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시'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8.12.04 시문학의 성지이자 도심 속의 상큼한 언덕, 청운동 윤동주시인의 언덕 ~~~ (윤동주소나무, 윤동주문학관, 청운공원)
  2. 2016.12.26 경북 의성 늦가을 나들이 ~~~ (문소루, 구봉산, 금성산고분군, 조문국 경덕왕릉...) 2
  3. 2014.04.09 풍경과 조망이 일품인 서울 도심의 상큼한 명소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윤동주문학관, 청운공원)

시문학의 성지이자 도심 속의 상큼한 언덕, 청운동 윤동주시인의 언덕 ~~~ (윤동주소나무, 윤동주문학관, 청운공원)

 


~~~ 서울 도심의 신선한 명소, 윤동주 시인의 언덕(청운공원) ~~~

▲  윤동주시인의 언덕 소나무


 

♠  청운공원에 마련된 새로운 명소, 문향(文香)이 깃든
윤동주(尹東柱) 시인의 언덕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정상에 세워진 서시 시비(詩碑)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의 서시(序詩)


서울 도심에서 부암동으로 넘어가는 자하문(紫霞門)고개 정상에 '윤동주시인의 언덕'이 도심
을 굽어보고 있다. 창의문(彰義門, 자하문) 남쪽에 둥지를 튼 이곳은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
늘과 가까운 공원이자 인왕산 동쪽 자락에 조성된 청운공원(淸雲公園)의 일부로 2009년 6월,
윤동주 시인을 기념하고자 공원에서 가장 높은 북쪽에 조촐하게 자리를 닦았다.
언덕의 이름이 그의 이름에 걸맞게 매우 시적(詩的)이면서도 서정적이라 가슴에 꽤 와닿는데
그 이름은 '윤동주 문학사상선양회'의 회장을 맡았던 박영우씨가 지은 것이다.

윤동주 언덕이라 하여 크게 특별한 것은 없다. 높다란 언덕에 잔디를 입히고, 소나무와 여러
키 작은 나무를 심었으며, 윤동주의 시를 머금은 비석을 여럿 세운 그저 평범한 공원이다 성
곽과 소나무 사이로 시원하게 불어오는 산바람에 속세에서 오염된 머리와 마음이 정화되며,
앞뒤로 보이는 조망(眺望)도 가히 명품이다. 게다가 공원의 분위기도 조용하고 차분하여 절로
시 한 수 읊고 싶은 마음을 솟구치게 하는 그야말로 시상(詩想)의 공간이다. <언덕의 이름도
시상을 크게 적지 않게 돋구고 있음>

이곳이 윤동주의 언덕이 된 사연은 대략 이렇다.
윤동주는 1941년 누상동(樓上洞)에 있는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연희전문대학(현 연세대) 후배
인 정병욱(鄭炳昱)과 하숙생활을 했다. 그는 하숙집에서 가까운 자하문고개와 지금의 청운공
원 일대를 수시로 찾아와 시를 짓고 구상을 했다고 하는데, '별헤는 밤'과 '서시'를 바로 이
언덕에서 지었다고 한다. 그 인연으로 윤동주기념사업회에서 서울시와 종로구청의 협조를 얻
어 언덕을 조성한 것이다.

그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간하고자 했는데, 그 서문(序文)으로 지어진 것이 바로 서
시로 출간까지는 하지 못하고, 3부를 필사하여 이양하(李敭河)와 정병욱에게 1부씩 증정했다.
이후 세상이 좀 진정되면서 정병욱이 보관하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세상에 공개하였다.


▲  윤동주의 초상화 - 연희전문학교 졸업사진을 초상화한 것이다.

※ 윤동주(1917~1945년)의 간략한 생애
윤동주는 왜정 때 대표적인 시인으로 그의 이름 3자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중/고
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서시를 비롯한 그의 굵직한 작품들이 정말 지겹게 나오니 말이다.
지금도 이름이 또렷한 윤동주는 1917년 12월, 두만강(豆滿江) 이북인 북간도(北間島) 명동촌(
明洞村)에서 윤영석()과 어머니 김룡()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학교를 다니던 중 용정(龍井)으로 이사를 가면
서 1933년 그곳 은진()중학교에 진학했다. 그러다가 1935년 본토로 넘어와 평양 숭실(崇
實)중학교에 들어갔으나 신사참배 문제로 왜정(倭政)에 의해 강제로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다
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光明)학원의 중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 문과에 진학하여 1941년에 졸업했는데, 학교 기숙사의 식사
가 부실해지면서 후배 정병욱과 누상동에 하숙집을 얻어 잠시 살다가 그해 5월 그믐날에 다른
하숙집을 알아보고자 옥인동을 기웃거리던 중, 우연히 전신주에 붙어있던 하숙집 광고 쪽지를
보았다.
그래서 혹시나해서 그 집을 찾아가니 문패에는 '김송(金松)'이라 쓰여 있었다. 마침 그는 소
설가 김송을 존경하고 있었는데, '설마 그 김송?' 생각하며 문을 두드리니 글쎄 그 김송이 나
타난 것이다.
그렇게 해서 김송 집에서 4개월 정도(1941년 5월~9월) 하숙을 했으며, 저녁 식사가 끝나면 김
송 가족과 대청에서 차를 마시며 음악을 즐기거나 문학 이야기를 나누었고, 때로는 성악가인
김송 부인의 아름다운 노랫소리를 듣기도 했다.

김송 집에 머무는 동안 인근 자하문고개를 수시로 올라가 시를 구상했다고 하며 그 현장이 바
로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다. 또한 이때 많은 시가 쓰여졌는데, 마음을 주고 받는 후배가 곁에
있었고, 자신이 존경하는 이의 집에 머물며 그의 가족에게 호의를 받으니 마음도 즐겁고 덩달
아 작품 구상도 잘되었던 것이다. 그러니 붓과 머리가 흥분하여 좋은 시가 나오는 것은 자명
한 것이다.

1941년 9월, 김송과 작별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東京) 릿쿄(敎)대학 영문과에 들어갔으
며, 1942년 도시샤대학(同學) 영문과로 자리를 옮겼다. 허나 1943년 7월 학업을 멈추고
잠시 고향으로 가려다가 독립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왜경에 급히 체포되었다.
왜경은 그에게 변론의 기회도 제대로 안주고 무조건 징역 2년형을 때려 후꾸오카 형무소에 집
어넣었는데 거기서 잔인한 생체 실험의 희생자가 되어 결국 해방을 목전에 둔 1945년 2월, 회
한의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때 그의 나이 겨우 28세였다. 목격담에 따르면 그는 정체를 아리
송한 주사를 계속 강제로 맞았다고 하니, 결국 왜국의 비인간적인 만행에 천재시인 윤동주는
제대로 꽃도 피우지 못하고 강제로 눈을 감게 된 것이다.

윤동주는 조부(祖父)의 영향으로 시에 천재적인 소질을 발휘했다. 그의 동생인 윤일주(
)와 당숙인 윤영춘()도 시인이었다고 하니, 그의 집안은 문학적 소질이 다분한 지식인
집안이었던 모양이다.
그는 15살에 시를 쓰기 시작하였는데 첫 작품은 '삶과 죽음'과 '초한대'이다. 이후 '병아리(
1936년 11월)','빗자루(1936년 12월)','오줌싸개 지도(1937년 1월)','무얼 먹구사나(1937년 3
월)','거짓부리(1937년 10월)' 등을 간도 연길(延吉)에서 발간된 '카톨릭소년' 잡지에 소개했
다.
연희전문대학 시절에는 조선일보에 '달을 쏘다'를 냈고, 학교 교지 '문우(文友)'에 '자화상',
'새로운 길' 등을 실었다. 그리고 '쉽게 쓰여진 시'가 1946년 경향신문에 실렸다.

누상동 김송의 집에서 하숙을 하던 1941년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란 제목으로 시집을 내
려고 했으나 내지 못하고 대신 3부를 필사해 정병욱과 이양하에게 1부씩 주었다. 바로 그 시
집의 서문(序文)으로 지어진 것이 그 유명한 서시로 해방 이후 1948년에 이르러 정병욱과 윤
일주에 의해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시는 청소년 시절에 지은 시와 성년 이후의 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청소년기에 쓰여진
시들은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고 대체로 어린 시절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
다. 대표작으로는 '겨울'과 '버선본' 등이 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자아성
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왜정 시절 민족의 암울한 역사성을 담은 시가 주류를 이루니 '서
시','자화상','또 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표 시로 어둠의 시절에 깊은 우수 속에서도 티없이 순수한 인생을 살아가려는 그의 내
면 세계를 표현했다.

그는 비록 뜻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나보다 더 창창한 나이에 세상을 떴지만 그의 시는 우
리나라 뿐 아니라 왜열도와 중원대륙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적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그가 다닌 릿쿄대학과 도시샤대학에는 그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어 해마다 많은 이
들이 헌화를 하고 그를 기린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아시아를 뛰어넘는 세계 문학계
의 큰 별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윤동주가 세상을 뜨자 그의 시신을 간도 용정으로 가져와 묘를 썼다. 허나 그 무덤도 한때 위
치를 몰라 방황하다가 연길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온 왜인 교수의 노력으로 간신히 묘비를 찾았
다. 이후 우리나라와 중원대륙의 공산당 정부가 국교를 맺자 가족들은 봉분을 단장하고 묘비
도 새로 세웠으며, 그의 명동촌 생가는 1994년에 복원되었다. 또한 그가 다닌 명동소학교는
윤동주 관련 단체의 지원으로 옛 건물을 복원하여 윤동주기념관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에는 굵직한 시인들이 꽤 많지만 윤동주만큼 인기와 사랑이 대단한 시인도 손에 꼽을
것이다. 우리나라를 넘어 다른 나라에서도 그의 팬들이 많으니 말이다. 비록 왜의 잔악무도한
만행으로 일찍 눈을 감게 되었지만 그의 작품을 통해 그의 혼은 우리들 마음 속에 길이길이
깃들여져 있으며,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주는 영원한 문학신(文學神)이다.


▲  언덕 정상에 박힌 윤동주시인의 언덕 표석

윤동주시인의 언덕은 그 이름만 들어도 마음의 여유가 생길 듯한 느긋한 언덕으로 생각하기가
쉽지만 현실은 조금 가파른 언덕이다. 서울을 지키는 인왕산과 북악산(北岳山, 백악산)이 만
나는 자하문고개에 있다보니 그런 것인데, 고갯길에서 언덕 동쪽으로 오르는 길이 경사가 좀
각박하지만 지름길이며, 윤동주문학관 뒷쪽으로 오르는 길과 청운공원으로 가는 길(자하문로
35길)을 이용하는 것이 언덕의 날카로운 기세를 피하기가 좋다.


▲  늦가을 햇살 속에 한가롭게 졸고 있는 야외 공연장

푸른 잔디와 나무들이 아낌없이 수식하고 있는 언덕 정상에는 언덕의 이름을 드러낸 두툼하게
생긴 표석이 누워있고, 조그만 야외 공연장이 있다. 이곳에서는 윤동주 시 낭송회와 백일장,
문예 관련 여러 행사와 공연이 열린다.


▲  시비 앞면을 장식하는 '서시'

▲  시비 뒷면을 장식하는 '슬픈족속'

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
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
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집을 가리고
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


이 시는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재학 초기에 쓴 것으로 어둠의 시절
속에서 살아가는 민족의 슬픈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흰색은 백의민족인 우리를 뜻한다고 하며,
삶과 밝음을 상징한다고 한다.


언덕 정상 남쪽에는 서시가 적힌 커다란 시비가 있는데, 대부분은 앞면만 보고 지나친다. 허
나 뒤에도 시가 숨겨져 있으니 시비의 속임수에 속지 말자. 뒤에 새겨진 시는 슬픈족속이다.


▲  늦가을도 잠시 길을 멈춘 윤동주 시인의 언덕 북쪽 산책로
<오른쪽에 보이는 건 한양도성(사적 10호)>


언덕 북쪽에는 옛 한양도성의 성곽(城郭)이 길게 둘러져 있다. 이 언덕은 성곽 안쪽으로 성곽
을 따라 길이 나 있는데 서쪽으로 인왕산과 이어지나 인왕산길로 잠깐 끊기며, 동쪽으로 자하
문과 이어지지만 문 서쪽에 언덕을 깎고 자하문로를 뚫으면서 서로가 끊겨버렸다. 그래서 윤
동주 언덕의 성곽은 양쪽이 끊어진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소나무 (윤동주 소나무)

언덕 성곽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청청한 소나무 1그루가 마치 성곽을 지키는 군사처럼 서 있
다. 나무 곁에 서면 성곽 여장 너머로 도성 밖 경승지이자 도심 속의 전원(田園)마을인 부암
동과 평창동(平倉洞)이 앞다투어 두 눈 아래 펼쳐지고 그 너머로 서울의 진산(鎭山)인 북한산
(삼각산)이 든든한 모습으로 서울을 살핀다.

이 나무는 윤동주가 시를 구상하던 곳이라고 하며, 일명 윤동주 소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흔
히 볼 수 있는 소나무지만 어둠의 시절, 민족을 향한 독야청청(獨也靑靑)한 그의 얼이 깃들여
진 듯 청초하고 고고해 보이며, 높은 곳에 우뚝 솟아 주변을 보는 모습도 예사롭지가 않아 보
인다. 정말 그가 저 나무 그늘에서 시를 구상했는지 낮잠만 잤는지는 모르겠지만 윤동주 언덕
을 상징하는 의미 깊은 나무로 나름 분주한 삶을 살고 있다.


▲  윤동주 소나무에서 바라본 천하
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 북한산(삼각산) 사이에 포근히 둥지를 튼 부암동과
홍지동(弘智洞) 일대, 그리고 저 멀리 북한산 봉우리가 시야에 들어온다.

▲  윤동주 소나무에서 바라본 인왕산과 인왕산길

▲  윤동주 영혼의 터

야외공연장에서 창의문 쪽으로 내려가면서 오른쪽 잔디밭을 유심히 살펴보면 땅에 박힌 표석
이 하나 눈에 달려올 것이다. 그 표석은 윤동주 영혼의 터로 서시 시비의 뒷면처럼 많이들 지
나치는데, 이곳은 간도 용정에 있는 그의 무덤에서 흙 한줌을 가져와 뿌린 곳으로 그 위에 표
석을 박았다. 즉 그의 소소한 가묘(假墓)가 되는 셈이다. 영혼의 터라고 하니 조금은 오싹한
기분도 들긴 하지만 그만큼 근사한 시적 표현이기도 하다.


▲  솔내음이 나래를 펼치는 서시정(序詩亭)

언덕 서쪽 밑에는 서시정이라 불리는 단촐한 모습의 정자가 도심을 굽어보고 있다. 2009년 언
덕을 꾸미면서 지은 것으로 윤동주의 서시를 따서 서시정이라 하였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시원스런 팔작지붕 정자로 이곳에 몸을 들여 남쪽을 보면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의 심장부가 장엄하게 펼쳐진다. (특히 야경이 멋짐)


 

♠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시민공원
청운공원(淸雲公園)

▲  가을옷을 곱게 걸친 청운공원과 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서촌(웃대)의 북쪽 끝이자 인왕산 자락에 자리한 청운공원은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
은 공원이다. <산 전체 또는 대부분이 공원으로 지정된 남산과 안산(鞍山), 낙산공원은 제외>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란 새로운 꿀단지를 동쪽에 달고 있는 이곳은 인왕산 동쪽 자락으로 청운
동 주택가와도 약간 거리를 둔 자연 지대이다. 인왕산길이 공원의 북쪽과 서쪽을 지나가며 자
하문고개에서 북악산길로 간판을 갈고 북악산 뒷쪽으로 달려간다. 그리고 공원을 가로지르는
골목길(자하문로35길)은 윤동주문학관에서 공원을 지나 청운동 주택가를 거쳐 자하문로로 내
려간다.

청운공원은 평범한 시민공원으로 산자락에 조성된 것 외에는 딱히 볼거리는 없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 인왕산 돌을 모아 일종의 돌아파트를 지었고, 2009년 이후 공원 동쪽에 윤동주시인
의 언덕과 윤동주문학관이 들어서면서 예전보다 인기가 늘어졌다. 윤동주언덕도 엄연히 청운
공원의 일원이기 때문이다.  

공원이 산자락에 있기 때문에 서울 도심과 부암동, 홍지동 일대가 훤히 바라보여 조망도 그런
데로 일품이며, 북악산과 인왕산의 청정한 기운이 늘 깃들여져 있어 공기도 맑다. 게다가 서
울 장안의 주요 해맞이 성지(聖地)로 매년 1월 1일에 해맞이 축제가 열리며, 나무와 각종 꽃
들이 울창하여 봄에는 벚꽃과 진달래, 개나리가 봄의 향연을 열고, 가을에는 오색영롱한 단풍
잎이 늦가을의 향연을 베푸는 도심 속 경승지이다.

청운공원에 가려면 자하문고개(교통편은 아래 윤동주문학관 참조)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자하문터널 남쪽에서 자하문로35길을 따라 올라가는 길도 있는데, 그건 경사가 좀 각박
하다. 그리고 청운동 안쪽에 자리한 유진인재개발원 정문 못미쳐에 청운공원으로 오르는 산길
이 가늘게 이어져 있고, 사직공원과 수성동(水聲洞)계곡에서 인왕산길을 타고 접근하는 것도
괜찮다.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의 위엄

늦가을 단풍이 한참 절정을 이루던 때라 진한 붉은색과 노란색, 녹색 등으로 단단히 물들었다. 겨울 제국(帝國)의 시련을 목전에 두고 자신의 남은 끼와 기력을 모두 발산하는 나무들과 죽
음 앞에서 처절한 아름다움을 선보이며 무지개처럼 짧은 삶을 원망하는 나뭇잎들.. 인간은 그
들을 보며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면서도 '올해도 이제 저물었구나, 좀 있으면 강제로 1살을 더
먹네' 늦가을과 연말 우울증에 한숨을 쉰다.


▲  청운공원 서부 (오른쪽에 보이는 동그란 존재가 '꿈의 분수')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과 남산, 그리고 일몰 직전의 하늘

청운공원 서쪽에는 꿈의 분수라 불리는 바닥분수와 넓은 운동장이 있다. 꿈의 분수는 매일 2
번 정도 조촐하게 분수쇼를 선보이는데, 그리 현란한 편은 아니며, 그냥 주변을 시원하게 해
주는 정도이다. 가동기간은 4월부터 10월까지로 1차는 11시에서 13시까지, 2차는 15시부터 16
시까지이며, 겨울에는 무조건 쉰다. (가동 시간은 변경될 수 있음)
분수쇼는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수와 어울려 물놀이를 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하다. 그러
니 그냥 눈으로만 보기 바란다.


▲  윤동주 시인의 언덕 남쪽에 자리한 인왕산 호랑이상

천하 호랑이의 대명사이자 하늘 아래 제일 무서운 존재였던 인왕산 호랑이, 이제는 숱한 설화
만을 남긴 채, 우리들 뇌리에서 거의 잊혀지고 말았다.
그들을 그리며 만들었다는 인왕산 호랑이상, 어린이들이 울고 갈 정도로 매섭게 좀 만들 것이
지 너무 순둥이처럼 만들어 졸지에 호랑이 탈을 쓴 인왕산 고양이상이 되어버렸다. 곶감도 씹
어먹었다는 천하 제일의 인왕산 호랑이인데 그들을 제대로 모욕한 셈이다.


▲  인왕산 돌로 만든 '인왕산에서 굴러온 바위(인왕산 돌아파트)'

서시정에서 윤동주문학관으로 내려가면 돌의 거대한 보금자리를 만나게 된다. 이것은 2007년
서울시에서 추진한 '서울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된 것으로 인왕산과 그 주변
에서 주운 돌들을 정리하여 그들의 조촐한 아파트로 만들었다. 


 

♠  윤동주 언덕 밑에 자리한 윤동주문학관

▲  화려한 나비를 꿈꾸는 윤동주 문학전시관(윤동주문학관)

윤동주시인의 언덕 밑이자 자하문고개 정류장 부근에 시인 윤동주를 집대성한 '윤동주문학관'
이 심플한 모습으로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원래 청운동 수도가압장 건물이 있었는데 빈 채로 버려져 있던 것을 2009년 윤동주
의 언덕을 만들면서 우선 급한데로 문학관으로 손질하여 정신적 영혼의 가압장이 되었다. 속
은 문학관일지 몰라도 겉은 문학과는 담을 쌓은 우울한 모습이었는데, 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
에서 서울시와 종로구청의 지원을 받아 오랜 번데기 생활 끝에 2012년 7월 25일 지금의 모습
으로 화려하게 태어났다.

내가 이곳을 처음 찾은 것은 2011년 3월로 그해 연말까지 여러 번 발걸음을 했는데, 당시 내
부는 좀 어수선했다. 공개시간이 있긴 하지만 평일에는 일찌감치 문을 닫는 경우가 많았으며,
처음에는 정문 옆에 조그만 문으로 입장을 해야 했다. 그런 공간이 이제는 윤동주를 닮은 세
련된 문학적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다.
번데기를 탈피한 이 문학관은 2012년 대한민국 공공건축 부분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으며 우
리나라 현대건축 Best 20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야말로 화려하다 못해 눈부신 나비로 태어난
셈이다. (2014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받았고, 2015년에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지정됨)

문학관은 3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있는데, 제1전시실(시인채)에는 윤동주의 손때가 진하게 담
긴 친필 원고와 온갖 문서와 서적들, 사진, 윤동주 모교의 의자와 등사기(謄寫機), 떡판 등
그의 유품 133점이 전시되어 있고, 제2전시실(열린우물)은 옛 가압장의 물탱크 윗부분을 개방
하여 중정(中庭)으로 만들어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공간으로 삼았다. 그리고 제3전시실(닫힌
우물)은 물탱크를 원형대로 보존하면서 그 안에 윤동주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담은 동영상을
상영한다. 그 외에 '별뜨락'이란 쉼터를 만들어 서울 도심을 굽어볼 수 있게 했다.

문학관에 진열된 윤동주의 유품 가운데 주목을 끄는 존재가 하나 있는데, 그건 그의 생가에서
가져온 나무 우물이다. 우물의 목판은 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 회장인 박영우씨가 직접 간도 용
정에서 가져온 것으로 땅을 깊게 파고 그 우물을 보호하고자 나무 판을 4단으로 얹힌 점이 특
징이며, 이곳에 안착한 우물은 이제 우물 기능은 상실되고 무늬만 남은 늙은 우물이 되었다.
전시관 안이다보니 깊게 땅을 뚫을 수도 없고, 마땅한 수맥도 없기 때문이다.


▲  윤동주문학관에 진열된 그의 유품과 초상화들 (2012년 이전)

▲  윤동주의 모교에서 가져온 조그만 의자 (2012년 이전)

요즘 초등학교에서 저런 나무 의자를 쓸까? 내 초등학교 시절(1~3학년)까지만 해도 저거와 똑
같은 의자에 앉았는데, 기억도 흐릿한 그 시절의 추억을 잠시나마 소환해준 정겨운 의자이다.


▲  윤동주의 마지막 사진

윤동주가 교토 도시샤대학에 재학하던 시절, 학교 친구들과 우지강<우지천(宇治川), 요도가와
강> 강변으로 마실을 나가 찍은 사진이다. 이때 왜인 친구들이 노래를 불러달라고 청하자 그
는 아리랑을 우수에 찬 모습으로 불렀다고 한다.
허나 그때까지만 해도 윤동주나 그의 친구들이나 그것이 마지막 사진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
다. 얼마 뒤 그는 왜경에 끌려가 후꾸오카 형무소에서 생체실험으로 비온 뒤 잠깐 모습을 드
러낸 무지개처럼 짧은 인생을 마감했으니 말이다.
그가 불의의 죽음을 당하자 그의 친구들은 크게 통곡하며 그를 애도했다.


▲  윤동주 생가에서 수습해온 나무 우물
우물 위에 두룬 나무판을 가져와 복원한 것이다. 대략 100년 정도 묵었다고 하며.
고된 세월의 때가 가득 입혀져 중후한 멋을 풍긴다.
 

※ 윤동주시인의 언덕(청운공원) 찾아가기 (2018년 11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서 1020, 7022, 7212번 시내버스를 타고 자하문고개(윤
  동주 문학관)에서 하차, 길 건너편에 윤동주문학관과 언덕이 있다.
*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2번 출구)에서 1020, 7212번 시내버스 이용

★ 윤동주문학관 관람정보 (2018년 11월 기준)
* 문학관 관람시간 : 10시 ~ 18시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 추석은 쉼)
* 윤동주 시인의 언덕은 관람시간 제한이 없는 열린 공간이다.
* 입장료 없음. 문학관 해설사 운영
* 매년 5월에 윤동주문화제가 열린다. (시낭송회와 백일장, 윤동주상 시상식, 문학콘서트, 문
  학둘레길 걷기대회 등의 행사가 있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3-100 (창의문로 119 ☎ 02-2148-4175)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8년 11월 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경북 의성 늦가을 나들이 ~~~ (문소루, 구봉산, 금성산고분군, 조문국 경덕왕릉...)

 

 

' 경북 의성 늦가을 나들이 '

▲  늦가을이 살짝 거쳐간 문소루 가는 길


 

가을이 한참 천하를 곱게 수놓던 10월 끝 무렵에 경북 한복판에 자리한 의성(義城) 고
을을 찾았다.

마침 같은 날, 아는 이들이 주왕산(周王山)으로 여행을 가는지라 그 길목인 안동까지 태
워줄 것을 부탁했다. 그들은 내 부탁을 흔쾌히 받아주었고, 아침 7시에 삼송역(3호선)에
서 함께 남쪽으로 출발했다.
지옥 같은 서울 근교의 교통 체증을 간신히 뚫고 영동고속도로에 진입, 여주휴게소에 잠
시 바퀴를 멈추고 교통 정체로 인해 놀란 몸과 차량을 달래며 김밥과 우동으로 간단하게
아침을 때웠다. 이후로는 신나게 가속도를 붙이면서 11시가 좀 넘어 안동의 주요 관문인
안동터미널에 도착했다. 여기서 다소 아쉽지만 그들과 작별을 고하면서 나는 남쪽(의성)
, 그들은 동쪽(주왕산)으로 제 갈 길로 흩어졌다. 각자의 목적지가 다르기 때문이다.

안동터미널에 홀로 남겨진 나는 남쪽으로 가는 직행버스를 타고 30분을 달려 의성터미널
에 두 발을 내렸다. 의성은
1996년 이후 2번째 인연인데, 그때와 별로 달라진 것은 없는
듯 싶다. 이곳에서는 이미 정처(定處)를 정해둔 상태이므로 그곳에 그냥 가기만 하면 된
다. 다만 그날의 종점인 부산(釜山)까지 가는 시간을 고려해 조금은 서둘러야 된다.

의성터미널에서 서쪽을 바라보니 산이 하나 보인다. 그 산을 구봉산이라 하는데 바로 그
곳에 첫 답사지인 문소루가 있다.


 

♠  의성읍의 소중한 명소, 문소루(聞韶樓)와 구봉산(九峰山)

▲  낙엽이 깔린 문소루 가는 길

의성읍내 서쪽에는 이 땅의 흔한 이름의 하천인 남대천(南大川)이 흐르고 있다. 남대천 서쪽에
는 남북으로 길쭉한 산줄기가 병풍처럼 자리해 있는데 이 산줄기가 의성읍의 든든한 진산(鎭山)
이자 쉼터이며 산림욕장으로 쓰이는 구봉산(211.4m)이다.

구봉산은 말 그대로 9개 봉우리의 산으로 원래는 구성산(九成山)이었으나 왜정(倭政) 때 구봉산
으로 바뀌었다. 산 정상에는 봉의정(鳳儀亭)이란 정자가 천하를 굽어보고 있고 구봉산 제3봉 아
래쪽에는 조선 중기 때 효자(孝子)인 오천송(吳千松)을 기리고자 숙종(肅宗) 시절에 지어진 소
원정(溯源亭)이 있다. 또한 산 북쪽에는 영남의 이름난 누각이었던 문소루가 자리해 있어 산의
경관을 돋구며, 근래에는 유아숲체험원이 부근(원당리)에 조성되어 꽤 알찬 체험시설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30여 점의 차별화된 체험시설을 갖추고 있음)

읍내에서 남대천을 건너면 구봉산과 문소루로 올라가는 길이 나타난다. 거의 읍내 사람들만 산
책과 운동 삼아 찾는 숨겨진 지역 명소라 주말 한낮임에도 인적이 없다. 고요함만이 가득한 그
길에 요란하게 발자국 소리를 내며 정적을 잠시 깨뜨려 본다.
구봉산에 뿌리를 내린 나무들은 아름다움을 처절히 선보이며 한편으로는 우수에 잠겨 있다. 좀
있으면 자비가 없다는 겨울 제국(帝國)의 압정(壓政)이 펼쳐질테니 어느 누가 좋아들 하겠는가?
나무들은 아직 단풍과 울긋불긋 타오른 잎을 붙들고 있으나, 절반 이상은 이미 땅바닥에 떨어져
쓸쓸한 이름, 낙엽이 되었다. 길바닥에는 낙엽들이 가득 깔려 붉은 카페트를 이루며 나를 맞이
한다. 나 역시 늦가을의 단상 앞에 우울하기는 마찬가지이다.


▲  길바닥을 메운 낙엽들
바람이 스르륵 빗자루질을 할 때마다 낙엽들은 힘없이 이리저리 날려간다.

▲  은행잎이 가득 입혀진 문소루 가는 길 (문소루 직전)

낙엽을 사각사각 밟으며 한굽이를 오르니 이번에는 은행나무 길이 나타난다. 길바닥에는 은행나
무가 겨울의 도래를 원망하며 훌훌 털어버린 은행잎이 두툼하게 깔려있다. 워낙 두텁게 쌓인 탓
에 콘크리트 길바닥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라 마치 노란 카페트를 깔거나 노란 물감을 입힌
것처럼 보인다. 가벼운 낙엽과 달리 바람의 빗자루질에도 거의 동요하질 않으며, 길이 푹신푹신
해서 그냥 벌러덩 드러눕고 싶은 마음도 조금씩 솟아난다.


▲  은행잎이 노란 카페트를 이룬 문소루 가는 길
아무리 레드(red) 카펫이 부와 명예의 상징이라 해도
자연이 베푼 자연산 노란 카펫만 할까..?

▲  단풍나무 밑에 서서 읍내를 바라보고 있는 문소루 중건 기념비(紀念碑)

▲  의성읍내를 굽어보는 문소루(聞韶樓)

아름다운 문소루에 비 피해 오르니 해가 저문다
풀빛의 푸르름은 역로(驛路)에 닿았고
화사한 복숭아 꽃은 인가(人家)를 덮는다.
봄의 시름은 술처럼 진하고
살아가는 재미는 점점 깁처럼 얇아간다.
애끓는 강남의 길손 변방의 당나귀는 또 서울로 간다.

* 고려 후기 포은 정몽주(鄭夢周)가 문소루에 올라 지은 시
 

구봉산의 제9봉에는 의성의 명물인 문소루가 의성 고을을 굽어보며 자리해 있다. 문소루는 원래
의성고을 관아에 딸린 누각으로 관아 서북쪽에 있었으며, 문소(聞韶)란 이름은 신라 후기 때 의
성 고을의 이름이다. (고려 초에 의성으로 이름이 갈림)
고려 중기 때 지어진 것으로 여겨지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며, 고려 고종(高宗) 때까지 있
다가 없어졌다고 한다. 그러다가 공민왕(恭愍王) 때 의성현령(縣令) 이원제(李元濟)가 중건했고
1657년(효종 8년)에 불에 탔다가 1694년 의성현감 황응일(黃應一)이 다시 지었다.

이곳은 관리들의 향연 장소로 이용되었던 공간으로 왕년에는 영남4대루의 하나로 명성을 떨치기
도 했다. 여기서 4대 누각이란 진주(晋州)의 촉석루(矗石樓), 밀양(密陽)의 영남루(嶺南樓), 안
동(安東)의 영호루
(), 그리고 이곳 문소루로 영남 지역에서 꽤나 이름이 있는 누각들이다.
그 누각 가운데 문소루가 제일 나이가 많다고 한다.
허나 그런 명성이 있음에도 가장 굴곡진 인생을 가진 비운의 누각으로 6.25전쟁 때 폭격으로 그
만 파괴되고 말았는데, 그때 정몽주와 상촌 김자수(桑村 子粹, 1351~1413), 김지대(金之岱,
1190~1266) 등 여러 문인들의 시가 담긴 현판(懸板)과 이지원(李止遠, ?~1866)의 문소루 중건기
문(重建記文)도 모조리 한줌의 재가 되고 말았다.

그 이후 다시 일어나지 못한 채, 의성 사람들의 뇌리 속에서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뒤늦게나
마 1981년 1월 중건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983년 9월 옛 모습을 가급적 되살리며 복원되었
다. 허나 원래 자리에는 이미 건물이 가득 들어차버려 읍내가 훤히 바라보이는 구봉산 제9봉에
새 둥지를 틀었다.

문소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누각으로 이곳에 올라서면 의성읍내가 두 눈에 바라보
인다. 풍류를 안다면 술 1병 들고와 눈 아래 펼쳐진 조그만 천하를 바라보며 시 짓기 놀이를 하
거나 달놀이를 즐기며 명상에 잠기고 싶은 그런 곳이다.
비록 옛 건물이 아닌 근래에 자리를 옮겨 복원했다는 한계점이 있고, 오랜 명성이 바닥으로 추
락된지 오래지만 의성의 명물이자 군민들의 성원으로 다시 태어난 의미 깊은 곳으로 의성 제일
의 명소로 자라날 싹수가 충분한 곳이다. 혹시 아는가? 나중에 영호루와 촉석루를 능가하는 유
명 인사가 될지도 말이다. 그때에 대비해 미리 얼굴을 비추는 것도 좋을 듯 싶다.

▲  시원스런 팔작지붕의 문소루

▲  글씨의 패기가 느껴지는 문소루 현판


▲  문소루 내부를 장식하고 있는 시(詩) 현판들

▲  '소소구성봉황래의(簫韶九成鳳凰來儀)' 현판
서경(書經) 익직편(益稷篇)에 나오는 구절로 '순임금이 음악을 9번 연주하니
봉황이 와서 춤을 추었다'는 내용이다.

▲  속세와 문소루 내부를 이어주는 유일한 통로 -
신발을 벗고 들어오기 바란다.

▲  문소루에서 바라본 천하 (1) - 의성읍내

▲  문소루에서 바라본 천하 (2) - 의성읍내 원당리와 후죽리

▲  구봉산 능선길

문소루에서 10분 정도 머물다가 다시 길을 재촉했다. 바로 읍내로 나갈까 했으나 늦가을에 잠긴
구봉산 산길이 너무 고와서 잠깐의 시간을 던져 구봉산 능선을 더듬기로 했다.

구봉산은 남대천 서쪽에 병풍처럼 자리한 산으로 서쪽은 완만하고 읍내와 남대천이 보이는 동쪽
은 경사가 60도 이상으로 급하여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잘못 발을 놀렸다가는 바로 남대천으
로 곤두박질 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능선 산길이 완전 읍내를 굽어보는 산성(山城)이
나 요새를 걷는 기분이다.
구봉산 북쪽 문소루에서 구봉산 정상까지는 대략 2km이다. 그 부근에 소원정과 봉의정, 소원석
등의 조촐한 명소가 있으나 거기까지 가기에는 시간이 넉넉치 못해 중간에서 내려가기로 했다.


▲  늦가을의 막바지 스케치 현장 ~ 구봉산 능선길
능선길은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한다. 마치 인간의 인생처럼...

▲  구봉산 능선 오르막길 - 인생이 늘 저렇게 상승곡선이면 얼마나 좋을꼬~~

▲  만추(晩秋)가 깃들여진 구봉산 능선
내리막길 - 인생의 내리막길이 저렇게
화려하고 곱다면 자주 해볼 만할텐데.

▲  능선길에서 만난 당산나무
여기서 저 계단을 오르면 정상으로 이어지고
왼쪽 내려가는 길로 가면 남대천이다.


▲  남대천으로 내려가는 좁은 산길
왼쪽은 남대천과 맞닿은 낭떠러지이므로 주의 깊게 움직이기 바란다.

▲  낭떠러지 산길을 조심스럽게 내려오면 남대천에 이른다.
물길을 막은 저 보(洑) 밑의 징검다리를 건너면 바로 구봉공원이다.

▲  남대천 징검다리
여기서는 실수로 물에 빠져도 생명에 지장은 없다. 수심이 매우 얕기 때문이다.

▲  구봉공원에서 바라본 징검다리와 구봉산 산줄기
남대천과 만나는 구봉산 동쪽은 거의 낭떠러지라 오를 수 있는 길이 거의 없다.
저런 곳에 산성(山城)이나 방어시설을 만든다면 정말 요새가 따로 없겠지.

▲  의성읍내로 가다가 만난 늦가을의 서정 -
은행나무의 빛깔이 너무 매혹적이다.

※ 문소루, 구봉산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① 의성까지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의성행 직행버스가 1일 3회, 동서울터미널에서 1일 6회 떠난다.
* 서울 청량리역과 양평역, 원주역, 제천역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1일 2회 떠난다.
*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의성행 직행버스가 1일 10여 회 떠난다.
* 인천, 대전(복합), 구미, 영천, 부산(동부)에서 의성행 직행버스 이용
* 동대구역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1일 1회, 부전역과 해운대역, 태화강역, 경주역, 영천역에서 1
  일 3회 운행
* 의성역과 의성터미널에서 왼쪽(북쪽)으로 가면 북원4거리이다. 여기서 왼쪽(서쪽)으로 꺾어서
  중앙선 굴다리를 지나면 왼쪽 산 정상에 문소루가 보이며, 의성교를 건너 100m 정도 가면 문
  소루와 구봉산으로 오르는 길이 나온다.
② 승용차 이용시 (문소루까지 차량 접근 가능, 주차는 문소루 주변에)
* 중앙고속도로 → 의성나들목을 나와서 의성 방면으로 우회전 → 원당3거리에서 우회전 → 의
  성군새마을회관과 현대자동차 의성지점을 지나면 바로 오른쪽에 문소루로 오르는 오르막길이
  나온다 → 문소루

* 문소루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87


 

♠  옛 조문국(召文國)의 영화로움을 숨죽여 간직한
의성 금성산고분군(金城山古墳群) - 경북 지방기념물 128호

문소루와 구봉산을 둘러보고 의성터미널에서 탑리(塔里)로 가는 군내버스를 탔다. 탑리 직전에
자리한 고개를 넘으면 오른쪽(서쪽)으로 큰 무덤들이 즐비한 벌판이 펼쳐지니 그곳이 금성산고
분군이다. (탑리 방면 28번 국도변에 있음)

금성산고분군은 탑리 북쪽인 대리리(大里里)와 초전리에 옹기종기 모인 고분들로 약 200여 기의
옛 무덤이 산재해 있다. 이들은 의성 금성면(탑리) 지역에 있었던 조문국(召文國)의 것으로 그
나라의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이다. 이들 무덤 사이로 신라 무덤도 다수 섞여 있다.
조문국은 한자 발음에 따라 '소문국'이라고도 하는데, 진한(辰韓)의 일원으로 탑리를 중심으로
둥지를 틀었던 손바닥만한 나라이다. 영역은 의성 남부(길게 잡으면 의성 북/중부까지)와 군위
일부에 불과했으며, 진한연맹이 하나둘 신라에게 먹히는 와중에도 용케 버텨오다가 185년<신라
벌휴왕(伐休王) 2년>에 결국 복속되고 만다.
그 이후 신라 조정에서 관리를 보내 다스리거나 항복한 조문국 왕족이나 귀족에게 이곳을 통치
하게 했을 것이고 이 땅을 발판으로 삼아 상주의 사벌국(沙伐國)과 인근의 여러 작은 나라들을
야금야금 점령했다.

조문국에 대한 정보는 이것 외에는 딱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그의 거의 유일한 흔적이라 할 수
있는 금성산고분군은 1960년부터 최근까지 국립중앙박물관과 경희대, 경북대 박물관에서 발굴조
사를 벌였다. 그 결과 앞트기식무덤과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 변형된 돌무
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신라토기의 일종으로 의성
지역에서 주로 나오는 '의성양식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금동관(金銅冠)과 금동관 장식
품, 금동제귀걸이 등의 장신구와 철제 무기류, 마구류(馬具類) 등이 있다. 이들 유물은 대구에
있는 국립대구박물관과 경북대박물관, 2012년에 문을 연 의성조문국박물관에 분산되어 있다.


▲  드넓게 펼쳐진 금성산고분군의 위엄 ▼

금성산고분군이 지금처럼 깔끔히 정비된 것은 근래에 일이다. 겨우 경덕왕릉이라 불리는 1호분
만 봉분(封墳)을 갖추고 있었을 뿐, 나머지는 그냥 경작지로 쓰였다. 그러다가 고분을 발굴하
고 그 무덤을 복원하는 한편, 주변을 말끔히 밀고 정비하면서 일종의 고분공원으로 거듭난 것
이다.

고분의 모습은 흙으로 만든 봉토분(封土墳)으로 다른 고분과 별로 다를 것은 없다. 조문국의 수
수께끼를 한 움큼 간직한 큼지막한 고분들이 듬성듬성 또 다른 언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사이
에 조그만 민묘(民墓)들이 수줍은 듯 들어앉았다. 고분은 당연히 옛 조문국이나 신라 귀족들의
무덤이고, 민묘는 20세기 이후 조성된 인근 백성들의 무덤이니 서로의 신분과 시공(時空)을 초
월하며 한 공간에 어색하게 자리한 것이다.
물론 민묘는 고분군 보호와 정비를 위해 다른 데로 옮기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연고가 없는 경우
함부로 이장(移葬)하기도 어렵다. 또한 어차피 같은 무덤이고 모습도 비슷하니 조문국의 무덤과
신라의 무덤, 그리고 현대의 무덤을 비교할 겸, 그냥 두어 고분군의 일원으로 삼는 것도 괜찮다
여겨진다.

손으로 더듬고 싶은 두툼하고 요염하게 솟아난 고분들 사이로 산책로가 나 있는데, 이들 고분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천천히 둘러보면 대략 1시간 정도 걸린다. 또한 이곳의 상징은 경덕왕릉
이라 불리는 1호분으로 이곳 무덤 가운데 유일하게 석물을 갖췄으며, 국도 변에는 문익점 면작
기념비도 있으니 같이 둘러보면 된다.


▲  말을 달리며 화살을 쏘는 조문국 무인상(武人像)
조문국의 무인이 정말 저랬는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발굴된 무기와 마구류를
토대로 가야나 고구려의 무인을 모방하여 재현한 듯 싶다.

▲  금성산고분군 한쪽에 들어앉은 조그만 민묘들
비록 무덤의 크기와 시대는 틀리지만 저들도 어엿한 금성산고분군의 일원이다.
조문국부터 신라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초월한 다양한 시대의
무덤이 분포하고 있는 생생한 현장이니 말이다.

▲  국도변에 누운 43호 고분

▲  40호 고분

▲  35호 고분

◀  국도변에 굵직하게 솟은 조문국사적지
(召文國史蹟地) 표석의 위엄
표석에 쓰여진 글씨체가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  33,34,36,37호 고분

▲  민묘와 옛 고분의 공존

▲  20호 고분

▲  25호 고분

▲  5호 고분

▲  19호 고분


▲  금성산고분군의 서쪽 부분

▲  고분 북쪽에 남아있는 민가
나무 외에는 민가와 고분의 마땅한 경계선이 없어 거의 금성산고분군의 일부처럼 보인다.
저 집도 고분군의 범위가 확대되면 다른 곳으로 강제 이전될 수도 있다.

▲  나란히 솟아난 고분 3형제

▲  금성산고분군의 상징, 조문국 경덕왕릉(景德王陵)

금성산고분군은 그냥 몇호분이란 이름을 달고 있지만, 이곳 1호분은 특별히 경덕왕릉이란 이름
을 달고 있다. 게다가 석물까지 갖추고 있으니 특별한 존재임은 분명하다. 열심히 발품을 팔게
만드는 너른 금성산고분군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자리한 무덤으로 이곳의 주인이라고 전하는 경
덕왕(景德王)은 조문국 군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선 숙종 때 미수 허목(眉叟 許穆)이 쓴 그의 문집(文集)을 통해 옛날부터 막연히 경덕왕릉이
란 이름으로 살아오고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으나 경덕왕의 존재와 경덕왕릉의 진위여부는 여전
히 수수께끼이다.

왕릉의 둘레는 74m, 높이 8m로 능 앞에는 근래에 만든 1.6m 높이의 비석과 상석(床石), 멀뚱한
표정의 문인석(文人石) 1쌍, 장명등(長明燈) 1쌍이 세워져 있다.


▲  조촐한 모습의 조문국 경덕왕릉

허목의 문집에는 경덕왕릉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실려있다.
옛날 이곳에 살던 농부가 외밭을 마련하고자 야트막한 언덕을 갈았다. 밭을 일구던 농부는 우연
히 큼직한 구멍을 발견했는데, 사람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의 구멍이었다.
그는 이상하게 여겨 일손을 멈추고 구멍 안으로 들어가 보았는데, 그 안에는 돌로 만든 석실(石
室)이 있고, 그 둘레에는 금칠(金漆)이 되어 있었으며, 석실 안에는 금칠을 한 소상(塑像)이 있
으니 그 머리에는 금관이 씌워져 있는 것이 아닌가~!
금관을 본 농부는 '이게 웬떡이냐~!!' 욕심이 솟아나 그 금관을 벗기려고 했다. 허나 그의 손이
금관에 닿자 자석처럼 딱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날 밤, 의성현령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옛 조문국의 경덕왕이다. 나의 능이 황폐해져서 농부의 외밭이 될 지경에 이르렀으니 속
히 능을 복원토록 하라'
그리고는 능의 위치를 알려주고 사라졌다.

날이 밝자 현령은 사람들을 이끌고 노인이 일러준 곳으로 찾아갔다. 그곳에는 밭이 되기 직전인
고분이 있었다. 이에 현령은 왕릉을 조성했다고 하며, 지금 있는 고분이 바로 그때 조성한 경덕
왕릉이란 것이다. 그런데 석실 안에 들어가 금관에 손을 댄 농부는 어찌되었는지는 나와있지 않
으니 그게 궁금할 따름이다. 아마도 며칠을 빌고 빌어서 간신히 손을 떼지 않았을까.? 아쉽게도
그 농부가 봤다는 금관과 금칠이 과연 존재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리고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덧붙여 전해온다.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이곳은 오극겸(吳克謙)이란 농부의 외밭이었다고 한다. 그는 외밭에
원두막을 짓고 밭을 지켰는데, 어느 날 꿈에 조복(朝服)을 입고 금관을 쓴 백발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조문국의 경덕왕이다. 너가 지은 원두막이 나의 능 위에 있으니 속히 철거하도록 해라'
그렇게 말하고는 농부의 등에 1줄의 글을 쓰고는 사라졌다. 농부는 깜짝놀라 잠에서 깨어나보니
등짝에 노인이 쓴 글이 그대로 쓰여져 있는 것이 아닌가~!
농부는 너무 신기하여 당장 의성 관아로 달라가 현령에게 꿈의 내용을 말한 뒤, 고을 유지들과
봉분을 만들고 매년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들 전설을 통해 오랜 세월 지하에 묻혀있다가 조선시대에 경작이나 농경지 개척을 통해 발견
되어 고을 현감과 지역 사람들이 능을 복원하고 제향까지 지냈음을 알 수 있다. 제향은 1470년
경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1945년 이후 지역 사람들이 살짝 지내오다가 '경덕왕릉보존회'가 결
성되어 매년 음력 3월에 군수와 군민들이 춘계향사(春季享祀)를 지낸다.

▲  조문국 경덕왕릉 능비

▲  두 손으로 홀(忽)을 들고 선 긴 수염의
문인석과 장명등


▲  경덕왕릉의 동쪽 피부면
무덤 동쪽 피부에 얕게 패인 부분이 있는데 저것이 혹 농부가 발견했다는
그 구멍이 아닐까 싶다.

▲  3호분

경덕왕릉 부근에 자리한 3호분은 높이가 3m, 밑지름이 14.3m~10.7m 내외이다. 여기서 돌무지덧
널무덤, 덧널무덤, 유사돌무지덧널무덤 등 3기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금귀
걸이와 은허리띠, 삼엽문대도 등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신라 유물로 덧널무덤에서는 많은 양의
토기와 철기류가 나왔다.


▲  6호분

6호분은 북쪽 높이 2.5m, 남쪽 높이가 4m이다. 이 고분 안에서는 적석목관(積石木棺)의 제1묘
곽과 장방형의 토광인 제2묘곽이 들어있다.
제1묘곽에서는 금제세환귀걸이, 은제과대장식, 은제교구 등의 장신구와 T자형 장병무기와 철모,
철촉, 소화두대도 등이 나왔고, 장경호와 고배(高杯), 고배뚜껑 등의 토기류와 11cm나 되는 대
퇴골편이 나왔다. 그리고 제2묘곽에서는 홍색과 갈색의 유리구슬과 장경호(長頸壺), 유개호(有
蓋壺), 고배 등의 토기류가 다량으로 쏟아져 나왔다.


▲  문익점 면작기념비(綿作紀念碑)
기념비 뒤로 보이는 동그란 지붕이 금성산고분군 방문자센터이다.


28번 국도변 소나무 사이에 문익점 면작기념비가 서 있다. 이곳에 왔다면 금성산고분군과 경덕
왕릉과 더불어 한 덩어리로 같이 둘러봐야 될 존재로 비록 110여 년 밖에 묵지 않았지만 문익
점이 목화 재배에 성공했던 의미 깊은 곳으로 이를 기념하고자 세운 비석이다.

삼우당 문익점(三憂堂 文益漸, 1329~1398)은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우리 의
류사(衣類史)에 큰 획을 그은 인물로 국사책은 물론 역사 수험서에도 단골로 등장하는 유명 인
사이다. 허나 우리나라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목화솜이 있었다.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씨는 아마
도 기존보다 더 품질이 좋은 목화로 여겨지며, 그 목화 재배에 성공하여 전국에 널리 퍼트렸다.
하여 그 점을 너무 부각시키다보니 '목화씨=문익점'이란 공식이 자연스레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싶다.

그는 원나라(몽골)에 사신으로 갔다가 역모에 연루되어 3년 만에 귀국했다. 돌아오는 길에 귀양
살이를 했던 금주(錦州)에서 목화씨 5개를 붓대 속에 숨겨와 고향인 산청(山淸)에서 장인인 정
천익(鄭天益)과 함께 목화 재배에 성공했다. 그곳이 바로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있는 면작시배
지(綿作始培地, ☞ 관련글 보러가기)이다.
이후 그는 안찰사(按察使)가 되어 경상도를 돌다가 의성 금성면 일대가 목화씨를 가져온 원나라
금주와 토질이 비슷함을 발견하고 금성면 제오리(堤梧里)에 목화씨를 심어 성공했다. 마침 의성
현감이 그의 손자인 문승로(文承魯)라 그를 시켜 목화를 파종했다고 한다. (또는 조선 태종 때
문익점의 손자 문승로가 의성현감으로 부임하여 파종했다고 함)

이후 문익점의 목화면작을 기념하기 위해 1909년 지역 주민들이 목화밭인 원전(元田)에 기념비
를 세웠다. 그 비석이 바로 윗 사진의 면작기념비이다. 1935년 왜인들이 지금의 자리로 옮겼으
며, 유서 깊은 원전은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과 경지 정리로 흔적조차 더듬기 어렵게 되었다.
1991년 김우현 경북도지사의 지시로 면작기념비 주변을 정리하여 지금에 이른다.

금성산고분군을 둘러보고 탑리의 지명 유래가 된 탑리5층석탑을 간만에 보려고 했다. 하지만 시
간도 여의치 않고 영천으로 가는 버스 시간을 몰라서 일단 탑리터미널로 갔다.
터미널로 가니 마침 영천행 직행버스가 올 시간이다. 여기서 외지로 나가는 시외버스가 너무 부
실하고 그걸 1대 놓치면 꼼짝없이 몇 시간 이상을 죽치고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꿩 대신 닭을
고를 여유는 없었다. 하여 바로 표를 끊고 5분 뒤에 머리를 들이민 영천(永川)행 직행버스를 타
고 의성과의 짧은 인연을 정리했다.
이렇게 하여 늦가을 의성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이후 내용은 생략~~~


▲  문익점 면작기념비(왼쪽이 1909년에 만들어진 것, 오른쪽은 1991년 것)

※ 의성 금성산고분군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① 탑리까지
* 서울 청량리역에서 8시 25분에 출발하는 부전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양평, 원주, 제천, 단
  양, 영주, 안동경유)
* 부산 부전역에서 7시20분에 출발하는 청량리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해운대, 태화강, 경주,
  영천 경유)
* 동대구역에서 16시 30분에 출발하는 정동진행 무궁화호 열차 이용 (하양, 북영천 경유)
*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탑리, 의성행 직행버스가 1일 6회, 부산 동부터미널(노포동)에서는 1일
  2회 떠난다.
* 영천과 안동에서 탑리행 직행버스 이용 (1일 2회 운행)
② 현지교통
* 의성터미널(의성역) 밖 군내버스 정류장에서 탑리 방면 군내버스(30~70분 간격)를 타고 금성
  산고분군에서 하차
* 탑리터미널 부근 대리3리 군내버스 정류장과 탑리역 정류장에서 의성 방면 군내버스(20~70분
  간격)를 타고 금성산고분군 하차. (탑리터미널에서 도보 35분, 탑리역에서 도보 25분)
③ 승용차편 (주차장 있음)
* 중앙고속도로 → 군위나들목을 나와서 군위읍 방면 5번 국도 → 동부4거리에서 우회전 → 청
  로교에서 좌회전 → 탑리 우회도로 → 금성산고분군
* 입장료와 주차비는 공짜
* 금성산고분군 서쪽 초전리에 금성산고분군과 조문국의 모든 것을 담은 조문국박물관이 있다.
  도보로 20분(차로 3~4분) 거리로 가까우니 같이 둘러보길 권한다.(☞ 박물관 홈페이지 보기)
*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351외 (고분전시관 ☎ 054-834-0302)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12월 2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풍경과 조망이 일품인 서울 도심의 상큼한 명소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윤동주문학관, 청운공원)

 


' 서울 도심의 신선한 명소, 윤동주 시인의 언덕 '
(윤동주문학관, 청운공원)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윤동주시인의 언덕 소나무


♠  인왕산과 북악산 사이에 터를 닦은 서울의 새로운 명승지
문향(文香)이 가득 깃들여진 '윤동주(尹東柱) 시인의 언덕'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정상에 심어진 서시 비석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의 서시(序詩)


서울 도심에서 부암동으로 넘어가는 자하문(紫霞門)고개 정상에 윤동주시인의 언덕이 도심을 굽
어보고 있다. 옛 한양도성(漢陽都城)의 성문인 창의문(彰義門, 자하문) 서쪽에 둥지를 튼 이곳
은 인왕산 동쪽 자락에 조성된 청운공원의 일부로 2009년 6월, 천하의 큰 시인 윤동주를 기리고
자 공원에서 가장 높은 곳인 북동쪽에 자리를 닦고 그의 이름을 따서 '윤동주시인의 언덕'(이하
윤동주 언덕)이라 하였다.
언덕 이름이 그의 이름에 걸맞게도 무척 시적(詩的)이면서도 서정적인데, 그 이름은 지금의 윤
동주 언덕을 있게 한 '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의 회장 박영우씨가 지은 것이다.

하늘과 맞닿은 윤동주 언덕은 천하에서 가장 큰 윤동주의 유적 겸 기념지이자 38선 이남에서 거
의 유일한 윤동주 기념터로 그의 시를 머금은 비석과 그의 혼이 깃든 영혼의 터, 그를 집대성한
윤동주문학관이 있으며, 야외공연장과 정자(서시정), 벤치 등도 갖추었다. 언덕 좌우는 북악산(
北岳山)과 인왕산(仁王山)으로 막혀있지만, 대신 남북으로 뻥 뚫린 형태로 북악산과 인왕산, 북
한산(삼각산)의 산바람이 모여들며, 앞뒤로 바라보이는 조망(眺望)은 가히 천하 명품급이다. <
특히 도심 야경이 갑(甲)> 게다가 공원의 분위기도 조용하고 차분하여 시 한 수 절로 생각나게
하니 그야말로 시상(詩想)의 공간이다. <언덕의 이름도 제법 시상을 돋군다>

그럼 어째서 이곳이 윤동주의 언덕이 되었을까?
윤동주는 이곳에서 태어나지도 않았고 살지도 않았다. 다만 1941년 누상동(樓上洞)에 있던 소설
가 김송의 집에서 연희전문대학(현 연세대) 후배인 정병욱(鄭炳昱)과 하숙 생활을 했는데, 이때
하숙집에서 가까운 자하문고개와 청운공원을 수시로 찾아와 시를 구상했다고 하며, '별헤는 밤
'과 '서시'를 바로 이 언덕에서 지었다고 한다.
바로 그 인연으로 윤동주기념사업회에서 서울시청과 종로구청의 협조를 얻어 그의 언덕을 닦게
된 것이다.

그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간하고자 했는데, 그 서문(序文)으로 지어진 것이 바로 서시
이다. 허나 출간은 하지 못하고, 3부를 필사하여 이양하(李敭河)와 정병욱에게 1부씩 증정했으
며, 해방 이후 정병욱이 보관하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세상에 공개하였다.


▲  윤동주 형님의 초상화 - 연희전문학교 졸업사진을 초상화한 것이다.

※ 윤동주(1917~1945년)의 간략한 생애
윤동주는 왜정 시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그의 이름 석자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서시를 비롯한 그의 굵직한 작품들이 정말 지겹게 나오니 말이다.
숙성이 덜 되던 학창 시절, 나는 시를 싫어했다. 무조건 외우면 장땡인 암기 위주의 잘못된 교
육의 폐해 탓일 것이다. 그런 일그러진 교육과 나의 굳건한 돌머리 앞에서 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고, 국어/문학 선생이 무조건 가르친 내용대로 외워야 되는
것도 싫었다. 그래서 20세기에 활약했던 윤동주나 김영랑(金永郞), 이육사(李陸史) 등의 유명
문학가들의 이름과 그들의 작품을 보면 정말 이가 갈리곤 했다.
허나 세월이 유수와 같이 흐르고 나이도 강제로 더해지면서 나도 모르게 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
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시의 내용도 조금씩 이해를 하게 되었고 김광섭(金珖燮)의 '성북동비둘
기'란 시가 무척 땡겨 그 시가 태어난 성북동 성락원(城樂苑, 명승 35호)에 걸터앉아 그 시를
읊고 싶은 생각까지 했었다. (성락원 비공개로 아직까지 실현하지 못했음) 비록 머리가 돌 수준
이라 시를 완벽히 외우지는 못하지만 즐겨찾는 관심사의 하나가 된 것은 분명하다.

학창 시절 그렇게나 나를 괴롭혔던 윤동주는 1917년 12월, 두만강(豆滿江) 이북인 북간도(北間
島) 명동촌(明洞村)에서 윤영석()과 어머니 김룡()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학교를 다니다가 용정(龍井)으로 이사가면서 1933
년 그곳 은진()중학교에 들어갔다.

1935년 조선 본토로 넘어와 평양 숭실(崇實)중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나 신사참배 문제로 왜정(倭
政)에 의해 강제로 학교가 문을 닫았다. 그래서 다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光明)학원의 중학부
를 졸업하고, 남쪽으로 내려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 문과에 진학하여 1941년에 졸업했다.
그때 누상동 김송의 집에서 정병욱과 하숙생활을 했었다.
학문의 열기가 뜨거웠던 그는 그걸로 만족하지 못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東京) 릿쿄(敎)
대학 영문과에 들어갔으며, 1942년 도시샤대학(同學) 영문과로 옮겼다.

1943년 7월 학업을 멈추고 잠시 고향에 가려고 했으나 독립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왜경에 체포되
었다. 왜경은 그에게 변론의 기회도 제대로 주지 않고 징역 2년형을 때려 후꾸오카 형무소에 집
어넣었는데 거기서 잔인한 생체실험의 희생자가 되어 결국 해방을 목전에 둔 1945년 2월,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때 그의 나이 겨우 28세였다. 목격담에 의하면 그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
를 계속 강제로 맞았다고 하니, 결국 왜국의 비인간적인 만행에 천재시인 윤동주는 제대로 꽃도
피우지 못하고 강제로 눈을 감게 된 것이다.

윤동주는 그의 조부(祖父)의 영향으로 시에 천재적인 소질을 발휘했다. 그의 동생인 윤일주(
)와 당숙인 윤영춘()도 시인이었다고 하니, 그의 집안은 문학적 소질이 다분한 지식
인 집안이었던 모양이다.
그는 15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첫 작품은 '삶과 죽음'과 '초한대'이다. 이후 '병아리(1936
년 11월)','빗자루(1936년 12월)''오줌싸개 지도(1937년 1월),'무얼 먹구사나(1937년 3월)','거
짓부리(1937년 10월)' 등을 간도 연길(延吉)에서 발간된 '카톨릭소년'이란 잡지에 소개했다.
연희전문대학 시절에는 조선일보에 '달을 쏘다'를 냈고, 학교 교지 '문우(文友)'에 '자화상','
새로운 길'등이 실렸다. 그리고 '쉽게 쓰여진 시'가 1946년 경향신문에 실렸다.
앞서에서 언급했던 누상동 하숙 시절,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란 제목으로 시집을 내려고 했으나 내지 못했다. 그때 그가 남긴 시들은 정병욱과 윤일주에 의
해 1948년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시는 청소년 시절에 지은 시와 성년 이후의 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청소년기에 쓰여진 시
들은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고 대체로 어린 시절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다.
대표작으로는 '겨울'과 '버선본' 등이 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자아성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왜정 시절 민족의 암울한 역사성을 담은 시가 주류를 이루니 '서시','자
화상','또 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
표 시로 어둠의 시절에 깊은 우수 속에서도 티없이 순수한 인생을 살아가려는 그의 내면 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그는 비록 뜻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나보다 더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지만 그의 시는 우리나
라 뿐 아니라 왜열도와 중원대륙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적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그가 다닌 왜열도의 릿쿄대학과 도시샤대학에는 그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어 해마다 많은
이들이 헌화를 하고 그를 기린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아시아를 뛰어넘는 세계 문학계
의 큰 별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윤동주가 세상을 뜨자 그의 시신을 간도 용정으로 옮겨 묘를 썼다. 허나 그 무덤도 한때 위치를
몰라 가족들이 방황하다가 연길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온 왜인 교수의 노력으로 간신히 묘비를 찾
았다. 이후 우리나라와 중원대륙의 공산당 정부가 국교를 맺자 가족들은 봉분을 단장하고 묘비
도 새로 세웠으며, 그의 명동촌 생가는 1994년에 복원되었다. 또한 그가 다닌 명동소학교는 윤
동주 관련 단체의 지원으로 옛 건물을 복원하여 윤동주기념관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에 참으로 굵직한 시인들이 많지만 윤동주만큼 인기와 사랑이 큰 시인도 손에 꼽을 것
이다. 우리나라를 넘어 다른 나라에서도 그의 팬들이 많으니 말이다. 비록 왜의 잔악무도한 만
행으로 일찍 눈을 감게 되었지만 그의 작품을 통해 그의 혼은 우리들 마음 속에 길이길이 깃들
여져 있으며,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주는 영원한 문학신(文學神)이다.


▲  인왕산길 바로 옆에 자리한 윤동주시인의 언덕

서울의 새로운 꿀명소이자 문학의 성지(聖地)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윤동주시인의 언덕은 그 이
름만 들어도 마음의 여유가 생길 듯한 느긋한 언덕으로 생각하기 쉽다. 허나 현실은 세상처럼
가파른 언덕이다. 인왕산과 북악산이 만나는 자하문고개에 있다보니 그런 것인데, 고갯길에서
언덕 동쪽으로 오르는 길이 경사가 좀 각박하지만 지름길이며, 윤동주문학관 뒷쪽으로 오르는
길도 있다. 언덕의 날카로운 기세를 좀 피하고 싶다면 청운공원으로 가는 길(자하문로35길)을
이용하여 서시정으로 조금 우회하는 것도 괜찮다.


▲  늦여름 햇살 속에 한가롭게 졸고 있는 야외 공연장

푸른 잔디와 키 작은 나무들이 아낌없이 수식하고 있는 언덕 정상에는 언덕의 이름을 밝힌 두툼
하게 생긴 표석과 야외 공연장이 있다. 공연장에서는 윤동주 시 낭송회와 백일장, 문예 관련 여
러 행사와 공연이 열린다.


▲  언덕 정상에 박힌 윤동주시인의 언덕 간판 표석

▲  시비 앞면을 장식하는 '서시'

▲  시비 뒷면을 장식하는 '슬픈족속'

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
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
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집을 가리고
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


이 시는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재학 초기에 쓴 것으로
어둠의 시절 속에서 살아가는 민족의 슬픈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흰색은 조선 민중과
삶, 밝음을 상징한다고 한다.


언덕 정상 남쪽에는 서시가 적힌 커다란 시비(詩碑)가 있는데, 대부분은 앞면만 보고 지나친다.
허나 뒤에도 시가 숨겨져 있으니 시비의 속임수에 속지 말자. 뒤에 새겨진 시는 슬픈족속이다.


▲  윤동주 시인의 언덕 북쪽을 장식하는 한양도성 성곽길 (사적 10호)

언덕 북쪽에는 옛 한양도성의 성곽(城郭)이 길게 둘러져 있다. 이 언덕은 성곽 안쪽으로 성곽을
따라 길이 나 있는데, 서쪽으로 인왕산과 이어지나 인왕산길로 잠깐 끊기며, 동쪽으로 자하문과
이어지지만 문 서쪽에 언덕을 깎고 창의문로를 뚫으면서 서로가 끊겨버렸다. 그래서 윤동주 언
덕의 성곽은 양쪽이 강제로 끊긴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소나무 (윤동주 소나무)

언덕 성곽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청청한 소나무 1그루가 마치 성곽을 지키는 군사처럼 서 있다.
나무 곁에 서면 성곽 여장 너머로 도성 밖 경승지이자 도심 속의 전원(田園) 마을인 부암동(付
岩洞)과 평창동(平倉洞)이 앞다투어 두 눈 밑에 펼쳐지고 그 너머로 서울의 진산(鎭山)인 북한
산(삼각산)이 든든한 모습으로 서울을 살핀다.

이 소나무는 윤동주가 시를 구상하던 곳이라 하여 일명 윤동주 소나무라 불린다. 흔히 이 땅에
서 볼 수 있는 소나무이지만 어둠의 시절, 독야청청(獨也靑靑)한 그의 얼이 깃들여진 듯 청초하
고 고고해 보이며, 높은 곳에 우뚝 솟아 주변을 보는 모습도 예사롭지가 않아 보인다. 정말 그
가 저 나무 그늘에서 시를 구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윤동주 언덕을 상징하는 의미 깊은 나무로
나름 분주한 삶을 살고 있다.


▲  윤동주 소나무에서 바라본 천하
인왕산과 북악산, 북한산(삼각산) 사이에 포근히 둥지를 튼 부암동과 홍지동(弘智洞)을
비롯하여 북한산 남쪽 봉우리들도 바라보인다.

▲  윤동주 영혼의 터

야외공연장에서 자하문 쪽으로 내려가면서 오른쪽 잔디밭을 유심히 살펴보면 땅에 박힌 표석 하
나가 눈에 달려올 것이다. 그 표석은 윤동주 영혼의 터로 서시 시비의 뒷면처럼 많이들 지나치
는데, 이곳은 간도 용정에 있는 그의 무덤에서 흙 한줌을 가져와 뿌린 것으로 그 위에 표석을
박았다. 즉 그의 소소한 가묘(假墓)가 되는 셈이다. 영혼의 터라고 하니 조금은 오싹한 기분도
들긴 하지만 그만큼 근사한 시적 표현이기도 하다.


▲  솔내음이 나래를 펼치는 서시정(序詩亭)

언덕 서쪽 밑에는 서시정이라 불리는 단촐한 모습의 정자가 도심을 굽어보고 있다. 2009년 언덕
을 꾸미면서 지은 것으로 윤동주의 대표작인 서시를 따서 서시정이라 하였다. 정면 1칸, 측면 1
칸의 시원스런 팔작지붕 정자로 이곳에 몸을 들여 남쪽을 보면 천하 제일의 도시로 콧대가 이만
저만이 아닌 서울의 심장부가 두 눈 밑에 그림처럼 펼쳐진다. (특히 야경이 멋짐)


♠  서촌의 지붕이자 윤동주 언덕을 옆구리에 낀 시민공원
청운공원(淸雲公園)

▲  가을옷을 곱게 걸친 청운공원과 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서촌의 북쪽 끝이자 인왕산 자락 동북쪽에 청운공원이 넓게 자리를 닦았다. 이곳은 청운동 주택
가와도 제법 거리를 둔 자연 지대로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란 신선한 꿀단지를 옆구리에 품고 있
다. 인왕산길이 공원의 북쪽과 서쪽을 지나가며, 이 길은 자하문고개에서 북악산길로 간판을 바
꾸고 북악산 뒷쪽을 통해 성북구로 달려간다. 그리고 공원을 가로지르는 골목길(자하문로35길)
은 윤동주문학관에서 공원을 지나 청운동 주택가를 거쳐 자하문로로 내려간다.

청운공원은 인왕산 품에 조성된 시민공원으로 산자락에 조성된 것 외에는 딱히 볼거리는 없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 인왕산 돌을 모아 일종의 돌아파트를 지었고, 2009년 이후 공원 동쪽에 윤동
주시인의 언덕과 윤동주문학관이 자리를 닦으면서 예전보다 더 값비싼 존재가 되었다.
공원이 산자락에 있기 때문에 서울 도심과 부암동, 홍지동 일대가 훤히 바라보여 조망도 일품이
며, 북악산과 인왕산의 청정한 기운이 늘 깃들여져 있어 공기도 맑다. 게다가 서울 장안의 주요
해맞이 성지(聖地)로 매년 1월 1일에 해맞이 축제가 열리며, 나무와 각종 꽃들이 울창하여 봄에
는 벚꽃과 진달래, 개나리가 봄의 향연을 열고, 가을에는 오색영롱한 단풍잎이 가을의 향연을
베푸는 도심 속의 경승지이다.

청운공원에 가려면 자하문고개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자하문터널 남쪽에서 자하문로
35길을 따라 올라가는 방법도 있는데, 그건 경사가 제법 각박하다. 그리고 청운동 안쪽에 자리
한 유진인재개발원 정문 직전에 청운공원으로 오르는 산길이 가늘게 이어져 있고, 사직공원과
수성동(水聲洞)계곡에서 인왕산길을 타고 접근하는 것도 괜찮다.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의 위엄

늦가을 단풍이 한참 절정을 이루던 때(11월 초)라 나무들이 진한 붉은색과 노란색, 녹색 등으로
단단히 물들었다. 겨울 제국(帝國)의 시련을 목전에 두고 자신의 남은 기력을 모두 발산하는 나
무들.. 죽음 앞에서 처절한 아름다움을 선보이며 무지개처럼 짧은 삶을 원망하는 나뭇잎들.. 인
간은 그들을 보며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면서도 '올해도 이제 저물었구나, 좀 있으면 강제로 1살
을 더 먹네' 늦가을과 연말 우울증에 부질없는 한숨을 쉰다.


▲  청운공원 서부 (꿈의 분수 주변)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과 남산, 그리고 일몰 직전의 하늘

▲  공원 서부에 자리한 청운공원 꿈의 분수

청운공원 서쪽에는 꿈의 분수라 불리는 바닥분수와 넓은 운동장이 있다. 꿈의 분수는 매일 2번
씩 조촐하게 분수쇼를 선보이는데, 그리 현란한 편은 아니며, 그냥 주변을 시원하게 해주는 정
도이다. 가동기간은 4월부터 10월까지로 1차는 11시에서 13시까지, 2차는 15시부터 16시까지이
며, 겨울에는 무조건 쉰다.
분수쇼는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수와 어울려 물놀이를 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하다. 그러니
그냥 눈으로만 보기 바란다.


▲  고양이 같은 인왕산 호랑이상

천하 호랑이의 대명사이자 하늘 아래 제일 무서운 존재였던 인왕산 호랑이, 이제는 숱한 설화만
을 남긴 채, 우리들 뇌리에서 거의 잊혀지고 말았다.
그들을 그리며 만들었다는 인왕산 호랑이상, 어린이들이 울고 갈 정도로 매섭게 좀 만들 것이지
순둥이 비슷하게 만들면서 졸지에 호랑이 탈을 쓴 인왕산 고양이상이 되어버렸다. 곶감도 우습
게 봤다는 천하 제일의 인왕산 호랑이를 제대로 모욕한 셈이다.


▲  인왕산 돌로 만든 '인왕산에서 굴러온 바위'

서시정에서 윤동주문학관으로 내려가면 돌의 거대한 보금자리를 만나게 된다. 이것은 2007년 서
울시에서 추진한 '서울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된 것으로 인왕산과 그 주변에서
주운 돌을 정리하여 그들의 조촐한 아파트로 만들었다.


♠  윤동주 언덕 밑에 마련된 윤동주문학관

윤동주시인의 언덕 밑이자 자하문고개 정류장 부근에 시인 윤동주를 집대성한 '윤동주문학관'이
심플한 모습으로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원래 청운동 수도가압장 건물이 있었는데, 빈 채로 버려져 있던 것을 2009년 윤동주의
언덕을 만들면서 우선 급한데로 손질해 문학관으로 삼으면서 우리네 정신적 영혼의 가압장이 되
었다. 속은 문학관일지 몰라도 겉은 문학과는 담을 쌓은 우울한 모습이었는데, 윤동주문학사상
선양회에서 서울시청과 종로구청의 지원을 받아 오랜 번데기 생활 끝에 2012년 7월 25일 지금의
모습으로 화려하게 태어났다.

내가 이곳을 처음 찾은 것은 2011년 3월로 그해 연말까지 여러 번 발걸음을 했는데, 당시 내부
는 좀 어수선했다. 공개시간이 있긴 하지만 평일에는 일찌감치 문을 걸어잠군 경우가 많았으며,
처음에는 정문 옆에 난 조그만 문으로 입장을 해야 했다. 그런 공간이 이제는 윤동주를 닮은 세
련된 문학적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다.
번데기를 탈피한 이 문학관은 2012년 대한민국 공공건축 부분에서 무려 국무총리상을 받았으며,
우리나라 현대건축 Best 20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야말로 화려하다 못해 눈부신 나비로 태어난
셈이다.

문학관은 3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있는데, 제1전시실(시인채)에는 윤동주의 손때가 담긴 친필
원고와 온갖 문서와 서적들, 사진, 윤동주 모교의 의자와 등사기(謄寫機), 떡판 등 그의 유품
133점이 전시되어 있고, 제2전시실(열린우물)은 옛 가압장의 물탱크 윗부분을 개방해 중정(中庭
)으로 꾸미면서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공간으로 삼았다. 그리고 제3전시실(닫힌우물)은 물탱크
를 원형대로 보존하면서 그 안에 윤동주의 생애와 문학세계를 담은 동영상을 상영한다. 그외에
'별뜨락'이란 쉼터를 만들어 서울 도심을 굽어볼 수 있게 했다.

문학관에 진열된 윤동주의 유품 가운데 그의 생가에서 가져온 나무 우물이 있다. 우물의 목판은
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 회장인 박영우씨가 직접 간도 용정에서 가져온 것으로 땅을 깊게 파고 그
우물을 보호하고자 나무 판을 4단으로 얹힌 점이 특징이다. 허나 이곳에 안착하면서 우물의 기
능은 상실되고 무늬만 남은 늙은 우물이 되었다. 전시관 안이다보니 깊게 땅을 뚫을 수도 없고,
더군다나 마땅한 수맥도 없기 때문이다.


▲  번데기 속을 헤매던 윤동주문학관 예전 모습 (2011년)

▲  윤동주문학관에 진열된 그의 유품과 초상화들

▲  윤동주 모교에서 가져온 조그만 의자
내 초등학교 시절(1~3학년)까지만 해도 저거와 똑같은 의자에 앉았는데,
기억도 흐릿한 그 시절의 추억을 잠시나마 소환해준 정겨운 의자이다.

▲  윤동주의 마지막 사진

윤동주가 교토 도시샤대학에 재학하던 시절, 학교 친구들과 우지강<우지천(宇治川), 요도가와강
> 강변으로 마실을 나가 찍은 사진이다. 이때 왜인 친구들이 노래를 불러달라고 청하자 그는 아
리랑을 우수에 찬 모습으로 불렀다고 한다. 허나 그때까지만 해도 윤동주나 그의 친구들이나 그
것이 마지막 사진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얼마 뒤 그는 왜경에 끌려가 후꾸오카 형무소에서
생체실험으로 비온 뒤 잠깐 모습을 드러낸 무지개처럼 짧은 인생을 마감했으니 말이다.
그가 불의의 죽음을 당하자 그의 친구들은 크게 통곡하며 그를 애도했다.


▲  윤동주 생가에서 수습해온 나무 우물
우물 위에 두른 나무판을 가져와 복원한 것이다. 대략 100년 정도 묵었다고 하며.
고된 세월의 때가 가득하여 중후한 멋을 풍긴다.


※ 윤동주시인의 언덕(청운공원) 찾아가기 (2014년 4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서 1020, 7022, 7212번 시내버스를 타고 자하문고개(윤동
  주문학관) 하차, 길 건너편에 윤동주문학관과 언덕이 있다.
* 지하철 1호선 종각역(1번 출구)과 5호선 광화문역(2번 출구)에서 1020, 7212번 시내버스 이용

★ 윤동주시인의 언덕(청운공원) 관람정보 (2014년 4월 기준)
* 문학관 관람시간 : 10시 ~ 18시 (매주 월요일, 1월 1일, 추석과 설날 연휴는 쉼)
* 윤동주 언덕과 청운공원은 관람시간 제한이 없는 열린 공간이다.
* 입장료 없음. 문학관 해설사 운영
* 매년 5월에 윤동주문화제가 열린다. 시낭송회와 백일장, 윤동주상 시상식, 문학콘서트, 문학
  둘레길 걷기대회 등의 행사를 가지며, 문학둘레길 걷기는 인사동 남인사마당을 출발하여 만해
  당(한용운 가옥), 시인마을 보안여관, 이상(李霜)의 집, 윤동주 하숙집터, 세종대왕 생가터,
  정철집터 등을 거쳐 윤동주 언덕까지 걷는 4시간 코스이다.
* 윤동주시인의 언덕(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 다음 까페 ☞ 보러 가기
* 연세대 윤동주기념사업회 ☞ 보러 가기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3-100 (창의문로 119, 문의 ☎ 02-2148-4175)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8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4년 4월 3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 손가락 view on을 꼭 눌러주세요 ★☆


Copyright (C) 2014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