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권 사진,답사기

거제도, 한산도 역사기행 ~ 한산도 제승당 (이충무공 유적지)

도봉산 고양이 2005. 12. 25. 16:56

 

'거제도(巨濟島) ~ 한산도(閑山島) 역사 기행 (2005년 10월 30일)'
'하편 ― 한산도 제승당(制勝堂), 한산대첩의 현장 한산도 앞바다'


* 원본을 보고자 할 경우(따로 익스플로어 창으로 보고자 할 경우)
여기를 클릭바랍니다.
* 사진을 올린 웹 사이트의 점검,기타 사유로 인해 아주 간혹가다 사진이 안뜰 수 있습니다.



♠ 제승당 들어가는 길 ~

한산도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 이순신 장군이 수루(戍樓)에 홀로 앉아 우국충정의 마음으로 읆은 시

▲제승당으로 들어서는 입구 ~ 한산문(閑山門)
한산도 제승당은 한려해상 국립공원(閑麗海上 國立公園)의 일부이고
국가적인 사적지(史跡地)이자 성역(聖域)이기 때문에 입장료를 받는다.
입장료는 안내면 저 문을 절대 통과할 수 없음.

입장료 ~ 일반 성인은 1000원, 어린이는 500원, (30인 이상은 10% 정도 할인)

▲그 옛날 조선 함대(艦隊)로 가득했을 제승당 앞 갯뻘 (3장)
지금은 허허벌판의 갯뻘이지만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
한산도에 웅거(雄據)하던 시절, 저 곳은 세계 최강의 판옥선과 거북선이
휴식을 취하던 곳이다.

▲바다건너 한산대첩비가 세워진 문어포가 보인다.
제승당 사적지가 저 곳까지 이어져 있는 것으로 알았으나, 저 곳은 제승당과 완전히
별개 지역으로 제승당에서 따로 들어가는 길도 없는 것 같다.

▲바다건너 한산문과 매표소가 보인다.
그 뒤로는 18만평에 이르는 거대한 송림(松林)이 시원스레 펼쳐져 있다.

▲제승당 우물
1592년 이 곳에 전라좌수영 행영(行營)을 설치한 이래, 1597년까지 약 4 ~ 5년 동안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조선 수군들의 목을 축여주었던 고마운 우물이다.
바다와 매우 가까운 곳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짠 맛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맛이
있을 정도이다. 또한 물의 양도 언제나 풍부하다고 한다.

▲제승당으로 들어가는 2번째 관문, 대첩문(大捷門)
다포(多包) 양식으로 되어 있는 대첩문의 모습이 꼭 사찰(寺刹)의
일주문(一柱門)같다. 전혀 제승당과 어울리지 않는 모습..

저 문을 보는 순간 '아니~ 내가 제승당이 아닌 절에 온 것인가?'
싶은 착각이 들었지.

▲무럭무럭 자라난 녹색의 팔손이나무
경남 통영 지역은 아열대식물인 팔손이나무의 북방한계지이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팔손이나무 자생지인 인근
비진도(比珍島)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팔손이나무 안내문

▲가을 분위기 가득한 ~ 제승당 가는 길
가을도 이충무공을 존경하는지 그의 흔적이 서린 이 곳 한산도에
머물러 좀처럼 떠날 줄을 모른다.
지금 쯤이면 겨울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길을 떠났겠지..

▲제승당으로 들어서는 3번째 관문 ~ 충무문(忠武門)
저 문을 들어서면 조선 수군의 중심지, 제승당이 나온다.

▲충무문에서 바라본 제승당 가는 길
자연스레 곡선을 그리며 해안을 따르고, 숲을 가르는 길은
산책의 발길을 멈추지 못하게 한다.
제승당 나루터에서 제승당까지는 약 2km거리이다.


♠ 조선 수군의 중심지, 충무공의 얼과 정기가 서려 있는 곳 ~
한산도 제승당(制勝堂)

한려수도(閑麗水道)의 동쪽 관문인 한산도, 그 북쪽 두억리 언덕에는 이순신 장군 및 그의 수군들의 우국충정이
담긴 '제승당'이 한산대첩의 현장을 바라보며 그렇게 자리해 있다.

이 곳은 1592년 한산도 대첩 이후, 충무공이 지금의 자리에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행영(行營)을 설치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 이후 그는 수전(水戰)의 공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으로 임명되었고
1593년 8월, 통제영의 본부를 여수에서 이 곳으로 옮겨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을 설치하고 그 본부인
운주당(運籌堂, 지금의 제승당)을 세우면서 1597년까지 삼도(三道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수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593년 이후 조선과 왜가 휴전(休戰)을 맺으면서, 이순신은 이 곳에서 계속 수군을 지휘, 통제하며 계속
전력을 증강시켰고 수군만의 과거 시험을 치러 많은 인재들을 등용하는 한편, 오갈데 없는 백성들을 한산도와
그 주변에 정착케 하여 둔전(屯田)을 하였다.

1595년, 화재가 발생하여 제승당 일부가 소실되었으나 바로 복구되었으며, 1597년 원균(元均)이 수군을
이끌고 부산 공격을 시도하다가 실패, 한산도로 철군하던 중. 거제도의 북쪽 칠천량(漆川梁)에서 하룻밤을
머무는 사이 10만에 가까운 왜의 수군, 육군에 기습 공격으로 이순신이 힘들게 키워놓은 조선 수군은 거의
전멸을 맞는다.
이 어이없는 패전에서 원균과 전라우수사 이억기(全羅右水使 李億祺), 충청수사 최호(忠淸水使 崔湖)가
전사하고 전선 160척, 수군 1만 5천명이 전사 혹은 왜의 포로가 되었다.
칠천량에서 조선 수군을 격파한 왜군은 그 기세를 몰아 바로 한산도를 접수하여, 통제영을 모조리 불질러
버렸다.

그 이후 터만 쓸쓸히 남아오다가 1739년, 107대 통제사인 조경(趙儆)이 유허비(遺墟碑)를 세우고 운주당의
옛 터에 다시 전각을 세워 그 이름을 제승당(制勝堂)이라 하면서 친필 현판(懸板)을 걸었다.

그 때부터 1896년 고종의 칙령(勅令)에 따라 통제영이 없어질 때까지 조선의 남쪽바다를 지켜왔으며,
망국(亡國) 이후 1911년 통영, 거제 지역 유지들이 '충렬사영구보존회'를 설립하여 왜국(倭國)의 온갖
핍박에도 불구하고 제승당 유적을 굳굳히 지켜나갔다.

해방 이후, 1951년 '제승당영구보존회'는 재단법인 '통영충렬사'를 설립하였으며 1976년 박정희 정권에서
제승당 유적을 성역화(聖域化) 하려고 하자, '통영충렬사'는 그들의 소유인 제승당을 경상남도에 기증하여
경남도청에서 관리하게 되었으며 2000년에 이르러 '통영충렬사'에 관리를 위탁하여 지금에 이른다.

한산도 제승당 유적은 18만 평에 이르며, 제승당과 영당, 수루, 수호사 등 20동의 건물과 내삼문(內三門)을
비롯한 7개의 문이 있는데 이들 유적을 통틀어 보통 '제승당'이라고 부른다. 다른 말로는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지'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이충무공 유적지이자 임진왜란 유적지로 그를 흠모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배를 타는 수고로움을 감내하며 이 곳을 찾는데. 특히 왜인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왜 열도에서도 이충무공에 대한 관심과 연구, 관련 논문이 우리나라 못지 않으므로
아마도 그런 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제승당 유적은 사적 113호,

한산도 제승당 찾아가기 (2005년 11월)
* 통영 여객선터미널에서 제승당으로 가는 뱃편 이용, 통영에서 매시 정각 (7시 ~ 18시)에 출발
(한산도로 가는 뱃편은 여러 노선이 있으므로 반드시 '제승당'행 배를 이용할 것)
운임은 편도 4100원, 왕복 7800원으로 소요시간은 보통 25분, 단 관암 경유 뱃편은 약 40 ~ 50분 소요
* 제승당 나루터에서 통영으로 가는 뱃편은 매시 30분(7시 30분 ~ 18시 30분)에 출발
* 차량 수송 가능,

▲제승당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전각으로 조선 수군의 본영(本營) 답게
건물의 모습도 꽤 당당하고 위엄이 있어 보인다.
마치 충무공의 기개를 보는 듯한..

▼제승당 안내문

▲제승당 내(內) 현자총통(玄字銃筒)
왜군을 향해 힘찬 포성을 울렸던 그 무적의 대포,
지금은 비록 관광객들의 눈요기감에 불과하지만 여전히
자신의 옛모습을 꿈꾸고 있는 그의 모습에서..

▲ 노량해전도(露梁海戰圖)
제승당 내에는 문학진 화백(文學晉 畵伯)이 그린 이충무공의 전적(戰績) 벽화 5폭이 걸려 있다.

이 그림은 임진왜란 7년 전쟁의 마지막을 장식했던 노량해전,
순천 왜교성(倭橋城, 지금의 순천 망해대)에 갇혀 있던 고니시 유끼나와(小西行長)를 구하기
위해와키자카 야스하루 등이 이끄는 왜의 수군 500척(혹은 300척)이 노량(露梁)에 이르자
이순신의 조선 수군은 양쪽으로 그들을 공격하여 무려 300척(혹은 200척) 이상을 격침시키고
약 2만에 이르는 왜군을 살륙하였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적의 유탄을 맞고 53세의 나이로 장렬하게 전사한다.
그는 죽어가면서, 아군의 사기가 떨어질 것을 염려하며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고 유언한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그러나 이순신의 최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들이 많으나 대체로 전사(戰死)설을 따르고
있다.

▲거북선(龜船) (사진 2장)
세계 최초의 철갑선(鐵甲船)으로 이름이 높은 거북선.
임진왜란 토왜(討倭)의 1등 공신 거북선은 1597년 칠천량 해전 때 모두 파괴되어 없어지고
유감스럽게도 그 이후 더 이상의 거북선 건조는 없었다.

▲명조팔품도(明朝八品圖)
1598년 가을, 명나라 왕 신종(神宗)은 이순신 장군의 전적(戰績)을 크게 치하하며 그에게
8가지의 의장물(儀仗物) 15점을 선물로 보냈다.
그 8가지의 의장물을 그림으로 설명한 것이 바로 위에 '명조팔사품'으로 그 진품(眞品)은
현재 통영 충렬사(忠烈祠)에 있다.

병풍에 제일 오른쪽부터 살펴보면

1. 도독인(都督印)과 부인함(附印函) ~ 수군도독의 인장
2. 호두령패(虎頭令牌) ~ 도독의 휘하 장령에게 긴급한 군령을 내릴 때 비장(裨將)에게
내린 것
3. 귀도(鬼刀) ~ 도독 좌우로 영교(令嬌) 2명이 어깨에 메고 서서 도독을 호위할 때 사용
4. 참도(斬刀) ~ 전 장병을 호령하고 군법을 시행할 때 지휘도로 사용
5. 독전기(督戰旗) ~ 적과 맞장뜰 때 독전하는 기
6. 남소령기(藍小令旗) ~ 홍소령기와 구분하여 기함에서 서로 작전을 지휘할 때 사용
7. 홍소령기(紅小令旗) ~ 남소령기와 구분하여 기함에서 서로 작전을 지휘할 때 사용
8. 곡나팔(曲喇叭) ~ 출동시나 접전시에 웅장한 천아성(天鵝聲)을 내어 아군의 사기를
고무시키고 명령신호로 사용

▲수군통제사 행적비(水軍統制使 行蹟碑) 3기
▼수군통제사 행적비 안내문



▲수군통제사 행적비 4기

▼수군통제사 행적비의 하나
비문(碑文)의 내용이 잘 안보여서 누구의 비석인지는 모르겠다.

▲수군통제사 이한창(李漢昌, 이순신의 6대손) 송덕비
이충무공의 후손들은 그의 인품을 닮아서 그런지 백성들을 잘 보살펴 주었던 모양이다.
송덕비의 뒷부분에는 '무휼도민 천추불망(撫恤島民千秋不忘)' 이라 쓰여 있는데
'섬 사람들을 따스하게 살펴준 공덕은 천추에도 잊지 않겠다'

 


♠ 수루(戍樓)에 올라 한산대첩(閑山大捷)의 현장을 바라보다 ~

▲이충무공 시귀(詩句)의 현장 ~ 수루(戍樓)
통제영의 망루 역할을 했던 곳으로 이순신 장군은 이 곳에 자주 발걸음을 하여
왜군의 동태를 살피고, 전쟁이 끝나기를 기도하며 우국충정의 시를 읆었던 곳이다.
특히 '한산도 달 밝은 밤에 ~'는 달이 비춘 어느 날 밤, 이 곳에 올라 잔잔한 바다를
바라보며 하늘 높이 떠 있는 달을 벗삼아 읊은 시로 유명하다.
지금의 수루는 1976년, 제승당 정화사업으로 복원된 것이다.

▲수루 앞에 서 있는 나무
가을 옷으로 곱게 몸을 치장한 나무, 이충무공에 대한 그의 마음은 아닐까?

▲수루 안에 거대한 북(鼓)
조그만 거북선이 자기 덩치의 배(倍)가 되는 거대한 북을 즐거운 표정으로
그렇게 등에 지고 있다.
'하늘의 소리'라고 하는 북소리.. '쿵~ 쿵~ 쿵~' 북소리를 들으면
나도 모르게 심장이 뛰고 긴장이 된다.

저 북은 1976년에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편에 속하는 북이다.

▲수루 안에 걸린 '한산도 달 밝은 밤에 ~' 시 현판(詩 懸板)

▲수루에서 바라본 한산 앞바다 (한산대첩의 현장)
보잘 것 없는 나의 신발을 과감히 벗어 젖히고 수루에 올라선다.
수루에서 바라보는 바다 풍경은 산뜻하고 곱기 이를데 없다.

왼쪽과 바다 건너 오른쪽에 펼쳐진 넓은 숲을 바라보면 학이 평화롭게 거닐고 있고
눈을 감고 바람 소리에 귀를 맡기면 이순신 장군과 조선 수군의 불타는 함성이
들리는 것 같아. 나도 그들처럼 힘찬 함성을 질러보고 싶었으나,
차마 그러지를 못했다.

▲수루 옆에 세워진 한산대첩 상황도 안내문
자세한 내용은 상편의 한산대첩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충무사(忠武祠) 홍살문
수루에서 한산도 앞바다를 살펴보고 제승당 서남쪽에 있는 충무사로 발걸음을 옮겼다.
충무사를 찾는 길손들을 제일 먼저 반겨주는 홍살문.

◀한글비
광복을 3주년을 기념하여 1948년, 경남
지역 학생들의 성금으로
세운 비석이다.
비문(碑文)의 내용은 한글학자로 유명한
정인보(鄭寅普) 선생이 썼고, 비문은
김충현 선생이 썼다.
순 한글로 써 있는 비석으로 비문의
내용은 대략 '이충무공의 우국충정을
기리고, 그 정신을 이어 받자'

▲충무사로 들어서는 내삼문(內三門)

▲제승당 정화 기념비
글씨가 깨알 같고 세로로 쓰여 있어 읽기가 좀 고달프다.

▲제승당 유허비(遺墟碑) - 오른쪽 것
1739년, 조경(趙儆) 통제사가 제승당을 세우면서 그 기념으로 세운 비석이다.

▲제승당 유허비(遺墟碑) - 왼쪽 것

▲제승당 유허비 안내문


♠ 충무사에서 이충무공에게 예를 드리다. ~~

▲충무사(忠武祠)
이순신 장군을 배향(配享)한 사당으로 그를 추모하는 사람들의 발길이 좀처럼 끊이질 않는다.
마침 어느 4인 가족이 그의 영전(靈前) 앞에 머리를 숙이며 예를 표하고 있었다.

참배 장소에 있는 참배 방명록에는 오늘과 어제, 참배하러 온 사람들의 이름 석자가 수십 쪽을
넘길 정도로 빼곡히 적혀 있었는데, 왜인(倭人)들의 이름도 가끔 눈에 띄었다.
나도 영전 앞에 예를 표하며 방명록에 다녀간 흔적을 남겼다.

▼충무사 안내문

▲이순신 장군 영정(影幀)
1978년, 정형모 화백이 그린 것으로. 어디까지나 그의 상상으로 그려진 모습에 불과하다.
이순신 장군의 외모가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 얼굴은 어떻게 생겼는지? 그건 아무도 모른다.

임진왜란 7년 전쟁의 큰 공을 세웠음에도 조선 정부에서 그의 모습을 사진(寫眞)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이 참으로 유감스러울 뿐이다.

그의 참 모습을 볼 수 없는 현실.. 화가의 상상으로 아무렇게나 그려진 영정을 보고
그 모습을 마치 그의 진짜 모습으로 사실화 시키는 현실, 그건 우리의 불행이 아닐까?

이순신 장군이 송나라의 역사서를 읽고 썼다는 독후감(讀後感)이
병풍(屛風)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의 지적 능력을 보여주는 유물들.. (2장)


♠ 제승당의 가을 ~ 거기서 만난 동물들..

제승당에도 변함없이 가을은 찾아왔다. (2장)
붉은 옷으로 갈아입으며 묵묵히 그 때를 기다리고 있는 나무.
왜 죽음 앞에서는 모든 생물들은 처절한 아름다움을 보이는 것일까?
살고 싶은 한가닥 미련 때문일까?

다정한 모습의 나무 1쌍

한산정으로 내려가는 길

▲ 사방(四方)이 활짝 열려 있는 한산정(閑山亭)

▲ 한산정(閑山亭)과 활터
한산정은 이순신 장군이 부하 장졸들과 활쏘기를 하던 활터이다.
이 곳은 특이하게도 활터와 과녁 사이에 바다가 있는데 이는
해전(海戰)에 필요한 실전거리의 적응훈련을 하기 위함이다.

▼ 한산정 안내문

▲ 한산정에서 만난 묘공(猫公)
한산정으로 들어서니 누런 털을 가진 고양이 1마리가 마치 자신의 구역을
순찰하듯 이리저리 어슬렁거린다.
사람이 다가가도 도망을 가질 않으니 아마도 제승당 관리사무소 직원들이
거두어서 기르는 고양이로 생각된다.

▲ 땅바닥을 뒹구는 묘공(猫公)
묘공의 저런 한가하고 근심없는 모습이 왜 저렇게 부러워 보이는 걸까?

▲ 점심을 먹고 있는 묘공(猫公) (2장)
난 아직 점심도 먹지 못했는데, 좀 같이 먹으면 안될까?

▲ 점심을 먹고 양지에 누워 낮잠을 즐기고 있는 묘공(猫公)
배부르고 등도 따스하니 이제 잠이나 청해 볼까..



▲ 화살 한번 쏴보고 싶다 ~ 한산정 과녁
우리나라에 있는 활터 중, 유일하게 활터와 과녁 사이에 바다가 있다.
해전을 염두에 둔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활쏘기 시합을 통해 부하들의
경쟁을 유도하고 그들과 어울려 지낸 그의 따뜻한 인품을 느낄 수 있는 곳,

이 곳에서 활쏘기를 연마한 장졸들은 1594년 이후, 이순신 장군이 주관한
수군(水軍) 만의 무과를 통해 대거 등용되었다.

▲ 제승당 주변 풀밭에 어느 토공(兎公)
검은 토끼 하나가 제승당 풀밭을 제 집 안방처럼 누비고 있다.
그의 전생은 혹 통제영 군사가 아니었을까?


이렇게 하여 약 2시간에 걸쳐 한산문부터 제승당, 한산정까지의 제승당 유적지를 모두 둘러보았다.
한산대첩비까지 보고 싶었으나 제승당에서 들어가는 길이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멀리서 바라보는 것으로
그 아쉬움을 대신하였지. 한산대첩을 거둔 조선 수군의 힘찬 함성을 고이 간직한 한산도 앞바다..

▲ 제승당을 나오면서
가까이에 한산도 유람선 나루터가 보인다

▲ 한산도 제승당 나루터에서 바라본 한산도 앞바다
세계 4대 해전지의 한 곳을 이렇게나마 둘러보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
또한 임진왜란 3대첩―행주대첩(幸州大捷), 진주대첩(晉州大捷), 한산대첩(閑山大捷)―의 현장을
모두 내 눈으로 확인을 하였으니 그 역시 너무 광영스럽다.

조선에게 대승리를,왜에게 대참패를 안겨준 한산도 앞바다.
이순신과 조선 수군의 위대한 이야기는 천년, 만년이 지나도 영원할 것이다.
다음에는 그런 대첩의 현장이 더 이상 우리나라 영내(領內)가 아닌 남의 나라의 영역에서
일어나기를 바라면서..


제승당 나루터로 나오니 어느덧 14시 20분.. 매시 30분 마다 통영 가는 배가 출발하므로 이제 10분만 기다리면
다시 육지로 나가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다 되도록 배는 나타날 기미가 안보이고 14시 35분이 되자 통영에서 온 배가 나루터로 들어와
육지에서 온 많은 사람들과 수레, 화물을 한산도로 내뱉는다.

하선(下船)이 끝나자 이제 제승당 답사객과 한산도 주민들 그리고 그들의 수레, 화물이 통영으로 가는 배에
승선을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타서 3등실 수준의 별로 넓지 않은 객실 내부와 바깥
갑판은 정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나는 한쪽 구석에 자리를 잡고 책을 읽었지.
그런데 내 부근에 아까 전 한산도에 들어올 때 같은 배를 탔던 왜인 가족들이 눈에 띈다.
여행이 즐거웠는지 그들의 얼굴에는 웃음이 가득.. 저들은 과연 '제승당'에서 무엇을 느꼈을까?
무엇을 머리와 마음 속에 담아가지고 왔을까? 무척 궁금하다.

14시 40분이 되자, 배는 한산도에 대한 미련을 털며 한산만으로 짧은 항해를 시작한다.
그런데 이번 배를 바로 통영으로 가지 않고 한산도에 두억리와 관암마을을 들려서 통영으로 가는 것이다.
그래서 통영까지 거의 50분이 걸렸지. 아까 전 한산도로 들어올 때보다 무려 배가 걸렸다.

따끈한 객실 내에서 책을 보니 슬슬 졸음이라는 넘이 나를 희롱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잠은 이따가
경성으로 올라갈 때 잘 것이다. 생각하며 정신력으로 버텼다. 솔직히 잘 여건이 아니었음..

15시 30분, 통영여객선터미널에 도착. 다시 한반도에 품으로 들어왔다. 내가 육지 출신이다 보니 아무래도
섬보다는 육지가 더 포근한 것 같다.

통영에 이른 후, 우선 통영시외터미널을 찾았다. 그날이 휴일이다보니 버스표를 미리 사둘 필요가 있어서,
통영터미널에서 16시 40분에 서울 서초동으로 가는 시외버스 표를 샀는데 운임이 무려 18100원..
2005년에 내가 탄 시외버스 중에서 제일 비싸게 주고 탄 것 같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어 부근에서 밥을 먹고, 통영과 헤어질 시간을 기다리니 어느덧 16시 30분..
통영과 거제도에 대한 모든 미련을 깨끗히 털어내며 서울로 가는 직행버스에 승차했다.
이제 내가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갈 시간인 것이다.

16시 40분이 되자 좌석을 거의 채우며 통영을 출발.. 고성, 사천을 거쳐 중부고속도로 연장구간을 통과하여
3시간 만에 대전에 이르렀다. 우리나라 땅이 참 작긴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뚫리는 고속도로가 우리의
강토를 더욱 좁게 만드는 것 같아 내심 아쉽다. 우리나라 강역(疆域) 내에서도 열차로 10시간, 버스로
10시간을 갈 수 있는 곳이 있으면 좋으련만.. 이제 5 ~ 6시간 이내에 모두 커버가 되버리니..
서울에서 부산도 이제 그 잘난 고속전철로 3시간이면 커버가 가능하질 않던가..?

대전 부근 휴게소에서 잠시 쉬고, 다시 북쪽으로 발길을 재촉한다. 고속도로의 교통상황은 예상외로 매우
좋아서 시원하게 잘 뜷린다.
그러나 안성 부근에 이르니 갑자기 차가 막히기 시작한다. 내 기억으로는 수원까지 겨우겨우 기어온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래서 서울 남부터미널에 통영 출발 6시간 만인 22시 40분에 도착했다.


~~ 이로써 거제도와 통영(한산도) 역사 기행은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그렇지만 가끔씩 햇갈린다. 저 기행을
과연 내가 간 것이 맞을까? 혹 꿈 속에서 간 것을 진짜 간 것으로 착각한 것은 아닐까? ~~
모든 것이 정말 일장춘몽(一場春夢)이로다.. 그런 나의 행적이 모두 남가일몽(南柯一夢)화 되어가니..
그것이 너무 두렵다. 언젠가 나란 존재도 그 속으로 영영 사라지는 것은 아닐까? ~~

* 답사, 촬영 일시 - 2005년 10월 30일
* 하편 작성 시작일 - 2005년 11월 23일
* 하편 작성 완료일 - 2005년 11월 26일
* 하편 숙성기간 ~ 2005년 11월 26일 ~ 12월 22일
* 공개일 - 2005년 12월 24일부터
 

 

Copyright (C) 2005 by Park Yung, All rights reserved