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나들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7.07 민통선에 묶여있는 강화도 옆구리의 커다란 섬, 교동도 여름 나들이 ~~ (교동읍성, 교동향교, 성전약수, 화개사, 강화나들길 9코스)
  2. 2018.06.25 북한 개성 땅이 아련히 바라보이는 강화도의 북녘을 거닐다 ~~~ (연미정, 월곶돈대, 강화나들길, 강화평화전망대, 예성강)

민통선에 묶여있는 강화도 옆구리의 커다란 섬, 교동도 여름 나들이 ~~ (교동읍성, 교동향교, 성전약수, 화개사, 강화나들길 9코스)

 


~~~~~  강화 교동도 나들이
~~~~~

▲  화개산 숲길

▲  교동향교

▲  교동읍성

 


 

강화도(江華島)와 황해도 사이에는 교동도란 커다란 섬이 떠있다. 예전에는 강화도 창후
리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야 했으나 2014년 7월, 교동대교가 개통되면서 1969년에 연륙된
강화도와 더불어 한반도의 어엿한 일원이 되었다. 육지(김포시)와 강화도(강화군), 강화
도와 교동도 등 바다에 놓인 다리를 2개나 건너야 되나 섬을 잇는 다리가 생김으로써 더
이상 날씨와 바다의 눈치 없이 차량으로 마음 편히 오갈 수 있게 되었다.
 
교동대교가 개통되면서 오랜 세월 목말라오던 교동도와 흔쾌히 인연을 짓고자 여름의 어
느 평화로운 날 아침, 길을 떠났다.
서울 서부와 일산신도시, 김포(金浦), 강화대교를 지나 오전 11시 반에 강화터미널에 도
착했다. 교동도 버스 시간까지는 아직 40~50분 정도 남아있어 환승시간도 연장할 겸, 강
화읍내로 나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읍내 마트에서 간식거리를 여럿 구입하며 시간을 때웠
다. 무더운 날씨긴 했으나 바다에 감싸인 섬이라 여름 제국의 열기(熱氣)는 그리 거세진
않았다.

드디어 교동도(喬桐島)의 새로운 빛이자 발로 등장한 강화군내버스 18번(강화터미널↔월
선포)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허나 버스는 벌써부터 초만원이다. 다리 개통으로 물이 잔
뜩 오른 교동도 나들이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교동도까지 서서가야 되는가?' 우울한 마음 가득했으나 나에게는 꿩 대신 닭을 잡을 권
리는 없었다. 버스 아니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조금씩 사람이 빠져 다리 이전
인 인화리에서 간신히 자리를 잡았다.

교동대교 직전에는 인화리 검문소가 매의 눈으로 섬을 찾는 사람들을 지켜보고 있다. 다
리가 뚫리긴 했어도 교동도는 여전히 예민한 민통선이자 이 땅 최전방의 하나로 마치 군
사정권 시절로 강제 되감기를 당한 듯, 검문도 조금 까칠하다.
검문소에 이르면 군인아저씨의 통제에 따라 승객들은 버스에서 내려 검문소에 마련된 문
서에 이름과 연락처를 쓰고 신분증 검사를 받는다. 여럿이 온 경우에는 1명만 내려 작성
하면 되나, 상황에 따라 모두 검사를 받을 수 있으니 신분증은 꼭 지참해야 뒷탈이 없다.
그것이 없으면 아무리 날고 기어도 절대로 들어갈 수가 없다.
개인 차량으로 왔을 경우, 차에서 내려 신분증 검사와 이름, 연락처 등을 적고 통행증을
받는다. 통행증은 섬에서 나올 때 반환하면 된다.

승객이 많은 탓에 검문 시간이 길어져 버스는 약 7~8분 정도 그 육중한 바퀴를 멈추었다.
마치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국경선에서 출국수속을 밟는 기분이랄까?? 그 까칠한 절차가
끝나고 사람들이 모두 탑승하자 잠시 늘어졌던 버스는 외마디 부릉소리~~♪를 남기며 수
평선 너머의 숨겨진 별천지로 인도할 것 같은 교동대교로 들어선다.

교동대교는 강화도 양사면 인화리와 교동면 봉소리를 잇는 3.44km의 연륙교로 2008년 9월
에 짓기 시작했다. 원래 2012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바다 갯벌에 설치된 기초 말뚝이 2011
년 중순 손상되면서 공사 기간이 다소 늘어났다. 2014년 6월 20일 임시 개통을 했고, 10
일 뒤인 7월 1일 정식 개통되어 교동도의 새로운 관문이 되었다.
공사비는 총 904억 원이 소요되었으며, 다리 밑은 서해바다와 검은 갯벌이고, 바다 북쪽
은 바로 황해도(黃海道)로 북한 땅과 가장 가까운 바다 다리가 바로 교동대교가 되겠다.


 

♠  교동도 입문 (교동읍성)

▲  푸르게 익어가는 교동평야 (평야 너머로 보이는 섬이 석모도)

교동대교를 건넌 버스는 봉소리와 고구저수지, 교동도의 중심인 대룡리, 교동향교가 있는 읍
내리(邑內里)를 거처 섬 동쪽에 자리한 월선포에서 바퀴를 접는다. 월선포는 교동도의 옛 관
문으로 2014년 6월까지 강화도 창후리를 잇는 뱃편이 운행했다.

※ 교동도(喬桐島)는 어떤 곳인가?
교동도는 약 47.1㎢(또는 46.9㎢)의 넓은 섬으로 논 25.89㎢, 밭 2.57㎢, 임야 11.45㎢를 지
니고 있다. 다른 섬에 비해 유독 논이 넓은 편이라 마치 육지의 너른 평야를 보는 듯 한데 이
들 논을 교동평야(喬桐平野)라 부른다. 섬에 이렇게 너른 논이 있게 된 것은 고려 말부터 자
급자족을 위해 간척사업과 경지 개척을 꾸준히 벌인 탓이다. 게다가 해발 10m 이하의 땅이 섬
의 약 ⅔를 이루고 있어 경지 개척에도 매우 용이했다.
조선과 왜정(倭政)을 거쳐 현대까지 계속 땅을 다지고 수리시설을 개량하는 등 농업에 전념했
으며, 화개산 북쪽에는 섬 호수치고는 꽤 넓은 고구저수지가 있어 교동평야의 많은 농경지를
적셔주었다.
이렇게 오랜 세월 농업에 집중한 결과, 자급자족을 넘어 다른 지역까지 농산물을 내놓고 있으
며, 교동도 쌀은 질이 좋기로 명성이 높다. 어느 통계를 보니 교동도에서 1년간 생산된 쌀로
교동도 사람들이 약 58년, 강화군민이 약 4년간 먹을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그만큼 땅이 비
옥하다. 그래서 옛날부터 섬에 부자가 많았으며, 육지 사람들에 비해 전혀 아쉬울 것이 없어
교동민국이란 말도 생겨났다. 쌀 외에 보리와 콩, 감자, 인삼, 밤, 대추, 버섯 등의 농산/임
산물도 풍부하게 나온다.

섬 동쪽에 솟은 화개산(260m)은 섬의 지붕이며, 화개산 외에는 띄엄띄엄 거리를 두고 100m 이
하의 구릉들이 여럿 솟아있다. 해안선은 서해안치고는 단조로우나, 죄다 갯벌이다. 게다가 간
만의 차가 커서 선박 출입도 썩 편하지 못하다. 월선포 등의 항구가 있으나 조그만 수준이며,
겨울에는 해안의 유빙(流氷)과 북한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으로 강화도보다 좀 춥다.

교동도 동쪽에는 그를 거느리는 강화도가 자리해 있고, 남쪽에는 역시 강화도에 속한 석모도(
席毛島)가 있다. 그리고 서쪽은 황해도 연안군(延安郡), 북쪽은 황해도 배천군(白川郡)으로
모두 북한이다. 황해도 땅은 섬에서 불과 2~3km 거리에 불과해 섬 북쪽 해안과 화개산에서 뻔
히 바라보인다. 그 땅도 우리 땅이 분명하건만 그곳에는 북한이란 이상한 나라가 들어서 이렇
게 가까운 거리임에도 70년 이상 건너가질 못하고 있다.

교동도는 북방한계선(NLL)의 동쪽 시작점으로 강화도와 교동도 북쪽 바다는 남한과 북한의 완
충지대인 중립구역이다. 교동도 일대는 민통선으로 지금은 그나마 덜해지긴 했지만 출입이 썩
자유롭지 못했으며, 농업 외에는 개발이 어려워 1970~80년대 분위기를 여실히 간직하고 있다.
남북분단의 비극이 교동도의 시간까지 막아버린 것이다.

지금은 하나의 섬으로 되어있지만 호랑이가 담배맛을 알기 이전에는 개화산과 율두산, 수정산
을 중심으로 3개의 섬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교동평야에는 조수가 흘렀다고 하며, 대자연의
위대한 힘으로 이들 섬은 점차 하나가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석모도 상주산 사이의 바다가
육지화되어 사람들이 내왕했다가 1578년에 다시 바다가 되어 간조 때 외에는 왕래하지 못했다
는 기록이 있어 후빙기(後氷期) 이후 해면 변동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교동도는 고구려 때 고목근현(高木根縣)이라 불렸으며, 신라 경덕왕(景德王) 시절에 교동(喬
桐)으로 이름이 갈렸다. 이때 혈구진(穴口縣, 강화도)에 속했는데, 고려 명종(明宗) 때 감무
(監務)를 두어 섬을 통치하게 하면서 강화도에서 분리되었다.
고려의 끝 무렵인 우왕(禑王, 재위 1374~1388) 시절에는 피폐된 수군을 재건하고 정신없이 날
뛰는 왜구(倭寇)를 때려잡고자 전라도에서 바다에 익숙한 어부와 바닷가 사람들을 징발했다.
그들에게 경작지를 주는 조건으로 강화도와 교동도로 이주시켜 수군 훈련을 시켰는데, 이때
최무선(崔茂宣)이 개발한 화약을 이용해 화포(火砲) 훈련까지 병행했으며, 최무선은 단련된
그들을 데리고 1380년 금강 하류인 진포에서 왜구 500척을 때려잡는 전과를 올렸다. 이것이
진포대첩(鎭浦大捷)이다.

1395년에는 만호(萬戶)와 지현(知縣)을 두었고, 이후 교동현으로 삼아 현감을 파견했다. 1629
년 경기수영(京畿水營)을 교동도로 이전하면서 강화도에 버금가는 부(府)로 승격되고 수군절
도사(水軍節度使) 겸 교동부사를 두었으며, 1633년 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를 교동에 두면서
경기도와 충청도, 황해도의 바다를 관리했다.
1777년 교동부를 현으로 낮추었다가 1779년 삼도통어사를 강화로 옮기면서 교동부 겸 방어사(
防禦使)로 승격되었으며, 1789년 삼도통어영이 다시 교동으로 돌아왔다. 1866년에도 이와 비
슷한 일이 있었고, 1884년 해방영(海防營)에 통어사가 이속되면서 부사 겸 통어사로 격이 조
정되었다.
1895년 행정개편으로 강화에 일시 통합되었으나 1896년 교동군으로 분리되었으며, 1914년 강
화군에 편입되어 개화면과 수정면 2개 면을 두다가 1934년 교동면으로 통합되었다.

해방 당시 인구가 8,600명이었으나 6.25이후 실향민들이 북한과 가까운 이곳으로 대거 넘어오
면서 1965년에 12,443명에 달하기도 했다. 허나 민통선이라 개발도 거의 안되고 점차 낙후되
면서 인구가 감소해 현재는 3,000명대까지 떨어졌다.
6.25이전에는 4개의 정기연락선이 강화도와 황해도를 이어주었으나 6.25이후 강화도 외에 모
두 길이 끊기면서 외로운 섬이 되었다. 게다가 민통선이라 방문도 좀 까다롭고 교동도의 이
름 3자가 천하에 그리 알려지지 못해 실향민 외에 외지인의 방문은 별로 없었다. 그러다가 교
동대교가 닦이면서 섬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넣었고, 관광객과 답사/등산/낚시 수요가 늘면
서 차량의 왕래가 폭증했다. 다리로 인해 섬은 서서히 물이 오른 것이다.

교동도에는 등산 명소로 부상하고 있는 화개산을 비롯해 교동향교, 교동읍성, 화개사, 연산군
유배지, 대룡시장 등의 명소가 있으며, 강화도 둘레길인 강화나들길 가운데 2개 코스가 섬에
닦여져 교동도에 새로운 악세사리가 되고 있다. 또한 지엄한 민통선이라 개발도 오랫동안 피
해가면서 1960~80년대 농촌마을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오염원이 없어 그야말로 청정한 곳
이다.
 
섬까지 강화군내버스가 들어오지만 섬의 동부인 화개산 주변 봉소리, 대룡리, 읍내리 지역만
운행할 뿐, 그외 지역은 대룡시장에서 마을버스를 타거나 택시, 도보, 개인 차량을 이용해야
된다.
교동도의 중심은 대룡리로 면사무소가 있으며, 조그만 대룡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섬 서부로
갈때는 이곳에서 들어가면 된다.
육지와는 가깝지만 은근히 진입이 까칠한 곳이라 고려와 조선 때 유배지로 널리 쓰였으며 서
해바다와 예성강(禮成江), 한강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교역지로 바쁘게
살아갔다.


▲  교동읍성(喬桐邑城) - 인천 지방기념물 23호

교동도에서 가장 먼저 문을 두드린 곳은 교동도의 옛 중심지인 교동읍성이다. 화개사입구 정
류장에서 남쪽으로 난 시골길을 조금 들어가면 장대한 세월에 형편없이 짓눌린 교동읍성과 남
문이 그 초췌한 모습을 비춘다.

교동읍성은 교동도에 경기수영이 설치된 1629년에 축성되었다. 성의 둘레는 약 430m로 동문과
남문, 북문 등 3개의 성문을 두었으며 모두 옹성(甕城)을 둘렀다. 동문은 통삼루(統三樓), 남
문은 유량루(庾亮樓), 북문은 공북루(拱北樓)라 불렸는데, 1753년 여장을 고쳐 쌓았고, 1884
년에 남문을 수리했다. 바로 이 읍성(邑城) 안에 경기수영과 삼도통어영, 교동 고을의 관아가
있었다.

왜정 때 관리소홀과 왜정의 악의적인 훼손으로 동문과 북문은 쥐도새도 모르게 녹아 없어졌으
며, 성곽 역시 거의 앉은뱅이가 되었다. 남문은 다행히 모습은 건졌으나 1921년 폭풍우로 붕
괴된 것을 1975년에 해체,복원했으며 현재 남문과 그 좌우 성벽, 화개사입구에서 남문으로 넘
어가는 길목 등 약 300m 정도만 헝클어진 모습으로 남아있다. 제 아무리 장대했을 읍성도 결
국 세월과 대자연 앞에서는 일개 모래성에 불과했던 것이다.


▲  바다를 향해 입을 벌린 교동읍성 남문(南門)

바다를 바라보고 선 남문은 문루를 상실한 채, 홍예문과 성벽, 옹성 일부만 남아있다. (최근
에 문루가 복원됨)
문 주변은 하얀 피부의 성돌이 상당수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 상당수는 1975년에 복원하면서
새로 끼어 맞춘 것이다. 그 좌우에는 고색의 때로 얼룩진 성돌이 가득해 서로 어색한 조화를
보인다.

▲  남문 서쪽 성곽과 옹성의 흔적

▲  돌담처럼 낮아진 남문 동쪽 성곽


▲  남문 앞에 웅크리고 앉은 비석의 귀부(龜趺)

남문 앞에는 비석의 일부인 조그만 귀부가 누워있다. 거북 머리와 비석을 꽂던 비좌(碑座)만
남아있는데, 정작 알맹이인 빗돌이 없어 무엇을 머금던 비석이었는지는 귀신도 모른다. 아마
도 왜정 때 저 지경이 된 듯 싶은데, 교동읍성 축성/보수 관련 내용을 담은 비석으로 여겨진
다. (정답은 없음)
하지만 귀부가 좀처럼 입을 열지 않으니 아무리 여기서 답을 내놓은들, 한낱 부질없는 메아리
에 불과하다.


▲  귀부의 뒷모습
귀엽게 표현된 꼬랑지가 살랑살랑 움직이는 것 같다.

▲  풍년예감~! 남문 앞에 펼쳐진 교동평야

▲  남문 안쪽

교동읍성 남문 동쪽에는 교동부 관아터와 황룡우물,  연산군(燕山君) 유배지 등의 명소가 있
다. 나는 이들의 존재를 전혀 몰랐기 때문에 남문 주변만 둘러보고 미련 없이 교동향교로 넘
어가고 말았다.
허나 늘 변명이긴 하지만 다음이란 것이 있으니 그리 아쉽지는 않다. 어차피 서울과 가까운
곳이라 나중에 다시 인연을 지으면 된다.

* 교동읍성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577일원

▲  성문에 새겨진 남루(南樓) 글씨
성문의 성격과 이름을 말해준다.

▲  삼도(三道)~~ 문(門)이라 새겨진 글씨
여기서 삼도는 삼도통어영을 뜻한다.


▲  금지된 남문 안쪽 성벽
한때 잘나갔던 교동읍성은 이제 무너지는 것을 걱정해야 될 처지가 되었다.
읍성 보호를 위해 접근이 통제되어 있으니 절대로 성벽을 오르지 말자~

▲  교동읍성의 아련한 흔적 (화개사입구에서 남문으로 넘어가는 길목)

▲  화개사입구 정류장에서 바라본 화개산(華蓋山)의 위엄


 

♠  이 땅에서 가장 오래된 향교로 꼽히는 교동향교(喬桐鄕校)
-
인천 지방유형문화재 28호

▲  교동향교 입구에 자리한 읍내리 비석군(碑石群)

교동읍성을 둘러보고 화개산 남쪽 자락에 안긴 교동향교를 찾았다. 화개사입구 정류장에서 교
동향교와 화개사를 알리는 이정표를 따라 화개산 쪽으로 1분 정도 들어가면 오래된 비석들이
옹기종기 모인 3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길로 가면 화개산과 화개사, 오른쪽으로 가면 교
동향교이다.

3거리에 무리를 지어 둥지를 튼 이들 비석은 총 40기로 '읍내리 비석군'이란 이름으로 살아가
고 있다. 이들은 읍내리 교동양조장 앞 비석거리에 있었는데, 1970년대에 교동도의 옛 역사를
정립한다는 뜻에서 옛 교동도의 관문인 남산포길로 옮겼다가 1991년 강화군과 교동향교 유림
들이 지금의 위치로 모두 집합시켰다.

비석 대부분이 교동도를 다스린 교동부사와 삼도통어사, 방어사(防禦使)의 선정비(善政碑)와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이다. 즉 그들의 공덕을 기리는 비석인 것이다. 그들 중에 정말로 비
석이 아깝지 않을 정도로 선정을 베풀고 큰 업적을 남긴 관리도 있겠으나 공덕이 쥐뿔도 없음
에도 강제로 세우게 한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비석을 세운다는 명목으로 돈
을 뜯어가 자신의 배때기를 불린 관리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느 비석의 주인공이 과분에 넘치는 선정비를 누리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이곳의 역사를
조금씩 머금은 교동도의 소중한 일기장으로 그들을 통해 누가 언제 이곳을 다스리고 거쳐갔는
지를 귀뜀해준다.

조선 중기와 후기, 20세기 초반에 걸쳐 지어진 비석들로 그중 앞줄에 자리한 3기는 특이하게
가로로 누워있는데, 이들은 거사대(去思臺)라 불리는 비석이다.


▲  교동향교 홍살문

비석군에서 교동향교로 가다보면 향교의 정문인 홍살문이 마중을 한다. 홍살문은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차가운 모습으로 궁궐과 관아, 향교, 왕릉 입구에 주로 세우는데 문 바로 옆에는 무
조건 말에서 내리라는 뜻의 하마비(下馬碑)가 우두커니 서 있고, 그 옆에 주차장이 닦여져 있
다. 문 앞에 바리케이드 같은 것이 쳐져 있고, 차량 출입금지를 알리는 현대판 하마비가 곁에
서 있어 차를 타고 온 이들은 주차장에서 무조건 내려서 걸어가야 된다. 그러니 하마비의 '마
(馬)'만 달라졌을 뿐, 비석의 기능은 여전히 유효하다.


▲  지엄함이 여전한 하마비의 위엄

보통 하마비는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 쓰여 있으나 이곳은 '수령변장하마비(守
令邊將下馬碑)'라 쓰여 있다. 즉 수령과 변장, 그리고 그 밑은 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뜻이다.
시대가 바뀌면서 홍살문과 하마비는 거의 빈껍데기가 되었으나 이곳 하마비의 위엄은 여전하
여 그 앞에서 차를 두고 걸어가야 된다.


▲  교동향교 외경

화개산 남쪽에 터를 닦은 교동향교는 고려 중기인 1127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원래는 화
개산 북쪽 자락에 있었다고 하며, 이 땅에 지어진 최초의 향교(鄕校)로 널리 알려져 있다.

향교란 나라에서 각 고을에 세운 중등교육기관으로 조선시대에는 서당을 졸업한 학생들이 진
학하여 공부를 했다.
1286년에 유학제거(儒學提擧)로 있던 회헌 안향(晦軒 安珦)이 몽골(원나라)에 갔다가 공자(孔
子)의 초상화를 들고 귀국했는데, 배를 타고 개경(開京, 개성)으로 오다가 개경 바로 밑에 자
리한 교동도에 잠시 들려 교동향교에 그 초상화를 봉안했다고 한다. 고려 제일의 국립 교육기
관으로 지금의 서울대와 같은 국자감(國子監)까지 제치고 지역 향교에 불과한 이곳에 가장 먼
저 공자상이 봉안될 정도라면 교동향교가 당시 꽤 잘나갔던 모양이다.
그 이후 각 고을에 공자와 맹자, 최치원(崔致遠) 등 중원대륙과 신라, 고려의 주요 유교 성현
(聖賢)의 위패를 봉안한 문묘(文廟)가 설치되었다. 그러니 이 땅 최초의 향교이자 유교 성현
을 봉안한 최초의 향교란 타이틀까지 지니게 되었다. 향교 문묘는 바로 대성전으로 이때부터
교육과 제사 2가지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1741년에 지부(知府) 조호신(趙虎臣)이 읍성 북쪽인 지금의 자리로 향교를 옮겼으며, 1966년
에 수리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대성전과 명륜당, 동/서무, 동/서재, 제기고, 내삼문,
외삼문 등의 건물이 있으며, 향교 바깥에는 성전약수란 유명한 약수가 있다. 향교 건물은 모
두 18세기 이후 것들로 고려의 흔적은 싹 사라졌으며, 안향이 가져왔다는 공자 초상화도 전설
속의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지방의 중등교육을 담당하던 향교는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 서서히 교육 기능을 잃
게 되며, 오로지 제사 기능만 남아 거의 빈껍데기가 되어버렸다.


▲  계단을 늘어뜨린 교동향교 외삼문(外三門)

향교는 조선시대에 전 고을에 설치되었다. 그러다보니 옛 고을 중심지에는 꼭 향교가 남아있
기 마련이다. 허나 향교는 고리타분한 유교의 공간이라 건물의 모습도 비슷비슷하고, 볼거리
가 풍부한 절과 달리 두 눈이 호강할만한 볼거리도 별로 없으며, 향교 상당수가 속세(俗世)에
폐쇄적인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어 내부 관람도 그리 쉽지가 않다. 또한 향교의 존재감도 너무
없어 나들이/답사 수요도 별로 없는 실정이다.

허나 교동향교만큼은 사정이 180도 다르다. 처음에는 관람객도 거의 없는 썰렁한 향교를 생각
했으나 정작 와보니 글쎄 관람객들로 북적거리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관람객이 많은 향교는
난생 처음이라 생소한 풍경에 그저 어리둥절할 따름이다. 교동대교 개통으로 교동도 관광객의
발길이 늘어나 향교 또한 그 덕을 제대로 본 탓이지만 화개산, 교동읍성과 더불어 섬의 주요
명소이자 교동도를 소개하는 정보에도 교동향교가 크게 다뤄지고 있어 교동도에 왔다면 꼭 들
려야 되는 필수 명소로 등극을 했다.
또한 향교가 화개산 산길의 기점인 화개사와 매우 가깝고 교동읍성과 강화나들길이 지척에 있
어 위치도 좋다. 게다가 문화유산해설사도 머물고 있어 향교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고 있으니
교동도에 왔다면 1번 꼭 들려보도록 하자.

향교는 사방을 돌담으로 둘렀다. 남쪽에 바깥과 이어지는 외삼문을 냈는데, 문 앞에는 3줄로
이루어진 돌계단이 펼쳐져 있다. 외삼문을 이루는 3개의 문 가운데 오로지 동쪽 문만 열려있
어 그 문을 통해 향교로 들어서면 된다.


▲  교동향교 명륜당(明倫堂)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명륜당이 정면을 막고 선다. 명륜당은 공자왈~맹자왈~! 공부를 하던
교육 공간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교육 기능은 이제 없어졌으니 명륜
당 또한 한가로운 신세가 되어 섬돌에 신발이 가득했던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 한다.

명륜당 좌우에는 향교 학생들의 숙소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 다른 향교와 달리 특이하게도 '
ㄱ' 모양을 하고 있는데, 동재는 향교 사무실로 쓰이고 있으며, 툇마루가 서재보다 넓어 잠시
쉬어가기에 좋다. 동재 옆에는 방을 따스하게 보듬던 온돌 연기를 내뿜으며 하늘을 긴장시키
던 굴뚝이 서 있는데, 그를 손질하면서 너무 시멘트로 떡칠을 한 점이 다소 아쉽다.

▲  서재(西齋)

▲  동재(東齋)

▲  무늬만 남은 동재 굴뚝

▲  굳게 닫힌 내삼문(內三門)


▲  명륜당 뒷쪽에 비뚤게 자리한 노룡암(老龍巖)

명륜당 뒷쪽에는 노룡암이라 불리는 조그만 돌덩어리가 기울어진 모습으로 서있다. 그의 피부
를 가만히 살펴보면 조그만 글씨들이 깨알같이 새겨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원래 축대에 쓰
인 돌로 교동고을 동헌터에 있던 것을 가져온 것이다. 돌의 상태상 반듯하게 세우기가 애매하
여 저리 비뚤어진 모습으로 세운 것 같다. 어차피 이 나라도 단단히 비뚤어져있으니 돌 하나
비뚤어지게 세운다고 문제될 것은 없다. 글씨만 알아보면 되니까 말이다.

노룡암은 교동고을 관아인 동헌(東軒) 북쪽 뜨락 층계 밑에 있었다. 그러니까 뜨락 석축의 일
원으로 있던 것이다. 층계 위에는 나무들이 우거져 있었는데, 그중 오래된 소나무가 있고, 그
밑에 축대가 있었다. 1717년에 충무공 이순신의 5대손인 충민공(忠愍公) 이봉상(李鳳祥, 1676
~1728)이 그 축대에 늙은 용의 바위란 뜻에 '노룡암' 3자를 새겼는데, 1773년에 이봉상의 손
자인 이달해(李達海)가 이를 기리고자 석축 밑에 글을 새겼다.
1820년 통어사 이규서(李奎書)가 '호거암장군쇄풍(虎距巖將軍灑風)' 7자를 새겼는데, 이는 '
호거암장군이 풍기를 깨끗히 했다'는 뜻이며, 여기서 호거암장군은 이봉상이다. 1831년 봄에
석대로 쌓아있던 것을 1987년 교동향교로 옮겼다.

노룡암 뒷쪽 높은 곳에는 담장을 두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으로 가려면 내삼문을 거쳐야 되
는데, 내삼문은 향사일(享祀日) 외에는 좀처럼 열리지 않으므로 제기고로 우회해서 들어가면
된다. 제기고는 말그대로 제사 도구를 간직한 창고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
다.


▲  제사 도구를 보관하는 제기고(祭器庫)

▲  향교의 중심, 대성전(大成殿)

향교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향교의 중심 건물인 대성전이 자리해 있다. 남쪽을 바라보
고 있는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동이족 출신인 문선왕(文宣王) 공자
를 비롯해 증자(曾子), 안자(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등 초기 유교를 정립한 5명이 봉
안되어 있다.
청록색 피부를 지닌 대성전 문은 굳게 닫혀 있는데, 그 안에는 공자 등 5인의 위패와 위패를
간직한 상(床), 제사 도구 등이 들어있다. 그 앞뜨락 좌우에는 설총(薛聰)과 최치원, 정몽주,
이이(李珥) 등 신라와 고려, 조선의 유학자 20인을 봉안한 동무(東憮)와 서무(西憮)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이들은 대성전의 보조 공간이다보니 대성전보다 볼품이 많이 떨어진다.

▲  한쪽 문이 열린 서무

▲  동무 (그 옆에 제기고와 명륜당으로
내려가는 문이 있다)


▲  향교 서쪽에 있는 성전약수(成殿藥水)

교동향교에 왔다면 꼭 맛봐야 되는 존재가 있다. 바로 대성전 서쪽 담너머에 있는 성전약수이
다. 이 땅에 많은 향교를 가보았지만 무려 약수터까지 갖춘 향교는 이곳이 처음이다.

성전약수는 교동도 제일의 약수로 위장병과 피부병, 아토피에 효험이 있다고 전한다. 게다가
향교 유생들이 이 약수 덕분에 과거에 많이 붙고 문성(文成)을 이룬 이가 많았다고 한다. 허
나 물은 평범한 맛을 지닌 약수로 특별한 것은 없으며, 과연 효험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향
교를 수식하는 오랜 명물이자 꿀단지로 섬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대성전 밑에서 물이 발
원하여 성전약수라 불리니 그야말로 향교 스타일의 약수터 이름이다.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148 (교동남로 229-49 ☎ 032-932-9457)
* 향교 관리소에 문화유산해설사가 있다. 근무시간은 9~18시(겨울은 17시)로 휴일에는 향교에
  늘 머물러 있으며, 아침 시간과 오후 늦은 시간, 그리고 평일에 왔을 경우 관리소를 찾거나
  위의 연락처로 연락을 하면 향교 해설을 들을 수 있다.


▲  가늘게 쏟아지는 성전약수

▲  향교에 왠 하트 모양이??
성전약수 주변에 돌을 모아서 쌓은 하트 모양의 조형물이 있다. 사랑이란 말을
꺼내면 당장이라도 회초리를 1대 맞을 것 같은 그런 공간에서 이런 뜻밖에
존재를 보게 될 줄이야..? 속세를 향한 교동향교의 수줍은 마음은 아닐까?

▲  서쪽에서 바라본 교동향교
향교 서쪽에는 성전약수와 화장실, 관리소, 화개사로 통하는 숲길이 있다.


 

♠  화개산 남쪽에 포근히 둥지를 튼 조그만 산사
교동도 화개사(華蓋寺)

▲  교동향교에서 화개사로 이어지는 숲길 (교동다을새길)

교동향교 서쪽에는 화개사로 통하는 울창한 숲길이 있다. 이 숲길은 도보길 유행에 따라 강화
군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강화나들길의 일원인 강화나들길 9코스(교동다을새길)의 일원이다.

교동도에는 강화나들길 9코스와 10코스 등 2개의 길이 닦여져 있는데, 9코스는 월선포에서 교
동향교~화개사~화개산 정상~석천당~대룡시장~남산포~교동읍성~동진포를 거쳐 다시 월선포로
돌아오는 16km의 코스로 화개산 주변을 1바퀴 돈다. 그리고 강화나들길 10코스(교동도 머르메
가는길)는 대룡리에서 난정저수지~수정산~금정굴~애기봉~죽산포~머르메~양갑리마을회관~미곡
처리장을 경유하여 대룡리로 돌아오는 17.2km의 코스로 교동도 서쪽을 돈다. 이들은 교동도의
명물만 골라서 짜놓은 알짜배기 탐방로라 나중에 꼭 거닐고 싶다.

교동향교에서 화개사로 가는 숲길은 선녀(仙女) 누님이 튀어나와도 이상할 것이 없는 그림 같
은 흙길이다. 나무가 촘촘해 제아무리 뜨거운 햇살도 이곳만큼은 어림도 없다. 그 길을 2분
정도 가면 화개사로 오르는 포장길이 나타나며, 여기서 오르막길을 6분 오르면 교동도에서 가
장 오래된 절인 화개사가 빼꼼 모습을 비춘다.


▲  교동향교~화개사 숲길 (교동다을새길)

▲  조촐한 화개사 경내 (눈에 보이는 것이 거의 전부임)

화개산 남쪽 자락에 자리한 화개사는 숲에 감싸인 조그만 산사(山寺)이다. 서울 조계사(曹溪
寺)의 말사(末寺)로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화개산 산신도 모를 정도이나 고려 후기에 목은 이
색(牧隱 李穡, 1328~1396)이 이곳에서 독서를 했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나와있어 고려 때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신진사대부의 핵심인 이색이 찾았을 정도라면 지
금과는 달리 제법 이름이 있던 절임이 분명하다.

조선 후기까지 딱히 전해오는 사적(事蹟)은 없으나 1690년대에 이형상(李衡祥)이 지은 '강도
지(江都誌)'에 절 이름이 나와있고,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이 쓴 가람고(伽藍考)에 화정
사(火鼎寺)라는 이름으로 나와있어, 조선 중/후기에도 그런데로 법등(法燈)을 유지했던 모양
이다.
왜정 때는 전등사(傳燈寺)의 말사가 되었으며, 1915년 절이 붕괴된 것을 1928년에 정운(晶雲)
이 중건했다. 1937년 이후 재정 문제로 문을 닫은 적이 있었고, 1967년 화재로 무너진 것을
이듬해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법당인 대웅전과 요사(寮舍) 등 4~5동의 건물이 있으며, 근래에 다시 지어진 탓에
고색의 내음은 진작에 말라버렸다. 지정문화재는 하나도 없으나 조선시대 승탑 1기가 있고,
200년 묵은 장대한 소나무가 서 있어 절의 오랜 내력을 조금이나마 속삭여준다.

화개산으로 오르는 기점의 하나로 강화나들길 9코스가 이곳을 지나가며, 정상까진 넉넉잡아
30분 정도 걸린다. 산 중턱에 위치하여 서해바다와 석모도가 바라보이며, '절간같다'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고적한 산사의 멋을 누릴 수 있다.


▲  화개사 승탑(僧塔)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초췌한 모습의 승탑(부도탑) 하나가 마중을 한다. 겉으로 보이는
모습은 무척 초라해 그냥 지나치기 쉽지만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로 겉모습과 달리 무척
값비싼 존재이다. 그러니 꼭 살펴보고 가자.
이 승탑은 언제 지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탑의 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 것으로 여겨지며
, 동그란 탑신(塔身)과 지붕돌, 두툼히 솟은 머리장식이 전부인 간결한 모습이다. 탑 밑에는
돌과 흙으로 대충 네모나게 바닥돌을 닦았는데, 근래 닦여진 것이라 아마도 제자리는 아닌 듯
싶다.


▲  화개사에서 바라본 서해바다와 석모도

▲  대웅전 앞에 서 있는 소나무 - 강화군 보호수 4-9-73호

근래 지어진 여염집 모습의 대웅전 앞에는 자태가 아름다운 소나무가 웅장하게 서있다. 나이
가 약 210년 정도로 높이 14m, 둘레 1.6m의 휼륭한 덩치를 지녔는데 나무가 드리운 시원한 그
늘이 조그만 경내를 거의 커버하고 있어 휼륭한 정자나무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의 그늘 앞
에서는 여름 제국도 슬쩍 비켜간다.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489-1 (교동남로 229-9, ☎ 032-932-4140)


▲  문무정(文武井)터

화개사를 둘러보고 정상으로 인도하는 산길을 조금 오르면 문무정터가 나온다. 지금이야 외마
디 전설이 되어 바람결에 사라졌지만 이곳에는 원래 동쪽에 문정(文井), 서쪽에 무정(武井)
등 2개의 샘물이 있었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 이야기에 따르면 문정에 물이 많으면 문관(文官)이 많이 배출되고, 무정에 물
이 많으면 무관(武官)이 많이 배출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샘물의 물빛이 바다 건너
송가도(석모도 북부)까지 비추었는데, 이상하게도 그곳 부녀자들의 풍기가 문란해졌다고 한다
.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절치부심하던 중, 노승(老僧)이 알려준 방법에 따라 소금으로 우물
을 메우니 비로소 진정이 되었다고 한다.
송가도 사람들은 그 노승이 너무 고마워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냈는데, 현재는 남아있지 않으
며, 우물은 나중에 하나로 합쳐졌다가 메워졌다. 이후 교동도에서 문관과 무관 배출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한다. 과연 문무정이 교동도 사람들의 문/무과 급제에 크게 영향을 주었는지는
확인할 길은 없으나 앞서 교동향교 성전약수와 더불어 이곳 사람들이 입신양명을 기원하고 이
를 상징하던 곳으로 보면 될 듯 싶다.


▲  정상을 향한 열망 ~ 화개산 산길 (문무정 이후)

▲  돌로 수북한 화개산 돌너덜길

섬 사람들의 출세 욕심이 담긴 문무정을 지나 화개산 정상으로 향했다. 자연이 닦아놓은 느긋
한 산길이 계속 이어져 그리 힘들지는 않는데, 삼삼하게 우거진 나무 사이로 서해바다와 석모
도 등의 섬이 바라보인다.
분량상 본글은 여기서 끝. 화개산 부분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6월 1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북한 개성 땅이 아련히 바라보이는 강화도의 북녘을 거닐다 ~~~ (연미정, 월곶돈대, 강화나들길, 강화평화전망대, 예성강)

 


' 강화도 늦겨울 나들이 '
(북한 땅이 바라보이는 연미정, 강화 평화전망대)

▲  강화 연미정

▲  월곶돈대

▲  강화평화전망대 망배단


 


강추위를 앞세우며 천하를 꽁꽁 얼리던 무심한 겨울 제국, 그 제국의 유일한 꿀연휴인 설날이 다가왔다.

이번 연휴는 다행히도 제국(帝國)의 기운이 다소 누그러들어 길을 떠나기에는 좋았다.
여 처음에는 경기도 동부로 가려고 했으나 갑자기 강화도 연미정이 격하게 땡겨 서쪽으로
쿨하게 방향을 돌렸다.

연미정은 강화도(江華島) 동북쪽 끝에 매달린 오랜 명소로 금지된 바다 너머로 역시나 금
지된 땅 북한이 바라보인다. 참으로 순진했던 어린 시절에는 내가 장성할 때쯤 되면 반드
시 통일이 될거라 기대를 했었지. 허나 시간이 흐를수록 통일은 커녕 점점 절망적으로 변
해간다. 분단이 된지 벌써 70년이 넘었건만 이 상태로는 서울과 가까운 개성(開城)DMZ
에 갇혀 고통받고 있는 철원의 후고구려(後高句麗) 도성도 어림 없을 것이다.
그러니 비록 간의 기별도 가지 않겠지만 북녘이 바라보이는 전방을 찾아 멀리서나마 그곳
을 바라보는 수 밖에는 도리가 없다. 그것이 이 땅의 개같은 현실이다.

아침 일찍 합정역에서 친한 후배를 만나 김포좌석버스 3000(강화터미널신촌로터리)
잡아탔다. 이 노선은 강화도의 오랜 발로 강화도가 연륙되기 이전부터 시외직행버스로 운
행해 왔으나 2010년 봄에 좌석(광역)버스로 전환되어 보다 저렴하게 강화도를 찾을 수 있
게 되었다.
허나 설날 연휴를 맞이하여 강화도를 찾는 나들이 수요가 폭증하여 마송(통진)부터 강화
읍내까지 허벌나게 막힌다. 인간의 이기(利己)4발 차량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기어
가기를 반복, 강화도와 한반도를 이어주는 강화해협(江華海峽)을 겨우 건너 강화도의 관
문인 강화터미널에 도착했다.

터미널에 이르러 연미정으로 가는 군내버스를 찾았으나 그는 간발의 차이로 이미 떠나고
없는 상태, 교통체증으로 일정이 벌써부터 틀어져 버렸다. 하여 잠시 멘붕(혼란)에 빠졌
으나 곧 극복하고 마침 점심 때라 밥을 먼저 먹기로 했다.
그래서 읍내로 들어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강화군청에서 내려 예전에 갔던 밥집을 찾았다.
허나 그 밥집은 설날 연휴를 이유로 빗장을 닫아 걸은 상태였다. 그래서 다시 멘붕된 마
음을 부여잡으며 부근에 적당한 집을 찾다가 군청 서쪽에 '흥부네집'이란 고기집이 장사
를 하고 있어 꿩 대신 닭을 고를 여유도 없이 그곳에 들어가 불고기버섯전골을 먹었다.


▲  잘 차려져 나온 불고기버섯전골과 반찬들

▲  밥도둑, 불고기버섯전골의 위엄

전골을 주문하니 김치와 멸치볶음, 게장 등으로 이루어진 밑반찬 7가지가 차려진다.
다음 불고기버섯전골이 나타나 푹푹 끓여대니 보글보글 익으면서 멋지게 숙성이 되었다.
전골에는 소고기, 당면, 여러 채소들이 육수에 버무려져 있는데 한참 시장한 상태라 목
구멍에 제멋대로 들어갈 정도로 퍼먹었고 밥도 무려 2공기나 먹었다. 그야말로 밥 도둑
이 따로 없다.

그렇게 기분 좋게 점심을 먹고 후식 커피를 뽑아 먹으며 밖으로 나왔다. 오늘 계획대로
연미정을 가야되나? 아니면 다른 데로 갈까? 궁리하다가 후배가 북한 땅이 보고 싶다며
택시를 타고 연미정에 가자고 그런다. 아무리 세상에 관심이 없고 지리, 역사와 철저히
담을 쌓은 후배지만 역시나 이 땅의 어쩔 수 없는 백성인가 보다.
하여 거리에서 놀고 있는 택시를 붙잡아 강화읍내 북쪽을 가로지르며 연미정으로 이동했
. 소요시간은 약 10분 정도. 그곳에 이르니 인적이 별로 없을 것 같은 예상을 뒤엎고
나들이객들이 제법 있었다.


 

♠  연미정을 품으며 강화해협을 지키는 조선 후기 해안 요새
월곶돈대(月串墩臺) - 사적 452호(강화외성)

▲  월곶돈대 조해루(朝海樓)

강화도의 동북쪽 끝으머리인 월곶리(月串里) 해변에 연미정을 품은 월곶돈대가 의연한 모습으
로 자리해 있다.
이곳은 강화해협과 한강(아리수)이 만나는 요충지로 동쪽 강화해협 너머로는 김포 문수산(
殊山), 북쪽 바다 너머로는 금지된 땅으로 묶인 개성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월곶돈대는 강화외성(江華外城)의 일원으로 17세기 이후에 축성되었다. 그렇다면 강화외성의
정체는 무엇일까?
때는 13세기의 한복판, 사기급의 전투력으로 주변 나라를 닥치는데로 때려잡던 깡패 나라,
()가 고려를 잡고자 1232년부터 7차례가 넘게 공격을 해왔다. 당시 고려 조정을 주름잡던
최씨정권의 2대 실력자 최우<崔瑀, 최이(崔怡)>1233년 개경(開京)을 버리고 강화도로 도읍
을 옮겨 강도(江都)로 삼았는데, 그해부터 강화도 방어를 위해 백성을 동원해 내성(內城,
재 강화읍성)과 중성(中城)을 쌓고 강화해협에 23km의 긴 외성을 방패로 둘렀다. 외성은 적북
돈대에서 월곶리, 갑곶, 광성보를 거쳐 초지진까지 이어지며 흙으로 쌓았다. 허나 몽고에 두
손을 들던 1270년 이후 모두 버려져 앉은뱅이가 되고 만다.

조선 15대 군주 광해군(光海君)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강화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다.
1618년 버려진 외성을 흙으로 다시 일으켜 세웠다. 허나 병자호란(1636~1637)으로 강화도
가 청나라에게 털리자 외성 상당수가 손상을 입었고 숙종(肅宗) 시절에 돌을 이용해 다시 쌓
았다. 이때 곳곳에 돈대(墩臺)를 설치하니, 월곶돈대도 바로 그때 탄생했다.
영조(英祖) 때 강화유수 김시혁(金始爀)은 비가 오면 성의 흙이 흘러내린다고 건의하여 1743
년부터 1년 동안 벽돌을 이용해 다시 손질했다.

강화외성은 문루(門樓) 6, 암문(暗門) 6, 수문(水門) 17개를 두었으며, 외성 뿐만 아니라
강화도 해변에 5개의 진, 7개의 보, 53개의 돈대를 빼곡히 설치해 섬 전체를 그야말로 요새화
하였다. 이중 돈대는 진, 보를 돕는 조그만 요새로 20명 정도의 병력이 머물렀다.

월곶돈대는 연미정 주변에 동그렇게 성을 두룬 형태로 이곳에 올라서면 한강과 강화해협,
성 남쪽 해변, 김포 문수산, 유도 등이 바라보여 여기가 보통 자리가 아님을 귀띔해준다.
리고 남쪽 해변으로 성을 내려뜨리며 조해루란 성문을 두었는데, 그가 강화외성의 주요 문루
이다.
허나 구한말 이후 강화도의 요새들은 방어의 성격이 상실되어 버려지게 되었고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 속에 조해루는 사라졌다. 겨우 연미정을 품은 돈대 중심부만 남아있었으나 그마저
도 북한 땅이 바라보이는 예민한 위치로 인해 오랫동안 통제구역으로 묶여있었다.
이미 호랑이가 담배를 피다 암 걸리던 시절이 되버린 2006, 그런 사실도 모르고 이곳을 찾
은 적이 있었는데 연미정을 만나려면 최소 1주 전에 관할 군부대를 찾아가 출입허가를 받아야
했다. 그만큼 까다로운 곳이었다. 그러다가 2008년 금지된 땅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되었고, 쓰러진 조해루를 복원해 지금에 이른다.
현재 강화외성은 국가 사적 452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월곶돈대는 그 일원으로 묶여 사적의 지
위를 누리고 있다. 또한 강화도의 야심작 강화나들길 1코스인 '심도(沁都) 역사문화길(강화터
미널~연미정~갑곶돈대, 18km)'이 이곳을 지나간다. 여기서 심도란 강화도의 고려 때 이름이다.


▲  밑에서 바라본 월곶돈대와 조해루를 잇는 성곽
(중간에 보이는 비석이 황형장군 택지비)


조해루는 월곶돈대의 성문이다. 닫혀진 문을 나서면 바로 파도가 일렁이는 강화해협인데 바다
를 통해 들어오는 적을 막고자 바닷가에 성문을 둔 것이다.
장대한 세월이 감쪽같이 훔쳐갔던 조해루는 2011년 말에 복원되었으며 성문과 문루, 남쪽 성
벽 일부가 다시 지어졌다. 문루를 포함한 전체 높이는 13m, 면적 45.56로 문루를 감싸고 있
는 여장은 이곳에서 나온 오래된 성돌을 주로 사용했으나 성문과 남쪽 성벽은 새 성돌로 꾸며
져 서로 어색한 세월의 조화를 이룬다. 원래는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성벽이 이어져야 되지만
아직 그럴 여건까지는 되지 못한다.


▲  윗쪽에서 바라본 조해루와 월곶리

▲  장무공 황형장군 택지비(莊武公 黃衡將軍 宅地碑)

월곶돈대를 오르다보면 때깔이 좋은 비석 하나가 발길을 잡는다. 바로 이곳에서 말년을 보냈
던 장무공 황형장군의 택지비이다.

황형(1459~1520)은 창원황씨로 자는 언평(彦平)이다. 1480년 무과(武科)와 진현시(進賢試)
급제, 상서원(尙瑞院) 판관이 되어 내승(內乘)을 겸임했으며, 1486년 무과중시에 장원해 함경
도 혜산진(惠山鎭) 첨절제사(僉節制使)가 되었다.
15104, 부산포(釜山浦)와 제포(薺浦, 진해), 염포(鹽浦, 울산 염포)에 거주하던 왜인들
이 조선 조정에 불만을 품고 조선의 속방인 대마도(對馬島) 세력과 연합해 폭동을 일으킨 삼
포왜란(三浦倭亂)이 터지자 전라좌도 방어사(防禦使)가 되어 제포의 왜인을 때려잡았다. (
마도까지 쫓아가서 정벌했다는 이야기도 있음) 그 공으로 경상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되었으며, 왕이 연미정 일대를 하사했다.

1512년 두만강 건너의 여진족이 조선에 거역하며 소란을 피우자 순변사(巡邊使)가 되어 그들
을 정벌했고, 이어 평안도와 함경도 병마절도사로 북녘 변방을 지키다가 공조판서(工曹判書)
를 끝으로 관직에서 사퇴, 연미정이 있던 이곳에 자리를 잡고 말년을 보냈다.
1520년 그가 숨을 거두자 중종(中宗)은 크게 애통해하며 '장무공'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연미
정 주변 3만 평의 땅을 그의 자손들에게 하사했다. 그의 묘는 서남쪽으로 1.5km 떨어진 학무
산 자락에 있으며, 장무사(莊武祠)에 배향되어 매년 음력 101일 자정, 제향을 올리고 있다.

연미정 주변에는 대나무가 있었는데, 황형이 왜구를 토벌하고 돌아올 때 가져 손수 가져와 심
은 것이라고 전한다. (안내문에는 대마도를 정벌하고 돌아올 때 가져왔다고 나옴) 또한 그는
소나무도 잔뜩 심었는데 임진왜란 때 그 나무로 수군 함선을 만들기도 했으며, 1597년 정유재
란이 터지자 선조(宣祖)가 잠시 이곳에 온 적이 있었는데, 소나무를 이용해 성책과 집을 만들
어 사람들은 황형의 선견지명에 감탄했다고 전한다. 미래를 대비하여 나무를 심은 것인지 아
니면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  월곶돈대 남쪽 성벽에서 바라본 강화해협과 김포 문수산

강화도는 북한과 겨우 짧은 해협을 사이에 둔 가까운 곳이라 해변에는 철조망이 휴전선마냥
길게 둘러져 있다. 남북분단이 선사한 강화외성의 현대판 버전이라고나 할까? 어서 이 땅이
통일이 되어 옥의 티 같은 저 산물을 싹 걷어냈으면 좋겠다.


▲  연미정을 품은 월곶돈대

▲  월곶돈대 암문(暗門)
돈대로 인도하는 유일한 문이다.

▲  월곶돈대 암문 안쪽
암문 바깥쪽은 동그란 홍예로, 안쪽은
네모나게 문을 지었다.


 

♠ 강화10경의 하나로 오랫동안 찬양을 받았던 경승지이자 월곶돈대의 얼굴
연미정(燕尾亭) - 인천 지방유형문화재 24호

월곶돈대 정상에는 이곳의 얼굴이자 나를 여기로 소환한 연미정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은
한강과 강화해협이 쿨하게 만나는 현장으로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 한 줄기는 바로 서해로,
른 줄기는 강화해협을 이루며 남쪽으로 흐르니 그 모습이 마치 제비 꼬리와 같다하여 연미정
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연미정은 언제 지어졌는지는 귀신도 모르나 고려 23대 군주인 고종(高宗)이 구재(九齋)의 학
생들을 여기에 모아놓고 공부를 시켰다는 기록이 있어 적어도 고려 중기에 뿌리를 내린 것으
로 짐작된다.
이후 폐허가 된 것을 조선 중종이 다시 지어 황형에게 하사했다고 전하며, 황형은 이 일대에
집을 짓고 말년을 보냈다. 그 인연으로 현재 연미정은 그의 후손들이 소유하고 있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후금()이 조선의 외교 정책에 격하게 불만을 품으며 압록강
을 건너 황해도까지 침공하자 이에 염통이 쫄깃해진 조선은 급하게 강화를 요구했다. 그래서
바로 이곳 연미정에서 후금과 강화조약을 맺었다. 이후 병자호란(1636~1637) 때 후금(後金)
서 청()으로 나라 간판을 바꾼 청나라군이 강화도를 점령하면서 정자 상당수가 파손되었다.

1744년 강화유수 김시혁이 월곶돈대를 손질하면서 연미정을 다시 일으켜 세웠고, 1891년 조동
(趙東冕)이 다시 중수했으며, 1931년 유군성(劉君星)이 보수했다. 허나 6.25전쟁으로 서남
쪽 모서리 기둥이 세 동강이 나는 등, 무거운 상처를 입은 것을 중수했으며 이때 세 동강 난
기둥은 붙여서 다시 세웠다.
1976년 강화도 국방유적을 복원하면서 현재와 같이 재생되었는데, 처음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좋아하던 베이지색으로 기둥을 떡칠했으나 이후 색을 제거해 자연스런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서남쪽을 바라보고 선 연미정은 정면 3,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겹처마로 10개의 기둥을 돌기
둥 위에 얹힌 민도리집이다. 월곶돈대 꼭대기에 서 있어 자연히 장대(將臺)의 역할을 했으며,
정자 뒷쪽에는 500년 묵은 느티나무 2그루가 병풍을 이루고 있다.

지금이야 앞바다가 금지된 바다로 묶여 오가는 배도 없는 실정이지만, 구한말까지만 해도 서
해바다에서 서울로 들어가는 배는 연미정 밑에서 만조를 기다렸다가 한강으로 들어갔다. 그러
니 해상무역이 활발했던 고려와 상업이 한참 성장하던 조선 후기, 연미정 주변은 대단했을 것
이다. 특히 썰물 때 물이 빠져나가는 흐름이 보일 정도로 물살이 세기로 유명하며 여기서 즐
기는 달맞이는 강화10경의 하나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그토록 아름다운 곳이건만 남북분단이라는 가혹한 시련이 그 모든 것을 앗아가 버렸고, 그마
저도 철저히 금지된 곳으로 묶여 오랫동안 외롭게 남아있다가 2008년에 비로소 해방되어 자유
롭게 오갈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달맞이도 가능해졌다. 하지만 주변 해변은 여전히 금
지된 곳으로 묶여 있어 출입이 어렵다. 이 땅이 통일되는 그때 나머지도 그 빗장이 열릴 것이
.


▲  연미정과 오래된 느티나무 2그루

연미정 뒷쪽에는 겨울 제국에서 영혼까지 털린 오래된 느티나무 2그루가 있다. 이들은 약 510
년 묵은 것들로 2000년에 강화군 보호수 4-9-58호, 4-9-59호로 지정되었다.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추정 나이가 500)
그들은 높이 약 22m, 둘레 4.5m4.2m로 그 장대한 나이를 거슬러 가면 황형이 이곳에 머물
던 시절과 거의 비슷하다. 그러니 그가 심었던 나무가 아닐까 싶다. 연미정과 월곶돈대를 쭉
지켜온 살아있는 증인으로 연미정의 풍치를 더욱 살찌워주는 역할도 했다. 비록 겨울이라 감
흥은 덜해도 늦봄이나 여름, 늦가을에 왔다면 한층 아름다웠을 것이다.

▲  연미정의 뒷모습

▲  연미정 현판의 위엄


▲  연미정 부근의 조그만 비석
비석 피부에는 '고 공신 장무공 황형 택(故 功臣 莊武公 黃衡宅)' 이라 쓰여 있다.
즉 황형이 이곳에 살던 것을 기리고자 후손들이 세운 비석이다.

▲  연미정 부근에 놓인 주춧돌 3개
옛 연미정의 주춧돌이 아닐까 싶다. 지금은 받쳐들 존재를 상실한 채
막연히 하늘을 이고 있다.


▲  고적한 월곶돈대 내부 (연미정 남쪽)

▲  북한을 향하고 있는 월곶돈대 (연미정 동북쪽)

▲  월곶돈대 서북쪽과 월곶리 해변

▲  텅 비어있는 월곶돈대 포대
옛날에는 대포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그의 빈 자리만 허전하게 남아있다.

▲  월곶돈대에서 바라본 김포 문수산
강화해협 너머로 보이는 곳은 다행히도 출입이 가능한 김포 지역이다.

▲  월곶돈대에서 바라본 한강과 유도(留島, 가운데 섬)

안개로 흐릿한 한강에 조촐하게 떠있는 섬이 유도이다. 오랫동안 민통선에 묶인 금지된 섬으
로 옛날에 섬이 떠내려오다가 여기에 머물렀다고 해서 머무루섬이라 불렸다.
남북분단으로 인간의 발길이 끊긴 그곳에는 저어새를 비롯한 철새와 야생 동식물이 살아가고
있으며, 2008년 야생동식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월곶돈대에서 바라본 바다와 북한 개성 땅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바다 안개가 아주 극성이었다. 그래서 시야는 절망 수준, 그렇게 보고
싶었던 북한 땅은 한 치도 보이질 않는다. 날씨가 좋아야 바다 너머 지역이 바라보이는데 이
땅에 내려진 저주, 남북분단의 아픔을 애써 지우고 싶었는지 하늘이 안개로 바다 너머 땅을
잠시 지운 모양이다.
차라리 저 너머는 그냥 망망대해였으면 좋으련만 그러면 아쉽지나 않지. 문제는 그 너머가 금
지된 땅이라는 것. 요즘은 달나라는 물론 우주도 가는 세상이라는데, 저 너머 땅은 그 우주보
다도 가기가 힘들다.


▲  월곶돈대에서 바라본 월곶리 검문소와 월곶리 지역
월곶리 검문소는 신분증이 없으면 통과하기 힘든 전방의 까다로운 검문소 중
하나이다. 그러니 저곳을 지날 때는 꼭 신분증을 지참해야 뒷탈이 없다.


※ 연미정, 월곶돈대 찾아가기 (2018년 6월 기준)
강화읍(강화터미널)까지
* 신촌로터리(2호선 신촌역 1번 출구), 홍대입구역(2호선/경의중앙선/공항전철) 중앙차로 정
  류장, 합정역(2/6호선)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3000번 좌석버스를 타고 강화터미널 하차
* 5호선 송정역(1,4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88, 3000번을 타고 강화터미널 하차
* 부평역(서울1호선/인천1호선) 정류장, 부평구청역(서울7호선/인천1호선, 1번 출구 밖),
  1호선 경인교대입구역(1번 출구)에서 김포 90번 이용
* 인천2호선 마전역(1번 출구)에서 70, 700-1, 90번 이용
* 3호선 백석역(4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96번 이용

현지교통
* 강화터미널에서 강화군내버스 10번을 타고 연미정 하차 (113회 운행)
승용차 (연미정 밑에 주차장 있음)
* 서울 -> 김포한강로/강화 방면 48번 국도 -> 통진 -> 강화대교 -> 강화읍 수협4거리에서 우
  회전 -> 연미정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242


 

♠  남북분단이 빚은 서글픈 산물, 강화평화전망대(제적봉 평화전망대)

▲  강화도 최북단에 자리한 강화평화전망대

연미정을 둘러보니 어느덧 14시가 넘었다. 어디로 갈까 궁리하다가 그렇게 소원하던 북한 땅
을 하늘의 방해로 살피지 못한 아쉬움이 컸던지 강화평화전망대가 머리 속에 떠오른다. 그래
서 그곳을 가기로 했지. 허나 군내버스로 가려면 강화읍내에서 강제 환승을 해야 되고 더군다
나 연미정은 버스가 별로 없어 가기가 좀 우울하다. 그래서 후배의 쿨한 지원에 힘입어 택시
를 소환하여 가기로 했다.

연미정 주차장에 있는 콜택시 번호로 택시를 부르니 10분 뒤 택시가 나타나 입을 벌린다.
것을 잡아타고 강화도의 북쪽 들판을 신나게 가로질러 당산리검문소에 이른다. 당산리(堂山里
)와 평화전망대가 있는 철산리는 엄연한 민통선 구역이라 검문이 좀 까다로우며 반드시 신분
증이 있어야 출입이 가능하다. (신분증만 있으면 통과됨)
설연휴로 통일전망대를 찾은 차량의 행렬이 길게 꼬리를 물고 있었는데 우리 차례가 되자 택
시 운전사는 동네 사람을 태우고 간다며 군인에게 말을 건넸다. 그랬더니 군인은 검문도 하지
않고 쿨하게 통과시켜주었다. 일반 차량은 신분증 검사를 철저히 하지만 택시는 지역 사람들
을 주로 태우고 다니는지라 그렇게 해주는 모양이다. 어쨌든 신선한 충격을 간직하며 당산리
와 철산리를 지나 강화평화전망대 주차장에 도착했다. 택시 요금은 16천원 정도 나왔다.


▲  강화평화전망대 입구 (왼쪽이 평화전망대, 오른쪽은 인화리,
교동도 방면)

▲  강화평화전망대의 옆모습

강화도 최북단인 제적봉(制赤峰) 정상에 강화제적봉 평화전망대(강화평화전망대)가 웅크리고
있다. 제적봉이란 '붉은 것을 제압한다'는 뜻으로 여기서 붉은 것은 북한을 일컫는다.

원래 제적봉은 김포(金浦) 애기봉에게 씌우려던 반공 스타일의 봉우리 이름이었다. 1966년 공
정식 제6대 해병대사령관이 그렇게 하려고 했으나 때마침 박정희 전대통령이 애기봉을 방문해
그곳에 서린 애기 전설을 전해듣고는 애기봉으로 할 것을 지시하여 그 이름을 지키게 되었다.
그래서 강화와 김포 지역 전방의 여러 봉우리를 상대로 제적봉 후보감을 물색하다가 해병대가
있는 철산리 언덕을 제적봉으로 삼았다. 이를 기리고자 그의 측근인 김종필이 '제적봉' 비석
글씨를 남기며 명명식(命名式)을 거행했다.

이후 40여 년 뒤, 제적봉에 강화평화전망대를 지어 200895일 문을 열었다. 그 역시 북
한 이 바라보이는 적당한 곳에 세우는 통일전망대의 일종으로 가장 최근에 지어진 통일전망대
이다. 허나 아무리 그런 전망대에서 통일을 염원하며 북녘을 뚫어지라 바라본들, 그림의 떡이
. 분단의 한은 더해가기만 한다. 이건 어찌된 것이 통일은 커녕 분단만 더욱 고착화되고 있
으니 말이다. 그러니 남북분단이 빚은 서글픈 산물이라고나 할까? 그리 유쾌한 현장은 아니다.

여기는 다른 전망대와 달리 바다를 앞에 두고 있고<고성(高城) 통일전망대는 바다를 옆에 끼
고 있음>, 그 바다 너머로 북녘을 바라볼 수 있는데 북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바로 가까이
에서 구경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강조한다. 여기서 북한 땅까지 불과 2.3km에 불과하기 때문
이다. 그래서 실제로 바다 너머 그들의 모습이 간간히 보인다. 국경을 지키는 군인, 농사를
짓는 마을 사람들, 학교에 가는 학생 등, 허나 그것도 날씨가 좋고 운이 좋아야 보이는 것이
지 보통은 보기 힘들다.

바다 너머 지역은 황해북도 개성 지역으로 날씨가 좋으면 예성강(禮成江) 포구도 시야에 잡힌
. 허나 우리가 갔을 당시는 안개가 지독해 북한 땅은 아주 흐릿하게 시야에 잡혔다. 그래서
전망대에 전시된 북녘 촬영 사진으로 그 아쉬움을 대신할 수 밖에 없었다.

전망대의 규모는 지하 1, 지상 4층으로 지하층은 군부대 전용시설이 있어 출입이 어렵고, 1
층에는 통일염원소와 휴게실, 식당, 기념품 매장이, 2층은 전시관과 전망대, 3층은 북한땅 조
망대와 옥외전망대가 있다.
바깥에는 망배단이 설치되어 실향민들의 한을 어루만지고 있으며, 군부대에서 기증받은 오래
된 전차와 제적봉 비석, 임진왜란 초기인 15928월에 이정암(李廷馣, 1541~1600)이 황해도
연백에서 왜군을 크게 때려잡은 것을 기리고자 세운 연성대첩비(延城大捷碑) 등이 자리를 채
우고 있다.
연성대첩비는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모정리에 있으나 거기서 넘어온 실향민들이 강화도에 정
착하면서 양사면 연화리에 편강렬(片康烈) 의사 충렬비와 함께 세워 기리던 것을 20098
19일 이곳으로 옮겼다.

▲  1966년에 지어진 제적봉 비석
제적봉 3자는 김종필의 친필이다.

▲  편강렬 의사 충렬비(왼쪽)와
연성대첩비


▲  전망대 1층 통일염원소

통일염원소에는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남북통
일을 염원하며 한 글자씩 남긴 종이가 한 공간
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이토록 이 땅의 민중들은 통일을 바라고 있지
만 이 땅과 북한의 더러운 권력층 작자들은 이
를 크게 바라지 않는다. 말로만 통일, 통일을
외칠 뿐, 뒤에서는 서로를 이용하며 그들의 권
력유지와 욕심 채우기에 여념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아무리 통일염원소에 글을 남긴들 딱히
소용이 없다. 결국은 모두 쓰레기통으로 가게
되니 말이다.

 

◀  통일염원소를 가득 메운 민중들의
메아리


▲  2014년 여름과 가을에 이곳에서 담은 북녘 땅 사진

▲  3층 북한땅 조망실(건물 내부)에서 바라본 북한 개성 땅 ①
여기서 북한 땅까지는 겨우 2.3km이다. 날이 좋으면 저 너머가 훤히
두 눈에 들어올텐데 안개의 방해로 겨우 해안만 시야에 들어온다.

▲  3층 북한땅 조망실(건물 내부)에서 바라본 북한 개성 땅 ②

▲  3층 북한땅 조망실에 있는 개성 지역 조감도
밑부분 빨간 표시가 있는 곳이 강화평화전망대이다.

▲  북한에서 제작된 개성, 김포, 강화도 지역 지도

▲  2층에 전시된 6.25전쟁의 상징물, 녹슨 철모

▲  3층 옥외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와 흐릿하게 다가오는 개성 땅 ①

▲  3층 옥외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와 흐릿하게 다가오는 개성 땅 ②

▲  3층 옥외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와 흐릿하게 다가오는 개성 땅 ③

▲  3층 옥외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 (서북쪽 방향)
바다 안개 너머로 개성 땅과 예성강이 있다. 벽란도(碧瀾渡)를 품은 그 예성강이라..?
말로만 듣던 그 현장이 가까이에 있다는 말에 나도 모르게 마음이 설렌다.

▲  3층 옥외전망대에 설치된 500원짜리 망원경
안개를 뚫고 북녘을 보겠다는 일념으로 500원을 넣어 잠든 망원경의 혼을 불러 모은다.
망원경의 시력이 더 좋은 탓에 맨눈으로 보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날씨가
받쳐주지 못해 바다 너머 땅도 썩 신통치 않게 보인다.

▲  북녘 실향민(失鄕民)을 위한 망배단(望拜壇)
망배단은 통일전망대의 필수 요소로 이곳에서 제사를 올리거나 북쪽에 둔
가족을 향해 인사를 하는 실향민들이 적지 않다.

▲  망배단에서 바라본 북녘 개성 땅
실향민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한강과 임진강이 합동으로 쏟아놓은
바닷물은 유유히 서해로 흘러갈 뿐이다.

▲  강화평화전망대의 귀염둥이(?) 전차
1971년 미국에서 생산된 전차로 길이 7.94m, 높이 3.12m, 폭 3.2m, 무게 23톤이다.
해병대에서 사용한 상륙돌격장갑차로 1975년부터 절찬리에 쓰였다가 2004년 국산
장갑차에게 자리를 넘기고 은퇴, 이곳에서 마음에도 없는 한가한 노후를 보낸다.


이렇게 강화평화전망대를 둘러보고 매점에서 간단하게 간식을 사먹었다. 이곳은 북한 땅이 바
라보인다는 이유로 입장료도 비싸고, 간식이나 음식도 바깥보다 조금 더해진 가격을 받아먹는
. 민간도 아니고 강화군청에서 운영하는 공영인데 적당히좀 먹었으면 좋겠다. 솔직히 통일
전망대 같은 것이 뭐 그리 자랑이란 말인가? 이 땅의 우울한 산물이거늘. 나중에 정말 통일이
된다면 우후죽순 들어선 통일전망대부터 싹 정리하고 상징적인 몇 개만 남겨 분단의 기념물로
삼는 것이 좋을 것이다.

평화전망대 입구로 나와서 강화읍내로 가는 강화군내버스 2번을 잡아타고 읍내로 나왔다.
님은 벌써 칼퇴근을 하여 천하는 어둑어둑해진 상태, 이럴 때는 그저 얌전하게 집으로 돌아가
는 것이 진리이다. 이렇게 하여 설연휴 강화도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강화평화전망대 찾아가기 (2018년 6월 기준)
* 강화읍까지 교통편은 앞의 연미정 참조
* 강화터미널에서 강화군내버스 1(19), 26(16)을 타고 평화전망대 하차, 도보
  5
* 승용차 (반드시 신분증 지참 요망) : 서울 김포한강로/강화 방면 48번 국도 통진
  강화대교 강화읍 송해3거리 당산리검문소 (검문을 거쳐 출입통제증을 받아야 됨)
  강화평화전망대

★ 강화평화전망대 관람정보 (2018년 6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2,500(20인 이상 단체 2,200) / 청소년과 군인 1,700(20인 이상 단
  1,500) / 어린이 1,000(20인 이상 단체 800) / 유아와 노인은 무료
* 관람시간 : 9~18(12~2월은 17시까지) 연중무휴, 주차비 없음
* 전망대 해설시간 : 1011, 1220, 13, 14, 15, 16
* 민통선 구역이라 자전거와 오토바이, 도보 접근은 불가하다. (무조건 군내버스나 관광버스,
  승용차, 택시로 가야 됨), 그리고 신분증은 반드시 지참하기 바란다.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11-12 (전망대로 797 ☎ 032-930-7062)
* 강화평화전망대 홈페이지는 ☞ 이곳을 흔쾌히 클릭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8년 6월 5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