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운대해수욕장, 장산폭포(장산휴양림) ~ 부산,마창진 기행 1편 ~
' 부산, 마창진(마산,창원,진해) 지역 봄꽃 기행 (2005년 4월 16 ~ 17일)'
'상편 ― 부산 해운대 지역(해운대해수욕장, 장산폭포, 장산휴양림)'
♠ prologue
겨울에 가려 영영 오지 않을 것 같던 봄이 과감히 겨울의 잔재들을 몰아내고 우리 곁으로 다가오면서
벚꽃과 개나리, 진달래 등이 느지막하게 꽃을 피우고 나무들도 서둘러 푸른 옷을 갖춰 입으면서 이제
어느덧 완연한 봄의 세상이 되었다.
1박 2일로 갔었던 이번 부산,마창진(마산,창원,진해) 기행은 한반도에서 제일 따스한 지역 중 하나인
부산권 지역을 선택하여 가게 되었다. 그 이유는 창원에 사는 옛 친구를 만나기 위해서, 물론 그 외에
부수적인 이유로 벚꽃의 대명사인 진해 벚꽃을 구경하고 오랜만에 부산과 마창진 지역을 둘러보려는
목적도 있었다.
4월 15일(금요일) 저녁. 천안으로 가는 전철을 타고 근 150분을 달려 천안역에 도착,
부산으로 가는 심야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다시 4시간을 달려 새벽 4시 11분, 경부선의 남쪽 끝
부산역에 도착한다.
부산역에 이르러 저번 광주역처럼 잠깐 눈이라도 붙일 장소를 찾았으나 자리의 대부분은 노숙자들과
여행객들이 들어 앉아있어 저쪽 구석에 겨우 자리 하나를 찾았으나 열차에서 곱게(?)―입석으로 가려고
했으나 운이 없는지 자리가 몇석 남아 있어 부산까지 앉아 왔다―잠을 잔 덕에 좀처럼 잠이 오질
않는다.
새벽 5시가 넘자 지하철에서 잠이나 잘 겸 해서 부산지하철역으로 들어가 신평(하단) 방면 첫 전철을
시작으로 근 2시간 동안 전철 안에서 노숙자 마냥 열심히 잠을 잤다. 어찌나 잠이 잘 오던지, 머리만
기댔다 하면 바로 zzz..
마지막 역에 도착하면 다시 반대편으로 가서 다시 꾸역꾸역 졸고 그러기를 몇 번이나 반복하여
아침 7시가 조금 지날 무렵, 해운대역(2호선)에서 내려서 졸린토끼가 눈을 비비며 물을 먹으로 가듯,
졸린 눈을 비비며 햇살과 별이 쏟아지는 해변, 해운대 해수욕장으로 다가간다.
* 이번 답사 코스
' 서울 → 천안역 → 부산역 → 해운대해수욕장 → 장산휴양림 → 폭포사와 장산폭포 → 해운대
→ 만덕사터 → 만덕사 당간지주 → 만덕동 알터유적 → 진해 용원 → 유주암, 유주비각, 망상도 →
진해시내 → 창원시내 → 마산시내 → 창원친구집(1박) → 불곡사 → 창원시내 → 서울'
* 본 글은 상,중,하 3부로 나눠서 작성했습니다.
* 인라인 프레임 형태가 불편하여 따로 익스플로어 창으로 보고자 할 경우 여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 LCD로 읽을 경우 글이 다소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ex. 글씨가 인터넷에 올려진 다른 글씨보다 너무
크게 나오면서 문장배열이 매우 엉망으로 나올 수 있음) 그럴 때는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클릭 ->
디스플레이등록정보 -> 테마에서 'windows고전'을 선택 -> 확인'을 누르고 보면 되겠습니다.
(window xp, server 2003, window 2000 사용자에 한함)
* 컴퓨터 사양과 윈도우 버전에 따라 글씨와 문장이 매우 비정상적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최소한 window 98
이상(window 2000 이상을 권장함)버전에서 보시길 바랍니다.
* 사진을 올린 웹 사이트의 점검,기타 사유로 인해 아주 간혹가다 사진이 안뜰 수 있습니다.
♠ 한국(조선) 8경의 하나 ~ 해운대(海雲臺) 해수욕장
이미 국제적인 관광지로 크게 발전한 해운대, 해운대는 백사청송(白沙靑松)의 수려한 경관으로 예로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손꼽히던 명승지이다.
해운대의 명성은 이미 신라시대부터 시작된 모양인데 해운대 시내에 있는 해운대 온천지역에
신라 황족(皇族)들이 놀러왔다는 기록이 있어 그들은 온천욕과 더불어 지금의 해수욕장과 동백섬 지역도
분명히 찾았을 것이다.
그러다가 10세기 초반, 최치원(崔致遠)이 우연히 이 곳을 지나다가 그 풍경이 너무 아름다워 지금의
동백섬에 잠깐 머물며 바위에 자신의 호(號)중 하나인 해운(海雲)을 동백섬 바위에 새겼다고 하는데
그런 연유로 거의 무명(無名)에 가까웠던 이 지역의 이름이 해운대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이는 액면 그대로 믿으면 곤란하다. 최치원을 흠모하던 후대 사람들이 해운대 지역의 풍경이
너무 아름다워 그의 호를 무단 도용(?)하여 이 곳의 이름으로 삼고 마치 그가 여기에 왔던 것처럼
이야기를 꾸몄을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그 이후 시인묵객(詩人墨客)들과 부근 백성들이 이 곳을 찾아 해운대의 아름다움을 시와 노래 등으로
표현하였고, 20세기에 들어와서 바닷가와 온천을 중심으로 관광지로 개발되면서 지금은 이렇게 어엿한
국제적인 명승지로 크게 성장하여 해마다 헤아리기조차 무의미한 국내, 국외 관광객들로 언제나 활기가
넘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특구(觀光特區)이다.
※ 해운대 해수욕장 교통편
* 부산지하철 2호선 해운대전철역에서 걸어서 10분,
* 해운대역(동해남부선)에서 도보 12분.
* 부산좌석버스 302,307번 이용, 해수욕장 앞에서 하차
* 해운대역, 해운대구청, 스펀지를 경유하는 시내버스 이용, 도보 10분 이내
▲ 잔잔하게 밀려오는 파도 (멀리 오륙도가 보인다) |
![]() |
▲ 오륙도의 섬 중 4개 정도가 눈에 띈다. |
![]() |
▲ 바다 건너로 보이는 산은 장산봉으로 그 해안가에 |
![]() |
▲ 하얀색의 조선비치호텔과 푸른색(여기서는 검게 보임)과 |
![]() |
▲ 해운대 해수욕장은 1997년 8월에 처음 온 이래 10번 정도 와 본 것 같다. |
![]() |
▲ 바다의 푸른 물결이 백사장(白沙場)의 모래를 살짝 어루만져 주고 있다. |
![]() |
▲ 세계 굴지(屈指)의 국제무역항인 부산항으로 향하고 있을 거대한 배가 |
![]() |
▲ 백사장에는 이 곳을 찾은 사람들의 흔적과 그들의 추억들이 |
![]() |
▲ 시원스레 펼쳐진 바다를 바라보니 속세의 온갖 번뇌(煩惱)들로 |
![]() |
▲ 해수욕장 주변으로 계속해서 높은 빌딩들이 들어서고 있다. |
♠ 해운대의 뒷동산 - 장산(?山) ~ 장산자연휴양림, 폭포사, 석태암, 장산폭포 ~
해운대의 듬직한 뒷동산 장산(?山) ,
장산의 높이는 해발 634m로 부산의 진산(鎭山)인 금정산(金井山) 보다 약 180m 정도 작다.
그러나 이 산의 범위는 높이와는 달리 굉장히 넓어서 북쪽으로는 반송과 기장, 서쪽으로 반여동,
동쪽으로 송정(松亭)에 이르며 산을 통해 각각 그 지역으로 넘어 갈 수도 있다.
해운대가 너무 바다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보니 해운대에 이렇게 좋은 산이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타 지역 사람들은 이 산의 존재를 거의 모르는 편이고 주로 부산권 사람들만 알고 있는 정도로
거의 동네 뒷동산 수준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내가 이 산을 찾은 이유는 '장산폭포'란 폭포(瀑布)를 보기 위함인데 해운대에 왠 폭포? 바다 중심의
해운대와 왠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그 폭포가 나를 이 곳까지 찾아오게 만든 것이다.
장산은 이렇다할 문화유적은 없으나 산자락에서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유물이 출토되어 그 시절부터
이 곳에 사람들이 살았음을 보여주며 삼한시대(三韓時代)에는 장산 자락에 장산국(?山國)이라는
부족국가(部族國家)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런 연유로 장산이 이 산의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현재 장산에는 자연산림욕장을 비롯하여, 등산로 입구에 저수지를 중심으로 대천공원이 자리해 있으며
산 안쪽으로 들어가면 폭포사, 석태암 등의 사찰과 부산에서는 거의 보기가 힘든 폭포(장산폭포)가 있어
부산권 시민들의 당일 등산 코스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장산폭포, 폭포사 교통편
* 부산지하철 2호선 장산역에서 걸어서 30분,
* 부산시내버스 38,100-1,115-1 좌석240,좌석307번을 타고 폭포사입구(양운고,대림아파트)에서 하차,
도보 20분
▲ 장산 등산로 입구
아직도 겨울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서울과는 달리 이 곳 가로수에는 이미 봄내음으로 가득하다.
![]() | |
▲ 대천공원 호수가에 피어난 벚꽃들 | |
![]() | ◀ 벚꽃나무 사이로 바라본 공원호수 -
|
![]() | |
▲ 호수를 바라보며 서 있는 벚꽃들 |
![]() | |
▲ 장산 올라가는 길 | |
![]() | |
▲ 장산 산림욕장 표석 | |
![]() | |
▲ 솔내음으로 가득한 장산 산책로 | |
![]() | |
▲ 장산 석태암(石台庵) | |
![]() | |
▲ 석태암 대웅전(大雄殿)과 5층석탑 | |
![]() | |
▲ 계곡 건너 바위에 금동불(金銅佛)과 철불(鐵佛)이 답답한 불전을 내부를 벗어나 시냇물의 졸졸졸 소리를 들으며 시원스런 계곡 바람을 맞으며 오늘도 명상에 잠긴 그들의 모습 | |
![]() | ◀ 계곡 건너 바위에는 용머리 장식을 갖춘 |
![]() | |
▲ 석태암 경내에 벚꽃나무 | |
![]() | ◀ 폭포사 감로수(甘露水) |
![]() | |
▲ 폭포사 대웅전(瀑布寺 大雄殿) | |
![]() | ◀ 폭포사 3층석탑 - |
![]() | ◀ 폭포사 입구에 세워진 '?山 瀑布寺' 표석 - |
![]() | |
▲ 나무 사이로 보이는 장산폭포 | |
![]() | ![]() |
▲ 장산폭포 아랫쪽 계곡 | ▲ 폭포를 바라보며 서 있는 |
![]() | |
▲ 시원스럽게 쏟아지는 장산폭포 (1) | |
![]() | |
▲ 시원스럽게 쏟아지는 장산폭포 (2) | |
![]() | ◀ 등산로에서 바라본 장산폭포 (1) |
![]() | |
▲ 등산로에서 바라본 장산폭포 (2) | |
![]() | |
▲ 장산폭포를 벗어나 한 5분 정도 오르니 정자(亭子)가 하나 나온다. | |
![]() | ![]() |
▲ 대천공원에 조성된 조형물들 | |
![]() | |
▲ 해운대 신도시에 조성된 어느 근린공원(近隣公園) |
~~ 아쉽지만 상편은 여기서 끝. ~~
* 상편 작성 시작일 - 2005년 5월 8일
* 상편 작성 완료일 - 2005년 5월 17일
* 상편 수정,보완,편집 ~ 2005년 5월 18일 ~ 8월 8일
* 공개일 - 2005년 8월 10일부터
* 중,하편은 각각 8월 11일 이후 공개할 예정
Copyright (C) 2005 by Park Y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