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계곡'에 해당되는 글 55건

  1. 2017.07.18 백두대간 한복판에 뉘어진 신비의 탄산약수, 홍천 삼봉약수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2. 2016.11.17 오랜 세월 굳게 잠겨있던 아름다운 고갯길, 북한산 우이령 늦가을 나들이 (우이령길)
  3. 2016.09.07 도심에서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아름다운 계곡을 옆구리에 차고 있는 ~~ 북한산 진관사 (진관사계곡)
  4. 2016.08.29 도심 속에 숨겨진 은빛 폭포, 북한산 3대 폭포의 하나로 추앙받는 ~~ 북한산 구천폭포 (구천계곡, 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
  5. 2016.08.22 도심 속에 숨겨진 조촐한 피서지이자 서촌 제일의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인왕산길, 기린교)
  6. 2016.08.01 피서 성지 순례 ~~~ 경기 북부 제일의 명품 계곡, 포천 백운산 백운계곡 (흥룡사)
  7. 2016.07.20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미인을 닮은 아름다운 폭포, 삼척 미인폭포 (여래사, 통리협곡)
  8. 2016.06.29 한반도 배꼽 속에 숨겨진 순박한 폭포, 양구 팔랑폭포 (팔랑계곡)
  9. 2016.05.28 서울 도심의 듬직한 우백호를 거닐다. 인왕산 (개미마을, 북쪽 능선길, 환희사, 큰절골)
  10. 2016.05.15 하늘과 가까운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천축사, 마당바위, 만장봉, 포대능선)

백두대간 한복판에 뉘어진 신비의 탄산약수, 홍천 삼봉약수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 탄산약수의 성지를 찾아서 ~~~

홍천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운두령) '

▲  삼봉약수터



 

봄이 겨울의 잔여 세력을 토벌하며 천하평정에 열을 올리던 3월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와
강원도를 찾았다.
이번 나들이는 후배가 차를 렌트하여 1박2일 일정으로 강원도와 충북, 경북 지역을 유람
하기로 했는데 렌트카의 장점을 최대한 뽑고자 대중교통 접근성이 매우 고통스러운 곳을
중심으로 아주 아름답게 동선을 짰다. 그래서 요즘 한참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탄산약수를
먼저 찾기로 하고 적당한 약수를 물색, 홍천 삼봉약수터에 격하게 반응을 보여 그곳을 1
번 답사지로 정했다.

아침 8시, 능동(陵洞) 어린이대공원 부근을 출발하여 우선 주유소에 들어가 2일 동안 수
고를 해줄 차량에게 밥을 두둑히 먹이고 긴 여정에 들어갔다. 사람이든 차량이든 동물이
든 무조건 배불리 먹고 봐야 된다.

언제나 번잡한 서울 시내를 벗어나 강변북로와 경강로(6번국도)를 신나게 달려 구성포에
서 56번 국도(구룡령로)로 진입했다. 칼처럼 솟은 산 사이를 구불구불 돌아 창촌에 이르
니 동쪽으로 보이는 산 정상부에 하얀 눈이 버젓히 쌓여있어 하늘에 그만큼 가까이 왔음
을 느끼게 한다.
12시 반 정도에 드디어 삼봉약수터를 품은 삼봉자연휴양림 입구에 도착했다. 같은 홍천(
洪川) 땅임에도 홍천읍에서 무려 80여km나 떨어진 곳이니 정말 허벌나게도 멀다. 참고로
홍천군은 우리의 실지(失地, 북한과 요동, 만주, 왜열도)를 제외한 이 땅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으로 면적이 무려 1817.96㎢에 달한다. (서울의 약 3배임)
고을 대부분이 산지로 동쪽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허리인 태백산맥이 흘러가 고산준령
을 이루며 칼처럼 솟은 뫼 사이로 적게나마 경작지가 누워있어 그곳에 주로 마을이 형성
되어 있다.

수해(樹海)에 잠긴 휴양림길을 들어서면 4동으로 이루어진 한옥지구와 제2야영장, 제1야
영장이 차례로 마중을 나오고, 주차장을 지나면 관리사무소(매표소)가 차단기로 길을 막
고 나그네의 호주머니를 쳐다본다. 삼봉약수터를 비롯한 매표소 북쪽은 유료(有料)의 땅
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꿩 대신 닭을 잡을 권리가 없기 때문에 순순히 입장료와 주차비를 치르니 그
제서야 차단기가 씨익 웃으며 올라간다.

햇빛지구 숙박동과 황토지구 숙박동을 지나니 조촐하게 닦인 약수터 주차장이 마중을 나
온다. 차량은 여기서 더 이상 바퀴를 굴릴 수 없으며 바로 계곡 너머로 삼봉약수터가 바
라보인다. (매표소 옆 주차장에 차량을 두고 삼봉약수터까지 걸어가도 됨, 1km 거리)


▲  삼봉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와 매표소



♠  삼봉자연휴양림에 묻힌 신비의 약수, 삼봉약수터(三峯藥水)
- 천연기념물 530호

홍천에서 제일 벽지로 통하는 광원리 산골, 가칠봉 남쪽 자락 계곡에 삼봉약수터가 조용히 웅
크리고 있다.
삼봉약수는 일반 약수와는 차원이 틀린 탄산약수로 맛이 은근히 쓰다. 물 색깔이 붉어서 주변
이 온통 붉은 색을 이루고 있는데, 이 물에 설탕을 타면 천연사이다가 되고, 이 물로 밥을 지
으면 푸른색으로 꼬들꼬들 익어 맛이 좋다.

이 땅<만주와 북한 등 잃어버린 땅은 제외>의 탄산약수는 강원도와 충북, 경북 산골에 몰려있
는데, 그 수가 별로 많지 않다. 탄산약수의 대표적인 성지(聖地)로는 세계 3대 광천수(鑛泉水)
의 하나로 꼽히는 청주 초정약수가 있으며, 제법 이름이 알려진 약수로는 설악산 오색약수, 인
제 방동약수와 개인약수, 양구 후곡약수, 홍천 삼봉약수, 춘천 추곡약수, 평창 방아다리약수,
정선 화암약수, 봉화 오전약수, 청송 달기약수, 세종시 부강약수 등이 있다. 서울에도 천호약
수라고 수도권 제일의 탄산약수가 있었으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로 숨통이 끊어진지 이미 오래
이다. (아주 어린 시절에 가본 기억이 있음)

삼봉약수를 끼고 있는 계곡 이름이 실론계곡인데, 그 이름을 따서 실론약수(實論藥水)라 불리
기도 했으며 <'실룬약수'라 하기도 했음> 가칠봉(柯七峰, 1240m)과 사삼봉(私蔘峰, 1107m), 응
복산(應伏山, 1360m) 세 봉우리 중간에 자리해 있어 삼봉약수라 부르기도 한다. <물이 나오는
구멍이 3개라 하여 삼봉이란 이야기도 있음>

수질이 매우 우수하여 우리나라 명수(明水) 100선의 하나로 격하게 칭송을 받고 있으며, 철분
과 망간, 불소, 탄산이온 등 무려 15가지의 성분이 담겨져 있어 빈혈, 당뇨병, 신경통, 위장병
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나 역시 위장병을 자주 달고 사는 가련한 현대인이라 어린 시절 입
에도 대지 않았던 탄산약수에 격하게 흥분을 보이면서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탄산약수를 찾
아가 약수가 마르고 닳도록 본전을 뽑고 있다. 인정하기는 싫지만 건강을 챙길 나이가 된 것이
다.


▲  삼봉약수터

삼봉약수터는 3개의 혈(穴)로 이루어져 있다. 대자연 형님이 내린 신비의 물을 보호하고자 뚜
껑을 씌워 놓았는데 뚜껑을 열고 물을 마신 다음 다시 뚜껑으로 봉해야 된다. 어느 혈의 물을
마시든 색깔과 맛은 거의 같으며 탄산약수 특유의 약간 쓴 냄새가 조금 풍긴다. 그리고 혈 주
변은 약수의 영향으로 온통 시뻘겋다.

◀▲  신비의 물이 용솟음치는 삼봉약수터의
3개의 혈들 - 가뭄에도 거의 마를 날이
없다고 한다.

서울에서 이 먼 곳까지 힘들게 왔으니 약수는 원없이 마셔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비록 물통을
준비하지 못해 서울까지 수송하지는 못했지만 대신 몸 속에 가득 넣어 위장을 거의 탄산화시켰
다. 3개의 구멍의 물을 모두 마셨는데, 총 1.5리터는 마신 것 같다. 철부지 어린 시절에는 정
말 입에도 대기 싫었던 탄산약수였는데, 이제는 입맛이 변했는지 달콤하기까지 한다. 이런 내
모습이 과연 제대로 된 모습일까? 아니면 나이를 먹었다는 쓰라린 신호일까?


▲  삼봉약수터 옆을 흐르는 계곡
때 묻지 않은 청정한 계곡으로 천연기념물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열목어(熱目魚)가
소리 없이 서식하고 있으며, 한여름에도 물이 차가워 5분 이상 발을 담그기가
어려울 정도로 여름 제국의 염통을 쫄깃하게 건드린다.

▲  삼봉약수터 옆 이팝나무 숲속에 조성된 약수지구 숙박동

삼봉약수터를 든든한 후광으로 삼은 삼봉자연휴양림은 1992년 산림청에서 조성한 국립휴양림이
다. 산골 벽지에 묻혀있어 접근성도 별로 안좋고 가는 길도 험하지만 그런 고생을 감수하고 안
긴 휴양림은 이곳이 속세인지 신선의 숨겨진 세계인지 햇갈릴 정도로 풍경이 청초하고 침엽수
와 활엽수가 절제된 조화를 이룬 숲은 매우 울창해 그동안의 고생을 싹 가시게 한다. (그래서
인간은 망각의 동물임)
하늘을 향해 늘씬하게 자라난 키다리 나무들이 하늘을 가리며 천연림을 이루고 있고, 열목어가
마음 놓고 꼬리를 흔들 정도로 계곡이 청정하며, 탄산약수의 성지로 추앙받는 삼봉약수터를 품
고 있다. 또한 이곳을 둘러싼 공기는 순수함을 자랑해 바깥 세상의 공기와는 맛과 질부터가 확
연히 틀리다. 이렇게 모든 것이 청정한 곳이니 휴양과 피서지로도 아주 휼륭하다.

휴양림에는 한옥 숙박동과 햇빛, 황토, 약수지구 등에 숙박동(객실 25개)이 있으며, 야영장 55
개, 주차장 4곳, 물놀이장 1곳이 있다. 광원리 계곡(실론계곡)이 휴양림의 한복판을 가로질러
속세로 흐르며, 삼봉약수터 북쪽에는 숲체험코스와 숲속교실, 그리고 가칠봉 정상으로 인도하
는 산길이 닦여져 있다. 또한 첩첩한 산골에 맞게 산촌 겨울나기 놀이체험과 숲해설 프로그램,
산림문화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찾아가기 (2017년 6월 기준)
* 동서울터미널과 서울강남고속터미널(센트럴시티)에서 홍천행 직행버스 이용
* 수원, 성남, 고양(일산), 의정부, 속초, 춘천, 원주, 청주, 대전(복합), 전주, 대구(북부),
  포항, 울산, 부산(동부)에서 홍천행 직행버스 이용
* 홍천터미널에서 내면(창촌)행 직행버스가 1일 11회, 군내버스는 1일 3회 운행
* 내면(창촌)에서 목맥동, 명개리행 군내버스(1일 5회)를 타고 삼봉자연휴양림 하차
  (내면 출발시간 - 6:40, 9:00, 12:00, 16:40, 18:25)
* 승용차
① 영동고속도로 → 속사나들목을 나와서 속사, 진부 방면 → 속사3거리에서 좌회전 → 운두령
   → 자운교차로 직진 → 창촌3거리 우회전 → 창촌(내면) → 원당3거리 직진 → 삼봉자연휴
  양림입구 → 삼봉자연휴양림(삼봉약수터)
② 서울춘천고속도로 → 동홍천나들목을 나와서 홍천 방면 → 구성포교차로에서 서석 방면 56
   번 국도 → 솔치재터널 → 서석 → 율전3거리 우회전 → 창촌3거리 좌회전 → 창촌(내면)
   → 원당3거리 직진 → 삼봉자연휴양림입구 → 삼봉자연휴양림(삼봉약수터)

★ 삼봉약수터, 삼봉자연휴양림 관람정보 (2017년 6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1,000원(단체 800원), 청소년 600원(단체 500원), 어린이 300원(단체 200원)
  <단체는 20명 이상>
* 관람시간 : 9~18시 / 숙박시설 이용시간 : 15시~다음날 12시까지
* 주차비 : 1,500~5,000원 (1일 기준)
* 삼봉자연휴양림 예약과 이용정보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소재지 :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산197-1 (삼봉휴양길 276, ☎ 033-435-8536)


▲  삼봉약수터 동쪽에 자리를 닦은 황토지구 숙박동


 

♠  막국수와 운두령(雲頭嶺)

▲  홍천에서 먹은 막국수와 여러 김치들

바가지에 불이 나도록 약수를 마시고 약수터 주변을 둘러보니 어느덧 14시가 넘었다. 휴양림을
품은 가칠봉까지 올라간다면 더욱 금상첨화겠지만 애당초 휴양림보다는 몸보신을 위한 약수터
에 더 큰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렇게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 오로지 약수터에만 초
롱초롱 눈빛이 갔지. 하여 약수터 주변을 살펴보는 선에서 삼봉과의 인연을 흔쾌히 마무리지었
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음에 혹 인연이 닿는다면 그때는 휴양림에서 호젓한 하룻밤을 보
내고 싶다.

졸고 있는 차량을 깨워 휴양림을 벗어나 점심 장소를 물색했다. 점심 시간도 많이 지났고, 지
금까지 딱히 먹은 것도 없어 뱃속에서는 배고프다며 계속 꼬르륵 소리로 불만을 표출한다.
창촌으로 나오던 중, 어느 적당한 식당이 눈에 들어왔다. 그곳은 막국수와 백숙 등을 팔고 있
었는데, 강원도 산골에 왔다면 그곳의 토속 음식인 막국수나 전병, 메밀전, 메밀전병 등은 먹
어줘야 후회가 없다. 그래서 그곳에 차를 대고 식당에 들어갔다.

안으로 들어서니 단체 손님들로 시끌벅적했는데 안쪽 방에 자리를 잡고 막국수를 주문했다. 더
많은 것을 먹으면 좋겠지만 그날 충북 단양(丹陽)까지 먼 길을 가야되기에 위장을 너무 흥분시
키는 것도 그리 좋지는 않다. 그래서 일단은 막국수로 입가심을 하고 저녁에 황제처럼 먹기로
했다.


▲  두둑하게 나온 막국수의 위엄

막국수 주문을 하자 김치 3종류와 막국수 육수가 앞에 펼쳐진다. 그리고 약간의 시간을 흘려보
내니 드디어 주인공인 막국수가 큰 그릇에 담겨 나타난다. 김가루와 계란, 오이, 깨 등이 버무
려진 막국수는 전형적인 강원도 막국수 스타일로 거기에 육수를 넣어 먹으면 되는데 육수와 국
수도 얼큰하고 김치도 맛이 괜찮았다.
국수나 냉면이 1끼 식사로는 좀 허전하긴 하지만 이곳은 양이 많아서 그릇을 싹 비우니 뱃속이
완전 만땅이 되버렸다. 그 틈을 노려 식곤증이 스르륵 밀려와 배깔고 자라며 희롱을 하니 정말
벌러덩 눕고 싶다. 허나 갈 길이 멀기에 서비스로 제공되는 자판기 커피로 식곤증에 맞서며 오
후 단잠에 빠진 차량을 깨워 다시 부르릉 시동을 건다.

바로 단양으로 넘어가기에는 해가 아직 있어서 그 길목에 자리한 영월(寧越)에 잠시 들려 적당
한 정처(定處)를 찾기로 했는데, 그곳으로 가려면 반드시 운두령이란 무지막지한 고개를 넘어
야 된다. 그는 강원도에 널린 험준한 고개의 하나로 홍천군 내면과 평창군 용평면 경계에 자리
해 있으며, 그 고개를 넘으면 바로 장평과 진부, 영동고속도로로 이어진다.

운두령의 높이는 1,089m로 고개 시작부터 꼬부랑 고갯길의 절제된 모습을 보여주며 차와 사람
의 염통을 쫄깃하게 만든다. 한쪽은 가파른 오르막. 반대편은 밑이 보이지 않는 아찔한 내리막
으로 특히 차량이 넘나드는 고개 가운데 정선 만항재(1,330m) 다음으로 높아 운두령의 위엄을
실감케 한다.
운두령이란 이름은 늘 구름과 안개가 넘나든다는 시적인 뜻으로 그만큼 안개가 자주 낀다. 우
리가 지나갈 때는 다행히 쾌청했으나 미칠 정도로 고갯길 굴곡이 심해 자존심을 곱게 접고 바
퀴를 순진하게 굴려야 뒷탈이 없다. 그렇게 고개에 임하면 전혀 나올 것 같지 않던 운두령 정
상에 이르게 된다.


▲  운두령 정상 (평창 방향)

▲  운두령 정상 (홍천 내면 방향)

하늘과 맞닿은 운두령 정상에는 토산품을 파는 운두령쉼터와 주차장이 있다. 하지만 차량의 통
행이 많지 않아서인지 요란한 수준은 아니며 그냥 조그만 가게 수준이다. 고개 주변에는 겨울
의 부흥을 꿈꾸는 눈들이 여전히 남아 천하를 노리고 있고, 바깥에 마련된 화장실은 그들로 인
해 초토화(?)를 당해 잠시 기능이 상실되었다. 도로 휴게소의 기본 요소인 화장실이 그 지경이
되었으니 볼일은 쉼터 주변에서 알아서 봐야 된다.

운두령은 하늘의 소리가 들릴 정도로 높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 장대한 높이에 비해 조망 범위
는 그리 넓지 않다. 고개 주변에는 그보다 높은 산들이 칼처럼 솟아 병풍을 이루고 있기 때문
이다. 북쪽으로는 홍천군 내면 지역, 남쪽은 평창군 용평면 지역이 바라보이며, 양 옆으로 계
방산(桂芳山, 1577.3m)의 산줄기가 흘러간다. 특히 계방산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나있는데, 그
길로 2시간 30분 정도 얌전하게 오르면 계방산 정상에 이른다.


▲  운두령에서 계방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산길

운두령에서 잠시 바퀴를 접으며 하늘과 가까운 곳의 공기를 만끽하다가 다시 길을 재촉하였다.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로 구불구불 고갯길을 내려와 노동리에 이르니 미친 기운을 보인 운두령
길은 이내 흥분을 가라앉는다. 그런 상태로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의 현장 이승복(李承福)
기념관을 지나 속사(束沙)에서 우회전하여 평창(平昌) 방면으로 방향을 틀었다.

본글은 여기서 끝~~!!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6월 2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오랜 세월 굳게 잠겨있던 아름다운 고갯길, 북한산 우이령 늦가을 나들이 (우이령길)


' 북한산 뒷통수에 숨겨진 아름다운 고갯길 ~~~
우이령 늦가을 나들이 '

▲ 우이령에서 바라본 오봉

▲ 석굴암입구 유격광장

▲ 우이령길 우이동 구간


 

가을 누님이 눈이 시리도록 곱게 천하를 물들이던 10월의 끝 무렵에 친한 여인네들과 북
한산(삼각산)의 숨겨진 뒷통수, 우이령(우이령길)을 찾았다.

우이령은 개방 이후 애타게 인연을 짓고 싶었지만 딱히 인연이 없어 애태우다가 10월 중순
에 아는 여인네의 제안으로 콩볶듯 계획을 잡게 되었다. 이곳은 미리 탐방예약을 해야되는
데, 평일은 그나마 널널하나 주말에는 자리 구하기가 어렵다. 탐방 인원을 매일 1,000명으
로 제한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그가 송추 출발로 4명 자리를 확보하여 그냥 흔쾌히 가기만
하면 된다. 하여 친분이 있는 2명을 더 소환하여 두근거리는 마음을 다독거리며 비경의 우
이령 탐험을 떠났다.

우이령은 야속하게도 입장시간(오후 2시까지)과 퇴장시간(오후 4시까지)이 정해져 있어 우
이령길 완주에 석굴암 답사까지 널널하게 겯드리려면 가급적 오전에 가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아침 9시부터 입장)
잠시 일상을 접고 떠나는 나들이인데 그것마저 콩볶듯이 가면 좀 그렇겠지. 하여 오전 9시
에 연신내역에서 일행들을 만나 김밥과 간단한 먹거리를 사들고 북한산(삼각산) 등산객 인
파 속으로 들어가 송추로 가는 시내버스를 기다렸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한참 단풍철이다 보니 북한산으로 가는 34, 704번 시내버스
가 타지도 못할 정도로 가축 수송 상태로 오는 것이다. 게다가 여기서 버스를 기다리는 등
산객도 족히 100명은 넘어 육중한 바퀴가 뭉개질 정도로 가득찬 버스에 서로 타고자 경쟁
이 치열하다. 허나 구제받는 사람은 불과 서너 명, 나머지는 강제로 다음 버스를 기다리지
만 오는 버스 모두 무심하게도 가축 수송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마음은 이미 우이령을 헤매
고 있지만 몸은 아직도 서울 연신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연신내에서 40분을 소비하다가 이러면 정말 못갈듯 싶어서 조금이라도 더 전진하고
자 삼천사입구로 가는 701번 시내버스(진관차고지↔종로2가)를 탔다. 그것을 타고 입곡3거
리에서 34, 704번으로 갈아탈 생각이었지. 그렇게 701번에 의지해 입곡3거리(삼천리골입구)
에서 내렸는데, 여기서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북한산으로 가는 행락객들의 차량들로 도로
가 거의 혼돈의 상태라 걷는 거나 차를 타고 가는 거나 속도가 비슷할 정도이다.

입곡3거리에서 일말의 희망을 품으며 버스를 기다렸으나, 역시나 자리가 빠지지 않아 여전
히 승차 불가, 그래서 백화사입구와 흥국사입구(노고산)까지 걸어가 기회를 엿보았나 역시
승차 불가, 하여 등산객이 많이 빠지는 북한산성입구까지 걸어갔다. 아직까지도 서울을 벗
어나지 못한 것이다. 이렇게 서울 땅을 나가기가 어려웠던 말인가?

북한산성입구 정류장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며 버스를 기다리니 버벅거리는 차량들 행
렬을 쿨하게 뚫고 서울시내버스 704번(부곡리↔서울역)이 구세주처럼 나타난다. 이곳이 북
한산 서부의 대표 기점지라 산꾼들이 많이 빠지기 때문에 그제서야 들어갈 공간이 생긴다.
이제 살았구나 싶어 기쁜 마음에 승차했으나 자리는 없다. 여전히 가득찬 상태. 다행히 도
로를 가득 메운 차량들의 행렬도 여기서 끝을 맺는다. 죄다 여기서 북한산성으로 우회전하
기 때문이다.
그렇게 힘겹게 송추로 가는 버스를 잡아 타고 고양시(高陽市)로 넘어가 효자비와 안골, 사
기동에서 많은 산꾼을 쏟아내니 그제서야 자리가 생긴다.

솔고개를 넘어 양주시(楊州市) 땅으로 진입, 우이령/오봉산석굴암입구 정류장에 발을 내린
다. 연신내에서 이곳까지는 겨우 12km 정도인데 그 짧은 거리를 오는데 무려 2시간이나 걸
린 것이다. 그렇게 모진 과정을 겪고 이곳에 이르니 마치 목적지에 다 온 듯, 안도의 한숨
이 나온다. 버스에서 내릴 때는 정말 기쁨이 가득했지. 허나 내려보니 현실은 시궁창.. 뜻
하지 않은 나들이 강제 전쟁으로 혼과 기운은 2/3 이상 빠졌고 시간도 벌써 11시가 넘었다.
우이령 탐방은 이제서야 시작이거늘, 겨우 그 입구에 온 것에 불과하다.

벌써부터 지친 몸과 마음, 그리고 심심한 뱃속을 달래고자 정류장 부근 편의점에서 자리를
잡고 점심을 먹었다. 원래는 산책 중간에 먹으려고 했는데, 상황이 이렇게 되고 보니 먹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란 아름다운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지.

속세에서 가져온 김밥과 온갖 과자, 그리고 편의점에서 구입한 컵라면 등으로 열심히 몸을
달래니 다시금 사기가 오르기 시작한다. 이제 밥도 두둑히 먹었으니 슬슬 움직여볼까~! 근
데 어느 세월에 저 까마득하게 보이는 우이령을 넘어가나 은근히 막막해진다. 거기에 식곤
증까지 거침없이 희롱을 하니 사기가 다시 떨어지려고 한다. 그래도 우이령을 목적으로 왔
으니 가야지. 힘차게 발걸음을 떼며 우이령의 품으로 들어선다.


 

♠ 우이령의 품으로 (교현리~석굴암 입구 구간)

▲ 교현(송추) 탐방지원센터

우이령(오봉산 석굴암) 입구에서 10분 정도 들어가면 속세와 우이령의 경계를 짓는 교현탐방지
원센터가 나온다. 길 주변에는 군부대 시설이 즐비해 부푼 마음을 품고 찾아온 탐방객에게 적
지 않은 긴장감을 준다.

교현탐방지원센터는 우이령의 북쪽 검문소로 여기서 소정의 출입 절차를 밟아야 되는데, 예약
자의 신분증과 예약확인증을 보여주면 된다. 동행자의 신분증은 상황에 따라 검사를 안하는 경
우도 있지만 만약이라는 것이 늘 있으니 반드시 지참해야 뒷탈이 없을 것이다. 또한 아무리 예
약을 했어도 예약자의 신분증과 예약확인증이 없으면 최순실이나 대통령급이 아닌 이상은 아무
리 날고 기어도 들여보내지 않는다. 우이령이 비록 개방이 되었다고는 하나 아직은 북악산(北
岳山, 백악산) 한양도성 능선처럼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다.
그렇게 출입 절차를 마치고 꿈에도 그린 고갯길, 우이령으로 들어선다. 그럼 여기서 잠시 우이
령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 북한산과 도봉산의 숨겨진 뒷통수이자 비단처럼 아름다운 고갯길, 우이령(牛耳嶺)
우이령은 순 우리말로 소귀고개라고 한다. 높이 600~800m를 다투는 북한산(삼각산) 영역과 도
봉산(道峯山) 영역 사이에 약간 움푹 들어간 고개로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橋峴里)와 서울 우
이동(牛耳洞)을 잇고 있다. 고갯길 정상을 기준으로 서남쪽은 북한산, 동북쪽은 도봉산 영역이
며 그들의 뒷통수에 자리한다.

예로부터 송추(교현리) 지역과 서울 동북부(강북구)를 빠르게 이어주는 고갯길로 그리 주목을
받는 길은 아니었다.
6.25가 터지자 파주와 양주 사람들이 대거 이 고개로 넘어왔으며, 서울을 수복한 이후에는 병
력 이동과 물자 수송을 위해 미군 공병대가 넓게 길을 닦아 탱크와 4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
게 되었다. 1951년 1.4후퇴 때도 많은 피난민들이 이곳을 통해 넘어왔고, 1953년 휴전까지 많
은 군인과 군수물자가 이 고개의 신세를 지면서 반짝 전성기를 누린다.

휴전 이후 지역 사람들이 이용하다가 1968년 북한의 김신조 공비 패거리가 서울 도심을 습격한
이른바 1.21사태가 터지자 1969년 국가 안보와 서울 방어를 이유로 지금의 교현탐방지원센터에
서 우이탐방지원센터에 이르는 4.46km 구간의 통행이 전면 금지된다. 이때 우이령 뿐만 아니라
인왕산(仁王山)과 북악산(백악산), 북한산 삼천사계곡, 북한산성 내부까지 통제 구역으로 묶이
는 비운을 겪는다.
그렇게 금지된 고개가 되버린 우이령은 사람의 발길이 뚝 끊기고 군인과 경찰의 훈련지로 이용
되면서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석굴암입구 구간은 물론 석굴암 밑까지 군사시설이 들어섰다.

우이령 개방에 대해서는 1990년대부터 조금씩 이야기가 나왔다. 1994년 4월 17일에는 시민환경
대회를 위해 딱 하루 개방되기도 했으며, 이후 개방 여론이 급물살을 타면서 드디어 2009년 7
월, 제한적이나마 빗장이 열린 것이다. 개방에 앞서 군부대 시설로 망가진 부분은 자연친화적
으로 정비했고 오봉산을 관망하는 전망대를 비롯하여 여러 편의시설과 안내문을 설치했다.

그 망할 북한 공비 때문에 40년이나 강제로 닫힌 우이령, 허나 전화위복(轉禍爲福)이란 유명한
말이 있듯이 그 덕분에 지구에 민폐나 끼치며 사는 인간들의 발길이 거의 끊기면서 이곳 생태
계는 매우 우수한 수준으로 보존될 수 있었다. 인간의 개발 칼질에 오갈데 없어진 수리부엉이
와 소쩍새, 산개나리 등 희귀 동/식물이 앞다투어 찾아와 안긴 자연의 보물 창고이자 서울 근
교의 듬직한 허파가 된 것이다. 그래서 이곳에 들어서면 북한산의 다른 구역보다 공기가 꽤 상
큼하고 청정하다.
물론 우이령에게도 위기는 있었다. 1994년 이후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서울 동북 지역과 경기도
서북 지역을 잇는 도로망 개설을 위해 우이령에 도로를 내려고 했다. 이때 길 너비를 현재 5~6
m에서 8m로 넓히려고 했지. 하지만 환경/시민단체, 국방부가 쌍수를 들고 반대했고, 반대 여론
이 상당하여 보기 좋게 무산되었다. 이곳에 도로가 놓이면 양주 서남부지역과 고양/파주에서
서울 강북구 지역을 빠르게 이어주게 되며, 강북구 지역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빠르게
잇는 역할까지 하게 되면서 나름 소중한 길이 되어줄 것이나 대신 우이령의 희생을 감수해야
된다. 1969년 이곳이 통제가 되지 않았다면 진작에 개발의 칼질이 자행되었겠지. 그 인연으로
이곳은 차량의 도로가 되기에는 너무 먼 길을 왓다. 이것이 하늘이 우이령에게 준 운명이다.

우이령을 개방하면서 이곳의 자연환경을 지키고자 매일 탐방인원을 1,000명으로 제한했다. 덕
분에 천하에서 가장 탐방밀도(1㎢당 5만명)가 높은 북한산국립공원에서 가장 인적이 드문 한적
한 곳으로 남게 되었지. 또한 지정된 길(우이령길과 석굴암으로 가는 길)만 이용토록 했으며,
계곡과 숲으로의 통행을 금했다. 그리고 입장시간과 퇴장시간에 엄하게 제한을 두어 혹여 다른
생각을 품지 못하게 했다. 허나 사람이란 존재가 지구에는 도움이 안되는지라 마음대로 샛길을
개척하고 식물을 채취하는 행위가 발생해 종종 문제가 되고 있다.

우이령길은 수도권 도보 나들이의 성지(聖地)로 일컬어지는 북한산둘레길의 일원이다. 북한산
둘레길은 총 21구간 71.5km로 그중에서 가장 으뜸은 바로 우이령길이 아닐까 싶다. (우이령길
찬양~~!!)
우이령길 구간은 교현리 우이령 입구에서 우이동 광장에 이르는 6.8km이다. 이중 4.46km가 아
무나 들어갈 수 없는 예약 탐방구간이며, 교현리 우이령 입구에서 교현탐방지원센터, 우이동광
장에서 우이탐방지원센터 구간은 예약과 상관없이 언제든지 거닐 수 있다. 그럼 지금부터 우이
령길을 둘러보도록 하자.

※ 우이령길 찾아가기 (2016년 11월 기준)
① 송추 교현리
* 지하철 3,6호선 연신내역(3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3호선 구파발역(1,2번 출구)에서 서울
704번, 의정부 34번 시내버스를 타고 우이령(오봉산 석굴암입구) 하차
* 1,4호선 서울역(4,9-1번 출구), 2호선 을지로입구역(3번 출구), 1호선 종각역(3-1번 출구),
5호선 서대문역(4번 출구), 3호선 홍제역(2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3호선 녹번역(1번 출
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704번 시내버스 이용
② 서울 우이동
* 지하철 4호선 수유역(3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101, 120, 130, 153번 시내버스 이용
(120번과 130번은 우이동 종점, 나머지는 우이동 도선사입구 하차) / 수유역 6번 출구에서
도봉구 마을버스 02번을 타고 우이동 종점 하차
* 지하철 4,7호선 노원역 5번 출구에서 1144번, 7번 출구에서 노원구 마을버스 15번을 타고 우
이동 도선사입구 하차
* 우이동 도선사입구(우이동 광장)에서 우이탐방지원센터까지 도보 35분

★ 우이령 탐방 정보 (2016년 11월 기준)
* 우이령은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의 '국립공원 예약' 메뉴에 있는 '북한산 우이령 탐방'
게시판에서 예약을 하면 된다. 예약은 10시부터 하루 전 17시까지 하면 된다.
예약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 탐방객은 매일 1,000명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송추 500명, 우이동 500명이다. 인터넷 예약은
매일 800명으로 1인당 10명까지 가능하다. 전화 예약자는 200명으로 노령층(65세 이상)과 장
애인, 외국인 관광객에 한한다. (전화예약은 9~17시까지)
* 입장시간은 9시부터 14시까지며, 16시까지 무조건 하산을 마쳐야 된다. (16시까지 교현/우이
탐방지원센터까지 나와야 됨) 늦게 하산하면 자칫 벌금을 뜯길 수 있다.
* 석굴암 신도와 탐방객은 우이령길을 예약할 필요가 없으며,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신분증 확
인을 거쳐 들어가면 된다. (석굴암까지만 이동 가능)
* 교현탐방지원센터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산47-10 (예약/문의 ☎ 031-855-6559)
* 우이탐방지원센터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산74 (예약/문의 ☎ 02-998-8365)


▲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 (1)

교현탐방지원센터를 지나면 본격적인 우이령 탐방이 시작된다. 속인(俗人)들이 이 길을 걷고자
40년이나 기다렸던 그 금지된 길이 내 앞에 펼쳐지는 것이다. 가을도 우이령이 마음에 들었는
지 길을 멈추고 주변을 온통 화사하게 불지른다. 이렇게 늦가을과 우이령의 만남으로 우이령은
아름다운 비단길로 거듭났다.

우이령길은 시작부터 끝까지 길이 완만하다. 서서히 올라갔다가 다시 서서히 내려가는 아주 느
긋한 코스로 각박한 속세살이와는 정반대이다. 게다가 흙길이 잘 닦여져 있고, 주변 풍경이 매
우 고와 결코 지루하지 않다. 오히려 짧게 느껴져 흔쾌히 왕복을 뛰고 싶은 마음이다.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석굴암입구 유격광장까지는 약 2.3km로 30분 정도 걸린다. 동쪽에는 도
봉산과 오봉이 빚은 우이령계곡이 때묻지 않은 청정함을 간직하며 속세로 흐르는데, 아쉽게도
계곡은 금지된 구역이다. 게다가 길과도 거리를 제법 두고 있어 휴전선 너머 동해바다를 바라
보듯 해야 된다. 하지만 어찌하랴. 이곳을 속세로부터 지키려면 그럴 수 밖에.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 (2)
휴일을 맞이하며 북한산과 도봉산의 왠만한 등산로는 늦가을 나들이 인파로 세계
탐방밀도 1위가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미어터지는데 반해 이곳은 여기가
북한산의 일부인지 의문이 들 정도로 한적하기 그지 없다.

▲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 (3)

▲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 (4)
숲이 무성해 강렬한 햇빛도 고개를 숙인다.

▲ 우이령길과 적당히 거리를 두고 흘러가는 우이령 계곡
속인의 발길이 오랫동안 금지된 저곳에 선녀(仙女) 누님의 비밀 욕탕이
있는 것은 아닐까? 달 깊은 밤에 몰래 찾아와 확인해 보고 싶다~~

▲ 늦가을이 온 산천에 알록달록 불을 질렀다.
늦가을의 즐거운 불장난은 11월 이후 겨울 제국에 의해 모두 진압될 것이다.
단풍으로 타오르는 산 너머로 바위 봉우리인 오봉이 시야에 들어온다.

▲ 우이령 계곡과 오봉 산줄기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에서는 어디서든 오봉이 바라보인다.

▲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 (5)


 

♠ 우이령의 심장으로

▲ 석굴암입구 유격광장

우이령길 심장의 서쪽인 석굴암입구 유격광장은 우이령길에서 가장 넓은 공간이다. 이곳은 군
부대의 유격 연병장으로 광장 동쪽에 서 있는 유격 표석이 이곳의 성격을 잘 말해준다. 여기서
길은 크게 2갈래로 갈리는데, 석등을 옆구리에 낀 다리를 건너 오봉으로 향하는 북쪽 길을 오
르면 석굴암이고, 광장 남쪽으로 난 길을 직진하면 우이령길 정상이다.

유격장은 주로 석굴암으로 오르는 길목에 분포하고 있는데, 군대를 나온 이 땅의 사내들로 하
여금 당시의 향수를 진하게 불러일으킨다. 우이령이 아무리 개방이 되어 탐방 장소로 인기 몰
이를 하고 있어도 이들은 여전히 군사용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니 철조망 안에 있거나 접근이
통제된 유격시설은 괜히 접근치 않도록 한다. 이처럼 우이령은 민간인의 등산/나들이와 군인의
유격장이 공존하는 곳으로 남북분단의 우울한 현실이 담긴 조금은 씁쓸한 현장이기도 하다.

흙이 잘 입혀진 유격광장은 터가 매우 넓어 그늘진 곳에는 산꾼들이 삼삼오오 자리를 피고 밥
과 행동식을 먹고 있었다. 여기서부터 우이동까지는 딱히 휴식 장소는 없으니 교현리에서 오를
경우에는 적어도 여기서 먹고 가는 것이 좋다. 그리고 광장 동쪽에는 우이령 상류를 막아서 만
든 조그만 호수가 있는데, 곱게 몸을 치장한 나무들이 호수를 거울로 삼아 자신의 매뭇새를 다
듬느라 여념이 없다. 지금은 서로 아름다움을 뽐내지만 1달 뒤면 겨울 제국에게 영혼까지 털려
호수에 비친 앙상한 모습에 시름에 잠길 것이다.


▲ 석굴암으로 인도하는 길 (석굴암입구)

우이령에 왔다면 오봉 서쪽에 안긴 석굴암(石窟庵)은 꼭 둘러보기 바란다. 첩첩한 산주름에 제
대로 묻힌 석굴암은 우이령 개방과 함께 흥한 기운이 찾아들어 요즘 제법 잘나가고 있는데, 절
로 오르는 길은 좀 각박하지만 경내에서 바라보는 조망이 꽤나 일품이다. 그리고 점심시간에는
공양을 제공하고 있으니 시간이 맞으면 공양 1그릇 들고 가는 것도 좋다. (정월대보름에는 오
곡밥에 나물을, 동짓날에는 팥죽을 제공함) 또한 매년 10월에는 번뇌가 쫓아오다 졸도할 정도
의 이 심산유곡(深山幽谷)에서 단풍음악회까지 연다. (2016년에는 10월 29일 토요일에 열림)

고양이가 생선가게를 그냥 못지나친다고 내가 이곳을 그냥 통과할리는 없을 터, 잠시 우이령을
잊고 석굴암을 찾았다. 석굴암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유격 표석의 위엄 - 이제는 이곳의 상징물이 되어 우이령길 사진의
단골 모델로 자주 등장한다.

▲ 유격광장에서 바라본 오봉의 위엄 (왼쪽 바위 봉우리는 관음봉)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에서는 어디서든 오봉(五峯, 660m)이 바라보인다. 오봉산(五峯山)이라 불
리기도 하는데, 이들은 도봉산의 뒷쪽으로 5개의 봉우리가 위엄을 뽐내며 속세를 굽어본다. 이
런 멋드러진 봉우리에는 옛 사람들이 붙인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있기 마련이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랑이가 담배 피다 암에 걸리던 시절, 양주 고을에 총각 5명이 살고 있었는데, 양주목(楊州牧
) 원님(사또)의 외동딸이 참 이쁘다고 하여 서로 장가를 들고자 시합을 벌였다. 아마도 원님이
시합을 붙인 듯 싶다. 시합이란 바로 우이령 서쪽에 있는 상장능선에 올라 그곳의 바위를 오봉
에 던져올리는 것, 그들 가운데 누가 이겼는지는 전설을 지은 옛사람의 생각이 짧아 나오지는
않지만 그들로 인해 오봉이 저렇게 묘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허나 사람 주제에 어찌
저런 봉우리를 만들 수 있을까?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대작품을 사람 따위가 황당한
전설로 가로채려고 하니 한편으로는 괘씸하기도 하다.

우이령에서 뻔히 보이는 오봉이지만 정작 여기서는 오르지 못한다. 그곳에 가려면 무조건 도봉
산을 거쳐야 되며, 우이령과 석굴암에서 가는 길은 모두 통제되었다.


▲ 석굴암입구~우이령길 정상 구간 (1)

석굴암입구 유격광장을 지나면 우이령길은 기존보다 조금 작아지고 길을 둘러싼 숲은 더욱 삼
삼해진다. 여기서부터 우이탐방지원센터까지가 우이령길의 단연 갑(甲)이자 심장과 같은 구간
으로 인간의 언어와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 시건방질 정도로 미치도록 아름답다. 벌써부터 누렇
게 뜬 낙엽이 길 주변을 잔잔히 덮어 겨울 제국의 도래가 멀지 않았음을 가늠케 하며, 사람도
별로 없어 뚜벅거리는 발자국 소리가 미안할 정도로 한적하다. 그야말로 산바람과 새의 지저귀
는 소리가 전부인 자연의 공간이다. 산내음이 진하게 우려진 이런 길을 거닐면 아무리 문학의
문외한이라도 시(詩) 한 수, 읊어주거나 지어야 되는데, 그럴 실력이 되지 못함이 애석하다.


▲ 석굴암입구~우이령길 정상 구간 (2)

▲ 석굴암입구~우이령길 정상 구간에서 만난 조그만 계곡

▲ 오봉과 우이령 산줄기 너머로 보이는 도봉산의 잘생긴 뒷통수

▲ 하늘과 가까워질수록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오봉의 기묘한 위엄

▲ 석굴암입구~우이령길 정상 구간 (3)

▲ 우이령길 정상과 대전차 장애물 (우이동 방향)

▲ 우이령길 정상과 대전차 장애물 (송추 방향)

석굴암입구에서 살랑살랑 20분 정도 오르면 우이령길 정상이다. 여기서부터 경기도 양주시에서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으로 바뀌는데, 행정구역이 싹 바뀐다고 해서 고갯길과 주변 풍경이 죄다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건 어디까지나 인간이 편의상 그어놓은 것에 불과하다.

우이령길 정상에는 돌로 쌓은 방어시설이 있는데, 이는 탱크의 저지를 막는 대전차(對戰車) 장
애물(고가 낙석)이다. 이 장애물은 6.25 이후 북한의 침공에 대비코자 만든 것으로 전차(탱크)
가 밀려올 때 석축 위에 올려진 콘크리트 덩어리를 떨어뜨려 탱크의 진입을 막는 시설이다. 서
울과 경기도 북부(고양, 양주, 구리, 남양주 방면)로 넘어가는 고개, 경기도와 강원도 북부권
고갯길에 주로 설치되었는데, 다행히 저들이 제대로 쓰인 적은 없으며, 근래에는 서울 주변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과 도로 개선으로 조금씩 없어지는 추세다. (파주나 양주, 포천, 연천, 화
천 등 전방 쪽은 많이 남아있음)

남북분단이 빚은 어이없는 작품으로 겉모습은 참 정떨어지지만 20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국방
시설로 등록문화재로 삼아 보존할 가치는 충분하다 여겨진다. 혹여 나중에 통일이 되고 주변
나라를 아우르는 놀라운 시대가 와도 꼭 국방 유적으로 남겨야 될 것이다.


 

♠ 우이령 마무리 (서울 우이동 구간)

▲ 우이령정상~우이탐방지원센터 구간 (1)

우이령길 정상을 지나면 길은 내리막으로 변하고 그나마 조금 가까워진 하늘은 다시 멀어져 간
다. 우이동으로 내려가는 길도 앞서 교현리 구간처럼 느긋한 경사로 길도 잘 닦여져 있어 등산
보다는 마실이나 산책의 기분이 진하게 든다.

우이령의 우이동 구간은 딱히 명소나 특별한 존재는 없으며, 그저 삼삼하고 비단처럼 고운 숲
길의 연속이다. 하늘과 멀어질 수록 숲에 가려 보이지 않던 속세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그런 길을 15분 정도 내려가면 우이령길의 남쪽 검문소인 우이탐방지원센터가 나온다. 이로써
우이령길의 금지된 구간은 모두 완주한 셈이며, 여기서부터 우이동 광장까지는 항시 개방되는
구간이다.


▲ 돌탑의 보금자리
속인(俗人)들이 쌓아올린 산악신앙의 소박한 현장 ▼



▲ 우이령정상~우이탐방지원센터 구간 (2)

▲ 우이령정상~우이탐방지원센터 구간 (3)

▲ 우이령정상~우이탐방지원센터 구간 (4)

▲ 우이탐방지원센터 주변

우이탐방지원센터를 지나면 비로소 자유의 공간이다. 이곳에서 길은 2갈래로 갈리는데, 우이동
유원지의 번잡함을 피하고 싶다면 오른쪽 길로 가면 되며, 우이령을 넘어온 북한산둘레길은 바
로 오른쪽 길로 해서 내려간다. 그리고 먹거리나 우이동유원지를 원한다면 그냥 직진한다.

둘레길의 일원인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우이동 계곡인데, 다리 주변에 사람들이 쌓아놓은 돌탑
들이 우리나라 7천만 인구 마냥 가지각색의 모습으로 마이산 탑사(馬耳山 塔寺)의 간지나는 돌
탑을 꿈꾸며 조촐히 장관을 이룬다. 우이동은 우리 동네 옆이라 자주 가는 곳이지만 우이동광
장에서 우이령 구간은 처음 와본다.


▲ 우이동계곡 돌탑들
돌탑이 뿌리를 내린 돌에 푸른 이끼가 가득하니 이곳이 그만큼 청정하다는 뜻이다.

▲ 바위 위에 왠 소나무 분재
돌로 두툼히 석축을 쌓고 키 작은 소나무를 심었다.

▲ 우이동유원지 외곽길 (1)

▲ 우이동유원지 외곽길 (2)

우이령 남쪽에 옥의 티처럼 자리한 우이동유원지는 우이동광장에서 우이탐방지원센터 직전에
이르는 약 1.4km의 길쭉한 산간 마을이다. 이곳은 다른 이름 돋는 산이나 관광지와 마찬가지로
산채비빔밥과 닭백숙, 오리고기, 도토리묵, 동동주, 두부 음식, 고기류, 동동주 등을 다루는
온갖 식당들이 즐비하며, 민박과 산장 등의 숙박시설, 수련원과 연수원 등이 정신없이 들어서
있어 서울 지역 대학교와 직장, 동호회의 당일, 1박 모임 장소로 인기가 높다.

이곳은 엄연히 북한산국립공원 구역이지만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형성된 마을이다.
북한산국립공원이 2000년 이후 북한산성(北漢山城) 내부에 오래된 자연 마을인 북한동(北漢洞)
마을을 철거하고 등산로 기점 가운데 어수선한 곳을 많이 정비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우이동유
원지는 아직 손을 대지 못했다. 유원지 남쪽에는 훼밀리랜드와 그린파크호텔도 있지만 현재는
망해서 문이 닫힌 상태이다.

우이동유원지의 번잡함을 피하고 싶다면 외곽길(유원지 기준 서쪽 길, 우이탐방지원센터에서
오른쪽 길 이용)을 이용하기 바란다. 수목이 삼삼히 우거진 완연한 숲길로 길 동쪽에는 유원지
식당과 숙박업소의 철담과 나무 담장이 길게 둘러져 있다. 또한 길 중간에 유원지로 들어가는
조그만 길이 여럿 있으니 먹거리를 원한다면 그 길로 들어가면 된다.

그렇게 우이동유원지 외곽길을 정신 없이 내려가 오후 4시 반에 우이동 광장에 도착했다. 우이
탐방지원센터는 3시 반에 통과했다. 산을 탔으니 조촐하게 뒷풀이는 해야 되겠지. 우이동유원
지에 양의 털처럼 널린 식당에서 먹으려고 했으나 이곳이 초행길이고 정보가 어두워 다 지나쳤
다. 그래서 서울 동북부 부도심인 수유역으로 나와 닭갈비에 맥주로 늦은 점심을 배불리 먹고
그날의 일정을 기분 좋게 마무리지었다.

이렇게 하여 늦가을 우이령길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우이령이 비록 제약이 많은 공
간이라 아쉬움은 다소 있지만 서울 근교에서 제법 환경이 잘 보존된 구역인만큼 지금처럼 제한
적 탐방제도를 유지했으면 좋겠다. 근래 양주시에서 예약이 필요없는 자유탐방을 요구하고 있
지만 그건 우이령의 숨통을 끊는 행위라고 본다. 하루 예약 인원을 지금보다 조금 늘리는 선에
서 끝내면 좋을 듯 싶으며, 휴식년제를 도입해 적으면 몇 달, 길면 몇년 정도의 휴식기를 주어
속인들로부터 자유를 주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그것이 우이령길이 서울 근교의 숨겨진 아름다
운 숲길로 길이 길이 보존되는 방법이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에 따라 글이 조금은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문장 맞춤이나 간격 등) 스마트폰으로 볼 경우 다소 불편
할 수 있으니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 공개일 - 2016년 11월 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도심에서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아름다운 계곡을 옆구리에 차고 있는 ~~ 북한산 진관사 (진관사계곡)



' 북한산 진관사 여름 나들이 (진관사계곡) '

▲  진관사 경내

진관사 독성전, 칠성각

▲  진관사 독성전과 칠성각

▲  진관사계곡 폭포




뜨거운 도가니와 같았던 7월의 끝 무렵, 여름 제국(帝國)의 혹독한 핍박에서 잠시 벗어나
고 싶은 마음에 북한산(삼각산) 진관사계곡과 진관사로 피서 순례를 떠났다.

서울에서 계곡하면 북한산에 안긴 계곡들을 으뜸으로 쳐주는지라 서울에 몇 남지 않은 미
답처(未踏處)인 불광사(佛光寺)계곡으로 가려고 했다. 허나 사람의 마음은 갈대라고 이미
익숙해진 진관사와 진관사계곡으로 마음이 기울면서 오랜만에 진관사로 발걸음을 향했다.
서울 서북부의 중심지인 연신내역에서 일행을 만나 간단히 먹거리를 사들고 서울시내버스
701번(진관차고지↔종로2가)에 의지하여 진관사(삼천사)입구에서 두 발을 내린다. 여기서
전원 풍경이 눈을 시리게 하는 진관길을 7분 정도 들어서니 일주문이 멀리감치 나와 우리
를 맞는다.

진관사입구에서 일주문 사이에는 조선 성종(成宗)의 아들인 영산군묘역(寧山君墓域)과 영
산군의 생모인 숙용심씨묘표(淑容沈氏墓表) 등의 문화유산이 있고, 1968년 1,21사태를 일
으킨 김신조 공비 일당이 거쳐갔던 산길임을 알리는 안내문이 있으며, 북한산둘레길의 마
실길과 구름정원길이 이곳에서 서로 간판을 바꾸어 제 갈 길로 흘러간다.


 

♠  진관사 입문

▲  진관사의 정문인 일주문(一柱門)

1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진관사도 그 몇 년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그새 적지 않은 변화를 보여
주었다. 절에 들어서기도 전에 예전에는 없던 문이 나를 어리둥절하게 만들었으니 그 문은 바로
일주문이다.
그렇다면 그 문이 있기 전에는 진관사에 그 흔한 일주문이 없었을까? 그건 아니다. 여기서 경내
로 더 들어가면 1970년에 지어진 예전 일주문이 있다. 그 문이 40년 동안 일주문 역할을 하였으
나 2012년 속세 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주차장에 나무로 새 일주문을 만들고 기존 일주문은
해탈문으로 용도를 바꾸었다.

이전보다 더 크게 세워진 일주문은 그 위치가 길의 중앙이 아닌 너무 좌측으로 밀려나 있어 조
금은 뒷전으로 밀려난 기분을 준다. 그러다보니 산꾼과 중생들 대부분은 절의 관문인 일주문을
애써 지나지 않고 옆으로 지나간다. 문에게 그런 굴욕을 준 이유는 절을 찾는 차량들과 사람들
의 통행 편의 때문일 것이다.
참고로 일주문 주변은 2008년 이전까지 조그만 마을이 터를 닦고 있었다. 산꾼과 속세 사람들을
상대로 장사를 벌였던 식당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진관사에 갈 때마다 그들이 흘린 음식
냄새에 정신을 잃곤 하였다. 허나 북한산 주변을 정비하면서 마을을 모두 밀어버리고 그 자리에
소나무와 갖은 나무를 심었으며, 마을까지 들어왔던 시내버스<7723번, 옛 454-2번>도 진관사입
구로 멀리감치 물러나 거기서 육중한 바퀴를 돌린다.

▲  극락교 밑을 흐르는 진관사계곡
(극락교 우측)

▲  진관사계곡과 나무 탐방로
(극락교 좌측)


▲  진관사 해탈문(解脫門)

일주문을 지나 극락교에서 졸졸졸~♪ 흐르는 계곡에 나의 번뇌를 힘껏 내던지며 흩어진 마음을
가다듬어 본다. '번뇌야 제발 바람 따라 멀리멀리 가거라~!' 주문을 해도 그 번뇌가 얼마나 무
거운지 떠내려가지도 않고 나를 기다리며 외친다. '잠시 너를 놓아줄테니 좋은 말 할 때 언능
내려와~~!!'

극락교를 지나면 시원스런 팔작지붕의 해탈문이 중생을 맞는다. 이 문은 원래 진관사의 일주문
으로 1970년에 진관이 만들었다. 전통 방식으로 만들지 않고 콘크리트로 기둥을 세우고 지붕만
나무로 한 형태로 한글로 가로식으로 쓰인 '삼각산 진관사' 현판이 걸려있었다. 콘크리트로 기
둥을 삼은 것도 그렇지만 현판 글씨도 전통식이 아닌 너무 현대식이라 옛 절의 면모가 다소 떨
어지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는데, 진관사도 그 부분이 계속 마음에 걸렸는지 2012년에 새로
일주문을 짓고 기존의 일주문은 해탈문으로 이름을 갈았다.

해탈문을 들어서면 숲에 가려 보이지 않던 진관사가 슬그머니 모습을 드러내며, 문의 이름처럼
해탈을 해야 하건만 그게 참 쉽지가 않다. 그래서 부처는 아무나 되지 못하는 모양이다.


▲  석종형 승탑(僧塔)과 2기의 빛바랜 비석들

일주문을 지나면 왼쪽에 숲으로 인도하는 오솔길이 보일 것이다. 그 길은 삼천사로 넘어가는 산
길로 그 오솔길로 들어서면 근래에 지어진 때깔이 고운 사적비와 공덕비를 비롯하여 수풀 속에
자리한 석종형 승탑과 비석들이 나란히 3형제를 이루며 서 있는 모습이 두 눈에 들어올 것이다.

3형제 가운데 왼쪽에 자리한 승탑은 '혜월당대선사우성탑(慧月堂大禪師宇性塔)'으로 승탑에 잠
든 혜월당은 20세기에 활동했던 승려이다. 그 옆에 지붕돌을 인 빛바랜 비석은 조선 후기에 세
워진 것으로 정3품 벼슬을 지낸 전사명(全士明)의 석교송덕비(石橋頌德碑)와 자선송덕비(慈善頌
德碑)이다. 비석을 하나도 아닌 2개씩이나 지어줄 정도면 절에 대한 지원이 꽤 상당했던 모양이
다. 이래서 속세나 절이나 돈은 중요하다.

▲  2012년에 세워진 진관사 사적비(事積碑)와
공적비(功績碑)

▲  초가로 이루어진 진관사 찻집
(2015년 이전)


▲  진관사 돌담길 - 길 오른쪽(홍제루 방향)에는 진관사계곡이
속세를 향해 힘차게 물-질을 한다.

 ◀  진관사 은행나무 - 서울시보호수 12-3호
진관사에는 오래된 보호수가 3그루가 있다. 그
중 찻집 옆에 서 있는 이 은행나무는 그 막내로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되었는데, 지정 당시 나이
가 약 115년이라고 하니 그새 30년의 세월이 추
가되어 약 150년 정도 된다. 높이는 26m로 경내
에서 가장 높으며 둘레는 3m이다.


▲  진관사계곡에 걸려있는 세심교(洗心橋)
선암사 승선교(昇仙橋)를 꿈꾸는 것일까? 하얀 피부의 맨들맨들한 세심교는 경내와
함월당, 길상원, 공덕원을 이어주는 돌다리로 근래에 지어졌다.

▲  홍제루 정면

경내를 가리고 선 홍제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중층 건물로 절의 속살을 보이기 싫
은지 좌우로 담장을 두르며 경내를 꽁꽁 가리고 있다.
이 건물은 1977년에 진관이 세운 것으로 지붕은 호화롭게 청기와로 꾸몄으며, 아랫 층은 경내로
인도하는 통로로 가운데 계단을 올라서면 대웅전을 비롯한 경내가 흔쾌히 모습을 나타낸다.

홍제루 윗층은 교육 공간으로 수륙재를 비롯한 절의 행사 때는 단체 공양 장소로 쓰이기도 한다
. (예전 진관사 행사에 참여했을 때 여기서 점심공양을 한 적이 있음) 그리고 홍제루를 들어서
오른쪽으로 가면 커피 자판기와 두 다리를 쉴 수 있는 쉼터가 있다.


▲  홍제루 뒷면 (경내)

▲  홍제루 앞에 자라난 오래된 느티나무

홍제루 앞에는 오랜 세월을 머금은 느티나무 2
그루가 서로를 보듬으며 앞다투어 그늘을 드리
운다. 나무가 뿌리를 내린 위치가 평평한 곳이
아닌 계곡변 90도 벼랑이라 어떻게 저런 험난한
자리에서 어엿하게 자라날 수 있었는지 그저 신
기할 따름이다.
이들 느티나무는 1982년에 서울시 보호수 12-4,
12-5호로 지정되었는데, 지정 당시의 저들 나이
가 230년이라고 한다. 그새 30년에 세월이 얹혀
졌으니 나이는 260년 정도 된다. 높이는 각각
18m, 19m, 둘레는 3.1m, 2.5m이다. 둘이 워낙
따닥따닥 붙어있어 보호수 안내문이 아니면 누
가누군지 분간하기가 쉽지 않다.


▲  석조 옆 화단에 심어진 옛 주춧돌과 석물들
6.25때 파괴된 옛 건물의 주춧돌 3개가 화단에 벌러덩 누워 있다. 어느 건물을 받치던
주춧돌이었을까? 받쳐들 상대를 잃은 주춧돌의 허전한 대머리를 달래주려는 듯
합장인을 선보인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거북이상을 그들 머리에 두었다.

▲  진관사 석조(石槽)
석조에는 북한산이 베푼 물로 조그만 바다를 이룬다. (가뭄 때는 맨바닥을 드러냄)
허나 속세의 때를 탔는지 식수 불가가 되어 석조에 고인 물은 그야말로
그림의 물이 되었고, 석조는 경내를 수식하는 장식물이 되고 말았다.
그럼 여기서 잠시 진관사의 내력을 짚어보도록 하자~~


※ 서울 서북부 제일의 고찰, 수륙재의 성지(聖地)인 북한산 진관사(津寬寺)
① 고려 현종의 이야기가 서린 진관사의 창건 설화
북한산(삼각산) 서쪽 자락에 포근히 둥지를 튼 진관사는 조계종(曹溪宗) 소속으로 조계사의 말
사(末寺)이다. 조선시대부터 불암산 불암사(佛巖寺), 삼성산 삼막사(三幕寺), 북한산 승가사(
僧伽寺, ☞ 관련글 보러가기)와 더불어 서울 근교 4대 명찰의 하나로 명성을 누렸으며 서울 서
북부에서 가장 크고 잘나가는 절이었다.

진관사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하나 있다. 바로 고려 8대 제왕인 현종이다. 그는 자신을 구
해준 진관대사(津寬大師, 진관조사)를 위해 이 절을 지어주었는데, 그 사연은 다음과 같다. 워
낙에 유명한 이야기라 사극이나 영화 소재로 써도 손색은 없을 것이다. (이미 사극 '천추태후'
에서 1번 써먹었음)

현종(992~1031, 재위 1009~1031)은 고려 태조(太祖)의 아들인 안종 왕욱(安宗 王郁, ?~997)과
태조의 손녀인 헌정왕후(獻貞王后) 황보씨의 소생으로 이름은 왕순(王詢)이다. 헌정왕후는 태조
의 아들인 대종 왕욱(大宗 王旭, ?~969)의 딸로 그녀의 남편인 안종과 한자만 다를 뿐 이름은
같으며, 헌정왕후도 엄연한 왕씨이나 고려 황족(皇族)들은 족내혼(族內婚)을 너무 선호한 탓에
공주를 비롯한 왕족 여인들은 보통 외가의 성을 땄다. 그래서 외가인 황보<皇甫, 황해도 황주(
黃州) 지역 세력가>씨를 칭하게 된 것이다.

헌정왕후는 사촌인 경종(景宗, 재위 975~981)에게 시집을 갔으나 981년 경종이 붕어(崩御)하자
사저로 나와 살던 중, 숙부가 되는 안종과 친해지게 된다. 그들은 숙부와 조카 사이임에도 그
경계를 넘어섰고, 그 결과 현종(왕순)을 낫게 되었으나 극심한 산고(産苦)로 죽고 만다.
그의 오라버니인 성종(成宗)은 그 책임을 물어 안종을 멀리 경상도 사천(泗川)으로 귀양보냈는
데, 나중에 왕순을 내려보내 직접 기르도록 했다. 하지만 안종 역시 오래 살지는 못하고 997년
거기서 숨을 거둔다.
이후 성종은 왕순을 다시 불러 궁중에서 길렀고, 성종이 997년 붕어하자 왕순의 사촌인 목종(穆
宗)이 제위에 오른다. 목종은 경종과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왕순의 큰 이모)의 아들로 그
가 제위에 오르자 왕후는 그 이름도 유명한 천추태후(千秋太后)를 칭하게 된다.

천추태후는 김치양(金致陽)이란 오랜 정인(情人)이 있는데, 그 사이에서 아들까지 낳아 부부행
세를 하기에 이른다. 유약한 목종은 특이하게도 동성연애를 빠져 점점 병약해지고 아들을 포기
한 태후와 김치양은 그들의 아들을 제위에 올리고자 안간힘을 쓴다. 마침 목종은 아들도 없었으
므로 그가 죽으면 별탈없이 김씨가 제왕이 될 수도 있다. 허나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친조카
인 왕순의 존재였다.

김치양은 고려 왕실을 뒤엎고 새 왕실을 세우려는 욕심 때문인지 왕순을 죽이고자 혈안이 된다.
그래서 그를 숭경사(崇慶寺)에 보내 죽이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진관사의 전신(前身)
으로 여겨지는 북한산 신혈사(新穴寺)로 쫓아내 비밀리에 자객을 보냈다.
당시 신혈사에는 진관대사가 머물고 있었는데, 왕순의 위급함을 눈치채고 불단(佛壇) 밑에 굴을
파 그를 숨기는 등 3년 동안 지켜주면서 자객은 결국 헛탕만 치고 만다. 젊은 나이에 드러누운
목종은 왕순을 후계자로 정하며 대량원군(大良元君)에 봉해 즉시 그를 데려오도록 했다.
그래서 왕순은 무사히 개경(開京)으로 돌아왔고, 1009년 북쪽에서 반란을 일으킨 강조(康兆)에
의해 제위에 오른다.

1010년 요나라(거란) 성종(成宗)이 강조의 난을 따진다는 이유로 친히 4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
어왔다. 초반에 강조가 검차(檢車)를 이용하여 꽤 선전을 했으나 자만으로 인해 크게 패하였고,
그 여세로 개경이 함락되자 현종은 눈물을 머금고 나주(羅州)까지 먼 길을 몽진했다. 1011년 거
란군이 토벌되어 개경으로 환궁을 했는데, 바로 그 해에 진관조사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신혈사
인근에 절을 지어주고 그의 이름을 따서 진관사라 했다.
절은 1012년 가을에 완성되었으며, 대웅전이 10칸, 동/서 승당(僧堂)이 각각 30칸, 청풍당(淸風
堂)과 명월요(明月寮)가 10칸, 기타 일주문, 해탈문, 종각 등 규모가 상당했고, 불상과 온갖 물
품까지 현종이 하사했다. 그리고 진관조사를 국사(國師)로 삼았다.
이렇게 제왕의 어려웠던 시절을 구해준 깊은 인연으로 태어난 진관사는 고려 왕실의 지원을 두
고두고 입으며 크게 승승장구한다.

② 딱 천년 묵은 진관사, 창건 이후 지금까지의 과정
1090년 선종(宣宗)은 남경(南京, 서울 도심)에 행차하면서 진관사에 친히 들려 오백나한재(五百
羅漢齋)를 열었다. 그리고 1099년 숙종(肅宗)이, 1110년에는 예종(睿宗)이 남경을 순행하는 과
정에서 들리면서 여러 보물을 하사했다. 당시 진관사는 승가사, 장의사(長義寺)와 더불어 서울
에서 가장 잘나가는 절이었다.

1392년 천하가 조선으로 강제로 바뀐 이후에도 진관사의 명성은 여전했다. 태조 이성계는 고려
를 뒤엎으면서 마구잡이로 죽인 고려 왕족과 백성들의 혼을 달래고 민심 안정과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수륙재(水陸齋)를 계획한다. 그래서 서울과 가까운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 사찰 가운
데 마땅한 장소를 물색했는데, 진관사가 딱 적합하다는 보고에 따라 재를 지낼 수륙사(水陸社)
를 짓게 했으며, 1397년 건물이 완성되자 친히 낙성식에 참여하여 거하게 수륙재를 여는 한편,
권근(權近)에게 '수륙사 조성기(造成記)'를 작성토록 했다. 그 인연으로 진관사는 수륙재의 중
심 도량이 되어 변함없는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그때 지어진 수륙사와 부속건물은 59칸 규모로 상/중/하단의 3단을 기본 구조로 하여 중/하단에
회랑(回廊)을 설치하는 등, 자못 위엄이 있는 규모였다.

참고로 수륙재는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물과 땅을 헤매는 고혼(孤魂)들을 천도하는 일종의 천도
재로 영산재에 비해 공익성이 큰 불교의 주요 행사이다. 양나라 무제(武帝, 502~549) 때 처음
시작되었다고 하며, 이 땅에서는 940년(고려 태조 22년) 12월에 처음 시작되었다.

1413년 태종은 일찍 죽은 4번째 아들 성녕대군(誠寧大君)을 위해 수륙재를 열고 향과 제교서(祭
敎書)를 내렸으며, 수륙재위전(水陸齋位田) 100결을 하사해 경비로 쓰게 했다. 그 이후 매년 1
월 또는 2월 15일에 국가 주도의 수륙대재가 열리면서 왕족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구름처럼 몰
려와 재에 참여했고, 서울 근교 제일의 사찰로 굳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421년에는 세종(世宗)이 부모인 태종 내외의 명복을 빌고자 재를 지냈는데, 이때부터 왕실의
각종 재를 지내는 역할까지 담당하게 된다. 또한 1442년 세종은 집현전(集賢殿) 학사들의 공부
를 독려하고자 독서당(讀書堂)을 경내에 설치해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등 많은 문인
들이 이곳에서 머리를 싸매고 독서를 했다.

1452년에 중수를 벌였고, 1463년 화재로 건물 일부가 타버리면서 1470년에 중건했다. 이후 별탈
없이 지내오다가 1854년과 1858년에 중수했으며, 1879년에 당두화상(堂頭和尙) 경운(慶雲)이 34
칸을 지었다. 그리고 1908년 송암(松庵)이 경내에 오층석탑을 세웠으며, (경내 서쪽 외곽에 있
음) 명부전에 불상과 시왕탱을 개금했다. 또한 독성전과 칠성각을 짓고, 자신의 토지를 절에 기
증해 '백련결사염불회'의 자원으로 쓰게 했다.

1950년 6.25전쟁 때 공비 토벌 작전 과정에서 나한전과 칠성각, 독성전을 제외하고 모두 파괴되
는 비운을 겪었으며, 초라한 몰골로 있던 것을 1963년 비구니 최진관<진관(眞觀)>이 이곳 주지
로 들어와 절을 다시 일으켜 세웠다. 비록 살아남은 칠성각 등 3동을 제외하고는 예전 가람과는
다르게 중창되어 아쉬움이 다소 있으나 진관의 노력으로 예전 규모를 어느 정도 회복하였으며,
1980년 대웅전과 주요 건물의 기와를 청기와로 도배했다. 그리고 1992년 공양간과 요사를 새로
지었으며, 1996년 코끼리유치원, 2007년에 사회복지법인 진관 무위원을 세워 어린이 교육과 사
회복지, 포교에 나섰다.

2009년에는 칠성각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3.1운동 시절 승려 백초월이 사용했던 태극기와
독립신문 등이 발견되어 매스컴을 크게 흔든 바가 있으며 이때쯤 수륙사터를 발굴 조사하였다.
2012년에는 일주문을 새로 지었고, 2015년에는 경내 북쪽을 싹 밀어 산사음식연구소, 보현다실
등 사찰 음식과 전통 찻집, 템플스테이를 다루는 건물을 요란하게 지어올려 절의 사세를 한껏
뽐내었다.
또한 진관의 주도로 오랫동안 잊혀진 옛 수륙재(국행수륙대재)를 복원하고자 동분서주하여 1982
년 자운율사의 의해 힘들게 복원에 성공, 이후부터 매년 윤년 윤달에 수륙재를 봉행하고 있으며
, 2012년부터는 매년 여름과 가을에도 개최하여 수륙재의 전통을 힘차게 이어나가고 있다. 그렇
게 진관사를 반석 위에 올렸던 우리나라 비구니의 원로, 진관은 바로 얼마 전 2016년 7월 3일
한낮에 88세의 나이로 열반에 들어 영원히 진관사에 깃들게 되었다.

③ 진관사의 현재
경내에는 법당(法堂)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독성전, 칠성각, 나한전, 나가원, 요사, 서
별원, 홍제루, 범종각 등의 크고 작은 건물이 있으며, 세심교 건너에도 함월당과 길상원, 공덕
원 등의 여러 건물이 있어 도합 약 20동의 건물을 지니고 있다.
소장문화유산으로는 칠성각에서 발견된 태극기 및 독립신문류(등록문화재 458호)를 비롯해 칠성
각과 독성전, 석불좌상, 독성도, 소조3존불상, 소조16나한상, 산신도, 칠성도, 수륙무차평등재
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23호) 등 지방문화재 10여 점을 간직하고
있어 절의 오랜 내력을 대변해준다. 또한 이곳의 자랑인 수륙재는 '진관사 수륙재'란 이름으로
국가 무형문화재 126호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100~200년 묵은 보호수 3그루가 있어 고색의
무게를 조금 보탠다.

서울 도심과 가까운 산사로 울창한 숲속에 묻혀있으며, 멋드러진 진관사계곡을 옆에 끼고 있어
경관도 일품이라 세종이 왜 이곳에 독서당을 지었는지 알만하다. 첩첩한 산골에 자리하여 산사
의 내음도 진하게 풍기고 있으며, 비구니 사찰이나 경내가 깨끗하고 정갈해 어수선한 마음마저
싹둑 가다듬게 만든다. 속세에서 나를 잠시 지우고 싶은데 멀리 가기가 힘들 때 찾아와 안기고
싶은 곳으로 한여름에 오면 절을 둘러보고 윗쪽 계곡에 올라가 피서를 즐기면 아주 극락이 따
로 없다.

※ 진관사 찾아가기 (2016년 8월 기준)
* 지하철 3/6호선 연신내역(3번 출구)에서 701, 7211번 시내버스를 타고 하나고(삼천사/진관사
  입구)에서 하차하여 도보 15분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3번 출구)에서 7723번 시내버스를 타고 하나고(삼천사/진관사입구)에
  서 하차
* 연신내역 3번 출구 밖 하나은행 앞에서 진관사 셔틀버스 이용. 평일은 1일 4회, 행사가 있는
  날과 주말은 9회 운행한다. (8시부터 10시대까지 운행)
* 진관사 일주문 주변에 주차장이 있으며 홍제루까지 차량 접근 가능

★ 진관사 관람정보
* 진관사는 템플스테이(Temple Stay)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중이나 주말에 1박 2일을 머
  무는 휴식형(14시부터 다음날 10시까지)과 불교문화 체험형, 단체형, 어린이 템플스테이. 청
  소년 템플스테이 등이 있으며, 예불과 참선, 다담(茶談), 발우공양, 108배, 안행(安行), 연꽃
  등 만들기, 사찰음식 체험 등을 제공한다. 1박2일 가격은 성인 7만원, 청소년과 어린이는 5만
  원이며, 템플스테이 신청과 자세한 정보는 진관사 홈페이지를 참조한다.
  (문의 ☎ 02-359-8410)
* 진관사 홍제루에서 계곡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폭포가 등장하며, 여기서부터 진관사계곡의 숨
  겨진 절경이 마음을 앗아간다. 서울에서 제법 잘생긴 계곡이니 꼭 살펴보기 바란다. 또한 진
  관사계곡 산길은 2015년 이후 길이 다소 정비되었다고 하나 바위 벼랑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
  심을 기해야 되며, 탐방로에서 계곡까지는 대부분 바위를 타고 내려가야 된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354 (☎ 02-359-8410)
* 진관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칠성각에 봉안된 귀여운 석불좌상과 칠성도


 

♠  진관사 대웅전 주변

▲  서쪽을 바라보고 선 대웅전(大雄殿)

홍제루를 들어서면 바로 정면으로 법당인 대웅전이 마주한다. 정면 5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 건
물로 1965년에 진관이 세웠으며, 1980년에 그 비싸다는 청기와를 입혀 화려함을 한껏 드러내고
있다. 불단에는 1966년에 조성된 석가/미륵/제화갈라보살상을 중심으로 1967년에 제작된 삼신불
후불탱, 신중탱(1967년), 오여래탱(1990년), 범종(1966년), 1934년에 그려진 현왕탱(現王幀) 등
이 내부를 눈부시게 수식한다.

대웅전 뜨락에는 푸른 잔디가 정갈하게 깔려져 입혀져 있고, 건물 바로 앞에 석등(石燈) 2기가
자리한다. 허나 법당 앞에 으례 있는 석탑은 없는데, 원래는 1908년에 세운 5층석탑이 하나 있
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지금은 경내 구석에 몰래 찌그러져 있으니 아마도 풍수지리(風水地理)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곳이 계란을 상징하는 지형인데, 탑을 세우면 계란이 자칫 깨질 수 있
어서 그런듯)


▲  대웅전 불단을 지키는 석가/미륵/제화갈라보살

법당의 3존불이면 보통 중심 불상과 협시불(夾侍佛)을 짧은 간격으로 배치하는데 반해, 이곳은
서로가 조금씩 거리를 두며 독자적인 모습으로 앉아있다. 이들은 1966년에 조성된 것으로 가운
데 앉아있는 불상이 불교의 1인자인 석가불이고, 그의 왼쪽은 미래의 부처로 일컬어지는 미륵보
살(彌勒菩薩), 오른쪽은 과거불인 제화갈라(提華褐羅)보살로 이들은 법화경(法華經)에 나오는
수기3존불(授記三尊佛)이다.
가운데에 자리한 석가불을 빼고는 모두 보살(菩薩)의 신분이라 탐이 날 정도로 화려한 보관(寶
冠)을 쓰고 있으며, 다들 온화한 미소로 삶에 지쳐 찾아온 중생을 격려한다. 그리고 그들 뒤에
는 각각 후불탱화가 걸려있는데, 이들은 1967년에 제작된 것으로 석가불 뒤에는 비로자나불(毘
盧舍那佛)을 담은 후불탱이, 미륵보살 뒤에는 노사나불(盧舍那佛)이 담긴 후불탱화, 제화갈라
뒤에는 석가모니 후불탱화가 걸려있다.


▲  진관사 나가원(那迦院)

푸른 잔디가 곱게 입혀진 대웅전 뜨락 우측에는 나가원이 있다. 정면으로 요사인 동별당을 마주
하고 있는 나가원은 한때 경내에서 가장 큰 건물로 1972년에 진관이 지은 것이다. 정면 7칸, 측
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요사 및 대중방(大衆房), 종무소(宗務所)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신
도를 수용하는 대중방에는 1972~73년에 조성된 석조관음보살좌상과 아미타후불탱화가 있다.


▲  나가원 뒷쪽(종무소 쪽)에 놓인 맷돌들
조선 후기와 왜정 때 쓰인 맷돌 3형제가 어처구니를 상실한 채, 뜻하지 않은
장식물이 되어 쓸쓸한 노년을 보낸다. 사람이든 물건이든,
건물이든 뒷전으로 밀려난 모습은 쓸쓸하기 그지 없다.

▲  진관사 동정각(動靜閣)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아련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의 보금자리로 1975년에 지어졌다.
종은 1974년에 조성된 것으로 그 흔한 범종각이 아닌 고요함을 흐트린다는 뜻의
동정각을 칭하는 점이 참 이채롭다.

▲  대웅전과 나가원 뒷쪽

▲  수륙재 행사 천막에 정면이 가려진
명부전(冥府殿)

대웅전 좌측에 자리한 명부전은 1968년에 지어진 것으로 1996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새로 지어졌
다. 지붕에는 푸른 기와가 입혀져 화려함을 더하며, 내부에는 지장보살을 비롯하여 10왕, 판관,
사자, 무독귀왕(無毒鬼王), 도명존자(道明尊者) 등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봉안되어
있다.

건물 내부를 사진에 담으려고 했으나 마침 비구니 1명이 안에서 염불을 중얼거리고 있어 안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  진관사의 보물창고 ~~ 나한전, 독성전, 칠성각

▲  왼쪽부터 독성전, 칠성각, 나한전

진관사에 왔다면 꼭 봐야되는 존재들이 있다. 바로 경내 좌측 구석에 옹기종기 모인 나한전과
칠성각, 독성전 3동(나한전 구역)이 그것이다. 이들은 진관사를 잿더미로 몰아넣었던 6.25 때
도 살아남은 진관사의 옛 건물로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에 지어진 것들이다. 겉보기에는 청
기와로 번쩍이고 덩치도 큰 대웅전이나 나가원, 홍제루에 비해 보잘 것도 없고 구석에 몰려들
있어 속사정을 모르는 이들은 정말 지나치기 일쑤다.
하지만 겉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는 명언이 있듯이 진관사의 지정문화재(무형문화재 제외) 가운
데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를 빼고는 모두 이들 건물 안에 담겨져 있다.
게다가 자리 이동도 없이 예전의 가람배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진관사의 예전 모습을 더듬
는데 좋은 자료가 되어준다.

대웅전과 나가원 등은 대충 둘러봐도 되니 나한전 구역 건물들은 내부까지 꼭 살펴보도록 하자.
그래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독성전과 칠성각은 서울에 있는 칠성각/독성각/산신각 계
열 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이기도 하다.


▲  진관사 나한전(羅漢殿)

나한전 구역에서 유일하게 청기와를 눌러쓴 나한전은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필체의 힘이 넘쳐보이는 명부전 현판은 1886년에 흥선대원군(
興宣大院君)이 쓴 것이라고 전하며, 내부에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한 소조3존불을 비롯해 소조
16나한상, 영산회상도, 16나한도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  나한전 소(塑, 소조) 3존불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3호
후불탱화로 걸린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5호


나한전 불단 유리 안에 소중히 봉안된 소조 3존불은 흙으로 빚어서 도금을 입힌 것으로 가운데
불상은 석가불이고, 좌우에 보관을 쓴 이들은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이다. 대웅전 불단에 봉
안된 수기3존불(授記三尊佛)과 같으며, 석가불은 통통한 얼굴에 좀 경직된 표정이지만 좌우 보
살은 온화한 표정으로 살짝 미소가 드리워져 있다.
이 3존불은 진관사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로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여
겨진다. 서울 토박이 불상 가운데서도 나이가 많은 편으로 얼굴의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그들이
입은 법의(法衣)는 통견의(通肩衣)로 옷주름이 아래로 흘러내리고 있다.

3존불상 뒤에 걸린 영산회상도는 부처가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1884년 상궁(尙宮)들의
시주로 진철(震徹)이 그린 것이다. 구도는 중앙에 부처가 있고, 그 옆에 4명의 보살과 사천왕(
四天王), 6명의 제자를 배치했는데, 빈 공간에는 채운(彩雲)을 가득 채워 여백이 없다.
부처는 얼굴이 양감(量感)있게 표현되었고, 몸을 꽤나 단련한 듯, 힘찬 모습이다. 법의는 통견
으로 두 손은 아미타수인(阿彌陀手印) 비슷한 수인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제스쳐는 조선 후기
불화에서 많이 나온다. 그리고 부처 좌우에는 문수/보현보살이 큰 연꽃을 들고 서 있고, 사천
왕이 각자의 장비를 들고 그들을 호위한다. 또한 상체만 드러내며 합장인을 보이고 있는 제자
가 좌우에 3명씩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횡축의 화면과 단아한 형태, 밝은 주조색 등 19세기 후반 불화의 양식을 잘보여주고
있으며, 그 당시 서울 지역 불화의 베스트급으로 꼽힌다.



▲  나한전 소(塑) 16나한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4호
16나한도(十六羅漢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6호


3존불 좌우에는 부처의 핵심 제자인 16나한상과 16나한도가 자리해 있다. 불단 좌우에 각각 8
구의 나한상이 16나한을 이루고 있고, 그외에 제석상(帝釋像) 1구, 사자상(使者像) 1구, 활력
이 넘치는 인왕상(仁王像) 2구 등 모두 20구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흙으로 빚어 색을 입힌 것으로 진관사를 찾는 수많은 중생처럼 제각각의 모습이라 어느
하나 같은 얼굴, 같은 포즈가 없을 정도로 개성이 넘친다. 게다가 자세나 얼굴 표정도 어느 양
식에 얽매이지 않은 사실적이고 해학적으로 묘사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서울, 경기도 지역의
나한신앙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유물로 가치가 높다.

16나한도는 나한도 4폭과 제석신중도(帝釋神衆圖) 1폭, 사자신중도(使者神衆圖) 1폭 등 총 6폭
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한도(羅漢圖)는 4명의 나한이 산수를 배경으로 시자(侍者)와 동자를 거
느리고 앉아있는 모습이다. 제석신중도와 사자신중도는 나한도 좌우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화면
을 2개로 나누어 구름 속에 있는 제석과 신중, 사자와 신중(神衆)을 그렸는데 근대적인 음영법
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그림은 영산회상도와 마찬가지로 상궁의 시주로 1884년에 진철(震徹), 축연(竺衍) 등이 그
린 것으로 세밀한 필선(筆線)과 정교한 문양 표현, 금니(金泥) 사용 등이 주목된다. 그리고 나
한도에 나와있는 경물(景物)은 당시에 유행하던 민화풍으로 그려져 있어 그 시절 회화 연구에
착한 자료가 되어준다.


▲  진관사 독성전(獨聖殿)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34호

칠성각 옆에 자리하며 나한전을 바라보고 있는 독성전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아주 단촐한 맞
배지붕 건물이다. 부처의 제자로 천태산(天台山)에서 몸을 일으킨 독성<나반존자(那畔尊者)>의
보금자리로 2006년까지만 해도 다른 절과 마찬가지로 독성각이라 불렸으나 진관사에서 이 건물
에 대한 기대감이 큰지 각(閣)에서 전(殿)으로 등급을 높이면서 독성전이 되었다.

이 건물은 1907년에 지어진 것으로 상궁 4명과 부부 2쌍이 돈을 대주었다. 당시에 만들어진 독
성전 공덕기(功德記)에 시주한 사람과 공사 참여자 명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6.25때 운이 좋게
살아남았으며, 1969년에 진관이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조그만 내부에는 소조독성상을 비롯해 독성도, 산신도 등이 있는데, 모두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독성상과 독성도는 유리로 봉해져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고 있다.


▲  소(塑) 독성상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11호
독성도(獨聖圖)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12호

▲  작고 귀여운 소 독성상의 위엄

독성전의 주인장인 독성상은 흙을 빚어서 만든 것으로 인형처럼 귀엽고 아담한 모습이다. 눈썹
은 무지개처럼 살짝 구부러져 있고, 입술은 살짝 다물고 있으며, 입술 위에 엷은 수염이 있다.
눈은 양쪽으로 길게 뜨고 있고, 표정은 동자승을 모델로 만든 듯, 천진난만해 보인다. 이는 독
성의 존재가 백성들에게 아주 가까이 있었다는 뜻이 된다. 왼쪽 어깨에는 옷을 고정한 금구장
식(金具裝飾)이 있으며, 몸통에 비해 얼굴이 좀 크고 무릎이 매우 낮아 신체가 다소 길어 보인
다.
19세기(이르면 1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고색이 묻힌 독성상이 꽤 많은 것 같지만 정작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는 거의 없어 진관사의 독성상은 꽤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그래서 당시 독성
상의 특징과 조각 수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어 지방문화재자료의 지위를 얻었다.

독성상 뒤에 걸린 독성도는 독성을 비롯하여 시자(비서)와 동자 등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그
와 인연이 깊은 천태산으로 보이는 돌봉우리가 여러 개 보이고, 동자 옆에는 소나무가 그려져
있는데, 그림 폭이 2m에 이르러 우리나라 독성도(독성탱) 가운데 제법 큰 편에 속한다. 이 그
림은 1907년 상궁 이씨와 홍순모(洪淳謨)의 시주로 경기도에서 활약하던 화승(畵僧) 경선당 응
석(慶船堂 應釋)이 그린 것으로 채색이 전체적으로 탁해 보이며, 같은 독성인데도 그림에 나온
독성과 앞에 있는 독성상의 모습이 너무 차이가 나 마치 독성의 한참 때 시절과 늙은 시절을
사이좋게 담은 것 같다.


▲  산신도(山神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9호

진관사는 독성전과 칠성각을 갖추고 있지만 유독 산신의 건물인 산신각을 갖추지 않았다. 그래
서 독성전 한쪽에 조촐하게 그의 공간을 마련했다.
산신도에는 유난히 빨간 옷을 입은 산신(山神)과 그의 심부름꾼인 호랑이가 그려져 있는데, 민
화에 나오는 호랑이 이상으로 너무 익살스럽고 귀여워 정말 쓰다듬고 싶다. 그의 긴 꼬랑지는
산신 왼쪽에서 살랑살랑 춤을 춘다. 산신은 인심 좋은 구멍가게 노공(老公) 같으며, 산신도(산
신탱)에 기본으로 등장하는 산은 나와있지 있고, 배경은 그냥 여백으로 남아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그려진 것으로 자세한 제작시기와 시주자, 화승에 대한 정보는
아쉽게도 전해오지 않는다.


▲  칠성각(七星閣)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33호

독성전 옆에 자리한 칠성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조촐한 맞배지붕 건물이다. 1911년에 지어
진 것으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서울, 경기도 지역의 사찰 건물에서 많이 나타나는 건
축 양식인 좌/우/후면을 벽돌로 처리한 화방벽(火防壁)이 설치되었다.
내부에는 석불좌상과 칠성도, 명호 스님 초상화 등이 있으며, 2009년 5월 칠성각을 해체/보수
했을 때 태극기와 독립신문류 등이 발견되어 속세를 한참 떠들썩하게 했다. 


▲  칠성각 석불좌상(石佛坐像)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10호
칠성도(七星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7호

▲  귀여움이 묻어난 칠성각 석불좌상의 위엄

유리로 봉해진 칠성각 불단에는 아기부처를 닮은 아주 조그만 불상이 앉아있어 보는 이로 하여
금 마음의 편안함을 안겨준다.
이 불상은 옥석(玉石)으로 만든 것으로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으며, 1969년에 진관이 개금(改金
)을 입혔다. 불상의 크기를 봐서는 천불상(千佛像)의 일원으로 조성되었다가 따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여겨지며, 이런 불상은 서울과 경기도 북부, 강원도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불상의 머리는 나발로 머리 윗부분에는 육계(肉髻, 무견정상)가 완만하게 튀어나왔으며, 앳되
고 귀여운 인상으로 내가 친견한 불상 가운데 제일 편안하고, 귀여우며. 근엄하지도 무섭지도
없는 온화한 표정이다. 불상의 양손은 손의 바깥부분이 보이도록 다리에 대고 있는데, 그 의미
는 모르겠다. 저건 도대체 무슨 수인(手印)일까?

석불좌상 뒤에 걸린 그림은 칠성도로 1910년 춘담(春潭), 범천(梵天) 등이 그린 것이다. 그림
중앙에는 치성광여래(熾星光如來)를 중심으로 칠성(七星)과 성군(星君) 등이 있다. 청련화(靑
蓮花) 위에 앉은 치성광여래는 붉은 법의를 입고 오른손은 가슴 부위에, 왼손은 무릎 위에서
금륜을 얹고 있으며, 그 좌우에는 7구의 칠성이 여래를 향해 합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밑에
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이 여의(如意)를 들고 있는데, 일광은 붉은 해를,월광은 하얀 달이 그려진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그 옆에는
도교식으로 표현된 칠원성군(七
元星君)이 홀을 들고 서 있다.

이 그림은 두터운 설채법(設彩法), 붉은 적색의 주조색(主調色)에 감색과 녹색이 조금 섞인 채
색, 등장 인물 얼굴에 칠해진 두터운 호분(胡粉) 등의 표현에서 20세기 초반 불화 양식을 보여
주고 있으며, 조성 연대와 그림을 그린 승려 등이 나와있고 서울에서 보기 드문 칠성도(七星圖
)의 작례(作例)로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  명호스님 초상(肖像)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48호

석불좌상과 칠성도 옆에는 독특하게도 승려의 초상(영정)이 걸려있다. 초상의 높이는 106.2㎝,
폭 83㎝로 그림 왼쪽 상단에 세로로 '影入山水圖 數珠看經(영입산수도 수주간경)~'으로 시작되
는 4줄의 찬시(讚詩)가 있고, 오른쪽 상단에는 한글로 '인사졀명호불영뎡'이란 문구가 있어 인
수사(또는 인사사)에 있던 명호의 영정으로 여겨진다.
그림 중앙에는 경상(經床)을 앞에 두고 정면을 향한 채 결가부좌한 승려의 모습을 가득히 그렸
는데, 그의 옆으로 불자(拂子)와 두루마리를 든 시자를 배치해 3존형식을 이루었다. 이러한 3
존 형식의 영정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희귀한 것으로 크게 주목된다.
허나 그림의 제작시기와 그린 사람의 정보, 명호란 인물의 대한 기록과 인수사의 위치, 진관사
에 흘러들어온 구체적인 기록이 없어 그림에 속사정은 알 수 없으나 그림 구도와 채색으로 미
루어볼 때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그려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3존 배치와 찬시, 한
글 제목 등은 다른 불화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이다.


▲  90년 만에 햇살을 본 빛바랜 태극기 - 등록문화재 458호

2009년 5월 칠성각을 해체 보수했을 때 불단 내부와 벽체 사이에서 태극기와 독립신문 등 독립
운동 관련 자료 6종 21점이 발견되어 속세의 진한 주목을 받았다. (이때 대들보에서도 칠성각
상량문이 발견되어 1911년에 지어졌음이 밝혀졌음)
이들은 진관사와 인연이 깊던 백초월(白初月, 1878~1944)이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사용한 것
으로 여겨지는데, 독립신문과 자료들은 태극기에 포근히 감싸인 채로 발견되었다.
이렇게 90년 가까이 칠성각에 꽁꽁 숨겨진 것은 왜정의 탄압을 피하기 위함으로 보여지며, 기
나긴 세월 동안 광합성 작용을 받지 못했지만 빛이 좀 바랜 것을 빼고는 대체로 양호하여 알아
보는데 그리 지장은 없다. 단순해보이면서 심오한 뜻이 가득 깃든 태극기를 보니 그동안 진관
사에서는 누리지 못했던 가슴 뭉클함이 솟아 오른다.

태극기는 가로 89cm, 세로 70cm의 면직물에 바느질되어 있으며 중앙에 32cm 직경의 태극문양이
있고, 건과 곤, 감, 리의 4괘가 갖추어져 있다. 4괘의 위치가 194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
위원회가 제정한 국기 양식의 4괘와 동일하나 현재와는 위치가 달라 태극기 변천사에 귀중한
자료일 뿐 아니라 진관사가 서울 지역 불교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이었음을 살짝 귀뜀해 준다.

태극기 안에 담긴 독립신문류는 신대한<(新大韓), 신채호(申采浩)가 창간한 신문> 3점, 독립신
문<(獨立新聞), 상해임시정부의 기관지> 4점, 조선독립신문<(朝鮮獨立新聞), 천도교에서 3.1운
동 당시 발행한 신문> 5점, 자유신종보(自由晨鍾報) 6점, 경고문(警告文) 2점으로 이중 자유신
종보는 이번에 처음으로 그 존재가 알려진 매우 신선한 자료이다. 신문마다 태극기 도안과 태
극기와 관련된 내용이 게재되어 있고, 경고문은 독립에 대한 확신으로 끝까지 독립투쟁을 하자
고 호소하는 문서이다.
이렇게 귀중한 독립운동 관련 자료가 같은 곳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것에 그 의미가 크며, 1919
년 3.1운동 이후 12월까지 조선과 우리의 옛 땅인 중원대륙에서 펼쳐진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보충해주는 중요 자료로 그 가치가 높다. 현재 태극기는 칠성각에 공개하고 있으며, 독립신문
과 기타 문서는 비공개이다, ('진관사 소장 태극기 및 독립신문류'란 이름으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됨) 2010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진관사 태극기' 특별전에 이들이 처음 속세에 공개
되었으며, KBS에서 3.1절 특집으로 '초월의 비장, 진관사 태극기'를 방영하기도 했다.

이 태극기를 사용했던 백초월은 만해 한용운(韓龍雲)에 비견되는 항왜(抗倭) 승려로 3.1운동
이후 진관사에 주로 머물며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1944년 왜정에 체포되어 그들의 잔인한 고문
끝에 광복을 1년 앞둔 청주교도소에서 숨을 거두고 말았다.


 

♠  진관사 뒷쪽에 숨겨진 서울 제일의 명품 계곡 ~ 진관사계곡

▲  진관사계곡에서 만난 1번째 폭포 (폭포 이름은 없음)

진관사에 왔다면 경내만 살피지 말고 기왕 여기까지 온 거 발품을 조금 팔아서 절 뒷쪽 계곡에
도 한번 올라가보자. 그렇다고 많이 올라갈 것도 없다. 조금만 가면 윗 사진의 폭포가 나오고,
여기서부터 금강산과 설악산도 질투할 정도로 1품급 경관이 펼쳐져 중생의 정처없는 마음을 단
단히 앗아갈 것이다.

진관사계곡(진관천)은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가 서 있던 비봉(碑峰) 북쪽에서 발원해 진관
사를 끼고 창릉천(昌陵川)으로 흘러가는 북한산 서쪽 계곡의 하나로 북한산성 안에 자리한 북한
산성계곡, 개연폭포 주변과 견줄 정도로 국보급 계곡을 자랑한다. 북한산에서 가장 빼어난 수준
의 계곡이자 서울 장안 으뜸의 계곡으로 키 작은 폭포가 주렁주렁 달려있어 경관을 크게 돕는다.
이들 폭포는 아직까지는 속세에서 지어준 이름이 없다.

1번째 폭포를 시작으로 대자연 형님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그림 같은 절경이 가히 숨을 질리
게 하는데, 1번째 폭포 윗쪽부터는 계곡 접근이 가능하여 여름 제국에 저항하며 피서를 즐기는
이들로 봐글봐글하다. (폭포 밑에서 진관공원지킴터 구간 계곡은 접근 통제)
우리는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적당한 곳에 자리를 잡고 속세에서 가져온 먹거리로 황제 못
지 않은 간식 시간을 가지며 거울처럼 맑은 못에 꼬질꼬질한 발과 다리를 담구었다. 마음 같아
서는 온 몸으로 진하게 계곡과 스킨쉽을 즐기고 싶지만 여벌의 옷을 갖추지 않았다.


▲  물이 지그재그로 흐르는 2번째 폭포 주변

▲  장대한 세월의 거친 주름이 그어진 90도 벼랑과 계곡
벼랑 밑에 폭포와 좁은 목이 있다. 수심은 얕으나 큰 비가 내려 계곡이
잔뜩 흥분한 직후에는 조심하는 것이 좋다.
 

진관사계곡 산길은 1번째 폭포를 조금 지나 2번째 폭포 직전에서 계곡 북쪽으로 펼쳐지는데, 경
사가 각박한 벼랑길을 올라가야 된다. 다행히 2015년에 길을 크게 순화시켜 통행이 한결 편해졌
는데, 산보다 계곡이 주목적이라면 계곡을 따라 가는 것도 괜찮다. 중간중간 머물 자리도 많고,
계곡의 속살을 깊히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 이름난 계곡은 여기 외에도 북한산 삼천리골(삼천사계곡)과 불광사계곡, 구기동계곡, 소
귀천계곡, 구천계곡(구천폭포, ☞ 관련글 보러가기), 동령폭포, 도봉산(道峰山) 무수골과 문사
동계곡, 도봉계곡, 북악산 백사실(백사골), 수락산 벽운동계곡, 관악산 암반천계곡 등이 있다.


▲  40~45도 기울어진 하얀 피부의 벼랑과 그 밑을 흐르는 진관사계곡
우리는 등산로에서 40도 벼랑을 타고 내려와 이곳에 자리를 피고 조촐하게
피서를 즐겼다. 끝없이 넓은 여름 제국에 대항하며 머문
이곳이야말로 진정한 우리의 임시 낙원이었다.

▲  40도 벼랑 밑에 숨겨진 청정한 못
하늘나라 선녀 누님들이 살짝 몸을 씻는 곳은 아닐까? 달님이 천하를 희미하게
비출 때 몰래 잠입하여 그들의 목욕 장면을 훔쳐보고 싶다.

▲  장쾌하게 쏟아지는 40도 벼랑 밑 폭포의 위엄
하얀 명주를 급하게 늘어뜨린 듯, 폭포수의 기세가 대단하다.
그 소리가 얼마나 우렁찬지 귀신이 다 도망칠 정도이다.

▲  진관사계곡 90도 벼랑
단양 사인암(舍人巖, ☞ 관련글 보러가기)의 축소판일까? 산길에서 보는 것보다는
계곡 40도 벼랑에서 보는 모습이 훨씬 장관이다.

▲  40도 벼랑에서 바라본 진관사계곡 최상류와 비봉 능선
마음 같아서는 더욱 깊숙히 파고들고 싶지만 이후는 언제가 될지 모를 다음에
맡기며 여기서 길을 접었다. 다음에 오면 계곡 끝까지 꼭 올라가보리라~~~!

▲  다시 속세로 무거운 발걸음을 내딛다. (진관사 앞 길)
이렇게 하여 명품 계곡을 겯드린 진관사 여름 나들이는 다음의 인연을 고대하며
대단원의 휘장을 걷는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8월 3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도심 속에 숨겨진 은빛 폭포, 북한산 3대 폭포의 하나로 추앙받는 ~~ 북한산 구천폭포 (구천계곡, 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

 


'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일품 폭포, 북한산 구천폭포 '
(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구천폭포 상단 


 

지구 온난화를 등에 업고 나날이 비대해지는 여름, 그 여름이 한참 기지개를 켜며 무더운
이빨을 드러내던 6월 한복판에 여름 제국(帝國)의 이른 핍박에서 잠시 벗어나고자 북한산
(北漢山, 삼각산) 동쪽 자락에 묻힌 구천폭포를 찾았다.

동그란 햇님이 하늘 복판에 걸려있던 오후 2시, 수유역에서 일행들을 만나 강북구 마을버
스 01번을 타고 4.19국립묘지 윗쪽에 자리한 아카데미하우스<통일교육원, 이준 묘역 입구
> 종점에서 두 발을 내린다. 여기서 구천계곡을 따라 15분 정도 들어가면 피서의 구세주,
구천폭포가 그 모습을 드러낸다.


 

♠  대자연이 서울에 내린 크나큰 선물, 북한산 3대 폭포의 하나로
오랫동안 찬양을 받고 있는 구천폭포(九天瀑布)

▲  구천폭포 하단(아랫폭포)

구천폭포를 품은 구천계곡은 북한산 동부를 장식하고 있는 주요 계곡의 하나로 계곡 상류 200
~250m 고지에 북한산 3대 폭포(구천폭포, 동령폭포, 개연폭포)의 하나인 구천폭포가 1폭의 수
채화처럼 도도하게 걸려있다.
이 폭포는 '수도폭포'라고도 하며, 폭포 상단에 '구천은폭(九天銀瀑)'이란 바위글씨가 새겨져
있어 그 글씨 그대로 '구천은폭'이라 불리기도 한다.

폭포는 상/중/하단(넓게 나누면 4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
은 하단(아랫폭포)이다. 구천계곡 산길은 폭포 직전에서 2갈래로 갈라지는데, 여기서 직진하면
바로 폭포 하단이며 왼쪽으로 가면 구천폭포의 윗도리와 진달래능선, 북한산성 대동문으로 이
어진다.
누워있는 계곡을 일으켜 세운 듯, 비스듬한 경사의 암벽을 타고 내려오는 폭포의 모습에 '이게
구천폭포야? 장난해??' 다들 실망을 금치 못한다. 허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구천폭포의 맛보기
버전이지 본 모습은 아니다. 그의 실체는 여기서 더 올라가야 나오니 괜히 폭포의 농간에 발길
을 돌리지 말자~~~!

폭포 하단은 높이가 약 20~25m 정도로 폭포를 이루는 암벽은 새하얀 피부를 자랑하며 폭포 앞
에는 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암석과 바위들이 이리저리 널부러져 있고, 폭포 동남쪽에
는 넓은 공터가 있다. 우리는 그 공터에 자리를 잡고 속세에서 가져온 행동식을 섭취했다.
일행들이 가져온 먹거리는 김밥과 떡볶이, 순대, 온갖 과자, 막걸리, 파전, 도토리묵 등 참으
로 다양했다. 버스에서 내려 겨우 15분 정도 올라온 곳이지만 기분은 마치 2시간 이상 올라온
느낌으로 속세보다는 하늘과 조금 가까운 곳이라 그런지 모두가 꿀맛이다.
그렇게 폭포 앞에서 푸짐한 행동식에 곡차(穀茶) 1잔 겯드리다가 계곡에 두 손을 담구며 잠시
이른 더위의 염통을 쫄깃하게 만든다. 정말 기분 같아서는 두 발과 몸까지 물에 푹 담구고 싶
었으나 그러지는 못하고 대신 폭포의 상단을 보고자 폭포 암벽을 타고 위로 올라갔다.

폭포 하단을 이루고 있는 하얀 피부의 암벽은 경사가 완만해 기어오르기는 쉽다. 하지만 파리
가 미끄러질 정도로 미끄러운 구석도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그렇게 폭포 하단을 딛고 올라서
면 폭포의 중단(중간 부분)이다.


▲  구천폭포 중간에서 바라본 하단

▲  구천폭포 중단(중간폭포)

접근성이 쉬운 폭포 하단과 달리 중단(중간 폭포)은 거의 숨겨진 속살이다. 경사 30도의 바위
를 미끄럼틀 삼아 2줄기의 폭포수를 이루며 힘차게 쏟아지는데, 이 폭포는 어디까지나 구천폭
포의 중간이지 본폭포는 아니다. 폭포 주변은 하얀 바위가 암벽을 이루며 은빛 절경을 빚는다.


▲  외부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중간폭포 못
혹시 선녀 누님의 숨겨진 욕탕(浴湯)은 아닐까?

▲  슬슬 꽁무니를 드러내는 구천폭포의 상단(윗폭포)

▲  구천폭포 상단(윗폭포)의 위엄

구천폭포 상단은 구천폭포의 진정한 위엄과 매력을 패기있게 보여주고 있다. 그저 폭포의 아랫
도리만 보고 그것이 구천폭포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서울 부도심에 들어와 서울 전부를 봤
다고 우기는 것과 마찬가지의 오류이다. 폭포는 자신의 준수한 모습을 천하에 보이기가 싫어서
아랫폭포를 내세워 구천폭포의 전부인냥 눈속임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긴 신(神)과 동물 사
이에서 어정쩡하게 자리만 축내는 사람들이 잔뜩 몰려와봐야 그저 폭포와 계곡만 괴로우니 그
심정이 십분 이해가 간다.
어쨌든 폭포의 속임수를 간파하고 폭포 옆 산길이나 폭포 암벽을 열심히 발품을 팔면 중간 폭
포가 나오고 그곳을 지나면 바로 이곳의 백미(白眉)인 윗폭포가 수줍은 듯 모습을 드러낸다.

동쪽을 향해 하얀 비단을 늘어트린 듯 장엄한 모습의 폭포 상단은 2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성
나게 쏟아지는 폭포수가 윗도리 중간에서 방향을 꺾어 우렁찬 소리를 지르며 위엄 돋게 쏟아진
다. 그 소리가 얼마나 큰지 바위와 숲이 죄다 흔들릴 정도이며, 멋모르고 놀러온 귀신과 악귀
도 놀라서 정신줄을 놓을 정도이다. 폭포의 높이는 대략 25m 정도로 상/중/하단을 모두 합치면
대략 60m 정도 된다.
이렇게 잘생기고 장대한 자연산 폭포가 나와 같은 서울 하늘 밑에 있다니 그저 믿기지 않으면
서도 한편으로 정말 영광스럽다. 일행들도 의외에 장소에서 보석을 발견한 듯, 감탄을 하느라
입을 좀처럼 다물 줄을 모른다. 그도 그럴 것이 흔히 서울하면 키다리 빌딩과 사람과 차량으로
번잡한 거리만 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서울에 이런 폭포가 버젓히 있으니 놀라 기절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만약 폭포 사진
만 들이민 채, 그의 정보를 말해주지 않으면 다들 강원도나 경기도 동북부, 지방 어딘가의 폭
포로 여길 것이다. 허나 이 폭포는 엄연히 서울에 있다. 서울 도심에서도 무척 가까운 곳에 말
이다.

참고로 서울에는 잘생긴 폭포가 북한산의 품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평창동(平倉洞)에 동령폭
포는 북한산 3대 폭포의 하나로 당당히 꼽히며, 진관사계곡과 삼천리골(삼천사계곡), 불광사(
佛光寺)계곡에 구천폭포 수준은 아니지만 소소한 폭포들이 여럿 널려있다. 그외에 나의 즐겨
찾기 명소의 하나인 북악산 백사실(백석동천, ☞ 관련글 보러가기)에도 백사폭포(동령폭포)라
불리는 폭포가 있는데 작고 아담한 것이 나름 패기가 있다.


▲  하얀 명주를 늘어트린 듯한 구천폭포 상단의 아랫폭포

▲  윗폭포에 진하게 새겨진 '구천은폭' 바위글씨

윗폭포 상단 우측의 바위 피부를 가만히 살펴보면 왠 한자가 눈에 밟힐 것이다. 모두 4자가 쓰
여 있으나 얼핏 보면 3자로 보일 수도 있는데, 그 글씨는 '구천은폭(九天銀瀑)'으로 여기서 은
폭이란 은빛처럼 아름다운 폭포를 뜻한다.
해서체로 쓰인 이 글씨는 17세기 중반, 당대 명필인 이신(李伸)이 쓴 것이라고 전한다. 인조의
3째 아들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수행원으로 따라갔으며, 경희궁(
慶熙宮) 흥화문(興化門) 현판 글씨를 남기기도 했다. 그의 글씨가 얼마나 대단했던지 '대궐에
쓴 글씨는 밤에도 그 빛이나 어둠을 훤히 밝혔다'고 찬양할 정도였으며, 글씨 외에도 그림과
무예에도 능했다. 그는 이 폭포와도 인연이 있었는지 이렇게 4자를 남겨 폭포에 퐁당퐁당 빠진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하지만 글씨의 위치가 그리 쉬운 자리가 아니어서 어떻게 저런 위치에 글씨를 썼을까 궁금하다.
사다리를 올려놓고 했을까? 위에서 줄을 잡고 내려와 새겼을까? 아니면 폭포를 다녀간 선녀 누
님이나 신선 형님들이 이신의 글씨체를 흉내내서 몰래 한 글자 남긴 것일까? 요즘 같은 세상에
도 저런 자리에 글씨를 새기는 것이 쉽지가 않은데, 장비와 시설이 열악하던 옛날에는 어떻게
했을까 그저 궁금할 따름이다.


▲  윗폭포 상단과 구천은폭 바위글씨

※ 구천폭포 찾아가기 (2016년 8월 기준)
* 지하철 4호선 수유역(4번 출구)에서 강북구 마을버스 01번을 타고 아카데미하우스 종점 하차,
  구천계곡 산길을 따라 도보 15분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남대문시장(4호선 회현역), 대학로(4호선 혜화역), 성신여대입구역(4호
  선), 길음역(4호선)에서 104번 시내버스를 타고 강북청소년수련관 종점에서 하차. 강북구 마
  을버스 01번으로 환승하거나 도보 25분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산127-1


 

♠  구름을 거닐듯 편안한 숲길, 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

▲  녹음이 짙은 흰구름길

구천폭포에서 2시간 정도 신선놀음 못지 않은 시간을 보내다가 아쉬움을 뒤로 하며 다시 아카
데미하우스로 내려왔다. 마음 같아서는 속세를 잠시 잊고 더 머물고 싶지만 이곳이 우리의 전
용 공간도 아닐 뿐더러 우리가 있어야 될 곳은 폭포가 아닌 속세의 한복판이기 때문이다. 아무
리 좋은 자리라고 해도 적당히 머물러야 뒷탈이 없는 법인데, 인간들은 그 쉬운 원칙을 알면서
도 제대로 깨닫지를 못해 늘 욕을 본다.

햇님의 퇴근 시간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고, 날씨도 조금은 선선해져서 구천폭포 입구를 흘러가
는 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을 잠깐 거닐기로 했다.
북한산둘레길은 북한산과 도봉산(道峯山), 사패산(賜牌山)의 밑도리를 지나는 21개 구간, 71.5
km의 장대한 산길이다. 이름도 어여쁜 흰구름길(북한산둘레길 3구간)은 이준열사묘역입구에서
북한산과 속세의 경계를 수 차례 넘나들다가 북한산생태숲(성북생태체험관)에 이르는 4.1km 구
간으로 구름을 만날 것 같은 이쁜 길 이름과는 달리 현실은 겨우 해발 100~150m를 왔다갔다하
는 구름도 만질 수 없는 얕은 높이이다. 그러니 괜히 이름에 속지 말자~~!

흰구름길은 북쪽으로 순례길(북한산둘레길 2구간), 서남쪽으로는 솔샘길(둘레길 4구간)과 이어
지며, 그리 각박한 경사가 없는 정말 착한 산길이다. 별로 힘들지 않은 코스라 마실 삼아 가다
보면 길게 잡아도 1시간 20~30분 내외면 완주할 수 있는데, 이 구간에는 화계사, 본원정사(☞
관련글 보러가기), 삼성암 등의 오래된 절과 냉골, 빨래골 등의 계곡, 조병옥(趙炳玉, 1894~
1960)박사묘, 구름전망대 등의 조촐한 명소가 있어 무작정 앞사람 뒷통수만 보며 걸을 것이 아
니라 이들 명소를 제대로 겯드리며 거닐으면 정말 알차고 배부른 둘레길 나들이가 될 것이다.


▲  냉골 (조병옥박사묘 입구)


▲  나무로 지어진 구름전망대

흰구름길 구간에는 냉골(화계사와 본원정사 중
간)이란 깊은 골짜기가 있다. 찻길이 냉골 윗쪽
에 있는 영락기도원까지 나 있어 차량들도 마음
편히 바퀴를 굴릴 수 있는데, 냉골공원지킴터에
서 칼바위능선으로 조금 오르면 현대사의 주요
인물인 유석(維石) 조병옥박사의 묘역이 있다.

또한 화계사 남쪽 산자락에는 속세를 향해 고개
를 쳐든 높은 전망대가 있다. 이 전망대는 둘레
길의 이름을 따서 간단히 구름전망대라 부르는
데, 그렇다고 구름까지 닿는 높이는 아니다. 전
망대 꼭대기까지는 계단이 빙글빙글 늘어져 있
으며, 20m 내외 높이인 전망대 꼭대기에 올라서
면 강북구와 도봉구, 성북구, 노원구를 비롯해
북한산 동부의 주요 봉우리와 도봉산, 수락산(
水落山), 불암산(佛巖山) 등이 거침없이 들어와
조망이 제법 일품이다.


▲  구름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산 동쪽 자락과 도봉산(오른쪽 산줄기)
녹색 물결이 일렁이는 북한산 동쪽 자락, 그 너머로 백운대(白雲臺, 북한산 꼭대기)와
인수봉(仁壽峯)을 비롯하여 북한산 동쪽 봉우리 능선이 두 눈에 들어온다.

▲  구름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수유동, 우이동, 도봉구 지역)
정면 왼쪽에 보이는 산이 도봉산, 오른쪽에 멀리 보이는 산이 수락산이다.


▲  구름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서울 강북구, 노원구 지역)
정면에 멀리 보이는 산이 불암산이다. (그 왼쪽이 수락산)

▲  구름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미아동, 월곡동 지역)

▲  숲속으로 인도하는 흰구름길 (화계사 남쪽)
화계사를 끝으로 짧게 진행된 북한산 구천폭포, 흰구름길 초여름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8월 2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도심 속에 숨겨진 조촐한 피서지이자 서촌 제일의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인왕산길, 기린교)

 


'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아름다운 계곡이자 옛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

▲  인왕산 수성동계곡 (사모정 주변)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

▲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

▲  기린교

 


 

여름 제국이 무더위로 천하 만물을 핍박하던 7월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들과 인왕산 수성
동계곡을 찾았다.

오전 11시, 세검정초교 정류장에서 그들을 만나 나의 마음을 두고두고 앗아간 북악산 백
사실계곡<백석동천(白石洞天), 백사골 ☞ 관련글 보러가기>을 제일 먼저 찾았다. 속세에
찌든 꼬질꼬질한 두 발을 계곡에 담구며 막걸리 1잔 걸치다가 도심 속의 두멧골, 능금마
을(뒷골마을)을 거쳐 부암동(付岩洞) 산복도로를 따라 창의문(彰義門, 자하문)으로 내려
갔다.

창의문에서 윤동주(尹東柱)시인의 언덕(☞ 관련글 보러가기)에 자리한 서시정(序詩亭)에
서 잠시 쏟아지는 소나기를 피하다가 인왕산(仁王山) 동쪽 허리를 가르는 인왕산길을 따
라 남쪽으로 넘어갔다.
인왕산길은 사직공원에서 창의문까지 이어지는 산악도로로 북악산길과 서로 이어져 있다.
4발 수레를 위한 2차선 도로와 뚜벅이를 위한 도보길이 공존하고 있어 서로의 눈치 없이
거닐기 좋으며 주변 풍경도 아름다워 지루할 틈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그런 인왕산길에
단단히 홀린 듯 정신없이 따라가니 어느덧 석굴암(石窟庵) 입구에 이른다.
여기서 석굴암 약수를 마시고자 잠시 인왕산의 품으로 들어가려고 했으나 무더운 날씨로
인해 반대 여론이 거세 인연을 짓지 못하고 동쪽으로 난 조그만 산길을 따라 수성동계곡
으로 내려갔다.
이 산길은 석굴암 부근에서 발원한 계곡과 나란히 속세로 내려가는데, 그 계곡은 수성동
계곡의 상류가 된다.


 

♠  수성동계곡 상류

▲  숲속에 묻힌 수성동계곡 상류

인왕산에서 수성동계곡 공원으로 이어지는 계곡 상류는 복원된 계곡 중심부와 달리 거의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자연산 바위와 온갖 돌들이 좁은 계곡을 가득 메우고 있고, 그
사이를 인왕산이 베푼 계곡물이 숨을 죽이며 흘러간다. 계곡 옆에는 시멘트를 발라놓은 산길이
이어져 있는데, 그냥 흙길이었으면 매우 좋았을 것을 시멘트길이라 촉감이 그리 착하지가 않다.
계곡 일대는 숲이 무성하여 강렬한 여름 제국의 햇살도 눈치를 보면서 슬금슬금 피해가며 계곡
상류 산길을 2~3분 정도 내려가면 바로 수성동계곡 공원이다.


▲  계곡 산길과 조그만 나무 다리 (석굴암 입구 방향)

▲  계곡 상류에서 만난 조그만 폭포

이 계곡은 청계천의 주요 발원지로 수질이 양호하여 도룡뇽과 가재, 개구리, 버들치 등이 조용
히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보기에는 그저 좁은 계곡이지만 그들에게는 이만한 보금자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니 계곡에서 괜히 물놀이를 하거나 그들을 탄압하는 행위는 하지 말자. 그들이 사
라지면 그 다음 차례는 신(神)과 동물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자리나 축내는 우리 인간이 될 지
도 모른다.


▲  수성동계곡 상류의 아랫부분 (수성동계곡 공원의 제일 서쪽)

▲  수성동계곡 공원 가장 윗쪽에 닦여진 황토색 산책로
계곡 일대를 두 눈으로 살피며 거닐 수 있다. 계곡 복원에 걸맞게 흙길이면 좋았을 것을
길을 현대식으로 밀어버린 점이 상당히 아쉽다.

▲  수성동계곡 공원 윗쪽 계곡

▲  수성동계곡의 또다른 상류
숲속에 숨겨진 가느다란 폭포를 타고 수성동계곡으로 살짝 숟가락을 내민다.
폭포 주변에는 수풀을 걸친 벼랑과 흙과 돌이 섞인 자갈밭이
조촐하게 펼쳐져 있어 1폭의 수채화를 자아낸다.

▲  협곡을 그리며 내려오는 수성동의 또다른 상류
(인왕천약수터에서 내려온 계곡)


수성동의 상류는 대략 3개 정도로 석굴암에서 내려온 계곡과 그 남쪽에서 내려오는 계곡, 인왕
천약수터에서 내려오는 계곡이 서로 상류를 자처하며 수성동으로 내려온다. 수성동은 이들에게
서 인왕산의 맑은 물을 공급받고 서울 도심으로 청계천으로 흘려보낸다.

인왕산에서 제법 이름이 있는 인왕천약수터도 손을 내밀며 수성동에 아낌없이 물을 보태고 있
는데 이 물줄기는 거의 90도 각도가 진 암벽 사이의 좁은 공간을 타고 내려와 그 풍경이 나름
절경을 이루며, 조그만 폭포 앞에는 얕은 못과 모래밭이 있어 어린이들이 흙장난을 하며 물놀
이를 하기에 아주 적당한 곳이다.
모래 옆과 다리 주변에 돌로 쌓은 인공의 흔적이 조금 끼여있어 약간의 어색함을 주지만 그 외
에는 예전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어 수성동 상류의 원초적 모습을 살피는데 도움을 준다.


▲  수성동계곡 서남쪽 산책로


 

♠  옛 한양도성의 오랜 경승지, 개발의 칼질에 희생되었으나 2012년
복원되어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도심 속에 흔치 않은 계곡 ~~~
인왕산 수성동계곡(水聲洞溪谷) - 서울 지방기념물 31호

인왕산 동쪽 자락이자 서촌(西村, 경복궁 서쪽 지역) 서쪽에 자리한 수성동계곡은 서울 도심에
이름난 경승지로 조선 후기에 편찬된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와 한경지략(韓京識略) 등에
서울의 오랜 명승지로 절찬리에 소개된 곳이다. 이곳 계곡을 예로부터 수성동(水聲洞)이라 하
였는데, 이는 계곡 밑에 걸린 기린교란 돌다리 밑에 물소리가 청아하고 좋기로 명성이 자자하
여 물소리가 좋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서울의 영원한 우백호(右白虎)이자 거대한 돌산으로 제대로 된 계곡도 없을 것처럼 보이는 인
왕산이지만 그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의외로 계곡이 많음에 놀라게 된다. 수성동을 비롯해 청풍
계(淸風溪), 청계동천(淸溪洞天), 송석원(松石園), 백운동(白雲洞) 등 이름난 계곡이 많이 있
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개발의 칼질에 죄다 사라지고 수성동만 옥인아파트의 압박 속에 간신
히 숨쉬고 있었다. (백운동과 청계동천은 일부만 살아남음) 그외에 환희사계곡(큰절골)과 몇몇
약수터 주변에 조그만 계곡이 있으나 볼품은 별로 없다.

수성동은 도시와 먼 첩첩한 산주름 속이 아닌 도성(都城) 속에 자리해 있어 접근성이 매우 착
했다. 게다가 경복궁(景福宮)과 귀족들이 주로 살던 북촌(北村)과 서촌과도 바로 지척이다. 그
래서 왕족과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찾아와 계곡의 풍경을 즐겼는데, 이곳에 단단히 반한 이들은
아예 집이나 별장 등을 지어 머물기도 했다. 이곳에 처음으로 집을 지은 이는 세종의 3번째 아
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으로 계곡 밑 기린교 부근에 비해당(匪懈堂)을 지어 머물렀다.
 
영조(英祖) 시절에는 겸재 정선이 인왕산을 모델로 그 유명한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를 남기
면서 수성동을 비롯한 장동8경을 화폭에 담았는데, 수성동 그림은 계곡 복원에 아주 큰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 그 그림에는 기린교를 건너는 선비 3명과 시중을 드는 동자(童子) 1명이 계곡
상류로 걸어가는 모습이 담겨져 있고 가벼운 붓놀림으로 이끼가 낀 바위와 질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게다가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도 비오는 날에 이곳을 찾아 '수성동 빗속에서 폭포를
구경하다(水聲洞 雨中觀瀑)'란 시를 지어 수성동을 찬양했다.
도시와 가까운 탓에 중인과 평민들도 많이 발걸음을 했는데, 인근 송석원과 더불어 조선 후기
중인층을 중심으로 한 위항문학(委巷文學, 중인/평민/서얼들이 주도하는 문학활동)의 성지(聖
地)로도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  겸재 정선이 그린 수성동 그림 (기린교 돌다리가 그려져 있음)

이렇게 인왕산을 든든한 후광으로 두르며 서울 장안의 경승지로 초절정 인기를 누렸던 수성동
은 1960년대 이후 서울 도심에 개발의 칼질이 정신없이 그어지면서 아작나기 시작했다. 1971년
옥인시범아파트 9동이 건방지게 수성동계곡을 깔고 앉았던 것이다. 그래서 참으로 아름답고 착
했던 수성동의 경관은 99% 망가졌다.
그래도 천만다행으로 인근 청풍계나 옥류동처럼 계곡이 거의 증발되는 꼴은 면했지만 아파트로
인해 계곡 폭도 줄어들고 아파트 사이를 마치 버려진 하천처럼 흘러가면서 완전 천덕꾸러기 신
세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아파트 9동 앞에서 강제 생매장을 당해 어두컴컴한 지하를 거쳐 역시
나 생매장된 청계천으로 서글프게 흘러가야 했다. 그렇게 도시 개발과 생활 편의를 내세운 인
간의 욕심 속에 서울 도심에 많은 경승지는 꽃잎처럼 지고 말았다.

그 이후 수성동의 이름 3자는 속인(俗人)들의 뇌리 속에서 점차 시들어가고 동네 사람들만 세
월의 저편으로 잊혀져 가던 계곡의 이름을 간신히 붙잡고 있었다. 서울 전문을 자처하는 본인
역시 수성동의 존재를 안 것은 2011년, 그 이전에는 인왕산에 이런 곳이 있는 것도 몰랐고 그
런 상상도 하지 못했다. 그만큼 존재감이 밑바닥을 기었던 것이다.
 
옥인시범아파트에 강제로 깔린 채, 40년 가까이 수난의 세월을 보냈던 수성동계곡. 개발의 칼
질에 빼앗긴 계곡에도 과연 봄이 올 것인가? 이러다가 수성동 이름 3자가 영구히 지워지는 것
은 아닐까? 걱정하는 이들이 많았으나 계곡을 해방시킬 존재는 아무도 없었다. 그야말로 수성
동에게는 절망의 시절이었다.

▲  기린교

▲  사모정 북쪽 산책로

허나 자연과 인간의 대결에서 거의 자연이 이기듯, 수성동에게도 좋은 소식이 날라왔다. 옥인
아파트가 2008년 재난안전위험시설 C급으로 지정되면서 철거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수성동의
가치를 뒤늦게 깨달은 서울시는 이번 기회에 아파트를 싹 밀어버리고 계곡을 복원하기로 의견
을 모으고 우선 2010년 10월 21일 기린교를 비롯한 수성동계곡 일대를 서울시 지방기념물로 삼
아 늦게나마 문화유산으로 대우를 해주기 시작했다.
이후 인왕산을 가리며 계곡의 목을 조르던 옥인아파트는 2011년에 모두 철거되었으며, 아파트
주변을 통제하고 1년의 복원공사를 벌여 2012년 7월 마무리가 되었다.

계곡 복원을 위하여 전문가와 사회단체, 문화재청에 자문을 구했고 정선의 수성동 그림을 적극
참조했다. 또한 옛 경관을 어느 정도 재현하고자 소나무를 중심으로 상수리나무, 참나무, 산철
쭉 등 우리 고유의 나무 18,477그루를 심었으며, (그중에 구부러진 소나무가 제일 많음) 돌단
풍과 바위취 등 다양한 화초를 심어 주변과의 조화를 꾀했다. 그리고 계곡을 크게 넓혀서 계곡
양쪽에 전통 방식으로 돌을 쌓아 암석 지형을 최대한 회복하고자 했으며, 계곡 중간에 전통식
정자를 세워 옛 사람들의 풍류를 조금이나마 느끼도록 했다.
정선이 수성동 그림을 그린 곳으로 여겨지는 계곡 아랫쪽에 관람공간을 닦아 정선의 눈으로 계
곡을 바라볼 수 있게끔 배려하였고, 계곡을 중심으로 여러 갈래의 산책로를 닦아 인왕산과 어
우러진 시민공원의 성격도 겸하게 했다.

수성동계곡 공원에는 복원된 계곡을 비롯하여 이곳의 터줏대감이자 유일한 오래된 존재인 기린
교가 있으며, 옥인아파트 주민들의 요청으로 공원 북쪽에 아파트의 잔재를 일부 남겨두어 수성
동을 거쳐간 개발 지상주의의 그릇됨을 일깨우게 했다. 상류 부분과 사모정 주변은 계곡 출입
이 그런데로 가능하나 계곡 하류와 기린교 주변은 통제하고 있으며, 계곡을 복원했다고는 하지
만 완전한 옛날 모습은 아니다. 게다가 여전히 비슷한 자리(옛 옥인아파트 9동 자리로 지금은
관람 공간으로 바뀜)에서 지하로 생매장을 당해 청계천으로 흘러간다.
청계천까지 이어지는 전 구간을 모두 끄집어내 복원하면 참 좋겠지만 이미 시가지가 꽉차게 들
어앉아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계곡이 생매장되는 부분은 계곡이 상당히 밑으로 내려간 상태
이고, 주변 바위들도 날카로운 낭떠러지를 이루고 있어 사고의 위험이 있다. 기린교 같은 경우
는 계곡이 3m 밑에 흐르고 있으므로 조금 아찔하다.

도시 개발의 칼질에 희생된 수성동은 인간 중심의 개발의 난도질이 무조건 능사가 아님을 보여
준다. 안그래도 사람도 허벌나게 많고, 빌딩도 많고, 차도 많고, 공기도 탁한 서울 도심에 마
음 편히 의지할 수 있는 공간이 1개 더 생겼으니 그 가치는 사막의 오아시스와 비슷하다 할 것
이다.
비록 옛 모습 그대로 100% 복원된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옛 모습을 되살리고자 노력했고 복원
공사를 벌이는 중에도 여러 의견을 수렴해 어색함을 최대한 줄이고자 했다. 그래서 인왕산이
베푼 옥계수를 모아 계곡을 재현했으니 어설프게 재현되어 전기와 세금만 잔뜩 축내는 청계천
과는 차원이 다른 살아있는 계곡이다.

※ 인왕산 수성동계곡 찾아가기 (2016년 8월 기준)
* 지하철 1,2호선 시청역(4번 출구), 5호선 광화문역(2번 출구),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
  서 종로구마을버스 09번을 타고 수성동계곡 종점 하차.
*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에서 자하문로를 거치거나 1번 출구에서 사직공원 못미처에 나오는
  필운대로를 거쳐 수성동계곡까지 가볍게 걸어가도 된다. (17~20분 소요)
* 수성동계곡 관람공간 동쪽에 주차공간이 있으나 충분치는 않다. 대중교통 이용을 권한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79-1, 185-3외


 

♠  수성동계곡 둘러보기

▲  수성동계곡 사모정 주변

몇년 전만 해도 밋밋한 성냥갑 아파트 사이로 그들의 눈치를 보며 눈물처럼 흘러야했던 수성동
계곡은 이제 누구의 눈치도 없이 가슴을 피며 당차게 흘러간다. 소나기가 지나간 이후라 계곡
에는 사람이 별로 없었고, 어린이와 여중생으로 보이는 애들이 계곡 주변을 서성이며 발을 담
구는 모습이 시야에 들어왔다.


▲  수성동의 풍경을 한껏 수식해주는 구수한 양념 - 사모정

수성동계곡 한복판에는 달랑 1칸에 불과한 조그만 정자, 사모정이 맵시를 드러내고 있다. 사모
정이란 네모난 정자를 뜻하는 것으로 새색시처럼 단아한 모습으로 계곡을 굽어보고 있는데, 그
는 옛날부터 이곳을 스쳐갔던 정자는 아니며 계곡을 복원하면서 장식용으로 달아놓은 것이다.
(정선이 그린 그림에도, 수성동 관련 기록에도 정자의 존재는 나오지 않음)
허나 계곡과 나무만 있는 계곡에 전통 양식의 정자(亭子)를 하나 두니 수성동의 미소와 풍경이
한층 더 살아나는 것 같다.

정자 안에는 한 무리의 아줌마들이 진을 치고 놀고 있었다. 계곡 바람과 인왕산 바람이 앞다투
어 선선한 바람을 선사하고 소나무가 그늘을 드리우며 솔내음을 불어주는 명당 자리라 저곳에
들어가 낮잠 한숨 청하면 정말 꿀맛일 것 같다.


▲  사모정 동쪽 계곡
계곡과 돌을 대충 배치한 듯 조금은 어색한 모습이다.

▲  사모정과 사모정 북쪽 산책로
산책로 너머로 인왕산이 빼꼼 고개를 내민다.

▲  공원 북쪽 산책로
저 야트막한 고개를 넘으면 옛 옥인아파트의 초췌한 흔적이 나온다.

▲  공원 북쪽 산책로에서 만난 바위글씨
동그라미 안에 중(中) 또는 신(申)으로 보이는 글씨가 문신처럼 박혀있다.
조금은 오래된 티가 풍기긴 하지만 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모르겠다.
(수성동에 바위글씨가 있다는 정보는 듣지 못했음)

▲  공원 북쪽에 자리한 옛 옥인아파트의 잔재 ▼

수성동계곡 북동쪽에는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이 아련하게 남아있다. 이 흔적은 아파트 7동의 1
층으로 2008년 철거가 결정되자 아파트 주민들의 요청으로 계곡과 조금 떨어진 7동의 아랫도리
일부만 남겨 이곳의 기념물로 삼았다.

한때 계곡을 깔고 앉아 감히 인왕산을 가리던 옥인아파트의 최후로 이곳을 요란법석 거쳐간 엄
연한 역사의 흔적이다. 아파트를 말끔히 밀어버리는 것보다는 이렇게 일부라도 남겨 개발의 난
도질의 희생된 수성동의 서글픈 과거를 보여주고, 무분별한 개발의 폐해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
주는 교육의 장으로 삼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또한 이곳 아파트에 살았던 사람들의 향수(鄕愁
)와 추억도 조금은 배려하였다.
흔적을 모두 없앤다고 이곳에 40년 가까이 둥지를 틀었던 옥인아파트의 존재와 수성동의 그늘
이 완전 지워지는 것은 아니며,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 20세기 후반 서울 지역 아파트의 양
식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나 지방문화재 등의 지정문화재의 지위를 얻
게 될 수도 있다.

계곡에 둥지를 틀었던 인간의 흉한 창조물은 그 자리를 계곡과 자연에게 다시 내주었고 이제는
그들 눈치를 살살 보며 공원 한쪽 구석에 찌그러진 신세가 되었다. 인간이 아무리 용을 쓰고
만들어도 위대한 대자연 형님 앞에서는 역시나 일개 모래성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아파트의
남겨진 흔적은 마치 예비군훈련장의 시가전 훈련장이나 전쟁의 폭격으로 주저앉은 건물처럼 보
인다. 그렇다 대자연의 보복 폭격의 옥인아파트는 저렇게 주저앉은 것이다.


▲  주름진 바위들로 가득한 수성동계곡 (사모정과 기린교 사이)

▲  기린교 서쪽에서 바라본 수성동계곡과 인왕산

▲  한굽이 쉬어가며 조그만 폭포를 빚은 수성동계곡


 

♠  수성동계곡의 오랜 상징 ~ 기린교(麒麟橋)

▲  2개의 통돌로 이루어진 조촐한 돌다리 - 기린교

넉넉한 폭으로 흐르던 수성동계곡은 기린교 이전에서 급격히 좁아지고 하얀 피부의 포근한 반
석들도 무시무시한 낭떠러지를 계곡 쪽에 빚으면서 제법 날카로운 모습을 보인다. 그 낭떠러지
바위 사이에 우리네 인생처럼이나 짧은 돌다리가 고색의 때를 간직하며 놓여져 있는데, 그 다
리가 바로 수성동의 오랜 명물인 기린교이다.

기린교는 달랑 길쭉한 통돌 2개로만 이루어진 아주 단촐하고 소박한 모습으로 다리 남쪽에 다
리를 보조하는 커다란 돌 여럿을 둔 것이 전부이다. 다리 폭은 1m 남짓, 길이는 3m로 언제 조
성되었는지는 전해오는 것이 없으나 겸재 정선의 수성동 그림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7세기에 놓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아마도 계곡을 찾은 귀족들의 통행 편의를 위해 가설된 듯
싶은데 벼랑으로 이루어진 이 부분이 계곡 가운데 가장 위험하기 때문이다.


▲  높은 벼랑 위에 걸쳐진 기린교

서울 도심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는 누가 뭐
래도 광통교(廣通橋, 광교)이다. 그외에 수표
교(水標橋)와 창경궁(昌慶宮) 옥천교(玉川橋)
도 2위, 3위에 들어간다.
(중랑천 살곶이다리는 도심이 아니므로 제외)
수표교는 청계천 생매장 때 제자리를 떠나 장
충단공원에 둥지를 틀었고, 광통교는 비록 자
리는 지켰지만 생매장의 치욕을 겪다가 청계천
엉터리 복원 때 약간 서쪽으로 옮겨졌다.
그에 반해 기린교는 그들보다 한참 후배이지만
제자리를 지키며 원형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 게다가 통돌로 만든 다리 가
운데 가장 긴 편이다.

인왕산이 빚은 제일 가는 경승지인 수성동계곡
이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된 것도 어찌보
면 기린교 덕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계곡
이 아무리 잘났어도 딱히 오래된 존재가 없기
때문이다. 아마 그가 없었다면 계곡은 복원되
었을 망정, 지방문화재까지 지정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  옆에서 바라본 기린교

▲  바로 앞에서 본 기린교
다리 너머로 수성동계곡의 생매장 현장이 보인다.

▲  멋드러진 반석이 잔뜩 널린 기린교 주변
대자연이 칼로 싹둑 손질을 했는지 바위들이 90도 절벽을 이루며 무시무시한
모습을 드러낸다. 저 밑으로 떨어지면 정말 나오기도 힘들다.

▲  기린교 동쪽에 마련된 수성동계곡 관람공간 (계곡 동쪽 광장)

수성동계곡 동쪽에는 잘다져진 평평한 광장이 있다. 이곳은 정선이 수성동 그림을 그린 위치로
여겨지는 곳에 넓게 터를 다진 것으로 그 당시 정선의 눈높이가 되어 수성동계곡과 인왕산의
모습을 바라보도록 지어졌다.
이곳에서는 계곡 상류를 제외한 수성동계곡 일대와 인왕산이 흔쾌히 바라보이는데 보통은 높은
곳에 전경(全景)을 바라보는 자리를 두지만 이곳은 반대로 계곡 밑에 그 자리를 둔 것이 특징
이다.

인왕산이 빚은 수성동계곡은 기린교 밑을 지나 낭떠러지 밑으로 흘러간다. 그리고 관람공간 밑
에서 크게 입을 벌리고 있는 하수구를 통해 어두컴컴한 지하로 생매장된다. 계곡을 복원했다고
는 하지만 옛 옥인아파트 주변만 재현된 것이며, 이후 서촌을 가로질러 세종로 서쪽을 거쳐 청
계천으로 흘러간다. 이 구간은 보기만 해도 머리가 복잡한 시가지로 땅을 열기도 힘들다. 이곳
도 마저 끄집어낼려면 수많은 건물과 도로를 싹 밀어야 되나 지금은 그게 불가능하다.
하긴 수성동계곡만 그렇겠는가? 삼청골(삼청천)이나 청풍계, 창덕궁 빨래터에서 나오는 냇물도
그렇고 기타 북악산과 인왕산, 남산에서 발원한 수많은 물줄기도 근대 개발의 칼질에 희생되어
대부분 생매장을 당했다.


▲  유연하게 구부러진 수성동계곡 동북쪽 산책로

인왕산길에서 수성동 상류로 내려와 계곡 구석구석을 천천히 둘러보니 어느덧 1시간이 훌쩍 흘
러가버렸다. 보통 20분이면 충분히 둘러볼 장소를 뭐 그리 세세히 보겠다고 두 다리를 바쁘게
부렸는지 3배 이상의 시간을 투자한 것이다. 그래도 혹 빠진 것은 없는지 모르겠다.

2012년 복원 이후, 시작부터 싹수를 보이며 도심의 인기 명소들을 긴장시켰다. 서촌의 인기와
인왕산의 인기, 그리고 서울 도심에 흔치 않은 계곡이란 타이틀로 나날이 인기가 높아져 이제
는 도심의 주요 경승지이자 서촌 나들이 때 필수로 들려야 직성이 풀리는 서촌 지역의 꿀단지
로 완전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수성동계곡을 겯드린 도심 여름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서울은 내가 서
식하고 있는 곳이라 지방과 달리 달랑 1번이 아니라 계속 찾는 경우가 빈번하다. 일부를 빼고
는 지겹도록 찾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수성동계곡의 가을과 봄 풍경을 담아 소소하게 글로 남
기고 싶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8월 12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피서 성지 순례 ~~~ 경기 북부 제일의 명품 계곡, 포천 백운산 백운계곡 (흥룡사)



' 포천(抱川) 백운계곡, 흥룡사 여름 나들이 '

▲  포천 백운계곡


 

무더운 여름 제국(帝國)이 한참 번영을 누리던 7월 한복판에 수도권 피서의 성지(聖地)로
격하게 찬양 받고 있는 포천(抱川) 백운계곡을 찾았다.
그날은 백운계곡 외에도 피서의 새로운 성지로 주목 받고 있는 비둘기낭폭포도 염두에 두
고 도봉동 집을 나섰다. 허나 비둘기낭폭포는 교통이 매우 좋지 않은데다가 포천시청에서
불과 5분이란 시간 차이로 그곳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놓치고 말았다. 그 다음 차는 2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되기에 그 폭포는 포기하고 백운계곡으로 길을 잡았다.
이제 피서철의 시작이고 그날은 평화로운 평일이라 사람도 별로 없으므로 혼자 가도 전혀
꿀릴 것은 없었다.

오전 11시에 집에서 포천시내버스 72-3번을 타고 의정부시와, 경기도2청사, 축석고개, 송
우리를 지나 포천시청에 두 발을 내린다. 여기서 달랑 5분 차이로 비둘기낭폭포(대회산리
)로 가는 버스를 놓쳐 바로 백운계곡으로 눈을 돌렸다. 하여 이동으로 가는 포천좌석버스
138-5번(도평리↔의정부역)을 잡아 타고 1시간을 정신 없이 내달려 이동에서 발을 내린다.
이동(二東)은 갈비와 막걸리로 유명한 포천 동북부 끝 동네로 수많은 명산과 계곡을 품고
있다. 그래서 수도권 피서의 성지이자 소고기, 술의 성지로 일찌감치 명성을 날리고 있으
며, 전방과도 가까워 군부대도 많이 포진해 있다. 

이동에서 백운동(백운계곡)까지는 7km 남짓의 가까운 거리이나 시내버스는 겨우 하루에 5
~6번 밖에 없고 시간도 전혀 맞지가 않는다. 그러니 천상 화천군 사창리로 넘어가는 직행
버스의 신세를 져야 된다.
이 직행버스(동서울터미널에서 출발)는 40~6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데, 운이 좋은지 딱 5~
6분 만에 그 반가운 모습을 비춘다. 그래서 그 버스를 잡아타고 10분 정도를 달려 백운동
에 발을 내린다. 이 노선은 이동 외에도 도평리 버스종점과 일동에서도 승차가 가능하다.


 

♠  백운계곡(白雲溪谷), 흥룡사 입문

▲  백운교에서 바라본 백운계곡 (광덕고개, 사창리 방향)

▲  백운교에서 바라본 백운계곡 (도평리 방향)

경기도(京畿道) 북부권(의정부, 동두천, 연천, 포천)과 동부권(남양주, 가평, 양평)에는 기라
성 같은 계곡들이 즐비하다. 그중에서 단연 으뜸이자 명성이 자자한 계곡은 아무래도 포천 백
운계곡이 아닐까 싶다.
이 계곡은 영평8경의 하나로 조선시대부터 썩 잘나갔던 명소였다. <선유담(仙遊潭)이 영평8경
의 일원임> 그 전통과 위엄은 여전히 녹슬지 않아 지금도 수도권의 이름난 계곡이자 피서의 성
지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것을 반영하듯 372번 지방도(포화로)와 나란히 흐르는 계곡
주변에는 식당과 숙박업소, 캠핑장이 즐비하며, 주말과 피서철에는 등산과 나들이, 피서 수요
가 급증해 여전히 2차선을 고수하고 있는 372번 지방도는 물론 인근 이동, 일동까지 차량들로
단단히 몸살을 앓는다.

백운계곡은
백운산 서쪽 자락에서 발원(發源)하여 흥룡사를 경유하는 계곡과 광덕고개 서남쪽
에서 발원하여 372번 지방도를 따라가는 물줄기('선유담계곡'이라고도 함)를 일컫는데, 이들은
백운교에서 하나가 되어 도평천(都坪川)이 되고, 수입리에서 수입천(水入川)과 합쳐져 영평천
(永平川)으로 간판을 바꾼 다음, 전곡 동쪽에서 한탄강(漢灘江)과 합쳐진다.

직행버스가 바퀴를 멈춘 백운동 정류장은 백운교에서 동쪽으로 약 230m 지점에 있는데, 여기서
찻길을 따라 백운교로 가는 것보다는 정류장 남쪽으로 난 다리를 건너 가기를 권한다. 차량 왕
래가 빈번해 그들의 눈칫밥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약한 매연까지 무심히 떠넘기고 가
버리니 청정한 계곡과 삼삼한 숲으로 이루어진 이곳까지 와서 그런 굴욕을 당하기는 싫다.

백운교 남쪽에는 이동갈비집이 쭉 늘어서 있는데, 그 남쪽에 차량들이 바퀴를 뻗으며 자는 주
차장이 넓게 자리한다. 허나 피서철 직전이고 주중이라 빈 공간이 90%를 넘으며, 식당들도 사
람보다 빈 자리가 훨씬 많아 매우 한산하다. 다들 피서철 대목을 꿈꾸고 있을텐데, 날씨가 그
들의 마음을 몰라주고 비를 마구 퍼부으니 그들도 참 속이 탈 것이다.

백운계곡 주차장을 지나면 삼삼한 숲에 묻힌 오솔길이 나온다. 그 길을 접어들면 채 2분도 안
되어 흥룡사 표석이 있는 흥룡사입구에 이르게 되는데, 여기서 왼쪽 계단길을 오르면 바로 흥
룡사 경내가 펼쳐진다. 이곳은 그 흔한 일주문(一柱門)도 아직 갖추지 못하였으나 계곡과 삼삼
한 숲이 속세의 기운을 털어버리기에 딱 그만이라 이것으로도 일주문의 대체 역할은 충분하다.


▲  흥룡사입구

▲  금색 피부를 지닌 포대화상(布袋和尙)과 깨알같은 불전함

흥룡사 경내에 들어서니 가장 먼저 금빛 피부를 자랑하는 똥배 포대화상이 불전함을 들이밀며
돈을 요구한다. 어떻게 절에 들어서자마자 제일 먼저 돈부터 요구하고 있는지 절에 대한 이미
지를 순식간에 부정적으로 몰아놓는다.
그런 포대화상을 지나치면 정면에 우람하게 생긴 대웅전이, 왼쪽에는 요사와 찻집이, 오른쪽에
는 샘터와 공양간이 자리해 있다. 그럼 여기서 잠시 흥룡사의 내력을 더듬어 보도록 하자.

※ 백운계곡을 옆에 낀 심산유곡의 절집, 세속화된 불교의 씁쓸한 흑역사를 보여주었던 현장,
   ~~ 백운산 흥룡사(白雲山 興龍寺)
부드러운 백운산 봉우리와 삼삼한 숲, 그리고 청결하고 수려한 경치의 백운계곡을 든든한 후광
(後光)으로 삼은 흥룡사는 백운산 자락에 둥지를 튼 조그만 산사(山寺)이다.

창건 시기에 대해서는 신라 말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여 내원사(內院寺)라 했다고 우
기고 있는데, 믿거나 말거나 창건 설화에 따르면 도선은 절 자리를 잡고자 나무로 3마리의 새
를 만들어 날려 보냈고 그중 하나가 앉은 자리가 마음에 들어 절을 세웠다는 것이다.
허나 이는 어디까지나 절에서 지은 설화일 뿐이며, 조선 초기까지 적당한 기록과 유물이 전혀
없어 도선국사 창건설의 물음표를 던지게 한다. 그나마 오래된 유물은 17세기 승탑이고, 몇줄
전해오는 조선 초기 기록도 딱히 신빙성은 떨어져 보이니 아마도 조선 초/중기에 조촐한 암자
나 수행처 수준으로 법등(法燈)을 연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고려 태조 때 비보사찰로 창건되
었다는 설도 있으나 역시나 물음표일 따름..)

조선 초에는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중창했다고 하며, 1407년에는 왕실의 복을 비는 88개 자복
사(資福寺)의 하나로 선정되었는데, 이때 잠시 천태종(天台宗)의 일원이 되었다고 전한다. 또
한 세조는 그의 어필족자(御筆簇子)를 하사했다고 하나 아쉽게도 그 족자는 어느 세월이 잡아
갔는지 전하지 않는다.
그나마 기록과 유물이 보다 확실해지는 시기는 조선 중기 이후이다. 1638년 무영
(無影)이 제자
시십(時什), 인해(印海) 등과 법당과 시왕전 등 14채, 500여 칸의 건물을 중건했다고 하며, 불
상을 개금(改金)하고 종을 만들어 창건 당시보다 절이 컸다고 전한다. 1639년에는 무영의 제자
지혜(智惠)가 100여 칸의 상선암(上禪庵)을 지었으며, 1648년에는 청암(淸巖)이 50여 칸의 보
문암(普門庵)을 지었고, 1786년에는 태천(泰天)이 절을 중건하고 이름을 백운사(白雲寺)로 갈
았다.

1922년 설하(渫河)가 대웅전을 중수하고 흑룡사로 이름을 고쳤다가 얼마 안가서 흥룡사로 갈았
으며, 6.25때 절이 잿더미가 된 것을 1957년 지금의 위치에 관음전을 지어 절을 재건했다. 이
후 1982년에 백운당을, 1987년에는 대웅전을 중건했으며, 1990년에 요사인 원각당을 새로 지었
다. 그리고 1993년에는 기존의 대웅전과 백운당을 싹 밀어버리고 그 자리에 너른 크기의 대웅
전을 지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저 평범한 내력을 지녔구나 생각을 할 것이다.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우려
하는 종교의 지나친 세속화, 그리고 종교 단체들의 지나친 재물 욕심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
적인 사건이 바로 이곳에서 터져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자고로 승려란 부처와 관음보살,
지장보살의 뜻에 따라 자신을 불태우며 중생을 챙기고 깨달음을 향한 수행을 게을리해서는 안
되거늘 그것을 역행하는 땡중과 절이 너무 많다.
때는 1987년, 절 주변이 백운계곡 관광지로 지정되자 흥룡사 주지는 크게 돈 욕심을 내며 종단
(宗團)의 승인 없이 멋대로 개발업자와 손을 잡고 그들에게 절 땅을 빌려주었다. 허나 개발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개발업자 또한 하나 같이 비리비리하여 개발 주체가 계속 바뀌었다.
그 과정에서 절과 개발업자와의 손실과 갈등이 커지면서 2015년까지 무려 30여 건의 소송에 휘
말렸고, 개발 실패에 따른 손실이 무려 11억에 이르렀다.
욕심꾸러기 주지는 그 부채를 전혀 해결하지 못했고 법원은 절과 절 토지(약 20만 평)를 경매
에 넘기겠다고 통보를 했다. 그러자 주지는 울상이 되어 흥룡사를 관리하는 윗 사찰인 봉선사
(奉先寺)에 애걸을 했고, 봉선사는 절의 정상화를 위해 심사숙고 끝에 그 돈을 치뤄주고 절을
살렸다. (그 돈도 대부분 중생들이 내준 시주금임)
그런 흑역사를 겪은 흥룡사는 그렇게 벼랑 끝에서 살아났다. 땡중들의 돈 욕심에 중생들의 피
땀어린 시주로 이룩된 절이 자칫 홀라당 날라갈 뻔한 것이다.

조촐한 경내에는 법당(法堂)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원각당, 요사, 공양간, 청산다원 등 6~7동의
건물이 있으며, 소장문화유산은 포천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된 청암당승탑이 고작이다. 그외에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묘화당승탑이 있는데, 이들 승탑이 경내에서 그나마 가장 오래된 존재이
자 조선시대 유물로 그들 외에는 고색의 내음은 찾기 힘들다.

삼삼한 백운산 숲에 둘러싸여 청정한 기운이 가득하며, 백운계곡의 청아하고 낭랑한 계곡 소리
에 아무리 무서울 게 없다는 번뇌도 염통이 쫄깃해져 좌불안석이 된다. 첩첩한 산주름에 묻힌
깊은 산골의 절집으로 절 바로 밑에까지 식당과 숙박업소가 즐비하게 들어섰지만 그들 사이에
짧게나마 숲이 완충지대를 이루고 있어 산사의 분위기는 전혀 녹슬지 않았다. 또한 길손들을
위해 찻집과 쉼터 등을 갖추고 있어 백운계곡 나들이나 백운산 등산 때 잠시 두 발을 쉬어가기
에 좋으며, 원각당 옆에는 불교용품과 전통차를 파는 찻집이 있어 일다경(一茶頃)의 여유도 누
릴 수 있다.

※ 포천 백운계곡, 흥룡사 찾아가기 (2016년 7월 기준)
* 동서울터미널에서 이동 경유 사창리행 직행버스(30~60분 간격, 1일 20여 회 운행)를 타고 백
  운동 하차 (흥룡사는 도보 6~7분 거리)
* 1호선 의정부역(4,5번 출구를 나와서 가능역 방면으로 도보 5분 거리에 정류장이 있음)과 의
  정부터미널에서 138-5, 138-7번 좌석버스를 타고 이동이나 도평리에서 하차, 백운동으로 들
  어가는 3번 시내버스(1일 5회)나 사창리행 직행버스로 환승
* 인천종합터미널, 안양(WK웨딩하우스 앞)에서 와수리행 직행버스(1일 8회)를 타고, 이동이나
  도평리에서 사창리행 직행버스나 3번 시내버스로 환승
* 승용차로 가는 경우 (경내까지 접근 가능)
① 서울 → 의정부(민락로) → 포천 방면 43번 국도 → 만세교에서 37번 국도로 우회전 → 일
   동교차로에서 이동 방면 47번 국도 → 도평교차로에서 우회전 → 도평3거리에서 좌회전 →
   흥룡사입구(백운교)에서 우회전 → 흥룡사, 백운계곡
② 서울(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퇴계원나들목에서 이동 방면 43번 국도 → 서파 → 도평교
   차로에서 우회전 → 도평3거리에서 좌회전 → 흥룡사입구에서 우회전 → 흥룡사, 백운계곡
* 흥룡사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38 (포화로 236-73 ☎ 031-535-7363)
* 매년 겨울에 백운계곡에서 '백운계곡 동장군 축제'가 열린다. 보통 12월 말부터 2월 초까지
  열리며, 눈썰매와 전통 썰매, 얼음성 놀이동산, 전통 팽이, 눈사람 만들기, 모닥불체험, 눈
  조각 전시회, 얼음조각 전시회, 향토음식 체험관, 포천농특산물 판매 등의 행사가 있다.
  (축제 문의 ☎ 031-535-7242, 동장군축제 홈페이지는 ☞ 이곳을 쿨하게 클릭한다)
* 흥룡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흔쾌히 클릭한다.


▲  흥룡사 찻집(청산다원)과 천막 쉼터


 

♠  흥룡사 둘러보기

▲  대웅전(大雄殿)과 5층석탑

이곳의 법당인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3년에 옛 대웅전과 백운당
을 부시고 만든 것이다. 바깥 벽에는 부처의 일대기를 담은 팔상도(八相圖)와 십우도(十牛圖)
등이 그려져 있으며, 내부 불단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이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거느리며
아미타3존불을 이룬다. 그래서 건물도 아미타불의 본거지인 서방정토(西方淨土)를 바라보고자
서쪽을 향하고 있다. (지형상의 이유도 있음)

▲  흥룡사 원각당(圓覺堂)
종무소와 요사(寮舍)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건물로 문수원(文殊院)이란 이름도
지니고 있다.

▲  석조지장3존상
대웅전 곁에는 지장보살입상(地藏菩薩立像)이
경내를 굽어본다. 그 좌우에는 도명존자(道明
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 나란히
자리하여 야외 지장전의 역할을 한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5층석탑과 뜨락

대웅전 뜨락에 심어진 5층석탑은 근래에 조성되어 피부가 매우 하얗고 부드럽다. 기단부(基壇
部)에는 8명의 금강역사(金剛力士)가 한 자리씩 차지해 앉아 있고 1층 탑신(塔身)에는 사방불
(四方佛)을 새겨 절과 탑의 영원한 안전을 염원한다. 그렇게 철통 같이 지켰건만 내부의 적으
로 인해 절이 경매에 넘어갈
했으니 그들의 가호도 다 부질 없었던 모양이다.


▲  대웅전 아미타3존불과 조그만 원불(願佛)의 금빛 물결
아미타3존불은 1999년에 조성된 것으로 그 좌우에는 원불로 조성된 조그만 원불이
금빛 대물결을 이룬다. (아마도 3천불은 될 듯..? 저게 도대체 다 얼마야..?)

▲  흥룡사 샘터<수각(水閣)>
백운산이 베푼 옥계수로 그의 넉넉한
마음을 보여주듯 물이 늘 넘친다.

▲  가까이서 본 샘터(수각)의 위엄
석조 위에 지붕을 씌우고 조촐하게
수각으로 삼았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계단 끝에 자리한 삼성각(三聖閣)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삼성각이 새롭게 터를 다졌다. 이 건물은 최근에 지어진 것
으로 단청(丹靑)을 칠하지 않아 조금 오래되어 보일 뿐, 대웅전과 원각당에 비해 한참 후배이
다. 내부에는 대웅전에 얹혀살던 산신탱을 비롯하여 독성탱과 칠성탱을 봉안되어 있어 삼성각
이란 이름값을
다.

▲  산신(山神) 가족의 단란함이 묻어난 산신탱

▲  칠성(七星)이 모두 모인 칠성탱

  동자 2명을 거느리며 여유롭게 앉아있는
독성(獨聖, 나반존자) 가족을 담은 독성탱 -
이들 삼성각 탱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산
신탱으로 무려 2000년에 제작되었다.


▲  삼성각에서 바라본 좁은 천하 (흥룡사 경내)

▲  흥룡사에서 만난 새끼고양이의 위엄
(누런 고양이가 알록달록 고양이에게 시비를 걸다)


내를 둘러보던 중 원각당 옆에서 새끼고양이 3마리가 놀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2마리는 검
은털과 흰털, 누런털이 적절히 섞여있고, 다른 하나는 오로지 누런털 옷을 입고 있다.
이들은 땅바닥에서 풀과 돌을 희롱하고 있었는데, 누런 묘공이 갑자기 풀 희롱에 열중하는 알
록달록 묘공(猫公)에게 시비를 건다. 시비를 건다고 해서 멱살을 잡거나 서로 발톱을 견주며
싸우는 것은 아니다. 그냥 묘공의 흔한 놀이로 쥐나 조그만 동물을 잡기 위한 일종의 훈련도
겸한다.


▲  풀과 나뭇잎을 희롱하다~~

▲  경내 동쪽에 자리한 승탑(부도)들

▲  어깨를 나란히 한 승탑(僧塔)들 - 제일 오른쪽 팔각원당형 승탑이
청암당부도(포천시 향토유적 35호)

경내를 나와 백운계곡 안쪽으로 향하면 왼쪽에 돌담이 둘러진 공간이 있다. 그 안에 3기의 승
탑이 어깨를 나란히 하며 자리해 있는데, 이들은 청암당
(淸巖堂)과 묘화당(妙化堂), 운경대선
사자광탑(雲鏡大禪師慈光塔)으로 흥룡사에 왔다면 꼭 봐야되는 이곳의 유일한 고색의 유물이다.
만약 그들이 없었다면 흥룡사의 오랜 내력이 참 무색했을 것이다. (운경대선사탑은 제외)

그들 가운데 뚜껑처럼 생긴 왼쪽 승탑은 운경대선사의 자광탑으로 1905년 충남 서산에서 태어
나 2000년 2월 남양주 봉선사(奉先寺)에서 열반에 들었다. 그는 1940년에 잠시 이곳 주지를 지
낸 인연이 있어서 이곳과 봉선사에 승탑을 만들었는데, 왜정 시절에는 독립운동을 하면서 조선
민족해방당을 지원하다 걸려 옥고를 치루기도 했으며, 6.25때 모두 타버린 봉선사를 다시 세우
는데 큰 역할을 하기도 했다.

가운데 자리한 석종형(石鐘形) 승탑은 묘화당의 것으로 조금은 뾰족한 모습인데, 탑신 앞에 '
묘화당 영조(妙化堂 灵照), 강희 20년(康熙二十年)'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승탑의 주인과 조
성 연대를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다. 강희 20년이면 1681년(안내문에는 1781년으로 한참이나 잘
못 나옴)으로 승탑의 높이는 153cm이다.

오른쪽에 자리한 청암당(淸巖堂)승탑은 동그란 승탑에 8각의 지붕돌을 얹힌 일종의 팔각원당형
승탑으로 탑신 중앙에 '청암당' 3글자가 새겨져 있어 승탑의 주인을 알게 해준다. 그는 1648년
흥룡사의 부속 암자인 보문암을 창건했다고 전할 뿐, 딱히 다른 정보는 없으며, 그곳에 있다가
근래에 이곳으로 옮겨졌다. 탑의 높이는 156cm이다.

이들 승탑은 길가에서도 매우 잘 보이므로 (탑신에 새겨진 글씨는 잘안보임) 굳이 담장을 넘을
필요는 없다. (담장 내부는 출입 금지를 권하고 있음) 글씨는 카메라로 최대한 줌을 땡기면 왠
만해선 다 보인다.


 

♠  백운계곡(흥룡사계곡)에서 즐긴 짧은 피서

이렇게 흥룡사를 둘러보고 백운계곡으로 길을 향했다. 백운계곡 중 흥룡사를 거쳐가는 계곡은
편의상 흥룡사계곡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곳은 수도권 제일의 계곡답게 수량도 많고, 물도 깨끗하며, 골도 깊고, 바위와 암반도 많다.
예로부터 경승지로 널리 칭송을 받았으며, 백운계곡의 일원인 선유담(372번 지방도에 있음)이
영평8경의 하나로 추앙을 받고 있다. 흥룡사 역시 이 계곡에 퐁당 반해 계곡 옆에 절을 지었다.

내가 이곳에 온 것은 백운산 등산도 아니며, 흥룡사 관람과 백운계곡을 조금 따라 올라가 잠시
발을 담구며 쉬는 것이다. 아직 본격적인 피서철이 아닌지라 그 좋은 계곡에는 사람이 거의 없
었다. 만약 1주 뒤에 왔다면 평일이라도 무척 미어터져 정신이 없었을텐데, 그 이전에 와서 한
적한 계곡의 모습에 위안을 받는다. 사람이 많은 것보다는 고적한 것이 보기도 좋고, 자연에도
좋다. 사람이 없으니 계곡에 쓰레기도 없고, 그들의 괴롭힘이 없으니 백운산과 계곡도 더욱 신
이 난다. 그만큼 자연에게 있어 인간은 전혀 도움이 안되는 존재이다.


▲  등산로와 나란히 달리는 흥룡사계곡

흥룡사계곡은 승탑을 기준으로 15분 정도만 올라갔다. 그 정도만 가니 길은 2갈래로 갈리는데,
하나는 백운산으로 올라가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계곡을 건너는 것이다. 애당초 산을 타는 것
은 염두에 두지 않아 계곡을 건너려고 했으나 전날까지 계속된 장맛비로 계곡물이 늘어 건너는
것이 거의 어렵게 되었다. 물론 무리를 해서 건너면 가능은 하겠지만 그렇게까지 몸을 혹사시
키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그 갈림길에서 과감히 길을 멈추고 거추장스러운 운동화와 양말을 벗어던져 계곡에 꼬
질꼬질한(?) 발과 다리를 담구며 그들을 잠시 호강시켜주었다. 얼마나 시원하던지 흘러나온 땀
이 바로 줄행랑을 친다. 비록 온몸으로 계곡과 진한 스킨쉽은 하지 못했지만 혼자 와서 그렇게
노는 것도 좀 처량해보인다. 그냥 발과 다리만 담구며 적절히 피서를 즐기면 그만이다.


▲  내가 잠시 머물던 곳 (이름은 딱히 없음)

▲  바위를 타고 밑으로 내려가는 조그만 폭포

계곡에서 신선놀음을 하고 있으려니 여름의 제국이 꽤나 심술이 난 모양이다. 난데없이 소나기
를 퍼붓는데, 좀 내리나 싶더니만 멈추고, 그러다가 또 쏟아지고, 그렇게 심술을 부린다. 허나
다행히 내리는 양은 별로 없어 물가에 앉을 자리를 만들고 계속 그 자리를 지키며 계곡에 다리
를 담구었다. 

그러는 동안 시간은 거의 15시 40분이 되었다. 거의 1시간 이상을 머문 셈인데 그 사이 지나간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완전 나 혼자 이 좋은 계곡을 독점하여 누린 셈이다. 영원히 그러면 좋
을텐데 아쉽게도 일시적인 독점이다. 사람이 없으니 정말 신선(神仙)이 나타나 같이 놀자고 하
거나, 좋은 선녀를 소개시켜주거나, 내기바둑 1판 두자고 청할 것 같았다. 허나 신선은 사람이
만든 상상 속의 존재이니 나타날 일은 없다. 그만큼 이곳은 신선이 반할 경치를 지녔다. 기분
같아서는 속세에서 나란 존재를 잠시 지우며 이곳에 숨고 싶은 마음 굴뚝 같지만 그게 현실이
아님을 알기에 잠시나마 정든 마음을 훌훌 털고 계곡을 등졌다.


▲  녹음이 우거진 백운산 산길

▲  흥룡사계곡

▲  숨겨진 조그만 폭포와 소(沼)

흥룡사에서 저녁공양을 17시부터 8시까지 하는데, 좀만 버티면 그 시간이다. 일반인에게도 밥
을 주는지는 모르겠지만 일행도 없고 나 혼자이니 잘만 구워삶으면 저녁 해결도 가능할 듯 싶
었다.
그래서 바로 내려가지 않고, 중간에 등산로를 잠시 벗어나 계곡으로 내려갔다. 조그만 샛길이
호기심을 자극시켰기 때문이다.
그곳으로 내려가니 크기는 작지만 조촐한 폭포와 폭포수가 담긴 소가 있는데, 물의 색깔이 인
간이 만든 비루한 색이 아닌 완전 대자연의 짙은 푸른색이다. 수심은 약 1.5m 내외로 보였는데.
기분 같아서는 정말 풍덩하고 싶은 매혹적인 곳이다. 다음에 여러 명과 피서를 올 일이 있다면
이곳에 진을 치고 놀고 싶으나 과연 그날이 올지는 장담을 못하겠다.

그런 폭포를 뒤로 하고 다시 흥룡사를 찾으니 주춤했던 소나기가 다시 퍼붓기 시작한다. 그런
데 아까와는 달리 매우 쎄차게 쏟아진다. 그래서 비를 피하고자 공양간으로 들어갔는데, (16시
30분 경) 할머니 보살 1명이 열심히 밥과 반찬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일반인도 공양을 할 수
있냐고 물으니 혼자 왔냐고 그런다. 하여 그렇다고 답을 하니 그러면 5시 반에 오란다. 승려가
먼저 밥을 먹고 그 다음 신도나 절과 관련된 사람들이 먹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마움을 표하고
모락모락 저녁밥을 꿈꾸며 시간이나 때울 겸, 인적이 없는 삼성각에 들어가 50분 정도 시간을
때웠다.
나무로 만든 건물 내부는 매우 시원하며 잠시 졸음의 희롱을 즐기며 벽에 등을 기대 졸기도 하
였다. 절집에서 조촐하게 나만의 극락(極樂)을 즐긴 셈이다. 다행히 그동안 이곳까지 오는 사
람이 없어 그 시간 동안 삼성각을 마음껏 독차지했다. 

17시 20분이 되자 삼성각을 어슬렁 나와 공양간으로 갔다. 할머니 보살이 나를 보더니 어여 들
어오라고 그런다. 안으로 들어가니 승려 3명과 일꾼 2명이 밥을 먹고 있었는데, 그들에게 합장
(合掌)을 하고, 공양에 들기 시작했다. 이곳 공양밥은 하얀 쌀밥을 기본으로 약 5~6가지의 나
물이 있으며 거기에 무려 김치찌개까지 있다. (물론 고기는 없음) 이들 외에도 보기 힘든 산나
물도 있었는데 이름은 기억이 안난다.
그릇에 밥과 나물을 터질 정도로 담아 꾸역꾸역 비벼먹고 거기에 김치찌개까지 겯드리니 이것
이 정녕 흥룡사 공양 스타일이다. 맛도 그런데로 괜찮았다. 그렇게 즐겁게 배를 채우고 할머니
보살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바깥으로 나왔다. 아까만 해도 먹구름이 잔뜩 일그러진 표정을 지으
며 소나기를 내던지더만 이제는 평온하다.

절을 나오기 전, 새끼 묘공이 있던 원각당을 찾았다. 절을 지키며 노느라 지쳤는지 원각당 툇
마루에 서로 부비적거리며 달콤하게 잠을 청하고 있었다. 그 모습이 얼마나 행복해 보이던지
정처없는 내 마음을 크게 흔든다. 나도 그 틈에 끼어 같이 자고 싶은데, 그건 민폐겠지. 그들
틈에 끼어서 자면 열대야에 도망친 잠도 무척 잘 올 것 같다.


▲  원각당 툇마루에서 주무시고 있는 새끼 묘공의 위엄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게 잠들어 있는 모습 같다.


이번 나들이에서 가장 인상이 깊은 존재는 흥룡사 새끼 묘공과 저녁 공양이다. 공양은 보살의
후한 인심에 다음날 점심까지 밥 생각이 나지 않을 정도로 배를 채웠고, 새끼 묘공은 묘공 특
유의 귀여움을 보이며 나의 시선을 잡아맸다. 그들이 있어 고색(古色)의 내음도 거의 없고 문
화유산도 빈약하며, 돈 욕심에 얼룩진, 내 입장에서는 썩 끌리지 않는 흥룡사가 또 찾고 싶을
정도로 매우 긍정적으로 다가온다. 다음에 간다면 새끼 묘공은 어른이 되어있으려나...?


▲  흥룡사와 백운계곡의 모든 것을 뒤로하며 속세로 다시 나오다.

흥룡사를 나오니 시간은 6시가 넘었다. 더 이상 정처를 둘 곳도 없기에 백운동 정류장으로 미
련없이 나와 바깥으로 나가는 직행버스에 몸을 담고 나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이렇게 하여 백
운계곡, 흥룡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7월 2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미인을 닮은 아름다운 폭포, 삼척 미인폭포 (여래사, 통리협곡)



' 백두대간에 숨겨진 아름다운 비경,

삼척 미인폭포(美人瀑布) '

▲  미인폭포


예전 설날 연휴에 삼척(三陟) 미인폭포를 찾은 적이 있었다. 허나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태백 일대에 쏟아진 지독한 눈폭탄으로 눈이 첩첩산중으로 쌓여 폭포까지 내려가지도 못
하고 폭포 남쪽 여래사에서 휴전선 너머의 북한 땅을 대하듯 바라봐야 했다.
'폭포가 바로 저 앞인데.. 7~8분만 내려가면 폭포인데..' 얼마나 서운했던지. 하지만 무
심한 폭설 앞에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 폭포로 가는 길이 썩 좋은 편도 아니고 그렇다
고 겨울 산행에 걸맞는 장비도 갖추지 못한 터라 자칫 무모하게 굴었다가는 몸만 상한다.
하여 절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일단 만족하고 언제가 될지 모를 다음을 기약하며 억지로
두 발을 돌렸다. (☞ 미인폭포 겨울 여행기 보러가기)

그 이후 미인폭포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으며 애타게 기회를 엿보던 중, 드디어 기
회가 찾아왔다. 멀리 남동임해(南東臨海)지역의 아는 이들이 6월 끝 무렵에 단체로 그곳
으로 여행을 간다는 소식을 접한 것이다. 하여 그들에게 연락을 취해 폭포 인근 통리3거
리에서 합류하기로 했다.

다시금 찾아온 미인폭포와의 인연, 그 인연의 줄을 꽉 잡으며 아침 일찍 정동진(正東津)
으로 떠나는 무궁화호 열차에 몸을 싣고 거의 3시간 50분을 달려 고원의 도시 태백(太白
)의 관문, 태백역에 두 발을 내렸다. 그런 다음 태백역전에 있는 태백시외터미널에서 물
흐르듯 자주 있는 태백시내버스 4번을 타고 통리(通里)로 넘어갔는데, 아직 시간이 넉넉
하여 오랜만에 통리역을 만나보기로 했다.


 

♠  통리역에서 여래사까지

▲  영동선 통리역(通里驛) 왕년의 모습 (2012년 6월)

한때 통리의 관문이었던 통리역은 1940년 8월에 문을 열었다. 이 땅에서 2번째로 높은 곳에 자
리한 철도역으로 비록 역사(驛舍)의 규모는 작으나 태백 지역의 수많은 석탄과 화물을 취급했
고, 청량리와 동대구, 부전, 강릉으로 가는 열차가 꼬박꼬박 바퀴를 멈추었던 역이다. (새마을
호와 무궁화호 일부는 통과함)
특히 통리역에서 심포, 흥전, 나한정을 거쳐 도계로 내려가는 길은 우리나라 철길 가운데 가장
험난한 코스로 흥전과 나한정 사이에 스위치백(Switch-back) 구간을 두어 열차가 5분 정도 뒷
걸음질치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통리역은 해발 680m, 통리재 밑에 자리한 도계역(삼척 도계읍)은 약 240m로 무려 440m의 해발
차이가 난다. 그러다보니 완전 하늘과 땅을 오가는 기분이다. 승객들이야 이 재미난 풍경에 신
이 나겠지만 열차와 그것을 움직이는 기관사는 그야말로 진땀을 뺀다. 조금만 실수를 해도 큰
사고로 이어지는 난코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의 눈칫밥을 줄이고자 1999년 12월 철
도 개량 사업에 들어갔는데, 워낙 큰 공사라 무려 12년 7개월의 대공사 끝에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16.7km)이 개통되었다. 개량사업의 99%는 바로 이 터널이다.

솔안터널은 동백산역에서 도계역으로 이어지는 이 땅 최대의 땅굴로 동백산~도계 구간 운행시
간이 36분에서 16분으로 20분이나 단축되었고, 운행거리는 19.6km에서 17.8km로, 선로 용량은
1일 30회에서 35회로 증대되어 열차 여객 및 물류 수송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개량 사업으
로 겨우 '강릉~영주' 완행 무궁화호 열차가 1회 멈추던 동백산역은 크게 덕을 보아 통리역 열
차가 거의 그대로 동백산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허나 양지가 있으면 반드시 음지도 있는 법이라 통리역은 그 반대로 개량 사업의 철저한 음지
가 되었다. 솔안터널 개통과 함께 통리역을 거치던 여객열차는 더 이상 이곳으로 바퀴를 굴리
지 않고 동백산역에서 바로 터널로 빠지기 때문이다. 하여 통리역의 여객 업무는 모두 동백산
역에 넘어갔고, 통리역은 간이 화물역으로 존재감이 크게 하락하였다.

통리역 건물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여객 열차가 들어오지 않으니 열차가 들어올 때마다 타고 내
리던 사람들로 잠시나마 시끌벅적하던 풍경은 이제는 옛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그러다보니 통
리 상권도 크게 위축되었다.


▲  통리재 정상인 통리3거리

현역에서 물러나 한가한 신세가 된 통리역을 오랜만에 둘러보고 통리3거리로 이동했다. 여기서
일행들에게 연락을 취해 도착을 알리고 차분히 기다렸다.

통리3거리는 통리재(송이재) 정상으로 해발 720m이다. 여기서 북쪽으로 내려가면 도계와 삼척,
동해로 이어지며, 동쪽으로 가면 미인폭포와 너와집으로 유명한 신리(新里), 벽지 계곡의 진수
를 보여주는 동활계곡과 가곡천을 거쳐 동대해(東大海)가 있는 호산으로 이어진다.
하늘 아래 첫 동네다보니 구름과 안개가 가득 끼어 고개 밑 세상은 보이질 않는다. 게다가 아
무리 여름의 한복판이라고 해도 태백 지역은 여름 제국(帝國)이 제대로 기를 펴지 못한다. 그
날 서울은 거의 30도에 이르렀는데 태백은 고작 20도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만큼 이곳은 첩첩
한 고산지대이다.

통리3거리에서 멀뚱히 기다린지 거의 20분 만에 남쪽 사람들을 태운 관광버스가 내 앞에 그 육
중한 바퀴를 멈추었다. 반가운 마음을 내비추며 버스에 오르기가 무섭게 미인폭포 입구에 도착
했다. (통리3거리에서 미인폭포 입구까지 약 800m)
미인폭포 입구에서 여래사 사적비까지 차량들이 안심하게 바퀴를 굴리게끔 길이 닦여져 있으나
대형버스가 들어가기에는 많이 버겹다. 그래서 모두 입구에서 내려 걸어갔다.


▲  여래사로 인도하는 숲길

여래사로 가는 숲길은 늘씬하게 솟은 키다리 나무로 가득하다. 백두대간의 힘찬 기운을 무럭무
럭 먹고 자란 탓일까? 울창한 숲을 이루며 하늘을 가린 숲의 기세에 눈에 뵈는 게 없다는 여름
제국도 꼬랑지를 내리고 슬금슬금 피해간다.
숲이 베푼 선선한 바람과 숲내음은 사람들의 안구와 마음을 제대로 정화시켜주며, 길의 경사도
그렇게 각박하지 않아 그리 힘든 것은 없다.

       ◀  혜성사 사적비(慧聲寺 史蹟碑)
숲길을 6~7분 오르면 때깔이 고운 혜성사 사적
비가 마중을 한다. 혜성사는 여래사의 예전 이
름으로 바로 여기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
사적비 앞에는 차량이 쉴 수 있는 주차장이 있
는데, 요즘 미인폭포 나들이 수요가 제법 늘어
나면서 관리비 명목으로 주차비를 받고 있다.
(이제는 입장료까지 받고 있음)


▲  사적비(주차장)에서 여래사로 내려가는 산길

지금이야 산길에 이렇다할 방해물이 없지만 2012년 초까지만 해도 짧게 목책이 둘러져 있었다.
절과 폭포로 내려가는 길도 오로지 여기 하나 뿐이고 길 양쪽 또한 각박한 내리막이라 목책을
꽁꽁 닫아걸면 넘어가기도 힘들다.
목책을 설치한 큰 이유는 미인폭포 관람객을 통제하기 위함이었다. 폭포를 가려면 무조건 절
을 거쳐가야 되는데 절에서는 기도에 방해가 된다며 관람객들을 차갑게 대해 늘 말썽이 많았
고, 길목에 목책까지 닦아놓아 관람객의 통행까지 방해했다.
이렇게 안좋은 배경을 안고 태어난 목책은 2012년 봄에 새로 부임한 주지승이 절과 폭포를 찾
는 중생의 발걸음을 막는 것이 아니라며 싹 철거하여 예전보다는 깨끗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여래사로 내려가는 산길

사적비에서 여래사까지는 급한 벼랑을 동반한 내리막길의 숨가쁜 연속이다. 매우 가파른 경사
라 길이 지그재그로 정신없이 이어져 사람들의 혼을 다 빼놓으며, 길 옆은 거의 50~60도의 낭
떠러지이다. 특히 길이 구부러지는 부분은 거의 70~80도의 천길 낭떠러지로 동쪽 굽이 부분은
그나마 통리협곡이 가까이에 보여 덜 아찔하지만 서쪽 굽이 부분은 영동선(嶺東線) 열차도 울
고 넘었던 통리재를 비롯하여 통리재 아랫 세상(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흥전리)이 까마득하게
보여 염통을 제대로 쫄깃하게 만든다.
자칫 넘어지기라도 한다면 정말 보이지 않는 저 고개 밑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그야말로 하늘
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격이나 다름이 없다. 그래서 더욱 조심에 조심을 기해 내려가야 된다.


▲  서쪽 굽이 부분 - 숲 너머로 통리재가 보인다.

▲  사적비와 여래사 중간 부분 산길
관광객들을 위한 안전시설은 거의 없다. 돌다리도 두들겨 패고 건너는 심정으로
조심 조심 발을 움직이는 수 밖에는~~

▲  여래사 남쪽에 놓인 철다리

그렇게 간을 쫄깃쫄깃 구워가며 내려가니 보이지 않을 것 같던 여래사가 드디어 그 모습을 비
비추고 절 남쪽 계곡에 놓인 철다리를 건너면 여래사 경내에 이르게 된다.


 

♠  하늘의 감옥 같은 통리협곡에 둥지를 틀어 미인폭포의 후광을
단단히 보고 있는 고적한 절집, 여래사(如來寺)

▲  통리협곡에 둥지를 튼 여래사 (겨울 설경)

통리협곡 동쪽 비좁은 곳에 둥지를 닦은 여래사는 1960년 4월에 창건된 조촐한 산사(山寺)이다.
원래 이름은 혜성사(慧聲寺)로 근래에 이름을 갈았으며 가파른 통리재로 이어지는 서쪽을 빼고
는 동/남/북쪽이 완전히 산으로 막힌 하늘의 감옥 같은 곳이다.
처음에는 조그만 기도처로 시작했으나 미인폭포의 덕을 제대로 본 탓인지 신도가 꾸준히 늘어
나 대웅전과 삼성각 등 무려 6~7동의 건물을 갖추며 제법 발전을 보였다. 하지만 터가 협소하
고 경사가 하나같이 급한 곳이라 그런 지형의 눈치 때문에 건물 크기는 모두 작으며, 산자락을
깎지 않는 이상은 경내를 넓힐 수도 새롭게 건물을 놓을 공간도 적당치 않다.

철다리를 건너 요사의 좁은 옆구리를 지나면 경내 서쪽을 이루고 있는 요사(寮舍) 한복판에 이
르게 된다. 'ㄱ'자 모양의 요사와 '一' 모양의 요사가 바로 붙어있어 마치 하나의 건물처럼 보
이는데, 이들 건물은 승려와 신도의 생활공간으로 그들 사이에 좁은 뜨락이 있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요사와 절지킴이 누렁이

좁은 산자락을 비집고 간신히 터를 다진 경내 동쪽에는 법당(法堂)인 대웅전(大雄殿)을 비롯하
여 삼성각(三聖閣)과 산령각(山靈閣), 범종각(梵鍾閣) 등이 일제히 폭포가 있는 북쪽을 바라보
고 있다. 다들 조촐한 모습으로 건물 현판은 한문이 아닌 한글로 쓰인 것이 눈길을 끌며 건물
앞 뜨락은 매우 가늘고 좁다.


▲  단청이 고운 여래사 대웅전 (겨울에 찍은 사진)

▲  대웅전 옆에 자리한 범종각
범종을 비롯하여 목어(木魚)와 바깥에 매달린 법고(法鼓, 북) 등을 갖추고 있다.

▲  여의주를 머금은 목어의 위엄
미인폭포에 단단히 눈이 먼 것일까? 아니면
폭포 전설에 나오는 미인을 꿈꾸는 것일까?
눈동자가 부었다.

◀  범종각에 안긴 범종(梵鍾)
범종 피부의 여래사의 옛 이름인 혜성사가
쓰여 있다. 저 종을 심산유곡인 이곳까지
어떻게 운반해왔을까?


▲  1칸짜리 삼성각
삼성각은 보통 산신과 칠성, 독성(獨聖)의 보금자리이나 이곳은 산신과 칠성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독성은 어디로 마실을 갔으려나..?)

▲  삼성각에 봉안된 산신탱(山神幀)과 칠성탱(七星幀)

왼쪽 산신탱에는 흰 수염의 산신 할배를 비롯하여 호랑이와 동자(童子) 등 산신 식구들이 그려
져 있다. 산신 왼쪽(그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에는 그의 거처인 산이 흑백으로 그려져 있어
칼라와 흑백 사진을 원근감에 맞쳐 겹쳐놓은 듯 하다.
빨간색 투성이인 오른쪽 칠성탱은 선의 미가 물씬 묻어나 여래사 탱화 중에 단연 돋보인다. 이
들은 모두 20세기 후반 것으로 시간이 100년 이상 흐르면 20세기 후반 불화 양식으로 우리나라
미술사 관련 서적에 소개될 지도 모르니 미리 눈도장을 찍어두자.


▲  경내 가장 구석진 곳에 자리한 산령각(山靈閣)

▲  산령각에 봉안된 존재들 (산신과 단종 임금)

산령각은 산신(山神)의 보금자리로 이미 삼성각에 산신상과 산신탱이 있건만 따로 산령각을 만
들어 별도의 산신상과 산신탱을 봉안하고 있다. 그러니까 산신상/산신탱이 각각 2개씩 있는 것
이다. 왜 그렇게 산신으로 도배를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절이 첩첩한 산주름에 묻혀있다보니 산
신에게 더욱 잘보이려는 의도로 그리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산신탱은 매우 오래된 듯, 꽤 빛이 바래 보이는데 적어도 50~60년 이상은 묵은 듯 싶으며, 그
옆에는 어느 선비가 백마에 탄 곤룡포(袞龍袍)를 입은 제왕에게 무언가를 바치고 있는 그림이
눈길을 끈다. 절에 왠 선비와 왕의 그림일까? 그것은 단종(端宗)과 충신 추익한(秋益漢)의 일
화를 머금은 그림이다.

단종(1441~1457)은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世祖)>에게 강제로 왕위에서 떨려난 불운
의 어린 군주로 계속되는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하여 결국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되어 영월
(寧越) 청령포로 유배를 오게 되었다.
벼슬에서 물러나 영월에서 한가로운 인생을 보내고 있던 추익한은 그 소식을 듣고 자주 단종을
찾아와 문안 인사를 올렸다. 단종이 시(詩)를 좋아하니 그와 함께 시를 지으며 그와 놀아주었
고, 산에서 딴 산머루나 집에서 가져온 음식을 진상하는 등 온갖 정성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추익한은 산에서 단종에게 줄 머루를 따고 있는데 갑자기 단종이 곤룡포를 휘
날리며 백마를 타고 그의 앞에 나타난 것이다. 난데없는 그의 등장에 '이게 뭔일이지..? 유배
가 풀렸나?'
적지 않게 놀랬으나 그래도 반가운 마음에 산머루를 쓱 바치며 '전하 어디로 가십
니까?'
물었다. 그러자 단종은 '태백산에 가는 길입니다. 산머루는 처소에 갖다 두세요' 하고
는 말을 타고 사라졌다.

추익한은 '이거 내가 귀신에 홀렸나? 잘못 본 거 아닐까?' 여기다가 문득 조짐이 좋지 않아 단
종이 머물던 영월읍내 관풍헌(觀風軒)으로 달려갔다. 그곳에 가보니 글쎄 단종은 사약을 마시
고 이미 죽어있던 것이 아닌가 (그때가 1457년 10월 26일) 그 참담한 광경에 충격을 받은 추익
한은 크게 곡소리를 내며 결국 자살하고 만다.

단종은 이승을 떠나자 태백산으로 들어가 그곳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어린 나이에 강제로 숨
을 거둔 단종에 대한 강원도 남부 지역 백성들의 눈물 어린 동정심은 그를 천하 제일의 성산(
聖山)인 태백산의 산신으로 만들어 길이길이 받들게 된 것이다. 그래서 강원도 삼척과 정선,
영월 지역의 많은 사찰에는 단종과 추익한이 마지막으로 만나는 장면을 담은 그림을 봉안하고
있으며, 이 지역 서낭당이나 당집에서도 그 그림을 봉안하며 단종을 신으로 받든다.


▲  범종각 옆에 있는 샘터

여래사에 2번이나 발을 들였지만 샘터는 처음 본다. 그새 새로 만든 것일까? 그건 아니다. 예
전 겨울에 왔을 때는 눈에 완전히 묻혀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이 샘터는 미인폭포 계곡에서 끌어올린 맑은 물로 맛이 시원하고 달달하다.


▲  옛날 시골 부엌처럼 정겹기 그지 없는 여래사 부엌

옛날 시골 부엌을 재현한 듯 꽤나 정겨운 모습이다. 이제는 희미한 추억이 되버린 나의 단양(
丹陽) 외가 시골집도 저랬었지. 장작으로 불을 떼는 부뚜막과 쇠솥을 보니 모락모락 연기가 피
어오르는 쌀밥과 누룽지 생각이 간절해진다. 그래도 완전한 옛날 방식을 고집할 수는 없었는지
현대의 이기(利器)인 가스통과 가스레인지도 들여와 부뚜막과 함께 취사를 해결한다. 부뚜막은
여전히 나무로 불을 떼며, 식수는 미인폭포 계곡에서 파이프를 연결하여 가져온다.


▲  여래사 북쪽에 병풍처럼 들어선 미인폭포 서쪽 석벽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위대한 작품 앞에 그저 탄성만 연거푸 나올 뿐이다.
하늘을 이고 있는 석벽에는 세월이 달아놓은 주름선이 첩첩이 그어져 있다.


여래사는 인적도 거의 없는 궁색한 산간벽지로 수행하기는 참 좋은 곳이다. 삼척 땅의 가장 외
진 곳이자 숨겨진 비경인 미인폭포가 절의 듬직한 후광이 되어주고 있고, 통리협곡 안에 아슬
아슬하게 들어앉은 탓에 경치도 아주 뛰어나다. 절집의 본분인 기도와 참선을 위해 이곳을 선
택한 것도 있겠지만 폭포와 자연의 덕을 톡톡히 보려는 의도도 담겨져 있을 것이다.
미인폭포는 시간이 지나면 언제든지 관광지로 몸값을 올릴 수 있는 곳이라 그 앞에 미리 자리
를 맡아놓으면 관광객들은 싫든 좋든 절을 거쳐야 된다. 그러다보면 절을 찾는 발길은 미인폭
포 인기에 정비례하여 늘 수 밖에 없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수입은 늘어날 것이고 그 수입을
바탕으로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한 것이다. 게다가 절이 이곳에 들어서면서 사적비까지 길을 내
어 폭포에 대한 접근성도 조금 좋아졌다. 절이 아니었으면 폭포 입구에서 실타래처럼 가느다란
산길을 쩔쩔매며 이동해야 했을 것이다. 

절을 기준으로 서남쪽 벼랑에는 등잔바위, 범바위 등이 있고, 예전에는 보석의 일종인 자마노(
紫瑪瑙)란 붉은 돌이 나왔다고 한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수달도 가끔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그만큼 이곳이 한적하고 청정한 벽지라는 뜻이다.


 

♠  삼척의 비경이자 통리협곡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폭포, 미인폭포

▲  여래사에서 바라본 미인폭포

통리협곡 동쪽 구석에는 백두대간의 비경인 미인폭포가 수줍은 듯 숨어있다. 여래사에서 폭포
까지는 대략 300m 거리로 폭포 양쪽으로 붉은 피부의 협곡 석벽이 대장관을 이룬다.
대자연이 오봉산(五峯山)과 백병산(白屛山) 골짜기가 만나는 곳에 협곡과 함께 빚어놓은 대작
품, 미인폭포는 높이가 50m에 이른다. 지역 이름을 따서 심포폭포()라고도 하며, 삼척
시내로 흘러가는 오십천(五十川)의 최상류이기도 하다. 암벽을 타고 내려와 산산히 부서지는
폭포수는 물안개를 이루며 오색영롱한 무지개를 자아낸다.

미인폭포를 품으며 병풍처럼 들어선 통리협곡은 일명 한국의 그랜드캐년(Grandcanyon)이라 일
컬어진다. 이 협곡은 중생대 백악기(白堊紀. 1.4억년 전~6500만년 전) 시절에 퇴적된 역암층으
로 신생대 초기에 심한 단층작용 속에서 강물에 침식돼 270m 깊이로 패여 내려갔다고 한다. 석
벽이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이은 퇴적암이 건조한 기후에서 공기 중에 노출된 채
산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주로 굵은 자갈로 된 역암과 모래로 이루어진 사암(砂巖), 진흙
이 굳은 이암(泥巖)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발 600m 내외로 하늘과 가까운 곳이라 안개와 구름의 희롱이 잦은데, 이때 폭포 경치가 더욱
신비하게 보인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일몰 전과 일출 전에 폭포에서 따뜻한
바람이 불면 풍년, 찬바람이 불면 흉작을 예측했다고 한다.

미인폭포는 통리협곡과 한데 어우러져 장쾌하고 남성적인 멋을 진하게 우려내고 있다. 물론 폭
포의 이름처럼 여성적인 아름다움도 간직하고 있다. 폭포가 여성적인 이름인 미인을 칭하고 있
는 것이 참 이채로운데, 이렇게 어여쁜 이름을 지니게 된 것은 미인과 관련된 전설을 안고 있
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이렇게 절경인 곳에는 옛 사람들이 심심풀이로 달아놓은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여러
개씩은 서려 있기 마련이다. 폭포 위쪽 동네인 구사리(九士里)에는 옛날부터 미인이 많이 나와
미인폭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그 인근에 미인의 무덤이 있다고 한다.
어쨌든 미인폭포에 얽힌 전설은 여럿이 전하고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주 먼 옛날, 폭포 윗쪽 동네에서 태어난 미인이 혼인을 했다. 남편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재
가를 했는데, 재가를 한지 얼마 안되어 새 남편마저 죽었다. 아무래도 남편을 잡아먹는 기구한
팔자인가 보다. 그래서 신세를 너무 비관한 나머지 폭포에 뛰어내려 죽었다고 한다. 또한 다른
전설에는 남편이 죽자, 재혼할 남자를 찾았지만, 예전 남편만한 사람을 찾지 못해 신세를 비관
하고 폭포에서 뛰어내렸다고 한다. 그래서 미인폭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전설의 내용을 보면 충분히 가능성은 있는 이야기이다. 폭포나 수심이 깊은 못에서 신세 한탄
으로 뛰어내린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미인이 아닌 그 반대의 여인이 뛰어내렸다
면 사정은 어떻게 되었을까? 지금과 반대의 뜻인 추녀폭포가 되었을까? 아니면 폭포도 자존심
이 상해 그 자리를 접었을까.?

그리고 또 다른 전설로는 구사리 혹은 심포리에 살던 어느 부부가 여자아이를 낳았는데, 그 아
이가 시작부터 너무 이쁘게 생겼다고 한다. 부부는 그런 딸 때문에 신세를 망치는 것은 아닐까
염려가 되어 생후 3일만에 땅에 생매장시켰다는 것이다. 그러자 폭포 속에서 용마(龍馬)가 튀
어나와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니 아마도 여자 아이가 용마로 환생하거나 그 아이가 장차 탈 용
마가 너무 열받아서 하늘로 날라갔던 모양이다.
폭포수가 미끄러지듯 내려와 산산히 부셔지는 석벽을 험풍암(驗豊岩)이라고 부르는데, 미인이
뛰어내릴 때 이를 지켜보던 동자승이 돌이 되었다는 동자석(童子石)이 암벽 꼭대기에 서 있다.
그 동자승은 미인의 자살을 막지 않고 멀뚱히 구경했다는 이유로 하늘에서 벌을 받은 듯 싶다.


▲  통리협곡의 붉은 석벽 (미인폭포 서쪽 석벽)

마지막으로 확실하지는 않지만 이런 전설도 있다.
옛날 이곳에는 미인이 하나 살고 있었다. 그녀는 오늘날 이 땅에 흔하고 흔한 된장녀 타입으로
눈이 쓸데없이 높아 왠만한 남자들이 청혼을 해도 모두 거절했다고 한다.
그렇게 꿈꾸던 이상형을 기다리는 동안 시간은 많이도 흘러갔다. 청정한 물을 쏟아내는 폭포와
더불어 살았으니 시간 관념도 잊은 듯 싶으며, 미모에 대한 지나친 자만감에 자신의 모습도 살
피지 않은 모양이다.

그러다가 일기가 화창했던 어느 날, 드디어 이상형의 남자가 폭포를 지나갔다. 이에 미인은 그
에게 청혼을 했는데, 남자는 크게 발작하며 확실하진 않지만 이 정도의 말을 했던 모양이다 '
할머니! 지금 저한테 농담하는거죠?'
그 말에 미인은 '엥 이게 뭔소리인가?' 싶어 폭포수에 자
신을 비추어 보았는데, 글쎄 그 속에는 남자가 했던 말 그대로의 모습이 비춰진 것이 아닌가?
그 모습에 크게 발작한 미인은 치마폭을 뒤집어 쓰고 폭포에 뛰어내려 죽었다고 하며, 그래서
인지 폭포의 모습이 여인이 치마를 뒤집어 쓰고 뛰어내리는 모습과도 닮았다고 한다. (그렇게
까지 보이지는 않았음)
미인이 자신의 주제 파악도 못하고 그렇게 골로 간 이후, 백산(통리 남쪽) 말구리재에서 그녀
의 배필이 될 사람이 말을 타고 달려왔다. 허나 미인이 죽었다는 소식에 그 또한 발작하여 신
기(도계 북쪽 동네)에서 말과 함께 죽었다고 하며, 미인이 뛰어내릴 때 동자승이 그 모습을 구
경하다가 돌이 되었다고 한다.

▲  하얀 명주를 가늘게 늘어뜨린 듯한 미인폭포
여름 제국의 심술로 초여름 가뭄이 극심이라 폭포수의 수량이 썩 많지가 않다.


여래사 요사 북쪽에 폭포로 내려가는 길이 있는데, 그 문을 열고 산길을 7~8분 정도 두근거리
는 마음을 다독이며 내려가면 꿈에도 그리던 미인폭포 앞에 이르게 된다. 폭포로 인도하는 산
길은 매우 가는 편으로 마치 미인의 얇은 팔이나 다리를 더듬는 것 같다. 그 길을 한 발짝 내
려갈 수록 미인폭포는 점차 가깝게 다가오면서 그 아름다우면서 장엄한 모습을 드러낸다. 여래
사에서 보는 폭포와 그곳으로 내려가는 산길에서 바라보는 폭포, 그리고 바로 앞에서 보는 폭
포의 모습은 확연히 틀리게 다가오며, 폭포의 규모가 자못 장대하다보니 그 앞에 흩어진 사람
들이 개미보다 더 작게 보인다.

▲  바로 앞에서 바라본 미인폭포의 위엄

높은 벼랑에 절벽이 뚫리고 성난 물줄기가 천길 아래로 떨어져 흰 비단을 드리웠다. 폭포는 직
각을 이루며 일직선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닌 중간에 한굽이 쉬었다가 쏟아지는 형태로 수량이
적다보니 폭포수 소리가 미녀의 목소리처럼 작기만 하다.
폭포수는 폭포 앞 못에 모이는데, 그 못의 수심이 매우 얕아 어린이들이 물놀이하기에 좋으며,
신경통에 좋다는 물맞이 장소로도 손색이 없다. 폭포 아랫도리 암벽에 앉아서 위에서 쉴새 없
이 쏟아지는 물을 맞으면 되니 정말 피서의 성지가 따로 없다. 미인의 기운이 담긴 폭포수로
얼굴을 씻으면 피부가 좋아진다고 하는데, 손만 씻었지 얼굴까지는 씻지 못했다.

못에 잠긴 폭포수는 잠시 숨을 가다듬고 속세를 향해 먼 길을 떠난다. 통리협곡이라 불리는 계
곡을 타고 오십천에 합류해 동해바다로 흐르는 것이다. 계곡에는 특이한 돌들이 많이 눈에 띄
는데, 큰 암석에는 다양한 조그만 돌들이 화석처럼 박혀있다. 그 모습이 마치 콘크리트에 박힌
조그만 돌처럼 보이며, 이들은 아득한 중생대 백악기 시절의 온갖 사연을 안고 형성된 것으로
백두대간 지질학 연구에 쏠쏠한 단서를 제공한다.

폭포 앞에 이르니 시원한 물줄기와 번뇌도 싹 털어갈 정도로 청정한 산바람, 그리고 그렇게나
소망하던 폭포 앞에 내가 서있다는 현실에 정말 그곳을 떠나기가 싫었다. 폭포 앞에 작게 움막
을 짓고 아주 잠깐 속세를 등지며 폭포를 벗삼아 살고 싶은 마음도 굴뚝처럼 솟는다. 허나 이
렇게 되면 미인폭포가 나 때문에 이름을 바꿔야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미남폭포는 그렇고
추남폭포로 말이다. 그러면 폭포도 발끈하여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은 아닐까? 절이 싫으면 중
이 떠나듯이 말이다.

이곳은 통리협곡의 막다른 곳이라 마치 세상의 숨겨진 끝이나 막다른 구석에 들어선 기분이다.
여기서는 오로지 여래사를 거쳐 밖으로 나가거나 계곡을 따라 아득한 북쪽으로 내려가야 된다.


▲  폭포 밑에 마련된 조그만 못 - 수심도 얕고 돌도 매우 곱다.

▲  성나게 쏟아지는 미인폭포의 윗부분

▲  청정한 폭포수로 붉은 피부가
더욱 윤기나게 보인다.

▲  폭포 서쪽 계곡 (통리협곡)


▲  미인폭포를 등지고 다시 속세로 나가다

폭포에서 한 20분 정도 머물다가 다음 일정을 위해 아쉽지만 그곳과 작별을 고했다. 힘들게 찾
아온 폭포라 쉽게 등지기가 싫어 끝까지 남다가 내가 마지막으로 철수를 했다.

폭포 관람은 수염이 지긋한 산사나이 모습의 여래사 주지승이 직접 해주었는데 그는 2012년 초
에 이곳으로 부임했다. 일행들이 모두 절로 올라오자 요사로 들어와 차 1잔 마시고 가라며 녹
차와 여러 차를 제공했다. 허나 일행 상당수가 절을 나선 상태라 차를 마신 이는 10명 정도로
요사 안으로 들어가니 온갖 가재도구와 노트북까지 있을 것은 다 갖추고 있었다. 심지어는 인
터넷까지 버젓히 들어와 고적한 산사에 속세의 소식을 전해주니 이 땅이 정말 인터넷 강국임을
실감케 하며, 요사 내부는 시원하여 한여름에도 선풍기를 틀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주지승이 제공한 차는 시중에서 파는 티백으로 폭포 계곡에서 끌어들인 물을 끓여 티백을 담아
우린다. 순수한 물로 우리다보니 맛도 조금은 다른 것 같다. 그렇게 차를 마시고 주지승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잠시나마 정들었던 여래사를 떠난다. 주지승도 많이 서운했던지 다음에 꼭
찾아오라며 당부를 건넨다. 

예전 겨울에 이루지 못한 미인폭포 관람을 통쾌하게 이루었지만 아직 동자석과 등잔바위, 폭포
동쪽 너머에 있는 구사리 미륵바위 등 못본 것이 참으로 많다. 그들의 정확한 위치도 모를 뿐
더러 주지승에게 문의하니 그 역시 모른다고 한다. 아마도 다음에 또 발걸음을 하라는 미인폭
포의 지극한 뜻이 아닐까 싶다.
여래사에서 사적비까지는 길이 지그재그이고 경사가 있어 내려갈 때와 달리 좀 힘들다. 사적비
까지 올라와 녹음(綠陰)이 깃들여진 숲길을 걸으며 폭포 입구로 나왔다. 입구로 나오니 우리를
태울 관광버스가 낮잠 한숨 자고 기지개를 켜며 우리를 맞는다.

그렇게 사람들을 태운 버스는 태백시내로 넘어갔다. 황지교4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조금 가다가
오른쪽으로 들어가니 그곳에 우리가 점심을 먹을 식당이 있었다. 식당 이름은 아쉽게도 잊어먹
었는데 돌솥밥이 일품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모두 돌솥으로 예약했다.
안으로 들어서니 밑반찬이 미리 맛있는 향을 풍기며 대기하고 있었고, 고기부터 생선, 강원도
산 채소까지 찬이 정말 많았다. 돌솥밥도 괜찮았지만 반찬이 더 맛있어 더 달라고 주문을 했으
나 리필로 돌아온 것은 채소 종류 뿐, 골고루 오지는 못했다.
아침부터 굶주려 폭동 직전에 있던 배를 이렇게 달래니 뱃속도 즐겁다며 쾌재를 외친다. 그렇
게 점심을 마치고 후식으로 자판기 커피를 마시며 태백의 선선한 기운을 누리다가 다음 행선지
로 길을 떠났다.
 
이렇게 하여 삼척 미인폭포 초여름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이후 내용은 본글의 분량
상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삼척 미인폭포 찾아가기 (2016년 7월 기준)
① 철도 이용 (태백역이나 동백산역 하차)
* 청량리역과 양평역, 원주역, 제천역에서 정동진행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태백역 하차. (평
  일은 1일 6회, 주말과 휴일은 1일 7회 운행)
* 부전역, 태화강역, 경주역, 동대구역, 안동역, 영주역에서 정동진행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동백산역 하차
② 시외버스 이용
* 동서울터미널에서 태백행 직행버스가 20~40분 간격으로 떠난다.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에서 태백행 직행버스가 1일 6회,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태백행
  직행버스가 1일 14회 떠난다.
* 인천, 고양, 의정부, 성남, 부천, 수원에서 태백행 직행버스가 1일 4~6회 운행
* 원주, 제천에서 태백으로 가는 직행버스가 1일 10여 회 운행
* 강릉과 동해, 삼척에서 태백행 직행버스가 30~60분 간격으로 떠나며, 통리에서 내리면 된다.
  (통리에서 미인폭포 입구까지 도보 20분)
③ 현지교통
* 태백역전에 있는 태백시외터미널에서 구사리행 시내버스(1일 1회, 6:35분 출발)나 호산행 완
  행버스(1일 4회/ 8:30, 13시, 15:45, 19시)를 타고 미인폭포(여래사) 입구 하차, 운전사에게
  내려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미인폭포 입구에서
* 태백역이나 동백산역에서 택시를 타고 여래사 사적비(주차장)까지 들어갈 수 있다.
④ 승용차 (여래사 사적비 앞에 주차공간이 있음, 대형버스 접근 불가)
* 중앙고속도로 → 제천나들목을 나와서 영월 방면 38번 국도 → 고한 → 황지교4거리에서 좌회
  전 → 통리건널목에서 우회전(철길 건널목 건넘) → 통리3거리에서 우회전 → 미인폭포 입구
  에서 좌회전 → 여래사 주차장
* 동해고속도로 → 동해나들목에서 삼척 방면 7번 국도 → 단봉3거리에서 태백 방면 38번 국도
  → 도계 → 통리재 → 통리3거리에서 좌회전 → 미인폭포 입구에서 좌회전 → 여래사 주차장

★ 삼척 미인폭포 관람정보 (2016년 7월 기준)
* 입장료 : 1인당 1,000원 (산길 보수를 명목으로 입장료를 받고 있음)
* 주차비 : 4시간에 1,000원 (대형은 2,000원)
* 비가 많이 내리거나 폭설이 내릴 때는 가지 않는 것이 좋다. 그만큼 험준한 곳이다.
* 미인폭포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 여래사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구사리 218-2 (문의재로 77-162 ☎ 033-552-1110)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6년 7월 1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한반도 배꼽 속에 숨겨진 순박한 폭포, 양구 팔랑폭포 (팔랑계곡)

 


' 한반도의 한복판, 강원도 양구 나들이
팔랑폭포 (팔랑계곡) '
팔랑폭포
▲  팔랑폭포 팔랑소

 

 

 


 

겨울 제국(帝國)의 한복판인 12월의 어느 평화로운 날, 강원도의 첩첩한 산골이자 한반
도의 배꼽을 자처하는 양구(楊口) 고을을 찾았다.

간만에 인연을 지은 양구에 이르러 제일 먼저 읍내 북쪽에 자리한 양구선사박물관과 파
로호 습지를 둘러보았다. 그런 다음 다시 읍내로 나와 어디로 갈까 궁리를 하다가 동면
에 있는 팔랑폭포가 격하게 땡겨 그곳으로 길을 잡았다.
양구시외터미널 군내버스 정류장에서 차 시간을 점검하니 고맙게도 10분 뒤에 팔랑리로
가는 버스가 있고, 더 고마운 것은 그 버스가 팔랑폭포 앞까지 들어가는 차였다. (폭포
앞 경유 팔랑1리 목장까지는 1일 4회 운행)

드디어 팔랑리로 가는 군내버스가 정류장에 들어와 활짝 입을 연다. 그곳까지 버스비가
생각 외로 높았지만 나에게 꿩 대신 닭을 고를 권한은 없는지라 그 돈을 내고 승차했다.
게다가 폭포 앞까지 들어가주는 버스라 나에게는 좋은 셈, 다만 그 거리만큼 구간 요금
이 다소 증가했다.

버스는 10명의 사람을 싣고 읍내에 외마디 부릉소리를 남기며 구불구불 국도를 따라 동
면 지역으로 넘어갔다. 그날은 오전부터 약하게 비가 내렸는데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더
니만 충분히 쉬었는지 다시 비를 대지에 떨구며 양구의 산하를 촉촉히 어루만진다.
근심 어린 눈으로 차창 밖을 지켜보는 동안 버스는 남면(南面)을 지나 후곡약수터 입구
를 거쳐 30분 만에 동면 중심지인 임당리에 이른다. 여기서 여러 군부대를 지나 팔랑리
종점에서 해안분지(해안펀치볼)로 가는 길(453번 지방도)을 버리고 동남쪽 산골로 방향
을 틀어 3분 정도 올라가더니 뚝 멈춰선다. 여기가 바로 팔랑폭포 앞이었다.

운전사는 왜 하필이면 비오는 날에 왔냐며 한마디 건넨다. 그래서 적당한 답을 주니 폭
포는 높이가 낮고 볼품이 없다며 잘못 왔다고 그런다. 허나 그것은 내가 판단할 일이라
답은 안하고 대신 나가는 차 시간을 물어보니 약 20분 뒤(14:20분)에 있고 그 다음은 3
시간 뒤(17:40)에 있다고 한다. 허나 팔랑리(곰취 정류장)로 나오면 40분 간격으로 차
가 있으니 나와서 탈 것을 권했다.
고마움을 표하며 차에서 내리려고 하니 운전사가 비맞고 댕기지 말라며 자신이 쓰던 우
산을 흔쾌히 건네주었다. 아직까지 서려있는 시골의 넉넉한 인심에 무한 감동을 먹으며
운전사에게 깊이 감사를 표했다.

차에서 내리니 바로 팔랑정(八郞亭)이란 4각형 정자와 기품이 보이는 소나무가 나를 반
긴다. 여기서 조금만 가면 되겠구나 싶어 발을 떼기가 무섭게 우렁찬 물소리가 나의 귀
를 때려댄다. '아니 벌써 폭포인가? 이러면 재미없는데' 싶어서 소나무 아래 쪽을 살펴
보니 그 안쪽 계곡에 팔랑폭포가 숨어서 울고 있었다.


 

♠  오래된 소나무와 암벽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 경승지
~ 팔랑폭포(八郞瀑布)

팔랑폭포가 있는 팔랑리는 임당리와 더불어 동면의 중심격 마을이다. 조선시대에 함경도에 살
던 이학장()이란 도사()가 남쪽으로 내려와 팔랑리에 터를 일구고 살았는데, 그에게
는 유방이 무려 넷이나 달린 아내가 있었다. 그들은 4명의 쌍둥이를 낳았고, 몇 년 뒤 다시 네
쌍둥이를 낳았다고 하며, 이들 여덟 쌍둥이는 휼륭하게 성장하여 벼슬까지 했다. 그런 연유로
팔랑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팔랑의 랑(郞)은 사내를 뜻함)

팔랑1리 구석진 곳에 둥지를 툰 팔랑폭포는 폭포치고는 높이가 별로 높지는 않다. 허나 수량이
풍부하고 암벽 사이로 옥계수를 장쾌하게 쏟아내는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시원스레 해준다.
폭포 아래로 옥계수가 모이고 모여 이루어진 팔랑소(八郞沼)는 신선(神仙) 형님과 선녀 누님이
놀다간 곳이라 전하며 그에 걸맞게 청정함을 유감없이 뽐낸다. 사방은 암벽으로 둘러싸여 신비
로운 분위기까지 더한다.
그런 폭포와 팔랑소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선 소나무는 무려 300년의 세월을 먹은 오래된 나무
로 높이 18m, 밑동 둘레가 3.2m에 이른다. 이곳을 찾은 시인묵객들이 걸음을 멈춰 나무에 고된
몸을 기대며 시를 지었다고 전하며, 마을 사람들은 그를 신목(神木)이나 당산나무, 당산 할머
니라 부르며 마을의 수호신으로 애지중지하고 있다.

폭포를 빚어낸 계곡은 팔랑계곡이라 불리며, 양구 곰취축제의 현장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2015
년부터는 양구읍내 레포츠공원에서 축제를 벌이고 있어 다소 한가해졌다.
양구 지역의 대표적인 명소로 한적한 산주름 속에 은둔해 있어 여름에는 피서객으로 홍수를 이
루며, 잠시 속세를 등지며 폭포를 벗삼아 지내고 싶은 곳이다.


▲  좌우로 볼록한 팔랑정(八郞亭)
정자라기보다는 조촐한 동네 사랑방 같다. 추녀에는 특이하게 풍경이 달려있어
은은한 풍경소리를 자아낸다.

▲  폭포를 바라보며 서 있는 수려한 소나무
팔랑폭포의 영원한 동반자로 300년의 장대한 세월을 양분으로 삼아 한 그루의
의연하고 아름다운 소나무로 자라났다.

  폭포 쪽에서 바라본 소나무
신령이 깃들여진 듯, 그 자태가 예사롭지
 않다.

  윗쪽에서 바라본 팔랑폭포와 팔랑소
겨울 제국이 폭포를 시샘하여 씌워놓은
얼음이 일부 남아있다.


▲  겨울비의 희롱을 받으며 장쾌하게 쏟아지는 팔랑폭포
폭포로의 접근은 안전상 통제되어 있다. 물론 요령껏 들어가면 되겠지만 겨울에는
다소 위험하므로 안전한 곳에서 폭포를 감상하기 바란다. 괜히 내려가봐야
폭포를 괴롭히고 자기 자신을 학대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

▲  소나무 부근에서 바라본 팔랑소
성하(盛夏)에 한복판에 왔더라면 그대로 풍덩했을지도 모른다. 소(沼)가 다소
움푹한 곳에 들어있어 폭포 위에 있는 다리나 아래쪽 다리에서는 완전히
보이지 않으며, 소나무가 있는 곳에서만 온전하게 바라보인다.

▲  폭포 윗쪽에서 바라본 팔랑소
이곳은 혹 하늘로의 승천을 꿈꾸던 용이 열심히 몸을 풀던 곳은 아닐까?

▲  겨울에 잠긴 폭포 위쪽 계곡
얼어 붙은 채 한없이 잠들어 있던 저 계곡도 소쩍새가 울때 쯤이면
기지개를 켤 것이다.

▲  폭포 아래쪽 계곡
봄을 숨죽여 잉태하며 제국의 시련을 견디고 있는 앙상한 나무들이
계곡을 거울 삼아 초췌해진 그들의 매무새를 바라본다.

▲  저 암벽 안쪽에 팔랑폭포가 숨어 있다.

▲  황량함과 적막함만이 감싸고 도는 팔랑계곡 산책로

▲  겨울 휴식에 잠긴 팔랑1리의 산야(山野)
그들이 혹 달콤한 잠에서 깰까봐 발자국 소리를 최대한 죽여가며 속세로 나온다.
아직 15시 밖에 안된 시간이지만 흐린 날씨로 인해 마치 해질녘 모습 같다.


※ 팔랑폭포 찾아가기 (2016년 6월 기준)
* 동서울터미널에서 양구행 직행버스가 20~60분 간격으로 떠난다.
* 춘천과 홍천에서 양구행 직행버스가 30~60분 간격으로 떠난다.
* 양구터미널을 나와서 길 건너 오른쪽에 군내버스 정류장이 있다. 거기서 팔랑리 방면 군내버
  스가 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그중에서 폭포를 경유하여 목장(팔랑1리)까지 가는 버스가 1
  일 4회 있다. (양구 기점 출발 8시50분, 13시30분, 16시50분, 19시30분)
* 목장행을 탔을 경우 팔랑폭포에서 내리면 바로 폭포이며, 팔랑리와 해안행 버스를 탔을 경우
  는 곰취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 20분
* 승용차편 (폭포 부근에 주차장 있음)
① 서울 → 서울양양고속도로 → 동홍천나들목을 나와서 인제 방면 → 신남교차로에서 신남 방
   면 → 신남3거리에서 좌회전 → 용하3거리에서 우회전 → 가오작리 → 동면 → 팔랑리 →
   팔랑폭포

* 폭포 주변에 민박집과 펜션이 여러 채 있다.
* 소재지 - 강원도 양구군 동면 팔랑1리


 


겨울비가 오는 촉촉한 날의 문을 두드린 팔랑폭포, 안개가 아련하게 폭포와 소나무 주변
을 감싸고 있으니 오늘이 아마도 신선과 선녀의 폭포 방문 날인 모양이다. 맑은 날과 휴
일에는 인간들로 가득해 오기가 그러니 비가 오고 한가로운 평일을 골라 이곳을 살짝 다
녀가는 모양이다. 나도 그들 틈에 끼어 놀고 싶은 마음 가득하지만 인간이 어찌 눈에 보
이지도 않는 그들과 놀 수 있겠는가?
겨울 제국에 무한으로 잠긴 채, 내년에 다가올 봄을 잉태한 폭포와 계곡, 팔랑리의 풍경
을 뒤로하며, 다시 속세로 나온다. 시간과 여건이 된다면 부근에 있는 팔랑민속관과 독
립지사 동창률(董昌律) 선생의 묘역도 가보고 싶었으나 비도 계속 오고 슬슬 저물어 갈
시간이라 쿨하게 발을 돌렸다.

폭포에서 팔랑리 곰취 정류장까지는 1.3km 정도로 걷기에는 그리 무리는 없다. 종점 주
변은 민가와 키 작은 2~3층 건물이 여럿 형성되어 있고 마을 주변에는 군부대가 가득해
이곳이 어쩔 수 없는 전방 임을 느끼게 한다. 어여 이북(以北)을 회복해야 외로운 전방
신세를 면할 수 있을텐데 말이다. 이북도 속히 찾아야 되고 주변 나라에 빼앗긴 그 엄청
난 실지(失地)도 모두 회복하여 우리의 경계를 다시 정해야 되거늘, 이북은 커녕 바다
건너 대마도(對馬島)도 못건지고 있으니 참으로 기약이 없다.

팔랑리에서 군내버스를 타고 다시 양구읍내로 돌아오니 시간은 어느덧 16시, 햇님도 퇴
근 직전이라 더 돌아보는 것도 의미가 없어서 미련 없이 시외터미널에서 춘천행 직행버
스를 타고 나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이렇게 하여 한반도의 정중앙 양구 겨울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다음 까페에 올린 글은 2015년 9월부터 문장 줄 간격이 좀 늘어져서 나옵니다. (다음에
   계속 시정을 요청했으나 소용이 없었음) 그러니 보기에 조금 불편하더라도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다만 다음과 네이버블로그에 올린 글은 간격 늘어짐이 없이 정상적으로 나오
   고 있으니 블로그글을 보셔도 됩니다.
 * 공개일 - 2016년 6월 2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도심의 듬직한 우백호를 거닐다. 인왕산 (개미마을, 북쪽 능선길, 환희사, 큰절골)

 


' 석가탄신일 절 나들이, 인왕산 환희사 (인왕산 북쪽 능선) '

▲  환희사 경내

* 스마트폰으로 보실 경우 꼭 PC버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를 권함)


 

 

올해도 변함없이 석가탄신일(4월 초파일)을 맞이하여 순례라는 거창한 이름을 내세우며 서
울 시내 절 투어에 나섰다. 이번에는 절을 좋아하는 후배 2명이 동참을 하였는데, 오전 11
시에 길음역(4호선)에서 그들을 만나 제일 먼저 정릉동(貞陵洞)에 자리한 오래된 절, 봉국
사(奉國寺)의 문을 두드렸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불상과 탱화를 중심으로 경내를 마음껏 누비며 온갖 나물이 버무려진
비빔밥과 떡, 전으로 이루어진 점심 공양으로 배를 두둑히 다듬었다. 그런 다음 인왕산 환
희사로 이동하고자 110번 시내버스에 몸을 싣고 홍제동(弘濟洞)으로 이동 중, 홍제천(弘濟
川) 변에 보도각 백불(普渡閣 白佛)을 내민 옥천암(玉泉庵)이 진하게 손짓을 하자, 계획에
도 없던 그곳에 잠시 발을 들였다. 거기서 중생들의 하례를 받느라 분주한 고려시대 백불(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을 친견하고 두툼한 떡(백설기)을 하나씩 쥐어들며 잠시 잊었던 환희
사로 이동을 재촉했다.

여기서 환희사까지는 참 애매한 거리이다. 버스를 타고 가기에도 참 어정쩡하여 때이른 무
더위를 무릅쓰고 인왕산을 더듬기로 했다. 옥천암 서남쪽 유원하나아파트에 인왕산으로 넘
어가는 산길이 있는데, 그 길을 타고 북쪽 능선(기차바위 북쪽)을 거쳐 서남쪽으로 내려가
면 1시간 이내에 환희사에 도착한다.
다만 그렇게 가려면 해발 280m까지 올라가야 된다. 절을 목적으로 왔는데, 뜻하지 않게 강
제 등산을 하게 되니 후배들은 버스를 타고 가자며 정색을 한다. 허나 내 마음은 석불처럼
굳어졌다. 산과 산사(山寺)는 물과 물고기와 같은 사이인데 산을 좀 타면 어떠하리~! 몸은
좀 힘들어도 보람은 그만큼 클 것이며 청정한 산내음도 마음껏 누릴 수 있다. 게다가 환희
사는 산속에 있기 때문에 버스를 타더라도 산을 좀 올라가야 된다.


 

♠  인왕산을 넘다 (개미마을, 홍심약수터, 옥동약수터)

▲  신록의 도화지를 이룬 인왕산 산길
(유원하나아파트에서 개미마을로 이어지는 산길)


옥천암과 가까운 유원하나아파트는 인왕산 북쪽 끝 세검정로 길가에 자리한 아파트이다. 천박
한 개발의 칼질이 인왕산 북쪽과 서쪽, 남쪽을 마구잡이로 난도질하면서 성냥갑 아파트를 잔뜩
지어올려 대자연의 걸출한 작품 인왕산의 시야를 가리며 농락한다. 특히 통일로로 이어지는 의
주로(義州路) 동쪽은 더욱 심각해 여유 공간도 없을 것 같은 가파른 산자락을 헤집고 온갖 아
파트를 지어놓아 미관을 찌푸리게 한다. 굳이 인왕산을 희롱하며 저렇게 잔뜩 아파트를 지어야
했는지 의문일 따름이다. 이 땅의 개발은 언제나 개념을 탑재하고 바른 길을 갈지 정말로 답이
없다.

유원하나아파트 남쪽에 인왕산의 품으로 인도하는 계단이 있는데, 그 계단을 오르면 조촐한 운
동시설과 공원이 나온다. 여기서 용천약수터를 거쳐 기차바위 능선으로 가려고 했으니 길을 잘
못들어 개미마을로 이어지는 서남쪽 산길로 들어섰다. 그래서 뜻하지 않게 그곳을 강제로 거치
게 되었다.
개미마을로 가는 길은 둘레길마냥 느긋하다. 게다가 숲도 삼삼하여 시원한 산바람이 우리를 보
듬으며, 이름 모를 야생화들이 우리를 향해 미소를 짓는다. 아비규환 같은 속세에 우리를 보고
저리 웃어주는 존재는 거의 흔치 않은데 이렇게 대자연의 위로를 받으니 마음도 편해진다. 그
런 길을 10분 정도 가면 개미마을의 동쪽 부분에 이른다.


▲  벽화마을의 성지(聖地)로 거듭난 개미마을

부암동 뒷골마을(능금마을)과 더불어 서울 도심 속의 산골마을인 개미마을은 인왕산 북서쪽 자
락 100m 고지에 터를 닦은 산동네(달동네)이다. 허나 도시의 흔한 달동네와 달리 숲이 무성한
산자락에 감싸여 있어 완전 산골 벽지마을 같다. 거기에 뻐꾸기가 뻐꾹뻐꾹~♪ 노래하니 그런
기분은 더해져 이곳이 정녕 서울이 맞더냐? 내 자신도 햇갈려 순식간에 강원도 산골 마을로 순
간이동을 당한 줄 알았다.

이곳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3동 9번지, 지하철 3호선 홍제역과 가깝고, 서울 도심
이 바로 지척이다. 그런데도 이런 산골 마을이 도심 턱밑에 자리해 서울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
고 있으니 이런 것을 보면 서울도 참 넓긴 넓은 모양이다. 서울하면 대부분 키다리 빌딩과 사
람, 수레로 뒤엉킨 복잡한 시가지만 있는 것으로 알지 이런 시골 분위기는 생각을 못한다. 그
게 바로 서울에 대해 가지는 흔한 오류이다.

개미마을은 약 15,000평 규모로 200여 가구에 400여 명의 주민이 사는 마을이다. 오래된 마을
까지는 아니고 6.25 이후에 오갈 데 없는 가난한 사람들이 들어와 천막을 걸치고 살면서 자연
히 마을이 형성되었다. 처음에는 옹기종기 천막을 이룬 마을의 모습이 인디언마을과 비슷하다
고 하여 '인디언촌'이라 불렸는데, 인디언처럼 소리지르고 다니는 사람이 많아서 그리 불렸다
는 설도 있어 바깥에서 이곳을 썩 좋은 시선으로 보고 있지 않았음을 짐작케 한다.
마을 사람들도 그런 이름이 싫어서 적당한 이름을 물색하다가 1983년 개미마을을 이름으로 삼
았다. 이는 마을 사람들의 부지런함이 개미를 닮았다고 하여 스스로에게 붙인 이름이며, 애당
초 마을의 이름은 없었다.

이곳은 가난하고 고된 동네로 서민의 애환과 나날이 격해지는 빈부격차의 현실에 한숨을 쉬게
만드는 곳이다. 독거노인을 비롯해 일용노동자와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주류를 이루며, 주황색
슬레이트 지붕을 얹힌 달동네 스타일의 집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마을 위쪽까지 길이 포장되어
있으나 여느 산동네와 마찬가지로 경사가 각박해 눈이 쌓이면 통행에 꽤 애를 먹는다. 그리고
연탄을 연료로 많이 사용하여 색깔이 벗겨진 살색 연탄을 쉽게 구경할 수 있다.
시내에서 마을로 들어가는 길은 오로지 문화촌에서 들어오는 북쪽 골목(세검정로4길)길이 전부
이다. 그 길로 마을버스와 차량들이 오간다. 마을버스는 산간 벽지처럼 서너 시간에 1대 정도
들어올 것 같지만 거의 10분 간격으로 들어와 접근성은 양호하며, 요즘은 좀 살만해졌는지 차
량을 가진 집도 좀 늘었다. 북쪽 외에는 3면이 죄다 산으로 막혀있으며, 인왕산 산길로는 인왕
산 정상이나 환희사, 홍은동 유원하나아파트로 넘어갈 수 있다.

이 마을의 이름 2자가 속세에 크게 주목을 받은 것은 요즘 지나치게 유행을 타고 있는 벽화마
을의 성지이기 때문이다. 2008년 이후 이곳 분위기를 화사하게 바꾸고자 서대문구청과 금호건
설이 '빛 그린 어울림 마을'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에 성균관대와 건국대, 추계예술대, 상명대, 한성대의 미술 전공 학생들이 몰려와 각기 다른
5개의 주제로 51가지의 그림을 그리면서 우울한 달동네가 화사한 그림 마을로 변신했다. 별로
기대를 하지 않던 마을 사람들도 그림판이 된 마을에 싱글벙글 웃었고, 벽화마을로 크게 언론
을 타자 마을 주민과 약간의 인왕산 등산꾼이 고작이던 이곳에 사진쟁이와 관광꾼들의 발길이
늘면서 도심의 새로운 명소로 성장했다. 또한 이곳과 동대문 이화(梨花)마을을 시작으로 많은
산동네와 시골 마을이 이를 따라하면서 전국적으로 너무 쓸데없이 벽화마을이 유행을 타게 된
것이다.
허나 사람들이 사는 마을임에도 사진 본능에 충실해 갖은 민폐를 부리는 사진쟁이가 적지가 않
고, 어렵게 사는 그들을 부정적인 눈으로 보며 무시하는 이들도 많아 마을 사람들과 적지 않은
충돌이 생긴다. 마을 분위기를 바꿔보고자 시도한 벽화마을의 폐해인 셈으로 단순히 외지인들
이 들어와 그림만 그렸을 뿐, 그것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냥 벽화만 두룬 산골 분위기 그
윽한 마을일 뿐이다. 하여 뭣도 모르는 이들은 잔뜩 기대를 하고 들어와 '이게 전부야?' 실망
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진쟁이와 관광객들의 호주머니를 열게 할만한 꺼리가 없으니 단
지 사진만 찍고 가거나 인왕산을 오가는 경유지에 불과하여 마을 주민들에게도 그리 이익이 되
질 않는다.

이렇게 관광객과 마을 주민과의 조금은 불편한 동거를 줄이려면 마을을 개량하고 주민들도 이
득을 보도록 해줘야 된다. 예를 들면 도심과 가까운 잇점을 이용하여 1박 머물 수 있는 캠핑장
이나 산골, 농촌마을 체험 현장으로 활용하거나 부암동(付岩洞) 능금마을(뒷골마을)처럼 농작
물과 원예물을 재배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예술인들을 초대하여 북촌(北村)처럼
갖은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예술마을로 키우는 것도 좋을 것이다.

개미마을은 아직 개발 계획은 없다. 허나 벽화마을로 뜬 적이 있으니 졸부들의 마수를 경계해
야될 것이며, 마을을 둘러볼 때 사진을 찍는다며 허락도 없이 집에 침투하거나 사생활을 침해
하는 등 호들갑을 떠는 행위는 삼가해야 된다. 그리고 개미마을 하나만으로는 50% 부족하니 인
왕산 등산이나 인근 부암동 답사를 겯드리면 정말 알차고 배부른 나들이가 될 것이다.

※ 홍제동 개미마을 찾아가기 (2016년 5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홍제역(1,2번 출구 중간)에서 서대문구 마을버스 07번을 타면 개미마을까지 들
  어간다.
* 서울시내버스 110, 153, 7018, 7730번을 타고 문화촌현대아파트에서 서대문구 마을버스 07번
  으로 환승 또는 도보 15분 (평창동이나 부암동 방면에서 갈 경우에는 길 건너 정류장에서 서
  대문 07번으로 환승)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3동 9번지 일대


▲  개미마을 동쪽 부분

우리는 개미마을의 동쪽만 스치듯 지나갔다. 이런 인위적인 벽화마을에는 별로 관심이 없기 때
문이다. 강원도 산골 같은 한적하고 전원적인 분위기는 참 마음에 들었는데, 단순히 벽화를 보
자고 또 오는 것은 싫다.

개미마을 동쪽 끝에는 홍심약수터가 있다. 처음에는 홍삼약수터로 알고 '이름이 참 건강하네~~
물에 홍삼의 기운이 있나?' 싶었는데, 이름을 다시 보니 홍심이었다. 받침 하나에 약수터의 이
름과 이미지가 싹 바뀌는 순간이다.
이 샘터에는 인왕산이 베푼 약수가 쏟아지고 있는데, 가뭄이라 그 양이 시원치 못하다. 수질은
다행히 적합을 유지하고 있으며, 물이 나오는 구멍이 위에 2~3개가 더 있는데, 윗쪽이 아래 보
다 물이 더 잘나온다.

우리는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갈증을 해소하며 두 다리를 잠시 쉬었다. 오후 한참 시간이라
날은 덥고 땀은 약수터를 이룰 정도라 미동도 하기 귀찮았다. 허나 환희사를 목적으로 왔으니
목적은 달성해야 뒷탈이 없다. 그래서 나른한 몸을 억지로 움직이며 다시 길을 재촉했다.
홍심약수터에서 10분 정도 오르니 소나무가 우거진 북쪽 능선에 이른다. 이 능선은 장차 기차
바위 능선으로 변신을 하는데, 거기까지는 갈 필요가 없고, 그 직전 280m 고지에서 서쪽으로
내려가면 된다. 사방이 뻥 뚫린 능선길로 서쪽으로 개미마을과 서대문구, 은평구가, 동쪽은 부
암동과 북악산(백악산), 자하문고개가 시야에 들어와 조망도 제법 일품이며, 소나무가 매우 삼
삼하여 솔내음이 진동을 한다.


▲  소나무로 그윽한 인왕산 북쪽 능선길 (1)

▲  소나무로 그윽한 인왕산 북쪽 능선길 (2)


▲  인왕산 북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1)
바로 밑에 산골마을인 개미마을이 보이고 그 너머로 홍제동과 홍은동을 비롯하여
백련산(白蓮山) 산줄기와 은평구 일부가 바라보인다.
인왕산 북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  인왕산 북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2)
홍은동과 홍제동 일대를 비롯하여 산골고개 너머로 은평구와 서울~고양
경계 산줄기가 바라보인다.

▲  인왕산 북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3)
비슷한 높이로 북악산 정상이 시야에 들어오고, 그 밑에 북악산과 인왕산,
북한산(삼각산) 사이에 포근히 들어앉은 부암동이 보인다.

▲  환희사로 내려가는 산길

▲  옥동약수터

인왕산 북쪽 능선에서 서쪽인 홍제동으로 좀 내려가다가 남쪽으로 가늘고 가파르게 이어진 산
길로 접어들면 바위로 이루어진 옥동약수터가 나온다.
이곳은 한때 인왕산 서쪽을 대표했던 약수터로 물 뜨는 동네 사람들이 꼬리를 물었으나 서대문
구청의 관리 소홀과 약수터를 지키는 노공(老公) 회원들의 감소, 수질의 부적합 판정으로 이제
는 초라한 행색이 되었다.

여기서 환희사까지는 작년 초여름에 발자국을 그은 경험이 있어 길은 훤하다. 이곳에서 계곡을
하나 건너면 조그만 약수터와 큰 바위가 나오며, 그들을 무시하고 서쪽으로 6~7분 정도 내려가
면 계곡 건너로 주차장과 연등을 두른 집이 보이는데, 그곳이 바로 환희사이다.


▲  전원주택 같은 환희사 외경


 

♠  인왕산 서쪽 자락에 소리없이 안긴 조촐한 산사(山寺),
오래된 지방문화재 2점을 간직한 인왕산 환희사(歡喜寺)

울의 영원한 우백호(右白虎)인 인왕산(338m)은 바위로 이루어진 각박한 경사의 암산(巖山)이
다. 시내에서 보면 산이 대개 협소해 보이지만 그의 품으로 들어가보면 생각 외로 넓어 놀라게
된다. 겉과 달리 속은 깊고 넓은 것이다.

인왕산에서 가장 경사가 각박하고 건물 지을 자리도 없을 것 같은 서쪽 자락에 조그만 비구니
절인 환희사가 조용히 안겨져 있다. 너무 없는 듯 자리해 있어 이곳의 존재를 안 것은 몇 년
되지 않았다. 나도 그만큼 등잔 밑이 어두웠다.

이 절은 20세기 중반에 지어진 현대 사찰로 정보의 바다로 자부심이 대단한 인터넷 세계에서도
그곳에 대한 정보는 좀처럼 걸려들지 않았다. 하여 누가 언제 창건하고 무슨 과정을 거쳤는지
는 절에 가서 묻지 않는 이상은 알 길이 없다. 그만큼 법등(法燈)의 역사와 인지도의 끈이 매
우 낮은 것이다.
절이 있기 전에는 부근에 무당이 굿을 하거나 사람들이 수행을 하는 석굴이 있었다고 하며 그
인근에 터를 닦고 환희사를 세워 지금은 인왕산의 주요 사찰로 성장했다.

나는 오래된 절을 무척 좋아하는지라 소장 문화유산이 있거나 성북동 길상사(吉祥寺) 같은 경
우를 제외한 80년도 안된 절에는 거의 관심을 주지 않는다. 그런데 환희사에 주목을 하고 초파
일에 이렇게 찾은 것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불상이 무려 2점이나 있기 때문으로 그들의 존재
가 나를 이곳으로 소환한 것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이곳이나 인왕산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
며, 20세기 중반 어느 때에 외지에서 모두 업어온 것이다. 역사가 짧고 딱히 내세울 것이 없는
환희사에서는 이들 불상을 후광(後光)으로 삼아야 장차 절을 꾸리기가 수월하다.

경내에는 대웅전과 용화전, 요사로 쓰이는 건물 3동이 전부로 그 흔한 삼성각(三聖閣), 일주문
(一柱門)도 아직 갖추지 못했다. 경내는 작은 편으로 건물 3동에 딱 걸맞는 크기라 두 눈에 쏙
넣고 봐도 부담이 없다.
경내 북쪽과 동쪽, 남쪽은 경사가 급하며, 서쪽으로 속세로 내려가는
길이 닦여져 있다. 절 주변은 속세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수목이 울창해 산사의 기운을 더해주
며 남쪽에 조촐하게 계곡이 흘러간다.
이곳은 비구니 사찰이라 경내가 꽤 정갈하고 아기자기하다. 여인들의 공간이다보니 이쁘게 꾸
며진 것이다. 경내 곳곳에는 그들의 손맛이 담긴 온갖 귀여운 인형과 장식물이 놓여 있고, 뜨
락은 산뜻하여 먼지 하나 앉을 틈이 없다. 게다가 찬불가나 불교 관련 음악이 아닌 클래식 같
은 잔잔한 음악을 주로 틀어놓아 색다른 기분을 건넨다.
또한 다른 현대 사찰과 달리 외지인에 대한 경계심이 별로 없어 평일이나 주말 낮에 오면 종종
차 1잔 얻어마실 수 있으며, 편안한 기분으로 절을 둘러보거나, 쉼터에서 쉬거나, 예불을 보거
나 사진 출사를 하게끔 배려해 주는 착한 절이다. 지방문화재 불상 때문에 외지인에 대한 신경
이 다소 예민할텐데도 말이다. 허나 그렇게라도 해야 간접적으로나마 절의 존재를 조금씩 알릴
수 있다. 인지도가 누적이 되야 사람이 찾아오고 그에 따른 수입도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18시 이후에는 초파일 등의 경우가 아니면 대문을 걸어잠구며, 18시까지는 밖으로 나가줘
야 된다. (비구니가 대문을 닫으니 나가라고 함) 연약한 비구니들의 공간이고 문화유산을 지키
그렇게 하는 모양이니 그거 외에는 딱히 문제될 것은 없다.

절 밑에는 주차장이 있는데, 주차장에서 대문을 지나 오르막을 오르면 요사(寮舍)이다. 이 건
물은 경내를 가리며 자리해 있는데, 그 흔한 기와집이 아닌 일반 주택으로 되어있어 겉으로 보
면 절집이 아닌 별장이나 전원주택 같은 분위기이다. 경내를 두른 연등이 아니었다면 누가 이
곳을 절로 생각이나 했을까? 그런 상식 밖에 요사를 지나면 뜨락이 나오면서 그보다 한층 높은
곳에 법당(法堂)인 대웅전이, 그보다 1단계 더 높은 곳에 용화전이 나오니 이들은 다행히 기와
집이라 나름 절집의 분위기를 풍긴다.

절이 작고 조촐하여 정말 5분이면 다 보고도 남음이 있으나 지방문화재 불상 때문에 머무는 시
간은 조금 길어진다. 작년에도 인왕산 정상을 찍고 홍제동으로 넘어오면서 이곳을 들린 적이
있는데, 그때는 용화전에 담긴 석불입상을 친견하지 못했다.
그래서 다시 갈 기회를 노리다가 이번 초파일에 인연을 지은 것이다. 그때와 마찬가지로 인왕
산을 넘어서 왔다. 그들 불상이 아니었다면 굳이 이곳에 오지도 않았을 것이고, 어쩌면 이 절
의 존재를 길이길이 몰랐을 지도 모른다. 그들 덕분에 이렇게 정갈한 비구니 사찰을 알게 되니
나로써는 고마울 따름이다.

절에 들어서니 오후 행사가 막 끝난 터라 경내가 꽤 부산하다. 뜨락 서쪽과 정자에는 가족 단
위 신도와 산꾼, 노공들이 모여 앉아 있었고, 10~20대로 이루어진 행사 요원(학생 신도들)들은
행사 뒷처리와 먹거리를 파느라 바쁘다. 이곳 이전에 갔던 봉국사와 옥천암은 먹을거리를 무상
으로 제공했는데, 이곳은 그런 것이 하나도 없었다. 그러니 공양이나 떡은 꿈도 못꾼다. 게다
가 판매 가격도 속세만큼이나 야박하니 아무래도 초파일 특수를 노려 재정을 채우려는 모양이
다. 부처와 관음보살의 뜻에 따라 중생을 위해야 될 절이 지나치게 돈에 집착하는 것도 썩 좋
은 것은 아니다.


▲  대문 주변에 자리한 5층석탑
이 석탑은 왜정 때(또는 1950~60년대)에 조성되었다고 하는데, 자세한 것은 모르겠으며,
2층 지붕돌과 3,4,5층 몸돌에는 고색의 때가 약간 피어있다.

▲  연등이 춤을 추는 대웅전 뜨락

대웅전 뜨락에는 잔디가 곱게 입혀져 있다. 뜨락 북쪽에는 석불입상을 세우고 서쪽에는 7층석
탑을 세웠는데, 그 주위에 아기자기한 장식물이 널려 있어 사진기를 흥분하게 만든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환희사 요사 - 승려들의 생활공간으로 종무소(宗務所)도 겸하고 있다.

▲  인자한 표정으로 남쪽을 바라보는
석불입상과 관불(灌佛)의식의 현장

▲  날씬한 몸매의 7층석탑
대문 앞 5층석탑과 조금 비슷한 모습이다.

▲  작고 귀여운 청개구리상

▲  돌 위에 얹혀진 인형들

▲  이쁘게 치장된 뜨락 화단

▲  오리 솟대(왼쪽)와 인형의 만남


▲  환희사 대웅전(大雄殿)

▲  환희사 목불좌상(아미타불좌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17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절 규모에 걸맞게 조촐한 모습이다. 불단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목불좌상이 봉안되어 있고, 그 좌우에는 아주 작은 관음보살과 법륜(法輪
)이란 동그란 바퀴를 두광(頭光)으로 두른 지장보살이 자리해 소위 아미타3존불을 이룬다.
그들 뒤에는 색채가 고운 아미타후불탱이 든든하게 걸려있고, 좌우 벽에는 신중탱(神衆幀), 산
신탱(山神幀), 독성탱(獨聖幀), 칠성탱(七星幀) 등의 탱화가 빼곡히 자리하여 삼성각의 역할도
도맡고 있다.

불단에 앉아 넉넉하고 포근한 미소를 보이고 있는 목불좌상, 그는 원래 연천(漣川)에 있던 심
원사(心源寺)에서 넘어온 것이다. 심원사는 연천 지역에서 꽤 명성이 높았던 절로 6.25 때 파
괴되자 그곳에 있던 숱한 불상들이 고향을 잃고 외지로 흩어졌다. 이 목불좌상도 그중 하나로
환희사에서 어떻게 수습하여 이곳의 중심 불상으로 삼았다.
이 불상은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주인인 아미타불(阿彌陀佛)로 17세기 중반 전후에 조성된 것
으로 여겨지며, 덩치는 작은 편이나 그를 협시(夾侍)하는 좌우 불상이 그보다 훨씬 작아 여기
서만큼은 제법 커보인다. 
그의 검은 머리칼은 꼽슬인 나발(螺髮)로 그 사이에 무견정상(無見頂相)이 솟아있으며, 두 눈
은 명상에 잠긴 듯 포근히 감겨 있다. 눈썹 사이에 푸른 백호가 찍혀있고. 작은 코는 오똑 솟
아있으며, 조그만 입술에는 미소가 넉넉히 드리워져 있다. 코와 입 사이에는 수염이 나있고,
볼살은 별로 없는 작고 갸름한 얼굴로 작은 얼굴을 선호하는 젊은 현대인들에게 부러움을 받는
다. 볼살이 절제되어 있으니 볼살이 많은 불상이나 포대화상(布袋和尙)보다는 더 미남으로 보
인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그어져 있고, 두 손은 복잡하다는 아미타9품인(阿彌陀九品印)의 하
나를 취해 결가부좌(結跏趺坐)로 앉아있다.

그는 중부지방 목불상(木佛像)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2006년 9월 서울 지방유형문화
재의 지위를 얻었다.

▲  대웅전 우측의 불화들
(영산회상도, 신중탱, 독성탱 등)

▲  대웅전 옆에 자리한 용화전


▲  환희사 석불입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18호

대웅전 좌측에는 용화전이 자리해 있다.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해 있는데 그 안에는 지
방문화재로 지정된 석불입상이 봉안되어 있다. 그의 예전 명칭은 판석부조불입상(板石浮彫佛立
像)으로 발음하기도 참 어렵다.

이 석불은 두꺼운 판석(板石)에 새긴 입상(立像)으로 마애불(磨崖佛)과도 다소 비슷하다. 고려
석불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고 하며, 조선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앞서 목
불좌상과는 달리 신체 비례와 조형감이 많이 떨어진다. 그 역시 다른 곳에서 가져왔으며, 고향
이 어디고 정체가 무엇인지는 자료가 없어서 모르겠다. 여기서는 막연히 미륵불(彌勒佛)로 심
심치 않은 대접을 받고 있다.

판석 위에 새겨진 석불은 보는 시각에 따라 고색의 기운도 별로 느껴지지 않아 근래 것으로 착
각하기도 쉽다. 얼굴은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에 죄다 씻겨가거나 눈과 코, 입의 위치만 확
인할 수 있는 정도이며, 머리에는 무견정상이 두툼하게 솟아있다.
머리 뒤에는 꽃무늬가 새겨진 동그란 두광이 그를 밝혀주며, 몸에는 양 어깨를 가린 법의(法衣
)가 입혀져 있다. 가슴 밑은 얼굴처럼 닳은 부분이 많고, 몸 뒤에는 신광(身光)이 묘사되어 있
다. 석불입상 옆에는 조그만 귀여운 석상이 있는데, 서로 피부가 비슷해 같은 셋트임을 느끼게
한다. 정체는 알 수 없으나 부처의 열성제자인 나한(羅漢)이 아닐까 살짝 점쳐본다.


▲  대웅전과 관음전 사이에 자리한 관음보살상
지나치게 큰 정병(政柄)을 두 손에 쥐어들며 명상에 잠겨있다. 저 병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그를 졸라서 1잔 받아보고 싶다.

▲  환희사의 조그만 극락, 대웅전 우측 정자 쉼터
누구든 신발을 벗고 들어가 쉴 수 있는 쉼터로 간식도 먹을 수 있게끔
조그만 탁자도 닦여져 있다.

▲  정자에 걸린 현판과 음악을 흘려보내는 조그만 스피커의 위엄~~

▲  정자 뒷쪽 풍경
그림 같은 산책로가 수풀 사이로 나 있으나 그 길이는 인생처럼 짧다.

▲  정자에서 바라본 경내 뜨락

▲  환희사를 뒤로하고 다시 속세로 컴백하다

초파일 특수로 간만에 북새통을 이룬 환희사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빈 공간이 늘어간다. 음료
수도 거진 팔았는지 이내 장사도 접고 행사를 돕고 정리하던 앳된 여인네들도 일부만 남았다.
손바닥만한 이곳에서 목적한 2개의 불상을 질리도록 보고 정자 쉼터에서 지친 두 다리를 쉬고
16시에 그곳을 뒤로하며 속세로 길을 향했다.
시내로 내려가는 길은 경사가 다소 각박한데, 길 옆에는 인왕산에 몇 안되는 조그만 계곡이 온
전한 모습을 보이며 흘러간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물이 풍부해 밤이면 동네 아낙네들이 모여
빨래를 하며 수다를 떨던 곳으로 이 골짜기를 '큰절골', 남쪽 청련사 부근 계곡을 '작은절골'
이라 불렀다. 그러니 이 계곡은 큰절골이라 부르면 되나 요즘에는 '환희사계곡'으로도 불린다.
절까지 길을 닦느라 계곡 북쪽이 좀 깎이거나 콘크리트에 묻힌 옥의 티가 상당하지만 계곡이
맑은지 동네 아이들이 냇물을 뒤집으며 수중 동물을 탄압하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환희사에서 10분 정도 내려가면 인왕산을 건방지게 가리고 선 인왕산현대아파트와 홍제원현대
아파트가 나온다. 여기서부터 길은 진정을 되찾으며, 5분 정도 더 가면 마을버스 정류장이 나
온다. 여기서 마을버스를 타면 의주로와 홍제역으로 바로 이어지는데, 마을버스를 탈 것도 없
이 5분 더 발품을 팔면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인 의주로가 알아서 모습을 비춘다.

이렇게 하여 인왕산을 겯드린 환희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
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하얀 암반을 미끄럼타고 내려오는 환희사계곡(큰절골)

※ 인왕산 환희사 찾아가기 (2016년 5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홍제역 3번 출구를 나와서 180도 뒤로 돌아가면 마을버스 정류장이 있다. 거기
  서 서대문구 마을버스 13번을 타고 인왕산현대아파트117동 종점에서 내려 도보 10분
*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1번 출구)에서 도보 20분 (인왕아파트교차로에서 우회전)
* 환희사는 보통 18시까지 개방한다. 그 이후는 들어가지 못한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2동 산1-1 (☎ 02-735-8646)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다음 까페에 올린 글은 2015년 9월부터 문장 줄 간격이 좀 늘어져서 나옵니다. (다음에
   계속 시정을 요청했으나 소용이 없었음) 그러니 보기에 조금 불편하더라도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다만 다음과 네이버블로그에 올린 글은 간격 늘어짐이 없이 정상적으로 나오
   고 있으니 블로그글을 보셔도 됩니다.
 * 공개일 - 2016년 5월 2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하늘과 가까운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천축사, 마당바위, 만장봉, 포대능선)

 


' 도봉산 봄나들이 (천축사, 마당바위, 포대능선) '

▲  도봉산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 스마트폰으로 보실 경우 꼭 PC버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를 권함)


 

 

봄이 막바지 전성기를 누리던 5월 첫 무렵에 이웃 동네 방학동(放鶴洞)에 사는 후배와 우
리 동네 뒷산이자 서울 북쪽 지붕인 도봉산(道峯山, 740m)을 찾았다.
도봉산은 집에서도 잘 보이는 꽤나 가까운 존재임에도 북한산<北漢山, 삼각산(三角山)>에
오랫동안 마음이 기울면서 많이도 소홀했던 곳이다. 하여 도봉산에 안긴 천축사와 미답지
여러 곳을 지울 겸, 도봉산의 섭섭한 마음도 풀어줄 겸해서 간만에 그의 품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3시에 집을 나서 서울시내버스 142번(도봉산↔방배동)을 타고 불
과 네 정거장 거리인 도봉산 종점에 발을 내린다. 거기서 대기하고 있던 후배와 파도처럼
몰려드는 등산객 인파 속으로 들어가 푸르름이 가득한 도봉산의 품으로 들어선다.

도봉산에서 제일 처음 찾은 곳은 천축사로 도봉산 종점에서 1시간 올라가야 된다. 광륜사
와 지금은 황량한 터로 변해버린 도봉서원(道峯書院)을 지나면 길은 크게 2갈래로 갈리는
데, 여기서 직진하여 20분 정도 가면 도봉산장(도봉산대피소)이다. 이곳에서 산장을 끼고
북쪽 길로 가면 포대능선과 만월암이고, 서쪽에 조그만 폭포가 있는 가파른 길로 15분 정
도 가면 천축사이다.
자존심을 곱게 접어 하늘로 날려보내고 산과 자연에 순응하며 묵묵히 산길을 걷다보면 나
올 것 같지 않던 천축사가 금세 돌기둥 정문을 꺼내 보이며 반갑게 맞이한다.


▲  조촐한 천축사 정문
절이 가파른 산자락에 있어 그 흔한 일주문(一柱門)을 둘 공간이 없다.
그래서 저렇게 조촐하게 정문을 만들어 일주문으로 삼았다.


 

♠  천축사 입문

▲  불단을 가득 메운 불상<청동보살군상(靑銅菩薩群像)>의 대파노라마

정문을 들어서면 가장 먼저 청동불상들의 장대한 물결이 두 눈을 놀라게 한다. 거의 4~5단으로
이루어진 불단에 청동으로 지어진 석가불을 비롯하여 관음보살, 지장보살, 아미타불, 약사여래
등 다양한 불(佛)과 보살(菩薩)을 집합시켰기 때문이다. 이들은 중생의 시주로 지어진 일종의
원불(願佛)로 근래에 조성된 것이다.
천축사에 새로운 명물로 그들을 대충 헤아려봐도 108불은 넘어 보이는데, 100기가 넘는 불상이
일제히 앞쪽을 바라보니 이건 관객들 앞에 서 있는 연극배우처럼 무안이 들 정도이다. 하여 그
시선이 부담스러워 서둘러 옆으로 피했다.


▲  슬슬 모습을 비춘 천축사 경내 (대웅전)

청동보살입상에서 1굽이를 돌면 서쪽 건너편으로 대웅전을 비롯한 경내가 바라보인다. 경내 뒷
쪽에 바라보이는 바위 봉우리는 도봉산의 주요 봉우리인 만장봉(萬丈峯)으로 이곳의 든든한 후
광(後光)이 되어준다.
굽이친 곳에서 경내까지는 약 100m 거리로 산길 중간에는 등산객들이 잠시 두 다리를 쉴 수 있
도록 쉼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담장 끝에 자리한 네모난 석조(石槽)
가 모습을 비춘다. 석조에는 도봉산이 베푼 옥계수(玉溪水)로 가득한데 맑고 깨끗한 약수로 속
세에 이름이 나있다. 여기서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한가득 물을 담아 목구멍에 투하하니 몸
속에 낀 속세의 때가 싹 가신 듯 목구멍이 시원하다고 쾌재를 외친다.


▲  담장 끝에 자리한 천축사 석조
조그만 돌통에 대자연의 넉넉한 마음이 담긴 듯 물이 늘 가득하다.

▲  고된 세월이 느껴지는 오래된 부도(浮屠)

석조 맞은편에는 고색의 때가 자욱한 부도가 완전한 모습이 아닌 옥개석(屋蓋石)과 중대석(中臺
石), 하대석(下臺石) 등 일부가 수습되어 있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부도로 연꽃잎을 비
롯하여 사자와 코끼리 등 동물이 새겨져 있으며, 조각 수법이 수려하여 천축사의 왕년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그의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어 모르겠으나 조선시대 부도로 보이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과
천축사의 무관심 앞에 형편없이 깨지고 씻겨내려간 고된 모습으로 경내로 들어서는 길목을 지키
고 있다.

※ 도봉산 천축사(天竺寺)의 내력
도봉산 만장봉 동쪽 자락에 자리한 천축사는 673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는 인근 의상대(義湘臺)에서 수도를 하다가, 빼어난 산세에 감탄해 제자를 시켜 암자를 짓고
맑은 샘물이 나온다는 뜻에 옥천암(玉泉庵)이라 이름 지으니 그것이 천축사의 시작이라고 한다.
허나 당시 도봉산은 좁아터진 신라의 서북쪽 변방 지역으로 당나라와 한강 이북을 둘러싸고 한
참 전쟁을 벌이던 시절이다.
왕경(王京, 경주)에서도 멀고 전쟁으로 시끄러운 변경에 원효(元曉)와 더불어 신라 불교의 1인
자인 의상이 굳이 찾아와 절을 세울 이유는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그는 문무왕의 허가를 받아
그 유명한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기 이전까지 주로 왕경에 머물며 화엄종(華嚴宗) 보급과 귀족
불교 발전에 힘쓰고 있었다.

천축사의 내력이 본격적으로 가슴을 펴는 것은 조선 태조 때이다. 의상의 창건설과 달리 신라와
고려 때 흔적이 전혀 없고, 고려 명종(明宗, 재위 1170~1197) 때 영국사(寧國寺, 도봉서원 자리
에 있었음)의 부속암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 역시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니 조선 태
조 시절이나 빠르면 고려 후기에 창건된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1398년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왕자의 난으로 단단히 뿔이 나 왕위를 2째 아들인 정종(定宗)에
게 던져버리고 함흥(咸興)으로 가버렸다. 그곳으로 가는 길목인 도봉산 밑을 지날 때 만장봉 천
축사 주변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피어올랐다고 한다. 그래서 그곳을 찾아가 봉우리는 하얗고 꽃
은 삼문에 떨어져 길이 붉다는 시구(詩句)를 읊고 절에서 하룻밤 머물렀다고 전한다.
이후 함흥에서 돌아올 때 이곳에 들려 100일 동안 기도를 올리고 절을 중수케 했는데, 고려 후
기에 인도에서 건너온 지공(指空)이 나옹화상(懶翁和尙)과 이곳에 들려 '천축국(天竺國) 영축산
(靈鷲山)의 일부가 완연히 이곳에 있구나'
격찬한 일을 승려에게 듣고, 옥천암에서 천축사로 이
름을 갈게 했다.

1474년(또는 1470년)에는 성종(成宗)의 명으로 절을 중창하고, 명종 시절에는 문정왕후(文定王
后)가 화류용상(樺榴龍床)을 내려 불좌(佛座)로 삼게 했다고 한다. 이후 300년 가까이 적당한
자국을 남기지 못한 것으로 보아 그 사이에 절이 망한 듯 싶으며, 1812년에 경학(敬學)이 중창
하여 다시 일으켜 세웠다.

1816년에는 김연화(金蓮花)가 불량답(佛糧沓) 15두락을 시주해 살림이 많이 좋아졌으며, 1862년
에 상공(相公) 김흥근(金興根), 판서(判書) 김보근(金輔根), 참판(參判) 이장오 등이 불량을 희
사했다. 1863년에는 주지 긍순(肯順)이 칠성탱과 독성탱, 산신탱을 조성하고, 1895년에 화주 성
암응부(星巖應夫)가 명성황후(明成皇后) 및 상궁(尙宮) 박씨 등의 시주로 후불탱, 신중탱, 지장
탱을 조성했다. 허나 관리 소홀로 불화 대부분이 도난을 당했다.

1911년 화주 보허축전(寶虛竺典)이 관음탱과 신중탱을 봉안하고, 1931년에 주지 김용태(金瑢泰)
가 천축사로 가는 산길을 확장했으며, 1936년에 현재와 비슷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한
때 천하 제일의 참선수행도량으로 명성이 높던 무문관(無門關)을 이 시기에 만들었다. 1959년에
는 주지 용태가 불사를 벌이고,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대웅전과 독성각, 산신각을 중수했으며,
요사와 공양간을 신축해 예전 천축사의 모습을 어느 정도 회복했다.
도봉산에 몇 안되는 비구니(比丘尼) 사찰로 관음도량(觀音道場)으로 명성이 자자하며, 고승들의
참선 수행공간인 무문관을 경내 북쪽에 두어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꾸려가고 있으나 수행의 난이
도가 아주 최상급이라 도전하는 이가 드물어 그 맥이 거의 끊겼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원통전과 산신각, 독성각, 무문관, 범종각 등 7~8동의 건물이 있으
며, 소장문화유산으로는 비로자나삼신불도와 비로자나삼신괘불도(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93호),
목조석가3존불, 목조불단(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66호), 마애사리탑(서울지방문화재자료 65호)
등 지방문화재 5점이 있고, 오래된 부도와 천축사 편액 등이 전한다. 화류목조용상이라 불리는
목조불단은 문정왕후가 내렸다고 전하는데, 이것이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이며, 건물은 모
두 새로 지은 것이라 고색의 내음은 거의 없는 것이 아쉽다.

절이 각박한 산자락에 자리해 있어 그곳에 간신히 비집고 들어가 둥지를 틀었으며, 이미 주어진
공간을 최대한 채운 터라 사세 확장도 쉽지가 않다. 그래도 첩첩한 산골의 산사치고는 그런데로
넓은 편이다. 게다가 경내 주변은 숲이 무성하며, 속세와도 멀리 거리를 둔 산중 사찰이라 제아
무리 번뇌라 해도 감히 추격하지 못한다.
서울 도심과도 무척이나 가깝고, 1시간 정도의 등산으로 접근이 가능한 곳이어서 잠시 속세에서
나를 지우고 싶거나, 마음을 싹둑 정리하고 싶을 때 땀을 뻘뻘 흘리며 찾아와 안기고 싶은 절집
이다. 산바람도 솔솔 부니 한여름에도 시원하며, 시원한 샘물이 1년 내내 흘러나와 한모금 마시
면 정말 오장육부가 정화되는 것 같다.
또한 산신각이나 대웅전 앞에서 도봉구와 노원구, 수락산 등이 두 눈에 바라보여 조망도 그런데
로 괜찮다. 

※ 도봉산 천축사 찾아가기 (2016년 5월 기준)
* 지하철 1,7호선 도봉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1시간 30분 (도봉산역 1번 출구 → 도봉산 141번
  종점 → 광륜사 → 도봉서원 → 도봉산장 → 천축사)
* 서울시내버스 141번(도봉산↔염곡동), 142번(도봉산↔방배동), 1127번(도봉산↔수유리), 1128
  번(도봉산↔길음역)을 타고 도봉산 종점에서 내리면 걷는 거리를 10분 정도 줄일 수 있다.
* 천축사 정기 법회가 있는 날에는 도봉산 주차장에서 도봉서원까지 셔틀차량이 운행된다. 여름
  에는 6시 30분부터 10시까지(겨울에는 7시부터) 운행되며, 도봉서원부터 걸어가야 된다. 깊은
  골짜기에 있기 때문에 차량은 아예 접근이 불가능하다.
* 누구든 점심공양이 가능하다. 대웅전 남쪽에 있는 공양간에서 공양에 임하면 된다. (겨울에는
  안주는 경우도 있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1동 549 (☎ 02-954-1474)
* 천축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천축사 산신각에서 바라본 천하

▲  연등의 붉은 물결 앞에 윗도리가 사라진 독성각(獨聖閣)

곧 다가올 석가탄신일 준비로 부산한 경내로 들어서면 바로 대웅전 앞이다. 산자락에 자리한 천
축사는 대웅전 구역과 북쪽 무문관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웅전 구역에는 독성각과 산신각
, 원통전, 석굴이 있다.

대웅전 남쪽에 자리한 독성각은 허공을 가득 메운 연분홍 연등으로 윗도리가 보이질 않는다. 마
치 구름이나 안개에 가려 아랫도리만 보이는 산처럼 말이다. 윗도리를 보려면 산신각으로 오르
는 계단에서 봐야 된다.
이 건물은 달랑 1칸짜리의 조촐한 팔작지붕 건물로 현공(玄公)이 지은 것이다. 내부에는 2002년
에 조성된 독성탱과 석고독성상이 봉안되어 있다.


▲  색채가 무지 고운 독성탱(獨聖幀)과 석고독성상
독성탱은 주지 선응이 화주가 되어 금어(金魚) 권성준이 제작했다.

▲  연등에 가려 아랫도리만 보이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 옆에는 높이 석축을 쌓고 그 위에 산신각을 두었다.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건물
로 독성각과 마찬가지로 달랑 1칸짜리이다. 단 지붕은 맞배지붕을 취하고 있으며, 2003년에 현
공이 보수했다.
산신각 내부에는 1979년에 주지 지형(知亨)이 화주가 되어 금어 조정우가 그린 산신탱이 있다.


▲  산신각 산신탱
호랑이가 2마리가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그들의 두 눈에는 광채가 초롱초롱 빛나
어두운 밤에 본다면 정말 염통이 쫄깃해질 것 같다. 호랑이 사이로 지긋한
하얀 수염의 산신 할배가 앉아있는데, 앉아 있는 폼이 다른 산신탱과는
다르다. 그외에 동자 3명을 배치했으며, 소나무와 산도 묘사되어 있어
산신탱에 있어야 될 요소들은 모두 갖추었다.

▲  원통전(圓通殿)

대웅전 우측 위쪽에 자리한 원통전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경내에서 그나
마 가장 오래된 건물로 어여쁜 누님의 모습을 한 관음보살(觀音菩薩)이 봉안되어 있다. 후불탱
화로는 천수천안(千手天眼)관음탱과 칠성탱(七星幀)을 봉안했는데, 천수천안관음탱은 1980년에
주지 지형과 금어 조정우가 만든 것이며, 칠성탱은 1979년에 금어 김용회가 제작한 것이다.


▲  원통전 불단에 봉안된 관음보살좌상
소용돌이가 치는 듯한 후불탱화의 모습이 꽤 인상적이다.


 

♠  천축사 대웅전 주변

▲  대웅전 뒤쪽에 자리한 석굴 <옥천석굴(玉石窟庵)>

원통전 좌측이자 대웅전 뒤쪽에는 장대한 바위가 있으니 그 바위 밑에 옥천석굴이라 불리는 시
원한 석굴(石窟)이 있다. 천축사의 예전 이름인 옥천암의 유래가 된 옥천(玉泉)이 여기서 용솟
음치고 있는데, 불공 때 공양하는 용도로만(천축사 승려들도 이 물을 마실 듯) 쓰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꽁꽁 봉해둔다. 

석굴 내부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을 봉안하여 일종의 약사전(藥師殿)으로 삼았으며, 좌우에 조그
만 감실(龕室)을 파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두었다. 속설(俗說)에는 태
조 이성계가 여기서 기도를 드렸다고 하며, 그 전설을 통해 천축사를 거쳐갔던 승려들이 수도를
했던 오래된 굴임을 알 수 있다. 지금처럼 약사불을 안치하고 내부를 손질한 건 근래이다.


▲  석굴에 봉안된 석조약사여래좌상
입술이 유난히 붉은 약사여래좌상이 약합(藥盒)을 쥐어들고 속세를 걱정한다.
약사여래의 머리 뒤쪽에는 3줄의 두광(頭光)을 그어 그를 빛나게 수식하며
그가 앉아있는 대좌(臺座)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불상 오른쪽에 붉은 바가지가 있는 부분이 바로 옥천이다.

▲  약사여래좌상 좌우 암벽에 감실을 파고 들어앉은 조그만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저 두 보살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  경내 북쪽에 자리한 무문관(無門關)

대웅전 북쪽에는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아련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각(梵鍾閣)과 원초적 생리
를 해결하는 해우소가 있다. 그리고 굳게 닫힌 기와문이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데, 그 문 너머
로 절집치고는 어울리지 않는 3층짜리 신식 건물이 눈을 심히 갸우뚱하게 만든다. 그 건물이 천
축사의 상징물인 무문관이다.

무문관은 수행을 위한 건물로 1964년에 주지 정영이 지었다. 건물의 이름인 무문(門無)은 깨달
음을 얻는 데 있어 길도 문도 없다는 뜻으로 부처의 설산 6년 고행(苦行)을 본받아 4년 또는 6
년 동안 면벽(面壁), 즉 벽만 바라보고 수행을 하는 고난의 길을 걸어야 된다. 방문 바깥으로
나가는 것은 일체 금지되며, 한번 발을 들이면 무조건 4년이나 6년을 채워야 된다. 게다가 수행
중에 먹는 음식도 창구를 통해 받아야 되는 등, 수행의 규범이 매우 엄격하다. 그야말로 그 기
간 동안은 '나 죽었소' 하며 인간적인 삶을 포기해야 된다.
그러다보니 수행을 통과한 승려 수가 매우 적다. 1965년과 1979년에 100여 명이 도전했으나 겨
우 4명만 통과한 것이다. 워낙 가시밭보다 더한 곳이라 도전자가 가뭄에 콩나듯 하여 시민선원
으로 활용하기도 했으나 호응이 없어서 결국 문을 닫았다. 그러다가 2010년 11월 지금의 건물을
지어 다시 문을 열었다.
허나 도전자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 새 건물을 그냥 놀려두기도 그래서 속세에 개방해 시민선방
과 절의 쏠쏠한 수입원인 템플스테이(Temple stay)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화
류수목조용상(樺榴樹木彫龍床, 목조불단)과 천축사 편액이 있다.


▲  대웅전(大雄殿) 목조석가3존불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47호

경내 중앙에 자리한 대웅전은 2층짜리 건물로 꽤 우람한 모습이다. 대웅전은 원래 1812년에 지
어졌다고 하며, 'ㄷ'자 팔작지붕인 것을 현공이 200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새롭게 만든 것이다.
1층은 5칸 규모의 종무소(宗務所)와 쉼터, 요사채로 쓰이며, 2층에 대웅전을 두었는데, 정면 5
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화려한 닫집을 지닌 불단에는 목조석가3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석가불을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
화갈라보살(提華褐羅菩薩)로 이루어져 있는데, 푸근한 표정과 살짝 머금은 미소로 여기까지 힘
들게 올라온 중생을 맞이하고 있다.
처음에는 오래 숙성되지 않은 3존불로 여기고 무시했으나 근래 석가불 뱃속에서는 이른바 복장(
腹臟) 유물이 나와 그들의 신상정보를 알게 되었다. 복장유물은 불상의 중수 사실을 담은 2장의
발원문과 경전, 다라니 등으로 이들을 통해 만력<萬曆, 명나라 신종(神宗)의 연호, 1573~1618>
시절에 조성되어 북한산 노적사(露積寺)에 봉안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니 원래부터 천축사 불
상은 아니었다.
1713년 발원문에는 진열(進悅)과 영희(靈熙), 태원(太元), 처림(處林), 청휘(淸徽) 등이 불상을
개금, 중수하여 민지사<閔漬寺, 북한산 서암사(西岩寺)>로 옮겼으며, 1730년 발원문에는 황금을
시주받아 개금불사했다. 이후 돈암동 흥천사(興天寺)로 거처를 옮겼다가 20세기 중반 정도에 천
축사로 흘러들어와 이곳의 보물을 하나 늘려주었다.

이들 3존불은 그리 크지 않은 중간 규모의 불상으로 조선 중기(16세기 후반~17세기 초) 불상 양
식(또렷하고 균형 잡힌 이목구비, 안정된 인상, 팽팽하고 풍만한 신체의 질감, 간략화되고 형식
화된 천의 표현)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복장유물을 통해 조성시기와 중수에 참여한 승려 등이
밝혀져 바로 그 점 때문에 2013년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요즘은 불상이나 불화 조
성시기를 알려주는 내용만 나오면 거의 무조건 지정문화재로 삼는 추세이다. 옛 사람들의 그런
작은 배려가 불상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는 것이다. (발원문 하나에 보물이냐 지방문화재냐, 그
냥 비지정문화재냐가 갈리는 세상임)

▲  대웅전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과 지장탱

▲  2004년에 제작된 신중탱(神衆幀)


▲  천축사 비로자나3신불도(毘盧舍那三神佛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92호

목조석가3존불 좌측에 고색의 기운이 자욱한 불화는 비로자나삼신불도이다. 등장 인물이 복잡한
불화(佛畵)는 언제봐도 참 어렵고 난해하여 정말 머리가 지끈거린다. 그림에 나오는 인물과 그
성격, 그림의 특성까지 다 파악하려면 그야말로 암이 걸릴 정도이다. 왜 이렇게 복잡하게 그렸
을까? 세상의 복잡함을 상징하고자 함일까..?

그림 중앙에는 그림의 주인공인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이 있고, 왼쪽에는 노사나불(盧舍那佛),
오른쪽에는 석가불이 자리해 있다. 이들이 삼불도의 중심인 삼불로 녹색을 띈 두광(頭光)과 살
색의 신광(身光)을 표현해 장엄함과 신비로움을 불어넣었다. 그리고 목리문(木理紋, 나무결 무
늬)이 표현된 불단 위의 연화좌(蓮花座)에 앉아 있다.
삼불 주변에는 제일 위에 4명의 보살을 두었고, 좌우에 시방제불, 그 밑에 보살 2명과 범천(梵
天)과 제석천(帝釋天)을 삼불 사이에 넣었다. 비로자나불 무릎 좌우에는 부처의 열성 제자인 가
섭(迦葉)과 아난(阿難)이 있고, 그림 하단의 8명 보살은 모두 동그란 두광과 모서리가 둥근 네
모난 신광을 가지고 있다. 지장보살을 제외한 모든 보살은 비슷한 모습의 보관(寶冠)을 쓰고 있
으며, 각기 각자의 물건을 들고 있다.

조선 후기에 흔한 삼신불도이지만 독특한 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19세기 중엽부터 서울과 경
기도 지역에서 크게 활약했던 경선당 응석(慶船堂 應碩)이 편수(片手)를 맡아 환감(幻鑑). 혜조
(慧照). 경림(璟林). 탄인(呑仁). 창오(昌悟) 등이 합심하여 제작하였다.


▲  꽃창살과 용머리 장식으로 무척 현란한
천축사 대웅전 앞부분

경선당은 천축사 삼신불도처럼 전통적인 화법으
로 작품을 그리면서 간혹 도상을 나름대로 변화
시켜 새로운 도상을 창출했으며, 갸름한 얼굴과
지극히 작은 이목구비의 얼굴, 꽃무늬가 새겨진
대의, 적색, 녹색, 청색의 색조, 목리문의 표현
등 응석 불화의 양식적 특징들이 잘 드러나 있
다.

그림 오른쪽 밑에는 '臣尙宮己酉生朴氏  尙宮己
酉生金氏等○○奉爲 王妃殿下辛亥生閔氏 玉體恒
安聖壽萬歲'란 명문이 있어 기유년생 상궁(尙宮
) 박씨와 기유년생 상궁 김씨 등이 왕비전하(명
성황후)의 옥체가 항상 편안하고 성수만세 하기
를 기원하고자 시주한 불화임을 귀뜀해 준다.
그림의 상태는 전체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으나
그림 상당이 그을음 등으로 채색이 좀 어두워져
있고, 화폭 상단 오른쪽이 일부 찢겨져 나갔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천하 (도봉구와 노원구 지역)
천축사가 속세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천축사와 작별을 고하다 ~~ (대웅전)

금지된 곳인 무문관을 제외한 경내 곳곳을 40분 정도 둘러본 것 같다. 2개의 10년 전인 초등학
교 6학년 시절, 이곳에 처음 발을 들였는데, (그래봐야 지금까지 2번 가봤음) 그때는 보호수로
지정된 오래된 보리수(菩提樹)나무가 있었던 것으로 아련히 기억이 난다. 그러나 그 나무는 세
월의 고된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새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천축사를 뒤로 하고 포대능선으로 가고자 다시 길을 재촉했다. 아직은 경험이 부족한 도봉산의
주능선과 자운봉, 만장봉도 같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올라갔지만 그 길은 파란만장했다.


 

♠  도봉산의 지붕 거닐기

▲  마당바위와 그 너머로 펼쳐진 서울의 산하

천축사에서 10분 정도 오르면 마당처럼 넓은 바위가 하얀 피부를 드러낸다. 그 바위가 마당바위
로 바위에 올라서면 도봉산 산줄기는 물론 서울 북부 지역이 두 눈에 훤히 달려와 조망이 가히
천하 일품이다.
이곳은 길이 3갈래로 갈리는 요충지로 만장봉과 포대능선으로 오르는 길, 관음암(觀音庵)과 오
봉으로 가는 길, 그리고 문사동계곡으로 내려가는 길로 나눠진다. 우리의 목적지는 포대능선이
므로 제일 힘든 만장봉 길을 택했다.


▲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도봉산 남쪽 줄기와 우이암(관음바위)
대자연이 초록 물결과 푸른 물결, 하얀 물결을 일으키며 신선의 경지를 자아낸다.
아무리 천재화가가 붓을 휘날린들 저 모습 그대로는 재현하기 힘들 것이다.

▲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북부 지역
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에 이런 소중한 허파가 있다는 것은 대자연이 내린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두고두고 잘 아껴야 하건만 우리의 자화상은 어떠한가..?


마당바위에서 각박한 산길을 20분 정도 개미처럼 오르면 자운봉고개에 이른다. 고개 주변에 도
봉산의 주요 봉우리인 만장봉(萬丈峯)과 선인봉(仙人峰)이 있는데, 죄다 바위 봉우리라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그래도 올라갈 사람은 기를 쓰고 올라감)
자운봉고개에서 길은 2갈래로 갈리니 여기서 남쪽 능선을 따라가면 칼바위와 오봉, 우이암으로
이어지며, 북쪽은 포대능선을 거쳐 사패산과 의정부(議政府)로 통한다.

 

▲  바위 봉우리로 이루어진 만장봉의 위엄

▲  도봉산의 머리, 자운봉의 위엄

자운봉(740m)은 도봉산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봉우리로 도봉산의 실질적인 정상이다. 험준한
외모 탓에 그 역시 금지된 봉우리로 묶여있는데, 역시나 통행금지 안내문을 무시하고 봉우리로
오르는 이들이 적지 않다. 도봉산의 정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운봉과 만장봉은 오르지 않고 (남북통일 될 때까지 오래 살아야 되니까) 자운봉고개에
서 포대능선으로 진입했다. 마치 학이나 용의 등에 올라탄 듯, 능선 양쪽으로 천하가 눈 아래로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니 조망 또한 천하 일품이다. 수락산과 오봉 등 주변의 기라성 같은 산들도
알아서 고개를 숙이며 나지막하게 다가오니 도봉산도 참 큰 산이긴 큰 산인 모양이다.

포대능선은 처음에는 길이 착하다. 그러다가 10분 정도 가면 길이 2갈래로 갈리는데, 여기서 왼
쪽으로 가나, 오른쪽으로 가나 북쪽으로 이어지는 것은 같다. 허나 오른쪽 길이 진정한 포대능
선의 위엄으로 Y처럼 생겼다고 하여 속칭 와이계곡이라 불리며 왼쪽 길은 와이계곡 우회길이다.


▲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오봉과 여성봉, 양주 장흥면 지역

와이계곡 길은 산길인지 지옥의 길인지 분간이 어려울 정도로 극악의 수준이다. 산길에 박힌 철
난간과 철봉이 아니면 거의 지나기가 힘든 구간으로 그들에 의지해 조금씩 움직이는데, 완전 손
에 땀을 쥐게 하며, 다리 밑은 그야말로 천길 낭떠러지라 간을 제대로 쫄깃하게 만든다. 

산길의 경사도 갑자기 몇십 척을 쑥 내려가더니 다시 몇십 척을 쑥 올라가는 미친 형식으로 높
이의 차도 심하다. 산길의 거리는 고작 1리도 안되지만 그 구간을 지나 다락능선 입구까지 거의
30분 정도 걸린 것 같다. 도봉산을 그래도 만만하게 봤건만 이런 미친 구간이 있다니..? 염통을
쫄깃하게 만든 그 구간을 꿈 속에서 다시 탈까 두렵기만 하다. 이 구간을 가기 싫다면 앞서 갈
림길에서 왼쪽으로 우회하면 된다.


▲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서울 북단과 의정부 남부
건너편에 보이는 장대한 산은 한때 나의 단골 산이던 수락산(水落山, 637m)이다.
우리가 그 수락산보다 더 높이 떠 있다.

▲  포대능선에서 만난 멋드러진 소나무, 그 너머로 보이는 서울 북부 지역
(우리 동네 도봉동도 훤히 보임)

▲  포대능선 716m 봉우리
봉우리 주변에는 초소와 포대(砲臺) 등 추억이 되버린 군사 시설이 여럿 남아있다.
포대능선이란 이름도 바로 능선에 있던 포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속세처럼 험난했던 와이계곡을 통과해 716m 봉우리에 도착했다. 여기서 지치고 놀란 두 다리를
쉬며 눈 밑에 펼쳐진 천하를 가슴 가득히 굽어본다. 서울 도봉구와 강북구를 비롯한 서울 북부
지역과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장흥면과 율정/고읍지구가 훤히 눈에 박혀 속세로부터 오염되
고 상처받은 마음과 눈을 제대로 정화시켜준다.

하늘의 소리가 들릴 정도로 하늘과 가까워졌으니 구름을 타고 하늘을 오가는 신선이 바로 이런
기분일 것이다. 게다가 발 밑에 펼쳐진 속세를 내려다보니 자연이 빚은 산부터 점보다 작게 아
른거리는 집들까지 저 모든 것이 나의 것이 된 듯 거만한 생각이 솟아 오른다. 정말 그러면 얼
머나 좋을까. 허나 현실은 편히 드러누울 땅도 시원치 않은 시궁창이라는 것.. 저 천하에서 내
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땅이 없다.


▲  북쪽으로 힘차게 내닫는 포대능선 (716m 봉우리에서 본 모습)
포대능선은 회룡골재를 거쳐 사패산까지 이어진다.


포대능선 716m 봉우리(다락능선 입구)에서 도봉산역 방향으로 내려갔다. 우리가 있어야 될 곳은
이런 산중이 아닌 속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상이란 자리는 오래 머물려고 들면 반드시 탈이
나는 법이다.
중간에 자운봉 동쪽 밑에 자리한 조그만 암자 만월암(滿月庵)에 들려 그곳에 깃든 조선 후기 석
불좌상(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21호)을 친견하고, 다시 부지런히 발길을 재촉하여 도봉산 종점으
로 내려왔다. (만월암과 그 이후에 둘러본 곳은 생략) 그런 다음 순두부와 파전, 동동주로 간단
히 저녁 뒷풀이를 하고 나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도봉산이 내 제자리와 매우 가까우니 그것 하나는 너무 좋다. 금방 돌아와서 지친 몸을 뉘울 수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하여 5월 도봉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휘장을 걷는다. 내가 도봉산 곁에 계속 머무는 동안
그와의 인연은 계속 이어지고 닿을 것이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6년 5월 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2 3 4 5 6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