 속의 고즈넉한 산사,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 ~~ (서달산, 현충원 숲길)
  8. 2016.06.17 임진왜란의 쓰라린 흔적, 울산 서생포왜성 (진하해변)
  9. 2013.11.15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 (공룡발자국화석, 연화산 숲길)

모악산 눈꽃 나들이 [선녀폭포, 대원사, 수왕사, 전북도립미술관]



' 모악산 연말 나들이 (대원사, 수왕사) '


▲  모악산 대원사

 


 

겨울 제국(帝國)의 나날이 강성해가던 연말의 어느 평화로운 날 전북 한복판에 자리한 모
악산을 찾았다.
이번 해가 새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지 정말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묵은 해가 되어 다시
금 새로운 해를 맞이해야 된다. 그래서 묵은 해를 정리할 겸, 올해 마지막 답사지를 물색
하다가 모악산 대원사가 격하게 땡겨 그곳으로 쿨하게 길을 잡았다.

아침 일찍 차디찬 새벽 공기를 가르며 서초동 남부터미널로 이동하여 전주로 가는 직행버
스를 나를 담았다. 버스도 추위가 싫었는지 남쪽을 향해 질주하여 2시간 20분만에 전주시
외터미널에 도착했다.

금강산도 식후경(食後景)이라는 크고 아름다운 말이 있듯이 미리 점심을 먹고 움직이고자
전주(全州)에 올 때마다 거의 꼭 들리는 단골 콩나물국밥집(전주한옥마을 부근)에서 전주
의 명물인 콩나물국밥으로 뜨끈하게 배를 채웠다. 거기에 디저트로 주는 커피까지 섭취하
니 식곤증이 밀려와 나를 희롱한다.
그렇게 점심을 먹고 나오니 하늘이 순간 시샘을 벌인 듯, 갑자기 비가 쏟아진다. 비의 양
은 다행히 적었지만 나들이에서 비가 오면 이것만큼 열받는 것도 없다. 어쨌든 비의 방해
공작을 원망하며 전주시내버스 970번(송천동↔전북도립미술관)을 타고 모악산으로 이동했
다.
모악산관광단지(전북도립미술관 종점)에 이르니 귀찮게 하던 비도 다행히 그쳤으나, 하늘
이 일그러진 인상으로 세상을 굽어보고 있어 언제 비나 눈이 투하될지 모를 상황이었다.

  모악산 표석의 위엄


 

♠  모악산(母岳山) 입문

▲  모악산 대원사계곡(시앙골, 물레방아골) 하류

전북 한복판에 장엄하게 누워있는 모악산(794m)은 전주와 완주(完州), 김제(金堤)에 걸쳐있는
산으로 호남평야와 전북 내륙 산간지대의 경계 역할을 하고 있다. 1971년 모악산 일대 42.44
㎢가 모악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정상 밑에 있는 '쉰길바위'가 아기를 안고 있는 어머
니의 모습이라 하여 '엄뫼'라 불렸는데, 그걸 한자로 표현하여 어머니의 산이란 뜻의 모악산
이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신라 후기에는 '금뫼','금산'이라 불리기도 했는데, 모악산의 원래
이름으로 보는 설도 있다.

신라 후기부터 세상을 구할 미륵(彌勒)의 출현을 열망하던 미륵신앙(彌勒信仰)의 성지(聖地)
인 금산사(金山寺)를 비롯해 귀신사(歸信寺), 대원사, 심원암 등 굵직한 오래된 절이 안겨져
있으며, 왕년에는 80여 개의 절과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새로운 종교들이 모악산을 기
반으로 여럿 생겨났는데, 증산교(甑山敎)가 그 대표적이다.
모악산은 봄 풍경이 아름다운데, 특히 금산사 입구 벚꽃길이 매우 유명하다. 하여 변산반도(
邊山半島)의 여름 풍경, 내장산(內藏山)의 가을단풍, 백양사(白羊寺)의 설경과 함께 호남4경
의 하나로 격하게 찬양을 받는다.

모악산 산행은 김제 금산사나 전주 중인동, 완주 모악산관광단지에서 시작하면 편하며, 산에
안긴 명소로는 금산사와 귀신사, 대원사, 심원암, 수왕사 등의 오래된 절과 전북도립미술관,
금산사 벚꽃길, 명당(明堂)으로 소문났으나 이곳에 묘를 쓰면 가뭄이 든다고 전하는 장군봉,
선녀폭포, 전주김씨 시조묘 등이 있다.


▲  전주김씨 세덕비(世德碑)와 전주김씨 종중공덕비(오른쪽 비석)

모악산 동쪽 자락 원기리에는 '모악산관광단지'가 넓게 터를 닦았다. 모악산을 든든한 후광(
後光)으로 삼은 이곳은 다른 관광지와 마찬가지로 토속 음식을 내세운 식당과 가게(편의점),
까페, 등산용품점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관광단지 남쪽에는 전라북도에서 2004년 10월
에 세운 전북도립미술관이 자리하여 전북 지역 현대 미술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허나 미술관은 애당초 계획이 없었기에 쿨하게 통과했다. 나의 미련한 머릿속에는 오로지 모
악산과 대원사 뿐이었기 때문이다. 혹여 대원사를 보고 나올 때 시간이 남으면 들릴까도 했으
나 역시 인연이 닿지 않았다.

평일이라 썰렁한 관광단지를 지나면 눈에 뒤덮힌 모악산의 설경이 나타나면서 전주김씨 세덕
비와 종중공덕비가 슬쩍 모습을 내민다.
여기서 가까운 산자락에 전주김씨 시조인 김태서(金台瑞)의 무덤이 있다. 그래서 이곳에 이들
비석을 주렁주렁 닦아놓은 것인데, 김태서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4째 아들인 김은열(金殷
說)의 후손으로 그의 터전인 경주가 몽골의 침략으로 고통을 받자 1254년에 가솔을 이끌고 전
주로 넘어와 정착했다. 이후 그는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고, 그를 시조로 한 전주김씨가 생
겨나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남북분단의 원흉으로 북한이란 괴뢰 정부를 세운 김일성이 그의 후손이라는 점
이다. 1993년 손석우란 사람이 '터'란 책을 냈는데, 김일성이 시조 무덤의 지기(地氣)를 받아
북한을 세워 집권했으며, 음력 1994년 9월에 죽을 거라는 내용을 다루었다. 비록 달은 틀리지
만 1994년 7월 김일성이 갑자기 골로 가면서 그 책과 전주김씨 시조묘는 잠시 세상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전주김씨 시조묘는 대원사로 올라가는 길목 부근에 자리해 있어 잠시 들릴까 했으나 눈의 방
해가 심해 올라가지는 못했다. 어차피 계획에도 없던 곳이다.


▲  선녀폭포(仙女瀑布)와 폭포를 품은 사랑바위

전주김씨 세덕비에서 대원사계곡(시앙골)을 옆에 끼고 산길을 오르다보면 선녀폭포와 사랑바
위가 모습을 비춘다.
선녀폭포는 높이 5m도 안되는 조그만 폭포로 볼품은 떨어지나 무려 선녀란 이름까지 지닌 것
을 보면 옛 사람들의 마음을 많이도 앗아간 모양이다. 이런 폭포에는 꼭 옛 사람들이 심심풀
이로 지어놓은 전설이 있는 법, 그 믿거나 말거나 전설은 다음과 같다.

아주 먼 옛날, 보름달이 뜨면 하늘나라 선녀들이 선녀폭포로 내려와 목욕을 했다. 다른 유사
전설에서는 그냥 목욕만 하고 돌아갔다고 하는데, 여기서는 목욕 외에 수왕사에 들려 약수도
마시고 모악산 신선과도 어울려 놀았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나뭇꾼이 우연히 폭포 옆을 지나다 목욕 중인 선녀를 발견했고 그들의 아름
다운 자태에 미치도록 넋이 나간 그는 결국 상사병 비슷한 병을 얻어 몸저 눕게 되었다.

병으로 힘들어하던 나뭇꾼은 기왕 이 지경이 된 거 선녀의 모습을 1번만 더 보고 죽자며 보름
달이 뜬 날 폭포를 찾아와 그들을 훔쳐봤다. 그러다가 뜻밖에 한 선녀와 눈이 마주치게 되었
는데, 그 선녀도 나뭇꾼이 좋았는지 둘만 살짝 대원사 백자골 숲으로 자리를 옮겨 사랑을 속
삭이며 예민한(?) 일을 벌이려는 찰라, 갑자기 뇌성병력이 그들을 내리치면서 선녀와 나뭇꾼
은 돌이 되고 말았다.
하늘의 시샘에 돌이 된 그들의 모습이 마치 떨어질 줄 모르고 사랑을 속삭이는 듯 하다 하여
사랑바위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여기서 치성을 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산길에
서 보면 폭포의 모습이 그리 실감나진 않으나, 바로 앞에서 보면 조금은 그럴싸하게 보인다.


▲  대원사계곡(시앙골)을 따라 이어진 모악산 산길

▲  겨울에 잠긴 모악산 산길
겨울 제국에게 모든 것을 털린 나무들은 숨죽이며 봄을 잉태하고 있다.

▲  속세를 향해 흘러가는 대원사계곡(시앙골)
소쩍새가 울 때면 겨울에 묻힌 계곡도 얼음을 박차고 일어날 것이다.


모악산관광단지에서 20분 정도 야트막한 산길을 오르면 대원사가 반갑게 모습을 비춘다. 시앙
골다리를 건너 계단을 오르면 오른쪽에 경내로 인도하는 계단이 놓여져 있고, 그 길을 오르면
비로소 대원사 경내에 이르게 된다.


▲  대원사 직전에 걸린 크리스마스 축하 현수막

▲  대원사 경내로 인도하는 시앙골다리와 계단길


 

♠  모악산 동쪽 자락에 안긴 고즈넉한 산사
대원사(大院寺)

모악산 동쪽 자락에는 고색과 숲내음이 깃든 대원사가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겨울 제국이
내린 두터운 눈을 뒤집어쓰며 겨울 산사의 고적함을 진하게 우려내고 있는데, 종종 나타나는
사람들의 이야기 소리와 추녀 밑에 달린 풍경(바람방울)이 들려주는 그윽한 풍경소리가 고요
한 경내를 살짝 어루만진다.

대원사는 670년에 보덕(普德)의 제자인 일승(一乘), 심정(心正), 대원(大原)이 창건했다고 전
한다. 보덕은 고구려 승려로 열반종(涅槃宗)의 개산조(開山祖)인데, 고구려의 대막리지(大莫
離支)인 연개소문(淵蓋蘇文, ?~666)이 당나라에서 도교(道敎)를 받아들이자 이를 개탄하며 백
제로 넘어갔다. 이때 신통력으로 완주 고덕산(高德山)으로 날라와 경복사(景福寺)를 세웠다고
하며, 절을 세운지 얼마 안가서 고구려가 망했다.

보덕의 제자인 일승, 심정, 대원은 경복사가 보이는 지금의 자리에 절을 세워 대원사(大原寺)
라 했다고 전한다. 보덕의 설화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도 나와있지만 대원사 창건까지는 나
와있지 않아 670년 창건설(또는 660년)에 썩 신뢰는 가지 않는다. 게다가 창건 시기를 입증해
줄 신라 후기 유물과 유적은 전혀 없으며, 1066년에 원명국사(圓明國師)가 중창했다는 이야기
가 있어 이때 창건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1374년 나옹(懶翁)이 중창을 했다고 하며, 1415년에 다시 중창을 벌였다. 그러다가 1597년 정
유재란으로 말끔히 파괴되자 1606년 부처로 추앙받는 진묵(震默)이 다시 일으켜 세웠고, 1733
년 동명 천조(東明 千照)가 중창을, 1886년에는 금강산 건봉사(乾鳳寺) 승려인 금곡(錦谷)과
인오 등이 중창했다. 금곡은 함수산(咸水山) 거사와 함께 대웅전과 명부전을 중건했으며, 내
원암(內院庵)에 있던 염불당을 가져왔다.

1950년 6.25전쟁으로 대부분이 파괴된 것을 덕운이 1959년부터 불사를 일으켜 하나씩 건물을
일으켜 세웠다. 1993년 칠성각을 부시고 요사채를 지었으며, 삼성각을 다시 지었다. 그리고
2001년 이후 명부전과 대웅전 수미단을 손질해 지금에 이른다.

예전에는 비록 음은 같지만 가운데 한자만 살짝 다른 대원사(大圓寺)였으나 근래 지금의 한자
로 갈렸으며, 대웅전과 삼성각, 명부전, 나한전, 범종각, 요사 등 약 10동 정도의 건물이 조
촐한 경내를 메우고 있다.
소장문화유산으로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목조삼세불좌상과 용각부도가 있고, 1606년에 조성
된 목각사자상(전북 지방민속문화재 9호)도 있었으나 1988년에 도난을 당했다. 그러다가 1999
년에 서울 가회동(嘉會洞)의 어느 화랑에서 발견되었으나 공소시효를 주장하며 돌려주지 않았
으며, 서울 인사동에 어느 작자에게 넘어가면서 아직까지도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1999년에
지방문화재에서 정리되었음) 그 밖에 오래된 5층석탑 2기와 승탑(부도) 6기가 절의 숙성된 내
력을 알려준다.

이곳은 천하대복지(天下大福地)의 최길상(最吉祥)으로 치는 명당으로 효의 절, 어머니 절, 발
원을 이루는 기도처로 꼽히며, 특히 증산교를 세운 증산 강일순(甑山 姜一淳, 1871~1909)이
도를 깨우친 현장이기도 하다.
매년 1월 1일에는 '촛불기원 해맞이 타종제' 행사가, 4월에는 '모악산 진달래 화전축제'를 열
어 속세에 큰 호응을 받고 있는데, 화전축제는 이곳의 백미(白眉)로 꼽힌다.

▲  매점과 찻집으로 쓰이는 소화당(笑話堂)

▲  소화당 현판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소화당이란 조그만 목조집이 마중한다. 이 건물은 불교용품과 기
념품, 커피, 전통차를 파는 매점으로 커피는 무려 3,000원대를 받는다. 건물 옆에는 잠시 쉬
어갈 수 있도록 파라솔이 달린 탁자와 의자가 놓여져 있고, 건물 정면에는 소화당이라 쓰인
현판이 걸려있는데, 마치 미소를 머금고 있는 듯한 상큼한 모습이다.


▲  겨울 산사의 내음을 진하게 보여주는 대원사 경내

▲  대원사 아랫쪽 5층석탑

소화당을 지나면 바로 대웅전 뜨락이다. 정면에는 대웅전이 마주보고 있고, 오른쪽에는 요사
와 모악당, 샘터, 왼쪽에는 5층석탑과 범종각, 명부전 등이 뜨락을 둘러싸고 있다.
바로 왼쪽에 보이는 5층석탑은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20세기 중반 이후에 손질하면서 4
사자5층석탑으로 성형되었다. 그러다보니 고색의 내음이 다소 떨어진다. 그 뒷쪽에는 범종(梵
鍾)의 보금자리인 범종각이 있다.


▲  대원사 대웅전(大雄殿)

동쪽을 바라보고 선 대웅전은 대원사의 중심 건물(법당)로 석축 위에 높이 자리해 있다. 정면
과 측면이 각각 3칸인 주심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법당치고는 매우 작은 덩치인데 1886년에 지
어졌으나 6.25때 불탄 것을 1959년 이후에 다시 지었다.
불단(佛壇)에는 목조3세불좌상과 삼신후불탱 등이 있으며, 지금은 없지만 괴목(槐木)으로 만
든 목각사자상이 있었다. 이 사자상은 진묵대사가 축생(畜生)들을 천상(天上)으로 천도하고자
만든 것이라 하며 그 위에 북을 올려놓고 쳤다고 한다. 허나 1988년 불의의 도난을 당했고 다
행히 1999년에 서울 가회동에서 발견되었으나 소유자인 이영옥이 이현수란 사람에게 팔아먹는
등 우여곡절이 심해 아직까지 제자리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  대원사 목조삼세불좌상 - 전북 지방유형문화재 215호

대웅전 불단에는 나무로 만들어 도금을 입힌 목조3세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얼굴부터 밑도
리까지 하나 같이 두텁게 생긴 이들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로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
사불(藥師佛)을 거느린 3세불(三世佛)로 17세기에 조성된 것이다.
석가여래와 약사불, 아미타불로 이루어진 3세불은 조선 중/후기에 많이 나타나는 불상 형태로
중앙에 자리한 석가여래는 중심 불상답게 키가 제일 크며(130cm), 좌우 불상은 116cm 정도이
다. 앞으로 조금 내민 얼굴은 다소 경직되고 딱딱한 표정으로 볼살이 많고 이마가 넓으며, 꼽
슬 머리에는 무견정상(無見頂相, 육계)이 두툼하게 솟아있다.
수인(手印)만 서로 다를 뿐 머리부터 발끝까지 거의 비슷한 모습이며, 윗도리가 아랫도리보다
다소 살이 찐 모습으로 17세기 호남에서 활동하던 조각승들의 조각 스타일이 잘 반영되어 있
다. 그들 뒤에는 화려한 색채의 삼신후불탱이 든든하게 자리해 있다.


▲  대원사 명부전(冥府殿)

대웅전 우측에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 저승)의 식구들이 봉안된 명부전이 대웅전을 바라보
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시원스런 팔작지붕 건물로 1887년에 금곡이 지었으며, 2001년
에 중수했다.


▲  조선 후기에 조성된 명부전 지장보살상
그 좌우로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가 그를 보좌한다.

▲  명부전 10왕(시왕)과 판관(判官), 금강역사상

▲  명부전 윗쪽에 자리한 적묵당(寂默堂)

▲  종무소로 쓰이는 모악당(母岳堂)

▲  모악당 뒷쪽에 자리한 나한전(羅漢殿)

▲  나한전에 봉안된 석가여래와 거울 광배

나한전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석가여래와 그의 열성제자인 16나한(羅漢)의 거처이다. 석가
여래의 광배(光背)가 매우 특이한 모습을 취하고 있는데, 광배 테두리는 검은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배 중앙에 거울까지 달려있어 잠시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아마도 그런 의
도로 거울을 갖추었을 것이다.

  나한전 석가후불탱(19세기 작)과
색채감이 돋보이는 16나한상

  모악당 옆에 자리한 샘터


  경내 윗쪽에 자리한 5층석탑

경내 뒷쪽 언덕에는 고색이 느껴지는 5층석탑이 경내를 굽어보고 있다. 대원사는 특이하게 오
층석탑이 2기나 있는데, 법당 앞이 아닌 다들 구석에 자리해 있다. 아마도 비보풍수(裨補風水
)의 일환으로 그렇게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어쨌든 이 탑은 2중으로 이루어진 커다란 석축을 기반 삼아, 네모난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2
중의 기단(基壇)과 5층의 탑신(塔身), 얇은 머리장식을 차례대로 얹혔는데, 탑신 지붕돌이 다
소 헝클어지고, 머리 장식 상당수가 사라진 것 외에는 그런데로 상태는 괜찮다.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용각부도 다음으로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이다.


  대원사 아랫 승탑군(僧塔群)

5층석탑에서 경내 뒷쪽을 거쳐 북서쪽 산길을 조금 오르면 녹색 철책에 둘러싸인 승탑군(부도
군)을 만나게 된다.
승탑<부도(浮屠)>이란 승려의 사리를 머금은 탑으로 대원사에는 9기(또는 10기)의 오래된 승
탑이 전하고 있는데, 용각부도 1기만 제외하고 모두 조선 중/후기 것이다. 이중 대웅전 남쪽
밑에 있던 승탑 3기(또는 4기)는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진 상태이고, 경내 윗쪽에 2개 그룹으
로 4기와 2기 등 총 6기만 전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대원사는 잃어버린 것이 참 많다. 절의
초창기 역사도 그렇고, 목각사자상, 거기에 승탑까지 말이다.

  대원사 용각부도(龍刻浮屠) - 전북 지방유형문화재 71호

대원사 승탑 중의 아주 유별나게 눈에 띄는 존재가 있다. 바로 검은 피부로 이루어진 용각부
도(용각승탑)이다.
높이 187cm의 이 승탑은 이름 그대로 용이 새겨진 것으로 옥개석 아랫부분에는 대모양의 무늬
위에 겹잎으로 된 18개의 연꽃무늬가 있으며, 그 위에 구름무늬를 새기고 가운데 부분에 여의
주(如意珠)를 두고 다투는 2마리 용을 진하게 새겨놓았다. 승탑의 피부가 완전 흑백이라 실감
이 덜해서 그렇지 만약에 칼라였다면 진짜 용도 시샘을 했을 것이다. 용의 비늘과 피부, 구름
무늬 등이 아주 실감나게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 탑은 고려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용무늬까지 새겨진 것으로 보아 어느 고승의 승
탑으로 여겨진다. 그 고승의 덕과 업적이 대단했던지 제자들이 심혈을 기울여 저 탑을 조성해
스승의 넋을 기렸던 모양이다.

장대한 세월을 거치면서 반질반질했던 피부는 검은 피부로 대부분 타버렸고, 군데군데 주근깨
같은 것도 달려있지만 이들은 세월이 달아준 훈장으로 보면 될 것 같다. 머리 장식과 기단부
가 조금 깨진 것을 보면 대부분 잘 남아있는데, 머리 장식은 다른 데서 가져왔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대원사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이자 제일 가는 꿀단지로 이렇게 화려한 용 문양을 지닌
승탑은 처음 본다. 그러다보니 지닌 다른 승탑은 거의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용각부도 주변에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승탑 3기가 있다. 매력 만점의 용각부도에 단단히 묻
힌 탓에 그리 주목은 못받고 있지만 조선시대에 흔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스타일의 탑으
로 용각부도와 긴 시간을 뛰어넘으며 나란히 자리한 모습이 마치, 부모와 자식들 같다. 그 옆
에는 마치 버섯이나 양봉통처럼 생긴 조그만 승탑이 있어 귀엽기 그지 없는데, 이들 탑의 주
인에 대해서는 그다지 전해오는 것이 없다.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대원사 윗 승탑군

아랫 승탑군에서 윗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녹색 철책에 둘러싸인 윗 승탑군이 나온다. 이곳에
는 2기의 승탑이 있는데, 검은 때가 자욱한 왼쪽 탑은 기단부와 바닥돌을 갖추고 있고, 하얀
피부가 역력한 오른쪽 탑은 바닥돌 위에 바로 탑을 올렸다. 이들은 조선 중/후기에 조성된 것
으로 탑의 주인에 대해서는 전하는 것이 없다.
이들은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자리해 있어 여기서 더 이상 올라갈 공간이 없다.
주변은 대원사 소유의 숲이며 공식 탐방로도 없기 때문이다. (비법정 탐방로만 있음)


  아랫 승탑군에서 바라본 대원사의 뒷모습

  모악산 산길과 이어진 대원사 남쪽 문

  대원사 돌담을 따라 이어진 모악산 산길

승탑을 끝으로 대원사 관람은 마무리가 되었다. 원래는 대원사만 보고 전주로 쿨하게 철수하
려고 했으나, 여기서 정상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면 물맛이 일품이라는 오래된 절, 수왕사가
있다고 하여 시간도 아직 이르고 해서 거기까지 발을 넓혀보기로 했다. 기왕 모악산의 품에
들어섰으니 그 품을 더 파고들어야 아쉬움이 없겠지. 다행히 수왕사까지는 1km 남짓이다. (산
에서 1km는 평지의 1km보다 훨씬 김)
허나 문제는 산에 눈이 많이 쌓여있고 얼음 길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거기에 대해서는 전혀
대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걱정이 좀 되었다. 올라갈 때야 별로 문제는 안되지만 문제는 내
려올 때가 아니던가? (트래킹화를 신고 온 것이 전부임) 허나 이미 내 마음은 수왕사에 올라
가 나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 거기까지 무작정 올라가기로 했다. 내려갈 때 걱정은 나중이다.

* 대원사 소재지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997 (모악산길 243, ☎ 063-221-8502)


 

♠  모악산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고적한 산사
수왕사(水王寺)

  모악산 정상과 수왕사로 인도하는 눈덮힌 산길

대원사에서 수왕사까지는 산길을 20분 정도 올라가야 된다. 겨울이 내린 눈과 얼음이 두텁게
깔려있어 올라가고 내려가는 길이 그리 넉넉치가 않은데, 앞만 보고 열심히 오른 끝에 해발
약 560m에 자리한 수왕사입구 쉼터에 이르렀다.
여기서 서쪽으로 난 가파른 산길을 오르면 모악산 정상이고, 남쪽으로 나있는 벼랑길로 가면
첩첩한 산주름 속에 묻힌 고적한 절집, 수왕사가 반갑게 모습을 비춘다.


  수왕사입구 쉼터

  수왕사입구 쉼터에서 수왕사로 인도하는 벼랑길
안전한 통행을 위해 벼랑길에 철난간을 둘러 절을 찾은 이들을 배려했다.


  소박한 모습의 수왕사 경내

해발 570m 고지에 자리한 수왕사는 모악산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절이다. 이곳은 약수가 유
명하여 '물왕이절','무량(無量)이절'이라 불렸는데, 680년에 완주 경천사를 지은 보덕이 수도
장으로 창건했다고 전한다. 허나 이를 입증할 유적이나 관련 역사 기록이 전혀 없어 신빙성은
없으며, 이곳 밑에 대원사가 있어 대원사나 금산사 승려의 참선 장소로 쓰였다가 조선 때 건
물을 심으면서 절이 된 것이 아닐까 싶다.

1125년에 원명국사(圓明國師)가 중창했다고 하나 이 역시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며, 1597년 정
유재란(丁酉再亂)으로 불탄 것을 1604년 진묵대사가 중건하여 머물렀다. 6.25전쟁이 한참인
1951년 1월 10일, 모악산 일대를 어지럽히던 공비를 토벌하고자 작전상 소실된 것을 1953년에
천석진사(千錫振師)가 다시 세웠다.

이곳은 모악산 정상 북쪽 밑으로 가파른 곳에 간신히 터를 닦은 탓에 절이 매우 단출하다. 법
당과 요사, 진묵조사전이 좁은 경내를 이루고 있으며, 근래에 새로 지어진 탓에 고색의 내음
은 진작에 날라가버렸다. 오래된 유물도 없고, 건물도 슬레이트 지붕으로 된 여염집 스타일이
라 겉으로 보이는 절집 분위기도 다소 떨어진다. 게다가 첩첩한 산속에 묻혀있다보니 머무는
승려도 거의 없고 절을 찾는 신도나 산꾼도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대원사에 많이 의존
을 한다.
또한 수왕사는 완주 지역 전통민속주로 꼽히는 송화백일주(松花百日酒), 송죽오곡주(松竹五穀
酒)를 생산하는 현장으로 주지승인 벽암(碧岩)이 수왕사 약수로 직접 술을 빚는다. 그는 대한
민국 전통식품 명인 1호로 지정된 전통민속주의 장인이자 수왕사의 자랑으로 술을 멀리하는
절에서 곡차(穀茶)로 빗대 표현되는 술을 직접 만든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하다.

  수왕사 법당

  법당 내부 (석가3존불과 여러 탱화들)

동쪽을 바라보고 선 수왕사 법당은 금동으로 치장된 석가3존불과 석가후불탱, 신중탱, 용왕탱
이 봉안되어 있다. 절은 작고 초라해도 법당 내부에 봉안된 존재만큼은 다른 절 못지 않은데,
바다와 전혀 관련도 없을 것 같은 이곳에 용왕탱이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이는 수왕사가 거
의 약수로 지탱하는 절이다보니 물을 관리하는 용왕(龍王)이 담긴 용왕탱을 봉안해 매일 좋은
물이 나오도록 기원하는 것이다.

  법당 신중탱(왼쪽)과 용왕탱(오른쪽)

  수왕사 약수터

수왕사의 든든한 후광인 약수터는 겨울 제국의 심술로 얼음에 완전 봉해진 상태이다. 그래서
이곳의 명물인 약수를 마시지 못했지. 선녀도 와서 마신다는 물인데 이렇게 막혀버렸으니 여
기까지 온 보람이 크게 떨어진다.


  진묵조사전(震默祖師殿)

보통 절은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산신각이나 삼성각을 두기 마련이나 이곳은 절
을 중창한 진묵대사를 봉안한 진묵조사전을 그 자리에 두었다. 여기서만큼은 산신이나 칠성,
지장보살보다 진묵대사를 더 크게 여기기 때문이다.
바위 밑 가파른 곳에 간신히 자리를 닦고 진묵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1칸 크기의 집을 두었
는데, 그곳까지 인도하는 돌계단을 법당 옆까지 늘어뜨려놓았다.


  하늘색 두광(頭光)까지 갖춘 진묵대사의 진영

진묵(1562~1633)은 수왕사와 대원사의 중창주이자 석가여래의 소화신(小化身)으로 격하게 추
앙을 받는 고승으로 그의 흥미로운 이적과 일화가 많이 남아있다.
그가 동자승이던 시절, 주지승이 그에게 향불을 피우게 하니 주지승 꿈에 제천(諸天) 등이 나
타나 '부처가 향을 피우니 우리는 받을 수 없소!' 했다는 것, 8만대장경을 모두 암송하고 무
슨 책이든 바로 다 외워버려 따로 스승이 필요 없었다는 것. 해인사에 불이 나자 소나무잎에
물을 묻혀 뿌리니 큰 비가 내려 불이 진화되었다는 것, 동네 사람들이 물고기 매운탕을 먹고
가라며 놀리자 탕이 담긴 가마솥을 번쩍 들어 다 흡입한 다음, 엉덩이를 까서 변을 누니 물고
기가 살아서 나왔다는 설화 등, 술을 흔히 곡차(穀茶)라 부르는데, 이는 그가 술을 즐겨 마시
며 곡차라고 했다는 것, 어머니의 무덤을 '무자식 천년향화지지(無子息 千年香火之地)'란 명
당에 썼다는 것 등 재미나고 신비로운 일화가 전해져 온다.

* 수왕사 소재지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산13 (모악산길 246, ☎ 063-287-0485)


  수왕사에서 바라본 천하 (바로 앞에 나무들이 있어서 시야는 별로)

수왕사를 둘러보니 시간은 어느덧 15시가 넘었다. 마음 같아서는 바로 뒷쪽인 모악산 정상까
지 오르고 싶었으나 시간도 늦고 산길도 가파르며 거기에 눈과 얼음까지 덮여있으니 오를 엄
두가 나지 않는다. 아이젠이라도 있었으면 모르지만 그것도 없다. 이럴 때는 건방 떨지 말고
자존심을 곱게 접고 무조건 내려가는 것이 상책, 안그래도 수왕사까지 눈길을 뚫고 무리하게
올라온 터라 내려가는 것도 걱정인데 자꾸 일을 벌여봐야 좋을 것이 없다.

산길을 기어가듯 조심에 조심을 기하며 내려가 별탈없이 대원사에 도착했다. 여기서 관광단지
까지는 길이 완만하기 때문에 별 어려움은 없다. 처음에는 대원사만 보려고 들어왔는데, 수왕
사까지 보너스로 겯드리면서 모악산에서의 일정이 다소 연장되었다.

전북도립미술관 종점에 이르니 마침 전주시내버스 970번이 바퀴를 접고 쉬고 있어 그것을 타
고 미련없이 전주시내로 나갔다.
이렇게 하여 연말의 모악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12월 2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봉화 오전약수와 약수탕, 석천계곡, 석천정사 여름 나들이 (휴천동 지석 및 입석)

 


' 경북 영주, 봉화 나들이 (오전약수터, 석천계곡) '

▲  오전약수터

▲  석천계곡

▲  석천정사


 

 

여름 제국의 한복판인 7월 중순의 어느 평화로운 날, 몸에 좋은 탄산약수와 시원한 계곡
생각이 간절하여 간만에 수도권을 벗어났다.

청량리역에서 안동(安東)으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에 나를 담고 원주, 제천, 단양을 거쳐
영주로 내려가는데, 죽령(竹嶺) 이전까지만 해도 장마의 기운이 여전했으나 죽령을 지나
면서부터 차창 밖은 완전 다른 세상으로 바뀌었다. 단지 고개 하나를 지났을 뿐인데, 중
부 지방에서 남부로 지역이 지역이 바뀌었고 장마가 죽령을 넘지 못하면서 그 이남은 벌
써부터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판을 치는 것이다.

영주역에 도착해 두 발을 내리니 거의 숨이 막힐 정도로 후덥지근한 날씨가 나를 맞이한
다. 장마로 조금은 선선한 서울 날씨에 익숙해진 탓에 처음에는 좀 난감했지. 하여 인근
편의점으로 들어가 무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벗삼아 컵라면과 삼각깁밥 등으로 조촐하
게 이른 점심을 때우며 더위에 흥분한 몸을 달랬다.

사막의 오아시스 같던 편의점을 나와 무더위를 뚫고 영주여객 종점으로 이동하다가 문득
생각나는 존재가 있어 휴천동 주택가를 기웃거렸다.


 

 

♠  이 땅에 흔치 않은 고인돌과 선돌의 공존 현장
영주 휴천동 지석(支石) 및 입석(立石) -
경북 지방기념물 24호

휴천동(休川洞) 주택가 속 조그만 공원에는 장대한 세월을 머금은 존재들이 있다. 바로 고인
돌<지석묘(支石墓)>과 선돌(입석) 형제이다.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휴천리 지석 및 입석')
이들은 고인돌 2기와 선돌 1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가 허전한 돌이 여럿 자리해 있어 고
인돌이 더 있었음을 가늠케 한다.
고인돌과 선돌은 학창시절 교과서부터 요란하게 등장하는 존재로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대
표적인 유적이다. 고인돌은 지역과 마을을 다스리던 우두머리의 무덤, 선돌은 세력이나 마을
간의 경계 표시나 기념비, 신앙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선돌이 나중에 장승
으로 변했다고 함) 특히 고인돌은 한반도와 요동(遼東), 만주에 집중 분포하고 있어 우리 역
사의 특허 유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인돌 분포지를 옛 조선의 영역으로 보기도 함)
이렇게 고인돌과 선돌이 많이 널려있지만 정작 그들이 같이 있는 현장은 매우 희귀한데, 이곳
휴천동 유적은 바로 그 흔치 않은 두 존재의 흥미로운 공존 현장이다.

2그루의 나무가 넓게 그늘을 드리운 곳에 드러누워 여름 제국을 잊고 사는 이들 고인돌은 조
그만 돌을 기반으로 삼고, 그 위에 넓직한 뚜껑돌을 올렸는데, 아직 학술조사를 벌이지 않아
땅 속 사정을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이 지역을 주름잡던 고인돌 주인의 시신이 담긴 공간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고인돌 곁에 서 있는 선돌은 남자 성인 키의 절반 정도의 높이
로 예전에는 치성의 장소로 쓰이기도 했다.

▲  북쪽에서 바라본 고인돌 형제

▲  고인돌 남쪽에 자리한 선돌

오랜 세월을 탄 고인돌은 피부가 까무잡잡하며, 선돌도 비슷하나 남쪽 면은 제법 하얗다. 이
곳은 무려 20여 년 전에 와본 인연이 있는데, 보호 난간과 공원이 조성된 것 외에는 고인돌과
선돌 자체는 딱히 달라진 것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내가 많이 변해 버렸지. (그때는 파릇파
릇했던 10대 시절, 지금은 그저 눈물만 ㅠㅠ)
고인돌 주변은 조촐하게 공원이 닦여져 있으며, 동네 사람들이 일군 조그만 텃밭도 있어 도심
속의 소소한 휴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휴식처는 엄밀히 따지면 고인돌/선돌 형제가 시민
들에게 준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들이 아니었다면 이곳도 진작에 건물이 들어섰을 것이다.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693-1,-2


 

휴천동 지석/입석을 오랜만에 인연 짓고 영주여객 종점(영주시내버스 차고지)으로 이동해 봉
화(奉化)로 가는 영주좌석버스 33번을 탔다. 날씨도 허벌나게 무덥고 가격도 비싼 좌석버스이
건만 무정하게도 냉방을 틀지 않아 창문을 열어 자연산 바람에 의지해 더위를 쫓았다. 
영주시내와 봉화읍내는 30리 남짓의 가까운 거리라 약 30분 만에 봉화읍내에 진입, 읍내 한복
판에 자리한 봉화터미널에서 하차했다.

봉화터미널로 들어가 그날의 주메뉴인 오전약수터행 시간표를 확인하니 40분 뒤에 차가 있다.
하여 그 시간을 억지로 죽이다가 오전약수터(오전약수탕)로 가는 군내버스에 나를 담고 북쪽
으로 향한다.
차가 막힐 일이 거의 없는 곳이라 2차선 도로를 쌩쌩 질주하며, 석천계곡과 북지리 마애여래
좌상, 계서당(溪西堂) 입구를 지나 어느새 물야(物野)에 이른다.
물야에서 사람들은 모두 내리고, 나와 운전사 둘만 남은 상태로 내성천(乃城川)을 따라 북쪽
으로 더 들어가니 물야저수지가 물연기를 모락모락 피우며 그림 같은 표정으로 나를 맞는다.
그 호수를 지나 2분 정도 더 가니 오전약수터 주차장이 나오고, 주차장 북쪽 가게에서 버스는
심장 소리를 멈추었다. 그곳이 바로 오전약수탕 종점이다.


 

 

♠  탄산 약수의 정석, 봉화 오전약수(梧田藥水)터 <오전약수관광지>

▲  오전약수터 주차장에 세워진 오전약수관광지 표석

선달산(先達山, 1,236m) 동남쪽 자락 450m 고지에 자리한 오전약수터(오전약수탕)는 일반적인
약수와 달리 탄산과 철분이 함유된 약수(藥水)이다. 이런 약수는 주로 백두대간(白頭大幹)이
지나는 강원도 영서(嶺西) 지방(춘천, 양구, 인제, 평창, 홍천, 정선)과 경북 산간지대(봉화,
청송)에 분포하고 있는데, 모두 교통이 불편한 첩첩한 산주름 속에 묻혀있다.

오전약수터의 오전은 점심 이전의 오전(午前)이 아니라 쑥밭을 뜻하는 한자어로 조선 성종(成
宗) 때 보부상(褓負商)이 발견했다고 전한다. 그 보부상은 서벽장과 오전리 후평장을 오가며
장사를 했는데, 산을 넘다가 너무 피곤하여 쑥밭에 벌러덩 누워 잠을 청했다. 그때 만병통치(
萬病通治) 약수가 있다는 꿈을 꾸고 놀라 깨어보니 바로 옆에서 약수가 솟는 것이 아닌가. 그
약수가 바로 오전약수라고 한다.
성종 임금은 천하에서 가장 물맛이 좋은 약수를 추천하게 했는데, 오전약수가 그 으뜸으로 뽑
혔다고 전한다. (전국 약수 대회에서 1등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음) 중종(中宗) 시절에는 풍기
군수를 지내며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세운 주세붕(周世鵬)이 즐겨 찾았으며, 그가 남긴 4편의
약수터 찬양시가 전해오고 있다.

영남 북부 제일의 약수터로 오랜 인기를 누렸으며, 탄산과 철분이 강해 피부병과 위장병에 아
주 좋다고 전한다. 이런 약수는 사이다처럼 톡쏘는 맛이 나고, 맛이 일반 약수보다 쓴 편으로
여기에 설탕을 넣으면 거의 사이다가 된다.
약수의 성분은 탄산과 철분이 거의 절반을 이루고 있으며, 마그네슘이 1/3정도 된다. 그래서
약수터 주변이 온통 시뻘겋다. 또한 이런 물로 몸을 씻으면 건강에 좋다고 하여 약수터 부근
에 목욕탕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런 탕을 약수탕(藥水湯)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곳을 오전약
수탕이라 부름) 

오전약수 같은 탄산/철분 약수는 일반 약수와 맛이 틀리다. 철없던 어린 시절에는 이런 약수
를 가장 기피하여 입에 대지도 않았지, 그런데 이런 약수로 지은 밥은 밥이 파랗게 물이 오르
면서 일반 밥과 달리 꼬들꼬들하고 맛이 좋았다. 물은 싫었지만 그 물로 지은 밥은 좋았던 것
이다.
그러다가 시간이 흘러 20대 후반에 탄산약수의 하나인 설악산 오색약수(五色藥水)를 오랜만에
가보았는데, 약수터가 마르도록 본전을 뽑았다. 소시(少時)적에 그토록 싫어했던 물맛이 이제
는 달콤한 물맛으로 바뀐 것이다. 물론 몸에 좋다는 이유도 크게 한몫했지, 맛은 좀 쓰지만
몸에 좋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다. 이제 슬슬 몸을 생각할 나이대가 된 것이다.
그 이후 오랫동안 그런 약수를 찾지 못했다가 이번에 이렇게 오전약수를 찾게 된 것이다.

약수터에는 거북이 석상이 물을 졸졸 내뱉고 있는데, 몇 바가지를 마셨는지 모른다. 위장병이
그렇게 심한 편은 아니나 물이 몸 속에 들어가니 정말 약수의 효과인지 꼬르륵하던 뱃속이 조
용해진 거 같다. 마치 속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


▲  오전약수터(왼쪽 6각형 정자)와 보부상 석상

▲  탄산 약수의 정석, 오전약수터

오전약수탕 종점에서 무성한 숲길을 3분 정도 들어가면 6각형 정자에 자리한 오전약수터가 활
짝 모습을 드러낸다. 한참을 들어가야 나올 것 같은 신비의 약수가 싱겁게 나와버려 이게 정
말 오전이 맞나? 오후 아닌가? 갸우뚱했지만 오전은 맞다. 의심할 필요가 없다.
약수터 주변에는 그를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은 식당이 여럿 있는데, 한결같이 이 물을 이
용하여 닭백숙을 내놓고 있다. 탄산 약수로 고아 만든 닭백숙은 맛도 일품이고, 몸에도 좋다
고 하여 이곳의 든든한 별미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다보니 가격이 좀 있는 편인데,
혼자 온 탓에 백숙은 먹지 않았다.

식당은 대부분 민박을 겸하고 있으며, 평일이라 다들 한산하다. 약수터도 덩달아 한산하여 혼
자 거의 전세를 내다싶이하여 물을 섭취했다. 기분 같아서는 이 약수터를 집으로 가져와 혼자
두고두고 마시고 싶지만 그럴 권한과 힘은 나에게 없었다. 선달산 산신령을 뇌물을 구워삶아
약수터를 내게 달라고 청하고 싶지만 산신령이 약을 빨지 않는 이상은 이곳의 꿀인 약수터를
내주지 않을 것이다. 오전약수터는 바로 이곳에 있어야만 그 진가를 발휘하지 다른 데로 가면
죽은 약수가 된다.

오전약수터는 1986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그래서 많은 식당과 민박집이 생겨났으며, 약
수터 동쪽에는 몸을 씻을 수 있는 약수탕이 조성되어있고, 북쪽에는 근래에 인공폭포와 조그
만 공원을 닦았다. 또한 도보길 유행붐을 타고 봉화군에서 야심차게 추진한 외씨버선길이 이
곳을 지나간다.
인공폭포와 공원은 약수터 외에는 딱히 볼거리가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조성한 것 같은데
, 솔직히 오전약수와 어울리는 존재는 아니다. 이런 약수터에는 샘터과 계곡, 적당한 양의 편
의 시설(식당, 숙박업소) 정도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보며 이런 어설픈 것까지 굳이 만들어야
했는지 의문이다.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전리 99-5, 1212 (오전약수탕길 18-24, 문수로 1601)


▲  오전약수터 옆을 흐르는 오전계곡 (내성천 상류)

▲  오전약수터 북쪽에 조성된 인공폭포
인공폭포 위쪽에는 넓게 공원을 조성하여 정자와 연못, 공연장을 두었다.


오전약수터와 인공폭포 공원에서 1시간 정도 머물다가 버스 시간에 맞춰 종점으로 나갔다. 외
씨버선길을 타고 두내약수탕(두내약수터)으로 넘어갈 생각도 했지만 날씨가 무더워 그건 포기
했다. 하여 일단 읍내로 나가면서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을 마음에 두고 있었는데, 사람의 마음
이 갈대라 이내 변심하여 예전에 갔던 석천계곡(석천정사)으로 메뉴를 바꿨다. 한여름에는 뭐
니뭐니해도 계곡과 바다가 최고 아니겠는가.

봉화읍으로 나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석천계곡 입구이자 읍내 직전인 삼계에서 내렸다. 계곡으
로 들어가려던 찰라에 문득 마을 쪽에서 오래된 기와집 하나가 크게 눈빛을 보낸다. 하여 그
눈빛에 일부러 홀리며 가보니 삼계서원이란 오래된 서원이다.


▲  삼계서원(三溪書院) - 경북 지방문화재자료 417호

석천계곡 입구 북쪽에 자리한 삼계서원은 석천계곡과 닭실을 일군 충재 권벌(沖齋 權橃, 1478
~1548)을 배향한 서원이다.
1588년 안동부사(安東府使) 김우옹(金宇顒)이 권벌을 기리고자 석천계곡 입구에 조촐하게 세
웠는데, 1601년 한강 정구(寒岡 鄭逑)가 건물 이름을 지어주었고, 1660년 삼계란 사액(賜額)
을 받아 국가 공인 서원이 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통 큰 서원 정리 사업으로 사당과 환성문(喚惺門), 관물루(
觀物樓)가 철거되었으며, 1951년에 중건되었다. 이곳은 특히 을미의병(乙未義兵)이 한참 일어
나던 1895년 안동 유림들이 권세현(權世賢)을 의병(義兵) 대장으로 추대하며 격문(檄文)을 작
성했던 현장이기도 하다.

서원의 구조는 앞에 공부를 하는 강당(講堂)을 두고 뒤에 사당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
태로 좀 지나치게 커 보이는 2층 누각인 관물루가 서원 앞쪽에 자리해 있는데, 그 가운데 칸
에 문을 두어 환성문이라 했다. 허나 문은 굳게 잠겨있어 좀처럼 열릴 줄을 모른다.
환성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있고, 정면에는 강당이 자리해 있는데,
서원 철폐 당시 거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존재로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그래서 고색
의 기운이 진하다. 강당 뒤쪽에는 사당이 자리해 있고, 서재 좌측에는 관리인이 머무는 건물
이 있으며, 동재 옆에는 1906년 사림(士林)에서 세운 신도비와 비각이 있다.

서원 주위로 돌담을 길게 둘렀는데, 오래된 마을의 돌담길처럼 정겹고 푸근한 모습이다. 서원
서쪽에는 관리인이 머무는 건물이 있는데, 그곳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는 것도 가능하나 어차
피 밖에서도 사당을 제외하고 보일 것은 다 보이므로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 들어가기도 귀찮
고, 그때 내 마음은 이미 석천계곡에 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 삼계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삼계리 174 (생기마1길 24)

▲  담장 너머로 바라본 강당과 동/서재

▲  1906년에 세워진 권벌 신도비(神道碑)


 

 

♠  봉화 제일의 경승지, 석천계곡(石泉溪谷) - 명승 60호

▲  석천계곡 입구

삼계서원을 둘러보고 바로 남쪽에 자리한 석천계곡으로 이동했다. 이 계곡은 봉화 제일의 경
승지이자 피서의 성지(聖地)로 추앙받는 봉화의 꿀단지로 아직 본격적인 피서철도 아니고 그
날이 평일인지라 사람은 거의 없었다. 사람이 너무 많은 것보다는 이렇게 한적한 것이 더 좋
지, 덕분에 석천계곡과 닭실마을 일대를 참 아늑하고 마음 편하게 둘러보았다.

석천계곡은 가계천(駕溪川)의 일부로 닭실마을<달실, 유곡(酉谷)마을>에서 내성천(乃城川)이
합류하는 삼계교까지 약 1km 구간을 일컫는다. 이곳에는 권벌이 터를 다지고 그의 큰 아들인
청암(靑巖) 권동보(權東輔)가 지은 석천정사(석천정)가 있으며, 울창한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계류(溪流)가 어우러진 현장으로 예로부터 봉화 으뜸의 경승지로 찬양이 대단했다.
계곡 상류에 자리한 닭실은 권벌이 개척한 곳으로(또는 권벌의 조상이 1380년대에 개척했다고
함)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을 당하자 고향 안동으로 내려와 1520년 집을 짓고 닭
실을 일구었다.
지금은 석천계곡이 자연/답사 탐방로가 되었지만 읍내에서 계곡 남쪽에 신작로(다덕로)를 내
기 이전에는 읍내에서 닭실로 갈 때는 이 계곡을 거쳐서 갔다.

석천계곡과 닭실 일대는 '내성유곡 권충재(乃城酉谷 權沖齋) 관계 유적'이라 하여 사적 및 명
승 3호
로 지정되었으나 그 등급이 명승에 통합되면서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이란 이름으로
명승 60호로 변경되었다.


▲  석천계곡 하류 (주차장 남쪽)
멋드러진 풍경에 계곡 수심까지 얕은 편이라 피서의 성지로 전혀 부족함이 없다.

▲  석천계곡 (석천정사로 가는 계곡길)

석천계곡 주차장을 지나면 흙과 돌로 이루어진 계곡길이 나온다. 길이 좀 울퉁불퉁하긴 하지
만 너무 깔끔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포장길보다는 운치가 있고 정겹다. 길도 오로지 계곡길
뿐이라 두 다리에 의지하여 갈 수 밖에 없는데, 송림(松林)이 울창해 솔내음이 그윽하며, 계
곡에는 온갖 바위가 계류의 희롱을 즐긴다.


▲  청하동천(靑霞洞天) 바위글씨

석천계곡 주차장과 석천정사 중간 정도에 기묘하게 생긴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 중간 도
리에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청하동천 바위글씨가 있다. 청하동천은 석천계곡의 다른 이름으로
하늘 위에 있는 신선이 사는 마을이란 뜻이다. 그만큼 이곳이 신선(神仙) 세계와 가까울 정도
로 경승지임을 내세우고 있는데, 여기서 동천(洞天)은 빼어난 경승지에 부여되는 명예로운 이
름으로 아무 명소나 가질 수 있는 명칭이 아니다.

이 바위글씨는 권벌의 5대손인 권두옹(權斗應, 1645~1732)이 쓴 것으로 그의 호는 대졸자(大
拙子)이다. 여기서 대졸자는 요즘 흔한 대졸자가 아니라 크게 어리석은 작자라는 뜻으로 자신
을 낮추려는 의도로 지은 것이다. 호부터가 참 특이한데, 그가 살던 시절에 석천계곡의 명성
을 듣고 많은 도깨비들이 몰려와 놀면서 이곳에서 공부를 하던 유생들이 크게 고통을 당했다
고 한다.
그래서 권두옹은 바위에 글씨를 새기고 붉은 칠을 하여 필력(筆力)으로 도깨비를 쫓아내니 이
후 계곡에 평화가 찾아와 유생들의 공부가 더 잘되었다는 믿거나 말거나 설화가 한 토막 전해
온다.
과연 도깨비가 이곳까지 놀러왔는지는 모르겠으나 도깨비도 흥분시킬만큼 이곳이 대단한 경승
지임을 강조하고자 적당하게 지어낸 설화라 하겠다.


▲  청하동천 바위글씨의 위엄
구렁이가 움직이는 듯한 생생한 필체이다.

▲  신선이 나올 것만 같은 소나무 숲길

▲  바위에 뿌리를 내리며 장차 석천계곡의
중심을 꿈꾸는 돌탑 무리들

▲  싱그러운 석천계곡 (청하동천 바위글씨와 석천정사 중간 지점)


▲  소나무 사이로 모습을 드러낸 석천정사<(石泉精舍), 석천정(石泉亭)>

▲  석천계곡의 백미(白眉) 석천정사(석천정)

석천계곡 주차장에서 계곡길을 10분 정도 들어가면 계곡 건너에 자리한 석천정사가 모습을 드
러낸다. 석천정은 석천계곡의 상징이자 이 계곡에서 가장 절경이 뛰어난 곳으로 권벌이 1526
년에 세우려고 축대까지 쌓았으나 거기서 공사가 중단되고 대신 청암정을 지었다. 이후 축대
만 남은 이곳을 큰아들 권동보가 춘양목(春陽木)으로 산뜻하게 집을 지었다. 그의 후손과 지
역 유생들이 공부를 하던 배움터이기도 했으며, 여러 번 중수를 거쳐 지금에 이른다.
계곡 동쪽에 돌로 석축을 단단히 다지고 돌담을 두룬 다음 팔작지붕의 석천정을 세워 계곡을
바라보게 했고, 그 옆구리에 익랑(翼廊)을 덧붙여 공간을 넓혔으며, 담장 양쪽에 외부로 나가
는 문을 내고, 북쪽 문 옆에는 유생들의 숙소인 3칸짜리 맞배지붕 건물을 두었다.

계곡길에서 석천정을 가려면 계류 위에 놓인 외나무 다리를 건너야 되는데, 물살의 패기가 조
금 있을 뿐, 수심이 얕아서 폭우로 계곡이 미치지 않는 이상은 누구든 건너갈 수 있는 수준이
다.


▲  석천정으로 인도하는 외나무다리 (다리 건너의 기와집은
석천정의 딸린 건물로 관리인이 머물고 있음)

▲  외나무다리와 무성한 숲을 이룬 계곡 상류

▲  서쪽에서 바라본 석천정의 위엄


▲  석천정에서 바라본 계곡

▲  외나무다리에서 바라본 계곡 (주차장 방향)
이곳은 계곡이 굽이치는 곳이라 물살이 제법 급하다.

▲  석천계곡 상류 방면 (닭실 방향)

석천정은 문이 굳게 닫혀 있어 안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허나 바깥에서도 왠만한 것은 다 보
이니 굳이 홍길동을 따라하며 월담을 할 필요는 없다. 예전 석천계곡에 왔을 때도 딱 여기까
지만 갔었다.
여기서 뒤쪽으로 조용히 난 샛길을 따라가면 권벌의 후손이 사는 닭실마을이 나온다. 기왕 석
천계곡에 발을 들였다면 샛길을 쭉 따라가 닭실까지 모두 살펴보기 바란다. 닭실과 석천계곡
은 서로 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계곡으로 이어져 있는 하나의 존재이다.

글 분량상 닭실마을 부분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본글은 여기서 끝~~

* 석천정사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945 (충재길 25-36)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6월 2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옛 무덤일까? 탑일까? 깊은 산골에 숨겨진 신비의 돌무더기, 산청 구형왕릉~왕산 늦가을 나들이 (왕산사지, 유의태약수터)

 


~~~~~ 산청 가을 나들이 ~~~~~
(전 구형왕릉, 왕산사지, 유의태약수터)

▲  전 구형왕릉


 

늦가을이 절정을 이루던 10월의 끝 무렵에 지리산 동쪽에 넓게 누운 경남 산청(山淸)을 찾
았다.
아침 일찍 부산서부터미널에서 진주(晋州)행 직행버스를 타고 냉정분기점까지 줄기차게 이
어진 교통체증을 뚫으며 1시간 50분 만에 진주시외터미널에 도착했다. 여기서 바로 산청으
로 가는 직행버스를 잡아타고 40분 정도를 달려 9시 40분에 산청터미널에 이르렀다.
산청터미널에서 구형왕릉이 있는 화계리로 가는 군내버스가 10시에 있는데 마침 시간이 딱
맞아 떨어진다.
쌀쌀한 아침 기운에 여남은 졸음을 털어내고 있으니 화계리행 군내버스가 타는 곳에 쑥 머
리를 들이민다. 차에 오르니 거의 노인들 뿐이고, 젋은층은 정말 손에 꼽을 지경이다.

10시가 되자 군내버스는 강인한 심장 소리를 내며 산청터미널을 출발했다. 마침 읍내 주변
은 오리무중(五里霧中)처럼 안개가 자욱했는데, 금서면(今西面) 중심지(매촌리)를 지나 고
개를 오르니 특리(特里)에 이르러 안개에서 완전히 벗어나 광명을 되찾았다. 즉 안개 위로
올라온 것이다.
거의 흔치 않게 경험한 안개 위에 세상은 구름이 거의 없는 푸르른 가을 하늘이 눈 시리게
펼쳐져 있고, 내가 왔던 안개 밑 세상은 여전히 두터운 안개에 가려 보이지도 않는다. 졸
지에 환경이 달라지니 속세에서 천상(天上) 세계로 승천(昇天)이나 해탈(解脫)을 한 듯한
묘한 기분이 교차한다.

산청군에서 야심차게 닦은 산청한방테마공원을 지나 다시 뱀꼬리 같은 험준한 고개를 넘으
니 구형왕릉을 알리는 이정표와 함께 덕양전이 나온다. 여기서 노인 3명과 같이 내려 늦가
을이 내려앉은 덕양전을 찾았다.


 

  가락국 구형왕(仇衡王)을 봉안한 사당 ~ 덕양전(德讓殿)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50호

▲  홍살문과 굳게 입을 닫은 외삼문(外三門)

구형왕릉 입구에 자리한 덕양전은 가락국(駕洛國, 금관가야)의 마지막 군주인 구형왕 내외를
봉안한 사당이다.

구형왕은 신라에 항복하고 구형왕릉 남쪽 왕산사 자리에 있었다는 수로왕(首露王)의 별궁, 수
정궁(水晶宮)에서 5년 정도를 머물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전한다. 이후 후손들이 사당을 만들
어 제사를 지냈으나 여러 번 중단되었다고 하며, 1798년에 왕릉 밑에 사당을 새로 짓고 다시
제향(祭享)을 올렸다. 1898년 덕양전으로 이름을 갈았는데 이는 구형왕의 다른 이름이라는 양
왕(讓王)에서 따온 이름으로 그의 덕을 기린다는 뜻이다.
그 이후 1930년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으며, 1991년 문화재 정비사업으로 지금의 모습을 갖추
게 되었다.

덕양전은 1,200평 규모로 영정각(影幀閣)과 안향각(安香閣), 연신문(延神門), 추모재(追募齋)
, 정숙당(靜肅堂), 해산루(海山樓), 동재(東齋), 서재(西齋) 등을 갖추고 있으며, 덕양전 본
전(本殿)에 봉안된 구형왕 내외의 영정은 1798년 왕산사터에서 발견된 목함(木函) 속에 있었
다고 한다. 그 안에는 영정 외에도 왕산사기(王山寺記)도 들어있었다고 하는데 영정은 그때
발견된 것이 아니라 그 당시에 정체가 아리송한 돌무더기를 구형왕릉으로 둔갑시키는 과정에
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옛 가야의 쓸쓸한 성지(聖地)인 덕양전은 추모재(왕산재)가 있는 경내 우측 부분만 출입이 가
능하다. (공개 범위는 변경될 수 있음) 본전과 안향각, 서재 등 덕양전의 핵심인 해산루 안쪽
은 제향 때를 제외하고는 문을 굳게 닫아건다. 허나 담장이 낮아 밖에서도 거의다 보이며 옛
가락국의 성역인만큼 출입통제 안내문을 거스르면서까지 억지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

덕양전의 매력은 바로 담장이 아닐까 싶다. 다른 사당은 기와를 얹힌 담장을 둘렀으나 이곳은
아산 외암리마을의 돌담처럼 그냥 돌만 쌓은 형태이다. 돌담의 높이는 1.5m 내외로 돌을 차곡
차곡 쌓아 마치 조그만 성곽(城郭)처럼 보이며, 기와를 얹힌 부분이 없고, 높이도 성인 키보
다 좀 작은 높이를 유지하여 동네 돌담처럼 수수한 모습이 그저 정겹기만 하다. 또한 구형왕
릉의 곡장(담장)도 이곳의 돌담과 비슷한 모습인데 덕양전은 그 왕릉의 사당인만큼 그곳의 담
장을 본떠서 만든 듯 싶다.

제향은 매년 봄 음력 3월 16일과 가을 음력 9월 16일에 춘추향례(春秋享禮)를, 음력 초하룻날
과 보름날에 삭망향례(朔望享禮)를 지내며, 제례 때는 산청 지역 주요 인사들과 후손들, 유림
(儒林), 기관단체장 등 수백 명의 사람들이 참석한다.
* 덕양전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370 (동의보감로 995)


▲  덕양전 추모재(왕산재)로 들어가는 삼문(三門)

늦가을 아침 햇살이 살포시 어루만지고 있는 덕양전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존재는 홍살문이다.
보기만 해도 정덜미가 뚝 떨어질 것 같은 차디찬 인상의 소유자, 홍살문은 관청과 향교 등 국
가 기관과 사당, 향교(鄕校), 서원(書院) 등 양반과 관련이 깊은 장소에 세우는 것으로 이곳
을 찾은 이에게 예의와 엄숙을 요구한다.

홍살문을 지나면 외삼문이 나오는데, 향례 때를 제외하고 늘 문이 닫혀있다. 문에 새겨진 큼
직한 태극마크는 사당의 엄숙함을 더욱 진하게 해준다.


▲  왕산재<(王山齋), 추모재(追募齋)>
덕양전을 관리하는 후손들이 머물거나 모임을 하는 공간이다.

▲  덕양전 사적비를 품은 비각(碑閣)

▲  외삼문과 내삼문 사이에 자리한 해산루

▲  해산루 담장 너머에 자리한 서재(西齋)

▲  해산루 돌담 너머에서 본 내삼문과 그
주변 (내삼문 뒤쪽에 덕양전 본전)


▲  외삼문 돌담 너머로 본 해산루 주변
해산루는 외삼문, 내삼문과 달리 문이 활짝 열려있다. 하긴 내부로 들어가는 문을
죄다 통제해 아무나 들어가지 못하게 했으니 해산루까지 문을 닫아 걸 필요는
없을 것이다.

▲  고색의 때로 자욱한 하마비(下馬碑)

하마비는 하마 서식지가 아닌 말에서 내리란 뜻(下馬)의 비석으로 보통은 홍살문 곁에 두지만
이곳은 다소 거리를 두며 자리해 있다. 덕양전 주차장에서 화계리로 나가는 길가에 빛바랜 모
습으로 있어 자칫 지나치기가 쉽다.

오랜 세월의 때가 가득 낀 하마비는 관청과 향교, 궁궐, 서원, 사당, 왕릉이나 사대부의 묘역
입구에 세우며, 이 앞은 무조건 말에서 내려 예의를 갖출 것을 요구한다.


▲  알록달록 옷을 걸쳐입은 덕양전 동쪽 돌담
지체 높은 사당의 돌담보다는 일반 민가의 돌담 같은 정겨운 모습이다. 이렇게 보면
누가 사당의 돌담으로 보겠는가? 담장 높이도 성인 키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라
평소에는 공개하지 않는 콧대 높은 덕양전 내부가 속시원히 바라보인다.

▲  망경루(望京樓)

덕양전 동쪽에 구형왕릉으로 인도하는 2차선 길(구형왕릉로)이 닦여져 있다. 그 길을 5분 정
도 가면 길 서쪽 계곡에 2층 누각 하나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그곳은 망경루란 누락으로 조
선 태조가 고려의 충신인 민안부(閔安富)의 충절을 기리고자 세운 것이라고 한다. 누각의 이
름인 망경(望京)은 서울을 바라본다.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민안부의 서울은 당연 고려의 국도
(國都)인 개경(開京, 개성)이 된다.

민안부는 본관이 여흥(驪興, 여주). 자는 영숙(榮叔), 호는 농은(農隱)이다. 학문이 매우 뛰
어나 일찌기 관직에 진출해 공양왕(恭讓王, 재위 1389~1392) 때 예의판서(禮儀判書)까지 올랐
으나 1392년 이성계가 고려를 뒤엎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자 이에 반발하여 고려의 유신 70여
명과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켰다. 세상은 그를 포함한 72명을 두문
동 72현(賢)이라 부른다.

조선 태조(이성계)는 그에게 벼슬을 내려 나올 것을 권했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두문동을 나
와 산청 대포리(大浦里)에 은둔하면서 매월 첫날과 보름에 개경이 있는 북쪽을 바라보며 고려
를 그리워했다. 또한 자손들에게도 조선 조정의 벼슬을 하지 말 것을 경계했으며, 현감(縣監)
에 등용된 아들을 사직하게 만들었다.
지금의 누각은 근래에 손질된 것으로 매년 음력 4월 초파일에 유림에서 조직한 '한계회'에서
제를 지낸다고 한다.

망국(亡國)의 제왕이 묻혔다는 왕릉으로 가는 길목에 이렇게 망국의 충신을 위한 누각이 있으
니 참으로 우연이 아닐 수 없다. 일부러 망국 제왕의 능 밑에 지은 것이 아닐까 싶지만 당시
구형왕릉은 정체가 아리송하던 시절이므로 그건 아닌 듯 싶다. 비록 서로의 신분은 달라도 망
국을 강제로 겪었고, 그 한을 달래는 부분에서는 서로가 공통되니 이 골짜기는 망국을 그리는
이들의 조촐한 공간인 셈이다.

▲  김유신이 화살을 쐈다는 장소에 세워진
사대비(射臺碑)

▲  비각 안에 담긴 가락국 유적비(遺蹟碑)

망경루를 지나면 길 오른쪽에 돌로 다진 단(壇) 위에 심어진 비석이 마중을 한다. 비석 피부
에는 '신라 태대각간 순충장렬 흥무왕 김유신 사대비(新羅 太大角干 純忠壯烈 興武王 金庾信
射臺碑)'라 쓰여 있는데, 김유신이 여기서 활쏘기 연습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후손들이 이를
기리고자 단을 닦고 비석을 세웠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믿거나 말거나임)


▲  늦가을이 곱게 봉숭아물을 들인 구형왕릉 가는 길
길을 가다가 갑자기 신선 형님이나 선녀(仙女) 누님이 튀어나오는 것은 아닐까..?


 

  가락국의 마지막 군주, 구형왕의 능으로 전해오는 신비의 돌무덤
전 구형왕릉(傳 仇衡王陵) - 사적 214호

덕양전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왕산 북쪽 골짜기에 '전 구형왕릉(이하 구형왕릉, 석총)'이
라 전하는 거대한 돌무덤이 신비로움과 수수께끼를 고요히 품은 채 웅크리고 있다. 산청의 대
표적인 명소로 주변의 빼어난 풍광 때문인지 나 같은 범인(凡人)들이 감히 발을 들이는 것이
뭐할 정도로 더욱 신비롭게 다가온다.

이 무덤은 일반적인 흙무덤이 아닌 돌로 쌓은 이른바 석총(石塚)이다. 이 땅에서 석총의 대표
적인 존재로 고구려의 장군총(將軍塚)이 있는데, 그건 덩치로 보아 고구려의 태왕(太王) 무덤
이 확실하다. <장수태왕(長壽太王, 재위 413~491)의 왕릉으로 보고 있음> 하지만 이곳 석총은
여전히 정체가 아리송하다. 그래서 구형왕릉이란 이름 앞에 전(傳)을 붙인 것이다. 즉 구형왕
릉으로 아련히 전해오는 존재란 뜻이다.

석총의 형태는 경사진 언덕에 돌로 쌓은 기단식 석단(石壇) 형태로 동쪽으로 뻗어있는 경사면
에 잡석으로 앞면을 7단 쌓고, 정상은 봉분(封墳)처럼 타원의 반구형을 이루고 있다. 전체 높
이는 7.15m 정도로 어떤 이는 산청의 피라미드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자연 경사를 활용하여 만
든 것이라 평지에 만든 계단식 돌무덤<장군총이나 서울 석촌동고분군>과는 차이가 있다.
석총 중간 부분에는 네모난 구멍이 하나 있는데, 이는 폭 40cm, 깊이 68cm의 감실(龕室)로 그
안에는 아무 것도 없으며, 존재의 이유가 무엇인지도 알려진 것이 없다. 처음에는 내부로 들
어가는 문으로 생각했지만, 깊이가 1m도 안되니 그것도 아니다. 만약 불교와 관련된 돌탑이라
면 불상을 봉안한 공간이겠지만 그런 증거도 마땅치가 않다. 예전부터 구형왕릉에 가게 되면
반드시 저 구멍을 살펴보겠노라 다짐했으나, 석총으로 올라가는 양 사이드에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들어가지 말라는 경고장이 있어 그 꿈은 물거품이 되었다. 사람도 없으니 그 경고를 무
시하고 올라가도 되겠지만 이는 문화유산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석총 주위에는 돌로 쌓은 키 작은 돌담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데, 돌담의 모습은 아까 덕양전
의 돌담과 비슷하여 덕양전이 1930년 그 자리에 터를 닦을 때, 이곳의 돌담을 따라 만들었음
을 알 수 있다.
석총 앞은 경사가 좀 기울어져 있는데 경사면 앞 평지에 비석과 장명등, 문인석(文人石)과 무
인석(武人石) 1쌍을 두어 석총을 지키게 했다. 이들은 모두 근래에 심은 것으로 석총과는 시
대 차이가 상당하다. 무엇을 모델로 삼아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기존의 문인석, 무인석과는
조금은 다른 모습으로 훤칠한 키의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며, 문인석은 너무 나이가 지긋해 보
인다. 그리고 세월에 지쳤는지 조금은 경직된 표정이다.
석총 북쪽 계곡에는 돌로 터를 다지고 능을 관리하고 제기(祭器)를 관리하는 재실(齋室) 2동
을 만들었고, 근래에 주차장과 무덤으로 건너가는 홍예다리를 가설하고 주변을 정비했다.

▲  구형왕릉 우측 석인(石人)
왼쪽이 문인석, 오른쪽이 무인석이다.

▲  구형왕릉 좌측 석인의 뒷모습

◀  구형왕릉 비석
가락국양왕릉(駕洛國讓王陵)이라 쓰여 있다.
여기서 양왕릉은 구형왕릉의 다른 이름이다.

이 석총의 정체에 대해서는 왕릉이란 설과 석탑이란 설이 있다. 탑으로 보는 설은 안동(安東)
과 의성 지역에 비슷한 모습의 탑이 있어서 그런 것이고, 근처에 왕산사란 절이 있어서 석탑
일 가능성을 높여준다. 탑의 모습은 이 땅의 흔한 스타일이 아닌 이형(異形) 스타일일 것이다.
그리고 구형왕릉이나 왕릉(신라 왕릉으로 구전됨)으로 보는 것은 오래 전부터 구전이나 기록
을 통해 왕릉으로 전해오고 있어서 그렇다. 지금은 왕릉 쪽에 무게가 크게 쏠리고 있으나 불
교 석탑의 견해도 만만치 않다.

조선 성종 때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산음현(山陰縣) 부분에 '현 서쪽 10리, 왕
산 산중에 돌로 쌓은 언덕이 있는데, 4면에 모두 층급이 있고, 세상에서는 왕릉으로 전한다'
는 기록이 있어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던 옛날부터 왕릉으로 구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다가 이곳이 구형왕릉이란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홍의영(洪儀永, 1750~1815)의 '왕산심
릉기(王山尋陵記)'에서 비롯되었다. 거기서는 무덤 서쪽에 왕산사란 절이 있고 그 절에서 전
하는 '왕산사기'에 구형왕릉이라 쓰여있다고 했으며, 산사기권(山寺記券)에도 그렇게 나와있
다. 또한 산청현읍지(山淸縣邑誌)에는 무오년(戊午年, 1798년)에 구형왕릉을 수리하고 사당을
세워 수호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허나 이들도 딱히 신뢰도는 떨어진다. 경주에 있는 많은 신
라 무덤들이 신라 왕족 후손들(박씨, 석씨, 김씨)에 의해 대충 '신라 어느 왕'의 능으로 둔갑
되었듯이 구형왕릉 역시 후손(김해김씨)에 의해 둔갑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석총의 조성시기는 구형왕릉이 맞다면 6세기 중반이 될 것이고, 만약 탑이라면 그 이후가 될
것이다. 이곳에 얽힌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구형왕이 세상을 뜨자
'나라도 구하지 못한 몸이 어찌 흙에 묻히겠는가? 차라리 돌로 덮어달라' 유언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를 따르던 신하와 군사들은 시신을 매장하고 그 위에 산에서 뒹굴던 잡석을 하나씩
얹혀서 지금의 석총이 되었다고 한다.

아직 이곳은 구체적인 발굴작업이나 학술조사가 진행되지 않았는데, 하루 빨리 발굴조사가 이
루어져 그 속을 속시원히 들추었으면 좋겠다. 왕릉이라면 조촐하게 석실(石室) 같은 것이 있
을 것이고 거기서 괜찮은 단서나 당시 유물이 앞다투어 나올 지도 모른다. 옛날 제왕이나 귀
족의 무덤은 보물단지라 불릴 만큼 유물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  신비한 기운에 감싸인 듯한 구형왕릉

그럼 이곳에 묻혔다는 구형왕(?~537년)은 누구일까? 구형왕을 살피기 전에 일단 가락국을 포
함한 가야(伽倻)에 대해 아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고구려, 백제, 신라가 자웅을 겨루던 삼국시대에 당당한 일원임에도 삼국(三國)의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한 가야, 당연히 사국(四國)시대라고 불려야 되지만 가야는 늘 외면을 받고 있다.
가야는 변한(弁韓)을 이루던 12개 나라의 일원인 구야국(狗倻國, 경남 김해)에서 시작되었다.
바로 이곳에서 김수로(金首露)가 지역 촌장과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가락국(駕洛國)을 건국했
다. 그 가락국(금관가야)의 건국 시기는 삼국유사(三國遺事)나 개황록(開皇曆)에 따르면 서기
42년이라고 한다. 물론 정확한 것은 아니다.

가락국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변한을 통합했으며, 점령한 곳에는 왕족이나 귀족을 보내 그
곳의 왕이나 관리로 삼거나, 항복한 세력의 군장에게
통치권을 부여했다. 이렇게 해서 소위
말하는 13가야를 이루게 되었다. (예전에는 6가야라고 했음)
13개(혹은 그 이상)의 연맹국가(聯盟國家)로 구성된 가야는 경남 대부분을 차지하고, 경북 성
주(星州)와 상주, 문경<고령가야(古寧伽倻)>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또한 북쪽에 있는 신라(新
羅)와 자주 충돌했는데, 초기에는 가야가 우위를 차지했으며, 서로는 마한(馬韓)과 백제와 다
투었다. 또한 남으로는 바다를 건너 왜열도(倭列島)로 진출, 곳곳을 개척하여 속령(屬領)으로
삼았으며, 이때 건너간 가야인 중 유력한 사람이 왜왕(倭王)이 되어 가야의 명을 받았다.
특히 철이 많이 생산되어 철생산국으로 막대한 부를 모았는데, 그 철을 바탕으로 강력한 기마
군단을 만들어 주변 나라를 벌벌 떨게 했다.

이렇게 부강하던 가야는 고구려, 백제, 신라와 달리 제왕 중심의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하지 못
한 한계점이 있었다. 이들 삼국은 중앙집권체제를 통해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고 부국강병을
추구하며 영토 확장에 매진했으나, 가야는 각 연맹국가가 따로국밥처럼 놀아 단결이 쉽게 되
지 못했던 것이다. 가락국과 대가야가 가야연맹의 맹주(盟主) 노릇을 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맹주일 뿐, 다른 연맹국가를 제어할 정도는 아니었으며, 같은 가야라도 이익 관계에 따라 서
로 치고 박고 싸우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3세기 초반에 안라국(安羅國)이 일으킨 포
상팔국(浦上八國) 전쟁이다.
가락국이 주변 나라와의 해상교역권을 송두리째 차지하며 혼자서만 배를 불리자 안라국 등 경
남 남부 해안 지역에 있던 8개의 나라가 연합군을 결성하여 가락국을 공격했다. 가락국은 서
둘러 신라에 구원을 청했으나, 8국 연합군의 수군이 신라 땅인 울산까지 치고 들어가 그 기세
를 떨치니 가락국은 결국 두 손을 들고 말았다.


▲  계곡 위에 닦여진 홍예다리
홍예다리는 근래에 만든 것으로 주변 풍경과 어우러져 한 폭의 풍경화를 자아낸다.


4세기 후반, 가락국은 왜열도의 군사를 징발해 약 2만의 군사로 신라 왕경(王京, 경주)을 공
격했다. 신라 내물왕(奈勿王)은 급히 고구려에 살려달라 요청을 했고, 고구려의 태왕인 광개
토태왕(廣開土太王)은 친히 기병 5만을 이끌고 서라벌로 달려가 가야군을 격파했다.
이때 고구려의 기마군과 가야의 기마군이 처음으로 격전을 벌였는데, 둘 다 같은 철갑기병(鐵
甲騎兵)에 철갑옷을 갖췄지만 승자는 고구려였다. 가야의 철갑은 판갑(板甲)으로 방어력은 끝
내주지만 너무 무거워 기동력이 떨어진데 반해 고구려 철갑은 환갑(環甲)으로 방어력은 좀 떨
어지지만 가벼워서 기동력이 좋다. 게다가 고구려군이 전쟁경험도 풍부하니 어찌 가야가 당해
내겠는가.

고구려군은 줄행랑치는 가야군을 쫓아 가야를 풍비박산을 내었고 바다를 건너 왜열도까지 공
격해 쓸어버렸다고 전한다. 그 과정에서 가야연맹국은 큰 혼란에 빠졌고, 이후 소리 없이 쇠
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그런 마당에 백제와 신라가 강성해지면서 좌우에서 가야를 압박하
니 하나로 뭉치지 못해 따로 노는 가야연맹은 더욱 힘들어 질 수 밖에 없다. 

가야에게 너무나 가혹했던 6세기가 도래하고, 521년 구형왕이 가락국 10대 제왕이 되었다. 가
락국이 42년에 세워졌다고 쳐도 480년 동안 왕은 겨우 9명이었다는 소리가 된다. 그렇다면 이
들의 평균 재위 기간은 50~55년이라는 소리인데, 이게 말이 될까? 이는 기록의 실수로 중간에
누락된 제왕이 제법 많을 것이다. 세상에 전하는 왕은 구형왕 포함 10명 뿐이니 후세에서 이
를 잘못 계산한 것이다.

구형왕은 구충왕(仇衝王), 구해왕(仇亥王), 양왕(讓王)이라고도 하는데, 왕비는 분질수이질(
分叱水爾叱)의 딸 계화(桂花)이다. 그는 3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노종(奴宗), 2남은 무
덕(武德), 3남은 무력(武力)이다.

신라 법흥왕(法興王)은 가락국 왕자(또는 왕족)에게 화친의 의미로 신라 왕족 여인을 시집보
냈다. 허나 구형왕은 시집 온 신라 왕녀에게 가야 옷을 입혔고, 이를 들은 법흥왕은 괜한 것
도 아닌데도 뚜껑이 폭발하여 532년 사다함(斯多含)을 시켜 가락국을 공격케 했다.
가야연맹의 오랜 맹주로 위엄을 떨쳤던 가락국은 신라군에게 형편없이 깨지고, 결국 국고(國
庫)의 보물을 들고 신하를 대동하여 신라에 항복하고 만다. 이렇게 하여 500년 역사의 가락국
은 532년 그 문을 닫게 되고, 가야의 맹주는 대가야(大伽倻)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가락국을
방패 삼아 간신히 나라를 꾸리던 다른 가야연맹국도 차례대로 무너져 561년 안라국(경남 함안
), 562년 대가야의 멸망을 끝으로 가야연맹은 역사에서 영원히 퇴장한다.


▲  늦가을이 깃든 재실 주변
이곳을 지나던 늦가을도 구형왕릉의 신비로움에 반한 것일까?
잠시 길을 멈추고 곱게 작품을 남겼다.


구형왕이 항복하자 신라 조정은 상등(上等)의 벼슬을 내리고 가락국 땅을 식읍(食邑)으로 주
어 심심치 않게 사례를 했다. 또한 구형왕 일가를 신라 진골(眞骨) 귀족으로 대우했다. 허나
왕은 가락국에 있지 않고, 바로 길을 떠나 수로왕의 별궁이라고 전하는 수정궁(水晶宮)에 들
어와 은둔했다고 한다. 수정궁은 구형왕릉 남쪽 왕산사터라고 전한다. 반면 그의 아들은 김해
에 남거나 신라 조정에 출사했다.
그가 김해를 떠나 산청 산골로 들어간 것은 나라를 말아먹은 죄책감에 고개를 들기 힘들어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수정궁이 대가야 서쪽이고, 백제 땅과도 가까워 이들의 도움을 받아 후
일을 도모하고자 함이 아닐까 싶다. 어쨌든 여기서 5년을 머물다가 한많은 삶을 마감했다.

구형왕의 3째 아들인 김무력(金武力)은 신라 조정에 출사해 많은 무공(武功)을 세웠으며, 나
중에 벼슬이 상위 등급인 각간(角干)까지 올랐다. 그의 아들인 김서현(金舒玄)은 신라 왕족인
만명(萬明)과 혼인했으며, 그 역시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리고 그의 아들이 그 유명한 김유
신으로 그도 숱한 전공을 세우고, 왕족인 김춘추(金春秋)를 도와 왕위에 오르게 하면서 군권
을 장악했다. 그가 죽자 왕족이 아님에도 왕으로 추존되었으니 신라에서 그의 위치가 어떠했
는지를 가늠케 해준다. 그의 시호는 흥무왕(興武王)이다.
그를 통해 가야계 김씨들의 세력이 왕성해졌으나 그가 세상을 뜬 이후, 그 세력도 많이 약해
졌으며, 김유신의 자손들도 별로 두드러지는 인물이 없었다.


▲  홍살문 앞에서 바라본 건너편 남쪽 재실(호릉각)

구형왕릉은 새도 들어오기 힘든 심산유곡(深山幽谷)으로 숲이 울창하고 계곡이 졸졸 흘러 한
여름에도 시원하다. 산청에서 띄워주는 명소로 휴일에는 사람이 좀 오지만 평일에는 사람 구
경 하기가 힘들어 새소리와 산바람의 소리만이 이곳에 내려앉은 정적을 살짝 깨뜨린다.
자연을 벗삼아 사색을 즐기기에 아주 좋은 곳으로 왕산 등산로의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여기
서 유의태약수터나 망경대를 통해 왕산으로 오를 수 있다.

홍살문에서 구형왕릉으로 갈 때는 정면 돌다리를 건너 호릉각을 거치거나 홍살문을 지나 삼문
을 거쳐도 된다. 어차피 거리는 둘 다 비슷하다. 다리 건너에 돌로 터를 다져 석축을 3단으로
쌓고 재실인 호릉각을 지었는데, 그곳에 서린 늦가을 풍경이 가히 숨이 막히고 눈이 시리도록
아름답다. 저곳에 들어가면 나도 단풍마냥 알록달록 물드는 것은 아닐까?

▲  왕릉으로써의 애써 위엄을 보이려는
붉은 피부의 홍살문

▲  왕릉 앞에 세워진 삼문(三門)

▲  제사 물품을 보관하고 제례를 준비하는
호릉각(護陵閣, 남쪽 재실)

▲  호릉각과 북쪽 재실을 이어주는 문


▲  왕릉의 우측 돌담
돌담과 왕릉 뒤쪽은 접근이 통제되어 있다. 이젠 나이가 상당하여
돌담과 왕릉에 발을 올리기만 해도 스르륵 무너질 것 같다.

▲  약간 우측에서 올려다본 구형왕릉
가을 볕이 살포시 내려앉은 구형왕릉, 워낙 비밀이 많은 곳이다 보니
왕릉을 이루고 있는 돌들도 모두 범상치 않게 다가온다.

▲  북쪽 재실에서 바라본 돌다리와 홍살문

※ 전 구형왕릉 찾아가기 (2018년 10월 기준)
① 산청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산청행 직행버스가 1일 8회 떠난다.
* 부산 서부터미널에서 산청행 직행버스가 30~50분 간격으로 떠난다.
* 진주에서 산청행 직행버스가 10~20분 간격으로 운행
② 현지교통
* 산청터미널에서 화계리행 군내버스가 1일 9회 정도 있으며, 화산마을(덕양전)에서 하차하여
  도보 20분
③ 승용차 (주차비 없으며, 덕양전에도 주차장 있음)
* 대전~통영고속도로 → 산청나들목을 나와서 우회전 → 매촌3거리에서 우회전 → 덕양전에서
  좌회전 → 구형왕릉
* 구형왕릉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산16


 

  늦가을에 젖은 왕산(王山) <왕산사지, 유의태약수터>

▲  살짝 구부러진 왕산 포장길 (구형왕릉로)

왕산(923m)은 산청군 금서면에 자리한 높은 산이다. 왕산이란 이름은 구형왕릉에서 유래되었
다고 하며, 태왕산(太王山)이라고도 한다. 왕이 오른 고개란 뜻의 왕등재를 비롯하여 관련된
이름이 여럿 전해오며, 특히 고령토(高嶺土) 산지로 예로부터 명성이 높아 특리와 향양리, 방
곡리에 가마터 유적지가 있다.
왕산에는 전 구형왕릉과 왕산사터, 유의태약수터 등의 명소가 있으며, 능선과 정상 주변은 봄
에는 철쭉이, 가을에는 억새가 장관을 이룬다.

구형왕릉에서 유의태약수터까지 가는 길은 2갈래이다. 하나는 산길이고 다른 하나는 포장길을
인데, 서로 떨어진 듯 보이지만 결국 하나로 만난다. 포장길은 차들이 마음 놓고 바퀴를 굴리
게끔 산 중턱을 지나 자혜리로 이어진다.
산길은 돌이 많고 계곡을 옆에 낀 헝클어진 길이지만 거의 직선이다. 포장길은 잘 닦여진 길
이라 발의 무리는 별로 없지만 험준한 왕산의 눈치 때문에 2배 이상으로 빙빙 둘러가야 된다.
그리고 기왕 산에 왔으니 가을 낙엽이 귀를 접고 누운 산길이 더 호젓할 것이다.

가을이 떠나려는 산길에는 장차 밀려올 겨울을 원망하며 땅으로 곤두박질 친 낙엽들이 가득하
다. 점차 차가워지는 가을산을 따스히 덮어주며 흙으로 들어갈 그 순간을 기다리는 낙엽의 마
지막 여정.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마지막에는 결국 한줌의 흙이 되고 만다. 시작과 중
간은 크게 다를지언정 그 종점은 모두 같은 것이다. 그래서 인생은 허무한 모양이다.


햇볕 한점 들어오기 힘든 무성한 산길을 10여 분 오르면 구형왕릉에서 갈라진 포장길과 다시
만난다. 왕산과 유의태약수터를 띄우고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로 밀어버렸지만 그
냥 흙길이거나 오솔길 같은 길이었으면 더 운치가 있었을텐데 그 점이 아쉽다.
포장길에는 낙엽이 우수수 떨어져 거대한 자연산 카페트를 이루고 있고, 마치 산불이 일어나
듯 알록달록 타오른 나무들은 처절한 아름다움을 선보이며 광속과 같은 시간을 원망한다. 아
름답게 다가오는 늦가을 풍경에 가히 숨이 막히고 눈이 멀 지경이다. 인간의 한낱 언어나 단
어로 늦가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이 건방질 정도로 말이다.


▲  낙엽이 가득 깔린 왕산 포장길

평일이라 그런지 이 서정적인 길에 사람은 나 하나 뿐이다. 구형왕릉은 그래도 나들이객들이
여럿 보였지만 그 이상은 차도 사람도 보이질 않는다. 자연의 소리만이 살며시 귀를 간지럽히
는 이 좋은 길을 비록 잠시긴 하지만 내가 완전 무료 전세를 낸 것이다. 소원 같아서는 이 길
을 내 소유로 만들거나 집으로 살짝 가져와 두고두고 거닐고 싶지만, 그저 헛된 망상일 뿐이
다. 그저 오늘만이라도 이곳의 주인공이 된 양 누구의 눈치 없이 마음 편히 둘러보고 사라지
는 것이 최선일 뿐이다.

아무도 없는 길이지만 자연과 벗삼으며 자연 속에 녹아들며 걸으니 결코 지루하지가 않다. 아
니 그런 것을 느낄 겨를도 없다. 포장길과 산길이 만난 곳에서 유의태약수터 입구까지 20분
거리이지만 무엇에 홀린 듯, 그렇게 걷고 보니 금세 약수터 입구이다. 이런 길은 정말 몇 시
간을 걸어도 질리지 않을 것이다.


▲  유의태약수터 입구를 코앞에 두고

▲  유의태약수터로 가는 산길 (왕산사터 주변)

유의태약수터 입구에서 왼쪽으로 난 산길로 접어들면 초반에는 조촐하게 깔린 계단길이 펼쳐
진다. 경사는 자연의 넉넉한 마음처럼 여유로우니 힘든 것은 별로 없다. 계단길을 오르면 돌
이 박힌 정겨운 풍경의 산길이 펼쳐지는데, 그 길의 끝에 유의태약수터가 있다.
그곳으로 가는 중간에는 구형왕과 관련되어 있다는 왕산사터가 있으니 유의태약수터의 후식으
로 삼아 둘러보기 바란다.


▲  왕산사터(王山寺址) - 경남 지방기념물 164호

구형왕릉에서 남쪽으로 1km 정도 떨어진 왕산 북서쪽 자락에 왕산사터가 숨어있다. 이곳은 유
의태약수터 바로 밑으로 그곳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니 찾기는 쉽다.
예전에는 이곳이 절터긴 하지만 정체가 확실치 않아 이름 앞에 아련히 전한다는 뜻에 전(傳)
을 붙였으나 이제는 완전히 확증이 가는지 과감하게 전을 빼버리고 그냥 안내문과 관련자료에
모두 왕산사지라 표현했다.

이곳에 있던 왕산사는 언제 지어지고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망했는지는 기록이 없어 전하
는 것이 거의 없다. 다만 승려 탄영(坦暎)이 쓴 왕산사기가 절터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그
기록에 따르면
'산양현(山陽縣, 산청) 서쪽 모퉁이 방문산(方文山)의 동쪽 산록에 산이 있는데, 왕산이라고
부른다. 산 위에 왕대(王臺)가 있고, 아래에 왕릉이 있어 왕산이라고 한다. 능묘를 수호하였
기 때문에 왕사(王寺)라고 하였는데, 절은 원래 왕산의 정궁(正宮)이었다. 능은 가락국 10대
왕인 구형왕이 자리잡았던 현궁(玄宮)이었다'

즉 구형왕릉을 관리하고 지키던 원찰(願刹)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곳에는 구형왕이 말년을
보냈다는 수정궁이 있었다고 하는데 가야의 시조인 김수로왕이 세웠다고 전하는 궁으로 거의
별궁 수준으로 여겨진다. 그 수정궁이 구형왕이 죽은 이후에 왕산사로 전환되었다고 하며 궁
자리가 넓어서 수정궁 건물을 그대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16세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이곳이 왕대암(王臺庵)으로 나오
며, 1755년에 제작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왕대암이 폐사되고 왕산사가 있다'는 기록이
있어 왕산사는 적어도 16~17세기까지 법등(法燈)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왕대암은 왕
산사의 다른 이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1793년에는 왕산사에서 오랜 세월 전해오던 나무상자가 발견되었는데, 거기서 구형왕 내외의
초상화와 옷, 활, 왕산사기 등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유물은 덕양전에 있는데, 아마도 발
견되었다기보다는 구형왕릉 둔갑 프로젝트 차원에서 지어낸 것으로 여겨진다. 구형왕릉은 불
교 탑으로도 강하게 의심을 받고 있어 그것이 맞다면 왕산사와 관련된 탑으로 보인다.

근래에는 가야문화연구소에서 지표조사를 벌려 건물터 6개와 문터로 추정되는 흔적, 계단 흔
적, 비석 받침과 부도 등을 건졌으며, 산청군에서 2007년과 2009년에 발굴작업을 벌여 수많은
기와조각과 그릇 조각을 꺼냈다. 다만 구형왕과 관련된 가야 유물은 나오지 않아 이곳에 씌워
진 구형왕 관련 이야기에 다소 회의감을 들게 한다.

현재 절터는 대자연이 잡초와 나무로 따스하게 보듬어주어 그 허전함을 덮어주고 있으며, 주
춧돌과 석물은 잡초에 묻혀있다. 왕산사가 아무리 크고 대단하다 한들, 자연 앞에서는 그저
장난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곳을 가득 채웠을 왕산사 왕년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그 모습을 담은 그림이나 기록이 없으
니 누구도 알 수 없다. 단순히 건물터나 주춧돌 등으로 그 모습을 정확하게 판단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니 옛터 위에 상상의 나래를 발휘해 이곳의 모습을 머리 속에 그려보는 것도 괜찮
을 것이다. 절의 건축물이야 뭐 기와집일 것이니 그것을 참조하여 상상을 펼쳐보이면 된다.
어차피 정답은 없으니 말이다.

인적이 없는 고요한 절터를 둘러보며 부도(승탑)를 찾다가 갑자기 맷돼지가 생각이 난다. 요
즘 그들의 개체수가 쓸데없이 늘어나 산에 자주 출몰한다고 하는데, 이곳은 지리산과 가깝고
숲이 무성한 데다가 워낙 외진 곳이라 자칫 멧돼지가 나타날 수도 있다. 자연의 소리만 들리
는 이런 곳에서 그를 만난다면 참 대책이 없을 것이다. 갑자기 다가오는 그 오싹한 기분에 절
터 답사를 팽개치고 부랴부랴 밖으로 나오고 말았다.


▲  숲의 일부가 되버린 왕산사터 산중턱 부분

▲  왕산사터 주춧돌
절터를 가득 메운 잡초와 나무들이 계속 자라서 나중에 왕산사 시절
건물을 그런데로 재현해주지는 않을까?

▲  왕산사터 서쪽 부분

▲  산중턱에 남은 왕산사터 석축


▲  유의태(柳義泰)약수터

왕산사터에서 3분 정도 더 들어가면 그 길의 끝에 유의태약수터라 불리는 약수터가 마중을 한
다. 왕산에 왔다면 구형왕릉, 왕산사터와 더불어 꼭 둘러봐야 되는 명소로 허준(許浚)을 주인
공으로 한 동의보감에 등장하는 그의 스승 유의태의 이름을 딴 것이 이채롭다.
약수터로 인도하는 길은 근래에 박석을 깔아 정비했으며, 약수터 역시 그냥 길가에 물이 솟은
평범한 샘터이던 것을 마치 오래된 유적처럼 손질했다.

이곳이 유의태약수터란 이름을 지니게 된 것은 동의보감에 등장하는 유의태가 약수와 치료에
사용했다는 이야기 때문이다. 샘터에는 자연이 베푼 옥계수가 가득 솟고 있는데, 물을 한 바
가지 떠서 들이키니 몸 속의 체증이 싹 가신 듯 목구멍이 즐겁다고 쾌재를 부르짖는다. 그렇
다고 물이 오색(五色)약수나 방동약수처럼 쓴 맛도 아니다. 그냥 일반 샘터에서 마실 수 있는
그런 물이다. 다만 유의태약수 어쩌구 하니까 심리 때문인지 맛이 조금은 달콤하고 특별하게
느껴진다. 이 물을 마시면 정말 병이 싹 나을 것 같은 기분도 교차한다.

허준의 스승인 유의태는 동의보감 소설에 나오는 가공의 인물이다. 그의 모델은 18세기에 산
청 지역에서 활약했던 유이태(柳爾泰, 또는 柳以泰 1652~1715)라고 한다. 그러니까 허준 시절
보다 약 100년 뒤에 인물이 된다.
그는 거창유씨로 호는 신연당(), 원학산인(). 인서(西), 자는 백원()이
며, 거창(居昌) 위천 서마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소에는 '泰' 한자를 썼고 의서에는 '
泰'를 사용하여 이름 한자 2가지를 가지고 있었다.

어린 시절, 외가가 있는 산청 생초면으로 넘어와 그곳에서 의술활동을 펼쳤다. 이때 그가 진
료에 사용한 물이 바로 이 약수라는 것이다.
1706년 전국적으로 천연두(天然痘)와 마진(痲疹, 홍역)이 유행하여 많은 생명을 앗아가자 마
진경험방()을 토대로 하여 의학서적인 마진편(痲疹篇)을 썼다. 이 책은 1931년 활
자본으로 출간되었다.
숙종(肅宗) 때 어의(御醫)가 되었으며, 안산군수로 발령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고향으로 내려
와 백성들을 치료했다. 의술이 뛰어나 허준과 중원대륙의 명의 판작()에 비유되기도 했으
며, 실험단방(), 인서문견록(西) 등의 저서를 남겼다.

이후 소설 동의보감에서는 허준이 산청에 잠시 머물던 시절, 이 지역 명의였던 유이태를 이름
만 약간 바꿔 유의태로 삼아 그의 스승으로 둔갑시켰다. 그러니 유의태란 인물은 실존 인물이
아닌 것이다. 다만 산청군청과 몇몇 사람들이 유의태가 실존 인물로 정말 허준의 스승이었다
고 주장을 해 눈길을 끈다. 유의태는 1516년 산청군 신안면 상정마을 출신으로 서자(庶子)였
다고 하며, 산청 지역 제일의 명의로 활동하면서 허준을 제자로 삼아 많은 것을 전수했다는
것이다. 임종에 임할 때 허준에게 자신의 몸뚱이를 해부할 것을 유언으로 남겨 해부의학(解剖
醫學)의 효시를 이루었다고 한다.
또한 유의태는 왕산의 자생 약초에 이 약수터의 물로 탕액을 만들었다고 하며. 자신이 고치지
못한 병에 이 물을 이용해 낫게 했다는 설화가 있다고 한다. 그는 이 약수를 위암을 다스리는
물이라고 했으며, 위장병과 피부병 등 불치병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전해져 인근에서 인기가
높다. 과연 효험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유의태가 과연 동의보감에서만 나오는 인물인지 아니면 정말 숨을 쉬던 인물인지는 알 수 없
다. 현재로써는 유이태를 모델로 한 가상인물이란 설이 지배적이다.

* 약수터입구까지 차량 접근 가능, 구형왕릉에서 도보 약 30분

* 왕산사터, 유의태약수터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산16-1외


▲  성큼 다가선 유의태약수터

▲  샘터 위에 약수터의 이름이 점잖게
쓰여 있다.

▲  콸콸 솟아지는 약수


▲  왕산을 뒤로 하며

약수터에서 물이 닳도록 마시니 배가 부르다. 여기서 동쪽 산길을 오르면 망경대와 왕산 정상
으로 이어지는데, 거기까지는 답사 계획에 없으므로 쿨하게 하산하기로 했다. 이때 해는 중천
에 떠서 점심 시간을 알리고 있었다.

내려갈 때는 중간에 새는 거 없이 포장길로 구형왕릉까지 내려갔다. 내려가는 동안에도 사람
이나 차량을 하나도 구경을 못했다. 이렇게 운치 그윽한 길을 홀로 걸으니 기분 또한 색다르
며 늦가을의 향연에 잠긴 나무들은 낙엽을 휘날리며 떠나는 나를 전별한다. 다음에 인연이 된
다면 꼭 다시 찾아와 왕산 정상까지 오르고 싶다.


▲  잠시 낙엽에서 해방되다.

▲  포장길(구형왕릉로)이 크게 구부러진 곳에서 바라본 천하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와 함양군 유림면 지역

▲  구형왕릉에서 덕양전으로 내려가는 길
나무들이 서로 불을 지르고 있다.

포장길을 거의 2/3 내려온 지점에서 길이 크게 구부러지는데, 여기서 화계리와 유림면 지역이
두 눈에 조망된다. 그 구간을 지나면 구형왕릉이 나온다.

잠시나마 정들었던 왕산과 다음을 막연히 기약하며, 덕양전을 지나 화계리 마을로 나왔다. 화
계리는 금서면에서 2번째로 큰 마을로 경호중학교와 보건지소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북쪽에
있는 임천교를 건너면 바로 함양군 유림면의 중심지로 임천을 사이에 두고 산청과 함양(咸陽)
행정 경계가 맞대고 있는 것이다.

눈이 시리도록 깨끗한 은빛 물결에 임천을 건너 유림면사무소앞 유림3거리에서 함양읍으로 가
는 군내버스를 타고 함양읍내로 나갔다. 화계리에서 산청읍으로 가는 것보다는 유림에서 함양
읍으로 가는 군내버스가 더 많이 다니는데, 서울이나 인천에서 온다면 함양을 거쳐 이곳 유림
3거리에서 왕산 나들이를 시작하는 것도 괜찮다. 덕양전까지는 도보 15분 정도면 도착하고 여
기서 50분 정도를 더하면 거뜬히 유의태약수터까지 간다.

이렇게 하여 늦가을 구형왕릉, 왕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8년 10월 1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첩첩한 산골에 숨겨진 신비의 탄산약수를 찾아서, 춘천 사명산 추곡약수 (천전리 지석묘, 춘천의 먹거리들)



' 한겨울 춘천 나들이 '


▲  춘천 추곡약수


 

겨울 제국(帝國)의 혹독한 통치 속에서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의 막이 올랐다. 강제로 나
이 1살이 누적되니 기분은 그야말로 아비규환의 한복판이다. 하여 꿀꿀한 기분도 좀 달래
고 조촐하게 몸보신도 누릴 겸, 요즘 한참 관심을 두고 있는 탄산 약수를 찾기로 했다.
탄산 약수는 태반이 강원도와 경북 산골에 묻혀 있어 서울에서 찾아가기가 그리 녹녹치가
못하다. 예전에는 서울에도 '천호약수'란 꽤 유명했던 탄산 약수가 있었지만 천박한 개발
의 칼질로 이제는 흔적도 없다. 그나마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탄산 약수는 춘천 추곡약수
, 비록 춘천(春川)이라고는 하지만 화천군과 양구군과 맞닿은 춘천의 북쪽 끝으머리에 자
리해 있다. 허나 교통편은 다른 탄산 약수와 달리 조금은 봐줄만한 편이라 흔쾌히 추곡약
수를 찾기로 하고 친한 후배와 길을 떠났다.

햇님이 하늘 중천에 걸려있던 오전 11시, 7호선과 경의중앙선, 경춘선이 만나는 상봉역에
서 그를 만나 경춘선 전철(청량리~상봉~춘천)을 타고 80여 분을 내달려 남춘천역에 두 발
을 내렸다.
남춘천역 서쪽인 온의4거리에서 추곡약수까지 들어가는 춘천시내버스 18번을 타면 되지만
시간이 전혀 맞지 않아 부득이 춘천시외터미널로 이동하여 양구(楊口)행 직행버스를 타기
로 했다. 허나 무려 50분 뒤에나 차가 있어 그 사이 점심이나 먹고자 바로 이웃에 자리한
이마트에서 늦은 점심을 때웠다.

점심을 먹고도 아직 20분이나 남아있어 터미널에서 억지로 시간을 죽이고 있으니 양구 경
유 속초행 직행버스가 슬그머니 타는 곳에 귀여운 얼굴을 들이민다. 그 버스를 타고 소양
강을 건너 신북읍과 천전리를 지나 우리나라 최장의 도로 터널로 등극한 배후령터널을 지
난다. 이 터널(5.1km)은 2012년 3월에 개통되었는데 터널 이전에는 뱀처럼 구불구불한 배
후령 고갯길을 힘들게 넘어야 했다.
배후령터널을 지나 화천군의 산하(간척리)를 잠시 거치다가 다시 춘천 땅으로 진입, 추곡
3거리(북산지서)에서 내렸다. 이곳은 인적도 거의 없는 첩첩한 산골로 4발 차량들의 굉음
외에는 소리라는 것이 거의 없다. 남쪽에는 소양호가 살짝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동쪽에는
양구로 인도하는 수인터널이 있으며, 동서남북 사방이 모두 산으로 막힌 그야말로 하늘의
감옥 같은 지형이다.


 

♠  추곡약수 둘러보기

▲  추곡약수 가는 길 (추곡약수3거리~약수터 입구)

우리가 찾는 추곡약수는 추곡3거리에서 2km 정도 들어가야 된다. 추곡3거리 바로 동쪽에 추곡
약수3거리가 있는데, 여기서 46번 국도 직선화로 무척이나 한가해진 왼쪽 길(소양호로)로 들
어선다. (직진하면 수인터널) 국도 직선화 이전에는 춘천과 양구를 오가던 차량들이 구불구불
소양호로를 이용했으나 직선 도로가 뚫리면서 차량들이 죄다 편한 새 길로 바퀴를 돌려 이제
는 추곡약수와 사명산, 소양호 상류 접근용으로 간신히 도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주말이면 그래도 추곡약수와 사명산을 찾는 차량들이 좀 있을 터인데 평일이라 차량의 왕래가
없어 2차선 도로가 무척이나 넓고 외로워 보인다. 그 길을 거의 독점하며 북쪽으로 가다보면
약수터 입구가 나오는데, 여기서 소양호로를 버리고 북쪽 추곡약수길로 진입하면 된다.


▲  추곡약수 입구로 마중나온 익살스런 장승들

▲  추곡리 물푸레나무 - 춘천시 보호수 33호

그저 산바람 소리가 전부인 고적한 추곡약수길을 걷다보면 길 왼쪽에 커다란 나무 1그루가 잠
시 나좀 보고 가라며 발목을 붙잡는다. 나무 앞에는 그의 간략한 소개가 담긴 회색 피부의 안
내문이 있어 살펴보니 춘천시 보호수로 지정된 나이 지긋한 물푸레나무이다.
겨울 제국에게 영혼까지 털려 앙상한 뼈대만 남은 채, 봄의 해방군을 기다리는 이 나무는 나
이가 약 360여 년<2009년 보호수 지정 당시 추정 나이가 약 350년>으로 높이 10m, 둘레 360cm
이다. 추곡약수를 안내하던 오랜 길잡이로 나무에 돌이나 동전을 던져 가지 사이에 딱 들어앉
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있어 '아들나무'란 별명도 지니고 있다.


▲  추곡약수길 (남쪽 방향, 물푸레나무를 조금 지난 지점)

▲  추곡약수길 (북쪽 방향, 추곡약수 마을 직전)

▲  시내버스가 바퀴를 돌리는 추곡약수 정류장

물푸레나무를 지나 5분 정도 가면 추곡약수 마을이 나온다. 마을 앞에는 넓은 공터와 버스 정
류장이 있는데, 춘천시내버스 18번이 여기서 바퀴를 돌려 춘천시내와 오항리로 이동한다. 그
버스를 타면 시외직행버스의 1/3가격으로 약수터 밑까지 편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1일 5회 밖
에 안다닌다는 커다란 함정이 있어 시간표를 미리 확인해야 뒷탈이 없다.


▲  추곡약수 가는 길 (마을에서 약수 방면)

▲  아련한 전설이 되버린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 발생지 비석

마을 동쪽 옆구리를 지나면 추곡약수와 사명산을 안내하는 안내문이 마중을 한다. 그들을 지
나면 계곡을 옆구리에 낀 오르막길이 약수까지 이어지며 약수 밑까지 계곡과 길을 따라 집이
들어서 있다. 이들 집은 상당수 추곡약수로 끓인 닭백숙을 다루는 식당으로 평일이라 손님이
없어 거의 문이 닫혀 있다.

추곡사란 조그만 절이 길 남쪽 언덕에 자리해 있고, 한때 국가 지정 천연기념물 75호로 소양
호에 싹 털려 영원히 사라진 '춘천 장수하늘소 발생지'를 알리는 조그만 비석이 우두커니 자
리해 우수에 젖어있다.
사연을 모르는 이들은 그냥 지나가기 일쑤지만 이 비석은 한때 지정문화재 앞에 안내문과 함
께 세우던 것으로 소양댐이 앗아간 장수하늘소와 북산면의 산하를 잠시 생각하게 만든다. 속
세의 뇌리 속에 완전히 잊혀진 춘천의 장수하늘소 발생지는 여기서 가까운 북산면 추전리 지
역으로 비석이 이곳에 있는 것을 보면 여기도 발생지의 일원이었던 모양이다.

소양댐 건설로 추전리를 비롯한 북산면의 산하가 강제로 물에 잠기자 추전리 산중턱에 있었던
장수하늘소 발생지가 물에 묻혔고 장수하늘소는 지구의 암덩어리, 인간을 원망하며 그렇게 자
취를 감추고 말았다. (1973년 천연기념물에서 정리되었음)


▲  추곡약수 아랫약수

약수터 길 끝에는 나를 이곳으로 부른 추곡약수가 둥지를 틀고 있다. 사명산(四明山, 1198m)
서남쪽 자락에 자리한 이곳은 춘천에서도 가장 벽지이자 북쪽 끝으머리로 칼처럼 솟아 구름을
베게로 삼은 높은 뫼들과 소양호로 이루어진 북산면의 소중한 꿀단지이다.

추곡약수는 윗약수와 아랫약수로 이루어져 있는데 윗약수는 1812년에 김원보(金元甫, 또는 강
원보)가 사명산 산신(山神)의 계시를 받아 발견했다고 전하며, 아랫약수는 약 100년 이전에
맹인 김성련(金成練)이 이곳을 지나다가(아마도 윗약수를 마시러 온 듯) 돌부리에 채여 넘어
지니 바로 그 자리에서 샘이 솟았다고 전한다.


▲  눈에 뒤덮힌 아랫약수 주변 (가운데 4각 지붕이 아랫약수,
오른쪽 주황색 지붕집은 식당)

이 약수는 보통 약수가 아닌 신비롭기 그지없는 탄산 약수로 철분과 나트륨, 탄산염, 황산염,
염소, 불소, 망간, 구리, 칼슘 등이 들어있어 물이 붉은 색을 띈다. 물은 톡 쏘는 쓴 맛으로
여기에 설탕을 타면 거의 천연사이다가 된다. 물맛은 일반 약수보다 다소 쓰지만 위장병과 빈
혈, 부인병, 신경통, 무좀 등에 효과가 있다고 전하며, 이 물로 밥을 지으면 밥이 파랗게 물
이 오르면서 일반 밥과 달리 꼬들꼬들하고 맛이 좋다.

철없던 어린 시절에는 이런 한약 같은 약수가 무척 싫었다. 하여 입에도 대지 않았었지. 그런
데 그 물로 지은 밥은 맛이 있어 몇 그릇을 뚝딱 비우곤 했다. 그러다가 어린 시절 그렇게나
동경했던 어른이 되면서 그렇게나 싫어했던 탄산 약수는 없어서 못마실 정도로 달콤한 약수로
바뀌었다. 나이가 들면 맛도 자연히 바뀌기 마련이지만 그만큼 건강을 챙겨야되는 우울한 나
이대에 이른 것이다.


▲  김원보가 약수를 발견한 것을 기리고자 그의 후손 자매가(손녀라고
되어있음) 1992년에 만든 추곡약수 발견내력 표석

▲  추곡약수 윗약수

추곡약수는 몸보신을 위해 왔으므로 마치 달콤한 음료수를 마시듯 몇 바가지를 마셔댔다. 몸
에 좋다고 하니 두둑히 마셔야 후회가 없지. 게다가 멀리서 왔으니 그 본전은 뽑아야 된다.
그렇게 심한 편은 아니지만 속이 좀 덥수룩했는데 정말 약수의 효과인지 꼬르륵 말썽을 부리
던 뱃속이 잠잠해진 것 같다. 마치 속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 기분 같아서는 약수터 물이 마
르도록 더 퍼마시고 싶지만 위 용량의 한계가 있어서 더 마시진 못했다. 약수터 안내문을 보
니 1일 권장량이 1리터 이하라고 한다. (그날 아마 1.5리터는 마셨을 듯)


▲  추곡약수 윗약수 - 샘 주변이 시뻘겋다.

▲  겨울에 잠긴 추곡약수 윗계곡 (계곡은 출입 금지)
겨울 제국의 시련을 견디며 조용히 봄을 잉태한 계곡, 소쩍새가 우는 그날
거추장스런 눈과 얼음을 박차며 봄의 해방군을 맞이할 것이다.

▲  추곡사(楸谷寺) 가는 길

추곡약수 마을에서 약수로 가는 길목 남쪽 산중턱에 추곡사란 조그만 산사(山寺)가 자리해 있
다. 약수를 마시고 내려오면서 그냥 지나칠까 했지만 약수 하나만 보기에도 좀 허전하여 한번
살펴보기로 했다. 어차피 길목에 있으니 잠깐의 발품이면 충분하다.
추곡사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지어진 현대 사찰로 정확한 창건 시기는 모르겠다. 원래 이름은
명도암(明道庵)이었으나 지역 이름을 따서 추곡사로 갈았다. 숲에 둘러싸인 조촐한 경내에는
대웅전과 산신각, 요사 등이 있으며, 대웅전은 법당임에도 규모가 꽤 단출하다. 산신각도 대
웅전과 닮은 꼴이며, 대웅전 내에는 문수/보현보살을 대동한 금동석가3존불과 여러 탱화가 봉
안되어 있어 있을 것은 거의 다 갖추고 있다.

▲  간단한 모습의 추곡사 대웅전(大雄殿)

▲  추곡사 요사(寮舍)

▲  산신이 봉안된 산신각(山神閣)

▲  금빛찬란한 대웅전 석가3존불과 후불탱


▲  밝은 색채의 산신탱 - 두광(頭光)을 갖춘 너그러운 표정의 산신과
밥을 며칠 못먹었는지 까칠한 표정을 지은 호랑이, 그리고
앳된 모습의 동자 등이 그려져 있다.

※ 춘천 추곡약수 찾아가기 (2018년 2월 기준)
① 춘천까지
* 청량리역, 상봉역, 망우역, 퇴계원역, 평내호평역에서 경춘선 전철을 타고 남춘천역이나 춘
  천역 하차
* 용산역, 청량리역, 상봉역, 평내호평역에서 경춘선 ITX-청춘 열차를 타고 남춘천역이나 춘
  천역 하차
* 동서울터미널, 강남 센트럴시티, 잠실역(5번 출구)에서 춘천행 직행/고속버스 이용
* 인천, 부천, 고양, 구리, 성남, 수원, 평택, 강릉, 원주, 청주, 천안, 대전(복합), 전주,
  대구(북부, 동대구), 울산, 부산에서 춘천행 고속/직행버스 이용
② 현지교통
* 경춘선 남춘천역 1번 출구를 나와서 도로(영서로)를 따라 서쪽으로 조금 가면 온의4거리이
  다. 여기서 서쪽으로 길을 건너면 강남동(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인데, 여기서 춘천시내버
  스 18번을 타고 추곡약수에서 내린다. <춘천시외터미널을 나와서 왼쪽(북쪽)으로 가면 온의
  4거리, 여기서 북쪽으로 길을 건너면 강남동 정류장>
  버스는 1일 5회 운행하며, 후평동에서 7:30, 9:05, 11:35, 15:40(하절기 16:35), 19시에 출
  발한다. (강남동은 15분 정도 추가)   버스 시간이 맞지 않으면 춘천시외터미널에서 양구행
  직행버스를 타고 북산지서에서 내려 2km 걷는다. (직행버스는 40~60분 간격, 춘천역 경유)
③ 승용차
* 중앙고속도로 → 춘천나들목에서 양구 방면 5번 국도 → 배후령터널 → 간척3거리 → 추곡
  약수3거리에서 좌회전 → 추곡약수

* 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추곡리 (추곡약수길 89-1)


 

♠  소양강 하류에 남아있는 청동기 유적 천전리지석묘(泉田里支石墓)
- 강원도 지방기념물 4호

추곡약수에서 조촐하게 약수 몸보신을 하며 사명산의 청정한 기운까지 누리다가 약수에 대한
미련을 애써 지운 채, 다시 추곡3거리(북산지서)로 나왔다. 그냥 춘천시내로 나갈까 하다가
추곡약수 하나로는 무척이나 허전하여 시내로 가는 길목에 자리한 천전리지석묘를 후식으로
살펴보기로 했다. 마침 춘천~양구 직행버스가 천전리지석묘 근처인 춘천국유림관리소에 정차
한다.

직행버스를 하염없이 기다리던 중, 그렇게나 보기 힘든 18번 시내버스가 시내에서 나와 추곡
약수로 들어갔다. 이 차는 추곡약수에서 바퀴를 돌려 다시 추곡3거리로 나왔다가 북산면사무
소가 있는 오항리로 들어가는데 그를 타면 참 저렴하게 천전리로 넘어갈 수 있지만 시내 방면
은 무려 1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된다. 시간은 이미 16시가 넘은 상태, 그때까지 햇님이 우리
를 기다리지 않기에 울며 겨자 먹는 심정으로 비싼 직행버스를 타야 되는데 이 직행버스도 좀
처럼 나타나질 않는다. 게다가 일몰 직전의 산골이라 칼바람이 춤을 추며 우리의 폭력성을 적
지 않게 테스트한다.
그렇게 기다린지 40분 만에 춘천행 직행버스가 짜잔 모습을 비추었다. 그의 등장에 잔뜩 일그
러진 표정은 긍정적인 표정으로 씨익 바뀌었지. 거의 비행기 이륙 수준으로 질주하는 그를 잡
아타고 간척3거리와 배후령터널을 지나 거의 20분 만에 천전리 춘천국유림관리소에 도착했다.

버스에서 내려서 동쪽으로 조금 가면 천전나들목 입구 3거리인데 여기서 길 오른쪽에 천전리
지석묘를 알리는 갈색 피부의 이정표가 나온다. 그의 안내로 겨울잠에 잠긴 농산물 비닐하우
스 단지를 지나면 그 길의 끝에 천전리지석묘가 웅크리고 있다.


▲  고된 세월에 새까맣게 탄 서쪽 지석묘(고인돌)

소양강 북쪽, 천전리 경작지에 자리한 천전리지석묘(고인돌)는 2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
에 시신과 유물을 담은 돌방을 낸 다음 커다란 뚜껑돌을 씌운 탁자식이다. 이들은 세력의 우
두머리나 부족장의 무덤으로 예전에는 10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5기만 남은 상태이며, 다른 고
인돌에 비해 덩치가 작은 편이나 드물게 돌방이 잘 남아있다.

고인돌 뚜껑돌의 길이는 2.2~2.6m 정도이고, 기둥(받침돌)의 높이는 1~1.1m 정도이며, 돌방에
서 돌화살촉 3개와 대롱구슬, 민무늬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현재 돌방에는 잡석만 무성하며,
이들 고인돌을 통해 옛 조선(朝鮮)이 대륙을 호령했던 청동기시대에 춘천 지역에 조그만 세력
이 있었음을 귀뜀해준다. 이 세력은 점차 춘천 지역을 다스렸던 맥국(貊國)으로 발전하거나
혹은 그 세력에 강제통합된 것으로 여겨진다.


▲  장대한 세월의 무게를 극복하지 못하고 털썩 주저앉은 가련한 고인돌
천전리고인돌 형제 중 가장 덩치가 작다.

▲  검은 피부가 되버린 동쪽 고인돌들

▲  돌방을 꽁꽁 가리고 있는 동쪽 고인돌 (왼쪽에 꼬꾸라진 커다란 돌은
예전에 사라진 고인돌의 뚜껑돌)

▲  가장 동쪽 고인돌

※ 춘천 천전리지석묘 찾아가기 (2018년 2월 기준)
① 대중교통 (현지교통, 춘천국유림관리소 하차)
* 경춘선 남춘천역(1번 출구)에서 11, 150번 시내버스 이용 (150번은 다소 돌아감)
* 남춘천역(1번 출구)을 나와서 서쪽으로 조금 가면 온의4거리이다. 여기서 서쪽으로 길을 건
  너서 강남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11, 18, 18-1번 시내버스 이용
* 춘천역(1번 출구)에서 11, 12, 150번 시내버스 이용
* 춘천국유림관리소에서 하차하여 동쪽(소양댐)으로 200m 가면 천전리지석묘를 알리는 이정표
  가 나온다.
② 승용차
* 중앙고속도로 → 춘천나들목에서 양구 방면 5번 국도 → 천전나들목을 나와서 소양댐 방면
  좌회전 → 천전리지석묘 입구 (차는 이곳에 주차)
* 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685-7


천전리고인돌을 보고나니 땅꺼미는 완전 짙어져 세상은 검은색 도화지가 되었다. 소양호와 칼
처럼 솟은 산들로 둘러싸인 춘천분지 특유의 칼바람과 맞서며 종일 돌아다녔더니 저녁 시장기
가 강하게 피어오른다. 저녁은 이미 정처를 정해둔 상태라 춘천의 명물인 닭갈비와 막국수,
빙어회를 내놓는 식당으로 즐비한 윗샘밭(천전리)을 버리고 춘천시내버스 13번을 타고 춘천시
내로 들어갔다.

신북읍과 소양2교, 강원도청을 차례로 지나 동부시장에서 내려 남쪽 골목길을 비집고 들어가
니 효자동(孝子洞)에 자리한 별당막국수가 모습을 드러낸다. (지금은 남부4거리 부근 약사동
으로 이전됨) 바로 이날 저녁을 처리할 집이다.
자리에 앉아 무엇을 먹을까 잠시 즐거운 고민을 벌이다가 춘천스타일에 맞게 막국수와 메밀전
병, 감자전을 주문했다. 잠시 뒤 따끈한 육수와 붉은 김치, 백김치 등 김치 2종류가 차려진다.
김치도 제법 숙성이 되서 맛이 좋았고, 백김치도 입에 잘 들어가 밥도둑이 따로 없었다. 그리
고 바로 감자전과 메밀전병이 수줍은 듯 앞에 차려졌는데 감자전은 강원도에서 먹을 수 있는
일반적인 감자전 맛이고, 메밀전병은 정선5일장과 동해(東海) 북평5일장에서 먹던 그 맛과 비
슷하다. 전병은 거의 20덩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장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 고소하다.
이윽고 춘천스타일 음식의 제왕인 막국수가 모습을 드러냈다. 막국수는 춘천을 비롯한 강원도
의 토속음식으로 국수와 계란 반토막, 돼지고기, 당근, 오이 등이 버무러져 막국수를 이루고
있다. 식당 종업원의 안내로 지정된 육수를 조금 부어서 막 비벼 먹으니 제법 맛이 살아난다.
그렇게 주문한 음식을 모두 처리하니 포만감의 행복과 식곤증이 살짝 밀려와 나를 희롱한다.


▲  감자전과 메밀전병, 김치 2종류

▲  막국수의 위엄

식당을 나오니 날씨는 더욱 심술을 부려 바람이 더욱 까칠해졌다. 이제는 쿨하게 집으로 돌아
가야 될 시간, 남춘천역까지 걸어가 경춘선 전철을 타고 미련없이 나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이렇게 하여 한겨울 춘천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8년 2월 6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더울 때는 땅 속이 최고!!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 광명시 광명동굴 (가학산)



'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 광명시 광명동굴 '

▲  광명 와인동굴 (광명동굴)

▲  황금폭포

▲  광명동굴의 마스코트, 아이샤


 


서울에서 자연산 동굴을 구경하려면 400~500리나 떨어진 강원도 정선이나 영월, 태백, 충

북 단양까지는 가야 된다. 몸에 좋은 탄산약수만큼이나 보기가 참 어려운데, 2011년 이후
서울 근교에도 드디어 동굴이 하나 생겨 멀리 가야 되는 수고로움이 조금은 덜해졌다. 단
양이나 정선처럼 자연산 동굴이면 참 좋겠지만 현실은 광산(鑛山) 출신의 인공 동굴로 그
주인공은 광명시에 있는 광명동굴(가학광산)이다.
비록 인공으로 다져진 굴이지만 내부는 자연산 굴과 많이 닮았으며, 울산 울주군(蔚州郡)
의 자수정동굴처럼 버려진 광산을 관광용으로 잘 재생한 케이스로 널리 칭송을 받고 있다.
그러니 자연산 동굴이 아니라고 그리 실망할 필요는 없다. 정 자연산을 원한다면 강원도
나 단양, 울진(성류굴), 제주도로 쿨하게 날라가면 된다.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로 오랫동안 입소문을 탄 광명동굴은 2012년 11월에 이미 인연
을 지은 바가 있다. 그때는 가학광산동굴이라 불렸는데, 개방 초창기라 광산 시절 그대로
의 모습을 거의 간직하고 있었다. 허나 볼거리는 별로 없었으며 가이드를 따라 30분 정도
동굴을 둘러보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야말로 광산 동굴 산책이다.
이후 광명시의 무한 정성에 힘입어 나날이 진화를 보여 이제는 명실상부한 수도권 제일의
동굴 명소이자 광명시(光明市)의 꿀단지로 단단히 자리를 잡았다. 하여 그가 얼마나 달라
졌는지 확인도 해볼 겸, 오랜만에 다시 인연을 지었다.

햇님이 하늘 중간에 걸린 늦가을의 어느 날 14시, 개봉역(1호선)에서 후배를 만나 광명동
굴의 발, 광명시내버스 17번(개봉역↔광명동굴)을 탔다.
이 버스는 철산동(鐵山洞)과 하안동, 소하동, 가학동 등 광명 동부와 남부를 정신없이 강
제투어를 시켜주며 거의 1시간 만에 광명동굴 종점(광명시 자원회수시설 앞)에 우리를 내
려놓는다.


 

♠  광명동굴 입문

▲  광명동굴 밑에 자리한 광명시 자원회수시설

버스에서 내리니 하얀 구름 무늬를 지닌 붉은 피부의 거대한 건물이 우리를 맞는다. 하늘을 찌
를 듯 높이 솟은 굴뚝이 적지 않게 위압감을 선사하고 있는데 그는 '광명시 자원회수시설'이라
불리는 존재로 원래는 쓰레기 소각장이다. 광명 지역에서 거둬들인 잡다한 쓰레기를 태우고 처
리하던 현장으로 예전 가학광산 시절에는 광산 폐기물을 무방비로 모아두던 곳이었다.

2012년에 왔을 때는 정말 우중층한 모습 그 자체였는데, 광명동굴의 주변 미관을 위해 구름 무
늬를 겯드려 붉은 색 옷을 입혔다. 그래서 그때보다 밝고 화사하게 보인다. 건물 내부에는 광
명업사이클아트센터, 에코에듀센터가 들어서 폐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쓰이고
있으며 식당 등의 편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건물 남쪽에 동굴 주차장이 있음)


▲  주차장 주변에 조성된 귀여운 조형물(사슴과 다람쥐, 광명동굴의
마스코트인 아이샤와 쿠오)과 늦가을에 잠긴 단풍나무


▲  자원회수시설에서 광명동굴로 인도하는 오르막 길

자원회수시설에서 3~4분 오르면 바로 광명동굴 앞이다. 동굴 앞에는 광장이 펼쳐져 있는데, 매
표소와 방문자센터, 쉼터, 광차 모형, 광부 모형 등이 있으며, 북쪽에는 아이샤 숲이라 불리는
조그만 공원이 있다. 광장 남쪽에는 막연히 하늘로 이어질 것만 같은 계단길이 길게 펼쳐져 있
는데, 그 길은 가학산(駕鶴山, 220m) 정상과 서독산, 구름산, 광명둘레길로 이어진다.


▲  동굴 앞에 닦여진 공원(아이샤숲)과 광부석상 (가학산 근린공원)
늦가을도 광명동굴의 소문을 들었는지 살며시 다가와 동굴 주변을 곱게 물들였다.
하얀 피부의 광부상은 한때 이곳의 주인공이었던 광부를 재현한 것으로
열심히 광물을 쏟아내던 옛 시절을 회상하게 한다.

▲  광명동굴 광장 (오른쪽 창구가 매표소, 그 오른쪽이 가학산 등산로)

▲  열려라 참깨~~!! 광명동굴이 활짝 빗장을 열었다.

▲  가학산으로 인도하는 계단길
여기서 가학산 정상까지는 40분 정도 걸린다.

▲  드디어 동굴의 속살로 들어서다.
(바람길)


※ 칙칙한 광산에서 관광용 동굴로 거듭난 현장,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 광명동굴
시골 풍경이 진하게 서려있는 광명시의 남쪽 변두리 가학동(駕鶴洞), 그 가학동을 둘러싼 가학
산 서남쪽 자락에 천하의 쟁쟁한 동굴들을 긴장시킨 광명동굴이 웅크리고 있다.
서울 근교의 거의 유일했던 광산이자 유일한 동굴<북한이 남침을 위해 파거나 우리 군에서 작
전상 판 땅굴은 제외>로 1912년 4월 왜인(倭人)이 발견하여 광산 사업을 벌이니 그것이 광명동
굴의 시작이었다.

이곳에서는 구리, 아연, 은, 금 등이 푸짐하게 쏟아져 나왔는데, 여기서 나온 광물은 왜열도로
넘어가 그들의 배때기를 찌우는데 주로 쓰였다. 하지만 지역 사람들로 이루어진 노동자들은 가
혹한 노동 착취에 쥐꼬리보다 못한 저임금을 받으며 힘들게 살아갔다.
왜정(倭政) 말기에는 징용을 피하고자 많은 사람들이 광산을 찾았다. 여기서 일하면 징용 대상
자에서 빠지기 때문이다. 어딘지도 모를 이역만리로 끌려가느니 차라리 고향과 가까운 곳에서
고생하는 것이 나았을 것이다. 허나 지원자가 얼마나 줄을 섰던지 인맥을 동원해야 겨우 발을
들일 정도였다.

1945년 이후, 광산은 지역 사람에게 넘어가면서 비로소 이 땅을 위해 광물을 내놓기 시작했다.
채광 기록이 부실하여 1955년부터 1972년까지의 기록만 남아있는데 그 17년 동안 동 1,247톤,
아연 3,637톤. 금 52kg, 은 6.070kg을 생산하여 주력 광물인 동, 아연 외에 다양한 광물이 담
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1950년 6.25전쟁이 터지자 지역 주민들이 광산으로 피난해 화를 면했으며 그 피난 시절에 광산
에서 태어난 아이를 '굴댕이'라 부르기도 했다.

1961~1962년에는 노동운동이 일어나 언론을 타기도 했으며, 그 시절에는 시흥광산이라 불렸다.
(그때는 '경기도 시흥군'이었음) 또한 1960년대 중고등학교 지리, 사회과지도에 주요 광물 생
산지로 절찬리에 등장해 이 땅에서 존재감이 꽤 컸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최대 500여 명이 일
을 했었다.

그렇게 잘나갔던 가학광산은 1972년 한순간의 실수로 거지가 되고 만다. 광산에서 채굴하여 버
린 돌을 광산 서쪽에 무방비로 쌓아두었는데, 홍수로 그것들이 죄다 떠내려가 가학동과 시흥시
목감동의 들판을 들이친 대형사고가 터진 것이다. 돌로 뒤덮힌 경작지는 30~40년 동안 경작이
불가능했을 정도였으니 그만큼 광물 찌꺼기의 맹독성은 심했다.
졸지에 터전을 잃은 농민들이 항의하자 이를 보상해야 했고 만만치 않은 보상금을 치르면서 재
정이 바닥나 결국 망하고 말았다.

다행히 인수자가 있어 폐광은 면했으나 바로 그해 7월, 가학산 주변이 그린벨트로 묶이면서 광
산의 목구멍은 막히고 말았다. 개발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광산 안에는 수십 년을 쓸 수 있
는 광물이 묻혀 있고, (1950년 조사 때 광산 내 매장량은 약 19,000톤으로 측정됨) 금도 적지
않게 깃들여져 있던 상태에서 그린벨트란 굴레가 씌워진 것이다.
그래서 1978년부터 2010년까지 소래포구에서 의뢰 받은 젓갈을 저장하는 창고로 간신히 연명했
으나 그걸로는 본전도 뽑기 어려웠다. 그러다가 1994년 6월, 이름 뿐인 광업권까지 소멸되면서
광물 채굴은 어림도 없게 되었다. 채굴이 불가능한 광산은 천상 입구에 못질을 하고 문을 닫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라질 위기에 처한 가학광산에게 의외의 구원자가 두 손을 내밀었다. 바로 광명시였다.
광명시는 이 기회에 동굴 하나 장만하여 폐광산 테마공원으로 꾸밀 계획을 세우고 2011년 1월
광산과 주변 토지 10만
를 43억원에 매입했다. 마땅히 천하에 내세울 명소가 변변치 못하였던
광명시가 버려진 광산을 주목하고 모험을 건 것이다.
그래서 7개월 동안 갱도 내부를 손질하고 홍보 영상까지 제작해 천하에 널리 뿌렸으며, 그해 8
월 22일 가학광산에 동굴 2자를 붙여 '가학광산동굴'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그동
안 어둡고 칙칙했던 광산 이미지를 확 벗어 던지고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로 새롭게 거듭
난 순간이었다.
이때가 1차 개방으로 그해 12월 11일까지 약 110일 동안 문을 열었으며, 11월에는 최초로 동굴
음악회가 열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 개방 기간에 무려 17,000명이 찾아와 이곳의 전망이 결
코 어둡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그해 12월 12일 다시 빗장을 잠구고 2012년 3월 16일까지 보수 작업을 벌여 3월 17일 다시 빗
장을 열었으며 그해 11월 30일까지 2차 개방을 실시했다. 이때는 입장 시간을 변경해 9시부터
16시 20분까지 입장시켰으며, 동굴 100주년 기념 행사와 음악회, 영화 상영, 출판 기념회 등의
이벤트를 가졌다.
그리고 다시 빗장을 잠구고 2013년 3월까지 다시 내부를 손질하여 천하 최초의 '동굴예술의전
당'을 세상에 내놓았다. 그 개관 기념으로 동굴문명 특별전이 열렸으며, 최초의 동굴 패션쇼와
보석쇼 등의 이벤트를 열어 동굴의 명성을 드높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의견을 거쳐 동굴 주
변을 가학산 근린공원으로 조성했다.

2014년에는 국내 최초로 판타지 콘셉트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했고, 동굴 최초 영화 '터널3D'를
촬영해 시사회를 가졌다. 또한 볼거리를 계속 확충하여 아쿠아월드, 빛의 세계전, 동굴 레이저
쇼 등을 갖추었으며, 이 해까지 100만 명이 다녀가 동굴의 높은 인기를 보여주었다.
2015년에는 조촐하게 와인동굴까지 선보여 서울 근처에서도 동굴에서 숙성된 와인을 즉석에서
마실 수 있게 되었으며, '반지의 제왕'으로 유명한 뉴질랜드 웨타워크숍과 손잡아 판타지 콘셉
트 디자인 공모전을 벌였다. 그리고 프랑스와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고자 2016년 4월부터 9월
까지 라스코 동굴벽화 국제순회 전시회를 벌이는 등, 천하 제일의 동굴 관광지를 위해 열심히
날개짓을 하고 있다.
또한 동굴 이름도 가학광산동굴에서 광명동굴로 갈면서 광산 이미지를 지웠고, 동굴에 들인 본
전을 뽑고자 2015년 4월부터 달갑지 않은 입장료까지 얹혀 이제는 유료의 동굴이 되었다. 유효
화 이후에는 사람이 줄기는 커녕, 풍부하게 넣어든 볼거리와 수도권 유일의 동굴 관광지란 타
이틀 때문에 오히려 증가하여 광명시의 곳간을 채우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광산 갱도의 총길이는 7.8km, 갱도의 깊이는 275m<해발 180m에서 지하 95m까지>이며, 내부 면
적은 42,785㎡<유역 면적 342,797㎡>, 갱도 폭 2~5m<평균 3.5m>, 갱도 높이 1.5~4m<평균 2.75m
> 이다. 하루 선광량은 350톤, 갱도 재질은 석회규산염암과 편암이며, 동공 수는 50여 개로 동
공에는 위 아래를 연결하는 통로를 두었고, 권양기(捲揚機)라는 기계를 와이어로 감아 크고 작
은 광석을 광차를 이용해 실어날랐다.
광산으로 쓰였던 곳이지만 내부 통풍에는 지장이 없어 산소가 충분하며, 평균 13도 가량을 유
지하고 있다. 그래서 한여름에는 시원해 피서의 성지로 아주 제격이다. 내부로 들어가는 곳은
이곳 외에 소하동(所下洞)에도 있으나 그곳은 닫혀 있으며, 갱도 높이가 들쭉날쭉해 정문에 비
치되어있는 안전모를 필히 써야 머리에 탈이 없다.

광명동굴(가학광산 동굴), 그곳을 처음 접했을 때 동굴이란 2글자가 붙어 있어 자연산과 인공
이 섞인 동굴이라 생각했다. 허나 이는 어디까지나 단어 장난이었다. 순 100% 사람이 삽질해서
판 인공굴이었던 것이다. 자연이 손댄 부분은 하나도 없으나 굴을 둘러보면 정말 자연산 동굴
처럼 느껴져 사람의 힘이 정말 대단함에 놀라게 된다. 먹고 살기 위한 집념과 노다지를 캐려는
집념이 이런 커다란 동굴을 빚었던 것이리라.
땅굴 파기는 북한이 천하 제일이지만 우리도 그에 못지 않다. 아쉬운 건 이곳이 왜정 때 이 땅
의 백성들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긴 현장이라 조금은 씁쓸하다는 것이다.

한때 밀폐된 공간에 무엇을 그리 주섬주섬 만드는가 우려와 비판도 많았지만 그 우려를 잘 소
화하여 이제는 어엿한 동굴 관광지로 내 앞에 섰다. 광명시가 5년 넘게 갖은 정성을 들인 광명
의 진정한 꿀단지이자 서울 근교의 주요 명소로 우뚝 선 현장으로 비록 입장료를 씌운 점은 함
정이지만 그 돈이 아깝지 않을 정도로 나날이 진화를 보이고 있는 살아있는 동굴이다.

※ 광명동굴 찾아가기 (2017년 7월 기준)
* 지하철 1호선 개봉역(1번 출구 밖 남부순환로변 정류장), 7호선 철산역(2번 출구 밖 2001아
  울렛 철산점 건너편 정류장), 1호선과 고속전철 광명역(7번 출구)에서 광명시내버스 17번을
  타고 광명동굴 종점 하차, 도보 5분
* 지하철 1,2호선 신도림역(1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7호선 철산역(2번 출구 밖 2001아울렛
  철산점 건너편 정류장)에서 광명시내버스 11-2번을 타고 소하동 광명동굴입구 종점 하차, 광
  명동굴까지 도보 30분 또는 코끼리차 아이샤를 타고 광명동굴까지 이동
  <코끼리차는 광명동굴 후문에서 광명동굴 제2매표소까지 운행하며, 9시20분부터 17시까지 20
  분 간격으로 운행, 요금은 청소년과 어른 2,000원 / 어린이 1,000원 (비나 눈이 오거나 강추
  위 때는 운행안함)>
* 지하철 7호선 철산역(2번 출구)과 광명역(2번 출구)에서 광명투어버스 이용, 광명역에서는 1
  일 4회, 철산역에서는 1일 6회 운행하며, 월요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광명투어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 이곳을 클릭한다)
* 광명동굴 자원회수시설 남쪽(제1,2주차장)과 광명동굴 후문(제3주차장)에 주차장이 있음 (주
  차비 무료)

★ 광명동굴 관람정보 (2017년 7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6,000원(단체 5,000원), 군인 4,000원(3,500원), 청소년 3,500원(3,000원),
  어린이 2,000원(1,700원)  <광명시민은 50% 할인, 단체는 20명 이상>
* 관람시간 : 9시~18시 (17시까지 입장 가능, 매주 월요일 휴관)
* 동굴 체험활동 - 광물(보석) 채광 4,000원, 황금채취 6,000원, 광산모자만들기 3,000원, 동
  굴속 황금패 달기 5000원
* 2017년 7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동굴 안 라스코전시관에서 바비인형전이 열린다. (입장료
  는 별도, 자세한 것은 광명동굴 홈페이지 참조)
* 소재지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산 17-1, 27일원 (가학로 85번길 142 ☎ 1688-3399)
* 광명동굴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온갖 색채의 조명이 길을 비추는 광명동굴 바람길


 

♠  지하 세계, 광명동굴 둘러보기 (바람길에서 황금궁전까지)

▲  한때 소박했던 웜홀광장 (2012년 모습)

우리는 입장권을 구입하고 안전모를 눌러쓴 다음 동굴의 속살로 들어섰다. 사람의 손으로 이룩
된 갱도는 휴전선에 있는 북한의 남침용 땅굴과도 조금은 비슷한 모습인데, 폭 2~5m, 높이 1.5
~4m로 상당수의 갱도는 2m 정도를 유지한다. 촘촘한 간격으로 조명 시설을 달아 다양한 색채로
갱도를 곱게 수식하며, 색이 바뀔 때마다 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동굴의 시작인 바람길을 지나면 웜홀(Wormhole)광장이 나온다. 여기서 길(동공)은 3갈래로 갈
리는데 관람 순서가 정해져 있어 무조건 오른쪽 빛의 공간으로 가야 된다. 동굴을 1바퀴 돌면
다시 웜홀에 이르게 되는데, 그때는 옆 길로 들어서 와인동굴을 거친 다음 다시 웜홀로 나와서
밖으로 나간다. 그러니 동굴 관람 동안 웜홀을 총 3번 찍는 것이다. 그래서 동굴의 과거, 미래
, 현재를 둘러보는 입구라 하여 웜홀(우주에서 불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이라 이름
지었다.


▲  빛의 황홀한 터널, 빛의 공간 ▼

빛의 공간은 다양한 색채의 조그만 조명등을 터널처럼 씌운 구간으로 검은 도화지 속에 이렇게
찬란한 터널을 두니 마치 겨울 저녁 빛 축제 현장에 들어선 기분이다.
그렇게 빛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터널을 지나면 동굴 아쿠아리움과 예술의 전당이 모습을 드
러낸다.


▲  빛의 공간 남쪽 종점

▲  '황금동굴의 빛나는 생명체' 모형들

빛의 공간을 지나면 '황금동굴의 빛나는 생명체'란 이름을 지닌 요상한 동물 모형이 빛을 발하
며 나타난다. 이들은 동굴을 꾸미면서 달아놓은 테마 모형으로 그들을 만들고 적당한 이야기를
덧붙였다.
내용인즉 황금동굴(광명동굴)의 가장 깊은 곳에는 황금을 먹고 빛을 내는 다양한 생명체가 살
고 있는데 동굴 벽면에서 살고 있는 젤리팻 가족과 동굴 안을 부유하는 어비스 피쉬가 대표적
인 빛의 생명체란 것이다. 이들은 LED조명 작가 권영준이 만든 것으로 다양한 조명을 씌워 시
간마다 다른 피부색을 낸다.
지금이야 우스개 소리로 듣고 흘리겠지만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에는 그 이야기도 세월만큼이
나 커져 무시무시한 전설로 바뀌지 않을까 싶다. 예를 들면 동굴에 머물며 사람들을 괴롭힌 괴
물, 이런 식으로 말이다. 이런 비슷한 전설이 천하에 제법 많다.


▲  붉은 빛을 내는 '황금동굴의 빛나는 생명체' 모형들

▲  동굴 아쿠아월드(Aqua world)

동굴 속에 물고기를 담은 수족관이 있다면 믿겠는가? 바로 그 믿음의 현장이 광명동굴의 아쿠
아월드이다. 어떻게 동굴 속에 수족관을 만들 생각을 했는지 참 생각이 기발하기 그지 없는데
동굴에서 무한리필로 쏟아지는 지하 암반수를 활용하여 1급수에서 사는 물고기와 천하에 여러
물고기를 담아 조촐하게 아쿠아월드를 꾸몄다. 물론 물고기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  조그만 물고기의 세상, 동굴 아쿠아월드 수족관

▲  브라질 아마존강에서 넘어온 무서운 물고기, 피라냐
피라냐는 아마존 원주민 말로 '이빨이 있는 물고기'란 뜻이다. 날카로운 이로
아무거나 물어뜯는 미친 물고기로 사람까지도 물어뜯어 죽게 만든다.
저 쥐방울만한 물고기가 말이다.

▲  다양한 수족관과 물고기가 있는 동굴 아쿠아월드 내부

▲  스크린이 있는 동굴 예술의전당

동굴 남쪽 구석에는 '동굴 예술의 전당'이라 불리는 공간이 있다. 이곳은 동굴 내부에서 가장
너른 공간으로 광산 시절에는 폭파 등의 위험한 일을 할 때 임시 대피소로 쓰였다. 그랬던 현
장이 문화예술 공간으로 상큼하게 변신하여 영화, 음악회, 뮤지컬, 패션쇼, 3D홀로그램 영상
등이 열린다. (350석 규모임)
2012년에 무대와 객석을 만들고 시범용으로 영화를 여러 차례 상영하여 좋은 호응을 얻었으며,
2013년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그해 6월 29일 개관하였다. 이 땅 유일의 동굴 속 예술의전당으로
동굴 속살에 이렇게 극장 겸 공연장을 닦을 생각을 하다니 참으로 깜찍한 아이디어 같다. 계절
과 날씨에 방해 받지 않고 언제든 상영이나 공연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다만 깊은 굴 속이라
만약에 사태에 대비할 재난 메뉴얼은 꼭 필요하다.

* 매일 3D홀로그램 영상을 상영한다. 동굴 요정 아이샤와 쿠오가 동굴을 탐험하는 이야기를 다
  룬 3D입체 영상물로 상영 소요시간은 3분 30분 정도 (상영시간은 30분 마다, 변경 가능)


▲  동굴 예술의전당과 위로 향하는 계단
한여름에 여기서 공포 영화를 본다면 참 효과가 클 것 같다. 거기에 정선
화암동굴에서 여름마다 열린다는 귀신체험도 겯드린다면 아주 몸살날 듯.

▲  황금길

동굴아쿠아월드와 예술의전당에서 북쪽으로 가면 황금길이라 불리는 구간이 나온다. 금이 적지
않게 나왔던 동굴의 이력과 부자를 꿈꾸는 속인(俗人)들의 바램을 담아 황금길이라 했는데, 소
망을 적은 황금패를 걸어두는 소망의 벽이 있으며, 숲속 나무에서 나오는 음이온을 깃들여 놓
아 관람객들의 건강도 조금은 배려해주고 있다.


▲  황금길 구간
이곳을 거닐면 혹여 금이 뚝딱 떨어지지 않을까? 아직도 금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고 하니 곡괭이를 들고 몰래 잠입하여 무한정 캐보고 싶다.

▲  동굴 천정에 뚫린 구멍 - 동굴에 살던 용이 급하게
승천하던 자국은 아닐까?

▲  중생들의 소망을 먹고 자라는 황금길 소망의 벽

소망의 벽에는 중생들의 소망을 머금은 황금패(가짜 황금임)들이 주렁주렁 걸려있다. <황금패
를 5,000원에 구입하여 소망을 적은 다음 벽에 알아서 걸면 됨~~> 이 구간에는 건강에 좋다는
음이온이 깃들여져 있어 수복강녕(壽福康寧)의 길이라 불리기도 한다.


▲  동굴 속에 아름다운 수채화, 황금폭포

소망의 벽을 지나면 동공 속에서 울고 있는 황금폭포가 나온다. 관람객의 손길이 전혀 닿을 수
없는 곳에 자리해 있어 그야말로 그림의 떡 같은 폭포인데, 동굴 지하수를 활용해 높이 3.6m의
멋드러진 폭포를 빚었다.
시간당 약 1.2톤의 물이 흐르고 있어 가뭄으로 신음하는 바깥 세상과 달리 수량은 풍부하며 황
금빛 조명을 달아놓아 늘 황금색을 자아낸다. 다른 동굴에서는 절대로 볼 수 없는 진귀한 폭포
로 광산 시절에는 호퍼(hopper)라고 채굴된 광석을 떨어뜨리던 구멍이 있었다.


▲  가짜 황금이 널부러진 황금의 방

황금폭포를 지나면 황금의 방이라 불리는 공간이 나온다. 이 역시 금이 나왔던 광산의 과거 이
력을 반영하여 지은 것인데, 마치 오래된 무덤의 내부나 숨겨진 공간의 석실(石室)처럼 분위기
를 내고 온갖 황금 덩어리를 그럴싸하게 풀어놓아 황금을 꿈꾸는 속인들의 마음에 불을 지른다.
허나 아쉽게도 저들은 모두 가짜이다. 그러니 가져갈 필요도 없다.


▲  광명동굴의 마스코트, 황금 망치와 황금을 든 아이샤(Aixia)

아이샤는 광산이나 동굴 속에서 산다는 난쟁이 요정이다. 그는 주로 금과 은, 보석이 많이 나
오는 곳에 출현한다고 하며, 그 연유로 그를 광명동굴의 마스코트로 삼아 귀여운 어린 여자아
이로 포장하여 내놓았다. 그의 황금 망치는 아무거나 뚝딱 황금으로 바꾸는 신비한 망치로 보
잘것없는 돌이라고 해도 그의 망치질을 받으면 황금으로 변신한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샤는 광명시의 창작물이 아닌 서양의 옛 신화에 나오는 존재이기 때문에 '쿠오'라
는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 그와 짝을 짓고 동굴 요정으로 삼아 그럴싸한 이야기를 넣었다.

이야기인즉 쿠오는 동굴을 탐험하다가 간드레(광산에서 사용하던 등)를 줍는 과정에서 인간 세
계로 통하는 입구를 발견하니 그게 바로 광명동굴이라는 것이다. 동굴을 나온 아이샤는 하늘에
떠있는 별들에게 홀딱 반해 매일 동굴에서 별을 닮은 금석(金石)을 만들었다고 한다.

동굴 마스코트를 두는 건 좋지만 굳이 양이(洋夷)들의 캐릭터와 칭호를 쓰지 말고 동굴 자체적
인 캐릭터를 만들고 이름 또한 순 한글로 했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지역 이름을 따서
'광명'이라고 하는 것도 좋을 듯 함>


▲  조명빨로 살아가는 황금궁전

황금의 방 부근에는 황금궁전이라 불리는 곳이 있다. 앞서 황금폭포처럼 탐방로 윗쪽에 붕 떠
있어 만지기가 어려운 존재인데, 황금궁전이라 하여 무슨 궁전 같은 것이 있는 것은 아니며 2~
3개의 동공이 있는 곳에 조명을 달고 수시로 색을 달리하는 것이 이곳의 전부이다. 그 모습이
제법 아름다워서 황금궁전이라 이름 지은 모양이다.


▲  초록색으로 변한 황금궁전

▲  동굴 지하 세계로 내려가는 길
저 계단의 끝에 지하에 숨겨진 또다른 세상이나 저승이 있는 것은 아닐까?

▲  동굴 지하 세계로

황금 궁전을 지나면 밑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마치 지하 끝으로 이어질 것 같은 기세로 나타난
다. 지금까지는 동굴 입구와 해발 높이가 비슷한 수평 갱도였지만 여기서부터 지하1레벨로 내
려가는 것이다. 아주 잠시 말이다.
이 계단은 광부들이 광석을 채굴하고 그것을 나르던 통로로 경사는 약 32도이다. 광산이 폐쇄
된 이후, 지하 구역에 대한 손길이 끊기면서 지하수가 슬쩍 들어와 오랫동안 물에 잠겨 있었으
나 2013년에 모두 퍼내어 길을 냈다.


 

♠  지하 세계, 광명동굴 둘러보기 (지하세계에서 와인동굴까지)

▲  귀신의 집(공포체험관)과 후덜덜한 귀신 누님 모형

동굴 지하 세계로 내려오니 귀신의 집과 처녀귀신 모형이 으시시한 모습으로 마중을 한다. 시
작부터 아주 쎄게 관람객들의 염통을 건드리고 있는데 소복을 입은 처녀귀신은 진짜 살아있는
여인처럼 보여 염통에 긴장을 더하게 한다.
다행히 움직이지는 않아 긴장의 정도는 이내 떨어지고 말지만 만약 저들을 움직이게 만들었다
면 <모형 대신 귀신이나 저승사자 분장을 한 사람을 배치하여 극적 효과를 높이는 것도 좋을
듯함~> 납량특집이 정말 따로 없었을 것이다. 거기에 무서운 소리를 내며 살짝 쫓아오거나 수
평레벨로 오르는 계단을 잠시 끊어 공포 분위기를 높인다면 염통과 한여름의 무더위는 그야말
로 제대로 쫄깃해지겠지~~! 광명시는 한번 생각해보기 바란다.


▲  아득히 바라보이는 동굴 지하호수

광명동굴은 수평 갱도인 0레벨부터 지하 7레벨까지 총 8개 레벨로 이루어져 있다. 광산이 폐쇄
된 이후, 지하 1레벨까지 지하수가 찼으나 1레벨을 해방시키면서 2레벨 이후부터 물에 잠겨 있
다. 이들 물은 지하3레벨과 5레벨에서 나온다.

저 밑에 아득히 바라보이는 지하호수는 지하 2레벨로 접근하기가 꺼림칙할 정도로 무서운 무엇
인가가 툭 튀어나올 것 같다. 현재는 접근 불가이며 늘 암반수에 잠겨있어 비밀의 호수를 연상
케 한다.


▲  동굴 천정에 나타난 무시무시한 신비의 용

동굴 지하 세계에서 북쪽으로 조금 올라오면 '신비의 지하조망대'가 나온다. 이곳에는 용을 비
롯하여 여러 가지의 실감나는 모형을 만날 수 있는데, 천정에 붙어있는 용 모형은 마치 실물을
보는 듯 하여, 동굴 속에서 수백 년 동안 웅크리다가 드디어 하늘을 향해 몸을 푸는 모습 같다.
조명이 있으니 망정이지 그것마저 없는 상태에서 그를 봤다면 염통이 그야말로 땅에 떨어졌을
지도 모른다.


▲  윗쪽에서 바라본 신비의 용의 위엄

▲  광명동굴에 스미골이 나타났다~~! ▼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단단히 재미를 보았던 스미골이 광명동굴에 놀러 왔다. 그가 영화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던 공간과 이곳이 많이 비슷하기도 한데 반지의 제왕 이후 재미가 별로인지 요
즘 천하에 뜨고 있는 광명동굴까지 날라와 새롭게 안착을 했다.
나도 반지의 제왕 팬으로 그 모형을 본 것은 이곳이 처음인데 반지의 제왕을 만든 뉴질랜드 웨
타워크숍이 광명시와 손을 잡은 기념으로 간달프와 함께 제공한 것이다. 세계적인 영화의 캐릭
터를 이리 만나보다니 참 반갑기 그지 없다.


▲  네모난 상자 안에 담긴 간달프와 트롤 모형
조명이 수시로 변덕을 부리면서 밝음과 어둠 2가지를 재현한다.

▲  여러 그림과 모형이 전시된 신비의 지하조망대
지하1레벨에서 다시 수평레벨로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한 이곳은 공모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시 공간으로 쓰이는 지하 갤러리이다.

▲  신비의 지하조망대에 전시된 여러 사진과 그림들 (공모전 작품)

▲  광명동굴 속의 유일한 샘터, 광부샘물

강원도 동해, 정선부터 제주도까지 많은 동굴을 다녀봤지만 굴 안에 샘터가 있는 굴은 광명동
굴이 처음이다. 그러고보면 이 동굴은 여러 번 사람을 놀라게 만든다.

광부샘물은 지하1레벨에서 나오는 암반수로 광산 시절 광부들이 마셨던 물인데 광산 내부는 광
물과 그것을 캐는 도구들로 늘 지저분하기 그지 없어 늘 식수 문제가 도사렸다. 그런 상황에서
이 물은 광부들의 목마름을 오랫동안 달래주던 소중한 물로 수질 검사에서도 적합 판정을 받아
여전히 샘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샘터라고 해서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수터가 아니라 공원 음수대와 같은 모습이다. 버튼을
누르면 물이 흔쾌히 나오는데, 한 모금 마셔보니 딱히 특별한 맛은 없다. 그냥 흔한 샘물 맛으
로 나중에 나올 와인 1잔과 함께 동굴에서 공짜로 누릴 수 있는 물이다.


▲  동굴의 빛바랜 흔적, 새우젓 저장고

가학광산이 강제로 광산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1972년 이후, 새우젓 저장고로 간신히 명맥을 유
지했다. 이곳이 깊은 지하인데다가 서늘하여 새우젓 보관에는 아주 그만이었기 때문이다. 광산
주인도 먹고 살고자 인근 소래포구에서 의뢰 받은 새우젓 보관 업무를 해주었는데, 1978년부터
2010년까지 32년 동안 그 역할을 하였다. 그 기간 소래포구를 거쳐간 새우젓은 거의 이곳의 신
세를 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새우젓 저장고의 역할은 2010년 그 막을 내렸으며, 옛 저장고 자리에는 새우젓 통이 재
현되어 이곳을 거쳐간 역사의 한 페이지를 보여준다.


▲  불로문(不老門)

새우젓 저장고를 지나면 불로문이란 나무 현판을 내민 돌문이 나온다. 불로문 즉 '늙지 않는다
'는 뜻으로 황금 찾기와 더불어 사람들의 오랜 소망이기도 하다. 허나 아무리 늙음을 막으려고
용을 써도 우탁(禹倬)의 탄로가(嘆老歌)처럼 지름길로 알아서 찾아온다.

불로문은 바위를 뚫어서 만들었는데, 한자로 쓰인 불로문 현판은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서예가
인 운계 신성재가 예서체로 쓴 것으로 동굴을 찾은 사람들의 불로장생을 기원하는 뜻에서 문의
이름을 불로문이라 했다.


▲  빛나는 광부 모형
황금 모형이 가득 담긴 광차를 밀고 있는 하얀 빛의 광부. 광부의 피와 땀이
서린 동굴의 과거와 노다지를 향한 광부의 소망을 그렇게 표현했다.
동굴은 바로 그 2가지 요인으로 오랫동안 번영을 누렸다.

▲  옛 광산의 아련한 흔적, 조구통

조구통이란 광부들이 광석을 운반하고자 만든 조그만 구멍으로 통나무로 주변을 받쳤다. 광산
을 동굴로 손질하면서 이제 3군데만 남아있을 뿐인데, 광산 시절에는 필요에 따라 아무 때나
만들고 또한 메꾸었다. 방향에 따라서 '남나굴이','북나굴이'이라 불리기도 했고, 지하 사갱
에 만든 조구통에는 '1번 나굴이','2번 나굴이' 등 갱도의 레벨 번호를 붙이기도 했다.


▲  근대역사관에 전시된 광산 도구들

불로문을 지나 북쪽으로 가면 동굴의 100년 역사 및 옛 시흥/가학광산 시절을 머금은 근대역사
관이 나온다. 광명동굴에 걸맞게 동굴 속 컴컴한 곳에 자리를 닦은 역사관으로 광산 시절에 쓰
인 갖은 도구와 생산된 광물들, 광산을 안팎으로 재현한 디오라마 등이 전시되어 있다.


▲  광산이 토해낸 여러 광물들 (동, 아연 등)

▲  가학광산 내부 모형과 광산에서 일하는 광부들의 모습

현재 동굴은 수평레벨 상당수와 지하1레벨 일부만 문이 열려 있다. 나머지 지하 레벨과 수많은
가지굴은 여전히 닫혀있는 상태~ (지하2레벨 이후는 물에 잠겨 있음) 이들 닫힌 공간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다 공개하기에는 솔직히 무리인 듯 싶고 적어도 지하2레벨과 소하동 방면 가지굴
까지는 해방이 되지 않을까 싶다.


▲  가학광산 외부 모형 (오른쪽이 광물을 추출하던 선광장)

▲  암석을 뚫는 기구를 이용해 가학산의 속살을 들쑤시던 광부 모형

▲  광산의 이동 공간, 동공

▲  광물을 실어나르던 광차(鑛車)

▲  이제 와인동굴로 (와인동굴 입구)

근대역사관을 둘러보고 서쪽으로 가면 다시 웜홀광장이 나온다. 여기서 관람 방향에 따라 왼쪽
(동쪽)으로 가면 (오른쪽은 바람길과 동굴 정문임) 광명동굴의 명물인 와인동굴이 마중을 한다.
 
와인동굴은 수평레벨 동쪽 굴 194m 구간으로 2015년에 와인셀러, 와인레스토랑, 와인 창고, 와
인바(와인 시음장) 등을 닦았다. 그 동굴의 끝에는 와인들이 숙성의 과정을 밟고 있는 와인 창
고가 있으며 이곳에 보관 중인 와인은 170여 종의 1,000병이 넘는다.
와인바에서는 와인을 시음할 수 있는데 무료이긴 하나 어차피 그 비용이 입장료에 포함되어 있
다. 그러니 완전 공짜는 아니며 1인당 1~2잔 정도 마실 수 있다. 물론 와인 구매도 가능하다.
이렇게 굴 속에 와인터널을 둔 것은 깊은 지하라 와인 보관과 숙성에 아주 착한 온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하여 이곳처럼 버려진 터널이나 인공굴을 손질해 와인 숙성 공간으로 활용하여
재미를 보는 곳이 여럿 있다. (무주 머루와인동굴, 청도 와인터널 등~) 그야말로 검은 터널의
화려한 변신인 셈이다. 이들은 처음에는 단순히 와인 숙성/보관 장소로 시작했으나 와인을 체
험하고 구매하는 현장으로 차차 인기를 모으면서 지역의 주요 명소로 대박을 터트렸다.


▲  와인에 대한 설명과 빈 와인병이 좌우에 가득 널린 와인동굴

▲  와인바(와인시음장) 직전

와인바에 이르면 그곳을 지키는 사람이 알아서 와인을 따라준다. (미리 몇 잔씩 차려진 경우도
있음) 그렇게 와인을 1잔 들이키고 와인 리필을 요청하면 어지간해서는 1잔을 더 따라준다. 나
는 1잔으로는 별로 느낌이 안와서 2잔을 마셨음.


▲  와인동굴 스타일의 상큼한 와인 조명등
가만 보니 술잔에 와인을 따르는 모습이다.

▲  바람길 (와인동굴입구~웜홀광장 구간)

▲  온갖 조명등이 길을 비춰주는 바람길 (웜홀광장~동굴 정문 구간)

▲  다시 빛을 보다. (동굴 정문 직전)
우리네 인생도 광산 갱도를 방황하는 것과 비슷하다. 잘 방황하면 금 노다지를
캐는 것이고 잘못 헤매면 광산에 갇히거나 벼랑으로 곤두박질~~


 

♠  광명동굴 마무리

▲  을씨년스러운 선광장(選鑛場) <2012년 모습>

동굴 내부를 1시간 정도 둘러보고 다시 햇살이 춤추는 바깥으로 나왔다. 욕심 같아서는 동굴의
금지된 속살까지 더 누려보고 싶으나 나한테는 그 금지를 풀 수 있는 권한이 없다. 그러니 공
개 구역만 얌전히 둘러보고 나가야 된다.

동굴 남쪽에는 '선광장'이라 불리는 조금은 우울하게 생긴 공간이 있다. 이곳은 광산에서 캐낸
돌을 기계를 이용해 불에 달구거나 수작업으로 돌에 묻힌 광물을 뽑던 현장으로 광물을 빼앗긴
돌은 더 이상 쓸모가 없어 광산 서쪽에 쌓아두었다.
광산이 버려진 이후, 이곳에 쓰인 기계는 모두 고철로 버려지거나 엿으로 바뀌는 신세가 되었
으며, 그 작업을 했던 돌로 다진 현장과 기초석만 남아있을 뿐이라 마치 폐허가 된 고대 유적
지나 옛 군사시설, 영가(靈駕)를 보내던 화장터처럼 황량하기 그지 없다. 한밤중에 오면 은근
히 오싹할 듯~~
어쨌든 광산과 관련된 100년 이상 묵은 산업 문화유산으로 광산 바깥에 유일하게 남은 광산 시
절 흔적이라 등록문화재나 지방문화재 감으로 전혀 손색은 없어 보인다.


▲  다시 찾은 선광장

▲  광물을 추출하던 곳

▲  선광장 옆에 조성된 쉼터과 체험놀이터


▲  체험놀이터 (광물 채광 체험)

선광장 앞에는 체험놀이터가 닦여져 있다. 옛 광산에 걸맞게 광물 채광과 황금 채취, 광산모자
만들기 체험을 하는 곳으로 매표소에서 원하는 프로그램 체험권을 구입해 체험놀이터 체험부스
로 달려가 그것을 제출하고 체험에 임하면 된다. (체험 자료를 제공함)
이곳 체험 놀이는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대단한데, 모래 속에서 황금(또는 광물)을 찾고자 하는
일념들이 대단하다. 지금이야 저런 방식으로 광물과 숨바꼭질을 하지 않지만 옛날에는 저런 방
식으로 광물을 잡아냈다.

* 체험놀이터 운영시간 : 10~18시까지 (17시까지 표를 구입해야 됨)
* 체험활동 가격 : 광물채광 4,000원 / 황금채취 6,000원 / 광산모자 만들기 3,000원


▲  광명동굴 북쪽 산자락에 있는 황금노두(黃金露頭, 노두바위)

일몰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어 동굴 매표소 옆 계단길을 올라 잠시 가학산의 품을 거닐었다. 계
단을 오르면 광명의 지붕인 구름산, 도덕산, 서독산, 가학산의 허리를 이어주는 산길이 나오는
데, 여기서 북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기묘하게 생긴 커다란 바위가 두 눈을 단단히 부여잡는다.

그 바위는 '노두바위'로 근래 '황금노두'로 이름이 갈렸다. 바위 근처에 부엉이가 많이 살았다
고 해서 '부엉이바위'란 별칭도 가지고 있으며, 1912년 광산을 시작했을 때 여기서 뚫고 내려
갔다고 한다. 그러니 광명동굴이 시작된 첫 지점이 된다. 현재 그 시절에 뚫은 동공이 좁게 남
아있으며, 바위 주변에는 자갈과 온갖 조그만 돌이 가득 깔려 있고, 나무와 식물도 바위와 적
당히 거리를 두고 있어 흙과 돌만 가득한 사막이나 황량한 대지의 바위산 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 이국적인 풍경을 그려낸다.


▲  옆에서 본 황금노두 (바위 꼭대기에 동공이 있음)

▲  가학산 광명동굴 숲길에서 만난 쉼터

가학산 정상까지 가볼까 했으나 일몰이 눈치를 주어 중간에 있는 쉼터(윗 사진)에서 발길을 돌
렸다. 어차피 언젠가는 또 올 것이니 그때 정상까지 올라 천하를 굽어봐도 늦지는 않다.

삼삼하게 우거진 가학산 숲은 늦가을 절정에 퐁당퐁당 빠져 한참 타오르고 있었다. 성질 급한
나무들은 반년 동안 걸치던 잎사귀를 땅바닥에 떨구며 소위 낙엽을 배출하고 있다. 귀를 접고
누운 낙엽들은 인생의 마지막을 노래하고 사람들은 낙엽 밟는 소리가 좋다며 그들을 무침히 밟
고 지나간다. 그렇게 잎은 가루가 되고, 분해자에 의해 썩고, 땅 속에 스며들어가 식물의 양분
이 되니 이것이 소위 생태계의 법칙이다.

광명동굴 숲길을 끝으로 늦가을 광명동굴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가학산에서 만난 일몰 (시흥시, 인천 방향)
칼출근/퇴근의 달인 햇님은 퇴근 시간이 임박함에 따라 슬슬 그만의 세계로
돌아가고자 꽁무니를 뺀다. 마침 그와 약속이라도 한 듯, 한무리의
구름이 몰려와 그를 가려준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7월 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백두대간 한복판에 뉘어진 신비의 탄산약수, 홍천 삼봉약수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 탄산약수의 성지를 찾아서 ~~~

홍천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

▲  삼봉약수터



 

봄이 겨울의 잔여 세력을 토벌하며 천하평정에 열을 올리던 3월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와
강원도를 찾았다.
이번 나들이는 후배가 차를 렌트하여 1박2일 일정으로 강원도와 충북, 경북 지역을 유람
하기로 했는데 렌트카의 장점을 최대한 뽑고자 대중교통 접근성이 매우 고통스러운 곳을
중심으로 아주 아름답게 동선을 짰다. 그래서 요즘 한참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탄산약수를
먼저 찾기로 하고 적당한 약수를 물색, 홍천 삼봉약수터에 격하게 반응을 보여 그곳을 1
번 답사지로 정했다.

아침 8시, 능동(陵洞) 어린이대공원 부근을 출발하여 우선 주유소에 들어가 2일 동안 수
고를 해줄 차량에게 밥을 두둑히 먹이고 긴 여정에 들어갔다. 사람이든 차량이든 동물이
든 무조건 배불리 먹고 봐야 된다.

언제나 번잡한 서울 시내를 벗어나 강변북로와 경강로(6번국도)를 신나게 달려 구성포에
서 56번 국도(구룡령로)로 진입했다. 칼처럼 솟은 산 사이를 구불구불 돌아 창촌에 이르
니 동쪽으로 보이는 산 정상부에 하얀 눈이 버젓히 쌓여있어 하늘에 그만큼 가까이 왔음
을 느끼게 한다.
12시 반 정도에 드디어 삼봉약수터를 품은 삼봉자연휴양림 입구에 도착했다. 같은 홍천(
洪川) 땅임에도 홍천읍에서 무려 80여km나 떨어진 곳이니 정말 허벌나게도 멀다. 참고로
홍천군은 우리의 실지(失地, 북한과 요동, 만주, 왜열도)를 제외한 이 땅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으로 면적이 무려 1817.96㎢에 달한다. (서울의 약 3배임)
고을 대부분이 산지로 동쪽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허리인 태백산맥이 흘러가 고산준령
을 이루며 칼처럼 솟은 뫼 사이로 적게나마 경작지가 누워있어 그곳에 주로 마을이 형성
되어 있다.

수해(樹海)에 잠긴 휴양림길을 들어서면 4동으로 이루어진 한옥지구와 제2야영장, 제1야
영장이 차례로 마중을 나오고, 주차장을 지나면 관리사무소(매표소)가 차단기로 길을 막
고 나그네의 호주머니를 쳐다본다. 삼봉약수터를 비롯한 매표소 북쪽은 유료(有料)의 땅
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꿩 대신 닭을 잡을 권리가 없기 때문에 순순히 입장료와 주차비를 치르니 그
제서야 차단기가 씨익 웃으며 올라간다.

햇빛지구 숙박동과 황토지구 숙박동을 지나니 조촐하게 닦인 약수터 주차장이 마중을 나
온다. 차량은 여기서 더 이상 바퀴를 굴릴 수 없으며 바로 계곡 너머로 삼봉약수터가 바
라보인다. (매표소 옆 주차장에 차량을 두고 삼봉약수터까지 걸어가도 됨, 1km 거리)


▲  삼봉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와 매표소



♠  삼봉자연휴양림에 묻힌 신비의 약수, 삼봉약수터(三峯藥水)
- 천연기념물 530호

홍천에서 제일 벽지로 통하는 광원리 산골, 가칠봉 남쪽 자락 계곡에 삼봉약수터가 조용히 웅
크리고 있다.
삼봉약수는 일반 약수와는 차원이 틀린 탄산약수로 맛이 은근히 쓰다. 물 색깔이 붉어서 주변
이 온통 붉은 색을 이루고 있는데, 이 물에 설탕을 타면 천연사이다가 되고, 이 물로 밥을 지
으면 푸른색으로 꼬들꼬들 익어 맛이 좋다.

이 땅<만주와 북한 등 잃어버린 땅은 제외>의 탄산약수는 강원도와 충북, 경북 산골에 몰려있
는데, 그 수가 별로 많지 않다. 탄산약수의 대표적인 성지(聖地)로는 세계 3대 광천수(鑛泉水)
의 하나로 꼽히는 청주 초정약수가 있으며, 제법 이름이 알려진 약수로는 설악산 오색약수, 인
제 방동약수와 개인약수, 양구 후곡약수, 홍천 삼봉약수, 춘천 추곡약수, 평창 방아다리약수,
정선 화암약수, 봉화 오전약수, 청송 달기약수, 세종시 부강약수 등이 있다. 서울에도 천호약
수라고 수도권 제일의 탄산약수가 있었으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로 숨통이 끊어진지 이미 오래
이다. (아주 어린 시절에 가본 기억이 있음)

삼봉약수를 끼고 있는 계곡 이름이 실론계곡인데, 그 이름을 따서 실론약수(實論藥水)라 불리
기도 했으며 <'실룬약수'라 하기도 했음> 가칠봉(柯七峰, 1240m)과 사삼봉(私蔘峰, 1107m), 응
복산(應伏山, 1360m) 세 봉우리 중간에 자리해 있어 삼봉약수라 부르기도 한다. <물이 나오는
구멍이 3개라 하여 삼봉이란 이야기도 있음>

수질이 매우 우수하여 우리나라 명수(明水) 100선의 하나로 격하게 칭송을 받고 있으며, 철분
과 망간, 불소, 탄산이온 등 무려 15가지의 성분이 담겨져 있어 빈혈, 당뇨병, 신경통, 위장병
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나 역시 위장병을 자주 달고 사는 가련한 현대인이라 어린 시절 입
에도 대지 않았던 탄산약수에 격하게 흥분을 보이면서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탄산약수를 찾
아가 약수가 마르고 닳도록 본전을 뽑고 있다. 인정하기는 싫지만 건강을 챙길 나이가 된 것이
다.


▲  삼봉약수터

삼봉약수터는 3개의 혈(穴)로 이루어져 있다. 대자연 형님이 내린 신비의 물을 보호하고자 뚜
껑을 씌워 놓았는데 뚜껑을 열고 물을 마신 다음 다시 뚜껑으로 봉해야 된다. 어느 혈의 물을
마시든 색깔과 맛은 거의 같으며 탄산약수 특유의 약간 쓴 냄새가 조금 풍긴다. 그리고 혈 주
변은 약수의 영향으로 온통 시뻘겋다.

◀▲  신비의 물이 용솟음치는 삼봉약수터의
3개의 혈들 - 가뭄에도 거의 마를 날이
없다고 한다.

서울에서 이 먼 곳까지 힘들게 왔으니 약수는 원없이 마셔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비록 물통을
준비하지 못해 서울까지 수송하지는 못했지만 대신 몸 속에 가득 넣어 위장을 거의 탄산화시켰
다. 3개의 구멍의 물을 모두 마셨는데, 총 1.5리터는 마신 것 같다. 철부지 어린 시절에는 정
말 입에도 대기 싫었던 탄산약수였는데, 이제는 입맛이 변했는지 달콤하기까지 한다. 이런 내
모습이 과연 제대로 된 모습일까? 아니면 나이를 먹었다는 쓰라린 신호일까?


▲  삼봉약수터 옆을 흐르는 계곡
때 묻지 않은 청정한 계곡으로 천연기념물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열목어(熱目魚)가
소리 없이 서식하고 있으며, 한여름에도 물이 차가워 5분 이상 발을 담그기가
어려울 정도로 여름 제국의 염통을 쫄깃하게 건드린다.

▲  삼봉약수터 옆 이팝나무 숲속에 조성된 약수지구 숙박동

삼봉약수터를 든든한 후광으로 삼은 삼봉자연휴양림은 1992년 산림청에서 조성한 국립휴양림이
다. 산골 벽지에 묻혀있어 접근성도 별로 안좋고 가는 길도 험하지만 그런 고생을 감수하고 안
긴 휴양림은 이곳이 속세인지 신선의 숨겨진 세계인지 햇갈릴 정도로 풍경이 청초하고 침엽수
와 활엽수가 절제된 조화를 이룬 숲은 매우 울창해 그동안의 고생을 싹 가시게 한다. (그래서
인간은 망각의 동물임)
하늘을 향해 늘씬하게 자라난 키다리 나무들이 하늘을 가리며 천연림을 이루고 있고, 열목어가
마음 놓고 꼬리를 흔들 정도로 계곡이 청정하며, 탄산약수의 성지로 추앙받는 삼봉약수터를 품
고 있다. 또한 이곳을 둘러싼 공기는 순수함을 자랑해 바깥 세상의 공기와는 맛과 질부터가 확
연히 틀리다. 이렇게 모든 것이 청정한 곳이니 휴양과 피서지로도 아주 휼륭하다.

휴양림에는 한옥 숙박동과 햇빛, 황토, 약수지구 등에 숙박동(객실 25개)이 있으며, 야영장 55
개, 주차장 4곳, 물놀이장 1곳이 있다. 광원리 계곡(실론계곡)이 휴양림의 한복판을 가로질러
속세로 흐르며, 삼봉약수터 북쪽에는 숲체험코스와 숲속교실, 그리고 가칠봉 정상으로 인도하
는 산길이 닦여져 있다. 또한 첩첩한 산골에 맞게 산촌 겨울나기 놀이체험과 숲해설 프로그램,
산림문화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찾아가기 (2017년 6월 기준)
* 동서울터미널과 서울강남고속터미널(센트럴시티)에서 홍천행 직행버스 이용
* 수원, 성남, 고양(일산), 의정부, 속초, 춘천, 원주, 청주, 대전(복합), 전주, 대구(북부),
  포항, 울산, 부산(동부)에서 홍천행 직행버스 이용
* 홍천터미널에서 내면(창촌)행 직행버스가 1일 11회, 군내버스는 1일 3회 운행
* 내면(창촌)에서 목맥동, 명개리행 군내버스(1일 5회)를 타고 삼봉자연휴양림 하차
  (내면 출발시간 - 6:40, 9:00, 12:00, 16:40, 18:25)
* 승용차
① 영동고속도로 → 속사나들목을 나와서 속사, 진부 방면 → 속사3거리에서 좌회전 → 운두령
   → 자운교차로 직진 → 창촌3거리 우회전 → 창촌(내면) → 원당3거리 직진 → 삼봉자연휴
  양림입구 → 삼봉자연휴양림(삼봉약수터)
② 서울춘천고속도로 → 동홍천나들목을 나와서 홍천 방면 → 구성포교차로에서 서석 방면 56
   번 국도 → 솔치재터널 → 서석 → 율전3거리 우회전 → 창촌3거리 좌회전 → 창촌(내면)
   → 원당3거리 직진 → 삼봉자연휴양림입구 → 삼봉자연휴양림(삼봉약수터)

★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관람정보 (2017년 6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1,000원(단체 800원), 청소년 600원(단체 500원), 어린이 300원(단체 200원)
  <단체는 20명 이상>
* 관람시간 : 9~18시 / 숙박시설 이용시간 : 15시~다음날 12시까지
* 주차비 : 1,500~5,000원 (1일 기준)
* 삼봉자연휴양림 예약과 이용정보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소재지 :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산197-1 (삼봉휴양길 276, ☎ 033-435-8536)


▲  삼봉약수터 동쪽에 자리를 닦은 황토지구 숙박동


 

♠  막국수와 운두령(雲頭嶺)

▲  홍천에서 먹은 막국수와 여러 김치들

바가지에 불이 나도록 약수를 마시고 약수터 주변을 둘러보니 어느덧 14시가 넘었다. 휴양림을
품은 가칠봉까지 올라간다면 더욱 금상첨화겠지만 애당초 휴양림보다는 몸보신을 위한 약수터
에 더 큰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렇게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 오로지 약수터에만 초
롱초롱 눈빛이 갔지. 하여 약수터 주변을 살펴보는 선에서 삼봉과의 인연을 흔쾌히 마무리지었
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음에 혹 인연이 닿는다면 그때는 휴양림에서 호젓한 하룻밤을 보
내고 싶다.

졸고 있는 차량을 깨워 휴양림을 벗어나 점심 장소를 물색했다. 점심 시간도 많이 지났고, 지
금까지 딱히 먹은 것도 없어 뱃속에서는 배고프다며 계속 꼬르륵 소리로 불만을 표출한다.
창촌으로 나오던 중, 어느 적당한 식당이 눈에 들어왔다. 그곳은 막국수와 백숙 등을 팔고 있
었는데, 강원도 산골에 왔다면 그곳의 토속 음식인 막국수나 전병, 메밀전, 메밀전병 등은 먹
어줘야 후회가 없다. 그래서 그곳에 차를 대고 식당에 들어갔다.

안으로 들어서니 단체 손님들로 시끌벅적했는데 안쪽 방에 자리를 잡고 막국수를 주문했다. 더
많은 것을 먹으면 좋겠지만 그날 충북 단양(丹陽)까지 먼 길을 가야되기에 위장을 너무 흥분시
키는 것도 그리 좋지는 않다. 그래서 일단은 막국수로 입가심을 하고 저녁에 황제처럼 먹기로
했다.


▲  두둑하게 나온 막국수의 위엄

막국수 주문을 하자 김치 3종류와 막국수 육수가 앞에 펼쳐진다. 그리고 약간의 시간을 흘려보
내니 드디어 주인공인 막국수가 큰 그릇에 담겨 나타난다. 김가루와 계란, 오이, 깨 등이 버무
려진 막국수는 전형적인 강원도 막국수 스타일로 거기에 육수를 넣어 먹으면 되는데 육수와 국
수도 얼큰하고 김치도 맛이 괜찮았다.
국수나 냉면이 1끼 식사로는 좀 허전하긴 하지만 이곳은 양이 많아서 그릇을 싹 비우니 뱃속이
완전 만땅이 되버렸다. 그 틈을 노려 식곤증이 스르륵 밀려와 배깔고 자라며 희롱을 하니 정말
벌러덩 눕고 싶다. 허나 갈 길이 멀기에 서비스로 제공되는 자판기 커피로 식곤증에 맞서며 오
후 단잠에 빠진 차량을 깨워 다시 부르릉 시동을 건다.

바로 단양으로 넘어가기에는 해가 아직 있어서 그 길목에 자리한 영월(寧越)에 잠시 들려 적당
한 정처(定處)를 찾기로 했는데, 그곳으로 가려면 반드시 운두령이란 무지막지한 고개를 넘어
야 된다. 그는 강원도에 널린 험준한 고개의 하나로 홍천군 내면과 평창군 용평면 경계에 자리
해 있으며, 그 고개를 넘으면 바로 장평과 진부, 영동고속도로로 이어진다.

운두령의 높이는 1,089m로 고개 시작부터 꼬부랑 고갯길의 절제된 모습을 보여주며 차와 사람
의 염통을 쫄깃하게 만든다. 한쪽은 가파른 오르막. 반대편은 밑이 보이지 않는 아찔한 내리막
으로 특히 차량이 넘나드는 고개 가운데 정선 만항재(1,330m) 다음으로 높아 운두령의 위엄을
실감케 한다.
운두령이란 이름은 늘 구름과 안개가 넘나든다는 시적인 뜻으로 그만큼 안개가 자주 낀다. 우
리가 지나갈 때는 다행히 쾌청했으나 미칠 정도로 고갯길 굴곡이 심해 자존심을 곱게 접고 바
퀴를 순진하게 굴려야 뒷탈이 없다. 그렇게 고개에 임하면 전혀 나올 것 같지 않던 운두령 정
상에 이르게 된다.


▲  운두령 정상 (평창 방향)

▲  운두령 정상 (홍천 내면 방향)

하늘과 맞닿은 운두령 정상에는 토산품을 파는 운두령쉼터와 주차장이 있다. 하지만 차량의 통
행이 많지 않아서인지 요란한 수준은 아니며 그냥 조그만 가게 수준이다. 고개 주변에는 겨울
의 부흥을 꿈꾸는 눈들이 여전히 남아 천하를 노리고 있고, 바깥에 마련된 화장실은 그들로 인
해 초토화(?)를 당해 잠시 기능이 상실되었다. 도로 휴게소의 기본 요소인 화장실이 그 지경이
되었으니 볼일은 쉼터 주변에서 알아서 봐야 된다.

운두령은 하늘의 소리가 들릴 정도로 높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 장대한 높이에 비해 조망 범위
는 그리 넓지 않다. 고개 주변에는 그보다 높은 산들이 칼처럼 솟아 병풍을 이루고 있기 때문
이다. 북쪽으로는 홍천군 내면 지역, 남쪽은 평창군 용평면 지역이 바라보이며, 양 옆으로 계
방산(桂芳山, 1577.3m)의 산줄기가 흘러간다. 특히 계방산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나있는데, 그
길로 2시간 30분 정도 얌전하게 오르면 계방산 정상에 이른다.


▲  운두령에서 계방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산길

운두령에서 잠시 바퀴를 접으며 하늘과 가까운 곳의 공기를 만끽하다가 다시 길을 재촉하였다.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로 구불구불 고갯길을 내려와 노동리에 이르니 미친 기운을 보인 운두령
길은 이내 흥분을 가라앉는다. 그런 상태로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의 현장 이승복(李承福)
기념관을 지나 속사(束沙)에서 우회전하여 평창(平昌) 방면으로 방향을 틀었다.

본글은 여기서 끝~~!!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6월 2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호국신의 극락왕생을 책임지는 도심 속의 고즈넉한 산사,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 ~~ (서달산, 현충원 숲길)

 


' 6월 맞이 산사 나들이,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지장사) '

▲  호국지장사 지장전(지장보살입상)


 

국립서울현충원은 호국영령들이 잠든 이 땅의 영원한 성역(聖域)이다. 그러다보니 재미
없고 딱딱하며 어려운 곳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서울에 살고 있어도 학창시
절 소풍이나 백일장으로 가본 것이 고작인 사람이 적지 않으며 그곳으로 나들이를 가자
고 하면 의아해하면서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이들도 많다. 아무래도 나들이나 산책 등으
로 가기에는 왠지 실례가 될 것 같은 무겁고 조심스러운 곳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허나 그것은 현충원의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것이다. 그곳은 북한산(삼각산)과 북악
산(백악산), 남산과 더불어 서울의 하늘을 정화시켜주는 듬직한 허파로 숲이 울창해 다
양한 동식물이 의지하고 있다. (현충원 외곽으로 숲이 짙게 둘러져 있음~) 게다가 현충
원 산책로는 천하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아름다운 숲길이며, 창빈안씨(昌嬪安氏
)묘역과 부안군 이석수 묘역(扶安君 李碩壽墓域) 등의 문화유산, 호국지장사 같은 오래
된 절까지 품고 있어 오래된 볼거리도 풍부하다.
현충원은 분명 3척동자도 다 아는 그런 곳이지만 그곳의 매력과 속살을 제대로 알고 즐
기는 사람은 적은 것이다. 그러니 너무 딱딱한 쪽으로 현충원을 대하지 말고 숨겨진 매
력까지 모두 살피기 바란다. <매년 4월에는 현충원의 백미인 수양벚꽃축제가 열림>

국립현충원은 한강과 관악산(冠岳山) 사이에 솟은 공작봉(孔雀峰, 서달산) 자락에 넓게
터를 닦았다. 1954년에 착공되어 천하에 흩어진 6.25전사자의 유해를 안장했는데, 처음
에는 지명을 따서 '동작동 국립묘지(銅雀洞 國立墓地)'라 했으나 2006년에 '국립서울현
충원'으로 이름을 갈았다.
이곳은 특히 명당(明堂)자리로 명성이 자자한데, 공작이 아름다운 날개를 쭉 펴고 있는
모습이라고 하며, 장군이 군사를 거느리고 있는 이른바 장군대좌형(將軍對座形)으로 통
하기도 한다. 즉 좌청룡(左靑龍)의 형세는 웅장한 산맥(山脈)의 흐름이 용이 머리를 들
어 꿈틀거리는 듯 한강을 감싸 호위하고 있는 형상이고, 우백호(右白虎)의 형세는 힘이
센 호랑이가 엎드려 머리를 조아리는 듯하며, 전후좌우로 솟은 사방의 봉우리와 산허리
는 천군만마가 줄지어 서 있는 형상과 같다.
정면 앞산을 바라보면 주객이 마주앉은 모양이고 멀리 보이는 산은 마치 물소뿔 같으며,
한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가니 명주 폭이 바람에 나부끼듯 하늘거리며 공작봉을 감싸 흘
러 내려가고 있다. 마치 목마른 코끼리가 물을 마시는 듯한 형상으로 명당 중의 명당으
로 통한다. 이렇게 의미가 깊은 곳에 호국의 신을 모셨으니 그들의 후손들과 이 나라가
잘되어야 마땅하지만 자격 미달의 작자들도 여럿 섞여있어서 그럴까? 아직까진 그 효과
가 시원치 못하다. <친일파들의 무덤은 꼭 뽑아버려야 됨~~!>

햇님이 하늘 한가운데에 걸린 6월의 어느 평화로운 날 14시, 동작역(4,9호선)에서 일행
들을 만나 현충원으로 향하는 인파 속으로 들어갔다. 창빈안씨묘역과 호국지장사 등 현
충원에 깃든 오래된 명소를 둘러보고 서달산 동작대(銅雀臺)로 넘어갔는데 여기서는 현
충원 뒤쪽에 자리한 호국지장사(화장사)만 다루도록 하겠으며, 나머지는 별도의 글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  국립현충원 호국지장사 입구


 

♠  국립현충원 뒷쪽에 자리한 오래된 절집, 호국신의 극락왕생을
책임지고 있는 서달산 호국지장사(西達山 護國地藏寺)

▲  호국지장사 경내로 인도하는 계단길

국립현충원의 꼬리 부분인 공작봉(서달산) 북쪽 자락에는 '호국지장사'라 불리는 오래된 절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처음에는 현충원에 묻힌 호국신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20세기 중반 이후에 지어진 절로 여기고
관심도 두지 않았다. 그러다가 2005년 이후 겉보기와 달리 문화유산을 넉넉히 품은 오래된 절
임을 깨닫게 되면서 구미가 확 올랐고, 그 이후 현충원을 찾을 때마다 꼭 발걸음을 하고 있다.

호국지장사(이하 지장사)는 신라 후기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670년에 도
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서로 시기가 안맞음~) 도선은 북쪽으로 가다가 한강 언
덕에 이르러 사방을 둘러보니 어디선가 서기(瑞氣)가 흘러나와 자신을 유혹하고 있었다. 하여
그 서기를 추적하니 그 기운이 나오는 곳에 칡덩굴이 엉켜지고 약수가 나오고 있었다. 그래서
자리를 살펴보니 아주 기가 막힌 명당자리인지라 그곳에 토굴(土窟)을 짓고 갈궁사(葛弓寺)라
했다고 한다.
허나 이는 어디까지나 지장사에서 우기고 있는 믿거나 말거나 설화일 뿐이다. 봉은사(奉恩寺)
에서 작성한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는 '1577년 선조가 창빈묘역 부근 산기슭에 절을
창건하고 원찰을 삼으니 갈궁사가 바로 이 절이다~'
내용이 있어 그 시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
기도 하며, 고려 공민왕(恭愍王) 시절에 보인(寶印)이 중창<또는 창건>하고 화장암(華藏庵)이
라 했다는 이야기도 덩달아 전해오고 있다. 이곳의 조선 초기 이전의 역사를 속시원히 밝혀줄
역사 기록과 유물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쓸데없이 말만 무성한 것이다.

절의 내력이 그나마 구체적으로 윤곽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말이다. 명종(明宗) 때 창
빈안씨묘역이 절 부근으로 이장되었는데, 1577년 선조(宣祖)가 친할머니인 창빈의 묘역을 동작
릉(銅雀陵)으로 높이면서 화장암을 창빈묘역을 지키는 원찰(願刹)로 삼았다. 이때 화장사(華藏
寺)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하며 그 인연으로 오랫동안 왕실의 지원을 받았다. 또한 오성과 한음
으로 유명한 이항복(李恒福)과 이덕형(李德馨)이 10대 시절에 공부를 했던 곳으로도 전해진다.
1663년 절을 중수했으며, 영조 시절에 신경준(申景濬)이 작성한 '가람고(伽藍考)'에 '동작리에
화장암이 있다'는 내용이 있어 그때까지도 꾸준히 법등을 지키고 있었음을 귀띔해준다.

1862년 운담(雲潭)과 경해(鏡海)가 중건했으며, 1870년에 경파루(鏡波樓)를 지었고 1878년에는
주지 서월(瑞月)과 경해가 대방(大房)을 수리했다. 1893년에는 경운(慶雲), 계향(戒香)이 불상
을 개금하고 구품탱과 지장탱, 현왕탱, 독성탱, 산신탱을 봉안했으며 1896년 칠성각을 새로 지
었다. 1906년에는 풍곡(豊谷)이 약사전의 불상을 개금 단청하고 후불탱과 신중탱, 감로탱, 신
중탱, 칠성탱 등을 봉안했다.
1911년에는 왜정(倭政)의 사찰령(寺刹令)으로 봉은사의 말사(末寺)가 되었고, 1920년에 대방을
수리했으며 1936년에 주지 유영송(劉永松)이 능인전(能仁殿)을 중수했다.

1954년 이후 절 밑에 국립묘지가 들어서면서 자연히 그곳에 안장된 호국신을 책임지는 사찰이
되었다. 그래서 지장도량(地藏道場)을 칭하게 되었는데 1983년 혜성(慧惺)은 호국신들이 지장
보살의 원력으로 모두 극락왕생이 되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화장사에서 호국지장사<줄여서 '지
장사'라고도 함>로 이름을 갈았다. 그야말로 현충원과 호국신에게 아주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능인보전, 삼성각, 극락전, 지장전, 심우당, 청심당 등 10동에 가
까운 건물이 있으며 대웅전과 삼성각, 심우당 등은 동남향(東南向)을 취하고 있다. (능인보전
은 서북향) 경내 남쪽에는 약수가 나와 주민들이 많이 물을 뜨러 오며 지장보살입상을 중심으
로 3,000좌의 조그만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어 절 이름 값을 톡톡히 한다.
소장문화유산으로는 철불좌상과 괘불도(掛佛圖,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3호), 극락9품도, 독성
도, 약사불도 등 무려 지방문화재 10여 점을 지니고 있으며, 한강에서 건져 올렸다는 철불좌상
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선 후기 탱화들이다. 그 외에 멀리 경주에서 왔다는 신라 후기 3층석탑
이 1기 있는데 그것이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이다.

서울 도심과 무척이나 가깝지만 삼삼한 숲에 감싸여 있어 산사(山寺)의 분위기를 여실히 간직
하고 있으며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로 현충원에 발을 들였다면 꼭 둘러보길 권한다. 또한 짙
은 숲에 가려 보이는 범위는 적지만 현충원과 한강, 한강 너머 지역(용산구 지역)이 시야에 들
어와 경치도 그런데로 괜찮다. 하여 이승만 전대통령도 꽤나 군침을 흘렸던 곳이기도 한데, 그
가 국립묘지를 둘러보고 잠시 절에 들려 사람들에게
'만일 이곳에 절이 없었다면 내가 묻히고 싶은 땅이다' 했다고 전한다. 그만큼 자리가 좋은 곳
이다. (그의 무덤은 창빈안씨묘역 북쪽에 있음)

이곳은 절의 마르지 않는 샘이자 든든한 후광(後光)인 현충원이 있는 한 배를 굶거나 문을 닫
을 일은 없을 것이다. 현충원의 일원으로 그와 운명을 함께 하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만
약 현충원이 없었다면 인근 상도동의 사자암(獅子庵, ☞ 관련글 보러가기)처럼 숲과 주거지의
경계가 되거나 주거지에 거의 둘러싸여 지금과 전혀 다른 모습이 되었을 것이다.

※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 찾아가기 (2017년 6월 기준)
* 지하철 4,9호선 동작역 8번 출구에서 현충원 정문을 거쳐 도보 20~25분
* 국립현충원(동작역) 경유 시내버스 노선 : 350번, 360번, 362번, 462번, 640번, 752번, 5524
  번, 6411번, 9408번(광역)

★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 관람정보 (2017년 6월 기준)
* 개방시간 : 6:00~18:00 <동절기(11월~2월) 7시~17시까지 / 입장료와 주차비는 없음>
* 국립서울현충원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현충로 210 ☎ 1577-9090, 02-813-9625)
* 호국지장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305 (☎ 02-814-5257)
* 호국지장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흔쾌히 클릭한다.


▲  지장사 느티나무 - 서울시 보호수 20-5호

호국지장사 입구에서 절로 인도하는 길은 경사가 다소 각박하다. 그 길을 오르면 커다란 아름
드리 느티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내밀며 우리를 마중한다. 그는 350년 정도(1985년 10월 보호수
로 지정될 당시 추정 나이가 약 315년) 묵은 나무로 높이 15m, 둘레 4.5m에 이른다. 오랜 세월
지장사의 이정표 및 정자나무 역할을 했던 존재로 아무리 먹어도 마르지 않는 세월이란 양분과
지장사의 보살핌으로 무럭무럭 자라나 현충원에서 가장 장대하고 오래된 자연물이 되었다.
 
지장사에는 일주문이나 천왕문(天王門) 같은 문이 없다. 대신 삼삼한 숲이 일주문의 역할을 대
신한다. 숲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산바람과 절에서 낭랑하게 흘러나오는 염불 소리에 아무리 천
근만근 무겁다는 번뇌도 줄행랑을 치고 만다. 허나 멀리 가지 않고 절 입구에서 우두커니 기다
리고 있고 나 또한 그 번뇌를 찾으니 해탈이나 성불(成佛)은 그저 먼 세상의 이야기 같다.


▲  지장사 약수터와 그곳을 지키는 약왕보살(藥王菩薩)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조그만 연못과 산사의 필수 요소인 약수터가 나온다. 약합을 쥐어
든 약왕보살이 엷은 미소를 보이고 있고 그의 앞에는 약수와 샘터 관리비 좀 보태라며 돈통이
옥의 티처럼 놓여져 기분을 약간 깨게 한다. 하지만 물은 무료이니 마음껏 누려도 된다.

이곳은 물을 뜨는 수요가 많아 아침과 휴일에는 상도동, 사당동 사람들이 몰려와 물을 담아가
며 가뭄에도 물이 별로 줄지 않는다고 한다. 아마도 호국신과 대자연의 가호가 깃들여진 모양
이다. <현재 약수터는 남쪽으로 50m 정도 옮겨졌으며, 기존 자리에는 동그란 석조와 아기부처
상이 세워짐>

▲  신이 난듯한 우측 사천왕상(四天王像)

▲  열이 난듯한 좌측 사천왕상

약수터를 지나면 좌우로 돌로 만든 4천왕상이 나온다. 그들의 거처인 천왕문을 따로 두지 않고
경내로 들어서는 길목에 석상(石像)으로 둔 것으로 비파와 칼을 든 우측 천왕들은 비파 연주에
흥이 난 표정이고, 좌측 천왕들은 악귀(惡鬼)들 때문에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닌지 열불이
난 표정 같다.


▲  조촐한 모습의 능인보전(能仁寶殿)

사천왕상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본격적으로 지장사 경내가 펼쳐진다. 왼쪽을 보면 단촐한 모습
의 능인보전이 눈에 들어올 것인데, 그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겉으로 보면
그저 작은 건물로 지나칠 수 있지만 철불좌상과 약사후불탱, 신중탱 등 오래된 문화유산이 자
리를 메우고 있어 꼭 둘러봐야 되는 건물이다.


▲  능인보전에 봉안된 철불좌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75호
능인보전 약사불도(藥師佛圖)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3호


능인보전 불단(佛壇)에 홀로 자리한 철불좌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경내에서 3층석
탑 다음으로 오래된 존재이다. 철불(鐵佛)은 이름 그대로 철로 다진 불상으로 신라 말에서 고
려 초에 많이 나타나는데 그가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다면 도선국사가 세운 것까지는 아니더라
도 고려 초에 창건된 것을 조금이나마 입증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허나 그는 다른 곳에서 온
불상으로 이곳으로 흘러 들어온 구체적인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다음과 같은 전설이 아련하게
전해온다.

아주 먼 옛날, 한강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어느 어부의 꿈에 이 불상이 나타나 제발 빛 좀 보게
해달라며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었다. 어부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그곳으로 가 그물을 치니 녹
슨 채로 버려진 불상이 걸려들었다. 그래서 그를 수습하여 깨끗이 목욕을 시키고 집에 모셨다.
그런데 그 이후로 이상하게도 고기도 잡히지 않고 나쁜 일만 연이어 생기는 것이다. 보통 이런
전설에선 고기가 잘 잡혀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데, 불상이 좀 심성이 삐딱한지
그게 아닌 것이다. 그래서 어부는 골똘히 생각하다가 화장사(지장사)에 넘겼다고 하며 그 이후
부터 잘 먹고 잘살았다고 한다.
이 전설을 통해 절이 파괴되거나 도난 등으로 강에 버려진 불상을 수습해왔음을 알 수 있는데,
그의 고향은 현재로서는 알 도리가 없다. 또한 어부가 강이나 바다에서 불상을 발견하여 절을
만들거나 절에 기증했다는 전설이 많은데 이는 불상을 옮기던 배가 가라앉거나 취급 부주의나
재해로 강에 떨어지거나 떠내려온 불상이 많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고향을 잃어버린 철불은 높이 98cm로 얼굴은 동그랗고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눈이 유난히 길고
가는데, 보는 위치에 따라 날카롭게 보이기도 하며, 머리는 꼽슬인 나발(螺髮)이다. 눈썹은 진
하고 무지개처럼 살짝 구부러졌으며, 굳게 다문 입에는 엷게나마 미소가 드리워져 그의 전체적
인 표정은 환하게 웃음짓는 표정 같다.
어깨는 꽤 단련을 한 듯 매우 당당하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이른바 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법의(法衣)는 주름선이 선명하다. 또한 왼손에는 약합이 들려져 있어 그가 약사여래(藥師如來)
임을 알 수 있다. 고려 초에 조성된 몇 안되는 철불약사불로 그 당시 약사불 신앙에 중요한 자
료로 판단되어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철불 뒷쪽에 걸린 약사불도는 1906년에 봉감(奉鑑), 정운(禎雲), 긍법(肯法), 경조(敬照) 등이
그린 것이다. 간략한 아미타존상의 형태와 음영법의 구사, 적색과 녹색의 탁한 색감이나 어두
운 군청색을 많이 쓴 점, 불화의 횡적인 구도와 그림에 나타난 상을 간략하게 나타낸 점 등,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철불 좌우에는 조그만 금동불이 각자의 공간을 지니며 빼곡히 들어앉아 철불을 받쳐주고 건물
내부를 환하게 밝혀주고 있다. 이들은 중생들의 돈과 소망을 담아 만든 원불(願佛)로 약 400기
정도 된다.


▲  능인보전 철불좌상 주변을 가득 메운 원불의 금빛 물결

▲  능인보전 신중도(神衆圖)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4호

능인보전 좌측 벽에 걸린 신중도는 앞에 약사불도와 같은 시기(1906년)에 같은 화승이 그린 것
이다. 그림은 수평 3단의 정연한 구도를 보며, 범천(梵天), 제석(帝釋), 위태천(韋太天) 등 신
중탱의 대표적인 존재들이 모두 묘사되어 있다. 균형이 잡히지 않은 인체나 경직된 자세, 무겁
고 탁한 색채 등은 전체적으로 불화의 품격이 떨어지던 20세기 초에 많이 나타난다.


▲  능인보전 아미타불도(阿彌陀佛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4호

능인보전 우측 벽에 걸린 아미타불도는 원래 대웅전에 있었다. 1870년 원명긍우(圓明肯祐), 경
은계윤(慶隱戒允) 등 4명의 화승이 그린 것으로 중앙에 아미타불을 두고, 양 옆구리에 그 식구
들을 배치했는데, 형태가 풍만하고 정교하며 무늬가 화려하다. 5가지 색깔의 광배(光背)가 눈
길을 끌며 옷의 묘사가 도식화(圖式化)되어 있다. 적색과 녹색 색상은 다소 탁하며, 코발트 빛
깔의 짙은 청색은 19세기 말의 불화양식을 잘 보여준다.

◀  호국범종이 봉안된 범종각(梵鍾閣)
1975년에 지어진 것으로 안에는 같은 해에
조성된 범종이 담겨져 있는데, 현충원과
절의 이름에 걸맞게 호국범종이라 불린다.


▲  하얀 피부의 승탑(僧塔, 부도)과 검은 피부의 비석들

능인보전과 범종각 뒷쪽에는 때깔이 고운 승탑 2기와 비석 여러 기가 숨겨져 있다. 이중 하얀
피부를 자랑하는 승탑은 부처의 사리가 담겨진 사리탑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고양시 대자동 봉
덕사(奉德寺)에 있었다. 그는 1983년에 조성된 것으로 이곳으로 옮겨진 이유에 대해선 딱히 알
려진 것은 없다.
그리고 승탑 앞에는 사리를 봉안한 기념으로 세운 봉안비(奉安碑)와 봉안공덕비(功德碑)가 있
는데 모두 봉덕사에서 넘어온 것이다.

그 우측에 있는 검은 피부의 비석 4기는 1938년부터 1949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크게 시주를
한 이들을 기리고자 세운 기념비이다.


 

♠  조그만 불교미술관 호국지장사 대웅전(大雄殿)

▲  지장사 대웅전

지장사의 법당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보통은 정면이 더 크지만 이
건물은 반대로 측면이 더 크다. 상당히 너른 대웅전 내부에는 아미타3존불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에 그려진 불화들이 내부를 가득 수식하여 그야말로 조그만 불화박물관을 이룬다,
그리고 건물 앞에 주렁주렁 달린 붉은 연등은 위정자들이 현충일을 맞이해 생색내기로 단 것으
로 그들의 부질없는 욕심이 담겼는지 일반 백성들의 연등보다 배 이상이나 크다.


▲  대웅전 옆구리에 자리한 3층석탑

대웅전 옆에 있는 3층석탑은 원래 대웅전 앞뜰에 있었다. 그는 멀리 경주 남산(南山)에서 가져
온 신라 후기 석탑이라고 하는데, 이승만 시절에 국립묘지를 조성하면서 강제로 소환해 경상도
를 상징하는 탑으로 삼았다고 한다. 허나 언제부터인가 방치되어 있던 것을 지장사에서 가져와
보수를 했으며 지금은 대웅전 옆구리에 두었다.

지장사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라고는 하나 겉모습은 거의 20세기 석탑 같으며 지붕돌과 석재 일
부만 오래된 티가 보일 뿐, 상륜부(相輪部)와 탑신(塔身) 상당수는 지장사에서 새로 손질을 하
여 오래된 돌과 새 돌이 서로 어색한 조화를 보이고 있다.
<지금은 범종각 옆으로 옮겨졌으며 그 자리에는 물을 머금은 동그란 석조가 들어섰음>


▲  금빛찬란한 대웅전 아미타3존불과 목각후불탱

▲  대웅전 감로도(甘露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6호

감로도는 1893년 금호약효(錦湖若效) 외 3명의 화승이 그린 것이다. 그림은 상부에 아미타여래
일행이 지옥에서 온 중생을 맞이하러 가는 장면을 그렸고, 중앙에는 성반의식(聖盤儀式,
우란
분경에서 7월 15일 승려 및 십방제불에게 백미를 올리고 발원하는 의식)
을 하는 모습을, 그 주
변에는 아귀(餓鬼)의 모습을 담았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고통에 신음하는 중생들로 가득한 지옥과 현실의 모습을 그렸는데, 7여래의
장엄하면서도 원만한 얼굴과 옆을 바라보고 있는 자세, 성반의식을 하는 승려의 모습과 산수의
표현 등은 19세기 초의 양식을 잘 보여주며, 나뭇잎 선의 처리와 산수의 음영처리 등에서 19세
기 후반의 불화양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  대웅전 팔상도(八相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20호

팔상도는 부처의 일대기를 8개의 장면으로 그린 것으로 1893년 한곡돈법(漢谷頓法)이 그렸다.
이곳 팔상도는 부처의 생애 중 가장 극적인 장면만을 묘사했다고 하는데, 나는 그 내용은 잘
모르겠다. 형식적인 형태와 탁한 색조는 19세기 후반 불화양식을 반영한다.


▲  대웅전 신중도(神衆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8호

신중도는 인도의 토속신으로 불교의 일원으로 스카웃된 호법신(護法神)의 무리를 조금의 여백
도 없이 꾸역꾸역 집어넣은 그림이다.
1893년 금호약효, 정련(定鍊) 등이 그린 것으로 위태천과 범천, 제석을 중심으로 비교적 많은
이들을 담았는데, 좌우 대칭구도와 위태천과 제석 등이 이루는 역삼각형 구도가 다소 어수선해
보인다. 특히 천녀(天女)들이 20여 종에 달하는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은 본그림의 백미(白眉)
라 할만하다. 인체를 불균형하게 표현한 점과 과장된 안면의 묘사 등이 19세기 불화의 특징을
보이는 작품으로 비록 색깔이 퇴색하긴 했으나 조화로운 색채 구성으로 그림의 품격을 높였다.


▲  대웅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7호

지장시왕도는 1893년 금호약효(錦湖若效) 등 14명의 화승이 그렸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권속
들을 계단식으로 배치했고, 화폭 상단으로 갈수록 존상을 작게 묘사하여 원근법의 효과를 살렸
다. 원만한 인물의 형태는 18세기 후반 양식이지만, 오색 광선으로 표현한 광배, 도식(圖式)적
인 천의, 단조로운 구름의 묘사는 19세기 불화양식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많이 변색되긴 했
으나 일부 적색과 녹색은 비교적 밝게 채색되어 있다.


▲  능인보전에서 바라본 대웅전 뜨락 주변 <정면에 보이는 건물이
종무소(宗務所), 오른쪽이 심우당>

▲  대웅전 옆구리에 지어진 새 요사

대웅전과 종무소 뒤쪽에는 청심당 등 승려의 생활공간 및 공양간으로 쓰이는 건물이 여럿 있다.
그중에서 대웅전 바로 옆구리에 자리한 건물(윗 사진)은 2010년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이곳은
원래 공터였다.
건물의 모습이 기와집이 아닌 요즘 시골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주택 모습이라 다소 이색적인데,
그 옆에는 2016년에 새로 지어진 'ㄷ'자 모습의 청심당이 있다.

요사(寮舍)나 선방(禪房)은 공양간이나 교육이나 법회, 접대용으로 쓰이는 공간을 제외하면 절
의 사사로운 공간이라 거의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 잘 들어가지는 않는 편인데, 예전
대웅전에 있었다는 극락9품도와 현왕도를 반드시 잡아 술래잡기를 끝내고 싶은 집념이 활활 불
타오르면서 요사 주변을 기웃거렸다. 요사에 있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종무소 옆에 있는 공양간을 먼저 살폈는데 마침 문이 열러 있어서 그 사이로 시선
을 넣었으나 그림 같은 건 없었다, 하여 대웅전 옆에 있는 건물로 가서 창문 안으로 시선을 쓱
넣으니 글쎄 오래된 그림 2개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아닌가? 확인해보니 극락9품도와 현왕도
였다. (지금은 다른 건물로 옮겨짐)
그들을 발견하고 마음 속으로 쾌재를 외쳤으나 주변에 아줌마 신도들이 있어 안으로 들어가지
는 못했고, 그렇다고 대놓고 사진에 담기도 그래서 창문을 살짝 열고 새가슴처럼 대충 사진에
담았다. 물론 신도와 승려에게 허가를 받고 마음 편히 사진에 담는 것이 좋겠지만 생활공간인
요사이다보니 협조를 안해줄 듯 싶었다.


▲  요사 안에 담긴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 왼쪽 그림)와
현왕도(現王圖, 오른쪽 그림)


극락9품도는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5호로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16관 중 산선관(散線觀)
인 제14, 15, 16관에 해당되는 9품의 극락왕생을 담고 있다. 이 그림은 1893년 금호약효(錦湖
若效) 등 3명이 그린 것으로 대구 동화사(桐華寺)의 부속암자인 염불암(念佛庵)의 극락구품도
와 함께 같은 원본을 보고 그린 것이라고 한다.
등장 인물의 얼굴 이목구비를 섬약하게 표현하여 조선 후기 극락구품도의 독특한 유형을 보여
주며, 음영의 표현이나 적색과 녹색의 대비, 화려한 꽃무늬 등은 19세기 불화 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그 옆에 있는 현왕도는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19호로 1893년에 금호약효 등 3명이 그렸다. 현
왕이란 염라대왕을 일컫는 것으로 죽어서 3일만에 그에게 심판을 받은 장면을 담았다. 화면은
둥근 구조 안에 그의 심판 장면을 그렸는데, 현왕의 우람한 체구와 세밀한 얼굴묘사에서 비교
적 예스러운 양식이 나타난다. 얼굴과 옷주름을 획일적으로 묘사했고 꽃무늬와 구름을 단색으
로 처리해 19세기 후반 불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구품도와 현왕도를 찾아냄으로써 그들과의 부질없는 숨바꼭질은 끝이 났으며 이곳에 있는
지정문화재는 괘불도를 빼고 모두 인연을 짓게 되었다. 괘불이야 평상시에는 친견이 불가능한
아주 비싼 존재이니 석가탄신일이 아닌 이상은 아예 체념한 상태이다.


 

♠  호국지장사 마무리 (극락전, 삼성각, 지장전)

▲  지장보살입상 우측에 자리한 극락전(極樂殿)
정면 1칸, 측면 1칸의 조그만 팔작지붕 건물로 근래에 조성된 아미타불과 관음보살,
지장보살, 아미타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  극락전 아미타3존불과 아미타후불탱화

▲  지장보살입상 좌측에 자리한 삼성각(三聖閣)

▲  삼성각 식구들 <왼쪽부터 산신, 칠성(치성광여래), 독성>

▲  칠성도(七星圖,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5호)와 석가불

삼성각 가운데를 장식하고 있는 석가불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동그랗게 표현된 풍만한 가슴
과 가슴선이 제법 눈길을 끈다. 그의 두툼한 얼굴에는 미소가 드리워져 있고 물레방아처럼 생
긴 법륜(法輪)을 왼손에 쥐고 있는데, 법륜의 8개의 바퀴살은 팔정도(八正道)를 나타내며 동그
란 모양은 부처의 가르침인 담마(蕁麻)가 완전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석가불 뒤에 자리한 칠성도는 1906년 보암긍법(普庵肯法)이 그린 것이다. 화면은 화폭의 좌우
대칭으로 권속들을 배치하고 상하 2단으로 나눈 수평 구조로 경직된 형태와 선, 탁한 색채 등
은 20세기 초 불화기법을 잘 반영하고 있어 지방문화재자료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  독성도(獨聖圖,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6호)와 독성상(獨聖像)

독성<나반존자(那畔尊者)>은 천태산(天台山)에서 몸을 일으킨 존재이다. 승려 비슷한 복장으로
앉아있는 모습이 안방 마님처럼 편안해 보이는데 머리털이 없어 허전하기만 한 그의 머리는 바
로 뒤에 있는 독성도의 독성 머리 때문에 머리에 큰 혹이 난 것처럼 보인다.

독성도는 소나무 밑에서 바위에 기댄 채 동자의 공양을 받고 있는 독성 할배의 모습이 담겨져
있는데 전형적인 19세기 독성도로 폭포와 나무, 꽃 등의 표현이나 늘어진 옷자락의 묘사는 다
소 서투르나 독특한 자세와 온화한 얼굴의 표정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그림의 깊이를 살려준
투명한 광배의 표현 등이 눈길을 끈다.

▲  산신도(山神圖,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7호)와 산신상

길쭉한 흰 수염을 지닌 산신 할배는 왼손에 지팡이를 들고 오른손으로 그의 애완동물인 호랑이
를 쓱쓱 쓰다듬고 있다. 호랑이가 아무리 무섭다한들 산신 앞에서는 그저 꼬랑지를 살랑살랑거
리는 고양이에 불과하다. 산신 옆에 서 있는 동자는 무척 앳돼 보여 마치 할배와 손자를 보는
듯 단란해 보인다.

산신상 뒤에 걸린 산신도는 1893년 금호약효(錦湖若效)가 제작했다. 민화(民畵, 속화)풍의 나
무와 폭포, 호랑이의 모습은 19세기 말 산신도 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원색적이고 장식적이
던 당시의 산신도와는 달리 은은한 중간 색조를 사용한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위엄과 격이 담
긴 산신의 얼굴 묘사도 제법 돋보인다고 한다.


▲  지장사의 명물, 지장전(地藏殿, 지장보살입상)

지장사의 백미(白眉)이자 명물은 경내 뒤쪽이자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지장보살입상과 3,000
좌(예전에는 2,500좌를 칭했음)에 달하는 조그만 석조지장보살의 장대한 물결이 아닐까 싶다.
절에서는 이곳을 지장전으로 삼아 꽤 애지중지하고 있는데 비록 건물은 아니지만 노천 법당으
로 석불이나 마애불을 두고 각(閣)이나 전(殿)을 칭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많다. 능인보전과 삼
성각, 대웅전에 서린 문화유산도 중요하지만 지장사의 성격을 분명히 해주는 존재가 바로 이곳
지장전이다.

지장전은 1983년 주지 혜성이 현충원에 잠든 호국신들이 지장보살의 원력으로 극락왕생이 되도
록 기원하고자 조성한 것으로 지장사의 최대 프로젝트였다.
육환장(六環杖)이란 길쭉한 지팡이를 들며 온화한 표정으로 현충원을 바라보는 지장보살의 뒷
통수에는 동그란 모양의 두광(頭光)이 그를 빛내주는데, 마치 이글거리며 타오르는 햇님 같다.
그 뒤에는 그를 멀리서 둘러싸듯, 거대한 석벽을 병풍처럼 만들어 조그만 지장보살을 가득 만
들어 가히 장관을 이룬다.

▲  지장보살상 좌우에 자리한 늘씬한 5층석탑들

지장보살 좌우에는 홀쭉한 몸매의 5층석탑 2기가 자리해 있다. 연꽃이 새겨진 기단(基壇)을 지
닌 이들은 오래된 때가 조금 묻어나 보이는데, 그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거의 걸려들지를 않
아서 꽤 애를 태우게 한다. 탑의 형식을 봤을 때는 왜정 때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좌측 탑의
1층 탑신에는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  밑에서 바라본 지장보살상(지장전)

지장전을 장엄하게 꾸민 정성이 부디 명부(冥府, 저승)를 감동시켜 이곳에 깃든 호국신들이 하
나의 낙오자도 없이<단 친일파와 현충원에 묻힐 자격이 없는 작자들은 싹 무관지옥이나 떨어져
라~!> 극락왕생하길 기원하며 간만에 벌인 호국지장사 나들이를 마무리 짓는다. (그 외의 장소
는 별도의 글에서~~)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6월 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임진왜란의 쓰라린 흔적, 울산 서생포왜성 (진하해변)

 


' 울산 왜성(倭城) 나들이, 서생포왜성 '

▲  서생포왜성 내성의 동쪽 성벽


 

 

♠  동해바다를 바라보며 자리한 옥의 티 같은 옛 왜성 ~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 울산 지방문화재자료 8호

▲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서생포왜성 외성
푸른 잡초들이 임진왜란의 쓰라린 흔적을 가리느라 부산하다.
 

여름이 슬슬 기지개를 켜며 천하를 무더위로 내몰던 6월 첫 무렵에 서울에서 머나먼 남동임해
(南東臨海) 지역을 찾았다.
부산에서 먼저 볼일을 마치고 다음날 아침 울산(蔚山)으로 넘어오면서 문득 옛날에 갔었던 서
생포왜성이 생각이 났다. 하여 이유도 따지지 않고 왜성이 있는 진하로 길을 잡았다.

울산의 동남쪽 끝으머리인 서생면 진하(서생리) 뒷쪽 언덕(해발 133m)에는 임진왜란의 쓰라린
흔적인 서생포왜성이 평화롭게 누워 있다.
이 성은 규슈 구마모토(雄本) 지역의 우두머리인 가토기요마사(加藤淸正)가 군사와 지역 백성
을 들볶아서 만든 것으로 1592년 가을에 쌓기 시작하여 1593년에 완성을 본 순수 왜성 스타일
의 성이다. 성 둘레 2.5km(4.2km), 성벽 높이 2~6m, 면적은 대략 15만 2천㎡에 이르며, 이 땅
에 남아있는 왜성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성을 지을 때 근처에 있던 만호진성(萬戶鎭城)을 부시고 그 돌을 가져와 축성했는데, 산 정상
에 내성을 쌓고 동쪽 경사면에 복잡한 구조로 3단의 부곽(副郭)을 두었으며, 그 동쪽 산 밑에
드넓은 외성을 설치하니 그 범위는 성내마을(진하 서쪽)까지 미친다.
성 밖에는 2중, 3중으로 호(壕)를 파서 수비에 만전을 기했으며, 외성은 바깥쪽에 돌을 쌓은
내탁식(內托式)으로, 내성은 안과 밖 모두를 돌로 쌓은 협축식(夾築式)으로 축성했다. 성벽의
기울기는 60도 정도로 왜성에서 많이 보이는 특징이며, 산 정상에는 왜장이 머무는 천수각(天
守閣)을 두었다.

함경도를 지나 무려 두만강(豆滿江)까지 건너갔던 가토기요마사는 조선군과 강추위에 형편없이
쫓겨 내려와 이곳에 틀어박혔다. 1594년 사명대사(四溟大師)가 4번이나 찾아와 왜장과 교섭을
벌였으며, 1598년 9월에는 김응서(金應瑞)와 마귀(麻貴)가 이끄는 조선,명나라 연합군이 이곳
을 점령하여 울산 왜성의 배후를 위협했다.
1599년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53명의 충신을 배향하고자 창표당(蒼表堂)을 세웠으며 견고하게
축성된 덕에 성을 버리지 않고 1895년까지 조선 수군의 동첨절제사영(同僉節制使營)으로 사용
되었다.

왜란 당시에 기장 죽도성(竹島城), 울산왜성과 봉화를 주고 받아서 봉화성(烽火城)으로도 불리
며, 16세기 왜성의 양식을 온몸으로 보여주는 산증인이라 왜열도에서도 많은 답사객들이 찾아
온다. 성의 이름인 서생(西生)은 명나라 장수 마귀가 성 서쪽 문을 가리켜 생문(生門)이라 했
는데, 그게 이름이 바뀌어 서생이 되었다고 한다.

왜정 때 사적 54호로 지정되었고, 1963년에 국가 지정문화재 목록을 다시 손봤을 때도 정리되
지 않고 그 지위를 유지했다. 허나 그 자리가 너무 외람되어 1997년 학성(울산왜성)과 더불어
사적에서 정리되었으며, 이후 울산 지방문화재로 살아가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4개에 100년이 지났지만 성곽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내성(內城)은 대부분이 남
아 있으며, 외성(外城)은 성곽의 일부가 전하고 있다. 그럼 지금부터 서생포 왜성을 살펴보도
록 하겠다.

※ 서생포왜성 찾아가기 (2016년 6월 기준)
* 태화강역, 울산시외고속터미널 건너편, 학성공원, 울산광역시청, 공업탑에서 715번 시내버스
  (30~40분 간격)를 타고 서생포왜성이나 진하 하차. 진하에서 내리면 정면(서쪽)에 산성 같은
  것이 보이는 야트막한 산이 있다. 거기가 바로 서생포왜성이다.
* 공업탑 남쪽 울산대공원 동문앞 정류장에서 405, 715번 시내버스 이용
* 해운대터미널(부산2호선 해운대역 2번 출구)에서 진하행 직행버스 이용 (50~60분 간격)
* 부산1호선 노포역(1번 출구,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부산시내버스 37번을 타고 월내초교(
  길천)에서 울산시내버스 715번이나 진하행 직행버스로 환승
* 승용차 (성 아래 조그만 주차장이 있으며, 왜성 정상까지 차량 접근 가능)
① 울산시내 → 남창 → 진하 → 서생포왜성
② 부산시내 → 좌천 → 월내 → 서생 → 진하 → 서생포왜성

*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서생리 711일원


▲  서생포왜성 남문터

서생포왜성은 2002년 6월에 인근에 살던 여인네와 와본 기억이 있다.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
속에 산산히 흩어진 그 시절의 추억을 아련히 되새기며 외성 남문터를 통해 왜성의 품으로 들
어섰다.

남문터는 문을 양쪽에서 붙잡던 성벽만이 잡초를 옷삼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거의 담장 신세
가 되버린 성벽은 멀리 보이는 산 정상까지 끊임없이 이어져 옛 위용을 희미하게 드러내고 있
는데, 성내마을에서 내성1관문까지는 넉넉잡아 15분 정도 걸린다.


▲  마을의 담장과 수풀의 수북한 보금자리로 살아가고 있는 외성

▲  남문터 부근에 심어진 조그만 비석 4기
동첨절제사영 동첨절제사의 선정비(善政碑)나 불망비(不忘碑)로 여겨진다.

▲  풍년 예감, 서생리(진하) 들판
왜성 남쪽 산이 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매뭇새를 다듬는다.


▲  서생포왜성으로 오르는 길 (마을에서 내성으로)

▲  내성 주출입구 밑 산길

▲  내성1관문(주출입구)
성내마을(진하)에서 15분 정도 오르면 내성 출입구가 나온다. 칼로 싹둑 다듬은 듯,
정연하게 쌓여진 성벽은 400년의 세월에도 여전히 건재함을 드러낸다.

▲  내성1관문 안쪽

▲  돌출형 소곽(小郭) - 내성2관문
그 우측으로 성으로 들어서는 작은 출입구가 있다.

▲  잠시 뒤를 살피는 여유 (진하해수욕장)
진하해수욕장과 동대해(東大海), 그들을 후광으로 삼은 진하(서생리) 마을이
저 밑에 바라보인다.

▲  내성3관문 성벽에 뿌리를 내린 돌탑


♠  서생포왜성 내성 부분

▲  내성 중심부로 오르는 산길

내성1관문을 지나 산내음이 가득한 산길을 하나씩 오르면 2관문과 3관문이 차례로 모습을 비춘
다. 비록 문루는 녹아 없어졌지만, 밑을 바라보고 자리했을 문루의 위용이 가히 상상이 간다.
3관문을 지나 성곽이 서로 엇물려진 이른바 엇물림형 출입구를 지나면 왜성의 중심인 산 정상
부에 이른다. 평평한 정상에는 천수각을 비롯해 왜군 숙소, 무기창고가 있었다.


▲  내성의 남쪽 성벽

▲  엇물림형 출입구
왜성의 중심인 천수각을 보호하고 적군을 효과적으로 막고자 성벽을 아주 복잡하게
짜놓았다. 수비하기에는 좋지만 공격하기에는 아주 쥐약 수준으로 만든 것이다.

▲  왜성의 정상부 ▼
녹음이 서린 나무와 잡초가 아픈 역사의 현장을 잔잔히 덮어준다.



▲  왜성의 중심인 천수각(天守閣)이 있던 곳

사진에 보이는 성곽 위에 천수각(텐슈가쿠)이 있었다. 천수각의 모습은 왜열도의 오사까성이나
구마모토성의 천수각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영주(領主) 출신인 왜장들은 그들의 특권을 여기
서도 변함없이 누리며 호화롭게 천수각을 지어 부하들과 지역 사람들을 쥐어짰는데, 그 천수각
은 오래 전에 녹아 없어지고 그 자리에는 지적측량을 위한 지적삼각점이 대신 서 있다.


▲  왜성 정상부의 북서쪽 부분

▲  왜성의 특징이 잘 드러난 내성 성벽 ▼
우리나라 성벽은 거의 80도 기울기이지만 왜성의 기울기는 거의 60~70도이다.
무거운 세월의 때와 자연의 태클에 많이 헝클어졌지만
여전히 옛 모습과 위용을 자랑한다.


▲  내성 서쪽 성벽에서 남쪽 산줄기로 인도하는 오솔길

내성의 서쪽 성벽 끝에 성 밑으로 내려가는 길이 나있다. 길이 좀 가파르기 때문에 조심을 기
해야 되는데, 그 밑으로 내려가면 조그만 오솔길이 나오며, 그 길을 내려가면 성내마을(진하)
에 이른다.
내려가는 길목에는 약수터가 있어서 나그네의 목을 아낌없이 축여주며 정겹기 그지 없는 흙길
은 속세의 물을 먹으며 점차 콘크리트 길로 변한다.

이렇게 하여 오랜만에 들린 서생포왜성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6년 6월 1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 (공룡발자국화석, 연화산 숲길)

 

'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玉泉寺) '

  옥천사 대웅전  
옥천사 전나무숲길과 계단

▲ 옥천사 대웅전
옥천사 전나무 숲길과 계단
▶ 옥천사 독성각, 산령각

옥천사 독성각과 산령각


늦가을이 한참 절정을 쏟아내던 10월 끝무렵에 경남 고성(固城) 옥천사를 찾았다. 마산남부터
미널에서 통영행 직행버스를 타고 고성 북쪽 관문인 배둔에서 내려 개천으로 가는 군내버스를
기다렸다. 차는 거의 1시간 마다 있는데, 마침 20분 뒤에 있다.
차를 기다리기 심심하여 정류장 화단에서 놀고 있는 잠자리를 희롱하며 노닥거렸는데, 화단에
서 놀던 잠자리는 5마리였다. 잡힌 잠자리는 자비를 베풀며 무조건 석방시켰으나 그들은 멀리
가지 않고 주변에서 놀다가 또 내 손에 잡힌다. 그렇게 잡고 풀어주는 것을 반복하여 20여 번
정도 잡았으니 1마리 당 거의 4~5번 나의 거친 손을 거쳐간 셈이다.

드디어 개천행 버스가 정류장에 바퀴를 들이자 한 주먹거리도 안되는 잠자리 사냥을 그만두고
버스에 오른다. 버스 승객은 나를 빼고는 모두 노공(老公)들.. 내가 승객의 평균 연령치를 크
게 깎아준 셈이다.
버스는 외마디 부릉 소리를 배둔정류장에 남기며 1007번 지방도를 따라 마암면을 지나 개천면
으로 간다. 연화산의 품으로 바로 들어서는 듯 싶더니 좌연리에서 갑자기 우회전하여 교행 조
차도 불가능한 조그만 시골길을 거침없이 질주한다. 좌연리에서 바로 질러가면 옥천사 입구인
데 생각치도 못한 곳으로 강제 투어를 당하니 나도 순간 당황하고 말았다. 버스는 그런 날 외
면하며 봉치리와 용안리 구석구석을 강제 구경을 시켜주고 나서야 다시 1007번 지방도로 복귀,
옥천사3거리에 나를 내려놓는다.


♠  연화산(蓮花山)의 품으로 들어서다

▲  옥천사 입구에서 바라본 연화산(528m)

옥천사3거리에서 다리를 건너면 본격적으로 연화산 나들이가 시작된다. 가을 추수의 기쁨을 누
린 전답과 시골집들, 옥천사 관광객을 겨낭한 찻집과 주막들을 반대 방향으로 흘려 보내며 15분
정도 살랑살랑 걸으면 계곡 건너로 주차장과 숙박촌이 자리한 연화산 집단시설지구가 나타난다.
공룡상이 있는 다리를 건너 주차장으로 들어서면 서쪽 가장자리에 공룡발자국화석이 있으니 그
것도 반드시 살펴보도록 하자.


▲  주차장 다리 앞에 놓인 귀여운 공룡상

▲  방생장(放生場) 비석과 돌탑들

주차장 입구에는 10여 기의 돌탑과 방생장 비석이 자리해 있다. 방생은 살려서 놓아준다는 의미
로 이곳이 계곡 옆이니 여기서 방생의식을 했던 모양인데, 그 비석 피부에는 붉은 글씨로 '崇禎
紀元後 四 辛酉 四月(숭정 기원후 4신유 4월)'이라 쓰여 있어 1861년 4월에 만든 것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숭정은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崇禎帝) 의종(毅宗)의 연호로 1628년부터 명나라
가 풍비박산이 난 1644년까지 쓰였는데, 명이 사라진 이후에도 조선 조정과 사대부(士大夫)들은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과 명에 대한 아주 꼴사나운 꼴통 사대주의(事大主義)로 '숭정'이란 연호
는 무려 20세기 초까지 두고두고 우려먹었다. 그리고 '四 辛酉(4신유)'는 1628년 이후 4번째 신
유년이란 뜻으로 계산을 하면 1861년이 된다.


▲  옥천사계곡 공룡발자국 화석지

주차장 서쪽 계곡 암반에는 1억년 전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의 발자국 화석(化石)이 있다. 이들
은 용각류(Sauropoda, 잡식성 공룔) 공룡의 발자국들로 바위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얕게 패인 부
분이 그들의 발자국이다. 그리고 화석이 있는 암반 위쪽에는 중생들이 정성스레 얹힌 돌탑들이
널려 있다.


▲  공룡발자국 화석을 품은 계곡 암반

▲  공룡의 발자국화석
그들의 발자국 하나가 내 얼굴보다 크다. 여기서 뛰어 놀던 그들은 전설처럼
사라지고 그들의 발자국만 남아 아련하게 그 시절을 읊어줄 따름이다.

경남 고성은 스스로 공룡나라를 칭하며 공룡을 고을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고성은 우리나라 최
초로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고을 전역에서 발견된 것만 5,000여 개에 달해 미국 콜
로라도, 아르헨티나 서부해안과 더불어 세계3대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産地)로 손꼽힌다. 게다
가 바닷가에 있는 상족암은 공룡 화석의 성지(聖地)로 고성공룡박물관까지 들어서 있다. 이렇게
공룡의 흔적이 부지기수로 많으니 고성이 공룡나라를 칭하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하다.


▲  인간의 상상으로 깜찍하게 포장된 공룡

공룡발자국화석지 옆에는 깜찍한 공룡상이 있다. 그들은 우리와 마주칠 일도 전혀 없는 먼 옛날
의 존재로 가볍게들 생각하고 있지만 만약 인간과 공룡이 공존을 한다면 분명 호환마마 그 이상
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저렇게까지 귀엽게 만들지도 않았겠지. <공룡(恐龍)의 공(恐)은 매우
두려워한다는 뜻임>


▲  옥천소류지(沼溜地)

▲  매표소 쪽에서 바라본 옥천소류지

집단시설지구 주차장에서 5분 정도 오르면 옥천사계곡물을 모은 저수지가 나온다. 그의 명칭은
옥천소류지로 연화산이 베푼 계곡물이 옥천사를 끼고 졸졸졸~♪ 흐르다가 이곳에 모여 끝없는
대장정을 준비한다. 늦가을의 절정을 누리며 처절한 아름다움을 비치는 나무들과 알을 품은 어
미새처럼 푸근하기 그지없는 연화산 산줄기는 수면에 비친 자신의 매뭇새를 다듬으며 몸단장에
여념이 없고, 삼삼한 숲에 둘러싸인 호수의 자태는 첩첩한 산중에 안긴 비밀의 호수처럼 신비롭
고 아름답기 그지 없다.

옥천소류지의 경치에 취한 것도 잠시~ 그리 달갑지 않은 존재가 내 흥을 깨뜨리며 발길을 막는
다. 바로 옥천사매표소이다. 매표소에는 아저씨 1명이 지키고 있었는데, 입장료를 보니 무려
1,300원(학생은 1,000원)이다. 입장료의 압박에서 벗어나고자 고성읍 무량리(우리 집안 고향임)
가 집안 고향이라 들이대면서 슬쩍 대학생 할인 여부를 물으니 고향과 본관이 고성이란 말에 아
저씨는 반가운 표정을 지으며 오늘은 평일이고 하니 그냥 들어가라고 그런다. 뜻밖에 호의에 감
사의 뜻을 표하고 별탈없이 매표소를 통과했다.


▲  옥천사 일주문(一柱門)

매표소를 지나면 옥천사 주차장이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으로 오르면 옥천사의 관문인 일주문이
마중을 한다. 이 문은 1984년에 지어진 것으로 현판에는 '연화산 옥천사'라 쓰여 이곳의 정체를
밝혀주며, 문을 들어서면 아름답기 그지 없는 옥천사 숲길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  가는 길목에 중생들의 목을 축여주는 샘터도 있다.

옥천사 숲길은 하늘을 가리며 솟아난 늘씬한 나무들로 거대한 수해(樹海)를 이룬다. 숲 밖은 훤
한 대낮이지만 숲 안은 오히려 그늘지게 어두워 따사로운 햇빛마저 우걱우걱 삼켜버린다. 산사(
山寺)로 가는 숲길 치고 아름답지 않은 길은 거의 없겠지만 옥천사 숲길은 그중에서도 천하 으
뜸이라 할 정도로 아름다움이 깊다. 길을 가다가 선녀 누님이 툭 튀어 나와도 이상할 것이 없을
정도로 말이다.
나무들이 베푼 선선한 산바람에 번뇌는 날려가지 않으려고 발악을 한다. 허나 결국은 날려간 모
양이다. 마음이 가뿐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멀리 날라가지는 못하고 매표소 밖 소류지에서 물
놀이를 하며 나를 기다리고 있었으니 번뇌의 무게가 참 무겁긴 무거운 모양이다.

숲길 중간에는 샘터가 있다. 연화산이 중생들의 갈증을 우려하여 베푼 옥계수로 석조(石槽)에는
늘 물로 가득하다. 바가지에 물을 가득 담아 마시니 몸 속의 온갖 때가 싹 가신 듯 마음이 시원
하다. 샘터를 지나면 길 왼쪽에 사적비와 부도군이 있으며, 부도군에는 조선 후기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승탑(부도)들이 시간을 초월하며 어깨를 나란히 한다.


▲  옥천사 사적비와 부도군(浮屠群)
옥천사의 내력이 적힌 사적비와 옥천사와 인연이 깊은 승려의 승탑(僧塔)이
숲속에 터를 닦았다.


♠  옥천사 입문 (천왕문, 범종루 주변)

▲  천왕문(天王門)

일주문에서 10분 정도 오르면 절의 2번 째 문인 천왕문이 마중한다. 이 문은 1989년에 만든 것
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문 안에는 천왕문의 주인이자 부처를 수호하는
사천왕(四天王)이 눈을 부아리고 중생을 검문하며, 문 앞에는 속인(俗人)들이 끌고 온 수레들이
뒷꽁무니를 들이밀며 바퀴를 접고 쉬고 있다.

▲  사천왕(四天王)의 위엄
왼쪽부터 보탑(寶塔)을 들고 선 다문천왕(多聞天王), 비파 연주의 달인 지국천왕(持國天王),
칼의 달인 증장천왕(增長天王), 철쇄(鐵鎖) 비슷한 것을 든 광목천왕(廣目天王)

▲  증장천왕 발에 짓밟힌 악귀(惡鬼)

사천왕은 부처 및 불법을 지키는 경호대장에 걸맞게 대단한 외모과 풍채를 자랑한다. 눈초리가
매섭긴 하지만 쳐다보면 볼 수록 정이 드는 밉지 않은 얼굴이다. 허나 사천왕에 밟힌 악귀들은
사정이 그렇지를 못해 한결같이 인상들이 더러운데 그들 눈빛은 원망과 살기로 가득해 보인다.


▲  붉은 벽돌담에 둘러싸인 비각(碑閣)

        ◀  비각에 안긴 선경비(善敬碑)
천왕문을 들어서면 붉은 벽돌 담장에 둘러싸인
조그만 비각을 만나게 된다. 비각 안에는 지붕
돌을 얹힌 비석이 안겨져 있는데, 이 비는 옥천
사에 시주를 많이 한 어느 사대부를 기리고자
세운 것이다. 비문 내용은 '贈 戶曹判書 安公
善敬碑'라 쓰여 있어 나중에 호조판서로 추증(
追贈)된 안씨 성을 가진 사대부가 비석의 주인
임을 알 수 있는데, 비석이 세워진 것은 1922년
이다.

비각 앞에는 하마비(下馬碑)가 서 있는데, 그렇
다고 선경비를 위해 세워진 것은 절대로 아니다.
이 자리는 원래 제왕의 수복(壽福)을 빌던 축성
전(祝聖殿)이 있던 곳이라 그 앞은 무조건 말에
서 내리라는 뜻의 하마비를 세운 것이다.


▲  축성전터를 지키는 하마비의 위엄
지체 높은 고관대작(高官大爵) 마저 꼼짝 못하게 만든 하마비 3글자에
자못 위엄이 서려 보인다.

◀  경내를 목전에 둔 전나무 숲길

비각을 지나 다리를 건너면 길 좌우로 늘씬하게
솟은 전나무가 조촐하게 숲길을 이룬다. 비록
10m 남짓의 짧은 거리지만 소소하게 멋을 풍기
며 옥천사의 아름다움을 수식하는데 일조한다.
가을도 반하여 머무는 그 숲길 바닥에는 한 시
절 폼나게 살다간 낙엽들이 깔려 알록달록 카페
트를 이룬다. 귀를 접고 누운 낙엽을 보면서 올
해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실감나게 하니
세월의 자비 없는 조급함에 그저 한숨만 나올
뿐이다.
그런 숲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자방루 뜨락이
나온다.


▲  범종각(梵鍾閣)

전나무숲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연병장처럼
넓은 자방루 뜨락이 펼쳐진다. 뜨락 왼쪽에는
범종각이 자리해 있는데, 범종(梵鍾)과 법고(法
鼓), 운판(雲版), 목어(木魚) 등 사물(四物)이
담겨져 있다. 범종 같은 경우는 1776년에 주조
된 대종(大鐘)이 있었으나 현재는 보장각에 있
으며, 1987년 재일교포 박명호가 시주하여 만든
종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박명호는 어린
시절 할머니와 이곳을 자주 찾았다고 하는데 당
시의 추억을 잊지 못해 거금을 시주했다고 한다.
그리고 사물 외에도 조선 때 싸리나무로 만든
큰 구시가 있는데, 이것은 큰 불사나 법회 때
밥이나 물을 담던 커다란 나무 통이다.

그럼 여기서 잠시 옥천사의 내력을 짚어보도록
하자.


▲  자방루 뜨락 좌측에 자리한 샘터


※ 연화산에 안긴 고성 제일의 고찰, 옥천사(玉泉寺) - 경남 지방기념물 140호
고성 제일의 명산(名山)인 연화산(蓮花山) 북쪽 자락에 고성 사찰의 갑(甲)인 옥천사가 포근히
둥지를 틀었다.
이 절은 676년(문무왕 15년)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는 10년에 걸친 당나
라 유학생활을 마치고 670년에 귀국하여 화엄종(華嚴宗)을 널리 알리고자 영주 부석사(浮石寺)
를 시작으로 좁아 터진 신라(新羅) 땅에 10개의 화엄종 사찰을 지었는데, 옥천사는 그중의 하나
로 세워졌다고 한다. 절의 이름은 지금도 이곳의 명물로 꼽히는 옥천(玉泉)이란 샘에서 유래되
었다고 하며, 과연 의상이 창건했는지는 속시원히 입증할 수는 없지만 최치원(崔致遠)이 하동
쌍계사(雙磎寺)에 남긴 진감선사대공탑비(眞鑑禪師大空塔碑, 국보 47호)에 '쌍계사는 본래 절
이름을 옥천사라 했으나 근처에 옥천사란 절이 있어 헌강왕(憲康王)이 쌍계사라 제액(題額)을
내렸다'
는 문구가 있어 옥천사가 그 이전부터 숨 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신라 말기인 898년에는 창원 봉림사(鳳林寺)를 세운 진경국사(眞鏡國師) 심희(審希)가 낭림선사
(朗林禪師)와 함께 중창을 벌였는데, 이때 크게 가람이 확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 때는 964년(광종 15년)에 혜거국사(惠居國師)가 혼응(混應)과 더불어 3번째 중창을 벌였고,
1110년(예종 5년) 혜은(慧隱)이 쇠퇴한 절을 다시 일으키니 이것이 4번째 중창이다. 그리고 예
종 시절에는 묘응(妙應)이 이곳에서 천태종(天台宗)을 강의했다고 한다. 1237년 최씨정권이 대
장경(大藏經) 불사를 위해 진주에 대장도감 분사(大藏都監 分司)를 두었는데, 옥천사 보융대사(
普融大師)가 일연대사(一然大師)와 함께 팔만대장경 교정 작업을 벌였으며, 그 공로로 5번째 중
창이 이루어졌다. 1371년(공민왕 20년) 지운(智雲)과 원오(圓悟)가 6번째 중창을 했다.

1392년 천하가 바뀌면서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으로 옥천사는 간신히 명맥만 유지했다. 1592
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옥천사 승려들은 의승군(義僧軍)을 조직하여 왜군(倭軍)과 싸웠으나 1597
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군의 공격으로 절 전체가 파괴되는 비운을 겪는다.
그 이후 1640년 학명(學明)이 절 아래 대둔마을에서 하룻밤 머물렀는데, 꿈에 신인(神人)이 나
타나 웅장한 절터로 인도하는 것이었다. 이를 괴이하게 여긴 학명은 이튿날 꿈 속에서 갔던 그
곳을 더듬어 찾으니 글쎄 그때 본 거대한 절터가 눈 앞에 펼쳐져 있는 것이다. 게다가 자리도
일품이었다. 그래서 친분이 있던 의오(義悟)와 함께 중창불사를 벌이기로 하고 1644년에 우선
동상당(東上堂)이란 초가를 짓고 이듬해 심검당을 세웠다. 허나 재정이 넉넉치 못해 1654년에
겨우 법당을 지었고, 1664년에 정문을 세워 7번째 중창을 마무리 지었다.

1677년 묘욱(妙旭)이 법화회(法華會)를 개설하여 향적전, 만월당을 짓고, 1680년 인근에 청련암
(靑蓮庵)과 백련암(白蓮庵) 등의 암자를 세웠다. 1764년에는 자방루를 짓고 그 앞에 뜨락을 넓
게 닦았는데, 여기서 승병 훈련을 했다. 조선 정부는 승군(僧軍)을 부리고자 바다와 가까운 절
에 의무적으로 승병을 두게 했는데, 영조 시절 옥천사 승군은 300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또한
당시 절 규모는 요사 5동, 산내암자 7개였으며, 물레방아가 12개나 있을 정도로 크게 흥했다.
이때가 8차 중창이었다.

달은 차면 기운다고 했던가. 1800년(정조 24년) 나라에 종이를 바치는 어람지 진상사찰(御覽紙
進上寺刹)로 선정되었다. 병역과 각가지 부역(負役)도 힘든데 거기에 종이까지 만들어야 되니
그 부담이 실로 상당했을 것이라 심한 부역을 이기지 못한 승려들이 자꾸 도망을 치면서 절이
크게 기울게 된다. 그래서 1842년 승군의 정원을 170명에서 100명으로 줄이고 종이 물량도 크게
감량해 주었으나 여전히 감당이 되지 않아 1880년에는 겨우 10여 명만 남았다고 한다.
1863년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인 신관호(申觀浩)가 절을 방문해 '연화옥천(蓮花玉泉)'
이란 글을 남겼는데, 이때 주지인 농성(聾醒)이 어람지 진상사찰에서 빼줄 것을 호소했다. 그
말이 옳다 여긴 신관호는 바로 조정에 장계(狀啓)를 올리면서 종이 부역에서 해방되었다.

옥천사는 19세기에 진주와 고성 지역 사대부(士大夫)와 여러 관청에서 적지 않은 지원을 받았다.
그러다보니 지배층과 관(官)과 한통속이라 백성들은 생각을 했던 듯 싶다. 백성들은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온갖 수탈로 허리가 아작날 지경인데, 옥천사는 종이 부역과 승병 군역이 있을 뿐,
그런데로 지원을 받으며 먹고 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1862년 진주민란(晉州民亂)이 터지자 농
민들은 절로 몰려와 경내 외곽의 건물과 대종을 파괴했으며, 1888년 동학농민항쟁이 일어났을
때도 농민들이 다시 몰려가 많은 건물에 불을 질렀다. 이에 뚜껑이 열린 용운대사(龍雲大師)가
정면으로 나서
'이 절에는 전하(殿下)의 수복을 비는 축성전이 있소. 더 이상 불을 지르면 당신들을 역적으로
몰아 삼족을 멸할 것이오!!'
호통을 치니 이에 간이 쫄깃해진 농민들은 겁을 먹고 줄행랑을 쳤
다. 그 덕분에 대웅전, 자방루는 온전히 살아남게 된 것이다.

어쨌든 사대부와 관의 지원으로 적묵당과 탐진당을 중수했고, 힘들다고 도망친 승려를 소환하면
서 예전의 명성을 조금씩 되찾기 시작했다. 1890년에는 조정이 전국에 교지(敎旨)를 보내 왕실
을 위해 기도를 올리라고 지시했다. 이에 경상도관찰사이자 진주목사인 박규희(朴珪熙)가 개인
자금을 털어 옥천사에 왕실의 안녕을 비는 건물을 지었는데, 이 소식을 들은 고종은 흐뭇해하며
축성전이란 사액을 내렸으며, 명부전과 나한전, 칠성각을 끊임없이 중건하면서 이른바 9번째 중
창은 마무리되었다.
이 당시 옥천사 소유 전답은 800여 마지기로 인근 농민들에게 소작(小作)을 주어 5:5 비율로 받
아 매년 1,000석의 수입을 챙겼다. 또한 산을 개간해 560정보를 전답으로 만들었으며, 세곡 수
입을 바탕으로 계속 전답을 불렸고, 승려 수도 나날이 늘어 300명이 넘었다고 한다.

1911년 왜정(倭政)이 사찰령(寺刹令)을 공포하고 전국 31본산(本山)을 정할 때 옥천사가 그 하
나로 지목되었다. 허나 당시 주지인 서응대사<瑞應大師, 채서응(蔡瑞應)>이 서울 주지회의에 참
석하여, 대본산 지정을 거절했다. 그로 인해 옥천사 승려들의 칭송이 대단했다고 한다. 1920년
경에는 진주에 포교당을 만들어 연화사(蓮花寺)라 하였다.

옥천사는 왜국으로 승려 15명을 유학보내기도 했으며, 이들은 장차 절 주지와 교육계로 진출했
다. 그리고 잠시나마 옥천중학교를 설립하기도 했고, 상해임시정부에 자금을 보내는 등 나라의
독립활동에도 적극 나섰다. 또한 절은 통도사의 말사(末寺)이지만 워낙 파워가 대단하여 통도사
에서 주지를 파견하지도 못했다. 옥천사 자체에서 중론으로 주지를 선출하여 통도사에 승인을
요구하는 형식을 취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1950년 농지개혁법이 공포되자 사찰답 800여 지기가 소작인들에게 죄다 넘어갔다. 그
로 인해 절은 졸지에 거지가 되고 운영에 큰 위기를 맞았다. 다른 절은 약간의 불량답(佛糧畓)
이라도 건졌으나 옥천사는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허나 연화산 주변 565ha의 산림을
가지고 있어 빈털털이는 그나마 면했다.

근래에 이르러 청담(淸潭)이 불교정화와 신도 교화운동을 벌이면서 전답을 잃어 방황하던 절을
다시 반석 위에 올렸으며, 1984년 일주문을, 1987년 사적비, 1999년 유물전시관과 축성전을 지
으면서 지금에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옥천사 칠성각

▲  옥천사 보장각(성보박물관)

경내에는 대웅전과 팔상전, 자방루, 조사전, 유물전시관 등 20동에 가까운 크고 작은 건물들이
있으며, 청련암과 백련암, 연대암 등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그외에 고성읍내와 하동에 보광
사, 낙서암 등의 포교원을 운영한다.
소장문화유산으로 보물 495호로 지정된 청동금고(靑銅金鼓)와 보물 1693호인 지장보살도 및 시
왕도 등 국가지정문화재 2점과 대웅전과 자방루, 향로, 대종, 명부전 등 지방문화재 7점을 간직
하여 고색의 짙은 향기와 절의 장대한 역사를 아낌없이 보여준다. 또한 절 전체는 경남 지방기
념물 140호
로 지정되었다.

옥천사는 연꽃처럼 생겼다 하여 이름 붙여진 연화산의 북쪽 자락에 포근히 안겨있으며, 산세가
완만하고 숲이 울창해 경남 남부의 경승지로 명성이 높다. 특히 알록달록 물감이 완연히 번진
가을은 그 백미이다. 첩첩한 산주름에 묻혀있어 고요하기 그지없으며 풍경소리와 산바람 소리,
산새의 지저귐, 범종 소리가 그 고요를 가끔 깨뜨리는 게 전부이다.

절을 품은 연화산은 복분자딸기와 송이버섯이 유명하며, 우리나라 100대 명산의 하나이다. 연화
산 일대는 경남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화8경의 절경을 간직하고 있다. 

※ 연화산 옥천사 찾아가기 (2013년 11월 기준)
① 고성, 배둔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고성행 직행버스가 30~50분 간격으로 떠난다.
* 부산서부터미널과 마산남부터미널에서 배둔 경유 고성행 직행버스가 수시로 떠난다.
② 진주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진주행 직행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운행
* 서울 강남고속터미널에서 진주행 고속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운행
* 대전동부터미널, 부산서부터미널, 대구서부정류장에서 진주행 직행버스가 이용
③ 고성/배둔/진주에서 옥천사3거리까지 (옥천사3거리에서 도보 35분)
* 고성터미널과 배둔에서 개천행 군내/완행버스(1일 10여 회)를 타고 옥천사3거리 하차
* 진주시외터미널에서 옥천사3거리 경유 배둔, 고성 방면 완행버스가 1일 11회 다닌다.
④ 승용차로 가는 경우 (경내까지 진입 가능)
* 대전~통영고속도로 → 연화산나들목을 나와 우회전 → 영오 → 개천 → 옥천사3거리 → 옥천
  사 주차장

★ 옥천사 관람정보 (2013년 11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1,300원 / 학생,군인 1,000원 (20인 이상 단체 800원) / 어린이 700원 (단체
  600원)
* 옥천사는 휴식형과 체험형 템플스테이(Temple Stay)를 운영한다. 휴식형은 최대 3박4일까지
  머물 수 있으며, 체험형은 매월 2,4주 주말에 1박 2일로 진행된다. 체험형 참가비는 성인 5만
  원, 초중고 4만원이며, 세면도구와 수건, 운동화 등을 지참해야 된다.
  자세한 문의는 옥천사 종무소(☎ 055-672-0100)나 홈페이지 참조
* 옥천사에서 연화산 정상까지 2시간 정도 걸린다.
* 소재지 -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8 (연화산1로 471-9) <☎ 055-672-0100>
* 옥천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옥천사 승군들이 사용한 언월도(偃月刀)


♠  옥천사 둘러보기 (자방루, 대웅전 주변)

▲  옥천사 건물의 갑(甲)인 자방루(慈芳樓)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3호

경내의 중심인 대웅전으로 가려면 자방루의 옆구리를 싫든 좋든 거쳐야 된다. 옥천사의 속살을
속세에 드러내기가 싫었던지 대웅전 주변을 꽁꽁 가리고 있어 바깥에서는 내부가 전혀 보이질
않는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당당한 모습을 지닌 자방루는 1764년에 지어졌다. 1888년 농성이 중건하
고 1984년에 보수를 벌였는데, 이 건물은 승장(僧將)이 승군을 지휘/통제하던 곳으로 최대 340
명까지 담을 수 있다. 훈련 외에는 불교 강의나 행사 장소로 쓰였으며, 너른 앞뜨락에서는 승병
들이 훈련을 하거나 군사 사열을 받았다.

건물 내부에는 1888년에 그려진 비천상(飛天像)과 비룡상(飛龍像)을 비롯해 새 그림 40여 점이
내부를 수식하며, 자방루란 이름은 꽃다운 향기가 점점 불어난다는 뜻으로 불도를 닦는 누각이
란 뜻이다. 경내에서 가장 큰 건물(보장각 제외)로 옥천사의 오랜 명성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  단청으로 화사한 자방루 내부

▲  자방루 대들보에 걸린 현판

자방루는 대웅전 방향만 개방된 형태이고 천왕문 방향은 문을 열고 닫는 형태이다. 내부는 누마
루로 바닥을 짰고 단일부재인 대들보에 기둥이 없는 통칸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간
결한 분위기를 준다. 대들보에는 비룡상과 비천상이 그려져 있으며, 문 위쪽에는 화려한 색채의
그림들이 있으니 잘 살펴보도록 하자.
자방루 현판은 영조 시절 이조참판과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조명채(曹命采, 1700~1764)가 옥천
사에 들렸을 때 쓴 것이다.


▲  자방루 옆문에서 만난 사마귀의 위엄
흑자(黑子, 사마귀)공이 옥천사에는 어인 일로 행차했을까? 사마귀의 위엄 돋는
행차 앞에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가 지나가길 기다렸다.
 

▲  옥천사 대웅전(大雄殿)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132호

자방루 옆구리를 지나면 대웅전이 바로 모습을 비춘다. 장대한 규모의 자방루와 드넓은 자방루
뜨락에 비해 대웅전 주변은 정말 협소하다. 뜨락 좌우로 적묵당과 탐진당이 꽉차게 들어앉아 있
어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 4동이 뜨락을 빈틈 없이 포위한 형태이다.

높은 기단 위에 높직히 들어앉아 법당(法堂)의 위엄을 드러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옥천사의 중심지이다. 1649년에 중창되었으며, 1677년 묘욱(妙旭)이 개
수하고 1736년 보수를 했으나 건물이 너무 낡아 1864년 용운대사가 새롭게 만들었다. 대웅전 현
판은 영조 시절 동국진체풍(東國眞體風)의 대가인 동화사(桐華寺) 기성대사(箕城大師)의 글씨라
고 전하며, 대웅전 계단 좌우에는 2쌍의 돌기둥인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서 있는데 이는 괘불이
나 깃발을 거는 용도로 조선 후기에 세워졌다. 기단을 이루고 있는 돌에는 푸른 이끼가 자욱히
끼어 중후한 멋을 선보인다.


▲  조선 영조 시절 기성대사가 쓴 대웅전 현판의 위엄
글씨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듯 활력이 넘쳐 보인다.

▲  대웅전에 봉안된 석가3존불
온후한 표정의 석가불이 수려한 보관(寶冠)을 쓴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대동하며 중생들의 하례를 받는다.

▲  대웅전 외벽에 그려진 벽화 ▼
부처나 관음보살 이야기 대신 꽃과 화병, 채소, 붓 등이 그려져 있다.
무슨 사연이 깃들여진 것일까? 절의 주요 고객이던 사대부를 위한 그림일까?

▲  적묵당(寂默堂)
1764년에 세워진 'ㅁ'구조의 건물로 고참
승려들이 머물던 큰방이었다. 현재는 재를
올리거나 공부를  하는 공간으로 쓰이며,
2006년에 해체보수했다.

▲  탐진당(探眞堂)
1754년에 세워진 건물로 신참 승려들이 머물던
방이었다. 지금은 종무소 및 영가(靈駕)를
봉안한 공간으로 쓰인다.


♠  옥천사 둘러보기 (팔상전, 명부전, 조사전 주변)

▲  옥천사 팔상전(八相殿)

대웅전 우측에 자리한 팔상전은 부처의 일생을 담은 8폭의 그림을 담은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
건물은 1890년(고종 27년)에 세워진 것으로 8상 탱화는 도난을 방지하고자 보장각에 따로 보관
하고 있으며, 탱화의 사진을 대신 걸어두었다.


▲  옥천사 명부전(冥府殿) - 경남 문화재자료 146호

대웅전 좌측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를 봉안한 명부전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730년에 지어졌으며, 1895년에 중수했다. 명부전 옆에
는 흙과 기와로 빚은 정겨운 옛 굴뚝이 나란히 자리하여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던 왕년을 그리워
한다.


▲  명부전 불단에는 포근하고 귀여운 인상의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가 시립(侍立)해 있다.

▲  옥천사 조사전(祖師殿)

경내에서 가장 뒤쪽에 자리한 조사전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절을 창건했다는 의상대사의 진영
(眞影)과 서응대사<瑞應大師, 채서응(蔡瑞應)>, 청담대종사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  조사전 중앙을 장식하는 의상대사의
진영

           ◀  옥천사 나한전(羅漢殿)
대웅전 뒷통수에 자리한 나한전은 16나한(羅漢)
의 거처로 불단에는 정조 시절에 조성된 석가3
존불(석가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이 봉안되
어 있다.
나한전은 1895년에 지어진 것으로 16나한 가운
데 9상은 조선 후기 것이고, 7상은 근래에 나한
을 손질하면서 새롭게 붙여 넣었다. 이곳 나한
은 영험이 있다고 전한다.


▲  옥천사 칠성각(七星閣)

조사전 밑에 자리한 칠성각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칠성(七星)의 보금자리이
다. 내부에는 1981년에 만든 칠성탱화가 걸려있다.


▲  조촐한 모습의 독성각(獨聖閣)과 산령각(山靈閣)

명부전 뒤에는 눈에 넣어도 적당할 정도로 조그만 모습의 독성각과 산령각이 나란히 자리해 있
다. 이들은 서로 생김새도 비슷하여 마치 쌍둥이 같다.
왼쪽에 자리한 독성각은 독성(獨聖, 나반존자)의 보금자리로 1897년에 지어졌으며, 사람 1명이
들어가 앉으면 그냥 꽉 차버린다. 우측 산령각은 산신(山神)의 보금자리로 역시 1897년에 세워
졌는데, 독성각보다도 작아서 사람이 아예 들어갈 수가 없다. 그래서 천상 밖에서 예를 올려야
된다. 두 건물 모두 120년 남짓의 건물이지만 너무 노후해 보여 300년 이상은 되어 보인다.


▲  시원하게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독성도(獨聖圖)
 

▶  산신 가족의 단란함이 엿보이는
산신도(山神圖)


▲  옥천각(玉泉閣)

팔상전 뒤쪽에는 옥천각이란 조촐한 건물이 있는데, 바로 그 안 옥천사의 명물인 옥천(玉泉)이
담겨져 있다. 옥천은 물이 솟는 샘터로 절에서는 그를 위해 옥천각이란 수각(水閣)까지 씌웠는
데, 이 샘터는 옥천사 창건시절부터 있었다고 하며, 옥천사란 이름이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창건 이후 물과 함께 일정량의 쌀이 흘러나와 그걸로 공양을 했다고 하며, 어느 욕심꾸러기 승
려가 더 많은 쌀을 취하고자 샘을 파헤쳤는데, 샘이 크게 노해 쌀은 커녕 물도 끊겼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승려가 지극정성으로 잘못했다고 기도를 올리며 샘을 달래니 샘도 화를 풀었는지
연꽃 1송이가 활짝 피어나면서 물이 콸콸 솟아나 만병통치의 약물이 되었다는 것이다.
고성 지역에 이름난 약수로 왕년에는 샘물에서 목욕을 하는 중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하
며, 지금은 목욕은 못하고 물만 떠 마실 수 있다.

산사에서 마시는 샘물은 맛이 다 고만고만하지만 부산 미륵사(彌勒寺)와 고성 옥천사의 물맛은
신선이 마시는 물처럼 뭔가 특별해 보인다. 물을 마셔보니 자연이 내린 특별한 양념이 담긴 듯
맛이 달콤하다. 물을 3번이나 떠 마시고, 가져온 물통에 물을 가득 담아 집에서도 두고두고 마
셨다.


▲  옥천사의 명물, 옥천(玉泉)
둥그렇게 파인 샘에서 연화산이 베푼 옥계수가 쉬지 않고 솟구친다.

▲  청담대사 승탑

▲  청담대사 사리탑비

경내에서 보장각으로 가는 길목에 옥천사에서 출가한 근대 불교의 1인자 청담대사의 승탑과 탑
비가 있다. 옥천사에서도 가장 특별한 존재라 경내에 그의 사후 공간을 만들어 두고두고 그를
기린다.
하얀 피부의 수려한 조각을 자랑하는 승탑에는 그의 사리가 담겨져 있으며, 그 옆에 청담의 일
대기를 담은 탑비가 있다. 입에 보주(寶珠)를 물고 오른쪽으로 머리를 돌린 귀부에 생동감이 넘
쳐 보인다.


♠  옥천사의 보물이 담긴 보장각(寶藏閣)

경내 북쪽에는 2층 규모의 보장각이 늠름한 모습을 뽐내며 자리해 있다. 보장각은 옥천사의 귀
한 보물을 간직한 꿀단지로 오래된 큰 절에 흔히 있는 성보박물관(聖寶博物館)이다. 옥천사 제
일의 보물인 청동금고(임자명반자)와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를 비롯하여 청동향로, 신중탱화, 대
종 등의 불화와 고문서, 불상, 여러 불기(佛器) 등 200여 점의 유물이 소중히 담겨져 있다. 이
중 법고(法鼓)와 시왕탱화 등 119점은 '옥천사소장품'이란 이름으로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로 지정되었다.

보장각은 1999년 정부의 지원으로 세워졌으며, 입장료는 없다. (어차피 옥천사 입장료에 포함됨
) 매주 월요일은 문을 걸고 쉬지만 1층 정도는 상황에 따라 요령껏 관람이 가능하다. (2층은 문
이 잠김) 내가 갔을 때는 공교롭게도 박물관의 공통적인 휴일인 월요일이었다. 1층은 다행히 문
이 열려있어 구경은 했지만 2층은 불이 꺼져 있고 전시실 문도 굳게 잠겨져 들어가지도 못했다.
전시실은 사진 촬영이 통제되어 있으나 요령껏 1층 유물을 사진에 담아 보았다. 허나 태반이 흐
리거나 흔들리게 나와서 건질 만한 것은 거의 없다. 그나마 괜찮게 나온 것 일부만 간단히 소개
한다.


▲  1904년에 제작된 모연문(募緣文)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  비변사절목(備邊司節目)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  옥천사 청동금고(靑銅金鼓) - 보물 495호

옥천사 보장각 1층의 백미는 뭐니뭐니해도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라 불리는 청동금고가 아닐까
싶다. 청동금고는 말그대로 청동으로 만든 쇠북으로 1252년(고려 고종 39년)에 제작된 고려 후
기 금고(쇠북)이다. 다른 말로 반자(飯子)라고도 하나 잘 쓰이지는 않는다. 표면지름 55cm, 측
면너비 14cm로 전면에 굵은 융기선(隆起線)으로 4줄의 동심원(同心圓)을 두르고 후면은 비웠다.

금고는 불교의식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금고 측면에는 187자에 이르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는
데, 첫머리에 '高麗二十三王 環甲之年 壬子四月十二日 在於京師工人家 中鑄成智異山 安養社之飯
子'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어 1252년 고려 황제인 고종(高宗)의 환갑을 기념하여 만들었음을 알
려준다. 만든 이후 지리산에 있던 안양사(安養社)에 두었는데, 그런 금고가 어찌 옥천사까지 흘
러들어 왔는지는 전하는 바가 없다.
금고 제작자인 공인별장(工人別將) 한중서(韓仲敍)는 내소사범종(來蘇寺梵鍾) 등 여러 점의 유
물을 남긴 인물로 고려 후기에 뛰어났던 장인으로 여겨진다. 귀족과 승려들이 발원한 내용이 기
록되어 있고, 안양사의 사(社)라는 이름에서 고려 말에 유행했던 신앙결사(信仰結社)의 한 형태
로 조성된 작품으로 보인다. 이제는 760년이 넘은 노구(老軀)로 현역에서 은퇴하여 이렇게 박물
관의 한 부분을 장식한다.


▲  옥천사 장대청안목책(將大廳案目冊) - 1857년 작

▲  다라니경목판 - 19세기 작

▲  옥천사 인장(印章)

 ◀  옥천사 향로(香爐)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9호

옥천사 향로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입 안쪽에는 점선으로 '
의령수도사(宜寧修道寺)'란 글씨가 있어 그곳에
서 왔음을 알려주며, 가경(嘉慶) 21년, 즉 1816
년(순조 16년)에 보수했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
때 향로 받침을 새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 향로는 무늬를 먼저 새긴 다음 은을 입히는
방법으로 문양을 새겼으며, 표충사(表忠寺) 은
입사 향로와 같은 수법을 보여주는 괜찮은 작품
이다.

보장각 1층을 둘러보고 2층으로 올랐다. 2층은 불이 꺼져 있고 전시실 문은 굳게 입을 봉했다.
문 옆에는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0호로 지정된 대종(大鐘)이 있으나 사진에 담지는 않고 괜히
2층까지 설치다가 무슨 소리를 들을 듯 싶어서 꼬랑지를 내리고 바로 철수했다. 대종은 1701년
에 조성된 것이다.

◀  옥천사에서 누린 차1잔의 여유

옥천사를 살피고 가까운 곳에 있는 청련암(靑蓮庵)을 둘러보고 있으려니 갑자기 핸드폰이 밥기
운이 다되었다며 졸도를 해버렸다. 실신한 핸드폰을 계속 흔들어 깨웠으나 깨기가 무섭게 실신
을 한다. 그래서 청련암종무소에 도움을 청했으나 아무도 없어서 서둘러 옥천사로 내려와 그곳
종무소에 부탁을 넣었지만 충전기가 없다고 그런다. 요즘 무척 잉여로운 몸이라 연락올 때도 거
의 없지만 요즘 세상에 핸드폰이 없으면 그것만큼 허전한 것이 없다.
이거 어찌해야 되나 궁리하다가 문득 보장각 지하층(말이 지하지 지상임)에 있는 찻집을 생각하
고 거기로 갔다. 찻집에는 주인 아줌마와 그의 귀여운 어린 딸이 있었는데, 주인 아지매에게 충
전을 부탁하니 마침 충전기가 있어서 해주겠다고 그런다. 그래서 고마움을 표하고 충전이 되는
(20분 정도) 동안 찻집에서 두 발을 쉬었다. 그런데 그냥 앉아 있으려니 좀 미안한 마음이 들어
가장 저렴한 2,000원짜리 차 1잔을 주문했다. (그때 마신 차 이름은 기억이 안남) 여태까지 찻
집에서 나홀로 차를 마신 적은 없었는데, 이번에 홀로 차 1잔의 여유를 즐기게 된 것이다. 

차(茶)를 주문하니 잠시 뒤 잣이 띄워진 차와 에이스 과자가 담긴 그릇이 앞에 차려진다. 차의
향을 음미하며 산주름에 묻힌 산사에서 오랜만에 일다경(一茶頃)의 여유를 누린다. 차에는 떡이
찰떡궁합이지만 떡 대신 과자가 나왔으니 다소 조화가 떨어진다. 에이스 과자에는 딱 커피가 어
울리는데 말이다. 에이스는 옛날에 많이 먹었던 과자라 감회가 새롭다.

과자를 먹으며 차를 마시는 동안 30분이란 시간이 흘러갔다. 누구와 같이 왔으면 2시간도 있을
수 있지만 홀로니 더 머물러 있기도 그렇다. 게다가 주인 아줌마는 집에 갈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때 시간은 17시) 하여 자리를 정리하여 차 계산을 하며, 핸드폰 충전에 고마움을 표하고 밖
으로 나온다.
이제 어디로 가면 될까? 어디긴 내가 있어야 될 아비규환의 속세지~~ 다시 지루한 일상으로 돌
아가야 된다는 생각에 잠시 눈앞에 어둠이 내린다. 허나 안갈 수는 없다. 그게 내 운명인 것을..
속세로 무거운 발걸음을 하며 늦가을 옥천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닫는다. 다음에 다시 인연
이 된다면 이때 못본 보장각 2층도 살펴보고 청련암 보리수(菩提樹)와 백련암, 연화산 정상까지
말끔히 둘러보고 싶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3년 11월 11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 손가락 view on을 꼭 눌러주세요 ★☆


Copyright (C) 201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