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촌'에 해당되는 글 11건

  1. 2023.06.24 인왕산 그늘에 깃든 서울 도심의 꿀명소, 서촌~청운공원 나들이 <선희궁터, 옥류동 청휘각터, 백세청풍 바위글씨, 송강정철 집터> 2
  2. 2022.11.03 서촌(웃대)의 숨겨진 명소를 거닐다 <필운대, 백사이항복집터, 배화여고, 필운동 홍건익가옥, 월암동> 2
  3. 2021.04.26 서울 도심의 한복판, 서촌(웃대) 봄나들이 ~~~ 옥인동 박노수미술관(박노수가옥), 윤동주하숙집터
  4. 2020.11.25 인왕산자락길, 황학정, 서촌(한양도성) 늦가을 나들이 ~~ (택견수련터, 감투바위, 단군성전, 행촌동 은행나무)
  5. 2020.10.14 듬직하게 생긴 서울 도심의 영원한 우백호, 인왕산 나들이 (인왕산길, 한양도성, 치마바위, 기차바위)
  6. 2019.11.20 늦가을 서촌의 끝자락을 거닐다 [월암근린공원에서 딜쿠샤, 황학정까지]
  7. 2017.11.27 서울 도심의 꿀단지, 서촌 늦가을 산책 ~~~ 옥인동 박노수미술관, 친일매국노 윤덕영의 기와집 흔적들
  8. 2016.12.07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서촌의 끝자락을 더듬다 ~~~ (인왕산 한양도성, 딜쿠샤, 행촌동은행나무, 홍난파가옥 등)
  9. 2016.08.22 도심 속에 숨겨진 조촐한 피서지이자 서촌 제일의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인왕산길, 기린교)
  10. 2016.01.01 서울 도심의 새로운 꿀단지, 서촌 나들이 (한옥마을)

인왕산 그늘에 깃든 서울 도심의 꿀명소, 서촌~청운공원 나들이 <선희궁터, 옥류동 청휘각터, 백세청풍 바위글씨, 송강정철 집터>

서촌 늦가을 나들이



' 서촌 늦가을 나들이 '
옛 청휘각터에서 바라본 서촌(웃대)과 서울 도심
▲  옛 청휘각터에서 바라본 서촌(웃대)과 서울 도심
 



 

늦가을이 막바지에 이르던 11월 한복판에 서울 도심의 꿀명소로 크게 추앙을 받고 있는
서촌(西村, 웃대)을 찾았다.
서촌은 원래 서대문과 경희궁(慶熙宮) 주변을 일컬었고, 경복궁 서쪽 동네는 웃대라 불
렸는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에 이들 지역은 서촌으로 합쳐졌다. 요즘에는 경복궁(
景福宮)과 인왕산(仁王山) 사이 지역을 서촌이라 크게 부르고 있으며, 세종이 1397년에
태어난 곳이라 해서 세종마을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다.

서촌은 가까운 북촌(北村)과 인왕산, 북악산(백악산), 부암동과 더불어 나의 마음을 계
속해서 훔치고 있는 내 즐겨찾기 명소로 한때는 북촌처럼 구석구석 누비고 다녀 안가본
골목이 없을 정도이다. 허나 사람의 마음은 갈대라고 다른 즐겨찾기 명소들이 생겨나면
서 조금은 시들어졌다.

늦가을이 깊어감에 따라 서촌 앓이가 다시금 도지면서 오래간만에 그곳을 찾았는데, 이
번에는 신교동과 옥인동, 청운동(淸雲洞)의 일부 명소들을 복습했다. (본글에서 선희궁
터와 백세청풍 바위글씨, 청운공원 일부는 늦여름에 담은 사진을 이용했음)


▲  백세청풍 바위글씨

▲  청운공원의 늦가을 풍경



 

♠  영조의 후궁인 영빈이씨의 사묘(私廟), 선희궁터 사우(祠宇)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2호

서촌 북부에 자리한 신교동(新橋洞)에는 국립서울농학교가 있다. 그 학교 교정에는 고색이 깃
든 기와집이 하나 숨겨져 있는데, 그곳이 바로 옛 선희궁터의 사우이다.

선희궁은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년)의 후궁인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신주(神主)를 봉안했
던 왕실의 사묘<私廟, 사친묘(私親廟)라고도 함>이다. 사묘란 왕후(王后) 반열에 들지 못하거
나 추존되지 못한 제왕의 생모(生母)나 친할머니를 위해 지은 사당이다.

영빈이씨는 창경궁 선인문(宣人門)에서 뒤주에 갇혀 죽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생모로 1764
년 한 많은 인생을 마감했다. 아들을 죽인 자책감에 늘 괴로워하던 영조는 영빈에게 의열(義
烈)이란 시호를 내리고, 1765년 현재 자리에 사당을 지어 의열묘(義烈廟)라 했으며, 사도세자
의 아들인 정조(正祖)는 선희궁으로 이름을 높였다.

1870년 선희궁 신주를 육상궁(毓祥宮)으로 옮겼다가 1896년 원위치시켰으며, 1908년 순종(純
宗)이 칙령(勅令)을 내려 나라에서 관리하는 사묘(祠廟)을 대거 정리하면서 육상궁에 통합시
키고 선희궁은 사우를 제외하고 모두 철거했다.
그 빈터에는 1931년 제생원(濟生院) 소속 맹아부(盲兒部)가 둥지를 틀었는데, 그것이 지금의
서울농학교와 서울맹학교의 전신이다.


▲  반지하처럼 살아가고 있는 옛 선희궁터 초석

신교동교차로에서 필운대로를 따라 서울농학교로 다가서면 길 오른쪽(북쪽)에 세월의 무게에
짓눌린 듯, 콘크리트 밑에 깔린 길다란 석축(石築)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이들은 선희궁을
받치던 늙은 초석들로 지금은 그 위에 학교 운동장을 깔았다.


▲  왕실 사당으로써의 위엄과 기품을 잃지 않은 선희궁터 사우

▲  벽돌로 3면을 두룬 선희궁 사우의 뒷모습

▲  화려한 단청이 눈을 부시게 하는 사우 내부
텅 빈 내부에는 부질없는 먼지만이 가득하다.


서울농학교 안쪽에 자리한 선희궁 사우는 툇마루를 갖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제사를 지내던
곳이라 정면을 제외하고 모두 벽돌로 둘렀으며 안에는 아무 것도 없다. 무심한 세월의 때가
아낌없이 깃들여진 기단 위에 가지런히 들어앉아 나름대로 위엄과 기품을 드러내고 있지만 한
참 후배인 키다리 학교 건물 속에 파묻혀 오히려 초라하게 다가온다.

교정에는 옛 선희궁의 식구였던 늙은 느티나무와 은행나무가 있다. 은행나무는 사우 부근에, 
느티나무는 학교 정문에 있는데 정문에 있는 느티나무는 나이가 250년이 넘었다. 250년이면
선희궁과 나이가 비슷하니 아마도 선희궁을 짓고 기념 식수로 심은 듯 싶으며, 높이 16m, 둘
레는 4.3m에 이른다. 사람들의 오랜 보살핌과 세월이란 마르지 않는 양분으로 나날이 커져가
는 은행나무와 느티나무는 올해도 변함없이 교정에 시원한 그늘을 드리워준다.


▲  신교동 느티나무 - 서울시 보호수 1-27호
학교 아이들에게 그늘을 드리우며 삭막한 속세에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삶의
희망을 아낌없이 베풀어주는 소중한 정자나무이다.


▲  200여 년 묵은 은행나무 - 서울시 보호수 1-15호
앞의 느티나무와 달리 하늘로 곧게 솟아 늘씬한 자태를 뽐낸다.

▲  서울맹학교 정문과 우당기념관 앞에 자리한 잘생긴 은행나무
나이는 약 100년대로 여겨진다. 그가 걸쳤던 황금옷의 실타래가 풀어지면서
슬슬 앙상한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는데, 그 모습이 한라산(漢拏山)과
덕유산 고지대에서 볼 수 있는 구상나무와 비슷해 보인다.


* 선희궁터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 1-1 서울농학교 내 (필운대로 103)



 

♠  서촌의 주요 명소였던 옛 청휘각(晴暉閣)터

▲  옥인동(玉仁洞) 산자락에 깃든 청휘각터(옥인동 산47번지)

서촌의 서부를 달리는 필운대로에서 옥인동 북서쪽 주택가를 가로질러 인왕산 자락으로 향하
면 자연과 속세의 경계를 가르는 골목길(옥인5길)이 나온다. 길 동쪽은 서촌 주거지, 서쪽은
숲이 무성한 인왕산으로 서촌을 비롯한 서울 도심이 훤히 바라보이고, 인왕산 숲속이라 풍경
도 뛰어나 아름다운 절경만 보면 사죽을 못쓰던 옛날 사람들의 흔적이 반드시 있을 듯싶은데,
그 예상대로 청휘각터를 알리는 이정표가 발길을 오래도록 머물게 한다.

청휘각은 인왕산 동쪽 계곡의 하나인 옥류동(玉流洞)에 있던 정자이다. 그 옥류동은 인근 청
풍계와 수성동(水聲洞)과 더불어 혼란의 20세기를 거치면서 거의 생매장을 당해 약간의 시냇
물만 남아있는 정도로 개울은 거의 사라졌지만 숲은 여전하여 옛날의 경치를 조금 간직하고
있다.
청휘각이란 '비가 개인 뒤에 맑은 햇살이 비치는 누각'이란 시적(詩的)인 뜻이다. 조선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이 이곳에 집을 짓고 그 후원에 지은 누정이 바
로 청휘각으로 겸재 정선은 장동 일대(청운동 지역)의 명소 8곳을 선정해 그림으로 남겼는데,
청휘각 생전의 모습이 바로 그 그림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정선이 아니었다면 청휘각의 생
김새조차 모를 뻔했다.


▲  겸재 정선이 그린 청휘각

정선이 그린 청휘각 그림을 보면 청휘각 주변은 온통 소나무를 비롯한 숲과 개울 뿐이다. 정
자 밑에는 서촌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는데, 청휘각을 후원으로 삼았다는 김수항 집은 나와있
지 않아 그 집은 진작에 사라진 모양이다.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으로 많은 문인(文人)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던 청휘각은 대중적인 명
소가 되었으며, 그렇게 착했던 청휘각이 언제 사라졌는지는 인왕산 산신(山神)도 모르는 실정
이나 20세기 초반 어둠의 시절을 겪으면서 슬쩍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해방과 6.25이
후 정자 밑까지 집들이 들어차 달동네처럼 변하면서 옥류동 계곡마저 희생되고 말았다. 허나
다행히도 청휘각 주변은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아직 자연 지대를 유지하고 있어 청휘각 그림에
담긴 풍경의 절반 정도는 아직 유효하다.

청휘각은 서촌에 널린 소소한 명소에 불과하나 풍경만큼은 능히 갑(甲) 수준이다. 서촌의 조
그만 보탬도 줄 겸, 그리고 잃어버린 옛 경승지를 되찾는 차원에서 그림과 관련 자료를 참조
해 청휘각을 복원했으면 좋겠다. 골목길 밑을 제외하면 모두 숲이니 잃어버린 정자를 다시 일
으킬 공간도 충분하며, 숲과 계곡도 옛 모습 그대로 재현을 시킨다면 정말 금상첨화가 될 것
이다. 


▲  청휘각터로 인도하는 옥인5길 골목길
인왕산과 가까운 옥인동 윗동네는 아직 달동네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다.

▲  인왕산과 서촌(웃대) 주거지의 경계를 가르는 옥인5길 골목길

▲  옥인동에서 바라본 청운동 주택가와 북악산(백악산)



 

♠  김상용(金尙容) 집터와 정철(鄭澈) 집터

▲  김상용 집터에 남아있는 백세청풍(百世淸風) 바위글씨

서촌의 북쪽 끝을 잡고 있는 청운동은 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 사이에 포근히 자리해 있다.
예로부터 절경을 자랑하던 이곳에는 늙은 바위글씨들이 여럿 전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존재가 바로 백세청풍 바위글씨다. 바위글씨란 바위에 새긴 글씨로 어려운 말로
각자(刻子)라고 하는데, 요즘은 순수 우리말인 바위글씨로 많이 불린다.

백세청풍 바위글씨는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이 새긴 것이다. 지금은 달랑 4자만 남아있지
만 원래는 '대명일월(大明日月) 백세청풍' 8글자로 앞의 4글자는 왜정 때 영구히 지워지고 말
았다.
또한 이들 글씨의 보금자리인 바위 위에 높게 석축을 쌓고 커다란 주택을 세우면서 석축에 제
대로 깔린 처량한 신세가 되었다. 그 형태가 완전히 사람 발에 깔린 개미 같다. 그나마 뒤늦
게나마 바위 앞에 철책을 둘러 보호에 나서고는 있으니 문화유산 보존에 야박한 이 땅의 현실
에서는 그것으로도 다행이다. 기분 같아서는 바위를 뭉개고 있는 집들과 석축을 말끔히 지워
버려 바위에게 자유를 주고 싶을 정도이다.

바위글씨의 주인공인 김상용은 1607년 이곳에 들어와 집을 짓고 살았는데, 주변 풍경이 수려
해 청풍각(淸風閣)이란 별도의 건물을 짓고 바위에 8글자를 새겼다. 그 연유로 이곳을 흐르던
계곡이 청풍계(淸風溪)라 불리게 되었으며, 청풍계와 인근 백운동(白雲洞)의 이름을 따서 지
금의 청운동이 되었다. <옛날에는 장동(壯洞)이라 불림>
서촌의 경승지이자 서울 굴지의 명소로 찬양을 받았던 청풍계는 고약했던 왜정(倭政) 시절에
왜열도 재벌인 미쓰이(三井)가 이곳을 매입하여 건물을 지으면서 개념없이 마구 아작을 내기
시작했다. 졸졸졸~ 흐르던 개울을 생매장시키고 바위를 깨뜨렸으며, 계곡에 단 1채 남았던 옛
건물인 태고정(太古亭) 마저 인부들의 숙소로 유린하면서 끝내 밀어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바
위글씨까지 손을 대어 글씨의 절반을 지워버렸다.

해방 이후 이곳에는 민가들이 들어차 청풍계가 다시 돌아올 여유도 주지 않았고, 졸부들의 저
택까지 백세청풍 바위에 깔고 앉으면서 이제는 전설 속의 이름이 되어버렸다. 다행히 인왕제
색도(仁王霽色圖)를 남긴 겸재 정선이 청풍계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이나 했는지 이곳의 풍경
을 여러 장의 화폭에 담으면서 옛 모습을 전해주고 있을 뿐이다.
다만 김상용의 집은 정선의 그림에 나오지 않아 겸재 이전에 사라진 모양이며, 이제는 백세청
풍 바위글씨만이 겨우 남아 그의 집터임을 아련히 귀띔해줄 따름이다.


▲  가까이서 본 백세청풍 바위글씨
옛날 글씨는 왼쪽이 아닌 오른쪽부터 읽는다. 괜히 풍청세백이라 읽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자~
 

그럼 바위에 새겨진 백세청풍은 무슨 뜻일까? 백세(百世)는 100세대를 뜻한다. 대략 1세대를
30년으로 잡으니 무려 3,000년이 된다. 쉽게 말하면 오랜 세월을 뜻한다. 청풍에서 청(淸)은
맑고 높다는 뜻이고 풍(風)은 군자의 덕과 절개를 뜻한다. 그러니까 오래도록 부는 맑은 바람
, '영원토록 변치 않는 높은 선비의 절개','대대로 맑은 가풍을 유지한다'는 의미로 그 유명
한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백이와 숙제는 옛 조선(고조선)의 제후국이었던 고죽국(孤竹國) 사람들로 여기까지는 별 이상
은 없다. 김상용도 선비이자 양반이므로 그런 글귀를 좋아하는 것은 당연하며, 양반들에게는
이상향과 같은 내용으로 그들이 자주 쓰던 글귀였기 때문이다.

그럼 지금은 지워진 대명일월은 무엇일까? 있는 그대로 풀이하면 크고 밝은 해와 달이다. 그
것도 맞긴 하지만 여기서 대명(大明)은 조선이 자존심도 버리며 지극히 섬기고 받들던 명나라
를 뜻한다. 그러니 명나라의 해와 달, 즉 명나라의 세상을 의미하며, 거기에 백세청풍까지 더
하면 명나라에 대한 절개를 지키자는 뜻이 된다.
조선의 위정자들 상당수는 명나라를 '황명(皇明)','대명(大明)' 등이라 높여 불렀다. 게다가
조선의 정치 이념이자 선비와 사대부들이 익혔던 성리학(性理學)도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를
더욱 부추겼다.
성리학이 문치(文治)에는 좋을지 몰라도 문을 강조하고 무(武)를 멀리하는 함정이 있고, 주희
(朱熹)가 몽골 원나라에게 완전히 구겨진 한족(漢族) 잡종들의 체면을 만회하고 한족 중심의
중화사상을 고취시키려는 의도로 만든 학문이다. 그러다보니 조선의 위정자와 사대부들은 점
점 명에 대한 꼴사나운 사대주의에 젖게 되고 국방까지 덩달아 등한시 하면서 명나라도 한때
두려워했고 툭하면 북방 세력(여진족 등)을 초토화시켰던 조선의 군사력은 크게 떨어진다.
게다가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군을 보내 조금 도와준 것을 가지고 '재조지은(再造之恩)'이
라 떠벌리며 더욱 명나라에 딸랑거렸다.

그 명나라가 1644년 풍비박산이 났으니 조선의 선비와 위정자들은 완전 어버이를 잃은 양 크
나큰 충격에 빠졌다. 물론 병자호란의 치욕을 안겨준 청나라에 대한 적대감도 명에 대한 그리
움에 한몫 했다. 명이 사라진 이후 조선 지배층과 유생들 사이에서 '명나라를 회복해야 된다'
,'명나라의 세월로 돌아가야 된다'는 아주 거지 같은 사상이 지배적으로 형성되었는데, 바로
그때 생겨난 단어가 바로 '대명일월' 4자이다. 그들의 꼴통 사대주의로 나라를 말아먹고 백성
들을 도탄에 밀어넣은 지배층과 유학자들의 고리타분하고 시대착오적인 이념이 담겨 있는 것
이다.

그런데 김상용이 글씨를 새긴 것은 명이 망하기 이전이므로 '대명일월'이란 단어는 아직 두드
러지지 않은 상태다. 그가 1637년에 죽었지만 그때까지도 명은 질기게 명줄을 유지하고 있었
다. 그러면 백세청풍은 몰라도 대명일월은 다른 사람이 새겼을 가능성이 큰데, 그의 후손이나
후학들이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서 자결한 김상용을 기리고 명나라를 사모하는 뜻에
서 새겼을 가능성이 크다. 믿거나 말거나 이야기에 따르면 명나라에 대한 꼴통 사대주의의 1
인자였던 송시열(宋時烈)의 글씨라는 말이 있다.


※ 김상용(1561~1637)은 누구인가?
김상용은 안동 김씨로 자는 경택(景擇). 호는 선원(仙源)이다. 1590년 증광시(增廣試)에 급제
하여 검열관(檢閱官)이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권율(權慄)장군의 종사관으로 활약했다.

1598년 승지(承旨)가 되어 명나라에 성절사(聖節使)로 다녀왔으며, 서인(西人)의 일원으로 대
사성(大司成)을 비롯, 여러 외직을 거쳤다. 1623년 서인패거리가 광해군(光海君)에게 반기를
들며 창의문을 뚫고 도성을 범하는 파렴치한 반란을 일으키자<인조반정(仁祖反正)> 거기에 참
여해 돈령부판사(敦寧府判事)라는 큰 자리를 얻었으며, 예조와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1627년
에 유도대장(留都大將)이 되었다.

1630년 나이가 70살에 이르러 조정에 사직을 청했으나 인조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오히려 우
의정(右議政)에 임명했다. 드디어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터지자, 그는 빈궁(嬪宮)과 원손(
元孫)을 호종하여 급히 강화도로 줄행랑을 쳤다. 허나 1637년 1월 청나라군이 강화해협을 건
너 손쉽게 강화성을 점령하자 그 분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남문 문루(門樓)에 화약을 잔뜩 쌓
아 불을 질러 자살했다.

그 당시로는 드물게 76살씩이나 살았던 인물로 자살을 택한 덕에 죽어서는 충신의 대접을 제
대로 받았다. 인조는 그에게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강화군 선원면에 그의 사당을
세워 그의 충절을 기렸다. <선원면이란 지명은 바로 그의 호에서 유래됨>


▲  송강 정철 집터

청운초등학교 앞 자하문로 길가에는 송강 정철의 집터를 알리는 표석과 그의 시가 담긴 시비(
詩碑)들이 줄지어 있다. 정철은 조선 가사문학(歌詞文學)의 1인자로 사미인곡(思美人曲)을 비
롯한 그의 작품들은 초,중,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아주 지겹도록 등장해 일명 학생들과
대입 수험생들의 적이라 불리기도 하며, 국문학사에서도 큰 무게를 가진 인물이다.

※ 송강 정철(1536~1593)은 누구인가?
정철은 연일정씨로 서울 청운동에서 태어났다.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시호는 문
청(文淸)이며, 기대승(奇大升)과 김인후(金麟厚)의 제자이다.
그는 맏누이가 인종(仁宗)의 귀인(貴人)이고, 2째 누이가 계림군(桂林君)의 부인이 되면서 궁
중에 자주 들락거렸는데, 나중에 명종(明宗)이 되는 경원대군(慶原大君)과 친했다. 1545년 을
사사화(乙巳士禍) 때 계림군이 연관이 되자 정철 일가는 거의 풍비박산이 나고 정철 부자는
유배형에 처해졌다.

1551년 유배에서 풀려나자 그의 일가는 집안의 고향인 담양 창평(昌平)으로 집을 옮겼다. 송
강은 형이 장가를 들어 살고 있는 순천에 가다가 우연히 김윤제(金允悌)의 별장(환벽당) 밑
창계천에서 목욕을 한 것이 인연이 되어 김윤제(金允悌)의 문하가 되었다.
(환벽당과 창계천 관련 글 ☞ 보러가기)
그는 여기서 10년 동안 공부를 했으며, 이때 기대승 등 당대 학자들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이
(李珥)와도 교유했다.

1561년 진사시(進士試)에 붙고, 1562년 별시(別試)에 장원으로 붙으면서 전적(典籍) 등을 역
임했으며, 1566년 함경도(咸鏡道) 암행어사를 지낸 뒤 이이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1578년 장악원정(掌樂院正)이 되고 도승지(承旨)로 승진했다. 하지만 진도군수 이수(李銖)의
뇌물사건으로 동인(東人)의 공격을 받으면서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했다.

1580년 강원도 관찰사(觀察使)가 되었고, 3년 동안 전라도와 함경도 관찰사를 지내면서 많은
시를 남겼다. 이때 그 유명한 관동별곡(關東別曲)이 탄생했으며, 훈민가(訓民歌) 16수를 지어
백성들에게 널리 알렸다. 그리고 1585년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4년을 쉬면서 사미인곡과
속미인곡(續美人曲)을 비롯한 굴지의 작품을 남겼다.

1589년 우의정(右議政)이 되었고, 곧 이어 일어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을 직접 다스리
게 되면서 라이벌인 동인 세력을 철저히 때려잡았다. 그 공로로 1590년 좌의정(左議政)이 되
었다.
1591년 광해군을 세자(世子)로 책봉할 것을 건의했으나 당시 선조(宣祖)는 인빈(仁嬪)김씨 소
생의 신성군(信城君)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송강의 건의에 뚜껑이 뒤집힌 선조는 그를 진주
와 평안도 강계(江界)로 유배를 보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왕의 소환을 받아 왕을 의주(義州)까지 호종했으며, 1593년 명나라
에 사은사(謝恩使)로 다녀왔다. 이후 동인의 모함으로 관직에서 떨려나 강화 송정촌(松亭村)
에 머물다가 57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그는 조선 가사문학의 상징으로 고산 윤선도(尹善道)와 쌍벽을 이루며, 작품으로는 시조 70수
가 전한다.


▲  송강의 시비 ①
산사야음(山寺夜吟)과 함흥객사에 핀 국화

산사야음(山寺夜吟)
우수수 지는 나뭇잎 소리를
성근 빗소리로 잘못 알고
동자승 불러 나가보랬더니
시내앞 나뭇가지에 달만 걸렸네

▲  송강의 시비 ②
백성들 교화용으로 만든 훈민가

▲  송강의 시비 ③ 사미인곡
임금을 그리며 섬기는 마음을 담은 가사이다.

▲  송강의 시비 ④ 관동별곡

▲  송강의 시비 ⑤ 성산별곡(星山別曲)


* 백세청풍 바위글씨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52-111
* 정철 집터 표석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123



 

♠  인왕산 중턱에 깃든 상큼한 공원, 청운공원(淸雲公園)

▲  가을옷을 곱게 걸친 청운공원과 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서촌의 북쪽 끝이자 인왕산 중턱에 넓게 자리한 청운공원은 서울 도심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
은 공원이다. <산 전체 또는 대부분이 공원으로 지정된 남산과 안산(鞍山), 낙산공원은 제외>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란 새로운 꿀단지를 북쪽에 달고 있는 이곳은 인왕산 동쪽 자락으로 청운
동 주택가와도 약간 거리를 둔 자연 지대이다. 인왕산길이 공원의 북쪽과 서쪽을 지나며, 자
하문고개에서 북악산길(북악스카이웨이)로 간판을 바꾸고 북악산(백악산) 뒷쪽으로 달려간다.
그리고 공원을 가로지르는 골목길(자하문로35길)은 윤동주문학관에서 공원을 지나 청운동 주
택가를 거쳐 자하문로로 내려간다.

청운공원은 인왕산 품에 조성된 평범한 시민공원으로 산자락에 조성된 것 외에는 딱히 볼거리
는 없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 인왕산 돌을 모아 일종의 돌아파트를 지었고, 2009년 이후 공
원 북쪽에 윤동주시인의 언덕과 윤동주문학관이 닦였으며, 2014년에 이 땅 최초의 한옥 공공
도서관인 청운문학도서관이 들어서 볼거리도 크게 늘었다.
또한 이곳은 산자락에 있기 때문에 서울 도심과 부암동, 홍지동 일대가 훤히 바라보여 조망도
일품이며, 북악산(백악산)과 인왕산의 청정한 기운이 늘 깃들여져 있어 공기도 맑다. 게다가
서울 장안의 주요 해맞이 성지(聖地)로 매년 1월 1일 해맞이 축제가 열리며, 나무와 꽃이 울
창하여 봄꽃 명소, 늦가을 단풍 명소로 격하게 칭송을 받는다.

청운공원에 가려면 자하문고개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자하문터널 남쪽에서 자하문
로35길을 따라 올라가는 길도 있는데, 그건 경사가 좀 각박하다. 그리고 청운동 안쪽에 자리
한 유진인재개발원 정문 못미쳐에 청운공원으로 오르는 산길이 가늘게 이어져 있고, 사직공원
과 수성동계곡에서 인왕산길을 타고 접근하는 것도 괜찮다.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의 위엄

늦가을 단풍이 한참 절정을 이르는 때라 나무들이 진한 붉은색과 노란색, 녹색 등으로 단단히
물들었다. 겨울 제국(帝國)의 시련을 목전에 두고 자신의 남은 끼와 기력을 모두 발산한 나무
들. 그리고 죽음 앞에서 처절한 아름다움을 선보이며 무지개처럼 짧은 삶을 원망하는 나뭇잎
들. 인간은 그들을 통해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면서도
'올해도 이제 저물었구나, 좀 있으면 강제로 1살을 더 먹네'
늦가을과 연말 우울증에 한숨을
쉰다.


▲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과 남산, 그리고 일몰 직전의 하늘

▲  고양이 같은 인왕산 호랑이상

천하 호랑이의 대명사이자 하늘 아래 제일 무서운 존재였던 인왕산 호랑이, 이제는 숱한 설화
만을 남긴 채, 우리들 뇌리에서 거의 잊혀지고 말았다.
그들을 그리며 만들었다는 인왕산 호랑이상, 어린이들이 울고 갈 정도로 매섭게 좀 만들 것이
지, 너무 순둥이처럼 만들어서 졸지에 호랑이 탈을 쓴 인왕산 고양이상이 되어버렸다. 곶감도
우습게 봤다는 천하 제일의 인왕산 호랑이를 제대로 모욕한 셈이다.


▲  인왕산 돌로 만든 '인왕산에서 굴러온 바위(인왕산 돌아파트)'

서시정에서 윤동주문학관으로 내려가면 돌의 거대한 보금자리를 만나게 된다. 이것은 2007년
서울시에서 추진한 '서울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된 것으로 인왕산과 그 주변
에서 주운 돌을 정리하여 그들의 조촐한 아파트로 만들었다.

* 청운공원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7-4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6월 1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촌(웃대)의 숨겨진 명소를 거닐다 <필운대, 백사이항복집터, 배화여고, 필운동 홍건익가옥, 월암동>

서촌(웃대) 나들이 ~~~ 필운대(백사 이항복집터), 배화여고 본관과 생활관, 홍건익가옥, 월암동



' 서촌(웃대)의 숨겨진 명소를 찾아서 ~~~ (필운대, 월암동) '

필운동 홍건익가옥
▲  필운동 홍건익가옥

배화여고 본관 필운대 바위글씨

▲  배화여고 본관

▲  필운대 바위글씨

 



 

나의 즐겨찾기 명소의 일원인 서촌(西村, 웃대)은 인왕산(仁王山) 그늘인 경복궁 서쪽과
경희궁(慶熙宮) 주변 지역을 일컫는다. 원래 서촌은 서대문과 경희궁 주변, 웃대는 경복
궁 서쪽 지역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들은 거의 합쳐졌고, 요즘은 경복궁 서쪽 지역
을 주로 일컫는다.
북촌(북촌한옥마을)과 부암동, 성북동(城北洞), 북한산(삼각산), 호암산 등에 분산된 내
마음을 적지 않게 앗아간 곳으로 지겹도록 발걸음을 했으나 그 넓지 않은 동네에 미답처
(未踏處)가 일부 고개를 들고 있다. 하여 그 미답지를 지우고자 여름의 뜨거운 한복판인
7월의 끝 무렵, 오랜만에 서촌(웃대)에 발을 들였다.

서촌에 들어서자 제일 먼저 사직단(社稷壇) 뒤쪽에 위치한 배화여고(배화여자대학)를 찾
았다. 그곳에는 필운대 바위글씨와 근대 건축물이 여럿 있는데 근대 건축물은 예전에 싹
인연을 지었으나 필운대는 아직 인연이 닿지 못했다.



 

♠  필운대와 배화여고의 옛 건물들

▲  필운대(弼雲臺) 바위글씨 주변

배화여고 별관 뒤쪽 바위에 '필운대' 바위글씨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이곳은 오성과 한음
으로 유명한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집이 있던 곳으로 원래는 행주대첩의 영웅인 권율(
權慄)장군의 별서(別墅, 별장)였으나 이항복이 그의 딸에게 장가를 든 인연으로 상속을 받았
다. <권율의 집은 근처 행촌동(杏村洞)에 있었음>

이항복은 이곳을 '필운대'라 이름 짓고 지인들과 팔자 좋게 시회(詩會)를 즐겼다. 여기서 필
운(弼雲)은 그의 호(백사, 필운, 오성) 중 하나이자 인왕산(仁王山)의 별칭이다.
1616년 광해군(光海君)은 배화여고 일대를 중심으로 크게 인경궁(仁慶宮)을 지었는데 필운대
는 그 후원으로 편입되었으며, 궁궐의 규모는 창덕궁과 예전 경복궁보다 훨씬 컸다고 전한다.
광해군의 야망이 듬뿍 담겼던 인경궁은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년) 이후 팔자가 180도 바뀌
어 창덕궁 건물 복원에 적지 않게 동원되었으며, 이후로도 궁궐이나 관청 건물을 중수, 복원
하거나 신축할 때마다 이곳 건물을 뜯어가면서 17세기 중반에 완전히 사라지고 만다.

1813년(또는 1873년)에 동추(同樞) 박효관(朴孝寬) 외 9명이 필운대 바위에 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옛날에 사라진(인경궁 건설 때 철거된 것으로 보임) 이항복의 옛집 건립과 관련된 것으
로 여겨지며, 1889년 이항복의 후손인 월성 이유원(月城 李裕元)이 이곳을 찾아와 느낀 바를
시로 남겼다. (바위에 새겨져 있음)
필운대 주변은 살구나무가 많고 풍경이 고와 시인묵객들이 많이 찾았는데 암행어사로 유명한
박문수(朴文秀)도 이곳 경치에 퐁당 빠져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君歌我嘯上雲臺 - 그대는 노랫가락 읊조리고 나는 휘파람 불며 필운대에 오르니
李白桃紅萬樹開 - 오얏꽃 복사꽃 울긋불긋 나무 가득 피었구나
如此風光如此樂 - 이런 좋은 경치에 이 즐거움 또한 멋지니
年年長醉太平盃 - 세세년년 태평 술잔 가득 마시고 취하리라


▲  지금도 또렷한 필운대 바위글씨의 위엄

바위에 진하게 서린 '필운대' 바위글씨는 붉은 피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항복이 썼다고 전하
나 실은 이유원이 쓴 것으로 여겨지며 필체가 선명하여 이곳의 옛 이름과 이항복의 유적임을
아련히 알려준다.
바위 밑에는 샘터가 있으나 이미 죽은 상태이며. 바위 윗쪽에는 배화여고에서 씌워놓은 테니
스장 석축으로 보기가 좀 딱하게 되었다. 그리고 글씨 옆에는 이유원과 박효관이 남긴 바위글
씨가 덤으로 달려있어 필운대의 옛 명성을 살짝 속삭여준다.

필운대 바위글씨는 '필운대'란 이름으로 서울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백사 이항복 집터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9호)'로 이름이 갈렸다. 허나 바위글씨와 글씨가 안긴 바위만 있을 뿐,
집터 흔적은 완전히 말라버려 주춧돌 조차 찾아볼 수 없다.


▲  이유원이 남긴 글씨

이항복의 후손인 이유원은 1889년 이곳을 찾아 그 소감을 시로 지어 바위에 남겼다. 시를 통
해 그 시절에는 바위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곳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는데, 지금은 바위 앞에 학
교 건물이 있고 주변도 매우 어수선하다. 게다가 바위 또한 세월에 많이도 지쳤을까? 가끔씩
돌이 떨어지는지 '낙석주의' 푯말까지 달려있어 세월의 부질없는 흐름을 느끼게 한다.

我祖舊居後裔尋 - 내 할아버지 살던 옛집에 후손이 찾아왔더니
蒼松石壁白雲深 - 푸른 소나무와 바위에는 흰구름이 깊이 잠겼다
遺風不盡百年久 - 끼쳐진 풍속이 백년토록 오래 전해오니
父老衣冠古亦今 - 옛 어른들의 의관이 지금껏 그 흔적을 남겼구나

癸酉月城李裕元題 - 계유년 월성 이유원 지음
白沙先生弼雲臺 - 백사 이항복 선생 필운대


▲  박효관 등이 남긴 글씨

이곳을 거쳐갔던 동추(同樞) 박효관 등 9명의 이름이 하얗게 쓰여져 있다. 1813년(또는 1873
년)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항복 옛집 건립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  은행나무 그늘에 닦여진 배화학당(培花學堂)의 역사들
배화학당의 창시자 '조세핀 필 캠벨'의 흉상(가운데)과 리드(Dr. C.F. Reid) 선교사
내한 100주년 기념비(왼쪽), 그리고 2007년에 세워진 배화학당 창립 110주년 및
대학 개교 30주년 기념비(오른쪽)


필운대와 인경궁 옛터에는 배화학당의 역사를 이어받은 배화여고와 배화여중, 배화여자대학이
한 덩어리가 되어 들어앉아있다. 대학과 여중, 여고, 거기에 유치원까지 한 울타리 안에 담긴
흔치 않은 현장으로 여중은 교내 북쪽, 여고는 교내 한복판, 그리고 나머지는 대학이 채우고
있는데, 이화학당(梨花學堂)과 더불어 이 땅에서 제일 오래된 신식학교이자 여학교로 그 내력
의 실타리를 풀어보면 대략 이렇다.

배화학당을 세운 사람은 미국 텍사스에서 건너온 남감리교 소속 여자 선교사 '조세핀 필 캠밸
(Josephine Eaton Peel Campbell, 1853~1920)'이다. 그는 이 땅을 찾은 최초의 여자 선교사로
1897년에 입국, 그들의 목적인 기독교 영업을 위해 조선 여인들의 교육 계몽을 벌이기로 했다.
그래서 그가 몸을 담았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학생들에게 선교 기금을 받아 경복궁 인근
내자동(內資洞)에 땅을 구입해 '캐롤라이나 학당'을 세우니 그것이 배화학당의 시작이다.

학교를 열자 청나라 여선교사 도라유의 도움으로 2명의 여자 아이와 3명의 남자 아이를 간신
히 모집해 초등교육을 실시했다. 당시 여자들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교에 기
숙사를 두어 먹이고 재웠으며 국어와 한문, 성경 등을 가르쳤다.
1902년 통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여 학생 수가 30명으로 늘어났으며, 1903년 남감리교회 여선교
부에서 경비를 지원해 학교 건물과 기숙사를 증축했고, 중학교 예비과를 설치했다. 1909년 고
등과를 설치했으며, 1910년 4월 배화학당으로 이름을 갈았는데, 이때 초대 교장대리로 니콜스
(Nicolls) 여사가 취임했으며 4년제 중학과와 4년제 소학과를 병설했다.
1910년 5월 16일 고등과 1회 졸업생 7명을 배출했는데,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가 친히 축사
를 내려 그들의 졸업을 치하했으며, 그 축사는 윤치호(尹致昊)가 대독했다.

1914년 왜인 교사의 왜어(倭語) 수업을 거부했으며, 1916년 1월에 지금의 자리로 학교를 옮겨
1915년에 미리 지은 과학관 건물에 보통과/고등과/유치원을 넣었다. 이때 3년제 고등과를 4년
제로 개편하였으며, 강원도 홍천(洪川)에서 '무궁화 보급 운동'을 펼쳤던 남궁억(南宮檍)이
1910년 10월부터 8년 동안 교편을 잡았다. 그는 교가를 작사하고 학생들에게 무궁화 13송이로
우리나라 지도와 태극기를 수놓게 하는 등, 학생들에게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을 고취시켰다.
1919년 3.1운동이 터지자 학생들은 '독립선언문'을 배포하여 독립운동에 적극 동참했는데, 이
는 남궁억 선생의 영향이 컸던 탓이다. 그리고 1920년에 기숙생들이 만세운동을 벌여 많은 교
사와 학생이 왜정(倭政)에 잡혀갔다.

1922년 4년제 보통과를 6년제로 바꾸고 대학 예과를 설치했으나 이듬해 폐지했으며, 1924년에
새로 교가를 지었는데 친일파로 더러운 뒷끝을 보였던 춘원 이광수(春園 李光洙)가 노래 가사
를 쓰고, 교사인 루비 리가 작곡을 했다.
1925년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을 갈았으며, 1926년 캠벨기념관을 신축해 고등과가 이전
했다. 1929년 11월 광주(光州) 학생운동이 터지자 격문(檄文)을 붙이는 등, 만세운동에 동참
하여 왜정의 염통을 잠시 쫄깃하게 만들었으며, 1938년 3월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소학
교로 명칭을 갈았다.
1940년 왜정의 신사(神社) 참배 강요에 선교사들이 반발하여 모두 그들 나라로 돌아가자 경영
난으로 크게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교사 이덕봉과 이만규가 학교를 구할 사람을 찾으려고
백방으로 뛰어다녀 독지가인 이민천(李閔天)의 도움을 받았다. 그가 춘천과 이천, 연기(세종)
, 익산 등지의 전답과 대지 32만평을 쿨하게 기부했던 것이다.
1943년 배화여자소학교를 경성여자배화학교로 변경했으며, 1944년 7월 왜군 통신부대가 캠벨
기념관을 무단 점유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1945년 9월, 경성여자배화학교를 폐교하고 재학생을 종로국민학교로 보냈으며, 1946년 4월, 6
년제로 개편하고 배화여자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허나 1950년 6.25가 터지면서 학교는 부
산(釜山) 초량동으로 내려가 임시 교사를 마련해 운영했으며, 서울 학교는 폭격으로 상당수가
손상되고 말았다.
1951년 5월, 교육법 개정으로 배화여중과 배화여고로 개편했으며, 1977년 배화여자대학을 설
립하여 지금에 이른다.

배화학당 초창기 시절, 이화학당도 비슷한 상황이었지만 워낙 남녀유별이 심하다보니 여학생
교육을 모두 여선교사들이 맡아서 했다. 단 한문은 남자 선생이 맡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때
는 선생이 여학생을 마주 보며 가르치지 않고 항상 뒤로 돌아앉아 여학생의 질문에만 대답을
하거나 선생과 학생 사이에 병풍을 치고 수업을 했었다.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상상도 안되는
일이다.


▲  배화여고 캠벨기념관(본관) - 국가 등록문화재 673호

배화여고에는 오랜 내력에 걸맞게 붉은 피부를 지닌 근대 건축물이 3동이 전하고 있다. 그들
은 본관과 생활관, 과학관으로 이중 생활관이 제일 먼저 국가 등록문화재의 지위를 얻었고 나
머지 2동은 뒤늦게 2017년 1월에 그 지위를 받았다.

본관(本館)으로 쓰이는 캠벨기념관은 1926년 12월 7일, 캠벨을 기리고자 세운 지상 4층(지붕
층 포함) 건물이다. 1944년 왜군 통신부대가 점거해 사용하기도 했으며 6.25 때 반파된 것을
보수했다.
1977년 대규모의 보수를 벌였으나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실내공간을 밝게하고자 창
호를 넓게 구성하고 철근콘크리트 상인방(上引枋)을 사용하는 등, 건립 당시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과학관과 더불어 이 땅의 20세기 초반 근대교육 관련 유적으로 가
치가 높다. 현재는 학교 도서관으로 살아가고 있다.


▲  캠벨기념관(본관)의 육중한 뒷모습

▲  배화여고 생활관 - 국가 등록문화재 93호

본관 동쪽 경사진 곳에는 생활관이 있다. 그는 20세기 초반(1916년 정도로 여겨짐)에 선교사
숙소로 지어진 것으로 선교사 대부분이 미대륙 출신이라 그럴까? 건물도 그들의 고향인 미대
륙이 있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해방 이후에는 윌슨 선교사가 집으로 사용했다가 1971년 배화여고에 기증하면서 배화여고 생
활관 및 동창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주로 생활관으로 쓰임)

반지하+2층 규모의 건물로 반지하는 완전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거의 3층이나 다름 없다. 건
물 현관은 1층에 있으며 반지하는 비록 노출되어 있긴 하나 현관을 거쳐 내려가야 된다. 현관
앞에는 돌출된 지붕을 만들고 그 위를 발코니로 덮었으며, 건물 내부에는 홀과 계단이 있고,
그 양쪽으로 방을 두었다.
건물의 겉모습은 서양식 근대 건축물로 붉은 벽돌을 사용했는데 지붕은 흥미롭게도 한옥의 기
와지붕을 취했다. 그래서 서양식과 우리식이 조화를 이룬 건물로 지붕에는 2개의 붉은 굴뚝을
세워 연기로 하늘을 찌른다. 허나 난방 방식도 이미 바뀐 상태라 이제는 무늬만 굴뚝이 되어
모락모락 연기를 불던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한다.

▲  생활관의 뒷모습

▲  생활관의 옆모습


▲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배화여고 과학관) - 국가 등록문화재 672호

생활관에서 북쪽을 바라보면(북악산 방향) 다소 빛이 바랜 붉은 피부의 건물이 시야에 들어올
것이다. 그가 교내에서 가장 늙은 건물이라는 과학관이다.
 
배화학당이 이곳에 안착했던 1915년에 2층 규모로 지어진 것으로 1922년 3층과 지붕층(4층)까
지 증축하여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초반에 보통과와 고등과, 유치원이 같이 사용하다
가 1926년 본관이 지어지면서 고등과가 빠졌으며, 현재는 과학관으로 쓰이고 있다.
앞과 뒤쪽에 출입구와 계단을 두고 그 양쪽에 교실을 배치했으며, 건물 이름은 과학관이나 배
화학당 초창기 이름인 '캐롤라이나'를 따서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이란 이름으로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유치원에 시원하게 그늘을 드리우는 남쪽 회화나무

과학관 동쪽에는 배화여자대학에 딸린 유치원이 있는데 그 북쪽과 남쪽에 훤칠한 외모를 지닌
회화나무 2그루가 사이 좋게 유치원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남쪽 나무는 200년 정도 되었다
고 하며 북쪽 나무는 350년 정도 묵은 것으로 높이 21m, 둘레 4.3m이다.
이들 회화나무 형제는 적당한 연륜을 지니고 있어 서울시 보호수의 자격이 충분하나 어찌된
일인지 북쪽 것만 그보다 말단인 '종로구 아름다운 나무' 등급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그들에
게 인간이 달아주는 한낱 훈장이나 지위 따위는 관심도 없을 것이다. 매일 유치원 어린이들이
그의 그늘에서 재롱을 피우며 커가는 모습을 보느라 여념이 없을 것이니 말이다. 그것만큼 재
미있고 행복한 볼거리가 또 어디있겠는가.

* 필운대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산1-2
* 배화여고 생활관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12 (배화여고 ☎ 02-724-0300)


▲  유치원 북쪽 회화나무 - 종로구 아름다운 나무 2013-60호



 

♠  서촌의 새로운 꿀단지를 꿈꾸는 필운동 홍건익(洪建翊) 가옥
- 서울 지방민속문화재 33호

▲  후원에서 바라본 홍건익가옥

배화여고에 대한 볼일을 마치고 경복궁역 쪽으로 내려가니 왼쪽(북쪽)에 커다란 한옥 대문이
손짓을 한다. 현대식 주택 사이에서 고풍스런 모습을 드러낸 그곳은 서촌의 새로운 꿀단지로
떠오르고 있는 개량 한옥, 홍건익가옥이다.

이 한옥은 청계천에서 장사를 하여 많은 돈을 긁어모았던 홍건익이 1936년에 지은 것으로 대
지 740.5㎡에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채 등 5동의 집을 낮은 구릉을 따라 자연스럽
게 배치했다. 서울에 오래된 한옥이 즐비하나 후원에 무려 일각문(一角門)과 우물, 빙고(氷庫
)까지 갖춘 곳은 이곳이 유일해 홍건익 일가의 재력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역시 세상은 돈이
많고 봐야됨)

전통 한옥의 구성과 근대 개량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안채 대청마루 풍혈판에 새
겨진 팔괘 문양, 별채 화초벽에 태극 문양, 이화꽃 문양, 연꽃 문양 등의 장식용 문양도 곳곳
에 남아있다.
허나 주인이 여러 번 바뀌고 그로 인한 관리소홀로 그 아름답던 집은 거의 폐가 수준으로 쇠
퇴했으며, 증축되거나 변형된 부분도 조금 있었다. 허나 전체적으로 건축 당시의 기본 구조
및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매입해 지방문화재로 삼으면서 더 이상 망가지는 꼴
은 면하게 되었다.
이후 복원공사를 벌여 2015년에 마무리가 되었으나 내부 손질로 2017년 7월에 임시 개방되었
으며 그해 9월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너무 새집처럼 변해버린 면도 있으나 인근에 있는 이상
범(李象範) 가옥(☞ 관련글 보기)과 더불어 마음 놓고 두 발을 들일 수 있는 서촌(웃대)의 몇
없는 옛 한옥이며 서촌 관광 안내 및 사랑방, 전시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어 점차 그 역할과 기
능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활짝 열린 홍건익가옥 솟을대문
대문 동남쪽에 빌라가 바짝 붙어있어 대문 앞 시야가 좀 답답해 보인다. 게다가
주택들에게 꽁꽁 감싸여있어 담장은 전통식으로 재현하지 못했다.

▲  솟을대문과 대문채 (안쪽 모습)

▲  안채와 안채 대문

안채는 방과 누마루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다.
종종 특별전 같은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
으며 내부 관람도 가능하다.
안채 동남쪽에는 행랑채가 있는데 이곳은 관리
사무소로 쓰이고 있으며, 그 옆에 작게 화장실
이 닦여져 있다.

◀  안채 안쪽

▲  열린 공간으로 거듭난 사랑채

▲  새집처럼 손질된 사랑채 내부 ①


▲  새집처럼 정비된 사랑채 내부 ②

사랑채와 안채 내부에 진열된 가구와 서적들은 홍건익 일가와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들이다. 가옥을 복원하면서 갖다 둔 장식용으로 안채와 사랑채 내부는 신발을
벗고 들어가 관람하면 되며 나의 꼬질꼬질한 두 발을 들이기가 너무 미안할 정도로 방과 마루
가 산뜻하게 손질되어 있다.


▲  쉼터와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는 사랑채 마루
이런 곳에서 낮잠 한숨 청하거나 곡차 1잔 들이키면 정말 예술일 것 같다.

           ◀  무늬만 남은 우물
옛날에는 인왕산이 베푼 물로 넘쳐났겠지만 이
제는 그 명이 끊겨 껍데기만 남은 상태다. 그
러니 우물 뚜껑도 더 이상 열릴 일이 없다.

       ◀  홍건익가옥의 특별함, 별채
사랑채 뒤쪽에 자리한 별채는 여기서 나름 별
장 역할을 했던 공간이다. 별채까지 둔 한옥은
별로 없는 편으로 집주인은 여기서 속세살이에
지친 심신을 다독거리거나 독서 또는 차 1잔의
여유를 누렸을 것이다.

▲  후원으로 인도하는 기와문(일각문)

▲  현대식으로 손질된 후원

가옥 경내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조촐하게 후원이 닦여져 있다. 지금의 후원은 2015년
이후에 손질된 것이라 옛 모습은 거의 잃은 상태로 나무와 화초, 의자 등이 닦여져 있어 잠시
쉬어가기에 좋다.
이곳에 올라서면 가옥 경내가 훤히 두 눈에 들어오는데 집 주위로 키다리 빌라가 잔뜩 들어서
있어 은근히 좁아 보인다. 그래도 이 정도의 한옥을 건진 것이 어디랴.

          ◀  후원 뒷쪽 문 (후문)
후원 동쪽(뒷쪽)에 기와문이 있는데 그 문을
나가면 바로 환경운동연합 뜨락이다. 그 뜨락
을 통해 서촌의 주요 간선길인 필운대로와 연
결되며, 이 문을 통해 홍건익가옥으로 들어서
도 된다.


▲  필운동 회화나무 - 종로구 아름다운 나무 2013-92호

환경운동연합 뜨락에 400년 정도 묵은 회화나무가 두텁게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홍건익가옥
돌담 바로 옆에 있어 가옥에도 아낌없이 그늘을 베풀고 있는데 높이 13m, 둘레 420cm로 그의
덩치와 연륜으로 보아 서울시 보호수로 삼아도 충분해 보인다. 허나 배화여자대학 유치원 주
변에 있는 회화나무처럼 말단 등급에 머물러 있으니 등급 선정 기준에 그저 고개만 갸우뚱거
린다.


▲  대문을 걸어잠구며 휴식에 들어간 홍건익가옥 (18시 폐장시간)

* 홍건익가옥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88-1 (필운대로1길 14-4, ☎ 02-735-1374)



 

♠  서촌 끝자락에 숨겨진 늙은 바위글씨, 월암동(月巖洞)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60호

▲  월암동 바위글씨를 품은 바위

홍건익가옥을 둘러보고 일몰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어 미답처 하나를 더 지우기로 했다. 그렇
게 욕심을 부려 찾아간 곳은 송월동(松月洞)에 있는 월암동 바위글씨로 홍건익가옥에서 도보
20분 거리이다. (사직터널 고개를 넘어가야 됨)

월암동 바위글씨는 재개발로 회색빛 아파트 세상으로 강제 개조된 돈의문뉴타운 동쪽 길(송월
길) 바위에 깃들여져 있다. 이곳은 서대문(돈의문) 바로 서쪽이자 한양도성 서쪽 바깥으로 바
위글씨가 깃든 바위는 딱 봐도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하여 도성 밖 경승지로 바쁜 세월을 살
았던 듯 싶다. 허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로 바위 위쪽에 바람직하지 않게 석축을 씌워 길(송월
1길)을 냈으며, 바위 주변으로 집들이 빽빽히 들어서고 심지어 바위글씨 앞까지 집이 들어차
그를 만나는 것이 무척 힘들었다.
그러다가 재개발로 도성 밖 송월동 지역을 밀어버리면서 그를 덮던 모든 것들이 싹 걷어졌다.
바위 역시 천박한 개발의 칼질에 목이 떨어질 뻔했으나 다행히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험한
꼴은 면했으며, 바위 앞 아파트가 완성되고 주변이 정비되면서 마음 편히 그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  월암동 바위글씨의 위엄

이 바위글씨는 누가 썼는지는 귀신도 모른다. 허나 그 필치(筆致)로 보아 명/청나라의 장필과
미불의 글씨가 유행했던 조선 중/후기 것으로 여겨진다. 결구가 치밀하고 품격이 고고한 글씨
로 1656년에 작성된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도 이곳 지명이 확인되고 있어 서울 장안의 옛
지명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어준다.

재개발 덕에 바위 앞은 확 트였으나 바위 위쪽에 석축과 도로가 족쇄처럼 자리하여 보기에도
참 딱하다. 서울에는 개발의 칼질로 고통받는 옛 경승지와 문화유산이 너무나 많은데 이는 오
로지 개발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개발이 그들에게 씌운 굴레를 싹 제
거해 자유의 몸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허나 그런 날이 오긴 올까?)

참고로 이곳 주변에는 친일 음악가로 더러운 뒷끝을 보인 홍난파(洪蘭坡)가옥을 비롯해 권율
장군 집터를 지키는 행촌동(杏村洞) 은행나무, 딜쿠샤, 한양도성, 경희궁, 서울역사박물관,
국립기상박물관 등의 명소들이 깃들여져 있으니 그들도 적당히 후식거리로 둘러보면 정말 배
부른 나들이, 답사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한여름에 찾아간 서촌 나들이는 기분 좋게 막을 내린다.

* 월암동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동 145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2년 10월 1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2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도심의 한복판, 서촌(웃대) 봄나들이 ~~~ 옥인동 박노수미술관(박노수가옥), 윤동주하숙집터

서촌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 윤동주 하숙집터



' 서촌의 한복판을 거닐다 '
(박노수미술관~윤동주 하숙집터)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 (박노수가옥)
▲  옥인동 박노수 가옥



 

봄이 한참 익어가는 4월의 한복판에 일행들과 경복궁(景福宮) 서쪽에 자리한 서촌을 찾았
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 깃든 서촌(西村)은 부암동(付岩洞)과 백사실(백사골), 북촌(北村
), 북악산(백악산), 인왕산(仁王山), 북한산(삼각산), 호암산(虎巖山), 아차산 등과 더불
어 내 마음을 제대로 앗아간 곳으로 봄이 겨울로부터 천하를 해방시키면서 다시금 서촌앓
이가 시작되었다.

서촌은 경복궁과 인왕산, 서대문(돈의문) 사이를 일컫는다. 서촌의 중심지로 꼽히는 인왕
산과 경복궁 사이 동네는 원래 웃대라 불렸으며, 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을 병풍으로 삼
아 경관이 아름답고 계곡이 즐비해 조선 초부터 왕족과 귀족들의 별장지로 인기가 높았다.
양반들 외에 중인(中人)들도 많이 살았으며, 왜정(倭政) 이후에는 윤동주와 이상(李霜),
박노수 등 문학가와 미술가들이 많이 정착하여 현대 예술/문학의 성지로 격하게 떠오르기
도 했다.
특히 조선 4대 군주인 세종(世宗)이 태어난 인연(1397년 출생)을 내세워 세종마을을 칭하
기도 하는데, 서촌의 명성이 나날이 높아지자 없어지기 바뻤던 한옥들도 다시금 늘어나기
시작했고, 서촌을 수식하는 옛 명소를 비롯하여 통인시장과 금천교시장(세종음식거리) 등
의 전통시장도 손질하여 세상에 내놓았다. 특히 시장은 서촌을 뛰어넘어 도심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이자 먹자 골목으로 1주 내내 북적거린다. 또한 서촌에 살던 남정 박노수 화백은
자신의 집과 유물을 흔쾌히 기증하면서 지금은 종로구립미술관으로 거듭나 서촌의 대표급
명소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글에서는 서촌의 꿀단지가 된 박노수 가옥과 윤동주 하숙집터만 다루도록 하겠다.



 

♠  서촌의 새로운 활력소이자 근대 화가 박노수의 삶터,
옥인동 박노수 가옥(玉仁洞 朴魯壽 家屋) <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1호

▲  미술관으로 쓰이는 박노수 가옥

서촌 한복판에 자리한 통인시장에서 옥인길을 따라 수성동계곡으로 가다보면 오른쪽(북쪽) 골
목 속에 서촌의 상큼한 명소로 등극한 박노수 가옥이 자리해 있다. 이곳은 집 이름 그대로 우
리나라 미술계의 원로이자 현대 화가인 남정 박노수의 집으로 인근 이상범(李象範) 가옥과 함
께 현대 미술의 산실이었으며, 2013년 9월 이후 속세에 개방되어 '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이
하 미술관)'으로 새로운 삶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이야 속세에 공개된 현대 화가의 옛 집이자 미술관으로 입장료만 주면 누구든 안길 수 있
지만 이 집의 태생은 그리 곱지는 못했다. 바로 친일매국노로 추잡한 이름을 날린 윤덕영(尹
德榮, 1873~1940)이 지은 집이기 때문이다.

윤덕영은 조선의 마지막 황후인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의 큰아버지로 왜정(倭政)에 적극 협
력하여 나라를 팔아먹고 백성의 고혈을 쥐어짜며 배때기에 기름칠 했던 매국노이다. 그와 같
은 시대를 살았고 친일파로 안좋은 뒷끝을 보인 윤치호(尹致昊) 조차도 '이 비열한 매국노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웹스터 사전에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라며 그의 만행을 꼬집
었다.
허나 사람이기를 포기한 윤덕영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온갖 손가락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온
갖 이권에 개입해 배때기를 불렸고, 집과 땅 욕심도 가히 징그러운 수준이라 송석원(松石園)
을 비롯한 옥인동 일대를 사들여 고래등 양옥 별장인 벽수산장(碧樹山莊)을 짓고, 그 주변에
가족과 첩들을 수용할 14동의 고래등 한옥을 지었다. 박노수 가옥은 그 14동의 하나로 딸과
사위를 위해 이 땅 최초의 근대 건축가인 박길룡(朴吉龍)에게 의뢰하여 1937년경(또는 1938년
)에 지은 것이다.

그런데 박노수 가옥과 미술관 안내문, 홈페이지에도 윤덕영이 지었다는 내용이 모두 빠져있다.
그저 박길룡이 1937년경에 지은 절충식 가옥이라는 점만 강조하고 있다. 윤덕영의 이름 3자가
보기에도 암이 걸릴 지경이고 듣기에도 고약하지만 그렇다고 엄연히 있는 사실을 빼먹는 것도
박노수를 위해서라도 그리 옳지는 못하다.


▲  세상을 향해 활짝 문을 연 박노수 가옥(미술관) 대문

이 가옥은 한옥 양식과 중원대륙 양식, 서양식이 뒤섞인 이른바 절충식 기법의 가옥이다. 2층
으로 이루어진 커다란 벽돌 건물로 반지하층을 가지고 있으며, 붉은 벽돌로 된 1층에는 온돌
방과 마루, 복도, 응접실이 있고, 하얀 피부로 이루어진 2층은 나무 구조로 지어졌는데, 계단
을 중심으로 마루로 된 방이 널려있다.
그리고 벽난로 3개를 설치하여 온기가 머물 공간을 확보하였고, 집 서쪽에 현관을 두었으며,
벽돌로 포치를 설치하여 집의 운치를 더욱 높였다. 지붕은 서까래를 노출한 단순 박공지붕으
로 되어 있으며, 2층의 증축 부분을 빼면 거의 원형 그대로 잘 남아있다.

박노수가 매국노의 악취가 진동하는 이 집에 들어온 것은 1973년이다. 왜 이곳을 골랐는지는
모르겠으나 스승인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의 집과도 가깝고, 집의 모습도 중후하고 운치가
진해 예술가의 집 분위기로는 아주 좋아 보인다. 게다가 뜨락도 넓고, 인왕산도 가깝고, 도심
과도 매우 가까우니 시내 왕래가 잦았던 그에게도 딱 적당한 장소였을 것이다.
남정은 이곳을 집과 화실로 삼으며 많은 작품을 그려냈으며, 그의 예술적이고 꼼꼼한 손맛이
담긴 뜨락에는 그가 수집했던 수석과 석물, 문화유산을 비롯해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자연
과 문화, 수석이 어우러진 아주 참한 공간으로 꾸몄다.
 
왜정 때 박길룡이 설계한 건물로 당시 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고, 현대 미술화가
인 박노수가 40년 가까이 머물며 작품 활동을 벌였던 현장이라 윤덕영이라는 친일파 괴물이
만든 건물임을 무릅쓰고 1991년 5월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그것도 1호라는 그럴싸한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이 점이 참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데 1호나 2호, 100호 등은 그저 지정된
번호일 뿐 가치 순위는 아니기 때문에 그리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겠지만 그래도 1호만큼은
신중해야 된다고 본다. 국보 2호는 몰라도 1호는 누구나 다 아는 것처럼 1호의 의미는 각별하
기 때문이다.
해방이 된지 80년이 되도록 친일매국노 청산은 커녕 그것들이 더 활개치고 있는 이 땅의 현실
을 이 가옥이 보여주는 듯 싶어 마음이 참 쓰라리다.

만약 윤덕영의 후손이 염치없이 계속 서식하고 있었다면 화염병이나 폭탄을 던져 없는 화마(
火魔)라도 억지로 소환해 집과 함께 날려버려야 마땅하겠으나 박노수가 이곳에 살면서 집에
일종의 면죄부가 붙었으니 굳이 때려부실 필요는 없을 것이다. 허나 문화재 지정 후순위로 두
어 천천히 지정을 하던가 등록문화재로 삼는 것이 어땠을까 싶은 아쉬움도 살짝 든다.


▲  무늬가 살아있는 석조대좌(臺座)의 위엄 (현관 앞)
무엇을 받치던 대좌였길래 무늬가 저렇게 요염한 것일까? 허나 대좌는
자신의 정체성을 잃은 채 망연히 뜨락 장식물의 일원이 되었다.
정체성과 역사를 잃어버리는 것만큼 무서운 것은 없다.


남정 박노수(藍丁 朴魯壽, 1927~2013)의 간략한 생애
박노수는 1927년 2월 17일 충남 연기군(현재 세종시)에서 태어났다. 1940년대에 청전 이상범
의 문하로 들어가 그림을 배웠으며, 해방 이후 서울대 회화과에 진학했다.

그의 작품활동은 주로 국전(國展)에서 이루어졌는데, 1953년 국무총리상, 1955년에 대통령상
을 받았으며, 1957년에는 추천작가를 지냈다. 이후 5.16민족상, 3.1문화상, 대한민국 문화훈
장 등을 받았고, 이화여대(1956~1962)와 서울대(1962~1982)에서 교수를 지냈다.
이후 서울대 명예교수가 되었고, 국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1995년
자랑스러운 서울시민 6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리고 왜열도 동경과 스웨덴, 미국에 다수의
국제전과 10여 회의 국내외 개인전을 가졌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화제를 취하면서도 간결한 문필과 강렬한 색감, 대담한 터치 등 독자적
인 화풍을 구축해 전통 속에서 현대적 미감을 구현한 작가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으로
는 '달과 소년'이 있으며, 많은 작품이 이 미술관에 진열되어 속인들의 정처없는 안구와 마음
을 다독거려준다.

남정은 1973년부터 2011년 말까지 이곳에 살았다. 2011년 죽음이 임박해진 박노수는 집과 소
장품 등 재산의 상당수를 사회에 환원하기로 결심했다. 하여 그해 11월 11일 자신의 집에서
미술계 인사와 후배들, 제자들, 종로구청 관계자 등이 모여 기증협약식을 갖고 약속대로 집과
소장품을 미련 없이 종로구청에 기증했다.
그가 넘긴 물건은 그의 그림을 포함한 미술 작품 500점, 수석과 여러 석물 379점, 오래된 가
구 66점, 개인 소장품 49점 등 총 994점으로 그의 통 큰 기증은 서민의 쪽박까지 빼앗으려 드
는 졸부와 위정자들로 가득한 이 땅에 한줄기 빛과 같은 위대한 업적이었다. 그가 베푼 대인
의 기운은 친일파 집이라는 굴레를 지닌 이 가옥을 180도 달리 보이게 하는데 충분했다.

종로구청은 남정의 뜻에 따라 기증받은 집을 종로구립 미술관으로 꾸미기로 하고 2012년 10월
에 개관하기로 했으나 상황이 여의치 못해 1년 연기되었다. 그 사이 남정은 그의 소망이던 미
술관 개관을 끝내 지켜보지 못하고 2013년 2월 25일, 86세의 나이로 안타깝게 세상을 뜨고 말
았다.
그가 간 이후, 유족과 종로구청의 노력으로 남정의 손때와 예술혼이 서린 그의 집은 2013년 9
월 11일,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나 세상에 문을 열었다. 개관 기
념전으로 그의 대표적인 작품을 모아 '달과 소년전'을 가졌으며, 종로구 최초의 구립 미술관
으로 이곳이야말로 남정이 세상에 남긴 마지막 유작이자 아름다운 선물이다.

나는 근/현대 미술가에는 그리 관심이 없다보니 왜정과 현대를 거쳐간 원로 화가의 하나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의 깊은 부분까지 파고드니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못지 않은 대인으로
그의 이름 3자가 제법 크게 다가온다.


▲  남정의 손에 이끌려 이곳에 정착한 잘생긴 수석들

▲  미술관 개원 기념으로 종로구청장이 남정에게 바친 메세지

▲  미술관 남쪽 뜨락 (동쪽에서 본 모습)

박노수 가옥은 크게 미술관으로 변신한 2층 가옥과 남쪽 뜨락, 그리고 북쪽 벼랑에 설치된 전
망대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 뜨락에는 남정이 수집한 갖은 석물과 문화유산, 수석 등이 가득 흩어져 있고, 소나무와
감나무 등 여러 나무와 꽃이 뿌리를 내려 조촐하게 자연과 문화가 잘 버무려진 야외 전시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그는 수석 취미가 대단하여 뜨락 안팎으로 수석들이 가득한데, 군침이 돌
정도로 잘생긴 돌도 적지 않으며, 그가 도안해서 만든 돌덩어리 원탁과 의자 6기는 가족과 벗
, 제자/후배들과 이야기꽃을 피웠던 정겨운 현장이다.

▲  남정이 도안해서 만든 견고한
돌덩어리의 원탁과 의자

▲  비석의 지붕돌인 가첨석(加檐石)


▲  귀여움과 고색의 때가 묻어난 조그만 호랑이상
어디서 데리고 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조선 후기 작품으로 여겨진다.

▲  머리 위에 또다른 머리 장식을 둔 특이한 석등(石燈)
피부가 반질반질하고 머리 장식이 특이한 흔치 않은 석등으로 그의 자세한
사연은 모르겠다. (조선이나 왜정 때 조성된 석등 같음)

▲  남정이 모은 자연산 수석들

▲  키 작은 두충나무와 향로석(왼쪽)
두충나무는 중원대륙이 고향으로 최대 자랄 수 있는 높이는 10m이다. 혈압
강하와 진정/진통 작용에 효과가 좋아 한약재로 많이 쓰이며,
10~11월에 열매가 핀다.

▲  물을 머금은 조그만 돌항아리(돌확)

▲  아직까지 겨울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가련한 감나무

▲  양옥란(洋玉蘭)이라 불리는
태산목(泰山木)

▲  뜨락 구석에 자리한 어느 문인석

▲  고된 세월을 머금은 커다란 수석


▲  현관에서 나그네를 마중하는 목조 동자상
이들은 불교식 동자상으로 세월이 달아놓은 주름으로 빛이 좀 바래 보이지만
앳된 표정은 전혀 녹슬지 않았다.


▲  가옥 현관과 여의륜(如意輪) 현판의 위엄

박노수 가옥(미술관)은 포치가 달린 현관을 통해 안으로 들어서면 된다. 현관문에서 신발을
벗고 실내화로 갈아타면 되는데, 반지하층을 제외한 1층과 2층 상당수의 방이 개방되어 있다.
1층에는 미술관 사무실이 있고, 박노수의 생애와 그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달과
소년'을 비롯한 박노수의 그림은 주로 2층을 장식하고 있다. (내부 촬영은 통제됨)

현관문에는 한자로 쓰인 여의륜 현판이 걸려있다. 글씨가 꽤 큼지막하고 패기가 넘치는 모습
으로 옛 박노수의 집에 있으니 그의 글씨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친필이다. 현판에 담긴 여의륜이란 모든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세간(世間), 출세간 이익을
더하는 것을 본뜻으로 하는 보살(菩薩)을 의미하는 말로 추사가 말년에 불교에 관심을 가지면
서 서울 봉은사(奉恩寺)와 봉원사(奉元寺), 팔공산 은해사(銀海寺), 해남 대흥사(大興寺) 등
천하의 유명한 절을 많이 돌아다니며 많은 글씨를 남겼다.

현판 우측에는 '승연노인(勝蓮老人)'이란 낙관이 찍혀있는데, 승연노인은 추사의 다른 아호(
雅號)이다. 이 현판을 손에 넣은 박노수는 현관문에 걸어두어 현관부터 미술가의 집 분위기를
진하게 우려냈다.


▲  현관에 놓인 수석
바다에 두둥실 떠있는바위섬의 축소판 같다. (그러고보니 독도와도 비슷하게 보임)

▲  현관 주변에 놓인 수석들

▲  뚜껑이 닫힌 죽은 우물
친일파 윤덕영의 딸 내외와 박노수 가족의 목을 축여주었던 우물로
주변 개발로 수맥이 끊기면서 이제는 껍데기만 남았다.

▲  가옥 동쪽 창고 옆에 자리한 조그만 웅덩이
붉은 빛을 띈 작은 잉어들이 꼬랑지를 휘날리며 웅덩이를 순찰한다. 이 웅덩이는
박노수가 물고기를 기르며 작품을 구상하던 공간으로 웅덩이 위에 걸쳐진
석물의 조각이 마치 살아있는 담쟁이덩굴을 보듯 섬세하고 아름답다.

◀  집 동쪽에 솟아난 늘씬한 소나무
박노수가 생전에 심은 나무로 하늘과 가까운
줄기 끝에 소나무 잎이 덩어리로 몰려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나무의 높이는
거의 가옥 2층 정도 된다.


▲  북쪽 벼랑 전망대로 인도하는 계단

가옥 북쪽에는 수풀이 우거진 가파른 벼랑이 있다. 예술과 문학의 향이 깃든 가옥답게 대나무
도 삼삼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벼랑에 계단과 숲길을 내었고, 그 길의 끝에는 무려
전망대까지 두었다. 아무리 큰 기와집이나 근대 양옥이라고 해도 뜨락에 전망대까지 둔 경우
는 찾아보기가 힘든데, 집 북쪽이 언덕이라 그 경사를 활용해 숲길과 전망대를 설치하고 중간
중간에 석물을 배치해 고즈넉한 산책로를 내었다. 이 언덕 산책로와 전망대야말로 박노수 가
옥만이 가진 강한 매력이자 백미라 칭할 만하다.

산책로 입구에는 고색의 때가 자욱한 조그만 석인이 홀을 쥐어들며 안내인처럼 자리하고 있다.
제자리를 잃고 방황하는 그를 남정이 이곳으로 데리고 온 것인데, 고향을 잃은 충격 때문일까
? 석인은 좀처럼 자신의 사연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하긴 이곳에 이끌려온 석조 문화유산 모
두 제자리를 잃은 가련한 처지이다. 사람이 들을 수 없는 그들만의 속삭임으로 고향을 잃은
동병상련의 한을 달래지는 않을까?
투박하게 닦여진 돌계단을 오르면 북쪽으로 난 아주 짧은 샛길이 있는데, 대나무로 둘러싸인
그곳에는 돌의자가 놓인 조그만 쉼터가 있다. 그리고 숲길을 마저 오르면 나무로 지어진 전망
대(전망데크)가 나타난다.

▲  대나무에 감싸인 북쪽 샛길 쉼터

▲  숲길에서 만난 석등


▲  숲길 끝 벼랑에 자리한 전망대
숲길과 돌의자, 석물은 박노수 시절의 것이고, 전망대는 2013년에 단 것이다.

▲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옥의 뒷모습과 지붕
건물의 모습은 양옥이지만 지붕만큼은 거의 한옥 스타일이다. 매국노 윤덕영이
14동의 한옥을 지을 때 자신의 살 벽수산장을 제외하고 모두 한옥으로
지었으면서 왜 딸의 집만 이렇게 이채로운 모습으로 지어주었을까?

▲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가옥 굴뚝
지붕에는 붉은 벽돌로 이루어진 굴뚝 5개가 뿔처럼 솟아나 집의 멋스러움을 한층
수식한다. 1층 지붕에는 2개, 2층에는 3개가 달려있는데, 이중 3개는
벽난로용, 나머지는 부엌용이다.

▲  현관 앞에서 바라본 미술관 정문
조금씩 숨겨진 끼를 드러내며 경쟁자 북촌을 긴장시키는 서촌, 박노수 미술관은
바로 그 서촌의 새로운 활력소이자 허브이다. 평일임에도 제법 많은 이들이
찾아와 짧은 시간에 비해 너무 떠버린 이곳의 높은 인기를 실감케 한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68-2 (옥인1길 34, ☎ 02-2148-4171)



 

♠  너무 일찍 져버린 천재 시인 윤동주(尹東柱)의 하숙집터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에서 수성동계곡으로 조금 가면 길 왼쪽(남쪽)에 윤동주하숙집터를 알
리는 금색 피부의 안내문이 있다. (종로구 누상동 9번지)

※ 윤동주(1917~1945년)의 간략한 생애
윤동주는 왜정 시절의 대표급 시인으로 그의 이름 석자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서시를 비롯한 그의 굵직한 작품들이 정말 지겹게 나오니 말이
다. 지금도 이름이 또렷한 윤동주는 1917년 12월, 두만강(豆滿江) 이북인 북간도(北間島) 명
동촌(明洞村)에서 윤영석()과 어머니 김룡()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학교를 다니던 중 용정(龍井)으로 이사를 가면
서 1933년 그곳 은진()중학교에 진학했다. 그러다가 1935년 조선 본토로 넘어와 평양 숭
실(崇實)중학교에 들어갔으나 신사참배 문제로 왜정에 의해 강제로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다
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光明)학원의 중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남쪽으로 내려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 문과에 진학하여 1941년에 졸업했는데, 학
교 기숙사의 식사가 부실해지면서 후배 정병욱(鄭炳昱)과 함께 누상동에 하숙집을 얻어 잠시
살다가 그해 5월 그믐날에 다른 하숙집을 알아보고자 옥인동으로 내려오던 중, 우연히 전신주
에 붙어있던 하숙집 광고 쪽지를 보았다.
하여 그 집을 찾아가니 문패에는 '김송(金松)'이라 쓰여 있었다. 마침 그는 소설가 김송을 존
경하고 있었는데, 설마 그 김송? 생각하며 문을 두드리니 글쎄 그 김송이 나타난 것이다.

그렇게 해서 김송 집에 들어가 4개월 정도(1941년 5월~9월) 하숙을 했는데, 저녁 식사가 끝나
면 김송 가족과 대청에서 차를 마시며 음악을 즐기거나 문학 이야기를 나누었고, 때로는 성악
가인 김송 부인의 아름다운 노랫소리를 듣기도 했다.
김송 집에 머무는 동안 인근 자하문고개를 수시로 올라가 시를 구상했다고 하며, 그 현장이
바로 윤동주시인의 언덕이다. (☞ 관련글 보러가기) 또한 이때 많은 시가 쓰였는데, 마음을
주고 받는 글벗이 곁에 있고, 자신이 존경하는 이의 집에 머물며 그의 가족에게 호의를 받으
니 마음도 흔쾌히 즐거워 덩달아 작품 구상도 잘되었던 것이다. 그러니 붓도 흥분하여 좋은
시가 나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941년 9월, 김송과 작별하고 왜열도로 넘어가 동경(東京) 릿쿄(敎)대학 영문과에 들어갔으
며, 1942년 도시샤대학(同學) 영문과로 자리를 옮겼다. 허나 1943년 7월 학업을 멈추고
잠시 고향으로 가다가 독립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왜경에 급히 체포되었다.
왜경은 그에게 변론의 기회도 제대로 안주고 징역 2년형을 때려 후꾸오카 형무소에 집어넣었
는데 거기서 잔인한 생체 실험의 희생자가 되어 결국 해방을 목전에 둔 1945년 2월, 회한의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때 그의 나이 겨우 28세였다. 목격담에 따르면 그는 정체를 알 수 없
는 주사를 계속 강제로 맞았다고 하니 결국 왜국의 비인간적인 만행에 천재시인 윤동주는 제
대로 꽃도 피우지 못하고 강제로 눈을 감게 된 것이다.

윤동주는 그의 조부(祖父)의 영향으로 시에 천재적인 소질을 발휘했다. 그의 동생인 윤일주(
)와 당숙인 윤영춘()도 시인이었다고 하니 그의 집안은 문학적 소질이 다분한 지
식인 집안이었던 모양이다.
그는 15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첫 작품은 '삶과 죽음'과 '초한대'이다. 이후 '병아리(
1936년 11월)','빗자루(1936년 12월)''오줌싸개 지도(1937년 1월),'무얼 먹구사나(1937년 3월
)','거짓부리(1937년 10월)' 등을 간도 연길(延吉)에서 발간된 '카톨릭소년'이란 잡지에 소개
했다.
연희전문대학 시절에는 조선일보에 '달을 쏘다'를 냈고, 학교 교지 '문우(文友)'에 '자화상'
,'새로운 길' 등을 실었다. 그리고 '쉽게 쓰여진 시'가 1946년 경향신문에 실렸다.

누상동(樓上洞) 김송의 집에서 하숙을 하던 1941년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란 제목으로 시
집을 내려고 했으나 내지 못하고 대신 3부를 필사해 정병욱과 이양하(李敭河)에게 1부씩 증정
했다.
바로 그 시집의 서문(序文)으로 지어진 것이 그 유명한 서시로 1948년에 이르러 정병욱과 윤
일주에 의해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시는 청소년 시절에 지은 시와 성년 이후의 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청소년기에 쓰여진
시들은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고 대체로 어린 시절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
다. 대표작으로는 '겨울'과 '버선본' 등이 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자아성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왜정 시절 민족의 암
울한 역사성을 담은 시가 주류를 이루니 '서시','자화상','또 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표 시로 어둠의 시절에 깊은 우수 속에
서도 티없이 순수한 인생을 살아가려는 그의 내면 세계를 표현했다.

그는 비록 뜻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나보다 더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지만 그의 시는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왜열도와 중원대륙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적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그가 다닌 릿쿄대학과 도시샤대학에는 그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어 해마다 많은 이
들이 헌화를 하고 그를 기린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아시아를 뛰어넘는 세계 문학계
의 큰 별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윤동주가 세상을 뜨자 그의 시신을 간도 용정으로 옮겨 묘를 썼다. 허나 그 무덤도 한때 위치
를 몰라 방황하다가 연길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온 왜인 교수의 노력으로 간신히 묘비를 찾았다
. 이후 우리나라와 중원대륙를 점거한 공산당 정부가 국교를 맺자 가족들은 봉분을 단장하고
묘비도 새로 세웠으며, 그의 명동촌 생가는 1994년에 복원되었다. 또한 그가 다닌 명동소학교
는 윤동주 관련 단체의 지원으로 옛 건물을 복원하여 윤동주기념관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에 참으로 굵직한 시인들이 많지만 윤동주만큼 인기와 사랑이 큰 시인도 손에 꼽을
것이다. 우리나라를 넘어 다른 나라에서도 그의 팬들이 많으니 말이다. 비록 왜의 잔악무도한
만행으로 일찍 눈을 감았지만 그의 작품을 통해 그의 혼은 우리들 마음 속에 길이길이 깃들여
져 있으며,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주는 영원한 문학신(文學神)이다.

김송의 집은 개량한옥으로 1970년대까지 있었으나 이후 개발의 이슬로 사라지고 현재는 3층
주택이 들어섰다. (안내문 사진에 1970년대에 찍은 김송집과 앞 골목길이 나와있음) 그나마
윤동주하숙집터 안내문도 2014년 이후에 비로소 단 것이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1년 4월 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1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인왕산자락길, 황학정, 서촌(한양도성) 늦가을 나들이 ~~ (택견수련터, 감투바위, 단군성전, 행촌동 은행나무)

 


' 인왕산자락길, 황학정, 서촌 늦가을 나들이 '
인왕산자락길의 만추
▲  인왕산자락길의 만추(晩秋)


 

늦가을이 그 절정에 이르던 11월 한복판의 어느 평화로운 날, 서울 도심에 숨겨진 상큼
한 자락길 인왕산자락길(숲길탐방로)을 찾았다.

인왕산자락길은 서울 도심의 영원한 우백호(右白虎), 인왕산(仁王山) 동쪽 자락에 닦인
둘레길로 2개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제1코스(2.7km)는 인왕산길을 졸졸 따라가는 길
로 윤동주문학관에서 사직단(사직공원)까지 이어진다. 경사가 완만해 그리 힘들이지 않
고 이동할 수 있으며, 인왕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여럿 손짓해 언제든 정상 쪽으
로 방향을 틀 수 있다. 다만 인왕산길이 차량 왕래가 빈번하다보니 비록 작은 소음이지
만 종종 적막을 깨뜨린다. 

본글의 주인공인 제2코스는 숲길탐방로(3.2km)로 윤동주문학관에서 산길을 따라 이빨바
위, 가온다리, 수성동계곡 윗쪽을 거쳐 택견수련터(황학정 북쪽)까지 이어진다. 인왕산
길과 서촌 주택가 사이에 자리한 길로 제1코스와 달리 차량의 눈치와 소음 걱정에서 벗
어나 아늑하고 달달한 산길의 멋을 누릴 수 있다. 다만 오르락내리락 굴곡이 조금 있어
서 약간은 힘들 수 있다. 하지만 두 다리만 멀쩡하면 삼척동자도 완주가 가능하니 걱정
따위는 인왕산 산바람에 날려보내기 바란다.
제2코스는 인왕산길(제1코스)과 서로 만날 듯 가깝게 거리를 두고, 경쟁을 하듯 펼쳐져
있다. (현실은 청운공원과 택견수련터에서만 만남) 아주 편한 길을 원한다면 제1코스를
, 차량의 눈치 없이 아늑한 산길을 꿈꾼다면 제2코스(숲길탐방로)를 이용하자. 특히 제
2코스에는 숨겨진 명소와 계곡, 약수터가 많고 풍경도 고우며, 서울 도심이 늘 옆에 파
노라마처럼 따라다녀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이번 나들이는 제2코스를 이용하여 윤동주문학관에서 사직단(社稷壇, 사직공원)까지 이
동했다. 늦가을이 겨울 제국의 압박으로 생각보다 명이 짧아서 그가 지기 전에 그의 가
랭이라도 붙잡을 겸 서둘러서 찾았는데, 아직은 늦가을 풍경이 여전해 내 정처 없는 마
음과 속세에서 오염되고 상처받은 오감(五感)을 크게 정화시켜 주었다. 역시 사람은 대
자연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
(이후 제2코스는 인왕산자락길이라 표시하며, 제1코스는 인왕산길로 표시함)


 

♠  인왕산자락길 (수성동 이남 구간, 택견수련터)

▲  수성동에서 남쪽으로 넘어가는 인왕산자락길

수성동계곡에서 잠시 시원한 계곡 바람을 맞은 인왕산자락길은 다시 남쪽으로 각박한 오르막
길을 오른다. (북쪽 방향도 마찬가지임) 길은 잘 닦여져 있지만 그렇다고 오르막길의 야성을
완전히 잠재운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거친 것을 조금 순하게 다듬었을 뿐이다.

그 길을 오르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으로 오르면 인왕산길이고, 왼쪽 내리막길
이 인왕산자락길이다. 그러니 자락길을 놓치기 싫다면 무조건 왼쪽으로 붙자. 그 길을 내려가
면 서촌의 일원인 누상동(樓上洞) 주택가와 불과 몇 보 차이로 가까워지며 길은 다시 온순해
진다. 이후 이름 모를 계곡과 체육시설을 지나면 길은 다시 오르막을 보이나 그리 각박하지는
않으며, 그 길을 오르면 배드민턴장과 인왕산길이 모습을 비춘다.


▲  다시 오르막은 시작되고 (인왕산길 배드민턴장 방향)

▲  택견수련터로 인도하는 북쪽 계단길

인왕산길 배드민턴장 남쪽에는 화장실을 갖춘 쉼터가 닦여져 있다. 청운공원 이후 가깝게 거
리를 두며 떨어져 있던 인왕산길과 인왕산자락길은 여기서 잠시 만났다가 이내 헤어진다.
쉼터 남쪽 언덕으로 인도하는 나무 계단길이 자락길로 그 계단을 오르면 자락길의 남쪽 종점
인 택견수련터가 마중을 한다.


▲  택견수련터 주변 체육시설
저 산길의 끝에 택견수련터가 깃들여져 있다.

▲  인왕산 택견수련터

황학정 뒷쪽 산자락에 자리한 택견수련터는 이름 그대로 택견을 수련했던 현장이다. 처음에는
막연히 옛날 사람들이 택견을 닦던 곳으로 알았으나 한때 끊어질 위기에 놓였던 우리 고유의
전통 무술인 택견을 지키고 널리 알렸던 조선의 마지막 택견꾼 송덕기(宋德基, 1893~1987)가
택견을 수련했던 현장이다.

송덕기는 조선의 마지막 한량이자 택견꾼으로 유명하다. 그는 1893년 1월 19일, 이곳과 가까
운 필운동(弼雲洞)에서 하급 관리인 송태희(宋泰熙)의 2남3녀 중 막내로 태어났는데, 어머니
김씨는 잡화가게를 꾸리고 있어서 생활은 비교적 여유로웠다.
당시 필운동과 사직골, 누상동, 누하동 등 서촌(웃대) 지역은 택견의 성지로 택견을 갈고 닦
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중에는 장안 제일의 택견꾼으로 '인왕산 호랑이'라 불리던 임호(林
虎)도 있었다. 그는 지금의 배화여고 앞에 살고 있었으며, 송덕기는 12살부터 또래 동네 아이
들과 그에게 택견을 배웠다.

송덕기는 선천적으로 힘이 장사이고 운동과 무예에 소질이 상당했다. (나와 완전 반대임) 하
여 16살에 마을 택견꾼과 더불어 사직골 대표로 출전하여 유각골, 옥동, 애오개의 택견꾼과
싸워 이겼으며, 이때부터 '결련택견판(택견의 시합을 지칭하는 말)'에서 그 이름을 날리기 시
작했다. 그는 비록 체격은 작았지만 동작이 매우 날쌔어 적을 정확히 타격했으며, 특히 뛰어
오르며 쓰는 발차기는 매우 일품이라 당할 자가 없었다고 전한다.
17세에 장가를 들었고, 곧 군대에 입대했으나 1주에 2~3번 정도만 출근하면 되었으므로 나머
지 시간에는 택견을 수련하여 종종 결련택견판에 나가 몸을 풀었다. 그리고 이때 이 땅에 막
소개된 축구에도 구미가 당겨 축구를 익혔다.

1910년 8월 이후, 왜정(倭政)은 우리의 상무정신이 깃든 결련택견과 온갖 택견 수련을 금지시
켜 그 맥을 끊으려고 했다. 게다가 집안에서도 계속 택견을 그만두라고 압력을 가하면서 택견
수련도 눈치를 보고 해야될 지경이었다. 당시 그의 부모는 그가 자칫 싸움꾼이 될까봐 걱정되
어 택견 수련에 무조건 정색을 표했다고 전한다.
상황이 그러하니 택견 수련 딱 10년이 되는 22살에 잠시 택견을 접어두고 대신 활쏘기로 관심
을 돌려 황학정에서 국궁(國弓)을 닦았다. 그는 궁술(弓術)에도 꽤 소질을 보여 명궁으로 명
성을 날렸는데, 죽기 전까지 활쏘기를 즐겨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을 오래 쏜 사람이자 최초의
국궁심판으로 '한국인물도감(1982년)'에 소개되기도 했다.
또한 군대에서 사병들에게 근대식 체조를 가르쳤고, '조선불교 축구단'에 선수로 스카웃되어
월급 80원을 받으며 축구 선수로 3년 동안 뛰기도 했다. 이때 매년 열리던 평양축구단과의 경
기에 참가해 큰 활약을 보여주었다.

축구를 그만둔 이후 30대 말까지 딱히 두드러지는 행적은 없으며, 40세 때 조선극장(인사동에
있었음)을 운영하던 매부를 도와 극장을 지키는 기도를 하였다. 그래서 극장 주변에서 설치던
건달들을 죄다 때려잡았고, 당시 주먹패 대장으로 유명했던 김두한(金斗漢)과도 맞짱을 뜬 적
이 있다고 한다.
이후 금을 찾아 전국을 돌아다녔으나 소득은 없었으며, 1951년 1.4후퇴 때 경남 밀양(密陽)으
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

1958년경. 경무대(청와대)의 이승구 경관이 찾아와 대통령에게 택견 시범을 보여달라고 부탁
을 했다. 당시 택견은 일정한 형태가 있는 것이 아니고 둘이 맞서서 상대를 때려잡는 실전무
예라 혼자 시범을 보이기가 마땅치 않아 옛날 스승(임호) 밑에서 같이 배웠던 김성한(金成漢)
을 급히 불러 1달 정도 가르친 다음 그해 3월 26일 '이승만 대통령 생신 축하 경찰무도대회'
가 열렸던 소공동(小公洞) 유도회관에서 택견을 선보였다.
당시 권력층과 무도인들은 왜열도식 무술에 익숙해 있던 상태라 택견을 보더니 별로라며 고개
를 돌렸다. 하지만 택견에 관심이 있던 이승만은 우리 무술을 발전시켜야 된다며 당시 경무대
경호원을 가르치던 박철희에게 그를 소개해 택견을 배우도록 지시했다.

박철희는 육군사관학교 초대 태권도 교관을 지낸 사람으로 그를 자주 초청해 경호원들에게 택
견을 가르치도록 도움을 주었다.


▲  택견수련터 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과 남산

1960년 제17회 로마올림픽에 출전한 한국 대표팀은 우리나라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장에 선보
일 한국 문화로 택견을 선택했다. 그래서 제자 박철희와 함께 경복궁(景福宮)에서 택견 동작
을 사진 촬영했다. (당시 경복궁은 통제구역이었음)

박철희는 경무대 무도사범을 그만두고 '사단법인 택견무도원'을 설립하려고 하였다. 송덕기도
그를 전폭적으로 도왔으나 법인 설립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당시 영향력이 컸던 '수박도협회'
의 방해로 어려움에 빠졌다. 게다가 4.19와 5.16으로 나라가 계속 혼란 속에 잠겼고 법인 설
립도 계속 뜻대로 되지 않자 모든 것을 포기하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때부터 박철희의 조교
이자 같은 사직골 토박이인 김병수가 송덕기의 1등 제자가 되었다.

김병수는 당수도의 고수로 경무대 부사범을 지냈으며, 외국어대학교에 '택견권법부'를 만들었
고, 1963년에는 효자동 오리온다방 3층에 택견도장을 차리기도 했다. 또한 영어에도 능통하여
1964년 '블랙벨트(Black Belt)'와 '가라데 일러스트레이트(Karate Illustrate)'라는 미국의
유명한 무술 잡지에 택견에 대한 기사를 기고한 적이 있다.
허나 그는 해외 진출에 더 무게를 두고 있어서 1968년 1월 미국으로 건너가 버렸고, 미국 휴
스턴에 정착해 '김수가라데'란 타이틀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자연무술류'라는 새로운 체계
의 과학적 무술을 창안해 동양무도인의 대표로 위엄을 날렸다.

1972년 '태권도 가을호'에 송덕기가 '살아있는 태권도인'으로 소개되면서 당시 태권도의 1인
자였던 임창수를 비롯해 많은 이들이 찾아가 배움을 받았다. 하지만 제대로 배우려는 사람이
없었고 실생활에도 그리 도움이 되지 않아 금방 사람들이 나갔다.

그는 슬하에 자녀도 없고, 마땅한 제자도 없어서 이것저것 소일거리로 간신히 척박한 삶을 꾸
려나갔으나 1979년 부인이 세상을 떠나면서 더욱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1970년대 중반 신한승이 택견을 바로 일으켜보고자 송덕기를 찾아와 택견을 배웠다. 그는 택
견이 살려면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길 밖에는 없다고 여겨 문화재관리국을 수시로
찾아가 택견을 홍보했다. 오늘날도 그렇지만 철밥통들이 무엇을 알겠는가? 그저 냉대만 일삼
으며 보다 체계적인 자료를 가져오라고 소위 '갑'질을 벌였다. 하여 전국을 돌아다니며 그들
의 요구 양식에 맞추고 택견을 약간 변형시켜가며 해당 자료를 제출했다.
그렇게 하여 간신히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76호'의 지위를 얻으면서 택견이 비로소 빛을 보게
되었다. 허나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송덕기는 신한승의 그런 행동을 못마땅히 여기면서 서
로 갈라진 것이다.

송덕기는 이래서는 안되겠다 싶어서 1982년부터 젊은 제자를 모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래서
1983년 그 역시 국가 중요무형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되었고, 이를 기리고자 '택견계승회(현재
사단법인 '결련택견협회')'를 만들었다. 1984년 집 근처에 '박민태권도 도장'을 빌려 제자를
가르쳤고, 제자 중 부유했던 '최유근'의 지원으로 1986년 신촌에 '택견보존회'란 이름으로 본
격적인 택견전수관을 개관하기에 이른다.
송덕기는 너무 기뻐서 매일 나와 제자를 가르쳤는데, 택견이란 존재를 매우 생소해하는 현대
인들의 무관심과 체육관을 운영한 경험이 전혀 없는 제자들의 운영 미숙으로 결국 1년도 안되
어 문을 닫고 말았다. 그나마 남은 제자들도 거의 군대에 들어가면서 죄다 흩어졌고, 1987년
에는 활까지 놓으면서 노인정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우연히 걸린 감기가 커지면서 그해 7월 22
일 서대문적십자병원에서 94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는 1981년에 '제1회 대한민국 전통무도예술제'에서 '무도대상(武道大賞)'을 타기도 했으며,
택견을 보존하고 전수하는데 많은 공을 들였다. 그가 아니었다면 택견의 태반은 이미 사라졌
을지도 모른다. 바로 이 택견수련터는 그가 택견을 닦았던 현장으로 그의 후학들(결련택견협
회)이 표석과 안내문을 세워 택견의 성지로 기리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여러 체육시설이 닦
여져 있어 동네 사람들과 산꾼들이 몸을 풀고 간다. 비록 목적은 다르지만 몸을 푸는 수련터
의 역할은 거의 녹슬지 않은 것이다.


▲  수련터 옆 감투바위 암릉
주름진 바위가 황학정 옆구리까지 느긋하게 내리막을 이루며 펼쳐져 있고,
늦가을이 질러놓은 불(단풍)이 활활 타올라 바위 주변을 화사하게 돋군다.


수련터 옆에는 울퉁불퉁한 바위들이 길게 누워있다. 이들 바위는 저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
라 조촐하게 암릉을 이루며 황학정 동쪽까지 완만하게 내려간다. 그 암릉에 송덕기와 인연이
있는 감투바위가 숨겨져 있으니 한번 숨바꼭질을 해보기 바란다.
그 암릉에 두 발을 딛으면 바로 밑에 황학정을 비롯하여 서울 도심 서부와 남산이 훤히 시야
에 잡혀 조망도 그런데로 괜찮다. 인왕산자락길 개설로 수련터를 찾은 사람들은 늘었으나 정
작 바위의 존재감이 없어 지나치기 일쑤이다. 안내문이 없다보니 수련터 바로 옆에서 바위가
예사롭지 않은 눈짓을 보내고 있음에도 다들 지나치는 것이다.
하여 감투바위 암릉은 인적이 거의 없어 무척이나 한적해 천하 최대의 대도시인 서울 도심을
멍을 때리고 바라보며 망중한을 즐기기에는 아주 좋다.


▲  감투바위

사람들이 매우 좋아한다는 감투, 그 감투를 닮은 바위가 암릉 한복판에 조용히 웅크리고 있다
. 속세에 알려지지 않은 인왕산의 비장의 바위로 송덕기가 택견 수련을 하거나 황학정에서 활
쏘기로 몸을 풀고 이곳에 걸터앉아 나라와 택견의 미래를 걱정했다고 한다. 송덕기의 택견 수
련을 묵묵히 지켜봤을 그는 황학정과 사직단, 서울 도심을 늘 지켜보고 있다.


▲  감투바위의 뒷모습

바위 뒷통수에는 장대한 세월이 무심히 긁고 간 흔적들이 역력하다. 지금은 저런 모습이나 여
러 세대가 흘러간 이후에는 어떤 모습으로 변해있을지 궁금하다. 대자연 형님의 성형(成形)
속도가 매우 느려서 그렇지 성형 실력만큼은 대자연을 따를 존재가 없다.

택견수련터 서쪽에는 인왕산길과 황학정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내려가면 윤동주문
학관부터 3.2km를 함께 한 인왕산자락길은 그 끝을 맺고 인왕산길에 합쳐진다. 소요시간은 사
진을 찍고 쉬는 시간을 합쳐서 넉넉잡아 1시간 반 정도. 경사가 좀 각박한 구간이 여럿 있지
만, 그것은 산이니까 어쩔 수 없다. 산은 산다워야 오르는 재미가 있지 않겠는가?
도로만 따라가는 인왕산길과 달리 상당수가 흙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득이한 구간은 나무데
크를 닦아 놓았다. 자락길을 둘러싼 숲은 무성하며 도심을 향해 흘러가는 조그만 계곡들(청풍
계, 옥류동, 수성동 등)을 대부분 거쳐가면서 인왕산에도 계곡들이 꽤 숨바꼭질을 하고 있음
을 귀뜀해준다. 그 계곡들은 시내에 진입하면서 모두 강제 생매장을 당했으며, 2012년에 복원
된 수성동만 제대로 어깨를 피고 있다. (수성동 역시 조금 흐르다가 생매장 당함)
이처럼 인왕산자락길은 인왕산의 숨겨진 속살과 명소를 아낌없이 드러낸 도심 속의 보석이자
서울에 얼마 남지 않은 사각지대로 이번에 이렇게 인연을 지어 사각지대를 하나 지웠다.

* 인왕산자락길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누상동, 사직동


 

♠  옛 경희궁의 흔적이자 전통 국궁(國弓)의 성지, 황학정(黃鶴亭)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5호

▲  등과정(登科亭) 바위글씨

택견수련터에서 인왕산길로 나와 남쪽(사직단 방향)으로 내려가면 황학정으로 내려가는 입구
(후문)가 나온다. 바로 그곳에 까무잡잡한 피부를 지닌 커다란 바위가 누워있는데 길 쪽에서
주마등(走馬燈)처럼 지나가면 그냥 의미없는 바위로 여기고 지나치기 쉬우나 황학정 쪽에서
보면 180도 달리 보일 것이다. 그는 옛 기록에나 남아있던 등과정의 아련한 흔적으로 황학정
방향 바위면에 '등과정' 바위글씨가 문신처럼 새겨져 있다.

등과정은 서울 장안의 이름난 활터인 서촌5사정의 하나로 그 오사정이란 등과정과 옥동(玉洞)
등용정. 삼청동 운용정(雲龍亭). 사직동 대송정(大松亭). 그리고 누상동 풍소정(風嘯亭)을 일
컫는다. 이중 삼청동(三淸洞)은 북촌의 일원인데, 어찌 서촌5사정에 꼽혔는지 모르겠다.
조선 때는 활쏘기가 양반사대부와 왕족들이 익혀야 될 교양의 일원으로 인식되어 오사정에는
늘 그들로 붐볐다. 무관 같은 경우는 직업상 여기서 활쏘기 연습으로 몸을 풀었고, 다른 이들
은 교양 및 수련의 일원으로 몸을 풀었던 것이다.
허나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 군대 무기에서 활이 제외하면서 이들 오사정은 싹 철
거되었고, 등과정만 유일하게 고종 때 새겨진 바위글씨를 흔적으로 남겨 그의 옛 자리를 귀뜀
해준다. 게다가 경희궁의 활터였던 황학정이 왜정 때 이곳에 안착하면서 자연스럽게 등과정을
계승하였다.


▲  황학정8경(八景) 바위글씨

황학정 후문(등과정 바위글씨)에서 황학정으로 내려가 그 뒷쪽 바위를 잘살펴보면 황학정8경
을 담은 바위글씨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바위에 네모난 홈을 닦고 그 안에 글씨들이 담겨져 있는데, 이들은 1928년 9월 금암 손완근(
錦巖 孫完根)이 쓴 것으로 황학정8경이란 제목을 내세웠지만 정작 황학정은 1개도 없고 모두
북악산(백악산)과 인왕산, 경복궁 주변의 풍경을 다루고 있어 제목과 내용이 완전 따로 논다.
여기서 읊은 8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중 금천교와 경복궁 담장 옆 수양버들을 제외하고는 그
런데로 살아있다.

백악청운(白岳晴雲) - 구름이 맑게 갠 북악산(백악산)
자각추월(紫閣秋月) - 자하문(창의문) 문루 위에 가을 달
모암석조(帽巖夕照) - 인왕산 모자바위에 비치는 석양 빛
방산조휘(榜山朝暉) - 인왕산 바위 위의 아침 햇살
사단노송(社壇老松) - 사직단을 둘러싼 노송
어구수양(御溝垂楊) - 경복궁 담장 옆 배수로 둑의 수양버들
금교수성(禁橋水聲) - 금천교 밑을 흐르는 물소리
운대풍광(雲臺楓光) - 필운대의 단풍 광경


▲  사방이 뻥 뚫린 황학정
황학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지붕 밑에 부연을 두어 처마와
추녀의 곡선이 무척 시원스럽다. 정면 중앙에 걸린 황학정 현판은
이승만(李承晩) 전대통령이 쓴 것이다.


사직단 북쪽이자 인왕산 남쪽 자락에 둥지를 튼 황학정은 이 땅에 몇 남지 않은 전통 활터이
다.
조선 말까지 서울 장안에는 서촌오사정 등 활쏘기를 닦던 사정(射亭)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대 무기에서 화살이 제외되자 서울과 전국의 많은 사정이 문을 닫았고
황학정 자리에 있던 등과정도 그 거친 흐름을 헤어나지 못해 바위글씨만 남긴 채 휩쓸려 사라
졌다.

활쏘기를 좋아했던 고종 황제는 백성들의 심신단련을 위해 궁술(弓術)을 장려하기로 했다. 하
여 1898년 경희궁 회상전(會祥殿) 북쪽에 황학정을 지어 활터로 삼고 백성에게 개방하여 언제
든 활을 쏘도록 했다.
고종은 자주 황학정을 찾아 활쏘기를 했는데, 그가 사용했던 활 호미(虎尾)와 화살을 보관하
는 전통(箋筒)이 황학정에 전해 내려오다가 1993년 육군사관학교 박물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천하에 어둠이 내리던 1910년 이후, 왜정은 망국의 황궁(皇宮)인 경희궁을 철저히 산산조각을
냈다. 1918년부터 궁궐을 밀어버리면서 주요 건물을 민간에 팔아먹었고, 1922년 황학정 자리
에 고의로 총독부 전매국 관사를 지으면서 그 황학정까지 밀어버리려고 했다. 이에 국궁을 하
던 사람들이 뜻을 모아 왜정과 협상을 벌여 돈을 건네주고 그 건물을 현 자리로 가져왔다.
앞서 소개했던 택견꾼 송덕기 역시 황학정을 해체 이전했을 때 직접 참여하여 손수 건물을 해
체하고 건물 부재(部材)를 가져와 다시 재조립했다. 또한 황학정 지킴이가 되어 이곳에서 행
패를 부리거나 예의 없이 구는 사람을 혼내주어 당시 사람들은 그를 '사직골 호랑이'라고 불
렀다.

1945년 이후 황학정은 전국 활터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으나 6.25 때 건물이 파괴되면서 활
쏘기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으며, 이후 황학정을 중수하고 한천각(閑天閣)과 국궁전시관 등 여
러 부속 건물을 지어 지금에 이른다.

전통 활터가 많이 사라진 와중에도 여전히 활터 기능을 수행하여 우리나라 전통 궁술의 성지
로 여전히 추앙을 받고 있다.
이곳에서는 궁술 대회(매년 12월에 전국궁술경연대회를 개최함)와 관련 행사, 활쏘기 체험이
열리고 있으며, 평일은 물론 휴일에도 활 쏘는 이들을 자주 구경할 수 있다. 천하 제일의 신
궁(神弓)으로 추앙받는 고구려 동명성왕(東明聖王)과 조선 이성계(李成桂)를 꿈꾸는 궁수들이
실력을 겨루는 모습도 볼만하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궁술 체험 이벤트도 열고 있다. 아직 활
을 만져본 적은 없지만 기회가 생기면 명중률을 떠나서 쏴보고 싶은 마음은 정말 굴뚝 같다.

* 황학정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산1-1 (사직로9길 15-32 ☎ 02-732-1582)


▲  황학정 내부
천정에는 황학정의 내력 등이 적힌 현판 2개가 걸려 있고, 평방(平枋)에는 태극기와
고종 황제의 어진(御眞)이 나란히 자리한다. 황룡포를 입은 그의 어진이
여기에 걸린 이유는 황학정을 세운 그를 기리고자 함이다.

▲  이승만 전대통령이 쓴 황학정 현판의 위엄

▲  화살을 쏘는 동명성왕, 이성계의 후예들

마침 황학정 회원 4명이 활쏘기를 겨루고 있었다. 여기서 과녁까지는 약 130~150m. 평소에는
매우 가깝게 여겼던 그 거리가 여기서 보니 참 까마득하게 보인다. 남산(南山)보다 더 멀리
느껴질 정도. 보는 사람도 그러한데 활을 쏘는 사람들은 오죽할까?
그들은 주황색 천을 허리에 묶었는데 이는 황학정 국궁 회원임을 뜻하는 모양이다. 정자 이름
이 누런색, 주황색 학을 뜻하기 때문이다. 과녁까지 거리도 멀고 눈도 침침하여 명중을 했는
지. 외곽에 맞췄는지. 아니면 과녁 밖으로 빗나갔는지는 모르지만, 그렇게 날라간 화살은 전
동식 미니 케이블카에 실려 황학정으로 옮겨진다.

▲  황학정으로 인도하는 길 (국궁전시관 옆)

▲  황학정 표석 (황학정 정문)


 

♠  단군성전과 행촌동 은행나무

▲  단군성전(檀君聖殿)

황학정에서 다시 인왕산길로 나와 남쪽으로 가면 길 동쪽에 단군성전이 마중을 한다. 단군(檀
君)은 옛 조선을 세운 천하의 시조(始祖)로 그의 단군설화는 3살짜리도 모두 알 만큼 유명하
다. 허접스럽기 그지 없는 양이(洋夷)들의 그리스, 로마 설화를 능가하는 알찬 설화로 삼국유
사(三國遺事)에 그 설화가 실려 있으니 내용을 새삼스레 풀어보면 대략 이렇다.

옛날 천하를 다스리던 최고의 신, 환인(桓因)과 환웅(桓雄) 부자가 있었다. 환웅이 하늘 아래
로 내려가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싶었는데, 환인이 아들의 뜻을 알고 지구를 살펴보니 삼위태
백산(三危太白山) 지역이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만하다 여겨져 천부인(天符印) 3개와 3,000명
의 무리를 주어 지구로 내려보냈다.
환웅은 태백산 마루 신단수 밑에 내려와 그곳을 신시(神市)라 했으며, 바람과 구름, 비를 관
장하는 풍백(風伯)과 우사(雨師) 등 신하를 거느리고 곡식과 인명(人命), 질병, 형벌, 선악(
善惡) 등 사람들의 360여 가지 일을 직접 다스렸다. 이때 굴 속에 함께 살던 호랑이와 곰이
찾아와 사람이 되고 싶다고 청하니, 환웅은 쑥 1자루와 마늘 20개를 주며 이를 먹으면서 100
일 동안 햇빛을 안보면 사람이 되리라 했다.
그들은 굴에 들어가 수행을 했으나 호랑이는 이를 견디지 못해 뛰쳐나갔고, 곰은 21일을 버티
면서 여자 사람이 되니 이가 곧 웅녀(熊女)이다.

웅녀는 매일 신단수 밑에서 아이를 갖게 해달라고 기원을 하니 환웅이 잠시 남자로 변해 웅녀
와 결혼하고 아들을 낳았다. 이가 곧 옛 조선의 시조인 단군왕검(檀君王儉)이다.

단군은 장성하여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여 옛 조선을 세우니 그때가 기원전 2,333년이
다. 우리 땅은 바로 그때를 단기(檀紀) 1년으로 삼아 지금에 이르니 무려 4,350여 년의 역사
를 지니고 있으며 단군은 무려 1,908년을 살았다고 전한다.

▲  단군성전 정문(외삼문)

▲  단군성전 뜨락 은행나무


▲  푸근한 인상의 단군왕검상 (오른쪽에 단군 영정)

※ 단군이 세운 옛 조선(고조선)
오로지 상상으로 제작된 단군상, 그리고 그의 영정, 후덕한 인상과 긴 수염, 황색 옷이 인상
적이다. 단군은 옛 조선(고조선) 군주의 명칭으로 여겨지며, 조선 군주가 정치와 제사를 모두
관장하던 제정일치(祭政一致) 사회였다.

옛 조선은 기원전 2333년 경에 건국되어 기원전 108년에 강제로 문을 닫은 장수국가로 한반도
를 비롯하여<남한 지역에 있던 삼한(三韓)도 조선의 간접 영역으로 보기도 함> 요동(遼東),
만주, 요서, 연해주, 산동반도를 포함한 화북(華北) 지역을 다스린 천하 대국이었다. (중원대
륙 상당수를 점유하고 있었다는 견해도 있으며, 서안 등 산서성에는 옛 조선이 세운 거대한
무덤 유적이 많이 있다고 함)

조선의 건국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여전해 기원전 2333년 건국설도 솔직히 무리가 있다. 산
소도 아까운 식민사관 패거리들은 기원전 10세기 이내로 창건 연대를 잡고 있으며, 영역도 한
반도 북부와 요동, 남만주로 크게 축소시켰다.
옛 조선의 중심지는 요동으로 보이며, 춘추전국시대에 연나라를 공격하여 대륙에 다시금 영향
력을 행사하려고 했으나 철기(鐵器)로 중무장한 연나라의 반격에 오히려 크게 밀려 요하(遼河
)를 비롯한 2,000리 이상의 땅을 잃고 만다. 당시 조선은 청동기 무기였다. 그러니 어찌 게임
이 되겠는가?
이후 대륙에서 넘어와 준왕(準王)의 신임을 받은 위만(衛滿)이 반란을 일으켜 준왕을 쫓아내
고 왕이 되었다. 준왕은 그를 따르는 신하와 배를 타고 남쪽으로 건너가 한왕(韓王)을 칭했다
고 하는데, 아마도 마한(馬韓) 영역인 전라도나 충청도로 내려간 것이 아닐까 싶다.

위만이 조선을 장악하자 철제무기를 개발하고 국력을 길러 한나라를 비롯한 주변 나라를 공격
해 사방으로 크게 영토를 넓히고 동아시아 무역을 독점하여 막대한 부를 누렸다. 이에 한나라
무제(武帝)는 조선이 동방(東方) 무역 독점으로 배를 불리며 나날이 커지는 것에 크게 위협을
느끼며 우선 주변 나라를 말끔히 정리하고 그 자신감으로 섭하(涉河)를 사신으로 보내 조선을
협박했다.
당시 조선의 군주는 조선의 마지막 제왕인 우거왕(右渠王)으로 한나라의 요구를 한마디로 거
부하며 비왕(裨王, 제후왕)을 시켜 사신을 전송케 했다. 허나 섭하는 그 호의에 배은망덕하게
도 마부로 가장한 무사를 시켜 비왕을 죽이고 도망쳤다. 이에 한무제는 잘했다고 칭찬하며 옛
조선과 가까운 요동(지금의 요동이 아님)으로 보내 요동도위(都尉)로 삼았다.

비왕이 암살된 것에 적지 않게 뚜껑이 열린 조선은 섭하가 요동도위가 되었다는 소식을 접하
자 바로 한나라를 공격해 그 요동을 점령하고 섭하를 쳐죽었다. 그렇게 조선이 먼저 공격을
하자 한무제는 그것을 구실로 조선을 공격했다. 아마도 섭하를 떡밥으로 보내 조선을 건드리
려는 수작이 아니었을까 싶다.
허나 조선의 반격과 한나라군 내부 분열로 제대로 싸우지도 못한 채 패했다. 하여 뚜껑이 단
단히 폭발한 한무제가 다시 군사를 다그치자 정신을 차린 한나라군은 정비를 가다듬고 공격을
가해 끝내 왕검성까지 포위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쉽사리 함락시키지 못하며 끙끙 앓던 차에 조선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나 우거왕이 반
대파에게 피살되고, 왕을 잃은 조선 조정은 그 혼란을 잠재우지 못하여 결국 성은 함락되고
만다.

이렇게 옛 조선은 망하고, 그 땅 일부에 그 유명한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했는데, 그것도 조
선 사람들의 끊임없는 비협조와 반발, 그리고 고구려(高句麗)와 부여(夫餘) 등의 등장으로 그
땅에 제대로 침도 바르지 못하고 쫓겨나고 만다.
한사군의 존재에 대해서도 여전히 말들이 많으나, 식민계열 쓰레기들은 평안도와 황해도, 요
동 일부로 보고 있으며, 많은 사학자들은 요동과 요서 지역으로 보고 있다. 한사군의 하나로
유명한 낙랑(樂浪)이란 존재는 낙랑군 외에 비슷한 이름에 낙랑국도 있었다고 하는데, 낙랑국
은 평양 지역, 낙랑군은 요서로 보고 있다.
호동왕자(好童王子)와 낙랑공주(樂浪公主) 설화로 유명한 낙랑은 낙랑군이 아닌 낙랑국이다.
만약 낙랑군이라면 낙랑공주는 공주를 칭할 수가 없다. 그냥 군을 다스리는 태수(太守)의 딸
일 뿐이다.

옛 조선은 전성기였을 때 인구가 무려 1억 8천만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조선의 문화와 문
명은 중원대륙과 주변의 많은 나라에 영향을 주었다. 한자(漢字) 같은 경우도 동이족(東夷族)
으로 대표되는 조선(또는 은나라)에서 만들어 전파했다는 견해가 많으며, 그 문자가 대륙에서
크게 발전하면서 동아시아 통용 글자가 되었다.
또한 흥안령산맥(興安嶺山脈) 주변에서 일어난 홍산문명(紅山文明) 또한 조선의 찬란했던 흔
적으로 보고 있으며, 한반도와 만주에서 많이 발견되는 엄청난 양의 고인돌(지석묘) 또한 조
선의 청동기시절 흔적이다. 그리고 비파형동검도 조선을 상징하는 유물이다.

※ 단군성전(백악전)의 역사
단군성전은 1968년 이숙봉(李淑峰) 여사의 3자매(이정봉, 이숙봉, 이희수)가 세웠다. 이후 사
단법인 현정회(顯正會)로 이관되었으며, 1973년 서울시로부터 보호문화재로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1990년에는 쌍용그룹 김석원 회장의 지원으로 성전을 개축했다.

전체 대지면적 약 800㎡, 성전 52.92㎡, 태극정문(太極旌門), 관리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건
물 색깔이 죄다 베이지색을 띄고 있는데, 이는 박정희 시절 그가 좋아하는 색으로 칠했기 때
문이다. 이곳 뿐 아니라 많은 사당과 문화유산이 그 시절 베이지색으로 색 변경을 당했다. 성
전 현판은 김응현, 홍익인간 글씨는 원중식, 내외삼문 간판은 이현종이 썼다.
또한 옛 조선이 열렸던 유서깊은 10월 3일 개천절<어천절(御天節)이라고도 함>에는 이곳에서
개천절대제전(開天節大祭典)이 성황리에 열린다. 전통제례와 전통공연, 온갖 체험행사(제례복
체험, 국궁체험 등) 등이 열리며, 일반인도 참여 가능하다.

* 단군성전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1-28 (인왕산로 22, 현정회 ☎ 02-736-6375)


▲  단군성전 앞에 펼쳐진 늦가을 동화

단군성전 남문은 바로 사직공원(사직단)과 이어진다. 허나 평소에는 늘 닫혀있고 사직공원에
서 그곳을 이어주는 길 또한 봉쇄되어 있어 별 수 없이 인왕산길로 우회해 외삼문(外三門)으
로 들어서야 된다. 그 덕분에 사직공원~단군성전 지름길에 인적이 거의 끊기면서 사람의 발자
국 대신 노란 은행잎이 가득 쌓여 늦가을 정취를 아주 진국으로 끌어올린다.
벌써부터 겨울 제국의 보이지 않는 압박이 시작되면서 은행나무와 단풍나무들은 나뭇잎을 하
나, 둘 땅바닥으로 털어낸다. 우리는 그 잎을 낙엽이라고 부른다. 늦가을에 어울리면서도 한
편으로는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그 이름 말이다. 은행잎이 금지된 길과 그 주변에 수북히 쌓여
이 일대는 그야말로 노란 세상을 이룬다. 마치 황금색 비단이 쫙 깔린 듯한 모습으로 말이다.

우리야 귀를 접고 누운 그들을 보면서 늦가을 분위기를 즐기지만, 그들은 인생의 마지막을 노
래하며 서서히 끝을 준비한다. 그러고보면 사람이나 은행잎, 인간이 지은 건물이나 인생은 모
두 부질 없는 모양이다. 시작이야 어쨌든 그 종점은 다 같지 않던가.


▲  한양도성 밖 인왕산로1길 (인왕산, 무악동 방향)

▲  인왕산입구 한양도성 탐방로 (인왕산 방향)

단군성전 앞 교차로에서 서쪽 인왕산로1길로 들어섰다. 길 왼쪽(남쪽)은 사직동 주택가와 종
로문화체육센터가 있고, 오른쪽은 인왕산의 싱그러운 숲으로 그 산줄기는 경희궁(慶熙宮)까지
미치지만 숲은 여기서 뚝 끊기고 만다. 그러니 인왕산로1길이 속세와 자연의 팽팽한 경계선인
셈이다.
그 길을 4분 정도 가면 고색이 짙은 한양도성이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서 크게 5거리를 이루
는데, 성 밖 북쪽 길(인왕산로1길)은 무악동과 인왕산 쪽으로, 서쪽(사직로1가길)은 독립문
방면, 남쪽(송월1길)은 홍파동, 경희궁 쪽으로 이어지며, 5거리 동쪽(성곽 안쪽) 인왕산입구
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성곽길을 타면 인왕산 정상으로 이어진다.


▲  송월1길과 한양도성 (홍파동, 경희궁 방향)

▲  사직동 한양도성 (5거리 서남쪽)
인왕산에서 내려온 한양도성은 여기서 잠시 고개를 숙이고 만다.
(사직동~월암근린공원 구간 성곽은 아직 복원되지 못함)

▲  은행잎의 마지막 삶터이자 정모 현장, 한양도성 여장
나무에게 버림받은 은행잎들이 딱딱한 여장 위에 모여 앉아 인생의 마지막을
노래한다. 여장 뿐 아니라 그 주변은 온통 황금색 은행잎의 세상이다.

▲  여장 위에 내려앉은 은행잎들

▲  행촌동(杏村洞) 은행나무 - 서울시 보호수 1-10호

사직터널 윗쪽이자 인왕산 남쪽 자락의 끝을 잡은 행촌동은 조금은 빛바랜 산동네이다. 그렇
다고 옛날 달동네처럼 주황색 기와를 지닌 허름한 집들이 즐비한 그런 곳은 아니다. 온갖 빌
라와 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찬 서울의 흔한 동네로 그 주택가 속에 행촌동 은행나무와 권율장
군의 집터, 그리고 딜쿠샤란 명소가 숨겨져 있다.

딜쿠샤 곁에 자리한 행촌동 은행나무는 약 420살에 이르는 장대한 나무로 행촌동의 오랜 터줏
대감이다. 아무리 먹어도 마르지 않는 세월이란 덧없는 양분과 동네 사람들의 보살핌에 힘입
어 높이 23m, 둘레 6.8m에 이르는 큰 나무로 어엿하게 성장했다. 허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이
이곳까지 미치면서 그의 보금자리는 주택에 밀려 많이 좁아졌고, 주택 사이에 비좁게 자리해
있으나 건강은 아직 양호하다.

행주대첩(幸州大捷)의 영웅이자 이곳에 살았던 권율(權慄)장군이 손수 심었다고 전하며, 주인
은 오래 전에 갔지만 그의 사연을 끈질기게 붙들며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바로 이 나
무 때문에 동네 이름이 행촌동(은행나무 마을)이 된 것이다. 참고로 은행나무는 태반이 사람
이 심은 것이며, 자연적으로 싹을 내린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서울에서 오래되고 아름다운 은행나무를 꼽으라면 방학동(放鶴洞) 은행나무, 성균관(문묘) 은
행나무(대성전 은행나무 포함), 그리고 이곳 은행나무를 격하게 내세우고 싶다.

▲  남쪽에서 바라본 행촌동 은행나무

▲  북쪽에서 바라본 행촌동 은행나무


▲  은행나무 그늘에 자리한 권율장군 집터 표석

은행나무가 있는 곳은 권율(1537~1599)의 집터로 인근 필운동(弼雲洞) 배화여고에도 그의 집
이 있었다. 필운동 집은 그의 사위이자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오성 이항복(李恒福)에게 물
려주었는데 그 집이 필운대(弼雲臺)이다. (현재 필운대 바위글씨가 남아있음)

그럼 임진왜란의 영웅, 권율(權慄)은 누구일까?
권율은 안동 권씨로 자는 언신(), 호는 만취당()과 모악(). 시호는 충장()
이다. 1582년 식년시 문과(式年試 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는데, 임진왜란 시절 전쟁에서
크게 활약한 것으로 보아 무예도 제법 갖추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그는 승문원정자()와 전적()을 거쳐 1587년 전라도도사(全羅道都使)와 예조정
랑(禮曹正郞), 경성판관(鏡城判官)을 지냈으며, 1591년 평안도 의주목사(義州牧使)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급히 광주목사(廣州牧使)로 임명되어 그곳으로 달려갔으며 전라도
순찰사(巡察使) 이광(李珖)과 방어사(防禦使) 곽영()이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군사 4만을
모아 서울로 올라오자 곽영의 휘하에 들어가 중위장(中衛將)이 되었다.
이광과 곽영은 수원과 용인에 진을 치고 주변에 있는 왜군을 토벌하고자 했는데, 권율은 주변
에 조금씩 흩어진 적들을 치지 말고 임진강(臨津江)에서 그들의 서진(西進)을 막아 군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적의 빈틈을 노리면서 조정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
고 의견을 냈다. 허나 뇌에 주름이 가득한 이광은 그 말을 무시하고 오로지 머릿수에 의지해
용인에 있는 왜군을 공격했다.
이광의 군사는 4만(왜국은 10만이라고 주장함)에 이르렀으나 대부분이 칼과 창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오합지졸이었다. 그에 반해 왜군은 왜열도에서 나름 알아주던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
安治)가 수백 명의 정예 기병으로 저항을 했다.
허나 조선군은 겨우 수백에 불과한 왜군에게 형편없이 깨지고 싸움에 서툴렀던 선봉장 이시지
(李詩之)와 백광언(白光彦)이 전사하는 등, 그야말로 개망신을 당했다. 허나 권율은 이를 직
감하고 신중하게 처신해 휘하 군사를 잃지 않고 광주로 물러나 후일을 도모했다.

1592년 가을, 전라도 남원으로 내려가 1,000명의 군사를 모집해 동복현감(同福縣監, 전남 화
순) 황진(黃進)과 함께 이치(梨峙)에서 전주(全州)로 진출하려는 고바야카와(小早川隆景)의
왜군을 막았다. 초반에 황진이 조총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 군사의 사기가 잠시 떨어졌으나
권율이 군사를 독려하여 왜군을 격퇴하고 승리를 거뒀다. 그 공으로 전라도 감사(監事)로 승
진하게 된다.
1592년 12월, 서울 수복을 위해 1만의 군사를 이끌고 천안 직산(稷山)에서 머물렀는데, 체찰
사(體察使) 정철(鄭澈)이 그 많은 인원을 먹일 군량이 없으니 돌아가서 관내를 지키는 것이
좋겠다고 편지를 보냈다. 허나 행재소(行在所)에서 북상하라는 명이 떨어지면서 곧바로 군을
이끌고 수원 남쪽 독산성<禿山城, 오산 세마대(洗馬臺)>에 들어가 진을 쳤다.
한편 권율이 독성에 이르렀다는 소식을 들은 왜장 우키타(宇喜多秀家)는 후방과 차단될 것이
두려워 서울에 있던 군사를 이끌고 독산성을 공격했다. 허나 권율은 성문을 굳게 닫고 수비만
할 뿐, 좀처럼 성 밖으로 나오질 않아 왜군의 피해는 나날이 늘어갔다.
뚜껑이 열린 우키타는 사람을 보내 독산성의 약점을 탐지한 결과 물이 부족하다는 정보를 입
수하고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 바로 성 밑에 큰 못을 파니 과연 성 안에 물이 마르면
서 조선군의 식수에 비상이 걸렸다.

허나 권율은 당황하지 않았다. 비범한 인물답게 명쾌한 꾀를 낸 것이다. 그래서 동이 트는 이
른 아침에 왜군이 잘보이는 곳에 말을 세워놓고 쌀을 부어 말을 씻기는 시늉을 벌였다. 그것
을 본 단순한 왜군은 성 안에 물이 부족하다는 것이 거짓임을 알고 크게 동요했다고 한다. 바
로 그때를 이용해 유격전을 펼치며 타격을 가하자 발작한 우키타는 영책(營柵)을 불지르고 바
로 서울로 줄행랑을 쳤다. 그들이 도망칠 때 정예 기병 1,000명을 보내 퇴로를 차단하고 왜군
수천을 죽였다. (이것이 그 유명한 세마대 전투)

1593년 1월, 서울 수복을 위해 조경(趙儆)을 보내 근교에 마땅한 곳을 물색하다가 행주산성(
幸州山城)으로 들어가 목책(木柵)을 쳤다. 그곳은 서울과도 가깝고, 한강을 끼고 있으며, 조
망도 좋고, 인근에 여러 요새와 함께 연합 작전을 펴기에 아주 좋은 위치였다. 허나 석성(石
城)이 아닌 야트막한 토성(土城)이라 수비전에는 썩 유리한 편은 되지 못했다. 그래서 서둘러
목책을 엮은 것이다.
목책이 완성되자 독산성에 병력 일부를 남기고 모두 불러들였으며, 별도로 4,000명을 뽑아 전
라병사(全羅兵使) 선거이(宣居怡)를 시흥 호암산(虎巖山, ☞ 관련글 보러가기)으로 보내 후방
을 돕도록 했다. 그리고 처영(處英)이 이끄는 승병(僧兵) 1,000명이 행주산성에 합류했다.

권율은 소수의 군사를 보내 서울을 공격했고, 고양 혜음령에서 왜군에게 깨진 명나라군을 도
와 그들의 전멸을 막아주었다. 권율의 활약에 적지않게 염통이 쪼그라든 우키타는 행주산성을
쓸어버리기로 마음 먹고 서울과 인근의 군사를 싹 긁어모아 무려 3만의 대군으로 1593년 2월
행주산성을 공격했다.
그때 행주산성에 있던 조선군은 승병을 합해서 겨우 약 2,800명, 그 외에 군사들을 도우러 성
에 들어온 밥할머니를 중심으로 한 아낙네들과 지역 사람들이 있었다.

왜군은 7부대로 나눠 맹렬하게 공격을 퍼부었다. 행주산성이 견고한 성이 되지 못해 여러 번
위기가 있었으나 군사들은 일당백의 위엄을 드러내며 적들을 잘 다져진 고깃덩어리로 만들었
으며, 화차(火車)와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등의 새 무기도 크게 활약을 했다. 또한 밥할머
니의 행주치마 부대는 치마로 돌을 나르고 군사들의 밥을 나르는 등, 서로가 단결하니 왜군은
결국 1만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전사한 군사들의 시신을 모아 불태우고 줄행랑을 쳤다.
이 싸움이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니 권율과 조경, 처영, 조선군과 승군, 밥할머
니의 아낙네들, 지역 사람들이 빚어낸 대작품이었다.

이후 파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부원수 이빈(李薲)과 함께 후방을 지켰으며, 전라
도로 내려갔다가 그해 6월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都元帥)로 승진해 경상도에 주둔했다. 1596년에 도망친 병사를 즉결처분한 것으로 잠시 해직되기도 했으나 바로 한성판윤(漢城判尹)
에 임명되어 호조판서(戶曹判書)와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다시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터지자 명나라군과 함께 왜군이 머무는 울산성(蔚山城)을 공격
했다. 허나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가 겁에 질려 도망치는 바람에 함락시키지 못했으며, 순천
으로 자리를 옮겨 순천 예교(曳橋)에 있던 왜군을 공격했으나 비리비리한 명나라군의 비협조
로 함락시키지 못했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내려왔으나 그해 7월 인생을 마감하니 그의 나이
62세였다. 선조(宣祖)는 그에게 영의정(領議政)을 추증했으며,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1
등으로 삼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봉해 그의 공을 기렸다.

권율은 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한 명장으로 바다에 이순신(李舜臣)이 있다면 육지에는 정기룡(
鄭起龍)과 곽재우(郭再祐), 권율이 있었다. 비록 초창기 용인 싸움에서 어리버리한 상관들 때
문에 졌고, 정유재란 때는 밥버러지 명나라군 때문에 적지 않은 고생을 했지만 그 외에는 모
두 대승을 거두었다. 특히 행주대첩은 적은 군사로 10배 이상의 왜군을 물리친 우리 전쟁사의
길이 빛나는 장쾌한 대첩이다.
그의 활약과 공훈에 대해서는 '권원수실적(權元帥實蹟)'이란 책이 전하고 있으며, 그의 묘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에 있으나 인근이 유원지화되어 늘 시끄러우니 숙면이나 제대로 취하고 있
을지 모르겠다.

행촌동 은행나무를 끝으로 늦가을 한복판에 달달하게 벌였던 인왕산과 황학정, 행촌동 나들이
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딜쿠샤는 시간 관계로 사진에 담지 않고 통과했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 1-88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0년 11월 5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0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듬직하게 생긴 서울 도심의 영원한 우백호, 인왕산 나들이 (인왕산길, 한양도성, 치마바위, 기차바위)

 


~~~ 서울 도심의 영원한 우백호, 인왕산 나들이 ~~~

▲  인왕산 (가운데 봉우리가 정상)


 

♠  인왕산(仁王山) 입문

▲  인왕산 만수천약수터

봄이 한참 무르익던 4월의 끝 무렵, 일행들과 서울 도심의 영원한 우백호(右白虎)이자 내 즐
겨찾기 뫼의 하나인 인왕산을 찾았다.
인왕산은 10대 시절 선바위 답사를 시작으로 50번 넘게 인연을 지었는데, 낮 뿐만 아니라 야
간(19시 이후)에도 적지 않게 올라가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나의 마음을 비추고 있다. 특히
인왕산에서 바라보는 서울 도심 야경(夜景)은 아주 일품으로 꼽힌다.

경복궁역(3호선)에서 출발하여 인왕산길로 들어서 창의문(彰義門, 자하문) 방면으로 가다보면
인왕천약수터로 인도하는 길이 살짝 손짓을 한다. 이 코스는 인왕산에서 가장 잘나가는 약수
로 추앙을 받던 인왕천약수터를 거쳐 인왕산 능선(한양도성)으로 이어지는데 길이 좀 각박하
다. 하여 그 코스는 쿨하게 통과하고 다음에 나오는 석굴암입구(수성동계곡 상류)에서 인왕산
의 깊은 품으로 들어섰다.

석굴암입구로 들어서면 바로 조촐한 모습의 정자가 나오면서 길이 2갈래로 갈리는데 직진하면
이름도 꽤 낯이 익은 석굴암(石窟庵)이란 석굴 암자가 나온다. 허나 그곳에서 정상으로 가는
길은 사실상 막혀있어 정자 옆 북쪽 산길로 올라가야 된다. (석굴암에서 정상으로 통하는 길
이 있긴 하나 통행 금지임)
석굴암입구 정자에서 북쪽 산길을 5분 정도 오르면 160m 고지에 자리한 만수천약수터가 마중
을 한다. 인왕산에 무수히 널린 약수터의 하나로 부적합 빨간줄과 양호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어 앞날이 좀 어려워 보인다. 물론 샘터 주변을 계속 관리해주고 비도 적당량 내려주면 청
색 신호가 뜨는 것은 시간문제이나 날씨 변덕도 심하고 서울 도심이 바로 코앞이라 인왕산 지
하수에도 비상이 걸렸다.

약수터 주변은 나무가 삼삼하여 하늘이란 단어를 거의 잊게 할 정도로 덩치가 큰 바위들이 주
변에 여럿 포진해 있어 약수터의 잔잔한 장식물이 되어주고 있으며, 간단한 체육시설과 의자
등이 놓여져 있어 잠시 두 다리를 쉬어가도록 배려했다.


▲  만수천약수터 주변 풍경

큰 바위 밑에는 조그만 자연산 동굴이 있다. 지금은 들어가지 못하게 철창을 씌웠지만 예전에
는 기도나 굿 장소로 쓰였다. 인왕산이 잘생긴 바위가 많고 기가 센 산이라 하여 호랑이가 담
배 맛을 알던 시절부터 산악신앙(山岳信仰)의 현장이자 굿터로 유명했기 때문이다. 굴 앞을
지나니 동굴이 내뱉은 약간 시원한 바람이 나를 스치고 지나간다.


▲  만수천약수터 뒤쪽 능선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서촌과 경복궁, 종로)

만수천약수터에서 갑자기 흥분한 산길을 7~8분 정도 오르면 능선(만수천약수터 뒤쪽 능선)에
이른다. 이제부터는 숲속에 가려진 산길이 아닌 천하를 굽어보며 걷는 능선길이 시작되는 것
이다. 그 길을 10분 정도 가면 한양도성이 흐르는 성곽길(인왕산 주능선)과 만나게 된다.

성곽길과 만나는 갈림길에서 오른쪽(동쪽)으로 내려가면 창의문과 부암동(付岩洞)으로 이어지
며, 왼쪽(서쪽)은 인왕산 정상이다. 우리야 정상이 목적이니 왼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성곽길은 발을 내딛기가 무섭게 경사가 슬금슬금 각박해져 호흡마저 고통스럽게 만든다. 그런
길을 10여 분 오르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성밖 계단을 내려가면 기차바위 능선이며, 성
곽길을 고수하면 정상이다. 이미 인왕산의 어깨까지 올라탄 상태라 서울 시내가 고루고루 내
려다보여 마치 하늘을 배회하는 큰 새의 등에 올라탄 기분이며, 하늘과 가까워질수록 조망의
품질도 더욱 올라간다.


▲  인왕산의 허리를 따라 흘러가는 한양도성(漢陽都城) - 사적 10호

▲  인왕산 북쪽 능선 성곽길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콧대가 높은 천하 굴지의 대도시 서울이 내 발 밑에 펼쳐져 있다. 마치 이 도시가
나의 세상이 된 듯 거만한 착각이 피어올라 잠시나마 기분이 즐거워진다.
허나 현실은 마음 편히 드러누울 땅도 제대로 없다는 것.

▲  정상 북쪽 성곽길 - 저 바위 꼭대기가 인왕산 정상이다.

기차바위로 인도하는 갈림길에서 성곽길은 잠시 진정을 되찾으나 정상을 코 앞에 두고 다시금
격한 흥분을 보인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자존심을 곱게 접고 묵묵히 길을 임하면 좀처럼 닿
지 않을 것 같던 인왕산 정상에 도달하게 된다.


▲  애틋한 사랑 이야기와 어둠의 역사를 안고 있는 인왕산 치마바위

인왕산 정상 동쪽에 붙어있는 커다란 바위는 인왕산에서 가장 명성이 높은 치마바위이다. 병
풍처럼 넓어서 병풍바위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 바위에는 중종과 단경왕후 신씨의 슬픈 사연
이 깃들여져 있다. 그 사연은 서울 장안에서 꽤 알려진 이야기로 내용은 대략 이렇다.

조선 11대 군주인 중종(中宗)의 첫 부인은 신수근(愼守勤, 1450~1506)의 딸인 단경왕후(端敬
王后) 신씨(1487~1557)이다.
1506년 박원종(朴元宗)과 성희안(成希顔), 홍경주(洪景舟) 등이 반란을 일으켜 연산군(燕山君
)을 폐위시키고 그의 이복 동생인 진성대군을 익선관(翼善冠)을 씌운 채로 급히 왕위에 올리
니 그가 곧 중종이다. <이 사건을 중종반정(中宗反正)이라고 부름>
단경왕후의 아비인 신수근은 반란파에 협조하지 않아 그 형제가 모두 살해되고 말았다. 그들
에 의해 얼떨결에 왕이 된 중종은 부인을 지키고자 재빨리 왕후로 봉했으나 반란파들은 역적
의 딸을 그냥 둘 수 없다며 당장 내쫓을 것을 요구했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왕후나 그 소
생 왕자에게 보복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종은 그들을 달래고자 반정 때 몰수한 연산군 측근과 반란 비협조 인물들의 재산을 나눠주
고 기녀(妓女) 300여 명을 주며 회유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심지어 유자광(柳子光)은 중종의
생모이자 대비(大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를 찾아가
'중전 신씨를 쫓아내지 않으면 임금을 내쫓겠습니다!!'

협박을 하기도 했다. 이미 반란으로 왕을 한번 갈아치웠으니 그들에게는 그런 것은 일도 아니
었다.
상황이 점점 고통스럽게 변해가자 신씨는 울면서
'소첩이 전하(殿下)를 위해 나가겠습니다. 살아있는 동안 전하에 대한 변치 않은 마음으로 인
왕산 바위에 치마를 걸어두겠사오니. 상황이 좋아지면 꼭 찾아오세요 ㅠㅠ'


그렇게 말하고는 스스로 경복궁을 나가 옛날에 살았던 인왕산 동쪽 본가에 들어갔다. 그리고
는 매일마다 인왕산에 올라 중종과 같이 살던 시절, 자주 입었던 붉은 치마를 바위에 널었다.
그 소식을 들은 중종은 수시로 경회루(慶會樓)에 올라 치마바위를 바라보며 그녀에 대한 생각
에 눈시울을 붉혔다.
반란파들은 그 꼴이 보기 싫어 서둘러 새 왕비를 맞을 것을 요구했고, 그래서 장경왕후(章敬
王后) 윤씨가 새 왕비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10여 명의 후궁까지 맞아들이면서 신씨에 대한
추억과 그녀의 존재감은 완전히 흐릿해진다.

신씨는 왕이 사직단(社稷壇)에 사직대제(社稷大祭)를 지내러 올 때를 기다려 말죽을 쑤어 사
직단 정문에서 기다렸다. 그래서 왕의 말에게 직접 먹이는 등 남편에 대한 애정을 표했지만
결국 남편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했고, 1557년 70세의 나이로 소생도 없이 한 많은 삶을 마감
하고 만다. (중종은 1544년 56세의 나이로 승하함)
신씨가 죽자 세상에서는 치마를 널었던 병풍바위를 치마바위라 불렀으며, 소년왕 단종(端宗)
의 부인인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와 더불어 왕실 여인들의 '다 이루지 못한 사랑'의 한 토
막으로 두고두고 우려먹으며 많은 이의 심금을 울렸다.

치마바위 밑에는 20세기에 조성된 미륵마애불이 숨겨져 있으며, 바위 피부에는 옥의 티로 황
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와 왜왕 만세 등의 바위글씨가 요란하게 새겨져 있었다. 이들 글씨
는 1939년 가을 '대일본청년단대회'가 열린 것을 기념하고자 왜정과 친일 패거리들이 지원하
여 새겨진 것으로 서울 장안 어디에서든 다 보이는 바위라 하여 이곳에 새겼다고 한다. 글씨
는 해방 이후에 죄다 쪼아 지웠으나 그 흔적은 조금씩 남아 어둠의 시절의 쓰라린 한 단면을
보여준다.


 

♠  인왕산 정상부

▲  정상 동쪽에서 바라본 인왕산 북쪽 자락과 북악산(백악산)
왼쪽에 보이는 바위 능선이 기차바위이다.

▲  인왕산 정상 남쪽
인왕산 정상은 오로지 남쪽으로만 진입이 가능하다. 서쪽은 성곽 바깥이고
동쪽과 북쪽은 꽤 각박한 낭떠러지기 때문이다.


인왕산은 해발 338m(또는 340m)의 바위 봉우리로 북악산(342m)과 낙산(洛山), 남산과 더불어
서울을 안쪽으로 둘러싼 내사산(內四山)의 일원이다.
동북쪽으로 자하문고개를 경계로 북악산(백악산)과 이어져있고 서쪽은 의주로를 사이에 두고
안산(鞍山, 295.9m)과 마주보고 있으며, 북쪽은 홍제천(弘濟川)을 통해 북한산(삼각산)과 이
어진다.
인왕산의 다른 이름으로 필운산(弼雲山)이란 명칭이 있는데, 이는 제왕이 있는 궁궐 오른쪽<
제왕이 정전(正殿)에 앉아 남쪽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에 있어 '군주는 오른쪽에서 모신다'
는 의미이다. 배화여고 뒷쪽에 있던 이항복(李恒福)의 집 이름인 필운대(弼雲臺)도 여기서 비
롯되었다.


경복궁 서쪽인 서촌(西村, 웃대)과 사직동, 의주로, 부암동, 홍제동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누
워있으나 동서의 폭이 좁아 남북과 달리 경사가 꽤 가파르다. 시내에서 볼 때는 산세가 작아
서 금방이면 올라갈 것처럼 보이지만 그건 착시현상을 노린 인왕산의 속임수이다. 그의 품에
들어가보면 보기와 달리 넓고 장대한 모습에 놀라게 된다.
사직공원(사직단)과 독립문역에서 인왕산 정상까지 40~50분 정도 걸리며, 정상을 찍고 홍제동
환희사(歡喜寺)나 개미마을, 홍지문, 창의문 쪽으로 내려가면 보통 2시간 내외면 충분하다.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견고한 돌산으로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능선을 따라 선바위와 치마바위,
모자바위, 범바위, 기차바위 등 대자연이 오랜 세월을 두고 빚은 걸쭉한 바위들이 산의 장대
한 경관을 돕고 있으며, 정상을 이루는 바위 봉우리는 북악산에 버금갈 정도로 웅장해 우백호
에 걸맞는 위엄을 드러낸다. 18세기에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로 명성을 날린 겸재 정선(鄭敾
)은 그 유명한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를 비롯해 인왕산의 주요 명소와 장면을 그림에 담아
인왕산을 극찬했다.

돌산이다보니 물이 귀할 것처럼 보이지만 약수터가 제법 많아 곳곳에서 나그네의 목을 축여준
다. 하지만 산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여 속시원한 계곡은 거의 없으며, 그나마 개발의 칼질
과 급격한 도시화로 대부분 사라져 수성동(水聲洞)계곡과 큰절골(환희사계곡)만 그나마 좀 남
아있고 청풍계(淸風溪)와 청계동천(淸溪洞天), 백운동천(白雲洞天) 등은 일부만 살아있다.


▲  인왕산 정상 바위
저 바위가 인왕산의 실질적인 정상으로 높이는 1.5m 정도 된다. 바위의 남쪽과
북쪽 피부에는 움푹 패여 하얗게 서린 곳이 많은데, 이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오가면서 생긴 상처이다.


인왕산은 1968년 1.21사건(김신조 공비 패거리 침투 사건)으로 정상 주변과 성곽 능선이 폐쇄
되면서 선바위와 환희사 주변, 인왕산길을 비롯한 산 밑도리만 겨우 출입할 수 있었다. 그러
다가 김영삼 정권 때 다시 속세에 개방되었다. 허나 서울 도심을 지키는 요충지라 군부대 시
설이 성곽 능선과 산자락 곳곳에 남아있어 금지된 땅이 다소 있으며, 사진을 찍을 때도 약간
주의를 기울어야 된다.
또한 매주 월요일은 인왕산 정상 주변과 성곽 능선(인왕산 주능선)은 입산이 통제되며, 월요
일이 휴일인 경우에는 다음 날 통제된다. 다만 성곽 능선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한이 없
다.

인왕산에는 많은 명소가 있는데, 선바위와 국사당(國師堂), 치마바위, 장안 제일의 경승지였
던 수성동계곡, 벽화로 유명해진 홍제동(弘濟洞) 개미마을, 석굴사원인 석굴암(石窟庵), 지방
문화재 불상을 2기나 간직한 환희사 등이 있다. 또한 국사당과 선바위 일대는 토속신앙과 무
속(巫俗), 불교가 어우러진 이색 현장으로 서울 지역 무속신앙의 성지(聖地)이기도 하다.

600년 동안 서울의 우백호로 있다보니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도 많이 서려있다. 태조 때 서울
을 도읍으로 정하고 궁궐 자리를 정할 때 무학대사는 인왕산을 주산(主山)으로 삼고, 북악산
과 남산을 좌청룡(左靑龍)과 우백호로 삼자고 했다. 허나 정도전(鄭道傳)은
'옛부터 제왕은 남면(南面)을 하여 천하를 다스렸지 동향을 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소!'

태클을 걸면서 무학의 뜻은 꺾이고 만다.
이에 발끈한 무학은
'내 주장대로 하지 않으면 200년 후에 다시 도읍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탄식했다고 한다.
또한 신라 후기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지었다고 전하는 '산수비기(山水秘記)'에는
'도읍을 정할 때 승려의 말을 들으면 국가가 기운이 연장될 것이나 만일 정씨 성을 가진 사람
의 말을 들으면 5대가 지나지 않아서 혁명이 일어나고, 200년 만에 큰 난리가 터져 백성이 어
육이 될 것이다'
내용이 있었다고 한다. 과연 5대(정확히는 6대) 만에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 1453
년)을 일으켜 조정을 갈아 엎었고, 딱 200년 만에 임진왜란이 터졌다. 이 내용은 19세기에 편
찬된 한경지략(漢京識略)에 실려있는데 아마도 불교를 배척한 정도전과 사대부의 억불숭유 정
책을 신랄하게 까고자 불교 쪽에서 그럴싸하게 지은 전설을 그대로 인용한 듯 싶다.


▲  성곽과 벼랑으로 완전히 막혀있는 정상 북쪽 성곽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의 주역이던 이괄(李适)은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반란
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했다. 이에 인조는 서인 패거리를 이끌고 급히 충청도 공주(公州)로 줄
행랑을 쳤다.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은 군사를 이끌고 반란군을 치고자 인왕산 서쪽 안산
에 진을 치자 도성을 점령하여 잔뜩 자만감에 빠진 이괄은 도성 사람들에게
'내가 저것들을 단숨에 때려잡을 것이니 나와서 싸움이나 구경하도록'
말하며 자신감을 강하게 내비췄다. 그리고 군사<임진왜란 때 투항한 항왜(降倭)들이 많았음>
들을 이끌고 인왕산 서쪽으로 나가 장만의 군사와 대치하니 도성 백성들은 그 싸움을 구경하
고자 인왕산에 잔뜩 모였다. 그 시절 백성들은 하얀 옷을 많이 입었는데, 산을 가득 메운 그
들로 인해 산이 마치 하얀 백로처럼 보였다고 한다.

관군을 맞은 이괄은 처음에는 여유롭게 전쟁을 진행했으나 난데없이 불어닥친 강풍에 기가 꺾
여 장만에게 몰리고 말았다. 하여 서둘러 도성으로 도망쳤으나 백성들이 성문을 걸어잠구면서
결국 도성을 버리고 한강을 건너 이천, 여주로 줄행랑을 쳤다. 허나 부하에게 살해되어 결국
목없는 귀신이 되었고, 살아남은 이괄의 부하들은 목을 붙잡고 압록강(鴨綠江)을 건너 후금(
後金)으로 도망가 청태종(淸太宗)에게 조선을 치라고 들쑤셨다. 그래서 일어난 것이 정묘호란
(丁卯胡亂)이다.

끝으로 인왕산은 호랑이들이 많았는데, 무서운 정도는 천하 제일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궁궐
에 수시로 나타나 난리를 치기 일쑤였고, 심지어 종묘(宗廟)까지 침입했다. 백성들의 피해도
이만저만이 아니어서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가 없다. 머리는 인왕산 호랑이 같다'란 말도 나
왔으니 인왕산은 그야말로 조선 호랑이의 성지였다. 하지만 지금은 호랑이는 온데간데 없고
그들의 먼 친척인 고양이만 종종 보일 뿐이다.
또한 북악산과 인왕산을 비롯한 서울 호랑이들은 지방 호랑이와 달리 곶감 따위는 눈도 꿈쩍
안했다고 한다. 그들이 무서워한 것은 다름 아닌 수진궁(壽進宮) 귀신이었다고 하는데, 다음
과 같은 재미난 전설이 걸쭉하게 전해온다.

옛날에 북악산(혹은 인왕산) 호랑이가 먹을거리를 찾으러 경복궁에서 안국동으로 넘어가는 송
현(松峴)고개로 마실을 나왔다. 마침 어느 집에서 애기가 징징거리고 우는데, 그 어머니가
'문 앞에 호랑이가 왔어. 뚝!'
허나 애기는 계속 징징거린다. 그러자
'애기야 곶감 줄께. 뚝!'
곶감이란 말에 호랑이는 잠시 염통이 쫄깃해졌으나 역시 울음 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곶감의 시대는 이제 갔구나. 이제 흔쾌히 식사나 해야겠다'
환희의 미소를 짓고 있는데, 갑자기 어머니가
'수진궁 귀신이닷!!'
외치자 그 말이 끝나기도 전에 눈물을 뚝 그쳤다는 것이다. 그러자 호랑이가 지례 겁을 먹으

'엥 수진궁 귀신..? 이건 말도 안돼'
꼬리를 접고 줄행랑을 쳤다고 한다. 그래서 서울 호랑이는 수진궁 귀신이어야 쫓을 수 있다는
속담이 생긴 것이다. (참고로 수진궁은 혼인을 못하고 죽은 조선 왕족의 사당임)


▲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북악산과 인왕산 북쪽 능선

인왕산 정상에 올라서면 서울 도심과 서촌(웃대)를 비롯하여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 여의
도, 영등포구, 강서 지역, 동작구, 강남 지역, 동대문구, 성북구, 광진구, 강동 지역, 국립현
충원, 관악산, 삼성산, 호암산, 우면산, 아차산 등 많은 존재들이 고루고루 시야에 들어온다.
높이는 338m(340m)에 불과하나 조망만큼은 한라산과 백두산이 부럽지 않다.
또한 사방이 모두 트여있어 해돋이와 일몰 풍경이 진국이며, 남산(南山)과 함께 서울 도심의
새해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다. 또한 도심이 바로 밑이라 여기서 바라보는 도심 야경 맛이 아
주 좋다. (서울 도심 야경은 인왕산을 제일로 쳐줌)

* 인왕산 정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부암동, 서대문구 홍제동


▲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촌(웃대)과 서울 도심.
그리고 끝없이 펼쳐진 서울의 장대함

▲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와 남산(가운데 솟은 산)
저 멀리 관악산과 삼성산, 우면산, 대모산, 남한산까지 싹 시야에 잡힌다.

▲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안산과 서대문구, 마포구, 여의도,
영등포, 강서 지역


 

♠  인왕산 기차바위

▲  기차바위 능선

인왕산 정상에서 잠시 머물다가 기차바위 갈림길로 다시 내려와 성곽길을 버리고 기차바위로
방향을 잡았다. 철계단을 타고 성 밖으로 내려가 북쪽으로 가면 인왕산의 으뜸 바위로 추앙을
받는 기차바위가 모습을 드러낸다.


▲  인왕산의 북쪽 하늘길, 기차바위 능선 (북쪽 방향)

인왕산 바위의 갑(甲)으로 칭송을 받는 기차바위는 기차처럼 길쭉한 바위 능선이다. 그렇다고
기차처럼 생기지는 않았으며, 그저 길다고 해서 그런 이름을 지니게 된 것 같다.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에도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 바나나는 길어, 길면 기차.' 이런 구절이 있다.
그만큼 기차는 길쭉한 존재의 대명사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기차바위 능선은 약 300m 정도로 순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거닐면 실감이 덜하겠지만
세검정초교에서 북악산 백사실(백사골)로 올라가는 길이나 부암동 산복길(백석동길)에서 바라
보면 꽤 두툼한 바위 능선임을 알 수 있다. 사방이 확 트여있어 조망은 1급이나 단 양쪽이 일
체의 자비도 없는 낭떠러지이니 난간을 넘어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  기차바위 능선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  기차바위에서 바라본 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시내

가까이로 북악산(백악산)과 서촌(웃대), 경복궁, 서울 도심부부터 멀리 아차산~용마산~망우산
산줄기, 강동구 지역, 남양주와 하남, 성남 지역 산줄기까지 거침없이 시야에 들어와 눈 속에
서 아주 살살 녹는다.


▲  기차바위에서 바라본 부암동과 평창동, 북한산(삼각산) 남쪽 산줄기

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로 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 북한산(삼각산)에 포근히 감싸인 부암
동과 신영동, 평창동(平倉洞), 북악산 북쪽 자락과 북한산 남쪽 산줄기가 장쾌하게 시야에 들
어온다. 이렇게 보니 서울의 한복판이 아닌 산악 지방의 소도시를 보는 기분인데, 뫼를 오르
는 재미 중 하나가 바로 이런 조망 맛을 보기 위함이다.


▲  기차바위 북쪽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왼쪽)과 안산(鞍山)

▲  기차바위에서 홍제동, 환희사로 내려가는 산길

▲  옥동약수터

기차바위 능선을 지나 북쪽 갈림길에서 홍제동으로 인도하는 서쪽 길로 내려갔다. 중간에 다
시 왼쪽으로 빠져 환희사 방면으로 내려가다가 옥동약수터를 만났는데, 물이 실타래보다 적게
나오고 수질 또한 부적합 빨간 딱지를 받은 상태라 손을 대지 않았다. 마침 약수터에 있던 노
인이
'약수터 주변 정비를 안해서 그렇지, 마셔도 괜찮다. 난 이 물을 20년 동안 마셨다'
며 괜찮다고 그런다. 허나 부적합이란 단어가 계속 마음에 걸려 끝내 마시지는 않았다.

노인의 말로는 이곳을 관리하는 동네 노인들의 모임이 있었는데, 다들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
거나 생명이 다해 거의 해체되어 관리하는 이들이 없다고 한다. 왕년에는 인왕산의 제일 가는
약수임을 자랑했으나 지금은 많이 초췌해졌다면서 서대문구청에 지속적으로 민원을 넣었지만
철밥통에 걸맞게 앵무새처럼 알겠다고만 할 뿐, 약수터 관리에 그리 신경을 안쓴다고 한다.


▲  옥동약수터 주변 동굴

옥동약수터에서 잠시 두 발을 쉬었다가 다시 길을 재촉했다. 가다보니 또 다른 약수터를 만났
는데, 그 약수터는 아예 물이 말라버렸다. 약수터 주변에는 운동시설과 의자들이 있고 그들
뒤로 조그만 자연산 동굴이 있는데, 그곳도 기도와 무속 행위로 말썽이 많자 아예 철조망으로
입을 막아버렸다, 굴에서는 시원한 바람이 산산이 불어와 몸을 꼬질꼬질하게 뒤덮던 땀방울을
제대로 단죄한다.

동굴을 뒤로하고 5분 남짓 내려가니 인왕산 서쪽 자락에 안긴 조그만 비구니 산사, 환희사(歡
喜寺)가 모습을 비춘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불상 2개를 간직한 20세기 현대사찰로 오랜만에
발을 들일까 했으나 이미 18시가 넘어서 쿨하게 통과했다. 환희사는 18시 정도가 되면 대문을
걸어잠군다.
속세애서 절까지는 차량이 마음껏 바퀴를 굴리게끔 길이 닦여져있는데, 그 길을 5분 정도 내
려가면 인왕산을 건방지게 가리고 선 홍제원현대아파트와 인왕산현대아파트가 나온다. 이제
완전히 속세로 내려온 것이다. 두 아파트 사이를 가르는 통일로34길을 내려가니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인 의주로(義州路)가 모습을 드러낸다.

이렇게 하여 간만에 찾은 인왕산 나들이는 다음을 기약하며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0년 9월 2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0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늦가을 서촌의 끝자락을 거닐다 [월암근린공원에서 딜쿠샤, 황학정까지]

 


' 서촌 늦가을 나들이 (월암근린공원에서 황학정까지) '

행촌동 은행나무

▲  행촌동 은행나무

황학정 홍난파가옥

▲  황학정

▲  친일파 홍난파 가옥

 


늦가을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와 서촌(西村) 지역을 찾았다. 흔히 서촌하면 경복궁(景福宮)
서쪽 일대를 일컬으나 원래는 서대문<西大門, 돈의문(敦義門)> 안쪽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웃대라 불리던 경복궁 서쪽 동네와 합쳐지면서 거대한 서촌을 이루게 된 것이다.

이번 나들이는 서대문 안쪽이자 서촌의 원래 지역인 송월동(松月洞)과 홍파동(紅把洞), 행
촌동(杏村洞) 지역과 사직단(社稷壇) 주변을 느긋하게 돌아다녔다. 이미 10번 이상 인연을
지은 곳들이나 서촌(웃대)과 인왕산에 빼앗긴 마음이 좀처럼 돌아오지를 않으니 자꾸만 손
과 발이 간다.


 

♠  한양도성(漢陽都城, 사적 10호)과 월암근린공원 주변

▲  월암(月巖)근린공원

5호선 서대문역에서 광화문 방면으로 조금 걸으면 정동4거리가 나온다. 이곳은 서울 4대문의
하나인 서대문(돈의문) 자리로 여겨지는 곳으로 여기서 왼쪽(북쪽) 길인 송월길로 조금 들어
서면 하얀 피부의 성곽(城郭)이 나타나 뭇사내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그 성곽은 근래에 복원
된 한양도성의 일부로 여기서 홍난파가옥까지 성곽을 겯드린 월암근린공원이 조촐하게 자리를
닦았다.

남대문(숭례문)과 사직터널 윗쪽에서 각각 길이 끊긴 한양도성은 월암근린공원에서 짧게나마
모습을 비춘다. 허나 근래에 복원된 탓에 피부가 하얗고, 성곽 밑도리에 고색의 때를 머금은
성돌이 일부 끼어있을 뿐이다. 하여 오래된 도성(都城)의 무게감보다는 대충 닦은 촬영세트장
이나 모조품처럼 가볍게 보인다.
상황이 이리 우울하게 된 것은 왜정(倭政)이 사직터널부터 남대문 사이에 성곽을 철저하게 뭉
개버렸기 때문이다. 성곽이 가고 없는 자리에는 집과 건물이 가득 들어찼으며, 도성 복원 계
획으로 이 일대를 밀어버리면서 땅속에 묻힌 성돌이 다시금 햇살을 보게 되었다. 성곽을 복원
하면서 그들을 끄집어내 성돌의 역할을 다시 부여했고, 숨통이 크게 트인 성곽 서쪽에는 공원
을 닦아 휴식처로 삼았는데, 공원 이름인 월암은 인근에 있는 월암 바위글씨에서 비롯되었다.
성곽 안쪽에는 서울기상관측소와 서울시교육청이 자리해 있으며, 그 동쪽에는 경희궁(慶熙宮)
이 오욕의 세월을 견디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성곽 북쪽은 주택들이 첩첩하게 들어차 재개발을 하지 않는 이상은 복원이 거의 어렵다. 사직
터널까지 200m만 다시 이으면 되는데, 현실의 벽 앞에 어림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남쪽 또한
건물과 도로 등으로 손을 대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 허나 도성 복원 계획은 끊어진 성곽이
모두 이어지는 그 순간까지 끈기를 가지고 추진된다고 하니 언젠가는 반드시 복원이 마무리가
될 것이라 믿는다. 그리고 또한 안되면 그만이다.


▲  복원된 성곽 북쪽 끝(서울기상관측소)에 성곽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

▲  서울시교육청 서쪽 성곽
경원선과 경의선 철마가 잃어버린 북쪽으로 달리고 싶듯이 한양도성은
끊어진 구간을 넘어 다시금 서울 도심을 품고 싶다.

▲  홍난파가옥과 이어진 월암근린공원 북부

▲  홍파동 홍난파가옥(洪蘭坡家屋) - 등록문화재 90호

월암근린공원 북쪽에는 붉은 피부의 벽돌과 지붕, 그리고 담쟁이덩굴까지 두룬 별장 같은 아
담한 주택이 시선을 부여잡는다. 그 집이 홍파동 홍난파 가옥이다.
이 집은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지하라고는 하지만 가파른 경사에 자리한 탓에 서쪽과 남쪽
이 바깥에 노출되어 햇볕을 보고 있으므로 거의 2층이나 다름이 없다. 이곳에는 원래 구한말
시절, 양기탁(梁起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를 창간하고 대한제국(大韓帝國)을
도와 항왜(抗倭) 언론을 주도했던 영국 사람 '어니스트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
1909년, 한국 이름은 배설(裵說)>의 집이 있었다.
배설은 1909년 5월, 심장병으로 37세란 한참 나이에 세상을 떴는데, 그에게 원한이 깊었던 왜
정(倭政)은 쪼잔한 마음을 드러내며 그의 집을 강제로 밀어버렸다. 다만 토지는 몰수하지 않
고 그의 부인인 '메리 모드 베델'(Mary Maud Bethell)이 계속 가지고 있다가 1920년대 이후,
매각한 것으로 전한다.

1920년대 후반, 이 일대가 여러 지번으로 분할되었는데, 송월동과 홍파동 지역에는 독일 양이
(洋夷)들이 많이 서식해 그들의 주택이 많이 들어섰다. 홍난파 가옥도 바로 그 과정에서 1930
년대에 태어났다. 허나 그 집은 주인이 여러 번 바뀌어 집 자신도 정신이 없을 정도였는데, '
불놀이'를 쓴 시인으로 친일 행적이 요란한 주요한(朱耀翰, 1900~1979)의 부인, 최선복의 이
름이 먼저 올라와있다.
그 다음에 들어온 사람은 홍어길(洪魚吉)로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의 조카딸인 신수옥에게
장가들어 여기서 보금자리를 폈다. 그는 배화여학교 선생으로 수양동우회에서 활동했으며, 철
학박사로 서울에 철학연구사를 세웠던 한치진(韓稚振, 1901~?)이 다음 타자로 들어와 잠시 머
물렀다. 그는 1944년 왜정의 패망을 예견하는 시국답을 논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살기도
했다.
바로 그 다음에 들어온 이가 홍난파로 1935년 이 집을 사들여 말년을 보냈다. 그 연유로 홍난
파 가옥(홍난파의 집)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  골목에서 바라본 홍난파 가옥

예전에는 집 앞에 마당이 있었으나 담장을 허물고 작게 야외무대를 닦았으며, 1968년 4월 10
일에 난파기념사업회에서 세운 홍난파의 흉상이 옛 마당을 지킨다. 이 흉상은 김경승이 조각
하고, 김충현이 글씨를 썼으며, 윤석중이 흉상 기단(基壇)에 글을 새겼다. 또한 골목 쪽에는
담장과 대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담장 일부만 남았고, 1층 현관을 통하여 가옥 내부로 들어서
면 된다. 현재는 종로구청에서 관리한다.

집 지붕은 다른 서양인 선교사의 집보다 경사가 가파르고, 거실에는 양옥에서 많이 볼 수 있
는 벽난로가 있다. 현관과 이어지는 복도를 사이로 서쪽에 거실, 동쪽에 침실을 두었으며, 거
실 밑에는 지하실을 두어 공간을 알뜰하게 활용하던 서양 주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07년에 홍난파 기념관 및 소공연장으로 손질하고자 보수 공사를 벌여 1층에 있던 침실 2개
를 하나로 합쳤으며, 음향시설 등을 달아 50명 규모의 공연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의 유품
과 자료를 전시하여 기념관의 역할을 하도록 했고, 지하에는 시청각실까지 닦았다.

    ◀  홍난파의 그 잘난 흉상(胸像)
이 땅의 현대 음악을 발전시키고 꾸려나간 업
적만 본다면 동상도 아깝지 않겠으나 말년에
보인 추잡스런 친일 행적을 생각하면 흉상은
커녕 기념비도 아깝다. 흉상은 좀 내다버리고
기념비만 두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 이상은
그에게는 과분하다.

우리 귀에 무척 익은 홍난파, 그 작자는 누구일까?
홍난파(洪蘭坡, 1898~1941)는 1898년 4월 10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南陽)에서 태어났다. 본명
은 홍영후(洪永厚)로 난파는 일종의 호이며, 본관은 남양홍씨이다. 왜정 때 매우 잘나갔던 음
악가이자 우리 현대 음악의 중추적인 존재로 '봉선화','성불사(成佛寺)의 밤','옛 동산에 올
라' 등으로 유명하다.

5살에 서울로 올라와 1912년 YMCA 중학부에 들어갔으며, 음악에 자꾸 손과 마음이 가면서 내
면에 숨겨진 자신의 소질을 알게 된다. 그래서 19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전문학교인 조선
정악전습소(朝鮮正 樂傳習所) 서양악과에 입학하여 1년 동안 김인식(金仁湜)에게 바이올린을
배웠으며, 1918년 창가 '야구전'을 작곡, 발표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음악학교에 진학, 음
악과 문학, 미술을 배우며 문예의 꿈을 키웠다. 그러다가 1919년 유학생들이 벌인 독립운동에
가담하면서 학업을 그만두고 귀국했다.

귀국하여 경성양악대 제1회 연주회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린 연
주자란 기록을 세웠다. 대한매일신보 기자로도 잠깐 일하다가 1920년 '처녀혼'이란 첫 작품을
냈는데, 봉선화는 처녀혼 첫머리에 나오는 애수(哀愁)라는 곡명으로 발표된 것이다.
1922년에는 서울 연악회(硏樂會)를 창설해 음악 교육에 나섰으며,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
악 잡지인 '음악계(音樂界)'를 창간했다. 그리고 1926년 다시 왜열도로 넘어가 동경고등음악
학교를 졸업하고 동경신교향악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1929년 '조선음악백곡집'과 '조선동요백곡집'을 발표하고 1933년에는 '조선가요창작곡집' 등
의 작품을 냈으며, 현제명(玄濟明)과 함께 '봄노래'를 발표했다. 그 외에 바이올린독주곡인
'애수의 조선','동양풍의 무곡','로망스' 등이 있고, '관현악곡 즉흥곡','관현반주 붙은 즉흥
곡','명작합창곡집','특선가요선집' 등을 냈는데, 그는 우리나라 선율의 요소를 작곡에 반영
해 서정적인 분위기를 그려내고자 했다. 그의 의도는 그의 평론에서도 잘 나타나며, 1930년대
이후 우리나라 현대 음악 창작의 패턴을 정립한 음악가로 널리 찬양을 받았다.

1931년 바이올린을 더 배우고자 미국으로 넘어가 셔우드(Sherwood)음악대학을 다녔으며, 1933
년 졸업 기념으로 독주회를 가지고 귀국했다. 그리고 경성보육학교와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고, 1936년 경성방송 현악단 지휘자 및 빅터레코드의 양악부장을 지냈으며, 이
영세(李永世)와 난파트리오를 조직해 실내악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또한 1938년 경성음악전
문학교 교수로 활동하면서 '음악만필'을 냈으며, '백마강의 추억' 등 14곡의 가요를 나소운(
羅素雲)이란 예명으로 발표했다.

이렇게 우리나라 현대 음악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하며, 주옥같은 작품으로 민중의 마음을 달랬
던 그였지만 그의 말년은 그 초심을 잃으며 추악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친일파로 노선을 바꾸
며 민중의 뒷통수를 제대로 쳤던 것이다.
1937년 독립운동단체인 수양동우회 회원이라는 이유로 검거된 이후, 그해 4월 조선총독부 학
무국(學務局)에서 결성된 친일단체 '조선문예회'에 가입하여 왜정 정책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의 문화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내선일체를 강조하였고 '지나사변(支那事變)
과 음악','희망의 아침' 등 친일 성향의 악취나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끊임없이 왜정을 찬양했
다.
허나 다행히도 하늘이 보우하사 변절한지 4년 만인 1941년 8월 30일, 43살의 나이로 지옥으로
떨어졌다.

그가 마지막 4년 동안 보여준 속절없는 친일 행적은 20~30대 시절에 일구어낸 온갖 업적과 공
로에 제대로 똥칠을 하기에 충분했다. 50년도 채우지 못한 그 짧은 인생, 무슨 영달을 더 누
려보겠다고 그 추잡함을 보였던 것일까? 그것만 아니었다면 정말 착했을 것을 심히 좋지 않은
뒷끝을 보이고 말았다.
왜정 시절 이 땅의 나약한 지식인들의 끝없는 변절과 방황, 그도 결국 그 재능과 인격 때문에
나락의 길인지도 모르고 바로 앞에 놓인 꿀에 속아 악마의 유혹에 넘어갔던 것이다. 그래도
다행히 해방 이전에 한참 나이로 자체 폐기가 되었으니 나라와 민중을 배신하고 친일을 벌인
그 대가를 톡톡히 받은 것으로 보면 될까? 그렇게 홍난파에게 실망한 대중을 위로해 본다. 내 학창시절에 봉선화부터해서 그의 노래가 음악책과 문학책에 지겹도록 실려 나의 돌머리를
적지않게 아프게 했는데, 그의 친일 행적은 나의 마음까지도 심히 아프게 만든다.

그런데 홍난파 가옥에서 다루고 있는 그의 일생과 그곳에서 배부하는 홍난파 자료, 그리고 홍
난파 흉상 기둥에는 친일 행적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오로지 찬양 일색이다. 심지어는 '우리
는 홍난파 선생님에게 신세를 너무 많이 졌습니다~~ 홍난파 선생님은 우리들의 영원한 고향이
며 우리는 홍난파 선생님의 후손입니다'
라는 식의 암을 유발하는 해괴망측한 구절도 있다.
종로구청의 실수인지 아니면 난파기념사업회 작자들의 개짓인지는 모르겠으나 지나친 찬양은
오히려 역겨움과 정신건강 해악만 가져올 뿐이다. 홍난파가 어떤 인물인지는 내가 직접 겪어
보질 않아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그도 개념이 있다면 후학들의 이런 말장난에 지하에서 눈물을
머금을 것이다. 기릴 것은 기리고 깔 것은 과감히 까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홍난파의 후학들이 세운 난파기념사업회는 1968년 난파음악상을 제정해 해마다 적당한 음악인
을 골라 상을 주고 있다. 상을 받은 이는 정경화, 정명훈, 금난새, 조수미 등 이름 3자만 들
어도 거의 알법한 인물인데, 2013년에 일대 이변이 생겼다. 수상자로 선정된 작곡가 류재준씨
가 수상을 거부했던 것이다. 거부 사유는 친일파의 이름으로 된 상을 받기 싫다는 것이다. 그
의 업적은 인정하나 실수 또한 거대하다며 그의 친일행적을 꼬집은 것이다.
그의 개념찬 행동에 천하 사람들은 많은 찬사를 보냈고, 난파기념사업회는 그냥 음악가로서의
홍난파를 기리고 상을 줄 뿐이라며 말도 안되는 변명만 늘어놓다가 오히려 욕만 죽어라 얻어
먹었다.

근래에 들어 민족문화연구소는 홍난파 가옥의 이름을 변경하자며, 이곳에 살았던 여러 인물의
삶과 흔적을 더듬을 수 있는 공간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안내문을 수정하고 가옥 내부의
공간 구성을 바꾸는 방안을 종로구에 제시했다. 비록 홍난파가 이곳에서 쓸데없이 오래 살긴
했어도 그 작자를 너무 치켜세우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니 홍난파 유물은 크게 줄이거나 갖
다버리고 독립운동을 했던 한치진과 홍어길을 기리는 공간으로 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홍난파도 음악에 공이 적지 않으니 쥐꼬리만큼 기려주자. 또한 집 이름은 지역 이름만 따서 '
홍파동 가옥' 또는 '홍파동 근대 가옥'으로 바꾸는 것이 적당해보인다.
난파기념사업회도 생각이 있다면 이제 그만 난파음악상을 접고 조용히 잠수를 타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게 난파의 이름에 그나마 덜 먹칠을 하는 거니 말이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2-16 (송월1길 38) (☎ 070-8112-7901)


▲  기념관 겸 전시관으로 쓰이는 홍난파 가옥 1층 거실

온통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홍난파 가옥은 붉은 날을 제외하고 늘 속세에 열려있다. 허나 현
관문이 닫혀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이 잠긴 줄 알고 발길을 돌리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
이다.
그것이 바로 홍난파 가옥의 함정, 허나 관람시간이라면 닫힌 문 앞에서 좌절하지 말고 문 앞
에 달린 벨을 눌러보자. 그러면 안에서 관리인이 나와 문을 열어준다.

현관에 들어서 신발을 벗고 실내화로 갈아탄 다음, 1층 홀로 들어간다. 1층에는 거실과 침실
2개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침실 2개를 합쳐서 전시관 겸 소공연장으로 꾸몄다. 거실에는 이
집의 특징인 붉은 벽난로가 있으며, 그의 흉상과 의자, 바이올린, 피아노 등이 놓여져 음악가
의 집임을 새삼 실감케 한다.


▲  홍난파의 인생을 요약하면 위와 같다.
친일 행적은 어디다 팔아먹었는지 모두 빠져있고 꿀발린 내용만 가득하다.
이러면 역사 왜곡을 일삼으며 민중을 우롱하는 식민사관, 친일파
후손 패거리와 다를 것이 도대체 뭐가 있을까?

▲  홍난파의 그 잘난 사진과 그의 유품, 음악 문서들

▲  홍난파의 사진과 조선가요작곡집(오른쪽)

▲  왼쪽은 고향의 봄 악곡집, 가운데는 봉선화 악보, 오른쪽은
조선동요백곡집

▲  홍난파 가옥 1층 동쪽 (옛 침실 공간)
홍난파의 유품과 음악 문서들, 그리고 그의 일생과 음악을 정리한 내용들이
벽을 가득 채운다. 이 공간은 소공연장으로 쓰이기도 한다.

▲  어둑어둑한 홍난파 가옥 지하
이곳은 시청각실로 쓰인다. 허나 그 횟수가 별로 없어 거의 노는 공간이다.


 

♠  행촌동(杏村洞)에서 만난 숨겨진 명소들

▲  수북하게 자란 행촌동 은행나무 - 서울시 보호수 1-10호

홍난파 가옥에서 송월1길 골목길을 따라 북쪽(인왕산 방면)으로 조금 가면 근대 건축물인 딜
쿠샤와 커다란 은행나무를 만나게 된다. 이들이 있는 행촌동은 송월동과 함께 인왕산의 남쪽
끝을 잡고 있는 산동네로 사직터널 바로 윗쪽이다. 산동네라고 해서 주황색 지붕을 지닌 허름
한 달동네 스타일이 아닌 온갖 빌라와 주택들이 즐비한 서울에 아주 흔한 그런 동네이다.

딜쿠샤 곁에 자리한 행촌동 은행나무는 약 420살에 이르는 장대한 나무로 행촌동의 오랜 터줏
대감이다. 아무리 먹어도 마르지 않는 세월이란 덧없는 양분과 동네 사람들의 보살핌에 힘입
어 높이 23m, 둘레 6.8m에 이르는 큰 나무로 어엿하게 성장했다. 또한 아들을 원하는 여인들
이 찾아와 치성을 드리는 현장으로도 바쁘게 살았다.
허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이 이곳까지 미치면서 그의 보금자리는 주택에 밀려 많이 좁아졌고,
주택 사이에 비좁게 자리해 있다. 그래도 아직까지 건강은 양호하며, 자신의 둥지를 침범한
집들을 미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그늘과 은행잎을 선사해 넉넉한 마음을 드러낸다.

행주대첩(幸州大捷)의 영웅이자 이곳에 살았던 권율이 손수 심었다고 전하며, 주인은 옛날에
갔지만 그의 사연을 끈질기게 붙들며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바로 이 나무 때문에 동
네 이름이 행촌동(은행나무 마을)이 된 것이다. 참고로 은행나무는 태반이 사람이 심은 것이
며, 자연적으로 싹을 내린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서울에서 오래되고 아름다운 은행나무를 꼽으라면 방학동(放鶴洞) 은행나무, 성균관(문묘) 은
행나무(대성전 은행나무 포함), 그리고 이곳 은행나무를 내세우고 싶다.


▲  은행나무 밑에 누운 권율 장군 집터 표석

은행나무가 있는 곳은 권율(1537~1599)의 집터로 인근 필운동(弼雲洞) 배화여고에도 그의 집
이 있었다. 필운동 집은 그의 사위이자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오성 이항복(李恒福)에게 물
려주었으니 그 집이 바로 필운대(弼雲臺)이다. (현재 필운대란 바위글씨가 남아있음)
그렇다면 임진왜란의 영웅, 권율(權慄)은 누구일까?

권율은 안동 권씨로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과 모악(暮嶽). 시호는 충장(忠莊)
이다. 1582년 식년시 문과(式年試 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는데 임진왜란 때 전쟁에서 크
게 활약한 것으로 보아 무예도 제법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와 전적(典籍)을 거쳐 1587년 전라도도사(全羅道都使)와 예조정랑(禮
曹正郞), 경성판관(鏡城判官) 등을 지냈으며, 1591년 평안도 의주목사(義州牧使)가 되었으나
업무상 과실로 파면되었다.
허나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급히 경기도 광주목사(廣州牧使)로 임명되어 그곳으로 달려갔
으며 전라도 순찰사(巡察使) 이광(李珖)과 방어사(防禦使) 곽영(郭嶸)이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군사 4만을 모아 서울로 올라오자 곽영의 휘하에 들어가 중위장(中衛將)이 되었다.
이광과 곽영은 수원과 용인에 각각 진을 치고 주변에 있는 왜군을 토벌하려고 했다. 이에 권
율은 주변에 조금씩 흩어진 적들을 치지 말고 임진강(臨津江)에서 그들의 서진(西進)을 막아
군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적의 빈틈을 노리면서 조정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고 의견을 냈다. 허나 뇌에 주름이 가득한 이광은 그 말을 무시, 오로지 머릿 수
에 의지해 용인에 있는 왜군을 공격했다.

이광의 군사는 4만(왜국은 10만이라고 주장함)에 이르나 태반이 칼과 창도 제대로 못잡는 오
합지졸이었다. 그에 반해 용인에 머물던 왜군은 왜열도에서 나름 알아주던 와키자카 야스하루
(脇坂安治)로 수백 명의 정예 기병으로 저항을 했다.
허나 조선군은 그 수백에 불과한 왜군에게 완전히 박살이 나고 싸움에 서툴렀던 선봉장 이시
지(李詩之)와 백광언(白光彦)이 전사하는 등, 그야말로 개망신을 당했다. 허나 권율은 이를
직감하고 신중하게 처신하여 휘하 군사를 잃지 않고 광주로 물러나 후일을 도모했다.

1592년 가을, 전라도 남원으로 내려가 1,000명의 군사를 모집해 동복현감(同福縣監, 전남 화
순 동복면) 황진(黃進)과 함께 이치(梨峙)에서 전주(全州)로 진출하려는 고바야카와(小早川隆
景)의 왜군을 막았다. 초반에 황진이 조총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 군사의 사기가 잠시 떨어
졌으나 권율이 군사를 독려하여 왜군을 격퇴하고 승리를 거뒀다. 그렇게 왜군의 호남 진출을
막았으며, 그 공으로 전라도 감사(監事)로 승진되었다.
1592년 12월, 서울 수복을 위해 1만의 군사를 이끌고 천안 직산(稷山)에서 머물렀는데, 체찰
사(體察使) 정철(鄭澈)이 그 많은 인원을 먹일 군량이 없으니 돌아가서 관내를 지키는 것이
좋겠다고 편지를 보냈다. 허나 행재소(行在所)에서 북상하라는 명이 떨어지면서 곧바로 군을
이끌고 수원 남쪽 독산성<禿山城, 오산 세마대(洗馬臺)>에 들어가 진을 쳤다.

한편 권율이 독산성에 이르렀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왜장 우키타(宇喜多秀家)는 후방과 차단될
것이 두려워 서울에 있던 군사를 이끌고 독산성을 선제 공격했다. 허나 권율은 성문을 굳게
닫고 수비만 할 뿐이라 왜군의 피해는 나날이 늘어갔다.
뚜껑이 열린 우키타는 사람을 보내 독산성의 약점을 탐지한 결과 물이 부족하다는 정보를 입
수하고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 바로 성 밑에 큰 못을 파니 과연 성 안에 물이 마르면
서 조선군의 식수에 비상이 걸렸다.
허나 권율은 당황하지 않았다. 비범한 인물답게 명쾌한 꾀를 낸 것이다. 그래서 동이 트는 이
른 아침에 왜군이 잘 바라보이는 곳에 말을 세워놓고 쌀을 부어 말을 씻기는 시늉을 벌였다.
그것을 본 왜군은 성 안에 물이 부족하다는 것이 거짓임을 알고 크게 동요했다고 한다. 바로
그때를 이용해 공격을 가하자 발작한 우키타는 영책(營柵)을 불지르고 서울로 줄행랑을 쳤으
며, 정예 기병 1,000명을 미리 보내 퇴로를 차단하고 왜군 수천을 잘 다져진 고기덩어리로 만
들었다.

1593년 1월, 서울 수복을 위해 조경(趙儆)을 보내 근교에 마땅한 곳을 물색하다가 행주산성(
幸州山城)으로 들어가 목책(木柵)을 쳤다. 그곳은 서울과도 가깝고, 한강을 끼고 있으며, 조
망도 좋고, 인근에 여러 요새와 함께 연합 작전을 펴기에 아주 좋은 위치였다. 허나 석성(石
城)이 아닌 야트막한 토성(土城)이라 수비전에는 썩 유리한 편은 되지 못했다. 그래서 서둘러
목책을 엮었다.
목책이 완성되자 독산성에 병력 일부를 남기고 모두 불러들였으며, 별도로 4,000명을 뽑아 전
라병사(全羅兵使) 선거이(宣居怡)를 시흥 호암산(虎巖山, ☞ 관련글 보러가기)으로 보내 후방
을 돕도록 했다. 그때 처영(處英)이 이끄는 승병(僧兵) 1,000명이 행주산성에 합류했다.

권율은 소수의 군사를 보내 서울을 공격했고, 고양 혜음령(惠陰嶺)에서 왜군에게 박살난 명나
라군을 도와 그들의 전멸을 막아주었다. 이렇게 권율의 활약에 적지 않게 염통이 쪼그라든 왜
군은 그가 있는 행주산성을 쓸어버리기로 마음 먹고, 앞서 독산성에서 크게 패한 우키타가 서
울과 인근의 군사를 싹 긁어모아 무려 3만의 대군으로 1593년 2월 행주산성을 공격했다.
그때 행주산성에 있던 조선군은 승병을 합해서 겨우 약 2,800명, 그 외에는 군사들을 도우러
성에 들어온 밥할머니를 중심으로 한 아낙네들과 지역 사람들이 있었다.

왜군은 7부대로 나눠 맹렬하게 공격을 퍼부었다. 행주산성이 견고한 성이 되지 못하다보니 여
러 번 위기가 있었으나 권율의 뛰어난 통솔력과 군사와 백성들의 강인한 협동심으로 다들 일
당백의 위엄을 드러내며 적들을 고깃덩어리로 만들었다. 또한 화차(火車)와 비격진천뢰(飛擊
震天雷)란 신식 무기가 열심히 나래를 펼쳐 왜군의 염통을 쫄깃하게 만들었다. 왜군은 결국 1
만 명의 사상자를 내고 수천 명의 전사자 시신을 불태우며 도망을 친다.
이 싸움이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니 권율과 조경, 처영, 조선군과 승군, 밥할머
니의 아낙네들, 지역 사람들이 빚어낸 대작품이었다.

이후 파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부원수 이빈(李薲)과 함께 후방을 지켰으며, 전라
도로 내려갔다가 그해 6월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都元帥)로 승진해 경상도에 주둔했다.
1596년에 도망친 병사를 즉결처분한 것으로 잠시 해직되기도 했으나 바로 한성판윤(漢城判尹)
에 임명되어 호조판서(戶曹判書)와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다시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터지자 밥버러지 명나라군과 함께 왜군이 머무는 울산성(蔚山城
)을 공격했다. 허나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가 부실하여 겁에 질려 도망치는 바람에 함락시키
지 못했으며, 순천으로 자리를 옮겨 순천 예교(曳橋)에 머물던 왜군을 공격했으나 역시나 병
든 닭새끼 같은 명나라군의 비협조로 함락시키지 못했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내려갔으나 그해를 넘기지 못하고 7월 인생을 마
감하니 그의 나이 62세였다. 선조(宣祖)는 그에게 영의정(領議政)을 추증했으며, 1604년 선무
공신(宣武功臣) 1등으로 삼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봉해 그의 공을 기렸다.

권율은 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한 명장으로 바다에 이순신(李舜臣)이 있다면 육지에는 정기룡(
鄭起龍)과 곽재우(郭再祐), 그리고 권율이 있었다. 비록 초창기 용인 싸움에서 어리버리한 상
관들 때문에 졌고, 정유재란 때는 명나라군 때문에 고생을 했지만 그 외에는 모두 대승을 거
두었다. 특히 행주대첩은 적은 군사로 10배 이상의 왜군을 물리친 우리 전쟁사의 길이 빛나는
장쾌한 대첩이다. 그의 활약과 공훈에 대해서는 '권원수실적(權元帥實蹟)'이란 책이 1권 전하
고 있다.
그의 묘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에 있으나 인근이 유원지화되어 늘 시끄러우니 잠이나 편히 잘
련지 모르겠다.


▲  딜쿠샤(Dilkusha, 앨버트테일러 가옥) - 등록문화재 687호

행촌동 은행나무 서쪽에는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2층 건물이 자리해 있다. 딱 봐도 20세기 초
반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로 원형을 조금 잃긴 했으나 한참이나 후배인 건물들 사이에서 의연
함을 잃지 않으며 중후한 멋을 드러낸다.

이 건축물은 '딜쿠샤(Dilkusha)'란 생소한 이름의 건물로 1923년에 미국 사람인 알버트(앨버
트) 테일러(Albert Taylor)가 지은 것이다. 딜쿠샤는 인도 힌두어로 '이상향','행복한 마음'
을 뜻한다. 그는 금광엔지니어 및 UPI통신사 프리랜서 특파원으로 조선에 들어왔다가 1919년
3.1운동 소식을 전세계에 알린 인물로 유명하다.
또한 독립운동가들과 어울려 그들을 도왔으며, 제암리 학살사건까지 천하에 알려 왜정은 그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늘 감시를 했다. 금광(金鑛)과 특파원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1923년 이곳
에 고래등 같은 2층 집을 지어 가족과 함께 지냈는데, 힌두어에도 관심이 많았는지 집 이름을
'딜쿠샤'라 하였다.

1926년 7월 26일 아침, 낙뢰를 동반한 폭우가 내렸는데, 낙뢰가 2층 굴뚝을 때리면서 화재가
발생해 2층 전부와 1층 절반이 홀라당 타버렸다. 그 불을 끄고자 서대문서와 서울 시내 소방
서들이 총출동했으나 높은 언덕 지대이고 폭우까지 심해 진화에 크게 애를 먹었다. 집에서 일
하는 사람 1명이 감전되어 정신을 잃었고, 테일러 부부가 모아둔 오래된 골동품이 많이 소실
되어 1만원 정도의 피해를 입었다.
허나 테일러는 집을 보수하여 계속 그 자리에 살았다.

1941년 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서울에 살던 미국 등 연합국 국적 외국인을 서대문형무
소에 감금했는데, 이때 테일러도 6개월간 갇혔으며, 그의 부인인 메리 테일러는 가택연금을
당했다. 메리는 왜경의 지독한 감시로 식량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웃 주민들이 몰래 달
걀과 암탉, 죽은 꿩, 김치 등을 지원하면서 겨우 허기를 면했다.

1942년 왜정을 테일러 부부를 강제 추방시켰고, 집을 몰수하여 민간에 팔아먹었다. 1945년 이
후 테일러는 한국으로 돌아오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1948년 캘리포니아에서 사망
했다. 그는 한국에 묻히고 싶다는 유언을 남겨 그 뜻에 따라 서울 합정동(合井洞) 외국인묘지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묘원)에 고이 안장되었다.

6.25이후 자유당 조경국 국회의원이 집을 소유했으나 1963년 박정희 군사정권 때 압수되어 국
사 소유가 되었다. 이후 많은 서민들이 여기서 샛방살이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딜쿠샤는 자
신의 정체를 잃은 채, 막연히 왜정 시절에 세워진 근대 건축물의 하나이자 서민들이 의지하는
다세대주택으로 조용히 묻히게 된다.
그러다가 2006년 앨버트의 아들인 브루스 테일러가 이 땅을 방문하면서 베일에 가려진 건물의
비밀이 천하에 알려지게 되었고, 그 사연으로 딜쿠샤의 대한 팔자와 시선은 180도 확 달라졌
다. 서울시는 66년만에 서울 고향집을 찾은 브루스에게 명예시민증을 내려 그의 부친을 기렸
다.

2017년 8월 뒤늦게나마 국가 등록문화재의 지위를 얻었으며, 서울시와 중앙 정부는 딜쿠샤를
손질하여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2019년에 '알버트테일러박물관'으로 세상에 내놓으려고 했
다. 허나 이곳에 불법으로 살던 세입자들이 협조를 안해주면서 지연되었으며, 서울시와 중앙
정부와의 갈등도 있어 이제는 2020년 개방을 목표로 복원공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니 2020년
이 되면 속세에 쿨하게 개방되어 딜쿠샤의 속살도 구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 1-89 (사직로2길 17)

  장독대와 온갖 통들 사이에서 간신히 고
개를 내민 딜쿠샤 정초석(定礎石)
미국 사람이 지은 건물이다보니 정초석도 꼬
부랑 영어로 쓰여 있다.


▲  행촌동 골목길 (한양도성이 흘러가던 옛 자리)
도시에서 자란 30대 이상 사람들에게 저런 골목길의 유년(幼年) 추억은 거의 몇 권씩
서려있을 것이다. 나도 코흘리개 시절 저런 골목을 참 열심히 누볐었지.

▲  인왕산입구 한양도성 탐방로 (인왕산 방면)

월암근린공원에서 반짝 등장한 한양도성은 사직터널 윗쪽에서 다시금 고개를 든다. 인왕산로1길과 사직로1가길, 송월1길 등이 만나는 사직터널 윗쪽 고개를 지나면 도시화에 잔뜩 주눅이
든 성곽이 다시 어깨를 피며 인왕산(仁王山)으로 힘차게 흘러가는데, 성 바깥은 행촌동 주택
가, 성 안쪽은 인왕산 숲으로 각각 탐방로가 펼쳐져 있다.


 

♠  옛 경희궁의 흔적이자 전통 국궁(國弓)의 성지, 황학정(黃鶴亭)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25호


▲  사방이 뻥 뚫린 황학정
황학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지붕 밑에 부연을 두어 처마와
추녀의 곡선이 무척 시원스럽다. 정면 중앙에 걸린 황학정 현판은
이승만(李承晩) 전대통령이 쓴 것이다.
 

사직터널 윗쪽 고개(인왕산입구)에서 종로문화체육센터를 지나 동쪽으로 가면 사직단을 품은
사직공원 서쪽 옆구리이다. 여기서 인왕산길을 조금 타다가 오른쪽으로 갈라지는 사직로9길을
따라가면 길이 크게 구부러지는 곳에 황학정을 알리는 표석이 마중한다. 그의 안내를 받아 북
쪽 길을 오르면 그 길의 끝에 전통 활터인 황학정이 자리해 있다.

▲  황학정 표석

▲  황학정으로 인도하는 오르막길

사직단 북쪽이자 인왕산 남쪽 자락에 둥지를 닦은 황학정은 이 땅에 몇 안되는 전통 활터이다.
조선 후기까지 서울 장안에는 활쏘기를 닦던 사정(射亭)이 많이 있었는데, 경복궁과 인왕산
사이에 자리한 웃대(서촌)에는 등과정을 비롯해 5개의 사정<서촌5사정(西村五射亭)>이 있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대 무기에서 화살이 제외되자 서울과 전국의 많은 사정이 문을 닫았고
황학정 자리에 있던 등과정 역시 그 거친 흐름을 헤어나지 못하고 바위글씨만 남긴 채 휩쓸려
사라졌다.

활쏘기를 좋아하던 고종 황제는 백성들의 심신단련을 위해 궁술(弓術)을 장려하기로 했다. 그
래서 1898년 경희궁 회상전(會祥殿) 북쪽에 황학정을 지어 활터로 삼고 백성들에게 개방하여
언제든 활을 쏘도록 했다.
고종은 자주 이곳을 찾아 활쏘기를 했는데, 그가 사용했던 활 호미(虎尾)와 화살을 보관하는
전통(箋筒)이 황학정에 전해 내려오다가 1993년 육군사관학교 박물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천하에 어둠이 내리던 1910년 이후 왜정은 망국의 황궁(皇宮)인 경희궁을 철저히 산산조각을
냈다. 1918년부터 궁궐을 밀어버리면서 주요 건물을 민간에 팔아먹었고, 1922년 황학정 자리
에 고의로 총독부 전매국 관사를 지으면서 그 황학정까지 밀어버리려고 했다. 이에 국궁을 하
던 사람들이 뜻을 모아 왜정과 협상을 벌였고, 돈을 주고 그 건물을 등과정 자리인 이곳으로
가져와 안착을 시켰다.

왜정 이후 황학정은 전국 활터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으며, 인왕산 호랑이로 불리던 택견꾼
송덕기(宋德基)가 황학정을 지키기도 했다.
6.25 때 건물이 파괴되면서 활쏘기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으며, 이후 황학정을 중수하고 한천
각(閑天閣)과 국궁전시관 등 여러 건물을 지었다. 전통 활터가 많이 사라진 와중에도 여전히
활터 기능을 수행하여 우리나라 전통 궁술의 성지(聖地)로 여전히 추앙을 받는다.

이곳에서는 궁술 대회(매년 12월에 전국궁술경연대회가 열림)와 관련 행사, 활쏘기 체험이 열
리고 있으며, 평일은 물론 휴일에도 활을 쏘는 이들을 자주 구경할 수 있다. 천하 제일의 신
궁(神弓)으로 추앙받는 고구려 동명성왕(東明聖王)과 조선 이성계(李成桂)를 꿈꾸는 궁수들이
실력을 겨루는 모습이 볼만하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궁술 체험 이벤트가 열고 있다. 아직 활
을 만져본 적은 없지만 기회가 생기면 명중률을 떠나서 한번 쏴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다.
황학정은 무료의 공간이나 국궁전시관은 입장료를 받는다. (종로구민은 50% 할인)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산1-1 (사직로9길 15-32 ☎ 02-722-1600)


▲  황학정 내부
천정에는 황학정의 내력 등이 적힌 현판 2개가 걸려 있고, 평방(平枋)에는
태극기와 고종의 어진(御眞)이 나란히 자리한다. 황룡포를 입은 그의
어진이 여기에 있는 이유는 황학정을 세운 그를 기리고자 함이다.

▲  황학정에서 바라본 과녁과 서울 도심
여기서 과녁까지는 대략 130~150m 정도 된다. 평소에는 가깝게 생각했던 그 거리가
여기서만큼은 참 까마득하게 보인다. 남산보다 더 멀게 느껴질 정도로 말이다.
과녁이나 그 주변에 떨어진 화살은 전동식 미니 케이블카에 실어
황학정으로 운반한다.

▲  황학정8경(八景) 바위글씨

황학정 뒷쪽 바위에는 황학정8경을 노래한 바위글씨가 있다. 바위에 네모난 홈을 닦고 그 안
에 글씨를 심었는데, 이들은 1928년 9월 금암 손완근(錦巖 孫完根)이 쓴 것으로 황학정8경이
라 제목을 내세웠지만 정작 황학정은 단 하나도 없고 모두 북악산(백악산)과 인왕산, 경복궁
주변의 풍경을 다루고 있어 제목과 내용이 완전히 따로 논다. 여기서 읊은 8경은 다음과 같으
며, 이중 금천교와 경복궁 담장 옆 수양버들을 제외하고는 그런데로 살아있다.

백악청운(白岳晴雲) - 구름이 맑게 갠 북악산(백악산)
자각추월(紫閣秋月) - 자하문(창의문) 문루 위에 가을 달
모암석조(帽巖夕照) - 인왕산 모자바위에 비치는 석양 빛
방산조휘(榜山朝暉) - 인왕산 바위 위의 아침 햇살
사단노송(社壇老松) - 사직단을 둘러싼 노송
어구수양(御溝垂楊) - 경복궁 담장 옆 배수로 둑의 수양버들
금교수성(禁橋水聲) - 금천교 밑을 흐르는 물소리
운대풍광(雲臺楓光) - 필운대의 단풍 광경


▲  등과정(登科亭) 바위글씨

황학정 뒷쪽에서 계단을 오르면 인왕산길 직전에 등과정 바위글씨가 새겨진 큰 바위가 모습을
비춘다.
바위에 진한 문신처럼 남은 등과정은 서울 장안의 이름난 활터인 서촌5사정의 하나로 그 5사
정이란 등과정과 옥동(玉洞) 등용정. 삼청동 운용정(雲龍亭). 사직동 대송정(大松亭). 그리고
누상동 풍소정(風嘯亭)을 일컫는다. 이중 삼청동(三淸洞)은 북촌의 일원인데, 어찌 서촌5사정
에 꼽혔는지 모르겠다.
조선시대에는 활쏘기가 사대부를 비롯한 귀족, 왕족들이 익혀야 될 교양의 하나로 인식되어 5
사정에는 늘 그들로 붐볐다. 무관 같은 경우는 직업상 여기서 활쏘기 연습으로 몸을 풀었고,
다른 이들은 교양 및 수련의 일원으로 몸을 풀었던 것이다.
허나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 군대 무기에서 활이 제외하면서 이들 5사정은 모두 내
리막을 걷게 되었고, 등과정만 유일하게 고종 때 새겨진 바위글씨를 흔적으로 남겨 그의 옛
자리를 귀뜀해준다. 게다가 경희궁의 활터였던 황학정이 왜정 때 이곳에 안착하면서 자연스럽
게 등과정을 계승하였다.


▲  늦가을 물감이 야드르르 번진 황학정입구 숲길 (사직공원 뒷쪽)
황학정을 끝으로 본글은 마무리를 짓는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10월 26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도심의 꿀단지, 서촌 늦가을 산책 ~~~ 옥인동 박노수미술관, 친일매국노 윤덕영의 기와집 흔적들



' 늦가을 서촌 나들이 '

(박노수미술관과 친일매국노 윤덕영의 집)


▲  박노수 가옥(박노수 미술관)의 뒷모습

▲  박노수 가옥 뒷쪽 굴뚝

▲  청운동에서 바라본 북악산


 


▲  옛 청휘각(晴暉閣)터 주변에서 바라본 서촌(西村)

서울 도심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서촌(웃대)은 경복궁(景福宮) 서쪽 동네를 일컫는다. <청계
천 이북이자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는 북촌(北村), 청계천 이남은 남촌(南村), 창덕궁 동부는
동촌(東村)이라 불림>
흔히 서촌이라 불리는 경복궁 서부는 옛날부터 웃대라 불렸으며 원래 서촌은 경희궁(慶熙宮)
과 서대문 주변 지역이었다. 그러던 것이 인왕산 동쪽까지 확장된 것이다. 또한 세종대왕이
통인동에서 태어난 인연(1397년 출생)을 내세워 2011년 이후에는 종로구청과 지역 주민 주도
로 새롭게 '세종마을'을 칭하고 있다.

서촌(웃대)은 왕족부터 양반사대부(士大夫)부터 내시와 상궁(尙宮), 의관(醫官), 역관(譯官)
등의 중인(中人)과 평민 등 다양한 계층이 살았는데 그중 중인 계급이 많이 살았다. 또한 인
왕산과 북악산(백악산)을 병풍으로 두룬 아름다운 절경으로 인해 조선 초부터 도성(都城) 내
경승지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런 곳은 늘 귀족들이 군침을 흘리는 법이라 안평대군(安平大君,
세종의 3번째 아들)부터 이항복(李恒福), 정철(鄭澈), 권율(權慄), 김상용(金尙容), 김수항(
金壽恒), 추사 김정희(金正喜)에 이르기까지 많은 귀족들이 집과 별장을 지어 머물렀다.
특히 이곳은 도시와 자연이 경계를 맞닿은 도성의 변두리로 지금과 달리 필운대로와 신교동교
차로만 지나면 완전 자연에 감싸인 한적한 곳이었다. 게다가 궁궐과 육조(六曹) 등의 관청이
엎어지면 코 닿을 정도로 가까워 고위 관리들의 주택, 별서 장소로는 아주 그만이었다.

서촌의 이름난 명소는 겸재 정선(鄭敾)이 그의 노련한 손끝을 통해 그림으로 남겼는데, 그 화
첩이 장동(壯洞)8경첩으로 여기서 장동은 서촌의 일원인 청운동 지역의 옛 이름이다. 조선 후
기에는 중인이던 천수경(千壽慶)이 송석원(松石園)이란 시사(詩社)를 세워 중인들의 문학 공
간으로 키웠으며, 왜정(倭政) 이후에는 윤동주(尹東柱), 이상범(李象範), 박노수(朴魯壽), 이
상(李箱) 등 많은 시인과 화가들이 서촌에 안겨 주옥 같은 작품을 그려냈다.

서촌은 북촌만큼은 아니지만 한옥들이 제법 많이 남아있다. 대략 700여 채의 한옥이 옥인동과
누하동, 사직동, 체부동, 창성동 일대에 흩어져 있는데, 120년 이상 묵은 한옥은 하나도 없고
, 20세기 개량 한옥이 주류를 이루며 박노수 가옥 등의 양옥도 섞여있어 20세기 초/중반 서울
의 주거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옥이 많긴 하지만 북촌처럼 정식적으로 한옥마을을 칭하
고 있지는 않다. (비공식적으로 '서촌한옥마을'이라 불리기도 하며, 창성동 일대 한옥을 따로
'창성동 한옥마을'이라 불리기도 함)

조선 후기까지 북촌과 더불어 잘나가는 동네로 이름을 날렸던 서촌이지만 옥인동 일대에 고래
등 저택을 짓고 인왕산의 맑은 공기를 축내던 친일파 윤덕영(尹德榮)과 이완용의 부정 때문인
지 왜정 이후 적지 않게 기울었고 해방 이후 개발제한구역에 묶이면서 거의 시골 읍내처럼 정
체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루면 강산도 변한다는 서울 도심 한복판임에도 북촌과 서촌만큼은 시간도 느릿느릿 양반걸
음을 하거나 뒷걸음을 치는 것이다. 조금만 나가면 21세기 한복판인데 서촌 상당수는 아직 20
세기 한복판에 머물러 있어 서울의 옛 모습을 더듬기에 좋다.
허나 시간이 너무 정체되면 지역 주민들의 삶이 힘들어진다. 북촌도 도심 속의 꿀단지로 화려
하게 재기를 하고 있지만 서촌은 근래까지 낙후된 모습으로 거의 남아있던 것이다. 그러다보
니 한옥 기피증이 생겨나 한옥이 감소하게 되었고 거기에 서울시의 무관심까지 더해져 서촌의
숨겨진 명소들도 은근히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2010년 4월 서울시에서 '경복궁 서측
지구단위계획'을 발표하여 한옥 보존과 신축을 장려했고, 북촌으로 단단히 재미를 본 서울시
와 종로구청이 서촌을 새로운 꿀단지로 개발하면서 서촌도 드디어 때를 만나게 되었다.

그 이후 새로 지어진 한옥이 나날이 늘고 있고, 종로구청에서 서촌 답사코스를 개발하고 홍보
하는 한편, 새로운 명소를 발굴하고, 기존의 명소를 손질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조
금씩 북촌을 추격하고 있다. 특히 수성동계곡 복원(2012년 7월)과 박노수 가옥을 구립 미술관
으로 해방시킨 사건(2013년 9월)은 서촌에 큰 활력을 불어넣는데 충분했다. 게다가 소규모 갤
러리와 공방도 조금씩 둥지를 틀면서 서촌의 새로운 볼거리를 선사한다.

서촌에는 수성동계곡과 박노수가옥(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 이상범 가옥, 사직단, 황학정(
黃鶴亭), 단군성전, 선희궁(宣禧宮)터, 백호정 바위글씨, 백세청풍 바위글씨, 창성동 한옥단
지, 통의동 백송터, 신익희(申翼熙) 가옥, 백운동천, 송석원터, 청휘각터, 자수궁터, 보안여
관, 필운대, 배화여고 생활관, 체부동(體府洞) 홍종문가옥, 백운동천 바위글씨, 운강대 바위
글씨, 행촌동 은행나무, 딜쿠샤, 홍건희 가옥 등 조선과 근대, 현대 문화유산이 풍부하게 깃
들여져 있으며 갤러리아트가, 대림미술관 등의 온갖 갤러리와 문화공간, 금천교시장(세종마을
음식문화거리)과 통인시장 등의 전통재래시장이 있다. 특히 금천교시장은 제2의 피마골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먹자골목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고깃집과 전집, 횟집, 분식집
등 다양한 식당이 즐비하여 학생과 직장인, 인왕산 등산객, 답사객으로 1주 내내 활기가 넘친
다. (나도 가끔 이용함)

부암동(付岩洞)과 성북동, 북촌과 더불어 나의 마음을 계속 훔치고 있는 서촌은 2011년 늦여
름부터 구석구석 발자국을 남기며 그의 숨겨진 속살을 계속 뒤집고 있다. 별거 없을 것 같은
겉보기와 달리 그 속은 신대륙 이상으로 다양한 보물을 품은 곳이 바로 서촌이다.

서촌 나들이는 3호선 경복궁역 1번 출구나 2, 3번 출구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자하
문로나 사직공원 동쪽(경복궁역 1번 출구)의 필운대로를 중심으로 움직이면 되며, 자하문고개
에 있는 윤동주시인의 언덕(청운공원)에서 주요 명소를 거쳐 경복궁역으로 내려오는 것도 괜
찮다. 또한 조그만 골목길이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고, 그 속에 여러 명소와 소소한 볼거리 등
이 숨겨져 있으니 너무 큰 길만 살피지 말고 서촌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골목길도 꼭 거닐어
보자. 그러면 정말 배부르고 알찬 서촌 나들이가 될 것이다. 단 서촌도 엄연히 사람들이 사는
공간이므로 민폐를 부리지말고 조용히 둘러보기 바란다.


 

♠  친일파 윤덕영이 지은 근대 가옥, 화가 박노수의 삶터로 미술관으로
새롭게 거듭난 박노수 가옥(朴魯壽 家屋)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1호

서촌 중심에 자리한 통인시장에서 수성동계곡으로 인도하는 옥인길을 따라가다보면 오른쪽 골
목 속에 서촌의 상큼한 명소로 등극한 박노수 가옥이 손짓을 한다. 이곳은 집 이름 그대로 우
리나라 미술계의 원로이자 현대 화가인 남정 박노수의 집으로 인근 이상범 가옥과 함께 현대
미술의 따끈따끈한 산실이며 2013년 9월 이후 속세에 개방되어 '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이하
미술관)'으로 새로운 삶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이야 천하에 공개된 현대 화가의 미술관으로 누구든 돈만 내면 안길 수 있는 명소가 되었
지만 이 집의 태생은 그렇게 곱지는 못했다. 바로 친일매국노로 개추잡한 이름을 날렸던 윤덕
영(尹德榮, 1873~1940)이 지은 집이기 때문이다.
윤덕영은 조선의 마지막 황후인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의 큰아버지로 왜정(倭政)에 적극 협
력하여 나라를 팔아먹고 백성의 고혈을 쥐어짜며 배때기에 기름칠했던 1급 매국노이다. 그와
같은 시대를 살았고 친일파로 추잡한 뒷끝을 보인 윤치호(尹致昊) 조차도 '이 비열한 매국노
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웹스터 사전에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라며 그의 만행을
꼬집었다.
하지만 사람이기를 포기한 윤덕영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온갖 손가락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온갖 이권에 개입해 많은 부를 쌓았고, 집과 땅에도 징그럽게 욕심을 부려 송석원(松石園)을
비롯한 옥인동(玉仁洞) 일대를 사들여 고래등 양옥 별장인 벽수산장(碧樹山莊)을 지었다. 그
리고 그 주변으로 가족과 첩을 수요할 14동의 고래등 한옥을 주렁주렁 지어 완전 그만의 조그
만 세상을 만들어놓았다.
박노수 가옥은 그 14동의 하나로 딸과 사위를 위해 이 땅 최초의 근대 건축가인 박길룡(朴吉
龍)에게 의뢰하여 1937~1938년경에 지어진 것이다.


▲  세상을 향해 활짝 문을 연 박노수 가옥(미술관) 대문

▲  벽돌로 지어진 박노수 가옥 (박노수미술관)

이 가옥은 한옥 양식과 중원대륙 양식, 서양식이 잡탕이 된 이른바 절충식 기법의 집이다. 2
층으로 이루어진 커다란 벽돌 건물로 반지하층을 가지고 있으며, 붉은 벽돌로 된 1층에는 온
돌방과 마루, 복도, 응접실이 있고, 하얀 피부로 이루어진 2층은 나무 구조로 지어졌는데 계
단을 중심으로 마루로 된 방이 널려있다.
그리고 3개의 벽난로를 설치해 온기가 머물 공간을 확보하고 집 서쪽에 현관을 두었으며, 벽
돌로 포치를 설치하여 집의 운치를 더욱 높였다. 지붕은 서까래를 노출한 단순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2층의 증축 부분을 빼면 거의 원형 그대로 잘 남아있다.

박노수가 매국노의 악취가 진동하는 이 집에 들어온 것은 1973년이다. 왜 이곳을 골랐는지는
모르겠으나 스승인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의 집과도 가깝고, 집의 모습도 중후하고 운치가
진해 예술가의 집 분위기로는 아주 좋아 보인다. 게다가 뜨락도 넓고, 인왕산도 가깝고, 도심
과도 가까우니 시내 왕래가 잦았던 그에게도 딱 적당한 장소였을 것이다.
남정은 이곳을 집과 화실로 삼아 많은 작품을 그려냈으며, 그의 예술적이고 꼼꼼한 손맛이 담
긴 뜨락에는 그가 수집한 수석과 석물, 문화유산을 배치하고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자연과
문화, 수석이 어우러진 아주 참한 공간으로 꾸몄다.

왜정 때 박길룡이 설계한 건물로 당시 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고 현대 미술화가인
박노수가 40년 가까이 머물며 작품 활동을 벌였던 현장이라 윤덕영이라는 친일파 괴물이 만든
건물임을 무릅쓰고 1991년 5월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그것도 1호라는 그럴싸한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바로 그 점이 참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데 1호나 2호, 3호ㅡ 100호 등은 그저 지정된 번호
일 뿐 가치 순위는 아니기 때문에 그리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겠지만 그래도 1호만큼은 신중
해야 된다고 본다. 국보 2호는 몰라도 1호는 누구나 다 아는 것처럼 1호의 의미는 이 땅에서
는 꽤 각별하기 때문이다. 해방이 된지 70년이 되도록 친일매국노 청산조차(청산은 커녕 그것
들이 더 활개치고 있음) 제대로 되지 못한 이 땅의 거지 같은 현실을 이 가옥이 보여주는 듯
싶어 마음이 참 쓰라리다.

만약 윤덕영의 후손이 염치없이 계속 살고 있었다면 화염병이나 폭탄을 던져 없는 화마(火魔)
라도 억지로 소환해 집과 함께 날려버려야 마땅하겠지만 박노수가 이곳에 살면서 집에 일종의
면죄부가 붙여졌으니 굳이 때려부실 필요는 없을 것이다. 허나 문화재 지정 후순위로 두어 천
천히 지정을 하던가 요즘 개나 소나 지정된다는 등록문화재로 삼는 것이 어땠을까 싶은 아쉬
움도 살짝 든다. 뭐 이렇게 써봤자 허공에 메아리에 불과하지만...


▲  가옥(미술관) 현관 앞 (가옥 서쪽)

★ 남정 박노수(藍丁 朴魯壽, 1927~2013)의 간략한 생애
박노수는 1927년 2월 17일 충남 연기군(현 세종시)에서 태어났다. 1940년대에 청전 이상범의
문하로 들어가 그림을 배웠으며, 해방 이후 서울대 회화과에 진학했다.

그의 작품활동은 주로 국전(國展)에서 이루어졌는데 1953년 국무총리상, 1955년에 대통령상을
받았으며 1957년에는 추천작가를 지냈다. 이후 5.16민족상, 3.1문화상, 대한민국 문화훈장 등
을 받았고, 이화여대(1956~1962)와 서울대(1962~1982)에서 교수를 지냈다. 이후 서울대 명예
교수가 되었고, 국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1995년 자랑스러운 서울
시민 6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리고 왜열도 동경과 스웨덴, 미대륙에 다수의 국제전과 10
여 회의 국내외 개인전을 가졌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화제를 취하면서도 간결한 문필과 강렬한 색감, 대담한 터치 등 독자적
인 화풍을 구축해 전통 속에서 현대적 미감을 구현한 작가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으로
는 '달과 소년'이 있으며, 그의 많은 작품이 이곳에 진열되어 속인들의 정처없는 안구와 마음
을 다독거려준다.

남정은 1973년부터 2011년 말까지 이곳에 살았다. 2011년 죽음이 임박해진 그는 집과 소장품
등 재산의 상당수를 사회에 환원하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그해 11월 11일 자신의 집에서 미술
계 인사와 후배들, 제자들, 종로구청 관계자 등이 모여 기증협약식을 갖고 약속대로 집과 소
장품을 쿨하게 종로구청에 내주었다.
그가 기증한 물건은 그의 그림이 포함된 미술작품 500점, 수석과 여러 석물 379점, 오래된 가
구 66점, 개인 소장품 49점 등, 약 1,000여 점으로 그의 통 큰 기증은 서민의 쪽박까지 빼앗
으려 드는 졸부와 위정자들로 가득한 이 땅에 한줄기 빛과 같은 위대한 업적이었다. 그가 베
푼 대인의 기운은 친일파 집이라는 굴레를 지닌 이 가옥을 180도 달리 보이게 하는데 충분했
다.

종로구청은 남정의 뜻에 따라 기증받은 집을 종로구립 미술관으로 꾸미기로 하고 2012년 10월
에 개관하기로 했으나 상황이 여의치 못해 1년 연기되었다. 그 사이 남정은 그의 소망이던 미
술관 개관을 끝내 지켜보지 못하고 2013년 2월 25일, 86세의 나이로 안타깝게 숨을 놓고 말았
다.
그가 사라진 이후, 유족과 종로구청의 노력에 힘입어 남정의 손때와 예술혼이 서린 그의 집은
드디어 2013년 9월 11일,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나 천하에 문을
열었다. 개관 기념전으로 그의 대표적인 작품을 모아 '달과 소년전'을 가졌으며, 종로구 최초
의 구립 미술관으로 이곳이야말로 남정이 세상에 남긴 마지막 유작이자 아름다운 선물이다.

나는 근/현대 미술가에는 그리 관심이 없다보니 남정이 왜정과 현대를 거쳐간 원로 화가의 하
나로만 알고 있었다. 허나 이번에 그의 깊은 부분까지 파고드니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못
지 않은 대인(大人)으로 그의 이름 3자가 제법 크게 다가온다.


▲  무늬가 살아있는 석조대좌(臺座) (현관 앞)
무엇을 받치던 대좌였길래 무늬가 저렇게 요염한 것일까? 허나 대좌는 자신의 정체성을
잃은 채 망연히 뜨락 장식물의 일원이 되었다. 정체성과 역사를 잃어버리는 것만큼
무섭고 한심한 것은 없다.

▲  미술관 개원 기념으로 종로구청장이 남정에게 바친 메세지

▲  야외 전시관을 방불케하는 미술관 남쪽 뜨락

박노수 가옥은 크게 미술관으로 변신한 2층 가옥과 남쪽 뜨락, 그리고 북쪽 벼랑에 설치된 전
망대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 뜨락에는 남정이 수집한 온갖 수석과 문화유산 등이 가득 흩어져 있고, 소나무와 감나무
등 여러 나무와 꽃이 자리해 있어 조촐하게 자연과 문화가 잘 버무려진 야외 전시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그는 수석 취미가 대단하여 뜨락 안팎으로 수석들이 가득한데 군침이 돌 정도로
잘생긴 돌도 적지 않으며, 그가 도안해서 만든 석조 원탁과 돌의자 6기는 가족과 벗, 제자/후
배들과 이야기꽃을 피웠던 정겨운 현장이다.

▲  남정이 만든 석조 원탁과 돌의자 6기

▲  비석의 지붕돌인 가첨석(加檐石)


▲  귀여움과 고색의 때가 묻어난 조그만 호랑이상
어디서 데리고 왔는지는 모르지만 조선 후기 작품으로 여겨진다.

▲  또다른 호랑이상
호랑이를 고양이로 만든 옛 사람들의 손때로 피부가 꺼무잡잡하다.

▲  머리 위에 또다른 머리 장식을 둔 특이한 석등(石燈)
피부가 아직 반질반질하고 머리 장식이 특이한 흔치 않은 석등으로 20세기
초/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자세한 것은 모르겠음)

▲  향로석(香爐石)과 그 위에 수줍게 놓인 작은 수석

▲  물을 머금은 조그만 돌항아리와 분재들
벌써부터 수면에 떨어진 낙엽들이 인생의 마지막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돌항아리는 저들의 인생을 마무리 짓는 블랙홀인 모양이다.

▲  늦가을이 깃든 상큼한 남쪽 뜨락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  수석과 잡초, 꽃으로 가득한 가옥 동쪽

     ◀  집 동쪽에 솟아난 늘씬한 소나무
박노수가 심은 나무로 하늘과 가까운 줄기 끝
에 소나무 잎이 덩어리로 몰려있는 모습이 특
이하다. 나무의 높이는 거의 가옥 2층 정도 된
다.

▲  키 작은 태산목(목련목)
양옥란(洋玉蘭)이라고도 하며 박노수가
심었다.

▲  포치가 달린 가옥(미술관) 현관
구한말, 왜정 때 지어진 개인 양옥 가운데
포치가 달린 집은 흔치 않다.


▲  현관 앞에 놓인 커다란 돌확


 

♠  박노수 가옥(미술관) 현관과 전망대 주변

▲  현관을 지키고 있는 목조 동자상
세월이 달아놓은 주름으로 빛이 좀 바래 보이지만 앳된 표정은 변함이 없다.

    ◀ 가옥 현관과 여의륜(如意輪) 현판
지금은 유료의 공간이 되버린 박노수 가옥 내
부는 포치가 달린 현관을 통해 들어서면 된다.현관문에서 신발을 버리고 실내화로 갈아타면
되는데, 반지하층을 제외한 1층과 2층 상당수
의 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미술관 사무실은 1층
에 있다. 또한 '달과 소년'을 비롯한 박노수의
그림은 주로 2층을 장식하고 있으며, 1층은 박
노수의 생애와 그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
다. (내부 촬영은 통제됨)

현관문에는 한자로 쓰인 여의륜 현판이 걸려있다. 글씨가 꽤 큼지막하고 패기가 넘치는 모습
으로 박노수의 집에 있으니 그의 글씨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추사 김정희의 친필이다.
현판에 담긴 여의륜이란 모든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세간(世間), 출세간 이익을 더하는 것
을 본뜻으로 하는 보살(菩薩)을 뜻하는 말로 추사가 말년에 불교에 관심을 가지면서 서울 봉
원사(奉元寺)와 봉은사(奉恩寺), 팔공산 은해사(銀海寺), 해남 대흥사(大興寺) 등 천하에 유
명한 절을 유람하며 많은 글씨를 남겼다.

현판 우측에는 '승연노인(勝蓮老人)'이란 낙관이 찍혀있는데, 승연노인은 추사의 다른 아호(
雅號)이다. 이 현판을 손에 넣은 박노수는 현관문에 걸어두어 현관부터 미술가의 집 분위기를
진하게 우려냈다.


▲  근대 양옥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2층 벽난로
난방의 기능은 사라지고 이제는 무늬만 남아 한가로운 말년을 보낸다.

▲  2층 목조 다락방
다락방에 설치된 모니터에는 남정의 인터뷰 장면(1970~80년대로 여겨짐)이 나와
그의 생전에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 현관 앞에서 바라본 미술관 정문
조금씩 숨겨진 끼를 드러내며 경쟁자 북촌을 긴장시키는 서촌, 박노수 미술관은
바로 그 서촌의 새로운 활력소이자 허브이다. 평일임에도 제법 많은 이들이
찾아와 짧은 시간에 비해 너무 떠버린 이곳의 높은 인기를 실감케 한다.

▲  뚜껑이 닫힌 죽은 우물
친일파 윤덕영의 딸 내외와 박노수 가족의 목을 축여주었던 우물이다. 허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로 그 수맥이 끊기면서 이제는 껍데기만 남았다.

▲  커다란 수석 (현관 앞)
호랑이나 사자, 낙타가 웅크리고 앉아 망중한에 잠겨있는 모습 같다.

▲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과 홀을 쥐어든 조그만 석인(石人)

가옥 북쪽에는 수풀이 우거진 가파른 벼랑이 있다. 예술과 문학의 향이 깃든 가옥답게 대나무
도 삼삼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벼랑에 계단과 석물을 배치한 고즈넉한 산책로를 내
었고, 그 길의 끝에는 무려 전망대까지 두었다. 이 언덕 산책로와 전망대야말로 박노수 미술
관만이 가진 강한 매력이자 백미라 칭할 만하다.

산책로 입구에는 고색이 묻어난 조그만 석인이 홀을 쥐어들며 안내인처럼 자리해 있다. 제자
리를 잃고 방황하는 그를 남정이 데리고 온 것인데 고향을 잃은 충격 때문일까? 석인은 좀처
럼 자신의 사연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하긴 이곳에 이끌려온 석조 문화유산 모두 제자리를 잃
은 가련한 처지이다. 아마도 사람이 들을 수 없는 그들만의 속삭임으로 고향을 잃은 동병상련
의 한을 달래지는 않을까?
투박하게 닦여진 돌계단을 오르면 북쪽으로 난 아주 짧은 샛길이 있는데, 대나무로 둘러싸인
그곳에는 돌의자가 놓인 조그만 쉼터가 있다. 그리고 숲길을 마저 오르면 나무로 지어진 전망
대(전망데크)가 나타난다.

이 전망대는 박노수 가옥을 미술관으로 바꿀 때 지은 것으로 예전에는 그냥 나무와 풀만 있었
다. 숲길에는 조그만 돌의자가 여럿 있는데 남정은 이들 의자에 앉아 천하를 바라보며 작품을
구상하거나 온갖 망중한에 잠겼을 것이다.
전망대까지 인도한 숲길은 담장 앞에서 뚝 끊겨버려 적지 않게 달아오른 숲길의 여흥을 깨뜨
려버린다. 지금이야 이렇게 막혔지만 윤덕영이 한참 인왕산의 산소를 축내던 시절에는 바로
옆에 자리한 벽수산장까지 이어져 있었다.

전망대에 서면 가옥의 뒷모습을 비롯해 옥인동 일부와 옛 인경궁(仁慶宮)터인 배화여자대학이
바라보인다. 이곳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이나 두 눈에 들어오는 천하의 범위는 우물안 개
구리 수준이다. 그래도 주어진 공간을 최대로 활용해 이런 곳까지 갖추니 정말 알차긴 알차다.

▲  숲길에서 만난 조그만 향로석

▲  숲길에서 만난 장명등


▲  숲길 끝 벼랑에 다리를 걸친 전망대
숲길과 돌의자, 석물은 박노수 시절의 것이고 전망대는 2013년에 단 것이다.

▲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옥의 뒷모습과 지붕
건물의 모습은 양옥이지만 지붕만큼은 거의 한옥 스타일이다. 윤덕영이 14동의 한옥을
지을 때 자신의 벽수산장을 제외하고 모두 한옥으로 지었으면서 왜 딸의 집만
이렇게 이채로운 모습으로 지어주었을까?

▲  전망대에서 바라본 좁은 천하
옥인동과 통인동 지역이 주류를 이루며, 광화문 부근도 조금씩 시야에 들어온다.

▲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굴뚝
지붕에는 붉은 벽돌로 이루어진 굴뚝 5개가 뿔처럼 솟아나 집의 멋스러움을 한층
수식한다. 1층 지붕에는 2개, 2층에는 3개가 달려있는데, 이중 3개는
벽난로용, 나머지는 부엌용이다.

▲  가옥 북쪽 굴뚝과 언덕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왼쪽)

▲  가옥 동쪽에 자리한 장독대와 창고

남정 일가가 사용하던 장독대가 창고 위에 놓여있다. 남정의 작품은 장독대에서 숙성된 여러
음식의 힘이라고 봐도 절대 과언을 아닐 것이다. 허나 그들이 떠난 이후 이제는 인생처럼 공
허한 장독대가 되어 뜨락 장식물의 일원으로 조용히 묻혔다.

※ 옥인동 박노수 가옥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 찾아가기 (2017년 11월 기준)
* 지하철 1,2호선 시청역(4번 출구), 5호선 광화문역(2번 출구),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
  서 종로구 마을버스 09번을 타고 박노수미술관 하차, 도보 1분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1,2번 출구)에서 도보 15분
* 입장료 : 성인(25~64세) 3,000원 (20명 이상 단체 1,800원) / 청소년 1,800원 (단체 1,200
  원) / 어린이 1,200원 (단체 600원) / 종로구민은 50% 할인
* 관람시간 : 10시~18시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과 한가위 당일은 휴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68-2 (옥인1길 34, ☎ 02-2148-4171)


 

♠  다쓰러져간 매국노 윤덕영의 고래등 기와집

▲  옛 윤덕영 집 돌계단

옥인동 47-133번지 주변은 새 주택과 헌 주택, 달동네 스타일의 집이 공존하는 현장이다. 바
로 그곳에 윤덕영의 기와집이 1채 남아있다.
윤덕영은 서촌(웃대)에서 가장 풍경이 아름다운 송석원과 옥인동 일대를 싹 매입하여 그곳에
자신의 탐욕을 풀어놓았는데 송석원에 큼지막한 서양식 별장을 짓기로 작정하고 프랑스 공사
(公使)를 지낸 민영찬을 통해 건물 설계도를 의뢰했다.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독일인 감독관
을 고용하여 1914년 집을 짓기 시작해 10여 년의 공사 끝에 완성을 보았다.

그 집은 무려 222평 크기의 프랑스식 건물로 자신의 호를 따서 벽수산장(碧樹山莊)이라 하였
다. 또한 송석원에 있다고 해서 '송석원별장'이란 별칭도 가지고 있었다. 산장 주변에는 14동
의 한옥을 지어 가족과 자식, 첩들과 모여 살았는데, 소나무와 사과나무가 무성하던 벽수산장
북쪽에 1고주 7량집의 99칸 기와집을 지어 첩의 거처로 삼았다. 그 집이 바로 이곳이다.

윤덕영이 1940년 골로 간 이후, 그의 자식들이 재산을 말아먹으면서 벽수산장은 왜열도 회사
인 미쓰이에게 넘어가고, 14동의 기와집도 거진 남의 손에 넘어갔다. 6.25 이후 서울의 폭발
적인 인구 증가로 벽수산장 주변에 무허가 집이 난립을 했고, 약간 처지가 괜찮은 이들은 윤
덕영의 한옥을 1칸씩 차지해 서울살이를 했다. 그렇게 서울을 휩쓴 근대화의 회오리로 그의
부질없는 한옥들은 대거 다운당했고, 지금은 박노수 가옥과 이 한옥만 간신히 남게 되었다.

한옥에는 현재 여러 가구가 살고 있는데, 대지를 공동으로 소유하며 각각 별도의 출입구를 두
어 1지붕 여러 가족을 이루고 있다. 매국노의 악취가 코를 찌르는 기와집이 힘겹게 서울살이
를 하는 서민들의 소박한 삶터가 된 것이다. 그러다보니 형태가 적지않게 변질되고 수리도 제
대로 받지 못해 20세기 초반 최상류층 고래등 가옥은 이제 거의 쓰러지기 직전의 허름한 몰꼴
이 되었다. 마치 무관지옥으로 개처럼 끌려갔을 윤덕영과 아비의 재산으로 팔자좋게 살다가
가산을 말아먹은 그 자손들처럼 말이다.

비록 빛은 많이 바랬지만 한 시대를 나쁘게 풍미했던 권력자가 살던 현장이라 집에 쓰인 공사
자재는 거의 고급 수준이며, 단풍나무가 그늘을 드리운 한옥 동쪽에는 제법 품격이 돋보이는
석조 계단을 늘어뜨렸다. 지금이야 주택들 사이에 끼어있는 가련한 신세라 골목길 계단 정도
로 실감이 나진 않겠지만 왕년에는 궁궐 계단 못지 않은 위풍을 자랑했다. 게다가 일반 한옥
에서는 보기 힘든 계단의 소맷돌, 장대석 주초, 처마 장식, 장식이 새겨진 벽 등을 갖추고 있
어 예사 한옥이 아님을 귀띔해준다.
그러다보니 버리기는 좀 아까워 서울시에서 1998년 남산골한옥마을을 조성하면서 이 집을 옮
기려고 했는데, 나이에 비해 한옥이 너무 낡아 이전이 불가능하자 부득이 예전 모습 그대로
본을 따서 새롭게 짓는 선에서 끝을 냈다. 그리고 집 이름은 그 더러운 주인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냥 '옥인동 윤씨 가옥'이라 하였다. (가옥의 면적은 225.79㎡)

참고로 윤덕영의 아우로 형못지 않던 쓰레기 매국노인 윤택영(尹澤榮, 1866~1935)의 재실(齋
室)도 남산골한옥마을로 옮겨져 한가한 노후를 보내고 있다.

▲  위에서 본 돌계단과 단풍나무

▲  계단 끝에 자리한 옛 윤덕영 집


▲  서민의 삶터가 되버린 옛 윤덕영 집
허름한 모습 속에 아직 고급 기와집의 기품이 남아있다.
 

계단을 오르면 윤덕영 집이 일부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서 북쪽으로 휘어진 계단을 오르면 집
대문인데 서민들의 거처가 되버린 탓에 갖은 생활도구와 가스관, 전깃줄, 편지함으로 주변이
참 어수선하다. 게다가 대문도 굳게 잠겨져 있고, 골목길도 막혀버려 세세한 집 구경은 어려
운 실정이다.

지금은 잠잠하지만 혹여 나중에 개발의 칼질이 그어지면 이 한옥도 무사하지는 못할 것 같다.
이미 남산골한옥마을에 본을 따서 지은 집이 있기 때문이다. 허나 그곳의 집은 엄연히 새 집
이라 고색의 냄새가 없는 이 땅의 흔한 민속촌의 한옥 같은 인상이다. 반면 이곳은 100년 가
량 묵은 한옥이라 겉모습에서 벌써 고색의 향이 피어올라 고택의 기분을 들게 한다.
이곳을 만약 밀게 된다면 모두 가루로 만들지 말고 지붕과 벽, 목재 등을 모두 수습해 남산골
에 있는 윤씨가옥을 다시 손질했으면 좋겠다. 비록 매국노의 잔재라 껄끄럽긴 하지만 '박노수
가옥'도 박노수 화백 덕분에 개과천선하여 아주 새로운 삶을 사는 것처럼 이 한옥도 서민들의
오랜 삶터로 그들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긴 현장이다. 게다가 20세기 초반 상류층 한옥의 형태
를 잘 간직하고 있으니 한옥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되어준다.

옛 윤덕영 집을 끝으로 늦가을 서촌의 일부 더듬기는 막을 내린다. 다른 명소는 별도의 글에
서 다루도록 하겠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7년 11월 1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7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서촌의 끝자락을 더듬다 ~~~ (인왕산 한양도성, 딜쿠샤, 행촌동은행나무, 홍난파가옥 등)

 


' 서촌의 끝자락을 거닐다. (사직동, 행촌동, 송월동 지역) '

▲  한양도성 (인왕산 남쪽 기점 ~ 사직터널 구간)


 

♠  한양도성(漢陽都城, 사적 10호) 인왕산 남쪽 기점~사직터널 구간

▲  무악동과 행촌동 뒤쪽으로 울퉁불퉁 흐르는 한양도성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2번 출구)에서 독립문초등학교와 무악현대아파트를 지나 가파른 오르막
길(통일로18나길)을 지나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렇게나 좋아하는 'S'라인 비슷한 굽이길이 나
온다. 그 길을 지나면 한양도성과 만나는 해발 130m의 고개 정상이다. 이곳이
인왕산(仁王山)
남쪽 기점으로 북쪽으로 각박하게 펼쳐진 성곽길을 따라 올라가면 인왕산 정상이고, 남쪽으로
펼쳐진 성곽길을 내려가면 사직터널 위쪽과 교남동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성곽이나 인왕산에
관심이 전혀 없다면 고갯길을 그대로 넘어가자. 그러면 도심 속의 산악도로인 인왕산길이 마중
을 나올 것이다.

인왕산 남쪽 기점에서 만난 한양도성은 북쪽으로 인왕산 주능선을 따라 정상(338m, 또는 340m)
을 거쳐 창의문<彰義門, 자하문(紫霞門)>으로 이어지며, 성곽은 온전하게 남아있다. 그리고 인
왕산 정상에서 한 갈래의 성곽이 조심스럽게 북쪽으로 내려가는데, 그 성곽은 탕춘대성
(蕩春臺
城)으로 홍제천(弘濟川)에 자리한 홍지문(弘智門)
을 거쳐 북한산성(北漢山城)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곳 남쪽은 인왕산의 완만한 줄기를 타고 사직터널까지 1리 정도 이어지는데, 그 줄기는
경희궁(慶熙宮) 옆구리까지 이어진다. 허나 성곽은 사직터널 위쪽에서 그만 끊기며, 그 이남은
집들이 가득 들어차 성곽의 흔적을 찾기 힘들다. 그나마 월암근린공원에서 잠시 근래에 복원된
성곽이 펼쳐지긴 하지만 그것도 얼마 흐르지 못하고 끊기고 만다. 이후로 한참 가야 나오는 남
대문에서 간의 기별도 안갈 정도로 성곽이 나오고 남산 백범광장에 들어서야 그나마 속 편하게
성곽이 가슴을 핀다.
끊어진 남대문과 월암근린공원 사이에 있던 서대문<西大門, 돈의문(敦義門)>과 서소문<西小門,
소의문(昭
義門)>은 고약한 왜정(倭政)의 의해 모두 사라져 정확한 자리조차 아리송한 실정이다.
그럼 여기서 서울 도심의 든든한 갑주였던 한양도성에 대해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1388년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이란 그 유명한 쿠데타를 일으켜 자신이 몸담던 고려 왕조를 싹
갈아엎고 조선이란 비리비리한 왕조를 세운 이성계(李成桂), 그는 1394년 남경(南京)이라 불리
던 한양(서울)으로 도읍을 옮겼다. 그의 도성 천도 프로젝트에는 천하 제일의 대학자이자 정치
가로 명망이 높던 정도전(鄭道傳)이 그 중심에 서서 도읍 천도와 도성 축조계획을 세웠는데,
1395년까지 경복궁, 종묘, 사직단, 대략적인 한양 시가지 등을 지어놓고 1396년 1월 도성 축조
에 들어갔다.
한양도성 코스는 정도전이 짰으며, 도읍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자 내사산(內四山)인 북악산(北
岳山, 백악산), 인왕산(仁王山), 남산(南山), 낙산(駱山, 낙타산)을 모두 끼게 했다. 성곽 길
이는 59,500자(18.2km)로 고려의 도읍인 개경<開京, 나성(羅城) 길이만 23km>보다는 작은 수준
이며, 평지는 토성(土城), 산지에는 석성(石城)을 지었다.
이때 천하에 징발령을 내려 11만 8천명을 동원, 49일 동안 성곽의 대부분을 완성했고, 농사철
이 다가오자 축성을 잠시 멈추고 집으로 돌려보내 농사를 짓게 했다. 농사를 지어야 뜯어먹을
세금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농사철이 끝나는 8월 다시 79,400명을 콩볶듯이 동원, 49일
동안 빡세게 굴려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고 4대문과 4소문까지 지어 도성 축조는 마무리 되었다.


▲  한양도성 산책로
두툼하게 만든 여장 너머로 성밖 풍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토성으로 지은 부분이 마음에 걸렸던 세종은 성곽 전체를 석성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기로 마음
을 먹었다. 하여 1422년 1월, 무려 32만 2천명의 인부와 기술자 2,200명을 동원하여 보수 작업
에 들어갔다. 그 시절 한양 인구가 10만 명이었다고 하니 보수 작업의 규모가 얼마나 대단했는
지를 가늠케 해주며, 이때 동원 규모는 가히 조선 최대였다.
허나 아무리 현군(賢君)으로 추앙받는 세종이라지만 공사를 너무 닥달했는지 죽어나간 일꾼이
872명에 달했으며, 그 공사 결과 성곽 높이 40척 2촌, 여장 4,664첩(堞), 치성(雉城) 6곳, 곡
성(曲城) 1곳, 성랑(城廊) 15곳을 갖춘 아주 늠름한 도성이 되었다. 그리고 1426년 수성금화도
감(修城禁火都監)을 두어 도성을 관리케 했는데, 성곽을 워낙 단단히 지은 탓에 20세기까지 스
스로 붕괴된 적이 없으며, 보수도 겨우 1차례만 벌였다. (인위적으로 철거되거나 전쟁 폭격을
받은 것은 제외)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지자 선조(宣祖)는 신하들을 데리고 북쪽으로 줄행랑을 쳤다. 하여
도성은 왜군에게 아주 허무하게 무혈점령되고 만다. 그런 꼬라지를 막아보고자 온갖 욕을 들어
가며 단단하게 지었건만 오늘날도 그렇고 그때도 그렇고 소위 윗대가리들의 무능으로 눈을 뜨
고 적군이 도성 안에 들어오는 꼴을 지켜봐야만 했다. 하지만 치열한 수성전(守城戰)이 없어서
성곽과 성문은 피해가 없었다.

1704년(숙종 30년) 숙종(肅宗)은 혹시나 모를 청나라와의 전쟁을 대비해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
치고 성곽을 보수했다. 이때 버려져 있던 북한산성(北漢山城)도 크게 손질 했는데, 그 안에 행
궁(行宮)과 여러 관청, 창고를 갖춘 조그만 도시를 만들고 도성과 북한산(삼각산)을 잇는 탕춘
대성(蕩春臺城)을 쌓아 도성의 수비력을 한층 드높였다.
이렇게 조금의 빈틈도 없이 조선의 심장, 한양(서울)의 든든한 갑주로 위엄을 드러내던 한양도
성은 근대화의 물결이 요동치던 1899년 이후 팔자가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1899년 조선 황실은 미국 사람인 콜브란(Corlbran)과 합작해 한성전기주식회사를 만들었다. 콜
브란은 고종 황제에게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능인 홍릉(洪陵)까지 편하게 거둥하라며 전차(電
車)의 필요성을 건의, 그해 12월 서대문에서 종로를 거쳐 홍릉 남쪽인 청량리(淸凉里)까지 이
어지는 전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때 전차의 통행을 위해 부득이 동대문과 서대문의 양쪽 성
벽을 싹둑 자르면서 성곽에 가려 보이지 않던 도성의 속살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00년에는 종로와 용산(龍山)을 잇는 전차 노선이 생겨 남대문 양쪽 성벽도 잘려나갔
다. 허나 그래도 여기까지는 황제의 명으로 시내 교통 편의를 위해 그런 것이니 이해는 된다.
허나 문제는 1905년 이후이다.


▲  한양도성과 주택가 사이를 가르는 행촌동 인왕산로1길 (경희궁 방향)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왜국은 서울에 통감부(統監府)를 설치, 그 소속으로 1908년 '
성벽처리위원회'라는 해괴한 기관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도성을 들쑤시기 시작했다. 1910년 이
후 서소문<소의문(昭義門)>과 서대문<돈의문(敦義門)>은 물론 동소문<혜화문(惠化門)>까지 밀
어버리면서 망국(亡國)의 서울을 욕보인 것이다.
그렇게 빼앗긴 들에서 차디찬 시련을 견디며 35년 만에 봄을 찾았건만 바로 무섭게 6.25가 발
발하면서 왜정이 남긴 상처만큼이나 무거운 상처를 입었다. 그래서 6.25이후까지 살아남은 성
문은 남대문(숭례문)과 동대문(흥인지문), 창의문(자하문), 숙정문(肅靖門), 광희문(光熙門)
뿐이며, 성벽은 북악산과 성북동, 낙산, 장충동, 남산, 인왕산 등 10.5km 정도만 겨우 남았다.

이렇게 영욕의 상처를 품고 쓰러진 성곽을 1975년부터 손질하기 시작하여 광희문과 숙정문을
복원하고, 남아있던 성곽을 수리했다. 이후 동소문을 제자리 북쪽에 다시 일으켜 세우고, 사라
진 성곽에 대한 복원에 착수하여 옛날의 면모를 서서히 되찾고 있다. 또한 2010년 이후에는 시
민과 답사객을 위해 성곽을 따라 탐방로를 닦았는데, 북악산 주변을 제외하고는 언제든 출입이
가능하다. (인왕산 성곽길은 매주 월요일은 못감) 다만 성곽이 사라진 부분<사직터널 윗쪽~월
암근린공원, 서울시교육청~남대문, 남대문~남산육교, 장충단고개~옛 타워호텔 남쪽, 장충체육
관 고개~광희문, 광희문~동대문, 동소문고개~성북쉼터>
은 인근 골목길을 이용해야 된다.

예전에는 서울성곽이라 불렸으나 2011년 7월 '서울성곽'에서 '한양도성'으로 문화재청 지정 명
칭이 바뀌었다. 허나 서울성곽이란 이름도 여전히 통용되고 있으며, 한양성곽이라 불리기도 한
다. 어차피 서울에 있는 성곽이고 한양을 둘러싸던 성곽이니 서울성곽, 한양성곽이라 불러도
크게 상관은 없다. (본글에서는 한양도성으로 통일함) 게다가 서울이란 이름도 이 성곽에서 유
래되었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인왕산 선바위 전설과 조금 비슷함)

태조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으며 어떤 코스로 성을 쌓을지 고심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난데없이 큰 눈이 내렸는데, 다음 날 아침 눈을 떠보니 글쎄 한양 주위로 마치 성곽 모양으로
눈이 쌓여져 있었다. 그래서 하늘이 친히 성곽 자리를 정해준 것이라 여겨 눈 쌓인 자리에 성
곽을 쌓게 했다. 눈이 쌓인 자리 즉 눈울타리<그것을 한자로 하면 설울(雪圍)>를 따라 성을 쌓
았다고 하여 설울이라 불렀는데, 그것이 나중에 서울로 변했다고 한다.
서울은 이 땅의 수도 이름이기도 하지만 나라의 수도를 뜻하는 명사이기도 하여 수도(首都) 대
신 많이 쓰이기도 한다.


▲  한양도성 밖 행촌동 인왕산로1길 (인왕산 방향)

인왕산 남쪽 기점에서 남으로 1리 가면 사직터널 윗쪽(사직동)에 이른다. 그 중간에는 성 밖으
로 나가는 조그만 암문(暗門)이 나오는데, 이는 동네 주민들의 통행을 위해 만든 것이다. 여기
서 성밖은 교남동(행촌동) 산동네 주택가, 안쪽은 성곽길과 인왕산 숲이다.

인왕산에서 힘차게 내려온 한양도성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남쪽(송월1길)에서 잠시 그 길이 끊
기고 만다. 성곽이 있어야 될 자리에는 집들이 우후죽순 들어차 달릴 공간 조차 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서울시에서 도성을 완전히 복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하니 철저히 고증하여 그 주변
에 첩첩이 들어찬 집들을 밀어내고 (물론 보상과 이주는 넉넉히) 복원을 했으면 좋겠다.

※ 한양도성 인왕산 남쪽 ~ 행촌동 구간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2번이나 3-1번 출구를 나오면 무악현대아파트로 가는 도로가 나온다.
  그 길로 들어서 무악현대아파트 직전에 윗쪽으로 오르는 계단길이 나오는데 그 계단을 올라
  무악어린이집에서 왼쪽으로 가면 1굽이 지난 곳에 오른쪽 오르막길이 있다. 그 길로 오르면
  한양도성이 보이면서 인왕산 남쪽 기점에 이른다. (독립문역에서 도보 15분)
* 사직단 버스정류장<연세대, 무악재 방면 정류장 : 171, 272, 606, 706, 7025번 시내버스 정
  차 / 광화문 방면 정류장 : 171, 272, 601, 606, 700, 707, 7025, 9703번 정차> 바로 서쪽에
  돌담을 옆구리에 낀 인왕산길이 있다. 그 길을 3분 정도 가면 단군성전이 나오는데, 여기서
  광화문아트홀 방면 왼쪽 길(인왕산로1길)로 4분 가면 한양도성이 나온다.
*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3번 출구)이나 3호선 독립문역(3번 출구를 나와서 행촌의원 앞에 정
  류장이 있음)에서 한국사회과학자료원에서 내리면 바로 한양도성이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악동, 행촌동, 교남동


▲  은행나무가 가로수를 이루고 있는 송월1길 (왼쪽이 한양도성)


 

♠  서촌(西村)의 끝자락 행촌동(杏村洞)에서 만난 숨겨진 명소들

▲  행촌동 은행나무 (늦가을 사진) - 서울시 보호수 1-10호

사직터널 윗쪽이자 인왕산 남쪽 자락의 끝을 잡은 행촌동은 조금은 빛바랜 산동네이다. 그렇다
고 옛날 달동네처럼 주황색 기와를 지닌 허름한 집들이 즐비한 그런 곳은 아니다. 온갖 빌라와
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찬 서울의 흔한 동네로 그 주택가 속에 행촌동 은행나무와 권율장군의 집
터, 그리고 딜쿠샤란 명소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딜쿠샤 곁에 자리한 행촌동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420년에 이르는 장대한 나무로 행촌동의 오
랜 터줏대감이다. 아무리 먹어도 마르지 않는 세월이란 덧없는 양분과 동네 사람들의 보살핌에
힘입어 높이 23m, 둘레 6.8m에 이르는 큰 나무로 어엿하게 성장했다. 허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
이 이곳까지 미치면서 그의 보금자리는 크게 좁아졌고, 이렇게 주택 사이에 비좁게 자리해 마
치 강제 샛방살이로 비쳐질 정도이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건강은 양호하며, 자신의 둥지를 침범한 건방진 인간들을 미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우수한 품질의 그늘과 은행잎을 선사해 넉넉한 마음을 드러낸다.

행주대첩(幸州大捷)의 영웅이자 이곳에 살았던 권율이 손수 심었다고 전하며, 주인은 오래 전
에 갔지만 그의 사연을 끈질기게 붙잡으며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바로 이 나무 때문에
동네 이름이 행촌동(은행나무 마을)이 된 것이다. 참고로 은행나무는 태반이 사람이 심은 것이
며 자연적으로 싹을 내린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서울 장안에서 오래된 아름다운 은행나무를 꼽으라면 방학동(放鶴洞) 은행나무와 성균관(문묘)
은행나무(대성전 은행나무 포함), 당산동 은행나무 그리고 이곳 은행나무를 내세우고 싶다.


▲  은행나무 밑에 누운 권율(權慄) 장군 집터 표석

은행나무가 있는 곳은 권율(1537~1599)의 집터로 인근 필운동(弼雲洞) 배화여고에도 그의 집이
있었다. 필운동 집은 그의 사위이자 오성과 한음으로 격하게 유명한 오성 이항복(李恒福)에게
물려주었으니 그 집이 바로 필운대(弼雲臺)이다. (현재 필운대란 바위글씨가 남아있음)
그렇다면 임진왜란의 영웅, 권율(權慄)은 누구일까?

권율은 안동 권씨로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과 모악(暮嶽). 시호는 충장(忠莊)
이다. 1582년 식년시 문과(式年試 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했는데 임진왜란 때 전쟁에서 크
게 활약한 것으로 보아 무예도 제법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와 전적(典籍)을 거쳐 1587년 전라도도사(全羅道都使)와 예조정랑(禮曹
正郞), 경성판관(鏡城判官) 등을 지냈으며, 1591년 평안도 의주목사(義州牧使)가 되었으나 업
무상 과실로 파면되었다.
허나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자 급히 경기도 광주목사(廣州牧使)로 임명되어 그곳으로 달려갔
으며 전라도 순찰사(巡察使) 이광(李珖)과 방어사(防禦使) 곽영(郭嶸)이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군사 4만을 모아 서울로 올라오자 곽영의 휘하에 들어가 중위장(中衛將)이 되었다.
이광과 곽영은 수원과 용인에 각각 진을 치고 주변에 있는 왜군을 토벌하려고 했다. 이에 권율
은 주변에 조금씩 흩어진 적들을 치지 말고 임진강(臨津江)에서 그들의 서진(西進)을 막아 군
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적의 빈틈을 노리면서 조정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고 의견을 냈다. 허나 뇌에 주름이 가득한 이광은 그 말을 무시, 오로지 머릿 수에 의지
해 용인에 있는 왜군을 공격했다.

이광의 군사는 4만(왜국은 10만이라고 주장함)에 이르나 태반이 칼과 창도 제대로 못잡는 오합
지졸이었다. 그에 반해 용인에 머물던 왜군은 왜열도에서 나름 알아주던 와키자카 야스하루(脇
坂安治)로 수백 명의 정예 기병으로 저항을 했다.
허나 조선군은 그 수백에 불과한 왜군에게 완전히 박살이 나고 싸움에 서툴렀던 선봉장 이시지
(李詩之)와 백광언(白光彦)이 전사하는 등, 그야말로 개망신을 당했다. 허나 권율은 이를 직감
하고 신중하게 처신하여 휘하 군사를 잃지 않고 광주로 물러나 후일을 도모했다.

1592년 가을, 전라도 남원으로 내려가 1,000명의 군사를 모집해 동복현감(同福縣監, 전남 화순
동복면) 황진(黃進)과 함께 이치(梨峙)에서 전주(全州)로 진출하려는 고바야카와(小早川隆景)
의 왜군을 막았다. 초반에 황진이 조총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 군사의 사기가 잠시 떨어졌으
나 권율이 군사를 독려하여 왜군을 격퇴하고 승리를 거뒀다. 그렇게 왜군의 호남 진출을 막았
으며, 그 공으로 전라도 감사(監事)로 승진되었다.
1592년 12월, 서울 수복을 위해 1만의 군사를 이끌고 천안 직산(稷山)에서 머물렀는데, 체찰사
(體察使) 정철(鄭澈)이 그 많은 인원을 먹일 군량이 없으니 돌아가서 관내를 지키는 것이 좋겠
다고 편지를 보냈다. 허나 행재소(行在所)에서 북상하라는 명이 떨어지면서 곧바로 군을 이끌
고 수원 남쪽 독산성<禿山城, 오산 세마대(洗馬臺)>에 들어가 진을 쳤다.

한편 권율이 독성에 이르렀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왜장 우키타(宇喜多秀家)는 후방과 차단될 것
이 두려워 서울에 있던 군사를 이끌고 독산성을 선제 공격했다. 허나 권율은 성문을 굳게 닫고
수비만 할 뿐이라 왜군의 피해는 나날이 늘어갔다.
뚜껑이 열린 우키타는 사람을 보내 독산성의 약점을 탐지한 결과 물이 부족하다는 정보를 입수
하고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 바로 성 밑에 큰 못을 파니 과연 성 안에 물이 마르면서
조선군의 식수에 비상이 걸렸다.
허나 권율은 당황하지 않았다. 비범한 인물답게 명쾌한 꾀를 낸 것이다. 그래서 동이 트는 이
른 아침에 왜군이 잘보이는 곳에 말을 세워놓고 쌀을 부어 말을 씻기는 시늉을 벌였다. 그것을
본 단순한 왜군은 성 안에 물이 부족하다는 것이 거짓임을 알고 크게 동요했다고 한다. 바로
그때를 이용해 공격을 가하자 발작한 우키타는 영책(營柵)을 불지르고 서울로 줄행랑을 쳤고,
정예 기병 1,000명을 미리 보내 퇴로를 차단하고 왜군 수천을 죽였다.

1593년 1월, 서울 수복을 위해 조경(趙儆)을 보내 근교에 마땅한 곳을 물색하다가 행주산성(幸
州山城)으로 들어가 목책(木柵)을 쳤다. 그곳은 서울과도 가깝고, 한강을 끼고 있으며, 조망도
좋고, 인근에 여러 요새와 함께 연합 작전을 펴기에 아주 좋은 위치였다. 허나 석성(石城)이
아닌 야트막한 토성(土城)이라 수비전에는 썩 유리한 편은 되지 못했다. 그래서 서둘러 목책을
엮었다.
목책이 완성되자 독산성에 병력 일부를 남기고 모두 불러들였으며, 별도로 4,000명을 뽑아 전
라병사(全羅兵使) 선거이(宣居怡)를 시흥 호암산(虎巖山, ☞ 관련글 보러가기)으로 보내 후방
을 돕도록 했다. 그때 처영(處英)이 이끄는 승병(僧兵) 1,000명이 행주산성에 합류했다.

권율은 소수의 군사를 보내 서울을 공격했고, 고양 혜음령(惠陰嶺)에서 왜군에게 박살난 명나
라군을 도와 그들의 전멸을 막아주었다. 이렇게 권율의 활약에 적지않게 염통이 쪼그라든 왜군
은 그가 있는 행주산성을 쓸어버리기로 마음 먹고, 앞서 독산과 인근의 군사를 싹 긁어모아 무려 3만의 대군으로 1593년 2월 행주산성을 공격했다.
그때 행주산성에 있던 조선군은 승병을 합해서 겨우 약 2,800명, 그외에는 군사들을 도우러 성
에 들어온 밥할머니를 중심으로 한 아낙네들과 지역 사람들이 있었다.

왜군은 7부대로 나눠 맹렬하게 공격을 퍼부었다. 행주산성이 견고한 성이 되지 못하다보니 여
러번 위기가 있었으나 권율의 뛰어난 통솔력과 군사와 백성들의 강인한 협동심으로 다들 일당
백의 위엄을 드러내며 적들을 잘 다져진 고깃덩어리로 만들었다. 또한 화차(火車)와 비격진천
뢰(飛擊震天雷)란 신식 무기가 열심히 나래를 펼쳐 왜군의 염통을 쫄깃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밥할머니의 행주치마 부대는 치마로 돌을 나르고 군사들의 밥을 나르는 등, 서로가 단결하니
왜군은 결국 1만 명의 사상자를 내고 수천 명의 전사자 시신을 불태우며 도망쳤다.
이 싸움이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니 권율과 조경, 처영, 조선군과 승군, 밥할머
니의 아낙네들, 지역 사람들이 빚어낸 대작품이었다.

이후 파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부원수 이빈(李薲)과 함께 후방을 지켰으며, 전라도
로 내려갔다가 그해 6월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都元帥)로 승진해 경상도에 주둔했다. 1596
년에 도망친 병사를 즉결처분한 것으로 잠시 해직되기도 했으나 바로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임
명되어 호조판서(戶曹判書)와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다시 도원수가 되었다.성에서 크게 패한 우키타가 서울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터지자 밥버러지 명나라군과 함께 왜군이 머무는 울산성(蔚山城)
을 공격했다. 허나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가 부실하여 겁에 질려 도망치는 바람에 함락시키지
못했으며, 순천으로 자리를 옮겨 순천 예교(曳橋)에 머물던 왜군을 공격했으나 역시나 병든 닭
새끼 같은 명나라군의 비협조로 함락시키지 못했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내려갔으나 그해를 넘기지 못하고 7월 장대한 인생
을 마감하니 그의 나이 62세였다. 선조(宣祖)는 그에게 영의정(領議政)을 추증했으며,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으로 삼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봉해 그의 공을 기렸다.

권율은 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한 명장으로 바다에 이순신(李舜臣)이 있다면 육지에는 정기룡(
鄭起龍)과 곽재우(郭再祐), 그리고 권율이 있었다. 비록 초창기 용인 싸움에서 어리버리한 상
관들 때문에 졌고, 정유재란 때는 밥버러지 명나라군 때문에 적지 않은 고생을 했지만 그외에
는 모두 대승을 거두었다. 특히 행주대첩은 적은 군사로 10배 이상의 왜군을 물리친 우리 전쟁
사의 길이 빛나는 장쾌한 대첩이다. 그의 활약과 공훈에 대해서는 '권원수실적(權元帥實蹟)'이
란 책이 1권 전하고 있다. 그의 묘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에 있으나 인근이 유원지화되어 늘 시
끄러우니 편하게 잠이나 주무실지는 모르겠다.


▲  근대 건축물인 딜쿠샤(Dilkusha)

행촌동 은행나무 서쪽에는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2층 건물이 자리해 있다. 딱 봐도 20세기 초
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로 지금은 원형을 조금 잃었지만, 한참이나 후배인 건물들 사이에서 의
연함을 잃지 않으며 중후한 멋을 드러낸다.

이 건물은 '딜쿠샤'란 이름의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2층의 붉은 벽돌집이다. 1923년 미국 사
람 알버트 테일러(Albert Taylor)가 금광과 언론 특파원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지은 고래등 집
으로 여기서 딜쿠샤는 '이상향', '행복한 마음','희망의 궁전'을 뜻하는 인도 힌두어이다.

테일러는 금광엔지니어이자 UPI통신사 프리랜서 특파원으로 이 땅에 들어왔다. 1919년 3.1운동
소식을 천하에 널리 알린 인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가들과 자주 어울리고 그들을 흔쾌히 도와
주었다. 그러다보니 왜정은 그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계속 감시를 하다가 1942년 독립운동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6개월간 감옥살이를 시켰다가 가족과 함께 추방시키고, 딜쿠샤는 왜정이 몰
수해 민간에 팔아먹었다. 그렇게 강제로 이 땅을 떠난 그는 1948년 미국에서 숨을 거두었고 그
의 유해는 이 땅으로 다시 건너와 서울 합정동(合井洞) 외국인묘지에 안장되었다.

이후 딜쿠샤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존재와 사연을 망각한 채, 그저 왜정 때 지어진 근대 건
축물의 하나로 조용히 살아왔다. 사람들이 각 방마다 들어와 살면서 원형도 조금씩 깎여나갔고,
집도 낡아 개발의 칼질로부터 위협을 받을 정도였으나 다행히 2006년 알버트의 아들인 브루스
테일러가 64년만에 이 땅을 방문하면서 베일에 가려진 건물의 비밀이 천하에 널리 알려지게 되
었다. 브루스는 바로 이 집에서 이런 시절을 보냈던 것이다.
딜쿠샤의 사연이 알려지자 그에 대한 시선과 팔자는 180도 달라졌으며, 2008년에는 서울시에서
브루스에게 명예시민증을 수여해 그의 부친을 기렸다.


▲  딜쿠샤의 어수선한 뒷모습

알버트 테일러의 사연을 머금은 유서 깊은 건물이지만 아직 그 흔한 지방문화재나 등록문화재
의 지위도 얻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만약 딜쿠샤의 사연이 계속 묻혀있었다면 분명 개발
의 칼질이 이 건물을 진작에 난도질했을 것이다. 우울하지만 그것이 이 땅의 천박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이곳을 거쳐갔고 또한 지금도 사람들이 살고 있어 원형도 조금 잃었고 다소 어수
선한 분위기긴 하지만 상당수는 원형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또한 유서가 깃든 곳인만큼 지
정문화재로 삼아 보호를 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행히 서울시가 이 건물의 복원과 개방 및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6년 가을에 미국에 있는 테일러의 손녀에게 테일러의 유품
300점을 전해받아 테일러 전시전을 열 계획이다. 그리고 건물을 튼실히 손질하여 3.1운동 100
주년이 되는 2019년 3월 1일 속세에 개방할 예정이라고 하니 그때를 기다려보자.

※ 행촌동 은행나무, 딜쿠샤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3번 출구)을 나와서 독립문역4거리에서 남쪽으로 길을 건너 사직터널
  방면으로 가면, 터널 직전에 터널 위로 올라가는 '사직로2길' 골목길이 나온다. 그 골목을
  오르면 3거리가 나오는데, 거기서 왼쪽으로 들어가면 딜쿠샤와 은행나무가 있다.
*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4번 출구)을 나와서 3분 정도 직진하면 정동4거리이다. 여기서 왼쪽(
  송월로) 길로 5분 정도 들어서면 한양도성이 나오면서 4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월암근린공
  원 방면(송월1길)으로 들어서 홍난파가옥을 지나 계속 직진하면 은행나무와 딜쿠샤이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 1-89 (사직로2길 17)


 

♠  1930년대에 지어진 근대 가옥으로 친일파 홍난파가 말년을 보낸 곳
홍파동 홍난파 가옥(紅把洞 洪蘭坡 家屋) - 등록문화재 90호

행촌동 은행나무와 딜쿠샤에서 '송월1길' 골목길을 타고 남쪽으로 3분 가면 길 왼쪽 높은 곳에
붉은 피부의 벽돌과 지붕, 그리고 담쟁이덩굴까지 멋지게 두룬 별장 같은 아담한 주택이 두 눈
을 부여 잡는다. 그 집이 바로 홍파동 홍난파 가옥이다.

이 집은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지하라고는 하지만 가파른 경사에 자리한 탓에 서쪽과 남쪽이
바깥에 노출되어 햇볕을 보고 있으므로 거의 2층이나 다름이 없다. 이곳에는 원래 구한말에 양
기탁(梁起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를 창간하고 대한제국(大韓帝國)을 도와 항왜
(抗倭) 언론을 주도했던 영국 사람 '어니스트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1909년, 한
국 이름은 배설(裵說)>의 집이 있었다.
배설은 1909년 5월, 37세의 짧은 나이로 심장병으로 세상을 떴는데, 그에게 원한이 깊던 왜국
은 쪼잔한 마음을 드러내며 그의 집을 강제로 밀어버렸다. 다만 토지는 몰수하지 않고 그의 부
인인 '메리 모드 베델'(Mary Maud Bethell)이 계속 가지고 있다가 1920년대 이후 매각한 것으
로 전한다.

1920년대 후반, 이 일대가 여러 지번으로 분할되었는데, 송월동과 홍파동 지역에는 독일 양이(
洋夷)들이 많이 서식해 그들의 주택이 많이 들어섰다. 홍난파 가옥도 바로 그 과정에서 1930년
대에 태어났다. 허나 그 집은 주인이 여러 번 바뀌어 집 자신도 정신이 없을 정도였는데, '불
놀이'를 쓴 시인으로 친일 행적이 요란한 주요한(朱耀翰, 1900~1979)의 부인, 최선복의 이름이
먼저 올라와있다.
그 다음에 들어온 사람은 홍어길(洪魚吉)로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의 조카딸인 신수옥에게
장가들어 여기서 보금자리를 폈다. 그는 배화여학교 선생으로 수양동우회에서 활동했으며, 철
학박사로 서울에 철학연구사를 세웠던 한치진(韓稚振, 1901~?)이 다음 타자로 들어와 잠시 머
물렀다. 그는 1944년 왜정의 패망을 예견하는 시국답을 논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살기도
했다.
바로 그 다음에 들어온 이가 홍난파로 1935년 이 집을 사들여 말년을 보냈다. 그 연유로 홍난
파 가옥(홍난파의 집)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  골목에서 바라본 홍난파 가옥

예전에는 집 앞에 마당이 있었으나 담장을 허물고 조그만 야외무대를 닦았으며, 1968년 4월 10
일에 난파기념사업회에서 세운 홍난파의 흉상이 옛 마당을 지킨다. 이 흉상은 김경승이 조각하
고, 김충현이 글씨를 썼으며, 윤석중이 흉상 기단(基壇)에 글을 새겼다. 또한 골목 쪽에는 담
장과 대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담장 일부만 남았으며, 1층 현관을 통하여 가옥 내부로 들어서면
된다. 현재는 종로구청에서 관리한다.

집 지붕은 다른 서양인 선교사의 집보다 경사가 가파르고, 거실에는 양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벽난로가 있다. 현관과 이어지는 복도를 사이로 서쪽에 거실을, 동쪽에 침실을 두었으며, 거실
밑에는 지하실을 두어 공간을 알뜰하게 활용하던 서양 주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07년에 홍난파 기념관 및 소공연장으로 손질하고자 보수 공사를 벌여 1층에 있던 침실 2개를
하나로 합쳤으며, 음향시설 등을 달아 50명 규모의 공연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의 유품과 자
료를 전시하여 기념관의 역할을 하도록 했고, 지하에는 시청각실을 만들었다.

      ◀  홍난파의 그 잘난 흉상(胸像)
이 땅의 현대 음악을 발전시키고 꾸려나간 업
적만 본다면 동상도 아깝지 않겠으나 말년에
보인 추잡스런 친일 행적을 생각하면 흉상은
커녕 기념비도 아깝다. 그 더러운 면판이 달린
흉상은 좀 치워버리고 기념비만 두는 선에서
끝냈으면 좋겠다. 그 이상은 그에게는 과분하
다.

우리 귀에 무척 익은 홍난파, 그 자는 누구일까?
홍난파(洪蘭坡, 1898~1941)는 1898년 4월 10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南陽)에서 태어났다. 본명
은 홍영후(洪永厚)로 난파는 일종의 호가 되며, 본관은 남양홍씨이다. 왜정 때 매우 잘나갔던
음악가이자 우리 현대 음악의 중추적인 존재로 '봉선화','성불사(成佛寺)의 밤','옛 동산에 올
라' 등으로 유명하다.

5살에 서울로 올라와 1912년 YMCA 중학부에 들어갔으며, 음악에 자꾸 손과 마음이 가면서 내면
에 숨겨진 자신의 소질을 알게 된다. 그래서 19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전문학교인 조선정악
전습소(朝鮮正 樂傳習所) 서양악과에 입학하여 1년 동안 김인식(金仁湜)에게 바이올린을 배웠
으며, 1918년 창가 '야구전'을 작곡, 발표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음악학교에 진학, 음악과
문학, 미술을 배우며 문예의 꿈을 키웠다. 그러다가 1919년 유학생들이 벌인 독립운동에 가담
하면서 학업을 그만두고 귀국했다.

귀국하여 경성양악대 제1회 연주회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린 연주
자란 기록을 세웠다. 대한매일신보 기자로도 잠깐 일하다가 1920년 '처녀혼'이란 첫 작품을 냈
는데, 봉선화는 처녀혼 첫머리에 나오는 애수(哀愁)라는 곡명으로 발표된 것이다.
1922년에는 서울 연악회(硏樂會)를 창설해 음악 교육에 나섰으며,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음
악 잡지인 '음악계(音樂界)'를 창간했다. 그리고 1926년 다시 왜열도로 넘어가 동경고등음악학
교를 졸업하고 동경신교향악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1929년 '조선음악백곡집'과 '조선동요백곡집'을 발표하고 1933년에는 '조선가요창작곡집' 등의
작품을 냈으며, 현제명(玄濟明)과 함께 '봄노래'를 발표했다. 그 외에 바이올린독주곡인 '애수
의 조선','동양풍의 무곡','로망스' 등이 있고, '관현악곡 즉흥곡','관현반주 붙은 즉흥곡','
명작합창곡집','특선가요선집' 등을 냈는데, 그는 우리나라 선율의 요소를 작곡에 반영해 서정
적인 분위기를 그려내고자 했다. 그의 의도는 그의 평론에서도 잘 나타나며, 1930년대 이후 우
리나라 현대 음악 창작의 패턴을 정립한 음악가로 널리 찬양을 받았다.

1931년 바이올린을 더 배우고자 미국으로 넘어가 셔우드(Sherwood)음악대학을 다녔으며, 1933
년 졸업 기념으로 독주회를 가지고 귀국했다. 그리고 경성보육학교와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음
악을 가르치고, 1936년 경성방송 현악단 지휘자 및 빅터레코드의 양악부장을 지냈으며, 이영세
(李永世)와 난파트리오를 조직해 실내악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또한 1938년 경성음악전문학교
교수로 활동하면서 '음악만필'을 냈으며, '백마강의 추억' 등 14곡의 가요를 나소운(羅素雲)이
란 예명으로 발표했다.

이렇게 우리나라 현대 음악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하며, 주옥같은 작품으로 민중의 마음을 달랬
던 그였지만 그의 말년은 그 초심을 잃으며 추악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친일파로 노선을 바꾸
며 민중의 뒷통수를 제대로 쳤던 것이다.
1937년 독립운동단체인 수양동우회 회원이라는 이유로 검거된 이후, 그해 4월 조선총독부 학무
국(學務局)에서 결성한 친일 단체인 '조선문예회'에 가입하여 왜정 정책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의 문화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내선일체를 강조하였고 '지나사변(支那事變)과
음악','희망의 아침' 등 친일 성향의 악취나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끊임없이 왜정을 찬양했다.
허나 다행히도 하늘이 보우하사 변절한지 4년 만인 1941년 8월 30일 43살의 나이로 죽었다.

그가 마지막 4년 동안 보여준 속절없는 친일 행적은 20~30대 시절에 일구어낸 온갖 업적과 공
로에 제대로 똥칠을 하기에 충분했다. 50년도 채우지 못한 그 짧은 인생, 무슨 영달을 더 누려
보겠다고 그 추잡함을 보였던 것일까? 그것만 아니었다면 참 착했을 것을 심히 좋지 않은 뒷끝
을 보이고 말았다.
왜정 시절 이 땅의 나약한 지식인들의 끝없는 변절과 방황, 그도 결국 그 재능과 인격 때문에
나락의 길인지도 모르고 바로 앞에 놓인 꿀에 속아 악마의 유혹에 넘어갔던 것이다. 그래도 다
행히 해방 이전에 한참 나이로 자체 폐기가 되었으니 나라와 민중을 배신하고 친일을 벌인 그
대가는 톡톡히 받은 것으로 보면 될까? 그렇게 홍난파에게 실망한 대중을 위로해 본다. 내 학
창시절에 봉선화부터해서 그의 노래가 음악책과 문학책에 지겹도록 실려 참 머리 아프게 했는
데, 그의 친일 행적은 나의 마음까지도 심히 아프게 만든다.

그런데 홍난파 가옥에서 다루고 있는 그의 일생과 그곳에서 배부하는 홍난파 자료, 그리고 홍
난파 흉상 기둥에는 친일 행적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오로지 찬양 일색이다. 심지어는 '우리
는 홍난파 선생님에게 신세를 너무 많이 졌습니다~~ 홍난파 선생님은 우리들의 영원한 고향이
며 우리는 홍난파 선생님의 후손입니다'
라는 식의 암을 유발하는 해괴망측한 구절도 있다.
종로구청의 실수인지 아니면 난파기념사업회의 장난인지는 모르겠으나 지나친 찬양은 오히려
역겨움과 정신건강 해악만 가져올 뿐이다. 홍난파가 어떤 인물인지는 내가 직접 겪어보질 않아
서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그도 개념이 있다면 후학들의 이런 말장난에 지하에서 눈물을 머금을
것이다. 기릴 것은 기리고 깔 것은 과감히 까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홍난파의 후학들이 세운 난파기념사업회는 1968년 난파음악상을 제정해 매년마다 적당한 음악
인을 골라 상을 주고 있다. 상을 받은 이는 정경화, 정명훈, 금난새, 조수미 등 이름 3자만 들
어도 거의 알법한 인물인데, 2013년에 일대 이변이 생겼다. 수상자로 선정된 작곡가 류재준씨
가 수상을 거부했던 것이다. 거부 사유는 친일파의 이름으로 된 상을 받기 싫다는 것이다. 그
의 업적은 인정하나 실수 또한 거대하다며 그의 친일행적을 꼬집은 것이다.
그의 개념찬 행동에 천하 사람들은 많은 찬사를 보냈고, 난파기념사업회는 그냥 음악가로서의
홍난파를 기리고 상을 줄 뿐이라며 말도 안되는 변명만 늘어놓다가 오히려 욕만 죽어라 얻어먹
었다.

근래에 들어 민족문화연구소는 홍난파 가옥의 이름을 변경하자며, 이곳에 살았던 여러 인물의
삶과 흔적을 더듬을 수 있는 공간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안내문을 수정하고 가옥 내부의
공간 구성을 바꾸는 방안을 종로구에 제시했다. 비록 홍난파가 이곳에 쓸데없이 오래 살긴 했
어도 그 작자를 너무 치켜세우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니 홍난파 유물은 크게 줄이거나 갖다버
리고 독립운동을 했던 한치진과 홍어길을 기리는 공간으로 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홍난파도 음악에 공이 적지 않으니 쥐꼬리만큼 기려주자. 또한 집 이름은 지역 이름만 따
서 '홍파동 가옥' 또는 '홍파동 근대 가옥'으로 바꾸는 것이 적당해보인다.

가옥 내부를 둘러보려고 현관을 기웃거렸으나 이미 관람시간은 끝난 상태. 그래서 다음을 기약
하며 발길을 돌리고 말았다.

※ 홍난파 가옥 찾아가기 (2016년 12월 기준)
*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4번 출구)에서 직진하면 정동4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송월길로
  들어서 5분 정도 가면 한양도성이 보이면서 4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 송월1길로 진
  입하여 월암근린공원을 지나면 그 공원의 끝에 홍난파가옥이 있다.

★ 홍난파 가옥 관람정보 (2016년 12월 기준)

* 관람시간 : 평일 11시부터 17시까지 (11~3월은 16시까지) / 주말, 공휴일은 휴관
* 관람비 없음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2-16 (송월1길 38) (☎ 070-8112-7901)


▲  홍난파 가옥 1층 거실
이곳의 백미인 붉은 벽난로를 비롯해 홍난파의 흉상과 의자, 피아노, 바이올린 등이
놓여져 나라를 배신한 그의 음향(音香)을 느끼게 한다.

▲  홍난파 찬양 공간으로 변질된 가옥 1층 동쪽 (옛 침실 공간)
홍난파의 유품과 음악 문서들, 그리고 그의 일생과 음악을 정리한 내용들이
벽을 가득 채운다. 이 공간은 소공연장으로 쓰이기도 한다.

▲  월암근린공원에 다시 세워진 한양도성
헌돌과 새돌이 어색한 조화로 보이며 다시 성곽을 이루었다. 장대한 시간이 흐르면
하얀 피부의 돌도 밑에 깔린 어른 돌처럼 고색이 짙어질 것이다.


홍난파가옥 남쪽에는 월암근린공원이 자리해 있다. 여기서 남대문(숭례문)과 사직터널 윗쪽에
서 끊긴 한양도성이 짧게나마 모습을 비추는데 그 성곽 밑에 월암(月巖)근린공원이 넓게 자리
를 닦았다.

이곳 성곽은 근래에 복원된 탓에 피부가 온통 하얗고, 성곽 밑도리에 고색의 때를 머금은 성돌
이 일부 끼어있을 뿐이다. 그래서 오래된 도성(都城)의 무게감보다는 대충 얹힌 촬영세트장이
나 모조품처럼 가볍게 보인다.
상황이 이리 우울하게 된 것은 왜정이 사직터널부터 남대문 사이에 성곽을 아주 철저하게 뭉개
버렸기 때문이다. 성곽이 가고 없는 자리에는 집과 건물이 가득 들어찼는데, 도성 복원 계획으
로 이 일대를 밀어버리면서 땅 속에 묻힌 성돌이 다시금 햇살을 보게 되었고, 성곽을 복원하면
서 그들을 끄집어내 성돌의 역할을 부여했다. 그리고 숨통이 크게 트인 성곽 서쪽에는 공원을
닦아 휴식처로 삼았는데, 월암이란 이름은 인근에 숨겨진 '월암동(月巖洞)' 바위글씨에서 비롯
되었다.
성곽 안쪽에는 서울기상관측소와 서울복지재단, 서울시 교육청이 자리해 있으며, 그 동쪽에는
경희궁(慶熙宮)이 오욕의 세월을 견디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성곽 북쪽은 주택들이 첩첩하게 들어차 재개발을 하지 않는 이상은 복원이 거의 어렵다. 사직
터널까지 200m 정도만 다시 이으면 되는데, 현실의 벽 앞에 어림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남쪽
또한 건물과 도로 등으로 손을 대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 허나 도성 복원 계획은 끊어진 성
곽이 모두 이어지는 그 순간까지 끈기를 가지고 추진된다고 하니 내 생애 언젠가는 반드시 복
원이 마무리 될 것이라 믿는다.


▲  복원된 성곽 북쪽 끝(서울기상관측소)에 성곽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

▲  서울기상관측소 남쪽 성곽길 (북쪽에서 본 모습)
재현된 성곽의 길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저 길의 끝은 아직 막혀있다.
그래서 다시 돌아나와야 된다. 일종의 똥개훈련~~

▲  서울시 교육청 옆 성곽길 (남쪽에서 본 모습)

▲  서울시 교육청 서쪽 성곽
서울시 교육청 서쪽 성곽은 성벽은 완성이 되었으나 아직 여장은 달지 못했다.
경원선과 경의선 철마가 우리의 잃어버린 북쪽 대륙으로 달리고 싶듯이
한양도성은 끊어진 구간을 넘어 다시금 서울 도심을 품고 싶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12월 1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도심 속에 숨겨진 조촐한 피서지이자 서촌 제일의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인왕산길, 기린교)

 


'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아름다운 계곡이자 옛 경승지
~ 인왕산 수성동계곡 '

▲  인왕산 수성동계곡 (사모정 주변)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

▲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

▲  기린교

 


 

여름 제국이 무더위로 천하 만물을 핍박하던 7월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들과 인왕산 수성
동계곡을 찾았다.

오전 11시, 세검정초교 정류장에서 그들을 만나 나의 마음을 두고두고 앗아간 북악산 백
사실계곡<백석동천(白石洞天), 백사골 ☞ 관련글 보러가기>을 제일 먼저 찾았다. 속세에
찌든 꼬질꼬질한 두 발을 계곡에 담구며 막걸리 1잔 걸치다가 도심 속의 두멧골, 능금마
을(뒷골마을)을 거쳐 부암동(付岩洞) 산복도로를 따라 창의문(彰義門, 자하문)으로 내려
갔다.

창의문에서 윤동주(尹東柱)시인의 언덕(☞ 관련글 보러가기)에 자리한 서시정(序詩亭)에
서 잠시 쏟아지는 소나기를 피하다가 인왕산(仁王山) 동쪽 허리를 가르는 인왕산길을 따
라 남쪽으로 넘어갔다.
인왕산길은 사직공원에서 창의문까지 이어지는 산악도로로 북악산길과 서로 이어져 있다.
4발 수레를 위한 2차선 도로와 뚜벅이를 위한 도보길이 공존하고 있어 서로의 눈치 없이
거닐기 좋으며 주변 풍경도 아름다워 지루할 틈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그런 인왕산길에
단단히 홀린 듯 정신없이 따라가니 어느덧 석굴암(石窟庵) 입구에 이른다.
여기서 석굴암 약수를 마시고자 잠시 인왕산의 품으로 들어가려고 했으나 무더운 날씨로
인해 반대 여론이 거세 인연을 짓지 못하고 동쪽으로 난 조그만 산길을 따라 수성동계곡
으로 내려갔다.
이 산길은 석굴암 부근에서 발원한 계곡과 나란히 속세로 내려가는데, 그 계곡은 수성동
계곡의 상류가 된다.


 

♠  수성동계곡 상류

▲  숲속에 묻힌 수성동계곡 상류

인왕산에서 수성동계곡 공원으로 이어지는 계곡 상류는 복원된 계곡 중심부와 달리 거의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자연산 바위와 온갖 돌들이 좁은 계곡을 가득 메우고 있고, 그
사이를 인왕산이 베푼 계곡물이 숨을 죽이며 흘러간다. 계곡 옆에는 시멘트를 발라놓은 산길이
이어져 있는데, 그냥 흙길이었으면 매우 좋았을 것을 시멘트길이라 촉감이 그리 착하지가 않다.
계곡 일대는 숲이 무성하여 강렬한 여름 제국의 햇살도 눈치를 보면서 슬금슬금 피해가며 계곡
상류 산길을 2~3분 정도 내려가면 바로 수성동계곡 공원이다.


▲  계곡 산길과 조그만 나무 다리 (석굴암 입구 방향)

▲  계곡 상류에서 만난 조그만 폭포

이 계곡은 청계천의 주요 발원지로 수질이 양호하여 도룡뇽과 가재, 개구리, 버들치 등이 조용
히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보기에는 그저 좁은 계곡이지만 그들에게는 이만한 보금자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니 계곡에서 괜히 물놀이를 하거나 그들을 탄압하는 행위는 하지 말자. 그들이 사
라지면 그 다음 차례는 신(神)과 동물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자리나 축내는 우리 인간이 될 지
도 모른다.


▲  수성동계곡 상류의 아랫부분 (수성동계곡 공원의 제일 서쪽)

▲  수성동계곡 공원 가장 윗쪽에 닦여진 황토색 산책로
계곡 일대를 두 눈으로 살피며 거닐 수 있다. 계곡 복원에 걸맞게 흙길이면 좋았을 것을
길을 현대식으로 밀어버린 점이 상당히 아쉽다.

▲  수성동계곡 공원 윗쪽 계곡

▲  수성동계곡의 또다른 상류
숲속에 숨겨진 가느다란 폭포를 타고 수성동계곡으로 살짝 숟가락을 내민다.
폭포 주변에는 수풀을 걸친 벼랑과 흙과 돌이 섞인 자갈밭이
조촐하게 펼쳐져 있어 1폭의 수채화를 자아낸다.

▲  협곡을 그리며 내려오는 수성동의 또다른 상류
(인왕천약수터에서 내려온 계곡)


수성동의 상류는 대략 3개 정도로 석굴암에서 내려온 계곡과 그 남쪽에서 내려오는 계곡, 인왕
천약수터에서 내려오는 계곡이 서로 상류를 자처하며 수성동으로 내려온다. 수성동은 이들에게
서 인왕산의 맑은 물을 공급받고 서울 도심으로 청계천으로 흘려보낸다.

인왕산에서 제법 이름이 있는 인왕천약수터도 손을 내밀며 수성동에 아낌없이 물을 보태고 있
는데 이 물줄기는 거의 90도 각도가 진 암벽 사이의 좁은 공간을 타고 내려와 그 풍경이 나름
절경을 이루며, 조그만 폭포 앞에는 얕은 못과 모래밭이 있어 어린이들이 흙장난을 하며 물놀
이를 하기에 아주 적당한 곳이다.
모래 옆과 다리 주변에 돌로 쌓은 인공의 흔적이 조금 끼여있어 약간의 어색함을 주지만 그 외
에는 예전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어 수성동 상류의 원초적 모습을 살피는데 도움을 준다.


▲  수성동계곡 서남쪽 산책로


 

♠  옛 한양도성의 오랜 경승지, 개발의 칼질에 희생되었으나 2012년
복원되어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도심 속에 흔치 않은 계곡 ~~~
인왕산 수성동계곡(水聲洞溪谷) - 서울 지방기념물 31호

인왕산 동쪽 자락이자 서촌(西村, 경복궁 서쪽 지역) 서쪽에 자리한 수성동계곡은 서울 도심에
이름난 경승지로 조선 후기에 편찬된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와 한경지략(韓京識略) 등에
서울의 오랜 명승지로 절찬리에 소개된 곳이다. 이곳 계곡을 예로부터 수성동(水聲洞)이라 하
였는데, 이는 계곡 밑에 걸린 기린교란 돌다리 밑에 물소리가 청아하고 좋기로 명성이 자자하
여 물소리가 좋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서울의 영원한 우백호(右白虎)이자 거대한 돌산으로 제대로 된 계곡도 없을 것처럼 보이는 인
왕산이지만 그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의외로 계곡이 많음에 놀라게 된다. 수성동을 비롯해 청풍
계(淸風溪), 청계동천(淸溪洞天), 송석원(松石園), 백운동(白雲洞) 등 이름난 계곡이 많이 있
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개발의 칼질에 죄다 사라지고 수성동만 옥인아파트의 압박 속에 간신
히 숨쉬고 있었다. (백운동과 청계동천은 일부만 살아남음) 그외에 환희사계곡(큰절골)과 몇몇
약수터 주변에 조그만 계곡이 있으나 볼품은 별로 없다.

수성동은 도시와 먼 첩첩한 산주름 속이 아닌 도성(都城) 속에 자리해 있어 접근성이 매우 착
했다. 게다가 경복궁(景福宮)과 귀족들이 주로 살던 북촌(北村)과 서촌과도 바로 지척이다. 그
래서 왕족과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찾아와 계곡의 풍경을 즐겼는데, 이곳에 단단히 반한 이들은
아예 집이나 별장 등을 지어 머물기도 했다. 이곳에 처음으로 집을 지은 이는 세종의 3번째 아
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으로 계곡 밑 기린교 부근에 비해당(匪懈堂)을 지어 머물렀다.
 
영조(英祖) 시절에는 겸재 정선이 인왕산을 모델로 그 유명한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를 남기
면서 수성동을 비롯한 장동8경을 화폭에 담았는데, 수성동 그림은 계곡 복원에 아주 큰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 그 그림에는 기린교를 건너는 선비 3명과 시중을 드는 동자(童子) 1명이 계곡
상류로 걸어가는 모습이 담겨져 있고 가벼운 붓놀림으로 이끼가 낀 바위와 질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게다가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도 비오는 날에 이곳을 찾아 '수성동 빗속에서 폭포를
구경하다(水聲洞 雨中觀瀑)'란 시를 지어 수성동을 찬양했다.
도시와 가까운 탓에 중인과 평민들도 많이 발걸음을 했는데, 인근 송석원과 더불어 조선 후기
중인층을 중심으로 한 위항문학(委巷文學, 중인/평민/서얼들이 주도하는 문학활동)의 성지(聖
地)로도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  겸재 정선이 그린 수성동 그림 (기린교 돌다리가 그려져 있음)

이렇게 인왕산을 든든한 후광으로 두르며 서울 장안의 경승지로 초절정 인기를 누렸던 수성동
은 1960년대 이후 서울 도심에 개발의 칼질이 정신없이 그어지면서 아작나기 시작했다. 1971년
옥인시범아파트 9동이 건방지게 수성동계곡을 깔고 앉았던 것이다. 그래서 참으로 아름답고 착
했던 수성동의 경관은 99% 망가졌다.
그래도 천만다행으로 인근 청풍계나 옥류동처럼 계곡이 거의 증발되는 꼴은 면했지만 아파트로
인해 계곡 폭도 줄어들고 아파트 사이를 마치 버려진 하천처럼 흘러가면서 완전 천덕꾸러기 신
세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아파트 9동 앞에서 강제 생매장을 당해 어두컴컴한 지하를 거쳐 역시
나 생매장된 청계천으로 서글프게 흘러가야 했다. 그렇게 도시 개발과 생활 편의를 내세운 인
간의 욕심 속에 서울 도심에 많은 경승지는 꽃잎처럼 지고 말았다.

그 이후 수성동의 이름 3자는 속인(俗人)들의 뇌리 속에서 점차 시들어가고 동네 사람들만 세
월의 저편으로 잊혀져 가던 계곡의 이름을 간신히 붙잡고 있었다. 서울 전문을 자처하는 본인
역시 수성동의 존재를 안 것은 2011년, 그 이전에는 인왕산에 이런 곳이 있는 것도 몰랐고 그
런 상상도 하지 못했다. 그만큼 존재감이 밑바닥을 기었던 것이다.
 
옥인시범아파트에 강제로 깔린 채, 40년 가까이 수난의 세월을 보냈던 수성동계곡. 개발의 칼
질에 빼앗긴 계곡에도 과연 봄이 올 것인가? 이러다가 수성동 이름 3자가 영구히 지워지는 것
은 아닐까? 걱정하는 이들이 많았으나 계곡을 해방시킬 존재는 아무도 없었다. 그야말로 수성
동에게는 절망의 시절이었다.

▲  기린교

▲  사모정 북쪽 산책로

허나 자연과 인간의 대결에서 거의 자연이 이기듯, 수성동에게도 좋은 소식이 날라왔다. 옥인
아파트가 2008년 재난안전위험시설 C급으로 지정되면서 철거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수성동의
가치를 뒤늦게 깨달은 서울시는 이번 기회에 아파트를 싹 밀어버리고 계곡을 복원하기로 의견
을 모으고 우선 2010년 10월 21일 기린교를 비롯한 수성동계곡 일대를 서울시 지방기념물로 삼
아 늦게나마 문화유산으로 대우를 해주기 시작했다.
이후 인왕산을 가리며 계곡의 목을 조르던 옥인아파트는 2011년에 모두 철거되었으며, 아파트
주변을 통제하고 1년의 복원공사를 벌여 2012년 7월 마무리가 되었다.

계곡 복원을 위하여 전문가와 사회단체, 문화재청에 자문을 구했고 정선의 수성동 그림을 적극
참조했다. 또한 옛 경관을 어느 정도 재현하고자 소나무를 중심으로 상수리나무, 참나무, 산철
쭉 등 우리 고유의 나무 18,477그루를 심었으며, (그중에 구부러진 소나무가 제일 많음) 돌단
풍과 바위취 등 다양한 화초를 심어 주변과의 조화를 꾀했다. 그리고 계곡을 크게 넓혀서 계곡
양쪽에 전통 방식으로 돌을 쌓아 암석 지형을 최대한 회복하고자 했으며, 계곡 중간에 전통식
정자를 세워 옛 사람들의 풍류를 조금이나마 느끼도록 했다.
정선이 수성동 그림을 그린 곳으로 여겨지는 계곡 아랫쪽에 관람공간을 닦아 정선의 눈으로 계
곡을 바라볼 수 있게끔 배려하였고, 계곡을 중심으로 여러 갈래의 산책로를 닦아 인왕산과 어
우러진 시민공원의 성격도 겸하게 했다.

수성동계곡 공원에는 복원된 계곡을 비롯하여 이곳의 터줏대감이자 유일한 오래된 존재인 기린
교가 있으며, 옥인아파트 주민들의 요청으로 공원 북쪽에 아파트의 잔재를 일부 남겨두어 수성
동을 거쳐간 개발 지상주의의 그릇됨을 일깨우게 했다. 상류 부분과 사모정 주변은 계곡 출입
이 그런데로 가능하나 계곡 하류와 기린교 주변은 통제하고 있으며, 계곡을 복원했다고는 하지
만 완전한 옛날 모습은 아니다. 게다가 여전히 비슷한 자리(옛 옥인아파트 9동 자리로 지금은
관람 공간으로 바뀜)에서 지하로 생매장을 당해 청계천으로 흘러간다.
청계천까지 이어지는 전 구간을 모두 끄집어내 복원하면 참 좋겠지만 이미 시가지가 꽉차게 들
어앉아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계곡이 생매장되는 부분은 계곡이 상당히 밑으로 내려간 상태
이고, 주변 바위들도 날카로운 낭떠러지를 이루고 있어 사고의 위험이 있다. 기린교 같은 경우
는 계곡이 3m 밑에 흐르고 있으므로 조금 아찔하다.

도시 개발의 칼질에 희생된 수성동은 인간 중심의 개발의 난도질이 무조건 능사가 아님을 보여
준다. 안그래도 사람도 허벌나게 많고, 빌딩도 많고, 차도 많고, 공기도 탁한 서울 도심에 마
음 편히 의지할 수 있는 공간이 1개 더 생겼으니 그 가치는 사막의 오아시스와 비슷하다 할 것
이다.
비록 옛 모습 그대로 100% 복원된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옛 모습을 되살리고자 노력했고 복원
공사를 벌이는 중에도 여러 의견을 수렴해 어색함을 최대한 줄이고자 했다. 그래서 인왕산이
베푼 옥계수를 모아 계곡을 재현했으니 어설프게 재현되어 전기와 세금만 잔뜩 축내는 청계천
과는 차원이 다른 살아있는 계곡이다.

※ 인왕산 수성동계곡 찾아가기 (2016년 8월 기준)
* 지하철 1,2호선 시청역(4번 출구), 5호선 광화문역(2번 출구), 3호선 경복궁역(3번 출구)에
  서 종로구마을버스 09번을 타고 수성동계곡 종점 하차.
*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에서 자하문로를 거치거나 1번 출구에서 사직공원 못미처에 나오는
  필운대로를 거쳐 수성동계곡까지 가볍게 걸어가도 된다. (17~20분 소요)
* 수성동계곡 관람공간 동쪽에 주차공간이 있으나 충분치는 않다. 대중교통 이용을 권한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79-1, 185-3외


 

♠  수성동계곡 둘러보기

▲  수성동계곡 사모정 주변

몇년 전만 해도 밋밋한 성냥갑 아파트 사이로 그들의 눈치를 보며 눈물처럼 흘러야했던 수성동
계곡은 이제 누구의 눈치도 없이 가슴을 피며 당차게 흘러간다. 소나기가 지나간 이후라 계곡
에는 사람이 별로 없었고, 어린이와 여중생으로 보이는 애들이 계곡 주변을 서성이며 발을 담
구는 모습이 시야에 들어왔다.


▲  수성동의 풍경을 한껏 수식해주는 구수한 양념 - 사모정

수성동계곡 한복판에는 달랑 1칸에 불과한 조그만 정자, 사모정이 맵시를 드러내고 있다. 사모
정이란 네모난 정자를 뜻하는 것으로 새색시처럼 단아한 모습으로 계곡을 굽어보고 있는데, 그
는 옛날부터 이곳을 스쳐갔던 정자는 아니며 계곡을 복원하면서 장식용으로 달아놓은 것이다.
(정선이 그린 그림에도, 수성동 관련 기록에도 정자의 존재는 나오지 않음)
허나 계곡과 나무만 있는 계곡에 전통 양식의 정자(亭子)를 하나 두니 수성동의 미소와 풍경이
한층 더 살아나는 것 같다.

정자 안에는 한 무리의 아줌마들이 진을 치고 놀고 있었다. 계곡 바람과 인왕산 바람이 앞다투
어 선선한 바람을 선사하고 소나무가 그늘을 드리우며 솔내음을 불어주는 명당 자리라 저곳에
들어가 낮잠 한숨 청하면 정말 꿀맛일 것 같다.


▲  사모정 동쪽 계곡
계곡과 돌을 대충 배치한 듯 조금은 어색한 모습이다.

▲  사모정과 사모정 북쪽 산책로
산책로 너머로 인왕산이 빼꼼 고개를 내민다.

▲  공원 북쪽 산책로
저 야트막한 고개를 넘으면 옛 옥인아파트의 초췌한 흔적이 나온다.

▲  공원 북쪽 산책로에서 만난 바위글씨
동그라미 안에 중(中) 또는 신(申)으로 보이는 글씨가 문신처럼 박혀있다.
조금은 오래된 티가 풍기긴 하지만 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모르겠다.
(수성동에 바위글씨가 있다는 정보는 듣지 못했음)

▲  공원 북쪽에 자리한 옛 옥인아파트의 잔재 ▼

수성동계곡 북동쪽에는 옛 옥인아파트의 흔적이 아련하게 남아있다. 이 흔적은 아파트 7동의 1
층으로 2008년 철거가 결정되자 아파트 주민들의 요청으로 계곡과 조금 떨어진 7동의 아랫도리
일부만 남겨 이곳의 기념물로 삼았다.

한때 계곡을 깔고 앉아 감히 인왕산을 가리던 옥인아파트의 최후로 이곳을 요란법석 거쳐간 엄
연한 역사의 흔적이다. 아파트를 말끔히 밀어버리는 것보다는 이렇게 일부라도 남겨 개발의 난
도질의 희생된 수성동의 서글픈 과거를 보여주고, 무분별한 개발의 폐해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
주는 교육의 장으로 삼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또한 이곳 아파트에 살았던 사람들의 향수(鄕愁
)와 추억도 조금은 배려하였다.
흔적을 모두 없앤다고 이곳에 40년 가까이 둥지를 틀었던 옥인아파트의 존재와 수성동의 그늘
이 완전 지워지는 것은 아니며,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 20세기 후반 서울 지역 아파트의 양
식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나 지방문화재 등의 지정문화재의 지위를 얻
게 될 수도 있다.

계곡에 둥지를 틀었던 인간의 흉한 창조물은 그 자리를 계곡과 자연에게 다시 내주었고 이제는
그들 눈치를 살살 보며 공원 한쪽 구석에 찌그러진 신세가 되었다. 인간이 아무리 용을 쓰고
만들어도 위대한 대자연 형님 앞에서는 역시나 일개 모래성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아파트의
남겨진 흔적은 마치 예비군훈련장의 시가전 훈련장이나 전쟁의 폭격으로 주저앉은 건물처럼 보
인다. 그렇다 대자연의 보복 폭격의 옥인아파트는 저렇게 주저앉은 것이다.


▲  주름진 바위들로 가득한 수성동계곡 (사모정과 기린교 사이)

▲  기린교 서쪽에서 바라본 수성동계곡과 인왕산

▲  한굽이 쉬어가며 조그만 폭포를 빚은 수성동계곡


 

♠  수성동계곡의 오랜 상징 ~ 기린교(麒麟橋)

▲  2개의 통돌로 이루어진 조촐한 돌다리 - 기린교

넉넉한 폭으로 흐르던 수성동계곡은 기린교 이전에서 급격히 좁아지고 하얀 피부의 포근한 반
석들도 무시무시한 낭떠러지를 계곡 쪽에 빚으면서 제법 날카로운 모습을 보인다. 그 낭떠러지
바위 사이에 우리네 인생처럼이나 짧은 돌다리가 고색의 때를 간직하며 놓여져 있는데, 그 다
리가 바로 수성동의 오랜 명물인 기린교이다.

기린교는 달랑 길쭉한 통돌 2개로만 이루어진 아주 단촐하고 소박한 모습으로 다리 남쪽에 다
리를 보조하는 커다란 돌 여럿을 둔 것이 전부이다. 다리 폭은 1m 남짓, 길이는 3m로 언제 조
성되었는지는 전해오는 것이 없으나 겸재 정선의 수성동 그림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7세기에 놓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아마도 계곡을 찾은 귀족들의 통행 편의를 위해 가설된 듯
싶은데 벼랑으로 이루어진 이 부분이 계곡 가운데 가장 위험하기 때문이다.


▲  높은 벼랑 위에 걸쳐진 기린교

서울 도심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는 누가 뭐
래도 광통교(廣通橋, 광교)이다. 그외에 수표
교(水標橋)와 창경궁(昌慶宮) 옥천교(玉川橋)
도 2위, 3위에 들어간다.
(중랑천 살곶이다리는 도심이 아니므로 제외)
수표교는 청계천 생매장 때 제자리를 떠나 장
충단공원에 둥지를 틀었고, 광통교는 비록 자
리는 지켰지만 생매장의 치욕을 겪다가 청계천
엉터리 복원 때 약간 서쪽으로 옮겨졌다.
그에 반해 기린교는 그들보다 한참 후배이지만
제자리를 지키며 원형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 게다가 통돌로 만든 다리 가
운데 가장 긴 편이다.

인왕산이 빚은 제일 가는 경승지인 수성동계곡
이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된 것도 어찌보
면 기린교 덕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계곡
이 아무리 잘났어도 딱히 오래된 존재가 없기
때문이다. 아마 그가 없었다면 계곡은 복원되
었을 망정, 지방문화재까지 지정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  옆에서 바라본 기린교

▲  바로 앞에서 본 기린교
다리 너머로 수성동계곡의 생매장 현장이 보인다.

▲  멋드러진 반석이 잔뜩 널린 기린교 주변
대자연이 칼로 싹둑 손질을 했는지 바위들이 90도 절벽을 이루며 무시무시한
모습을 드러낸다. 저 밑으로 떨어지면 정말 나오기도 힘들다.

▲  기린교 동쪽에 마련된 수성동계곡 관람공간 (계곡 동쪽 광장)

수성동계곡 동쪽에는 잘다져진 평평한 광장이 있다. 이곳은 정선이 수성동 그림을 그린 위치로
여겨지는 곳에 넓게 터를 다진 것으로 그 당시 정선의 눈높이가 되어 수성동계곡과 인왕산의
모습을 바라보도록 지어졌다.
이곳에서는 계곡 상류를 제외한 수성동계곡 일대와 인왕산이 흔쾌히 바라보이는데 보통은 높은
곳에 전경(全景)을 바라보는 자리를 두지만 이곳은 반대로 계곡 밑에 그 자리를 둔 것이 특징
이다.

인왕산이 빚은 수성동계곡은 기린교 밑을 지나 낭떠러지 밑으로 흘러간다. 그리고 관람공간 밑
에서 크게 입을 벌리고 있는 하수구를 통해 어두컴컴한 지하로 생매장된다. 계곡을 복원했다고
는 하지만 옛 옥인아파트 주변만 재현된 것이며, 이후 서촌을 가로질러 세종로 서쪽을 거쳐 청
계천으로 흘러간다. 이 구간은 보기만 해도 머리가 복잡한 시가지로 땅을 열기도 힘들다. 이곳
도 마저 끄집어낼려면 수많은 건물과 도로를 싹 밀어야 되나 지금은 그게 불가능하다.
하긴 수성동계곡만 그렇겠는가? 삼청골(삼청천)이나 청풍계, 창덕궁 빨래터에서 나오는 냇물도
그렇고 기타 북악산과 인왕산, 남산에서 발원한 수많은 물줄기도 근대 개발의 칼질에 희생되어
대부분 생매장을 당했다.


▲  유연하게 구부러진 수성동계곡 동북쪽 산책로

인왕산길에서 수성동 상류로 내려와 계곡 구석구석을 천천히 둘러보니 어느덧 1시간이 훌쩍 흘
러가버렸다. 보통 20분이면 충분히 둘러볼 장소를 뭐 그리 세세히 보겠다고 두 다리를 바쁘게
부렸는지 3배 이상의 시간을 투자한 것이다. 그래도 혹 빠진 것은 없는지 모르겠다.

2012년 복원 이후, 시작부터 싹수를 보이며 도심의 인기 명소들을 긴장시켰다. 서촌의 인기와
인왕산의 인기, 그리고 서울 도심에 흔치 않은 계곡이란 타이틀로 나날이 인기가 높아져 이제
는 도심의 주요 경승지이자 서촌 나들이 때 필수로 들려야 직성이 풀리는 서촌 지역의 꿀단지
로 완전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수성동계곡을 겯드린 도심 여름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서울은 내가 서
식하고 있는 곳이라 지방과 달리 달랑 1번이 아니라 계속 찾는 경우가 빈번하다. 일부를 빼고
는 지겹도록 찾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수성동계곡의 가을과 봄 풍경을 담아 소소하게 글로 남
기고 싶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6년 8월 12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6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도심의 새로운 꿀단지, 서촌 나들이 (한옥마을)

 


' 서울 서촌(西村) 둘러보기 '

   
배화여고 생활관

▲ 이상범 가옥 담장
◀ 배화여고 생활관
▶ 백세청풍 바위글씨
▼ 박노수 가옥
(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

   

 

 



▲  옛 청휘각(晴暉閣)터 주변에서 바라본 서촌

서울 도심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서촌(웃대)은 경복궁(景福宮) 서쪽 동네를 일컫는다. <청계천
이북이자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는 북촌(北村), 청계천 이남은 남촌(南村), 창덕궁 동부는 동촌
(東村), 청계천 주변은 중촌(中村)이라 불림>
원래 서촌은 서대문 동쪽 동네를 일컬었고, 지금의 서촌은 '웃대'라 불렸다. 그러나 시간이 흐
르면서 서촌의 범위는 웃대를 넘어 자하문고개 밑까지 확장된 것이다. 그리고 세종(世宗)이 통
인동(通仁洞)에서 태어난 인연(1397년 출생)을 내세워 종로구청과 지역 주민 주도로 '세종마을
'이란 간판까지 달게 되었다.
서촌의 범위는 청운동(淸雲洞), 효자동(孝子洞), 옥인동(玉仁洞), 신교동(新橋洞), 누상동(樓上
洞), 누하동(樓下洞), 체부동(體府洞), 필운동(弼雲洞), 통의동(通義洞). 통인동, 창성동(昌成
洞), 사직동(社稷洞), 행촌동(杏村洞) 일대로 이들은 서울의 든든한 우백호(右白虎)인 인왕산(
仁王山)의 동쪽 자락이다.
1394년 서울이 조선의 도읍이 되면서 주거지가 조금씩 형성되었는데, 북촌이 양반사대부와 부유
층의 공간이었다면 서촌은 왕족과 양반사대부, 내시(內侍)와 상궁(尙宮), 의관(醫官), 역관(譯
官) 등 다양한 계층이 살았으며, 특히 중인 계급이 많이 살았다.

인왕산과 북악산(北岳山, 백악산)을 병풍으로 두룬 아름다운 절경으로 인해 조선 초부터 도성(
都城) 내 경승지로 아주 명성이 높았다. 이런 곳은 늘 귀족들이 군침을 흘리는 법이라 일찍이
안평대군(세종의 3번째 아들)부터 이항복(李恒福), 정철(鄭澈), 권율(權慄), 김상용(金尙容),
김수항(金壽恒), 추사 김정희(金正喜)에 이르기까지 많은 귀족들이 집과 별장을 지어 머물렀다.
특히 이곳은 도시와 자연이 경계를 맞닿은 도성의 변두리로 필운대로와 신교동교차로만 지나면
완전 자연에 감싸인 한적한 곳이었다. 게다가 궁궐과 육조(六曹) 등의 관청과는 엎어지면 코 닿
을 정도로 가까우니 귀족들의 별장 선호지로는 아주 그만이었다.

서촌의 이름난 명소는 겸재 정선(鄭敾)이 그의 노련한 손끝을 통해 그림으로 남겼는데, 그 화첩
이 장동(壯洞)8경첩으로 여기서 장동은 서촌의 일원인 청운동 지역의 옛 이름이다. 조선 후기에
는 중인이던 천수경(千壽慶)이 송석원(松石園)이란 시사(詩社)를 세워 중인들의 문학 공간이 되
었으며, 1910년 이후에는 윤동주(尹東柱)와 이상범, 박노수, 이상(李箱) 등 많은 시인과 화가들
이 자연과 가까운 서촌에 안기며 주옥 같은 작품을 그려냈다.

서촌은 북촌만큼은 아니지만 한옥들이 제법 많이 남아있다. 약 700여 채의 한옥이 옥인동과 누
하동, 사직동, 체부동, 창성동 일대에 흩어져 있는데, 정작 150년 이상 묵은 한옥은 하나도 없
고, 왜정 때 개량 한옥과 해방 이후 한옥이 전부이다. 그리고 왜식(倭式) 가옥과 박노수 가옥
등의 양옥도 섞여있어 20세기 초/중반 서울의 주거 양식을 잘 보여준다.
비록 한옥이 많긴 하지만 북촌처럼 정식적으로 한옥마을을 칭하고 있지는 않으며, 비공식적으로
서촌한옥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창성동 일대 한옥을 따로 '창성동한옥마을'이라 불리기
도 한다.

구한말까지 북촌과 더불어 장안에서 잘나가던 서촌이지만 옥인동 일대에 고래등 저택을 짓고 인
왕산의 맑은 공기나 축내던 악덕 친일파 윤덕영(尹德榮)과 이완용의 부정 때문인지 왜정 이후
적지 않게 기울었다. 게다가 해방 이후 개발제한구역에 꽁꽁 묶이면서 거의 시골 읍내처럼 오랫
동안 정체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루면 강산도 변한다는 서울 도심의 한복판임에도 북촌과 서촌만큼은 시간도 느릿느릿 양반걸
음을 하거나 뒷걸음을 친 것이다. 불과 조금만 나가면 21세기 한복판인데, 서촌은 아직 20세기
초/중반에 머물러 있어 서울의 옛 모습을 더듬기에 좋다.
허나 시간이 너무 정체되면 지역 주민들의 삶이 힘들어진다. 북촌도 도심 속의 꿀단지로 화려하
게 재기를 하고 있지만 서촌은 2011년까지 낙후된 과거 모습으로 남아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한옥 기피증이 생겨나 한옥이 적지 않게 사라졌고, 서촌의 숨겨진 명소들도 은근히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2010년 4월 서울시에서 '경복궁 서측 지구단위계획'을 발표하여 한옥 보존과
신축을 장려했고, 북촌으로 단단히 재미를 본 서울시와 종로구청이 서촌을 새로운 꿀단지로 손
을 대면서 서촌도 드디어 때를 만나게 되었다.
그 이후 새로 지어진 한옥이 나날이 늘고 있고, 종로구청에서 서촌 답사코스를 개발하고 홍보하
는 한편, 새로운 명소를 발굴하고, 기존의 명소를 손질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조금씩
북촌을 추격하고 있다. 특히 수성동계곡 복원(2012년 7월)과 박노수 가옥을 구립미술관으로 개
방한 일(2013년 9월)은 서촌에 큰 활력을 불어넣는데 충분했다. 게다가 소규모 갤러리와 공방(工
房), 아기자기한 가게들이 조금씩 둥지를 틀면서 서촌의 새로운 볼거리를 선사한다.

서촌에는 수성동계곡과 박노수가옥(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 이상범 가옥, 사직공원, 황학정(
黃鶴亭), 선희궁(宣禧宮)터, 백호정 바위글씨, 백세청풍 바위글씨, 창성동 한옥단지, 통의동 백
송터, 신익희(申翼熙) 가옥, 송석원터, 청휘각터, 자수궁터, 이상 가옥, 필운대, 배화여고 생활
관, 체부동 홍종문가옥, 백운동천 바위글씨, 운강대 바위글씨, 보안여관, 행촌동 은행나무, 홍
건희 가옥 등 조선과 근/현대 문화유산이 풍부하게 깃들여져 있으며, 이상범 가옥과 박노수 가
옥, 신익희 가옥은 내부 관람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림미술관, 갤러리시몬 등의 온갖 갤러리와 문화공간, 금천교시장과 통인시장 등의 전
통재래시장이 있다. 특히 금천교시장(세종마을 음식문화거리)은 제2의 피마골이라 불러도 손색
이 없을 정도로 먹자골목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온갖 고기와 해산물, 전, 한식, 분식 등을
내놓는 식당이 즐비해 학생과 직장인, 등산객, 답사객으로 1주 내내 활기가 넘친다.

성북동과 부암동(付岩洞), 북한산(삼각산), 북촌에 빼앗긴 나의 마음을 계속 훔쳐가고 있는 서
촌, 그들에 비해 늦게 인연을 맺었지만, 2011년부터 구석구석 발자국을 남기며 서촌의 숨겨진
속살을 계속 뒤집고 있다. 겉은 허름하고 그저 흔한 주거지로 보이겠지만 그 속은 신대륙 이상
으로 다양한 보물을 품은 곳이 바로 서촌이다.

서촌 나들이는 3호선 경복궁역(1,2,3번 출구)에서 시작하면 좋다. 여기서 자하문길이나 사직단
동쪽(경복궁역 1번 출구)의 필운대로를 중심으로 움직이면 되며, 창의문 옆에 자리한 윤동주시
인의 언덕(청운공원)에서 주요 명소를 거쳐 경복궁역으로 내려오는 것도 괜찮다. 또한 북촌처럼
조그만 골목길이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고, 그 속에 여러 명소와 소소한 볼거리가 숨겨져 있으니
큰 길만 살피지 말고 서촌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골목길도 꼭 거닐어보자. 그러면 정말 배부르
고 알찬 서촌 나들이가 될 것이다.

본글에서는 서촌의 명소 일부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다 다루기에는 너무 많음..

 

 


 

♠  20세기 초반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이자 배화학당(培花學堂)의 옛 흔적
배화여고 생활관(培花女高 生活館) - 등록문화재 93호

▲  배화여고 생활관

사직단을 품은 사직공원 북쪽에는 옛 배화학당의 역사를 이은 배화여자대학교와 배화여중/여고
가 한 덩어리로 몰려 있다. 대학과 여중, 여고, 유치원까지 한 울타리 안에 담긴 흔치 않은 현
장으로 교복을 입은 앳된 사춘기 여중~여고생부터 자유분방한 차림의 20대 여대생이 한데 공존
하는 여인들의 공간이다.
여중은 교내 북쪽, 여고는 교내 서쪽에 자리해 있고, 나머지는 대학이 채우고 있는데, 이화학당
(梨花學堂)과 더불어 이 땅에서 제법 오래된 신식학교이자 여학교로 의미가 깊다.

배화학당을 세운 사람은 미국 텍사스에서 건너온 남감리교 소속 여자 선교사 '조세핀 필 캠밸(
Josephine Eaton Peel Campbell, 1853~1920)'이다. 그는 이 땅을 찾은 최초의 여자 선교사로
1897년에 들어와 그들의 목적인 기독교 홍보를 위해 조선 여인들의 교육 계몽을 벌이기로 했다.
그래서 그가 몸담았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학생들에게 선교 기금을 받아 경복궁 인근 내자동
(內資洞)에 땅을 구입해 캐롤라이나 학당을 세웠다.

학교를 열자 청나라 여선교사 도라유의 도움으로 2명의 여자 아이와 3명의 남자 아이를 간신히
모집해 초등교육을 실시했다. 당시 여자들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교에 기숙사
를 두어 먹이고 재웠으며, 국어와 한문, 성경 등을 가르쳤다.
1902년 통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여 학생 수가 30명으로 늘어났다. 1903년 남감리교회 여선교부에
서 경비를 지원하여 학교 건물과 기숙사를 증축했고, 중학교 예비과를 설치했다. 1909년 고등과
를 설치했으며, 1910년 4월 배화학당으로 이름을 갈았다. 이때 초대 교장대리로 니콜스(Nicolls
)여사가 취임하면서 4년제 중학과와 4년제 소학과를 병설했다.
1910년 5월 16일 고등과 1회 졸업생 7명을 배출했는데,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가 친히 축사를
보내 그들의 졸업을 치하했으며, 그때 축사를 윤치호(尹致昊)가 대독했다.

1910년 이 땅에 어둠이 내려온 이후, 1914년 왜인 교사의 왜어(倭語) 수업을 거부하기도 했으며,
1916년 1월 지금의 자리로 학교를 옮겨 1915년에 미리 지은 과학관 건물에 보통과/고등과/유치
원을 담았다. 이때 3년제 고등과를 4년제로 개편했으며, 홍천에서 '무궁화 보급 운동'을 펼쳤던
남궁억(南宮檍)이 잠시 교편을 잡기도 했다.
1919년 3.1운동이 터지자 '독립선언문'을 배포해 독립운동에 적극 동참했으며, 1920년 기숙생들
이 만세 사건을 벌이면서 많은 교사와 학생이 왜정에 잡혀갔다. 1922년 4년제 보통과를 6년제로
바꾸고 대학 예과를 설치했으나 이듬해 폐지했으며, 1924년에는 교가(校歌)가 지어졌는데, 춘원
이광수(春園 李光洙)가 노래 가사를 쓰고, 교사인 루비 리가 작곡을 했다.

1925년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을 갈았고, 1926년 캠벨기념관을 신축해 고등과가 이전했다.
1929년 11월 광주(光州) 학생운동이 터지자 격문(檄文)을 붙이는 등, 만세운동에 동참하여 왜정
의 염통을 잠시 쫄깃하게 만들었으며, 1938년 3월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소학교로 명칭을
갈았다.
1940년 왜정의 신사(神社) 참배 강요에 선교사들이 반발하면서 모두 그들 나라로 돌아가자 경영
난으로 일시 위기를 맞게 된다. 다행히 이민천(李閔天)의 재산 기부와 여러 교사들의 노력으로
문을 닫는 것은 면했다. 1943년 배화여자소학교를 경성여자배화학교로 변경했으며, 1944년 7월
왜군 통신부대가 캠벨기념관을 무단 점유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 1945년 9월, 경성여자배화학교를 폐교하고 재학생을 종로국민학교로 보냈으며, 1946
년 4월, 6년제로 개편하고 배화여자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허나 1950년 6.25가 터지면서 학
교는 부산(釜山) 초량동으로 내려가 임시 교사를 만들어 운영했으며, 서울의 학교는 폭격으로
상당수가 파괴되고 말았다.
1951년 5월, 교육법 개정으로 배화여중과 배화여고로 개편했으며, 1977년 배화여자대학을 설립
하여 지금에 이른다.

배화학당 초창기 시절, 이화학당도 비슷한 상황이었지만 조선이란 나라가 워낙 남녀유별이 심하
다보니 여학생 교육을 모두 여선교사들이 맡아서 했다. 단 한문(漢文)은 남자 선생이 맡는 경우
도 있었는데, 이때는 선생이 여학생을 마주 보며 가르치지 못하고 항상 뒤로 돌아앉아 여학생의
질문에만 대답을 하거나 선생과 학생 사이에 병풍을 치고 수업을 했었다. 지금으로써는 도저히
상상도 안되는 일이다.


▲  붉은 피부로 이루어진 배화여고 생활관

내가 배화여자대학을 찾은 것은 단순히 여자 구경을 하러 온 것이 아니다. (정말임ㅠ) 바로 옛
배화학당 건물을 보고자 함이다. 교내(校內)를 들어서면 황금빛으로 물든 은행나무 뒷쪽에 붉게
물든 중후한 모습의 근대 건축물이 있는데, 바로 학교에서 2번째로 오래된 건물인 배화여고 생
활관이다.

언덕에 터를 닦은 배화여고 생활관(이하 생활관)은 배화학당이 내자동에서 이곳으로 둥지를 옮
긴 1916년에 선교사 주택으로 지어졌다. 선교사들 대부분 미국에서 건너와서 그런지 건물도 그
들의 고향, 미국이 있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해방 이후 윌슨 선교사의 집으로 사용되었다
가 1971년 배화여고에 기증하면서 배화여고 생활관 및 동창회관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1997년
이후에는 동창회관으로만 쓰이면서 많이 한가해졌다.

서양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반지하와 2층으로 이루어졌는데, 반지하는 완전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준3층이나 다름이 없다. 건물 현관은 1층에 있으며, 반지하는 현관을 거쳐 내려가야 된다.
현관 앞에는 돌출된 지붕을 만들고 그 위를 발코니로 사용했으며, 건물 내부에는 홀과 계단이
있고, 그 양쪽으로 방을 두었다. 건물의 겉모습은 서양식 근대 건축물로 붉은 피부의 벽돌을 사
용했는데, 지붕은 흥미롭게도 한옥의 기와지붕을 취했다. 그래서 서양식과 우리식이 조화를 이
룬 건물로 지붕에는 2개의 붉은 굴뚝을 세워 연기로 하늘을 찌른다. 허나 난방 방식도 많이 바
뀌었으니 이제는 무늬만 굴뚝이 되어 모락모락 연기를 불던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한다.


▲  늦가을이 씌운 황금옷을 입고 아장아장 신이 난 은행나무
(나무 그늘에 캠벨 여사의 흉상이 있고, 그 뒷쪽에 생활관이 있음)

▲  은행나무 그늘에 세워진 배화학당의 창시자 '조세핀 필 캠벨'의 흉상과
리드(Dr. C.F. Reid)선교사 내한 100주년 기념비(왼쪽), 그리고 2007년에
세운 배화학당 창립 110주년 및 대학 개교 30주년 기념비(오른쪽)

▲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배화여고 과학관

생활관 앞에는 넓게 운동장이 닦여져 있다. 그 북쪽에는 교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과학관이
붉은 피부를 드러내며 자리해 있는데, 배화학당이 필운동으로 자리를 옮기던 1915년에 2층으로
지어진 것을 나중에 3층으로 올렸다. 바로 옆 생활관보다 무려 1년이나 선배이지만 아직까지 문
화유산의 지위를 얻지 못했다. 아마도 학교에서 문화재 지정에 관심이 없는 모양이다.
그리고 사진에는 없지만 배화여고 본관(本館)도 생활관, 과학관과 마찬가지인 붉은 벽돌 건물로
1926년에 켐벨기념관으로 지어졌다. 1944년 왜군 통신부대가 무단으로 점유했으며, 6.25 시절에
반파된 것을 개축하여 현재는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유치원 놀이터 옆에는 수북하게 자라난 회화나무 1그루가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데, 나이는 대략
200년 정도 되었다고 한다. 아직 오래된 나무로써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 보호수 등급도 따지
못했지만 그에게는 인간이 달아주는 보호수란 훈장 따위는 관심이 없을 것이다.

끝으로 여기서는 빠졌지만 배화여고 필운관 뒷쪽에 필운대(弼雲臺)란 오래된 명소가 숨겨져 있
다. 이곳은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오성 이항복(李恒福)의 집터로 필운(弼雲)은 그의 또다른
호이다.
오성의 집은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오래 전에 사라지고 고종 때 그의 후손인 이유원(李裕元)
이 '필운대' 3자와 이곳을 소개하는 바위글씨를 바위에 새겼다. 원래는 이들도 보려고 했는데
그만 깜박하고 말았다. 교문을 나오고 한참이 지나서야 앗차 생각이 나더군.. 아무래도 이번은
인연이 아닌듯 싶어서 쿨하게 다음으로 미루었다.

※ 배화여고 생활관, 필운대 찾아가기 (2015년 12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1번 출구에서 직진하면 사직동주민센터와 파출소가 나온다. 여기서 주
  민센터와 파출소를 왼쪽에 끼고 '사직로9길'로 들어서면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과 매동초교가
  나오며, 그들을 지나면 배화여자대학 정문이다. 정문을 들어서면 생활관의 옆구리가 정면에
  보이며, 필운대는 교내 서쪽 필운관(배화여고) 안쪽에 있다. (경복궁역에서 도보 10분)
* 경복궁역 2번 출구를 나와서 세종마을 음식문화거리(금천교시장)를 가로질러 직진하면(필운대
  로1길) 배화여자대학 정문이다.
* 사직단과 경복궁역(사직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도보 8분
  (이곳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 - 171, 272, 601, 606, 700, 706, 707, 7025, 9703번)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산12 (배화여고 ☎ 02-724-0300)
* 배화여고 홈페이지는 아래 회화나무 사진을 클릭한다.


▲  유치원 운동장에 그늘을 드리우는 오래된 회화나무

 


 

♠  근/현대 동양화의 산실이자 왜정 때 개량한옥
이상범(李象範) 가옥 및 화실(畵室) - 등록문화재 171호

▲  이상범 가옥

배화여고 생활관을 둘러보고 서촌을 남북으로 가르는 필운대로를 따라 조금 올라가면 누하동(樓
下洞) 주택가이다. 여기서 왼쪽으로 펼쳐지는 갖은 골목길을 유심히 살펴보자. 앞서 배화여자대
학 유치원 회화나무가 가옥들 뒷쪽으로 짙게 보이는 골목길로 들어서면 그 막다른 곳에 서촌을
거쳐간 근/현대 동양화가 이상범의 가옥과 화실이 있다.
골목 입구에는 그를 알리는 이정표가 없기 때문에 동네 뒤로 보이는 배화유치원 회화나무를 단
서로 삼아 정신을 바짝 차리고 찾아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눈뜨고도 놓칠 정도로 주택가
속에 파묻혀 있다.


▲  이상범 가옥과 화실이 있는 골목길
골목 끝에 자리한 집이 이상범 가옥이며, 그 뒤에 배화유치원 회화나무가 바라보인다.
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푸른색 기와 대문 안쪽이 이상범의 화실과
그의 아들 내외가 거주하는 집이다.

▲  담장 너머로 바라본 이상범 화실 (청전화숙)

골목 끝 직전에는 이상범이 그림을 그리던 붉은 벽돌의 집이 있다. 그는 집 바로 동쪽에 그림을
그리는 작업실을 두어 그림을 그리고, 많은 제자를 길러냈는데, 이 화실을 청전화옥(靑田畵屋)
또는 청전화숙(靑田畵宿)이라 불렀다. (여기서 '청전'은 이상범의 호)
겉을 보면 별로 오래되지 않은 주택처럼 보이지만 속은 1930년대에 지어진 왜식(倭式) 목조 건
물로 바깥에 빨간 벽돌과 기와를 씌웠다. 건물 남쪽에는 큰 창을 두어 실내를 밝게 하였고, 서
쪽에는 집과 이어지는 통로를 내었는데, 지금은 담장을 막아놓았다.
현재 화실은 그의 아들이 소유하고 있으며, 바로 동쪽에 그들이 사는 주택이 있다. 이상범 가옥
은 서울시에서 매입하여 관리하면서 관람시간 내에 자유롭게 구경할 수 있지만 화실만큼은 아직
은 자유롭지 못해 관람을 원할 경우 초인종을 눌러 집주인에게 요청해야 된다. (나는 아직 화실
은 구경 못함)
화실에는 청전이 그림을 그리던 현장이 고스란히 남아있으며, 그의 손때가 탄 미술용품과 여러
유품, 서적이 전한다.

▲  화실 대문에 걸린 청전화옥 현판

▲  화실 담장에 걸린 표석


▲  함정이 깃든 이상범 가옥 바깥 대문

이상범 가옥의 철제 대문은 늘 굳게 닫혀져 있다. 그래서 속사정을 모르는 이들은 비공개로 여
기고 발길을 돌리기 일쑤, 허나 그것이 대문의 함정이다. 화실은 몰라도 가옥은 2012년부터 속
세에 개방된 상태이므로 함정에 속지 말고 과감히 초인종을 눌러보자. 그러면 닫혔던 문이 확
열릴 것이다. 그렇게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안쪽 대문이 나타나는데, 이 대문이 원래 것이다.
바깥 대문은 가옥을 손질하면서 새로 단 것이다.


▲  이상범 가옥 안쪽 대문 (예전 대문)

안쪽 대문을 들어서면 뜨락과 대문 사이에 자리한 문간방이 나온다. 이 방은 현재 가옥 관리인
이 머무는 일종의 경비실로 예전에는 청전의 3째 아들 부부가 거처하기도 했고, 4째 아들 이건
걸(李建傑)이 작업실로 쓰기도 했다.

    ◀  행랑채 응접실 (안쪽은 청전의 방)
문간방 맞은편에는 행랑채 응접실이 있다. 이곳
은 청전이 남자 손님을 맞던 방으로 탁자와 의
자가 놓여져 있으며, 안쪽 방은 청전이 생활하
던 방이다.
손님이 많았던 청전은 대문과 이웃한 행랑채 끝
방을 자신의 방으로 삼고 그 양쪽 방을 손님 응
접실로 삼았으며, 방 동쪽에는 별도 건물로 화
실(청전화숙)을 두어 직접 드나들었다.


▲  주인이 가고 없는 청전의 빈 방
청전은 여기서 잠을 자고 책을 읽으며 작품을 구상했다.

▲  청전의 방에서 바라본 안채 응접실
안채와 연결된 안채 응접실은 여자 손님을
맞이하던 방이다.

▲  거실에서 바라본 안채 응접실과
청전의 방


▲  거실(마루)과 안채 응접실(오른쪽)

이상범 가옥은 1930년대에 지어진 서울에 흔한 개량한옥으로 1942년 청전이 매입하여 1972년 세
상을 뜰 때까지 30년을 살았다. 가옥의 구조는 'ㄱ'자 안채와 'ㅡ'자 행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시 한옥에서는 드물게 부엌에 찬마루를 갖고 있는 것이 이 집의 강한 특징이다.
가옥 서부는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동부는 자신의 사회적 활동공간으로 구분했으며, 화실에서
그의 많은 작품이 숱한 인고의 노력 끝에 태어났다. 그리고 배렴과 박노수를 비롯한 많은 열성
제자들이 이곳을 거쳐 현대 미술의 한 획을 그으면서 현대 미술의 살아있는 성지(聖地)로 크게
추앙을 받았다.

청전이 세상을 떠난 이후, 그의 자손들이 거주하다가 2006년 서울시에서 매입하면서 그들은 화
실 옆 주택으로 집을 옮겼다. 이후 2008년 복원 공사를 벌였으며 2012년 속세에 개방되어 자유
롭게 구경할 수 있게 되었다. 허나 집을 알리는 이정표도 아직 없고, 집의 인지도도 그의 높은
이름에 걸맞지 않게 너무 낮아 찾는 이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가옥 내부에는 청전의 방과 안방 등 6개의 방과 마루(거실), 찬마루, 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청전 일가가 사용하던 TV수상기와 빨래 방망이, 돌판, 냉장고, 가구, 그릇과 밥상 등이 놓여져
청전의 숨결을 조금이나마 누리게 해준다.

▲  거실 한쪽에 자리한 냉장고
청전 식구들이 사용하던 냉장고라고 한다.

▲  막이 닫힌 오래된 TV수상기
그 밑에 빨래 방망이와 돌판이 있다.

▲  거실 서쪽에 자리한 안방
안방은 부인의 거처로 청전이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  찬마루에 걸린 누하동천(樓下洞天) 현판
이 글씨는 청전이 쓴 것으로 그는 자신의
집을 누하동천이라 칭하며 소중히 여겼다.


▲  아랫방(왼쪽)과 찬마루(가운데), 부엌
아랫방은 청전의 2째 아들(이건웅) 부부가 살던 방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청전 식구가 식사를 준비하거나 밥을 먹던 부엌 찬마루
그들이 사용하던 밥상과 놋쇠로 된 그릇이 고스란히 놓여져 갑자기
밥생각을 간절하게 만든다.

▲  껍데기만 남은 부엌 부뚜막과 검은 피부의 솥뚜껑
장작을 먹으며 모락모락 연기를 내뿜던 왕년의 시절을 그리워한다.
청전의 작품도 저 솥에서 나온 밥과 음식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  마당과 장독대, 고품격 무늬가 새겨진 남쪽 담장
담장 벽면에는 궁궐 담장이나 벽에서나 볼 수 있는 화려한 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무늬는 청전이 직접 제작한 것으로 벽면 절반이 뜯어져 나가
허전한 모습이다. 장대한 세월이 이곳을 방문한 기념으로
하나씩 뜯어간 모양이다.

※ 청전 이상범(1897~1972)의 생애
이상범은 1897년 몰락한 선비 집안인 이승원(李承遠)의 3째 아들로 태어났다. 집안 형편이 어려
워 중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공짜로 교육을 시키던 서화미술원에 입학하면서 그의 숨겨진 미술적
재능이 빛을 보기 시작했다. 그 빛을 제대로 비추게 만든 이가 바로 그의 스승인 안중식(安中植
)으로 1917년 미술원을 수료하자 자신의 화실인 경묵당(耕墨堂)에 머물게 하며 미술을 가르쳤다.

1923년 이용우(李用雨), 노수현(盧壽鉉), 변관식(卞寬植)과 동연사(同硯社)를 조직하고 전통 회
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으나, 그해 11월 노수현과 2인전을 개최하는 선에서 중단되고 말았다.
1929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최고상인 창덕궁상을 받았으며, 그 인연으로 추천 작가와 심
사 위원을 역임했다.

이후 동아일보사에서 근무하다가 1936년 손기정이 독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1등을 먹자,
그의 가슴에 새겨진 일장기를 지운 사건으로 옥고를 치루었으며, 감옥을 나온 이후 집에 청전화
숙을 차리고, 오로지 그림과 제자 양성에 모든 것을 내던졌다. 그의 화숙을 거쳐간 이로는 배렴
과 박노수가 있으며, 청전의 그림 솜씨가 나날이 신을 닮아가면서 미술계의 춘원 이광수로 찬양
을 받기도 했다.

1947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가 창설되자 추천 작가, 심사 위원, 고문 등을 역임했고, 1950년부
터 홍익대 교수를 지내다가 1961년에 퇴직, 집에서 그림을 벗삼으며 말년을 보내다가 1972년 세
상을 떠났다.

청전의 작품은 그의 스승이던 안중식의 영향으로 남북종(南北宗) 절충 화풍을 추구하였다. 그러
다가 1923년부터는 논과 개울을 근경에 두고 나지막한 야산을 원경에 배치해 횡으로 전개되는
독창적인 구도를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나온 작품으로 '산수도'(1919년), '모연도(暮煙圖)'
(1924년), '초동도(初冬圖)'(1926년) 등이 있다.
그만의 독자적인 양식이 형성된 것은 1945년 이후로 농촌의 전원 풍경을 2단의 간단한 구도 속
에 배치했으며, 엷은 먹에서 점차 진한 데로 변화하는 농담(濃淡)의 묘를 살려 향토색 짙은 세
계로 승화시켰다. 특히 시골 산야의 정취를 계절 변화에 따라 특유의 기법으로 처리하면서 한국
적 서정성을 추구했다.
이 당시 대표작으로 '설로도(雪路圖)'(1957년), '고원귀려도(高原歸旅圖)'(1959년) 등이 있으며,
전통적 수묵 기법의 새로운 창조적 추구와 한국 산야와 전원의 향토적 분위기를 독자적인 사상
풍의 화법으로 이루어낸 우리나라 현대 한국화의 대표적인 화가로 꼽힌다.

※ 누하동 이상범 가옥 찾아가기 (2015년 12월 기준)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1번 출구)에서 직진하면 사직공원 바로 직전에 사직동주민센터가 나온
  다. 여기서 오른쪽 필운대로길로 들어서 조그만 언덕을 넘으면서 왼쪽 골목길을 잘 살펴보자.
  커다란 회화나무가 바로 뒤에 보이는 조그만 골목길을 들어서면 그 길의 끝에 이상범 가옥과
  화실이 있다.
* 가옥 관람시간 : 9시~18시 (겨울은 17시, 매주 월요일은 쉰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178, 181 (필운대로 31-7)

 

 


 

♠  서촌에 숨겨진 명소, 옛 백호정(白虎亭)의 아련한 흔적

▲  개발의 분별없는 칼질 앞에 외로운 신세가 된 옛 백호정터

주택들로 밀림을 이룬 누상동 서남쪽 구석에는 서울 장안의 활터로 유명했던 백호정터가 숨겨져
있다.
이곳에는 백호정 바위글씨와 글씨가 새겨진 바위, 죽은 샘터가 남아있는데, 바위 바로 윗쪽에는
배화여자대학이 콘크리트로 흉하게 터를 다지고 캠벨기념복지관을 세우면서 보기에도 참 가련한
신세가 되어버렸다. 아무리 바위 머리까지 학교 땅이라고 해도 바위를 저렇게 짓누르면서까지
콘크리트를 바르고 건물을 세워야 했는지 모르겠다.
여기서 가까운 청운동의 백세청풍(百世淸風) 바위글씨도 그 위에 졸부들의 빌라가 들어서 있고,
명륜동(明倫洞)에 있는 증주벽립(曾朱壁立) 바위글씨도 그 위에 집들이 들어앉아 그들을 깔아뭉
개니 그게 바로 개발이 철학도 없이 칼질을 자행한 결과이다. 인간이 저지른 개발의 칼질이 그
들에게 몹쓸 칼을 씌운 셈이다. 그래도 이곳은 바위가 그런데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주변에
수목도 조촐하게 숲을 이루어 백호정터를 감싸니 그나마 백세청풍이나 증주벽립보다는 좀 나은
상황이다.

백호정은 서촌에 있던 5개의 활터인 오사정(五射亭)의 하나로 무인들이 궁술을 연마하던 곳이었
다. 허나 굳이 활쏘기가 아니더라도 이곳은 풍경이 빼어나 많은 문인들이 바위가 닳도록 찾아왔
던 장안의 경승지였다.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으로 오사정이 폐쇄되면서 그때 문을 닫았는데, 6.25이후 무분별하게
집들이 들어서면서 아련하게 남은 활터의 흔적마저 완전 지워지고 말았다. 다행히 백호정이란
바위글씨가 백호정을 엄호했단 바위 피부에 화석처럼 새겨져 백호정의 옛 정취를 조금이나마 풍
겨주고 있는데, 이 글씨는 엄한명(嚴漢明, 1685~1759)이 새긴 것으로 여겨지며, 글씨가 제법 크
고 당찬 모습이다.

백호정이란 하얀 호랑이란 뜻으로 천하 호랑이의 성지로 추앙받던 인왕산 호랑이와 관련이 있다.
조선 초기에 인왕산에 살던 병든 호랑이가 풀속에서 솟는 물을 마신 이후 병이 나았는데, 물이
솟는 자리에 가보니 조그만 샘이 있었더랜다. 그래서 그 샘을 약수터로 삼으니 그것이 백호정
약수로 이 물을 마시면 모든 병이 낫는다는 이야기가 있어 왕년에는 많은 폐질환자들이 찾아와
북새통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렇게 장안에서 이름난 약수터였지만 개발의 칼질이 그 약수의 명
줄을 위협하면서 1980년대 이후 샘터는 끝내 숨이 끊겼고, 세상 뇌리 속에 완전 잊혀졌다.
다행히 1990년대 후반 이곳을 관리하는 효자동(孝子洞)에서 동네 명소로 지정하고 주변을 정비
하면서 그나마 바위글씨라도 유지하게 되었고, 2014년 6월,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어 개발의
칼질에서 자유롭게 되었다. (문화재 지정 명칭은 '백호정') 하긴 서울에서 이렇게 처참한 모습
이 된 명소와 샘터가 어디 한둘이랴..?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1-33


▲  한토막 전설이 되버린 백호정 약수터

약수의 기능을 상실한지 오래라 샘터를 머금은 연두색 문은 거의 열릴 일이 없다. 방학동(放鶴
洞)의 원당(元堂)샘처럼 말끔히 복원을 하여 다시금 샘물이 콸콸 솟는 그날을 재현할 수는 없을
까? 허나 그전에 바위를 깔고 앉은 학교 건물과 인근 주택들 먼저 싹 지워야 될 것이다. 그래야
물도 마음 놓고 이곳까지 올 것이 아니던가?


▲  백호정 바위글씨 - 서울 지방문화재자료 59호

▲  백호정 바위글씨가 새겨진 바위, 그리고 그 위에 굴레처럼 씌워진
흉물스러운 개발의 잔재물


▲  자수궁(慈壽宮)터 표석

필운대로는 사직공원에서 통인시장 서쪽, 맹학교와 농학교 앞을 거쳐 신교동로터리에서 끝을 맺
는 길이다. 서촌의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길로 길 주변에 사직공원, 배화여고 생활관, 이상
범가옥, 체부동 홍종문가옥(비공개), 홍건희가옥, 수성동계곡, 백호정 바위글씨, 박노수가옥,
송석원터, 자수궁터, 우당기념관, 선희궁터 등 명소가 풍부해 서촌의 꿀단지 같은 길이니 꼭 둘
러보기 바란다.

필운대로를 거닐다가 옥인아파트에 이르면 자수궁터 표석을 만날 수 있다. 자수궁은 광해군(光
海君)이 1616년에 지은 궁궐로 조선 초부터 이곳에는 북학(北學)이란 학당과 후사가 없는 후궁
들의 거처가 있었는데, 인왕산과 경희궁 자리에 왕기(王氣)가 서려있다는 풍수설(風水說)이 나
돌자 광해군은 그 기운을 막고 풍수설에 따른 백성들의 혼란을 잠재우고자 자수궁과 인경궁(仁
慶宮), 경덕궁(敬德宮, 경희궁)을 지었다.
궁이라고는 하지만 규모는 작았으며,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인경궁
은 철거되어 일부 건물과 목재가 창경궁으로 옮겨졌고, 자수궁은 후사가 없는 후궁들이 비구니
가 되어 말년을 보내는 일종의 이원()으로 형태를 전환하여 자수원()으로 이름을 갈
았다.

자수원은 한때 5,000명이 넘는 여승이 머물렀으나 경비가 많이 드는 등, 폐해가 심해 1661년 2
월 부제학(副提學) 유계() 등의 상소로 철거되었으며, 건물 목재는 성균관(成均館) 건물을
짓거나 보수하는데 동원되었다. 이후 자수궁 돌다리와 일부 건물이 왜정 때까지 남아있었으나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신기루처럼 사라졌고, 매국노의 대명사인 이완용(李完用)이 이곳을 매
입하여 잠시 살기도 했다. 이완용은 거의 공공의 적이 되어 목을 노리는 사람들이 나날이 많아
지자 그 더러운 목숨을 지키고자 여러 번 집을 옮겼다.


▲  송석원(松石園)터 표석

필운대로 통인시장 부근 길가에는 송석원터 표석이 있다. 송석원은 인왕산 계곡의 하나인 옥류
동(玉流洞)에 있던 천수경(千壽慶)의 집으로 그의 자는 군선(). 호는 송석원(), 송석
도인()이다.
천수경은 가난한 평민 출신으로 한시(漢詩)에 아주 능했으며, 1786년 옥류동에 집을 짓고 송석
도인을 칭하며 취미가 비슷한 중인 계급의 지식인 10여 명을 모아 일종의 동호회를 결성했다.
그 모임이 옥계시사(玉溪詩社), 또는 송석원시사()였다. <서사(西). 서원시사(西
)라고도 함>

그 모임은 그의 집인 송석원에서 열렸으며, 1817년 5월 천수경의 회갑을 기념하는 시사 모임에
추사 김정희(金正喜)도 찾아와 회갑 선물로 송석원 뒤에 있던 바위에 송석원 바위글씨를 남겼다.
당시 추사는 인근 통의동(通義洞) 백송터에 살고 있었다. (바위글씨는 1950년대 이후 동네 주민
들이 집을 지으면서 깨부심)

옥계시사는 천수경이 죽은 이후 점차 와해되었고, 송석원은 명성황후(明成皇后) 일가인 민규호(
閔奎鎬)와 민태호(閔台鎬)가 차례대로 접수했다가 친일매국노 윤덕영이 모두 매입했다.
그 작자는 1914년 독일인 감독을 시켜 222평의 양옥 건물인 벽수산장(碧樹山莊)을 지었는데, 무
려 10여 년이 걸렸으며, 산장 외에도 한옥 14동(그중의 박노수가옥도 있음)을 지어 그의 일가에
게 주었다.
당시 벽수산장은 서울 장안에서 제일 호화로운 주택으로 꼽혔는데, 사람들은 '돌문안 뾰족집'이
라 불렀다.

1940년 윤덕영이 지옥에 떨어지자, 그의 아들이 상속을 받았다. 허나 세상물정 모르던 금수저라
금세 재산을 말아먹었고, 집 유지비도 벅차서 1941년 왜열도 회사인 미쓰이(三井)에게 팔아넘겼
다. 미쓰이는 이때 부근 청풍계도 매입하여 그곳 절경을 싹 말아먹었다.

해방 이후 벽수산장에 덕수병원이 들어섰으며, 6.25시절에는 잠시 조선인민공화국 청사가 되기
도 했다. 청사로 쓰일 정도로 건물이 웅장하고 멋드러졌기 때문일 것이다. 1951년 이후에는 유
엔군장교 숙소로,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회 건물로 쓰였으며, 1966년 수리를 하던 중 불이나 건
물은 전소되었다. 그래도 부시기 아까운 건물이라 중수를 하려고 했으나 도저히 가능성이 없어
1973년 말끔히 부셔버렸다.
그래서 지금은 벽수산장 외곽에 세운 돌기둥 3개가 남아있고, 그가 지은 한옥 1동이 옥인동 구
석에 남아있으며, 딸에게 준 2층짜리 건물은 박노수가 매입하여 2011년까지 살다가 2013년 9월
에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본글은 여기서 끝.. 나머지 명소는 별도의 글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8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5년 12월 28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