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사계곡'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2.11.27 늦가을 산사 나들이 ~ 남해 용문사 (미국마을, 남해바다)
  2. 2012.11.13 늦가을 산사 나들이 ~ 천년 묵은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 용문사 (용문산)

늦가을 산사 나들이 ~ 남해 용문사 (미국마을, 남해바다)

 

' 늦가을 산사 나들이 ~ 남해 용문사(龍門寺) '
남해 호구산
▲  용문사를 품고 있는 호구산(虎丘山, 617m)


겨울의 제국(帝國)이 강한 패기를 보이며 가을을 몰아내던 11월 끝자락에 경남 남해를 찾았다.
우선은 노량포구에 있는 남해대교와 이순신 장군이 처음 안장되었던 충렬사(忠烈祠)를 둘러보
고 남해대교 남단에서 직행버스를 타고 남해읍(南海邑)으로 이동했다.

남해터미널에 이르니 용문사를 거쳐 가천으로 가는 군내버스가 대기하고 있어서 바로 표를 구
입하고 그 버스에 나를 담았다.
가천행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를 달려 용문사 밑에 자리한 용소리(龍沼里)에 발을 내린다. 이
곳은 절 밑에 둥지를 튼 마을로 마을 남쪽에는 쪽빛을 띈 남해바다가 손에 잡힐 듯 가까이 보
여 속세에 찌든 마음을 시원하게 씻겨준다.

용소리에서 내린 것까지는 좋으나 정작 절을 알리는 갈색 이정표가 보이질 않는다. 그래서 같
이 내린 노공(老公)에게 문의하니 바로 서쪽으로 보이는 고개에 길이 있다고 그런다. 마침 버
스에서 내린 곳에서 산으로 가는 길이 있어 이 길로 가도 되냐고 물으니 그렇다고 그런다. 그
래서 고개까지 안가고 바로 마을에서 올라갔다.

마을을 벗어나 계단식 논을 여럿 지나니 고개에서 시작된 길과 만난다. 여기까지는 대략 10분
정도 걸렸다. 경사가 완만한 오르막길을 조금 오르면 하얀 피부의 석장승 1쌍이 미리 나와 마
중을 한다. 물론 그들의 목적은 절 수호이다. 그들을 지나 5분 가면 일주문이 나오는데, 남쪽
아래로 주차장이 바라보인다.

일주문을 지나면 각박한 속세살이처럼 길의 경사가 조금 급해진다. 경내에 이르기까지 중간중
간에 부도(浮屠)의 무리와 남근석 등이 눈을 심심치 않게 해주며, 길 우측으로 청정한 용문사
계곡이 바다를 향해 길을 재촉한다. 허나 가을 가뭄이 극성이라 수량은 답답할 정도며 겨울의
제국이 도래하고 있는 시절이라 나무들 모두 우수에 젖으며 몸을 사리고 있다.

일주문에서 10분 정도 발품을 팔면 드디어 내부를 제대로 가린 용문사의 모습이 나타난다. 우
선은 절을 지키는 오랜 장승의 거처인 조그만 기와집과 천왕교(天王橋)란 돌다리가 있는데 이
들 바로 우측에 돌을 높이 쌓고 터를 다진 곳에 절이 둥지를 텄다. 기와집에서 경내까지는 다
리를 건너서 경내로 가도 되고 조금은 돌아가지만 수레길을 이용해도 된다.

경내를 살펴보기 전에 우선 용문사의 내력(來歷)을 간추려 짚어보도록 하자.


▲  꽉 차게 들어선 용문사

* 지장도량(地藏道場) 용문사의 내력
용문사는 남해에서 가장 큰 절로 호구산 남쪽 자락에 포근히 안겨있다. 호구산(虎丘山, 617m)
은 호랑이가 누워있는 모습의 산으로 절을 끼고 바다로 흐르는 용문사 계곡은 남해 제일의 계
곡으로 일컬어진다. 용문사를 후광으로 속세에 조금씩 알려진 호구산은 남해군 지정 군립공원
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절은 신라 중기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남해의 명산(名山)인 금산(錦山)에 세웠다는 보광
사(普光寺)의 후신(後身)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믿거나 말거나 전설일 뿐 이를
증명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또한 창건 이후 1660년까지 이렇다 할 내력이 전해오지 않는 점
도 절의 내력에 상당한 의구심을 품게 만든다.

본격적으로 절의 사적(事績)이 전하는 것은 1660년이다. 그 당시 절은 남해읍에 있었는데, 남
해향교(南海鄕校)와 마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불교를 싫어하던 남해 유생들이 절을 다른 곳으
로 옮기라고 징징거리자 그들의 징징거림에 귀가 따갑던 백월당(白月堂)은 용소마을 위쪽, 지
금의 자리로 절을 옮겨 용문사라 했다고 한다. 용문사란 이름은 절 아래쪽에 있는 용연(龍淵)
위에 둥지를 텄다고 해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1661년 탐진당(探眞堂)과 적묵당(寂默堂)을 세웠는데, 세우고 보니 이곳이 터가 너무 좋던 것
이다. 그래서 1666년 읍내에 남아있던 대웅전과 봉서루를 죄다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1708
년 부속암자인 염불암(念佛庵)을 중창했으며 관음암(觀音庵)과 백운암(白雲庵)을 고을 사람들
의 발원으로 세웠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숙종(肅宗) 임금은 임진왜란 때 용문사 승려가 승군(僧軍)에 참여하여 왜군과 싸운 점을 크게
치하하며 이곳을 나라의 수국사(守國寺)로 정하고 왕실(王室)의 안녕을 기원하는 축원당(祝願
堂)을 세웠다. 또한 연옥등(蓮玉燈) 2개와 촉대 1개를 하사했는데 왜정(倭政) 때 그것에 군침
을 흘린 왜인들이 훔쳐갔다.
어쨌든 왕실과의 인연에 힘입어 남해 제일의 사찰로 성장했으며, 그 이후로 별탈없이 지내 지
금에 이른다. 왜정 때는 용성(龍城)이 이곳 백운선원(白雲禪院)에 1년 가량 머물기도 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영산전, 용화전, 적묵당, 요사, 봉서루, 천왕각 등 10여
동의 건물이 가득 채우고 있으며, 소장문화유산으로는 보물 1446호인 괘불탱을 위시하여 대웅
전과 명부전, 천왕각, 용화전석불, 목조지장시왕상, 목조(구유), 부도군, 건륭25년명운판, 목
조아미타3존불좌상, 동종 등 무려 20여 점의 지방문화재를 품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때 용문
사 승려가 사용했던 삼혈포(三穴砲), 축원당에 걸어두었던 궁중매듭인 번(幡), 경릉관(敬陵官)
과 익릉관(翼陵官)이 발급한 수국사금패(守國寺禁牌)가 전하고 있다. 용문사의 유일한 국가지
정문화재인 괘불탱(掛佛幀)은 사월초파일이나 절 행사 때만 구경할 수 있으며, 금패와 번, 삼
혈포는 관람이 어렵다.

호구산 남쪽 자락 깊숙한 곳에 둥지를 트고 있어 아늑하고 호젓한 산사의 분위기를 마음껏 누
릴 수 있으며, 남해바다가 가까이에 바라보여 마음마저 시원하게 해준다. 속세를 잠시 등지거
나 마음을 싹 정화하고 싶을 때 안기고 싶은 절로 예로부터 지장도량으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경내 뒤쪽에는 남해자생식물단지가 있어 또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바다의 푸른 물결처
럼 펼쳐진 차밭은 가히 장관을 이룬다.

※ 용문사 찾아가기 (2012년 11월 기준)
* 서울남부터미널에서 남해행 직행버스가 60~90분 간격으로 떠난다.
* 서수원터미널에서 1일 2회, 대전복합(동부)터미널에서 1일 3회 떠난다.
* 부산서부터미널에서 남해행 직행버스가 30~50분 간격으로 떠나며, 진주에서는 20~40분 간격
  으로 떠난다. (마산/창원에서는 1일 10회 정도 운행)
* 남해터미널에서 이동 경유 남면, 가천방면 군내버스(1일 9회 운행)를 타고 용문사입구(미국
  마을)에서 도보 30분.
* 승용차로 가는 경우
① 남해고속도로 → 진교/하동 나들목을 나와서 남해방면 → 남해대교 → 남해읍 → 신전3거리
에서 우회전 → 용소리 → 용문사입구/미국마을에서 우회전 → 용문사
② 남해고속도로 → 사천나들목을 나와서 삼천포 방면 3번 국도 → 삼천포시내 → 삼천포/늑도
대교 → 창선면 → 창선대교를 건너 우회전 → 이동(무림)에서 미조방면 좌회전 → 신전3거리
에서 우회전 → 용소리 → 용문사입구/미국마을에서 우회전 → 용문사

* 입장료와 주차비는 없음
* 용문사 템플스테이(Temple Stay)는 '행복한 미소'란 이름의 정규 프로그램과 그냥 자유롭게
  하루 머물다가는 휴식형 2가지가 있다. 행복한 미소는 사찰 예절과 차담(茶啖), 바다 산책,
  저녁/새벽/사시 예불 등을 한다. 휴식형은 요일에 상관 없이 언제든 찾아와 1박 2일 머물다
  가는 것으로 공양시간과 예불시간, 취침/기상 시간 정도만 지키면 된다. 행복한 미소는 5만
  원, 휴식은 1박2일에 4만원이다. (자세한건 용문사 홈페이지와 전화로 문의 요망)
* 용문사 홈페이지는 ☞ 이곳을 클릭하거나 바로 밑에 있는 석장승 사진을 클릭한다.
* 소재지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868 (☎ 055-862-4425)


♠  용문사 가는 길 (석장승 ~ 일주문 ~ 부도군)

▲  절에서 멀리감치 나와 중생을 맞이하는 석장승 1쌍
그들의 검문을 통과하면 속세에서 그저 멀어만 보이는 산중의 절집,
용문사가 그만큼 가까워진다.

▲  늦가을의 끝을 잡은 용문사 가는 길
추운 북쪽과 달리 따뜻한 남국(南國)의 땅이라 늦가을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다.

▲  용문사 일주문(一柱門)

문이라고는 하지만 여닫는 문짝이 없다. 속세의 어느 존재든 가리지 않고 받아들이는 일주문은
중생을 걱정하는 부처의 마음이다. 인간들이 일주문의 마음의 절반만 따라한다면 이 세상은 그
런데로 아름다울텐데 인간이란 짐승과 신(神)의 중간에 들어앉은 어정쩡한 존재라 그러지를 못
한다. 그런 주제에 만물의 영장을 칭하며 이 세상을 마음대로 주무르고 악을 행하니 그러다 자
연의 대보복을 제대로 받을 것이다.


▲  이것은 무엇인고? ㅋㅋㅋ

일주문을 지나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중간에 낯이 많이 익은 묘한 돌을 보게 된다. 바로 남
근석이다. 마치 그 목적지(?)를 향해 힘차게 솟은 남근석은 정말 그대로의 모습으로 화석(化石)
으로 굳은 것 같아 절을 찾은 중생들의 관심을 제대로 끈다. 이런 돌은 옛날부터 성기신앙(性器
信仰)의 대상물로서 금욕(禁慾)을 중시하는 절로 가는 길목에 있다는 것이 무척 이채롭다. 절에
득남(得男)을 기원하러 다니던 여인네들의 전폭적인 사랑(?)을 받았던 이 돌은 오늘도 남녀노소
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자리를 지킨다.


▲  용문사의 오랜 역사가 담긴 부도군(浮屠群)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425호

남근석을 지나 2분 정도 오르면 오른쪽 높은 곳에 터를 닦은 승탑(僧塔, 부도)의 보금자리가 보
인다. 이들은 승려의 사리를 봉안한 탑으로 조선 중기 이후에 지어진 석종형(石鐘形)부도가 주
를 이루는데, 한결같이 작고 소박한 모습으로 주변과 잘 어우러진 모습이 꽤 인상적이다.


▲  바위에 새겨진 바위글씨와 위에 심어진 비석


♠  용문사 장승 ~ 천왕각 ~ 봉서루
▲  장승의 조촐한 보금자리

경내로 인도하는 천왕교 좌측에는 조금은 낡아보이는 1칸 짜리 맞배지붕 건물이 있다. 그 안에
는 나무로 만든 오랜 장승이 서 있는데, 이 건물은 바로 그를 위한 거처이다. 건물 곁에는 요상
하게 생긴 돌이 하나 놓여져 있는데, 아마도 남근석인듯 싶다.

이 장승은 용문사가 이곳에 뿌리를 1661년 이후
에 절을 수호하려는 목적으로 천왕각 입구에 세
운 것이다. 나무로 만들어서 돌로 만든 것 보다
는 건강은 조금 좋지 않지만 건물 안에 갇힌 모
습이 너무 답답하고 안스럽다. 그의 건강을 위
해서인지 그에게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문에 창
살까지 만들어 마치 감옥에 갇혀있는 모습이다.

장승 주위로 중생들이 던지고 간 동전과 1,000
원짜리 지폐가 수두룩한데, 절에서 오랫동안 수
거를 하지 않아서 지폐고 동전이고 다들 상태가
안좋다. 장승은 안에 있는 것 보다는 아까전 석
장승처럼 밖에 서 있어야 자세와 위엄이 나오는
법이다. 그를 위하는 것도 좋지만 저렇게 두는
것 보다는 밖으로 빼서 햇살이라도 받게 해주
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절을 지키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저렇게 가뒀으니 절에 놀러온 악
기(惡氣)를 어떻게 쫓아서 막겠는가..?


▲  천왕각(天王閣)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150호

천왕교를 건너면 사천왕(四天王)의 보금자리인 천왕문(天王門)이 중생을 맞는다. 그런데 여기서
는 특이하게도 문이라고 하지 않고 각이라 칭하여 천왕각이라 부른다. 허나 그렇게 부른다고 해
서 천왕문과 크게 다르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명칭만 '각(閣)'으로 했을 뿐이다. 이 문은 1702
년에 지어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사천왕은 인도의 토속신(土俗神)으로 나중에 부처의 경호원으로 영입되었다. 보통은 악귀를 발
로 짓밟고 있는 모습이지만 이곳은 악귀(惡鬼) 대신 부정한 양반이나 관리를 보기 좋게 밟고 있
어 눈길을 끈다. 그 이유는 절이 읍내에서 이곳으로 밀려나게 만든 양반(향교 유생들)과 관리들
의 대한 감정, 그리고 절을 찾는 중생 대부분은 지배층의 수탈을 받는 백성들이라 양반으로 대
체한 것이다.

▲  천왕각을 지키는 목조(木造)사천왕상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428호

왼쪽부터 비파를 든 지국천왕(持國天王), 칼을 든 증장천왕(增長天王), 여의주를 들고 있는 광
목천왕(廣目天王), 삼지창을 든 다문천왕(多聞天王)이다. 지국천왕의 표정은 온후해 보이며, 나
머지는 장비(張飛) 마냥 눈을 크게 부릅 떴을 뿐 오금이 저릴 정도의 무서움보다는 익살스러움
이 강하게 배여난 표정이다.
이들은 천왕각과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목조 사천왕으로 그들이 시원하게 밟아주고 있는 양반(
지배층)의 모습도 사진에 담았어야 했는데, 사천왕에게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그러지를 못해 못
내 아쉽다. 나라를 말아먹고 백성들을 도탄에 밀어넣으며 자기네들 이익 챙기기에 급급한 이 땅
의 쓰레기 권력자들을 으스러지게 밟아주었으면 좋으련만..


▲  용문사 봉서루(鳳棲樓)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394호

천왕각을 지나면 길은 오른쪽으로 꺾이면서 다시금 다리를 건너게 한다. 경내로 들어서기 전에
조금이나마 남아있는 속세의 번뇌를 말끔히 계곡에 흘러보내라는 의미이다. 허나 계곡의 수량이
별로 없으니 번뇌가 남해바다 멀리 떠내려 갈 수 있을련지 모르겠다.

계곡을 건너면 계단이 나오면서 육중한 모습의 길쭉한 누각이 중생의 눈을 압도한다. 바로 봉황
이 산다는 뜻의 봉서루이다. 정면 7칸. 측면 3칸에 이르는 용문사에서 가장 큰 건물로 1720년에
지어져 1833년에 중창한 것으로 전해진다. 절의 강당(講堂)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내가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단단히 가리고 있어 경내에 대한 호기심을 증폭시키며, 1층 동쪽에는 종무소(宗
務所)가 자리해 있다. 봉서루의 중앙 아랫도리를 거쳐 경내로 올라가도 되고 종무소를 거쳐 진
입해도 된다.


▲  용문사 목조(木槽, 구유)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427호

봉서루 1층 왼쪽에는 거대한 나무 통이 누워있어 경내로 향한 눈길을 잠시 돌리게 만든다. 바로
구유(구시통)라 불리는 목조이다. 얼핏 보면 말이나 소, 돼지가 밥을 먹을 때 사용하는 나무통
으로 오인 할 수 있다. 허나 이 통은 사람들이 먹을 밥을 담던 밥통으로 1,000명분의 밥을 담을
수 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는 승병들이 저 통에서 밥을 먹었다고 하며, 그 이후에는 불사(佛
事)나 법회 때 사용했다.
구유 가운데 바닥에는 통을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5.5cm 크기의 원공이 뚫려있으며, 절이 한참
잘나가던 시절(지금도 잘 나가고 있음)의 소중한 보물로 이제는 밥풀 대신 먼지만이 수북해 아
련히 옛날을 그리워한다.


▲  중생의 목을 시원하게 축여주는 옥계수로 가득한 석조(石槽)
파란 바가지에 물을 담아 입에 넣으면 마음의 떼가 싹 내려간 듯,
목구멍이 즐겁다고 쾌재를 부른다,


♠  용문사 대웅전(大雄殿)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85호

봉서루를 들어서면 대웅전과 부속 건물이 모습을 드러낸다. 하얀 돌이 정갈하게 깔린 대웅전 뜨
락을 중심으로 북쪽에 대웅전이 위엄을 갖추고 있고, 적묵당(寂默堂)과 요사(寮舍)가 그 좌우를
메운다. 또한 대웅전 좌우로 영산전과 명부전, 용화전, 칠성각 등이 조금의 여백도 허용치 않을
정도로 가득히 들어서 포근함이 일 정도이다.

용문사의 법당(法堂)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봉황이 시원스레 날개
짓을 하는 것 같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空包)가 다닥다닥 붙어있고, 기둥의 머리부분인 주두(
柱頭) 마다 용머리가 달려있어 웅장하고 화려함을 더해주며, 기둥과 문짝에는 고색의 떼가 가득
하여 중후한 멋을 선사한다.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법당 건축으로 내부에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목조아미타3존불과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377호인 동종(銅鍾)이 있으며, 대웅전 중앙 계단 좌우
로 괘불을 걸 때 사용하는 2쌍의 석주(石柱)가 심어져 있다. 이들 석주는 17~1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  대웅전 목조아미타3존불좌상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446호
그 뒤쪽에 영산회상탱화(靈山會上幀畵)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347호

대웅전 우측 문으로 내부를 들어서니 현란한 아미타3존불좌상과 여러 불화(佛畵)가 눈을 부시게
만든다. 불단(佛壇)에 봉안된 아미타3존불은 17세기 불상으로 다른 데이터에는 석가3존불로 나
오는데 반해, 문화재청에는 아미타3존불로 나와있다. 아미타불로 나온 것은 아마도 그의 수인(
手印)이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을 취하고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 석가불(釋迦佛)이 아미
타수인을 취한 것은 조선시대 불상에서 흔히 나타난다. 이들 불상에는 복장공(腹臟空)이 열려있
으며, 그 안에 들어있던 복장유물은 거의 도난을 당했다고 한다. 온후한 표정으로 중생을 맞이
하는 가운데 본존불(本尊佛) 좌우로 수려한 보관(寶冠)을 쓴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
賢菩薩)이 각자의 제스쳐를 취하며 자리를 지킨다.

그들 뒤로 든든하게 자리한 후불탱화(後佛幀畵)는 석가불이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을 하는 장
면을 그린 영산회상탱화이다. 1897년에 그려진 것으로 문성(文性)을 비롯하여 연호 봉선(蓮湖奉
宣), 연파 화인(蓮波華印), 범해 두안(帆海斗岸), 장원(章元), 태일(太一), 문형(文炯), 영주(
永柱), 상조(尙祚), 긍엽(亘燁) 등 남부지방에서 활약했던 화승(畵僧)들이 대거 참여했다.


▲  대웅전 우측 벽의 건양2년신중탱화(建陽二年神衆幀畵)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353호

1897년(건양 2년, 여기서 건양은 고종의 연호)에 그려진 것으로 후불탱화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
이 그렸다. 무기를 갖춘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12신이 배치되었고, 위쪽에 범천(梵天)과 제석천(
帝釋天)을 중심으로 좌우에 천동(天童), 천녀(天女)가 자리해 있다.


▲  대웅전 좌측 벽의 삼장보살탱화(三藏菩薩幀畵)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352호

후불탱화와 더불어 1897년에 그려진 것으로 중앙에 천장보살(天藏菩薩)을 두고, 좌우에 지지보
살(持地菩薩)과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배치했다. 삼장탱화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불화로 지장보
살을 받드는 지장신앙(地藏信仰)이 유행하면서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


♠  대웅전 주변

▲  용문사 명부전(冥府殿) -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151호

대웅전 바로 좌측에는 맞배지붕의 명부전이 자리해 있다. 정확한 건축 시기는 전해지는 것이 없
으나 19세기 이후로 여겨지며, 지장보살을 비롯한 도명존자(道明尊者)와 10왕상 등 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봉안되어 있다. 지장보살과 목조시왕상은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426호이다.


▲  용문사 용화전(龍華殿)

▲  용화전에 봉안된 용문사 석불 - 경남 지방유형문화재 138호

명부전 뒤쪽에는 1칸 밖에 안되는 조그만 용화전이 있는데, 그 안에는 유난히도 하얀 불상이 봉
안되어있다. 이 불상은 미륵불(彌勒佛)이라고 하며 17세기 후반에 지금의 절을 짓다가 땅 속에
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 하얗게 도배를 하여 백불(白佛)로 만들면서 원래의 모습을 확인
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허나 불상의 양식을 보아 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
겨진다.
거의 네모에 가까운 얼굴에는 따로 미소는 드리워있지 않으며, 표정은 무슨 근심이라도 있는 듯,
다소 멀뚱해 보인다. 볼에 살이 많으며, 머리에는 근래에 얹힌 보관(寶冠)을 얹혔다. 머리칼은
하얀 몸과 달리 검은색을 칠했다. 왼손에는 연꽃모양의 동그란 병을 들고 있는데, 예로부터 미
륵보살로 일컬어졌으나, 보관이나 왼손에 든 병을 통해 관음보살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  봉서루 뒤쪽에 심어진 석대(石臺)
석대에 고인 물에는 낙엽 몇몇이 의지하여 인생의 마지막을 지낸다.
석대의 물은 저들의 인생을 정리하는 블랙홀인가 보다.

▲  적묵당 뒤쪽의 영산전(靈山殿)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안으로 들어가는 문이 어칸(가운데칸)에 하나 뿐이다.
양쪽 칸은 벽으로 막아 조그만 창문을 낸 특이한 모습이다.

▲  차밭을 뒤로하며 경내를 굽어보는 칠성각(七星閣)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서 있는 칠성각은 영산전처럼 근래에 지어졌다. 꼭 닫힌 내부에는 칠
성탱화와 산신탱화, 독성탱화가 걸려있으며, 이들은 각각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칠성신)와 산
신(山神), 독성(獨聖, 나반존자)가 그려져 있다. 그중에서 독성탱화와 산신탱화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각각 경남 지방문화재자료 410호411호로 지정되었다.


♠  용문사의 또 다른 볼거리 ~ 남해자생식물단지

▲  용문사 뒤쪽에 넓게 터를 닦은 남해자생식물단지

용문사를 둘러보고 있으면 경내 뒤쪽으로 푸른 물결이 넘쳐 흐르는 차밭이 보일 것이다. 처음에
는 절에서 관리하고 가꾸는 차밭으로 여겼는데, 그 서쪽에도 무슨 식물원 같은 곳이 있다. 이들
은 바로 남해군에서 2007년에 조성한 남해자생식물단지이다. 왜 절 뒤쪽에 터를 닦었는지는 모
르겠지만 아마도 절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덕분에 새로운 볼거리가 생겨
절을 찾은 중생에게 자연의 아름다움까지 가득 누리게 한다. 용문사 입장에서는 그리 손해보는
것은 아니다. 볼거리가 하나 생겼으니 말이다.

식물단지는 약용식물원과 자생식물원, 삼자원(三子園)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자원에는 남해의
3자인 비자(榧子), 치자(梔子), 유자(柚子)가 가득 자리를 메운다. 여름이나 가을에 왔다면 식
물단지에 깃들여진 아름다움을 마음껏 누릴 수 있을텐데, 겨울의 제국이 도래하는 시점에 찾아
오는 통에 차밭과 삼자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벌거숭이가 되었다.


▲  보성 차밭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남해자생식물원 차밭

▲  자생식물원

▲  중생들이 쌓아놓은 무수한 돌탑들

남해자생식물원을 지나면 바로 용문사의 부속암자인 백련암(白蓮庵)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곳은
그다지 구미가 땡기지 않아 가지 않았고, 그곳으로 넘어가는 계곡 다리 부근에 무수히 널린 돌
탑만을 사진에 담아 발길을 돌렸다.
산악신앙(山岳信仰)의 현장인 이들 돌탑에는 중생의 조촐한 소망이 담겨져 있다. 아무렇게나 생
긴 돌로 쌓은 멋없는 탑이지만, 그들의 소망을 하나씩 품으며, 겨울의 시련을 견디는 그들이야
말로 정녕 아름답고 거룩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겉멋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  용문사를 뒤로하며 ~

▲  용문사 주차장 동쪽에 자리한 호수
호구산에서 용문사를 거쳐 바다로 흘러가는 계곡물을 모아놓은 호수이다.
호수 주변으로 나무들이 호수를 거울 삼아 자신의 초췌해진 매무새를
다듬느라 여념이 없다.


용문사와 남해자생식물원을 정신없이 둘러보니 거의 2시간에 시간이 흠뻑 흘러갔다. 이제 용문
사와의 짧은 인연을 정리하며, 다시 속세로 길을 돌린다. 내가 있어야 될 것은 절이 아닌 아비
규환의 속세이기 때문이다.

내려갈 때는 올라갈 때와 달리 일주문에서 주차장으로 내려갔다. 주차장으로 가는 길은 호젓한
산길로 겨울의 제국 앞에 나무들이 앞다투어 벌벌 긴다. 그들을 보니 '이제 올해도 저물었구나~
곧 나이 1살이 누적되겠군' 생각이 잔뜩 일어나 우울한 마음을 한층 더해준다. 산길에는 귀를
접고 처량히 누운 낙엽이 인생의 부질없음을 보여준다.

산길을 5분 정도 내려가면 수레 하나 없는 썰렁한 주차장이 나타난다. 수레로 경내까지 오를 수
있지만 남해 제일의 관광지다 보니 이곳에 따로 주차장을 두었다. 피서철과 휴일에는 이곳도 수
레들로 넘쳐날 것이다. 주차장에서는 쪽빛의 남해바다가 시원스레 바라보여 아까전의 우울함을
어느 정도나마 털어주며, 주차장 한쪽에는 선비의 기개가 느껴지는 선비의 동상이 하나 있는데,
누구의 동상인지는 모르겠다.


▲  용문사 주차장 너머로 보이는 남해바다

▲  속세로 내려가는 길에서 바라본 남해바다

▲  이국적인 분위기의 미국마을 ▼

용문사 주차장에서 5분 정도 내려가면 이국적인 분위기의 마을이 나타난다. 길을 중심으로 좌우
에 질서정연하게 들어선 이국적인 집들, 바로 미국마을(American Village, 예전에는 '아메리칸
빌리지'라고 불렸음)이다. 남해 동쪽 물건리에 있는 독일마을과 더불어 남해군에서 조성한 이국
적인 마을로 재미교포를 위해 조성한 것이다. 

이 마을은 미국식 가옥 21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당수 민박을 겸하고 있으며, 호구산과 용
문사를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고, 정면에는 논과 함께 남해바다가 바라보이는 배산임수(背山
臨水)의 자리에 터를 닦아 꽤 아늑하고 탐이 나는 마을이다. 마을 주민 상당수는 재미교포나 외
지인으로 나도 나중에 나이가 들면 이런 곳에 집 하나 마련하여 살고 싶은 마음 굴뚝 같다.


▲  바다와 모래의 속삭이는 소리만이 가득한 용소리 해변

미국마을에서 남해바다는 눈에 잡힐 듯 가까운 거리로 도로에서 3분 정도만 들어가면 바로 바다
앞이다. 바다 파도가 살며시 모래를 어루만지며 서로의 정을 속삭이는 현장으로 나의 발자국 소
리가 미안할 정도로 고요하다.


▲  썰물로 모습을 진하게 드러낸 남해 갯벌

▲  비단처럼 곱다는 금산(錦山)이 가까이에 바라보인다.

▲  금평 앞바다에서 바라본 호구산의 위엄
좌우로 길게 누운 모습이 누워있는 호랑이를 좀 닮은 것 같다.
이렇게 하여 남해 용문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2년 11월 22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 박스 안에 View on을 꾹꾹
   쿨하게 눌러주시거나 댓글 하나씩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 아래는 최근에 본인 다음 블로그에 올린 글과 사진입니다.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글로 바로 이어집니다)

늦가을 산사 나들이 ~ 천년 묵은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 용문사 (용문산)

 


' 늦가을 산사 나들이 ~ 양평 용문산 용문사(龍門寺) '
용문사 정지국사탑
▲  용문사 정지국사탑


여름의 제국을 몰아내고 잠시나마 하늘 아래 세상을 곱게 물들이던 가을은 겨울제국의 등쌀에
떠밀려 우리 곁을 떠나려고 한다. 차디찬 바람은 겨울의 도래를 알리고 늦가을의 향연을 즐긴
단풍잎은 그 이름도 우울한 낙엽으로 화하여 화려한 윤회(輪廻)를 꿈꾼다. 세상만물을 우울쟁
이로 돌변시키는 늦가을과 겨울의 길목에 친한 이들을 이끌고 양평 용문사를 찾았다.

용문사(龍門寺)는 우리나라에 3곳이 있는데(근래에 지어진 절 제외) 양평 용문사와 예천 용문
사, 남해 용문사가 그것이다. 이들을 묶어서 세상에서는 3대 용문사라 부르기도 한다. 이들의
특징은 내력이 깊이가 대단하고 문화유산을 적당히 지니고 있으며 속세에 널리 알려진 명물을
1가지는 간직하고 있다는 점이다. 양평 용문사는 이 땅에서 제일 오래되고 크다는 은행나무로
명성을 누리고 있고, 예천(醴泉) 용문사는 불가(佛家)의 사치품으로 꼽히는 윤장대(輪藏臺)가
유명하다. (남해 용문사는 문화유산은 허벌나게 많지만 딱히 대표적인 것은 없음)
양평 용문사는 그 문턱인 용문까지 수도권 전철이 들어오면서 서울과의 접근성이 한층 좋아져
예전보다 훨씬 편하고 저렴하게 오갈 수 있게 되었다. 그 덕분에 용문산(龍門山)을 찾는 주말
등산객이 제법 늘었다.

1호선과 중앙선이 만나는 회기역에서 일행들을 만나 용문행 중앙선 전철을 타고 1시간을 내달
려 용문(龍門)에 발을 내린다. 용문행은 배차간격이 거의 30분이라 1대를 놓치면 그야말로 치
명적이다. 기다리다 지쳐 졸도(?)할 수도 있다.

용문역에서 인근 용문터미널로 이동하니 마침 용문사행 군내버스가 출발을 하려고 한다. 버스
는 용문산 등산객들로 이미 초가축수송 상태, 버스의 네 바퀴가 뭉개질 지경이다. 허나 그 차
를 보내면 무작정 30~40분 이상을 기다려야 된다. 그리되면 환승할인(33분)도 받지 못하고 일
정에도 약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인정사정 없이 버스에 올라 짐짝 수송에 흔쾌히 일
조하며, 간신히 앞문에 매달려 용문사까지 고행의 길을 자처했다.

용문에서 용문사까진 차로 15분 거리로 가깝다. 허나 힘들게 가는 상황이니 그 거리도 지나치
게 멀게만 느껴진다. 정말 서울에서 묘향산(妙香山)을 가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좀처럼 나오
지 않는 종점을 원망하며 가까스로 손잡이에 매달려 몸을 지탱했다.

용문사 종점에 이르니 가축 수송으로 숨도 못 쉬던 사람들이 앞다투어 하차를 하면서 다시 한
번 대혼란을 겪는다. 게다가 환승할인과 경기도 버스 거리비례제 때문에 무조건 하차단말기와
승차단말기에 카드를 대야 되니 (카드를 안대고 내리면 다음에 1,100원의 패널티 요금을 강제
로 뜯기야 됨~) 자연히 하차 시간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그 줄이 엉키고 설키니 오죽하겠는
가? 그야말로 버스는 아비규환 속세의 축소판이다.
버스에서 내리니 해탈의 경지를 누린 듯 이제서야 숨을 제대로 쉴 것 같다. 버스 안에는 대략
90명 정도가 타고 있던 듯 싶으며, 그들이 싹 내리니 찌그려져 있던 버스 바퀴의 표정도 씨익
밝아진다.

시간이 점심 때를 약간 넘긴 터라 우리는 점심을 먹고자 용문산중앙식당에 자리를 폈다. 용문
산을 든든한 후광(後光)으로 삼은 용문산 주막촌에는 많은 주막과 숙박업소가 있지만 그 집의
이름은 예전에 들은 바가 있어서 그 집을 골랐다. 물론 맛은 옆집이나 앞집이나 비슷하다.

우리는 산채비빔밥과 도토리묵, 파전 등 정말 두루두루 시켜 뱃속의 불만을 잠재운다. 그렇게
배불리 먹고 동동주 1잔 걸치니 정말 신선놀음이 따로 없다. 배가 부르고 등이 따스하니 졸음
이 배 깔고 한숨 자라며 나를 희롱하려 든다.


▲  점심으로 먹은 산채비빔밥

점심을 먹고 잠시나마 쉬었던 두 발을 다시 움직였다. 주막촌을 지나면 관광안내소와 함께 용
문사매표소가 나타난다. 나그네의 호주머니를 애타게 바라보는 매표소에서 입장료를 확인해보
니 성인은 무려 2,000원... 혹여 단체할인이 안될까 싶어서 할인을 요청했으나 인원이 부족하
다고 절대로 안된다고 그런다. 다른 곳은 적정 인원을 못채워도 10명만 넘으면 눈치껏 해주던
데, 여기는 그렇지 않은 듯 하다. 꿩 대신 닭을 잡을 겨를도 없이 소정의 입장료를 내고 안으
로 들어선다.


♠  용문사 가는 길 (일주문, 은행나무)

▲  용문사매표소에서 용문사로 인도하는 길

매표소를 지나면 드넓은 광장이 나온다. 여기서 왼쪽으로 가면 놀이시설이 있는 용문산관광단지
가 나오고, 직진을 하면 양평친환경농업박물관과 용문사로 통한다. 광장 주변은 조촐하게 공원
으로 꾸며져 있다. 오래 전에 왔을 때는 주막촌 외에는 아무 것도 없었는데, 그새 이것저것 심
어 놓아 위락관광단지로 번잡하게 만들어 놓았다.

양평친환경농업박물관을 지나면 용문사 길은 말끔히 포장된 수레길과 흙길인 산길로 갈린다. 여
기서 빠르고 편하게 가고자 한다면 수레길로 가면 된다. 이 길이 용문사로 가는 주된 길로 매표
소에서 용문사까지 수레길로 가볍게 걸어도 20분이면 족하다. 또한 경사도 무척 낮아 누구나 쉽
게 오를 수 있다. 반면 산길은 끝없는 오르막의 연속으로 약간의 등산을 요하지만 운치가 진하
게 깃들여져 있으며, 소위 말하는 친환경적인 흙길이다. 수레길에 비해 인적도 많지 않아 잠시
나마 한적한 산행을 누릴 수 있으며, 용문사의 보물인 정지국사탑비와도 이어진다.

수레길로 접어들어 다리를 건너면 (산길은 다리
건너기 직전에 있음) 용문사의 정문인 일주문이
중생을 마중한다.
이 문은 1986년에 세운 것으로 여의주를 머금은
용머리가 달린 기둥 2개 위에 평방(平枋)을 두
어 절의 이름이 담긴 현판(懸板)을 달고 맞배지
붕으로 마무리했다. 문이라고는 하지만 여닫는
문짝은 없다. 누구든 맞아들여 보듬어 주겠다는
부처나 자연의 마음이 담겼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들이 일주문처럼 열린 마음으로 살아가면
이 세상은 정말 극락이 따로 없을터인데 신과
동물 사이에 들어앉은 애매한 존재다 보니 전혀
그러지를 못하는 것 같다.

▲  용문사 일주문(一柱門)

 


▲  겨울제국이 눈치챌라 물 흐르는 소리도 조용한 용문사계곡

일주문을 지나면 은행과자를 파는 가게가 나온다. 이곳은 용문사에서 운영하는 집으로 은행나무
의 은행 열매를 넣어 만든 과자를 판매한다. 과자의 생김새는 호두과자와 같으며, 과자 안에 호
두 대신 은행이 들어있는 것 외에는 다른 것이 없다. 5천원과 1만원 단위로 판매하는데, 과자를
만드는데 시간이 조금 걸려서 어쩔 때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된다. 20분을 기다린 끝에 겨우
5천원치 은행과자를 샀는데, 맛은 호두과자와 비슷한 것 같다. 양이 20개 남짓으로 일행이 많다
보니 금세 동이 난다.

일주문을 지나 15분을 들어가면 찻집과 기념품점을 겸하는 전통다원이 나오고, 용문사의 명물인
은행나무가 장대한 모습으로 눈 앞에 나타난다.

◀  용문사를 상징하는 대명사이자 동양
최대의 은행나무, 용문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30호

이 은행나무는 용문사에서 특별히 옆구리에 끼고 애지중지하는 이곳의 꿀단지이자 듬직한 밥줄
이다. 이 나무가 없었다면 지금의 용문사도 없었을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최대의 은행나무이자 동양 최대의 은행나무란 지위까지 지지고 있는 고품격의 나무로
높이가 무려 42m, 가슴높이 줄기둘레 14m, 가지퍼짐은 동쪽 14.1m, 서쪽 13m, 남쪽 12m, 북쪽
16.4m, 뿌리부분 둘레는 15.2m이다. 추정 나이는 약 1,100년을 헤아리며, 줄기 아래쪽에 큰 혹
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가 너무 큰지라 경내 어디서든지 그가 흔쾌히 보인다.

이 나무는 신라(新羅)의 마지막 자존심 마의태자(麻衣太子)가 신라의 재건을 꿈꾸며 경주(慶州)
를 버리고 금강산으로 가던 중에 심었다고 전한다. 신라가 935년 10월에 쿨하게 망했으니 태자
가 무리를 이끌고 여기까지 온 것은 적어도 935년 11월 정도 될 것이다. 그러면 나무의 나이와
대충 맞아 떨어진다. 허나 전설처럼 태자가 과연 이곳에 들렸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용문사가
10세기 초반에 양평함씨(양근함씨)의 지원으로 창건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함씨(咸氏) 세력
이나 절에서 심은 것이 아닐까 싶다.
다른 전설로는 7세기에 활약하던 의상대사(義湘大師)가 꽂은 지팡이가 자라났다고 하는데, 이는
나무의 나이나 그 당시 상황을 봐도 전혀 있을 수가 없는 일이다.

조선 세종 때는 당상관(堂上官) 품계를 받아 정삼품송(正三品松)이라 불리기도 하며, 절이 수차
례 불타고 재건되기를 반복했으나 이 나무는 별탈없이 그 자리를 지켰다. 특히 사천왕전(四天王
殿)이 불탄 이후에는 절을 지키는 천왕목(天王木)으로 받들었다고 하며, 나라에 변고가 있을 때
마다 소리를 내어 세상에 알렸다고 전한다. 요즘 나라 돌아가는 꼬락서니를 보면 순 재변(災變)
투성이인데도 근래는 한번도 소리를 안낸 모양이니 참으로 이상하다. 너무 소리를 내서 이제는
낼 소리조차 없는 것은 아닐까?

1907년 왜군이 의병 토벌을 구실로 용문사를 불질렀는데, 이 나무만 타지 않았다고 하며, 왜정(
倭政) 때는 왜군이 나무를 자르려고 용을 쓰다가 벼락을 맞아 줄행랑을 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걸 증명하듯 그 당시의 도끼자국이 아련히 남아있어 우리의 아픈 역사를 비추게 한다.

은행나무는 녹음(綠陰)이 깃드는 여름에도 멋있고 시원하지만 아무래도 황금빛으로 물드는 늦가
을의 자태가 단연 으뜸이다. 바로 그 절정을 보려고 왔지만 너무 늦게 와서 은행잎은 커녕 굵은
가지만 남은 그의 앙상한 모습만 눈에 넣고 말았다. 아무리 잘나가는 나무라 해도 겨울의 제국
앞에서는 누구나 평등하다. 가지만 가련히 남은 모습은 누구나 같기 때문이다. (동백나무 등의
친겨울계 나무나 소나무, 향나무는 제외)
늦가을의 절정을 누리는 은행나무의 모습을 담지 못해 그 아쉬움을 달래고자 문화재청에 올려진
사진을 아래 첨부하니 안구정화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늦가을 용문사 은행나무의 위엄 (문화재청 사진)

▲  땅바닥에 떨어져 인생의 마지막을 노래하는 은행잎들

▲  서서히 모습을 드러낸 용문사 경내
탑 너머로 보이는 용문산 산줄기

▲  경내로 조심스레 인도하는 돌계단

경내로 들어서기 전에 간략하게 용문사의 내력을 살펴보도록 하자.

※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 용문사의 굵직한 내력
용문산 남쪽 자락에 안긴 용문사는 913년 대경대사(大鏡大師) 여엄(麗嚴)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다른 설로는 신라의 마지막 군주, 경순왕(敬順王, 재위 927~935)이 친히 행차하여 세웠다고 한
다. 허나 당시 신라는 고려와 백제, 여러 지방세력에게 영토 대부분을 빼앗기고 간신히 경주 일
대만을 지키던 상황이었다. 그런 지경에 어찌 머나먼 용문산까지 와서 한가롭게 절을 짓겠는가?
게다가 그럴 재정도 없었다.
또한 양근(楊根)이라 불리던 양평 일대는 고려의 영역으로 양평함씨 세력의 본거지로 고려에 투
항한 그들이 신라의 떨거지 왕이 와서 설치는 것을 그냥 팔짱만 끼고 보고 있을 리도 없기 때문
이다. 아마도 은행나무를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전설 때문에 그의 부왕(父王)이 등장한 듯 싶다.
그것 말고도 649년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가 중창했다는 설도 있으니 이 역
시 신뢰성이 없다.

절의 창건 시기를 알리는 최초의 기록은 조선 세조 때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용문사기(龍門寺
記)'와, 1493년 임사홍(任士洪, ?∼1506)이 쓴 '용문사중수기(龍門寺重修記)'가 있다. 이들 기
록에는 '신라 때 창건된 나라의 이름 있는 절','경기도의 이름 있는 절로 오래 되었다'고 쓰여
있을 뿐이며, 1927년 안진호(安震浩)가 쓴 '봉선본말사지(奉先本末寺誌)'와 권상로(權相老)의 '
한국사찰전서'에는‘신라 신덕왕 2년(913)에 대경대사가 창건했다. 일설에는 경순왕이 친히 거
둥하여 절을 창건하고 손수 공손수(公孫樹)를 심었다고 하나 증명할 기록은 없다'
라 되어있어
대경대사 창건설에 무게를 잔뜩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쨌든 용문사는 절 앞에 있는 은행나무를 통해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중에 창건된 후삼국시대
절은 확실하다. 절을 창건했다는 대경대사는 용문사 창건 10년 뒤인 923년에는 용문산 서북쪽이
자 양평함씨의 성지인 함왕혈(咸王穴) 인근에 사나사(舍那寺. ☞ 관련글 보기)를 세운 것을 보
면 양평함씨의 후원을 업은 승려가 분명하며, 그들의 지원에 힘입어 창건된 절이 확실하다.

창건 이후 1378년(우왕 4년) 정지국사(正智國師) 지천(智泉)이 개성 경천사(敬天寺)에 있던 대
장경(大藏經)을 가져와 대장전(大藏殿) 3칸을 지어 보관했다고 하며, 1395년 중창을 벌였다.
1447년(세종 29년)에는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모후(母后)인 소헌왕후(昭憲王后)를 위해 중수를
벌이면서 왕실의 원찰(願刹)이 되었고, 1457년(세조 2년) 왕명으로 절을 크게 불려 '동국(東國)
제일가는 사찰'이라 불릴 정도로 호황을 맞는다.

1480년(성종 11년)에는 처안(處安)이 중수를 하고 1890년 봉성(鳳城)이 신정익황후(神貞益皇后)
조씨<조대비(趙大妃)>의 지원으로 중창했고, 1893년 다시 중창을 했다. 봉성은 조대비에게 극진
한 예우를 받았는데, 1891년 대비의 권유로 양주 견성암(見聖庵)에서 용문사로 넘어왔다.

이렇게나 잘나가던 용문사는 1907년 왜군들이 용문산에 머물던 의병(義兵)을 토벌한다는 이유로
불을 지르면서 그 영화로움은 순식간에 한줌의 재가 되고 만다. 이때 같은 산에 안긴 사나사와
상원사(上院寺)도 불타고 말았다.

1909년 취운(翠雲)이 큰방을 다시 짓고, 1938년 태욱(泰旭)이 대웅전과 어실각, 노전, 칠성각,
기념각, 요사 등을 중건하며 다시 재흥을 꿈꾸었으나 6.25전쟁으로 상당수가 불타고, 대웅전과
관음전만 간신히 남았다. 1983년 범종각과 지장전을 중건했고, 끊임없이 불사(佛事)를 벌여 지
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관음전, 지장전, 삼성각, 독성각 등 약 10동의 건물이 있으며, 경
내에 깃들여진 고색의 향기는 죄다 흩어져 사라지고 말았다. 허나 1,100년 묵은 은행나무와 정
지국사탑비, 금동관음보살좌상 등의 문화유산이 있어 절의 오랜 내력을 가늠케 한다.

용문사는 용문산과 한덩어리로 오래 전부터 수도권 유명 관광지로 명성을 누렸다. 특히 중앙선
전철이 뚫린 이후에는 더욱 그렇다. 용문사는 등산객과 관광객들로 늘 북새통을 이루어 아늑하
고 적막한 산사의 향기를 누리는 것은 조금은 힘들 듯 싶다. 다만 은행나무 아래쪽에 전통다원
이란 찻집이 있어 산사에서의 차 1잔의 여유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용문산 등산로 길목에 있어
절을 둘러보고 상원사나 윤필암터, 용문산 정상까지 오를 수 있으며, 근래에는 템플스테이를 운
영하면서 산사 체험을 누릴 수 있다.

동양 최대라는 은행나무의 아름다움과 용문산의 삼삼한 숲이 어우러진 산사로 한번은 안기고 싶
은 그런 절집이다.

※ 용문사 찾아가기 (2012년 11월 기준)
* 용문행 중앙선 전철(용산~용문)을 타고 용문역 하차(30분 간격), 중앙선과 환승이 가능한 전
  철역은 용산역(1호선), 이촌역(4호선), 옥수역(3호선), 왕십리역(2/5호선, 분당선), 회기역(1
  호선), 상봉역(7호선, 경춘선), 망우역(경춘선)이다.
* 동서울터미널에서 용문 경유 홍천 방면 직행버스 이용 → 용문 정류장에서 용문터미널이나 용
  문축협까지 도보로 이동(터미널은 10분 정도, 축협은 5분)하여 용문사행 군내버스 이용
* 용문터미널(군내버스만 정차)과 용문역에서 용문사행 군내버스가 거의 50~60분 간격으로 다닌
  다. (휴일에는 30~50분 간격으로 운행)
* 승용차로 가는 경우

① 서울 → 홍천 방면 6번 국도 → 용문사나들목을 나와서 331번 지방도 → 용문사주차장
② 중부고속도로 → 하남나들목 → 팔당대교 → 6번 국도 → 용문사나들목을 나와서 331번 지방
   도 → 용문사주차장

★ 용문사 관람정보
* 입장료 : 어른 2,000원 (30인 이상 단체 1,800원) / 청소년과 군인 1,400원 (30인 이상 1,200
  원) / 어린이 1,000원 (30인 이상 800원)
* 주차비 : 승용차 3,000원 / 버스 5,000원
* 용문사 템플스테이는 주말에 하는 1박 2일 프로그램과 평일에 자유롭게 머무는 휴식형 프로그
  램이 있다. 참가비는 어른 5만원, 학생(대학생 포함) 4만원. 자세한건  ☞ 용문사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로 문의요망 (☎ 031-775-5797)
* 용문사에서 상원사까지 산행 1시간, 장군약수가 있는 운필암은 2시간 30분 정도 걸리며, 정상
  까지는 3시간 정도 잡으면 된다. 운필암을 거쳐 사나사나 연수리 방면으로 내려갈 수 있다.
*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5 (☎ 031-773-3797)


♠  용문사 경내 둘러보기

▲  용문사 대웅전(大雄殿)

경내로 들어서면 바로 정면으로 법당(法堂)인 대웅전과 마주친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
붕 건물로 1983년에 새롭게 지은 것이다. 대웅전 현판은 서울 봉은사(奉恩寺)에 있는 추사 김정
희(金正喜)의 글씨를 번각(飜刻)한거라 한다.

◀  용문사3층석탑

대웅전 뜨락에 심어진 3층석탑은 1989년에 주지
이선걸이 만든 것이다. 저 탑이 있기 전에는 용
문사에는 이렇다 할 탑이 없었다. 불국사 석가
탑(釋迦塔)을 빼닮은 탑의 풍채가 제법 돋보인
다.


▲  용문사 삼성각(三聖閣)

대웅전에서 산령각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한 삼성각은 1985년에 지은 것으로 단청은 박정원이 했
다. 같은 해에 조성된 칠성탱과 독성탱, 산신탱이 봉안되어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
지붕 건물이다.


▲  삼성각 칠성탱(七星幀) - 1985년 제작
색상이 진해서 그런지 그려진 인물이 많음에도 그리 번잡해 보이지가 않는다.

▲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산령각(山靈閣)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는 최근에 지어진 산령각과 독성각이 자리해 있다. 경내를 굽어보며 자
리한 이들은 정면과 측면이 1칸 밖에 안되는 정말 조촐한 건물이다.
산령각은 산신(山神)을 봉안한 건물로 아래 삼성각에서 산신을 모시고 있음에도 그만의 별도 공
간을 두었다. 건물의 정체를 밝히는 현판은 가로로 걸려 있으며, 건물은 비록 작지만 제법 품격
이 서려 보인다.


▲  산령각에 봉안된 산신탱과 산신상

산령각에는 산신 가족이 그려진 산신탱과 호랑이와 같이 있는 산신상이 있다. 산신탱에는 흰 수
염의 산신할배를 비롯해 그의 심부름꾼인 호랑이와 앳된 동자(童子)가 그려져 있으며, 소나무와
산이 뒷배경이 되어준다. 산신탱 앞에 자리한 산신상은 지팡이를 들고 앉아 있으며, 오른쪽에는
호랑이가 귀여운 표정으로 으러렁거리며 산신의 곁을 지킨다.


▲  산령각과 이웃한 독성각(獨聖閣)

산령각 이웃에 자리한 독성각은 삼성(三聖)의 하나인 독성(獨聖, 나반존자)의 거처이다. 역시나
삼성각에서 그를 다루고 있음에도 별도로 그만의 공간을 지어 중생들의 하례를 받게 했다. 독성
전과 산령각 앞에는 넓게 예불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조그만 독성각에는 독성이 그려진 독성탱과 독성상이 있으며, 앞가슴을 시원스레 드러내고 아줌
마 자세로 앉은 모습이 편안해 보인다. 얼굴에는 뭔가 수심에 잠긴 듯, 오른쪽을 바라보며 편치
않은 표정을 짓는다.


▲  독성각의 주인 독성상


▲  중생구제를 향한 부처의 아련한 메세지가 담긴 범종(梵鍾)

지장전 맞은편에는 범종의 보금자리인 범종각이 자리해 있다. 범종각에는 보통 범종을 비롯하여
목어(木魚)와 운판(雲版), 법고(法鼓) 등 사물(四物)이 담겨있게 마련이다. 허나 이곳은 오로지
범종만을 두어 중생 구제를 향한 부처의 메세지를 용문산에 울려 보낸다.

범종각은 1986년에 조성되었으며, 다른 절과 달리 중생들에게도 종을 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불전함에 돈을 넣고 쳐야 된다. 그냥 치면 눈치가 보일 수 있으니...


▲  청기와를 입힌 지장전(地藏殿)

대웅전 좌측에 자리한 지장전은 1993년에 세워졌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비롯하여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를 봉안하고 있으며, 특별히 청기와를 입혀 건물의 품격을 높였다. 지장전의
편액은 서예가로 유명한 일중 김충현(一中 金忠顯)이 1973년에 남긴 것이다.


▲  용문사 약수

▲  연못에 가라앉은 무심한 동전들

지장전 좌측에는 동그란 연못과 약수터가 있다. 산사에는 필수적으로있는 약수터, 용문산이 내
리는 옥계수가 마를 날 없이 흘러 나와 중생들의 목을 축여준다. 용머리 밑에 꽂힌 대나무통에
서 흘러나온 물은 동그란 석조에 머물다가 어느 정도 물이 차면 밑에 있는 조그만 석조로 떨어
지고, 역시 같은 원리로 연못으로 흘러간다.
연못은 수심이 얇아 바닥이 보일 정도로 인간들이 심심풀이로 내던진 동전들이 수북히 쌓여있어
마치 보물선이 침몰한 자리를 연상시킨다. 수면 밑에서 빛을 발하며 잠들어 있는 동전들의 물밑
세상, 저기 깔린 돈은 과연 얼마나 될까? 겉으로는 10원짜리나 50원, 100원이 주류라 얼마 되겠
나 싶지만. 티끌도 모아지면 태산이 된다고 상상 이상의 금액이 될 것이다. 저들을 손수 수거하
여 세상에 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보는 이목들이 많으니 그림의 떡처럼 그저 바라볼 수
밖에는 도리가 없다.


▲  6각형의 관음전(觀音殿)

용문사 경내를 이루는 건물들은 죄다 네모이다. 허나 경내 동쪽에 자리한 관음전만큼은 독특하
게도 6각형의 모습을 취하고 있어 눈길을 잡아 맨다.

관음전은 관음보살의 거처로 원래는 대웅전 우측 툇마루를 지닌 선방(禪房)이 관음전이었다. 그
러다가 최근에 동쪽에 터를 닦고 새롭게 관음전을 지어 올렸다. 내부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금동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다.


▲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경기도 지방유형문화재 172호

불단에 홀로 앉은 관음보살은 수려한 보관(寶冠)에 누님처럼 인자한 표정, 찬란한 장식으로 보
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머금게 한다.
그는 조선 초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원래부터 용문사의 것인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흘러 들어왔
는지는 알 수 없다. 불상의 건강 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으로 얼굴은 작고 동그랗고 볼살이 좀
있어 보인다.

머리를 장식하는 화려한 보관은 나무로 만들었으며, 리본처럼 묶은 머리가 어깨까지 흘러 내린
다. 원만하고 볼살이 있는 얼굴에는 조촐한 얼굴 크기처럼이나 눈과 코, 입이 소소하게 표현되
었으며, 상체는 약간 뒤로 젖혀져 있다. 특히 유난히도 구슬장식이 많이 달려 있어, 귀족적 분
위기도 느껴진다.
양 어깨에 걸친 옷은 목 부분에서 한번 접혀 양 팔로 자연스럽게 내려오고 있으며, 오른쪽 소매
자락은 배 부분의 옷자락 사이에 끼워져 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발목 부분에서는 부드럽게 접힌
'八'자형의 옷주름을 이루며 두 무릎을 덮는다.

불상의 구슬장식과 왼쪽 가슴에 있는 금으로 된 세모 장식 등은 14세기 보살상(菩薩像) 양식으
로 고려 후기 보살상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으며, 조촐하고 차분한 모습을 보여준다. 현재 불상
은 금동(金銅)인데. 이는 근래에 입힌 것이다.


▲  금동관음보살좌상과 건물 외벽에 빙 둘러진 관음후불탱화
관음보살을 주위 3면에는 관음보살이 주인공인 후불탱화가 있다.
탱화의 색채가 매우 밝고 고운지라 관음보살상과 잘 조화를 이루며
관음전 내부를 눈부시게 밝혀준다.

▲  관음전 내부를 수식하는 하얀 피부의
 지장보살상 - 마치 '반지의제왕'에 나오는
 회색 간달프를 보는 듯 하다.

▲  옷주름을 휘날리며 푸른 정병을 들고
 선 관음보살상 (석가탄신일용 장엄등)


▲  관음전에서 바라본 용문사 경내

▲  부도군(浮屠群)
고색의 떼로 가득한 조선 후기 승탑(僧塔, 부도)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을 넘나들며 한 자리에 모인 승탑들의 보금자리이다.


♠  용문사 정지국사탑/비(正智國師塔/碑) - 보물 531호

▲  정지국사탑

용문사를 찾은 사람들의 상당수는 은행나무와 경내만 둘러보고 다봤다면서 그냥 돌아간다. 허나
이는 큰 실수이다. 경내에서 동쪽으로 300m 가량 떨어진 산자락에 보물로 지정된 정지국사탑/비
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나무야 원래 유명한데다 경내 앞에 떡 있으니 보고 싶지 않아도 무조건
보고 가야 되는 존재이고 절에 왔으니 대웅전을 위시한 경내를 보고 가야 된다. 허나 정지국사
탑/비는 경내와 다소 떨어진 산모퉁이에 있고 속세에 노출 정도가 낮아서 많은 이들이 모르고
지나친다.

정지국사탑비를 가려면 경내에서 부도전 뒤쪽으로 난 산길을 이용하면 된다. 이정표는 있으므로
헤맬 염려는 없다. 겨울이 깃들여진 산길은 경사가 없는 평지라 부담은 없다. 그 길을 5분 정도
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의 가파른 계단길로 오르면 정지국사탑/비가 나온다. 탑은
그 길의 끝에 있고, 비석은 그 중간에 있는데, 비석 같은 경우는 안내문이 없어 자칫 지나치기
가 쉽다. 게다가 지형을 이용해 나무로 엮은 계단들이 키다리들에게 맞춰졌는지 계단의 높이가
상당히 높아 오르기가 좀 힘들어 키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들에게는 그야말로 쥐약이다.

허나 오르는 길이 힘들다 한들 각박한 속세살이보다는 쉽다. 자존심을 곱게 접고 차근차근 길을
임하면 나올 것 같지 않던 그들이 나타나 반갑게 맞이해 줄 것이다.


▲  네모난 기단 위에 심어진 정지국사탑(부도)

넓은 네모난 기단 위에 자리한 정지국사탑은 바닥돌과 하대석(下臺石)이 네모로 지붕돌과 탑신(
塔身)은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큰 기단(基壇) 한복판에 네모난 바닥돌을 두고 연꽃이 새겨진 하대석(下臺石)과 중대석(中臺石)
을 두었으며, 그 위로 8각의 탑신(塔身)을 두었는데, 문짝 모양이 얇게 새겨져 있다. 고색의 검
은 떼가 서린 지붕돌은 밑에 3단 받침이 있고, 처마 밑에는 모서리마다 서까래를 새겼다. 지붕
돌 위에는 지붕선이 있고, 하늘을 향한 앙련(仰蓮) 장식으로 꼭대기를 마무리했다.

탑에 묻힌 정지국사(1324~1395)는 고려 후기 승려로 황해도 재령(載寧) 출신이다. 명나라 연경
(燕京)으로 건너가 유학을 하며 구법승(求法僧)으로 생활했다. 1356년(공민왕 5년)에 귀국하여
전국을 돌면서 오로지 수도에 임했으며, 속세에 알려지는 것을 꺼려하며 거의 은둔생활을 했다.
말년에는 용문사에 들어와 절을 중창하며 머물다가 1395년 7월 7일 열반에 들었다.
그를 다비(茶毘)하면서 찬연한 사리들이 많이 나오자, 태조가 이를 듣고 정지국사(正智國師)란
시호를 내렸으며, 부도와 탑비를 세웠다.

탑의 크기는 고려 때와 비교하면 대체로 작은 편이고, 그다지 수려하지도 않다. 장식이라고 해
봐야 연꽃무늬와 문짝무늬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허나 고색의 떼가 적당히 입혀 있고 조촐하고
소박한 모습이 은근히 마음에 든다. 사람들로 시장통을 이루는 경내와 달리 인적도 별로 없어
적막감이 진하게 감싸 흐른다. 가끔씩 들려오는 사람들의 이야기 소리나 메아리 소리, 바람의
소리만이 살짝 스치고 지나갈 뿐이다. 


▲  소박한 스타일의 정지국사탑비

정지국사탑으로 오르는 길목에 조그만 비석이 하나 있다. 마땅한 안내문도 없고 흔한 모습의 비
석이라 지나치기 쉬우나 그는 정지국사탑과 한 덩어리인 탑비(塔碑)이다. 다만 비석이 이수(螭
首)와 귀부(龜趺)를 기본적으로 갖추는 고승(高僧)의 비석치고는 너무 궁색한 모습이라 나그네
의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바위 위에 세워진 이 비석은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머리 부분 양쪽 모서리를 종이 끝이 접혀진
듯 깎았다. 글씨가 새겨진 주위에는 가는 선이 그어져 있으며, 비문(碑文)에는 정지국사의 생애
가 20행의 880자로 빼곡히 적혀있다. 뒷면에는 조성자의 명단이 적혀있으며, 비문은 조선 초기
이름을 날린 권근(權近, 1352~1409)이 썼다.

비석은 처음에는 정지국사탑 20m 아래 바위에 있었는데, 바위에서 뽑혀나와 경내에서 이리저리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에 지금의 자리에 안착을 시켰다. 비석의 모습이 평범한 수준에 머문
것은 정지국사가 고승이긴 하나 딱히 알려진 인물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부도와 탑비
를 화려하지 크지도 않게 적당한 선에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  정지국사탑으로 올라가는 길
보기와 달리 제법 가파르다. 길 중간
왼쪽에 정지국사탑비가 있음

▲  용문사에서 속세로 내려가는 산길

정지국사탑/비를 둘러보고 산길을 거쳐 속세로 나왔다. 수레길과 달리 한적하기 그지 없는 산길
은 흙길이다. 산에 왔으니 흙은 밟아봐야 되는 법~~ 산길의 경사는 그리 급하진 않다. 수레길과
일정한 간격을 두며 진행되던 산길은 결국 일주문 부근에서 수레길과 합쳐진다.


▲  용문사 입구에 지어진 양평친환경농업박물관

용문사로 들어서는 길목에는 2007년 10월에 문을 연 양평친환경농업박물관이 자리해 있다. 양평
의 역사와 문화, 농업, 자연, 용문산을 아낌없이 담은 박물관으로 이름이 좀 길다. 그냥 간편하
게 양평농업박물관이나 양평박물관으로 부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박물관은 2층 규모로 전시실은 2층에 있다. 양평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제1전시관과 농업과 자
연을 담은 제2전시실, 양평의 역사를 담은 역사실과 다양한 테마의 기획전시실이 있으며, 2층
실외 한쪽에 누각(樓閣)을 두어 관람객에게 조촐히 쉼터를 제공한다.
용문산관광단지의 한 획을 장식하는 문화 공간으로 볼거리도 많이 있으므로 용문사나 용문산에
왔다면 꼭 둘러보기 바란다. 입장료도 공짜이니 경제적 부담도 없으며, 2012년 1월부터 용문사
에서 위탁관리하고 있다.

우리가 이곳에 이른 시간은 오후 4시, 폐장시간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어 박물관을 가볍게 둘러
보았다. 박물관에 대한 내용은 2장의 사진으로 간단히 마무리를 짓는다.

★ 양평친환경농업박물관 관람정보 (2012년 11월 기준)
* 관람시간 : 하절기(3~10월) 9시 ~ 18시 / 동절기(11~2월) 9시 30분 ~ 18시 (입장은 폐장 30분
  전까지)
* 입장료 공짜
* 휴관일 :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 추석
*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508-10 (용문산로 670) <☎ 070-7715-3796>
* 박물관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박물관 2층 로비에 놓인 기이한 장식물
나무 장작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무슨 의미가 있을 듯 싶은데 ;;

▲  제1전시관에서 담은 차정첩(差定帖)
차정첩은 공공기관에서 사무를 맡기는 임명장의 하나로 1815년 양평현감이
김치성(金致聲)에게 권농별유사(勸農別有司)의 임무를 맡긴 내용이다.
별유사는 관청에서 호적 등의 사무를 보는 직책이다.


용문사에서 속세로 나가는 길도 정말 만만치가 않았다. 버스를 기다리는 줄이 200m에 육박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휴일에 증회 운행을 한다고 떠들어도 배차간격이 길기는 마찬가지, 사람들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10분 내외 간격으로 투입하여 등산객 수요를 바로바로 처리했으면 좋겠다.

15분 정도를 기다리자 버스가 나타났다. 버스 바퀴가 뭉개질 정도로 금세 콩나물시루가 되었지
만 운전사는 이에 굴하지 않고 계속 사람들을 태운다. 더 이상 공간이 없음에도 말이다. 승객들
은 그만 태우고 빨리 가자고 소리치지만 운전사는 출발시간이 되지 않았다며 손사래를 친다. 이
건 무슨 버스 승차 기네스북을 세우는 것도 아니고, 점심 때 용문사로 올 때 보다 더 심하게 태
운다. 길이 10.6m의 버스 안에 100명은 넘게 탄 듯 싶다. 다시 한번 아비규환이 된 버스..

드디어 버스는 시동을 걸고 인원초과로 초죽음이 된 바퀴를 굴린다. 손잡이를 간신히 붙잡고 용
문역까지 가던 15분의 시간은 정말 150분처럼 길고 고통스러웠다. 용문역에서 지옥과 같던 버스
에서 해방되어 전철을 타고 서울로 돌아왔다. 이리하여 늦가을 용문사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2년 11월 7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 박스 안에 View on을 꾹꾹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하나씩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 아래는 최근에 본인 다음 블로그에 올린 글과 사진입니다.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글로 바로 이어집니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