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암자'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18.10.05 서울의 동북쪽 지붕 ~ 수락산 벽운동계곡, 귀임봉 나들이 (염불사, 황자굴)
  2. 2017.11.17 우이령의 첩첩한 산주름 속에 외롭게 자리한 고즈넉한 산사, 양주 오봉산 석굴암 ~~~ (유격광장, 우이령길)
  3. 2017.08.28 대자연이 빚은 단양8경의 으뜸 명승지, 단양 사인암 ~~~ (북상리 시골, 청련암, 남조천)
  4. 2016.05.15 하늘과 가까운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천축사, 마당바위, 만장봉, 포대능선)
  5. 2016.04.28 봄맞이 산사 나들이, 대구 팔공산 파계사 (파계사계곡, 성전암)
  6. 2015.07.15 짙은 숲과 시원한 계곡을 품은 고즈넉한 산사 ~ 도봉산 회룡사 (회룡골, 회룡폭포, 석굴암)
  7. 2015.05.08 부산의 지붕을 거닐다 ~ 금정산, 원효암 봄나들이 (범어사, 고당봉, 금샘, 산성막걸리)
  8. 2013.12.13 볼거리와 조망이 일품인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 (석구상, 한우물, 칼바위...)
  9. 2013.11.27 단종애사가 깃들여진 강원도의 청정한 지붕, 영월 나들이 (금몽암, 낙화암, 동강...)
  10. 2013.11.15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 (공룡발자국화석, 연화산 숲길)

서울의 동북쪽 지붕 ~ 수락산 벽운동계곡, 귀임봉 나들이 (염불사, 황자굴)



~~~~~
수락산 여름 나들이 ~~~~~

▲  수락산 산줄기

▲  염불사 목관음보살좌상

▲  귀임봉에서 바라본 상계동 지역



수락산(水落山, 638m)은 서울 동북부 끝으머리에 자리한 산으로 서울 노원구 상계동(上溪
洞)과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져 있다. 북한산(삼각산), 도봉산(道峯山
), 관악산과 더불어 서울 근교 4대 명산으로 격하게 찬양을 받고 있으며, 북한산(836m)과
도봉산(740m) 다음으로 서울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뫼로 서울의 주요 지붕을 이루고 있
다.

수락산은 북한산(삼각산)에 비해 덩치는 작으나 멋드러진 바위와 계곡이 많고, 산세가 유
려해 꽤 야무진 산이다. 거대한 암벽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이 장관이라 하여 수락산이
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하며, 산 정상부와 능선에는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온갖 모습의 바위(물개바위, 기차바위, 코끼리바위)들이 포진해 있다. 또한 물이 들어가
는 산이라 약수터도 푸짐하며, 벽운동계곡과 수락골(수락계곡), 동막골, 금류계곡(청학리
계곡), 석림사계곡, 거문돌계곡 등의 알찬 계곡도 아낌없이 품고 있다.

예로부터 명산(名山)에는 절이 많은 법, 수락산도 명산 소리를 많이 듣고 살아온 뫼라 흥
국사(興國寺), 학림사(鶴林寺), 염불사, 용굴암(龍窟庵), 내원암(內院庵), 석림사(石林寺
) 등 오래된 절을 품고 있다. 그 가운데 흥국사에는 다량의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고 학
림사 또한 지방문화재 3점을 간직하여 고색의 위엄을 과시한다.
그밖에 노강서원(鷺江書院)과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묘, 수락산보루(堡壘) 등 오랜 명소
가 있고, 현대 사찰인 도선사(道詵寺)에는 지방문화재인 석삼존불상이 있다.

수락산 등산은 수락산역과 당고개역(학림사), 온곡초교, 동막골, 덕릉고개, 흥국사, 청학
리, 장암역(석림사), 산곡동(검은돌마을)에서 오르면 되는데, 수락산역과 당고개역, 청학
리에서 많이들 올라간다. 정상까지는 2~3시간 정도 걸린다.
수락산은 덕릉고개를 사이에 두고 남쪽에 불암산(佛巖山)과 끈끈하게 이어져 있으며 동쪽
은 국사봉, 퇴뫼산과 살짝 이어져 있다.

나에게 있어 수락산은 꽤 인연과 추억이 깊은 산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가족 산행으로 여
러번 찾은 적이 있으며, 1994년에 수락산 그늘인 상계1동 아파트단지에 살게 되면서 수락
산은 나의 뒷동산이 되었다. 벽운동계곡과 수락골은 나의 쉼터이자 놀이터가 되었고 수락
산의 상계1동 구역은 계곡부터 약수터, 산길까지 나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그렇게 수락산의 품에 수 없이 안기며 그와 진한 정을 과시했으나 2002년 겨울에 도봉동(
道峰洞)으로 이사를 가면서 수락산과도 자연히 멀어지게 되었다. 그렇다고 아주 멀리 이
사를 갔느냐? 그것도 아니다. 바로 옆 동네인 도봉동으로 조금 갔을 뿐, 집 부근 중랑천(
中浪川)에 가면 수락산 산줄기가 훤하게 바라 보인다.
그 이후 수락산에 안긴 횟수는 얼마 되지 않으며 꼭대기도 1~2번 가본 것이 고작이다. 한
때는 나의 뒷동산으로 나를 수없이 안아주었던 수락산, 허나 그에게 오랫동안 무심(無心)
을 보이며 살아오다가 그의 품이 문득 생각나 여름의 한복판에 카메라에 물통 1개 짊어지
고 오랜만에 수락산을 찾았다.

집에서 수락산까지는 그런데로 가까운 거리라 두 발에 의지하여 걸어갔다. 중랑천 둑방길
을 따라 노원교를 건너 수락산역까지 도보 20분, 여기서 10분을 더 가면 벽운동계곡 하류
이다. 계곡 밑까지는 회색빛 아파트가 가득 들어차 수락산을 가리고 있는데, 옛날에는 이
곳 모두 아름드리 숲이었다.


▲  벽운동계곡 하류에 세워진 수락산 표석의 위엄


 

♠  수락산 벽운동계곡 (벽운동 기점에서 염불사까지)

▲  벽운동계곡(碧雲洞溪谷) 하류

벽운동계곡(벽운계곡)은 수락산의 주요 계곡의 하나로 수락동계곡이라 불리기도 한다. 벽운동
이란 뭔가 있어 보이는 이름에서 보이듯이 조선 때 서울 근교 경승지로 선비와 양반들의 발길
이 빈번했으며, 그들이 우수한 경관에 부여하는 동천(洞天)의 지위까지 누리면서 벽운동천(碧
雲洞天)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다.

이 아름다운 계곡을 유람에서 끝내지 않고 별장까지 지어 머문 이가 있다. 바로 사도세자(思
悼世子)의 장인이자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의 아버지인 홍봉한(洪鳳漢, 1713~1778)이다. 그
는 계곡 풍경에 퐁당퐁당 빠져 별장을 지었는데, 계곡에 바위가 하얗게 드러난 수락산 절경이
골짜기와 어우러져 마치 흰구름이 머무는 것 같다며 벽운동이라 하였다. 그래서 계곡 뿐 아니
라 계곡 밑에 자리한 마을까지 벽운동(碧雲洞)이란 간판을 달게 된 것이다.
이후 홍봉한이 영의정이 되고 조정의 실세가 되면서 많은 이들이 그의 벽운동 별장을 찾았다.
그로 인해 벽운동은 자연히 양반들의 순례 명소가 되었고, 혜경궁홍씨도 어린 시절 이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벽운동계곡은 바위와 암반이 많고, 상류와 중류에 폭포와 소(못)이 여럿 널려 있다. 계곡 하
류(염불사 직전)는 수심이 얕고 숲이 무성하며 쉬어갈 자리도 넉넉하여 적은 발품으로 피서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덕성여대생활관 직전 계곡 북쪽에는 벽운동마을을 이루고 있는
식당들이 터를 닦고 있어 백숙과 도토리묵, 파전 등의 음식을 먹을 수 있다. 허나 좀 더 세련
된 경관을 원한다면 하류를 버리고 과감히 위로 올라가길 권한다.

염불사를 지나면 암반들이 적지 않게 펼쳐지며, 벽운산악회를 지나면 이 계곡에서 가장 큰 폭
포(그래봐야 높이 5m도 안됨)와 못이 있다. 여기서 더 올라가면 큰 암벽과 조촐한 폭포 줄기
를 볼 수 있으나 더 이상은 괜찮은 곳이 없다.


▲  수락산의 품으로 인도하는 벽운동계곡길(동일로250길)

▲  물이 거의 말라버린 벽운동계곡 (덕성여대생활관 뒤쪽)

벽운동계곡 기점에서 염불사까지는 차들이 마음 놓고 바퀴를 굴리게끔 길이 잘 닦여져 있다.
이 길은 '김시습 문화 산책로'란 이름도 가지고 있는데, 세조(世祖) 때 생육신(生六臣)의 하
나였던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梅月堂)이 이 계곡에서 잠시 은둔을 했었다. 하여 그를 기리고
자 그런 이름을 씌운 것이다. 허나 그와 관련된 유적과 설화는 딱히 전해오는 것은 없다.
포장길(동일로250길)이 싫다면 계곡 길로 가도 되며, 덕성여대생활관 북쪽 계곡에는 벽운동천
을 비롯한 바위글씨들이 숨어있으니 한번 숨바꼭질을 해보기 바란다. 계곡길은 염불사 부근까
지 이어져 있다.

포장길 중간에는 펜스가 둘러진 덕성여대 생활관이 있다. 이곳이 바로 홍봉한의 벽운동 별장
자리로 우우당(友于堂)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그마저 근래에 철거되어 주춧돌만 남은 실
정이다. 그는 'ㄱ' 모습의 건물로 우우당 현판은 추사 김정희(金正喜)가 썼다고 전하나 세월
의 거친 흐름 속에 누가 잡아갔는지도 모르는 상태이다. 홍봉한이 꽤 잘나갔던 시절에는 사랑
방으로 쓰였는데 손님들로 늘 부산했다고 하며, 혜경궁 홍씨가 어린 시절 이곳에서 계곡 경치
를 즐기며 감수성과 서정성을 키워나갔다.

홍봉한이 사라진 이후, 그의 후손들이 가지고 있다가 19세기 후반에 서예가로 유명한 국봉 이
병직(鞠峰 李秉直)의 고조부가 사들였다. 우우당 바깥 계곡 바위에는 벽운동천(碧雲洞天), 운
원수(雲源壽), 국봉(鞠峰), 소국(小鞠) 등의 바위글씨가 있는데, 이는 이병직이 새겼다고 전
하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이병직은 국봉 외에 송은(松隱)이란 호도 가지고 있는데, 교육에 막대한 재산을 쏟아부으면서
후학 양성에 공을 들이다가 결국 거덜이 났다. 그래서 1957년 6월 덕성학원에서 매입해 생활
관으로 삼았다. 그러다가 한옥 상당수를 밀어버리고 새 건물을 지으면서 우우당만 겨우 남게
되었다가 그마저 사라지고 말았다.
성북동 성락원(城樂園), 부암동 석파정(石坡亭)과 더불어 서울에 몇 남지 않은 오래된 별장(
별서) 유적인 만큼 서울시에서 지방문화재로 지정하여 적극적으로 지켜주었으면 좋으련만 현
실은 그렇지가 못했다.


▲  벽운동계곡의 주름진 반석들 (염불사 부근)

▲  염불사 정문 (오른쪽은 시립수락양로원)

벽운동계곡 기점에서 10분 정도 오르면 그 길의 끝에 염불사가 있다. 그 흔한 기와집 일주문(
一柱門) 대신 철로 된 철문이 일주문의 역할을 도맡고 있는데 낮시간이라 문은 활짝 열려있다.
철문을 들어서면 바로 날씬하게 솟은 염불사 표석이 중생을 맞이하고, 그를 지나면 허전한 주
차장과 아주 짧은 숲길이 나오면서 바로 염불사 경내가 모습을 내민다.

염불사는 수락산 그늘에 살던 시절, 수없이 수락산의 품을 오갔음에도 1번도 들어간 적이 없
었다. 왜냐? 20세기 중반 이후에 지어진 현대 사찰로 생각을 하고 지나쳤던 것이다. 그렇게
오랫동안 눈길도 주지 않던 그곳에 이렇게 발을 들인 것은 생각 외로 좀 오래된 절이고 무려
지방문화재 2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를 최근에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시나 인터넷의 도
움이 무지 컸다.
절이 오래되었음에도 내력을 알리는 안내문 조차 꺼내놓지 않았으니 그동안 지나친 것은 어쩌
면 당연하다. 오래된 역사에다 문화유산까지 지니고 있으니 그런 절만 보면 격하게 구미가 땡
기는 것이 본인의 습성인지라 이번에 한번 둘러보기로 했다.


▲  염불사(念佛寺) 경내 (왼쪽이 큰법당, 오른쪽이 대웅전)

수락산 벽운동계곡에 조촐히 터를 닦은 염불사는 조선 초기에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창건하여
백운사(白雲寺)라 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이를 입증할 유물이나 기록이 전혀 없어 아마도 조
선 중기나 후기에 살짝 지어진 것이 아닐까 싶다.
참고로 서울에는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우기는 절이 유난히도 많다. 아무래도 그가 고려 말~
조선 초기를 대표하는 승려이고 서울 천도에도 크게 관여를 했으며, 태조 이성계의 스승이자
벗이었으니 그동안 많은 절에서 창건주로 우기던 원효(元曉)나 의상(義湘), 도선(道詵) 등의
쾌쾌묵은 존재보다는 더 무게감이 컸을 것이다.

어쨌든 창건 이후 오랫동안 마땅한 사적(事績)을 남기지 못했으며, 1903년에 상궁(尙宮) 김씨
가 돈을 대어 정면 3칸, 측면 2칸의 지장전을 지었다. 이때 자신의 부모와 고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고자 발원문(發願文)과 복장주머니를 남겼다.
6.25 때 절이 파괴된 것을 다시 지어 영몽사(靈夢寺)로 이름을 갈았는데, 이후 쌍몽사(雙蒙寺
), 염불사(念佛寺)로 간판을 바꾸었다. 1965년에는 하씨가 부인의 병이 나은 것이 수락산 산
신(山神)의 덕이라며 절에 산신각을 지어주었으며, 2005년에 2층짜리 큰법당을 짓고, 대웅전
을 부시고 다시 지어 지금에 이른다.

조촐한 경내에는 큰법당과 대웅전, 지장전, 산신각(독성각) 등 5~6동의 건물이 있으며, 소장
문화유산으로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목관음보살좌상 및 복장(腹臟) 일괄','지장시왕도'가 있
다. 이중 목관음보살좌상은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이나 원래부터 이곳 불상은 아니며 지
장시왕도와 함께 다른 곳에서 넘어온 것이다.

절이 오래되었다고 하지만 정작 고색의 기운은 싹 말라버렸으며, 수락산의 주요 산길인 벽운
동계곡 산길 옆에 자리해 있어 산꾼들의 떠드는 소리가 바람을 타고 은근히 들려 온다. 허나
절을 감싸고 있는 짙푸른 나무들이 그 소리를 크게 걸러주니 고적한 산사의 기운을 누리기에
부족함은 없으며, 일렁이는 숲과 멋진 계곡을 옆에 끼고 있어 산바람과 물바람, 풍경소리에
번뇌가 싹 달아난다.

▲  한글 현판이 인상적인 염불사 큰법당

▲  큰법당 석가3존불

경내로 들어서자 제일 먼저 큰법당을 찾았다. 이곳에 염불사의 보물이 있을 듯 해서이다. 큰
법당은 이곳의 중심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2층 건물이다. 1층은 요사(寮舍)
와 종무소(宗務所), 공양간 등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2층이 큰법당으로 옆으로 난
계단을 통해 오르면 된다. (1층 내부에서 올라가도 됨)

큰법당은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불단에 장엄하게 자리한 석가3존불은 문수보살(文殊菩薩)
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대동하며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그들 뒤로 후불탱이 자리해 있고,
윗쪽에는 붉은 단청을 칠한 닫집이 화려하게 보궁(寶宮)을 이룬다. 천정에는 7마리의 새 모형
이 날개를 활짝 퍼득이며 날고 있다.
석가3존불 좌우에는 조그만 감실(龕室)을 가득 만들어 작은 금동불(金銅佛)을 안치했는데 이
들은 중생들에게 시주를 받아 달아준 원불(願佛)로 죄다 금빛을 내고 있어 너무 화사하다 못
해 눈이 부실 지경이다. 허나 지금까지 언급한 것들은 대충 봐도 된다. 다 2005년 이후에 조
성된 따끈따끈한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그럼 무엇을 봐야 되느냐? 석가3존불 옆을 보면 3중으
로 이루어진 조그만 붉은 기와 닫집이 보일 것이다. 닫집 밑에는 유리막에 감싸인 불상이 있
는데, 그가 바로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인 목관음보살좌상이다. (그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


▲  염불사 목관음보살좌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50호

목관음보살좌상은 1695년에 조성된 보살상이다. 나무로 만들어 도금을 입힌 것으로 높이는 63
cm로 조그만 편인데, 그의 뱃속에서 조성시기가 담겨진 발원문(發願文)과 후령통(候鈴筒), 법
화경(法華經) 3책, 주사다라니 등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어 그의 정체를 소상히 알려주고 있다.
발원문에 따르면 박삼룡과 박용산 등의 시주로 전라도 장흥 사자산 봉일암과 수도암(修道庵)
의 불상으로 조성되었으며, 전라도 지역에서 크게 활동한 조각승인 득우와 덕희가 만들었다.
봉일암과 수도암이 어떤 절이고 언제 없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이후 집을 잃고 이러지러 옮겨
다니던 것을 어찌어찌하여 이곳 염불사까지 흘러들어왔다.

그의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며, 조각 수법도 우수하다. 게다가 조성 관련 발원문이 남아있
어 17세기 후반 목조보살상의 양식을 잘보여준다. 비록 보살상의 한계로 법당 불단을 차지하
지 못하고 옆으로 밀려났지만 석가3존불과 달리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귀한 몸이라 특별히 유
리막까지 씌워 그를 보호한다.

보살상 머리에는 화려하면서도 복잡한 무늬의
보관(寶冠)을 씌워져 있다. 보관은 귀까지 내
려와 있는데, 여러 장식물이 주렁주렁 달려있
고, 보관 밑으로 검은 머리가 약간 보인다. 넓
은 이마 한복판에는 동그란 백호가 찍혀 있고,
눈썹은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눈초리는 가늘
고 길다.
코는 조그맣고, 입술은 붉으며, 수염이 가늘게
표현되어 있는데, 얼굴은 거의 사각형에 살이
좀 올라 보인다.

▲  옆에서 바라본 목관음보살좌상

목에는 삼도(三道)가 획 그어져 있고, 법의(法衣)는 양 어깨를 덮고 있는데, 가슴 쪽은 드러
냈으며, 오른손은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대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옷주름
선은 아래로 유려하게 흐르고 있고, 대좌(臺座)를 일부 덮고 있다. 붉은색 대좌는 닫집과 함
께 절에서 마련한 것으로 그의 거처가 은근히 탐이 난다.


▲  상궁김씨의 복장주머니와 목관음보살좌상에서 나온 복장 유물들

큰법당 남쪽 벽에는 오래된 문서와 주머니를 머금은 액자가 걸려있다. 이것들이 뭔가? 살펴보
니 글쎄 괘불(掛佛)보다 더 보기 힘들다는 복장 유물이 아닌가? 보통 절에서 복장유물은 공개
를 거의 하지 않는다. 혹 한다고 해도 박물관을 통해서 살짝 할 뿐인데, 유물 모두 부피가 가
벼운 것들이라 신변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허나 염불사는 박물관도 아닌 그들 법당에 복장
유물을 과감하게 공개하는 위엄을 보였다.

액자 왼편에 있는 호리병 모양의 물건은 1903년에 상궁김씨가 지장전을 지어주면서 자신의 부
모와 고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고자 만든 발원문을 담은 복장주머니이다. 천하에 무려 300곳
이 넘는 절을 찾아갔지만 복장주머니는 처음 본다. 수락산이 이렇게 귀한 선물을 내려주는구
나. 나는 그에게 해준 것도 없는데 말이다. 그리고 액자 오른편에 있는 문서는 목관음보살좌
상 뱃속에서 나온 문서로 법화경(法華經)과 주사다라니이다. 글씨는 모두 붉은색인데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다.


▲  염불사 지장시왕도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51호

복장 유물 액자 옆에는 빛바랜 지장시왕도가 있다. 이 그림은 1869년에 위국과 그의 처 박씨,
유오 등이 별세한 부모의 명복을 빌고자 조성한 것으로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畵僧)
금암당 천여(錦巖堂 天如)가 그의 제자 취선(就善), 묘영(妙英)과 함께 그렸다.
처음에는 동대문 밖 감로암(甘露庵)에 있었으나 6.25로 염불사 탱화들이 죄다 못쓰게 되자 급
한데로 감로암에 있던 이것을 소환하여 봉안했다.

그림 중앙에는 승려 머리의 지장보살이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발산하며 하얀 대좌에 결
가부좌(結跏趺坐)로 앉아있고, 그 좌우로 저승의 10왕과 문관(文官) 등 명부(冥府, 저승)의
식구들이 일제히 지장보살을 바라보며 서 있다. 등장 인물이 그리 복잡하지 않아 다소 여유로
운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정교한 필선과 정교한 금니 문양의 표현이 매우 뛰어나다.
19세기 탱화 채색은 거의 원색적인데 비해 이 탱화는 붉은색과 푸른색이 색채 대비의 조화를
이루고 있고, 채도를 낮추어 은은하면서도 맑은 17세기 불화 채색 양식을 보여준다.

큰법당 보물들을 한참 살펴보고 있으니 1층에서 신도 아저씨가 올라와 주름진 인상을 보이며
왜 사진을 찍냐고 물어본다. 하여 적당히 답을 하니 그제서야 인상을 풀면서 여러 이야기를
끄집어 낸다.
예전에 서울시에서 이들을 지방문화재로 지정하면서 관련 문화유산을 사진에 담아갔는데, 복
장 유물은 방바닥에 펼쳐놓고 사진에 담았다고 하며 그때 찍은 복장유물 사진이 절에 있으니
필요하면 메일로 보내주겠다고 했다. 그래서 메일 주소를 알려주었는데, 아직까지 관련 사진
은 오리무중이다. 허나 솔직히 필요는 없다.
지방문화재 보유 기념으로 2008년 4월 26일에 알만한 가수를 소환하여 '염불사 산사음악회'를
떠들썩하게 열기도 했다. 안그래도 오래된 내력에 비해 내세울 것이 없는 열악한 형편인데 이
렇게 지방문화재를 지니게 되었으니 이만한 꿀단지가 없다.
그 외에 개인적인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작별을 고하고 법당을 나왔다.

          ◀  염불사 지장전(地藏殿)
큰법당 뒷쪽에는 지장전과 이제 막 피어난 마
애약사여래좌상이 있다.
지장전은 1903년 상궁 김씨가 지어준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6.25때 파괴되어 다시 지었으며, 내부에는 지
장전의 주인인 지장보살(地藏菩薩)과 저승 10
왕, 금강역사상, 시왕탱, 지장탱 등이 봉안되
어 있다.

▲  색채감이 넘치는 지장전 내부

▲  근래 조성된 마애약사여래좌상

▲  1지붕 2가족, 산신각과 독성각

▲  산신 가족을 담은 붉은 색채의 산신탱
오른쪽 벽에는 붉은 칠성탱이 걸려있다.

지장전을 지나면 큰 바위와 산신각(山神閣)이 나온다. 산신각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맞배지
붕 건물로 1965년에 신도 하씨가 부인의 병이 나은 것이 수락산 산신의 덕이라며 흔쾌히 지어
준 것이다.
산신각은 산신과 독성(獨聖, 나반존자), 칠성(七星)을 봉안하고 있는데, 칠성(치성광여래) 가
족을 담은 칠성탱은 산신탱 옆에 놓았으나 독성의 공간은 그 옆에 독성각(獨聖閣)이란 독자적
인 현판을 달며 1칸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지붕은 하나, 건물 이름과 현판은 2개를 이루고
있다. 건물 뒤에는 커다란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를 뒷배경으로 자리한 산신각의 모습이 마
치 산꼭대기 부근 바위에 홀로 자리한 모습처럼 보인다.

※ 수락산 벽운동계곡, 염불사 찾아가기 (2018년 9월 기준)
* 지하철 7호선 수락산역 1번 출구에서 5분 정도 가면 수락산입구 교차로이다. 여기서 오른쪽
  으로 들어서 은빛3단지를 지나면 벽운동계곡이다. 염불사는 수락산입구 교차로에서 도보 15
  분
* 벽운동계곡은 주차 공간이 여의치 않으니 대중교통 이용을 권한다.
* 벽운동계곡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1동
* 염불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1동 산51 (동일로250길 44-142, ☎ 02-938-9395)


 

♠  수락산 영원암(靈源庵)과 황자굴(皇子窟)

▲  싸리나무 담장에 감싸인 귀틀집 (지붕은 너와지붕)

염불사를 둘러보고 벽운동계곡을 따라 상류로 올라갔다. 10분 정도 오르면 벽운산악회 직전에
벽운교가 나오는데 여기서 다리를 건너면 벽운산악회와 수락산 정상 방면으로 이어지며, 오른
길로 가면 영원암과 수락골(노원골)로 이어진다. 나의 목적지는 하늘과 맞닿은 정상이 아닌
영원암(황자굴)과 귀임봉이기 때문에 다리를 건너지 않았다.

벽운교과 영원암 사이에는 수락산 도시산림공원이 자리해 있다. 이곳은 산림청에서 2002년에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자 닦은 것으로 산길에 숲과 자연 정보를 담은 책상과 안내문, 귀
틀집 등을 설치해 숲의 대한 이해와 숲 체험을 돕고 있다. 특히 이곳에는 두충나무가 많이 자
라고 있어 조촐하게 산림욕을 겯드린 산책 명소로 쏠쏠하다.


▲  영원암 산길

영원암 산길은 벽운동계곡과 수락골(노원골) 윗쪽을 이어주는 길로 인적은 별로 없다. 도시산
림공원을 지나면 산길은 조금 각박해지는데, 여름 제국의 무더위 태클에 땀은 비오듯 하고 숨
도 은근히 차다.
그 산길을 10분 정도 오르면 산중턱 벼랑 밑에 자리한 영원암이 슬며시 모습을 비춘다. 이곳
은 상계1동에 서식했던 시절에 여러 번 왔던 암자인데 이번에 이리 발걸음을 한 것은 황자굴
이란 존재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영원암 중심 구역 (오른쪽 건물이 나한전)

수락산 서남쪽 산중턱 270m 고지에 살짝 둥지를 튼 영원암은 20세기에 지어진 아주 조촐한 암
자이다. 워낙 이름이 없는 곳이라 인터넷에도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인데 암자 뒷쪽에 눈썹바
위처럼 생긴 황자굴이 있어 예전부터 수행 공간이나 민간신앙의 현장으로 쓰였던 듯 싶다.

고색의 멋을 풍기는 문화유산은 아직 여물지도 못한 상태이며, 나한전을 비롯하여 영산전, 독
성각, 칠성각, 산신각, 요사 등 6~7동 정도의 건물을 갖추고 있다. 특히 산신각은 여기서 좀
멀리 떨어져 있는데, 앞서 귀틀집에서 서쪽 산길을 한참 올라가야 된다. 아마도 이곳만큼 경
내와 산신각의 거리를 멀리 둔 절은 없을 것이다.

절간 같다는 말이 바로 이곳을 두고 하는 말일까. 산바람 소리와 나의 발자국 소리가 이곳 소
리의 전부일 정도로 고적하기 그지 없으며, 인적도 거의 없어 이곳이 나의 비밀 아지트가 된
기분이다. 속세에서 잠시 나를 지우고 싶을 때 이곳에 잠시 푹 안겨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  영산전에 봉안된 뜻밖에 존재들
용왕 2명과 용 2마리

▲  시골 농가 분위기의 요사


영원암 중심 구역에는 나한전과 영산전, 요사가 있다. 나한전(羅漢殿)은 석가불과 그의 제자
인 나한을 봉안한 건물로 절에는 따로 법당급의 건물이 없어 나한전이 법당의 역할을 수행하
고 있다. 어차피 석가불이 봉안되어 있으니 법당의 자격으로도 그리 손색은 없으며, 건물 앞
에는 수락산이 베푼 약수가 나오는 샘터가 있어 절과 나그네의 목을 축여준다. 그리고 뜨락에
는 누구나 쉬어갈 수 있도록 평상(平床) 등의 쉼터가 닦여져 있다.

나한전 옆에는 바위 밑에 자리를 닦은 건물이 있다. 현판은 없으나 기둥에 부착된 조그만 하
얀 딱지를 보니 영산전(靈山殿)이라 쓰여 있다. 영산전이라면 부처의 생애를 담은 8개의 그림,
팔상도(八相圖)를 봉안한 건물인데 문을 여니 정작 팔상도는 온데간데 없고 엉뚱하게 용을 타
고 있는 용왕 2기가 나를 맞이한다. 아니 이건 뭐지? 겉은 영산전인데 속은 완전 용왕각이었
던 것이다. 아마도 하얀 딱지에 건물 이름을 잘못 쓴 것이 아닐까 싶다. (용왕은 물을 관리하
는 존재임)

▲  6각형 모습의 독성각

▲  금색 옷을 걸친 독성

나한전 뒷쪽에 자리한 독성각은 독성(나반존자)의 보금자리로 특이하게 6각형 모습을 취하고
있다. 그 뒷쪽에는 황자굴이라 불리는 큰 암벽이 병풍처럼 자리해 있는데, 독성각 옆으로 난
산길을 통해 굴까지 오를 수 있다. 허나 길 끝에서 벼랑을 좀 타야 되기 때문에 길이 조금 위
험하다. 비록 돌과 시멘트로 길을 닦긴 했지만, 바로 밑이 아찔한 낭떠러지이고 길까지 고르
지를 못하니 각별히 주의가 요망된다.


▲  대자연이 빚은 작품 눈썹바위 모습의 황자굴

황자굴이라고 해서 동굴이 있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러니 이름에 파닥파닥 낚이지 말자. 벼
랑 윗부분에 움푹 들어간 공간이 있는데, 그곳을 바로 황자굴이라 부르는 것이다. 굴 윗쪽에
는 바위가 눈썹처럼 크게 돌출되어 굴을 감싸고 있어 마치 석모도(席毛島) 보문사(普門寺)의
눈썹바위(☞ 관련글 보러가기)와 비슷하다.

그렇다면 왜 이곳이 황자굴이 되었을까? 천하에서 제일 크다는 정보의 바다 인터넷 조차도 '
황자굴이 뭐임? 먹는거임?' 고개를 갸우뚱할 정도로 해답은 나오지 않았다.
황자굴은 말그대로 황제의 아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인데, 마침 인근에 고종의 왕후인 명성황
후(明成皇后) 민씨가 임오군란(壬午軍亂, 1882년) 때 줄행랑을 치다가 잠시 들려 기도를 올렸
다고 전하는 용굴암이 있다. 그런 것을 보면 황자굴은 명성황후의 아들<나중에 순종(純宗) 황
제>이 숨거나 기도를 올렸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은 아닐까?
하지만 순종은 황태자(皇太子) 시절, 수락산에 온 적도 없고, 임오군란 때 모후(母后)를 따라
도망치지도 않았다. 그냥 용굴암의 믿거나 말거나 전설을 따라서 용굴암은 황후, 이곳은 황태
자가 각각 숨어 지냈다는 식으로 지어진 것으로 봐야될 것이다.


▲  황자굴 바로 직전 (돌과 시멘트로 계단을 다짐)

▲  황자굴 내부
비바람을 피하기에는 아주 제격인 황자굴에는 조그만 단과 하얀 패가 있다.
천태산(天台山)이 언급되어 있는 걸 보면 독성을 봉안한 공간인 듯 싶다.

▲  황자굴에 봉안된 패

▲  황자굴에서 바라본 도봉산

▲  석굴로 이루어진 칠성각(七星閣) 내부

나한전과 좀 떨어진 칠성각은 바위를 파서 만든 일종의 석굴이다. 석굴 내부는 한여름임에도
시원하기 그지 없는데, 광배를 갖춘 하얀 피부의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얀 피부 일색인 칠성(
치성광여래) 7기가 그 좌우와 뒷쪽에서 석가불을 지킨다. 보통 칠성각은 칠성탱이란 탱화를
걸기 마련이지만 이곳은 석고로 칠성상을 만들어 그 자리를 대신했다. 두 손으로 홀을 쥐어든
모습과 겉모습, 머리 장식까지 죄다 비슷하지만 표정만큼은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인다.

* 영원암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1동 산1 (☎ 02-937-1973)


 

♠  수락산 마무리 (귀임봉)

▲  구암약수터

영원암을 둘러보고 수락골 쪽으로 오르다보면 하얀 바위 밑에 자리한 구암약수터가 모습을 비
춘다. 조그만 파이프를 통해 수락산이 베푼 물이 실타래처럼 조금씩 흘러나오는데, 인내심을
가지고 컵에 가득 담아 들이키니 속이 시원하다. 이곳은 좀 외진 곳이라 인적은 그리 없으며,
속세와 멀리 거리를 둔 곳이라 수질은 아직 양호하다.


▲  구암약수터에서 수락골 능선길로 인도하는 길
영원암에서 수락골 능선으로 가는 산길은 가파른 산자락이다. 그래서 길 옆은
늘 아찔한 경사가 벼랑처럼 펼쳐져 있다.

▲  수락골 능선길 영원암입구 (왼쪽 길은 영원암, 오른쪽 길은 수락산 정상)

구암약수터에서 다시 길을 재촉하면 수락골 능선길로 이어진다. 여기서 서쪽으로 내려가면 수
락골과 수락산역 방면, 동쪽으로 올라가면 용굴암과 도솔봉, 수락산 정상으로 이어지는데, 수
락골 갈림길 부근 숲속에 예전에 종종 물을 뜨러 가던 약수터가 있어 찾아보았으나 길이 바뀌
었는지 찾지 못했다.


▲  수락골 갈림길 주변 조망대에서 바라본 노원구와 도봉구 지역,
그리고 북한산(삼각산)과 도봉산의 힘찬 산줄기

▲  수락골 갈림길에서 귀임봉으로 인도하는 수락골 남쪽 능선길

수락골 갈림길에서 귀임봉으로 이어지는 수락골 남쪽 능선길로 접어들었다. 이 산길은 상계1
동과 상계3,4동 경계를 가르며 서남쪽으로 달리는 산줄기로 중간에 바위가 일품인 귀임봉이
있고, 산줄기의 끝 봉우리에는 고구려(高句麗) 유적인 수락산보루터가 있다. 길 중간에는 학
림사와 당고개역으로 내려가는 산길이 있어 속세와도 긴밀하게 연결이 되어있다.

능선길이 매우 완만하고 부드러우며 숲이 짙어서 여름 햇살도 살짝 몸을 사리며 200~300m 고
지라 약간의 등산으로 충분히 접근이 가능하다. 게다가 능선 양쪽으로 수락산 산줄기와 노원
구(蘆原區) 지역이 훤히 바라보여 조망까지 일품이다. 마치 천상(天上)의 산책로를 거니는 기
분이다. 그래서 내가 수락산에서 가장 즐겨찾던 산길이기도 했다.


▲  귀임봉 조망대

약간의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을 뿐,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달리던 능선길은 귀임봉에 이르러
아주 조금 흥분을 한다. 다시 하늘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귀임봉은 해발 약 280m로 거의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꼭대기 동쪽에는 조망대가 있는데, 수
락산 산줄기와 정상, 덕릉고개, 불암산, 상계3,4동 지역이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  귀임봉에서 바라본 수락산 (가운데 높은 봉우리가 정상)

▲  귀임봉에서 바라본 수락산 남쪽 줄기와 덕릉고개, 불암산 북쪽 줄기

▲  귀임봉에서 바라본 불암산과 상계3,4동 지역
상계3,4동은 서울에서 가장 동북쪽 동네로 수락산과 불암산 사이에 포근히
감싸여 있다. 허나 아직 달동네가 적지 않게 남아있어 이 땅의 몹쓸
고질병인 빈부격차의 극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  귀임봉 서쪽 바위길
하얀 피부의 잘생긴 바위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현장으로 수락산이 산 끝에
살짝 빚어놓은 작품이기도 하다.

▲  귀임봉 서쪽에서 바라본 상계동과 중계동 지역

▲  귀임봉 서쪽에서 바라본 상계동과 창동, 도봉구, 성북구 지역
산 밑이 온통 아파트 일색~~ 이 땅에 너무 흔한 풍경이다. 가까이에 보이는
봉우리 정상에 수락산보루가 깃들여져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회색빛
아파트의 물결이 거치게 출렁이는 외로운 섬을 보는 듯 하다.

▲  귀임봉 서쪽에서 바라본 상계1동과 도봉동, 도봉산

수락산보루까지 거침없이 내려가려고 했으나 일몰시간이 자꾸 눈치를 주어 귀임봉에서 수락골
로 철수했다. 아쉽긴 하지만 일몰 바로 직전이라 설령 가서 사진에 담더라도 일그러지게 나올
것이다. 그래서 다음을 기약하며 미련없이 속세로 내려왔다. 어차피 집과도 가까우니 수락산
이 서운하지 않을 정도로 종종 찾아와 그의 품에 안길 생각이다.

이날 수락산 코스는 '수락산역 → 벽운동계곡 → 염불사 → 영원암 → 수락골 갈림길 → 귀임
봉 → 수락골'로 소요시간은 출사 시간을 포함하여 4시간 정도이다.
이렇게 하여 간만에 찾은 수락산 나들이는 막을 고한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8년 9월 12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우이령의 첩첩한 산주름 속에 외롭게 자리한 고즈넉한 산사, 양주 오봉산 석굴암 ~~~ (유격광장, 우이령길)


' 늦가을 산사 나들이, 양주 오봉산 석굴암 (우이령길) '

▲  오봉산 석굴암


 

늦가을이 하늘 아래 세상을 곱게 수놓던 10월의 한복판에 친한 여인네들과 우이령 석굴
암을 찾았다.

우이령(牛耳嶺)은 서울 우이동(牛耳洞)과 경기도 양주시 교현리(橋峴里)를 잇는 고개로
북한산(삼각산)과 도봉산(道峯山) 뒷통수에 자리한다. 이들 산의 경계선이기도 한데 6.
25 시절에는 경기도 북부 피난민들이 이 고개를 넘어 피난길에 올랐으며 전방으로 군병
력과 군수물자를 수송하고자 미군 공병대에서 길을 닦으면서 지금의 우이령길을 이루게
되었다.
6.25 이후에도 지역 사람들이 이용했으나 북한이 잔잔한 수면에 돌을 던진 이른바 1968
년 1,21사태(김신조 공비패거리 사건)로 1969년에 금지된 길로 꽁꽁 묶이고 만다. 그렇
게 서울 근교의 숨겨진 고갯길로 없는 듯 지냈던 우이령은 2009년 7월, 40년 만에 다시
빗장을 열어 세상에 다시 모습을 비추었다.

가슴을 다시 연 우이령은 인간의 발길이 오랫동안 끊긴 탓에 자연환경이 매우 우수했고
온갖 희귀 동식물이 앞다투어 뿌리를 내려 대자연의 휼륭한 보고(寶庫)로 성장했다. 또
한 주변 풍경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길을 자아내는 등, 그야말로 감동의 현장이었다.
허나 지구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인간들이 몰려들면 우이령이 망가지는 것은 시간 문제
이므로 철저하게 탐방객 수를 제한하고 탐방에 적지않은 제약을 주어 우이령 보호에 힘
쓰고 있다.

우이령이 개방된 이후, 애타게 갈 기회를 노렸으나 딱히 인연이 없어 하염없이 잊고 살
다가 친한 여인네의 제안에 힘입어 가게 되었다. 예약은 그가 다했으므로 늦지 않게 가
기만 하면 된다.
연신내역(3,6호선)에서 아침 9시, 일행들을 만나 두근거리는 마음을 다독거리며 우이령
으로 다가섰으나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북한산(삼각산)과 노고산을 찾는 등산객과 단풍
행락객들이 폭주하여 송추(북한산, 도봉산, 오봉산)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는 계속 가
축수송의 위엄을 보였다. 거기에 행락객 차량들이 구파발역부터 북한산성입구까지 가득
들어차 불과 12km 거리(연신내~교현리 우이령입구)가 거의 120km로 느껴질 정도였다.
고작 집에서 가까운 우이령을 가는데 이렇게 속세살이처럼 힘이 드니 서울의 인구가 참
쓸데없이 많기는 많다.

어쨌든 등산/행락객의 거센 물결을 뚫고 간신히 우이령입구에 이르니 시간은 벌써 11시.
정류장 편의점에 주저앉아 김밥과 과자, 컵라면으로 벌써부터 지치고 놀랜 몸과 마음,
뱃속을 달래고 우이령의 품으로 들어섰다.


 

♠  석굴암 입문

▲  우이령의 북쪽 관문, 교현탐방지원센터

북한산로 우이령(오봉산 석굴암) 입구에서 8분 정도 들어서면 속세와 우이령의 경계를 구분짓
는 교현탐방지원센터가 마중을 한다. 길 주변에는 군부대 시설이 즐비하여 부푼 마음을 품고
찾아온 나그네에게 적지 않은 긴장감을 준다.

교현탐방지원센터는 우이령의 북쪽 검문소로 여기서 소정의 출입 절차를 밟아야 되는데, 예약
자의 신분증과 예약확인증을 보여주면 된다. 그리고 석굴암 탐방객은 따로 예약할 필요 없이
신분증만 지참하면 된다. 우이령이 비록 개방이 되었다고는 하나 아직은 북악산(백악산) 한양
도성 능선처럼 완전히 해방되지 못한 공간이라 제약이 좀 있다.

교현탐방지원센터를 지나면 본격적인 우이령 탐방이 시작된다. 속인(俗人)들이 이 길을 걷고
자 1969년 이후 40년이나 목마르게 기다렸던 그 금지된 길이 내 앞에 펼쳐지는 것이다. 가을
도 우이령에 흠뻑 마음을 빼앗겼는지 길을 멈추고 주변을 화사하게 불지른다. 이렇게 늦가을
과 우이령의 만남으로 우이령은 아름다운 비단길로 거듭났다.
우이령길은 시작부터 끝까지 길이 완만하다. 서서히 올라갔다가 다시 서서히 내려가는 느긋한
코스로 각박한 속세살이와는 정반대이다. 게다가 흙길이 잘 닦여져 있고, 주변 풍경이 고와
결코 지루하지 않다. 오히려 짧게 느껴져 흔쾌히 왕복을 뛰고 싶은 마음이다.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석굴암입구 유격광장까지는 약 2.3km로 30분 정도 걸린다. 동쪽에는 도
봉산과 오봉이 빚은 우이령계곡이 때묻지 않은 청정함을 간직하며 속세로 흐르는데, 아쉽게도
계곡은 출입금지구역이다. 게다가 길과도 거리를 제법 두고 있어 휴전선 너머 동해바다를 바
라보듯 해야 된다. 하지만 어찌하랴. 이곳을 속세로부터 지키려면 그럴 수 밖에. 앞으로도 계
속 이렇게 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  늦가을이 온 산천에 알록달록 불을 질렀다.
늦가을의 즐거운 불장난은 11월 이후 겨울 제국에게 모두 진압이 될 것이다.

▲  석굴암입구 유격광장 (유격 표석)

석굴암입구 유격광장은 우이령길에서 가장 넓은 공간이다. 이곳은 군부대의 유격 연병장으로
광장 동쪽에 서 있는 유격 표석이 이곳의 성격을 잘 말해준다. 여기서 길은 두 갈래로 갈리는
데 석등을 옆구리에 낀 다리를 건너 북쪽 길을 오르면 석굴암이고, 광장 남쪽으로 난 길로 직
진하면 우이령길 정상이다.

우이령에 왔다면 우이령길만 살피지 말고 석굴암도 둘러보기 바란다. 석굴암이 우이령에서 나
름 꿀단지 같은 곳이라 가는 길이 좀 각박해도 1시간 정도만 투자하면 충분히 둘러보고 나올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우이령을 잠시 버리고 석굴암으로 향했다.


▲  석굴암으로 인도하는 길 (석굴암입구)

▲  유격광장에서 바라본 오봉의 위엄 (왼쪽 바위 봉우리는 '관음봉')

우이령길 교현리 구간에서는 어디서든 오봉(五峯, 660m)이 바라보인다. 3글자로 오봉산(五峯
山)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들은 도봉산의 뒷쪽으로 5개의 바위 봉우리가 위엄을 뽐내며 속
세를 굽어본다. 이런 멋드러진 봉우리에는 옛 사람들이 붙인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있는 법,
내용은 대략 이렇다.

호랑이가 담배를 피다 수염 태워 먹던 시절, 양주 땅에 총각 5명이 살고 있었다. 양주목(楊州
牧) 원님(사또)의 외동딸이 이쁘다고 하여 서로 장가를 들고자 시합을 벌였는데 아마도 원님
이 시합을 붙인 듯 싶다. 시합이란 바로 우이령 서쪽 상장능선에 올라 그곳의 바위를 오봉에
던져 올리는 것, 그들 가운데 누가 이겼는지는 전설을 지은 옛 사람의 생각이 짧아 나오지는
않지만 그들로 인해 오봉이 저렇게 묘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허나 사람 주제에 어찌 저런 봉우리를 만들 수 있을까?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작품
을 가지고 사람이 황당한 전설로 가로채려고 드니 한편으로는 좀 괘씸하기도 하다.

우이령에서 뻔히 보이는 오봉이지만 정작 여기서는 오르지 못한다. 그곳에 가려면 무조건 도
봉산(道峯山)을 거쳐야 되며 우이령과 석굴암에서 오르는 길은 모두 자물쇠로 잠겨져 있다.


▲  석굴암 일주문(一柱門)과 오봉

석굴암입구에서 석굴암까지는 각박한 오르막길이다. 길 주변에는 온갖 유격훈련 시설이 가득
한데 바로 절 밑까지 펼쳐져 있어 군부대 내부를 지나는 기분이다. 이들 훈련장은 1969년 이
후 우이령이 통제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지금도 절찬리에 훈련용으로 쓰이고 있다. 몇몇 유격
시설은 개방되어 산꾼들이 도시락이나 간식을 먹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눈에 들어오는데, 수
련장 시설이 아닌 엄연한 군사시설인만큼 그런 것은 삼가하는 것이 옳을 듯 싶다.

훈련 시설을 옆구리에 끼고 10분 정도 오르면 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주문이 마중을 나온
다. 보통 일주문은 절 이름이 쓰인 현판을 걸지만 이 문은 그런 것도 없다. 그냥 기둥 2개의
평방(平枋), 공포, 팔작지붕이 전부이다.
그런 일주문을 지나면 주지 도일이 조성한 '오봉산 석굴암 토지불사 공덕비(功德碑)'가 나오
고 다시 2분을 고생하면 주차장이 나온다. 이곳은 석축 위에 둥지를 튼 경내 바로 밑인데 여
기서 윤장대를 거쳐 우회하는 길을 오르면 비로소 석굴암 경내에 이르게 된다.

◀ 오봉산 석굴암 토지 불사 공덕비
주지 도일이 땅 2만평을 매입한 기념으로
세운 비석이다.


▲  경내 밑부분에서 바라본 석굴암
석굴암 뒤쪽으로 관음봉(서쪽 바위 봉우리)과 오봉이 병풍처럼
든든하게 자리해 있다.


 

♠  첩첩한 산골에 묻힌 산중암자, 우이령 개방으로 단단히 덕을 보고 있는
오봉산 석굴암(五峯山 石窟庵)

▲  윤장대 부근에서 바라본 북한산(삼각산) 북쪽 산줄기와 상장봉(543m)

흔히 석굴암하면 대부분 경주(慶州) 석굴암을 떠올릴 것이다. 석굴암의 단짝인 불국사(佛國寺
)처럼 말이다. 글을 올릴 때도 지역을 안쓰고 그냥 석굴암이나 불국사라고 쓰면 죄다 경주로
생각하고 살펴본다. 인터넷 용어로 파닥파닥 낚인 것이다. 허나 불국사와 석굴암 그 좋은 이
름을 꼭 경주의 그곳만 써야 된다는 법은 없다. 그들이 이름 특허를 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석굴암이란 이름은 석굴을 품었거나 석굴로 이루어진 절로 경주 외에도 석굴암이란 절이 여럿
존재한다. 일단 제2석굴암으로 유명한 군위(軍威) 석굴암이 있고, 도봉산(道峯山)에는 석굴암
이란 절이 무려 3곳이나 존재한다. 의정부 회룡골에 있는 석굴암과 도봉산 만장봉(萬丈峯) 밑
의 석굴암, 그리고 이곳 석굴암이 그것이다. 경주 석굴암이 천하에 널린 석굴암 가운데 가장
인지도가 강해 석굴암의 대명사가 되다보니 다른 석굴암이 제대로 빛을 못본 것이다. 물론 홍
보력 부족과 문화유산이 빈약한 점도 한몫 한다.

이번에 찾은 석굴암은 도봉산 서쪽을 이루는 오봉의 서쪽이자 관음봉(觀音峯) 서남쪽 350m 고
지에 둥지를 틀고 있다. 주변이 온통 수해(樹海)와 산뿐인 첩첩한 산주름에 묻힌 외로운 절집
으로 우이령이 통제된 이후 40년 동안은 찾는 이가 별로 없어 더욱 외로웠다. 그렇게 사람과
돈을 몹시나 그리워하다가 우이령의 사슬이 풀린 이후, 방문객이 늘면서 점차 흥하고 있다.
절이 들어앉은 지세는 위로는 도봉이 치닫고 아래로는 삼각산(북한산)이 모여서 마치 여러 별
이 북극성(北極星)을 떠받들고 있는 크고 작은 산세인데 물도 맑고 골이 깊어 속세를 잊고 수
행하기에는 좋은 곳이다. 또한 도봉산은 풍수지리적으로 왕관(王冠)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오
봉은 도봉산을 호위하는 장군기마상(將軍騎馬像)과 같은 모습이라고 한다.

석굴암의 창건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절에서는 신라 중기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
고 우기고 있다. 허나 의상은 화엄종(華嚴宗)과 귀족불교의 발전을 위해 주로 왕경(王京, 경
주)에서 활동하던 짬밥 높은 승려라 당시 고구려(高句麗)와 팽팽하게 접경을 이루던 이곳에
절을 세울 이유도 없었고, 이런 험준한 곳에 개고생을 하며 절을 세울 까닭도 없었다. 의상이
본격적으로 지방에 절을 세운 것은 문무왕 후반대이다. (대표적인 것이 영주 부석사)
또한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했다는 설도 있으나 이 역시 신뢰도가 없으며 고
려 후기에 나옹화상(奈翁和尙)이 3년 동안 머물며 창건했다는 설도 있으나 그 또한 믿기가 어
렵다. 경내에 신라/고려 때 유물이나 주춧돌이라도 있으면 모를까 그런 건 하나도 없고, 조선
후기에 조성된 석불과 석조나한상이 그나마 제일 오래된 것이니 말이다. 아마도 도봉산의 만
월암(滿月庵)처럼 조용한 석굴 수행처로 전해오던 것을 조선 초나 중기에 건물을 세워 비로소
절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여러 기록이 보이고 있는데 1443년에 무학대사의 제자인 설암 관익대사가
중수했다고 하며, 이때 석굴에 지장보살과 나한상을 조성했다고 한다. 1455년에는 단종(端宗)
의 왕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가 여기서 1,000일 기도를 올리고 거금 1만냥을 내려 왕후
의 원찰(願刹)로 삼았다고 하지만 그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미루어보면 이 역시 고개를 좌우
로 흔들 수 밖에 없다.
1652년에는 고암(高庵)이 기와를 보수하고 지장보살상과 나한상에 개금(改金) 불사를 했으며,
1872년에 광운(光雲)이 대웅전과 칠성각을 중수했다고 한다.

1920년 신계월(申桂月)이 주지로 들어와 1943년까지 머물며 강화도 옆 석모도 보문사(普門寺,
관련글 보러가기)에서 온 박동암 선사(朴東庵 禪師)와 수행을 했다. 박동암은 상해임시정
부(上海臨時政府)의 김구 선생을 도운 승려로 계월이 입적하자 석굴암의 주지가 되어 선풍(仙
風)의 기강을 위해 계속 수행했다.

▲  윤장대

▲  석굴암 요사(寮舍)

1950년 6.25전쟁이 터지자 우이령 주변은 최대의 격전지가 되었는데 그 여파로 절은 완전 잿
더미가 되고 만다. 다행히 아미타불과 지장보살상, 나한상, 수구다라니 목판 등은 현재 나한
전에 있던 좁은 석굴 안에 들어가 화를 면했다.
그렇게 파괴된 석굴암을 멋지게 일으킨 이가 박동암의 열성 제자인 초안당(超安堂) 유성대선
사(1926~1998, 본명 송만석)이다. 그는 현역으로 전쟁에 참전했다가 총상을 입었는데 1954년
5월 의병제대(依病除隊)를 하여 스승인 박동암을 찾았다.
스승은 그에게 석굴암 복원을 간곡히 부탁했고, 그 뜻을 받들고자 바로 그달 26일 어머니 조
병길(조삼매심) 보살과 석굴암을 찾았다. 그들 앞에 펼쳐진 석굴암은 완전 처참한 상태라 석
굴 안에 방치된 불상과 목판을 수습하고 임시 움막을 지어 주변에 널린 전사자의 시신을 수습
해 화장을 하거나 군에 도움을 청하여 안장(安葬)이 되도록 힘썼다.

1954년 후반에는 지병으로 친정인 교현리에 와있던 윤봉순이 석굴암 부처의 현몽을 받고 석굴
암을 찾아와 불사를 도왔고, 절에서 기도를 올린 신도들의 입소문을 통해 절의 존재가 알려지
면서 불사에 동참하는 신도가 늘어났다. 초안당 역시 낮에는 서울로 나가 탁발을 하고 밤에는
밤을 낮으로 삼아 축대를 쌓고 건물을 짓느라 바쁜 나날을 보냈다. 그래서 1964년 기존 석굴
을 넓혀서 나한전으로 삼아 나한도량의 기치를 높이 세웠다.
허나 1969년 이후 우이령길이 통제되면서 통행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었고, 이는 석굴암의 족
쇄로 작용했다. 게다가 위치도 궁색해 차량 접근도 힘드니 초안당과 신도들은 쌀과 기와, 생
필품을 짊어지며 송추와 고양 효자동에서 10리가 넘는 산길을 일일이 날랐다.

그렇게 힘겨운 고난을 거쳐 1972년 범종각이 완성되었고, 그 와중에 1977년 어머니를 잃는 아
픔도 겪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1979년 요사채를 증축했다. 그리고 1981년 고대하던 전기가
들어오면서 환경은 크게 나아지게 된다. 그 여세로 삼성각과 봉향각을 증축했고 경내 대지도
152평으로 넓혔으며 절로 들어서는 길을 확장하고 나한전을 넓혔다.
1990년대에는 30사단 92연대에 쌍용사를 세워 군대 포교에 나섰고, 오갈데 없는 고아 11명을
수습해 길렀으며 봉선사(奉先寺) 승려를 위해 써달라며 장학기금을 내놓았다. 그리고 어려운
사찰 살림을 쪼개 복지사업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98년 초안당이 72세에 나이로 입적하자 대중들의 오열 속에 다비식이 거행되었는데 사리가
무려 59과가 나왔다고 한다. 그가 간 이후 그가 친자식처럼 키워온 상좌 도일(度一)이 그 뒤
를 이어 주지가 되었으며, 대지 2만평을 매입하여 제2중창불사를 벌이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
추게 되었다. 이때 지하수를 개발하여 목마름을 해소했고 후불탱화와 불상, 다양한 탱화를 조
성했으며, 건물 기와를 무려 청동기와로 교체하고 설법전을 지었다.
그러다가 2009년 석굴암의 오랜 족쇄였던 우이령 통제가 풀리자 탐방객 수는 더욱 늘어 절의
명성은 조금씩 높아져 갔고, 조선 후기 나한상과 석굴로 이루어진 나한전을 내세워 나한도량
(羅漢道場)을 칭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10월에 단풍음악회를 여는 등, 속세에 절 이름 3자를
알리고자 애쓰고 있다.

▲  석굴암 범종각

▲  삼성각과 3층석탑

조촐한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해 삼성각, 나한전, 요사, 설법전 등 7~8동의 크고 작은 건물
이 있으며, 모두 1960년대 이후에 지어진 것들이라 고색의 내음은 기대할 수 없다. 하지만 조
선 후기에 조성된 석조불좌상(경기도 지방문화재자료 161호, 아쉽게도 친견하지 못함)과 석조
지장보살좌상, 석조나한상 등 지방문화재 3점을 간직하고 있어 그들을 통해 절의 오랜 내력을
조금이나마 가늠해 볼 수 있다.
또한 이곳은 오봉산 자락에 서쪽을 바라보며 자리해 있는데 조망이 일품이라 우이령길은 물론
상장봉 등 북한산 북쪽 산줄기가 훤히 바라보여 마음이 시원해지며, 번뇌가 멋모르고 쫓아오
다 졸도할 정도로 깊은 산골이라 풍경소리와 염불 소리, 바람의 소리가 전부인 그야말로 고적
한 절이다.

석굴암은 주말 점심 시간에 중생들에게 공양을 제공하며,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대보름 나
물을, 동짓날에는 팥죽을 주는데 꽤 맛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2008년부터 매년 10월마다 단
풍음악제를 여는데 승려 음악가와 절 합창단, 가수, 국악인, 30사단 군악대, 지역 음악가 등
이 출연해 외딴 산사의 분위기를 한층 드높인다. 이때만큼은 고요하던 산사도 우이령길도 꽤
떠들썩해진다.

※ 오봉산 석굴암 찾아가기 (2017년 11월 기준)
* 지하철 3,6호선 불광역(8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연신내역(3/6호선, 3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3호선 구파발역(1,2번 출구)에서 34, 704번 시내버스를 타고 우이령 오봉산석굴암
  입구에서 하차
* 1,4호선 서울역(4,9-1번 출구), 2호선 을지로입구역(3번 출구), 1호선 종각역(3-1번 출구),
  5호선 서대문역(4번 출구), 3호선 홍제역(2,3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 3호선 녹번역(1번
  출구)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704번 시내버스 이용
* 우이령(오봉산석굴암) 입구에서 석굴암까지 도보 1시간. 석굴암 신도와 탐방객은 우이령길
  예약이 필요없으며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신분증 확인을 거쳐 들어가면 된다. 단 우이동(우
  이탐방지원센터)에서 접근할 경우에는 예약을 해야된다.
*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1 (석굴암길 519 ☎ 031-826-3573)
* 석굴암 홈페이지는 아래 윤장대 사진을 흔쾌히 클릭한다.


▲  불가의 사치품으로 일컬어지는 윤장대(輪藏臺)를 돌려보자

주차장에서 경내로 오르면 조그만 기와집에 담긴 윤장대가 마중한다. 윤장대는 불경(佛經) 등
의 서적을 담아두는 책장이자 불가의 사치품으로 지금이야 많은 절에서 우후죽순 만들어서 보
기가 쉬워져서 그렇지 예천 용문사(龍門寺)의 윤장대를 제외하면 제대로 오래된 것도 없다.
그만큼 희소성이 크다.
옛날에는 지금보다 문맹률이 높아(거의 90% 이상) 상당수의 백성들은 불경을 읽지 못했다. 그
러니 이해도 힘들었지. 하여 생각한 것이 윤장대를 활용한 것으로 책장 양쪽에 손잡이를 만들
고 그것을 돌리면 경서를 모두 이해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영업을 했다. 또한 윤장대를 돌리면
서 소망을 들이밀면 소망이 이루진다면서 윤장대에 대한 중생들의 관심을 높였다.


▲  경내 밑부분 (왼쪽의 건물은 설법전)

▲  석굴암 대웅전(大雄殿)

윤장대를 지나 경내에 이르면 가장 먼저 이곳의 법당(法堂)인 대웅전이 모습을 비춘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살짝 들려진 지붕 추녀의 맵시가 인상적이다.
이 건물은 1975년에 초안당이 지은 것으로 높이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워 제법 위엄
이 있어 보인다. 건물 중앙에는 1970년 우봉(又峰)이 쓴 대웅전 편액과 주련 4기가 걸려있으
며 내부에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석가3존불을 이루고 있다.


▲  육체미가 넘치는 석굴암 석가모니3존불과 석가모니 후불탱
후불탱은 1998년 회주 초안, 주지 도인, 금어 박갑철이 조성했다.

         ◀  대웅전 신중탱(神衆幀)
부처의 세계를 수호하는 온갖 신들의 무리가
빼곡하게 담긴 탱화로 1991년 금어 김용희가
그렸다. 건물 내부의 기운을 정화하는 역할을
하여 법당에 많이 걸어둔다.


▲  옆에서 바라본 석굴암 대웅전

▲  석굴을 넓혀서 만든 석굴암 나한전(羅漢殿)

대웅전을 지나면 바위 석굴로 이루어진 나한전이 나온다. 이곳은 원래 3명 정도 들어갈 수 있
는 좁은 굴로 석굴암이란 이름도 바로 이 굴에서 비롯되었다.
호랑이가 곶감을 피해 다니던 시절부터 도봉산 동쪽 자락의 만월암이나 북한산 금선사(金仙寺
)의 목정굴(木精窟)처럼 참선 공간으로 쓰였다가 조선시대에 굴 주변에 건물을 짓고 이름도
편하게 석굴암을 칭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6.25전쟁으로 석굴암이 초토화되자 이곳에 서린 석조불좌상과 나한상, 지장보살상 등이 이곳
에 피신을 했으며, 1954년 초안당이 그들을 수습하고 1964년 석굴을 넓혀 나한상의 보금자리
로 삼았다. 이후 도일이 내부를 넓히고 주변을 손질하여 지금에 이른다.

나한전 석굴에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석조나한상을 중심으로 조그만 나한상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굴이라 그런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좀 따스하다. 또한 석굴 왼쪽에는 조그만
샘이 있는데 1990년대까지 석굴암의 갈증을 해소해주던 유일한 식수원으로 여기서는 용왕샘이
라 부른다.
지금이야 요사 옆에 지하수를 뚫어 물 걱정은 크게 덜었으나 이 샘은 수량이 적어 자주 바닥
을 드러내곤 했다. 특히 부정한 짓을 하거나 고기를 먹은 이들이 손을 대면 아무리 비가 많이
와도 샘이 발끈해 그냥 말라붙었다고 한다.


▲  나한전 내부 - 나한 형님들이 나란히 단체 촬영에 임하고 있다.

▲  석조나한상(石造羅漢像) - 경기도 지방문화재자료 162-1호

나한전 불단을 가득 메운 나한상들은 색을 입히지 않아 대부분 하얀 피부이다. 일부는 꺼무잡
잡한 피부를 보이기도 하지만 그리 크게 차이는 안난다. 이들 가운데 정중앙에 자리한 나한이
꽤나 독보적인데 그가 이곳의 주인장인 석조나한상이다. 그러다보니 특별히 연꽃무늬가 새겨
진 대좌와 듬직한 광배(光背)까지 두르고 있으며 검은 색의 옷까지 걸쳐 조그만 나한들의 두
목 역할을 한다.

이 나한상은 앉은 키 60cm, 무릎 폭 40cm의 조그만 모습으로 18세기에 한봉당 창엽(漢峰堂 瑲
曄)과 금곡당 영환(金谷堂 永煥) 등이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석조불좌
상과 달리 표정이 밝고 인자하며 기품 있는 모습으로 중생을 맞이하고 있는데 광배와 대좌는
1970년대 이후에 붙인 것이고 옷 색깔은 근래에 입혔다. 그러다보니 고색의 멋이 좀 떨어지긴
했다.
참고로 이곳 나한들은 생쌀을 좋아한다고 한다. 그래서 공양도 생쌀을 올리고 있는데 1950년
대에 이곳에서 기도를 올리던 3명의 노파가 절 사람들이 게을러 생쌀을 공양한다며 초안당에
게 항의를 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들이 기도를 마치고 나한을 보니 글쎄 생쌀이 나한 몸과 입,
무릎에 붙어있었고 생쌀 불기마다 움푹 패인 자국이 있었다는 것이다. 나한의 그런 믿거나 말
거나 영험 사건으로 '석굴암 나한이 생쌀을 먹는다~'는 소문이 퍼져 기도객이 몰려들었고 그
덕에 공양쌀과 시주금이 늘어나 요사채와 삼성각을 무난히 올릴 수 있었다. (과연 나한의 소
행이었을까?)


 

♠  오봉산 석굴암 마무리 (삼성각)

▲  석굴암 석조(石槽)
오봉산이 제공한 옥계수가 쉼 없이 쏟아져나와 중생의 목을 축여준다.
내 목구멍 뿐 아니라 내 인생의 갈증도 싹 축여주면 좋으련만~~

▲  하얀 천막이 설치된 설법전 옥상
설법전은 경내를 받쳐든 석축 앞에 엮은 2층 건물로 그 옥상은 단풍음악제를
비롯한 절의 행사장으로 쓰이고 있다.

▲  석굴암 범종각(梵鍾閣)
초안당이 1980년대에 지은 것으로 1984년에 조성된 범종이 봉안되어있다. 저녁 6시가
되면 자고 있던 범종이 깨어나 우이령 일대에 잔잔하게 종소리를 들려준다.

▲  계단 끝에 자리한 삼성각(三聖閣)과 3층석탑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삼성각이 천하를 바라보며 자리해 있다. 정면 3칸, 측면 1
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이름 그대로 3명의 성스러운 존재, 산신(山神)과 독성(獨聖, 나반존자),
칠성(七星)을 머금고 있어야 되지만 독성은 나한전에 따로 봉안하고 여기서는 약사불과 칠성
탱, 산신탱을 봉안하여 3성을 채웠다.
이들 가운데 석조지장보살좌상과 약사탱이 중심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지장보살상 뒤에 있
음에도 지장탱을 안달고 약사탱(1985년에 제작됨)을 단 점이 특이하다. 그들 양쪽 구석에는
1985년에 조성된 산신탱과 칠성탱이 좁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삼성각이란 이름보다는 지장
전을 칭하는 게 더 어울려 보인다. (지장보살이 중심에 있기 때문임)

삼성각 앞 벼랑에는 이곳의 유일한 탑인 3층석
탑이 하얀 맵시를 드러내며 서 있다. 왜 대웅
전 뜨락에 안두고 이런 험한 벼랑에 두었는지
모르겠으나 위치가 위치인지라 조망만큼은 아
주 일품이다.
석굴암에서 제일 조망이 좋은 곳이니 꼭 올라
가 그 멋을 체험하기 바란다.


 

◀  천하를 뜨락으로 삼은 석굴암 3층석탑

▲  산신과 호랑이, 동자가 담겨진 산신탱

▲  색감이 무지 고운 칠성탱


▲  삼성각 내부
석조지장보살좌상과 약사탱의 공간이 꽤 넓어 그들이 삼성각에 중심임을 알 수 있다.
불상 좌우에는 현란한 모습의 옥탑 2기가 자리한다.

▲  석굴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경기도 지방문화재자료 162호

약사탱 앞에 자리한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다. 근래에 도금을 입혀 금빛을
찬란히 드러내고 있는데 불상이 주먹 크기 정도로 매우 작고 마치 얼굴이 겉늙은 동자상에 지
장보살 복장을 입혀놓은 듯하여 귀엽기도 하다. 그는 석조불좌상과 마찬가지로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린 길상좌를 하고 있는데 얼굴은 뭔가 시름에 잠겨있는 표정 같으며, 눈과 코,
입, 귀, 수염이 뚜렷하다.
그는 6.25시절에 석굴에 들어가 화를 피했으며 초안당이 절을 재건했을 때 삼성각을 세우면서
그 건물에 봉안했다.


▲ 삼성각에서 바라본 우이령과 상장봉 능선의 장쾌한 위엄
아무리 둘러봐도 주변에 보이는 것은 숲과 칼처럼 솟은 산, 그리고 짙은 파랑색의
하늘 뿐이다. 그만큼 이곳은 첩첩한 산주름에 묻힌 고적한 곳이다.

▲  삼성각에서 바라본 대웅전 주변
대웅전 앞에는 잠시 발을 멈추고 쉬어갈 수 있도록 쉼터가 닦여져 있다.


석굴암에 발을 들였을 때는 이곳에 문화유산이 있는 것을 몰랐다. 그냥 역사만 좀 오래되었을
뿐, 고색의 향기가 메마른 절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허나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오래된 석
불들을 만나보니 의외에 장소에서 오랜 지기를 만난 듯 반가웠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석굴암
에 대해 미리 살피지 않고 간 나의 실수에 미안함이 가득했다.
요사와 설법전 내부. 석조불좌상 등을 제외하면 경내에 왠만한 것은 다 살펴봤으며 이곳 공양
밥이 맛있다고 하는데 제공 시간을 지나쳐서 먹지 못했다. 우이령이 나와 아주 먼 곳에 있었
다면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 인연이 될 수도 있겠지만 나와 가까운 곳에 있으니 (직선거리로
7km도 안됨) 겨울 제국이 저물고 소쩍새가 우는 봄이 오면 그때 다시 인연을 만들어 우이령과
석굴암의 품에 퐁당 안기고 싶다.

이 일대가 개발의 칼질도 숨을 죽이는 영역이라 그 칼질로부터 다소 자유롭기는 하지만 우리
나라식 개발의 칼질이 워낙 개념없기로 유명하니 자칫 약을 빨고 우이령 일대를 난도질 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이곳은 천지가 개벽해도 대자연의 깊은 공간이자 북한산(삼각산)과 도봉
산에서 가장 한적한 곳으로 우리 곁에 남기를 소망할 뿐이다.

이렇게 석굴암을 1시간 정도 둘러보고 다시 유격광장으로 내려와 우이령을 타고 서울 우이동
으로 넘어갔다. 우이령 나머지 부분은 본글에서는 생략하며 아래 별도로 링크된 글을 참조하
기 바란다. (☞ 우이령길 보러가기)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11월 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대자연이 빚은 단양8경의 으뜸 명승지, 단양 사인암 ~~~ (북상리 시골, 청련암, 남조천)



' 단양 사인암 나들이 '



 

봄이 겨울 제국을 몰아내며 오랜 추위에 지친 천하를 진정시키던 3월 끝 무렵, 친한 후배
와 오랜만에 1박2일 장거리 여행을 나섰다.
렌트카를 이용하여 토요일 아침 8시에 서울을 출발, 백두대간 골짜기에 숨겨진 홍천(洪川
)의 삼봉약수(三峰藥水, ☞ 관련글 보러가기)를 찾아가 몸에 좋다는 탄산약수를 배터지게
섭취했다. 그런 다음 영월(寧越)의 여러 명소를 둘러보고 저녁 늦게 단양(丹陽)으로 넘어
갔다.

단양은 충북 동쪽 끝에 뉘어진 산간 고을로 나의 외가 동네(단성면 북하리)이다. 서울 다
음으로 오래 머문 곳으로<다 합쳐봐야 1년도 안됨> 지금은 다들 서울과 인천, 경기도, 원
주 등지로 나가고 모친의 작은아버지(나에게는 삼촌뻘~) 가족만 북하리 남쪽인 북상리(北
上里)에 머물며 터전을 지키고 있다. 바로 그 집에서 하룻밤 신세를 지기로 했다.

영월읍에서 제천(提川)을 거쳐 가라는 네비양의 안내를 쿨하게 무시하고 남한강을 따라서
고씨동굴, 영춘면, 향산리, 단양읍을 거쳐 저녁 10시가 넘어서 북상리 친척집에 도착했다.
그들의 환대를 받으며 삼겹살로 늦은 저녁을 들고 새벽 4시까지 코가 비뚤어지도록 곡차(
穀茶, 술)를 기울이며 간만에 회포를 풀었다.
곡차의 기운이 몸 속에 진하게 퍼져 이거 아침에 일어날 수나 있겠나 걱정이 들었지만 아
침 9시가 되자 스르륵 잠이 깼다. 천근만근 무거운 두 눈을 비비며 세수를 하고 아침밥을
든 다음 10시쯤 그들과 아쉬운 작별을 고했다. 그곳에 머문 시간은 고작 12시간 남짓, 간
만에 온 것치고는 너무 짧은 시간이다.
허나 같이 간 후배 때문에 더 머물기도 그랬고 그날 경북의 여러 곳을 둘러보고 올라가야
되서 다음 인연을 격하게 고대하며 단양 친척집을 떠났다.

단양에서 경북으로 가려면 손쉽게 죽령터널(중앙고속도로)을 통하거나 아니면 사인암, 방
곡리를 거쳐 문경으로 넘어가야 된다. 우리는 쉬운 길 대신 미답로인 문경 방면 고갯길을
택했는데 그 길목에 단양8경의 으뜸인 사인암이 요염하게 버티고 있다.
사인암은 예전에 인연을 지은 적이 있었고 이번에는 경북 지역에 크게 비중을 두었으므로
단양은 하룻밤 머무는 선에서 딱 선을 그으려고 했다. 허나 고양이가 생선가게를 그냥 못
지나친다고 창밖에서 자꾸 손짓하는 사인암을 애써 무시할 수가 없었다. 저렇게나 잘생긴
사인암을 훌쩍 지나치는 것도 마음에 좀 걸리고 요즘 같은 난세(?)에 다음을 흔쾌히 기약
할 수가 없어 그곳에서 잠시 바퀴를 멈추고 그의 품으로 들어섰다.


 

♠  단양8경의 으뜸이자 운선9곡(雲仙九曲)의 아름다운 입술
사인암(舍人岩) -
명승 47호

단양8경(丹陽八景)이란 단양의 이름난 경승지 8곳을 일컫는다. 조선 명종(明宗) 시절, 퇴계 이
황(退溪 李滉)이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적이 있었는데, 그는 단양의 명승지 8곳을 뽑아서
단양8경으로 묶으면서 명나라의 소상8경(瀟湘八景)보다 더 아름답다고 침이 마르도록 찬양을
했다. 그 단양8경을 이루고 있는 식구로는 도담삼봉(島潭三峯)과 석문(石門), 구담봉(龜潭峯),
옥순봉(玉荀峯),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사인암 등으로 그중 도담3봉과 석문을 제외하고 모
두 옛 단양의 중심지였던 단성(丹城) 주변에 몰려있다. (8곳 중, 5곳만 가봤음)

사인암은 단양8경의 으뜸으로 꼽히는 현장으로 하늘을 향해 곧게 솟은 70m 높이의 기암절벽(奇
巖絶壁)이 사인암의 핵심이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그 절벽에 상하 좌우로 균형 있게 줄이 그어
져 있어 마치 천연의 바둑판을 보는 듯 한데 하늘나라의 신선 형님들이 인간들이 자고 있을 때
살포시 내려와 이 절벽을 바로 눕혀 내기바둑을 한판 두고, 하늘로 올라갈 때는 인간들이 감히
손을 대지 못하게끔 하늘을 향해 세워두고 가는 모양이다.
절벽 꼭대기에는 낙락장송(落落長松)을 닮은 노송(老松)들이 사인암의 운치를 가득 수식하는데,
어찌 저런 척박한 곳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지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혹 바둑판이 비와 눈에
젖을까봐 신선이 심어둔 작은 우산은 아닐까?

이곳은 단양 출신인 고려 후기 대학자, 역동 우탁(易東 禹倬, 1263~1342)이 사인(舍人) 벼슬에
있었을 때 휴양했던 곳이라 전한다. 우탁은 단양우씨 집안으로 원나라에서 들어온 정주학(程朱
學) 서적을 처음으로 터득한 인물인데,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 임제광(林齊光)이 우탁이 머무
른 것을 기리고자 그의 벼슬 이름을 따서 사인암이라 했다.
조선 후기 풍속화가인 김홍도(金弘道)도 이곳을 다녀가 멋지게 그림으로 남겼고, 많은 시인묵
객들이 찾아와 시문을 짓거나 그림을 그리며 이곳의 절경을 즐겼다.

사인암은 남조천(南造川)을 따라 이어진 운선9곡의 하나로 유리처럼 맑은 남조천의 물이 이곳
을 굽이쳐 흘러 안그래도 절경인 경치에 더욱 윤기를 북돋는다. 사인암 옆에는 고려 때 지어졌
다는 청련암(靑蓮庵)이란 조그만 암자가 터를 닦았으며, 사인암 입구에는 1977년 6월 지방 유
림에서 세운 역동우탁기적비(易東禹倬紀績碑)가 서 있다.

예전에는 상선암, 중선암 등에 밀려 좀 한적했으나 서서히 단양의 꿀단지로 부상하면서 주변에
음식점과 민박, 펜션 등이 많이 생겨났으며, 시골 북하리와 10여 리 거리로 가까워 외가 친척
들도 자주 놀러왔던 곳이다. 시골과도 꽤 가까운 곳이 분명하건만 시골을 자주 찾았던 어렸을
적에는 이상하게도 좀처럼 인연이 닿지 않았고 (상선암과 중선암, 하선암도 못가봤음) 다 장성
한 이후에야 겨우 인연이 닿아 이렇게 2번 인연을 지었다.


▲  사인암 앞을 굽이쳐 흐르는 남조천
남한강을 향해 격하게 흐르던 남조천의 물줄기도 이곳만큼은 서행하여
사인암의 절경을 즐긴다.

▲  남조천에 조성된 타원형 모양의 섬
사인암과 조금 떨어진 남조천 한쪽에 흙과 돌로 대(臺)을 쌓고 역동우탁기적비와
운치가 깊은 소나무3그루를 심었다. 남조천 물줄기 틈에 자리해 있어
사인암 속의 조그만 섬을 이루고 있다.

▲  역동우탁기적비 주변에서 바라본 남조천과 사인암

▲  남조천에 사뿐히 걸린 구름다리

▲  우탁의 시를 머금은 커다란 표석

▶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듸 업다
져근 덧 비러다가 마리 우희 불니고져
귀 밋태 해묵은 셔리랄 녹여볼가 하노라

☞ 봄 산에 쌓인 눈을 녹인 바람이 잠깐 불고 어디론가 간 곳이 없다.
잠시 동안 (그 봄바람을) 빌어다가 머리 위에 불게 하고 싶구나.
귀밑에 여러 해 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봄 바람을 이용해 자신의 젊음을 되찾고 싶은 우탁 할배의 부질없는 꿈을 담은 시,
나이를 먹는 것 만큼 무서운 것은 없다. 그래서 노인들이 좋아하는 폭포가
'미대륙에 있는 나이아가라'폭포라고??)

▲  구름다리에서 바라본 사인암
그와 조금씩 가까워질수록 사인암의 모습도 조금씩 달리 보인다.

▲  바로 건너편에서 바라본 사인암의 위엄

예전 사인암을 찾았을 때(친척들과 같이 갔음)는 정작 사인암 건너편은 가지 않았다. 그 건너
편에서 바로 정면으로 그를 대하니 정말 대자연 형님의 위대한 작품성이 느껴진다. 마치 바둑
판을 하늘로 향해 곧게 세운 듯한 모습, 절벽 꼭대기에 소나무들이 운치를 뽐내며 절벽의 우산
이 되어주는 모습 등 그들이 강인한 협동심을 선보이며 1폭의 그림 같은 절경을 자아내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인간이 대단하다 설친들 저런 작품은 감히 흉내내지 못할 것이다.


▲  사인암 건너편에서 바라본 청련암


 

♠  사인암에 안긴 조그만 절집, 보기와 달리 깊은 역사를 지닌
청련암(靑蓮庵)


▲  사립문이 활짝 열린 청련암

사인암 옆구리에는 청련암이란 조그만 절집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런 곳에 왠 절이 있나? 싶
을 정도로 좀 쌩뚱맞기도 한데 얼핏보면 근래 지어진 절로 생각하기 쉬우나 현실은 제법 오래
된 절이다.

청련암은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의 말사(末寺)로 1373년(공민왕 22년)에 나옹대사(懶翁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허나 신빙성은 그리 없어 보이며,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710년에 중창하
여 청련암이라 했다고 한다.
원래는 여기서 가까운 대강면 황정리 산28번지에 있었는데, 그 부근에 있었다는 대흥사(大興寺
)의 말사로 있었다. 허나 그 대흥사는 19세기 후반 의병(義兵)과 왜군과의 싸움에서 파괴되었
고, 1954년 소백산 공비토벌 작전으로 황정리 일대에 소개령(疏開令)이 내려지자 청련암도 부
득이 방을 빼야 되서 절의 대들보와 기둥을 들고 사인암 옆에 새롭게 터를 닦았다.

청련암은 두 눈에 쏙 넣어도 부담이 없는 조촐한 암자로 법당인 극락전과 옛 법당, 삼성각, 요
사 등이 전부이다. 2013년 4월 새 극락전을 만들어 법당으로 삼았으며, 옛날의 유물로는 18세
기에 조성된 목조보살좌상이 있다.
사인암을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고 있어 사인암에 온 사람들은 무조건 절에 발을 들이기 마
련이다. 절을 거쳐야만 사인암의 뒷통수로 올라갈 수 있으며, 사인암과 청련암이 완전히 한 덩
어리가 되어 생사고락을 같이한다. 사인암 방문객이 늘면 자연히 절을 찾는 발길도 정비례할
수 밖에 없으니 정말 자리 하나는 잘 잡았다. (당시 주지승의 혜안이 참 놀라울 따름!) 사인암
이 건재하는 동안은 청련암은 결코 법등(法燈)이 마를 날이 없을 테니 말이다.


▲  청련암 경내와 사인암의 옆구리

▲  청련암 극락보전(極樂寶殿)

경내로 들어서면 옛 법당 직전에 극락보전이 산듯한 모습으로 마중을 한다. 정면 3칸, 측면 2
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2013년 4월에 지어진 아주 따끈따끈한 새 건물
로 경내 제일의 보물인 목조보살좌상을 품고 있다. 하지만 건물 내부를 살피지 않고 그냥 지나
쳐버려 목조보살좌상을 친견하지 못했다. 그냥 옛 법당에 계속 있는 줄 알았음


▲  예전에 담은 청련암 목조보살좌상(木彫菩薩坐像)
- 충북 지방유형문화재 309호

청련암 목조보살좌상은 원래 청련암 법당에 봉안되었던 아미타3존불의 구성원인 대세지보살상
(大勢至菩薩像)이다. 1954년 이곳으로 절을 옮기는 과정에서 그만 본존불(本尊佛)을 잃어버렸
으며,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은 엉뚱하게 제천 원각사로 넘어가고 대세지보살상만 간신히 수
습하여 가져왔다. 그래서 협시불이 본존불로 출세하여 불단 중앙에 홀로 봉안된 것이다. 또한
그의 뱃속에서는 여러 복장(腹臟)유물이 나왔으나 근래 도난당하고 말았다.
불상에 입혀진 도금을 벗기고 새로 개금(改金)을 했을 때 목불(木佛)의 형태를 확인했으며 은
행나무로 조성된 것임이 밝혀졌다. 청련암의 옛 유물로 18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절 충청도 지역 불상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보살상의 모습을 보면 마치 어린 동자가 관음보살의 탈을 쓰고 대신 앉아있는 것 같다. 동자와
같은 귀여움과 해맑은 미소가 진하게 드리워진 그의 표정은 너무 밝아 보는 이의 눈을 눈부시
게 하니 사인암과 청련암에 볼일이 있어 찾아온 화마(火魔)도 그의 표정 앞에서는 어찌할 바를
모르며 그냥 돌아갈 것이다.


▲  석불좌상과 옛 법당

극락전으로 쓰인 옛 법당은 법당의 품격과는 좀 거리가 있는 여염집 모습으로 새로운 극락보전
이 지어지자 법당에서 물러나 평범한 신세가 되었다. 현재 석가3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목조
보살좌상은 새 극락보전으로 옮겨 청련암 중심 불상의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 (이들 불상의 위
치는 절의 사정상 바뀔 수도 있음)
옛 법당 앞에는 조그만 석불좌상이 자리해 있는데, 원래 새 극락보전 자리에 있던 것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  옛 법당에 봉안된 석가3존불

▲  옛 법당에서 바라본 청련암 경내


▲  물이 넘치는 연꽃무늬 석조(石槽)
사인암이 중생들에게 베푼 소중한 옥계수로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한가득 담아
들이키니 몸 속의 때가 싹 가신 듯, 몸과 마음이 시원해진다.

▲  우탁의 탄로가(嘆老歌)를 머금은 표석

한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은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은 늙음을 탄식하는 시를 여럿 남겼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탄로가이다. 아무리 발버
둥을 치며 피부와 건강에 힘써도 세월은 자꾸만 흐르고 자신도 강제로 늙어만 가니 정말 무서
운 시가 아닐 수 없다.
나는 30대의 끝 무렵을 달리고 있지만 탄로가의 시 앞에 무책임하게 나이나 처묵처묵하고 있는
내 모습에 정말 열불이 난다. 물론 나이는 강제로 먹는 것이니 거절을 해도 소용은 없다. 아직
까지는 젊다고 자부를 하지만 빛의 속도로 내달리는 세월 앞에서는 장사가 없다. 신선 세계의
하루는 인간 세상의 몇십~몇백년이라고 하는데 그 세계가 바로 우리가 사는 세계 같다.


▲  탄로가 표석에서 바라본 남조천과 구름다리
단양은 소백산맥에 묻힌 산골이라 봄과 여름은 늦게 오고 겨울은 일찍 온다.
날은 조금씩 따스함이 더해지고 있으나 비록 힘은 잃었지만 아직까지는
겨울 제국의 세력이 적지 않게 남아있어 아직까지 제국의 눈치를 본다.
허나 곧 소쩍새가 울 때면 지긋지긋한 겨울을 완전히 떨쳐내며
다들 기지개를 켤 것이다.

▲  사인암의 뒷통수로 오르는 계단길

어떻게 경사도 꽤 각박한 사인암 뒷통수에 감히 건물을 올릴 생각을 했을까? 청련암 주지승의
기발한 생각<사인암 입장에서는 좀 고달프겠지만>으로 궁색한 자리를 극복하여 좁게나마 터를
다지고 삼성각을 지어 속세를 향해 계단을 늘어뜨렸다. 이로 인해 사인암이 삼성각을 업고 있
는 모습이 되었다.
삼성각으로 인도하는 계단은 보기와 달리 상당히 거칠고 고르지가 못해 오르락내리락 할 때 주
의가 필요하다. 예전에는 삼성각 뒤쪽을 통해 사인암 정상으로 오를 수 있었으나 사인암의 건
강과 안전 문제로 출입이 통제되어 있으니 애써 오르지 않도록 하며 사인암에 왔다면 삼성각에
꼭 올라가보도록 하자. 이곳을 지나쳤다면 사인암의 거의 절반을 놓친거나 다름이 없다.


▲  사인암 뒤쪽 바위 틈에 둥지를 튼 푸른 머리의 삼성각(三聖閣)
이 건물은 예전 칠성각(七星閣)으로 산신(山神)과 독성(獨聖, 나반존자),
칠성(七星)이 봉안되어 있다.

▲  삼성각 중앙에 자리한 칠성탱과 석가불

▲  삼성각 독성탱

◀  삼성각 산신탱


▲  삼성각 우측 바위에 새겨진 기하학적인 바위글씨 '퇴장(退藏)'

사인암의 명성이 멀리 우주 밖까지 전해진 것일까? 너무 유별나게 휘갈겨진 글씨가 바위 피부
에 새겨져 있어 그 정체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허나 그는 외계인의 글씨가 아닌 한
자의 일종인 전서체(篆書體)로 쓰인 '退藏(퇴장, 스스로 물러나 숨는다)'이란 글씨로 조선 전
기에 판교종사<判敎宗師, 불교 교종(敎宗)의 우두머리>를 지낸 운수의 낙관으로 추정될 뿐 확
실한 것은 없다.


▲  삼성각 맞은편 낭떠러지 위에 중생들이 쌓아올린 조그만 돌탑들이
그들의 소망을 머금으며 조촐하게 보금자리를 이룬다. 이곳은
막다른 바위로 바로 밑이 벼랑이니 조심하기 바란다.


▲  삼성각 북쪽 벼랑

▲  삼성각에서 바라본 계단 밑부분과 청련암

이렇게 1시간 동안 사인암과 청련암 세트를 둘러보고 정든 단양 땅에서 퇴장하여 경북 문경 땅
으로 넘어갔다. 처음에는 예천 명봉사(鳴鳳寺)에 가려고 했으나 전날부터 여러 곳의 절을 들린
상태라 후배는 다른 데로 가자고 정색을 한다. (절을 좋아하는 후배임)
그래서 어디로 갈까 궁리하다가 천하의 마지막 주막으로 명성이 높은 예천 삼강주막(三江酒幕)
을 둘러보고 속리산 동쪽 자락에 안긴 여러 폭포를 탐방하기로 했다.
본글은 분량상 여기서 끝~~!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흔쾌히 소개하도록 하겠다.


※ 단양 사인암 찾아가기 (2017년 8월 기준)

① 단양까지
* 동서울터미널에서 단양행 직행버스가 1시간 간격으로 떠난다.
* 서울 청량리역에서 단양행 열차가 1일 8~9회 떠난다. (양평, 원주 경유)
* 안산, 원주, 청주, 영주, 안동, 대구(북부)에서 단양행 직행버스 이용
* 부산 부전역, 태화강역, 경주역, 영천역, 안동역에서 청량리행 중앙선 무궁화호 열차 이용
* 대전역, 오송역, 청주역에서 영주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1일 2회 운행)

② 현지 교통

* 단양시외터미널 건너편이나 부근 고수대교 종점, 단양역 입구(단양역3거리 북쪽)에서 사인암
  방면 군내버스 이용 (1일 14회 운행, 대강 경유)

③ 승용차 (주차장 있음)

* 중앙고속도로 → 단양나들목을 나와서 우회전 → 장림4거리에서 좌회전 → 사인암(청련암)


* 사인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산27 (청련암 ☎ 043-422-1330)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8월 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하늘과 가까운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천축사, 마당바위, 만장봉, 포대능선)

 


' 도봉산 봄나들이 (천축사, 마당바위, 포대능선) '

▲  도봉산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 스마트폰으로 보실 경우 꼭 PC버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를 권함)


 

 

봄이 막바지 전성기를 누리던 5월 첫 무렵에 이웃 동네 방학동(放鶴洞)에 사는 후배와 우
리 동네 뒷산이자 서울 북쪽 지붕인 도봉산(道峯山, 740m)을 찾았다.
도봉산은 집에서도 잘 보이는 꽤나 가까운 존재임에도 북한산<北漢山, 삼각산(三角山)>에
오랫동안 마음이 기울면서 많이도 소홀했던 곳이다. 하여 도봉산에 안긴 천축사와 미답지
여러 곳을 지울 겸, 도봉산의 섭섭한 마음도 풀어줄 겸해서 간만에 그의 품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3시에 집을 나서 서울시내버스 142번(도봉산↔방배동)을 타고 불
과 네 정거장 거리인 도봉산 종점에 발을 내린다. 거기서 대기하고 있던 후배와 파도처럼
몰려드는 등산객 인파 속으로 들어가 푸르름이 가득한 도봉산의 품으로 들어선다.

도봉산에서 제일 처음 찾은 곳은 천축사로 도봉산 종점에서 1시간 올라가야 된다. 광륜사
와 지금은 황량한 터로 변해버린 도봉서원(道峯書院)을 지나면 길은 크게 2갈래로 갈리는
데, 여기서 직진하여 20분 정도 가면 도봉산장(도봉산대피소)이다. 이곳에서 산장을 끼고
북쪽 길로 가면 포대능선과 만월암이고, 서쪽에 조그만 폭포가 있는 가파른 길로 15분 정
도 가면 천축사이다.
자존심을 곱게 접어 하늘로 날려보내고 산과 자연에 순응하며 묵묵히 산길을 걷다보면 나
올 것 같지 않던 천축사가 금세 돌기둥 정문을 꺼내 보이며 반갑게 맞이한다.


▲  조촐한 천축사 정문
절이 가파른 산자락에 있어 그 흔한 일주문(一柱門)을 둘 공간이 없다.
그래서 저렇게 조촐하게 정문을 만들어 일주문으로 삼았다.


 

♠  천축사 입문

▲  불단을 가득 메운 불상<청동보살군상(靑銅菩薩群像)>의 대파노라마

정문을 들어서면 가장 먼저 청동불상들의 장대한 물결이 두 눈을 놀라게 한다. 거의 4~5단으로
이루어진 불단에 청동으로 지어진 석가불을 비롯하여 관음보살, 지장보살, 아미타불, 약사여래
등 다양한 불(佛)과 보살(菩薩)을 집합시켰기 때문이다. 이들은 중생의 시주로 지어진 일종의
원불(願佛)로 근래에 조성된 것이다.
천축사에 새로운 명물로 그들을 대충 헤아려봐도 108불은 넘어 보이는데, 100기가 넘는 불상이
일제히 앞쪽을 바라보니 이건 관객들 앞에 서 있는 연극배우처럼 무안이 들 정도이다. 하여 그
시선이 부담스러워 서둘러 옆으로 피했다.


▲  슬슬 모습을 비춘 천축사 경내 (대웅전)

청동보살입상에서 1굽이를 돌면 서쪽 건너편으로 대웅전을 비롯한 경내가 바라보인다. 경내 뒷
쪽에 바라보이는 바위 봉우리는 도봉산의 주요 봉우리인 만장봉(萬丈峯)으로 이곳의 든든한 후
광(後光)이 되어준다.
굽이친 곳에서 경내까지는 약 100m 거리로 산길 중간에는 등산객들이 잠시 두 다리를 쉴 수 있
도록 쉼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경내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담장 끝에 자리한 네모난 석조(石槽)
가 모습을 비춘다. 석조에는 도봉산이 베푼 옥계수(玉溪水)로 가득한데 맑고 깨끗한 약수로 속
세에 이름이 나있다. 여기서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한가득 물을 담아 목구멍에 투하하니 몸
속에 낀 속세의 때가 싹 가신 듯 목구멍이 시원하다고 쾌재를 외친다.


▲  담장 끝에 자리한 천축사 석조
조그만 돌통에 대자연의 넉넉한 마음이 담긴 듯 물이 늘 가득하다.

▲  고된 세월이 느껴지는 오래된 부도(浮屠)

석조 맞은편에는 고색의 때가 자욱한 부도가 완전한 모습이 아닌 옥개석(屋蓋石)과 중대석(中臺
石), 하대석(下臺石) 등 일부가 수습되어 있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부도로 연꽃잎을 비
롯하여 사자와 코끼리 등 동물이 새겨져 있으며, 조각 수법이 수려하여 천축사의 왕년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그의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어 모르겠으나 조선시대 부도로 보이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과
천축사의 무관심 앞에 형편없이 깨지고 씻겨내려간 고된 모습으로 경내로 들어서는 길목을 지키
고 있다.

※ 도봉산 천축사(天竺寺)의 내력
도봉산 만장봉 동쪽 자락에 자리한 천축사는 673년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는 인근 의상대(義湘臺)에서 수도를 하다가, 빼어난 산세에 감탄해 제자를 시켜 암자를 짓고
맑은 샘물이 나온다는 뜻에 옥천암(玉泉庵)이라 이름 지으니 그것이 천축사의 시작이라고 한다.
허나 당시 도봉산은 좁아터진 신라의 서북쪽 변방 지역으로 당나라와 한강 이북을 둘러싸고 한
참 전쟁을 벌이던 시절이다.
왕경(王京, 경주)에서도 멀고 전쟁으로 시끄러운 변경에 원효(元曉)와 더불어 신라 불교의 1인
자인 의상이 굳이 찾아와 절을 세울 이유는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그는 문무왕의 허가를 받아
그 유명한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기 이전까지 주로 왕경에 머물며 화엄종(華嚴宗) 보급과 귀족
불교 발전에 힘쓰고 있었다.

천축사의 내력이 본격적으로 가슴을 펴는 것은 조선 태조 때이다. 의상의 창건설과 달리 신라와
고려 때 흔적이 전혀 없고, 고려 명종(明宗, 재위 1170~1197) 때 영국사(寧國寺, 도봉서원 자리
에 있었음)의 부속암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 역시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니 조선 태
조 시절이나 빠르면 고려 후기에 창건된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1398년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왕자의 난으로 단단히 뿔이 나 왕위를 2째 아들인 정종(定宗)에
게 던져버리고 함흥(咸興)으로 가버렸다. 그곳으로 가는 길목인 도봉산 밑을 지날 때 만장봉 천
축사 주변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피어올랐다고 한다. 그래서 그곳을 찾아가 봉우리는 하얗고 꽃
은 삼문에 떨어져 길이 붉다는 시구(詩句)를 읊고 절에서 하룻밤 머물렀다고 전한다.
이후 함흥에서 돌아올 때 이곳에 들려 100일 동안 기도를 올리고 절을 중수케 했는데, 고려 후
기에 인도에서 건너온 지공(指空)이 나옹화상(懶翁和尙)과 이곳에 들려 '천축국(天竺國) 영축산
(靈鷲山)의 일부가 완연히 이곳에 있구나'
격찬한 일을 승려에게 듣고, 옥천암에서 천축사로 이
름을 갈게 했다.

1474년(또는 1470년)에는 성종(成宗)의 명으로 절을 중창하고, 명종 시절에는 문정왕후(文定王
后)가 화류용상(樺榴龍床)을 내려 불좌(佛座)로 삼게 했다고 한다. 이후 300년 가까이 적당한
자국을 남기지 못한 것으로 보아 그 사이에 절이 망한 듯 싶으며, 1812년에 경학(敬學)이 중창
하여 다시 일으켜 세웠다.

1816년에는 김연화(金蓮花)가 불량답(佛糧沓) 15두락을 시주해 살림이 많이 좋아졌으며, 1862년
에 상공(相公) 김흥근(金興根), 판서(判書) 김보근(金輔根), 참판(參判) 이장오 등이 불량을 희
사했다. 1863년에는 주지 긍순(肯順)이 칠성탱과 독성탱, 산신탱을 조성하고, 1895년에 화주 성
암응부(星巖應夫)가 명성황후(明成皇后) 및 상궁(尙宮) 박씨 등의 시주로 후불탱, 신중탱, 지장
탱을 조성했다. 허나 관리 소홀로 불화 대부분이 도난을 당했다.

1911년 화주 보허축전(寶虛竺典)이 관음탱과 신중탱을 봉안하고, 1931년에 주지 김용태(金瑢泰)
가 천축사로 가는 산길을 확장했으며, 1936년에 현재와 비슷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한
때 천하 제일의 참선수행도량으로 명성이 높던 무문관(無門關)을 이 시기에 만들었다. 1959년에
는 주지 용태가 불사를 벌이고,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대웅전과 독성각, 산신각을 중수했으며,
요사와 공양간을 신축해 예전 천축사의 모습을 어느 정도 회복했다.
도봉산에 몇 안되는 비구니(比丘尼) 사찰로 관음도량(觀音道場)으로 명성이 자자하며, 고승들의
참선 수행공간인 무문관을 경내 북쪽에 두어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꾸려가고 있으나 수행의 난이
도가 아주 최상급이라 도전하는 이가 드물어 그 맥이 거의 끊겼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원통전과 산신각, 독성각, 무문관, 범종각 등 7~8동의 건물이 있으
며, 소장문화유산으로는 비로자나삼신불도와 비로자나삼신괘불도(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93호),
목조석가3존불, 목조불단(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66호), 마애사리탑(서울지방문화재자료 65호)
등 지방문화재 5점이 있고, 오래된 부도와 천축사 편액 등이 전한다. 화류목조용상이라 불리는
목조불단은 문정왕후가 내렸다고 전하는데, 이것이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이며, 건물은 모
두 새로 지은 것이라 고색의 내음은 거의 없는 것이 아쉽다.

절이 각박한 산자락에 자리해 있어 그곳에 간신히 비집고 들어가 둥지를 틀었으며, 이미 주어진
공간을 최대한 채운 터라 사세 확장도 쉽지가 않다. 그래도 첩첩한 산골의 산사치고는 그런데로
넓은 편이다. 게다가 경내 주변은 숲이 무성하며, 속세와도 멀리 거리를 둔 산중 사찰이라 제아
무리 번뇌라 해도 감히 추격하지 못한다.
서울 도심과도 무척이나 가깝고, 1시간 정도의 등산으로 접근이 가능한 곳이어서 잠시 속세에서
나를 지우고 싶거나, 마음을 싹둑 정리하고 싶을 때 땀을 뻘뻘 흘리며 찾아와 안기고 싶은 절집
이다. 산바람도 솔솔 부니 한여름에도 시원하며, 시원한 샘물이 1년 내내 흘러나와 한모금 마시
면 정말 오장육부가 정화되는 것 같다.
또한 산신각이나 대웅전 앞에서 도봉구와 노원구, 수락산 등이 두 눈에 바라보여 조망도 그런데
로 괜찮다. 

※ 도봉산 천축사 찾아가기 (2016년 5월 기준)
* 지하철 1,7호선 도봉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1시간 30분 (도봉산역 1번 출구 → 도봉산 141번
  종점 → 광륜사 → 도봉서원 → 도봉산장 → 천축사)
* 서울시내버스 141번(도봉산↔염곡동), 142번(도봉산↔방배동), 1127번(도봉산↔수유리), 1128
  번(도봉산↔길음역)을 타고 도봉산 종점에서 내리면 걷는 거리를 10분 정도 줄일 수 있다.
* 천축사 정기 법회가 있는 날에는 도봉산 주차장에서 도봉서원까지 셔틀차량이 운행된다. 여름
  에는 6시 30분부터 10시까지(겨울에는 7시부터) 운행되며, 도봉서원부터 걸어가야 된다. 깊은
  골짜기에 있기 때문에 차량은 아예 접근이 불가능하다.
* 누구든 점심공양이 가능하다. 대웅전 남쪽에 있는 공양간에서 공양에 임하면 된다. (겨울에는
  안주는 경우도 있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1동 549 (☎ 02-954-1474)
* 천축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천축사 산신각에서 바라본 천하

▲  연등의 붉은 물결 앞에 윗도리가 사라진 독성각(獨聖閣)

곧 다가올 석가탄신일 준비로 부산한 경내로 들어서면 바로 대웅전 앞이다. 산자락에 자리한 천
축사는 대웅전 구역과 북쪽 무문관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웅전 구역에는 독성각과 산신각
, 원통전, 석굴이 있다.

대웅전 남쪽에 자리한 독성각은 허공을 가득 메운 연분홍 연등으로 윗도리가 보이질 않는다. 마
치 구름이나 안개에 가려 아랫도리만 보이는 산처럼 말이다. 윗도리를 보려면 산신각으로 오르
는 계단에서 봐야 된다.
이 건물은 달랑 1칸짜리의 조촐한 팔작지붕 건물로 현공(玄公)이 지은 것이다. 내부에는 2002년
에 조성된 독성탱과 석고독성상이 봉안되어 있다.


▲  색채가 무지 고운 독성탱(獨聖幀)과 석고독성상
독성탱은 주지 선응이 화주가 되어 금어(金魚) 권성준이 제작했다.

▲  연등에 가려 아랫도리만 보이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 옆에는 높이 석축을 쌓고 그 위에 산신각을 두었다.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건물
로 독성각과 마찬가지로 달랑 1칸짜리이다. 단 지붕은 맞배지붕을 취하고 있으며, 2003년에 현
공이 보수했다.
산신각 내부에는 1979년에 주지 지형(知亨)이 화주가 되어 금어 조정우가 그린 산신탱이 있다.


▲  산신각 산신탱
호랑이가 2마리가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그들의 두 눈에는 광채가 초롱초롱 빛나
어두운 밤에 본다면 정말 염통이 쫄깃해질 것 같다. 호랑이 사이로 지긋한
하얀 수염의 산신 할배가 앉아있는데, 앉아 있는 폼이 다른 산신탱과는
다르다. 그외에 동자 3명을 배치했으며, 소나무와 산도 묘사되어 있어
산신탱에 있어야 될 요소들은 모두 갖추었다.

▲  원통전(圓通殿)

대웅전 우측 위쪽에 자리한 원통전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경내에서 그나
마 가장 오래된 건물로 어여쁜 누님의 모습을 한 관음보살(觀音菩薩)이 봉안되어 있다. 후불탱
화로는 천수천안(千手天眼)관음탱과 칠성탱(七星幀)을 봉안했는데, 천수천안관음탱은 1980년에
주지 지형과 금어 조정우가 만든 것이며, 칠성탱은 1979년에 금어 김용회가 제작한 것이다.


▲  원통전 불단에 봉안된 관음보살좌상
소용돌이가 치는 듯한 후불탱화의 모습이 꽤 인상적이다.


 

♠  천축사 대웅전 주변

▲  대웅전 뒤쪽에 자리한 석굴 <옥천석굴(玉石窟庵)>

원통전 좌측이자 대웅전 뒤쪽에는 장대한 바위가 있으니 그 바위 밑에 옥천석굴이라 불리는 시
원한 석굴(石窟)이 있다. 천축사의 예전 이름인 옥천암의 유래가 된 옥천(玉泉)이 여기서 용솟
음치고 있는데, 불공 때 공양하는 용도로만(천축사 승려들도 이 물을 마실 듯) 쓰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꽁꽁 봉해둔다. 

석굴 내부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을 봉안하여 일종의 약사전(藥師殿)으로 삼았으며, 좌우에 조그
만 감실(龕室)을 파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두었다. 속설(俗說)에는 태
조 이성계가 여기서 기도를 드렸다고 하며, 그 전설을 통해 천축사를 거쳐갔던 승려들이 수도를
했던 오래된 굴임을 알 수 있다. 지금처럼 약사불을 안치하고 내부를 손질한 건 근래이다.


▲  석굴에 봉안된 석조약사여래좌상
입술이 유난히 붉은 약사여래좌상이 약합(藥盒)을 쥐어들고 속세를 걱정한다.
약사여래의 머리 뒤쪽에는 3줄의 두광(頭光)을 그어 그를 빛나게 수식하며
그가 앉아있는 대좌(臺座)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불상 오른쪽에 붉은 바가지가 있는 부분이 바로 옥천이다.

▲  약사여래좌상 좌우 암벽에 감실을 파고 들어앉은 조그만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저 두 보살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  경내 북쪽에 자리한 무문관(無門關)

대웅전 북쪽에는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아련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각(梵鍾閣)과 원초적 생리
를 해결하는 해우소가 있다. 그리고 굳게 닫힌 기와문이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데, 그 문 너머
로 절집치고는 어울리지 않는 3층짜리 신식 건물이 눈을 심히 갸우뚱하게 만든다. 그 건물이 천
축사의 상징물인 무문관이다.

무문관은 수행을 위한 건물로 1964년에 주지 정영이 지었다. 건물의 이름인 무문(門無)은 깨달
음을 얻는 데 있어 길도 문도 없다는 뜻으로 부처의 설산 6년 고행(苦行)을 본받아 4년 또는 6
년 동안 면벽(面壁), 즉 벽만 바라보고 수행을 하는 고난의 길을 걸어야 된다. 방문 바깥으로
나가는 것은 일체 금지되며, 한번 발을 들이면 무조건 4년이나 6년을 채워야 된다. 게다가 수행
중에 먹는 음식도 창구를 통해 받아야 되는 등, 수행의 규범이 매우 엄격하다. 그야말로 그 기
간 동안은 '나 죽었소' 하며 인간적인 삶을 포기해야 된다.
그러다보니 수행을 통과한 승려 수가 매우 적다. 1965년과 1979년에 100여 명이 도전했으나 겨
우 4명만 통과한 것이다. 워낙 가시밭보다 더한 곳이라 도전자가 가뭄에 콩나듯 하여 시민선원
으로 활용하기도 했으나 호응이 없어서 결국 문을 닫았다. 그러다가 2010년 11월 지금의 건물을
지어 다시 문을 열었다.
허나 도전자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 새 건물을 그냥 놀려두기도 그래서 속세에 개방해 시민선방
과 절의 쏠쏠한 수입원인 템플스테이(Temple stay)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화
류수목조용상(樺榴樹木彫龍床, 목조불단)과 천축사 편액이 있다.


▲  대웅전(大雄殿) 목조석가3존불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47호

경내 중앙에 자리한 대웅전은 2층짜리 건물로 꽤 우람한 모습이다. 대웅전은 원래 1812년에 지
어졌다고 하며, 'ㄷ'자 팔작지붕인 것을 현공이 200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새롭게 만든 것이다.
1층은 5칸 규모의 종무소(宗務所)와 쉼터, 요사채로 쓰이며, 2층에 대웅전을 두었는데, 정면 5
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화려한 닫집을 지닌 불단에는 목조석가3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석가불을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
화갈라보살(提華褐羅菩薩)로 이루어져 있는데, 푸근한 표정과 살짝 머금은 미소로 여기까지 힘
들게 올라온 중생을 맞이하고 있다.
처음에는 오래 숙성되지 않은 3존불로 여기고 무시했으나 근래 석가불 뱃속에서는 이른바 복장(
腹臟) 유물이 나와 그들의 신상정보를 알게 되었다. 복장유물은 불상의 중수 사실을 담은 2장의
발원문과 경전, 다라니 등으로 이들을 통해 만력<萬曆, 명나라 신종(神宗)의 연호, 1573~1618>
시절에 조성되어 북한산 노적사(露積寺)에 봉안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니 원래부터 천축사 불
상은 아니었다.
1713년 발원문에는 진열(進悅)과 영희(靈熙), 태원(太元), 처림(處林), 청휘(淸徽) 등이 불상을
개금, 중수하여 민지사<閔漬寺, 북한산 서암사(西岩寺)>로 옮겼으며, 1730년 발원문에는 황금을
시주받아 개금불사했다. 이후 돈암동 흥천사(興天寺)로 거처를 옮겼다가 20세기 중반 정도에 천
축사로 흘러들어와 이곳의 보물을 하나 늘려주었다.

이들 3존불은 그리 크지 않은 중간 규모의 불상으로 조선 중기(16세기 후반~17세기 초) 불상 양
식(또렷하고 균형 잡힌 이목구비, 안정된 인상, 팽팽하고 풍만한 신체의 질감, 간략화되고 형식
화된 천의 표현)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복장유물을 통해 조성시기와 중수에 참여한 승려 등이
밝혀져 바로 그 점 때문에 2013년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요즘은 불상이나 불화 조
성시기를 알려주는 내용만 나오면 거의 무조건 지정문화재로 삼는 추세이다. 옛 사람들의 그런
작은 배려가 불상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는 것이다. (발원문 하나에 보물이냐 지방문화재냐, 그
냥 비지정문화재냐가 갈리는 세상임)

▲  대웅전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과 지장탱

▲  2004년에 제작된 신중탱(神衆幀)


▲  천축사 비로자나3신불도(毘盧舍那三神佛圖)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92호

목조석가3존불 좌측에 고색의 기운이 자욱한 불화는 비로자나삼신불도이다. 등장 인물이 복잡한
불화(佛畵)는 언제봐도 참 어렵고 난해하여 정말 머리가 지끈거린다. 그림에 나오는 인물과 그
성격, 그림의 특성까지 다 파악하려면 그야말로 암이 걸릴 정도이다. 왜 이렇게 복잡하게 그렸
을까? 세상의 복잡함을 상징하고자 함일까..?

그림 중앙에는 그림의 주인공인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이 있고, 왼쪽에는 노사나불(盧舍那佛),
오른쪽에는 석가불이 자리해 있다. 이들이 삼불도의 중심인 삼불로 녹색을 띈 두광(頭光)과 살
색의 신광(身光)을 표현해 장엄함과 신비로움을 불어넣었다. 그리고 목리문(木理紋, 나무결 무
늬)이 표현된 불단 위의 연화좌(蓮花座)에 앉아 있다.
삼불 주변에는 제일 위에 4명의 보살을 두었고, 좌우에 시방제불, 그 밑에 보살 2명과 범천(梵
天)과 제석천(帝釋天)을 삼불 사이에 넣었다. 비로자나불 무릎 좌우에는 부처의 열성 제자인 가
섭(迦葉)과 아난(阿難)이 있고, 그림 하단의 8명 보살은 모두 동그란 두광과 모서리가 둥근 네
모난 신광을 가지고 있다. 지장보살을 제외한 모든 보살은 비슷한 모습의 보관(寶冠)을 쓰고 있
으며, 각기 각자의 물건을 들고 있다.

조선 후기에 흔한 삼신불도이지만 독특한 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19세기 중엽부터 서울과 경
기도 지역에서 크게 활약했던 경선당 응석(慶船堂 應碩)이 편수(片手)를 맡아 환감(幻鑑). 혜조
(慧照). 경림(璟林). 탄인(呑仁). 창오(昌悟) 등이 합심하여 제작하였다.


▲  꽃창살과 용머리 장식으로 무척 현란한
천축사 대웅전 앞부분

경선당은 천축사 삼신불도처럼 전통적인 화법으
로 작품을 그리면서 간혹 도상을 나름대로 변화
시켜 새로운 도상을 창출했으며, 갸름한 얼굴과
지극히 작은 이목구비의 얼굴, 꽃무늬가 새겨진
대의, 적색, 녹색, 청색의 색조, 목리문의 표현
등 응석 불화의 양식적 특징들이 잘 드러나 있
다.

그림 오른쪽 밑에는 '臣尙宮己酉生朴氏  尙宮己
酉生金氏等○○奉爲 王妃殿下辛亥生閔氏 玉體恒
安聖壽萬歲'란 명문이 있어 기유년생 상궁(尙宮
) 박씨와 기유년생 상궁 김씨 등이 왕비전하(명
성황후)의 옥체가 항상 편안하고 성수만세 하기
를 기원하고자 시주한 불화임을 귀뜀해 준다.
그림의 상태는 전체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으나
그림 상당이 그을음 등으로 채색이 좀 어두워져
있고, 화폭 상단 오른쪽이 일부 찢겨져 나갔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천하 (도봉구와 노원구 지역)
천축사가 속세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천축사와 작별을 고하다 ~~ (대웅전)

금지된 곳인 무문관을 제외한 경내 곳곳을 40분 정도 둘러본 것 같다. 2개의 10년 전인 초등학
교 6학년 시절, 이곳에 처음 발을 들였는데, (그래봐야 지금까지 2번 가봤음) 그때는 보호수로
지정된 오래된 보리수(菩提樹)나무가 있었던 것으로 아련히 기억이 난다. 그러나 그 나무는 세
월의 고된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새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천축사를 뒤로 하고 포대능선으로 가고자 다시 길을 재촉했다. 아직은 경험이 부족한 도봉산의
주능선과 자운봉, 만장봉도 같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올라갔지만 그 길은 파란만장했다.


 

♠  도봉산의 지붕 거닐기

▲  마당바위와 그 너머로 펼쳐진 서울의 산하

천축사에서 10분 정도 오르면 마당처럼 넓은 바위가 하얀 피부를 드러낸다. 그 바위가 마당바위
로 바위에 올라서면 도봉산 산줄기는 물론 서울 북부 지역이 두 눈에 훤히 달려와 조망이 가히
천하 일품이다.
이곳은 길이 3갈래로 갈리는 요충지로 만장봉과 포대능선으로 오르는 길, 관음암(觀音庵)과 오
봉으로 가는 길, 그리고 문사동계곡으로 내려가는 길로 나눠진다. 우리의 목적지는 포대능선이
므로 제일 힘든 만장봉 길을 택했다.


▲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도봉산 남쪽 줄기와 우이암(관음바위)
대자연이 초록 물결과 푸른 물결, 하얀 물결을 일으키며 신선의 경지를 자아낸다.
아무리 천재화가가 붓을 휘날린들 저 모습 그대로는 재현하기 힘들 것이다.

▲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북부 지역
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에 이런 소중한 허파가 있다는 것은 대자연이 내린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두고두고 잘 아껴야 하건만 우리의 자화상은 어떠한가..?


마당바위에서 각박한 산길을 20분 정도 개미처럼 오르면 자운봉고개에 이른다. 고개 주변에 도
봉산의 주요 봉우리인 만장봉(萬丈峯)과 선인봉(仙人峰)이 있는데, 죄다 바위 봉우리라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그래도 올라갈 사람은 기를 쓰고 올라감)
자운봉고개에서 길은 2갈래로 갈리니 여기서 남쪽 능선을 따라가면 칼바위와 오봉, 우이암으로
이어지며, 북쪽은 포대능선을 거쳐 사패산과 의정부(議政府)로 통한다.

 

▲  바위 봉우리로 이루어진 만장봉의 위엄

▲  도봉산의 머리, 자운봉의 위엄

자운봉(740m)은 도봉산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봉우리로 도봉산의 실질적인 정상이다. 험준한
외모 탓에 그 역시 금지된 봉우리로 묶여있는데, 역시나 통행금지 안내문을 무시하고 봉우리로
오르는 이들이 적지 않다. 도봉산의 정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운봉과 만장봉은 오르지 않고 (남북통일 될 때까지 오래 살아야 되니까) 자운봉고개에
서 포대능선으로 진입했다. 마치 학이나 용의 등에 올라탄 듯, 능선 양쪽으로 천하가 눈 아래로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니 조망 또한 천하 일품이다. 수락산과 오봉 등 주변의 기라성 같은 산들도
알아서 고개를 숙이며 나지막하게 다가오니 도봉산도 참 큰 산이긴 큰 산인 모양이다.

포대능선은 처음에는 길이 착하다. 그러다가 10분 정도 가면 길이 2갈래로 갈리는데, 여기서 왼
쪽으로 가나, 오른쪽으로 가나 북쪽으로 이어지는 것은 같다. 허나 오른쪽 길이 진정한 포대능
선의 위엄으로 Y처럼 생겼다고 하여 속칭 와이계곡이라 불리며 왼쪽 길은 와이계곡 우회길이다.


▲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오봉과 여성봉, 양주 장흥면 지역

와이계곡 길은 산길인지 지옥의 길인지 분간이 어려울 정도로 극악의 수준이다. 산길에 박힌 철
난간과 철봉이 아니면 거의 지나기가 힘든 구간으로 그들에 의지해 조금씩 움직이는데, 완전 손
에 땀을 쥐게 하며, 다리 밑은 그야말로 천길 낭떠러지라 간을 제대로 쫄깃하게 만든다. 

산길의 경사도 갑자기 몇십 척을 쑥 내려가더니 다시 몇십 척을 쑥 올라가는 미친 형식으로 높
이의 차도 심하다. 산길의 거리는 고작 1리도 안되지만 그 구간을 지나 다락능선 입구까지 거의
30분 정도 걸린 것 같다. 도봉산을 그래도 만만하게 봤건만 이런 미친 구간이 있다니..? 염통을
쫄깃하게 만든 그 구간을 꿈 속에서 다시 탈까 두렵기만 하다. 이 구간을 가기 싫다면 앞서 갈
림길에서 왼쪽으로 우회하면 된다.


▲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서울 북단과 의정부 남부
건너편에 보이는 장대한 산은 한때 나의 단골 산이던 수락산(水落山, 637m)이다.
우리가 그 수락산보다 더 높이 떠 있다.

▲  포대능선에서 만난 멋드러진 소나무, 그 너머로 보이는 서울 북부 지역
(우리 동네 도봉동도 훤히 보임)

▲  포대능선 716m 봉우리
봉우리 주변에는 초소와 포대(砲臺) 등 추억이 되버린 군사 시설이 여럿 남아있다.
포대능선이란 이름도 바로 능선에 있던 포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속세처럼 험난했던 와이계곡을 통과해 716m 봉우리에 도착했다. 여기서 지치고 놀란 두 다리를
쉬며 눈 밑에 펼쳐진 천하를 가슴 가득히 굽어본다. 서울 도봉구와 강북구를 비롯한 서울 북부
지역과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장흥면과 율정/고읍지구가 훤히 눈에 박혀 속세로부터 오염되
고 상처받은 마음과 눈을 제대로 정화시켜준다.

하늘의 소리가 들릴 정도로 하늘과 가까워졌으니 구름을 타고 하늘을 오가는 신선이 바로 이런
기분일 것이다. 게다가 발 밑에 펼쳐진 속세를 내려다보니 자연이 빚은 산부터 점보다 작게 아
른거리는 집들까지 저 모든 것이 나의 것이 된 듯 거만한 생각이 솟아 오른다. 정말 그러면 얼
머나 좋을까. 허나 현실은 편히 드러누울 땅도 시원치 않은 시궁창이라는 것.. 저 천하에서 내
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땅이 없다.


▲  북쪽으로 힘차게 내닫는 포대능선 (716m 봉우리에서 본 모습)
포대능선은 회룡골재를 거쳐 사패산까지 이어진다.


포대능선 716m 봉우리(다락능선 입구)에서 도봉산역 방향으로 내려갔다. 우리가 있어야 될 곳은
이런 산중이 아닌 속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상이란 자리는 오래 머물려고 들면 반드시 탈이
나는 법이다.
중간에 자운봉 동쪽 밑에 자리한 조그만 암자 만월암(滿月庵)에 들려 그곳에 깃든 조선 후기 석
불좌상(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21호)을 친견하고, 다시 부지런히 발길을 재촉하여 도봉산 종점으
로 내려왔다. (만월암과 그 이후에 둘러본 곳은 생략) 그런 다음 순두부와 파전, 동동주로 간단
히 저녁 뒷풀이를 하고 나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도봉산이 내 제자리와 매우 가까우니 그것 하나는 너무 좋다. 금방 돌아와서 지친 몸을 뉘울 수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하여 5월 도봉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휘장을 걷는다. 내가 도봉산 곁에 계속 머무는 동안
그와의 인연은 계속 이어지고 닿을 것이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6년 5월 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봄맞이 산사 나들이, 대구 팔공산 파계사 (파계사계곡, 성전암)

 


' 봄맞이 산사 나들이, 대구 팔공산 파계사(把溪寺) '

▲  파계사 원통전

* 스마트폰으로 보실 경우 꼭 PC버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를 권함)



봄이 천하를 파릇파릇 물들이던 4월 한복판에 그리운 이들을 보고자 부산으로 길을 떠났다.
부산(釜山)으로 가면서 중간에 대구(大邱)에 들렸는데, 어디를 갈까 궁리를 하다가 팔공산
파계사를 찾기로 했다. 이곳은 이미 13년 전에 가본 곳이지만 기억도 흐릿하고, 그때 보는
것과 지금 보는 것도 확연히 틀리며, 그 당시 안가봤던 파계사의 뒷쪽 부분(성전암과 현응
대사 부도)도 살펴볼 겸 해서 그곳으로 길을 잡았다.

대구역 정류장에서 대구시내버스 101번을 타고 북구청, 복현5거리, 불로동, 지묘동을 차례
대로 지나 거의 1시간 만에 파계사 종점에 도착했다. (대구역 맞은 편에서 101-1번을 타도
됨)

파계사 종점에서 파계사로 인도하는 파계로 주변에는 파계사 지구가 형성되어 편의점과 온
갖 식당, 찻집, 까페, 숙박업소 등이 무리를 지어 앉아 속인(俗人)을 유혹한다. 허나 유혹
의 정도가 적어서 별무리 없이 파계사지구를 통과했다. 숲과 나무에는 녹색의 기운이 점차
강해지고 벚꽃을 비롯하여 개나리, 목련 등이 수줍게 꽃망울을 터트리며 봄의 분위기를 한
층 드높인다.



♠  파계사 가는 길 (느티나무, 하마비)

▲  현응대사 나무라 불리는 느티나무 - 대구 보호수 2-6호

파계사 종점에서 8분 정도 오르면 지긋한 연세의 느티나무가 마중을 한다. 그는 약 250년 정도
묵었는데, 높이 15m, 둘레 4.1m에 이르며, 봄이 천하를 해방시켰건만 아직 잎도 피우지 못하고
겨울의 망령에 허우적거리는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성전암에 머물던 현응대사가 속세로 외출하여 밤에 돌아올 때 그
를 모시는 호랑이가 여기까지 내려와 그를 기다렸다가 성전암까지 태워주었다고 한다. 아마도
일종의 심야 셔틀 노릇을 한 모양이다. 그래서 '범의 정자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하여 대구시
에서 그 전설을 바탕으로 이 나무에게 '현응대사의 나무'란 이름을 지어주어 졸지에 이름이 2
개가 되었다. 허나 속세에서 무슨 이름을 지어주든 그게 무슨 대수겠는가? 절과 산을 찾는 중
생에게 잠깐의 쉼터와 그늘을 제공하는 소중한 존재로 늘 그 자리를 지킨다.

현응대사 느티나무에서 5분 정도 오르면 별로 달갑지 않은 매표소가 중생과 차량을 멈춰 세우며
입장료를 받고 있다. 예전에는 입장료가 없었는데, 꼭 그런 미운 것만 도입하여 돈을 받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2012년 1월부터 차량들에게도 주차비를 물린다며 관련 현수막을 큼지막하게 걸
어놓아 적지 않게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매표소에 이르니 직원이 입장료를 내라고 그런다. 그래서 대학생 할인은 안되냐고 떠보니 인상
을 찌푸리며 그딴 것은 안된다고 한다. 기왕 여기까지 온 거 발길을 되돌리기도 그렇고 나에게
는 딱히 선택권이 없는지라 동전을 다 털어서 1,500원의 입장료를 지불하고 유료(有料)의 땅으
로 들어선다.


▲  매표소 옆에 자라난 거대한 돌탑

파계사와 팔공산을 들락거리던 중생들이 얹힌 자연석이 모이고 모여 저렇게 장대한 돌탑으로 성
장했다. 산악신앙(山岳信仰)의 산물로 이렇게까지 커다란 돌탑은 처음 본다. 중생들의 소망을
양분 삼아 오랜 세월을 두고 다져진 돌탑으로 그의 건강을 위해 주위를 난간으로 둘러 사람들의
출입을 막는다.


▲  슬슬 깨어나고 있는 파계사 계곡
나의 무거운 번뇌를 계곡에 내던지며 일주문을 들어선다. 번뇌가 멀리멀리 흘러가길
바랬건만 흘러가기는 커녕 계곡 옆에서 나의 행동을 감시하고 있었다.

▲  파계사 일주문(一柱門)

파계사 계곡을 가르는 다리를 건너면 파계사의 정문인 일주문이 나온다. 문 옆에는 차량이 마음
놓고 바퀴를 굴리게끔 2차선 도로가 뚫려있어 굳이 문을 지날 필요는 없겠으나, 절에 왔다면 일
주문은 꼭 지나가주는 것이 예의가 아닐까 싶다.

일주문을 지나면 경사가 다소 각박해져 숨이 턱까지 차게 만드는데, 해탈의 세계로 가는 속세의
마지막 고비란 심정으로 길을 임하면 길이 좀 짧게 느껴질 것이다.


▲  계곡물을 모아둔 파계지(把溪池)

일주문을 지나 8분 정도 오르면 둑을 만들어 계곡물을 집합시킨 파계지가 나온다. 파계사 부근
에서 발원하여 큰 세상을 향해 흐르던 계곡물이 여기서 잠시 숨을 고르다가 정든 고향을 등지고
금호강(琴湖江)을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호수 주변은 상수원 보호를 위해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아직 초라한 몰골의 나무들은 봄의 도래에 기뻐하며 호수에 비친 자신의 매무새를 다듬
느라 여념이 없다.

파계지를 지나면 파계사가 모습을 보이면서 길이 2갈래로 갈리는데, 왼쪽 길은 성전암과 대비암
으로 가는 길이다. 오른쪽 길은 바로 파계사 주차장인데, 예전에는 연못이 있었다. 그 주차장을
지나면 경내로 이어지며, 주차장 한쪽에 있는 관광안내소 옆 길을 오르면 석축(石築) 위에 둥지
를 튼 비석과 부도(浮屠) 형제를 만나게 된다.


▲  부도와 비석들 (제일 오른쪽이 하마비)

부도와 비석 형제는 모두 8기(부도 3, 비석 5)로 조금은 오래된 조그만 부도 2기가 가운데에 있
으며, 하마비 옆 가장자리에는 근래에 지어진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부도와 비석이 있다.
조그만 부도를 사이에 두고 오른쪽에 자리한 비석은 파계사의 장대한 역사를 담은 사적비(事蹟
碑)로 1936년 5월에 세워졌으며,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갖춘 당당한 모습이다. 그리고 그
오른쪽에는 특이하게도 조그만 하마비(下馬碑)가 서 있어 눈길을 끈다.

하마비는 하마 서식지가 아닌 궁궐과 지체 높은 이의 사당, 향교, 관아, 왕릉, 귀족의 무덤 앞
에 세우는 비석으로 80cm 높이의 비석 피부에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 즉 무조건 말
에서 내려 걸어가라는 7자의 글씨가 쓰여 있다. 파계사에 이토록 지엄한 하마비가 있게 된 것은
경내에 있는 기영각이 제왕과 왕실의 안녕을 비는 원당(願堂)이기 때문이다. 이는 현응대사가
양반과 유생의 횡포와 해꼬지로부터 절을 지키고자 숙종 임금에게 왕실의 원당을 설치해줄 것을
요청하여 지어진 것이다. 아무리 절을 깔보는 양반이라고 해도 왕실의 원당이 있는 절까지는 감
히 해꼬지를 할 수 없다.


▲  측면에서 본 부도와 비석들 (부도 3기, 비석 5기)



♠  파계사 입문 (진동루 주변)

▲  파계사 진동루(鎭洞樓) - 대구 지방문화재자료 10호

부도와 하마비를 둘러보고 경내로 향하면 경내의 중심을 가리고 선 진동루를 만나게 된다. 높은
축대 위에 문어발보다 많은 다리를 딛으며 위엄을 뽐내는 2층 규모의 진동루는 속세를 향해 넓
직한 계단을 늘어뜨렸는데, 그 계단을 올라 진동루의 아랫도리를 지나면 원통전이 떠오르듯 모
습을 비춘다. (진동루의 양 옆구리로도 경내 진입이 가능함)

이 건물은 1715년(숙종 41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2층 누각으로
1층 가운데 칸에 경내로 인도하는 통로를 냈고, 우측 칸에는 옛날에 쓰던 거대한 목조(木槽)가
누워있다. 그리고 2층은 법회나 행사 장소로 쓰인 일종의 강당(講堂)으로 우물마루로 천정을 꾸
며 조선 중/후기 양식을 잘 보여준다.

파계사란 절 이름은 파계승(破戒僧)이 많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절 좌우 계곡의 물줄기가 9갈래
나 되어 그 물이 흩어지지 않게 하고 지기(地氣)가 흘러나가는 것을 막고자 계곡을 잡는다는 뜻
의 파계(把溪)로 이름을 지은 것이다. 허나 그 이름으로도 이곳의 기운을 제압하기가 벅찬지 그
기를 마저 잡는다는 의미로 이 누각에 진동루란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


▲  진동루 1층에 있는 목조(木槽, 구유)

진동루 1층 우측 공간에는 커다란 목조(구유)가 누워있다. 얼핏 보면 말이나 돼지가 밥을 먹을
때 쓰는 통으로 오인 할 수 있다. 허나 이것은 승려와 신도들의 밥통으로 부엌에서 지은 밥을
이 통에 담아 공양을 하게 했으며, 수백 명의 밥을 담을 수 있는 크기로 구유 가운데 바닥에는
통을 씻을 수 있도록 원공이 뚫려있다.
파계사가 잘나갔던 조선 후기에 절찬리에 쓰였던 통이지만 이제는 현역에서 강제로 물러나 밥풀
대신 먼지만 가득하며, 숟가락과 주걱이 수없이 드나들던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한다.


▲  '영조(英祖) 임금 나무'라 불리는 느티나무

진동루 앞에는 250년 정도 묵은 오래된 느티나무 2그루가 다정하게 솟아나 있다. 이 나무는 영
조 임금 나무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그렇게 들으면 진짜 영조와 각별한 인연이 있는 나무로
보일 수 있다. 허나 영조가 파계사에 많은 관심을 보인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이곳까지 내려
온 적은 없다. 단순히 경내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나무를 골라 '영조임금나무'란 이름을 붙여
이곳의 명물로 삼은 것이다.
이렇게 영조하고도 전혀 관련이 없는 나무에게 그런 이름을 무턱대고 주었으니 그도 좀 어이가
없을 것이다. 그럼 여기서 잠시 파계사의 내력을 짚어보도록 하자.

※ 팔공산의 주요 사찰인 파계사의 역사
대구의 듬직한 진산(鎭山)이자 대구, 경북 지역의 불교 성지(聖地)로 꼽히는 팔공산(八公山)에
는 동화사(桐華寺)와 북지장사(北地藏寺), 부인사(符人寺), 갓바위(선본사), 파계사, 제2석굴암,
파계사, 송림사(松林寺), 염불암 등 크고 작은 오래된 절들 가득 포진해 있다. 그중에서 동화사
와 갓바위, 제2석굴암의 명성이 단연 갑(甲)이지만 파계사도 그들 못지 않은 고찰로 804년(신라
애장왕 5년)에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허나 이를 입증할 기록이나 유물은 전혀 없는 실정이며, 창건 이후 17세기까지 뚜렷한 사적(事
績)을 남기지 못해 창건 시기에 대한 의구심을 가득 돋군다. 절을 알리는 첫 기록은 16세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며,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은 관음전에 봉안
된 건칠관음보살좌상으로 조선 초 이르면 고려 후기에 조성되었다. 그런 것을 보면 빨라도 고려
때 조촐하게 문을 연 것을 인근 동화사 내력에 등장하는 심지왕사를 앞세워 창건 시기를 부풀린
것이 아닐까 싶다.

임진왜란 때 절이 파괴된 것을 1605년에 계관(戒寬)이 중창했다고 하며, 1695년에 현응대사(玄
應大師)가 3번째 중창을 했다. 현응은 숙종(肅宗)과도 인연이 있는 인물로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온다.

▲  2층 규모의 범종각

▲  주지실과 내원(內院)

현응은 성전암 부근 석굴에서 불도를 닦고 있었다. 그는 나라의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과 절
과 승려에 물리는 막대한 부역(負役)과 조세, 그리고 나날이 심해지는 유생들의 횡포 등, 절망
적인 불교의 현실에 너무 분노가 치밀어 올라 이를 탄원하고자 서울로 올라갔다. 조선시대에는
승려의 서울 도성(都城)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어 있는지라 짧게 기른 머리로 솔잎 상투를 틀고
속세의 옷을 갖추어 도성 안으로 잠입했다.

그는 3년 동안 주막에서 일을 하거나 한강물을 날라 민가에 날라주면서 탄원할 기회를 노렸으나
그게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었다. 지금처럼 인터넷이나 전화도 없었으니 말이다. 하여 결국 쿨
하게 포기하고 남대문 부근 봉놋방에서 서울에서의 마지막 밤을 보냈다.
그런데 바로 이날 밤 숙종은 남대문 부근에서 청룡과 황룡이 요란을 부리며 승천하는 꿈을 꾸었
다. 꿈이 하도 기이하여 그곳에 뭔가 있을 것이라 여기고 신하를 보내 살펴보니 현응이 행장을
꾸리고 잘 준비를 하고 있었다. 당시 현응의 법명은 용피(龍被)였다. <혹은 용파(龍波)>

왕이 보낸 신하의 손에 이끌려 궁궐로 들어간 현응은 드디어 왕을 알현했다. 왕이 서울에 온 이
유를 묻자 그는 현재 불교의 힘든 현실을 이야기하며 탄압을 줄여줄 것을 건의했다. 그 말에 고
개를 끄덕인 숙종은
'너의 탄원을 흔쾌히 들어주겠다. 허나 나도 부탁이 있다. 내가 아직 왕자가 없어서 그러니 한
양 100리 이내에 적당한 곳에서 숙빈(淑嬪) 최씨의 잉태를 빌어줄 수 있겠는가?'

왕의 난이도가 높은 부탁에 현응은 다소 난감했지만 자신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 기꺼히 해보겠
다고 답을 올렸다. 그리고 친분이 있던 승려 농산(聾山)을 보러 북한산 금선사(金仙寺)를 찾았
다. (☞ 북한산 금선사글 보러가기)

농산에게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현응은 수락산(水落山) 내원암(內院庵)에서, 농산은 금선사에
서 각각 100일 기도를 올렸다. 70일이 막 지났을 때 현응은 선정(禪定)에 들어 이 땅의 백성 가
운데 다음 세상에서 제왕의 지위에 오를 만한 인물을 찾았다. 허나 적당한 인물을 찾지 못해 천
상 자신 또는 농산이 죽는 수 밖에는 없었다. 그래야 그 혼이 숙빈의 몸에 들어가 금수저의 진
정한 갑(甲)인 왕자로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응은 서울에 온 임무를 완수하기 전에는 절대로 죽을 수가 없어 농산에게 편지를 보내
왕자로 다시 태어날 것을 청했다. 이에 농산은
'내가 나라의 위축(爲祝) 기도를 맡은 것으로 인(因)을 삼았는데, 기도를 마치기도 전에 결과가
벌써 돌아왔구려. 50년 동안 망건(網巾)을 쓰게 되었다니~!'
답을 하고 100일 기도를 마치고 죽
었다. 그리고 그날 밤 농산의 혼은 숙종과 숙빈의 꿈에 나타나 현몽했고, 이듬해 1694년에 왕자
로 다시 태어나니 그가 곧 영조가 되는
연잉군(延礽君)이었다.
 
숙종은 고대하던 왕자가 태어나자 기쁜 나머지 용피(현응)에게 현응(玄應)이란 이름을 내리고,
파계사를 중심으로 사방 40리에서 징수하는 세금을 파계사에서 거두도록 했다. 허나 현응은 이
를 거절하고 '절에 선대(先代) 왕의 위패를 모시고 싶습니다. 부디 윤허해 주십시오~~' 청했다.
이에 숙종은 흔쾌히 윤허하고 기영각을 지어 선대왕의 위패를 봉안했다. 이로써 양반들의 해꼬
지를 막을 수 있었으며, 경내 앞에 하마비를 세워 양반들을 살살 기게 만들었다.

▲  응향각(凝香閣)

▲  산령각

여기까지가 현응과 숙종, 영조에 얽힌 설화이다. 허나 설화의 내용과 달리 숙종은 당시 장희빈(
張禧嬪)을 통해 나중에 경종(景宗)이 되는 아들이 있었다. 그러니 왕자가 없어 징징거렸다는 부
분은 맞지가 않는다. 또한 숙빈최씨도 잉태를 위해 기도를 한 것이 아니라 이미 숙종과 숙빈과
의 처음 만남에서 일을 치룬 상태였다. (장희빈이 숙빈의 임신에 뚜껑이 폭발해 매질하여 죽이
려는 것을 숙종이 간신히 구했음)
그리고 농산이 자신의 육신을 버리고 숙빈의 몸에 들어가 왕자로 태어났다고 하는데, 이런 전설
은 북한산 금선사 전설에도 거의 똑같이 전해온다. 여기서는 파계사 승려인 용파가 서울로 올라
와 정조(正祖)에게 불교의 폐단을 시정해 줄 것을 건의했고, 이에 정조는 그것을 들어줄 터이니
왕자의 탄생을 기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부탁을 받은 용파는 금선사를 찾아가 농산과 300일 기도를 올렸는데, 왕자로 태어날 이는 농산
밖에 없음을 알고 농산에게 왕자로 태어날 것을 청했다. 이에 농산은 금선사 목정굴에서 기도를
마치고 죽었고, 그 혼이 정조의 후궁인 수빈(綏嬪) 박씨의 몸에 들어가 왕자로 태어났다고 한다.
금선사의 전설과는 시절과 기도를 올린 날짜 수만 다르지 완전 똑같다. 아마도 파계사의 전설을
금선사가 그대로 모방한 듯 싶으며, 농산이 죽어 정말 왕자로 태어났는지는 그야말로 믿거나 말
거나이지만 이런 전설을 통해 왕실과 관련이 있는 절임을 강조하려는 것 같다.
금선사는 정조 때 왕자의 탄생을 기원하던 곳으로 왕실 원찰의 하나였으며, 파계사 역시 현응대
사를 통해 왕실과 인연이 닿아 숙종과 영조의 안녕을 비는 원찰이 된 것이다. 그걸 마치 농산의
혼이 들어가 영조로 태어난 것처럼 이야기를 꾸민 것이다.

숙종의 명으로 만든 기영각에는 선조(宣祖)와 덕종(德宗, 세조의 아들로 추존된 왕), 숙종, 영
조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979년 원통전 건칠관음보살좌상에 도금을 입힐 때 불상에서 영조의
도포와 1740년 9월 영조의 지원으로 탱화를 만들고 불상과 나한을 중수했다는 내용의 발원문(發
願文)이 쏟아져 나왔다. 그리고 성전암에는 영조가 11세에 썼다는 자응전(慈應殿) 편액이 있어
영조가 어린 시절부터 이곳과 각별한 인연이 있었음은 물론 이들이 영조를 위한 절이었음을 보
여준다.

숙종 이후 여러 차례 건물을 수리한 것 외에는 딱히 별다른 일은 없으며, 계속 몸집을 불려나가
지금은 법당(法堂)인 원통전을 중심으로 설선당, 적묵당, 기영각, 산령각, 내원, 응향각, 진동
루, 극락전, 설법전, 지장전 등 약 20여 동의 건물을 지니고 있다. (지장전과 극락전은 경내에
서 좀 떨어져 있음)
소장문화유산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건칠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 영산회상도, 원통전, 영조대
왕의 도포(중요민속문화재 220호)를 비롯해 설선당과 산령각, 적묵당, 진동루, 기영각, 왕실원
당 관련 고문서 일괄(대구 지방유형문화재 74호), 소장 책판 일괄(대구 지방문화재자료 54호)
등 10여 점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그밖에 숙종이 하사한 병풍 2개와 구슬 2개, 석등, 하마비,
현응대사 부도를 위시한 조선 중기 부도 3기와 탑비, 영조임금나무가 있으며, 성전암과 대비암
등의 부속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번뇌도 쫓아오다가 떡실신할 정도로 팔공산 깊은 산자락 500m 고지에 둥지를 틀고 있으며, 속세
하고도 적당히 거리를 두고 있고, 숲이 울창하고 맑은 계곡이 절 양쪽으로 흐르고 있어 공기도
청정하다. 또한 공양밥도 맛있기로 유명해 점심시간에 지나간다면 공양 1끼 하고 가길 권한다.
다만 입장료를 적지 않은 가격으로 징수하는 것이 이곳의 옥의 티이다.

파계사 종점에서 파계사까지는 넉넉잡아 20분 정도 걸리며, 파계재까지 1시간 30분, 성전암까지
50분 정도 잡으면 된다.

※ 팔공산 파계사 찾아가기 (2016년 4월 기준)
* 대구역 건너 정류장, 동대구역 북쪽 지하도, 큰고개역(2호선, 3번 출구), 아양교역(2호선, 2
  번 출구)에서 대구시내버스 101-1번을 타고 파계사 종점 하차
* 대구역앞, 옛 경북도청 건너, 복현5거리에서 대구시내버스 101번 이용
* 불로전통시장, 파군재3거리에서 101, 101-1번 시내버스 이용
* 4월부터 11월까지 주말마다 팔공3번 시내버스가 40~60분 간격으로 다닌다. 이 노선은 칠곡경
  북대병원에서 동명, 송림사, 파계사, 부인사, 수태골, 동화사를 거쳐 갓바위까지 운행한다.
* 승용차편 (경내까지 진입 가능)
① 대구시내 → 서변동 / 불로동 → 지묘동(파계교교차로) → 파계로 직진 → 파계3거리 직진
   → 파계사 매표소 → 파계사

★ 파계사 관람정보 (2016년 4월 기준)
* 관람비 : 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
* 주차비 : 승용차 2,000원 / 대형차 5,000원
* 관람/출입시간 : 일출부터 일몰시까지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7 (파계로 741 ☎ 053-984-4550)
* 파계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원통전 수미단(대구 지방유형문화재 73호)과 건칠관음보살좌상



♠  파계사 둘러보기

▲  파계사 설선당(設禪堂) - 대구 지방문화재자료 7호

진동루를 통해 안으로 들어서면 좌우로 3줄로 이루어진 계단이 나온다. 그 계단을 오르면 비로
소 경내의 중심인 원통전 앞이다.
원통전 뜨락을 중심으로 원통전은 진동루와 마주보고 있으며, 뜨락 좌우에는 설선당, 적묵당이
얼굴을 마주한다. 그리고 법당 앞에는 흔히 있는 석탑(石塔)이 없는데, 탑을 두기에는 뜨락이
좀 좁긴 하지만 파계사에는 석탑 자체가 없다. 파계사의 지형이 돌을 올리면 깨지는 계란형 지
형이라 그런가..? 아니면 일부로 두지 않은 것일까?

설선당은 1623년에 계관이 지은 것으로 1646년과 1725년, 1762년에 각각 중건을 했고, 1922년과
1973년에 보수 공사를 벌였다. 정면 7칸, 측면 7칸의 'ㄱ'자형 건물로 교육 및 참선의 공간으로
쓰이고 있으며, 요사(寮舍)처럼 툇마루도 갖추고 있어 잠시 두 다리를 쉬었다 가기에 좋다.


▲  파계사 적묵당(寂默堂) - 대구 지방문화재자료 9호

설선당을 마주보고 있는 적묵당은 절이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804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1620년
에 중건을 했다고 하나 확실한 것은 없으며, 1695년과 1920년에 중건을 하고 1976년에 번와 공
사를 벌였다.
정면 6칸, 측면 6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설선당과 마찬가지로 'ㄱ'자 모습을 취하고 있는데, 정
확히는 'Γ' 모습이다. 그러니까 설선당과 적묵당이 각각 'ㄱ, Γ' 구조가 된다. 설선당과 달리
단청이나 색이 입혀지지 않은 수수한 모습으로 참선 및 숙소로 쓰인다.


▲  파계사 원통전(圓通殿) - 보물 1850호

진동루가 있는 남쪽을 굽어보고 선 원통전은 파계사의 중심 건물인 법당이다. 관음보살을 봉안
한 건물로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605년에 계관이 중건하고, 1695년에 현응이 수리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석축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깔고 둥근 기둥을 올렸으며,
불단은 영천 백흥암(百興庵) 극락전의 수미단(須彌壇)과 비슷한 형태로 화려함을 선사한다. 그
리고 불단 위에는 보개(寶蓋)를 씌웠다. 계단 양쪽에는 고된 세월에 지친 키 작은 당간지주(幢
竿支柱) 2쌍과 근래에 심은 뽀얀 피부의 석등 1쌍이 원통전 주변을 수식한다.


▲  원통전 수미단(須彌壇)에 봉안된 건칠(乾漆)관음보살좌상 - 보물 992호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 보물 1214호

원통전 수미단에는 이 건물의 주인인 관음보살좌상이 홀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문화유산 도난
이 다반사처럼 일어나는 이 땅의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해 그에게 방탄막같은 유리상자를 굴레처
럼 씌웠는데, 철창 안에 갇힌 새처럼 답답하긴 하겠지만 그의 신변을 위해서는 별 도리가 없다.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1979년 불상에서 발견된 복장발원문(腹藏發願
文)에는 1447년(세종 29년)에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어 이르면 고려 후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크다. 현재 파계사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로 높이가 108.1cm에 이르며, 머리에는 꽃모양을 붙인
수려한 보관(寶冠)이 씌워져 있다.

그의 작은 얼굴은 미소가 살짝 드리워져 편안한 인상을 풍기는데, 눈썹은 무지개처럼 살짝 구부
러져 선의 미를 선사하며, 두 눈은 살짝 감겨져 명상에 잠긴 듯 보인다. 코는 작고 끝이 좀 두
툼하며, 다물어진 조그만 입에는 엷게 미소가 담겨져 중생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목에는 두툼
하게 삼도(三道)가 그어져 있고, 두 귀는 다른 불상에 비해 좀 짧다.
오른손은 어깨 쪽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댈 듯이 하여 손바닥을 위로 했다. 옷깃이 양쪽 팔에 걸쳐 무릎으로 흘러 오른발 끝을
덮은 상현좌(裳懸坐)를 하고 있으며, 가슴 윗부분은 시원하게 트여 있다. 가슴까지 올라온 상의
(裳衣, 치마)를 주름잡아 끈으로 묶은 것과 손의 모양, 두터운 옷 등은 고려 후기 불상 양식에
서 많이 보이고 있으며, 영덕 장육사(莊陸寺)에 있는 보살상과 비슷한 모습이다.

관음보살 뒤에 후광(後光)처럼 자리한 큰 그림은 부처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설법을
하는 장면을 비단에 그린 영산회상도이다. 길이 3.4m, 폭 2.54m에 이르며 1707년에 숙종을 비롯
한 왕실의 지원으로 제작된 것으로 채색도 화려하고 색감도 매우 좋다. 18세기를 대표하는 불화
로 다른 영산회상도와 달리 부처의 광배는 신광(身光)만 나와있고, 부처의 옷에 전(田) 비슷한
무늬가 없으며, 부처의 오른쪽 발목에 꽃잎 장식이 없는 등 3가지의 유별난 차별화를 두었다.

관음보살이 앉아있는 수미단은 상,중,하대를 갖춘 조선 후기 일반적인 수미단으로 수호와 공양
을 상징하는 문양과 불교적 색채를 띤 길상문(吉祥紋)이 조각되어 있다. 원통전이 중건된 1605
년 경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영천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과 비슷한 모습이다.


▲  원통전 내부 우측 부분 -
절과 부처를 지키는 호법신(護法神)들이 꾸역꾸역 담긴 신중탱(神衆幀)과
민화(民畵)처럼 그려진 선명한 색채의 그림 2점이 걸려있다.

▲  원통전 내부 좌측 부분
원통전 좌측에 걸린 큰 그림은 삼장탱화로 천장(天藏), 지장(地藏), 지지(地指)보살을
담았다. 삼장탱화는 이 땅에만 있는 불화로 하늘과 땅, 지하를 다스리는
보살을 설정하고 그린 것인데, 18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여겨진다.


▲  파계사 산령각(山靈閣) - 대구 지방문화재자료 8호

원통전 우측 석축 위에는 달랑 1칸 밖에 안되는 조그만 산령각이 자리해 있다. 그 모습이 너무
나 단촐하여 두 눈에 쏙 넣어 보기에도 부담이 없다.
원통전보다 1단계 높은 곳에 자리한 산령각은 산신(山神)을 봉안한 건물로 산신각의 다른 이름
이다. 이 건물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겯처마의 맞배지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 천
정은 우물천정으로 되어있고, 내/외부에는 금단청(錦丹靑)을 입혀 올렸다.


▲  산령각에 봉안된 산신탱(山神幀)

산령각에 봉안된 산신탱에는 붉은 옷을 입은 나이 지긋한 산신을 중심으로 그의 시중을 드는 동
자(童子) 2명이 서 있으며, 그의 심부름꾼인 호랑이가 꼬랑지를 살랑살랑 흔들며 고양이처럼 재
롱을 부린다. 산신 주변에는 학과 소나무, 구름 등이 그려져 신선 세계의 분위기를 그려낸다.


▲  파계사 기영각(祈永閣) - 대구 지방문화재자료 11호

산령각 우측에 자리한 기영각은 1696년에 현응대사가 왕실의 원당으로 세웠다. 영조 때는 매일
마다 그의 안녕을 빌었고 (그래서 영조가 오래 산 것은 아닐까?) 정조 때는 영조를 위해 기도한
건물이란 뜻에서 기영각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영조 외에도 숙종, 선조, 덕종의 위패를 봉
안해 명실상부한 왕실의 원당이 되면서, 절에 해꼬지를 일삼던 양반과 유생들도 파계사 앞에서
는 살살 기었다고 한다.
정조가 내린 어필(御筆)을 보관하여 어필각(御筆閣)이라 불리기도 했으나, 그 어필은 전하지 않
으며, 1910년 이후 제왕의 위패가 모두 서울로 옮겨지면서 건물의 성격이 완전히 바뀌어 아미타
불(阿彌陀佛)을 중심으로 한 공간이 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직지붕 건물로 늘씬한 처마선을 자랑하며, 덤벙초석 위에 원주를 세우
고, 기둥 위에 주두(柱頭)의 장식이 번잡하여 조선 후기 공포(空包) 양식을 잘 보여준다. 가구
는 5량가로 우물 천정에 가려져 있다.


▲  기영각 불단에 봉안된 아미타3존불

제왕들의 위패의 빈자리를 대신 채워주며 기영각의 주인이 된 아미타3존불은 아미타불을 중심으
로 지장보살과 관음보살이 좌우에 앉아있다. 머리에 보관을 쓴 이가 관음보살이고, 초록색 머리
를 한 이가 지장보살(地藏菩薩)로 그들의 신변을 위해 유리를 씌웠다. 그들 뒤에는 붉은 종이에
금색으로 선묘(線描)된 약사후불탱화가 붉은 빛을 드러내며 아미타불의 뒤를 받쳐준다. 이런 그
림을 유식한 말로 홍지금니화(紅紙金泥畵)라고 한다.

▲  홍지금니화로 그려진 붉은 불화들

▲  삼세불(三世佛)이 그려진 불화와 독성탱
삼세불은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다.


▲  석등(石燈)과 순백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목련

원통전과 응향각 사이에는 경내의 유일한 석물(石物)이라 할 수 있는 석등이 서 있다. 이 석등
은 높이가 2m로 숙종 때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하대석(下臺石)은 사라졌지만 8각 기둥과 앙련
(仰蓮)이 새겨진 상대석(上臺石), 불을 밝히던 화사석(火舍石)과 옥개석(屋蓋石)이 진하게 남아
있다. 기영각, 산령각과 견줄 정도로 오래된 존재이지만 아직까진 비지정문화재에 머물러 있다.


▲  설법전(說法殿)에 봉안된 석가불

파계사 경내를 동쪽에서 가리고 선 3층짜리 큰 건물이 있다. 건물 3층은 설법전으로 쓰이고 있
는데, 연병장처럼 무지 넓어 꾸역꾸역 넣으면 능히 2,000명도 가능해 보인다. 교육과 행사 공간
으로 북쪽 끝에 석가불이 봉안된 불단이 있으며, 내부는 은근히 시원하여 에어컨의 힘을 빌리지
않아도 될 정도였다.

건물 2층은 밥을 먹는 공양간으로 점심을 먹고자 들어갔더니 식사하는 사람이 없었다. 마침 청
소를 하고 나오는 아줌마 신도에게 물으니 공양시간이 끝났다고 그런다. 점심시간은 1시까지인
데 시간은 이미 1시 반이었다.
그래서 내가 '아 이런 ~~!' 한숨을 몰아 쉬니 아줌마가 어디서 왔냐고 묻는다. 그래서 서울에서
왔다고 답을 하니 멀리서 왔다면서 밥과 반찬이 남아있을 것이니 잠시 기다리라고 그런다. 그러
고는 부엌으로 들어가 뒷정리를 하고 있는 아줌마들에게 이야기를 하더니 같이 냉장고를 뒤적거
려 콩나물과 김치, 시금치, 박나물 등 다량의 반찬을 배식 장소로 가져온다. 밥통은 배식하는
곳에 대기하고 있었다.
그리고는 큰 그릇에 밥을 듬뿍 담아주고는 반찬통을 보이며, 먹을 만큼 가져가라고 그런다. 그
래서 양씬 담으니, 아줌마가 빙그레 웃으며 이 그릇에 배가 차겠냐면서 그보다 덩치가 큰 양은
냄비를 가져와 밥과 반찬을 죄다 담아서 준다. 물론 밥도 2주걱을 더 주었고 고추장과 참기름도
넉넉히 부어주었다.

그렇게 공양밥 1그릇을 마련하여 기분 좋게 점심 공양을 들었다. 밥과 나물을 비벼먹는 이 땅에
흔한 절집 비빔밥으로 밥에 나물을 가득 비벼 먹으니 정말 꿀맛이 따로 없다. 처음에는 양이 적
어 보였으나 먹고 나니 상상을 초월하게 양이 많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도 열심히 숟가락질을
하니 밥은 서서히 줄어들어 이내 1톨의 밥알도 없이 아주 깨끗한 그릇이 되었다.
밥을 먹고나니 아줌마들이 물까지 1컵 따라준다. 절에 들어올 때 입장료 때문에 기분이 좀 그랬
으나 아줌마 신도들의 후한 인심에 감격하여 섭섭한 기분도 바로 풀어졌다. 거액의 입장료는 공
양밥으로 충분히 본전을 뽑은 셈이다. 밥을 먹는 동안에도 서울에서 온 단체 관광객 6명이 공양
간을 찾았는데, 공양시간이 끝았음에도 공양밥을 제공하여 넉넉한 인심을 보여주었다.

공양을 마치자 부엌에 들어가 그릇을 씻고 포만감의 행복을 느끼며 밖으로 나온다. 졸음이 그새
살짝 밀려와 한숨 자고 가라며 희롱을 걸면서 눈이 좀 흐려지긴 했으나 아직 갈 길이 아직인 관
계로 과감히 뿌리치고 성전암으로 길을 향했다.


▲  찻집 앞에서 바라본 진동루 주변 (진동루 앞 주차장과 영조임금나무)

▲  지장전(地藏殿)

▲  경내에서 가장 서쪽에 자리한 극락전

파계사에서 성전암으로 가려면 주차장으로 내려가서 가는 길도 있지만 진동루 서쪽으로 난 길을
이용하는 것이 조금은 빠르다. 그 길목에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봉안
된 지장전과 납골당(納骨堂)을 겸한 극락전(極樂殿)이 자리해 있는데, 경내와는 조금 거리를 두
고 있는 파계사의 변두리로 극락전이 가장 외진 곳이다.



♠  대비암(大悲庵)과 현응대사부도, 험준한 곳에 묻힌 산중암자
성전암(聖殿庵)

▲  대비암 입구

파계사에서 성전암 방면으로 5분 정도 가면 대비암이란 암자가 나온다. 이곳은 2000년에 지어진
아주 따끈따끈한 절로 암자이긴 하지만 경내가 제법 넓으며, 법당인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
하여 선방과 요사, 돌로 만든 관음보살상과 석가여래상이 있다.
선방은 정면 7칸, 측면 4칸에 이르는 큰 규모이며, 뜨락에는 금잔디가 곱게 입혀져 괜찮은 별장
에 들어선 기분이 든다.
대비암은 법등(法燈)이 매우 짧은 절이라 딱히 오래된 볼거리는 없으나, 절 동쪽 산자락에 현응
대사 부도를 비롯한 조선 중기 석종형(石鐘形) 부도가 있으니 꼭 둘러보기 바란다. 성전암으로
가는 산길에서도 진하게 바라보여 부도가 어떻게 생겼는지만 안다면 찾는 것은 무지 쉽다.


▲  대비암에서 가장 높은 곳에 대웅보전이 자리해 있다.

▲  광배를 등에 지고 선 관음보살상
왼손에 꽃을 들며 고운 누님의 모습을 취했다.

▲  조그만 바위에 감실을 파고 들어앉은
석가불좌상


▲  대비암 동쪽 산자락에 있는 비석과 부도
대비암을 일으킨 승려의 탑과 비석으로 근래에 지어진 탓에 피부가 매우 곱다
.

▲  현응대사 부도를 비롯한 부도군

대비암 동쪽 소나무 숲에는 솔내음을 누리고 선 석종형 부도 4기와 비석 1기가 있다. 고된 세월
의 때를 간직한 이들은 조선 중/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현응대사를 비롯해 파계사를 빛낸 승려들
이 고이 잠들어 있는데, 이중에서 제일 오래된 것은 1648년에 조성된 원의(圓義)의 탑이며, 그
다음이 1658년에 지어진 전명(傳明)의 탑, 그 다음이 1701년에 만들어진 현응대사의 탑이다. 허
나 나머지 1기는 주인을 모르겠다.
부도 가운데 현응대사만 유일하게 비석을 갖추고 있는데, 그 비신(碑身)에는 '선종 현응당대사
지고현(禪宗 玄應堂大士之高現)'이라 쓰여 있다. 그런데 큰 승려를 뜻하는 대사(大師) 대신 대
사(大士)로 쓰인 것이 특이하다. 아마도 옛 사람들이 낸 신선한 오타거나 그의 활약을 기리고자
선비, 관리를 뜻하는 '士'를 쓴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비신 윗쪽 가장자리에는 '성상 즉위(聖上 卽位) 37년~~~'이라 쓰여 있어 부도의 나이를
알려주고 있는데, 청나라 연호 대신 성상 즉위라고 쓴 부분도 주목할 만하다. 비신 뒤쪽에는 그
의 생애와 업적이 간추려져 적혀 있으나 마멸된 부분이 많다. 팔공산의 조그만 절을 왕실의 원
찰로 크게 일으킨 현응의 마지막 흔적들이지만 아직도 비지정문화재의 서러움 속에서 살고 있으
니 참 이유를 모르겠다. 다른 부도와의 형편성 때문에 그런 것일까..? 아니면 그 흔한 석종형부
도의 하나라서 그런 것일까?


▲  세월의 주름과 기미가 깃들여진 현응대사 탑비

▲  성전암으로 올라가는 길

대비암에서 성전암으로 가는 길은 인간의 고되고 부질없는 인생을 축소한 것처럼 험난하다. 처
음에는 경사가 완만하고 계곡도 옆에 흘러 쏠쏠하게 시원한 바람을 건네니 금방 가겠구나 싶지
만, 가면 갈수록 경사가 각박해져 다시 한번 숨을 차게 만든다.
차량도 힘들어 하는 그 길을 10분 정도 오르면 주차장이 나타나면서 길은 끝나고, 거의 60도 가
까이 이루어진 산자락에 펼쳐진 산길이 시작된다. 그 길이 얼마나 아슬아슬하던지 그야말로 기
겁을 하게 만들며 길도 가늘고 각박하다. 길을 오르다가 뒤를 돌아다보면 천길낭떠러지에서 있
는 기분처럼 두 눈이 놀라 어쩌지를 못할 것이다. 그만큼 길이 고되고 험준하다.
그 길을 10분 정도 타면 성전암이 마치 산속의 요새처럼 장엄한 모습을 드러내며, 절이 늘어뜨
린 계단을 오르면 소박한 모습의 일주문이 나타난다.


▲  성전암 일주문 - 하늘로 오르는 문 같다.

▲  성전암 경내와 현응선원 (커다란 기와집이 현응선원)

파계사에서 25분 정도 올라간 680m 고지에 조그만 암자 성전암이 자리해 있다. 경사면에 석축을
쌓고 터를 다진 이 절은 파계사의 부속암자로 영남 3대 선원도량의 하나로 명성을 날리던 곳이
다. 그래서 조선 후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승이 다녀갔는데, 그 이름도 낯이 익은 성
철(性徹, 1912~1993)이 1955년부터 10년 동안 절문도 나서지 않고 동구불출(洞口不出)했던 곳으
로도 유명하다. 성철 외에도 만공, 해월, 서옹 등도 다녀가 이곳의 가치를 드높였다.

성전암의 창건 시기에 대해서는 딱히 전하는 것은 없으나 현응대사가 이곳에서 수행했다고 하며,
1695년에 중창했다고 한다. 그래서 어쩌면 그때가 실질적인 창건 시기가 아닐까 싶다. 파계사와
더불어 영조의 탄생과 건강을 빌었던 곳으로 영조가 자신을 위해 기도를 해주는 현응을 위해 11
세에 현응전(玄應殿)이란 현판을 써서 이곳에 보냈는데, 그 편액이 아직도 현응선원에 걸려있다.
그리고 영조 때 조성된 특이한 모습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고, 조선 후기에 제작된 현응의 영정
과 벽화가 보존되어 있는데, 아쉽게도 모두 친견하지 못했다.
현응이 일군 성전암은 1915년 보령(保寧)이 중건했고 1955년 성철이 머물면서 외부인의 출입을
막고 완전한 수도도량으로 만들어 영남 3대 선원도량의 하나로 키웠다. 허나 2007년 불의의 화
재로 현응선원이 불에 탔으며, 험한 지형에 공사 자재 운반도 쉽지 않아 간신히 공사를 진행하
여 2010년 3월 3일 낙성식을 가졌다. 이후 경내에서 주차장까지 일종의 모노레일을 만들어 물자
수송이 다소 수월해졌다.

절의 위치도 속세의 기운이 엄습하기 어려운 첩첩한 산중턱 가파른 곳에 매달린 듯 자리해 있고
번뇌도 오다가 졸도할 정도로 궁벽한 곳이라 참선의 공간으로는 아주 제격이다. 굳이 참선이 아
니더라도 속세에서 잠시 나란 존재를 지우고 싶을 때, 조용히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며 속세의
번뇌를 싹둑 정리하고 싶을 때 문을 두드려 안기고 싶은 산중암자이다. 제 아무리 천하의 번뇌
라도 이곳까지는 감히 오르기 힘들 것이다.

* 성전암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1206 (파계로741 ☎ 053-982-3600)


▲  높은 곳에 들어앉아 천하를 굽어보는 성전암의 위엄

경내에는 현응선원과 관음전을 비롯해 약 7~8동의 건물이 있으며, 현응선원 주위로 건물이 몰려
있다. 현응의 영정과 벽화, 불상, 현응전 현판을 빼고는 딱히 오래된 것은 없으며, 그나마 현응
선원 주변은 참선시간에는 참선 공간으로 전환되어 일반인의 출입을 막고 있다. 참선 시간은 새
벽 3~5시, 8~10시, 14~16시, 19~21시이며, 그때는 관음전과 종무소 주변에만 머물 수 있다.

▲  성전암의 중심 건물인 현응선원
내가 갔을 때는 오후 참선시간이었음 (15시)

▲  꽃창살이 아름다운 관음전(觀音殿)과
쉼터로 조성된 조그만 정자

▲  현응선원 뒤쪽에 있는 조그만 동굴
현응대사가 참선했던 동굴로 전해진다.

▲  물로 가득한 석조(石槽)
이런 척박한 산중턱에 어디서 저렇게
많은 물이 나오는 건지 신기하다.


▲  어처구니를 상실한 채, 현역에서 물러난 맷돌
문명의 이기(利器)가 이곳에 오기 이전까지 쓰였던 맷돌
지금은 석조 주변에서 때아닌 한가로운 시간을 보낸다.

▲  관음전에 봉안된 관음보살상

성전암에서 언제나 관람이 가능한 건물은 현응선원 서쪽에 있는 관음전이다. 경내에서 가장 하
늘과 가까운 건물로 문에 새겨진 꽃창살이 매우 아름다운데, 그 때문에 그런지 그 주변에는 꽃
이 없다. 아마도 꽃창살을 시샘해 다른 곳으로 가버린 모양이다.

관음전 불단에는 아주 조그만 관음보살이 가녀린 모습으로 서 있는데, 그가 서 있는 자리는 지
나치게 커서 어색한 조화를 이룬다. 불상이 자리를 커버할 정도로 컸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의 좌우에는 협시불 대신에 산신과 문수보살(文殊童子)로 보이는 작은 존재들이 그를 지키고
있으며, 그들 뒤에 관음탱화가 자리한다.


▲  성전암에서 바라본 천하
높은 곳에 자리해 있어 조망이 좋을 것이라 여기겠지만 산들이 첩첩히 시야를
막고 있어 보이는 범위는 저게 전부이다.

            ◀  성전암 5층석탑
경내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수수하게
생긴 5층석탑이 있다. 근래에 세워진 것으로 기
단(基壇)이나 탑신이 서로 비슷한 모습이라 지
식이 짧은 경우에는 6층탑으로 오인하기 쉽다.
탑 주변에는 잠시 두 다리를 쉴 수 있는 쉼터가
닦여져 있으며, 여기서 보는 조망이 경내에서
보는 것보다는 조금은 괜찮다.

성전암에서 파계재를 가려면 이 탑을 거쳐서 가
면 되며, 탑 서쪽 나지막한 곳에 성전암에서 경
작하는 밭이 있다.

성전암은 하필이면 참선시간에 발을 들인 죄로 현응선원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니 마음 놓
고 다리를 부릴 수 있는 곳은 관음전과 종무소, 5층석탑 주변이 고작이다. 석조에서 팔공산이
베푼 물을 한 바가지 마시니 몸 속에 낀 온갖 체증이 싹 가신 듯 시원하기 그지 없다.

정자에 앉아 불만에 잠긴 두 다리와 발을 쉬게 하면서 잠시 머물렀는데, 구름과 비슷한 위치에
있고보니 완전 수미산(須彌山)이나 신선의 세계에 입산한 기분이다. 기분 같아서는 탑 주변 쉼
터에 더 머물며 현응선원 내부를 꼭 보고 싶지만 시간이 나를 압박하면서 아쉽지만 성전암과 작
별을 고하며 혼란한 속세로 무거운 발걸음을 했다.
내려갈 때는 파계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내려가 파계사 종점에서 대구시내버스 101번을 타고 동
대구역으로 이동해 동대구고속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타고 부산으로 내려갔다.

이렇게 하여 성전암을 겯드린 대구 파계사 봄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파계사의 점심 공
양과 보살 아줌마들의 후한 인심, 그리고 참선 도량의 품격을 지닌 성전암까지, 정말 배부른 대
구 나들이였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6년 4월 2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짙은 숲과 시원한 계곡을 품은 고즈넉한 산사 ~ 도봉산 회룡사 (회룡골, 회룡폭포, 석굴암)

 


' 도봉산 회룡사, 회룡골 나들이 '

▲  회룡사 동자상

회룡사 극락보전

▲  회룡사 극락보전

▲  석굴암 석굴



봄이 한참 절정을 이루던 5월 첫 무렵에 20년 이상 숙성된 오랜 친구와 도봉산 회룡사를 찾았

다.

집(도봉동)에서 의정부로 가는 서울시내버스 106번(의정부 가능동↔종로5가)을 타고 북쪽으로
15분 정도를 달려 회룡역에서 두 발을 내린다. 우선 회룡역 인근 편의점에서 조촐하게 삼각김
밥, 음료수를 사들고 아파트단지를 지나 도봉산의 품으로 들어섰다. 회룡역 서쪽 동네는 2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시골이나 다름 없었는데, 이제는 인구 40만을 지닌 의정부(議政府)시내의
일부가 되어 건물과 주택, 아파트가 즐비하다.

호원동 주거지를 어느 정도 지나면 도봉산의 일품 계곡으로 꼽히는 회룡골(회룡사 계곡)이 모
습을 드러내는데, 그는 여기서 회룡천(回龍川)으로 간판을 바꾸고 중랑천(中浪川)으로 흘러간
다. 하늘을 향해 치솟던 키다리 아파트와 빌라 대신 조그만 시골집들이 조촐히 마을을 이루며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데, 그 중간에 의정부 보호수 제1호로 지정된 450여 년 묵은 회화나무가
아직도 겨울 제국(帝國)의 망령에 사로잡힌 채 벌거숭이의 모습으로 나그네를 맞는다.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추정 나이가 약 420년)

이 나무는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450여 년 전 회룡골을 지나던 도인(道人)이 사람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심은 나무라고 전하며,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신목(神木)으로 삼고 애지
중지 살핀다. 만약 나무를 괴롭히거나 보살핌이 소홀하면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그
런다. 그들은 매년 3월과 9월 마을에서 나이가 많고 부정이 없는 사람을 제관(祭官)으로 추대
해 제를 지내며 마을의 전통 풍속과 결속을 지키고 있다.


▲  회룡골 마을에서 만난 오래된 회화나무 - 의정부 보호수 1호
400여 년 묵은 나무로 높이 25m, 둘레 4.6m에 이른다. 어찌된 영문인지 한참 봄의
절정임에도 그 혼자서만 잎 하나 피우지 못한 채, 벌거숭이로 방황하고 있다.
하긴 우리네 인생도 저 방황하는 회화나무와 다를 것이 없겠지..


회룡탐방지원센터(옛 매표소)를 지나면 속인들의 집은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완연한 자연의 공
간이 펼쳐진다. 한때 등산객의 호주머니를 애타게 바라보던 옛 매표소를 지나 10분 정도 오르
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으로 가면 백범 김구 선생과 인연이 깊은 석굴암이고 직
진하면 회룡사이다. 사람들 대부분은 회룡사로 간다.


♠  회룡사를 끼고 흐르는 회룡골(회룡사계곡)

▲  회룡골 중류 (석굴암입구 주변)

도봉산(사패산 포함)에는 여러 계곡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회룡골이 단연 일품이 아닐까 싶다.
회룡골 하류는 다른 계곡과 비슷비슷한 모습이지만 안쪽으로 파고 들어갈 수록 그의 숨겨진 매
력이 서서히 드러난다. 그런 회룡골의 백미(白眉)는 석굴암입구 갈림길에서 회룡사 사이의 계곡
으로 그곳에 회룡폭포가 숨겨져 있으며, 멋드러진 바위들이 계곡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계곡을
따라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은 속인(俗人)들의 번뇌를 흩날리기에 충분하고 온갖 잡념에 오염
된 마음을 정화시키기에 충분하다. 다만 이곳의 진한 옥의 티가 있다면 계곡 옆에 회룡사로 오
르는 길을 시멘트로 높게 발라버려 회룡골에 대한 감동을 크게 반감시킨 점이다.


▲  회룡골의 찬란한 꽃, 회룡폭포

▲  하얀 피부가 돋보이는 멋드러진 반석들 (회룡폭포 위쪽)

▲  바위를 따라 내려오는 회룡골, 그 곁에 회룡사 접근을 이유로 시멘트를
높이 발라 어울리지도 않는 옥의 티를 선사해버렸다.

▲  회룡사로 오르는 길
길은 힘들지만 자존심과 불만을 곱게 접고 연등의 안내를 따라
묵묵히 오르다보면 금세 회룡사 산문이 마중을 한다.

▲  드디어 도착한 회룡사 정문
회룡사는 따로 일주문(一柱門)이 없으며, 이곳이 그 역할을 대신 한다.
그럼 여기서 잠시 회룡사의 내력을 더듬어 보도록 하자.


※ 도봉산 굴지의 오랜 산사(山寺), 태조 이성계와 인연이 깊은 도봉산 회룡사(回龍寺)
도봉산의 북쪽을 이루고 있는 사패산(賜牌山, 552m) 동쪽 자락 회룡골에 비구니 사찰, 회룡사가
포근히 둥지를 틀었다. 사패산은 조선 선조(宣祖)의 6번 째 딸인 정휘옹주(貞徽翁主)가 유정량(
柳廷亮)에게 시집갈 때 선조가 하사한 산이라 하여 붙여진 것이다.

회룡사는 681년(신라 신문왕 원년)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하여 법성사(法性寺)라 했다고 한
다. 930년 동진국사(洞眞國師)가 중창하고, 1070년(고려 문종 24년) 혜거국사(慧炬國師)가 3창
을 했으며, 1384년(우왕 10년) 무학대사(無學大師)가 4창하고, 1403년(태종 3년)에 회룡사로 이
름을 갈았다고 한다.
허나 무학대사 이전은 이를 입증할 자료와 흔적이 전혀 없다. 게다가 권상로(權相老)가 편찬한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 하권 회룡사 부분에는 무학대사가 1384년 또는 1395년에 창건했
다고 나와있으며, 1881년 우송이 쓴 '회룡사중창기(回龍寺重倉記)'에는 1384년 무학이 지은 것
으로 나와 무학대사 창건설에 무게가 크게 쏠리고 있다. 사실 의상대사의 창건설은 이 땅의 많
은 오래된 절들이 창건주로 팔아먹는 유명한 승려를 그를 절 창건주로 내세워 내력을 윤색시키
고자 함이다. 정작 그가 창건한 절은 부석사(浮石寺) 외에 몇 개 되지도 않는다.

'회룡사중창기'에는 1384년 창건설을 알려주는 내용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1384년 이성계(李成桂)와 무학대사가 도봉산에서 같이 창업 성취 기도를 올렸는데, 이성계는 회
룡사 뒤쪽 석굴암에서, 무학대사는 무학굴(지금의 회룡사)에서 기도를 했다는 것이다. 1388년
이성계는 최영(崔瑩) 장군과 우왕(禑王)의 명으로 10만 대군을 이끌고 요동(遼東)을 정벌하러
가자 무학은 작은 절(회룡사)을 짓고, 손수 만든 관음보살(觀音普薩)을 봉안하여 그의 영달을
축원했다고 한다.
요동을 코앞에 둔 위화도(威化島)에서 딴 뜻을 품고 군사를 돌려 고려 조정을 뒤엎은 이성계는
이후 왕위에 오른 뒤 무학을 찾아가 회룡사란 절 이름을 내렷다고 한다. 회룡(回龍)은 용이 돌
아왔다는 뜻이니 즉 용으로 상징되는 제왕, 이성계가 돌아왔다는 뜻이 된다.
그리고 '회룡사중창기'에는 '회룡'의 연유에 대한 다른 이야기도 실려 있다. 1403년(어떤 기록
에는 1398년) 2차례나 일어난 아들들의 권력 싸움, 왕자의 난에 뚜껑이 폭발한 태조(太祖) 이성
계가 함흥(咸興)으로 돌아갔다가 서울로 환궁할 때 회룡사에 있던 무학대사를 방문했는데, 태조
는 여기서 며칠을 머물며 그와 회포를 풀었다고 한다. 무학은 그의 환궁을 크게 기뻐했는데, 태
조가 절을 크게 중창하고 자신이 환궁했다는 뜻에서 절 이름을 회룡사라 했다는 것이다.

위의 이야기를 통해 무학대사와 태조 이성계와 각별한 인연이 있는 곳은 분명하다. 그러니 자연
스레 1384년(또는 그 이후) 무학대사의 창건설이 정답일 듯 싶으며, 15세기에 왕실의 발원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5층석탑이 있어 이를 더욱 입증해준다.

▲  회룡사 5층석탑

▲  회룡사 석조

무학대사의 창건 이후 조선 왕실의 지원으로 무럭무럭 성장했을 것이나 자세한 기록이 없어 알
수는 없다. 그러다가 1630년 비구니 예순(禮順)이 중창했다고 하니 아마도 임진왜란 때 파괴된
듯 싶다. (이때 비구니 절로 전환된 것으로 보임)
그 이후 1878년 혜봉 최성(慧峯 最性)이 상궁(尙宮) 박씨의 지원으로 절을 크게 중수했고, 1881
년 경해당 원삼(慶海堂 圓三)이 잘나가는 장인들을 모아 당우와 요사를 새로 지었다. 이때 채사
(彩師)들을 초빙하여 지장탱과 신중탱, 현왕탱, 무학대사의 진영을 조성했는데, 시주자는 상궁
하씨와 조씨 등이었다. 비록 왕실의 지원은 아니지만 왕실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상궁들의 지원
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조선이 사라진 이후, 1938년 순악(順岳)이 요사를 건립했으나 6.25전쟁으로 절은 잿더미가 되었
다. 전쟁이 끝나자 도준(道準)이 1954년부터 중창불사를 벌여 승당(僧堂)과 대웅전, 약사전, 선
실, 요사 등을 다시 지었으며, 1971년 대웅전을 새로 짓고, 1987년에 석조관음보살상을 봉안했
으며, 1988년에 범종각을, 1996년에는 극락보전과 삼성각, 노전채를 새로 지었다. 거기서 멈추
지 않고 2000년에는 선원인 취선당(聚禪堂)을 개축하고, 2001년에는 성견(性見)이 삼성각을 증
축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법당(法堂)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극락보전, 삼성각, 설화당, 취선당, 범종각 등 8~9동
의 크고 작은 건물이 있으며, 조선 초기 석탑인 5층석탑을 비롯하여 석조와 신중도 등 지방문화
재 3점을 품고 있다. 건물들은 죄다 6.25이후에 새로 지은 것들이라 고색의 내음은 씻겨 내려갔
지만 3점의 문화유산을 통해 절의 오랜 내력을 가늠케 한다.

도봉산을 아우른 북한산(北漢山)국립공원 일대의 대표적인 비구니 절이라 경내가 깨끗하고 정갈
하며, 석조관음보살상을 통해 나름대로 관음도량(觀音道場)을 칭하고 있다. 멋드러진 회룡골을
옆에 품고 있고, 속세와도 어느 정도 거리를 둔 첩첩한 산주름 속의 산사로 고즈넉한 산사의 멋
과 여유를 누릴 수 있다. 아무리 끈질긴 번뇌라 한들 회룡골과 도봉산의 청정한 기운 앞에 꼬랑
지를 내리고 도망을 칠 것이다.
그리고 여름의 제국 시절에는 절을 구경하고 회룡폭포나 회룡골에서 발을 담구며, 피서를 즐기
는 것도 괜찮다. 게다가 회룡사 바로 뒤에는 이성계가 기도를 올렸다는 석굴암이란 조그만 암자
가 있으니 같이 둘러보면 정말 배부른 나들이가 될 것이다. 다만 석굴암은 바로 질러가지 못하
고 석굴암입구 갈림길로 내려와서 다시 10분 정도를 올라가야 된다.

※ 도봉산 회룡사 찾아가기 (2015년 7월 기준)
* 지하철 1호선 회룡역 3번 출구에서 도보 35분. 회룡탐방지원센터까지는 수레가 들어갈 수 있
  도록 길이 잘 닦여져 있으며, 이후는 수레 1대 다닐 정도의 산길이다. 회룡폭포를 지나서 경
  사가 좀 급해질 뿐, 길은 대체로 평탄하다. (수레로 회룡사까지 접근 가능)
* 서울 종로5가, 동대문, 혜화역, 돈암동, 미아4거리에서 서울시내버스 106, 108번을 타고 회룡
  역 하차, 회룡역 밑을 지나 도보 40분
*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11 (전좌로 155번길 262 ☎ 031-873-3391)
* 회룡사에서 1시간 30분 정도 오르면 회룡골재 정상이다. 여기서 서쪽은 송추, 북쪽은 사패산
  정상과 안골로 이어지며, 남쪽 능선을 타고 망월사나 포대능선, 자운봉으로 넘어가도 된다.


▲  삼성각에서 굽어본 회룡사 경내


♠  회룡사 둘러보기 (1) 석조, 설화당 주변

▲  회룡사 취선당(聚禪堂)

회룡사 정문에서 다리를 건너면 작고 조촐한 회룡사 경내가 펼쳐진다. 회룡사의 역사를 머금은
안내문과 푸른 옷을 걸친 부채꼴 모양의 나무가 제일 먼저 마중을 하며, 그 주변은 주차장이다.
주차장 뒤쪽에는 높이 석축을 쌓고 취선당을 두었는데,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로 선원(禪院)
으로 쓰이고 있다.

▲  회룡사 설화당(說話堂)

▲  아기자기하게 꾸며놓은 네모난 연못

취선당을 지나면 설화당이라 불리는 커다란 건물이 나온다. 설화당은 정면 7칸, 측면 5칸 규모
로 경내에서 가장 큰 건물이며, 승려와 신도의 생활공간 및 종무소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회룡사 범종각(梵鍾閣)

설화당 맞은 편에는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아련한 메아리가 담긴 4물(四物)의 보금자리, 범종
각이 자리해 있다. 대웅전과 더불어 청기와를 입혀 단연 돋보이는 범종각은 1989년에 지어진 것
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규모이다. 범종각의 알맹이인 4물은 2층에 담겨져 있으며, 1층
에는 회룡사의 오랜 보물 중 하나인 석조가 옥계수를 뿜으며 누워 있다.


▲  회룡사 석조(石槽) - 경기도 지방문화재자료 117호

범종각 1층 그늘진 곳에는 물이 담긴 석조가 3개가 있는데, 제일 위쪽에서 물을 흘려보내는 존
재가 바로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석조이다.
이 석조는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오래된 유물로 높이가 90cm, 가로 폭이 1.53m,
세로는 2.44m의 화강암 수통이다. 석조 한쪽에는 홈통을 두어 물이 가득 차면 아래로 흘러가게
끔 하여 물이 나태하게 고여있는 걸 경계했다.

산사에 왔으면 물은 한 모금 마셔줘야 되겠지? 그래서 석조 옆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는 파란 바
가지로 물을 떠서 마시니 이른 더위에 갈증을 호소하던 목구멍이 즐겁다고 쾌재를 부른다.


▲  석조관음보살입상(石造觀音菩薩立像)

범종각 옆에는 짜투리 공간을 닦아서 만든 관음보살의 보금자리가 있다. 1987년 등산객을 위해
조성한 것으로 8각의 기단(基壇) 위에 앙련(仰蓮)과 복련(伏蓮)으로 된 2단의 연화대좌(蓮花臺
座)를 자리로 삼아 정병(政柄)을 들며 동쪽을 바라보고 서 있다. 어여쁜 표정과 수려한 외모로
경내를 굽어보는 관음보살 누님 주변에는 석등 2기와 동자상 등의 여러 석물을 두어 그를 수식
하고 있으며, 주변으로 돌난간을 둘렀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석조관음보살입상과 범종각


♠  회룡사 둘러보기 (2) 대웅전, 극락보전 주변

▲  회룡사 대웅전(大雄殿)

범종각에서 한단계 오르면 5층석탑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대웅전이, 북쪽에는 극락보전이 자리해
있다. 바로 회룡사의 중심 부분으로 석탑 주변에는 깔끔하게 돌을 깔아 터를 닦았다. 탑 주변에
는 돌난간을 둘러 탑을 보호하며, 대웅전과 극락보전이 탑이 있는 뜨락을 굽어본다. 가람배치는
탑 하나의 법당이 하나인 1금당(金堂) 1탑 형식이다.

회룡사의 법당인 대웅전은 1971년에 지은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시원스런 모습의 팔작지
붕 건물이다. 석가불을 비롯하여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봉안하고 있으며, 지방
문화재로 지정된 신중도를 간직하고 있다.


▲  대웅전 석가3존불과 금빛 찬란한 닫집
온후한 표정으로 삶에 지쳐 찾아온 중생을 맞이한다.


▲  회룡사 신중도(神衆圖) - 경기도 지방문화재자료 118호

대웅전 서쪽 벽에 걸린 신중도는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으로 1883년에 조성된 것이다. 조금
의 여백도 없이 가득 그려져 있어 다소 번잡해 보이는데, 전체적으로 붉은 색조를 띠고 있다.
그림 윗부분에는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을 배치하고 아래쪽에 천룡(天龍)을 중심으로 권
속(眷屬)들을 배치한 2단 구성을 하고 있으며, 범천과 제석, 천룡을 역삼각형 구도로 배치하여
이들이 그름의 중심임을 알게 해준다.
이 그림은 화승(畵僧) 배출지로 유명한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興國寺)에서 그린 것으로 그림을
그린 이는 응석(應碩)이며, 시주자는 상궁 신씨와 그의 부모이다.


▲  5층석탑 인근에 자리한 괘불석주(掛佛石柱)
평소에는 정말 보기 힘든 괘불을 거는 받침대이다. 지금처럼 한가한 때는
중생들이 갖다놓은 조그만 동자상과 돌하르방, 불상의 보금자리가 된다.

▲  회룡사 5층석탑 - 경기도 지방유형문화재 186호

대웅전, 극락보전 뜨락 한가운데에 자리한 5층석탑은 15세기에 조성된 조선 초기 석탑으로 경내
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이다. 높이 약 4m의 조그만 탑으로 기단부(基壇部)는 높직한 1매석의 바
닥돌 위에 괴임대를 돌출시키고 기단을 받치고 있으며, 괴임대에 5구의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
다. 기단은 1층으로 괴임대와 기단면석이 같은 돌로 되어 있는데, 괴임대에는 4구의 안상이 있
으며, 위쪽에는 연화문이 새겨져 있다.

탑신부(塔身部)는 1층에서 3층까지 탑신(塔身)과 옥개석(屋蓋石)을 별개의 석재로 했고, 4층 이
상은 탑신과 옥개석을 같은 돌로 만들었다. 2층과 3층 탑신은 유독 피부가 하얀데 이는 근래에
새로 만들어 낀 것이다. 그래서 조금은 어색하며, 5층 옥개석은 세월이 할퀴고 간 상처가 진하
게 남아 안타까움을 전한다.

탑에 얽힌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의상대사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다고 하나. 조선 초기에
조성된 탑이고 무학대사가 창건한 마당에 이는 말이 되질 않는다. 현재 의상대사의 부도탑은 이
세상에 전하지 않는다.


▲  대웅전 방향으로 바라본 5층석탑

▲  5층석탑 좌우에 자리한 노주(露柱)들 - 연화대 위에 신장상이 놓여 있다.

5층석탑 좌우에는 석탑의 옥개석으로 보이는 돌(혹은 연화대의 일부)과 조그만 연화대(蓮花臺),
신장상(神將像)이 새겨진 두터운 돌이 하나를 이루며 자리를 잡고 있다. 이들은 원래 이곳에 있
던 것이 아니라고 하는데, 회룡사의 유물인지 아니면 주변(마땅한 절터는 없음)에서 가져온 것
인지는 모르겠으나 석탑이나 어느 석물의 일부를 이루던 일부분으로 이곳으로 수습해 왔다.
신장상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는 연화문이 새겨져 있으며, 신장상은 칼을 들고 서 있는 무장의
모습이다. 이들은 조선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신상정보는 알 수 없다.


▲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삼성각(三聖閣)

대웅전과 극락보전 뒤쪽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삼성각이 자리해 있다. 1955
년 대웅전으로 건립되었다가 나중에 지금의 대웅전을 만들면서 삼성각으로 변경되었으며, 1996
년에 새로 짓고 2002년에 증축했다. 삼성(三聖) 즉 3명의 성스러운 존재인 칠성(七星)과 산신(
山神), 독성(獨聖, 나반존자)의 보금자리로 그들이 그려진 칠성탱과 산신탱은 1954년, 독성탱은
1956년에 조성되었다.


▲  삼성각 내부 - 제일 왼쪽부터 산신탱, 칠성탱, 독성탱

▲  회룡사 극락보전(極樂寶殿)

3줄로 된 계단 위에 높직히 들어앉아 궁궐의 정전(正殿)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극락보전은 서방
정토(西方淨土)의 주인인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봉안한 건물이다. 1996년에 조성된 것으로 아미
타불 좌우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地藏菩薩) 등을 봉안했으며, 1,000상의 조그만 금동불을 좌우
로 빼곡히 배치하여 장관을 이룬다.


▲  극락보전 아미타3존불과 후불탱화
후불탱화는 극락전 벽화로 그 유명한 월출산 무위사(無爲寺)
아미타3존벽화를 모사했다고 한다.

▲  극락보전 아미타3존불 좌우를 화려하게 받쳐주는 천불(千佛)

극락보전 불단 좌우에는 1,000기의 금동불을 빼곡하게 배치했다. 과연 천불이 맞는지는 모르겠
지만 오백이라 하기에는 너무 많아 보여 아마도 천불이 맞을 것이다. 조그만 금동불이 마치 단
체 사진을 찍듯 정신없이 자리를 채우고 있어 두 눈을 그야말로 놀라게 만든다. 너무 눈부셔서
눈이 멀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들 정도로 말이다.

20년 만에 문을 두드린 회룡사는 나처럼 많이도 변해 있었다. 1시간 정도 구석구석 둘러보다가
다음을 기약하며 회룡사와의 짧은 인연을 정리했다. 내가 있어야 될 곳은 이곳이 아닌 속세이기
때문이다. 속세로 나가면서도 자꾸 미련이 남는지 계곡에서 불어오는 선선한 바람에 아쉬운 마
음을 살짝 띄워 날려 보낸다.

회룡폭포로 내려와 속세에서 사들고 온 삼각김밥과 음료수를 먹으며, 잠시 허기진 뱃속을 진정
시킨다. 하늘과 조금은 가까운 곳에서 먹어서 그런지 맛이 매우 좋다. 작지만 수량이 풍부한 폭
포의 시원한 물줄기 앞에 철모르고 찾아온 더위는 나살려라~ 줄행랑을 친다. 이렇게 배를 채우
고 석굴암입구에서 석굴암으로 길을 잡았다. 회룡사 바로 뒤에 석굴암이 있지만 일반인은 못가
게 한다. 그래서 천상 석굴암입구로 나와서 힘겨운 산길을 10분 정도 올라야 된다.

석굴암 가는 길은 토함산(吐含山)의 석굴암처럼 무지 가파르다. 회룡사는 회룡골이라도 옆에 품
고 있어 시원하기라도 하지 여기는 그냥 경사가 급한 산길과 산림이 전부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회룡사로 갈 뿐, 석굴암은 인적이 거의 없다. 회룡폭포이 위엄에 줄행랑을 친 더위가 다시 찾아
와 우리는 땀을 바가지로 흘리며 급한 길을 오르니 어느덧 회룡사 뒤쪽이다. 회룡사에서 바로
가면 1분이면 될 것을 20분이나 걸릴 정도로 돌아가야 하니 참 딱할 따름이다. 허나 인내력을
가지며 계속 발을 재촉하니 숲에 가려 보이지 않을 것 같던 석굴암이 돌문을 시작으로 슬슬 그
모습을 드러낸다.


▲  석굴암 가는 길

▲  석굴암 돌문(불이문)


♠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 조그만 산중암자, 백범 김구 선생과
인연이 깊은 도봉산 석굴암(石窟庵)

▲  돌문(불이문) 사이로 보이는 조그만 천하, 석굴암

석굴암하면 속인들은 보통 경주에 있는 석굴암을 떠올린다. 경주 석굴암과 불국사(佛國寺)는 3
살짜리 애도 다 알고 있는 이 땅의 대중적인 명소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절의 이름으로는 그만
한 좋은 이름이 없다. 석굴암은 말그대로 바위에 굴을 판 암자나 석굴사원을 뜻하며, 불국사는
불국토(佛國土)를 상징한다. 이렇게 좋은 이름을 경주의 그곳만 누리는 것은 말이 되지 않겠지?
불국사 같은 경우 서울 대모산(大母山, 대모산 불국사글 ☞ 보러가기)을 비롯해 여러 곳이 있으
며, 석굴암은 도봉산 일대에만 2곳이 있다. 하나는 우이령 고개에 자리한 양주시 교현리의 석굴
암이요. 다른 하나는 바로 회룡사 뒤에 자리한 이곳 석굴암이다.

사패산 범골능선 밑인 회룡사 북서쪽 높다란 곳에 둥지를 튼 석굴암은 회룡사의 부속 암자로 법
당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석굴과 산신각, 요사가 전부인 그야말로 작고 아늑한 산중암자이다.
1384년 이성계가 무학대사와 도봉산에 들어왔는데, 이성계는 지금의 석굴암 자리에서 기도를 올
렸다고 한다. 그가 나라를 갈아치운 이후, 무학대사가 그 자리에 절을 세웠는데, 처음부터 석굴
암은 아닌 듯 싶으며, 그 이후 구체적인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절을 이루는 건물도 모두 1960
년 이후에 지어진 것이고, 석굴도 비슷한 시기에 새로 단장을 하여 딱히 고색의 기운은 없다.
도봉산에 널린 수많은 절의 하나로 절 이름만 경주 석굴암 덕분에 낯이 좀 익을 뿐, 마땅한 매
력거리가 없을 듯 싶지만 그럼에도 이곳에 온 것은 백범 김구(白凡 金九, 1876~1949)의 흔적이
서린 암자이기 때문이다.

김구는 중원대륙 상해(上海)로 망명하기 전, 왜경(倭警)을 피해 이곳에 잠시 은신했는데, 해방
이후 그 당시를 회상하며 종종 들렸다고 한다. 1948년 남상도를 비롯한 언론인 7명에게 '석굴암
불 무자 중추 유차 김구(石窟庵 佛戊子 仲秋 遊此 金九)'란 친필을 써주었는데, 이에 감명 받
은 그들은 1949년 3월 그의 친필을 이곳에 가져와 석굴 바위에 3개월 동안 새겼다. 그 바위글씨
'김구선생필적 암각문(巖刻文)'이란 이름으로 의정부 향토유적 8호로 지정되었다. 처음에는
김구가 새긴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현실은 다른 사람이 그의 친필을 바위에 새긴 것이다.
1949년 6월 백범이 안두희에게 불의의 암살을 당하자 의정부 사람들은 크게 애통해하며 그와 인
연이 깊던 석굴암에 사당을 지어 매년 봄, 가을에 제향(祭享)을 올린다.

해발 210m 고지에 자리한 석굴암에 이르면 2개의 커다란 바위가 마치 두툼한 성곽 같은 모습으
로 경내를 가리고 서 있다. 이들은 자연스레 석굴암과 속세의 경계선 역할을 하며, 번뇌와 악의
기운을 막고자 하는 의도도 담겨져 있는데, 가운데 머리 부분이 서로 맞물려 있고. 그 밑에 삼
각형 모양으로 돌문이 뚫려 있어 경내로 인도하는 정문의 역할을 한다. 그 모습이 너무 신묘하
고 특이하여 두고두고 잊혀지질 않는다. 석굴암하면 자연스럽게 떠올릴 정도로 말이다. 돌문에
는 딱히 인위적인 부분이 보이질 않아 자연이 빚은 문인 듯 싶으며, 사실상 속세에서 유일하게
석굴암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문 양쪽에 시멘트로 기둥을 만들고 한글로 된 절의 현판을 가로로
달았다.
그리고 돌문 양쪽에는 기둥을 세우고 문짝까지 달았는데, 석굴암이 속세에 미련이 없다고 문짝
을 닫아버리면 꼼짝없이 그 바위를 넘어야 된다. 석굴암에서는 이문을 불이문(不二門)이라 부르
며, 문 앞에는 수레들을 위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  돌문(불이문) 위쪽에 새겨진 바위글씨들

▲  돌문(불이문)에서 바라본 석굴암 경내 (정면에 극락전이 보임)

돌문(불이문)을 들어서면 조그만 석굴암 경내가 펼쳐진다. 연등이 대롱대롱 허공을 메운 요사(
寮舍) 앞뜰을 기준으로 정면에 극락전과 산신각, 오른쪽에 석굴이 자리해 있는데, 그것이 석굴
암의 전부이다.

▲  돌문(불이문)의 뒷모습
두툼한 문짝까지 달려 있다.

▲  석굴암 승려의 생활공간인 요사


▲  석굴암의 법당인 극락전(極樂殿)
서방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의 거처로 근래에 지어졌다.

▲  극락전 앞에 놓인 오래된 부도(浮屠)

극락전 앞에는 높이 1m 정도의 정말 조그만 부도가 놓여져 있다. 이 부도는 석굴암에서 가장 오
래된 유물로 바닥돌과 기단부, 탑신, 지붕 부분이 죄다 8각형을 취하고 있는데, 조선 후기에 조
성된 것으로 짐작될 뿐, 자세한 것은 모르겠다.
어쨌든 석굴암의 오랜 역사를 입증하는 거의 유일한 존재로 지붕과 꼭대기 부분에는 장대한 세
월이 입혀준 때가 가득하여 작지만 중후한 멋을 선보인다.


▲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산신각(山神閣)
정면과 측면이 1칸 밖에 안되는 단촐한 건물로 산신의 보금자리이다.

▲  산신할배와 동자, 호랑이 등이 그려진 산신각 산신탱
꼬랑지를 살랑살랑 움직이며, 산신 곁에 앉은 호랑이는 용맹함은 온데간데 없고
고양이처럼 귀엽기만 하다.

▲  산신각에서 바라본 도봉산 줄기

▲  석굴(石窟)과 김구선생필적 암각문(의정부 향토유적 8호)

석굴암 석굴은 이곳의 백미이자 든든한 밥줄이다. 이성계가 기도를 올렸다고 전하는 석굴로 겉
으로 보면 3개의 돌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거의 같은 바위이다. 아랫쪽 두 바위의
틈을 이용해 계단을 만들고, 석굴로 들어가는 문을 내었으며, 바위의 머리 부분이 자연히 석굴
의 지붕 역할을 하는데, 머리가 아래보다 지나치게 비대해 다소 어색해 보인다.
왼쪽 바위 피부에는 한자로 김구(金九)를 비롯한 여러 바위글씨들이 있는데, 1949년 백범의 친
필을 받은 남상도 등이 3개월 동안 새긴 것이다. 문 위쪽 바위에는 석굴암이란 바위글씨가 새겨
져 있으니 이는 나중에 새겨진 것이다.

바위 사이로 난 석굴은 자연 동굴을 개조한 것으로 근래에 손질을 가해 불단과 불상을 두었으며,
내부는 밖과 달리 시원하다. 석굴암이란 이름은 바로 이 석굴에서 유래된 것이다.


▲  조촐한 모습의 석굴 불단(佛壇)
불단에는 석가불이 홀로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로 촛불들이 자신을 밝히며 석굴에서
어둠을 밀어내고 있다. 그래서 마땅히 조명시설이 없음에도
석굴 내부는 그런데로 밝다.

▲  그 모든 것을 뒤로하며 속세로 나오다.

석굴 석가불에 예를 올리면서 슬쩍 소망을 들이밀고 회룡사와 더불어 오랜만에 발걸음을 한 석
굴암과 아쉬운 작별을 고한다. 석굴암은 의정부시내와 무척이나 가깝지만 번뇌가 따라오다 졸도
할 정도로 첩첩한 산골에 박힌 산중암자로 복잡한 마음과 머리를 가다듬기에는 그런데로 괜찮은
곳이다. 게다가 나라의 독립을 위해 일평생을 바친 김구 선생과도 인연이 깊은 절이니 친일파에
단단히 더럽혀진 이 땅의 참담한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이렇게 하여 도봉산 회룡사, 석굴암 나들이는 대단원의 휘장을 내린다.

※ 석굴암 찾아가기 (2015년 7월 기준)
* 지하철 1호선 회룡역 2번 출구에서 도봉산을 향해 도보 40분. 절까지 수레 접근 가능
*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산89 (☎ 031-873-7194)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8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5년 7월 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부산의 지붕을 거닐다 ~ 금정산, 원효암 봄나들이 (범어사, 고당봉, 금샘, 산성막걸리)

 


' 부산 금정산(金井山) 나들이 '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금정산의 상징, 금샘


 

차디찬 겨울 제국의 기운이 슬슬 꺾이던 3월 첫 무렵에 부산(釜山)의 듬직한 진산(鎭山)인
금정산을 찾았다.
바로 전날 부산 광안동 선배 집에 여장을 풀고 코가 비뚤어지도록 곡차(穀茶)를 마시며 간
만에 회포를 풀었다. 그리고 다음날 오전, 찬란한 여명의 재촉에 졸린 눈을 비비며 그날의
목적지인 금정산 산행을 떠났다.

광안역에서 부산시내버스 49번(노포역↔광안동)을 타고 금정산 기점의 하나인 범어사 입구
에서 내리니 시간은 벌써 정오를 가리킨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우선 점심을 먹기로 하
고 부근 식당에서 콩나물해장국과 뼈다귀해장국으로 뱃속을 위로하고 범어사입구 종점에서
등산객들로 미어터지는 부산시내버스 90번에 간신히 매달려 범어사 턱밑에 발을 내린다.

범어사(梵魚寺)는 부산을 대표하는 고찰(古刹)이자 경남권 3대 사찰의 하나로 지금까지 세
번 발걸음을 했다. 2002년 이후 정말 오랜만에 찾았지만 별로 땡기지 않아 그냥 항아리 겉
돌 듯 바로 통과해 버렸다. 우리의 목적지는 원효암과 금정산 정상이기 때문이다.

범어사의 상징이자 천하에 널린 일주문(一柱門) 가운데 유일하게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조계문(曹溪門, 보물 1461호)을 지나 왼쪽 산길로 진입, 북문 쪽으로 조금 가
다가 원효암으로 가는 산길로 진입했다. 여기서 원효암까지는 대략 1km이다.


▲  원효암으로 가는 산길


♠  금정산에 묻힌 도심 속의 산중암자 원효암(元曉庵)

▲  꾸밈 없는 소박함, 원효암 정문

해발 500m 고지에 자리한 원효암은 범어사의 부속암자로 금정산 동쪽 자락에 안긴 아담한 산중
암자이다. 삼삼하게 우거진 숲속에 숨은 듯 자리해 있어 바깥에서는 어지간해서는 보이지를 않
는다. 절을 알리는 이정표가 없었다면 지나가는 새 조차도 이곳에 절이 있는지 모를 정도로 말
이다.

원효암은 절 이름 그대로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는 금정산에서 미륵사(彌勒
寺, ☞ 관련글 보러가기)와 원효암을 지었다고 하는데, 부산 앞바다에 무려 5만 척의 왜군이 밀
려오자 도술을 부려 물리친 곳이라 한다. 허나 신라 왕실의 측근으로 의상(義湘)과 더불어 신라
불교를 이끌었고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바쁘게 살던 그가 과연 이곳까지 내려와 절을 지을 여유
가 있었는지 과연 궁금할 따름이다. 그가 세웠다는 일말의 증거와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신라 중기에 활약했던 원효와 의상은 3살짜리 아이도 줄줄 욀 정도로 유명하여 신라 후기 이후
창건된 많은 절들이 앞다투어 그들을 이용했다. 그들이 창건했다는 식으로 그럴싸하게 창건 설
화를 꾸민 것이다. 어떤 절은 아예 그들의 이름을 따서 원효암, 원효사, 의상암(義湘庵)을 칭하
고 있으니 극락에 가있을 원효와 의상이 '엥 내가 언제 이렇게 많을 절을 지었나?' 놀랄지도 모
른다.

그러면 원효암은 언제 지어졌을까? 유감스럽게도 절과 관련된 역사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다만
경내 동쪽에 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에 지어진 3층석탑이 있어 적어도 신라 후기에 문을 연 것
으로 여겨진다. 즉 탑이 있으니 절이 있는 것이다. 원래 위치는 동편3층석탑 일대로 언제부터인
가 터만 남아오던 것을 조선 중/후기에 지금에 자리에 다시 지었으며, 1906년에 성월선사(聖月
禪師)가 1906년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법당인 무량수각을 비롯하여 요사와 심검당 등 5동 정도의 건물이 있으며, 문화유산으
로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3층석탑 2기와 목조관음보살, 아미타3존도(부산 지방유형문화재 141호)
를 비롯해 오래된 부도, 방광탑(放光塔) 등이 있다. 또한 1950년대에 우물에서 원효대사가 쓰던
것이라 전하는 옥돌의 도장이 발견되어 현재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절의 땅을 구분짓고자 경내을 둘러싼 숲 주위로 촘촘히 철조망을 둘러 휴전선 철책 마냥 은근히
옥의 티를 선사하고 있는데, 철조망 사이로 2~3개의 문을 내어 조촐하게 일주문으로 삼았으며,
이들 문은 범어사와 금정산성 북문으로 이어진다.


▲  원효암동편3층석탑 - 부산 지방유형문화재 11호

하늘과 나무만 보이는 첩첩한 산주름 속의 암자로, 원효암을 가려면 철조망 정문을 거쳐야 된다.
문을 들어서면 길은 2갈래로 갈린다. 여기서 오른쪽 내리막 길로 가면 운치가 깃들여진 전나무
숲길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데, 그 전나무 그늘에 오래된 3층석탑과 부도(浮屠) 3기가 뿌리를
내렸다.

3층석탑은 원효암 동쪽에 있어서 원효암동편3층석탑이라 불린다. 예전에는 원효암동3층석탑이라
불렸으며, 이는 문화재청의 지정 명칭이다.


동편3층석탑은 높이 약 1.9m로 신라 후기(또는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원효암
은 원래 이곳에 있었는데, 이 탑을 통해 절이
적어도 신라 후기에 창건되었음을 귀뜀해주며,
원효암의 옛 금당(金堂)터를 알려주는 소중한
보물이다.

탑은 2중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
을 세운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기단은 없고 바
닥돌 바로 위에 탑신이 있다.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했는데, 2층과 3층은 돌의 재
질이나 비례로 보아 나중에 손질된 것으로 보인
다. 제법 두터워 보이는 옥개석(屋蓋石)은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져 있어 곡선의 미를 선사하
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신은 세
월의 검은 때가 낀 것을 빼면 대체로 상태는 양
호하나 탑의 기본 요소인 기단이 없어 다소 어
색해 보인다. 기단이 있었다면 제법 볼만했을텐
데 말이다.


▲  석종형(石鐘形) 부도 3형제

3층석탑과 마주한 부도 3형제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모두 석종형 스타일이다. 위의 사진
을 기준으로 왼쪽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기단 받침 위에 방금 피어오른 연꽃 봉오리처럼 탑신이
얹혀져 있고, 오른쪽 부도는 지붕돌을 갖추고 있다.


▲  원효암의 백미, 전나무 숲길

원효암의 백미는 경내로 인도하는 전나무 숲길이 아닐까 싶다. 비록 잠깐의 짧은 거리이지만 전
나무가 늘씬한 몸매로 하늘을 가리며 늘어서 있어 동화 속의 풍경처럼 정겹기 그지없어 마치 순
천 금둔사(金屯寺, ☞ 관련글 보러가기)만큼이나 아름다운 절이 아닐까 싶은 환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  옛 사람들이 바위에 남겨놓은 바위글씨

▲  경내 직전에 펼쳐진 대나무 숲길

전나무 숲길은 절과 가까워지면서 녹음(綠陰)이 서린 대나무 숲길로 변화한다. 푸르름의 한복판
에 서 있으니 늦겨울은 정말 다른 세상 이야기 같다. 대나무들이 앞다투어 잎을 피우며 경내 앞
쪽을 가득 메우니 말이다. 바람이 스치는 대나무 소리에 속세에서 오염된 귀가 정화되며 마음
속에 가득한 번뇌도 잠시나마 와해되는 듯 하다.

     ◀  원효암 경내로 오르는 계단과 문
대나무 숲길을 지나면 경내로 오르는 계단이 나
온다. 계단 끝에는 허름하게 생긴 기와문이 있
는데, 문 좌우에는 담장을 둘렀으며, 돌로 축대
를 쌓아 터를 다졌다. 바로 저 문을 들어서면
절간 같다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숲속에 없는
듯 자리한 원효암 경내가 펼쳐진다.


▲  아늑하고 조용한 원효암 경내 (정면에 기와집이 법당인 무량수각)


▲  무량수각 툇마루와 단청이 곱게 입혀진
기둥과 천정

경내로 들어서면 흙이 입혀진 넓고 잔잔한 뜨락
이 펼쳐진다. 뜨락 너머에는 이곳의 법당(法堂)
인 무량수각(無量壽閣)이 뜨락을 굽어본다.
무량수각은 조선 중기 이후 원효암이 이곳으로
터를 옮기면서 지은 건물로 여겨지며, 적어도
200년 이상 묵은 듯 고색의 때가 넘친다. 현판
에는 '無'가 '天' 비슷하게 쓰여있어 천량수각
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그는 엄연히 '無'이다.
'無'의 다른 모습이라고 보면 된다.

정면 7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나중에
법당 우측에 'ㄱ'자 모습의 건물을 붙이면서 지
금과 같은 독특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비록
속은 하나로 이어져 있지만 우측과 좌측은 엄밀
히 다른 성격과 이름을 가지고 있다. 좌측은 법
당이고 우측은 공양간 및 종무소로 쓰인다. 법
당에는 원효암 현판과 무량수각 현판이 걸려 있
으며, 특이하게도 툇마루를 가지고 있어 잠시
두다리를 쉬어가기에 적당하다. 퇴색한 마루에
는 세월의 때가 가득하여 움푹 들어간 부분도
있으나 아직은 튼튼하다. 기둥 윗부분과 천정에
는 환하게 단청이 칠해져 건물을 수식한다.

▲  다소 빛이 바랜 원효암 현판의 위엄

▲  글씨가 꿈틀거리는 듯한 무량수각 현판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친필이라고 전한다.


무량수각은 허름해 보이는 외부와 달리 내부는 깔끔하여 오래된 티가 별로 풍기질 않는다. 불단
은 2개가 마련되어 있는데, 우측에는 목조관음보살이, 좌측에는 지장보살이 한 자리씩 차지해
중생들의 하례를 받는다. 건물 이름은 분명 아미타불의 거처인 무량수각인데 아미타불은 온데간
데 없고, 전혀 관련도 없는 이들이 대신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것이다.


▲  무량수각 좌측 불단에 자리한 지장보살(地藏菩薩)과 지장탱화
지장보살상은 근래에 만든 것으로 그 크기가 작아 유리막 안에 특별히 봉안했다.
지장보살의 뒤를 받쳐주는 지장탱화는 색채가 다소 바래 보여 적어도
100년 정도는 묵은 듯 싶다.

▲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 부산 지방유형문화재 96호

무량수각 우측 불단에 봉안된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7~18세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범어사에 있는
여러 불상과 비슷하게 생겨 범어사에서 넘어온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화려한 보관(寶冠)을 눌러쓴 그는 지그시 눈을 감고 있고, 입술에는 엷은 미소를 띄우며 중생을
맞는다. 볼살은 두텁고 귀는 중생의 소리를 모두 듣고자 어깨까지 축 내려왔으며, 몸에는 두꺼
운 법의(法衣)를 걸치고 있고, 왼손은 다리 위에 대고 오른손은 아미타9품인과 비슷한 수인(手
印)을 취하고 있다.
부산 지역에 몇 안남은 17~18세기 보살상으로 한때 도난을 당하여 왜열도로 넘어갔다가 현몽에
의해 다시 돌아왔다고 전한다. 그래서 영험이 뛰어나다고 명성이 자자하며, 그의 신변보호를 위
해 짙게 유리막을 봉했다. 문화유산 도난이 다반사처럼 일어나는 이 땅의 현실에서 이해는 되지
만 폐쇄된 공간에 갇힌 듯 그도 꽤 답답할 것이다.


▲  무량수각 우측 샘터
금정산이 중생에게 베푼 소중한 선물로 그 뒤로 숙성의 과정을 밟고 있는
무언가를 담은 장독대들이 늘어서 있다.

▲  원효암서편3층석탑 - 부산 지방유형문화재 12호

원효암에는 2기의 오래된 석탑이 있는데, 하나는 앞서 언급한 동편3층석탑이고, 다른 하나는 경
내 서쪽에 자리한 서편3층석탑이다.

서편3층석탑은 높이 2.33m로 경내에서 서북쪽으
로 30m 떨어진 공터에서 수습해 온 것이다. 2중
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얹힌 것으로 대자연
과 세월의 괴롭힘이 상당했는지 성치 않은 부분
이 별로 없을 정도인데, 바닥돌은 거의 파괴되
었고 아래층 기단은 옆이 뭉개졌으며, 탑의 머
리장식 일부도 날라간 상태이다.
위층 기단은 탱주가 사라졌고, 탑신 역시 1층만
남아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2층과 3층 탑
신을 새로 만들어 붙였다. 각층 옥개석에는 밑
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네 모서리는 세월
의 거친 흐름에 죄다 휩쓸려나갔다.
탑의 양식으로 미루어 보아 동편3층석탑과 더불
어 신라 후기 또는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  서편3층석탑 부근에 자리한 부도

서편3층석탑 부근에는 네모난 기단 위에 심어진 맵시가 고운 석종형부도가 서 있다. 기단에 검
은 이끼가 끼어 있고, 돌의 피부가 제대로 바래 있어 제법 묵은 부도임을 알 수 있는데, 부도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모르겠으나 목조관음보살상과 더불어 원효암의 조선 후기 유물이다.

이렇게 원효암를 말끔히 둘러보고 경내 서쪽에 가늘게 난 산길을 타고 금정산으로 향했다. 산성
북문까지는 25분 정도 걸렸는데, 처음에는 원효암 뒷쪽에 자리한 의상대(義湘臺)와 원효봉에 가
려고 했으나, 사람의 마음은 갈대라고 고당봉과 금샘으로 행선지를 바꿨다.

※ 금정산 원효암 찾아가기 (2015년 4월 기준)
* 부산지하철 1호선 범어사역 5,7번 출구를 나와서 180도 뒤로 돌아서 가면 범어사로 올라가는
  길(청룡예전로)이 나온다. 그 길을 오르면 삼신교통 종점이 있는데 거기서 범어사행 90번 시
  내버스를 타고 범어사 하차, 범어사를 거쳐 40분 정도 오르면 된다. 90번 버스는 평일에는 15
  ~20분 간격, 휴일에는 10분 내외 간격으로 운행된다.
* 승용차로 갈 경우 원효암까지 찻길이 없어 접근이 불가능하다. 범어사 인근 주차장에 차를 세
  우고 올라가야 된다.
* 원효암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25 (☎ 051-508-4008)


♠  부산의 지붕 거닐기 ~ 금정산성(金井山城) 북문에서 고당봉까지

▲  금정산성 북문(北門) - 사적 215호

금정산 지붕에 길게 둘러진 금정산성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산성(山城)으로 왕년에는 길이가
18km에 달했다고 한다. (북한산성은 약 9.5km) 허나 지금은 ¼도 안되는 4km 정도의 성벽만 간
신히 남아 있다.
지금의 성은 1703년에 지어진 것으로 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667년 경상좌수영 통제
사 이지형(李枝馨)이 금정산성 보수를 조정에 건의한 적이 있으며, 아마도 신라나 고려 때 왜구
(倭寇)의 공격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1707년 성이 너무 넓어서 성의 중간 부분에 남북을 가르는 중성을 쌓았으나, 1774년에 성이 너
무 커서 수비가 어렵다며 폐지했다. 1806년에 성을 다시 손질했으나 왜정 때 철저히 파괴된 것
을 1972년부터 1974년까지 복원공사를 벌여 동문(東門)과 서문, 남문, 수구문(水口門)을 복원하
고, 1989년에 북문을 복원하여 지금에 이른다.

마치 사극 세트장의 성문처럼 간결하게 생긴 북문은 해발 590m에 자리해 있는데, 문의 높이가 3
m 정도이다. 문은 동그랗게 구부러진 모습이 아닌 네모난 형태로 문 위쪽에는 여장을 쌓고 조그
만 팔작지붕 문루(門樓)를 세웠으며, 문의 규모는 서문(西門)에 비해 상당히 왜소하다.

문을 들어서면 길은 3갈래로 갈리는데, 여기서 오른쪽(북쪽)으로 가야 고당봉이다. 직진하면 미
륵사와 금성동, 왼쪽은 성곽길을 따라 원효봉과 의상봉, 동문으로 이어진다. 북문에서 고당봉까
지는 넉넉잡아 25분 정도 걸리며, 정상과 가까워질수록 속세살이처럼 경사가 좀 급해진다.


▲  북문에서 정상 방면으로 이어지는 금정산성 성곽 (북문 북쪽)
저 멀리 우뚝 솟은 봉우리가 고당봉이다.

▲  북문에서 동문 방면 금정산성 성곽 (북문 남쪽)

▲  부드러운 곡선의 원효봉~의상봉 능선

▲  고당봉 밑에 자리한 고모영신당(姑母靈神堂)

고당봉을 2분 정도 앞둔 지점에 이르면 돌담을 두른 붉은 벽으로 된 고모영신당이란 사당을 만
나게 된다. 이 사당은 고당봉에 깃들여진 고모영신(姑母靈神)을 모신 일종의 산신당(山神堂)과
같은 곳으로 1920년대에 범어사 신도인 밀양박씨 할머니의 유언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임종에 임하면서 '내가 죽거든 화장을 하고 고당봉에 고모영신을 모시는 사당을 지어 고모
제(姑母祭)를 지내달라. 그러면 고당봉의 수호신이 되어 범어사를 지켜주겠다'
유언을 남겼다.
그래서 범어사 승려들은 그 유언을 받들어 고당봉 밑에 사당을 지어 1년에 2번(음력 1월 15일,
5월 5일) 제를 지내니 범어사가 나날이 흥해졌다고 한다. (지금도 제사를 지냄)

우리의 토속 사당인 산신당이나 성황당은 기와나 나무로 만든 집이 딱 어울리는데 이곳은 근래
에 새로 지은 붉은 시멘트 집이 신당(神堂)의 역할을 하여 다소 어색할 따름이다. 허나 이곳은
고지대라 거센 바람과 눈,비에 자주 시달려 안전과 관리를 위해 시멘트 집을 지어 고모영신을
봉안한 것이다. 신당 옆에는 어린이 키높이 정도의 관리실이 있으며, 신당에는 누구나 절을 올
릴 수 있다.


▲  고모영신당에 봉안된 산왕대신(山王大神, 산신)과 고모영신 위패
활짝 웃는 두 송이의 꽃을 비롯하여 여러 문양이 그려진 단청이
 식상한 신당 내부를 아름답게 꾸며준다.


고당봉(801.5m)은 금정산의 정상으로 부산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곳이다. 바위 봉우리로 이
곳에 올라서면 금정산의 주요 봉우리들이 두 눈
아래 들어오고, 금정산 분지에 둥지를 튼 금성
동을 비롯하여 부산 북부 지역과 양산(梁山),
김해 대동면, 기장군(機張郡) 서부 일대가 훤히
시야에 들어와 조망 또한 천하일품이다.

이 봉우리는 범어사 창건 설화에도 등장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문무왕(文武王)의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
나 왈
'폐하, 태백산에 의상(義湘)이란 승려가 있습니
다. 그는 항상 3,000명의 제자를 거느리고 화엄
법문을 연설하며, 화엄신중(華嚴神衆)과 제신(
諸神), 천왕(天王)이 그를 따라다니며 수행을
합니다. 동쪽 해변에 금정산이 있고, 그 산정에
높이 50여 척에 이르는 바위가 솟아 있는데, 그
바위 위에 우물이 있고, 그 우물은 항시 금색이
며, 사시사철 마르지를 않습니다.

▲  고당봉(故堂峰) 표석의 위엄

 

그 우물에는 범천(梵天)에서 오색(五色) 구름을 타고 온 금어(金魚)가 헤엄치고 놀고 있습니다.
폐하께서 의상과 함께 금정산에 가시어 7일 밤낮 화엄신중을 독성하면, 그 정성에 따라 미륵불
이 금색신으로 화현하시고 동해에 임하되 왜구가 자연히 물러날 것입니다'

꿈에서 깨어난 문무왕은 아침에 바로 의상대사를 소환하여 그와 금정산에 들어가 7일 밤낮을 일
심으로 독경하니 그 장소가 바로 고당봉이란 것이다. 고당(姑堂)이란 '원래 불가에서 부처의 화
엄일승(華嚴一乘)인 최고의 법문을 높은 깃대에 세웠다'는 뜻으로 금정산 꼭대기에 기치를 꽂아
세웠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법의 당을 높이 세워 운집한 중생을 위해 법문을 강설했다는 의상대
사의 뜻에 따라 고당봉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물론 범어사에서 그럴싸하게 다듬은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다.


▲  등산객들로 가득한 고당봉

고당봉에는 많은 산꾼들이 진을 치며 정상에 올랐다는 쾌감에 젖어있다. 고당봉 표석은 그들의
인기 사진모델로 정상에 올랐다는 인증 사진을 찍느라 표석 주변은 늘 부산하다. 한두 사람이나
한 단체가 찍기가 무섭게 바로 다른 이들이 다가와 사진을 찍으니 말이다.
이곳에서 천하를 굽어보는 재미도 제법 쏠쏠하여 부산 북부 지역과 양산, 낙동강(落東江), 김해
대동면, 기장군 서부 일대가 두 눈에 박혀 눈이 그야말로 호사를 누린다. 간만에 하늘과 맞닿은
높은 산꼭대기에 오르니 속세살이에 상처 받은 마음이 쾌유가 된 듯, 속이 시원하다.


▲  고당봉에서 바라본 천하 (1)
김해 대동면과 낙동강, 양산 남부(물금, 범어, 양산신도시) 일대

▲  고당봉에서 바라본 천하 (2)
금정산 남쪽 줄기(원효봉, 의상대)와 그 너머로 희미하게 다가오는
부산 동래(東萊) 지역

▲  고당봉에서 바라본 천하 (3)
금정산 동쪽 줄기와 금정구, 기장군 서부 지역

▲  고당봉에서 바라본 천하 (4)
금정산 북쪽 줄기(장군봉)와 양산시 동면, 덕계 지역


♠  금정산의 유래가 된 금정산의 성지(聖地)
금샘<금정(金井)> - 부산 지방기념물 62호

▲  금샘을 품은 바위
여러 바위를 디딤돌로 삼은 커다란 바위 꼭대기에 금샘이 있다.


정상에 올랐다면 언젠가는 반드시 내려가야 되는 법, 10분 정도 머물며 천하를 바라보다가 금샘
으로 넘어갔다.
금샘은 고당봉에서 동쪽으로 약 10분 거리에 있는데, 고당봉 동쪽으로 내려가야 된다. 빙글빙글
머리를 환장하게 만드는 빙글계단을 내려가 바위를 몇 개 넘으면 금정산과 부산의 성지인 금샘
이 그 영롱한 모습을 비춘다.

금샘은 고당봉 동쪽에 솟아난 커다란 바위 위에 있는 패인 웅덩이로 범어사 창건설화의 현장이
다. 바로 금빛이 나는 물고기(金魚)가 오색 구름을 타고 내려와 놀았다는 그곳이다. 그래서 금
빛 물고기가 놀았다는 뜻에서 금샘(金井)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산 이름도 자연히 금정
산이 되었다. 물론 그런 물고기는 없을 것이다. 다만 바위 꼭대기에 저렇게 묘하게 물이 안착
할 공간이 있다는 것이 신비로울 따름이다.
백악기 말인 8,000만 전부터 형성된 화강암체가 오랜 세월 풍화과정과 기후변화를 거치면서 만
들어진 대자연의 기가 막힌 작품으로 낙동강에서 올라온 안개가 낮에 햇빛으로 데워지고, 데워
진 바위가 밤이 되면 주변 수분을 흡수하는 작용으로 금샘 물이 차가워진다고 한다. 지금도 10
월 해질 무렵에 금샘을 보면 물 안에 물고기 형상의 홈이 파여있는데, 저녁노을과 단풍빛이 반
사되어 금빛 물로 변하고, 바람이 불면 마치 마치 금빛물고기가 거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금샘에 모인 물은 바깥으로 나갈 공간이 없기 때문에 늘 일정한 수량을 유지한다. 그렇다면 물
맛은 어떨까? 금샘이란 말 그대로 수질도 그에 버금가야 적당하겠지만 유감스럽게도 무늬만 샘
이다. 물이 고인 웅덩이기 때문이다. 하늘과 가까운 곳이라 비와 눈이 내리지 않는 이상은 물이
들어올 때가 없고, 그곳에서 마를 때까지 고여있기 때문에 물은 속세처럼 썩는다. 가까이 다가
가서 보면 물 속에 여러 부양물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렇게 수질이 좋지 않으니 금샘이라 하여
괜히 물을 섭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화려한 이름과 달리 수질만큼은 독샘인 것이다.
금샘의 물이 마르면 큰 재앙이 온다고 범어사에서 믿고 있으나, 물이 마르기가 무섭게 또 비가
내리니 물은 늘 마를 날이 없다. 금샘까지는 접근이 가능하나 주변이 험해 사고 위험이 도사리
므로 괜한 오만을 부리지 않도록 한다.

※ 금정산 고당봉, 금샘 찾아가기 (2015년 4월 기준)
* 범어사에서 북문을 거쳐 고당봉까지 약 60분, 금샘은 70분 소요
* 금성동주민센터<① 1호선 온천장역 3번 출구, 길 건너편에서 203번 좌석버스 이용 / ② 2,3호
  선 덕천역 10번 출구와 2호선 화명역 6번 출구에서 금정구 마을버스 1번 이용>에서 북문까지
  70~75분, 고당봉까지 90~95분, 금샘은 100~105분 소요

* 금샘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산2-1


▲  가까이서 본 금샘의 위엄
백두산(白頭山)에 천지(天池)가 있고 한라산(漢拏山)에 백록담(白鹿潭)이 있다면
금정산에는 그들의 축소판인 금샘이 있다.

▲  금샘에서 바라본 금정구, 기장군 철마면 지역

▲  금샘에서 바라본 금정산 동/남쪽 줄기와 북문(움푹 들어간 부분)

▲  북문에서 금성동으로 내려가는 길

금샘을 둘러보고 남쪽 샛길을 거쳐 북문으로 내려왔다. 북문에서 금성동으로 통하는 넓은 길로
내려가면서 오랜만에 미륵사를 찾아 그곳의 청정한 약수를 먹고 싶었으나 몸이 지친 상태로 그
냥 통과했다. 거기까지는 20분 정도 올라가야 된다.

미륵사입구를 지나 10분 정도 가면 산길을 둘러싼 숲의 삼삼한 물결은 잠시 멈추고 잡초와 조그
만 나무가 무성한 벌판이 잠시 펼쳐진다. 이곳은 예전 농장과 마을이 있던 곳으로 금정산 정화
사업으로 모두 철거되었다. 예전에는 껍데기만 남은 교회가 수풀에 묻혀 버려져 있더만 그 역시
말끔히 철거되어 흔적조차 없다.


▲  옛 마을과 농장이 있던 곳(왼쪽 바위 봉우리 밑에 미륵사가 있음)

▲  산내음이 가득 깃든 금성동 가는 숲길
숲길은 대체로 평탄하여 산책 삼아 걷기에 좋으며 거의 숲터널을
이루고 있어 솔솔나부끼는 바람에 마음이 즐거워진다.

▲  금정산성 중성 - 사적 215호

금정산의 허리를 가르는 중성은 의상봉 남쪽 제4망루에서 국청사 북쪽을 거쳐 서문으로 이어지
는 약 2km의 성곽으로 여장과 성문은 사라지고 성벽만 일부 남았다. 성벽 위로 수풀이 무성하여
인간의 건축물은 자연 앞에선 한낱 장난감에 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  도토리묵과 산성막걸리

등산을 하면 도토리묵, 파전을 겯드린 동동주나 막걸리 1잔이 간절해진다. 금성동에는 등산객과
도시인을 상대로 한 주막들이 즐비한데 이곳의 명물인 산성막걸리와 염소고기를 비롯하여 도토
리묵과 파전, 백숙 등을 취급한다.
간만에 등산으로 몸이 무거워진 우리는 어느 주막에 들어가 도토리묵을 주문했다. 물론 산성막
걸리도 마셨지, 얼마나 콸콸 잘 흡입이 되던지 우리는 순식간에 막걸리 3명을 마셨다. 배추김치
와 당근 등이 잘 어우러진 도토리묵도 맛이 괜찮아 목구멍이 신난다고 쾌재를 부른다. 도토리묵
말고도 다른 것도 먹을까 했으나 시내로 나가 먹기로 하고 자리를 훌훌 털고 나왔다.
이렇게 소소하게 등산 뒷풀이를 마치고 금성동의 중심인 금성동주민센터에서 시내로 나가는 부
산좌석버스 203번을 타고 한계령(寒溪嶺)만큼이나 험준한 산성고개를 넘어 온천장역(1호선)으로
나왔다.

이리 하여 부산의 지붕 금정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다음에 다시 인연이 닿으면 제
대로 된 금정산 본전 종주를 하고 싶다.


▲  국청사 입구에서 바라본 파리봉과 상학산
그 아래로 금성동 마을이 포근하게 터를 닦았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8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5년 4월 28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볼거리와 조망이 일품인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 (석구상, 한우물, 칼바위...)

 

~~~ 볼거리가 풍부한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虎巖山) ~~~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호암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호암산 석구상

호암산성터

▲  호암산 석구상

▲  호암산성터


서울 시흥동과 신림동, 경기도 안양시에 걸쳐있는 호암산(虎巖山, 385m)은 삼성산(三聖山,
480m)의 일원으로 삼성산 서북쪽에 자리한다. 호암산이란 이름은 산세가 호랑이를 닮았다
고 하여 유래된 것인데, 다음의 사연이 걸쭉하게 전해온다.

때는 바야흐로 1394년, 고려를 뒤엎고 조선을 세운 이성계(李成桂)가 개경(開京, 개성)을
버리고 서울(한양)로 도읍을 옮겼다. 서울에 와서 주변 지형을 살피니 한강 남쪽에 호랑
이를 닮은 호암산과 활활 타오르는 불 모양의 관악산(冠岳山, 629m)이 사이 좋게 서울을
노려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즉 풍수지리(風水地理)적으로 서울을 크게 위협하는 존재로
봤던 것이다.
고구려(高句麗)의 시조인 동명성왕(東明聖王)처럼 화살을 잘쏘며 무인(武人)으로써 크게
위엄을 날렸던 이성계, 허나 대자연이 빚은 호암산과 관악산의 패기에 그만 염통이 쫄깃
해지면서 서울을 지키고자 안간힘을 쓰게 된다. 그래서 비보풍수(裨補風水)에 따라 호암
산과 관악산 밑에 절을 짓고 연못을 팠으며, 광화문(光化門) 앞에 해태상을 세우고, 숭례
문(崇禮門, 남대문)의 현판을 세로로 세우는 등, 그야말로 난리법석을 떨었다.

이처럼 호암산에는 산의 매서운 기운을 누르고자 지은 호압사(虎壓寺)를 비롯하여 서울에
서 가장 크고 오래된 우물인 한우물, 비보풍수로 세워진 석구상, 신라 때 축성된 호암산
성터, 흔적만 아련히 남은 제2한우물터와 건물 유적, 호암산의 기운을 잠재우고자 기도를
올린 자리에 세워진 불영암, 기해박해(己亥迫害) 때 처형된 프랑스 신부 3명이 묻힌 삼성
산성지(三聖山聖地) 등, 신라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옛 흔적들이 서려있어 이곳
의 중요성을 새삼 가늠케 한다. 
게다가 조망 또한 천하일품이라 서울 대부분과 안양, 광명, 부천, 인천(仁川)은 물론 북
한산(삼각산)까지 거침없이 시야에 들어오며, 호랑이를 닮은 뫼답게 멋드러진 바위가 아
낌없이 포진해 있어 산행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근래에는 호압사 남쪽에 넓게 소나무숲을
조성해 산림욕장을 닦았고, 벽산5단지 기점에는 비록 인공이긴 하지만 호암산폭포가 조성
되어 호암산의 새로운 명물을 꿈꾼다.

호암산은 호압사를 비롯해 벽산5단지, 신우초교, 삼성산성지, 서울대, 석수역, 시흥3동에
서 안길 수 있으며, 깃대봉과 장군봉을 거쳐 삼성산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2011년
11월에는 사당역에서 낙성대(落星垈), 서울대, 호압사, 산림욕장, 호암산폭포, 시흥계곡
을 거쳐 석수역까지 이어지는 관악산둘레길(13km)이 뚫리면서 북한산둘레길에 감히 도전
장을 내밀었다.


  부드러운 곡선의 호암산 남쪽 능선
 

▲  호암산 정상 입구에서 바라본 남쪽 능선

호암산 정상 밑에 자리한 호압사에서 한우물이 있는 호암산 남쪽 봉우리까지는 소나무 산림욕장
을 거쳐가는 것과 호압사 뒤쪽에서 정상 입구를 거쳐 가는 길이 있다. 각 길마다 장단점이 있겠
지만 좀 쉽게 가고자 한다면 산림욕장 길이 좋다.

호압사 남쪽에 넓게 터를 닦은 소나무 산림욕장은 솔내음이 진하게 나래를 펼치는 소나무 숲 사
이로 산책로가 실타래처럼 이어져 있고, 곳곳에 의자와 운동시설이 심어져 속인들의 편의를 제
공한다. 그리고 숲 남쪽에는 약수터가 있어 호암산이 베푸는 약수도 마실 수 있다. 그런데 1가
지 아쉬운 것은 약수터 주변을 흐르는 계곡을 자연 그대로 냅두지 않고 시멘트를 발라 둑과 물
길을 낸 것이다. 얼마나 보기가 흉하던지 애써 가꿔온 송림의 아름다움이 무색할 지경이다.


▲  호암산 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시흥2동 벽산아파트를 비롯하여 금천구와 광명시 지역이 눈 아래 펼쳐진다.
 

▲  세상을 향해 머리를 들이민 호암산 남쪽 봉우리

반면 호압사 뒤쪽은 시작부터 꽤나 각박하여 힘겨운 산길을 올라야 되지만 그 거리는 10분 내외
로 짧다. 잠깐의 고통을 딛고 길을 올라서면 금세 호암산 정상 입구에 도달한다. 여기서부터 남
쪽 봉우리까지는 아주 느긋한 능선길(남쪽 능선)의 연속으로 능선을 따라 파노라마처럼 펼쳐지
는 조망을 두 눈에 주어 담으며 거닐면 된다. 이 구간이 바로 호암산의 가장 큰 매력으로 산길
곳곳에 멋드러진 바위가 호랑이의 이빨과 발톱처럼 포진해 있고, 이곳에서 바라보는 조망의 맛
은 정말 꿀맛이다.

내가 호암산에 퐁당퐁당 빠진 것은 잠깐의 고생 끝에 정상과 능선까지 오를 수 있고, 거기서 이
렇게 꿀 빠는 조망을 누릴 수 있으며, 능선의 곡선이 매우 부드럽고 느긋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래된 명소도 풍부하니 어디 하나 나무랄 데가 없는 착한 산이다.


▲  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1)
흐린 하늘 아래로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 양천구, 영등포구 지역이 보인다.
호암산 능선에는 훤칠한 소나무부터 키가 작은 소나무까지 다양한 모습의
소나무가 뿌리를 내려 호암산을 아름답고 푸르게 수식한다.

▲  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2)
시흥2동 벽산아파트와 금천구, 구로구, 광명시 지역


▲  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3)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 광명시 지역

▲  두툼하게 솟은 호암산 남쪽 봉우리

▲  솔내음이 춤을 추는 호암산 남쪽 능선길


♠  호암산 석구상(石狗像)과 호암산성터 주변

호압사와 정상에서 부드러운 곡선의 능선을 더듬으며 남쪽 봉우리에 이르면 한우물을 200m 가량
앞둔 지점에서 산길이 2개로 갈린다. 여기서 왼쪽으로 가면 바로 사방을 난간으로 두룬 돌로 쌓
은 기단(基壇)이 나오고, 그 안에 호암산의 상징물인 조그만 석구상이 북쪽을 바라보며 정말 귀
엽게도 앉아있다.

지금은 돌로 만든 개의 상, 석구상으로 통하지만 아직까지도 그 정체에 대해 말들이 조금 있는
모양이다. 예전에는 광화문 해태상과 마주 보게 하여 관악산의 화기(火氣)로부터 서울을 지키는
해태상으로 여기기도 했는데, 한우물을 발굴조사하면서 '석구지(石狗池)'라 새겨진 장대석(長臺
石)이 출토되었고, 시흥읍지 형승조(始興邑誌 形勝條)에는
'호암산 남쪽에 석견(石犬) 4두(四頭)를 묻어 개와 가깝게 하고자 하였으며 지금 현남7리(縣南
七里, 시흥동)에 사견우(四犬偶, 개의 형상 4개)가 있다'
란 기록이 있어 해태상이 아닌 석구상
으로 크게 무게가 쏠리고 있다.

석구상의 크기는 길이 1.7m, 폭 0.9m, 높이 1m 정도로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발과 꼬랑지 부분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옆에서 바라본 석구상

▲  석구상 뒷부분의 위엄 (꼬랑지가 말려져 있다)

석구상의 모습을 가만히 보면 해태의 모습은 분명 아니다. 그렇다고 완벽한 개의 모습이라 하기
에는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앞 모습을 보면 강아지의 모습 같기도 하지만 양과도 비슷해 보이
며, 어떤 이는 개구리를 닮았다고도 하니, 보면 볼수록 참 답이 안나오는 기이한 상이 아닐 수
없다. 아무래도 제 눈이 안경이라 사람마다 보이는 모습이 제각기 다를 것이다. 그의 뒷부분에
는 길다란 꼬리가 말려져 있는데, 이는 개의 꼬리가 아닌 고양이나 호랑이의 꼬리와 비슷하다.

석구상의 탄생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는 없으나 대략 조선 중기 이후로 여겨진다. 그는 정
확히 북쪽으로 시선을 두고 있는데 정말로 광화문 해태상을 바라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를
만든 이유도 딱히 알려진 것은 없으나 호암산의 기를 누르고 서울을 지키려는 비보풍수의 일환
으로 여겨진다.

석구상은 그 모습이 참으로 아담하고 깜찍하여 등산객들의 눈길을 제대로 잡아맨다. 보는 이들
마다 귀엽다는 말이 연거푸 터져 나오고, 요즘처럼 각박한 세상에 적지 않은 웃음을 선사하며,
머리를 쓰다듬기도 하는 등 그의 인기는 좀처럼 식을 줄을 모른다.


▲▼  숲속 오솔길에 묻힌 호암산성터 - 사적 343호

석구상에서 바로 남쪽 능선길을 조금 가면 산길의 일부가 되버린 호암산성의 아련한 흔적을 만
날 수 있다. 흔적이라고 해봐야 성돌과 흙이 뒤섞인 1~2m 높이의 성터 윤곽이 전부로 이리저리
돌이 박혀있어 속사정을 모르는 이들은 그냥 산길로 여기며 밟고 지나가기 일쑤다.

호암산성은 호암산 남쪽 봉우리에 둘러진 퇴뫼식 산성으로 자연 지형을 이용했다. 산성의 길이
는 약 1.250m로 지금은 300m 정도만 간신히 살아있다. 성곽은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이어지는
길쭉한 마름모꼴로 축성 시기와 목적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으나 1990년 봄, 한우물과 호
암산성 일대를 발굴하면서 우물 2곳과 건물터 4곳이 드러났고, 6,500여 점에 이르는 막대한 토
기와 갖은 유물이 쏟아져 나왔는데, 이들 유물과 관련 기록을 통해 신라 중기에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금천구청 자료에 따르면 672년(문무왕 11년) 신라가 당나라의 공격을 막고자 세운 요새
로 여기고 있는데, 당시 신라는 한강 이북에서 당나라와 힘겹게 줄다리기를 하던 상황이었다.

조선시대에도 한우물과 관련된 여러 기록과 제2한우물터, 건물터 등의 흔적을 통해 산성이 그런
데로 구실을 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딱 1번 크게 쓰인 적이 있는데 바로 임진왜란이 한참이던
1593년 1월로 이때 수원 남쪽 독산성<禿山城, 오산 세마대(洗馬臺)>에서 왜군을 격파한 권율(權
慄) 장군이 서울을 수복하고자 행주산성(幸州山城)에 들어가 진을 치고, 전라병사(全羅兵使) 선
거이(宣居怡)에게 군사 4,000명을 주어 호암산성으로 보내 자신의 후방을 지키게 했다. 호암산
은 서울을 향해 으르렁거리는 호랑이 모양의 뫼답게 서울로 공격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

왜란 이후, 산성은 계속 유지되었으나 점차 그 중요성이 떨어지면서 조선 후기에 그 이름이 지
워지고 만다. 이후 산성의 운명은 지금의 상태가 여실히 말해준다. 버림을 받은 호암산성은 관
리 소홀과 자연의 무정한 장난, 그리고 세월의 덧없는 무게까지 더해지면서 서서히 녹아내려갔
고, 등산객들의 속절없는 발길이 성곽을 짓누르면서 담장만도 못한 상태가 되버린 것이다. 아무
리 인간이 멋드러지고 견고하게 건축물을 세워도 대자연 형님 앞에서는 일개 장난감에 불과하다.


▲  오르막을 타는 호암산성터

▲  호암산성 능선에서 바라본 매끄러운 곡선의 삼성산 줄기
삼성산 줄기 너머로 관악산 정상이 흐릿하게 보인다.

▲  호암산성 능선에서 만난 바위
바위 밑은 천길 낭떠러지이므로 주의 요망~

▲  제2한우물터 북쪽에 뿌리를 내린
옛 사람의 무덤


석구상에서 제2한우물터로 가는 길목에 조그만 무덤 1기가 뿌리를 내렸다. 삼성산이 있는 동쪽
을 바라보는 이 무덤은 대략 100여 년 정도 되었다고 한다. 다른 무덤과 달리 산의 기맥이 이어
져 있지 않고 그냥 봉분(封墳)만 올린 조촐한 형태로 그 뒤쪽에는 바위가 누워있다.

무덤 앞에는 묘의 주인을 알리는 묘비가 없어 무덤의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으며, 별다른 장식
이 없는 소박한 모습으로 보아 인근에 살던 백성의 무덤으로 보인다. 비석과 상석(床石) 대신
돌을 두툼하게 깔아 예를 올리는 공간을 마련했고, 봉분은 자연석으로 네모나게 호석(護石)까지
둘렀는데, 그 모습이 마치 이가 서로 맞물린 듯 불규칙해 보인다.


▲  호암산성 건물유적

호암산성터를 지나 야트막한 언덕을 오르면 호암산 남쪽 봉우리의 정상부이다. 이곳에는 잡초가
무성한 드넓은 공간이 있는데, 서쪽에는 제2한우물터가, 동쪽에는 건물유적이 있다.

초라한 모습을 보이기 싫었던지 수풀 속에 잠긴 건물유적에는 건물을 받쳤을 주춧돌과 건물터의
윤곽이 떠받들 대상을 상실한 채 옛날을 그리워하고 있으며, 나무에게 버림받은 낙엽들이 그 허
전한 빈터를 따스히 덮어주며 서로 동병상련의 이웃이 되어준다. 이곳은 조선 때 호암산성을 관
리하던 관청이나 장대(將臺), 또는 군사들의 숙소나 창고로 여겨지며, 조선 후기에 무너져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  수풀 속에 묻혀 분간이 쉽지 않은 호암산 제2한우물터

건물유적 맞은편에는 제2한우물터가 있다. 호암산성이 버려진 이후, 땅 속에 묻혀 강제로 기나
긴 잠을 자다가 1990년 발굴조사로 다시금 햇살을 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우물의 길이는 남북이 18.5m, 동서 10m, 깊이 2m에 이르며
산꼭대기에 하나도 아닌 2개의 커다란 우물이 있다는 것이 참으로 신기할 따름이다. 지금은 실
감이 나지 않지만 옛날부터 호암산의 중요성이 얼마나 지대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물로 하늘에
제를 지내거나 기우제 등 여러 의식이 거행된 곳처럼 마냥 신비롭게 보여 우물 가까이 다가서기
가 두려울 정도다. 괜히 저곳에 내려가다가 천벌을 받거나 다시는 나오지 못할 것 같은 기분 말
이다.

제2한우물터는 발굴 이후, 한우물처럼 온전히 재현되지 못하고 풀이 무성하도록 방치되고 있으
며, 석축과 우물을 구성하는데 쓰인 돌들이 무수히 널려있다. 복원할 계획이 있다고는 하는데
그게 언제가 될지는 호암산 산신(山神)도 모른다. 어차피 복원된 한우물이 있으니 제2한우물은
그냥 저대로 두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산 정상부에 둥지를 튼 거대한 옛 우물, 호암산 한우물
- 사적 343호

호암산 남쪽 봉우리 서쪽에는 호암산의 또 다른 상징물인 한우물이 누워있다. 여기서 한우물은
큰 우물이란 뜻으로 산 정상부에 이런 거대한 못이 있다는 것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천하가
훤히 바라보이는 곳에 자리해 있어 하늘의 우물인 천정(天井) 분위기도 물씬 풍기며, 이곳에 물
을 대줄 마땅한 수원(水源)도 없다고 하는데, 어디서 그 많은 물이 나오는 것인지 늘 물로 풍부
하다. 특히 가뭄 때도 물이 가득해 그 신비로움을 더욱 끌어올린다.

한우물은 천정, 용복, 용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7~8세기 경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우물 자리 밑에서 신라 못의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그 시절에도 못의 규모는 상당하여 동서 약
17.8m, 남북 약 13.6m, 깊이 약 2.5m에 달했다고 하며, 이후 조선 때 그 위에 새롭게 동서 22m,
남북 12m, 깊이 1.2m의 장방형 우물을 덧씌웠다.

1990년 봄, 한우물을 발굴할 때 12개 기종의 1,313점의 유물이 햇빛을 보고자 앞을 다투어 쏟아
져 나왔는데, 그중 '仍伐內力 只來..' 글씨가 새겨진 청동 숟가락이 나와 조성시기를 알려주는
열쇠가 되었다. 또한 지표에서 30cm까지는 백자 파편을 비롯한 조선시대 유물이 많이 나왔다.


▲  불영암에서 바라본 한우물

임진왜란이 한참이던 1593년 1월 전라병사 선거이(宣居怡)가 권율 장군의 명으로 군사 4,000명
을 이끌고 호암산성에 머물 때, 이 우물을 사용했으며, 세종 때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
勝覽)에는
'虎岩山 有固城 城內有一池 天早祈雨(호암산에 견고한 성이 있는데 성안에 연못이 있어 일찍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냈다)'
란 기록이 있어 평시와 전쟁 때는 식수로 사용하고, 가뭄이 극성일 때
는 기우제도 지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서울의 화재를 막으려는 방화용설(防火庸設)도 설
득력을 얻고 있다.
또한 석구지(石狗池)란 애칭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한우물에서 '석구지'라 쓰인 장대석이 나왔
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남쪽으로 200m 떨어진 곳에서는 제2한우물터가 발견되었다.

한우물은 식수용으로 태어난 곳이지만 현재는 그의 보호를 위해 식수로는 쓰지 않는다. 우물 남
쪽에는 갈대가 둥지를 트고 있어 운치를 드리우며, 북쪽에는 소나무 1그루가 우물을 거울로 삼
아 자신의 매뭇새를 다듬는다. 그리고 우물의 건강을 위해 그 주위로 돌난간과 철제난간을 2중
으로 둘러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있다.

한우물이 있는 곳은 호암산 남쪽 봉우리로 천하를 굽어보기 좋은 곳이다. 속세가 한눈에 바라보
이는 벼랑에 한우물조망대가 터를 닦아놓아 이곳에 서면 금천구를 비롯한 서울의 서남부와 경기
도 광명시, 부천시 지역이 거침없이 바라보여 두 눈이 너무 호강을 한다. 우물 주변에는 벤치가
여럿 설치되어있어 간식에 막걸리 1잔 걸치며 잠시 쉬어 갈 수 있다.

한우물은 처음에는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0호였으나 1991년 호암산성과 제2우물터, 건물유적을
한 덩어리로 묶어 사적 343호로 승진되었다. (지정명칭은 '서울 호암산성')


▲  한우물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1)
시흥 벽산아파트와 시흥동과 독산동, 광명시 지역


▲  한우물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2)
시흥동 벽산아파트와 금천구, 구로구, 광명시 지역

▲  한우물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3)
가까이에 벽산1/2단지와 호암산 서북쪽 줄기가 보이고, 그 산줄기 너머로
관악구와 영등포구, 동작구 지역은 물론 멀리 북한산까지 시야에 잡힌다.
사진 오른쪽 부분에는 호암산의 감시초소인 호압사가 바라보인다.


♠  한우물과 명품급 조망을 든든한 후광으로 삼은 조그만 암자
~ 호암산 불영암(佛影庵)

▲  불영암 대웅전(大雄殿)

한우물 옆에는 그를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은 조그만 암자, 불영암이 포근히 둥지를 틀었다.
가파른 벼랑 위에 터를 다지며 속세를 향해 훤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호압사나 벽산아파트단
지, 호암로에서도 확 눈에 들어온다.

불영암의 내력에 대해서는 속시원한 정보가 없어 파악하긴 힘들지만 관악산과 호암산의 기운으
로부터 서울을 지키고자 이곳에서 기도를 올리니 서울에 큰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그런 것을 보면 호랑이가 담배타령을 하던 조선 초기부터 조촐하게 기도처가 있었던 모양으로
호압사가 보일 정도로 가까우니 아마도 호압사 승려의 수행처 역할을 했던 곳으로 보인다. 보통
100년 이상 묵은 절은 그 내력을 담은 안내문을 절 앞에 당당하게 내걸지만 그런 것도 없는 것
으로 봐서는 1950년대 이후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역사가 무지 짧은 손바닥만한 암자로 대웅전과 산신각(山神閣), 요사(寮舍)로 쓰이는 작은 건물
이 전부이며, 그나마 대웅전만 불전(佛殿)의 분위기가 진할 뿐이다. 게다가 절이 들어앉은 위치
도 건물을 크게 짓거나 사세를 늘리기도 여의치 않은 협소한 수준이다. 허나 한우물이 곁에 있
어 물수급은 어렵지 않고, 벼랑에 자리한 탓에 조망 하나는 몸살이 날 정도로 좋다. 그러니 한
우물과 휼륭한 조망, 그리고 기존의 기도처를 후광으로 삼아 절을 세웠을 것이다.

이곳 높이는 해발 310m 정도로 서울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하늘과 가까운 절이다. 예
전에는 대웅전과 요사만 있던 볼품 없는 모습이었으나 2009년 이후 대웅전 뒤쪽 바위에 커다란
불두(佛頭)를 얹히고, 절 앞에 돌탑을 심어 돌탑거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2011년에는 제2한우물
터 주변에서 발견된 절구통과 맷돌, 모서리돌 등을 돌탑 앞에 두어 오래된 볼거리를 추가했다.
특히 고려불화의 유일한 전수자인 승려 여지(如智)가 2005년에 그린 '104위 신중탱화(神衆幀畵)
'가 있어 눈길을 끈다.

불영암은 한우물의 이웃으로 그를 지켜주고 있으며, 조망은 천하 일품이라 절의 규모는 눈송이
같지만 뜨락 하나만큼은 천하 제일이다. 게다가 대웅전 옆에는 보기만 해도 정겨운 부뚜막을 설
치해 검은 가마솥으로 밥을 짓고 있는데, 인근에서 가져온 나무 장작으로 불을 땐다고 한다. 부
뚜막 옆에는 장작이 담을 이루고 있어, 심산유곡의 화전민 마을에 들어선 기분이며, 부뚜막이
장작을 먹어 모락모락 구름을 피어내면 나도 모르게 시장기가 돌면서 입 안에 침이 고인다. 또
한 국수와 부침개, 식혜, 커피 등을 파는데, 커피는 500원, 국수와 부침개는 3,000원선이다.


▲  돌탑거리를 이루고 있는 불영암 앞길과 순찰중인 견공(犬公)

▲  바위에 머리만 꽂은 불영암 석불(石佛)

대웅전 우측 바위에 2009년에 만든 석불이 서쪽을 굽어본다. 석불이라고 하나 바위에 커다란 불
두만 심은 형태로 바위는 그의 자연산 몸뚱이가 되었다. 바위에 접착된 불두 주변에 하얀 석고
등이 가득해 다소 이질감은 들지만 장대한 세월의 흐름은 저들을 완연한 하나의 존재로 만들 것
이다. 석불 앞에는 키 작은 소나무가 하늘로 곧게 자라나지 못하고 옆으로 쳐져있는데, 그 모습
이 마치 불상에 예를 올리는 듯 하다.


▲  불영암 돌탑거리

▲  제2한우물터 부근에서 수습된 절구통(절구석)의 일부와 모서리돌
불영암 주지승과 처사가 발견한 유물로 신라 후기 것으로 여겨진다.

▲  제2한우물터 건물유적에서 발견된 절구통(절구석)과 맷돌

돌탑 앞에 놓인 절구통과 맷돌은 호암산성 군사들이 쓰던 것들로 시흥동 주민이 발견하여 불영
암에 알렸다. 그래서 2010년 이곳으로 수습했는데, 신라 또는 조선시대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절구통과 달리 금, 은, 동, 철의 성분이 많아 상당히 무겁다고 한다. 옆에 맷돌은 어처구니를
상실한 채, 열심히 돌아가던 왕년을 그리워한다.


▲  불영암에서 바라본 호암산 북쪽 줄기, 그 중간에 호암산을 감시하는
호압사가 어렴풋이 모습을 드러낸다.


♠  날카로운 모습의 바위이자 호암산의 또 다른 명물 ~ 칼바위

▲  예리한 칼날 같은 칼바위 (바로 밑에 벽산5단지)
서울을 위협하던 호암산의 날카로운 발톱은 아닐까?

불영암에서 5분 정도 내려가면 칼바위 조망대가 나온다. 바로 그 밑에 살짝 스치기만 해도 피가
나올 것 같은 예리한 기세의 칼바위가 자리해 있는데, 가파른 산등성이에 아슬아슬하게 자리해
있어 자칫 살짝만 건드려도 밑으로 쿨하게 굴러떨어질 것 같다. 이 바위는 위에서 보는 것보다
는 밑에서 봐야 그 위엄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데, 그 모습이 당장이라도 속세를 향해 칼질을
벌일 것 같은 기세라 보기만 해도 염통이 긴장을 한다.

이런 바위에는 옛사람들이 붙인 그럴싸한 전설이 있기 마련이라 다음의 믿거나 말거나 전설이
한토막 전해온다.
때는 임진왜란 시절, 왜군이 시흥(始興) 고을<당시 시흥(금천)의 중심지는 시흥동>까지 쳐들어
오자 장사 1명이 혼자서 왜군을 때려잡으며 분투를 벌였다. 이에 염통이 쫄깃해진 왜장은 장사
가 이기면 무조건 물러가겠다는 조건을 달며 칼바위에서 턱걸이 내기를 제안했다. 그래서 장사
와 왜군 대표 병사와 손에 땀을 쥐는 턱걸이 승부를 벌였는데, 왜군이 100번째 턱걸이를 하려는
순간 힘이 다해 바위 밑으로 떨어져 죽었다. 그때 바위 끝이 쪼개져 나갔다고 전한다.
내기에서 진 왜군은 분을 삼키며 철수를 하자 긴장이 풀린 장사는 소변을 보았는데, 그 줄기가
얼마나 강했는지 바위 한가운데가 움푹 패여 나갔다고 하며, 그 바위가 인근에 있는 팽이바위라
고 한다.

칼바위가 세워진 틈새는 매우 좁아보이지만 속은 매우 넓어서 6.25시절 이곳에 숨어 지낸 사람
도 여럿 있었다고 전한다. 허나 바위는 위치상 출입 통제구역이라 그것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  칼바위에서 바라본 천하 (1) - 벽산5단지와 금천구, 광명시 지역

▲  칼바위에서 바라본 천하 (2) - 시흥동, 광명시 소하동, 구름산과
가학산 산줄기, 그리고 일몰

※ 호암산 찾아가기 (2013년 12월 기준)
* 지하철 2호선 신림역(3번 출구)에서 152번 시내버스를 타고 호압사입구나 벽산5단지 하차
*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3번 출구)에서 5517, 6515번 시내버스를 타고 호압사입구나 벽산5
  단지(6515번만 해당) 하차
* 지하철 1호선 금천구청역에서 금천구 마을버스 01번 청색 차량을 타고 호압사입구 하차
* 올라가는 코스
① 호압사 → 소나무 산림욕장 → 약수터에서 왼쪽 → 호암산 남쪽 능선 → 한우물 (35분)
② 호압사 → 호암산 정상 → 호암산 남쪽 능선 → 한우물 (40~45분)
③ 벽산5단지 → 칼바위 → 한우물 → 석구상 → 호암산 남쪽 능선 → 호암산 정상 (45분)
* 한우물에서 내려가는 경우
① 한우물 → 칼바위 → 벽산5단지 또는 시흥5동
② 한우물 → 제2한우물터 → 남서울약수 → 석수역
③ 한우물 → 호암1터널 → 관악산둘레길 경유(시흥계곡) → 석수역

* 호암산성터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2동 산 83-1외
* 한우물과 불영암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2동 산93-2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3년 12월 10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 손가락 view on을 꼭 눌러주세요 ★☆


Copyright (C) 201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단종애사가 깃들여진 강원도의 청정한 지붕, 영월 나들이 (금몽암, 낙화암, 동강...)

 


♠ 단종애사가 서린 강원도의 청정한 지붕, 영월(寧越) 나들이 ♠
영월 금몽암
▲  단종의 꿈속에 나타났던 절, 영월 금몽암(禁夢庵)


 

가을이 맛있게 익어가던 9월의 끝무렵에 강원도의 지붕인 영월을 찾았다. 우선 평창(平昌)
에 들려 미답처인 남산공원과 송학루, 노성산성 등을 둘러보고(☞ 관련글 보러가기) 평창
터미널에서 영월로 넘어가는 군내버스에 나를 담고 영월로 넘어갔다. 언제 봐도 시리도록
좋은 강원도의 아름다운 산하(山河)와 칼처럼 솟은 고개를 마음껏 구경하고 체험하며 40
여 분을 달려 영월읍내 북쪽에 자리한 장릉(莊陵)에 두 발을 내린다.

장릉은 소년왕 단종(端宗, 1441~1457)의 능으로 영월에 왔다면 꼭 찾아야 칭찬을 듣는 영
월의 대표급 명소이다. 방랑시인 김삿갓과 더불어 영월을 대표하는 인물이자 영월을 먹여
살리는 밥줄이기도 한데, 내가 장릉에서 내린 것은 장릉을 보고자 함이 아니라 다른 미답
지를 보고자 함이다. 장릉은 20대 중반에 이미 2번 거쳐간 곳이라 그리 땡기진 않는다.

금강산도 식후경(食後景)이란 의미심장한 말이 있듯이 절로 가기 전에 우선 점심을 먹기
로 했다. 오랜만에 장릉보리밥을 먹을까? 아니면 말로만 듣던 강원도의 먹거리 곤드레밥
을 먹을까? 둘을 놓고 궁리하다가 곤드레밥을 파는 식당으로 들어갔다.
곤드레는 강원도 700m이상 고지에서 자라는 나물로 학명(學名)은 고려엉컹귀이다. 곤달비
로도 불리며, 영양가가 풍부하고 맛이 좋아 옛부터 강원도 산골의 먹거리로 절찬리에 애
용되었다. 곤드레밥은 바로 곤드레나물을 뒤집어 쓴 밥으로 콩나물밥과 성격이 비슷하다
보면 된다. 밥에는 곤드레나물과 김가루가 들어가 있으며, 산나물 일색의 밑반찬과 간장,
뚝배기에 담긴 된장조치(찌개)를 잘 비벼먹으면 휼륭한 곤드레밥이 된다.

밥을 먹고나니 바로 포만감의 행복과 함께 식곤증이 한숨 자라며 나를 희롱하려 든다. 하
지만 가야될 곳이 있기에 희롱을 뿌리치고 후식으로 커피 1잔 들이키며 보덕사로 길을 재
촉했다.


▲  장릉 건너편 주막에서 먹은 곤드레밥의 위엄

▲  장릉 배견정(拜鵑亭)과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둔 오래된 갈참나무
이 나무는 나이가 무려 400년에 이른다고 하며, 높이가 21m, 둘레가 3.8m에 달한다.
강원도-영월-35호


♠  오랜 역사를 간직한 장릉의 원찰(願刹) ~
발본산 보덕사(鉢本山 報德寺)

▲  수목이 울창한 보덕사 서쪽 부분

장릉에서 보덕사, 금몽암을 알리는 이정표를 따라 5분 정도 들어가면 길 오른쪽 개울 너머로 장
릉의 수호사찰인 보덕사가 모습을 드러낸다.
이 절은 668년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세운 지덕사(旨德寺)에서 시작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그
시절 의상은 당나라에 머물던 시기(661년에 건너가 670년에 귀국함)이므로 그가 세웠다는 것은
말이 되질 않는다. 그 외에 686년(신문왕 5년)에 의상이 세웠다는 설도 있고, 714년에 혜각선사
(蕙覺禪師)가 세웠다고 우기기도 하나 대체로 신라 후기나 고려 때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1132년(인종 10년) 설허(雪虛)와 원경국사(元敬國師)가 극락보전과 사성전, 염불암, 침운루(沈
雲樓) 등을 증축했으며, 1457년에는 노릉사(魯陵寺)로 이름을 갈았다. 1705년 장릉을 관
리하는
원찰(願刹)로 지정되면서 한의(漢誼)와 천밀(天密)선사가 큰 종을 만들었으며, 1726년에
는 장릉
의 제수(祭需)를 담당하는 절인 조포사(造泡寺)로 지정되면서 왕실에서 많은 지원을 받
게 된다.
이때 왕실에 바짝 잘보이고자 나라의 덕을 갚는다는 뜻의 보덕사로 이름을 고쳤다.


1854년 불의의 화재로 극락보전과 종각이 전소되어 1868년에 중수했으며, 그 시절 절의 규모가
상당하여 절에 속한 밭이 1,000석, 승려는 무려 100명이 넘어 오대산 월정사(月精寺)의 말사(末
寺) 가운데 가장 컸다고 한다. 허나 6.25전쟁으로 극락보전과 해우소를 제외한 대부분이 소실되
어 쪽박을 차게 되었고, 이후 꾸준한 불사를 벌여 예전의 모습을 서서히 회복하고 있다.

보덕사는 발본산(鉢本山) 자락에 안겨있는 산사(山寺)가 분명하지만 절이 들어앉은 터가 평지이
고 마을과도 가까워 산사의 분위기는 조금 떨어진다. 절에서는 발본산 대신 한참이나 멀리 떨어
진 '태백산(太白山) 보덕사'라 칭하고 있으며, 여기서 바라보는 서쪽 동을지산(冬乙旨山)의 일
몰 풍경이 매우 아름답기로 명성이 자자하다. 또한 석양(夕陽)에 은은하게 울려퍼지는 절의 범
종소리는 영월8경의 하나로 손꼽혔다.

제법 넓은 경내에는 법당(法堂)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산신각과 선방, 사성전, 칠성각 등 8~9
동의 건물이 있으며, 선방과 칠성각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서향(西向)을 취했다. 소장문화유산
으로는 지방문화재인 극락보전과 해우소가 있다.


▲  보덕사로 인도하는 극락1교와 일주문(一柱門)

▲  천왕문에서 바라본 일주문 주변

속세에서 보덕사에 들어가려면 계곡 돌다리를 건너야 된다. 돌다리는 모두 2개로 극락(極樂)이
란 이름을 지녔는데, 일주문 앞 다리는 극락1교, 그 북쪽 것은 극락2교이다. 다리는 근래에 지
어진 탓에 손대기가 아쉬울 정도로 무척이나 하얀 피부를 자랑한다.

번뇌를 계곡에 내던지고 다리를 건너면 다리의 이름 그대로 극락을 염원하는 보덕사 경내가 펼
쳐진다. 절은 계곡만으로도 안심이 되질 않는지 계곡 쪽에 기와를 얹힌 흙담장을 길게 둘러 속
세와 부처 세계의 경계를 다시 한번 그었다. 즉 2중으로 경계선을 설치해 속인들이 지니고 오는
번뇌와 절에 놀러오는 화마(火魔) 등의 악귀를 철저히 경계하는 것이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천왕문까지 길이 곧게 이어
져 있다. 그 좌우로 나이가 지긋한 아름드리 나
무들이 앞다투어 중생을 영접한다. 그들 중에선
왼쪽 사진의 느티나무가 가장 연세가 높아 무려
600살이 넘었다고 한다. 거의 보덕사 내력의 절
반 가까이를 산 셈이다. 높이는 25m에 이르러
그 꼭대기는 거의 하늘에 맞닿아 있는 듯하며,
영월군 보호수의 하나로 주변 나무와 함께 자연
과 어우러진 보덕사의 아름다움을 매섭게 드높
인다.

길 오른쪽에는 연꽃과 개구리의 운동장인 조그
만 연못이 자리해 있다. 가을임에도 아직도 백
련(白蓮) 일부가 자꾸 떨구어지는 고개를 간신
히 붙잡으며 올해의 막바지 아름다움을 선보인
다.


▲  청초한 아름다움을 지닌 백련의 보금자리 보덕사 연못

▲  맵시가 고운 관음보살상

▲  사천왕의 보금자리인 천왕문(天王門)


▲  보덕사 해우소(解憂所) - 강원도 지방문화재자료 132호

천왕문 우측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 고색의 때가 가득한 창고처럼 보이는 2층 건물이 있다. 바
로 보덕사 해우소이다.
절에서는 뒷간을 해우소라고 부른다. 해우(解憂)는 근심을 풀거나 해결한다는 뜻으로 볼일을 보
면서 몸 속의 노폐물이 싹 내려가는 것을 해우로 비유했다. 뒷간에서 보는 볼일처럼, 볼일을 볼
때 나오는 고약한 냄새처럼 세상사 근심걱정도 싹 내려가고 냄새로 싹 사라지면 얼마나 좋을까?

보덕사 해우소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형태를 띈 맞배지붕 건물로 상량문(上樑文)에 따르
면 1882년(고종 19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내부는 앞뒤 2열로 분리하여 각각 6칸씩 볼일 보는
곳을 두었으며, 남녀 사용을 구분했다. 오래된 건물임에도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화장실의
기능을 변함없이 수행하고 있으며, 선암사(仙巖寺) 해우소와 더불어 문화재로 지정된 이 땅에
흔치 않은 옛 해우소이다.


▲  보덕사 극락보전(極樂寶殿) - 강원도 지방문화재자료 32호

천왕문을 지나면 조그만 돌맹이가 잔잔히 깔린 넓은 뜨락과 극락보전, 선방(禪房), 5층석탑 등
이 나타난다.
극락보전은 보덕사의 법당으로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
붕 건물로 1161년 원경국사가 세웠다고 전하며, 지금의 건물은 1868년 화마에 희생된 것을 다시
지은 것으로 건물 현판은 해강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이 썼다고 한다. 마치 학이 하늘을 향
해 날개짓을 하듯 추녀를 치켜올린 극락전의 모습이 시원스럽다.

극락전 불단(佛壇)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대동한 목조아미
타3존불이 모셔져 있으며, 그 뒤로 색채가 고운 후불탱화가 병풍처럼 자리한다.

▲  극락보전 목조아미타3존불
눈을 지그시 뜨며 엷은 미소를 드러낸 그들이
삶에 지쳐 찾아온 중생을 따스히 맞는다.

▲  극락보전 옆에 자리한 석종형 승탑(僧塔)
1820년에 조성된 것으로 화엄대강사 설허당
대선사(華嚴大講師 雪虛堂大禪師)의 승탑이다.

       ◀  작고 단촐한 산신각(山神閣)
산신각은 근래에 지어진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우리에게 무척 친숙한 산신(山
神)의 보금자리이다. 건물 내부 우측 벽에는 태
백산신으로 추앙된 단종과 그에게 산머루를 바
치는 추익한(秋益漢)의 모습이 담긴 그림이 있
다.


▲  산신 가족의 단란함이 엿보이는 산신도


▲  단종과 추익한의 마지막 만남이 담긴 그림

단종을 수식하는 충신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추익한(1383~1457)은 1411년 문과(文科)에 급제하
여 한성부윤(漢城府尹)과 호조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낸 인물이다. 1433년 퇴직하여 영월로 내
려와 학문과 자연을 벗삼으며 팔자 좋은 시간을 보내던 중, 1456년 단종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유배를 왔다.
그는 단종을 자주 찾아가 문안을 올리며, 시문을 지어주었고, 산에서 따온 산머루와 다래를 진
상하며 우울해하던 단종을 늘 다독거려주었다. 그러다가 1457년 10월 24일, 그날도 여전히 산에
올라가 단종에게 줄 산머루를 따고 있는데, 난데없이 곤룡포(袞龍袍)를 걸친 단종이 백마를 타
고 그 앞에 나타났다. 추익한은 깜짝 놀랐지만 반가운 마음을 보이며 산머루를 올렸다. '전하!
여기 산머루가 맛이 좋습니다. 한번 들어보십시요'

그러자 단종이 '나는 태백산으로 가는 길입니다. 머루는 관풍헌(觀風軒)에 갖다두십시요~' 하고
는 말을 몰아 급히 사라지는 것이다. 난데 없는 단종 출현에 마음이 불안하여 서둘러 읍내로 내
려가니 글쎄 단종은 이미 처단되어 그 시신이 동강(東江)에 버려진 것이 아닌가. 그가 산에서
본 단종은 태백산으로 가던 단종의 혼으로 추익한에게 마지막 인사를 했던 것이다. 산신각 우측
의 이 그림은 바로 그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단종이 죽자 추익한은 크게 애통해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어 그를 따랐다. 이에 영월 사람들은
그를 추충신(秋忠臣)이라 부르며 사당을 지어 그의 뜨거운 충절의 얼을 기렸다.

▲  사성전 우측의 칠성각(七星閣)
칠성(七星)과 독성(獨聖, 나반존자)의
보금자리이다.

▲  선방 옆에 자리한 보덕사 샘터
중생에 대한 부처와 자연의 넉넉한 마음이
담긴 듯, 가뭄에도 물이 마를 날이 없다.


▲  경내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 사성전(四聖殿)

사성전은 부처와 보살, 나한(羅漢), 신중(神衆)을 봉안한 건물로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여
겨진다. 지금의 건물은 6.25 이후에 중수한 것으로 석가불과 미륵불, 제화갈라의 3존불과 나한
상, 장군상 등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들 불상은 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불상에서 19세
기 중반 유물이 쏟아져 나와 후불탱화와 더불어 지금은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가 있다.

※ 영월 보덕사 찾아가기 (2013년 11월 기준)

* 동서울터미널에서 영월행 직행버스가 30~60분 간격으로 떠나며, 강남 센트럴시티에서 영월행
  고속버스가 1일 4회 떠난다.
* 청량리역, 양평역, 원주역에서 강릉, 아우라지행 무궁화호 열차가 1일 7~8회 떠난다.
* 인천, 대전(동부), 원주, 제천, 태백에서 영월행 직행버스 이용
* 영월터미널 부근 군내버스 정류장에서 연당, 마차, 주천 방면으로 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장릉
  에서 내리거나 도보 30분
* 영월역에서 장릉까지 바로 이어주는 교통편이 없다. 택시를 타고 바로 가는 것이 편하며, 걸
  어갈 경우에는 1시간 정도 잡아야 된다.
* 승용차로 갈 경우 (경내에 주차장 있음)
① 중앙고속도로 → 제천나들목을 나와서 제천, 영월방면 38번 국도 → 방절터널을 지나 서영월
   나들목에서 우회전 → 청령포교차로에서 좌회전 → 청령포입구에서 좌회전 → 장릉3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바로 나오는 3거리에서 보덕로로 좌회전 → 보덕사 주차장
*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00 (☎ 033-374-3169)


♠  단종의 꿈속에 나타났던 조그만 산중암자, 절집보다는 양반가의 분위기가
진하게 풍기는 금몽암(禁夢庵) - 강원도 지방문화재자료 25호

보덕사에서 100m 정도 오르면 보덕사의 옆구리로 흐르는 계곡을 건너는 다리가 있다. 다리에는
보주(寶珠)를 상징하는 듯한 둥그런 돌이 난간의 역할을 대신한다. 다리를 건너서부터 길은 시
멘트길에서 흙길로 변화되고 민가도 눈에 띄게 줄어든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리를 바꾼 계
곡 건너는 범인(凡人)은 함부로 들어가선 안되는 신성한 구역처럼 소나무가 빽빽하다. 바로 장
릉(莊陵)을 안고 있는 동을지산이다. 영월에서 장릉은 완전 성역(聖域)이나 다름없다.

다리를 건너 500m 정도 가면 숲이 울창한 발본산의 품으로 들어서게 되며, 비로소 나그네를 핍
박하던 뜨거운 햇빛에서 자유롭게 된다. 여기서 절까지는 아름다운 숲길로 길 옆에 청류(淸流)
의 개울이 졸졸졸 노래를 흐르며 한강(漢江)으로 흘러간다. 나무들이 베푼 청정한 기운에 속세
에서 지니고 온 번뇌가 싹 씻겨내려간 듯 마음이 시원해진다.


▲  가을에 슬슬 물들어가는 금몽암 숲길
보덕사와 달리 인적이 뜸한 금몽암 숲길, 숲길에 충만한 맑고 청정한 기운을
나 혼자 독점하며 마음껏 누려본다. 이곳의 맑은 공기, 우리집으로 훔쳐와
영원히 맛보고 싶을 따름이다.

▲  금몽암을 찾은 나그네를 오래된 호도나무

금몽암에서 식량을 충당하고자 심은 호도나무로 나이가 무려 250년에 달한다. 결코 없어지지 않
는 오랜 세월을 양분으로 삼아 키가 18m에 이르는 어엿한 나무로 성정했으며, 나무 둘레는 0.6m
이다. 강원-영월-58호

▲  제법 묵은 티가 풍기는 금몽암 해우소

▲  보관(寶冠)을 쓴 홀쭉한 미륵불

푸르른 숲길의 끝에는 양반가의 별장 같은 금몽암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그런데 생겨 먹
은 것은 절집과는 거리가 있는 양반가의 기와집 형태를 띄고 있어 이곳에 온 나그네의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내가 번지수를 잘못 짚었나?' 허나 그곳은 엄연한 절집 금몽암이다.

금몽암은 의상대사가 세웠다는 보덕사의 전신(前身), 지덕사(旨德寺)의 옛 자리라고 전하나 근
거는 없다. 암자의 이름이 특이하게도 '궁궐<'禁'에는 궁궐이란 뜻도 있음>에서의 꿈'을 뜻하는
금몽암인데 이는 단종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단종이 영월로 유배를 와서 관풍헌(觀風軒)에서 마지막 해를 보내던 1457년 어느 날, 근교를 거
닐다가 이곳까지 오게 되었는데, 궁궐에 있을 때 꿈 속에서 본 절과 완전 같았다고 한다. 그래
서 '궁궐에서 꿈꾸었던 암자'란 뜻에서 금몽암(금몽사)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이후 단종을 배향(配享)하는 원당(願堂)이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610년에 영
월군수 김택용(金澤龍)이 중수하여 노릉암(魯陵庵)이라 하였다. 1662년 군수 윤순거(尹舜擧)가
절을 수리하여 지덕암이라 했으나 1698년 보덕사가 장릉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암자는 문을 닫
았다. 그러다가 1745년(혹은 1770년) 장릉 참봉(參奉) 나삼(羅蔘)이 기와집을 짓고 암자로 삼아
금몽암이라 했다.

금몽암은 'ㄱ'자 모습의 툇마루를 갖춘 16칸의 기와집이 전부다. 돌로 높이 석축을 쌓아 그 위
에 높다랗게 지어졌는데, 그 안에 법당과 선방(禪房), 공양간이 담겨져 있으며, 절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주문(一柱門)이나 천왕문, 석탑은 아예 없다.


▲  모습을 드러낸 금몽암
절집보다는 양반가의 별장에 들어선 기분이다. 이렇게 봐서는 그 누가
절이라 여기겠는가~~?

▲  금몽암으로 들어서는 대문
빗장을 열고 열고 들어가면 금몽암 본당과
좁은 뜨락이 나온다.

▲  언제봐도 늘 정겨운 돌담장
울긋불긋한 담쟁이덩굴을 이불로 걸치며
초가을의 단잠을 즐긴다.


▲  금몽암 현판이 걸린 금몽암 본전(本殿)


▲  불단에 봉안된 석가3존불
가운데 석가불이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대동하며 환한 미소로
중생을 맞는다. 저들은 1978년에 조성되었다.

▲  석가의 설법장면을 담은 영산회상도

▲  불단 한쪽에 자리한 지장보살상


▲  누각 형태의 금몽암의 북쪽 부분
강당 및 손님 맞이 공간으로 벽을 두지 않고 활짝 속살을 보이고 있으며,
그 밑에는 창고가 있다.

▲  북쪽 부분 내부
순전히 나무로 이루어진 우리네 전통 한옥의 형태로 이곳에 자리 피고 앉으면 숲과
계곡에서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의 희롱을 즐기며 더위를 잊기에 아주 좋다.
탁자에는 차 1잔의 여유를 누리게끔 다기(茶器)가 놓여져 있다.


▲  속세에 숨겨진 숨겨진 금몽암 본전 뒤쪽 부분

본전 기와집이 전부인줄 알았더만 그게 아니었다. 그 뒤쪽에도 저렇게 공간이 있었다. 허나 본
전에 완전히 가려져 외부에는 잘 드러나지 않은 비탈진 공간으로 장독대와 근래에 지어진 정면
1칸, 측면 1칸의 조촐한 산신각이 자리를 채운다.

부엌 남쪽에는 산에서 해온 듯한 장작더미가 정겨운 풍물시(風物詩)를 연출한다. 절 남쪽 그러
니까 앞의 호도나무 뒤쪽 산자락에는 절에서 꾸리는 넓지 않은 밭이 있으며, 주차장 부근에 옥
계수가 쏟아지는 약수터가 있는데 물맛이 개운하다.

속세의 기운이 들어오기 힘들 듯한 깊은 산중에 터를 닦은 금몽암, 마치 첩첩산 산골에 남몰래
자리한 신선의 별장에 들어선 듯 기분이다. 부엌이 현대화된 것 외에는 조선 후기 한옥 양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울창한 숲속에 자리해 있어 속세를 잠시 등지고 싶을 때 소리 없이 다
가가 살짝 안기고 싶은 절집이다.

※ 금몽암 찾아가기 (2013년 11월 기준)

* 보덕사에서 12분 정도 걸으면 금몽암이다. (절 앞에 주차장 있음)
*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17 (보덕사 ☎ 033-374-3169)


♠  단종애사의 현장 낙화암과 민충사, 금강정을 품으며
쪽빛 물결의 동강을 굽어보는 영월 금강공원(錦江公園)

영월 땅에 무수히 서려있는 단종애사(端宗哀史)의 현장 가운데 낙화암(落花岩)을 빼놓을 수 없
다. 낙화암하면 흔히 부여(扶餘)의 낙화암을 떠올릴 것이다. 660년 7월 나당(羅唐)연합군에게
백제의 도읍인 사비성(泗泌城, 부여)이 털리자 여인 수백 명이 한 송이의 가련한 꽃잎이 되어
떨어진 그 현장 말이다. 그 연유로 낙화암이란 이쁘고도 구슬픈 이름을 지니게 된 것인데, 그런
낙화암이 부여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부여의 그곳처럼 깎아지른 낭떠러지에 벽수(碧水)가 흐르
는 곳, 거기에 적절한 사연을 가진 여인네가 몸을 던지면 그곳이 바로 낙화암이 되기 때문이다.
영월의 낙화암 역시 그런 조건을 갖추었는데, 이곳에서 몸을 던진 여인은 단종을 시종하던 시녀
(侍女) 6명이다.
그들 중 궁녀(宮女)는 서울에서 같이 내려왔고, 관비(官婢)는 영월 관아에서 단종의 편의를 위
해 딸려주었다. 1457년 10월 24일 유시(17~19시)에 단종이 쓰디쓴 사약을 마시며 인생을 강제로
내려놓자 궁녀와 관비는 슬피 울면서 바로 이곳에서 몸을 던져 단종의 뒤를 따랐다. 이때 죽은
이는 궁녀 자개(者介)와 불덕(佛德), 관비 아가지(阿加之), 무녀 용안(龍眼), 내은덕(內隱德),
덕비(德非)로 전한다. 그들의 넋은 단종의 무덤을 찾아와 두견(杜鵑)이 되었다고 전하는 단종의
영혼 앞에 울면서 절을 했다고 하는데, 그 현장이 장릉 동쪽의 배견정(拜鵑亭)이라는 것이다.

영월 낙화암은 동강을 굽어보는 아찔한 절벽으로 금강정에서 동쪽으로 50m 떨어져 있다. 충절의
꽃을 피운 단장의 현장이라 나도 모르게 옷깃을 여미게 하지만 이곳의 애절한 사연을 아는지 모
르는지 동강은 그저 그의 갈 길만 재촉할 뿐이다. 대자연이 빚은 빼어난 경승지라 풍경은 차관
도 아닌 장관을 이루며, 칼같이 솟은 산자락 사이로 동강과 서강 2개의 강이 만나는 곳에 베개
삼아 누워있는 영월 고을의 포근함이 느껴진다.

이렇게 경치가 아름다운 곳에는 정자나 누각이 있기 마련으로 조선 세종 때 지어진 금강정이란
정자가 있다. 또한 단종의 뒤를 따른 시녀의 넋을 모신 민충사가 낙화암을 바라보고 있으며, 영
월의 춘향으로 일컬어지는 고경춘의 순절비가 시녀들이 충절을 바치며 몸을 던진 그 자리에 서
있다. 이 일대를 통틀어서 금강공원이라 불리는데, 수목이 울창하고 청정한 동강이 바로 아래라
선선한 강바람이 언제나 공원에 감돈다. 수목에 감싸인 호젓한 산책로는 햇빛이 들어오기 버겨
울 정도로 한여름의 염통마저 쫄깃하게 만든다.

금강정과 낙화암 강변은 천길 낭떠러지라 탐방에 주의가 필요하며, 공원 바로 서쪽에는 KBS영월
방송국이 늘씬한 방송탑을 하늘 높이 띄우고 있다. 그리고 공원 뒤쪽에는 영월8경의 하나인 봉
래산(蓬萊山, 800m)이 장대한 모습으로 읍내를 바라보고 있는데, 그 정상에는 영월의 신세대 명
소로 주목을 받는 별마로천문대가 있다.


▲  영월대교에서 바라본 동강과 낙화암(왼쪽)
멀리 보이는 다리는 태백으로 통하는 38번 국도이다.

▲  영월읍내 비석거리와 창절서원(彰節書院)에서 가져온 오래된 비석들
선정비와 불망비 등 고을 원님을 찬양하는 비석이 주류를 이룬다. 허나 저들 중에
속칭 비석치기의 대상이 된 비석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  자연의 아름다움이 깃들여진 전나무 숲길
늘씬한 자태를 선보이며 하늘을 향해 솟은 전나무들, 그들의 그늘에는
영월이 낳은 인물들의 기념비가 싹을 틔웠다.


▲  금강공원 산책로
한참 푸르름의 절정에 이른 나무들 사이로 호젓한 산책로가 나그네를 반긴다.
저 길을 거닐다가 갑자기 신선이나 선녀에게 잡혀가는 것은 아닐까?


▲  금강정(錦江亭) - 강원도 지방문화재자료 24호

금강공원 중간 부분에는 영월읍민의 오랜 휴식처인 금강정이 동강을 굽어보고 있다. 조망이 장
관인 금강정은 1428년 영월군수 김복항(金福恒)이 이곳 절경에 감탄하여 가산(家産)을 털어 지
은 정자라고 전한다. 1684년에는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이곳 경관에 반해 금강정기(錦江
亭記)를 썼으며, 이승만(李承晩) 대통령도 '錦江亭' 현판을 남기며 이곳에 대한 마음을 비췄다.

금강정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현판이 가운데가 아닌 좌측으로 조금 쏠려 자
리한 것이 특이하며, 정자 앞에는 근래에 만든 조망대가 있는데, 동강과 영월읍내 남쪽이 훤히
바라보여 두 눈이 제대로 호강을 누린다.


▲  금강정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1)
동강에 다리를 담구며 영월읍의 남과 북을 이어주는 2개의 다리(영월대교, 동강대교)가
멀리 바라보인다. 다리 아래로 시리도록 맑은 동강이 넓은 세상을 향해 길을 재촉한다.

▲  금강정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2)

▲  단종의 뒤를 따른 6명 시녀의 혼이 깃들여진 민충사(愍忠祠) -
강원도 지방문화재자료 27호

금강정 뒤쪽 언덕에는 영월 낙화암의 주인공인 6명의 시녀를 기리는 민충사가 자리해 있다. 시
녀의 사당이라 그런지 사당은 매우 소박하고 조촐한 규모로 1742년(영조 18년)에 지어져 민충(
愍忠)이란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1791년 영월부사 박기정(朴基正)이 중수했다. 그후 6.25 때
파괴된 것을 영월군수 남원수(南元壽)가 다시 지었고, 그들이 동강에 몸을 던진 매년 음력 10월
24일에 영월군수가 제주(祭主)가 되어 제를 올린다.


▲  썰렁한 민충사 내부
시녀와 종인(從人) 2개의 신위(神位)가 멋떨어진 책상 위에 봉안되어 있다.
그들은 천한 신분인지라 개인별로 신위를 두지 않고 달랑 2개로 압축을 했는데
아무리 충절의 여인네라 한들 거기서도 계급상의 차별은 엄연히 존재했다.

▲  낙화암에 세워진 2기의 비석
민충사에 주인공인 6명의 시녀를 기리는
비석이다.

▲  낙화암을 다시금 빛낸 영월의 춘향(春享)
기생 고경춘(高瓊春)의 비석

낙화암을 지나면 고색이 짙은 조그만 비석 하나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세월이 달아준 고된 세
월의 때로 얼룩진 이 비석은 영월의 춘향인 고경춘을 기리고자 세운 비석이다.
그녀는 1757년 선비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생부인 고순익(高舜益)은 마음이 좋은 선비로
평소에 단종을 추모하며 살았다고 전한다. 딸이 태어나자 단종(노산군)이 점지해준 옥같은 딸이
란 뜻에서 이름을 노옥(魯玉)이라 했다.

노옥은 용모가 곱고 문학도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고을에서 소문이 자자했다고 한다. 허
나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면서 남동생과 어렵게 생활하는 처지가 되었고, 추월(秋月)이란 늙은
기생의 수양딸로 들어갔으나, 그 역시 생활이 넉넉치 못해 할 수 없이 기생(妓生)이 되고 만다.

기생이 되면서 경춘(瓊春)이란 기명(妓名)을 사용했는데, 늘 몸가짐을 바로하여 명성이 날로 높
아져 갔다. 그러다가 16세 때 장릉에서 영월부사 이만회(李萬恢)의 아들인 이수학(李秀鶴)을 만
나면서 춘향과 이몽롱처럼 그들은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허나 부사는 임기가 만료되어 서
울로 돌아갔고, 이수학 역시 과거를 본다며 상경을 했다. 그는 과거에 급제하여 돌아와 청혼을
할테니 3년을 기다려 달라고 청했고, 서로 끝없는 이별의 눈물을 뿌리며 그렇게 헤어지게 된다.

그후 새로 부임한 부사가 오자마자 병으로 죽자 그 대타로 문장가인 신광수(申光洙)가 영월부사
로 오면서 경춘의 비극은 시작되었다. 그는 경춘의 미모에 군침을 흘리고는 수청을 강요했는데,
경춘은 예전 부사의 아들인 이수학과의 관계를 말하며 수청을 거절했다. 그러자 뚜껑이 열린 신
광수는 수청을 들지 않으면 죽여버리겠다고 집요하게 위협을 했다. 아무리 하소연을 해도 부사
는 고집불통이었다. 서울에 있는 이수학에게 연통을 띄워 어떻게든 도움을 청하면 되지 않았을
까 싶지만 영월과 서울은 먼 거리라 연통을 급히 띄울 처지도 되지 못했다.
그래서 결국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면서 부모의 산소를 찾아가 하직 인사를 올린 후, 낙화암에서
이수학이 준 사랑의 증표를 꼭 지닌 채, 300년 전 단종을 위해 죽은 시녀들처럼 한 송이의 의로
운 꽃이 되어 동강으로 지고 말았다. 그때 그녀의 나이 불과 16세, 때는 1773년이었다.

그해 12월 신광수는 여러 비리가 밝혀져 관직에서 떨려났으며, 경춘이 순절한 지 20여년이 지난
1795년 순찰사(巡察使)인 손암 이공(遜岩 李公)이 영월을 순시했을 때 경춘의 서글픈 사연을 전
해 듣고 비석 건립을 후원했다. 이때 평창부사 남의로(南義老)가 글을 짓고 영월부사 한정운(韓
鼎運)이 글씨를 써 그녀가 투신한 현장에 '월기경춘순절지처(越妓瓊春殉節之處)'란 비석을 세우
며, 춘향보다 더 매서운 정절을 지닌 그녀의 의기(義氣)를 기렸다. 그런데 그녀와 혼인을 약속
했던 이수학은 서울로 올라간 이후 어찌되었는지는 내용이 없어 모르겠는데, 아마 곧게 죽지는
못했을 듯 싶다.
금강공원을 끝으로 강원도의 지붕, 영월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닫는다. ~~~

※ 금강공원 (금강정, 민충사, 낙화암) 찾아가기 (2013년 11월 기준)
* 영월역을 나와서 왼쪽(읍내 방면)으로 가면 덕포4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읍내 방면 북쪽 길로
  가면 영월대교인데, 다리를 건너면 바로 KBS영월방송국으로 오르는 금강공원길이 나온다. 그
  길로 접어들면 금강공원으로 이어진다. (찾기는 매우 쉬움)
* 영월터미널에서 중앙로를 따라 영월역 방면으로 10분 정도 곧게 가면 왼쪽에 KBS영월방송국으
  로 오르는 금강공원길이 나온다.
*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78일대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3년 11월 21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 손가락 view on을 꼭 눌러주세요 ★☆


Copyright (C) 201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 (공룡발자국화석, 연화산 숲길)

 

' 늦가을 산사 나들이 ~ 고성 연화산 옥천사(玉泉寺) '

  옥천사 대웅전  
옥천사 전나무숲길과 계단

▲ 옥천사 대웅전
옥천사 전나무 숲길과 계단
▶ 옥천사 독성각, 산령각

옥천사 독성각과 산령각


늦가을이 한참 절정을 쏟아내던 10월 끝무렵에 경남 고성(固城) 옥천사를 찾았다. 마산남부터
미널에서 통영행 직행버스를 타고 고성 북쪽 관문인 배둔에서 내려 개천으로 가는 군내버스를
기다렸다. 차는 거의 1시간 마다 있는데, 마침 20분 뒤에 있다.
차를 기다리기 심심하여 정류장 화단에서 놀고 있는 잠자리를 희롱하며 노닥거렸는데, 화단에
서 놀던 잠자리는 5마리였다. 잡힌 잠자리는 자비를 베풀며 무조건 석방시켰으나 그들은 멀리
가지 않고 주변에서 놀다가 또 내 손에 잡힌다. 그렇게 잡고 풀어주는 것을 반복하여 20여 번
정도 잡았으니 1마리 당 거의 4~5번 나의 거친 손을 거쳐간 셈이다.

드디어 개천행 버스가 정류장에 바퀴를 들이자 한 주먹거리도 안되는 잠자리 사냥을 그만두고
버스에 오른다. 버스 승객은 나를 빼고는 모두 노공(老公)들.. 내가 승객의 평균 연령치를 크
게 깎아준 셈이다.
버스는 외마디 부릉 소리를 배둔정류장에 남기며 1007번 지방도를 따라 마암면을 지나 개천면
으로 간다. 연화산의 품으로 바로 들어서는 듯 싶더니 좌연리에서 갑자기 우회전하여 교행 조
차도 불가능한 조그만 시골길을 거침없이 질주한다. 좌연리에서 바로 질러가면 옥천사 입구인
데 생각치도 못한 곳으로 강제 투어를 당하니 나도 순간 당황하고 말았다. 버스는 그런 날 외
면하며 봉치리와 용안리 구석구석을 강제 구경을 시켜주고 나서야 다시 1007번 지방도로 복귀,
옥천사3거리에 나를 내려놓는다.


♠  연화산(蓮花山)의 품으로 들어서다

▲  옥천사 입구에서 바라본 연화산(528m)

옥천사3거리에서 다리를 건너면 본격적으로 연화산 나들이가 시작된다. 가을 추수의 기쁨을 누
린 전답과 시골집들, 옥천사 관광객을 겨낭한 찻집과 주막들을 반대 방향으로 흘려 보내며 15분
정도 살랑살랑 걸으면 계곡 건너로 주차장과 숙박촌이 자리한 연화산 집단시설지구가 나타난다.
공룡상이 있는 다리를 건너 주차장으로 들어서면 서쪽 가장자리에 공룡발자국화석이 있으니 그
것도 반드시 살펴보도록 하자.


▲  주차장 다리 앞에 놓인 귀여운 공룡상

▲  방생장(放生場) 비석과 돌탑들

주차장 입구에는 10여 기의 돌탑과 방생장 비석이 자리해 있다. 방생은 살려서 놓아준다는 의미
로 이곳이 계곡 옆이니 여기서 방생의식을 했던 모양인데, 그 비석 피부에는 붉은 글씨로 '崇禎
紀元後 四 辛酉 四月(숭정 기원후 4신유 4월)'이라 쓰여 있어 1861년 4월에 만든 것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숭정은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崇禎帝) 의종(毅宗)의 연호로 1628년부터 명나라
가 풍비박산이 난 1644년까지 쓰였는데, 명이 사라진 이후에도 조선 조정과 사대부(士大夫)들은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과 명에 대한 아주 꼴사나운 꼴통 사대주의(事大主義)로 '숭정'이란 연호
는 무려 20세기 초까지 두고두고 우려먹었다. 그리고 '四 辛酉(4신유)'는 1628년 이후 4번째 신
유년이란 뜻으로 계산을 하면 1861년이 된다.


▲  옥천사계곡 공룡발자국 화석지

주차장 서쪽 계곡 암반에는 1억년 전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의 발자국 화석(化石)이 있다. 이들
은 용각류(Sauropoda, 잡식성 공룔) 공룡의 발자국들로 바위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얕게 패인 부
분이 그들의 발자국이다. 그리고 화석이 있는 암반 위쪽에는 중생들이 정성스레 얹힌 돌탑들이
널려 있다.


▲  공룡발자국 화석을 품은 계곡 암반

▲  공룡의 발자국화석
그들의 발자국 하나가 내 얼굴보다 크다. 여기서 뛰어 놀던 그들은 전설처럼
사라지고 그들의 발자국만 남아 아련하게 그 시절을 읊어줄 따름이다.

경남 고성은 스스로 공룡나라를 칭하며 공룡을 고을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고성은 우리나라 최
초로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고을 전역에서 발견된 것만 5,000여 개에 달해 미국 콜
로라도, 아르헨티나 서부해안과 더불어 세계3대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産地)로 손꼽힌다. 게다
가 바닷가에 있는 상족암은 공룡 화석의 성지(聖地)로 고성공룡박물관까지 들어서 있다. 이렇게
공룡의 흔적이 부지기수로 많으니 고성이 공룡나라를 칭하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하다.


▲  인간의 상상으로 깜찍하게 포장된 공룡

공룡발자국화석지 옆에는 깜찍한 공룡상이 있다. 그들은 우리와 마주칠 일도 전혀 없는 먼 옛날
의 존재로 가볍게들 생각하고 있지만 만약 인간과 공룡이 공존을 한다면 분명 호환마마 그 이상
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저렇게까지 귀엽게 만들지도 않았겠지. <공룡(恐龍)의 공(恐)은 매우
두려워한다는 뜻임>


▲  옥천소류지(沼溜地)

▲  매표소 쪽에서 바라본 옥천소류지

집단시설지구 주차장에서 5분 정도 오르면 옥천사계곡물을 모은 저수지가 나온다. 그의 명칭은
옥천소류지로 연화산이 베푼 계곡물이 옥천사를 끼고 졸졸졸~♪ 흐르다가 이곳에 모여 끝없는
대장정을 준비한다. 늦가을의 절정을 누리며 처절한 아름다움을 비치는 나무들과 알을 품은 어
미새처럼 푸근하기 그지없는 연화산 산줄기는 수면에 비친 자신의 매뭇새를 다듬으며 몸단장에
여념이 없고, 삼삼한 숲에 둘러싸인 호수의 자태는 첩첩한 산중에 안긴 비밀의 호수처럼 신비롭
고 아름답기 그지 없다.

옥천소류지의 경치에 취한 것도 잠시~ 그리 달갑지 않은 존재가 내 흥을 깨뜨리며 발길을 막는
다. 바로 옥천사매표소이다. 매표소에는 아저씨 1명이 지키고 있었는데, 입장료를 보니 무려
1,300원(학생은 1,000원)이다. 입장료의 압박에서 벗어나고자 고성읍 무량리(우리 집안 고향임)
가 집안 고향이라 들이대면서 슬쩍 대학생 할인 여부를 물으니 고향과 본관이 고성이란 말에 아
저씨는 반가운 표정을 지으며 오늘은 평일이고 하니 그냥 들어가라고 그런다. 뜻밖에 호의에 감
사의 뜻을 표하고 별탈없이 매표소를 통과했다.


▲  옥천사 일주문(一柱門)

매표소를 지나면 옥천사 주차장이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으로 오르면 옥천사의 관문인 일주문이
마중을 한다. 이 문은 1984년에 지어진 것으로 현판에는 '연화산 옥천사'라 쓰여 이곳의 정체를
밝혀주며, 문을 들어서면 아름답기 그지 없는 옥천사 숲길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  가는 길목에 중생들의 목을 축여주는 샘터도 있다.

옥천사 숲길은 하늘을 가리며 솟아난 늘씬한 나무들로 거대한 수해(樹海)를 이룬다. 숲 밖은 훤
한 대낮이지만 숲 안은 오히려 그늘지게 어두워 따사로운 햇빛마저 우걱우걱 삼켜버린다. 산사(
山寺)로 가는 숲길 치고 아름답지 않은 길은 거의 없겠지만 옥천사 숲길은 그중에서도 천하 으
뜸이라 할 정도로 아름다움이 깊다. 길을 가다가 선녀 누님이 툭 튀어 나와도 이상할 것이 없을
정도로 말이다.
나무들이 베푼 선선한 산바람에 번뇌는 날려가지 않으려고 발악을 한다. 허나 결국은 날려간 모
양이다. 마음이 가뿐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멀리 날라가지는 못하고 매표소 밖 소류지에서 물
놀이를 하며 나를 기다리고 있었으니 번뇌의 무게가 참 무겁긴 무거운 모양이다.

숲길 중간에는 샘터가 있다. 연화산이 중생들의 갈증을 우려하여 베푼 옥계수로 석조(石槽)에는
늘 물로 가득하다. 바가지에 물을 가득 담아 마시니 몸 속의 온갖 때가 싹 가신 듯 마음이 시원
하다. 샘터를 지나면 길 왼쪽에 사적비와 부도군이 있으며, 부도군에는 조선 후기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승탑(부도)들이 시간을 초월하며 어깨를 나란히 한다.


▲  옥천사 사적비와 부도군(浮屠群)
옥천사의 내력이 적힌 사적비와 옥천사와 인연이 깊은 승려의 승탑(僧塔)이
숲속에 터를 닦았다.


♠  옥천사 입문 (천왕문, 범종루 주변)

▲  천왕문(天王門)

일주문에서 10분 정도 오르면 절의 2번 째 문인 천왕문이 마중한다. 이 문은 1989년에 만든 것
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문 안에는 천왕문의 주인이자 부처를 수호하는
사천왕(四天王)이 눈을 부아리고 중생을 검문하며, 문 앞에는 속인(俗人)들이 끌고 온 수레들이
뒷꽁무니를 들이밀며 바퀴를 접고 쉬고 있다.

▲  사천왕(四天王)의 위엄
왼쪽부터 보탑(寶塔)을 들고 선 다문천왕(多聞天王), 비파 연주의 달인 지국천왕(持國天王),
칼의 달인 증장천왕(增長天王), 철쇄(鐵鎖) 비슷한 것을 든 광목천왕(廣目天王)

▲  증장천왕 발에 짓밟힌 악귀(惡鬼)

사천왕은 부처 및 불법을 지키는 경호대장에 걸맞게 대단한 외모과 풍채를 자랑한다. 눈초리가
매섭긴 하지만 쳐다보면 볼 수록 정이 드는 밉지 않은 얼굴이다. 허나 사천왕에 밟힌 악귀들은
사정이 그렇지를 못해 한결같이 인상들이 더러운데 그들 눈빛은 원망과 살기로 가득해 보인다.


▲  붉은 벽돌담에 둘러싸인 비각(碑閣)

        ◀  비각에 안긴 선경비(善敬碑)
천왕문을 들어서면 붉은 벽돌 담장에 둘러싸인
조그만 비각을 만나게 된다. 비각 안에는 지붕
돌을 얹힌 비석이 안겨져 있는데, 이 비는 옥천
사에 시주를 많이 한 어느 사대부를 기리고자
세운 것이다. 비문 내용은 '贈 戶曹判書 安公
善敬碑'라 쓰여 있어 나중에 호조판서로 추증(
追贈)된 안씨 성을 가진 사대부가 비석의 주인
임을 알 수 있는데, 비석이 세워진 것은 1922년
이다.

비각 앞에는 하마비(下馬碑)가 서 있는데, 그렇
다고 선경비를 위해 세워진 것은 절대로 아니다.
이 자리는 원래 제왕의 수복(壽福)을 빌던 축성
전(祝聖殿)이 있던 곳이라 그 앞은 무조건 말에
서 내리라는 뜻의 하마비를 세운 것이다.


▲  축성전터를 지키는 하마비의 위엄
지체 높은 고관대작(高官大爵) 마저 꼼짝 못하게 만든 하마비 3글자에
자못 위엄이 서려 보인다.

◀  경내를 목전에 둔 전나무 숲길

비각을 지나 다리를 건너면 길 좌우로 늘씬하게
솟은 전나무가 조촐하게 숲길을 이룬다. 비록
10m 남짓의 짧은 거리지만 소소하게 멋을 풍기
며 옥천사의 아름다움을 수식하는데 일조한다.
가을도 반하여 머무는 그 숲길 바닥에는 한 시
절 폼나게 살다간 낙엽들이 깔려 알록달록 카페
트를 이룬다. 귀를 접고 누운 낙엽을 보면서 올
해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실감나게 하니
세월의 자비 없는 조급함에 그저 한숨만 나올
뿐이다.
그런 숲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자방루 뜨락이
나온다.


▲  범종각(梵鍾閣)

전나무숲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연병장처럼
넓은 자방루 뜨락이 펼쳐진다. 뜨락 왼쪽에는
범종각이 자리해 있는데, 범종(梵鍾)과 법고(法
鼓), 운판(雲版), 목어(木魚) 등 사물(四物)이
담겨져 있다. 범종 같은 경우는 1776년에 주조
된 대종(大鐘)이 있었으나 현재는 보장각에 있
으며, 1987년 재일교포 박명호가 시주하여 만든
종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박명호는 어린
시절 할머니와 이곳을 자주 찾았다고 하는데 당
시의 추억을 잊지 못해 거금을 시주했다고 한다.
그리고 사물 외에도 조선 때 싸리나무로 만든
큰 구시가 있는데, 이것은 큰 불사나 법회 때
밥이나 물을 담던 커다란 나무 통이다.

그럼 여기서 잠시 옥천사의 내력을 짚어보도록
하자.


▲  자방루 뜨락 좌측에 자리한 샘터


※ 연화산에 안긴 고성 제일의 고찰, 옥천사(玉泉寺) - 경남 지방기념물 140호
고성 제일의 명산(名山)인 연화산(蓮花山) 북쪽 자락에 고성 사찰의 갑(甲)인 옥천사가 포근히
둥지를 틀었다.
이 절은 676년(문무왕 15년)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는 10년에 걸친 당나
라 유학생활을 마치고 670년에 귀국하여 화엄종(華嚴宗)을 널리 알리고자 영주 부석사(浮石寺)
를 시작으로 좁아 터진 신라(新羅) 땅에 10개의 화엄종 사찰을 지었는데, 옥천사는 그중의 하나
로 세워졌다고 한다. 절의 이름은 지금도 이곳의 명물로 꼽히는 옥천(玉泉)이란 샘에서 유래되
었다고 하며, 과연 의상이 창건했는지는 속시원히 입증할 수는 없지만 최치원(崔致遠)이 하동
쌍계사(雙磎寺)에 남긴 진감선사대공탑비(眞鑑禪師大空塔碑, 국보 47호)에 '쌍계사는 본래 절
이름을 옥천사라 했으나 근처에 옥천사란 절이 있어 헌강왕(憲康王)이 쌍계사라 제액(題額)을
내렸다'
는 문구가 있어 옥천사가 그 이전부터 숨 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신라 말기인 898년에는 창원 봉림사(鳳林寺)를 세운 진경국사(眞鏡國師) 심희(審希)가 낭림선사
(朗林禪師)와 함께 중창을 벌였는데, 이때 크게 가람이 확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 때는 964년(광종 15년)에 혜거국사(惠居國師)가 혼응(混應)과 더불어 3번째 중창을 벌였고,
1110년(예종 5년) 혜은(慧隱)이 쇠퇴한 절을 다시 일으키니 이것이 4번째 중창이다. 그리고 예
종 시절에는 묘응(妙應)이 이곳에서 천태종(天台宗)을 강의했다고 한다. 1237년 최씨정권이 대
장경(大藏經) 불사를 위해 진주에 대장도감 분사(大藏都監 分司)를 두었는데, 옥천사 보융대사(
普融大師)가 일연대사(一然大師)와 함께 팔만대장경 교정 작업을 벌였으며, 그 공로로 5번째 중
창이 이루어졌다. 1371년(공민왕 20년) 지운(智雲)과 원오(圓悟)가 6번째 중창을 했다.

1392년 천하가 바뀌면서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으로 옥천사는 간신히 명맥만 유지했다. 1592
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옥천사 승려들은 의승군(義僧軍)을 조직하여 왜군(倭軍)과 싸웠으나 1597
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군의 공격으로 절 전체가 파괴되는 비운을 겪는다.
그 이후 1640년 학명(學明)이 절 아래 대둔마을에서 하룻밤 머물렀는데, 꿈에 신인(神人)이 나
타나 웅장한 절터로 인도하는 것이었다. 이를 괴이하게 여긴 학명은 이튿날 꿈 속에서 갔던 그
곳을 더듬어 찾으니 글쎄 그때 본 거대한 절터가 눈 앞에 펼쳐져 있는 것이다. 게다가 자리도
일품이었다. 그래서 친분이 있던 의오(義悟)와 함께 중창불사를 벌이기로 하고 1644년에 우선
동상당(東上堂)이란 초가를 짓고 이듬해 심검당을 세웠다. 허나 재정이 넉넉치 못해 1654년에
겨우 법당을 지었고, 1664년에 정문을 세워 7번째 중창을 마무리 지었다.

1677년 묘욱(妙旭)이 법화회(法華會)를 개설하여 향적전, 만월당을 짓고, 1680년 인근에 청련암
(靑蓮庵)과 백련암(白蓮庵) 등의 암자를 세웠다. 1764년에는 자방루를 짓고 그 앞에 뜨락을 넓
게 닦았는데, 여기서 승병 훈련을 했다. 조선 정부는 승군(僧軍)을 부리고자 바다와 가까운 절
에 의무적으로 승병을 두게 했는데, 영조 시절 옥천사 승군은 300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또한
당시 절 규모는 요사 5동, 산내암자 7개였으며, 물레방아가 12개나 있을 정도로 크게 흥했다.
이때가 8차 중창이었다.

달은 차면 기운다고 했던가. 1800년(정조 24년) 나라에 종이를 바치는 어람지 진상사찰(御覽紙
進上寺刹)로 선정되었다. 병역과 각가지 부역(負役)도 힘든데 거기에 종이까지 만들어야 되니
그 부담이 실로 상당했을 것이라 심한 부역을 이기지 못한 승려들이 자꾸 도망을 치면서 절이
크게 기울게 된다. 그래서 1842년 승군의 정원을 170명에서 100명으로 줄이고 종이 물량도 크게
감량해 주었으나 여전히 감당이 되지 않아 1880년에는 겨우 10여 명만 남았다고 한다.
1863년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인 신관호(申觀浩)가 절을 방문해 '연화옥천(蓮花玉泉)'
이란 글을 남겼는데, 이때 주지인 농성(聾醒)이 어람지 진상사찰에서 빼줄 것을 호소했다. 그
말이 옳다 여긴 신관호는 바로 조정에 장계(狀啓)를 올리면서 종이 부역에서 해방되었다.

옥천사는 19세기에 진주와 고성 지역 사대부(士大夫)와 여러 관청에서 적지 않은 지원을 받았다.
그러다보니 지배층과 관(官)과 한통속이라 백성들은 생각을 했던 듯 싶다. 백성들은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온갖 수탈로 허리가 아작날 지경인데, 옥천사는 종이 부역과 승병 군역이 있을 뿐,
그런데로 지원을 받으며 먹고 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1862년 진주민란(晉州民亂)이 터지자 농
민들은 절로 몰려와 경내 외곽의 건물과 대종을 파괴했으며, 1888년 동학농민항쟁이 일어났을
때도 농민들이 다시 몰려가 많은 건물에 불을 질렀다. 이에 뚜껑이 열린 용운대사(龍雲大師)가
정면으로 나서
'이 절에는 전하(殿下)의 수복을 비는 축성전이 있소. 더 이상 불을 지르면 당신들을 역적으로
몰아 삼족을 멸할 것이오!!'
호통을 치니 이에 간이 쫄깃해진 농민들은 겁을 먹고 줄행랑을 쳤
다. 그 덕분에 대웅전, 자방루는 온전히 살아남게 된 것이다.

어쨌든 사대부와 관의 지원으로 적묵당과 탐진당을 중수했고, 힘들다고 도망친 승려를 소환하면
서 예전의 명성을 조금씩 되찾기 시작했다. 1890년에는 조정이 전국에 교지(敎旨)를 보내 왕실
을 위해 기도를 올리라고 지시했다. 이에 경상도관찰사이자 진주목사인 박규희(朴珪熙)가 개인
자금을 털어 옥천사에 왕실의 안녕을 비는 건물을 지었는데, 이 소식을 들은 고종은 흐뭇해하며
축성전이란 사액을 내렸으며, 명부전과 나한전, 칠성각을 끊임없이 중건하면서 이른바 9번째 중
창은 마무리되었다.
이 당시 옥천사 소유 전답은 800여 마지기로 인근 농민들에게 소작(小作)을 주어 5:5 비율로 받
아 매년 1,000석의 수입을 챙겼다. 또한 산을 개간해 560정보를 전답으로 만들었으며, 세곡 수
입을 바탕으로 계속 전답을 불렸고, 승려 수도 나날이 늘어 300명이 넘었다고 한다.

1911년 왜정(倭政)이 사찰령(寺刹令)을 공포하고 전국 31본산(本山)을 정할 때 옥천사가 그 하
나로 지목되었다. 허나 당시 주지인 서응대사<瑞應大師, 채서응(蔡瑞應)>이 서울 주지회의에 참
석하여, 대본산 지정을 거절했다. 그로 인해 옥천사 승려들의 칭송이 대단했다고 한다. 1920년
경에는 진주에 포교당을 만들어 연화사(蓮花寺)라 하였다.

옥천사는 왜국으로 승려 15명을 유학보내기도 했으며, 이들은 장차 절 주지와 교육계로 진출했
다. 그리고 잠시나마 옥천중학교를 설립하기도 했고, 상해임시정부에 자금을 보내는 등 나라의
독립활동에도 적극 나섰다. 또한 절은 통도사의 말사(末寺)이지만 워낙 파워가 대단하여 통도사
에서 주지를 파견하지도 못했다. 옥천사 자체에서 중론으로 주지를 선출하여 통도사에 승인을
요구하는 형식을 취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1950년 농지개혁법이 공포되자 사찰답 800여 지기가 소작인들에게 죄다 넘어갔다. 그
로 인해 절은 졸지에 거지가 되고 운영에 큰 위기를 맞았다. 다른 절은 약간의 불량답(佛糧畓)
이라도 건졌으나 옥천사는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허나 연화산 주변 565ha의 산림을
가지고 있어 빈털털이는 그나마 면했다.

근래에 이르러 청담(淸潭)이 불교정화와 신도 교화운동을 벌이면서 전답을 잃어 방황하던 절을
다시 반석 위에 올렸으며, 1984년 일주문을, 1987년 사적비, 1999년 유물전시관과 축성전을 지
으면서 지금에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옥천사 칠성각

▲  옥천사 보장각(성보박물관)

경내에는 대웅전과 팔상전, 자방루, 조사전, 유물전시관 등 20동에 가까운 크고 작은 건물들이
있으며, 청련암과 백련암, 연대암 등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그외에 고성읍내와 하동에 보광
사, 낙서암 등의 포교원을 운영한다.
소장문화유산으로 보물 495호로 지정된 청동금고(靑銅金鼓)와 보물 1693호인 지장보살도 및 시
왕도 등 국가지정문화재 2점과 대웅전과 자방루, 향로, 대종, 명부전 등 지방문화재 7점을 간직
하여 고색의 짙은 향기와 절의 장대한 역사를 아낌없이 보여준다. 또한 절 전체는 경남 지방기
념물 140호
로 지정되었다.

옥천사는 연꽃처럼 생겼다 하여 이름 붙여진 연화산의 북쪽 자락에 포근히 안겨있으며, 산세가
완만하고 숲이 울창해 경남 남부의 경승지로 명성이 높다. 특히 알록달록 물감이 완연히 번진
가을은 그 백미이다. 첩첩한 산주름에 묻혀있어 고요하기 그지없으며 풍경소리와 산바람 소리,
산새의 지저귐, 범종 소리가 그 고요를 가끔 깨뜨리는 게 전부이다.

절을 품은 연화산은 복분자딸기와 송이버섯이 유명하며, 우리나라 100대 명산의 하나이다. 연화
산 일대는 경남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화8경의 절경을 간직하고 있다. 

※ 연화산 옥천사 찾아가기 (2013년 11월 기준)
① 고성, 배둔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고성행 직행버스가 30~50분 간격으로 떠난다.
* 부산서부터미널과 마산남부터미널에서 배둔 경유 고성행 직행버스가 수시로 떠난다.
② 진주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진주행 직행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운행
* 서울 강남고속터미널에서 진주행 고속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운행
* 대전동부터미널, 부산서부터미널, 대구서부정류장에서 진주행 직행버스가 이용
③ 고성/배둔/진주에서 옥천사3거리까지 (옥천사3거리에서 도보 35분)
* 고성터미널과 배둔에서 개천행 군내/완행버스(1일 10여 회)를 타고 옥천사3거리 하차
* 진주시외터미널에서 옥천사3거리 경유 배둔, 고성 방면 완행버스가 1일 11회 다닌다.
④ 승용차로 가는 경우 (경내까지 진입 가능)
* 대전~통영고속도로 → 연화산나들목을 나와 우회전 → 영오 → 개천 → 옥천사3거리 → 옥천
  사 주차장

★ 옥천사 관람정보 (2013년 11월 기준)
*
입장료 : 어른 1,300원 / 학생,군인 1,000원 (20인 이상 단체 800원) / 어린이 700원 (단체
  600원)
* 옥천사는 휴식형과 체험형 템플스테이(Temple Stay)를 운영한다. 휴식형은 최대 3박4일까지
  머물 수 있으며, 체험형은 매월 2,4주 주말에 1박 2일로 진행된다. 체험형 참가비는 성인 5만
  원, 초중고 4만원이며, 세면도구와 수건, 운동화 등을 지참해야 된다.
  자세한 문의는 옥천사 종무소(☎ 055-672-0100)나 홈페이지 참조
* 옥천사에서 연화산 정상까지 2시간 정도 걸린다.
* 소재지 -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8 (연화산1로 471-9) <☎ 055-672-0100>
* 옥천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옥천사 승군들이 사용한 언월도(偃月刀)


♠  옥천사 둘러보기 (자방루, 대웅전 주변)

▲  옥천사 건물의 갑(甲)인 자방루(慈芳樓)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3호

경내의 중심인 대웅전으로 가려면 자방루의 옆구리를 싫든 좋든 거쳐야 된다. 옥천사의 속살을
속세에 드러내기가 싫었던지 대웅전 주변을 꽁꽁 가리고 있어 바깥에서는 내부가 전혀 보이질
않는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당당한 모습을 지닌 자방루는 1764년에 지어졌다. 1888년 농성이 중건하
고 1984년에 보수를 벌였는데, 이 건물은 승장(僧將)이 승군을 지휘/통제하던 곳으로 최대 340
명까지 담을 수 있다. 훈련 외에는 불교 강의나 행사 장소로 쓰였으며, 너른 앞뜨락에서는 승병
들이 훈련을 하거나 군사 사열을 받았다.

건물 내부에는 1888년에 그려진 비천상(飛天像)과 비룡상(飛龍像)을 비롯해 새 그림 40여 점이
내부를 수식하며, 자방루란 이름은 꽃다운 향기가 점점 불어난다는 뜻으로 불도를 닦는 누각이
란 뜻이다. 경내에서 가장 큰 건물(보장각 제외)로 옥천사의 오랜 명성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  단청으로 화사한 자방루 내부

▲  자방루 대들보에 걸린 현판

자방루는 대웅전 방향만 개방된 형태이고 천왕문 방향은 문을 열고 닫는 형태이다. 내부는 누마
루로 바닥을 짰고 단일부재인 대들보에 기둥이 없는 통칸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간
결한 분위기를 준다. 대들보에는 비룡상과 비천상이 그려져 있으며, 문 위쪽에는 화려한 색채의
그림들이 있으니 잘 살펴보도록 하자.
자방루 현판은 영조 시절 이조참판과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조명채(曹命采, 1700~1764)가 옥천
사에 들렸을 때 쓴 것이다.


▲  자방루 옆문에서 만난 사마귀의 위엄
흑자(黑子, 사마귀)공이 옥천사에는 어인 일로 행차했을까? 사마귀의 위엄 돋는
행차 앞에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가 지나가길 기다렸다.
 

▲  옥천사 대웅전(大雄殿)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132호

자방루 옆구리를 지나면 대웅전이 바로 모습을 비춘다. 장대한 규모의 자방루와 드넓은 자방루
뜨락에 비해 대웅전 주변은 정말 협소하다. 뜨락 좌우로 적묵당과 탐진당이 꽉차게 들어앉아 있
어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 4동이 뜨락을 빈틈 없이 포위한 형태이다.

높은 기단 위에 높직히 들어앉아 법당(法堂)의 위엄을 드러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옥천사의 중심지이다. 1649년에 중창되었으며, 1677년 묘욱(妙旭)이 개
수하고 1736년 보수를 했으나 건물이 너무 낡아 1864년 용운대사가 새롭게 만들었다. 대웅전 현
판은 영조 시절 동국진체풍(東國眞體風)의 대가인 동화사(桐華寺) 기성대사(箕城大師)의 글씨라
고 전하며, 대웅전 계단 좌우에는 2쌍의 돌기둥인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서 있는데 이는 괘불이
나 깃발을 거는 용도로 조선 후기에 세워졌다. 기단을 이루고 있는 돌에는 푸른 이끼가 자욱히
끼어 중후한 멋을 선보인다.


▲  조선 영조 시절 기성대사가 쓴 대웅전 현판의 위엄
글씨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듯 활력이 넘쳐 보인다.

▲  대웅전에 봉안된 석가3존불
온후한 표정의 석가불이 수려한 보관(寶冠)을 쓴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대동하며 중생들의 하례를 받는다.

▲  대웅전 외벽에 그려진 벽화 ▼
부처나 관음보살 이야기 대신 꽃과 화병, 채소, 붓 등이 그려져 있다.
무슨 사연이 깃들여진 것일까? 절의 주요 고객이던 사대부를 위한 그림일까?

▲  적묵당(寂默堂)
1764년에 세워진 'ㅁ'구조의 건물로 고참
승려들이 머물던 큰방이었다. 현재는 재를
올리거나 공부를  하는 공간으로 쓰이며,
2006년에 해체보수했다.

▲  탐진당(探眞堂)
1754년에 세워진 건물로 신참 승려들이 머물던
방이었다. 지금은 종무소 및 영가(靈駕)를
봉안한 공간으로 쓰인다.


♠  옥천사 둘러보기 (팔상전, 명부전, 조사전 주변)

▲  옥천사 팔상전(八相殿)

대웅전 우측에 자리한 팔상전은 부처의 일생을 담은 8폭의 그림을 담은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
건물은 1890년(고종 27년)에 세워진 것으로 8상 탱화는 도난을 방지하고자 보장각에 따로 보관
하고 있으며, 탱화의 사진을 대신 걸어두었다.


▲  옥천사 명부전(冥府殿) - 경남 문화재자료 146호

대웅전 좌측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를 봉안한 명부전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730년에 지어졌으며, 1895년에 중수했다. 명부전 옆에
는 흙과 기와로 빚은 정겨운 옛 굴뚝이 나란히 자리하여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던 왕년을 그리워
한다.


▲  명부전 불단에는 포근하고 귀여운 인상의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가 시립(侍立)해 있다.

▲  옥천사 조사전(祖師殿)

경내에서 가장 뒤쪽에 자리한 조사전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절을 창건했다는 의상대사의 진영
(眞影)과 서응대사<瑞應大師, 채서응(蔡瑞應)>, 청담대종사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  조사전 중앙을 장식하는 의상대사의
진영

           ◀  옥천사 나한전(羅漢殿)
대웅전 뒷통수에 자리한 나한전은 16나한(羅漢)
의 거처로 불단에는 정조 시절에 조성된 석가3
존불(석가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이 봉안되
어 있다.
나한전은 1895년에 지어진 것으로 16나한 가운
데 9상은 조선 후기 것이고, 7상은 근래에 나한
을 손질하면서 새롭게 붙여 넣었다. 이곳 나한
은 영험이 있다고 전한다.


▲  옥천사 칠성각(七星閣)

조사전 밑에 자리한 칠성각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칠성(七星)의 보금자리이
다. 내부에는 1981년에 만든 칠성탱화가 걸려있다.


▲  조촐한 모습의 독성각(獨聖閣)과 산령각(山靈閣)

명부전 뒤에는 눈에 넣어도 적당할 정도로 조그만 모습의 독성각과 산령각이 나란히 자리해 있
다. 이들은 서로 생김새도 비슷하여 마치 쌍둥이 같다.
왼쪽에 자리한 독성각은 독성(獨聖, 나반존자)의 보금자리로 1897년에 지어졌으며, 사람 1명이
들어가 앉으면 그냥 꽉 차버린다. 우측 산령각은 산신(山神)의 보금자리로 역시 1897년에 세워
졌는데, 독성각보다도 작아서 사람이 아예 들어갈 수가 없다. 그래서 천상 밖에서 예를 올려야
된다. 두 건물 모두 120년 남짓의 건물이지만 너무 노후해 보여 300년 이상은 되어 보인다.


▲  시원하게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독성도(獨聖圖)
 

▶  산신 가족의 단란함이 엿보이는
산신도(山神圖)


▲  옥천각(玉泉閣)

팔상전 뒤쪽에는 옥천각이란 조촐한 건물이 있는데, 바로 그 안 옥천사의 명물인 옥천(玉泉)이
담겨져 있다. 옥천은 물이 솟는 샘터로 절에서는 그를 위해 옥천각이란 수각(水閣)까지 씌웠는
데, 이 샘터는 옥천사 창건시절부터 있었다고 하며, 옥천사란 이름이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창건 이후 물과 함께 일정량의 쌀이 흘러나와 그걸로 공양을 했다고 하며, 어느 욕심꾸러기 승
려가 더 많은 쌀을 취하고자 샘을 파헤쳤는데, 샘이 크게 노해 쌀은 커녕 물도 끊겼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승려가 지극정성으로 잘못했다고 기도를 올리며 샘을 달래니 샘도 화를 풀었는지
연꽃 1송이가 활짝 피어나면서 물이 콸콸 솟아나 만병통치의 약물이 되었다는 것이다.
고성 지역에 이름난 약수로 왕년에는 샘물에서 목욕을 하는 중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하
며, 지금은 목욕은 못하고 물만 떠 마실 수 있다.

산사에서 마시는 샘물은 맛이 다 고만고만하지만 부산 미륵사(彌勒寺)와 고성 옥천사의 물맛은
신선이 마시는 물처럼 뭔가 특별해 보인다. 물을 마셔보니 자연이 내린 특별한 양념이 담긴 듯
맛이 달콤하다. 물을 3번이나 떠 마시고, 가져온 물통에 물을 가득 담아 집에서도 두고두고 마
셨다.


▲  옥천사의 명물, 옥천(玉泉)
둥그렇게 파인 샘에서 연화산이 베푼 옥계수가 쉬지 않고 솟구친다.

▲  청담대사 승탑

▲  청담대사 사리탑비

경내에서 보장각으로 가는 길목에 옥천사에서 출가한 근대 불교의 1인자 청담대사의 승탑과 탑
비가 있다. 옥천사에서도 가장 특별한 존재라 경내에 그의 사후 공간을 만들어 두고두고 그를
기린다.
하얀 피부의 수려한 조각을 자랑하는 승탑에는 그의 사리가 담겨져 있으며, 그 옆에 청담의 일
대기를 담은 탑비가 있다. 입에 보주(寶珠)를 물고 오른쪽으로 머리를 돌린 귀부에 생동감이 넘
쳐 보인다.


♠  옥천사의 보물이 담긴 보장각(寶藏閣)

경내 북쪽에는 2층 규모의 보장각이 늠름한 모습을 뽐내며 자리해 있다. 보장각은 옥천사의 귀
한 보물을 간직한 꿀단지로 오래된 큰 절에 흔히 있는 성보박물관(聖寶博物館)이다. 옥천사 제
일의 보물인 청동금고(임자명반자)와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를 비롯하여 청동향로, 신중탱화, 대
종 등의 불화와 고문서, 불상, 여러 불기(佛器) 등 200여 점의 유물이 소중히 담겨져 있다. 이
중 법고(法鼓)와 시왕탱화 등 119점은 '옥천사소장품'이란 이름으로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로 지정되었다.

보장각은 1999년 정부의 지원으로 세워졌으며, 입장료는 없다. (어차피 옥천사 입장료에 포함됨
) 매주 월요일은 문을 걸고 쉬지만 1층 정도는 상황에 따라 요령껏 관람이 가능하다. (2층은 문
이 잠김) 내가 갔을 때는 공교롭게도 박물관의 공통적인 휴일인 월요일이었다. 1층은 다행히 문
이 열려있어 구경은 했지만 2층은 불이 꺼져 있고 전시실 문도 굳게 잠겨져 들어가지도 못했다.
전시실은 사진 촬영이 통제되어 있으나 요령껏 1층 유물을 사진에 담아 보았다. 허나 태반이 흐
리거나 흔들리게 나와서 건질 만한 것은 거의 없다. 그나마 괜찮게 나온 것 일부만 간단히 소개
한다.


▲  1904년에 제작된 모연문(募緣文)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  비변사절목(備邊司節目)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299호

▲  옥천사 청동금고(靑銅金鼓) - 보물 495호

옥천사 보장각 1층의 백미는 뭐니뭐니해도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라 불리는 청동금고가 아닐까
싶다. 청동금고는 말그대로 청동으로 만든 쇠북으로 1252년(고려 고종 39년)에 제작된 고려 후
기 금고(쇠북)이다. 다른 말로 반자(飯子)라고도 하나 잘 쓰이지는 않는다. 표면지름 55cm, 측
면너비 14cm로 전면에 굵은 융기선(隆起線)으로 4줄의 동심원(同心圓)을 두르고 후면은 비웠다.

금고는 불교의식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금고 측면에는 187자에 이르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는
데, 첫머리에 '高麗二十三王 環甲之年 壬子四月十二日 在於京師工人家 中鑄成智異山 安養社之飯
子'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어 1252년 고려 황제인 고종(高宗)의 환갑을 기념하여 만들었음을 알
려준다. 만든 이후 지리산에 있던 안양사(安養社)에 두었는데, 그런 금고가 어찌 옥천사까지 흘
러들어 왔는지는 전하는 바가 없다.
금고 제작자인 공인별장(工人別將) 한중서(韓仲敍)는 내소사범종(來蘇寺梵鍾) 등 여러 점의 유
물을 남긴 인물로 고려 후기에 뛰어났던 장인으로 여겨진다. 귀족과 승려들이 발원한 내용이 기
록되어 있고, 안양사의 사(社)라는 이름에서 고려 말에 유행했던 신앙결사(信仰結社)의 한 형태
로 조성된 작품으로 보인다. 이제는 760년이 넘은 노구(老軀)로 현역에서 은퇴하여 이렇게 박물
관의 한 부분을 장식한다.


▲  옥천사 장대청안목책(將大廳案目冊) - 1857년 작

▲  다라니경목판 - 19세기 작

▲  옥천사 인장(印章)

 ◀  옥천사 향로(香爐)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9호

옥천사 향로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입 안쪽에는 점선으로 '
의령수도사(宜寧修道寺)'란 글씨가 있어 그곳에
서 왔음을 알려주며, 가경(嘉慶) 21년, 즉 1816
년(순조 16년)에 보수했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
때 향로 받침을 새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 향로는 무늬를 먼저 새긴 다음 은을 입히는
방법으로 문양을 새겼으며, 표충사(表忠寺) 은
입사 향로와 같은 수법을 보여주는 괜찮은 작품
이다.

보장각 1층을 둘러보고 2층으로 올랐다. 2층은 불이 꺼져 있고 전시실 문은 굳게 입을 봉했다.
문 옆에는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50호로 지정된 대종(大鐘)이 있으나 사진에 담지는 않고 괜히
2층까지 설치다가 무슨 소리를 들을 듯 싶어서 꼬랑지를 내리고 바로 철수했다. 대종은 1701년
에 조성된 것이다.

◀  옥천사에서 누린 차1잔의 여유

옥천사를 살피고 가까운 곳에 있는 청련암(靑蓮庵)을 둘러보고 있으려니 갑자기 핸드폰이 밥기
운이 다되었다며 졸도를 해버렸다. 실신한 핸드폰을 계속 흔들어 깨웠으나 깨기가 무섭게 실신
을 한다. 그래서 청련암종무소에 도움을 청했으나 아무도 없어서 서둘러 옥천사로 내려와 그곳
종무소에 부탁을 넣었지만 충전기가 없다고 그런다. 요즘 무척 잉여로운 몸이라 연락올 때도 거
의 없지만 요즘 세상에 핸드폰이 없으면 그것만큼 허전한 것이 없다.
이거 어찌해야 되나 궁리하다가 문득 보장각 지하층(말이 지하지 지상임)에 있는 찻집을 생각하
고 거기로 갔다. 찻집에는 주인 아줌마와 그의 귀여운 어린 딸이 있었는데, 주인 아지매에게 충
전을 부탁하니 마침 충전기가 있어서 해주겠다고 그런다. 그래서 고마움을 표하고 충전이 되는
(20분 정도) 동안 찻집에서 두 발을 쉬었다. 그런데 그냥 앉아 있으려니 좀 미안한 마음이 들어
가장 저렴한 2,000원짜리 차 1잔을 주문했다. (그때 마신 차 이름은 기억이 안남) 여태까지 찻
집에서 나홀로 차를 마신 적은 없었는데, 이번에 홀로 차 1잔의 여유를 즐기게 된 것이다. 

차(茶)를 주문하니 잠시 뒤 잣이 띄워진 차와 에이스 과자가 담긴 그릇이 앞에 차려진다. 차의
향을 음미하며 산주름에 묻힌 산사에서 오랜만에 일다경(一茶頃)의 여유를 누린다. 차에는 떡이
찰떡궁합이지만 떡 대신 과자가 나왔으니 다소 조화가 떨어진다. 에이스 과자에는 딱 커피가 어
울리는데 말이다. 에이스는 옛날에 많이 먹었던 과자라 감회가 새롭다.

과자를 먹으며 차를 마시는 동안 30분이란 시간이 흘러갔다. 누구와 같이 왔으면 2시간도 있을
수 있지만 홀로니 더 머물러 있기도 그렇다. 게다가 주인 아줌마는 집에 갈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때 시간은 17시) 하여 자리를 정리하여 차 계산을 하며, 핸드폰 충전에 고마움을 표하고 밖
으로 나온다.
이제 어디로 가면 될까? 어디긴 내가 있어야 될 아비규환의 속세지~~ 다시 지루한 일상으로 돌
아가야 된다는 생각에 잠시 눈앞에 어둠이 내린다. 허나 안갈 수는 없다. 그게 내 운명인 것을..
속세로 무거운 발걸음을 하며 늦가을 옥천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닫는다. 다음에 다시 인연
이 된다면 이때 못본 보장각 2층도 살펴보고 청련암 보리수(菩提樹)와 백련암, 연화산 정상까지
말끔히 둘러보고 싶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3년 11월 11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 손가락 view on을 꼭 눌러주세요 ★☆


Copyright (C) 201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