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바위 종점과 지척인 선본사는 팔공산에 둥지를 튼 오랜 절집의 하나이다. 조계종(曹溪宗) 소 속으로 갓바위를 든든한 밥줄로 삼아 절을 꾸리고 있는데, 갓바위로 올라가는 길목에 여러 건물 들은 모두 선본사 소속이며, 갓바위 역시 이곳에서 관리하고 있다. 선본사란 절 자체는 작지만 그 범위는 상당하며, 갓바위 지구와 구별하기 위해 선본사를 본절(본점), 갓바위를 웃절(지점) 이라 부른다. 허나 지점이 더 손님이 많고 수입이 훨씬 많다. 그리고 건물의 규모도 본점을 능 가한다. 그에 비해 본점은 인적이 드물다. 그래서 본점보다는 지점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 고 있는 실정이다.
선본사는 신라 소지왕(炤知王) 13년인 491년에 극달화상(極達和尙)이 세웠다고 한다. 허나 이를 입증할 증거를 없다.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극달화상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으며, 그 시절에는 신라에 고구려 불교가 전파되긴 했으나 서출지(書出池)의 전설처럼 고구려 불교는 한참 축출되던 시기이다. 상황이 그러하니 어찌 신라의 영역인 이곳에 절이 세워질 수 있겠는가? 참고로 산 너머의 대구 제일의 고찰 동화사(桐華寺)도 극달화상이 창건했다고 우기고 있다.
그럼 언제 창건되었을까? 경내와 주변에 흩어진 여러 석조유물(불상 대좌와 석등, 극락전 뒤쪽 의 오래된 석축)과 절 남쪽 노적봉에 있는 3층석탑을 통해 신라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3층석탑은 8세기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비록 절과 떨어져있지만 이곳과 관련이 있는 유 물로 여겨진다. 석조유물 역시 8~9세기 것으로 보이며, 절을 세운 극달이란 인물은 신라 후기에 활동했던 승려로 짐작된다.
창건 이후 조선 중기까지는 내력이 남아있지 않으며, 17세기에 들어와서 비로소 사적이 보인다. 우선 1614년에 수청(秀廳)이 절을 중수했다. 1766년 기성화상(箕成和尙)이 중건했으며, 1802년 (순조 2년)에 일암당(日庵堂)이 국성(國成) 등과 함께 신중탱화를 조성했다. 그 탱화는 현재 갓 바위 칠성각에 있다. 그 이후 1820년과 1877년에 중수했으며, 1970년 이후 갓바위 부근에 불전 을 조성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법당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산신각과 요사, 선방 등 7~8동의 건물이 있으며, 갓바위 지 구(웃절)에는 8~9동의 불전이 있다. 소장문화유산은 관봉 꼭대기의 갓바위부처(관봉석조여래좌 상)와 노적봉 부근의 3층석탑(경북지방유형문화재 115호)이 있으며, 불상의 대좌와 석등의 좌대 (座臺) 등 신라 후기 석조 유물이 여러 점 존재한다.
갓바위를 관리하는 본절이지만 오히려 갓바위의 그늘에 제대로 가려 경내는 썰렁하다. 허나 고 요하고 고즈넉한 산사의 분위기를 제대로 누릴 수 있으며, 사람들로 늘 북적거려 기도를 올리는 것도 쉽지 않은 갓바위와 달리 마음 편히 예불을 올릴 수 있다.
※ 갓바위, 선본사 찾아가기 (2014년 12월 기준) ① 하양 경유 * 대구 1호선 안심역(4번 출구)에서 55, 508, 518, 555, 708, 808, 814, 818번 시내버스를 타고 하양터미널이나 하양초교 하차, 길 건너에서 갓바위행 803번 시내버스(30분 간격) 이용 * 동대구역에서 708번(역 맞은편 정류장) / 814, 818번(역 바로 앞) 시내버스를 타고 하양에서 803번으로 환승 * 갓바위 종점에서 선본사는 바로 보이며, 갓바위까지 걸어서 30분 소요 ② 경산시내 경유 * 대구 2호선 영남대역(4번 출구)과 경산역(경부선)에서 803번 시내버스 이용 ③ 대구 갓바위 경유 * 대구 1,2호선 반월당역(2,13번 출구), 대구역(대구역전우체국) 맞은편, 동대구역(북쪽 지하도 정류장), 1호선 아양교역(2번 출구)에서 401번 시내버스를 타고 갓바위 종점 하차, 갓바위까 지 등산 1시간 소요 * 주말과 휴일에는 401번 축소판 노선인 팔공2번 시내버스(갓바위↔아양교역↔동대구역 북쪽 지 하도 정류장)가 추가 운행된다. (평일과 겨울에는 운행안함) ④ 승용차로 가는 경우 * 경부고속도로 → 경산나들목을 나와서 하양 방면 → 금락4거리에서 우회전 → 동서교차로에서 와촌 방면(한사들길) 좌회전 → 동강교차로에서 갓바위 방면 좌회전 → 신한교차로에서 우회 전 → 갓바위 주차장 * 포항대구고속도로 → 청통와촌나들목을 나와서 하양방면 → 동강교차로에서 우회전 → 신한교 차로에서 우회전 → 갓바위 주차장 * 대구시내 → 영천방면 4번 국도 → 동서교차로에서 와촌 방면(한사들길) 좌회전 → 동강교차 로에서 좌회전 → 신한교차로에서 우회전 → 갓바위 주차장
★ 갓바위, 선본사 관람정보 (2014년 11월 기준) * 갓바위 지구(경산)에 넓은 주차장이 있다. (주차비 있음) * 갓바위까지 걷는 시간을 줄이고 싶다면 경산 쪽을 추천한다. * 매년 10월에는 선본사와 갓바위 주차장 일대에서 '갓바위 소원성취 축제'가 열린다. 소원기원 제와 산사음악회, 다례봉행, 법회, 민속놀이와 전통체험, 다례봉행, 승무공연, 연등만들기 등 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보통 3일 일정으로 진행된다. * 선본사 소재지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587 (선본사 종무소 ☎ 053-851-1868, 중단 종무소 ☎ 053-853-9877, 갓바위 ☎ 053-851-1869) * 선본사 홈페이지는 아래 사진을 흔쾌히 클릭한다. |
 |
경내로 들어서려면 선정루의 아랫도리를 지나야 된다. 이 건물은 가파른 언덕에 지은 것으로 자연히 3 층을 이루고 있는데, 아래층에는 부처의 경호원 인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있으며, 건물 위쪽은 부처의 중생구제를 향한 메세지가 담긴 사물(四 物, 범종, 운판, 법고, 목어)의 보금자리로 종 각의 역할을 한다. 이 건물은 1988년에 지어졌 으며, 그 이전에는 계단만 덩그러니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