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무덤'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23.04.27 서울의 서남쪽 끝으머리, 오류동 류순정 류홍부자묘역~항동철길~푸른수목원 봄나들이
  2. 2020.02.16 서울 송파에 깃든 옛 한성백제의 장대한 영혼터, 석촌동고분군~방이동고분군
  3. 2019.08.14 기름진 논두렁과 밭두렁을 간직한 서울의 두메산골, 도봉산 무수골 ~~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전주이씨영해군파묘역, 무수골계곡)
  4. 2019.05.31 중랑구의 북쪽 지붕이자 서울 도심의 상큼한 뒷동산, 봉화산 둘러보기 ~~ (숙선옹주묘, 아차산봉수대터, 봉화산도당, 충익공 신경진묘역)
  5. 2018.04.12 서울 강서구의 지붕을 거닐다. 개화산 둘러보기 ~~~ (능말 은행나무, 풍산심씨 문정공파묘역, 개화산둘레길, 약사사와 석불입상)

서울의 서남쪽 끝으머리, 오류동 류순정 류홍부자묘역~항동철길~푸른수목원 봄나들이

구로구 오류동 봄나들이 (류순정 류홍묘역, 항동철길)



' 구로구 오류동 봄나들이 '
(류순정 류홍 부자 묘역, 항동철길)
 

류순정 류홍 부자묘역

▲  류순정, 류홍 부자 묘역

항동철길 (오류선) 류홍 신도비와 류사필 묘갈

▲  항동철길 (오류선)

▲  류홍 신도비와 류사필 묘갈

 


 

서울 서남쪽 끝으머리를 잡고 있는 구로구 오류동(梧柳洞)에는 류순정, 류홍 부자 묘역과
항동철길, 천왕산 등의 명소가 있다. 이들은 아직까지도 미답처(未踏處)로 남아있어 나의
심기를 적지 않게 건드리고 있는데, 별처럼 무수히 뿌려진 이 땅의 미답처를 다 지우지는
못해도 내가 있는 서울만큼은 미답처를 싹 지우고자 매년 부지런히 행동에 옮기고 있다.
남들 훨씬 이상으로 서울 구석구석을 다녔다고 자부하나 아직도 미답처가 차고 넘치니 겨
우 605㎢에 불과한 서울 땅이 실로 우주 이상만큼이나 장대해 보인다.


 

♠  서울에서 유일한 부자(父子) 2대 공신 묘역
류순정, 류홍 부자 묘역 - 서울 지방기념물 22호

▲  무덤들이 물결을 이루는 류홍 묘역 (제일 위쪽에 류홍 묘가 있음)

구로구의 대표 지붕인 천왕산(天旺山. 144m) 북쪽 끝자락 구석에 류순정(유순정), 류홍(유홍)
부자를 중심으로 한 진주류씨(유씨) 묘역이 넓게 누워있다.

류순정과 류홍은 조선 초기 인물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부자가 나란히 공신(功臣)이
되었다. 1512년 류순정이 병사하자 중종(中宗)은 매우 슬퍼하며 3일 동안 조회(朝會)를 열지
않았으며, 왕족들에게만 주던 장생전<長生殿, 장흥고(長興庫)>의 관곽(棺槨)을 특별히 내주어
장례를 도왔다. 또한 오류동과 온수동(溫水洞), 부천시(富川市) 여월동과 작동 지역에 300만
평(9,917,355㎡)에 이르는 너른 땅까지 내렸는데, 류순정은 그 땅 중에서 제일 명당으로 꼽히
는 천왕산 자락에 유택(幽宅)을 썼다.
1551년 류홍이 사망하자 아비 묘 서남쪽 자락에 묻혔으며, 이후 후손들은 중종에게 하사받은
다른 동네 땅에 묻혔다.

20세기 이후, 묘역 주변을 조금씩 처분하면서 묘역 규모가 줄어들었고, 속세로 떨어져나간 묘
역 동북쪽에는 동부제강에서 사원용 아파트로 세운 동보아파트가, 동남쪽에는 금강수목원아파
트와 주택이 들어섰다. 그렇게 해서 남은 묘역은 26,531㎡로 비록 옛날만큼은 못해도 여전히
넓은 편이다.
묘역 서북쪽과 서쪽, 서남쪽은 딱히 건드리지 않아 자연 지대로 남으면서 개발의 칼질에 완전
히 고립되는 꼴은 면했으며, 주변에 흩어진 류순정의 후손 묘 5기도 그 땅을 처분하면서 모두
류홍 묘 밑으로 가져와 7대가 모여있는 문중 묘역이 되었다.

20세기가 끝나도록 묘역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적지 않게 훼손이 되었으나 2004년에 서울시
지방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더 이상 망가지는 꼴은 면했다. 또한 후손들은 집안의 보물로 16세
기에 제작된 류순정의 영정 4점과 류홍의 영정 1점을 안전하게 후대에 전하고자 서울시에 흔
쾌히 기증해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전시, 보관되고 있다. 이들은 이 땅에 흔치 않은 16세기
초상화로 그림 바닥에 채전이 등장하는 최초의 예로 가치가 대단해 서울시 지방유형문화재의
지위를 얻었다. (솔직히 국가 보물급임)
이들 영정은 고약했던 6.25 시절 진주류씨 종손인 유종식(柳宗植)이 목숨을 걸고 지킨 것으로
그때 식솔과 가재도구는 챙기지도 않고 오직 영정함만 챙겨 어깨에 맸다. 그의 부인이 피난길
에 가솔은 안중에도 없고 영정만 챙기냐고 따지자. 집안의 종손으로 그것을 잃어버리면 조상
을 잃어버린 것과 같다고 답을 했다고 한다.
어쨌든 영정과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던 서적들, 필요한 가재도구를 챙겨 가솔들과 무사히 피
난을 떠났고, 그렇게 영정은 살아남아 그 가치는 백두산에 붙어있을 정도로 커졌다.

류순정, 류홍 묘역은 후손들의 배려로 자유롭게 구경할 수 있다. 묘역 밑에 후손이 거처하는
집이 있으며, 그 집을 중심으로 북쪽에 묘역의 주인공인 류순정 묘, 서쪽에 류홍과 후손들의
묘가 자리해 있다. 류홍과 류순정 묘는 16세기 무덤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무덤 석물과
신도비도 그 시절 것으로 가치가 높다. 그리고 후손들의 무덤도 묘비 등 일부를 제외하고 옛
날 것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류홍 묘는 뒤쪽에 숲이 있으나 류순정 묘는 바로 북쪽과 동쪽 담장 너머로 동보아파트가 들어
앉아 묘역을 굽어보고 있어 보기에도 좀 딱해 보인다. 적어도 류순정 묘 주변 땅은 지켰어야
했는데 그러지를 못 했던 것이다.


▲  진흥군(晋興君) 류식(柳寔)과 청풍김씨(오른쪽 무덤)의 합장묘,
류중광(柳重光)과 나주정씨(왼쪽 무덤) 합장묘


류식은 류돈의 손자이자 류시경의 아들로 류순정의 7대손이며, 류중광은 류준의 아들로 류순
정의 4대손이다. 무덤을 지키고 있는 문인석(文人石)과 망주석(望柱石), 동자석(童子石), 상
석(床石), 혼유석(魂遊石)은 조선 중기 것으로 고색의 때가 역력하며, 묘비는 1989년 이후에
새로 장만했다.

▲  진흥군 류식과 청풍김씨의 묘비

▲  류중광과 류식 묘 (남쪽에서 본 모습)


▲  류사필(柳師弼)과 청주한씨의 합장묘(왼쪽),
류준(柳浚)과 연안이씨의 합장묘(오른쪽)


류중광, 류식 묘 바로 위에는 류사필과 류준의 묘가 나란히 자리해 있다. 류사필(1501~1559)
은 류홍의 아들로 어머니(풍양조씨)가 2살에 사망하자 외가에서 자랐는데, 공신의 자손으로
과거시험도 거치지 않고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어 사복시 주부(司僕寺 主簿), 사헌부 감찰(
司憲府 監察), 금성현령, 김포현령, 예빈시 주부, 온양군수를 지냈다. 부인은 청주한씨로 영
의정을 지낸 한효원(韓效元)의 딸이다.

류준은 류사필의 아들로 아버지나 할아버지 만큼의 공적은 없으나 그들의 신도비를 세우지 못
한 것이 내내 마음에 걸렸다. 하여 1567년에 증조할아버지인 류순정의 신도비를 마련했고, 류
홍 신도비를 세우고자 친분이 있던 강령군(江寧君) 홍섬(洪暹)에게 신도비의 비명(碑銘)을 부
탁했다. 그래서 홍섬이 흔쾌히 글을 짓고 당대 문장가였던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이 글씨
를 써서 1573년 신도비를 완성시켰다.
또한 1574년에는 그들(홍섬, 송인)의 도움을 받아 아버지인 류사필의 묘갈까지 장만했으니 묘
역 관리만큼은 아주 100점 감이었다. 이들 묘갈과 신도비는 류홍 묘역 밑에 나란히 자리해 있
다.

류중광, 류식의 묘처럼 문인석과 망주석, 키 작은 동자석, 상석, 묘비를 지니고 있으며, 1989
년 이후에 세운 묘비 정도를 제외하고 모두 16세기 것들이라 고색이 넘친다.

▲  류준과 류사필묘 (북쪽에서 본 모습)

▲  450년 가까이 묵은 류사필 묘갈(墓碣)


▲  류돈(柳焞)과 삭녕최씨묘
류돈은 류중광의 아들로 류중광묘 바로 남쪽에 자리해 있다. 묘비와
상석을 제외하고 16세기 것을 유지하고 있다.

▲  류홍(柳泓)묘

류홍 묘역 제일 높은 곳에는 류홍 묘가 자리해 후손들의 무덤을 굽어보고 있다. 류순정과 더
불어 이곳 묘역의 터줏대감으로 구름무늬 이수를 갖춘 늙은 묘표(묘비)와 문인석, 장명등, 망
주석, 상석을 지니고 있으며, 묘역 밑에는 높은 사람만 장만할 수 있던 신도비까지 두어 그의
높은 위치와 행적을 알려준다.

류홍(1483~1551)은 류순정의 아들로 어머니는 안동권씨<권효충(權孝忠)의 딸>이다. 자는 자연
(子淵)으로 1506년 중종반정 때 반정에 가담한 아버지를 도와 부자가 나란히 정국공신(靖國功
臣) 4등에 책록되는 위엄을 보였다. 그 인연으로 그들 부자의 무덤은 서울에서 유일한 부자 2
대 공신 묘역으로 천하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반정 이후 사복시주부, 형조정랑(刑曹正郞) 등을 거쳐 공조정랑(工曹正郞)이 되었으며, 1510
년 부산포와 제포(薺浦), 염포(鹽浦)에서 왜인(倭人)들이 소란을 일으킨 삼포왜란(三浦倭亂)
이 터지자 남정도원수(南征都元帥)로 파견된 부친을 따라가 왜인을 토벌했다. 그들 부자는 무
예에 아주 능했는데 특히 활을 잘 쏘았다고 전한다.

삼포왜란을 평정하고 내자시(內資寺)와 군기시(軍器寺)의 첨정(僉正)이 되었다가 1511년 무과
에 급제해 사복시 부정(副正)에 올랐으며, 훈련원부정을 거쳐 제포첨사(薺浦僉使, 창원 웅천)
가 되었다.
그는 역대 첨사들이 왜인들에게 뇌물을 받고 그들에게 발급한 도서(圖書)의 검사를 소홀히 한
점을 지적하고 왜인들의 왜관(倭館) 출입과 왜선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했다. 이듬해 경상좌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오위장(五位將)을 겸임했다.
1519년 이후 원주와 정주 목사를 거쳐 훈련원도정, 충청도병마사, 수군절도사, 경상우도병마
사, 전라도수군절도사, 회령부사, 북병사(北兵使) 등의 주요 군직을 지냈으며, 1544년 진산군
(晋山君)에 봉해지고 부총관(副摠管)을 겸했다. 1545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는 위사원종공
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되어 가의대부(嘉義大夫)가 되었으며, 1547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
府事)가 되었다.

무인이지만 문인, 선비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고, 청렴하고 검소하여 공조정랑으로 있을 때 선
임자들이 관청의 기명(器皿)을 멋대로 사용하던 폐습을 근절시켰다.

   ◀  류홍 묘의 동그란 봉분과 묘표(墓表)
비좌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고 그 위에 구름
무늬가 물결치는 이수(螭首)를 두었다. 비신과
이수에는 무심한 세월이 강제로 달아놓은 검은
주근깨와 온갖 상처들로 가득하여 고색의 향기
를 깊이 뿌린다.

        ◀  류홍 묘 문인석과 망주석
문인석은 고된 세월에 지쳤는지 일그러진 표정
을 짓고 있으나 대체로 멀쩡한 모습이다. 허나
그 옆의 망주석은 장대한 세월의 칼날을 정통
으로 맞아 밑둥만 일부 남은 가련한 신세이다.


  류홍 묘에서 바라본 류순정, 류홍 묘역 일대
가운데 부분에 보이는 집이 후손이 사는 집(재실)으로 그 너머 언덕에
아파트에 둘러싸인 류순정 묘가 있다.

▲  류홍의 행장이 적힌 류홍 신도비(神道碑)

류홍 신도비는 1573년에 손자 류준이 세웠다. 그는 류홍이 사망한지 20년이 넘도록 신도비를
장만하지 못한 것이 너무 아쉬워 좌의정을 지낸 강령군 홍섬에게 비명(碑銘)을 부탁했고, 여
성군 송인에게 글씨를 부탁하여 비로소 신도비를 세우게 되었다.
비좌(碑座) 윗면에 엎드린 연꽃잎 모양의 복련(伏蓮)을 새기고 비신 앞뒤에는 3구획의 안상(
眼象)과 그 밑에 당초문(唐草紋)을, 옆면에는 두 구획의 안상과 당초문을 새기고, 머리에 지
붕돌을 얹혔다. 그 곁에는 아들 류사필의 묘갈이 나란히 있는데 그 모습이 서로 비슷하나 비
석의 명칭은 다르다. (신도비는 3품 이상의 당상관과 왕족들의 무덤에만 쓸 수 있음)
류순정 묘에도 신도비가 있으며, 오랜 풍상에 시달린 비신에는 검은 주근깨가 여기저기 피어
나 중후한 멋을 보인다.


▲  류순정의 후처, 평창이씨묘

류홍 묘역과 류순정 묘역 중간 산기슭에는 류순정의 부인인 평창이씨묘가 홀로 자리해 있다.
류홍과 류순정 묘역은 2기 이상의 무덤이 몰려있어 심심치는 않아 보이나 평창이씨묘의 무덤
만 그 중간에 외롭게 자리해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아마도 풍수지리에 따라 그렇게 묘를
쓴 것 같다. 
여기서는 류홍과 류순정 묘역은 물론 금강수목원아파트, 천왕산이 훤히 두 망막에 들어와 묘
역에서 위치가 아주 좋으며, 봉분(封墳)과 묘표, 상석, 문인석을 지니고 있는데, 이들은 16세
기 것으로 묘표 같은 경우 조선 초에 많이 나타나는 연꽃 봉오리 지붕돌로 작고 앙큼한 형태
이다.

▲  뒷쪽에서 바라본 평창이씨묘

▲  연꽃 봉오리 지붕돌을 지닌
평창이씨묘표

▲  눈이 유난히도 크고 귀여운 평창이씨묘의 꼬마 문인석
왼쪽 문인석은 피부가 덜 탔지만 오른쪽 문인석은 세월을 너무 예민하게 탔는지
피부가 아주 검다.

▲  평창이씨묘에서 바라본 류홍 묘역
제일 왼쪽 모퉁이에 류돈 묘, 바로 오른쪽에 류중광 묘와 류식 묘, 그 위쪽에
류사필 묘와 류준 묘가 차곡차곡 들어앉았다. 그리고 그 한참 위에
류홍 묘가 자리하여 후손의 무덤을 굽어본다.

▲  류순정(柳順汀)묘

묘역 북쪽에는 이곳의 시조인 류순정묘가 있다. 짙은 숲을 뒤에 둔 류홍묘와 달리 묘 북쪽과
동쪽에 아파트가 비집고 들어와 그들이 병풍처럼 늘어서 무덤을 굽어본다. 무덤과 키다리 아
파트의 어색한 조화. 이는 개발의 칼질이 개념 없이 자행되는 이 땅의 씁쓸한 현실의 산물로
이곳과 비슷한 처지의 조선시대 묘역이 서울과 수도권에 비일비재하다.

류순정(1459~1512)은 류양(柳壤)의 아들로 어머니는 정즙(鄭楫)의 딸이다. 자는 지옹(智翁),
호는 청천(菁川)이며, 부인은 안동권씨와 후처인 평창이씨가 있다.
청년 시절에는 김종직(金宗直) 문하에서 공부했는데 활쏘기를 비롯한 무예에 뛰어나 그와 대
적할만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1487년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홍문관전적
(弘文館典籍)이 되었으며, 훈련원정(訓鍊院正)이 되어 전라도에 들어온 왜구를 수색하여 잡아
들이는데 공을 세웠고, 1491년 함경도평사로 도원수(都元帥) 허종(許琮)의 막료가 되어 평안
도평사를 역임했다.

연산군 시절에는 임사홍(任士洪)의 잘못을 논박했고, 평안도절도사 전림(田霖)의 권력 남용을
추궁했으며, 북방 야인 문제에 대한 대책을 진언했다. 그 뒤 홍문관교리가 되었는데, 문신임
에도 활솜씨가 뛰어나 부응교(副應敎)에 배수되었다. 이어 사헌부집의를 거쳐 의주목사가 되
었는데, 조선의 그늘에 있던 압록강 이북 지역의 야인을 토벌했을 때, 적정 탐지에 큰 공을
세웠다. 또한 군자금 확보와 성곽 수축 등 국경 경비 강화에도 힘썼다.

1503년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으며, 1504년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 이때 연산군에게 밤사냥에 대해 진언하다가 임사홍의 모략으로 추국을 당하기도 했다.
1506년 연산군에게 불만을 품은 박원종(朴元宗), 성희안(成希顔) 등과 반란을 모의하여 그 유
명한 중종반정을 일으켰다. 그 공으로 정국공신 1등에 청주부원군(淸州府院君), 숭정대부(崇
政大夫)란 큰 감투를 받았다.

반정 이후 병조판서가 되어 영경연사(領經筵事)를 겸임했으며, 연산군 시절에 폐지된 경연 부
활에 앞장섰다. 이후 우의정과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었으며, 1507년 이과(李顆) 등이 견성
군(甄城君)을 추대하려고 역모를 꾀하자 이를 처리해 정난공신(定難功臣) 1등에 봉해졌다.
1508년 평안도 인산(麟山)과 강계(江界) 지역에 둔전(屯田)을 설치했으며, 좌의정(左議政) 시
절에는 인천과 김포, 통진 지역에서 도둑들이 설치자 박영문(朴永文)과 유담년(柳聃年)을 포
도대장으로 삼아 그들을 토벌케하고 유민의 안집책을 마련했다.
1510년 삼포왜란이 터지자 도체찰사(都體察使)가 되어 병사를 총괄했으며, 다시 도원수가 되
어 왜란을 토벌하고 삼포(부산포, 제포, 염포)에 비왜방략(備倭方略)을 마련했다. 이때 대간
들이 재물을 늘린다는 명목으로 그를 탄핵했으나 오히려 군공(軍功)을 인정받아 영의정(領議
政)까지 올랐지만 불과 2달 뒤에 53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중종은 크게 슬퍼하며 장흥고의 관곽까지 내주는 등, 장례를 특별히 챙겨주었으며, 무안(武安
)이란 시호를 내려주었다가 나중에 문정(文定)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후 중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  류순정 묘표

▲  류순정 묘를 지키는 꼬마 동자석

류순정 묘는 이수를 갖춘 묘표와 상석, 동자석, 망주석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16세기에 조성
된 것들로 고색이 흠씬 묻어나있는데, 묘 바로 밑에는 부인 안동권씨 묘가 있으며, 서쪽 산자
락에는 앞서 언급한 부인 평창이씨묘가 있다. 부인 묘에는 모두 문인석을 갖추고 있어 류순정
묘에는 작은 동자석으로 대신했다. (장명등은 안동권씨 묘에만 세웠음)


▲  류순정 묘의 뒷통수 (뒷쪽에서 바라본 모습)

▲  류순정의 부인 안동권씨 묘
안동권씨 부인은 류홍의 어머니로 그가 불과 2살 때 세상을 떠났다. 봉분과 묘표,
상석, 문인석, 장명등을 지니고 있으며, 동자석과 망주석은 류순정 묘가
대신 지니고 있어 따로 갖추지는 않았다.

▲  뒷쪽에서 본 안동권씨 묘

▲  이수를 지닌 안동권씨 묘표

▲  얼굴과 왼쪽 어깨에 세월의 때가
가득 낀 안동권씨묘 문인석

▲  고된 세월에도 의연함을 잃지 않은
안동권씨묘 장명등


▲  류순정 신도비

안동권씨묘 옆구리에는 류순정 신도비가 우두커니 서 있다. 류순정 묘 바로 동쪽까지 아파트
가 들어서고 묘역과 아파트 경계에 돌담이 둘러지면서 신도비 정면 공간이 좀 야박하게 되었
다. 하여 부득불 옆에서 그를 담았다.

신도비의 모습은 류홍 신도비와 비슷한데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지낸 진천군(晉川君) 강
혼(姜渾)이 글을 짓고 여성군 송인이 글씨를 썼다. 허나 글만 받았지 비석을 세우지 못한 상
태로 50년 정도가 흐른 1567년에 류준이 비로소 비석을 세웠다. 비좌와 비신, 지붕돌로 이루
어진 형태로 비좌 윗면에 복련을 새겼고, 전면에 안상 3구획을, 측면에 안상 2구획을 새겼다.

* 류순정, 류홍 부자 묘역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산 43-31, 43-32(오리로13가길
  42)


▲  류순정 묘역에서 바라본 류홍과 후손들의 묘역
저 공간에 류홍을 비롯한 6대의 유택이 둥지를 틀었다.


 

♠  서울에서 유일하게 마음 놓고 거닐 수 있는 철길 명소,
항동(航洞)철길(오류선)

▲  오류2동 주택가를 지나는 항동철길 ①

금강수목원아파트 바로 남쪽에는 오리로11길과 나란히 달리는 철길이 있다. 속세에서는 그 철
길을 항동철길이라 부르는데 정식 명칭은 오류선(梧柳線)으로 '경기화학선'이란 별칭도 지니
고 있으며, 경인선 오류동역(1호선)에서 광명시(光明市) 옥길동에 있던 경기화학을 잇는 4.5
km의 단선 철로이다.
경기화학주식회사는 이 땅 최초의 비료 공장으로 1954년 옥길동에 설립되었다. (그 시절 지명
은 부천군 소래면 옥길리) 원료와 비료 운송을 위해 1957년 9월 26일에 철길을 닦기 시작하여
1959년 5월 30일에 완성을 보았는데, 경기화학 외에도 한때 오류동에 있던 삼천리연탄공장과
동부제강도 이 철로의 신세를 졌다.

경기화학은 울주 온산공장으로 통합, 이전되면서 광명 옥길동 공장은 문을 닫았으며, 그로 인
해 열차가 다닐 일이 없어져 완전 한가한 신세가 된다.
그렇게 열차의 기적소리도 거의 사라지고 열차의 바퀴자국도 녹이 슬면서 철로에는 잡초가 덥
수룩하게 끼었으며, 무쓸모급 철길로 전락했지만 주변에 천왕산 공원, 푸른수목원이 조성되면
서 그들을 수식하는 철길 명소로 덕을 보게 되었고, 2014년 이후 방송매체에서 이곳을 줄기차
게 홍보하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부쩍 늘었다.

항동철길은 오류동역에서 1호선 경인선에서 살짝 갈라져 나와 서해안로와 오리로가 만나는 광
덕4거리를 지난다. 여기서부터 뚜벅이들이 거닐 수 있다. (광덕4거리~오류동역 구간은 접근
금지) 오리로11길 골목길이 바로 남쪽에 붙어있으며, 금강수목원아파트와 맞닿은 철길 북쪽에
는 짧게 숲길을 닦아놓아 눈길을 부드럽게 배려했다.
철길은 주택가의 끝인 우창굿모닝아파트를 지나면 숲에 감싸인 야트막한 고갯길을 지난다. 천
왕산 산세가 움푹 낮아진 곳에 산의 살을 파서 생긴 틈으로 그 고개를 지나면 푸른수목원 항
동철길 쪽문과 천왕산 등산로가 나온다. 보통 여기서 철길 산책을 시작하거나 접거나 하지만
서쪽으로 더 들어가 푸른수목원 정문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은 어렵다. 즉 광덕4거리
에서 푸른수목원 정문까지 1.3km 구간만 뚜벅이들이 자유롭게 거닐 수 있다.

비록 버려진 철길로 지금은 관광지로 꽤 바쁘게 살고 있지만 그렇다고 열차가 완전히 끊긴 것
은 아니다. 가뭄에 콩나듯 아주 가끔씩 다닌다고 하며, 만약 산책 중에 열차를 만났다면 꼭
복권을 사보기 바란다. 그만큼 열차를 보기 힘들다. (나도 몇 번 가봤지만 열차 구경도 못했
음)
한때 이 철길을 두고 관광지로 두느냐 안전을 위해 접근 불가로 봉인하느냐를 두고 말이 많았
으나 이제는 관광지로 완전히 무게가 쏠렸다.

이 땅에 철길 명소가 여럿 있지만 서울은 이곳이 거의 유일하다. 게다가 주거지와 골목길 속
을 거리낌없이 지나가므로 매우 친숙하게 다가온다. 철길 주변 풍경도 주택가와 자연(천왕산,
푸른수목원)이 어우러진 모습이라 가히 싫지는 않으며, 특히 우창굿모닝아파트에서 푸른수목
원으로 넘어가는 숲에 감싸인 그늘진 고갯길은 이곳의 백미로 소박한 자연 풍경을 보여준다.


▲  오류2동 주택가를 지나는 항동 철길 ②

▲  오류2동 주택가를 지나는 항동 철길 ③

▲  항동철길과 금강수목원아파트 사이에 닦여진 짧은 숲길

▲  천왕산의 북쪽 틈을 지나는 항동철길 (푸른수목원 방향)
철길을 닦고자 산세가 낮은 이곳을 손질했다. (나쁘게 말하면 천왕산 북쪽
산줄기를 철길로 끊어버림) 철길 좌우로 뚜벅이길이 닦여져 있는데,
뚜벅이길로 가던 철길로 가던 그건 각자의 취향대로 하면 된다.

▲  천왕산의 북쪽 틈을 지나는 항동철길 (금강수목원아파트 방향)

▲  푸른수목원 옆구리를 지나는 항동철길 (수목원 정문 방향)

항동철길에 한참 빠져들 무렵이 되면 푸른수목원이 모습을 드러낸다. 철길도 그렇고 주변 풍
경도 잠시 서울과 속세를 잊게 할 정도로 전원(田園) 풍경을 그려냈지만 안타깝게도 이 변두
리까지 개발의 칼질이 자행되어 아파트가 마구 들어서면서 그 흥이 많이 깨졌다.
게다가 철길은 수목원 정문까지만 거닐 수 있으니 그 이상은 가지 않기 바란다. (뚜벅이길도
없음) 저 철길의 끝에는 우리가 꿈꾸던 세상이 아닌 공장이나 군부대가 있으니 더 갈 이유가
없다.

푸른수목원 정문까지 항동철길(오류선)의 신세를 지고 남쪽에 닦여진 산길을 통해 천왕산 품
으로 들어섰다. 본글은 분량상 여기서 마무리를 지으며 이후 내용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항동철길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 항동


▲  항동철길에서 바라본 천왕산과 푸른 봄하늘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3년 4월 1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3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송파에 깃든 옛 한성백제의 장대한 영혼터, 석촌동고분군~방이동고분군

 


' 서울 백제 유적의 성지, 송파구 나들이 '
(석촌동고분군, 방이동고분군)

▲  석촌동고분군 제4호분

▲  석촌동고분군 제5호분

▲  방이동고분군 제7,8,9,10호분


 

 

서울 동남부에 자리한 송파(松坡)는 장대한 해양대국을 일구었던 백제(百濟)의 도읍인 위
례성(慰禮城)의 변두리로 여겨지는 곳이다. 백제는 고구려(高句麗)의 위대한 시조인 동명
성왕(東明聖王, 추모성왕)의 3번째 아들, 온조(溫祚)가 어머니인 소서노(召西奴)와 졸본(
卒本) 세력을 이끌고 내려와 세웠다고 전한다.
그들은 한강(漢江) 이북 서울 어딘가에 도읍을 세우고 위례성이라 하였는데, 주변 세력의
침공이 잦고 자리가 영 좋지 못해서 한강 남쪽에 또 다른 위례성을 만들어 도읍으로 삼았
다. 그래서 이전 위례성을 하북위례성(河北慰禮城), 이후를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위례성의 자리를 두고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논란이 많았는데 고려와 조선시
대에는 천안의 위례산성(慰禮山城)으로 여겼으며, 18세기 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이
위례성은 한강 북쪽, 하남위례성은 광주(廣州, 하남시 지역)라 주장하면서 서울+광주설이
대세를 이루었다.

20세기 이후 남한산성(南漢山城)과 풍납토성(風納土城), 하남 춘궁동을 수상하게 여겨 조
사를 벌였는데, 풍납토성 일대에서 1세기부터 5세기에 걸친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었고 올
림픽공원 조성으로 조사를 받은 몽촌토성(夢村土城)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유물이 마구 쏟
아져 위례성은 풍납토성 일대, 근초고왕(近肖古王)이 370년에 도읍으로 삼았다는 한산(漢
山)은 몽촌토성 일대로 크게 여기고 있다.
허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은 불과 1km거리이니 둘은 거의 한곳이나 다름 없으며, 도성(都
城) 확장 차원에서 몽촌 일대를 개발하여 왕궁과 관청을 두었다. 그래서 위례성과 한산을
아울러 한성(漢城) 또는 한산이라 부르며, 이곳에 도읍을 하던 시절을 한성백제(漢城百濟
)라 부르기도 한다.

한성백제는 개로왕(蓋鹵王, 재위 455~475) 시절까지 큰 번영을 누렸으나 475년 고구려 제
19대 태왕(太王)인 장수왕(長壽王, 재위 413~491)의 공격 앞에 와르르 무너지고 만다. 고
구려는 도성을 버리고 도망친 개로왕을 생포하여 아차산성(阿且山城)에서 처단했고, 그것
으로도 분이 풀리지 않는지 위례성이란 존재를 깔끔하게 파괴시켜 위례성 3자를 세상에서
영구히 지워버렸다.
바로 장수태왕의 그 만행 때문에 위례성을 찾느라 오랫동안 허벌나게 고생하고 있는 것이
다. 허나 위례성과 이어져있던 한산(몽촌토성)은 다 부시지 않고 그들의 군사기지로 삼았
다고 한다.
이렇게 고구려에게 도읍을 짓밟힌 백제는 왜열도와 산동반도를 비롯한 중원대륙의 무수한
해안 지역을 다스렸던 해양대국의 체통도 다 내버리며 형편없이 쫓겨가 간신히 웅진(熊津,
공주)에서 정신을 차렸다.

한성(위례성)이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100% 맞는다면 석촌동과 방이동을 비롯한 송파 일
대는 도읍의 남쪽 변두리가 된다. 석촌동에는 한성백제 시절의 거대한 돌무덤이 남아있고,
방이동에도 백제 고분이 남아있으며, 가락동 등 송파 일대에 백제와 신라 때 고분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었으나 천박한 개발의 칼질이 그들을 모두 앗아가버렸다.

본글에서는 한성백제 시절 고분군이자 나의 즐겨찾기의 일원인 석촌동고분군, 방이동고분
군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옛 한성백제의 영화로움을 고스란히 간직한 백제 초기의 무덤들
석촌동고분군(石村洞古墳群) - 사적 243호

▲  석촌동고분군 제3호분

송파구(松坡區) 한복판에 자리한 석촌동고분군은 천하에 몇 남지 않은 한성백제의 소중한 발
자국이다. 이곳은 한성백제 시절(1~5세기)에 다져진 백제 왕족과 귀족들의 묘역으로 특히 거
대한 적석총(積石塚, 돌무지무덤)으로 유명하다. 적석총은 5세기까지 고구려의 대표 무덤 양
식이라 흥미를 끌고 있는데, 무덤 주변에 호석(護石)까지 갖추고 있어 영락없는 고구려 무덤
꼴이다. 하여 고구려의 무덤 양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가꾸었음을 귀뜀해주고 있으며, 석
촌동이란 지명도 바로 이들 적석총 무리에서 유래되었다.

백제의 적석총은 5세기 이후 석실분(石室墳, 돌방무덤)으로 모양이 점차 바뀌며, 방이동고분
군과 개발의 칼질로 사라진 가락동고분군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또한 백제의 중심이 웅진(공
주)으로 옮겨지면서 더 이상 고구려 스타일의 적석총은 등장하지 않는다.
백제는 잃어버린 한성을 되찾고자 200년 가까이 몸부림을 쳤으나 끝내 되찾지 못했고, 주인을
잃은 한성백제의 고분은 고구려와 신라의 침략군, 고려와 조선의 농민들, 대자연 형님의 집요
한 괴롭힘으로 끊임없이 고통 받으며 속세의 뇌리 속에서 잊혀지고 만다.

20세기 초반, 왜정(倭政)은 송파 벌판에 무리지어 펼쳐진 돌고분에 흥미를 던지며 조사를 벌
였다. 조선총독부가 1917년에 작성한 '조선고적도보'의 '석촌 부근 백제고분군 분포도'에 따
르면 석촌동 일대에서 89기(흙무덤 23기, 적석총 66기)의 고분이 기록되어 있으며, 가락동 등
송파구 일대에서 무려 290기 이상의 백제와 신라 고분이 존재하고 있었다. 허나 간단히 조사
만 벌이고는 무책임하게 방치해 버린다.
1974년에 이르러 서울대박물관이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벌였다. 1983년까지 조사를 벌여 적석
총 7기를 비롯하여 토광묘(土壙墓, 움무덤)와 독무덤(옹관묘), 즙석봉토분(葺石封土墳, 흙무
지무덤),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고분) 등 30여 기의 다양한 무덤과 화장(火葬) 흔적이 나왔
으며, 이들은 모두 한성백제의 무덤임이 드러났다. 하여 제왕과 귀족 뿐 아니라 하급 관리나
돈 꽤나 만지던 백성들도 이곳에 묻힌 것으로 여겨져 석촌동과 송파 일대는 한성백제 시절의
거대한 사후(死後) 안식처였음을 알려주며 시기를 달리하여 중복되게 조성된 무덤도 많아 오
랫동안 공동묘지로 쓰였음을 속삭인다.
하지만 그 조사는 송파 지역 도시정비사업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조사에 부실한 점이 꽤 많았
다. 게다가 송파 개발을 우선으로 두면서 송파 지역의 수많은 고분과 삼성동토성(三成洞土城,
강남구 삼성동) 등의 백제 유적이 천박한 개발의 칼질에 모두 희생을 당하는 비운을 겪는다.
제대로 조사도 하지 않고 깔끔하게 밀어버려 그들의 흔적을 더듬기가 어렵게 된 것이다. 그나
마 석촌동고분군은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 사적의 지위(1975년에 지정됨)를 얻으면서 칼날을
피해갔으나 겨우 몇 기만 살아남았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살아남은 고분을 중심으로 고분공원을 조성했는데, 3호분 동쪽 일대에
서 상층에 토광묘와 옹관묘가, 그 밑에 대형토광묘 등이 발굴되었다. 특히 대형토광묘는 천하
에 알려지지 않는 무덤 형태로 제일 아래층에 점토층을 파내고 그 안에 8기의 목관을 안치한
신선한 구조를 지녔다. 허나 공원을 만들면서 고분군 밑에 지하차도를 닦는 어리석음을 범했
고, 고분 주위로 주거지가 빼곡히 들어차 도시에 갇힌 답답한 모습이 되고 말았다.

2015년부터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이곳의 숨겨진 이야기를 더 풀고자 석촌동고분군을 다시 들추
었다. 그래서 제2호분과 제3호분 주변을 조사했는데 숨바꼭질을 벌였던 새로운 적석총이 발견
이 된 것이다. 그 무덤의 기단 석축은 동~서, 남~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점토를 쌓아 올린 부
분이 여럿 확인되었다. 하여 처음 지어진 적석총에 잇대어 다른 무덤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9년에는 화장된 인골이 발견되어 백제 왕실에서 화장 문화가 적지 않게 유행했음을
알려준다. 수습된 인골의 무게는 총 4.3kg으로 여러 사람의 뼈로 여겨지며, 같은 부위의 뼈가
2개 발견되기도 했다. 다만 뼈가 하얗게 질릴 정도로 고온에서 화장되어 유전자 분석은 아쉽
게도 불가능했다. 그리고 여러 적석총이 100m 길이로 이어진 이른바 '연접식(連接式) 적석총'
형태도 발견되었다. 이 무덤은 네모꼴의 중소 규모의 적석총 16기와 이를 이어주는 연접구,
화장한 인골을 묻은 매장의례부 3개소를 맞붙여가며 지은 큰 규모의 특이한 형태로 이를 통해
석촌동에는 아직도 숨바꼭질을 즐기는 한성백제의 비밀이 적지 않음을 알려준다. 하여 남은
비밀을 모두 밝히고자 계속 조사를 벌이고 있다.

석촌동고분을 배경으로 한 석촌동고분공원의 면적은 약 49,999㎡로 적석총 3기와 흙무덤 1기,
무덤 흔적 4기를 지니고 있으며, 20여 기는 땅속에 묻어버렸다. 공원에는 소나무와 단풍나무
등을 넉넉히 심고 상큼하게 산책로를 닦았으며, 24시간 열린 공간으로 산책이나 운동을 나온
동네 사람부터 답사와 출사, 나들이객들까지 고루고루 찾아오는 서울의 굴지 명소이다.
비록 경주(慶州) 대릉원(大陵苑)의 위엄에는 미치지 못하나 인근의 방이동고분군과 함께 서울
에 딱 2곳 뿐인 고분공원으로 도심 속의 소중한 오아시스이자 쉼터, 그리고 고색이 깃든 사적
공원으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동 248일대 (가락로7길 21)


▲  남쪽에서 바라본 석촌동 제3호분
그 모습이 마치 거대하고 신성한 제단(祭壇)처럼 보인다.


석촌동고분군 북쪽에는 이곳의 맏이격이자 백미(白眉)인 제3호분이 딱딱한 돌피부를 드러내며
길게 누워있다.
그는 3단의 네모난 적석총으로 고구려 적석총의 자존심인 장군총(將軍塚)과 많이 비슷해 눈길
을 끈다. 그 독특한 생김새로 '백제의 피라미드','서울의 피라미드'란 별명을 지니고 있으며,
무덤의 동서 길이 50.8m, 남북 길이 48.4m, 둘레는 무려 199m에 이른다. 그 대단한 덩치에 비
해 키는 겨우 4.5m에 불과해 사람으로 따지면 완전 초비만형 무덤인데, 1980년대 중반까지 민
가들이 건방지게 무덤 위에 들어앉아있었고, 세월 또한 이 무덤을 그냥 두지 않았다. 그로 인
해 무덤의 키와 덩치가 다소 깎여나갔다. 하여 원래 둘레와 폭, 높이는 지금보다 훨씬 컸다고
보면 된다.
어쨌든 북한과 만주, 요동(遼東), 왜열도 등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우리나라에서 경주 황남대
총(皇南大塚) 다음으로 덩치가 크며, 비록 장군총과 황남대총보다 키는 많이 작으나 둘레와
덩치는 그들을 능가한다. 만약 키까지 제대로 받쳐줬다면 그 위엄은 실로 대단했을 것이다. 

무덤은 약간 높은 지형을 평탄하게 다지고 40~50cm 두께로 진흙을 깐 다음, 자갈돌과 지댓돌
을 차례로 깔았다. 그 위에는 40cm가 넘는 크기의 깬돌과 작은 판자돌을 가로 누여서 층층히
다졌으며, 무덤 꼭대기에는 4호분과 달리 돌이 고여있다. 부장품이 많았을 것으로 여겨지나
이미 오래전에 싹 털려 금으로 만든 얇은 장식 조각인 달개, 백제 토기 조각, 동진(東晉) 시
대 도자기 조각 정도만 겨우 건졌다.

이르면 3세기 중반에서 적어도 4~5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무덤의 위엄으로 봤을 때
백제의 전성기를 닦았던 고이왕(古爾王)이나 근초고왕의 능으로 추정하고 있다. 요즘에는 근
초고왕으로 무게가 더 쏠리고 있으나 출토 유물이 빈약하고 사료(史料) 또한 부족하여 이 역
시 허공의 메아리에 불과한 실정이다.


▲  제3호분의 옆모습

▲  제3호분의 뒷모습
자연석이 사람의 손을 타 차곡차곡 쌓이면서 거대한 적석총의 위엄을 이루었다.

▲  석촌동 제4호분

제3호분 남쪽에는 제4호분이 놓여져 있다. 3단으로 이루어진 네모난 적석총으로 제3호분의 축
소판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한 변의 길이는 17m 정도이며, 겉모습은 돌로 이루어져 있
고 내부는 흙으로 채워져 순 돌로 이루어진 고구려 적석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하여 이
런 무덤 양식을 백제식 적석총(돌무지무덤)이라 부른다.

1974년 발굴조사 때는 윗쪽 3단에서 동서 4.6m, 남북 4.8m 크기의 돌방으로 여겨지는 부분과
너비 2m 정도의 널길의 윤곽이 확인되었으며, 1984년 조사 때는 진흙을 다져 쌓은 흙무지무덤
에 돌을 씌운 무덤임이 밝혀졌다.
시신을 묻은 흔적은 흙을 다져 쌓은 지점 3곳에서 각각 발견이 되었으며, 이미 내부가 싹 털
린 상태라 부장품은 거의 나오지 않았고 돌무지 속에서 벽돌과 기와, 토기 등의 조각만 일부
수습이 되었다.
4~5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제3호분이 고이왕이나 근초고왕의 능(陵)이 맞다면 이 무
덤은 그의 왕비나 가족 무덤 정도 될 것이다. 제3호분과 달리 무덤 꼭대기는 돌 대신 풀이 돋
아난 흙으로 마무리를 지었으며, 무덤 아랫도리에는 작은 호석이 몸을 기대고 있다.


▲  옆에서 바라본 제4호분

▲  석촌동 제2호분

제4호분 남쪽에 자리한 제2호분은 제4호분과 쌍둥이꼴 모습으로 3단의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
다. 동서 약 16.4m, 남북 16.5m, 둘레 65m, 높이 3.5m의 덩치를 지닌 그는 1985년 이후에 복
원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기단부의 1m 정도, 내부 흙무지는 높이 3.8m 정도가 겨우 살아남아
돌로 덮힌 낮은 봉우리 모습으로 있었고 그 주변으로 민가와 담장이 어지럽게 들어서 있었다.

제4호분처럼 겉은 돌, 속은 흙으로 된 백제식 돌무지무덤(적석총)으로 서북쪽 모서리에서 나
무관(나무널) 1기가 발견되었는데, 움을 파지 않고 널을 놓은 뒤 작은 봉분을 만들었다. 그리
고 나중에 무덤을 확장했다.
널무덤과 서남쪽 봉분 안에서는 3세기 말에 만든 것으로 여겨지는 굽다리접시와 곧은입 항아
리가 나왔을 뿐, 이미 속 빈 강정이 되버린 상태였다.


▲  서쪽에서 바라본 제2호분

▲  남쪽에서 바라본 제2호분과 제4호분, 그리고 제2롯데월드
적석총 너머로 일명 '사우론의 탑'이라 불리는 제2롯데월드가 하늘을 건드리며
아슬아슬하게 바라보인다. 이곳은 잠실 지척이라 고분공원 어디서든
저 이상한 키다리가 시야에 들어온다.

▲  석촌동 제2호 토광묘(움무덤) 모형

제2호분 동쪽 소나무 숲에는 제2호 토광묘의 모형이 누워있다. 이 무덤은 원래 여기서 북쪽으
로 10여m 떨어진 곳에 있으나 보존을 위해 땅속에 고이 묻고 대신 이곳에 모형을 두었다.
그는 땅을 파서 움을 만들고 관을 넣은 천하에 흔한 무덤 양식으로 평면은 장방형(長方形)이
고, 장축은 동남동에서 서남서로 두었다. 벽면은 바닥에서 위로 향해 약간 경사가 졌고, 별다
른 시설이 없는 바닥 동쪽에는 회백색에 짧은목 단지 1개가, 움 안 흙속에서는 지름 1.6cm 크
기의 민고리 금귀고리 1개가 발견되어 귀족의 무덤임을 귀뜀해 준다.

무덤의 크기는 길이 223cm, 너비 76cm, 높이 21cm로 제3호분 동쪽에서 집단 움무덤과 대형 움
무덤이 10여 기 이상 발견되었는데, 적석총 바닥보다 아래층에 자리한 것으로 보아 적석총보
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  석촌동 회화나무 - 서울시 보호수 24-7호

제2호분 서쪽에는 다소 허전해보이는 회화나무 하나가 철을 지팡이 삼아 몸을 지탱하고 있다.
그는 240년 정도 묵은 것으로 높이 12m, 둘레 2.3m인데, 2015년 이후, 회화나무와 제2호분 주
변에서 석촌동고분군의 숨겨진 이야기를 캐내려는 굳은 집념으로 나무 주변에 펜스를 두르고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다.
다른 나무들은 거의 생생한 모습이나 이 나무는 벌써부터 노화가 되었는지 잎사귀는 커녕 가
지 조차 부실해 머리숯 일부만 남은 애처로운 신세가 되었다. 몸도 썩 좋아보이지 않아 저러
다 골로 가는 건 아닌지 심히 우려된다.


▲  제3호 움무덤(토광묘)

제1호분 북쪽에는 제3호 움무덤의 모형이 있다. 표토(表土) 밑 70cm에서 발견된 것으로 실물
은 보존을 위해 모형에서 50cm 땅속에 방수처리를 하여 묻었다.
무덤의 길이는 208cm, 너비 58cm, 깊이 26cm로 네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네모난 모습이다. 장
축은 동북-서남 방향으로 제2호 움무덤처럼 특별한 시설은 없었으며, 북서쪽 모서리에 회청색
짧은목단지 1개가 발견되었다.


▲  내원외방형(內圓外方形) 적석총(A호 적석총)의 흔적

내원외방형 적석총이란 바깥을 네모나게 만들고 그 속살을 동그랗게 다진 돌무덤을 일컫는다.
우뚝 솟은 적석총의 위엄은 온데간데 없고 그 밑도리 흔적만 아련하게 남아있는데, 어느 세월
이 잡아갔는지 무덤은 녹아 없어지고 그 자리에 민가와 경작지가 가득 들어앉은 것을 발굴조
사로 모두 치워버리고 무덤 기단부의 서남쪽 모서리와 서쪽, 북쪽의 기단 일부가 확인되었다.
하여 나온 것을 바탕으로 정리를 해보니 기단 안쪽은 지름 11.4m의 흙무지무덤이 있고, 기단
겉면은 한 변이 16m인 네모난 모습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신라 무덤에서 볼 수 있는 호석처럼 안쪽에 둥근 원 모양으로 열을 지은 꺤돌이 봉분 자락에
놓여 있었고, 그 바깥에 자갈돌과 네모 모양으로 열을 지어 놓여진 테두리의 깬돌은 제1,2,3
,4호분처럼 계단식 적석총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1987년 발굴조사 때 돌무지 움무덤 2기와 돌널무덤(석관묘) 3기가 안쪽 바닥면에서 나왔는데,
돌무지무덤이 파괴된 이후에 조성된 무덤일 가능성이 있어 내원외방형 돌무지무덤과의 관련성
은 분명치가 않다. 또한 무덤 안과 밖에서 각종 토기와 손칼, 쇠못, 꺾쇠 등의 철기가 나왔으
나 이곳이 일종의 교란층(攪亂層)이라 백제 유물인지도 정확하지가 않다.

무덤의 모습이 확실치가 않아서 적석총의 내부를 적나라하게 보여줄 겸, 복원하지 않고 이런
모습으로 깔아두었다.


▲  남쪽에서 바라본 내원외방형 적석총(A호 적석총)의 흔적

▲  석촌동 제1호분

내원외방형 적석총 서쪽에는 제1호분의 흔적이 있다. 제1호분은 사람들이 집을 만들고자 부셔
버린 탓에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가 어렵게 되었는데, 무덤을 깔고 앉던 집들을 밀어버리고
발굴을 벌여 무덤의 밑도리를 확인했다. 그 결과 무덤 2개가 남북으로 이어진 쌍분(雙墳)임이
밝혀졌으며, 북쪽 무덤은 3세기 중반, 남쪽 무덤은 3세기 말~4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
되고 있다.
북쪽 무덤은 동서 9.9m, 남북 8.9m, 남쪽 것은 동서 9.6m, 남북 9.8m 규모로 이들은 3.7m 정
도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그 사이를 진흙으로 메우고 서쪽으로 길게 돌을 덧쌓아 무덤을 연
결했다. 또한 길이 20~30cm 크기의 깬돌로 네 벽을 쌓았으며, 바닥에는 10cm 안팎의 돌조각과
자갈을 깐 석곽(石槨) 4개가 있었다.
가장 큰 석곽은 길이 2.5m, 너비 2.3m 크기로 한가운데에 동서 방향으로 놓았고, 작은 석곽은
길이 1.2m, 너비 1m 크기로 3개를 북쪽 벽에 잇대어 나란히 놓았다. 석곽의 크기로 보아서 큰
것은 무덤 주인(물론 왕족이겠지), 작은 것은 그 가족으로 여겨진다.

여기서는 백제 토기와 기와, 금귀걸이 등이 조금 나왔으며, 고구려의 환인현(桓因縣) 고력묘
자촌 제15호분과 평안북도 송암리 제45호분과 비슷해 고구려 묘제를 따랐음을 보여준다. 현재
는 무덤의 밑도리만 밝혀진 상태라 일단 밑부분만 정비하였다.


▲  제1호분의 속살 (석곽이 발견된 밑도리 부분)

▲  석촌동의 유일한 흙무덤인 제5호분

석촌동고분군에서 가장 남쪽에 자리한 제5호분은 이곳 유일의 흙무덤으로 즙석(葺石) 봉토분
이다. 이름도 참 어려운 즙석봉토분이란 내부 구조 위에 흙을 다져 쌓고 그 위에 강돌과 막돌
을 섞어서 깐 다음에 다시 그 위를 흙으로 엷게 덮은 무덤을 말한다.

이 무덤은 둘레 17m, 높이 3m의 동그란 봉토분으로 5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왕족이
나 귀족의 묘로 여겨지는데, 파란만장한 세월을 겪은 적석총들과 달리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내부 조사를 딱히 벌이지 않고 봉분의 흙을 쌓은 형태만 확인했다. 봉분은 즙석식으로 봉긋하
게 닦았으며, 개발의 칼질로 사라진 가락동고분군 제1,2호분도 같은 즙석식으로 내부는 하나
의 봉분 안에 여러 개의 나무널과 독널이 들어있어 그와 비슷한 구조로 여겨진다.

백제의 즙석봉토분은 토착 세력의 무덤 양식에 즙석이라는 고구려식 요소가 가미된 설과 봉분
을 만들고 지상에 시신 안치 공간을 둔 마한(馬韓)의 무덤 양식이란 견해가 있으나 확실한 것
은 아직 모른다. (즉 고구려+백제 양식 혹은 백제+마한 양식)


▲  석촌동 돌마리 표석

석촌동고분공원 동문에는 '전통마을 돌마리' 표석이 이곳의 옛 추억을 상기시키고 있다. 돌마
리는 석촌동의 옛 이름으로 적석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마리는 마을을 뜻한다.
돌마리는 이곳에 뿌리를 내린 마을이었으나 송파 개발에 휩쓸려 사라지고 지금은 서울의 일부
가 되어 그 이름만 남아있다. 지금은 도시 속에 파묻혀 옛 마을의 모습은 죄다 증발해버렸지
만 전통마을을 칭하는 것을 보면 돌마리 시절의 사람들이 적지않게 살고 있는 모양이다.
석촌동은 1963년 광주군 중대면(中垈面)에서 서울로 편입되어 강남구가 되었으며, 1988년 송
파구로 분리되어 송파구의 일원이 되었다.


 

 

♠  석촌동고분군과 쌍벽을 이루던 옛 한성백제의 무덤들
방이동고분군(芳荑洞古墳群) - 사적 270호

석촌동고분군만 보기에는 너무 허전하여 그날의 여로(旅路)를 한층 살찌울 겸, 두 다리를 다
시 재촉하여 방이동고분군으로 이동했다. 둘 사이의 거리는 약 1.7km로 쉬엄쉬엄 걸으면 20~
25분 정도면 닿는다. (나는 걸어갔음)
석촌동고분군과 올림픽공원 중간에 자리잡은 방이동고분군은 석촌동과 더불어 서울에 딱 2개
밖에 없는 백제 고분군이다. 송파와 광진구 지역에 무려 수백 기나 존재하던 백제의 무덤들이
개발의 칼질에 모두 목이 떨어지고 몸이 부셔져 겨우 석촌동과 방이동의 10여 기만 남은 것이
참으로 통탄스러울 따름인데, 조선총독부가 1917년에 송파 지역 고적조사사업을 벌이면서 방
이동고분군이 발견되었다.
허나 간단한 조사 이후 다시 버려졌으며, 철저하게 파괴되어 그 존재가 세월 속에 푹 묻히고
만다. 그러다가 1973년 김모씨의 집 뒷산 언덕이 무너지면서 숨겨진 석실고분(제1호분)이 속
살을 드러내니 그것이 방이동고분군의 20세기 후반 첫 세상 데뷔였다.

1976년까지 발굴 조사를 벌인 결과 8기의 고분이 확인이 되었으며, 한성백제 후반인 4~5세기
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무덤의 주인은 당연히 백제 왕족과 귀족으로 화려했을 부장
품은 옛날에 싹 털려 겨우 유약이 입혀진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와 굽다리접시 뚜껑, 약간의
토기와 철제류만 건졌을 뿐이다. 특히 제6호분에서 나온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는 신라 토기
와 비슷해 6~7세기 이후에 닦여진 신라 고분으로 보기도 한다.
허나 제1,4,6호분은 백제 스타일의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고분)이라 백제 무덤으로 여기고
있으며 웅진백제 시절에 조성된 공주 송산리(宋山里) 제5호분과 구조와 형식이 비슷해 방이동
고분 양식이 공주로 이어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제5호분은 구덩식 돌덧널무덤으로 확인되었으며, 제3호분 같은 경우 백제가 일부 조성하고 이
후에 신라가 재활용했다는 견해도 있다. 즉 백제 귀족들의 묏자리로 쓰였다가 6세기 이후 서
울 지역이 신라 치하가 되면서 신라 조정에서 보낸 귀족과 관리의 무덤들이 들어선 것이다. (
신라로 넘어간 백제 관리와 귀족들의 무덤, 또는 그 후손들의 무덤으로 보기도 함) 그래서 백
제와 신라의 무덤이 공존하게 된 것이다.

방이동고분군은 석촌동고분군처럼 그 가치가 인정되어 국가 사적의 지위(1979년 12월에 지정
됨)를 부여 받았다. 그래서 개발의 칼질에서 해방되는 기쁨을 누렸으며 서울시에서 1983년에
이들을 복원하고 고분공원으로 닦아 속세에 내놓았다.
현재 정비된 고분은 8기로 서쪽 언덕에 제1,2,3,6호분이, 동쪽 언덕에 제7,8,9,10호분 4기가
자리한다. 조사를 받은 무덤은 제1,4,5,6호분이며, 나머지는 아직 손을 대지 않았고, 제4,5호
분은 복원되지 못했다. 2011년에 석실을 비롯한 고분 상당수를 보수했으며, 2016년에 제3호분
봉분이 흘러내리면서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이를 복구할 겸, 재조사에 들어가 그 주변을 통제했
다.
이곳은 시내 한복판에 감싸여 있으며, 언덕에 자리해 있어 인근 시가지보다 해발이 조금 높다.
고분 주변에는 소나무와 단풍나무 등 온갖 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산책로도 잘 닦아놓아 산책
의 운치를 더했으며, 석촌동과 달리 개방시간에 제한을 두어 6시부터 20시까지만 빗장을 열어
둔다. (12~2월은 9~18시) 들어가는 문은 오금로에 접한 서쪽에 딱 하나 있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125 (오금로 219 ☎ 02-410-3661)


▲  방이동 제1,2,3호분

방이동고분군은 크게 2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정문을 기준으로 왼쪽(서쪽) 언덕에는 제1,
2,3,6호분, 오른쪽(동쪽) 언덕에는 제7,8,9,10호분이 자리해 있으며, 이들은 서로 200m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 그 사이에는 나무가 우거져 있어 자연의 향기까지 아낌없이 보탠다.


▲  늦가을 단풍이 곱게 까페트를 이룬 제1호분 앞 산책로

▲  죽음 앞에서 처절한 아름다움을 드러낸 단풍잎들 (제1호분 앞)

벌써부터 시작된 겨울 제국(帝國)의 압박에 땅으로 떨어진 단풍들은 마지막 아름다움을 불사
르며 서서히 저물어가는 늦가을의 발목을 붙잡으려 든다. 허나 아무리 그들이 안간힘을 써본
들 약기운이 다 된 늦가을은 결코 겨울을 이기지 못한다. 어디까지나 단풍들의 부질없는 몸부
림일 뿐, 그들은 '낙엽'이란 우울한 이름이 되어 삶을 마감해야 된다.
단풍도 그렇지만 인간 역시 늦가을의 저물어감을 아쉬워하는 것은 마찬가지라 땅바닥을 장식
하는 단풍잎을 바라보며 '올해도 이제 다 저물었구나. 곧 1살이 강제로 누적되겠네' 우울감
에 적지 않은 고통을 받는다.


▲  방이동 제1호분

제1호분은 방이동고분군의 대표격인 존재로 무덤 안으로 인도하는 문이 무덤 서쪽에 달려있다.
이 무덤은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 굴식돌방무덤)으로 시신과 부장품을 둔 현실(玄室, 널
방)과 바깥과 현실을 이어주는 연도(널길)를 갖추고 있다. 깬돌로 널방을 다졌으며, 석실 벽
이 위로 올라갈수록 모두 안쪽으로 기울어지게끔 다져 폭을 좁히고 맨 위에 큰 돌을 올려 천
장을 만들었다. 이런 식의 천장을 어려운 말로 '궁륭형'이라고 부른다.

무덤의 높이는 2.2m, 둘레 12m이며, 돌로 다진 현실은 길이 3.1m, 너비 2.5m, 높이는 2.15m로
중앙에는 시신을 안치했던 시상대(屍床臺)가 있다. 연도는 현실 남쪽 벽 서쪽에 닦여져 있는
데, 길이는 약 2.39m, 너비 1.06m, 높이는 1.1m이다. 그리고 널길 입구에는 1983년에 화강암
으로 문을 달아 흙과 돌이 무너지지 않게 했으며, 굳게 닫힌 문 창살을 통해 무덤 속살을 구
경할 수 있다. 방이동 식구 중 유일하게 속살(널길, 널방)을 개방하고 있으니 이곳에 왔다면
꼭 살펴보도록 하자.
무덤은 오래전에 도굴되어 나온 유물은 없으며, 인근 주민들에 의해 토기 3점이 수습되었다.


▲  돌로 차곡차곡 닦여진 제1호분의 속살(널길과 널방)
바로 앞에 보이는 널길(현도)은 바깥과 무덤 석실을 이어주는 짧은 통로로
저 통로의 끝에 무덤 주인과 부장품이 깃든 널방(현실)이 있다. 이곳에
가득했을 부질없는 부장품들은 나쁜 손에 의해 모두 털리고 이제는
먼지만 가득하다. (무덤 내부는 접근 금지)

▲  제1호분의 옆 모습

▲  나지막하게 누워있는 제2호분

▲  피가 묻힌 듯 붉은 단풍잎을 군데군데 걸친 제3호분

제1호분 동쪽에는 제2호분과 제3호분이 누워있다. 제2호분은 지름 13.4m, 높이 2.7m이며, 제
3호분은 지름 13.12m, 높이 2.9m 규모로 봉분 서북쪽 밑도리에 얇게 호석이 둘러져 있다. 이
들은 조사를 받지 않고 겉모습만 복원을 했는데, 2016년 봄에 제3호분 봉분 흙이 흘러내려와
봉분이 오목하게 변형된 사고가 발생했다.
송파구는 한성백제박물관에 점검을 의뢰했고, 박물관 측은 무덤 안쪽의 무너짐 방지와 보존
정비 대책을 세우고자 정밀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무덤을 정비 할 겸,
아직 열지 못한 제3호분의 뚜껑을 열고 한참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번에는 부디 굵직한 것들
이 많이 나와서 이곳에 숨겨진 이야기 보따리가 흔쾌히 풀렸으면 좋겠다.


▲  제6호분

제6호분은 1976년에 조사를 받았다. 무덤 내부는 제1호분과 비슷한 횡혈식석실(굴식돌방) 구
조로 석실 중간에 벽을 쌓아 서쪽 주실(主室)과 동쪽 부곽(副槨)으로 나누었고 남쪽 벽 중앙
에 연도(널길)가 닦였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무덤의 지름은 10.6m, 높이는 2.1m이며, 여기서는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가 나왔는데, 그 굽
다리접시가 백제가 아닌 전형적인 신라 토기의 형식이라 6세기 이후에 조성된 신라 고분으로
보기도 한다. 


▲  늦가을이 너울치는 고분공원 중앙 동쪽 산책로 (남쪽 방향)

▲  고분군 중앙 동쪽 산책로 (북쪽 방향)
늦가을이 이곳에 마지막 작품을 빚으며 슬슬 올해를 정리한다. 이번에 그가
떠나면 내년 10월에나 기약을 해야 된다.

▲  누런 낙엽들이 귀를 접고 누워있는 현장
(고분공원 중간 부분)

▲  방이동고분군 남쪽 식구들 (제7,8,9,10호분)

방이동고분군 동쪽 언덕에는 제7,8,9,10호분이 조용히 누워있다. 푸른 소나무가 이들을 빙 둘
러싸며 그윽한 솔내음을 베풀고 있어 콧속에 낀 속세의 때를 긴장 타게 만드는데 이들 무덤은
1983년에 복원된 것으로 겉모습과 덩치는 서쪽 무덤들과 비슷하나 딱히 특이사항은 없다. 무
덤의 속살은 이미 도굴되어 유물도 없고, 방이동고분군 자료에도 북쪽 무덤만(제1,2,3,6호분)
만 부각시킬 뿐, 남쪽 무덤은 소외되어 있다.


▲  남쪽에서 바라본 제7,8,9,10호분

▲  제8호분

▲  제9호분


▲  돌이 입혀진 고분군 남쪽 산책로

▲  솔내음이 가득한 고분군 중앙 서쪽 산책로

겨울 제국(帝國)의 등쌀에 점차 빛을 잃어가는 늦가을의 끝 무렵을 즐기며 1시간 정도 방이동
고분군을 둘러보았다. 이미 여러 번 인연을 지은 곳이나 올 때마다 마치 새로운 곳처럼 늘 새
롭다. 이렇게 하여 백제의 향기를 쫓을 송파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고한다.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0년 1월 2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0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기름진 논두렁과 밭두렁을 간직한 서울의 두메산골, 도봉산 무수골 ~~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전주이씨영해군파묘역, 무수골계곡)



' 서울의 두멧골, 도봉산 무수골 '

▲  무수골 논두렁 (초가을)

▲  전주이씨 영해군파묘역

▲  무수골길 (성신여대 난향별원)

 


 

 

♠  서울의 숨겨진 별천지이자 논까지 간직한 상큼한 두멧골,
도봉산 무수골

▲  세일교 주변 (오른쪽 길은 무수골 북부, 도봉옛길 방면)

도봉산 동남쪽 자락에 포근히 묻힌 무수골은 도봉산에 널린 수많은 골짜기의 하나이다. 우리
집에서 매우 가까운 상큼한 곳으로 그저 숲과 계곡, 바위만 있는 계곡이 아닌 밭두렁과 산골
마을, 심지어 논두렁까지 담고 있는 산골마을로 좁게는 도봉산(道峯山)과 도봉구, 넓게는 서
울의 숨겨진 비경으로 꼽힌다.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백두산만한 서울 바닥에 그런 서울을 비웃는 뜻밖에 별천지가
있었다니? 무수골에 발을 들인 나그네는 그곳의 뜻밖의 모습과 아름다운 풍경에 무한 감동을
먹으며 넋을 잃고 만다. 흔히 서울 하면 수많은 사람과 차량, 키다리 건물이 즐비한 번잡한
회색빛 풍경만 생각하기 일쑤이니 그 감동의 정도는 더욱 클 것이다. 솔직히 서울이라 해서
꼭 시가지만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무수골이 이렇게 개발의 칼질이 거의 닿지 않은 때 묻
지 않은 시골로 남게 된 것은 북한산국립공원 영역에 포함되어 개발의 칼날을 부러뜨렸기 때
문이다.

무수(無愁)골이란 이름은 근심이 없는 골짜기란 뜻이다. 바깥 세상은 늘 근심의 연속인데, 이
곳은 근심이 없는 이름을 지니고 있으니 이 얼마나 극락정토(極樂淨土)다운 이름인가? 그 유
래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있다.

조선 4대 군주인 세종(世宗)이 이곳에 왔다가 원터약수터에서 약수를 마시며 '물도 좋고 풍경
이 좋은 이곳이야말로 아무런 근심이 없는 곳이다!'
찬양을 하여 무수골이 되었다고 하며, 세
종이 그의 아들인 영해군 이당(李瑭)의 묘역을 들러보고 원터약수터에서 물을 마시며 근심 없
는 곳이라 했다고 한다.
허나 영해군은 1477년에 죽었고 세종은 1450년에 붕어(崩御, 제왕의 죽음)했으니 서로 시기가
맞지 않으며, 성종이 영해군 묘역이 완성되자 직접 찾아와 참배하면서 근심이 없는 곳이라 했
다는 이야기도 있다. 거기에 근심 걱정이 없는 노인네인 무수옹(無愁翁) 이야기도 한 토막 덧
붙혀 전해오니 내용은 대략 이렇다.

때는 조선의 어느 시절, 나랏일로 골치가 아프던 왕은 세상에 근심 걱정이 없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의문을 품으며 이른바 무수인(無愁人)을 찾으라고 지시했다. 아무리 잘나가는 부자도,
사대부(士大夫)도, 왕족도, 어린이도 몇 가지씩 가지고 있는 것이 걱정이니 찾기는 불가능해
보였다.
그러다가 드디어 무수인 자격에 맞는 노인을 찾았다. 그 노인은 아들이 12명으로 모두 장가를
보냈으며, 아들과 며느리의 효성이 지극하여 노인은 만사가 즐거웠다. 하여 주변 사람들은 그
를 무수옹이라 불러 부러워했다. 그 이야기를 들은 왕은 급히 그를 소환하여 이유를 물었다.
이에 노인이 머리를 조아리며
'소인은 아직 몸도 멀쩡하고, 마누라가 잘 보살펴주고 있으며, 자식과 며느리가 효도하고 벗
들도 많고, 자손들도 건강하고, 전하(殿下)께서 나라도 잘 다스려 주시고, 봄과 여름, 가을,
겨울도 있으니 무슨 걱정이 있겠습니까?'
하였다.

샘이 단단히 난 왕은 그를 시험할 생각에 구슬을 건네주며 1달 후에 가져오라고 명을 내렸다.
노인은 왕에게 성대한 대접을 받고 집으로 오다가 한강에서 배를 탔는데, 뒤에 따라오던 사람
이 노인에게 손에 든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하여 구슬을 꺼내보이니 그때 그 사람이 실수
인양 팔꿈치를 치면서 구슬이 한강에 빠지게 되었다. 그 사람은 구슬을 물에 빠트리게 하려고
왕이 보낸 사람이었다.

구슬을 잃어버린 노인은 구슬을 어떻하나 노심초사하다가 결국 식음을 전폐하고 몸저 눕게 되
었다. 가족들이 이유를 물어도 대답하지 않고 혼자 끙끙 앓으니 결국 건강까지 극도로 나빠졌
다. 걱정이 된 자식들은 잉어를 잡아 요리해주려고 했는데, 그 잉어 배에서 글쎄 구슬이 나온
것이다. 알고보니 강에서 잃어버린 그 구슬이었다. 노인은 너무 기뻐서 그동안의 근심을 흔쾌
히 털어버리고 잉어 요리를 폭풍 흡입하며 이내 건강을 되찾았다.
그리고 1달 후, 궁궐에 들어가 구슬을 바쳤다. 왕이 낸 숙제를 휼륭히 소화한 것이다. 깜짝
놀란 왕은 그 사연을 듣고 무한 감동을 먹었고, 이후 노인은 잘먹고 잘살았다고 한다. 이런
무수옹 이야기는 무수골 뿐 아니라 전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옛 전설의 하나이다.


무수골은 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무수(無袖)골(무수동)이란 이름도 있다. 이는 무수골에 묻힌
영해군의 무덤 자리가 신선이 소매를 펼치고 춤을 추는 형국인 선인무수지형(仙人舞袖之形)에
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춤을 뜻하는 '舞'가 '無'로 바뀜)
또한 영해군이 묻히기 이전(15세기 후반 이전)에는 대장장이들이 많이 살았는데, 그들이 운영
하는 대장간이 계곡에 즐비했다고 한다. 그래서 '무쇠골', '수철동(水鐵洞, 무쇠골을 한자로
표현)'이라 불리다가 영해군이 묻힌 후 무수골(무수동)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리고 무수골에 있던 무수울에 서낭당이 있어 이 마을을 '서낭당(성황당)'이라 불렸는데, 그
게 무수골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대체로 성황당은 무수골 하류(도봉초교 주변)를 일컬
으며 그 이름은 아직까지 살아남아 버스정류장 이름(도봉역, 성황당)으로도 절찬리에 쓰이고
있다.

참고로 무수골은 무수울, 무시울, 모시울, 성황당 등으로도 불렸는데, 무수울은 무수골 마을
의 대표 이름으로 조선 때 양주목 해등촌면(海等村面)을 이루던 12개 리의 하나였다. 무수골
은 윗말(무시울), 중간말, 아랫말로 나눠졌으며, 개성이씨가 먼저 터를 닦은 이후, 전주이씨
(영해군 후손들), 안동김씨, 함열남궁씨, 진주류씨도 이곳에 무덤을 쓴 인연으로 정착하여 오
랜 토박이 마을을 이루고 있다.

무수골은 도봉산 산길 기점의 하나로 굳이 등산이 아니더라도 답사와 나들이, 피서, 농촌 체
험 등으로 안길 수 있는 꿀단지이기도 하다. 전주이씨 영해군파 묘역을 비롯해 무수골에 가장
먼저 묻힌 개성이씨 집안인 호안공 이등(胡安公 李登)과 의령옹주(義寧翁主) 묘역, 오래된 느
티나무, 진주류씨묘역(도봉옛길 중간에 있음), 함열남궁씨 묘역 등의 문화유산이 즐비해 답사
지로도 손색이 없으며(옛 무덤 답사지로 아주 좋음) 서울시는 무수골 입구에서 윗무수골을 거
쳐 자현암까지의 길을 테마 산책길로 지정하여 '무수히 전하길(숲이 좋은 길)'이란 간판을 달
아주었다.
또한 무수골 하류(세일교 동쪽)에는 밭두렁이 넓게 펼쳐져 있는데, 시민들을 위한 주말농장도
여럿 있어 농촌 체험도 누릴 수 있다. 게다가 무수골 계곡은 물이 깨끗하고 암반도 즐비하며
상류로 갈수록 숲이 짙어져 피서의 성지(聖地)로도 아주 바람직한 곳이다.
이 계곡은 문사동계곡, 원도봉계곡(망월사계곡)과 더불어 도봉산 3대 계곡의 하나로 추앙받으
며, 우이암 부근 원통사(圓通寺)에서 시작되어 '원통사계곡(또는 보문사계곡)'이라 불리기도
한다. 무수골은 '무수천'이란 간판을 달고 무수골의 만물을 촉촉히 어루만지며 흐르다가 도봉
역 서쪽에서 문사동계곡에서 시작된 도봉천에 흡수되어 중랑천(中浪川)으로 흘러간다.

* 무수골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1동


▲  도봉초교 주변 무수골 하류 (무수골 상류 방향)
도봉산 산줄기 너머로 북한산(삼각산) 백운대(836m)와 인수봉 등이 바라보인다.

▲  도봉초교 주변 무수천 (무수골 하류)
무수천 양쪽에 자전거 통행이 가능한 산책로를 내었는데, 무수골 주말농장
동쪽에서 시작되어 도봉역 북쪽을 거쳐 중랑천까지 이어진다.


무수골 나들이는 1호선 도봉역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도봉역 1번 출구를 나오면 바로 도봉
역4거리인데, 여기서 도봉산이 바라보이는 서쪽으로 길을 건너면 바로 무수골로 인도하는 무
수천 둑방길(도봉로169길)이 나온다. 이곳에서는 문사동계곡에서 시작된 도봉천과 무수골에서
나온 무수천이 만나는데, 이들은 도봉천으로 합쳐져 중랑천으로 흘러간다.

무수천 둑방길을 따라 7~8분 정도 가면 무수교가 나온다. 이곳까지는 온갖 주택과 빌라가 즐
비한 서울에 흔한 주택가 풍경이나 여기서부터 집들이 크게 줄어들면서 서서히 시골 풍경으로
갈아탄다. 그런 전원 풍경 뒤로 북한산(삼각산) 북쪽 봉우리와 도봉산의 지붕이 바라보여 뒷
배경도 아주 탄탄하다. 이윽고 무수골 마을버스 종점(도봉08번)을 지나면 완전한 전원(田園)
분위기로 그림이 바뀐다.

무수천(무수골)은 수심이 매우 얕은 하천으로 비가 많이 내릴 때만 잠깐 물이 불어날 뿐, 평
소에는 물이 적은 마른 하천<건천(乾川)>이다. 그러다보니 가뭄이 심하면 갈증을 너무 심하게
타서 툭하면 맨바닥을 드러내기도 한다. 2007년 이후 무수골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벌
이면서 무수골 아랫쪽(도봉초교 주변) 주거 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데, 이를 맞추어 도
봉구에서 무수천을 정비하여 깨끗한 우리 동네 가꾸기 사업을 벌였다. 이때 하천 양쪽에 중랑
천과 이어지는 산책로를 닦았다.


▲  하얀 반석들 사이로 가늘게 흘러가는 무수골 하류 (무수천)

▲  북한산둘레길 방학동(放鶴洞)길 북쪽 관문

무수골주말농장을 지나면 세일교가 나온다. 여기서 길은 2갈래로 갈리는데, 오른쪽(북쪽)으로
가면 무수골 북쪽 마을과 북한산둘레길 도봉옛길로 이어지고, 정면의 세일교를 건너면 북한산
둘레길 방학동길 북쪽 관문과 무수골 안쪽, 원통사, 우이암 방면으로 이어진다.

무수골 북쪽에서 온 도봉옛길은 세일교에서 방학동길로 간판을 바꾸고 남쪽으로 흘러간다. 이
길은 방학동 정의공주(貞懿公主)묘역까지 이어지는 3.1km의 산길로 오르락내리락을 여러 차례
반복해야 되지만 그런데로 무난한 산길이다. 방학동길이란 이름은 방학동을 지나기 때문에 붙
여진 이름이다.


▲  무수골의 속살로 인도하는 성신여대 난향별원 돌담길 (무수골길)

방학동길 북쪽 관문을 지나면 바로 성신여대 난향별원 돌담길이 펼쳐진다. 처음에는 길 왼쪽
에 돌담이 펼쳐졌다가 절반 정도 들어서면 자리를 바꾸어 오른쪽으로 돌담이 펼쳐지는데, 비
록 덕수궁(德壽宮, 경운궁) 돌담길만은 못해도 그런데로 운치를 자아내고 있으며, 나무도 무
성하여 잠시나마 더위를 잊게 한다.
어디론가 끝없이 이어진 것 같은 난향별원 돌담길, 그 돌담길을 지나면 무엇이 나올까? 무수
골 초행자라면 더욱 짙어진 숲이 나오면서 본격적인 도봉산 산길이 펼쳐질 것이라 생각할 것
이다. 허나 그것은 착각이다. 무수골이 괜히 무수골이 아니거든..


 

 

♠  윗무수골 논두렁과 느티나무

▲  이제 기지개를 켜는 윗무수골 북쪽 논두렁 ▼

난향별원 돌담길을 지나면 흔히 생각하는 그늘진 숲 대신 햇살이 내리쬐는 뻥 뚫린 공간이 나
온다. 그 공간이란 다름 아닌 논두렁이다. 짙은 숲속에 묻힌 윗무수골 논두렁, 설마 이런 첩
첩한 산골에 논두렁이 있을 것이라 누가 생각이나 했겠는가?

논두렁의 크기는 속세와 비교하면 턱없는 수준이지만 산골치고는 그런데로 큰 편이다. 강원도
나 경북의 산골 논두렁으로 순간이동을 당한 기분인데, 길을 중심으로 남쪽에 조그만 논이 펼
쳐져 있고, 북쪽에 큰 논두렁이 여럿 있다. 그리고 영해군파묘역 밑에도 2~3개의 논두렁이 있
다.
이들 논두렁은 무수골의 오랜 상징이자 꿀단지로 무수골 사람들은 조선시대부터 이 논을 통해
곡물을 생산했으며 그 생산량이 많아 배불리 먹고 살았다. 이렇게 산골에서 먹는 문제가 거뜬
히 해결되어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식(食)은 걱정할 것이 전혀 없으니 근심이 없다는 무수골
이란 이름도 괜히 나온 것이 아닐 것이다.


▲  윗무수골 남쪽 논두렁

윗무수골 논두렁은 여전히 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보통 5월에 모를 심어 10월에 수
확을 한다.
친환경 농법으로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는 벼들이 황금색으로 크게 숙
성되는 9월 이후의 논두렁 풍경은 무수골 풍경의 백미(白眉)로 꼽힌다
.


▲  남쪽과 북쪽 논두렁 - 그들 사이로 길이 지나간다.

▲  무수골 느티나무 - 서울시 보호수 10-3호

논두렁을 지나면 바로 정면 약간 높은 곳에 큰 느티나무가 모습을 비춘다. 넓게 그늘을 드리
우며 무더위의 염통을 긴장시키는 그는 높이 22m, 가슴높이 둘레 3.7m로 1981년 보호수로 지
정될 당시 추정 나이가 215년이라고 하니 지금은 30여 년이 더해져 약 250살로 여겨진다.
계곡 부근 비옥한 땅에서 자라고 있어 왕성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으며, 가지가 꽤 굵고 묵직
하다. 이곳에 살던 영해군파 후손들이 심어 정자나무나 당산나무 용으로 사용했으며, 전주이
씨 영해군파 후손들이 애지중지 관리하고 있다.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으로 인도하는 길

느티나무 앞에서 길은 2갈래로 갈리는데, 산꾼들이 자주 오가는 서남쪽 길은 자현암(慈賢庵)
과 도봉산(원통사, 우이암) 으로 이어지고, 서북쪽 길은 느티나무가든으로 이어진다. 느티나
무가든은 입구에 문패를 내건 뻥뚫인 문이 있고, 좌우로 철책이 둘러져있어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개인 사유지로 오해하기 쉬우나 생긴 것이 그렇게 생겼을 뿐, 들어가도 무방하다. 대중
에게 개방된 식당이고 마을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느티나무가든은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당으로 백숙과 파전, 도토리묵, 고기류 등을 취급
하고 있는데, 그 식당 앞에서 길은 또 2갈래로 갈린다. 여기서 서쪽으로 가면 호안공 이등/
의령옹주 묘역으로 인도하는 길이 나오고, 식당을 끼고 북쪽 숲으로 들어가면 영해군파묘역이
나온다.

호안공 이등/의령옹주 묘역은 입구에 녹색 철책과 문이 둘러져 있으나 대낮에는 거의 열려있
다. (밤에는 닫아둠) 그 숲길을 2분 정도 들어서면 호안공의 후손이 사는 붉은 지붕 기와집이
나오는데, 정말 외딴 산골에 묻힌 시골집이다. 서울에도 이런 곳이 있었나? 고개를 갸우뚱거
리며 계속 걸음을 옮기니 집 앞을 지키고 선 큰 멍멍이가 무섭게 짖어대며 나를 경계한다.
물론 개는 줄로 묶여 있었지만 가까워질수록 멍멍 소리가 커지니 나도 모르게 염통이 쪼그라
든다. 내가 수상한 짓을 하러 온 것도 아니지만 단순한 개는 무작정 적으로 간주하고 맹렬히
멍멍 공격을 가하니 결국 그 공격에 꼬리를 내리고 뒷걸음을 쳤다.
개의 멍멍 소리에 집에서 사람이 나와서 무슨 일로 왔냐고 물으면 당당하게 이유를 말하면 되
지만 시간도 이미 18시가 다 된 상황이라 들여보내줄 것 같지 않았다. 아무래도 오늘은 인연
이 아닌 듯 싶어 이쯤해서 쿨하게 물러났다. (그 이후 아직까지 인연이 닿지 않고 있음)

참고로 호안공 이등(胡安公 李登, 1379~1457년)은 개성이씨로 태조의 서장녀(序長女)인 의령
옹주(義寧翁主, ?~1466)를 부인으로 맞이했다. 1435년 계천군(啓川君)으로, 1444년 봉헌대부
(奉憲大夫)에 봉해졌으며, 이들 무덤은 무수골에 처음 정착한 무덤으로 조선 초기 무덤 양식
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영해군파묘역 밑에 자리한 논두렁

호안공 묘역을 포기하고 느티나무가든 북쪽 숲에 묻힌 영해군파묘역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영
해군파묘역 밑에는 느티나무가든에서 관리하는 커다란 야외 단체석과 족구장, 논두렁 등이 있
는데, 이들 논두렁도 아직 모를 심지 않아 마치 큰 연못처럼 보인다. 그들 너머로 나무가 삼
삼히 우거져 있고, 그 숲속에 영해군파묘역이 자리해 있다.


▲  영해군파묘역 20m 전

▲  영춘군 이인묘와 신도비로 올라가는 산길

영해군파묘역으로 가다보면 중간에 왼쪽 언덕으로 올라가는 산길이 있다. (계단처럼 주름진
길이 보일 것임) 그 길로 가면 영춘군 이인묘와 신도비가 나오며, 직진하면 그 산길의 끝에
무리지어 있는 영해군파묘역이 있다.


 

 

♠  조선 초기 무덤 양식을 고스란히 간직한 조선 왕족들의 묘역
전주이씨 영해군파묘역(寧海君派墓域)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106호

무수골 깊숙한 곳에 자리한 영해군파묘역은 세종의 9째 아들인 영해군과 그의 후손들이 묻힌
왕족 일가의 묘역이다.
무수골은 뒤에 도봉산, 앞에 무수천이 흐르는 이른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착한 명당(明堂)
자리로 소문이 자자했는데, 15세기 초반에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가 가장 먼저 이곳을 닦았
고, 영해군, 진주류씨, 함열남궁씨 순으로 무덤을 썼다. 이중 영해군파묘역이 가장 묘역이 넓
은데(1,630.4㎡) 신선이 소매를 펼치고 춤을 추는 선인무수지형(仙人舞袖之形)의 명당으로 꼽
힌다. (무수골의 이름도 거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음)

영해군파묘역은 크게 4구역으로 나뉜다. 묘가 몰려있는 중앙 구역은 묘역의 시조인 영해군 이
(李瑭) 내외를 비롯해 그의 장인어른인 신윤동(申允童), 영춘군의 아들인 강녕군 이기, 이
기의 노비인 김동(금동)의 묘가 있다. 이당 묘역 뒷쪽 산속에는 영춘군의 장남인
완천군(完川
君) 이희(李禧)와 완천군의 3째 아들인 평성수(平城守) 이질(李耋)의 묘가 있고, 동쪽 능선에
는 길안도정 이의의 묘, 묘역 직전 서쪽 능선에는 영해군의 장남인 영춘군 이인의 묘와 신도
비, 부원정 이이(영해군 손자의 아들) 내외의 묘가 있다.

묘역은 영해군을 시작으로 그의 아들과 손자, 증손자 4대가 묻혀있으며, 묘비가 없는 한참 후
손들의 무덤도 여럿 꼽사리로 끼어있다. 묘역은 영춘군 이인이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원종
공신(原從功臣)이 되면서 더 확대되었으며, 특히 중앙 구역 밑에 아주 조그맣게 충노(忠奴)로
포장된 금동의 묘가 있어 눈길을 끈다. 무덤들은 새로 손질된 부분이 거의 없는 16세기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어 조선 초기 왕족들의 무덤 양식과 석물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  충노 김동(金同)의 묘

묘역 중앙구역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충노 김동(금동)의 묘를 만나게 된다. 이 무덤은 영해군
파묘역의 다른 무덤과 달리 매우 아담한 모습인데, 이는 김동이 노비이기 때문이다. 밋밋하게
솟은 봉분(封墳)은 한 사람이 누우면 딱 적당할 정도로 작고, 풀도 별로 없다. 석물도 네모난
비좌(碑座)를 갖춘 묘비(높이 64cm, 너비 37cm, 두께 13cm)가 전부로 그 역시 꼬마 키보다도
작아 죽어서도 신분 차별을 주었다.
묘비는 비좌 위에 '故 忠奴 金同'이라 쓰인 빗돌을 세워 무덤의 주인을 알렸고, 빗돌 위는 반
원 모양으로 다듬었다. 그리고 그 위에 꽃봉오리 모습의 장식을 달았는데, 마치 위스키병처럼
보인다. (내가 술을 좋아해서 그런가?) 그러면 김동은 누구이고 왜 왕족 묘역 한쪽에 이렇게
무덤까지 있게 된 것일까?

김동은 강녕군(江寧君) 이기의 노비로 원래 이름은 금음동(今音同)이다. 연산군 시절에 흥청(
興淸)에 소속된 세은가이(世隱加伊)가 왕의 총애를 받자 그의 아비인 김숙화(金淑華)가 그 권
세를 믿고 이기의 집과 첩을 빼앗으려고 했다. 이기가 김숙화의 요구를 거절하자 뚜껑이 열린
김숙화는 이기가 노비 금동을 시켜 자신을 욕했다고 왕에게 하소연을 했다. (또는 이기가 노
비 금동과 함께 거친 말을 하며 항의했다고 함)
이에 뚜껑이 폭발한 연산군(燕山君)은 이기의 가족과 장인을 모두 연좌해 잡아들이고 집을 봉
쇄하고 노비까지 모두 압송케 했다. 이때가 연산군의 마지막 해인 1506년이다.

왕은 추관(推官)들에게 명해 낙형(烙刑)을 가하며 이기와 그의 아비인 영춘군 이인을 고문케
했다. 죄가 없는 이기 부자는 억울함을 토로했으나 허공의 메아리로 끝날 뿐, 아무 소용이 없
었다. 그러자 김동은 굳게 마음을 먹으며 '소인이 혼자 한 짓입니다. 나으리는 아무 것도 몰
라요!'
진술을 했다.
그 말을 신뢰하지 않던 왕은 거짓말 말라며 금동에게 6번씩이나 고문을 벌였다. 왕이 듣고 싶
던 말은 바로 이기가 했다고 자백하는 것이었다. 허나 금동은 끝까지 자기 소행이라 주장했고
그의 고집에 지친 왕은 결국 김동의 단독 범죄라 단정하여 그를 처단했다. 그리고 이기 부자
는 장형 100대, 이인은 장형 80대를 때려 유배형에 처했고 이기는 위리안치(圍籬安置)시켰다.
이 사건을 통해 이기와 연산군이 평소 사이가 좋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김숙화는 이를
악용해 이기의 집과 첩을 빼앗으려 했고, 연산군은 단순히 그의 무고만으로 이기를 잡아들였
으며, 김동이 자신이 벌인 일이라 자백하자 자신이 바라는 답변을 얻고자 더 고문을 가한 것
을 보면 이번에 아예 이기를 족치려고 작정했던 듯 싶다.

목숨을 건진 이기는 중종반정 이후 복권되었고, 김동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묘역 한쪽에 조촐
하게 그의 무덤과 비석을 만들어주었다. 그의 사연을 전해들은 중종(中宗)은 김동을 의노(義
奴)라 칭찬하며 1508년 4월 5일에 동네 어귀에 문려(門閭)를 세워주었고, 김동 가족의 요역(
徭役)을 면해주었다. 그리고 3년 뒤에 다시 명을 내려 집 앞에 정문을 세워 그의 희생을 길이
길이 기렸다.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그 공로로 김동과 그의 처자식은 면천이 되어 평민이 되었
고, 김씨 성을 하사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노비 김동의 묘가 무려 조선 왕족인 영해군파묘역 속에서 비록 작은 규모
이지만 주인 일가와 나란히 자리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거의 흔치 않은 노비의 묘로 묘비까지
갖춘 것은 아주아주 드문 케이스로 그 가치는 높다. 하긴 자신의 목숨을 던져 주인을 살렸으
니 이 정도 정성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  강녕군 이기(江寧君 李祺)와 그의 전/후처의 묘

김동 묘 옆에는 그의 주인인 강녕군 이기의 묘가 있다. 비록 무덤의 덩치는 김동 묘보다 크지
만 그와 거의 비슷한 높이에 자리해 있어 죽어서도 김동의 은혜를 잊지 않고 늘 함께 하겠다
는 주인의 지극한 마음이 담겨있는 듯 하다. (자리가 마땅치 않아서 그리 했을 수도 있음, 속
사정이야 당사자만이 알 것이니)
이기와 그의 전/후처 등 3명이 합장된 무덤으로 왕족의 무덤치고는 매우 작은 모습이다. 호석
(護石)을 두른 네모난 봉분과 비좌와 이수를 갖춘 비석, 상석(床石)이 전부로 그 부친대까지
는 봉분도 크고 문인석과 장명등까지 갖추었지만 이기부터 무덤이 간소하게 변화된다. 그만큼
먼 왕족이 되고 벼슬도 크게 못했기 때문이다.

이기는 영춘군 이인의 차남으로 영해군의 손자가 된다. 부인은 양주조씨인 조방우(趙邦佑)의
딸이며, 후처는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 그의 태어난 시기와 사망 시기는 전해오는 것이 없
으며, 연산군 말엽인 1506년에 연산군의 총애를 받던 세은가이의 아비 김숙화가 집을 뺏고자
시비를 걸자 이를 지키는 과정에서 그의 무고로 가족과 노비가 모두 압송되어 이기와 이당 부
자는 고문을 당하게 된다.
다행히 노비 김동이 자신을 불태워 이기의 가족은 목숨을 건질 수 있었으나 이기는 장형 100
대를 맞고 먼 곳으로 쫓겨나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복권되었다.

중종 때는 이정숙(李正淑) 등과 폐비 신씨(단경왕후 신씨)의 복위를 청했다가 죄를 받은 김정
(金淨)을 옹호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조광조(趙光祖) 등과 친분을 쌓았다. 허나 1519년 기묘
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 일당이 모두 아작이 나자 그의 일당이라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는 죽은 이후 그 흔한 시호도 받지 못했다가 1794년 유림에서 그도 기묘사화 때 화를 받은
이른바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하나라며 시호를 내리자는 상소를 올리자 정조는 문경(文景)이
란 시호를 내렸다.


▲  영해군 이당의 부인인 평산신씨(平山申氏)묘

강녕군 이기와 노비 금동의 무덤 윗쪽에는 영해군 이당의 부인인 평산신씨묘가 있다. 평산신
씨는 신윤동의 딸로 영춘군 이인과 길안도정 이의를 낳았으며, 남편의 무덤 옆이 아닌 친정
아비의 무덤 밑, 남편 무덤보다 2단계 밑에 따로 자리한 것이 이채롭다.

무덤은 동그란 봉분과 묘비, 상석 외에 장명등(長明燈)과 문인석(文人石) 2기까지 갖추고 있
으며, 이들 석물에는 500년 세월의 때로 가득하다. 그리고 그 우측에는 묘비가 없는 후손 무
덤 2기가 봉긋 솟아있다.

▲  평산신씨묘와 묘비, 장명등

▲  고된 세월에 지쳐보이는 우측 문인석

▲  눈망울이 큰 좌측 문인석

▲  평산신씨묘에서 바라본 이기묘(왼쪽)와
금동묘(오른쪽)


▲  영해군의 장인인 신윤동(申允童)묘

영해군묘와 평산신씨묘 중간에는 영해군의 장인인 신윤동 묘가 자리해 있다. 영해군파묘역 중
간 구역에서 2번째로 높은 곳에 자리해 딸과 손자, 노비 금동의 무덤을 굽어보고 있는데, 사
위와 딸 무덤 사이에 둥지를 튼 점이 특이하다. 게다가 영해군 집안(전주이씨) 묘역에 부인도
아닌 다른 성씨의 인물이 잠들어 있는 점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아무리 장인어른이라고
해도 엄연한 다른 성씨이기 때문이다.
허나 조선 초까지는 집안 묘역에 사위나 장인 등 다른 성씨의 인물이 섞여 있는 경우가 흔했
다. 고려의 마지막 자존심이던 정몽주(鄭夢周) 묘역(용인시 능원리 소재)에도 정몽주의 손녀
사위인 저헌 이석형(樗軒 李石亨)과 그 후손이 묻혀 있고, 조선 10대 군주인 연산군은 부인인
거창신씨 집안의 땅에 묻혀있다.

신윤동은 좌의정에 추증된 신효창(申孝昌)의 손자이자 신자경(申自敬)의 아들이다. 그의 집안
은 왕실과 매우 가까워 세종의 왕자들에게 여럿 시집을 갔는데, 고촌사촌인 제안부부인(濟安
府夫人) 전주최씨(全州崔氏)는 세종의 4남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부인이며, 숙
부 신자수(申自守)의 딸은 세종의 5남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에게, 자신의 딸은 세
종의 9남인 영해군 이당에게 시집을 갔다. 그러니 집안도 배경도 다들 탄탄하다.
허나 영해군만큼이나 역사에 요란하게 이름을 남기지 못하여 인지도는 영해군파묘역에 와서야
확인이 될 정도로 매우 낮다.

신윤동의 행적에 대해서는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서울시장)을 지내고 죽은 이후 의정부 좌
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되었다는 것 등이며, 그의 할아버지인 신효창은 큰아들인 신자근이
아들을 얻지 못하고 일찍 죽자 막내 신자수를 신자근의 후사로 삼으려 했다. 허나 마음을 바
꾸어 신자경의 아들인 신윤동에게 신자근의 제사를 지내도록 했는데, 신윤동이 사망하자 신효
창에 대한 제사를 누가 맡을 것인가를 두고 조정 관리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났다는 내용이
전부이다. 또한 신윤동의 행적이 적혀있을 묘비(묘표)도 안타깝게도 마모가 되어 확인이 불가
능한 실정이다.

무덤의 구조는 동그란 봉분과 묘비, 상석, 문인석 2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석 앞면에 '증 의
정부 좌찬성 신윤동지?(贈議政府左贊成申允童之?)'라 쓰여 있다. 끝 자는 훼손되었으나 다른
묘비의 예를 볼 때 묘(墓)가 분명하며 우측에는 묘비가 없는 후손의 무덤 1기가 조용히 자리
한다.


▲  신윤동 묘의 뒷모습

▲  영해군 이당(寧海君 李瑭) 묘

신윤동 묘역 윗쪽에는 영해군파묘역의 시조인 영해군 이당의 묘가 있다. 묘역 중앙 구역에서
가장 높은 곳에 들어앉아 장인과 부인, 후손의 묘를 굽어보고 있는 이 무덤은 동그란 봉분과
고색의 내음이 진한 묘비(묘표), 상석, 날씬한 장명등, 문인석 2기로 이루어져 있다.

영해군(1435~1477)은 세종의 9째 아들로 신빈김씨(愼嬪金氏) 소생이다. 처음 이름은 이장(李
璋)이었으나 나중에 이당으로 갈았으며, 성격이 화목하여 다투는 일이 없었다고 전한다. 7살
에 영해군에 책봉되어 소덕대부(昭德大夫)의 품계를 받았으며, 1477년 42세의 나이로 죽자 성
종은 안도공(安悼公)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리고 400년이 흐른 1872년에 영종정경(領宗正卿)
에 추증되었다.

부인은 신윤동의 딸인 임천군부인(林川君夫人) 신씨로 영춘군 이인과 길안도정 이의 등 2남1
녀를 두었으며, 보통 부인과 같은 봉분에 묻히거나 봉분을 달리해서 나란히 배치한 것이 보통
이나 영해군은 2단 밑에 부인의 묘를 두었다.
영해군묘는 정확히 동남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무덤 뒷쪽 숲속에는 그의 손자인 완천군 이희(
영춘군 이인의 아들), 완천군의 3째 아들이자 영해군의 증손자인 평성수 이질 묘가 있으나 찾
지는 않았다. (그때는 몰랐음)
묘비 앞면에는 '영해군시 안도공당지묘(寧海君諡安悼公瑭之墓)'라 쓰여 무덤의 주인을 소상히
알려주고 있으며, 뒷면에는 그의 생애가 적혀있으나 마멸이 심해 확인하기가 어렵다.


▲  뒷쪽에서 바라본 영해군묘
(그 너머로 신윤동, 부인 평산신씨, 이기의 묘가 있음)

▲  영해군묘 우/좌측 문인석
장대한 세월에 제대로 지쳤는지 표정이 그리 밝지가 않다. 좌측 문인석은
세월이 씌워준 검은 때가 가득해 고색의 멋을 제대로 풍긴다. 세월이
달아준 얄미운 훈장이라고나 할까?

▲  길안도정 이의(吉安都正 李義)묘

영해군묘와 신윤동묘에서 동쪽으로 난 산길을 오르면 바로 길안도정 이의의 묘가 모습을 비춘
다. 동그랗게 솟은 봉분에는 이의와 그의 전/후처 등 3명이 잠들어 있는데, 그 앞에는 장대한
세월이 제대로 태워먹어 온통 검은 피부가 되버린 고색의 묘비(묘표)와 새로 세운 묘비, 상석
, 향로석(香爐石), 문인석 2기를 갖추고 있으며, 묘역 앞에 조촐하게 계단이 닦여져 있다.

이의는 영해군의 차남으로 구체적인 생몰시기는 전하는 것이 없다. 그는 여산송씨 집안의 송
자강(宋自剛)의 딸과 청주한씨인 한명회(韓明澮)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했으며, 은계군 이말숙
(銀溪君 李末叔, 한씨부인 소생), 시산군 이정숙(詩山君 李正叔, 송씨부인 소생), 청화수 이
창숙(淸化守 李昌叔), 송계군(松溪君), 벽계도정 이종숙(碧溪都正 李終叔), 옥계군(玉溪君)
등의 아들을 두었다. 그중 특히 벽계도정 이종숙은 황진이(黃眞伊)와 가까웠던 인물로 벽계수
(碧溪水)란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이의 묘비에는 '증 명선대부 길안도정행 창선대부 길안정(贈 明善大夫 吉安都正行 彰善大夫
吉安正)'이라 쓰여 있으며, 이의의 손자인 이휘(李徽)는 임진왜란 때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그와 그의 아비, 할아버지 등 3대가 추증되었다. 그리고 이의의 아들인 이말숙의 묘비명에는
그가 어렸을 때 아버지 이의와 사별했다고 나와있어 이의는 젊은 나이에 죽은 것으로 여겨진
다.

▲  이의묘의 옛 묘비와 새 묘비

▲  조각 솜씨가 일품인 옛 묘비의 이수(螭首)


▲  영춘군 이인(永春君 李仁)묘

영해군파묘역 중심 구역을 둘러보고 서쪽 산자락에 있는 영춘군 이인묘를 찾았다. 묘역 서쪽
구역에는 이인 내외와 부원정 이이 내외의 묘, 그리고 이인의 신도비가 있는데, 이 신도비는
이 묘역의 유일한 신도비로 이인의 높은 위치를 알게 해준다.

이인의 묘는 이인과 부인 유씨<유양(柳壤)의 딸>의 봉분을 비롯해 묘비 1기, 상석 2기, 혼유
석 2기, 장명등, 문인석 2기, 망주석(望柱石) 2기는 물론 무려 신도비까지 갖추고 있어, 영해
군파묘역 중의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묘역의 시조는 분명 그의 부친인 영해군이지만 그
부친보다 묘가 더 있어보여 이인묘가 이 묘역의 실질적인 주인공 같은 인상이다. (영춘군 이
인 묘역이라 불러도 이상할 것이 없을 정도)
특히 이들 묘역의 무덤들은 무덤 필수품인 망주석이 하나도 없는데 반해 이인 묘에는 망주석
이 있으며, 무덤도 동그란 형태가 아닌 앞은 네모, 뒷쪽은 세모로 총 5각형으로 이루어진 특
이한 모습이다. 동그란 봉분과 네모난 봉분(조선 초까지 많이 나타남)은 많이 봤어도 5각형은
처음이라 참 신선하며, 봉분 밑에는 호석을 둘러 단단히 다진 다음 두툼하게 봉분을 쌓았다.

영춘군 이인(1465~1507)은 영해군의 아들로 자는 자정(子靜)이다. 어렸을 때 외할머니 이씨(
신윤동의 부인)의 손에서 자라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다고 하며, 10살 때 정의대부(正義大夫
)의 영춘군에 봉해졌고, 사옹원제조(司饔院提調)를 거쳐 숭헌대부(崇憲大夫)에 올랐다.
1506년 연산군이 총애하던 흥청 소속의 세인가비의 아비 김숙화의 무고로 이인과 이기 부자(
父子)가 압송되어 모진 고문 끝에 이인은 남해로 유배를 갔다. 다행히 중종반정(中宗反正)으
로 풀려나 복권되어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올랐으며, 1507년 4월 27일, 42살에 사망
했다. 하여 그해 8월 임신일에 지금의 자리에 장사를 지냈으며, 시호는 목성(穆成)이다.

이인은 어려서부터 효성과 우애가 대단했는데, 11살에 어머니 신씨가 세상을 뜨자 3년상을 치
렀고, 그 상이 끝나기도 전에 부친 영해군이 사망하자 다시 3년상을 치렀다. 상례를 잘하여
종친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했으며, 평상시 생활이 담박하고, 이름난 꽃을 뜨락에 심는 것을 좋
아했다고 한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으며, 중종반정으로 원종공신에 오른 덕에 집안 묘역을
크게 확장할 수 있었다.

▲  이인 묘비(묘표)
봉분 사이에 묘비 하나를 두었다.

▲  키 작은 장명등

▲  동자승처럼 생긴 우측 문인석

▲  홀을 쥐어든 좌측 문인석 (우측
문인석도 홀을 쥐어들고 있음)


▲  확트인 이인묘 앞부분
영해군이 묻힌 중심 묘역과 길안도정 이의묘는 숲속에 묻혀있어 시야가 좋지 못하다.
(주변에 보이는 건 나무, 위로는 하늘 뿐) 허나 이인묘는 나무의 눈치들이
적어 멀리 수락산과 불암산 산줄기까지 시야에 들어온다.

▲  이인 내외 묘의 뒷모습
앞은 네모, 뒤는 세모를 취한 독특한 모습으로 5각형을 이루고 있다.

▲  이인묘에서 바라본 수락산(水落山, 638m)의 위엄

▲  이인 신도비(神道碑)

이인묘에는 특별한 존재가 하나 있다. 바로 신도비이다. 신도비란 무덤 주인의 생애를 기록한
비석으로 고위 관료와 왕족들의 무덤에만 쓸 수 있던 비싼 존재이다. 이인 역시 부모를 잘만
나 모태부터 왕족이기 때문에 신도비를 지녔다. 하지만 그의 아비인 영해군과 아들의 무덤에
는 신도비가 없으니 이는 중종반정으로 원종공신에 봉해진 탓이 아닐까 싶다.

신도비는 보통 신도(神道)로 통한다는 무덤 동남쪽에 세우지만 이곳은 서남쪽에 비석을 두었
다. 땅바닥에 네모지게 바닥돌을 깔고, 거북 머리인 귀부(龜趺) 대신 연꽃 무늬와 안상이 새
겨진 두툼한 비좌를 얹힌 다음 백일석(白一石)으로 만든 빗돌을 세우고, 그 위에 이무기가 여
의주를 두고 다투는 모습을 다룬 머리장식인 이수(螭首)로 마무리를 지었다.
비석의 높이는 273cm로 장대한 세월이 강제로 달아준 검은 주근깨가 많이 끼어있지만 그 덕에
중후한 멋과 고색의 미가 크게 돋보인다. 특히 이수에 새겨진 이무기는 비대칭적으로 새겨져
있는데, 그 조각수법이 꽤 섬세하여 은근히 탐이 난다.

이 비석은 1509년 9월에 세워진 것으로 당당하고 기품이 넘치는 모습으로 16세기 초를 대표하
는 비석으로 꼽힌다. 도봉산 자락에는 신도비를 갖춘 조선시대 무덤이 여럿 있지만 그중에서
도 이 비석은 단연 갑(甲)이며, 17세기에 세워진 임당 정유길(林塘 鄭惟吉) 신도비(서울 사당
동에 있음)의 모델이 되기도 한다.
빗돌에는 이인의 생애가 빼곡히 담겨져 있는데, 아들 이기의 부탁으로 첨지중추부사 남곤(南
袞, 1471∼1527)이 글을 지었고 글씨는 승정원 주서(注書)인 김희수(金希壽, 1475∼1527)가
썼으며, '목성공신도비명(穆成公神道碑銘)'이란 머리전서는 바로 김희수가 쓴 것으로 여겨진
다. 특히 도봉과 노원, 무수골의 옛 지명인 수철동 등 도봉/노원 지역의 옛 이름과 현재 이름
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 지역 지명을 최초로 언급한 기록으로 여겨져 지역 연구에도 큰 열쇠
를 제공해준다. 겉모습만 착할 뿐 아니라 빗돌에 새겨진 내용들도 착한 것이다.

지금은 영해군과 그의 후손들 묘역이 '전주이씨 영해군파묘역'이란 이름으로 지방문화재로 지
정되어 있지만 원래는 이 신도비만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 그러다가 묘역 전체
로 확장된 것이다.


▲  현란한 조각 솜씨를 드러낸 신도비 이수
소용돌이치듯 흘러가는 구름들 사이로 2마리의 이무기가 재주를 부리며
여의주를 다툰다. 비록 검은 때가 자욱하긴 해도 아직은 정정한
모습을 자랑해 500년 나이를 무색하게 한다.

▲  이인 묘 밑에 자리한 부원정 이이(富原正 李㶊)와 부인 전주유씨 묘역
이이는 영해군 이당의 증손으로 조용히 살다간 사람이다. 이이 부부의 봉분을
비롯해 세월에 검게 그을린 묘비(묘표)와 상석, 향로석 등이 있다.


무수골을 주름잡던 영해군파묘역을 싹 둘러보니 어느덧 19시가 되었다. 햇님도 퇴근본능에 따
라 도봉산과 북한산(삼각산) 너머로 뉘엿뉘엿 저물고 달님과 땅꺼미가 조금씩 드리우기 시작
한다. 오랜만에 찾은 무수골, 개발도 그 칼날을 접은 곳이라 아직 산골과 시골 분위기는 여전
했다.
집에서 도보로 25~30분 정도면 충분히 안길 수 있는 무척이나 가까운 곳이지만 1년에 고작 1~
2번 가는 것이 고작이다. 집 인근에 이런 아름다운 곳이 있는데도 말이다. 이렇게 하여 도봉
산의 숨겨진 비경, 무수골 나들이는 대단원의 휘장을 걷는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1동 산81-1 (도봉로169라길 111-10)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7월 20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중랑구의 북쪽 지붕이자 서울 도심의 상큼한 뒷동산, 봉화산 둘러보기 ~~ (숙선옹주묘, 아차산봉수대터, 봉화산도당, 충익공 신경진묘역)

 


' 서울의 상큼한 뒷동산, 봉화산 봄 나들이 '


▲  봉화산 아차산봉수대


 

봄이 보름달처럼 차오르던 5월의 첫 무렵, 친한 후배와 중랑구(中浪區) 봉화산을 찾았다.
둥근 해가 높이 걸린 오후 2시, 태릉입구역(6,7호선)에서 그를 만나 금강산도 식후경(食
後景)이란 크고 아름다운 말에 따라 부근 식당에서 감자탕으로 늦은 점심을 들고 봉화산
의 품으로 들어선다.


 

♠  조선 태종의 후궁으로 조용히 살다 간 여인 ~
숙선옹주 안씨묘역(淑善翁主 安氏墓域)

봉화산 북서쪽 끝으머리에는 숙선옹주 안씨묘역(선빈안씨묘역)이 작게 둥지를 틀고 있다. 너
무 없는 듯 자리하여 아는 이들이 거의 없을 정도인데, 묘역을 알리는 어떠한 이정표도 없어
무심히 지나치기가 쉽다. 다만 근래 닦여진 묘역 북쪽 도로가 '숙선옹주로'를 칭하면서 조금
은 그의 존재를 눈치챌 수 있게 되었다. (나도 숙선옹주로 덕분에 묘역의 존재를 눈치챘음)
묘역은 4차선 숙선옹주로 길가에 자리한 소강회관 뒷쪽 산자락에 서쪽을 바라보며 자리해 있
는데, 도시와 자연이 팽팽히 경계를 이루는 지점이다. 이 묘역을 경계로 앞쪽은 인간들의 진
흙탕 세상, 뒷쪽은 대자연의 싱그러운 공간이다.

묘역의 주인공인 숙선옹주(?~1468) 안씨는 태종(太宗)의 수많은 후궁 중 하나로 검교한성윤(
檢校漢城尹) 안의(安義)의 딸이다. 1422년에 태종의 8번째 아들인 익령군(益寧君, 1422~1464)
을 낳았고, 태종의 8번째 서녀(庶女)인 소숙옹주(昭淑翁主, ?~1456)와 태종의 10번째 서녀인
경신옹주(敬愼翁主, ?~?), 애기 때 요절한 옹주 1명 등 모두 1남 3녀를 두었다.
옹주들의 탄생 시기를 알 수 있다면 숙선옹주의 나이와 후궁이 된 시기를 대충 짐작해 볼 수
있겠으나 아쉽게도 단서가 부족하다. 다만 태종이 1422년에 55세의 나이로 승하했으므로 3명
의 옹주는 익령군보다 먼저 태어났음이 100% 확실하다. 1년에 1명씩 생산한다고 하면 태종이
세종(世宗)에게 왕위를 넘기고 뒤로 물러앉은 1418년 이후에 후궁으로 들어갔을 가능성도 크
다. 그런 케이스로 연산군묘(燕山君墓) 밑에 잠든 태종의 마지막 후궁, 의정궁주(義貞宮主)
조씨가 있다.

1421년 세종은 안씨를 숙선옹주로 책봉, 그의 아비인 안의에게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제
수했으며, 궁궐 뒷전에서 조용히 살다가 1468년에 약 60대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400
여 년이 흐른 고종(高宗) 때에 이르러 선빈(善嬪)안씨로 추증되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하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그런 옹주(翁主)가 아니기 때문이다. 보통
옹주하면 왕의 후궁이 낳은 딸을 일컫는다. 허나 고려 때는 왕자의 부인을 지칭했으며, 제왕
의 공주와 후궁은 보통 궁주(宮主)라 불렸다. 그러다가 조선으로 바뀌면서 왕비 소생을 공주,
후궁 소생을 옹주로 구분했다. 그리고 후궁은 빈(嬪, 정1품), 귀인(貴人, 종1품), 소의(昭儀.
정2품), 숙의(淑儀. 종2품), 소용(昭容, 정3품), 숙용(淑容, 종3품). 소원(昭媛. 정4품). 숙
원(淑媛, 종4품)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숙선옹주도 그렇고 그의 아들 익령군도 그렇고 그저 평범한 수준으로 인생을 마무리했다. 비
록 가늘게 이름은 남겼어도 딱히 두드러지는 것이 없으니 역사는 그들의 대한 기록에 매우 인
색했다. 하여 그들의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  정면에서 바라본 숙선옹주 묘역

▲  옆에서 본 숙선옹주묘 봉분

숙선옹주묘역은 옹주가 잠든 동그란 봉분(封墳)을 비롯하여 묘비 2기, 상석(床石), 향로석(香
爐石), 문인석(文人石) 2기, 장명등(長明燈) 2기, 양석(羊石) 2기, 망주석(望柱石) 2기 등 정
말 있을 것은 다 갖추고 있다. 왠만한 사대부(士大夫)의 묘역과 비슷한 크기로 원래는 지금보
다 약간 북쪽에 누워있었는데, 산자락을 밀고 신작로(숙선옹주로)를 내면서 그 라인에 있던
묘역은 개발의 칼질에 현 자리로 밀려났다.
그때 후손들(숙선옹주 소생인 익령군의 후손)이 묘역을 이전/정비하면서 묘비와 장명등, 문인
석 등 기존 석물 외에 망주석과 양석, 장명등, 비석, 상석, 향로석을 새로 달고 봉분 밑에 무
려 12지신상을 갖춘 호석(護石)까지 둘렀다. (원래 호석은 없었음) 그리고 묘역 밑의 익령군
의 시호인 소강(昭鋼)을 딴 소강회관을 만들어 묘역을 옆구리에 두고 관리한다.

후손들의 지극정성도 좋지만 오래된 무덤에 하얀 피부의 반질반질한 석물을 잔뜩 심어 옛것과
새것이 어색한 동거를 하게 되었고, 봉분까지 깔끔하게 손질하면서 장장 500년이 넘은 무덤을
졸지에 50년 된 무덤으로 만들어버렸다.

▲  묘역 우측 석물

▲  묘역 좌측 석물

묘역을 이루는 석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홀(忽)을 쥐어든 문인석(文人石) 1쌍과 조그만
장명등, 묘비 정도이다. 숙선옹주가 1468년에 세상을 떴으니 무덤과 석물은 적어도 1469년까
지는 닦여졌을 것이다. 그 장대한 세월의 때가 아낌없이 입혀져 다들 월남에서 돌아온 시커먼
김상병처럼 까무잡잡한 피부를 자랑한다.

▲  고색의 기운이 가득한 묘비

▲  근래에 새로 닦은 묘비

무덤의 주인을 알리는 묘비는 무려 2기가 있는데, 이상하게 봉분 바로 앞에 두지를 않고 모두
봉분 좌우에 우두커니 세워 두었다. 묘를 이장하면서 새 묘비를 만들고자 기존 묘비를 옆으로
옮긴 것 같은데, 새 묘비 역시 봉분 앞에 두지 않고 좌측에 비켜 있다.
우측 묘비는 15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바닥돌 위에 비석을 얹힌 단출한 모습이며, 고색의
기운이 역력하고 세월이 달아준 주름이 많다. 그에 비해 젊은 나이의 좌측 묘비는 꽤 말쑥한
모습이다.


▲  묘역 구석에 자리한 오래된 장명등 (지금은 묘역 앞 제자리에 있음)

묘역 구석에는 고색이 매우 짙은 키 작은 장명등(석등)이 서 있다. 이 석등은 원래 무덤 앞에
있었으나 새 장명등을 달면서 한참이나 후배인 그에게 자리를 내주고 뒷전으로 물러나 한가로
운 신세가 되었다. 그러다가 근래에 후배를 밀어내고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금 장명등의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조선 초기 왕족과 귀족묘의 장명등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 그는 높이가 1m도 남짓으로 지
금까지 보아온 장명등 가운데 가장 작다.
비록 새옷을 많이 입어 묵은 티가 줄긴 했지만 무덤 초창기에 조성된 석등과 문인석, 묘비 등
이 별다른 상처 없이 잘 남아있어 15세기 무덤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무덤은 그렇더라
도 석등 정도는 지방문화재로 삼아도 손색은 없어보인다. 참고로 이곳은 태조의 계비인 신덕
왕후(新德王后) 강씨의 정릉(貞陵)과 태종의 능인 헌릉(獻陵), 연산군묘 밑에 자리한 의정궁
주묘 다음으로 오래된 왕족 묘역이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1동 120-3 (공릉로2라길 48)


▲  뒷쪽에서 바라본 숙선옹주묘역 (바로 앞에 보이는 건물이 소강회관)


 

♠  봉화산 둘러보기

▲  봉화산 산길 (묵동다목적체육관 옆)

숙선옹주묘역에서 숙선옹주로를 따라 신내동(新內洞) 방면으로 조금 가면 묵동다목적 체육관
이 나온다. 체육관 동쪽에는 봉화산의 품으로 인도하는 푸른 산길이 나있는데, 산 전체가 근
린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어 산길이 잘 정비되어 있다. 게다가 산 허리에 요즘 유행하는 둘레길
까지 걸쳐놓아 봉화산 나들이의 재미를 더해준다.

봉화산(烽火山)은 중랑구 북부 한복판에 홀로 솟은 야트막한 뫼로 키는 160,1m이다. 묵동(墨
洞)과 중화동(中花洞), 상봉동(上鳳洞), 신내동에 넓게 걸쳐있으며, 동남쪽의 망우리고개와
아차산(峨嵯山) 산줄기가 있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 마땅한 언덕이 없어 시야가 확 트여 있
다. 하여 낮은 높이에 비해 조망이 꽤 일품이며, 북쪽으로 수락산(水落山)과 도봉산(道峯山),
서쪽은 북한산(삼각산)과 서울 도심, 남쪽은 광진구와 강남 지역, 동쪽은 아차산 산줄기와 중
랑구 일대가 훤히 바라보인다.
그러다보니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시되어 고구려(高句麗)는
정상 남쪽에 보루(堡壘)를 설치하여 주변을 살폈다. 이 보루는 고구려가 사패산에서 수락산을
거쳐 아차산 남쪽까지 보루를 줄줄이 달아놓은 보루 라인의 중간 경유지로 도봉산과 아차산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으며, 이들 보루(약 20여 개가 발견됨)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다고 전한다.
(보루 둘레 약 268m, 내부 둘레 약 4,190㎡, 정상 남쪽에 일부 남아있으나 확인하기 어려움)

조선 때는 봉화산 정상에 봉수대를 설치했는데, 함경도(咸鏡道)에서 오는 봉화(烽火)를 한이
산(汗伊山, 남양주시 진접읍)에서 받아 남산(南山)으로 넘겼다. 산의 이름인 봉화도 바로 이
봉화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칭으로 봉우재라 불리기도 했다. (봉수대 이름은 아차산봉수대)

봉화산 정상에는 봉수대와 도당(都堂)이 있으며, 매년 음력 삼짓날에 도당제를 지낸다. 정상
남쪽에는 천하를 굽어보는 조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묵동과 중화동, 상봉동, 신내동에서 정상
으로 이어지는 산길이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다. 어디서 출발하던 정상까지는 길어봐야 20~30
분 정도면 닿으며, 정상을 찍고 다른 쪽으로 내려가도 길게 잡아봐야 1시간 이내이다. 게다가
경사도 거의 느긋하여 산의 품이 꽤 포근하다.
산은 작지만 봉화산이 내린 약수터가 즐비해 도처에서 물을 뿜어내고 있고, 소나무가 많아 솔
내음이 그윽하다. 게다가 중랑구의 오랜 특산물인 먹골배가 노릇노릇 익어가는 배나무 농장들
이 북쪽 산자락에 펼쳐져 있다.
중랑구청 뒷쪽에는 '봉화산 신내근린공원'이 넓게 닦여져 있으며, 산 북동쪽에는 근래 옹기테
마공원이 닦여져 신선한 볼거리를 선사한다.


▲  저 산길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정상으로 인도하는 산길

▲  묵동 봉화산 성황당(城隍堂)

산길을 10여 분 정도 오르면 '묵동 봉화산 성황당'이라 불리는 돌탑과 제단이 나온다. 이곳은
묵동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성황제(城隍祭)를 올리는 곳으로 거의 동그랗게 석
단(石壇)을 쌓고 서쪽에 제물을 올리는 상석(床石)을 두었으며, 석단 중앙에는 성황당의 역할
을 하는 돌탑이 두툼한 모습으로 자리해 있다. 그리고 돌탑 남쪽에는 2005년에 세운 검은 피
부의 '묵동 봉화산 성황당' 비석이 있어 이곳의 정체를 알려준다.

동네 사람들의 손길과 정성이 여전한지 성황당 주변은 정비가 잘되어 있으며, 지금도 성황제
를 지내 마을의 옛 전통을 지키고 있다.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에 아직까지
동제(洞祭)와 성황제를 지내는 곳이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인데, (성황제나 산신제 등 마을
제사를 지내는 곳이 아직까지 많이 남아있음) 서울이 20세기부터 사람이 산 것도 아니고 구석
기시대(舊石器時代)부터 살던 터전이라 그런 민간신앙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봉화산 주변도 원래 농사를 짓거나 먹골배를 재배하던 시골로 그들 모두 동제를 지내는 공간
을 갖추고 있었으나 개발의 칼질이 요란하게 거쳐가면서 시골 마을은 모두 사라지고 전통 풍
습도 사라지거나 토박이 주민들만 조용히 지내는 정도로 크게 축소되었다. 그래도 이렇게 남
아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  울창한 숲을 가르며 정상까지 이어진 산길

▲  중간에서 만난 숲속 쉼터 (비봉각 직전)

▲  비봉각(飛鳳閣) - 봉화산도당굿 보존위원회

느긋하게 펼쳐진 산길을 계속 오르면 정상 북쪽에 경쾌한 처마선을 드러낸 3칸짜리 기와집이
마중을 한다. 이 기와집은 '비봉각'이란 현판을 달고 있는데, 겉으로 보면 1층처럼 보이지만
경사를 이용한 2층 건물이다.
그는 2009년 2월에 지어진 아주 따끈따끈한 한옥으로 '봉화산 도당굿 보존위원회'에서 관리하
고 있으며, 2층은 도당굿 보존위원회 사무실과 도당굿을 준비하거나 가르치는 방, 그리고 마
루가 있다. 1층에는 창고와 식당이 있으며, 파전과 동동주, 라면, 간식류를 팔고 있다.

▲  옆에서 바라본 비봉각

▲  봉화산 도당(都堂)과 대문

비봉각 옆에는 봉화산 도당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도당으로 가는 유일한 길로 아차산봉수
대 곁에 도당이 자리해 있지만 도당 주변을 누런색 담장으로 꽁꽁 두르면서 봉수대에서는 뻔
히 바라보임에도 접근할 수가 없다. 봉수대와 도당 서로를 완전 차단한 것이다. (도당이 봉수
대터 일부를 차지하고 있음)

봉화산 도당은 봉화산 정상에 자리해 있는데, 봉화산 산신할머니를 봉안하고 있다. 산신할머
니 외에도 산할머니, 불사할머니, 미륵할머니로도 불리며 보통은 산신으로 통한다. 이렇게 산
신을 봉안하고 있다면 그냥 속편하게 산신각(山神閣)을 칭하면 되겠지만 특이하게도 조선시대
조정의 최고 기관인 의정부(議政府)의 다른 명칭, 도당(都堂)을 칭하고 있다. (한자도 같음)
도당은 부군당(府君堂)과 더불어 서울 지역의 오래된 당집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도당에
서 지내는 제사를 도당제(都堂祭), '도당굿'이라 부르며, 이곳 도당에서 지내는 제사를 봉화
산 도당굿이라 부른다. 산신을 봉안한 공간이다보니 도당굿 외에도 산신제도 같이 지낸다.

봉화산 도당은 언제 지어졌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세종실록 29년(1446년) 3월 4일 부분에 '봉
수대 상단에 가옥을 만들고 병기(兵器)와 아침 저녁으로 공급되는 물과 불을 담는데 필요한
기물을 보관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건물이 도당으로 전환되었다는 설이 있다.
도당은 그 시대에 맞는 건물 스타일로 여러 차례 보수를 거치면서 원형을 많이 잃었는데, 구
한말 이후로 아차산봉수대가 은근슬쩍 사라지면서 봉수대의 빈터까지 적지 않게 차지하고 있
다. 그러다가 1992년 여름, 화재로 소실된 것을 붉은 벽돌과 시멘트로 새로 지었다. 

이 도당은 400~500년 동안 봉화산 주변 주민들(묵동, 상봉동, 중화동, 신내동)이 마을의 안녕
과 풍년을 기원하던 오랜 성지로 이곳을 통해 서로의 결속과 대동의식을 고취시켰다. 즉 주변
마을 사람들은 봉화산을 구심점으로 뭉쳤던 것이다.
도당굿은 매년 음력 3월 3일(삼짓날)에 지내고 있는데, 처음에는 이들 동네에서 번갈아 지냈
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묵동이 손을 때자, 나머지 신내동, 상봉동, 중화동에서 30여 년 간
번갈아 가면서 제를 지냈다. 허나 시간이 지나고 봉화산 주변에 개발의 칼질이 그어지면서 토
박이들은 줄어들고 그로 인해 도당굿이 나날이 퇴색해가자 2000년부터 중랑문화원에서 '봉화
산 도당제 보존위원회'를 결성하여 직접 도당굿을 챙기고 있다. 그러다가 2005년 1월 '봉화산
도당굿
'이란 이름으로 서울 지방무형문화재 34호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  봉수대에서 바라본 봉화산 도당

도당굿은 비록 때가 맞지 않아 구경하진 못했지만 오랜 내력에 걸맞게 평소에도 도당을 찾아
치성을 올리는 아낙네들이 어느 정도 있는 모양이다. 마침 대문이 열려있어서 도당까지 접근
할 수가 있었는데, 도당에는 아줌마 신도 2명이 있었다. 그중 1명은 기도를 하고 있었고, 다
른 1명은 청소를 하고 있었다.

살짝 살펴본 도당 중앙에는 조그만 산신할매상이 빨간 방석에 앉아있었다. 옷은 순 하얀색의
장삼으로 머리에 고깔을 쓰고 있어 마치 승무(僧舞)를 벌이는 승려 같다. 그의 얼굴은 뽀송뽀
송한 하얀 피부로 산신에 걸맞지 않게 귀여움이 적지 않게 묻어나 있고, 그 옆에는 산신의 비
서격인 작은 동자상이 있다. 뒷쪽에는 산신과 관련된 산과 소나무가 그려진 그림이 걸려있는
데, 그림 아래쪽은 산신상과 방석에 가려져 있으나 아마도 산신과 동자가 그려져 있지 않을까
싶다. 그들이 있어야 비로소 산신도를 이루기 때문이다.
산신상이 앳된 것을 보면 근래에 다시 만든 듯 싶다. 초창기 산신상이 지금까지 남아있었다면
이건 정말 국가 민속문화재로 삼아도 전혀 손색이 없는데, 그렇지 않은 것을 보면 옛것은 진
작에 사라진 모양이다.

산신상을 막 사진에 담으려고 하니 청소하던 아줌마가 이제 문을 닫을 것이니 나가라고 그런
다. 그래서 군소리 내지 않고 대문을 나가니 바로 대문을 굳게 봉해버렸다.


▲  봉화산 도당의 주인장, 산신할머니상

봉화산 도당굿은 굿 하루 전날에 당주가 찾아와 직접 도당굿에 필요한 제물을 점검하며, 바로
다음날(삼짓날) 도당과 아래 공터에 마련된 제단에 제물이 차려진다.
굿 진행 순서는 '거리부정'을 시작으로 주당물림, 앉은 부정, 불사할머니거리, 가망청배, 진
적, 본향, 상산, 별상, 신장, 대감, 산제석, 창부, 군웅, 용신, 대잡이 등이며, 2005년 도당
굿에서는 진적에 앞서 유교식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무녀(巫女)는 도당 안에 들어가 앉아 부
정을 친 후, 봉화산 할머니를 모시는 불사굿을 한다. 당 안에서 청배한 후, 마당에 놓인 물동
이를 타고 공수를 주며, 불사굿이 끝나면 나머지 굿은 도당 밑 비봉각 앞에 차려진 가설 굿청
에서 한다.
군웅굿에서는 소머리 사실을 세우고 그것이 쓰러지는 방향을 주시하는데, 특정 마을 방향으로
쓰러지면 그해 좋지 않다고 믿었다. 대는 참나무를 사용하여 굿청을 1바퀴 돌고 서낭당에 놓
는다.
온갖 잡귀를 풀어 먹이는 뒷전을 끝으로 도당굿을 마무리하며, 보통 아침부터 초저녁까지 하
루 종일 펼쳐진다. 또한 예전에는 음력 6월 초하룻날도 소를 잡아서 치성을 올렸으나 이제는
도당굿만 지낸다.
도당굿 지정 무당은 신위행(1939년생 여자), 지정 악사는 김광수(1945년생 남자)로 이들은 봉
화산 도당굿 기능보유자이며, 굿은 신들린 무당을 불러서 하고 악사(樂士)는 피리, 대금, 해
금을 담당한다.


▲  아차산 봉수대터 - 서울 지방기념물 15호

도당 바로 옆에는 복원된 아차산봉수대가 자리해 있다. 도당과 더불어 봉화산의 정상을 누리
고 있는데, 이상한 것은 봉수대 이름이 봉화산도 아니고 '아차산봉수대'를 칭하고 있다는 것
이다.

이 봉수대는 두만강(豆滿江)에 있는 함경도 경흥(慶興)에서 시작하여 서울 남산까지 이어지는
조선 봉수로의 1번 노선으로 그 노선의 끝이 바로 이곳이다. 바로 직전 남양주 한이산(汗伊山
)에서 봉수를 받아 조선 봉수대의 중심인 남산 봉수대로 넘겼으며, 아차산봉수대로 인하여 이
산은 봉화산 또는 봉우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활발하게 봉화를 피우던 이곳은 갑오개혁(甲午改革, 1894년)으로 봉수제도가 폐지되자 철저하
게 버려졌다. 이후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과 자연과 사람들의 괴롭힘으로 봉수대는 어느 세
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졌고, 봉화산 도당이 그의 빈 자리를 둥지로 삼았다.
아차산 봉수대가 얼마나 완벽하게 잊혀졌던지 그 위치마저 잃어버렸다. 해방 이후 아차산 봉
수대 자리를 그 이름에 따라 광장동 아차산 능선에 있는 것으로 여겼으나 정작 아차산에서는
봉수대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게다가 조선 후기에 제작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의
지도에 봉화산을 아차산으로 표기하고 있어서 비로소 아차산 봉수대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었
고 그로 인해 아차산의 영역이 봉화산까지 이르렀음을 깨닫게 되었다.

1994년 11월 서울 정도(定都) 600주년을 기념하고자 완전히 쓰러진 아차산 봉수대를 그럴싸하
게 복원했는데 애초 5개의 봉수가 있었으나 1개만 재현했다. 그러다보니 고색의 티는 아예 여
물지도 않았고 파리가 미끄러질 정도로 피부가 너무 반질반질하다. 그래서 문화재청 지정명칭
도 아차산봉수대가 아닌 '아차산봉수대터'이다. 끝에 '터'를 붙여 '터'임을 강조한 것이다.

아차산봉수대가 있는 봉화산은 동남쪽 아차산 산줄기를 제외하면 주변이 죄다 평지라 봉수대
위치로는 아주 좋다. 여기서 봉수를 피면 약 10km 떨어진 남산 봉수대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
했으며, 눈이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봉수지기가 직접 남산으로 달려가 상황을 알렸다.

▲  북쪽 밑에서 바라본 아차산봉수대

▲  봉수대의 뒷통수


▲  봉화를 피우던 봉수대
이제는 봉화를 피울 일이 없으니 그야말로 껍데기만 남은 은퇴자 신세이다.
허나 그의 쓸쓸한 체면도 살려줄 겸, 봉화 체험을 벌여보는 것은 어떨까?
어차피 1994년에 복원된 봉수대이니 그리 손해는 없을 것이다.

▲  봉수대 창
동쪽으로 난 창을 통해 봉화를 피웠다. 봉화 연기는 봉수 꼭대기로 모락모락
피어올라 하늘을 긴장시키고 남산 봉수대를 바쁘게 만든다. 특히 두만강
너머 애들이 난을 일으키면 더욱 그렇다.

▲  아차산봉수대에서 바라본 정상 남쪽

봉수대 남쪽에는 쉼터와 조망대가 있다. 남쪽을 바라보고 선 조망대에 올라서면 가까이는 망
우동과 상봉동, 면목동 지역을 비롯해 아차산 산줄기, 동대문구 동부, 광진구, 성동구, 멀리
강남을 품은 대모산(大母山)과 구룡산(九龍山), 우면산(牛眠山) 산줄기까지 훤히 시야에 비친
다.


▲  속세를 향해 고개를 내민 봉화산 정상 조망대

▲  정상 조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중랑구와 광진구, 성동구 지역)
멀리 대모산, 구룡산, 우면산 산줄기까지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  봉화산 정상에서 상봉동으로 내려가는 소나무 산길

정상이란 자리는 꿀이긴 해도 한편으로는 독성도 적지 않아 오래 머물면 반드시 탈이 나는 법
이다. 하여 적당히 있다가 내려오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
그렇게 정상에서의 볼일을 마치고 상봉동 보현정사 방향으로 내려갔다. 이 길은 소나무가 무
성하여 그들이 베푼 솔내음에 속세에서 오염된 후각이 말끔히 정화되는 기분이며, 산길 주변
에는 조그만 바위들이 진을 치고 있어, 오로지 흙길로 이루어진 묵동다목적체육관 기점 산길
보다 덜 차분한 모습이다.


▲  내려가면서 바라본 중랑구 지역
아파트로 거의 도배가 된 신내동(신내택지지구), 그 너머로 망우동과
면목동, 아차산 산줄기가 바라보인다.

▲  상봉동 보현정사 입구

정상에서 15분 정도 내려가니 보현정사(普賢精舍)란 조그만 절이 나온다. 이 절은 20세기 중
반 이후에 지어진 현대 사찰로 역사가 매우 짧고 소장 문화유산이 없는 절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서 항아리 겉돌 듯 짧막하게 둘러보고 나왔다. 여기서 2~3분 정도 내려가면 중랑구청 서
쪽에 자리한 신내12단지이다.

* 봉화산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신내동, 상봉동, 중화동
* 아차산봉수대터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산46-19


 

♠  신립의 아들로 조선 중기에 활약했던 무인, 충익공 신경진 묘역
(忠翼公 申景禛 墓域)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95호

봉화산을 둘러보고 아직 일몰까지는 여유가 넘쳐서 여기서 멀지 않은 망우동 용마공원으로 이
동했다. 용마공원은 용마산(龍馬山, 348m) 북쪽 자락에 둥지를 튼 공원으로 그 서쪽에 충익공
신경진을 비롯한 그의 평산신씨 묘역이 숨겨져 있다. 그중에서도 신경진 묘역과 신도비는 그
묘역의 갑(甲)이자 상징과 같은 존재로 따로 지방문화재의 특별한 지위를 누리고 있다.

신경진 묘역은 묘와 신도비로 이루어져 있는데, 옛날에는 호랑이가 담배를 물고 나타나도 이
상할 것이 없는 깊은 산자락이었다. 그러다가 서울이 나날이 팽창하면서 면목동과 망우동 지
역이 개발되어 묘역 서쪽과 북쪽, 남쪽까지 주거지가 들어찼고, 동쪽으로 가늘게 용마산 산줄
기를 붙잡고 있었으나, 그 동쪽 마저 도로를 내고 주차장을 닦으면서 도로 속에 갇힌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묘역의 주인공인 신경진(申景禛, 1575~1643)은 고려 개국 공신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신씨 집안으로 임진왜란 초기 충주 탄금대(단월역) 전투를 거하게 말아먹고 사망한 신립(
申砬, 1546~1592)의 아들이다. 자는 군수(君受)로 서울 출신이며, 전사한 아비의 후광으로 선
전관(宣傳官)에 기용되었다.
오위도총부도사(五衛都摠部都事)로 전보되어 무과에 급제했으며, 태안군수와 담양부사를 거쳐
부산진 첨사(僉使)가 되었다. 그는 왜열도를 장악한 도쿠가와 막부와의 화의를 반대하며 그들
이 보낸 사신을 접대하지 않고 내쫓았는데, 그 일로 체임(녹봉을 당분간 받지 못함)이 되기도
했으며, 이후 함경도 갑산(甲山)부사가 되었고, 함경남도 병마우후(咸鏡南道 兵馬虞候)를 지
내던 중, 체찰사 이항복(李恒福)의 요청으로 경원부사와 벽동군수를 지내 함경도 변방을 관리
했다.

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왕위에 올라 여진족의 후금(後金)과 명나라 사이에서 중립 외교 정
책을 펼치자 이에 쓸데없이 불만을 품고 관직을 접고 쉬다가 1620년 광해군에게 반감을 품은
김류(金瑬), 이귀(李貴), 최명길(崔鳴吉) 등과 반란을 모의, 그와 인척 관계에 있는 얼떨떨한
능양군(綾陽君, 인조)을 왕위에 세우기로 했다.
그렇게 기회를 엿보다가 1622년 이귀가 평산부사가 되자 그 중군(中軍)이 되기를 자원하여 반
란 준비를 꾀했으나, 계획이 누설되어 효성령별장(曉星嶺別將)으로 쫓겨나면서 이듬해 자행된
인조반정(1623년)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반정 이후 인조의 명으로 공조참의(工曹參判). 병조참지(兵曹參知)가 되었고, 이어 병조참판(
兵曹參判)이 되어 훈련도감(訓鍊都監), 호위청(扈衛廳). 포도청(捕盜廳) 대장을 겸해 왕실을
호위했다. 또한 반정 공신에 대한 논공행상을 벌이면서 제일 먼저 반정계획을 세운 공로로 이
름도 허벌나게 긴 '분충찬모입 기명륜정사 일등공신(奮忠贊模立 紀明倫靖社 一等功臣)'에 녹
훈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졌다.

1624년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李适)이 뚜껑이 뒤집혀 난을 일으키자 인조와 서인 패거
리들은 충남 공주(公州)로 줄행랑을 쳤다. 이때 신경진은 훈련대장으로 어가를 호위했고, 난
이 평정되자 이괄이 추대했던 선조의 10번째 아들 흥안군(興安君)을 멋대로 쳐죽여 대간의 탄
핵을 받기도 했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이 터지자 왕을 강화도로 호종했고 이듬해 평성
부원군(坪城府院君)으로 승진했다.

그렇게 출세가도를 달리던 신경진은 자신의 공과 지위를 과시하며 남의 집터 수천 칸을 빼앗
는 등, 영 좋지 않은 행동을 보였으며, 그로 인해 언관의 탄핵을 받았다. 1635년 목릉(穆陵)
과 혜릉(惠陵)의 봉심관(奉審官)이 되었으나 능 보수를 소홀히 하여 파직당했다가 다시 복직
되어 형조판서와 훈련대장을 겸했다. 그리고 이듬해 1636년에는 병조판서까지 겸하게 되었으
나 병을 이유로 사양했다.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터지자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급하게 줄행랑을 친 인조를 받들며
청나라군에 대항했다. 허나 청군이 산성을 포위한 채, 소규모의 도발만 벌이며 조선군의 식량
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니 인조는 결국 배겨나지 못하고 45일만에 문을 열고 항복했다.

1637년 이후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으며, 최명길의 추천으로 우의정이 되어 훈련도감제조를 겸
했는데 이때 호란 이후 민심수습책을 논의하고 지방 수령 임명에 신중을 기할 것을 건의했다.
1638년 청나라에 사신으로 갔다오면서 좌의정이 되었으며, 최명길과 의논해 승려 독보(獨步)
를 명나라에 파견, 청나라에 항복하게 된 이유를 소상히 설명하게 했다. 그렇게 해서라도 조
선의 명나라를 향한 꼴사나운 사대주의를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1641년에 다시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인질로 잡혀있던 김상헌(金尙憲) 등을 옹호했으며,
1642년 청나라의 요구로 최명길이 파직되자 그 뒤를 이어 영의정이 되었다. 허나 얼마 가지
않아서 병으로 사퇴했고, 이듬해 다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0일도 안되어 병사했다.

신경진은 그의 아비를 닮아 무예가 뛰어났다. 그래서 훈련도감, 호위청 등의 친병(親兵) 관리
업무를 담당하면서 왕의 호위를 맡았다. 또한 인조반정을 처음부터 계획하고 주도하여 인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기도 했다. 그래서 인조 시절에 승진에 승진을 거듭해 영의정까지 꿰고 찬
것이다.
그는 외교 활동에도 소질이 있어 청나라에 여러 번 사신으로 가면서 청나라의 과도한 내정 간
섭을 줄이게 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훈서(勳西)와 청서(淸西)로
분열되어 훈서의 우두머리가 되었으나 자신이 무신임을 내세워 간여하기를 꺼렸다. 또한 송시
열 등의 사림을 천거하면서 그들의 환심을 얻었다.

그의 시호는 충익(忠翼)으로 1651년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그의 은혜를 받았던 송시열이
직접 찬한 내용이 신경진 신도비에 전하고 있다.


▲  신경진 신도비(神道碑)

▲  옆에서 본 신도비

▲  신도비의 뒷모습

신경진 묘역의 백미는 바로 신도비가 아닐까 싶다. 처음에 묘역이 아닌 신도비만 지방문화재
로 지정될 만큼 아주 괜찮게 지어졌기 때문이다.
신도비는 보통 신도(神道)로 통한다는 무덤 동남쪽에 세우기 마련이나 이곳은 특이하게 서쪽
에 비석을 두었다. 아마도 신경준묘의 신도는 서쪽이었던 모양이다. 비석 높이는 3.68m로 특
히 귀부(龜趺)의 몸집이 상당해 더욱 장대하게 다가온다.
땅바닥에는 바닥돌과 기단석을 차례대로 깔고, 그 위에 거북 모양의 귀부를 두었다. 그의 얼
굴을 보면 마치 성이 난 듯, 무엇인가를 뿜어낼 듯한 기세 같으며, 입에는 동그란 무언가를
물고 있으니 아마도 여의주가 아닐까 싶다. 앞다리는 바짝 웅크려 앉아있는 모습이며 등짝에
는 세월의 검은 때가 가득 입혀진 거북 등껍질이 새겨져 있다. 뒷쪽에는 뒷다리와 두꺼운 꼬
랑지가 서쪽으로 말려져 있는데, 그 모습이 생동적이고 귀여워 진짜 거북의 꼬랑지 같다.

귀부 위에는 빗돌을 세워 신경진의 생애를 다루었고, 꼭대기에 정교하게 처리된 용머리 장식
인 이수(螭首)를 두었다. 신도비 비문은 송시열이 지었고, 박태유(朴泰維)가 글씨를 썼으며,
머리글인 두전(頭篆)은 이정영(李正英)이 썼다.

비석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에는 커다란 거북받침돌 덕에 '거북비'라 불리웠는데, 귀부가 지나
치게 커서 전체적인 비례는 좀 떨어진다. 허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이 매우 뛰어나 조선 중기
신도비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건강을 위해 비석 주위로 난간을 둘러 사람들의
접근을 막는다. 그도 그럴 것이 신도비 주변이 황당하게도 차량들이 바퀴를 접고 쉬는 주차장
이라 차들이 자칫 바퀴를 잘못 굴릴 경우 비석의 안전을 장담하지 못한다.


▲  신경진 묘역

신도비 동쪽 언덕에는 신경진 묘역이 자리를 닦았다. 묘역과 신도비 사이에는 주차장이 닦여
져 있는데, 묘역 주변은 철책을 둘러 속인(俗人)들의 접근을 막고 있다. 허나 철책 바깥에서
도 보일 것은 다 보이니 굳이 개구멍을 찾거나 철책을 넘어갈 필요는 없다. 그냥 이렇게 보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신경진 묘역은 호석을 두른 동그란 봉분(封墳)을 비롯하여 묘비, 상석(床石), 향로석(香爐石)
, 조그만 동자석(童子石) 1쌍, 망주석(望柱石) 1쌍, 문인석(文人石) 1쌍으로 이루어진 이 땅
에 흔한 사대부(士大夫) 묘역 스타일로 주변이 나무로 무성하다. 특히 동자상을 상석 주변에
깔고 있어 조선 중기부터 등장하는 새로운 무덤 양식을 보여준다.

묘역 동쪽 산자락에는 신경준의 선조와 후손들 무덤 30여 기가 흩어져 있다. 신경준묘역을 비
롯한 이들 묘역을 덩어리로 묶어 평산신씨 묘역이라 부르는데, 신말평(申末平, 1452~1509)과
그의 아들인 신상(申鏛, 1480~1530), 신경준의 손자 신여철(申汝哲, 1634~1701) 등이 묻혀있
으며, 그중 신상은 신도비도 갖추고 있다.
조선 초부터 후기까지 조성된 묘역으로 조선 초/중/후기 무덤 양식을 고루고루 살펴볼 수 있
으며, 묘역 보호를 위해 철책을 꽁꽁 두른 탓에 접근하지는 못했다. 어딘가 숨겨진 개구멍이
있을 듯 싶지만 그렇게 무리를 해서까지 들어가고 싶지는 않았다. 오로지 신경준묘와 신도비
만 염두에 두었고, 그들을 보았기 때문에 이 정도에서 미련없이 선을 긋고 자리를 정리했다.

신경진 묘역을 끝으로 5월 초, 봉화산 나들이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충익공 신경진 묘역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망우로70길 103)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9년 5월 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9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강서구의 지붕을 거닐다. 개화산 둘러보기 ~~~ (능말 은행나무, 풍산심씨 문정공파묘역, 개화산둘레길, 약사사와 석불입상)



' 서울 강서구의 지붕을 거닐다. 개화산 나들이 (약사사) '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약사사 3층석탑
◀ 풍산심씨 심사손 묘
▶ 약사사 석불입상
▼ 개화산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여름이 봄을 밀어내고 천하를 한참 삼키던 6월의 첫 무렵, 친한 후배와 강서구의 상큼한
뒷동산인 개화산을 찾았다.
개화산은 서울 서쪽 끝에 자리한 산으로 서울 북쪽 끝으머리에 매달린 우리집(도봉동)에
서 꽤 먼 곳이다. 비록 같은 서울 하늘 밑에 있지만 서로가 끝과 끝이라 거리도 거의 40
km,
지하철로 가도 족히 1시간 반은 걸려 그곳에 가기도 전에 지쳐 쓰러질 지경이다. 그
러다보니 개화산을 비롯한 강서/양천 지역은 발이 잘안가게 된다.


개화산(開花山, 128m)은 개화동(開花洞)과 방화동(傍花洞)에 걸쳐있는 뫼로 거의 평지로
이루어진 강서구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산은 작고 야트막하지만 평지 속에 솟아있는 존
재라 낮은 높이에 비해 조망이 일품이며 산세도 느긋하고 숲도 매우 무성하여 풍경도 아
름답다. 산 동북쪽에는 꿩고개라 불리는 치현산(雉峴山)이 이어져있고, 북쪽에는 한강과
5호선 방화차량기지, 서쪽은 김포평야(金浦平野), 남쪽에는 방화동과 김포국제공항이 있
다.

개화산의 첫 이름은 주룡산(駐龍山)이었다고 전한다. 신라 때 주룡(駐龍)이란 도인(道人
)이 살고 있었는데, 매년 9월 9일 친구(또는 동자)들을 데리고 정상에 올라가 술을 마셨
다. 이것을 '9일용산음(九日龍山飮, 9월 9일마다 주룡산에서 술을 마심~)'이라 불렀는데
그가 세상을 뜨자 9월 9일마다 술을 마시던 자리에서 이상한 꽃이 피어났다고 한다. (또
는 그가 죽은 자리에서 꽃이 피어났다고 함)
그래서 그 터에 절을 세우니 그곳이 꽃이 열린다는 뜻의 개화사(開花寺, 현 약사사)이며,
개화사가 있는 산이라 하여 개화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전한다. 또한 주룡 설화 외에
도 산의 모습이 꽃이 피는 형국이라 하여 개화산이라 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정상에
봉수대가 있어 불을 피운다는 뜻의 개화산
(開火山), 봉화뚝이라 불렸다고도 한다.
그리고
양천읍지(陽川邑誌)에는 개화산이 코끼리, 개화산과 마주보고 있는 한강 북쪽 행
주산(幸州山, 덕양산)이 사자의 형상으로 이들이 서해바다에서 들어오는 액운을 막고 서
울에서 흘러나가는 재물을 걸러서 막아주는 사상지형
(獅象之形)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처럼 겉모습은 작지만 속은 알찬 개화산에는 괘 많은 명소가 안겨져 있는데 오래된 석
탑과 석불을 간직한 약사사를 비롯해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 미타사 석불입상, 호국충
혼위령비, 방화근린공원, 신선바위, 능말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봉수대터, 봉수대, 상사
마을 은행나무 등이 있으며 약수터도 많이 있었으나 그 수가 계속 줄어 이곳의 제일가는
물이었던 약사사 약수터가 2013년 봄에 숨통이 끊어지고 말았다.
또한 산 허리에는 강서둘레길 1코스인 개화산숲길(개화산 둘레길 3.35km)이 닦으면서 조
망이 괜찮은 곳에 전망대(개화산, 아라뱃길, 신선바위)를 설치하여 눈을 심심치 않게 해
준다. 다만 군부대가 정상과 북쪽 자락에 있어 정상에는 발을 들일 수 없다.

본글에서는 능말 은행나무와 느티나무를 시작으로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 약사사를 살
펴보도록 하겠다.


 

♠  옛 능말을 지키고 있는 오래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  은행나무(서울시 보호수 16-3호)와 느티나무(서울시 보호수 16-6호)

개화산에 안기기 바로 직전에 전혀 생각치도 못했던 존재들이 나의 발목을 붙잡았다. 그들은
오래 숙성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형제로 삼정초교 남쪽에 작게 터를 닦은 느티어린이공원(이
하 느티공원)에 자리해 있는데 나는 약사사와 미타사, 풍산심씨 심정공파 묘역, 강서둘레길에
만 눈이 어두웠지 그들 고목(古木)의 존재는 전혀 알지 못했다.

이번 나들이가 나에게 준 커다란 선물인 이들 나무는 공원 남쪽에 삼삼하게 우거져 공원 전체
에 그늘을 드리우며 무더위를 제대로 긴장 타게 한다. 그들 가운데
몸통이 큰 동쪽 나무 2그
루가 서울시 보호수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서쪽 나무 2그루는 그들의 후손임)
가장 둘레가 큰 나무는 은행나무로 높이 11m, 둘레가 4.44m에 이른다. 그가 보호수로 지정된
시기는 1972년 10월 12일로 그때 추정 나이가 435년이라고 하니 그새 40여 년의 세월이 강제
로 얹혀져 지금은 480년 정도 된다. 그 옆의 느티나무는 여기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존재로
높이 17m, 둘레 3.86m이다. 1974년 4월 20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는데 그때 추정 나이가 480년
이라 지금은 520년 정도 되었다.

이들은 솔직히 천연기념물이나 지방기념물로 삼아도 전혀 손색이 없어 보이는데, 아직까지 말
단 보호수에 머물러 있다. 우리집과 가까운 방학동(放鶴洞) 은행나무도 천연기념물로 아무 손
색이 없거늘, 오랫동안 보호수로 있다가 2013년 봄에서야 겨우 지방기념물로 승진된 바 있고,
반면 가치는 좀 떨어져 보이는데 외람되게 천연기념물이나 지방기념물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나무들도 적지 않아 도대체 무슨 기준인지 의문을 내던지게 한다.
허나 이들이 인간들이 멋대로 정한 잣대에 관심이나 있을까? 보호수이든 천연기념물이든 그런
것은 관심 밖일 것이다. 올해도 무탈히 잎을 피우고 길손들에게 그늘을 드리우는 정자나무로
서의 소소한 역할에 만족하며 살아갈 것이다. 나무는 신과 동물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자리나
축내는 인간이 아니다.

이 은행나무와 느티나무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에 활약했던 심정(沈貞)이 심은 것으
로 전해진다. 중종(中宗) 시절에 심정 일가가 이곳에 정착해 자연마을을 이루었는데, 심씨의
집성촌(集姓村)으로 심씨마을<또는 심울(沈蔚)이라 했음>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정곡리, 긴동
리와 함께 옛 방화동을 이루던 마을로 인조 시절에 왕의 생부(生父)인
정원군<定遠君, 1632년
인조에 의해 원종(元宗)으로 추존됨>의 능을 양주에서 이곳으로 옮기려다가 터가 좁아서 김포
풍무동으로 옮겼는데 그 연유로
능(陵)이 들어가는 능말(또는 능골, 능리)로 불리게 되었다.

1992년 능말 주변에 개발의 칼질이 가해지면서 마을은 강제로 사라졌고, 주민 대부분은 정든
고향을 떠나야 했다. 그 자리에는 방화택지지구가 들어서 성냥갑 아파트와 건물이 잔뜩 심어
지면서 전원(田園) 분위기는 많이 녹아내렸으나 다행히 이들 나무는 개발의 칼질도 쏙 피해가
면서 제자리를 지켜 옛 능말의 추억을 아련히 되새기게 해준다. 만약 보호수 등급이 아니었다
면 아무리 몇백 년 묵은 나무라고 해도 진작에 아작이 났을 것이다. 그것이 이 땅의 천박한
개발주의의 현실이다.


▲  느티공원 놀이터에서 바라본 은행나무와 느티나무의 위엄

능말의 정자나무이자 당산나무였던 이들 나무 형제는 낯선 이들로 이루어진 방화지구의 정자
나무가 되었다. 나무는 4계절마다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 외에는 거의 그대로지만 주변이 싹
낯설게 변해 나무 자신도 가끔 놀랄 것이다. 이제 그들이 옛 능말의 유일한 흔적인 것이다.
개발의 칼질로 고향을 떠난 이들은 능우회(陵友會)란 모임을 결성했는데, 1992년 10월 17일에
그들의 수구초심(首丘初心)이 담긴 '애향(愛鄕) 능말 옛터' 비석을 나무 그늘에 세워 추억 속
으로 사라진 옛 고향을 그리워한다.

* 느티공원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799


▲  개화산약수터

티공원에서 서쪽으로 가면 바로 숲내음이 진동하는 개화산이다. 여기서 북쪽 길로 가면 문
정공파 묘역의 시조(始祖)인 심정 묘역이 나오고, 정면으로 보이는 서쪽 산길을 3분 정도 오
르면 개화산약수터가 모습을 드러낸다.
방화역을 나올 때 마신 커피음료가 목구멍에서 채 마르기도 전이지만 고양이가 생선가게를 그
냥 못지나치듯 샘터를 보면 꼭 물을 한모금 마셔야 발길이 떨어진다. 그래서 졸고 있는 파란
바가지를 깨워 물을 담아 마시니 확실히 자연산이 더 좋은 것인지 앞서 마신 음료보다 더 시
원하고 달달하다. 아직 수질은 적합 판정을 받고 있지만 약사사 약수터를 비롯해 개화산에 적
지 않은 약수터가 개발의 칼질에 목이 달아난 상태라 이곳의 미래도 나처럼 장담하기가 어렵
다 부디 다음에 올 때도 이곳의 물을 꼭 마셔야 되는데, 아무쪼록 무탈하기를 기원해 본다.

산길 옆에는 조그만 계곡이 흐르고 있는데, 자연 그대로 두지 않고 계곡 양쪽에 시멘트을 발
라 둑처럼 만들면서 아주 심하게 옥의 티를 선사하고 있다. 그래도 엄연한 산골인데 돌에 걸
터앉아 발을 담굴 수 있게 해줘야 진정한 계곡이 아닐까 싶다.


▲  개화산약수터 주변 오솔길


 

♠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豊山沈氏 文靖公派 墓域)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77호

▲  심정(沈貞) 묘역

개화산 동쪽 자락에는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이하 문정공파 묘역)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
들 묘역은 심정을 시작으로 그 자손들 50~60여 기의 묘로 이루어져 있는데 1~2곳에 뭉쳐있는
것이 아니라 산자락 곳곳에 흩어져 있다. (주로 방원중교에서 약사사로 올라가는 금낭화로17
길 주변과 삼정초교 서쪽 산자락에 있음)
이들 무덤 중 심정과 심사손, 심사순, 심수경(沈守慶) 묘역과 그에 딸린 석물, 신도비가 지방
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나머지는 아님) 개화산을 주산(主山)으로 한 명당자리로 명
성이 자자하다.


정공파 묘역의 시조는 심정이다. 그를 시작으로 그의 아들과 손자, 후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묻혔기 때문이다. 허나 먼저 묻힌 이는 심정의 아들인 심사손
이다. (심정은 1532년, 심
사손은 1528년에 사망)
심정의 묘역은 문정공파 묘역에서 가장 동쪽에 자리해 있는데, 삼정초교 바로 뒤쪽(서쪽)이다.
이곳에 가려면 느티공원에서 개화산으로 들어서자마자 북쪽 언덕 길로 가면 되는데 심정 쉼터
를 지나 오른쪽을 유심히 보면 샛길이 보인다. 그 길로 들어서면 심정과 심사순의 묘역이 모
습을 드러낸다.

심정(1471~1531)은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으로 아버지는 적개공신(敵愾功臣)
이던 심응(沈膺)이며, 어머니는 서문한(徐文翰)의 딸이다.
1495년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고, 1502년 별과(別科) 문과(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1503년 수찬(修撰)이 되었다. 1506년 연산군(燕山君)에게 불만을 품은 박원종(朴元宗), 성희
안(成希顔) 등에게 붙어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했으며, 그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3
등에 녹훈(錄勳)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다.

1507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가 되어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로 다녀왔으며, 귀국하여 남
곤(南袞), 김극성(金克成) 등과 짜고 김공저(金公著)와 조광보(趙光輔)를 제거하고자 옥사(獄
事)를 벌이지만 실패했다.
1509년 성천부사(成川府使) 등을 지냈고, 1515년 이조판서(吏曹判書)로 승진했으나 삼사(三司
)의 태클에 물러나고 만다. 1518년 형조판서(刑曹判書) 후보에 올랐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중
심으로 한 사림파(士林派)의 공격을 받아 소인(小人)으로 찍혔고 이조판서이던 안당(安瑭)의
거부까지 겹쳐 결국 떨려나고 만다.

이후 심정은 집과 가까운 가양동(加陽洞) 한강변에 자신의 호를 딴 소요정을 짓고 울분을 달
래다가 아들 심사손까지 사림파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사림패거리에 대한 원망이 아주 머리 끝
까지 치솟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었으니 더 이상 가만히 앉아있을 수는 없는 일, 그는 머리가
좋고 꾀를 잘 내어 주변으로부터 지혜주머니라 불렸는데, 이때부터 그 주머니가 복수의 칼날
을 위해 다시 열리기 시작했다.

1519년 조광조가 왕에게 중종반정 공신들의 위훈(偉勳) 삭제를 청하면서 훈구파(勳舊派)를 건
드렸다. 이때 심정도 정국공신 자격을 삭탈당했는데 훈구파는 물론 왕의 후궁들까지 조광조에
게 치를 떨게 된다. 바로 이때다 싶어 중종의 후궁인 경빈박씨(敬嬪朴氏)와 짜고 조씨전국<趙
氏專國 : 조씨(조광조)가 나라를 마음대로 한다>이란 말을 궁중에 퍼트려 왕을 홀리게 했다.
조광조와 조금 거리를 두던 중종은 그 말에 넘어가고, 훈구파의 주요 인물인 남곤, 홍경주(洪
景舟)와 연합해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패거리를 죄다 아작을 내버렸다. 사림의 핵
심인 조광조와 김식(金湜)은 쓰디쓴 사약을 먹여 영원히 보냄으로써 피맺힌 원한을 아주 속시
원하게 푼 것이다.

이후 남곤과 함께 권력의 핵심으로 떠올라 그와 사이좋게 국정을 장악했으며, 1527년 남곤이
죽자 좌의정(左議政) 및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에 올라 이항(李沆), 김극핍(金克愊)을 수하
에 두면서 권력을 장악했다. 그리고 세자<나중에 인종(仁宗)>의 인척 관계자이자 라이벌이던
이조판서 김안로(金安老)를 귀양 보내 제거하려고 했다.
허나 경빈박씨의 동궁(세자) 저주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심정이 관련된 사실이 드러나면
서 심정은 일대 위기를 맞게 된다. 김안로는 이때다 싶어 대사헌 김근사(金謹思), 대사간 권
예(權輗)를 구워삶아 심정을 탄핵했으며, 중종의 명으로 평안도 강서군(江西郡)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하지만 김안로는 그것으로 끝내지 않고 심정의 부하인 이항과 김극핍까지 엮어
신묘삼간(辛卯三奸, 1531년)으로 내몰면서 끝내 사약을 마시고 죽게 된다. 그때 그의 나이 딱
60이었다.

심정의 시신은 그의 일가 뒷쪽 개화산에 묻혔으며, 1534년 부인이 합장되었다. 이후 김안로가
죽자 문정공(文靖公)이란 시호를 받으니, 그 연유로 그의 묘역이 문정공파 묘역이 된 것이다.
시호는 받았지만 명종(明宗) 이후 권력의 핵심에 서서 훈구파 못지 않게 파행을 일삼은 사림
파에게 두고두고 욕을 먹었다. 기묘사화로 사림파를 제대로 절단낸 경력 때문이다. 그들은 남
곤과 심정을 한데 엮어 곤정(袞貞)이라 부르며 소인배의 대명사로 손가락질했고, 그것은 지금
까지 전해져 심정하면 개혁을 꿈꾸던 사림을 아작낸 기묘사화의 원흉, 지나친 권력의 화신 등
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생각나게 만든다. (나도 그렇음)

심정은 권력욕이 대단하고 자신의 지혜를 과신해 많은 무리수를 두었으며, 끝내 그 무리수로
스스로를 말아먹게 된다. 허나 다행히도 그와 아들 심사순 정도만 권력싸움에 패해 불명예스
럽게 퇴장했을 뿐, 그의 자손들까지 화는 미치지 않았으며, 아들 심사손과 손자 심수경은 많
은 공적을 남기기도 했다. 또한 형제간의 우의가 대단해 곤경에 처한 동생 심의(沈義)를 끝까
지 살펴주었으며, 형제와 가족을 잘 챙겨주었다.

심정의 묘역은 부인(하양허씨)과 합장된 봉분(封墳) 1기와 묘비<묘갈(墓碣)>, 상석(床石), 문
인석 2기가 전부인 조촐한 모습으로 신도비는 없으며, 묘갈은 1579년에 세워졌다. 비문은 손
자인 심수경이 짓고, 증손자인 심일취가 글을 썼다.

▲  심정과 부인의 합장묘(合葬墓)

  ◀▲  심정묘를 지키는 문인석(文人石) 2쌍
500년 가까운 고된 세월의 무게를 입고 있지만
별다른 상처 없이 잘 남아있다. 저들이 멀쩡히
무덤을 지키고 있기에 심정묘가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얻게 된 것이다.
(16세기 무덤 양식을 잘 보여준다고 해서 지방
문화재로 지정됨)


▲  심사순(沈思順)과 부인 덕수이씨 묘

심정 묘 밑에는 심사순의 묘가 자리해 있다. 심사순(1496~1531)은 심정의 아들로 자는 의중(
宜中), 호는 묵재(默齋)이다. 심정의 맏형인 심원(沈元)이 아들이 없어서 그의 후사로 들어갔
으며, 시를 잘짓고 문장에 아주 뛰어나 17세에 초시(初試)에 장원해 사림패거리로부터 칭찬을
받기도 했다.

1516년 진사시(進士試)에 붙었고, 1517년 문과 별시(別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승문원(承
文院)에 들어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다. 그리고 병조정랑(兵曹正郞), 이조정랑(吏曹正郞)
등을 거쳐 홍문관 부제학(副提學)이 되었다.
1530년 산릉(山陵)에 대한 지문(誌文)을 작성하라는 명을 받았는데 1531년 그 지문의 글이 문
제가 되어 필적을 대조받기도 했다. 그때 심정 일가를 아작내려는 김안로가 이름을 숨기고 글
을 썼다는 이유를 내세워 옥에 가두었고, 자신은 죄가 없다고 목이 터져라 외쳤건만 결국 거
친 심문을 이기지 못하고 사망하고 만다.
 
그의 묘는 부인과 합장된 조그만 봉분과 묘비(묘갈), 상석, 문인석 1쌍이 전부로 바로 정면이
낭떠러지이다. 그 너머(동쪽)로 삼정초교와 방화1단지 아파트가 보이며, 예전에는 경사진 곳
이었지만 방화지구 개발로 인해 각박한 낭떠러지가 싹둑 잘리게 된 것이다.


▲  심정묘에서 약사사로 올라가는 소나무 숲길

▲  심일취(沈日就)와 부인 광산김씨 묘

방원중학교에서 약사사로 이어지는 길(금낭화로17길) 중간에 심사손의 아들인 심수경(沈守慶,
1516~1599)의 묘와 신도비가 있는데, 이번에는 모르고 빼먹었다. 하여 본글에서는 다루지 않
는다. (어차피 예전에 다 봤음)

약사사를 알리는 커다란 표석 직전에 문정공파 묘역을 알리는 검은 피부의 문화유산 안내판이
있다. 그 동쪽 산자락에 무덤이 여럿 있는데, 윗쪽에 심일취의 묘가, 밑에는 심사손 묘와 신
도비가 자리한다.

심일취는 심수경의 2번째 아들로 자는 중진(仲進)이다. 1547년에 태어나 1573년 식년시(式年
試)에 3등으로 급제했으며,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딱히 두드러지는 것은 없었다. 다만 문장을 잘 지어 심정과 심사손의 묘갈(墓碣)을 직접 썼으
며, 죽은 이후에는 이조참판(吏曹參判)이 추증되었다.
그의 묘는 상석과 묘갈(묘비), 문인석 1쌍, 망주석(望柱石) 1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아래로 내려가면 심사손의 묘가 나온다.

▲  우측 문인석과 망주석

▲  좌측 문인석과 망주석


▲  심사손<沈思遜, 또는 沈士遜>과 부인 전의이씨 묘

심사손(1493~1528)은 자가 양경(讓卿)으로 1513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다. 1517년 대과(
大科)에 급제했고, 승문원(承文院)과 예문관(藝文館)에서 사필(史筆)을 했다.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을 거쳐 병조정랑(兵曹正郞)이 되었는데, 이때 군무(軍務)를 익혀 그런데로 문무를
겸비하게 되었다.

1525년 의정부(議政府)에 배치되어 사인(舍人)이 되었고,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를 거쳐 홍
문관 직제학(直提學)을 지내던 중, 압록강(鴨綠江) 너머의 여진족이 저항할 조짐을 보이자 중
종은 그의 품계를 높여 만포진(滿浦鎭) 첨절제사(僉節制使)로 임명했다. 만포는 평안북도 강
계(江界) 서쪽에 자리한 변방이다.
심사손은 덕과 무력으로 여진족(女眞族)을 달래고 정벌하면서 변경을 안정시키니 군사와 여진
족들은 그를 어르신이라 부르며 복종했으며, 1528년 1월 진중에 땔감이 부족하자 군사를 이끌
고 압록강을 건너 남만주(南滿洲)에서 나무를 벌채하였다. 그때 여진족이 불만을 품고 습격을
하는 통에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후퇴했으나 명줄이 다되었는지 타고 있던 말이 넘어지면서
사망하고 만다.

사망 소식을 접한 중종은 명신(名臣)을 잃었다며 크게 슬퍼했고, 며칠 동안이나 제때 수라를
들지 못했다고 하니 그만큼 왕의 신망이 대단했음을 가늠케 한다. 그의 시신은 그해 3월 11일
개화산에 묻혔으며, 문정공파 묘역의 첫 무덤이 되었다.
부인 전의이씨는 남편이 죽자 기절하여 간신히 소생했으며,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것을 한스
럽게 여겼다. 그는 1578년 86세의 나이로 뒤늦게 남편을 따랐다.

심사손의 묘는 봉분 2기, 묘갈(묘비), 상석, 문인석 1쌍, 망주석 1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심
정과 심사순도 갖추지 못한 신도비를 갖추고 있어 눈길을 끈다. 심정과 심사순은 권력싸움에
밀려 곱지 않게 죽은 탓에 간신히 문인석 1쌍만 갖추고 끝났지만 심사손은 나름 공적도 크고
왕과 아버지의 후광(後光)도 대단해 신도비까지 두게 된 것이다. 만약 1531년까지 살아있었다
면 그도 무슨 험한 꼴을 당했을 지도 모른다.
허나 그의 묘라고 꼭 무탈한 것은 아니다. 2009년 가을에 도굴을 당했기 때문이다. 문정공파
묘역은 정말 도굴은 모르고 살았건만, 도굴범의 마수가 이곳까지 미칠 줄은 누가 알았으랴.?
이때 무엇이 도굴당했는지 파악된 것은 없다. 무덤 부장품을 모르기 때문이다. 또한 범인도
아직 잡히지 못해 더욱 분노를 치밀게 만든다.

▲  우측 문인석과 망주석, 신도비

▲  좌측 문인석과 망주석

▲  심사손 묘갈

▲  부인 전의이씨 묘갈


          ◀
  심사손 신도비(神道碑)
심사손묘 동남쪽에 자리한 이 신도비는 1580년
에 세워졌다. 신도비는 고위 관리와 왕족들의
무덤에만 세울 수 있는 특별한 존재로 보통 신
도(神道)로 통한다는 묘의 동남쪽에 세운다.
비석 높이는 311cm, 폭 120cm로 비문(碑文)은
영의정 홍섬(洪暹)이 짓고, 여성군 송인(宋寅)
이 썼으며, 행온성도호부사 한준(韓準)이 두전
을 썼다.
네모난 비좌(碑座)에 오랜 세월의 때가 멋지게
낀 비문을 세우고, 그 위에 2마리에 이무기가
여의주를 두고 다투는 이수(螭首)를 두었는데,
이수 조각이 꽤 섬세하고 생동적이다.

※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 찾아가기 (2018년 3월 기준)
* 지하철 5호선 방화역 3번 출구를 나와 오른쪽(남쪽)으로 가면 방화5단지로터리이다. 여기서
  오른쪽(서쪽)으로 가면 약사사로 통하는 길(금낭화로17길)이 나오는데 그 길을 들어가면 심
  수경, 심일취, 심사손의 묘역으로 접근할 수 있다.
* 방화역 4번 출구를 나와서 북쪽으로 쭉 가면 방화역교차로 서쪽이다. 여기서 왼쪽(서쪽)으
  로 가면 느티공원이 나오는데, 공원을 가로질러 계속 직진하면 개화산이다. 여기서 오른쪽
  (북쪽)으로 가면 심정묘와 이어지고, 직진(서쪽)하면 약사사길(금낭화로17길)과 만난다.
* 방화역 경유 시내버스 노선 : 651, 654, 672, 6629, 6648, 6712, 강서구 마을버스 07번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산152-5일대


 

♠  오래된 석불과 석탑을 간직한 개화산의 상징적인 명소
약사사(藥師寺)

▲  약사사를 알리는 표석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을 둘러보고 북쪽으로 가면 약사사를 알리는 커다란 표석이 마중을 나
온다.
여기서 길은 2갈래로 갈리는데 왼쪽으로 가면 봉화정과 개화산전망대로, 오른쪽은 약사사, 개
화산전망대로 이어진다. 봉화정과 강서둘레길 1코스 서쪽 구간이 목적이라면 왼쪽 길로 가면
되고 약사사를 거치고 싶다면 오른쪽 길로 가면 된다.


▲  속세를 향해 활짝 문을 연 약사사 정문

사사 표석에서 2분 정도 가면 개화산의 상징, 약사사가 모습을 비춘다. 개화산 동쪽 자락에
포근히 안긴 이 절은 창건시기가 정확치 않으나 앞서 언급했던 주룡선생과 관련된 창건설화가
한 토막 전해온다.
신라 때 개화산을 주름잡던 주룡이 세상을 떠나자 매년 9월 9일마다 그가 술을 마셨던 곳에서
이상한 꽃이 피었는데, 그 자리에 절을 세우니 그것이 개화사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설화와
1827년에 송숙옥(宋淑玉)이 작성한 '개화산약사암 중건기'와 '양천읍지(陽川邑誌)'를 통해 신
라 때 창건된 것으로 우기고 있으나 신빙성이 있는 기록과 유물이 전혀 없다. 개화산약사암중
건기와 양천읍지도 약사사가 알려준 내용을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대신 경내에 고려 때 석탑
과 석불이 있어 적어도 고려 중/후기부터 법등(法燈)을 킨 것으로 여겨진다.

창건 이후 18세기까지는 적당한 사적(事績)을 남기지 못했으며, 조선 초기에 제작된 동국여지
승람(東國輿地勝覽)에 개화사로 나와 예전 이름이 개화사였음을 알게 해준다. 그리고 임진왜
란 시절 격전지인 행주산성(幸州山城)과 양천(陽川) 고을의 중심지인 가양동이 근방이고, 개
화산은 이들을 이어주는 요충지라 그때 절이 파괴되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절의 기록이 본격적으로 나래를 펴는 것은 18세기 중반이다. 1737년 좌의정(左議政) 송인명(
宋寅明, 1689~1746)이 절을 크게 중수하면서 송씨 가문의 원찰(願刹)로 삼았다. 그는 어린 시
절 매우 가난했는데, 개화사에서 좋은 대접을 받으며 공부에 열중해 과거에 붙었다.
이후 재상에 오르자 자신이 이렇게 된 것은 개화사의 덕이라며 절을 중수하고 절 밑에 불량답
(佛糧畓)을 보시했다. 또한 영조(英祖) 시절 그와 가깝게 지내던 이병연
(李秉淵)이 개화사와
송인명과의 끈끈한 사이를 '사천시초(槎川詩抄)'란 시로 표현했다.

봄이 오면 행연(杏淵) 배에 오르지 마오
손님이 오면 어찌 꼭 소악루(小嶽樓, 가양동에 있었음)만 오르려 하나
책을 서너 번 다 읽은 곳이 있다면
개화사(開花寺)에서 등유(燈油)를 써야지.


또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로 조선 미술의 한 획을 그었던 겸재 정선(謙齋 鄭敾)이 이병연
의 시를 보고 개화사를 찾아가 그림을 남겼는데, 그는 1740년부터 5년 동안 양천현감으로 있
으면서 개화사와 소악루를 비롯한 양천의 명승지를 아낌없이 화폭에 담아 당시의 정취를 아련
히 알려준다.

1799년 송인명의 후손인 송백옥
(宋伯玉)이 절을 중수하고 중수기를 남겼으며 1827년 절이 퇴
락하자 처사 창선
(昌善)과 청신녀(淸信女) 경자(京子)가 돈을 모아 기존 절터에서 몇 걸음 떨
어진 곳에 새롭게 자리를 파 절을 옮겼고 석불입상을 약사불로 삼으면서 절 이름을 약사암(藥
師庵)으로 갈았다. <이후 약수사(藥水寺), 약사사 등으로 변경됨>
1911년 봉은사(奉恩寺)의 말사(末寺)의 되었고, 1928년 주지 박원표(朴元杓)가 약사전을 새로
지었다. 허나 6.25 때 개화산이 치열한 격전지가 되면서 그나마 세운 건물이 모두 무너졌으며
가건물로 간신히 자리를 유지하다가 1984년 이후 대웅전과 감로당, 삼성각을 지어 지금에 이
른다.

그리 넓지 않은 경내에는 법당(法堂)인 대웅전을 위시하여 감로당과 삼성각, 범종각, 공양간
등 5~6동 정도의 건물이 있으며, 크게 지어진 감로당은 요사와 종무소의 역할을 하고 있다.
소장문화유산으로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석불입상과 3층석탑이 있어 절의 오랜 내력을 대변
해주며, 석불은 영험이 있다고 전해져 기도 수요가 제법 많다. 허나 경내에서 이들 외에는 고
색의 향기는 전혀 없다.
또한 경내 밑에는 개화산의 오랜 명물로 꼽히던 약수터가 있었는데 이 물을 마시면 병이 낫는
다고 하여 중생의 인기가 대단했다. 이 약수터 때문에 절의 이름이 한때 약수사가 된 적도 있
을 정도.. 허나 1990년대 이후 계속되는 부적합 판정으로 수요가 떨어지기 시작했고, 끝내 부
적합을 극복하지 못하고 2013년 봄에 완전 폐쇄되고 말았다. 석불과 더불어 절의 든든한 양대
밥줄이자 아주 착했던 약수터의 퇴장은 개화산과 절에 적지 않은 충격을 던졌고, 이제는 추억
이나 사진에서나 끄집어 봐야 되는 흐릿한 전설이 되어버렸다.

동쪽을 바라보고 선 약사사는 숲에 둘러싸여 있어 산사의 향기도 그런데로 진하며, 절이 아담
하여 두 눈에 넣고 살피기에도 별 부담이 없다. 또한 방화역에서 절까지 길이 잘 닦여있고 도
보 20분 정도로 접근성도 괜찮으며, 차량으로 경내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절을 둘러보고 개화
산 봉화정과 강서구의 야심작인 강서둘레길 개화산숲길(개화산둘레길)을 겯드린다면 아주 영
양가 만점의 나들이가 될 것이다.

※ 개화산 약사사 찾아가기 (2018년 3월 기준)
① 지하철 5호선 방화역 3번 출구를 나와 오른쪽(남쪽)으로 가면 방화5단지로터리이다. 여기
   서 오른쪽(서쪽)으로 가면 방원중교 옆으로 약사사로 이어지는 길(금낭화로17길)이 나온다.
   방화역에서 도보 20분
② 방화역 4번 출구를 나와서 북쪽으로 쭉 가면 방화역교차로 서쪽이다. 여기서 왼쪽(서쪽)으
   로 가면 느티공원이 나오는데, 공원을 가로질러 직진하면 개화산이며, 여기서 직진을 하거
   나 오른쪽으로 가서 심정묘 직전에서 왼쪽으로 오르면 약사사로 이어진다. 1번 코스보다는
   5분 정도 빠르다.

* 약사사 공양밥이 꽤 맛이 좋다고 한다. 매일 12~13시에 점심 공양을 제공하며, 일반인도 공
  양이 가능하다.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332-2 (금낭화로 17길 261 ☎ 02-2662-2551)
* 약사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클릭한다.


▲  대웅전에서 바라본 범종각과 삼성각

절 정문을 들어서면 약사사 경내가 조촐하게 펼쳐진다. 바로 정면에는 3층석탑과 대웅전이 시
선을 주고 있으며, 왼쪽에 약사사 안내문과 매점, 범종각이, 오른쪽에는 주차장과 해우소, 감
로당이 자리한다.

▲  매점과 범종각(梵鍾閣)
범종각에는 1976년에 조성된 범종이 걸려있다.

▲  가건물로 이루어진 공양간


▲  삼성각(三聖閣)

삼성각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불전(佛殿)이긴 하
지만 겉모습은 거의 요사(寮舍)나 여염집 같은 분위기로 가운데 칸의 문을 열고 들어가는 구
조이다. 내부에는 칠성탱과 산신탱, 독성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중 칠성탱과 산신탱은 1960
년에 조성된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이다. (삼성각 바로 옆에 공양간이 있음)

▲  지팡이를 들고 앉아있는 독성상(獨聖像)
산신, 칠성과 달리 그림은 없다.

▲  전륜(轉輪)을 쥐어든 칠성상과 다소
빛이 바랜 칠성탱(七星幀)

◀  호랑이를 거느린 산신상과
산신탱(山神幀)


▲  감로당(甘露堂)

3층석탑을 사이에 두고 삼성각을 바라보고 선 감로당은 정면 6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
이다. 경내에서 가장 큰 집으로 요사와 종무소(宗務所)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甘露堂','開
花山 藥師寺' 현판은 승려 석정(石鼎)의 필체이다. 툇마루를 갖추고 있어 잠시 두 다리를 쉬
기에 좋으며, 벽면에는 십우도(十牛圖)와 혜능(慧能) 이야기, 백락천과 도림선사 이야기 등이
그려져 있다.


▲  약사사3층석탑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39호

대웅전 뜨락 한복판에 3층석탑이 우뚝 서 있다.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로 약사사가 적어
도 고려 중/후기에 창건되었음을 가늠케 해주는 소중한 보물이다. 탑 높이는 4m로 땅에 바닥
돌을 깔고 1층의 기단(基壇)과 3층의 탑신(塔身)을 얹혔는데, 머리 장식은 어느 세월이 잡아
갔는지 없어진 것을 근래에 새로 붙여 고색의 때가 만연한 아랫 부분과 전혀 다른 피부색을
보인다.

탑은 길쭉하고 홀쭉한 모습으로 기단이 1층으로 간략화 되었고, 옥개석(屋蓋石)의 밑면 받침
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어 고려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 중기 이후 탑의 변천
과정을 알려주는 자료로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서울에는 오래된 석탑이 많이 있지만 정
작 토박이 옛 탑은 몇 되지 않는다. 토박이 고려 탑은 낙성대(落星垈) 3층석탑과 홍제동(弘濟
洞) 5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에 있음), 그리고 이곳 밖에 없으며 나머지는 왜정(倭政) 이후에
강제로 제자리를 떠나 상경한 것들이다.


▲  약사사 대웅전(大雄殿)

동쪽을 바라보고 앉은 대웅전은 이곳의 법당으로 1988년에 중건되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지붕을 청기와로 수를 놓아 웅장함과 화려함을 동시에 뽐내며 절의 왜소함을
능히 커버한다.


▲  대웅전 앞부분
정면 양쪽 모서리 기둥에는 힘차게 날아오르는 용을 그려놓아 대웅전의 화려함을
더욱 돋군다, 약사사가 더욱 발전하기를 바라는 뜻에게 용을 새겼을 것이다.
허나 중요한 것은 겉면이 아닌 내실이다. 너무 겉치례만 차리지 말고
속세와 중생을 위해 더욱 헌신하는 곳이 되기를 바란다.

▲  대웅전의 붉은 닫집과 불단을 장식하는 여러 불상과 보살상들

장엄하기 그지 없는 대웅전 불단에는 1기의 석불과 7기의 불상/보살상이 있다. 그 뒤에는 조
그만 금동불이 거대한 병풍을 이루고 있는데, 거의 3천불이라고 한다. 모든 것이 다 금동(金
銅) 일색인 곳에 홀로 빛바랜 돌로 이루어진 수수한 모습의 큰 불상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어
자세한 사연을 모르는 이들은 고개를 갸우뚱하는데, 그가 3층석탑 다음으로 경내에서 오래된
존재로 이곳을 먹여살리는 든든한 밥줄이다. 그러니까 주인공은 석불, 나머지 금동불은 그를
위한 조연이 된다.
비록 겉은 초라해 보일 지 몰라도 그의 가치는 그들보다 한참이나 높다. 다른 불상은 제쳐두
더라도 3층석탑과 그는 꼭 봐야 나중에 저승에 가서도 꾸중을 듣지 않는다.

석불 앞에는 조그만 금동석가불이 그를 후광(後光)으로 삼아 앉아있고, 좌우에는 지장보살과
관음보살이, 그 옆에는 큼직한 약사여래좌상과 아미타여래좌상이 중생을 굽어본다. 금동불은
모두 1995년 이후에 조성된 따끈따끈한 것들이다.


▲  약사사 석불입상 - 서울 지방유형문화재 40호

불단의 많은 불상을 거느리고 있는 대웅전의 주인장, 석불입상은 머리에 쓴 돌갓 밑에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글씨가 새겨져 있어 이를 통하여 고려 후기, 아무리 늦어도 조선 초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약사사의 든든한 밥줄로 '개화산약사암 중건기'에 일장미륵(一丈彌勒)으로 등장한다. 불상의
정체에 대해서는 의견들이 많으나 가슴 앞에 댄 두 손에 연꽃가지를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여
겨지기도 하며, 불상의 투박한 모습을 통해 고려와 조선 때 온갖 모습으로 재현된 미륵불(彌
勒佛)의 하나로 보기도 한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에 그를 약사불(藥師佛)로 삼으면서 절 이름
을 약사암으로 갈았으며, 현재도 영험한 약사불로 삼아 애지중지한다.

이 석불은 현재 위치 바로 옆에 있었던 건물에 있었는데, 밑도리는 땅속에 묻혀 있었다. 그러
다가 1974년 그 건물을 부시고 대웅전을 조성하면서 불상 밑에 기단석을 만들어 편의를 제공
했다.
불상의 얼굴은 길고 넓적한데, 표정은 썩 별로이다. 경직된 인상에 두 눈은 너무 크기 때문이
다. 코는 세모로 오똑하나, 코 끝은 크게 닳아진 상태이고, 입은 그 모양만 확인이 가능하다.
두 귀는 어깨까지 축 늘어져 있어 중생의 고충을 듣기에는 별 지장은 없어 보이며, 머리에는
둥근 돌갓을 쓰고 있는데, 지방에 있는 미륵불에서 많이 보이는 모습이다.
어깨가 얼굴에 비해 너무 작고, 옷도 옷주름 몇 가닥이 표현된 것이 전부이다. 두 손은 가슴
앞에 대고 연꽃가지를 들고 있어 꽃을 든 불상의 이미지를 주며, 밑도리는 앞에 있는 금동석
가불과 불단에 가려져 확인이 어렵다. 그렇다고 실례를 무릅쓰고 확인하기에도 좀 그렇다.
썩 괜찮은 작품은 아니지만 보면 볼수록 끌리는 존재로 소망을 들어주기로 명성이 자자해 많
은 이들이 찾아와 소망과 고충을 털어놓는다. 약사사가 지금에 이른 것도 거의 그의 공이다.


▲  후배 금동불을 압도하는 석불입상의 위엄
동물과 신(神)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자리만 축내는 인간들이 범하는 흔한 오류 중의
하나가 바로 겉모습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모든 것은 겉모습으로 평가하지 마라.
생긴 건 저래도 꽤나 알찬 불상이다.

▲  약사사 돌담길 - 약사사에서 개화산전망대로 이어지는 개화산 숲길

정말 오랜만에 발걸음을 한 약사사를 둘러보고 범종각 옆 매점 아줌마에게 이곳의 명물인 약
수터의 위치를 문의했다. (이때는 약수가 없어진 것을 몰랐음) 예전에도 와봤지만 그 약수터
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경내와 조금 떨어진 곳에 있었다는 그 약수는 2013년 봄에 폐쇄되었다는 답변을 듣고 기운이
싹 빠지는 듯 했다. 안그래도 개발의 칼질에 많은 것을 잃어버린 서울인데 유명한 약수터 하
나가 허무하게 져버리니 천박한 개발의 칼질과 그 칼질을 개념 없이 조정하는 행정관청 밥버
러지들, 개발업자들이 심히 원망스러울 따름이다.

매점 아줌마가 목이 마르면 생수 1병에 500원이니 사먹으라고 그런다. 그래서 가난한 중생이
라 돈이 없다고 둘러대니 물 1컵 먹고 가라며 정수기 물을 제공했다. 약수터가 없으니 절도
천상 정수기 물에 의존하는 것 밖에는 도리가 없다.
물을 싹 비우니 아줌마가 더 마시겠냐고 그런다. 그래서 더 달라고 하니 역시 한가득 담아 제
공한다. 그래도 이곳은 물을 주는 인심이 있구나 싶어 흐뭇한 표정을 지으며 절을 나와 개화
산숲길을 거쳐 개화산으로 올라갔다. 이후 부분은 별도의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딱 9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은 댓글이나 메일, 전화연락 등으로 반드시 상의바람, 무단 사용은 안됨)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 사용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따라 글이 이상
  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급적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보시기 바람)
* 공개일 - 2018년 3월 27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18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